2022/10/27

Public Profile hira reviews

Public Profile


Community activity
View:View:All Activity
67Reviews


hirareviewed a product · Oct 9, 2021
4 out of five stars

天皇制をむずかしくしているのは、近代的な機能主義に偏重した、文系学者…

本書では、天皇制がシニフィエ(意味、思想)なきシニフィアン(表徴=し…


See full review

むずかしい天皇制
3.9 out of five stars47

히라
별 5개 중 4.0개 천황제를 어려워하고 있는 것은, 현대적인 기능주의에 편중한, 문계학자적인 견해로는?
2021년 10월 9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본서에서는, 천황제가 시니피에(의미, 사상) 없는 시니피안(표징=시루시, 형식)이다(p.41)라든지, 천황에는 기능이 없다(p.220)라고 해 두면서, 천황에 의미· 사상·기능성을 찾아내려고 하는 것은, 매우 모순되어 있으므로, 천황의 표시(상징)·형식·존귀성에 어프로치 해야 합니다.
 여기에서는, 단지 비판할 뿐이라고 실례이므로, 나 나름의 천황제의 본질을 적어 둡니다.

 우선, 그 전제로서, 물건・사람・사람등의 견해는, 내면과 외면의 양면에 2분하는 것이, 상처 수단입니다.
 예를 들어, 마루야마 마코토는, 가치에는, 「무엇을 하는가」의 이용 가치와, 「무엇(누구)인가」의 존재 가치의, 양면이 있다고 해, 이용 가치는 내면의 능력・실력 중시로 존재가치는 외면의 가격・인격중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나카에 조민은, 「우리 일본, 옛날보다 지금까지 철학 없음」이라고 했습니다만, 일본에는, 아무런 사상이 없었던 한편, 형식이 있었다고 해야 하고, 예를 들면, 예도 의 「형」도, 그 하나로, 사상은 내면, 형식은 외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기호에는 외면의 표징=표시(기호 표현)과 내면의 의미(기호 내용)의 양면이 있으며, 이들을 내면과 외면으로 이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양면
・내면:사상, 능력・실력 중시, 이용가치(「~를 한다」가치, 기능성), 의미(기호내용)
・외면:형식, 가격・인격중시, 존재가치(「~이다」) 가치, 존귀성), 표지(기호 표현)

 그리고, 천황제가 영속할 수 있었던 것은, 고대에서는, 기원전 660년부터 「일본 서기」완성의 720년까지의 1380년간, 역대 천황이 일본 통치에 관여해 온 신화가 있기 때문에, 중세 이후에서는 , 실재와 세습이 확실한 계체 천황(26대) 즉위부터 오랜 세월, 역대 천황이 일본 통치에 관여해 온 역사가 있기 때문입니다.
 즉, 천황에는, 일본 통치에 관여해, 요리 넓게·요리 길게 안정시켜 온, 절대적인 존재 가치가 있으므로, 때의 위정자들(대련·대신→태정관→섭정·관백→상황→장군→ 원로·중신→총리)는 정권안정의 확률 향상을 위해 적대세력에 탈취되어 일본통치의 정통성을 주장하지 않도록 천황가를 비호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오구니끼리가 군웅 할거하고 있던 전국기에는, 천황이 불필요하므로, 천황가·조정은 일시 쇠퇴하고 있어 노부나가가 대국화하거나, 히데요시·이에야스가 천하 통일하려고 하면, 요리 넓게 · 요리 오랫동안 통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천황이 필요합니다.
 역대 천황이 통치에 관여한 것이 일본이라고 하는, 역사상의 경험칙이 있기 때문에, 만약, 정권이 천황제를 폐기해, 천황가가 외국 등의 다른 조직에 비호되어 일본 열도내의 산림 등의 토지를 광대하게 매입해, 거기는 국내법이 통용하지 않는, 치외법권의 독립 국가(진짜 일본)라고 주장되면, 상당히 귀찮아집니다.
 존재 가치는, 없어져서 처음으로, 존귀성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존황이란, 천황을 존중하는 것이 아니라, 천황이라고 하는 형식의 존귀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그것이 국체입니다.
 따라서, 천황제의 본질은, 일본 열도내에서만 통용하는 절대적인 존재 가치로, 천황의 이용 가치는 부차라고 해, 옛날의 천황은, 신불에의 기도·제사를 하고 있어, 지금의 천황의 재해지 방문·전몰자 위령도, 그 연장선상에 있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천황의 양면
・본질=외면:존재가치(일본 통치에 관여해, 요리 넓게・요리 오랫동안 안정시켜 온 군주 「이다」가치)
・부차=내면:이용가치 재해지 방문·전몰자 위령 등 「을 하는」가치)

 지금의 천황은, 헌법 1조로,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 되어 있기 때문에, 「천황의 지위는, 주권이 있는 일본 국민의 총의에 근거한다」라고, 천황측에서는, 국민의 총의에 근거하기 위해서 일하는 것이, 방문·교류 등의 공무라고 인식하고 있다 처럼 보입니다.
 이렇게 국민측과 천황측의 쌍방향 상호관계가 있어서 처음으로 상징천황제가 성립된다고 황실은 이해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옛 천황은, 자신의 역할을, 신불 등에의 기도·제사로 설정한 것은, 아마, 위정자의 합리적인 정사·군사(현사/모습)로 요시(선)로부터 흉(악) 가 되어도, 비합리적인 기사·제사(유사/카쿠리마다)로, 흉에서 길로 회복시켜, 그것을 교대로 반복시키면, 영원하다는 발상으로부터입니다.
 정사·군사는, 실패하면, 책임 추궁되기 때문에, 천황은, 때의 최유력자에게 명목상 위탁하게 되어(실질상은 권력 탈취), 실패가 없고, 책임 추궁되지 않는, 기사· 제사에 특화된 것이,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황실(왕조)교대하지 않고·정권교대하는, 일본의 특성이 완성되어, 다음과 같이 대비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양면
・외면:형식, 존재가치, 비합리성 ~ 천황의 기사・제사=책임추천없음→황실교체없음
・내면:사상, 이용가치, 합리성 ~ 위정자의 정사・군사=책임추궁 있음→ 정권 교체 있음

 이와 같이, 천황은 시니피에(내면) 없는 시니피안(외면)이라고 주장한다면, 내면의 사상·의미·기능성이 아니고, 외면의 형식·표지·존귀성을 보지 않으면, 언제까지나 본질에는 추적 도착하지 않습니다.
 현대적인 기능주의에서 제도는 사상(내면, 실)을 형식(외면, 이름)으로 표현·반영시키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고(명실일체형), 이것은 내면에서 외면으로의 흐름과 아니, 선진국이라고 통용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후진국의 일본에 있어서, 제도는, 외래의 형식을 섭취하면서, 중미의 사상을 토착에 적합시켜 왔기 때문에, 외면에서 내면으로의 흐름이라고 해도, 이것은, 일본 독자적인 제도에도 영향 하고 있어, 외면을 명목상 온존해, 내면을 실질적으로 개변시키는 경향에 있습니다(유명 무실형).
 그래서 전 근대 일본의 정치 체제는 여러 호족의 연합정→태정관정→섭관정→원정→무가정으로 바뀌었지만, 원정이 되어도 섭관가가 남아, 무가정이 되어도 원정・귀족(공가)이 남아, 막부 말까지 율령제・조정(태정관)이 남아 있었습니다.
 덧붙여 천황이 정치에 관여하거나·하지 않거나, 애매하게 생긴 것은, 아스카기의 성덕 태자작으로 여겨지는 17조 헌법의 1조에, 근거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는, 「화를 소중히 하고, 논쟁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하라」 「위의 자가 완화를, 아래의 자가 목욕을, 서로 논의하면, 사물의 도리가 자연스럽게 통한다」라고 있어 , 위의 자가 아래의 자와의 합을, 채용하면 합의적, 거부하면 독재적으로 되어, 화의 채부가, 일본의 정치 체제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요.
 위 사람(천황, 장군)은 세습으로 무능하다면 보좌역(섭정·관백)·후견역(상황)이나 아래 사람(장군, 집권·관령·노중 등)에 집정을 위임하고 실력이 있어 유능하다면 스스로 집정과 정치관여의 유무를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일본의 천황은 입양불가의 혈통에 의한 계승으로 무능이 전제이므로 합이라는 형식(외면)의 존귀성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민족에 의한 왕조교대도 있는 중국의 황제가 유능 를 전제로 하여 덕(儒教道徳)이라는 사상(내면)의 기능성을 중시하고 있던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전 근대의 일본에서는, 천황·조정이, 차례로 유명 무실화해 가고, 황실(왕조) 교대 없음, 막부가, 명실 일체일지라 하고, 정권 교체 있어, 그 중에서 집권·관령·노중 등이 , 정권을 주도하고, 책임 추궁되고, 장군은, 유명 무실화하고 있으면, 책임 추궁되지 않고, 마지막 장군은, 도막시도 살해되지 않고 추방만이었습니다.

 인간 중심·서양 중심에서 연구를 축적해 온 문계학자는, 내면의 사상·의미·기능성의 편중으로부터, 천황은 공허한 중심이라든지, 공기로 지배되고 있으면 좋다 경향이 있어, 이것이 이계 학자라면 , 현상·구조(형식)를 인식하는 것이 중심이므로, 외면의 형식·표시·존귀성의 편중이 될지도 모릅니다.
 문계학자는 형식에는 내용(중미는 뒤따라)가 없는데(시니피에 없는 시니피안인데) 내용이 있을 것이라고 착각하고 형식에 감정이 들어가(내재) 쉽고 그것이 야마모토 시치 평의 「「공기」의 연구」로 말하는, 임재감적 파악입니다.
 어디까지나, 천황의 본질은, 일본 열도내에서만 통용하는 절대적인 존재 가치(시루시=상징)로, 전후의 천황은, 국민의 상징 「이다」 때문에, 위정자의 범위의 합리성의 분야( 정사·군사·경제 등)을 회피해, 비합리성의 분야(기사·제사·문화 등)로, 자신의 이용 가치(역할)를 모색하는 것입니다.
한 사람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는
남용 신고  퍼머링크
리뷰를 영어로 번역
제품 세부 정보
1 helpful vote


hirareviewed a product · Sep 5, 2021
4 out of five stars

利他には、自然や他人への洞察と、自分達や他人との対話の、循環が必要だ

本書は、2020年設立の東工大・未来の人類研究センターにおける、「利他…


See full review

「利他」とは何か (集英社新書)
4.1 out of five stars392


1 helpful vote
고객 리뷰
히라
별 5개 중 4.0개 이 외에는 자연이나 타인에 대한 통찰과 자신들과 타인과의 대화의 순환이 필요하다
2021년 9월 5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이 책은 2020 년에 설립 된 도코 대학과 미래의 인류 연구 센터에서 "이타 프로젝트"의 멤버 5 명이 전문 분야에서 접근 한 타타 키대와 같은 것으로, 우선 "이타"는 "우츠와 (그릇)이 되는 것”이라고, 도착한 것 같습니다.
 이하, 알아차린 점을 열거해 보았습니다.

○1장
 구미의, 합리적 이타주의(이기로 이어지는 이타)나, 효과적 이타주의(행복을 철저하게 수치화한 효율적인 이타)는, 물적·양적인 만족으로, 기부가 다액 게다가, 개인 기부가 대부분이므로,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을 합의 형성하려고 하면, 이성 중시가 되어, 감성(공감) 중시의 일본인에게는, 저항이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구 규모의 위기는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의 합의 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떠한 평가 기준을 설정하지 않으면 성립하지 않고 어느 정도로 하는지는 자연에 대한 통찰과 인간끼리의 대화가 필수적입니다.
 또, 케어에는, 유료(서비스)와 무료(자원봉사)가 있습니다만, 만약 유료라면, 진지하게 듣고 고객의 요구를 듣고, 비용대 효과를 감안하면서, 가능한 한 대응하려고 하는 것이 당연합니다만, 우선은 대화로의 납득한 계약이 전제가 됩니다.
 그러나, 만약 무료라면, 케어하는 측이, 일방적으로 케어를 밀어붙여, 케어되는 측을 관리·지배하는 일도 있어, 그렇게 되지 않게, 상대의 존엄을 소중히 한 다음에, 진지하게 듣고 들으면, 이번은 케어되는 측이, 일방적으로 케어를 요망해, 케어하는 측을 관리·지배하는 일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두 강자와 약자의 입장이 고정화되어 버리는데 위화감이 있고, 게다가 필자는 상대의 현재적인 말이나 반응뿐만 아니라 예상치 못한 행동 등의 잠재적인 가능성에도 , 듣고 집어들고, 자신이 바뀌는 것도 포함하고 있습니다만, 이러한 통찰은, 조금 일방적이지 않을까요.
 이것은 마치, 이반·모반하지 않고 군신간이 고정화한 무사의 주종관계에 있어서, 가인형 신하가, 절대적으로 신봉·충성하는 주군에게, 통찰해 행동하는 것 같고, 아무래도 일본적인 발상입니다만 , 케어하는 측이, 후술의 자리(깨달음을 얻고 있는 것)에 도달한 사람에게만 한정되어 버려, 국제적으로는 통용하지 않습니다.
 사람으로서의 「우츠와」나 여백은, 이타에 필요합니다만, 그래도 통찰 뿐이라면, 더 나은 자신 마음대로의 추억의 가능성도 있어, 그보다 직접 대화 쪽이 확실하고, 대화로 상호의 신뢰 관계를 형성 해야 합니다.
 무료 케어는, 대등한 사람끼리의 가정내의 부부간이라도, 어느 가사를 분담하는 사람이, 자신이 하고 싶도록 하는지, 타인이 하고 싶으면 하는지로, 모는 것이 많이 있어, 좋은 이타는, 직접 대화로 약정, 양쪽 모두 의식이 변화하는 것이 보통으로, 타자성에는, 무엇보다 대화(다이얼로그)가 중요합니다.

○2장
 직접 호혜성(증여와 반례가 같은 상대의 교환)은, 완결된 폐쇄계로 내포적이므로, 아직 부채감에 의한 보상을 기대해의 선물로 볼 수 있어, 이기적인 이타도 성립 쉬운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간접 호혜성(증여와 반례가 다른 상대의 교환)은 미완의 개방계로 외연적이므로 리턴(보상)에는 위험(위험함)이 있어 직접 호혜성처럼 생각대로 하지 않고, 안직하게 이기적인 이타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이 아닐까요.
 레비 스트로스는 여성의 혼인의 간접 호혜성이 인간의 사고나 감정에 의한 의식적인 작위(내면의 사상)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생성된 무의식적인 관습(외면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부채감은, 관습(형식)의 근거로서, 뒤따라서 감정(사상)을 이유로 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니까, A의 집의 미혼 남성에게, B의 집의 미혼 여성이 신부 할 수 있었다고 해서, 부채감(사상)으로부터, A의 집의 미혼 여성이, C의 집의 미혼 남성에게 아내를 시키자 그렇게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본의 고도경제성장기까지 일치결혼의 성공률이 높았던 것은, 연담소개 네트워크가 자연스럽게 생성되고 있었고, 주로 집끼리의 인조(형식)가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보여 연애결혼 하지만 주로 개인끼리의 감정(사상)이 영향을 주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이 형식인지 사상인지를 여기에서 다루어진 일화에 비추면, 「소승의 신」은, 최초로 형식으로 증여하지 않고, 추후에 사상으로 증여(불쌍하게 베풀어)한 위화감으로, 필자의 인도에서의 경험은 형식의 증여를 사상(과잉 감사의 말)으로 반례한 위화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와라시베 장자」는, 최초 쪽은, 형식에서의 증여와 반례로, 마지막 쪽은, 사상(관음님의 혜택에의 기대)에서의 증여와 답례라고 설명할 수 있어, 3개의 일화로부터, 증여와 반례는, 좀처럼 「오토마티컬」로 안이하게 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친진은, 염불만으로 극락 정토에 왕생·성불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만, 만약 성불이 목적으로, 그 수단이 염불이라면, 아직 자신에게 번뇌(욕망)라고 하는 사상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고 에, 자연스러운 형식으로 갑자기 염불하면, 아미타불의 자비(타력)로 성불할 수 있다고 하고, 그것이라고 더 이상 염불은 무의미합니다.
 특히, 악행하는 사람은, 자력으로 극락정토에 왕생·성불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아미타불의 자비에 의한 타력 구제의 대상입니다만, 만약 아미타불을 신앙하면, 아직 자신에게 번뇌라고 하는 사상이 있는 것 되기 때문에 더 이상 신앙도 무의미하고, 아미타 부처를 인지하고 있는 정도의 자연스러운 형식만으로 구제되게 됩니다.
 따라서, 자력으로 극락정토에 왕생·성불하려고 하고, 아미타불을 신앙하고 있지 않는, 선행하는 사람도, 악행하는 사람과 같이, 염불 없음·신앙 없음이므로, 당연히 구제되게 되어, 모두 내면 의 사상이 아니고, 외면의 형식이 타력 구제의 요인이 되는 것입니다 (덧붙여서, 도원의 좌선도 무상이므로, 형식화입니다).

○3장
 대승불교의 자리는 자신의 번뇌(욕망)를 제거하고, 깨달음을 얻는 것이므로, 망자가 되고, 이타는, 많은 다른 사람을 구제하는 것이므로, 망기로 구제에 진력해 , 모두 심적·질적인 만족입니다만, 만약 1장의 통찰만으로 이타를 한다면, 자리(깨달음을 얻고 있는 것)에 도달하고 있는 것이, 조건이 될 것입니다.
 한편, 야나기 무네요시는, 민중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도구의 기능미를, 「민예」라고 정의해 칭찬해, 감상 전용으로 양식미·장식미의 「미예」와 대비했습니다만, 원래 도구는 사람에게 봉사하는 이타가 당연한 역할이기 때문에 필자가 사람 사이의 관계가 아니라 사람과 물건의 관계를 다루는 것은 다소 갑작스럽습니다.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동식물은 물론, 무생물의 도구도, 마음을 가지는(유정)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애니미즘을 상기합니다만(예를 들면, 불용이 된 바늘 공양·필츠카의 풍습), 애니미즘과 다르면 한 것은, 「미예」가 자아가 있는 이기로, 「민예」가 망기(자아가 없는) 이타와, 양자를 구별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대승 불교적으로 보면, 생물도 무생물 모두가 부처가 될 가능성(불성·여래장)이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만(일체 모두 성불), 「미예」는, 화려한 자아로 , 번뇌(욕망)가 제거되지 않고, 자리가 아니기 때문에, 이타도 할 수 없다고 읽을 수 있습니다.

○4장
 근대적인 사상은, 자립한 인간·개인이 주체로, 능동성이 강조되고, 후근대(포스트모던)적인 사상은, 그 비판으로서, 수동성이 강조되었습니다만, 필자는, 능동태(「 한다”)와 수동태(“된다”)의 대립으로부터 탈각하기 위해, 양자를 대신해 대체하는 개념을 제시하려고 고대 언어의 중동태에 주목했습니다.
 원래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능동태(주어가 과정 밖에 있는 동사)와 중동태(주어가 과정 안쪽에 있는 동사)가 대립했고, 수동태는 중동태의 일부로 되어 의지의 개념도 없었다 같아요.
 그것이 기독교 철학에서 세계의 창조라는 믿음이 출현한 이후 의지의 개념이 창시된 것 같고, 현재와 같이 능동태와 수동태의 대립으로 변화했다고 합니다(고대 그리스에서는 형사벌로 고의 살인과 과실치사가 구별되었기 때문에 책임의 개념은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필자는, 문제 있는 언동을, 자신의 의지만의 탓으로 해, 책임을 무리하게 밀어붙여도, 진짜의 해결은 되지 않기 때문에, 의지의 개념에 의존하지 않고, 절대로 필요한 책임의 개념을 긍정한다 사상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주어가 과정의 안쪽에 있는 동사의 중동태를 반입해, 자신의 책임을 실감·응답시키려고 했습니다.
 거기에서 필자는 그리스 비극처럼 신적 인과성의 피해자의 측면(수동태)과 인간적 인과성의 가해자의 측면(중동태)을 모두 긍정하고 신적 인과성으로 , 생각대로 되지 않는 운명에 농락되면서(강제), 인간적 인과성으로, 인간이 단호한 결정으로 행위했다고(자발), 양 측면을 섞어 있습니다.
 덧붙여 실제의 형사 재판에서도, 무엇을 발언·행동했는지(인간적 인과성의 측면)만으로, 형사벌을 판결하지 않고, 판결까지, 피고인이 어떠한 처지·배경이었는지( 신적 인과성의 측면)도 감안하는, 정상 추량의 여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 있는 발언·행동+처리·배경 등의 일련의 현상을, 당사자(피고인)가, 스스로 객관적으로 연구해 재검토하면(신적 인과성의 측면), 주체적으로 책임 을 맡을 수 있게 되어(인간적 인과성의 측면), 갱생·재발 방지에 연결되기 쉬워진다고 되어 있습니다.

○5장
 여기에서는, 필자의 경험으로부터, 작가의 의도(사상)를 담아 쓴 작품이 모여, 소설의 역사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소설의 계보(형식)가 있어, 나중에 작가가 거기에 들어갔기 때문에 거기에 영향을 받아 무의식적으로 작품이 유사하고 그 계보에 작가가 봉사·이타하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근대적인 예술작품 해석은 작품이나 배후에 있는 작자의 의도(사상)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며, 만약 그 의도와는 다른 내용을 받으면 오해한 것으로 판단됩니다만 (학교 교과의 채점 방법), 의도를 명시하고 있지 않으면, 원래 작자에게 당초부터, 명확한 의도가 있어 제작되었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독자를 상상에 참가시키는 작품도 있어, 그러한 작품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것은, 독자의 다양한 해석이 있어야만 합니다(텍스트).
 작가가 작품에 불가해한 물건을 제시하는 것은 독자의 상상력에 작용해 독자의 해석이 작자의 의도를 넘어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것도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리턴에는 위험이 그래서 평가의 기준은 저자 자신에게는 없고 작품 자체(형식)에 있는 것입니다.

○ 정리
 이타는, 대승 불교의 자리·이타에 유래합니다만, 우선, 종교는, 내면의 교리(사상)와, 외면의 의례(형식)의, 양면이 있어, 신도는 의례만, 유교는 교리만, 기독교·불교는 양면입니다만, 불교는 ​​번뇌(욕망)라고 하는 사상을 제거하기 때문에, 형식화되어 신도는 형식뿐이므로, 신불 습합이 용이합니다.
 다음으로, 가치에는 내면의 능력 중시로 「무엇을 할까」의 이용 가치와, 외면의 품격(인격・가격) 중시로 「무엇(누구)인가」의 존재 가치의, 양면이 있어, 사물에는, 인간 특유의 의지에서의 작위(「만들기」)와, 생명 통유의 자연스러운 생성(「なる」)의, 양면이 있습니다(마루야마 마오).
 또한, 기호(말)에는, 외면의 기호 표현(표징=표시)과, 내면의 기호 내용(의미)의, 양면이 있어, 이것들을 내면과 외면에 2분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합니다.

- 양면 : 종교, 가치, 사물, 기호
· 내면 : 사상 (교리), 능력 중시 · 이용 가치 ( "~를한다"가치), 인간 특유 · 의지에서의 작위, 의미
· 외면 : 형식 (의례), 품격 중시・존재가치(「~이다」가치), 생명통유・자연적인 생성, 표적

 근대적인 인간중심주의・유럽중심주의나, 구미의 이기주의・이타주의는, 내면의 사상 등의 계통에 편중해, 구조주의나, 대승 불교의 자리·이타는, 외면의 형식 등의 계통에 편중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3장에서는, 일본인답게, 헤아릴 수 없이 「무심히」(p.95, 96) 「후이에」(p.95), 자연스러운 형식의 행위를 생성해 버리는 것이, 이타의 이상 같다('의미 밖' p.58, '충동적', '이유가 없는 인과의 외부' p.96, '몸이 쭉 움직인다' p.106, '작의 후에 사라지고 있다' p .127).
 단지 4장만은, 신적 인과성의 측면에서 인간적 인과성의 측면으로의 행정이 제시되어 이것을 상기의 대비와 닮게 하면, 외면의 자연적인 생성으로부터 내면의 의지에서의 작위에의 행정이 됩니다(여기에서의 내면의 사상은, 필자가 말하는 능동태이므로, 엄밀하게는 다릅니다).
 이 행정이나 눈치채는 점도 가미하면, 대화 불가의 자연이나 타인을 통찰하는(신적 인과성의 측면)만으로는 불충분하고, 그 통찰을 바탕으로, 자신들이나 타인과 대화한 데다(인간 (적 인과성의 측면)에서의 이타가 필요하게 되어, 이 「신적」인 통찰과 「인간적」인 대화를, 반복하면서 진행해 나가는 것이 득책입니다.
 실제로는, PDCA 사이클에서, 자연적인 생성의 단계(신적 인과성의 측면)에 상정한 Plan(계획=자연으로 본다)·Do(실행=자연으로 한다)와, 의지에서의 작위의 단계( 인간적 인과성의 측면)에 상정한 Check(평가=의식해 본다)·Act(개선=의식해 한다)를, 순환시키면 좋은 것이 아닐까요.
 그래서 궁극적으로 자연스러운 형식을 생성한 것처럼 행동하면(Do), 좋은 이타로 이어질 것입니다.
한 사람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는
남용 신고  퍼머링크

hirareviewed a product · Jan 16, 2021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日本は、外来の名実一体型と、土着の有名無実型の、双方があったので、天…

 本書は、「日本の支配層、貴族や武士についてみるならば、世襲は圧倒的…


See full review

天皇はなぜ万世一系なのか (文春新書)
3.1 out of five stars11


3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an 10, 2021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天皇を機能・役割で読み解き、「情報・文化の王」だと導き出したようだが…

 日本史を、古代には、天皇を中心にまとまり、中世には、それが崩れ、近…


See full review

天皇はなぜ生き残ったか (新潮新書)
3.4 out of five stars23


9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Oct 26, 2020
3 out of five stars

挫折はしないが、内容が希薄

 日本史の通史を、中学・高校の教科書のように、大勢の歴史学者が専門分…


See full review

絶対に挫折しない日本史 (新潮新書)
3.9 out of five stars284


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Sep 13, 2020
2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大乗起信論から、念仏と生滅心の正体の大半を取り去れば、小乗仏教的にな…

 本書は、インドの(後)馬鳴(めみょう)著作とされ、6世紀半ば・中国…


See full review

瞑想の心理学: 大乗起信論の理論と実践
3.2 out of five stars3


1 helpful vote


hirareviewed a product · Sep 13, 2020
4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天皇と国民が祭政一致で直結する危険性を暗示

 本書は、江戸後期の会沢正志斎と明治前期の福沢諭吉の国家戦略(国体)…


See full review

日本思想史新論―プラグマティズムからナショナリズムへ
(ちくま新書)
4.3 out of five stars76


10 helpful votes
히라
별 5개 중 4.0개 천황과 국민이 제정일치로 직결될 위험성을 암시
2020년 9월 13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본서는, 에도 후기의 아이자와 마사시사이와 메이지 전기의 후쿠자와 유키치의 국가전략(국체)을, 에도마에~중기의 이토 닌사이(공자·묘자의 길)·오기오후라(선왕의 길)의 고학(고의학)・고문사학)의 영향을 바탕으로, 시대의 사회적 문맥으로부터 읽어 풀어낸 역작으로, 현대의 사상가에게 흔한 오독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 오독이란, 우리는, 쇼와 전기의 천황 주체설 아래에서 초중앙 집권화된 국가 체제를, 이해하고 있습니다만, 그 과격화의 근원이, 마사시사이의 「신론」등에 있다고 주장되고 있는 것으로, 그 사이에는 사회 정세가 여러가지 변화하고 있는데, 그들을 일절 고려하지 않고, 안직하게 연결시키는 것은, 매우 난폭합니다.

 우선, 필자는, 원래 미토 학파를 비호한 미토번이, 도쿠가와 미쓰야의 하나로 막부측인데, 왜 존황을 주장했는지, 주목한 것은 아닐까요.
 마사시사이의 '신론'은 구미 열강침략의 위협이 얇아진 이국선 타불령과 같은 해 1825년에 성립하여 미토번주에게 제출되었지만 출판금지가 되어 잠시 문인간 에 사본으로 유출, 위협이 짙어진, 일미일본친조조약과 일미수호통상조약 사이의, 1857년에 출판되어, 마치 시대의 요청을 반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거기에서 필자는, 천황(朝廷)과 국민이, 급속하게 직접 연결하려고 하면, 국민이 분열하는 비참한 내전이 일어나 버릴 것 같기 때문에, 장군(막부)이 중간 세력으로서 잔존하는 공무 합체 마사시사이는 구상해, 오히려 과격화를 회피하려고 하고 있었다고 도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교에는 맹자 유래의 존왕 패패(선바) 사상이 있어, 이것은 도덕으로 국가 통치(왕도)하는 왕자는 존중하고, 무력·지력으로 국가 통치(패도)하는 패자는 빡빡하다고 되어 일본이라면, 왕자는 천황, 패자는 장군·제 다이묘에 맞추어져, 실제로도 도막·내전이나, 일부의 열강과 번 사이에서, 교전을 경험했습니다.

 마사시사이가 주장한 것은, 천황의 성적 권위하에 국민이 통합된 제정 일치로, 이 성적 권위는, 천황의 권위도 장군의 권위도 실추한, 일본의 전국 시대를 보면, 각 주체가 자유롭게 활동하면 권력 항쟁에 빠져 사회 질서가 전무했기 때문에 국민 통합에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것은 황실 이외에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신정부가 신도를 국교화하려고 했지만 불평등조약(1858년)의 국가들이 기독교 금지에 반발하고(금교령 폐지, 1873년) 대부분의 종교단체도 신교 의 자유를 주장했기 때문에, 신도 국교화가 일단 단념되고 있습니다.
 신도의 관할도, 당초는 제정 일치를 위해, 고대와 같이, 신기관과 태정관을 병존시켰습니다만(1869년), 신기관을 태정 관하의 신기성에 강격(1871년), 신기성을 폐지해 교부성을 설치(1872년), 교부성을 폐지해 내무성의 사사국에 이관(1877년)이라고, 매우 제정 일치라고 말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이어졌습니다.
 즉, 메이지 유신기부터 쇼와 전기까지 모든 것을 동일한 국가 신도로 간주해서는 안되며, 유신 정부는 천황 중심의 중앙 집권의 국가 체제를 수립했지만, 당초는 국민에게 존황 정도의 요청으로 , 근황의 요구는, 군인 칙사(1882년)·교육 칙어(1890년) 이후, 서서히 확대해 갔습니다.
 그리고 별로 지적되지는 않았지만, 존황이라고 해도 실제 천황은 측실제도였는데 히타카(120대, 재위 1817~1846년)·효명·메이지·다이쇼(123대) 의 기간은, 조사 속출로, 4대에 걸쳐, 남자계 남자의 황위 계승자가 1명밖에 살아 남지 않고, 황통 단절의 위기에 있었습니다.
 게다가, 메이지 천황(122대, 재위 1867~1912년)은, 왕정 복고의 대호령·유신 정부 수립 때에는, 약간 17세로, 매우 천황 친정·제정 일치라고는 할 수 없는 연령으로, 입헌 정체의 사서시에 24세, 군인 훈제시에 30세, 교육 칙어·제국 헌법 시행시 39세였습니다.
 따라서, 천황 주권의 제국 헌법으로, 천황 주체설이 주장할 수 있었던 것도, 천황의 연령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만, 다이쇼기에는 논쟁(1913년)으로, 천황 기관설이 우세했던 것을 보면, 양설을 흔들고 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대체로 불평등 조약 개정(1911년)까지 일본은 개정 목적으로 국제 협조를 상당 의식하고 아직 메이지 유신을 경험한 원훈(원로)이 수명한 것도 있어, 국가 운영의 밸런스를 배려해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만, 개정 이후, 원로의 사망이라고 호응하도록(듯이), 드디어 과격화가 현저해져 갔습니다.
 덧붙여서, 국체 명징 성명(1935년)에서, 천황 기관설이 배척되어, 천황 주체설이 공정되었을 때, 쇼와 천황(124대)은 35세, 만주 사변~아시아 태평양 전쟁 때에는, 31~45세 그래서, 천황 친정·제정 일치였다고 할 수 있는 연령이었습니다만, 천황 기관설이 아니었던 것이, 천황에 전쟁 책임이 추궁되는 근거의 하나입니다.

 이 책에서는 닌사이의 공자의 길과 참배의 선왕의 길이 군신·부자·부부·형제·토모우 등 상호 관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사시사이도 인애의 정치로 국민의 능동적·주체적인 단결력을 기대한다고 합니다만, 이 상호 관계는, 중국에서는, 형편이 좋더라도, 일본에서는, 사정이 좋지 않은 사태가 되고 있습니다.
 중국 통치자의 선왕·황제는, 우선 유덕, 다음에 혈통이 중요하기 때문에, 유능을 전제로, 실력자가 정권을 주도해, 불덕이 연속하면, 민의의 반란으로, 왕조교대도 있어, 군신 사이는 관리, 부자·부부·형제간은 가족에서의 상하 관계, 토모우간은 대등 관계로, 황제와 인민의 사이는, 납세와 생명·재산등의 보장의 관계만이었습니다.
 한편, 일본 통치자의 천황은, 우선 혈통, 다음에 유덕이 중요하므로, 무능을 전제로, 세습에서의 가계 영속을 위해, 유력자(섭관가→상황→장군)에 정권을 주도시켜, 왕조교대 없음·정권 교체 있음으로 하고, 장군도 세습에서의 가계 영속을 위해, 집권(가마쿠라기)·관령(무로마치기)·노중(에도기) 등에 정무를 위탁했습니다.
 그렇게 되면, 중국의 유교에서는, 위의 자(황제·관료)에게 인·덕이 요구됩니다만, 일본의 유교에서는, 위의 자(천황·장군)는 세습으로 교대 곤란하므로, 아래의 자의 충・의만을 요구받기 쉽습니다.
 특히 근대 천황(군주)과 국민(신민) 사이에서는 납세와 생명·재산 등의 보장의 관계 뿐만 아니라 군인 칙사·교육 칙어·수신의 국정 교과서의 일대가족 국가관(1910년 )등으로, 천황에의 절대 충성을 강요하는 한편, 정부·군부에는 인·덕이 요구되지 않고, 천황 주권에 비호되어 국민의 인명을 조말로 했습니다.
 어쩌면 마사시사이가 장군(막부)을 중간 세력으로 잔존시키려고 한 것은 정부·군부가 국민측이 되어, 천황과 국민이 직결해, 실패하면, 양자의 책임인가, 천황에 책임 있어・국민에게 책임인 밖에, 어느 쪽도 불편했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래서 천황은 불변 부동으로 권위 있어 책임 없음, 중간 세력(막부→정부 군부)은 변화 변동으로 권력 있어 책임 있어 국민은 책임 없음으로 일본 사상에서 가장 안정된 국가 체제로 하고 싶었어 수 있습니다.
10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 되는
남용 신고  퍼머링크
리뷰를 영어로 번역

hirareviewed a product · Sep 3, 2020
4 out of five stars

日本には、循環性と多様性の「形式」で、永遠を希求し、逆境を好転しよう…

 本書は、日本文化の真骨長・正体・核心・特色を、新しい切り口で解説し…


See full review

日本文化の核心 「ジャパン・スタイル」を読み解く
(講談社現代新書)
4.2 out of five stars184

히라
별 5개 중 4.0개 일본에는, 순환성과 다양성의 「형식」으로, 영원을 희구해, 역경을 호전시키려는 「사상」밖에 없는 것은?
2020년 9월 3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본서는, 일본 문화의 진골장·정체·핵심·특색을, 새로운 단면에서 해설하려고(p.5), 이하의 16강을 설정해, 일본 ​​문화는, 하이컨텍스트로, 보기, 이해하기 어렵다고 보이는 문맥이나 표현이야말로 진골장이 있어(p.6), 한결같이 다양하고, 미묘하고 매우 복잡하지만 계연(세연, 명확)이라고 합니다(p.343).
 다만, 필자는 일본이라는 나라를 정체성(주체적인 일관성)으로 파악할 수 없다. 예, "변화의 경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합니다 (p.7).
 본서와 같이 일본문화론을 해설하는데 키워드를 열거하는 선례가 자주 보이며, 예를 들어 도널드 킨의 '일본인의 미의식'에서는 '암시 또는 여정' 규칙성」 「간결」 「호로비 용이」의 4개의 미적 개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킨은 '과장', '규칙성', '풍요', '지속성'의 4가지 반대 개념도 엉망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이 책에서도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즉 어느 쪽인가를 잘라내는 것이 아니라, 굳이 「두가지의 관계」에 주목하려고 하는 태도가 있다고 합니다(p.334).
 즉, 일본 문화는, 서양과 같은 이항 대립이 아니고, 이항 동체(p.334)·주객 미분(p.337)·쌍대성(듀얼리티=나오거나 할 수 있다, p.46), 거래·왕래·왕환·듀얼로 리버스인 출입(p.68)이 특질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필자는, 일본 문화의 쌍대성 등을, 「님」(양식·양태·양상, p. 는 본질이 있으며, 그것은 생물과 자연의 섭리와 동화하고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그 섭리는 주로 다음 두 가지입니다.

・시간적인 자연 순환성
 우선, 인간은 자연계를, 1일의…→아침→낮→저녁→밤→…, 1년의→봄→여름→가을→겨울→…등과 같이, 대체로 4구분 하고…→증진기(아침·봄)→최성기(낮·여름)→감퇴기(저녁·가을)→가사·재생기(밤·겨울)→…의 영원한 순환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만물·만사(제행)는, 무상으로 유전합니다만, 인간을 비롯한 생물은, 필사 필멸로, 대체로 탄생기→증진기→최성기→감퇴기→사멸기로 이행하기 때문에 , 인간의 사고로, 사멸기와 탄생기를 연결해, 거기를 가사·재생기로 간주해, 그것을 반복하면, 영구 불사 불멸이 될 수 있습니다.

・공간적인 생물다양성
 다음에, 자연계에서는 다양한 생물이 공존하고, 구분・식물 연쇄 등으로, 생태계가 유지・영속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의 사람들도 다양한 사물을 병존시켜 적시 적재 적소에서 구분하여 사용하려고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안과 밖(토착과 도래, 조몬과 야요이, 화와 한=당·양·신·불· 유·길, 수도→동→정), 하늘과 땅(천신과 국신, 천황과 신민), 진·행·잔디(서체, 서원·수기·경기) 등 최저 이항이 필요 했다.
 만약, 한항만 있으면, 그 이상으로 발전성이 없어지면, 거기로부터 갑자기, 그 이외를 찾아내는 것은(생기), 상당히 곤란하고 대응이 늦고, 쇠망(사멸)을 기다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처음과 끝이 생긴다).
 그리고, 주의해야 할 것은, 예를 들면, 한문에서는, 한자 뿐만이 아니라, 쓸 때에 가타카나가, 와카에서는, 히라가나 뿐만이 아니라, 한자가, 병용되어 외래의 불교·유교도 일본화하는 등, 설명 에는 이항을 대비하여 취급합니다만, 실제로는, 한쪽의 단체안에 다른 쪽의 요소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일본 사람들은 혼돈한 세계의 불안 속에서 생활행위를 생물이나 자연의 섭리(시간적인 자연순환성·공간적인 생물다양성)과 동화함으로써 질서를 형성하고 영원을 희구함과 동시에 역경을 호전시켜 안심하려 온 것이 아닐까요.
 나카에 조민은, 「1년 유반」으로, 「우리 일본, 옛날보다 지금까지 철학 없음」이라고 합니다만, 일본은, 평상시의 합리적인 언동의 한계를, 비합리적인 「 형식으로 극복하려고 하는 것이 공통의 '사상'이었던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이 순환성과 다양성의 2개가 있으면, 변화 변동의 계기가 되어, 불변 부동을 회피할 수 있을 것 같고(정지=완전사의 징후), 2개를 바탕으로 16강을 봐 가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제1강·기둥을 세운다: 하나님은 기둥으로 세고, “고사기”의 천지 개간에서는, 타카기 매듭(산령)·신 매듭·하늘의 상립·국가의 상립 등, 최초의 7신이 생멸 그리고, 이자나기·이자나미의 부부 겸 형제 여동생 2신이, 오노고로 섬에서 하늘의 기둥을 세우고, 야신전을 세우고, 묶여 국생·신생 보았습니다. 지진제 등에서는 하나님을 맞이하는 결계를 만들기 위해 기둥을 세웁니다. 이러한 매듭·세우는, 생산을 의미하므로(가사·재생기),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2강·일한의 경계를 넘는다: 선정의 고산수·선승의 수묵화·초안에서의 와비차 등의 뺄셈은, 감퇴기나 가사·재생기의 표현으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해, 각각 이케이즈미식 정원·야마토 그림·서원 다실+당나무에 의한 차의 탕과 대비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공적 시설은 기와 지붕·토마마루·극채색의 한풍으로, 사적 시설은 분홍색 지붕·고층·백목조의 일본풍과 공사·화한의 병존은 다양성으로, 특권 계급의 그 사이 의 왕래는, 순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3강·이노리와 미노리 : 논 벼농사로, 예축의 기도·부스러기는 2월의 기년제로 가사·재생기, 묘요·모심은 증진기, 열매·볶음의 벼 깎기는 감퇴기, 11월의 신조제 는 가사·재생기로, 이 사이클이나, 그 외의 연중 행사는, 순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논 벼작은, 일단 마른 벼종도(가사기), 축축하면 발아(재생기)→생장(증진기·최성기)→결실(감퇴기)해, 연작 장해가 없기 때문에, 매년 반복할 수 있어, 벼혼이 영원히 계승된다고 믿을 수 있으므로 황위 계승의 거짓말 축제도 신조제와 비슷한 의식으로 함으로써 벼혼과 천황의 영혼을 겹쳐서 천황 개인이 사망해도 역대 천황의 영혼은 영원히 계승할 수 있다는 믿음이 이루어집니다. 덧붙여 신가마제가 저녁·아침의 2회, 대구제가 유키전·주기전의 2회 있는 것은, 감퇴기→가사·재생기→증진기로의 이행을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 제4강·신과 부처의 습합 : 일본은 다신다불의 나라로, 부처는 최초, 외래신으로서 취급되고, 고대·중세에는, 불주신종이 되어(본지 수상), 근세에 는 불교가 형체화되고, 교리밖에 없는 유교와 의식밖에 없는 신도가 결합, 주로 무사들 사이에서 보급되어(신유 일치), 근대에는 그것이 국가신도+충효일치 의 유교도덕으로서 전국민에게 적용되었습니다. 신불 습합 할 수 있었던 것은, 신도 제사가, 불순한 상태(죄·사랑·사랑)로부터 청정한 상태(교류·설·청정)로 전환하는 행위, 불교 수행이, 망설임을 버리고, 깨달음을 얻는다 (무의 경지), 거기에서 되돌아가는 행위로, 모두, 감퇴기(불정·망설임)→가사·재생기(정화·깨달음)→증진기(청정·되돌아가기)의 이행이 공통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둘 다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5강·화/불황: 불교에서는 만물에…→생(생기, 재생기)→주(안주, 증진기→최성기)→이(이변, 최성기→감퇴기)→멸( 사멸, 가사기)→… 황금빛 벼 이삭은 감퇴기의 이변의 좋은 예입니다. 필자는 화와 거친 병존을 조용함과 움직임에 대응시키고 있지만 (p.102) 화가 정지하면 일본 문화의 정체를 「변화하는 것」이라고 하는 것과 모순되므로 혹은 거칠게도 변동으로 봐야 합니다. 기기신화에서는, 거칠어지는 스사노오(감퇴기)→하늘의 이와야도에 끌어당긴 아마테라스(가사·재생기)→나와 화해하는 아마테라스(증진기)·추방의 스사노오와, 흐름을 쫓지 않아 하지마. 게다가, 녹 (거친 녹 · 놀이) · 녹과, 우린 → 활발한, 감퇴기의 이변, 역경의 호전으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6강·표도와 변경:일본의 고대에는, 중심에서 변경으로, 도→동(아즈마)→정(히나)의 순서가 있어, 중앙(미야비)~지방(히나비) 사이의 하향· 상경이 기행문학의 주제가 되어, 중세에는, 특권계급의 영장에의 순례가 유행해, 근세에는, 그것이 서민에게도 보급되었습니다. 현세의 자택과 내세의 영장(가사·재생기)과의 왕래나, 복식 몽환능에서의 현세로부터 내세(가사·재생기)로의 장면 전환, 긴 여행과 쿠사안 생활(아마노 이와야도와 같은 당김 농장, 가사·재생기)의 반복은, 모두 우츠로이(변환)에 의한 순환성이라고 해도, 불우의 힐코·아와시마의 표박처에서의 후우도, 역경의 호전이므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7강·형·간·박자: 만물·만사는, 무상으로 유전해, 그 중에서 개인은 무력이므로, 적어도 집단을 영속시키려고 하고, 거기에는 시대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좋은 일을 남기고, 나쁜 사물을 버릴 필요가 있어, 일본에서는, 그것을 가제도에 의한 의사적 부모와 자식 관계에서의 직전으로 실행해, 이것은 황실·귀족·무사 뿐만이 아니라, 예도·무술 등도 채용했습니다. 그러한 것은, 아마 일가에서의 정형·유의등의, 단기적 고정과 장기적 유동의 병존이 가능하게 되는 데다가, 일족(가족의 집합체)의 전멸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예도·무술 등의 사이·박자도 마찬가지이며, 전체의 통일로 고정적으로 하지 않고, 부분의 조정으로 유동적이었습니다.

‐제8강·작은 물건:일본에는 경박 단소 뿐만이 아니라, 후기 구석기의 거대석창(미코시바 유적), 조몬 전기의 거대석 도끼(가미가타 유적)·조몬 중기의 거대석봉, 야요이 종말 기의 거대 동경 (평원 유적) · 거대 동 鐸, 고분 중기의 거대 전방 후원 분, 헤이안기의 이즈모 타이샤, 오층탑 · 대불 · 천수각 · 무장 장식 투구 등 실용을 일탈한 중후 장대한 것도 있습니다. 중후장대는, 증진기의 확대+안주로, 경박 단소는, 감퇴기의 축소+이변이라고 보면, 순환성의 일부라고 해도, 경박 단소는, 중후 장대에는 없는 특이성이 담겨지는 경향에 있습니다.

- 제9강·마네비/마나비:일본의 배움은, 가르침을 마네(흉내)하는 긍정적인 수호→부정적인 파→그 가르침으로부터 일탈한 떼의 3단계가 설정되어, 읽고 쓰기·솔로반등의 형태 를 본본·견본으로 하는, 수호의 증진기만이 강조되기 쉽지만, 히에이산으로부터 수많은 신불교가 파생한 것처럼, 거기로부터 파의 감퇴기를 경과해, 이의 가사·재생기 이후에 라고 발전하지 않으면 영속할 수 없고, 수→파→리도 순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10강·어떤 주: 중국의 역대황제는 덕(도덕)의 계승을 절대로 했으므로, 실정하면 서민이 반란하고, 왕조교대가 반복되고, 일본의 역대천황은 피 (혈통)의 계승을 절대로 했습니다만, 실정하면 책임 추궁되기 때문에, 곧 제사에 특화해, 때때로 최고 실력자에게 정치를 위탁, 이윽고 조정(공가)과 막부(무가)의 쌍대성 가 확립되어, 귀족·무사 등은, 평시의 세습과 임시의 양자로 직능을 계승해, 일가·일족을 가제도로 존속시키려고 했습니다. 가제도 존속에는, 우선, 조상 숭경→부모 타카유키→자손 요에이와, 가계의 연속성이 소중해지고, 이 3개가 유교도덕의 효로로, 다음에, 사회에서의 주종·군신간 등에서는, 유교도덕의 충(온은과 봉공)이 필요하고, 가제도 존속을 위해, 충효 일치(복종)나 충효 분리(이반·모반)를 선택했습니다만, 메이지 유신으로부터 서서히 형성된 일대 가족 국가관이 근거가 되어, 앞의 대전에서는, 천황에의 절대 충성이 강요되었습니다. 일본이 가제도에 고집한 것은, 개인의 필사 필멸의 문제를, 집단의 영구 불사 불멸로 해결하려고 했기 때문에, 가계의 순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11강·쓰고 후:…→생→주→이→멸→…의 순환 중, 안주에서 이변으로의 3단계를 설정하면, 진→행→풀의 표현이 적절하고, 서체에서는 , 楷書→行書→草書, 조형 표현에서는, 서원→수기(스키)→경기(가부키)가 되고, 가부키는 수호→파→리 안에서는, 당초의 바사라나 경기자・카부키 춤은, 무너진 아름다움 시사이므로 파, 유녀→청중→노로 가부키와 변천하는 가운데 떼가 되어, 현재는, 고전 예능의 수호와 슈퍼 가부키의 파가 병존해, 이들도 순환성의 일부로 다양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12강·시와 정원:정원은 원래, 불정한 상태를 청정한 상태로 전환·정화하는 장소에서, 신정에서는, 신을 맞이해 제사(정화)해 보내, 아침정(조정)에서는, 정치의 문제를 해결(정화)하고, 사이바에서는, 장례로 사사를 제거(정화), 오쿠스에서는, 재판으로 죄를 벌해(정화), 시정(시장)에서는, 거룩한 신불이나 천황도 라고 속이 아닌 하즐레의 땅에서, 물건에 옮겨간 사람의 영력을 제거(정화)해, 상품과 화폐를 교환합니다. 이것들은, 감퇴기→가사·재생기→증진기의 이행이므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불에의 은행·분전에 의한 혜택이나, 화폐·지폐에 의한 상품은, 모두 혜택으로, 영력을 좌우하기 위한 지불입니다. 덧붙여서, 헤이 조쿄의 동서시는, 정오에 열려, 일의 입전에 닫고, 하루로 태양의 최대 성기→감퇴기인 한편, 조정에서의 정무는, 일출전에 출근, 정오에 귀가해, 1 날로 태양의 증진기→최성기로, 시간대를 구분하고 있었던 것처럼 보입니다.

‐제13강·나리후리 가마우: 나리후리(완성·형태)는, 2항의 사이를 진자처럼 흔들리는 “형식”(바람·양·류·식·파, p.271-273)로, ​​거기 에 대한 "사상"은 없습니다. 멋(상방의 수이·에도의 이키)는, 소극적·부정적인 상태를 적극적·긍정적으로 전환·세련화한 기분을 말해, 이것은 역경의 호전이므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14강·뉴스와 코미디: 일본에서의 시가·연극의 계통은, 예술적인 풍아(와카·연가·하이쿠, 노)와, 유희적인 미끄럼(아키사·광가·가와야나기, 광언)이 병존해 , 풍아와 미끄럼에는, 그것 그것, 와카·연가에서는, 유심체(감본중)와 무심체(밤본중), 하이쿠에서는, 사문문파와 담림파가 있어, 쌍방은,…→생→주→다르다 →멸→…의 순환 중, 각각 안주·이변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정보 전달도 풍아와 미끄럼과 유사하고 정당과 풍자의 병존으로 이들을 진→행→풀에 할당하면 현대 뉴스→와이드쇼→버라이어티가 되어 순환성의 일부로 다양성이라 할 수 있다. 합니다.

- 제15강·경세제민: “세상을 거쳐 백성을 끝내는”이란 경제가 아니라 정치로, 일본의 정치는 고대부터 근세까지 중추가 세습의 때문에, 개인의 무능을 전제로 한 집단의 합의제로, 유능하면 일시 독재제가 되어, 실제로는, 그 중간이므로 아야후야에서, 근대에, 중추가 연장자가 되어도, 무능 전제의 합의 제가 답습되었기 때문에 위 사람은 아래 사람과의 합이 필요했습니다. 게다가 천황이, 태정관→섭정・관백→상황→장군과 정치를 위탁해 갔기 때문에, 조직도 섭관가・원청・막부와 증식・병존해, 최고 권위자의 천황은, 만세일계로 불변 부동, 최고 권력자를 위해 정자는 정권 교체로 변화 변동과 쌍대성이 확립되었으므로 후세에 왕정 복고를 실현할 수 있었습니다. 한편 중국의 정치는 고대부터 근세까지 최고 권위 겸 권력자의 황제에 의한 유능 전제의 독재제로 황제는 측근의 의견을 선보이거나 논의하기도 하지만 최종 결정은 실정하면 실각과 왕조교대로 이어지는 황제입니다. 이상으로부터 중국의 정치는 일원적·고정적이고 책임이 명확하기 때문에 인간의 작위에 (구축과 해체의 반복) 일본의 정치는 다원적·유동적이고 책임이 모호하기 때문에 자연 마침내 보인다.

- 제16강·모습을 편집한다: 서양 유래의 박물관적·백과사전적인 편집은, 일본에는 중국 경유로, 근세에 이입되어 근대에 정착했습니다만, 이것은 불변 부동으로 「죽음 '이므로 현대에는 어떻게 변화 변동을 잘라내는지 (살아남을 것인가) '생'적인 편집을 추구하고있는 것 같습니다. 일본의 역사를 되돌아 보면, 와카·하이쿠·일본화·일본 건축 등으로, 이미 실행되고 있어, 물건은 필사 필멸이므로, 우츠로이(옮겨, 비녀·빛나는)를 표현하는 것으로, 마음(모습)의 영구 불사 불멸이 희망되고 있습니다.
5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 되는
남용 신고  퍼머링크
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un 20, 2020
4 out of five stars

古代社会は単純な対称性だけでは説明できない

 本書は、伊勢神宮の創祀、出雲大社の創建、天皇と政権の存続と、それら…


See full review

伊勢神宮と出雲大社 「日本」と「天皇」の誕生
(講談社学術文庫)
3.6 out of five stars28

고객 리뷰
히라
별 5개 중 4.0개 고대 사회는 단순한 대칭성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2020년 6월 20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본서는 이세진구의 창사, 이즈모타이샤의 창건, 천황과 정권의 존속과 그 관계성을 고찰하고 있어 매우 참고가 되었습니다.
 다만 이세진구와 이즈모타이샤를 아사히와 석양, 동방과 서방, 태양과 용사, 육지와 바다, 양과 그늘, 현세와 타계와 <내부>와 <외부>와 같은 대조성으로 (p.6,166) ), 고대의 천황도, <제사왕>과 <세속왕>등의 대조성으로, 설명하려고 하고 있습니다만 (p.104), 그렇게 단순화하면, 실태와 다소 엇갈리는 것은 아닐까요.

 우선, 이즈모타이샤는, 사격이라면, 천무계 천황의 나라기(8세기)에는 관사, 천지계 천황의 헤이안 초기(798년)부터 관폐대사로, 「연희식」신명장( 927년)에서 메이신타이샤이므로, 헤이안 전기(9세기)의 청화천황(56대)+후지와라 요시히로(전반 8년 태정 대신·후반 6년 섭정)의 시대에, <외부>라고는 할 수 없고, 아직 <내부>입니다.
 정확하게는, 헤이안 중기(10세기)의 주작 천황(61대)의 시대부터, 중앙 집권을 단념해, 율령제가 형해화해 가는 가운데, 천황은, 기내의 유력 신사 이외를 비호하지 않게 되어, 이것 이후가 이즈모타이샤의 <외부>입니다.
 그렇게 되면, <외부>로서의 이즈모타이샤에서, <외부>로서의 섭관 정치로 이행한 것은, 청화+양방의 시대의 섭관 정치의 출현기가 아니고, 묘우·무라카미의 2천황(60·62대 )의 연희·천력의 치료 전후의, 섭관 정치가 본격화한 시기에 엇갈립니다.
 한편, 황조신이 제신의 이세신궁은, 메이지 천황(122대)까지, 천황이 직접 참배한 기록이 없고(지통·성무의 2천황/41·45대는 이세 행행), 나라기~남북조 기에서의 미혼 여성 황족(사이왕)의 파견도, 신궁으로부터 약 10 km의 거리에 있는 사이궁에서 거의 생활해, 연 3도(월차 축제 6·12월+신조제 9월)만의 참배입니다.
 즉, 사이왕은, 이세진구에 상주하지 않고(단, 헤이안 전기의 15년간만, 근방의 이궁원에서 일시 생활했습니다), 제사도 일체 주재하지 않기 때문에, 신령의 의대(보다는, 지팡이 /미츠에시로, p.101)라고 하는 것은 일설에 지나지 않고, 이세진구는, 황실과 가깝고 먼, 미묘한 <내부>입니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헤이안쿄의 수호신이 제신의 상하 가모신사는, 헤이안 초기~가마쿠라 전기에 미혼 여성 황족(사이인)이 파견되어, 사이원은, 근방의 자야원에서 생활해, 가모제를 주재, 헤이안 중기~가마쿠라 말기에 천황행행도 있었기 때문에(주작이 천황 최초의 신사행행, 직접참배하지 않고 대리참배), 이세진구보다 <내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부터, 단절한 천무계와 후계한 천지계로, 신사의 취급이 변화하고 있어, 그것은, 후술의 지적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다음에, 고대의 천황은, 나라기의 천무계가, 비교적 신격화되고 있었던 한편(<초월 신성왕>), 헤이안기의 천지계가, 비교적 세속화(신성성이 희박화) 되어 하고 있었던 것을, 전제로 하면, 알기 쉽게 되는 것이 아닐까요.
 텐부 천황(40대)은 임신의 난(672년)으로 야마토 정권의 중추의 유력 호족을 일소하고, 후지와라 부비 등이 당시 14세에 관여하지 않고, 황실과 일반 호족에 격차가 할 수 있어 부비등이 대두해도, 아들들의 후지와라 4 형제 전원이 역병으로 급사했기 때문에(737년), 대부분이 황실 우세로, 천무계 천황은, 비교적 신격화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비교적 신격화 된 천황이기 때문에 세속적인 정치로 실패해도 책임 추궁되지 않고 유력자도별로 없었기 때문에 황친 정치를 실현할 수 있고 (제정 일치) 신성하기 때문에 부상 경시되었습니다.
 게다가, 비교적 신격화한 천황이기 때문에, 전국의 유력 신사의 관사에 폐허를 가져오게 해, 이세 신궁에는, 사이왕 파견과 식년 천궁으로, 이즈모타이샤에는, 이즈모국조 임명시의 신가사(카무요모토)의 주상 의례로, 각각 천상의 신들(천신)과 지상의 신들(나라츠신)의 대표로서 특별시했습니다.
 한편, 천무의 현손·미혼 여성의 칭덕 천황(48대, 46대·효겸)은, 천무계의 정적을 지나치게 배제해, 62세·78세·67세의 3명 밖에 후계 후보자가 하지 않고, 최청년의 천지의 손자·광인 천황(49대, 어머니는 기씨)을, 중계로 즉위시켜(770년), 천무계의 이노우에우치 친왕을 황후, 2명의 아들·타도 친왕을 황태자로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황후 황태자 모두 폐위시켜(772년) 로 즉위시켰기 ​​때문에, 천지계 천황은, 비교적 세속화했습니다 (천무계 천황은, 어머니가 황족이나 후지와라씨로 혈통이 좋다).
 그래서 중국의 왕조교대를 의식하고 계무천황의 즉위를 신유년(781년, 혁명), 나가오카교 천도를 고시년(784년, 혁령), 헤이안교 천도를 신유일(794년 10월 22일) 일)로 하거나(사위/신설설), 백제왕씨의 본거지·가와치국교야에서, 중국 유래의 교사 제천의 의를 집행했습니다(785년 11월 10일·787년 11월 5일).
 계무천황 이후에도 중국풍의 의례를 도입하여 비교적 세속화된 천황이기 때문에 세속적인 정치로 실패하면 유력자에게 책임 추궁되기 때문에 천지계 천황은 태정관제로부터 섭관정치→원정 →무가 정치와 위탁해(제정 분리), 종교적인 제사에 특화해 가, 정권 교체 있어·왕조 교체 없는 일본이 확립되었습니다.
 또, 비교적 세속화된 천황이기 때문에 신성이 아니기 때문에, 부상이 중시되어 중앙(신기관) 관할의 관폐사와 지방(국사) 관할의 국폐사로 구분해(798년 9월 7일) , 폐허의 범위를 제한하여 다소 합리화했습니다.
 헤이안 중기(10세기)에 중앙집권을 포기하고, 율령제가 형태해 가면, 천황은, 기내의 유력사사에 행행해, 케갈레를 하라이(직접 참배하지 않고 대리 참배), 신직을 오는 입장으로부터 , 신사에 가는 입장으로 역전하고 있습니다.
 조정은 국사로부터 일정액을 징수할 뿐이며, 귀족은 실질상의 직무가 경감되었기 때문에 명목상의 의례(유직고실)를 중시하고, 부상도 과민해지고, 피나 죽음으로 부상 쉬운 안보·치안 유지 등을, 무사에게 위탁했습니다.
 천황의 사후의 칭호도, 무라카미(62대)까지 「천황」이었던 것이, 냉천(63대)으로부터 「원」이 되어, 원은 당초, 상황의 생전의 존칭이었습니다만, 천황이나, 출가 한 황후·황태후·태황태후 등, 섭관가의 사후에도, 원을 사용하게 되었으므로, 헤이안 중기의 천황은, 헤이안 전기보다 세속화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케가레의 기피는 정관기(어린 즉위의 청화·양성의 2천황/56·57대의 시대) 이후로 되어, 천지계 천황 재위 중의 사냥 회수는, 타케부 134회, 헤이조(51 대) 1회, 사가 72회, 준화 12회, 인명 28회, 문덕·청화·양성 0회, 광효 3회, 우타 2회, 묘우(60대) 3회와 정관기 전후로 격감 하고 있습니다.
 덧붙여서, 문덕·청화·양성·광효의 4천황(55~58대)의 시대는 지진·분화·기근·역병 등이 다발하고 있어 신불제사가 필요했던 것도 영향을 주고 있어 생강.
 이와 같이 천무계는 비교적 신격화된 천황으로 유력 귀족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제사도 정치도 둘 다 할 수 있었지만 천지계는 비교적 세속화된 천황으로 유력귀족이 그러므로 황실 유지를 위해 실패할 수 없고, 곧 정치에 관여하지 않게 되어 실패가 없는 제사만 되었다고 해서는 안 되는가?
 다만, 사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고, 천황은, 정치에 자주 관여하는 것도 보이고, 섭관 정치·원정의 <내부> 위탁이라고, 섭관을 설치하지 않고 친정으로, 관여할 수 있었습니다만, 무가 정치 (장군·막부)에서의 <외부> 위탁이라면, 관여할 수 없게 되어, 제사로 순화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세습으로 일가를 존속시키려고 하기 때문에(천황은 「혈」을, 유력자는 「집」의 계승을 최우선), 그 장이 무능하면, 명목상의 권위만을 가져, 장의 지명자에게 실질상의 권력을 갖게 해, 그 장이 유능하면, 권위와 권력을 겸비하는, 양쪽 대응할 수 있는 체제로 했습니다.
 성덕 태자작으로 여겨지는 17조 헌법 1조에는, 「화를 소중히 하고, 논쟁하지 않는 것을 근본으로 해라」 사물의 도리가 자연스럽게 통한다고 하고, 위 사람이 아래 사람과의 「화」를 채용하면 합의적, 거부하면 독재적이 되고, 「화」의 채부가 일본 조직의 본질 입니다.
 따라서 고대의 천황을 <제사왕·종교왕>이나 <세속왕·무력왕> 등으로 명확화할 수 없어 애매한 것이 실정으로 섭관정치에서의 어린 천황이 <제사왕>이었다 의지는 의문인데다, 왜의 오왕의 무도, 무력으로 평정한 증거가 없고, 남조·송조 공시의 위 표문만으로, <무력왕>이라고 하는 것도 졸속은 아닐까요.
 일본의 정치는, 태정 관제→섭관 정치→원정→무가 정치로 이행해, 반다제(공지 공민)→장원제→봉건제와 토지 경영이 바뀌어도, 막말까지, 율령제·태정 관제를 남기고, 원정이 되어도 섭관가와 섭정·관백을 남기고, 무가 정치가 되어도 원정·공가(귀족)를 남기고, 중심 이동·다극 병존이 특징입니다.
 섭정·관백은, 어머니의 가족(외척)이, 원정은, 상황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치텐의 군)가, 천황에 관여해, 정치면과 제사면의 기득 권익을 분배하게 되어, 벌써 정무를 무가에게 위탁하고 있으면, 천황과 아버지·모방의 3자가, 의례·제사장 등을 분배하게 됩니다.
 그리고 <외부>의 장군도 세습으로 일가를 존속시키려고 초기 장군은 유능하기 때문에 권위와 권력을 겸비하지만, 이윽고 무능해지면 명목상의 권위만을 갖고 장군을 보좌하는 집권(가마쿠라 막부)·관령(무로마치 막부)·노나카(에도 막부) 등에, 실질상의 권력을 갖게 해, 양쪽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체제로 했습니다.
 따라서 위의 사람은 아래의 사람에게 실무를 도와주는 것으로, 형체화해 나가는 것이 통례로, 천황은 세속화했기 때문에 정치에 관여하면 책임 추궁되기 때문에 책임 없는 제사로 순화하는 것으로, 영속할 수 있었다고 해도, 상징 천황제도, 이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반대로, 나라기와 메이지기~쇼와 전기는, 천황이 신격화되어 있으면, 책임 추궁되지 않고, 제정 일치가 성립된다고 하는 논법이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천황의 신격화와 세속화를 다음과 같이 대체로 8·9·10세기의 3단계로 설정하면 알기 쉬워진다고 보고 있어 <외부>로서의 영외관의 활용 심지어 비교적 신격화된 천무계는 중앙의 문관을, 비교적 세속화한 천지계는 지방의 무관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대조적입니다.

○나라기(거의 8세기):천무계 천황=비교적 신격화
~~제정 일치~~
-42대·분무:다이호 율령의 제정, 영외관·나카노언(태정관의 구성원), 영외관·치타 정관사(태정 장관급의 지위)
-44대·원정: 영외관·안찰 사(아제치, 나라기는 국사감찰, 헤이안기는 대파조전 지휘) -45대·성무: 영외관·참의( 태정관
의 구성원)
는 동서가 무관계

○ 헤이안 전기(거의 9세기):천지계 천황=비교적 세속화
-49대·광인:영외관·내대신(구칭은 내신, 태정관의 구성원), 대조제에서의 유키다를 동국·주기다를 서국에 고정화
-50대·계무:제사면에서 사위설·교사 제천의 의 2회・정이 대장군, 영외관・감해유사(카게유시, 국사 인계 감독
) 개칭, 정치면에서 상황을 정무로부터 배제, 영외관·장인 머리(천황의 비서=장인소의 장), 영외관·검비 위사(경내의 경찰권+사법권), “내리식” 완성(칙선의식), ‘료운집’, ‘문화수려집’ 완성(훈선한 시집
)
하늘의 의(856년 11월 23일)
~~제정 분리
~~ '완성, 일대 한 번 오카미 보사의 첫 발견
-57대·양성: 영외관·압영사(오우류시, 지방 치안 유지
)
의 설치, '연희식' 완성, '고이마 와카집' 완성(칙 와카집 첫), 오가마 축제에서 유키다·주기다의 나라를 고정화(동쪽은 오미, 서쪽은 단바 또는 비중)

○헤이안 중기(거의 10세기):중앙 집권의 단념·율령제의 형태해화, 천지계 천황=요리 세속화
-61대·주작:천황 최초의 신사 행행 1사(가모), 영외관·추포사( 츠부시, 지방반란 진압) -62 대 ·
무라카미 : 세키시로 · 후지와라 타다히라가 유직 고실을 확립 호초, 신사 행행 3사(이시시미즈·가모· 히라노 )・고냉천:후지와라 도장・요리도리 부자의 섭관 정치(51년간)최성기 -71대・고산조:신사 행행 10사

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Mar 6, 2020
4 out of five stars

古墳前期の畿内は、政治的な中央ではなく、経済的(宗教的)な中心の表現…

 本書は、筆者の長年の古墳研究の集大成のようで、相当な分量なので、読…


See full review

前方後円墳とはなにか (中公叢書)
4.4 out of five stars5


8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an 12, 2020
4 out of five stars

古代史には、支配・上下の交流=タテの関係だけでなく、対等な交流・交易…

 これまでの古代史の学者達が、古墳期を取り扱った文章で、とても違和感…


See full review

鏡の古代史 (角川選書)
4.2 out of five stars15


11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Dec 8, 2019
4 out of five stars

当時の日本最先端の仏教思想の数々

 キリスト教・イスラム教等の教典は、数冊程度なので、すべての読破が、…


See full review

日本仏教 思想のあゆみ (講談社学術文庫)
4.3 out of five stars13

히라
별 5개 중 4.0개 당시 일본 최첨단 불교 사상의 여러 가지
2019년 12월 8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기독교·이슬람교 등의 교전은, 몇권 정도이므로, 모든 독파가, 가능한 한편, 불교의 교전은, 방대하기 때문에(예를 들면, 인도·중국·일본의 한역 불전의 총집 “다이쇼 신겨 대장경」은, 100권・각권 평균 1000페이지・1페이지 17자 채 29행 3단조입니다), 모든 독파가, 불능입니다.
 따라서 불교의 연구자들은 특히 전문 분야에 특화할 수밖에 없으며, 그 중 일부가 불교의 입문서를 집필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정리할 때는 모든 것을 망라 할 수 없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것으로 보이며, 어느 정도, 교전을 인용해, 어떻게, 정리하는지로, 특색을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본서는, 일본의 아스카기(성덕태자)·나라기(남도 육종 중, 산논종·호상종·화엄종·율종, 성실종은 산논종에 부속, 도사종은 호상종에 부속)· 헤이안기(최스미, 공해)·가마쿠라기(법연·친무·일편, 에이니시·도모토 선, 니치렌)의 불교 사상에 있어서, 교전의 인용을, 가장 중요시하면서, 해설하고 있습니다.
 즉, 일본 불교의 각 종파의, 고승의 교리가, 지면의 대부분이므로, 불교를 둘러싼 환경(자연·사회 환경의 변화로, 의식·사상이나, 조직·형식은, 변용합니다)이나, 신도· 유교 등과의 관계, 세속의 활동·근세의 동향 등은, 개요 정도가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본 불교의 역사를 대략 파악한 후 본서에서 고승들의 사상에 들어가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다만, 여기서 주의하고 싶은 것은, 이들이, 당시의 일본 최첨단의 불교 사상이므로, 출가 신자의 구석구석까지, 이해하고 있었다고는, 매우 상정할 수 없는 것으로, 하물며, 재가 신자까지, 침투하고 있다 없었다고, 추측할 수 있어 보다 평이한 말(방편)으로, 가르침을 설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5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Dec 7, 2019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日本人の社交性は、なぜ両極端なのかが、わかる本

 本書は、1972年刊行で、1967年刊行の『タテ社会の人間関係-単一社会…


See full review

適応の条件 (講談社現代新書)
4.4 out of five stars26


13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Nov 12, 2019
4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組織論の名著

本書は、日本の組織を、インド・ヨーロッパ・中国等の海外の組織と比較し…


See full review

タテ社会の人間関係 (講談社現代新書)
4.2 out of five stars278


28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Nov 12, 2019
2 out of five stars

仮説ではなく、憶測・妄想の数々

 「日本書紀」では、神武天皇(初代)の即位を、紀元前660年とする等、…


See full review

『日本書紀』だけが教える ヤマト王権のはじまり (扶桑社新書)
3.4 out of five stars13


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Nov 9, 2019
2 out of five stars

「和」の精神と、神話や八百万の神々を、結び付けるのには、無理がある

筆者は、高校留学をきっかけに、個人と共同体の関係性に興味をもち、自分…


See full review

日本は本当に「和の国」か
4.2 out of five stars21


1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Oct 22, 2019
3 out of five stars

日本人の少数派ばかり取り上げても、多数派の無宗教を説明できないのでは?

本書は、「日本人は本当に無宗教なのか」という問いに、

・《核となる宗教があって、その周辺に習俗が存在している時代があった(…


See full review

日本人は本当に無宗教なのか (924;924) (平凡社新書)
4.5 out of five stars9


10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Oct 6, 2019
2 out of five stars

筆者の用語は、抽象的なままなので、具体的に説明しないと、理解できない

 本書では、日本人・日本文化が特殊なのは、日本が、先進大国・中国から…


See full review

深層日本論 ―ヤマト少数民族という視座 (新潮新書)
3.1 out of five stars5


10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Sep 23, 2019
4 out of five stars

半分賛同・半分補足

 本書は、縄文人には、再生を希求する「思想」があるので、それを道具・…


See full review

縄文人の世界観
3.7 out of five stars18


8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Aug 27, 2019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葉隠」は、儒教的な「士道」の「思想」を、「形式」化しようとした書物…

 本書は、武士道を、中世以前の武士道(「葉隠」的武士道)+近世の武士…


See full review

武士道の逆襲 (講談社現代新書)
3.9 out of five stars27


7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Aug 23, 2019
4 out of five stars

日本の特色は本来、弱い思想なのに、強い思想が登場すると、ろくなことが…

 本書は、日本人の自意識の歴史を対象にしており、古代・中世には、「神…


See full review

「武国」日本: 自国意識とその罠 (894) (平凡社新書)
4.3 out of five stars4


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Aug 22, 2019
3 out of five stars

武士をみる際には、社会環境の変化により、主従関係の儒教内容が、改変さ…

 本書は、古代から近世までの武士と、近代の武士道が、取り上げられてい…


See full review

武士の日本史 (岩波新書)
3.7 out of five stars44


7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Aug 13, 2019
3 out of five stars

近世日本思想の本質は、上下関係の固定と安定で、上下関係は、儒教由来だ…

 本書は、題名から、江戸期の神道・仏教・儒教の3者が、おおむね同等に…


See full review

神道・儒教・仏教 (ちくま新書)
3.9 out of five stars18


11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Aug 12, 2019
3 out of five stars

儒教の大半(特に朱子学)は、統治者に都合のいい、時代錯誤の思想なので…

本書は、江戸期、明治・大正・昭和戦前・戦中期、昭和戦後期に、3区分し…


See full review

日本経営哲学史 (ちくま新書)
3.2 out of five stars7


3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Aug 5, 2019
3 out of five stars

人間だけは、思想の概念世界と、現実の感覚世界を、行き来できる生物である

 本書は、なぜ日本人が、無思想なのかを、探求しており、無思想とは、自…


See full review

無思想の発見 (ちくま新書)
4.1 out of five stars84


1 helpful vote


hirareviewed a product · Aug 2, 2019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創唱宗教」と「自然宗教」の区別が、あまりうまくいっていない

 本書は、日本人が、なぜ「個人的には無宗教だが、宗教心は大切だと思う…


See full review

日本人はなぜ無宗教なのか (ちくま新書)
4.3 out of five stars86


9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ul 31, 2019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入門書の次に読むことで、ヨリ分かりやすくなる本

 本書は、日本の神道・仏教・儒教・キリスト教等の変遷を、古代・中世・…


See full review

日本宗教史 (岩波新書)
4.2 out of five stars54


9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un 3, 2019
3 out of five stars

古墳時代の3~4世紀に、東西遠征・平定と、大型古墳造営の、両方が可能…

 本書は、記紀神話を活用し、古代国家の成立過程を探求しようとしていま…


See full review

「神話」から読み直す古代天皇史 (歴史新書y)
4.6 out of five stars4


2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Mar 20, 2019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筆者の主張を知りたければ、『邪馬台国への道』を読むべき!

 本書は、国立歴史博物館の研究グループが、炭素14年代測定法により、…


See full review

「邪馬台国=畿内説」「箸墓=卑弥呼の墓説」の虚妄を衝く!
(宝島社新書 296)
4.1 out of five stars16


4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Mar 15, 2019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原文の「別種」=訳文の「一種族」に疑問

 岩波文庫の『魏志倭人伝・他三篇』『旧唐書倭国伝日本伝・他二篇』に、…


See full review

倭国伝 全訳注 中国正史に描かれた日本 (講談社学術文庫)
4.2 out of five stars73


3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Mar 10, 2019
2 out of five stars

起源・発祥から消化・吸収へ、外来から土着への進展も必要なのでは?

 音楽業界のアーティストの初期のアルバムが、よい曲が多く、高いクオリ…


See full review

新書821伊勢と出雲 (平凡社新書)
3.2 out of five stars19


7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Mar 5, 2019
2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歴史利用による日本賞賛は、一種の宗教である

 日本古代史の研究本には、考古学中心と、文献学中心に、大別でき、考古…


See full review

古代日本「謎」の時代を解き明かす―神武天皇即位は紀元前70…
4.3 out of five stars43


63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Feb 21, 2019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広域外どうしで、古墳の規模を比較するのは、無意味では?

 筆者は、文献学を安直に利用せず、人がどう感じ・どう考えるかを原則と…


See full review

古墳とはなにか 認知考古学からみる古代 (角川選書)
4.3 out of five stars8


1 helpful vote


hirareviewed a product · Feb 16, 2019
2 out of five stars

古墳期の一元的・集権的な世界観から脱却せよ!

 本書のシリーズ②は、①が弥生期、③が飛鳥期なので、古墳期を範囲とし…


See full review

ヤマト王権〈シリーズ 日本古代史 2〉 (岩波新書)
4.1 out of five stars62



hirareviewed a product · Feb 11, 2019
2 out of five stars

経済連携していたところに、古墳文化が流行し、政治連合になったのでは?

 本書は、為政者の古墳から、政権の変遷を読み取ろうとしていますが、そ…


See full review

古代国家はいかに形成されたか 古墳とヤマト政権 (文春新書 36)
4 out of five stars29


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Feb 9, 2019
3 out of five stars

弥生期は、互酬・交易のヨコの関係と、支配のタテの関係の、はじまりである

 日本史で、飛鳥期以後は、政治の中心地を時代名とし、古墳期以前は、中…


See full review

農耕社会の成立〈シリーズ 日本古代史 1〉 (岩波新書)
4.3 out of five stars39


2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Feb 7, 2019
3 out of five stars

考古学者の、文献学を取り入れた推論に、注意せよ!

 本書は、考古学的見地から、水田稲作が開始される紀元前5世紀から(現…


See full review

王権誕生 日本の歴史02 (講談社学術文庫)
4.3 out of five stars20


9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Feb 6, 2019
2 out of five stars

古代史の学者達は、序列・集権のタテ関係を重視するあまり、対等・分権の…

 筆者は、考古学者なのに、本書の弥生期では、邪馬台国=畿内(大和)説…


See full review

古代国家はいつ成立したか (岩波新書)
3.8 out of five stars36


9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an 28, 2019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弥生期の先行的な先進文化の摂取と、総体的な流れを追うことに、特化した本

 本書は、弥生期の開始が、紀元前5世紀から紀元前10世紀へと早期化し…


See full review

〈新〉弥生時代: 五〇〇年早かった水田稲作
(歴史文化ライブラリー)
3.7 out of five stars11


1 helpful vote


hirareviewed a product · Jan 26, 2019
4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認知考古学での推論は、分権的で自発的な対象者のみに、適用すべきでは?

 本書は、日本列島の旧石器・縄文・弥生・古墳期の無文字社会4万年間の…


See full review

旧石器・縄文・弥生・古墳時代 列島創世記 (全集 日本の歴史 1)
4.2 out of five stars39


17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an 20, 2019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弥生時代は難解だ

 古代以前の日本史において、縄文時代は、草創期・早期・前期・中期・後…


See full review

弥生時代の歴史 (講談社現代新書)
4.2 out of five stars50


11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Dec 29, 2018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史料がわずかしかない日本古代史で、新説か既説かは、そんなに大事?

 筆者は、近代のアジア太平洋戦争で、日本が大敗した後、GHQに占領さ…


See full review

天智朝と東アジア 唐の支配から律令国家へ (NHKブックス)
3.7 out of five stars28


8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Dec 28, 2018
2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朝鮮文化的な見方と日本文化的な見方

 本書は、「日本古代史と朝鮮」の続編で、前作は、概論、今作は、各論と…


See full review

古代朝鮮と日本文化 (講談社学術文庫)
3.6 out of five stars18


12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Dec 28, 2018
2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日本人と朝鮮人の区別は、否定的なのに、高句麗系・百済系・新羅系の区別…

 本書は、巧妙で、それは、韓国出身の筆者が、日本列島の歴史・文化の起…


See full review

日本古代史と朝鮮 (講談社学術文庫)
3.8 out of five stars27


1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Aug 24, 2018
3 out of five stars

国際感覚がなければ、日本古代史は理解できない

 4世紀初めから、中国大陸の北半分が戦乱で弱体化し(五胡十六国時代)…


See full review

倭の五王 - 王位継承と五世紀の東アジア (中公新書)
4.2 out of five stars154


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Aug 6, 2018
3 out of five starsVerified Purchase

儒教的な「制度」ばかりが取り上げられ、儒教的な「思想」が取り上げられ…

 本書では、天皇の稲作・皇后の養蚕、天皇陵の認定・整備、宮中祭祀、天…


See full review

天皇と儒教思想 伝統はいかに創られたのか? (光文社新書)
3.7 out of five stars27


34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ul 1, 2018
2 out of five stars

結論ありきの、こじつけ的な解釈が横行

 本書は、『古代史の謎は「海路」で解ける-卑弥呼や「倭の五王」の海に…


See full review

古代史の謎は「鉄」で解ける 前方後円墳や「倭国大乱」の実像
(PHP新書)
3.7 out of five stars48


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un 26, 2018
2 out of five stars

自説を主張したいなら、まともな根拠を提示せよ

 本書は、日本の主に、弥生後期から飛鳥期までの、海・川等の水上での人…


See full review

古代史の謎は「海路」で解ける
卑弥呼や「倭の五王」の海に漕ぎ出す (PHP新書)
3.6 out of five stars60


4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un 20, 2018
4 out of five stars

日本固有とされている神道や神社を通じて、日本固有とは何か、問い直すき…

 本書は、『原始の神社をもとめて-日本・琉球・済州島』の続編といえ、…


See full review

新書704神社の起源と古代朝鮮 (平凡社新書)
3.4 out of five stars30


15 helpful votes


hirareviewed a product · Jun 19, 2018
3 out of five stars

祭祀的な原始神道と、堂舎的な神社(古代神道)を、区別すべき

 本書では、韓国・済州島(元・耽羅/たんら国)の堂(タン)、琉球諸島…


See full review

新書488原始の神社をもとめて (平凡社新書)
3.9 out of five stars13


11 helpful votes


====


일본 문화의 핵심 「재팬 스타일」을 읽는다 (고단샤 현대 신서)
~에 의해마츠오카 쇼고
별 5개 중 4.2개
5점 만점에 4.2점


히라
별 5개 중 4.0개 일본에는, 순환성과 다양성의 「형식」으로, 영원을 희구해, 역경을 호전시키려는 「사상」밖에 없는 것은?
2020년 9월 3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본서는, 일본 문화의 진골장·정체·핵심·특색을, 새로운 단면에서 해설하려고(p.5), 이하의 16강을 설정해, 일본 ​​문화는, 하이컨텍스트로, 보기, 이해하기 어렵다고 보이는 문맥이나 표현이야말로 진골장이 있어(p.6), 한결같이 다양하고, 미묘하고 매우 복잡하지만 계연(세연, 명확)이라고 합니다(p.343).
 다만, 필자는 일본이라는 나라를 정체성(주체적인 일관성)으로 파악할 수 없다. 예, "변화의 경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합니다 (p.7).
 본서와 같이 일본문화론을 해설하는데 키워드를 열거하는 선례가 자주 보이며, 예를 들어 도널드 킨의 '일본인의 미의식'에서는 '암시 또는 여정' 규칙성」 「간결」 「호로비 용이」의 4개의 미적 개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킨은 '과장', '규칙성', '풍요', '지속성'의 4가지 반대 개념도 엉망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이 책에서도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즉 어느 쪽인가를 잘라내는 것이 아니라, 굳이 「두가지의 관계」에 주목하려고 하는 태도가 있다고 합니다(p.334).
 즉, 일본 문화는, 서양과 같은 이항 대립이 아니고, 이항 동체(p.334)·주객 미분(p.337)·쌍대성(듀얼리티=나오거나 할 수 있다, p.46), 거래·왕래·왕환·듀얼로 리버스인 출입(p.68)이 특질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필자는, 일본 문화의 쌍대성 등을, 「님」(양식·양태·양상, p. 는 본질이 있으며, 그것은 생물과 자연의 섭리와 동화하고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그 섭리는 주로 다음 두 가지입니다.

・시간적인 자연 순환성
 우선, 인간은 자연계를, 1일의…→아침→낮→저녁→밤→…, 1년의→봄→여름→가을→겨울→…등과 같이, 대체로 4구분 하고…→증진기(아침·봄)→최성기(낮·여름)→감퇴기(저녁·가을)→가사·재생기(밤·겨울)→…의 영원한 순환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만물·만사(제행)는, 무상으로 유전합니다만, 인간을 비롯한 생물은, 필사 필멸로, 대체로 탄생기→증진기→최성기→감퇴기→사멸기로 이행하기 때문에 , 인간의 사고로, 사멸기와 탄생기를 연결해, 거기를 가사·재생기로 간주해, 그것을 반복하면, 영구 불사 불멸이 될 수 있습니다.

・공간적인 생물다양성
 다음에, 자연계에서는 다양한 생물이 공존하고, 구분・식물 연쇄 등으로, 생태계가 유지・영속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의 사람들도 다양한 사물을 병존시켜 적시 적재 적소에서 구분하여 사용하려고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안과 밖(토착과 도래, 조몬과 야요이, 화와 한=당·양·신·불· 유·길, 수도→동→정), 하늘과 땅(천신과 국신, 천황과 신민), 진·행·잔디(서체, 서원·수기·경기) 등 최저 이항이 필요 했다.
 만약, 한항만 있으면, 그 이상으로 발전성이 없어지면, 거기로부터 갑자기, 그 이외를 찾아내는 것은(생기), 상당히 곤란하고 대응이 늦고, 쇠망(사멸)을 기다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처음과 끝이 생긴다).
 그리고, 주의해야 할 것은, 예를 들면, 한문에서는, 한자 뿐만이 아니라, 쓸 때에 가타카나가, 와카에서는, 히라가나 뿐만이 아니라, 한자가, 병용되어 외래의 불교·유교도 일본화하는 등, 설명 에는 이항을 대비하여 취급합니다만, 실제로는, 한쪽의 단체안에 다른 쪽의 요소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일본 사람들은 혼돈한 세계의 불안 속에서 생활행위를 생물이나 자연의 섭리(시간적인 자연순환성·공간적인 생물다양성)과 동화함으로써 질서를 형성하고 영원을 희구함과 동시에 역경을 호전시켜 안심하려 온 것이 아닐까요.
 나카에 조민은, 「1년 유반」으로, 「우리 일본, 옛날보다 지금까지 철학 없음」이라고 합니다만, 일본은, 평상시의 합리적인 언동의 한계를, 비합리적인 「 형식으로 극복하려고 하는 것이 공통의 '사상'이었던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이 순환성과 다양성의 2개가 있으면, 변화 변동의 계기가 되어, 불변 부동을 회피할 수 있을 것 같고(정지=완전사의 징후), 2개를 바탕으로 16강을 봐 가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제1강·기둥을 세운다: 하나님은 기둥으로 세고, “고사기”의 천지 개간에서는, 타카기 매듭(산령)·신 매듭·하늘의 상립·국가의 상립 등, 최초의 7신이 생멸 그리고, 이자나기·이자나미의 부부 겸 형제 여동생 2신이, 오노고로 섬에서 하늘의 기둥을 세우고, 야신전을 세우고, 묶여 국생·신생 보았습니다. 지진제 등에서는 하나님을 맞이하는 결계를 만들기 위해 기둥을 세웁니다. 이러한 매듭·세우는, 생산을 의미하므로(가사·재생기),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2강·일한의 경계를 넘는다: 선정의 고산수·선승의 수묵화·초안에서의 와비차 등의 뺄셈은, 감퇴기나 가사·재생기의 표현으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해, 각각 이케 이즈미 식 정원 · 야마토 그림 · 서원 다실 + 당나라에 의한 차의 탕과 대비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공적 시설은 기와 지붕·토마마루·극채색의 한풍으로, 사적 시설은 분홍색 지붕·고층·백목조의 일본풍과 공사·화한의 병존은 다양성으로, 특권 계급의 그 사이 의 왕래는, 순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3강·이노리와 미노리 : 논 벼농사로, 예축의 기도·부스러기는 2월의 기년제로 가사·재생기, 묘요·모심은 증진기, 열매·볶음의 벼 깎기는 감퇴기, 11월의 신조제 는 가사·재생기로, 이 사이클이나, 그 외의 연중 행사는, 순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논 벼작은, 일단 마른 벼종도(가사기), 축축하면 발아(재생기)→생장(증진기·최성기)→결실(감퇴기)해, 연작 장해가 없기 때문에, 매년 반복할 수 있어, 벼혼이 영원히 계승된다고 믿을 수 있으므로 황위 계승의 거짓말 축제도 신조제와 비슷한 의식으로 함으로써 벼혼과 천황의 영혼을 겹쳐서 천황 개인이 사망해도 역대 천황의 영혼은 영원히 계승할 수 있다는 믿음이 이루어집니다. 덧붙여 신가마제가 저녁·아침의 2회, 대구제가 유키전·주기전의 2회 있는 것은, 감퇴기→가사·재생기→증진기로의 이행을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 제4강·신과 부처의 습합 : 일본은 다신다불의 나라로, 부처는 최초, 외래신으로서 취급되고, 고대·중세에는, 불주신종이 되어(본지 수상), 근세에 는 불교가 형체화되고, 교리밖에 없는 유교와 의식밖에 없는 신도가 결합, 주로 무사들 사이에서 보급되어(신유 일치), 근대에는 그것이 국가신도+충효일치 의 유교도덕으로서 전국민에게 적용되었습니다. 신불 습합 할 수 있었던 것은, 신도 제사가, 불순한 상태(죄·사랑·사랑)로부터 청정한 상태(교류·설·청정)로 전환하는 행위, 불교 수행이, 망설임을 버리고, 깨달음을 얻는다 (무의 경지), 거기에서 되돌아가는 행위로, 모두, 감퇴기(불정·망설임)→가사·재생기(정화·깨달음)→증진기(청정·되돌아가기)의 이행이 공통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둘 다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5강·화/불황: 불교에서는 만물에…→생(생기, 재생기)→주(안주, 증진기→최성기)→이(이변, 최성기→감퇴기)→멸( 사멸, 가사기)→… 황금빛 벼 이삭은 감퇴기의 이변의 좋은 예입니다. 필자는 화와 거친 병존을 조용함과 움직임에 대응시키고 있지만 (p.102) 화가 정지하면 일본 문화의 정체를 「변화하는 것」이라고 하는 것과 모순되므로 혹은 거칠게도 변동으로 봐야 합니다. 기기신화에서는, 거칠어지는 스사노오(감퇴기)→하늘의 이와야도에 끌어당긴 아마테라스(가사·재생기)→나와 화해하는 아마테라스(증진기)·추방의 스사노오와, 흐름을 쫓지 않아 하지마. 게다가, 녹 (거친 녹 · 놀이) · 녹과, 우린 → 활발한, 감퇴기의 이변, 역경의 호전으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6강·표도와 변경:일본의 고대에는, 중심에서 변경으로, 도→동(아즈마)→정(히나)의 순서가 있어, 중앙(미야비)~지방(히나비) 사이의 하향· 상경이 기행문학의 주제가 되어, 중세에는, 특권계급의 영장에의 순례가 유행해, 근세에는, 그것이 서민에게도 보급되었습니다. 현세의 자택과 내세의 영장(가사·재생기)과의 왕래나, 복식 몽환능에서의 현세로부터 내세(가사·재생기)로의 장면 전환, 긴 여행과 쿠사안 생활(아마노 이와야도와 같은 당김 농장, 가사·재생기)의 반복은, 모두 우츠로이(변환)에 의한 순환성이라고 해도, 불우의 힐코·아와시마의 표박처에서의 후우도, 역경의 호전이므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7강·형·간·박자: 만물·만사는, 무상으로 유전해, 그 중에서 개인은 무력이므로, 적어도 집단을 영속시키려고 하고, 거기에는 시대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좋은 일을 남기고, 나쁜 사물을 버릴 필요가 있어, 일본에서는, 그것을 가제도에 의한 의사적 부모와 자식 관계에서의 직전으로 실행해, 이것은 황실·귀족·무사 뿐만이 아니라, 예도·무술 등도 채용했습니다. 그러한 것은, 아마 일가에서의 정형·유의등의, 단기적 고정과 장기적 유동의 병존이 가능하게 되는 데다가, 일족(가족의 집합체)의 전멸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예도·무술 등의 사이·박자도 마찬가지이며, 전체의 통일로 고정적으로 하지 않고, 부분의 조정으로 유동적이었습니다.

‐제8강·작은 물건:일본에는 경박 단소 뿐만이 아니라, 후기 구석기의 거대석창(미코시바 유적), 조몬 전기의 거대석 도끼(가미가타 유적)·조몬 중기의 거대석봉, 야요이 종말 기의 거대 동경 (평원 유적) · 거대 동 鐸, 고분 중기의 거대 전방 후원 분, 헤이안기의 이즈모 타이샤, 오층탑 · 대불 · 천수각 · 무장 장식 투구 등 실용을 일탈한 중후 장대한 것도 있습니다. 중후장대는, 증진기의 확대+안주로, 경박 단소는, 감퇴기의 축소+이변이라고 보면, 순환성의 일부라고 해도, 경박 단소는, 중후 장대에는 없는 특이성이 담겨지는 경향에 있습니다.

- 제9강·마네비/마나비:일본의 배움은, 가르침을 마네(흉내)하는 긍정적인 수호→부정적인 파→그 가르침으로부터 일탈한 떼의 3단계가 설정되어, 읽고 쓰기·솔로반등의 형태 를 본본·견본으로 하는, 수호의 증진기만이 강조되기 쉽지만, 히에이산으로부터 수많은 신불교가 파생한 것처럼, 거기로부터 파의 감퇴기를 경과해, 이의 가사·재생기 이후에 라고 발전하지 않으면 영속할 수 없고, 수→파→리도 순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10강·어떤 주: 중국의 역대황제는 덕(도덕)의 계승을 절대로 했으므로, 실정하면 서민이 반란하고, 왕조교대가 반복되고, 일본의 역대천황은 피 (혈통)의 계승을 절대로 했습니다만, 실정하면 책임 추궁되기 때문에, 곧 제사에 특화해, 때때로 최고 실력자에게 정치를 위탁, 이윽고 조정(공가)과 막부(무가)의 쌍대성 가 확립되어, 귀족·무사 등은, 평시의 세습과 임시의 양자로 직능을 계승해, 일가·일족을 가제도로 존속시키려고 했습니다. 가제도 존속에는, 우선, 조상 숭경→부모 타카유키→자손 요에이와, 가계의 연속성이 소중해지고, 이 3개가 유교도덕의 효로로, 다음에, 사회에서의 주종·군신간 등에서는, 유교도덕의 충(온은과 봉공)이 필요하고, 가제도 존속을 위해, 충효 일치(복종)나 충효 분리(이반·모반)를 선택했습니다만, 메이지 유신으로부터 서서히 형성된 일대 가족 국가관이 근거가 되어, 앞의 대전에서는, 천황에의 절대 충성이 강요되었습니다. 일본이 가제도에 고집한 것은, 개인의 필사 필멸의 문제를, 집단의 영구 불사 불멸로 해결하려고 했기 때문에, 가계의 순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11강·쓰고 후:…→생→주→이→멸→…의 순환 중, 안주에서 이변으로의 3단계를 설정하면, 진→행→풀의 표현이 적절하고, 서체에서는 , 楷書→行書→草書, 조형 표현에서는, 서원→수기(스키)→경기(가부키)가 되고, 가부키는 수호→파→리 안에서는, 당초의 바사라나 경기자·카부키 춤은, 무너진 아름다움 시사이므로 파, 유녀→청중→노로 가부키와 변천하는 가운데 떼가 되어, 현재는, 고전 예능의 수호와 슈퍼 가부키의 파가 병존해, 이들도 순환성의 일부로 다양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12강·시와 정원:정원은 원래, 불정한 상태를 청정한 상태로 전환·정화하는 장소에서, 신정에서는, 신을 맞이해 제사(정화)해 보내, 아침정(조정)에서는, 정치의 문제를 해결(정화)하고, 사이바에서는, 장례로 사사를 제거(정화), 오쿠스에서는, 재판으로 죄를 벌해(정화), 시정(시장)에서는, 거룩한 신불이나 천황도 라고 속이 아닌 하즐레의 땅에서, 물건에 옮겨간 사람의 영력을 제거(정화)해, 상품과 화폐를 교환합니다. 이것들은, 감퇴기→가사·재생기→증진기의 이행이므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불에의 은행·분전에 의한 혜택이나, 화폐·지폐에 의한 상품은, 모두 혜택으로, 영력을 좌우하기 위한 지불입니다. 덧붙여서, 헤이 조쿄의 동서시는, 정오에 열려, 일의 입전에 닫고, 하루로 태양의 최대 성기→감퇴기인 한편, 조정에서의 정무는, 일출전에 출근, 정오에 귀가해, 1 날로 태양의 증진기→최성기로, 시간대를 구분하고 있었던 것처럼 보입니다.

‐제13강·나리후리 가마우: 나리후리(완성·형태)는, 2항의 사이를 진자처럼 흔들리는 “형식”(바람·양·류·식·파, p.271-273)로, ​​거기 에 대한 "사상"은 없습니다. 멋(상방의 수이·에도의 이키)는, 소극적·부정적인 상태를 적극적·긍정적으로 전환·세련화한 기분을 말해, 이것은 역경의 호전이므로, 순환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14강·뉴스와 코미디: 일본에서의 시가·연극의 계통은, 예술적인 풍아(와카·연가·하이쿠, 노)와, 유희적인 미끄럼(아키사·광가·가와야나기, 광언)이 병존해 , 풍아와 미끄럼에는, 그것 그것, 와카·연가에서는, 유심체(감본중)와 무심체(밤본중), 하이쿠에서는, 사문문파와 담림파가 있어, 쌍방은,…→생→주→다르다 →멸→…의 순환 중, 각각 안주·이변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정보 전달도 풍아와 미끄럼과 유사하고 정당과 풍자의 병존으로 이들을 진→행→풀에 할당하면 현대 뉴스→와이드쇼→버라이어티가 되어 순환성의 일부로 다양성이라 할 수 있다. 합니다.

- 제15강·경세제민: “세상을 거쳐 백성을 끝내는”이란 경제가 아니라 정치로, 일본의 정치는 고대부터 근세까지 중추가 세습의 때문에, 개인의 무능을 전제로 한 집단의 합의제로, 유능하면 일시 독재제가 되어, 실제로는, 그 중간이므로 아야후야에서, 근대에, 중추가 연장자가 되어도, 무능 전제의 합의 제가 답습되었기 때문에 위 사람은 아래 사람과의 합이 필요했습니다. 게다가 천황이, 태정관→섭정・관백→상황→장군과 정치를 위탁해 갔기 때문에, 조직도 섭관가・원청・막부와 증식・병존해, 최고 권위자의 천황은, 만세일계로 불변 부동, 최고 권력자를 위해 정자는 정권 교체로 변화 변동과 쌍대성이 확립되었으므로 후세에 왕정 복고를 실현할 수 있었습니다. 한편 중국의 정치는 고대부터 근세까지 최고 권위 겸 권력자의 황제에 의한 유능 전제의 독재제로 황제는 측근의 의견을 선보이거나 논의하기도 하지만 최종 결정은 실정하면 실각과 왕조교대로 이어지는 황제입니다. 이상으로부터 중국의 정치는 일원적·고정적이고 책임이 명확하기 때문에 인간의 작위에 (구축과 해체의 반복) 일본의 정치는 다원적·유동적이고 책임이 모호하기 때문에 자연 마침내 보인다.

- 제16강·모습을 편집한다: 서양 유래의 박물관적·백과사전적인 편집은, 일본에는 중국 경유로, 근세에 이입되어 근대에 정착했습니다만, 이것은 불변 부동으로 「죽음 '이므로 현대에는 어떻게 변화 변동을 잘라내는지 (살아남을 것인가) '생'적인 편집을 추구하고있는 것 같습니다. 일본의 역사를 되돌아 보면, 와카·하이쿠·일본화·일본 건축 등으로, 이미 실행되고 있어, 물건은 필사 필멸이므로, 우츠로이(옮겨, 비녀·빛나는)를 표현하는 것으로, 마음(모습)의 영구 불사 불멸이 희망되고 있습니다.
5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 되는
남용 신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