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불교 |
---|
"아함"이란 산스크리트어 낱말 아가마(āgama)의 음역(音譯)으로 법장(法藏) 또는 전교(傳敎)라고 번역(飜譯)한다.[1] "아함"이란 문자 그대로 ""전승(傳承)" 또는 "전승(傳承)한 가르침"이며, 스승에서 제자로 계승한 것을 뜻한다.[1][2] 즉, 《아함경》은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성전(聖典)을 가리킨다.[1] 실제로는 고타마 붓다와 그 제자들의 언행록이며, 원시 불교 연구의 근본 자료다.[1]
후일 대승 불교가 일어나자 아함(阿含)은 소승(小乘)이라고 천칭(賤稱)되어 중국 등 전통적인 불교에서 그리 중시하지 않았으나 근래에 이르러 원전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팔리어 대장경의 《4부(四部)》와 한역 대장경의 《4아함(四阿含)》 비교 연구로 말미암아 원시 불교의 진의(眞意)를 구명하려는 경향이 생겨 뛰어난 성과를 얻었다.[1]
4아함[편집]
한역된 《4아함(四阿含)》은 다음의 《장아함(長阿含)》·《중아함(中阿含)》·《잡아함(雜阿含)》·《증일아함(增一阿含)》의 4종의 《아함경(阿含經)》을 가리킨다:[1][2]
- 《장아함(長阿含)》: 장경(長經) 30경을 포함하고 있다.
- 《중아함(中阿含)》: 길지도 짧지도 않은 222경을 포함하고 있다.
- 《잡아함(雜阿含)》: 소경(小經) 1362경을 포함하고 있다.
- 《증일아함(增一阿含)》: 서품(序品)을 제외한 473경이 1에서 11까지의 법의 수에 의하여 분류되어 있다.
《4아함》은 불교 교단이 부파로 분열되기 이전에 이미 주로 형식상으로 분류되어 대개 모든 부파가 그 원형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2] 현존하는 이들 한역(漢譯) 4아함의 각각은 서로 다른 부파에 의하여 전하여진 것들이다.[2]
4부[편집]
《4아함》에 상당하는 팔리어 문헌의 《4부(四部)》는 다음과 같다.[1]
《4부(四部)》에 《소부(小部)》 15경을 추가하여 《5부(五部)》라고 한다.
관련 서적[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각주[편집]
- ↑ 가나 다 라 마 바 사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아함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 가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경장,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아함경
이 기사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 |
불교 용어 아가마 | |
---|---|
파리어 | āgama |
산스크리트어 | āgama |
티베트어 | Lung [1] |
중국어 | 아함 |
일본어 | 아함 |
영어 | "sacred work" [2] , "scripture" [3] |
초기 불교 · 부파 불교 |
---|
아함경 (아곤쿄, 아곤교, 梵・巴: āgama , 아가마 )은 가장 오래된 불교 경 전집 ( 수트라 )이며, 석가의 말을 짙게 반영한 진정한 불교의 경전으로 여겨진다 . 한다. 아함 (アゴン)이란, 산스크리트 · 파리어 의 아가마 의 음사로, 「전승된 교설 , 그 집성」이라고 하는 의미이다 [1] . 아함의 동의어에는 부 (부, Nikāya)가 있어, 파리 불전 에서는 그것이 이용되고 있다 [1] .
석가 의 사후, 그 교설 은 가바나 와 아난 을 비롯한 제자들을 중심으로 몇 번의 결집 을 거쳐 정리되어 경장 (sutta-piṭaka, 스타 피타카)을 형성했다 [1] . 한편, 지켜야 할 규칙은 율조 (vinaya-piṭaka, 비나야 피타카)로 정리되었지만 [1] , 일반적으로 기원전 4세기 부터 기원전 1세기 에 걸쳐 서서히 작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경장은 각각 아함 (āgama, 아가마) 또는 부 (nikāya, 니카야)의 이름으로 불렸다 [1] .
이들 현존하는 것은 스리랑카 , 미얀마 , 태국 , 캄보디아 , 라오스 , 베트남 에 전해지고 있는 ' 파리어 불전 '과 거기에 상응하는 한역 경전 등이다 [1] . 한역에서는 장 · 중 · 잡 · 증일 의 사아함 이 있고, 대 정장 에서는 서두의 아함부 에 수록되어 있다. 파리 어역에서는 5부가 전해지고 있다. 양자는 모두 동일한 원전에서 번역된 것으로 일정한 대응관계가 있다.
구성 [ 편집 ]
파리어 불전의 경장과 한역 『아함경』의 주된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다.
- 「장부」(巴: dīgha-nikāya , 디가 니카야) : 『長阿함경』(じょう-) - 장편의 경전집. 총 30경.
- 「중부」(巴: majjhima-nikāya , 마지마 니카야) : 『中阿함경』 - 중편의 경전집. 총 222경.
- 「상응부」(巴: saṃyutta-nikāya , 산유타 니카야) : 『잡아함경 』(조우 -)- 단편의 경전집. 총 1362경.
- 「증지부」(巴: aṅguttara-nikāya , 앙타라라 니카야) : 『증일아함경』(조이츠-)- 법수별로 모아진 단편의 경전집. 총 473경을 총 11집으로 정리한 것.
- (“ 소부 ”(巴: khuddaka-nikāya , 쿠다카·니카야) - 『법구경』(호쿠쿄)나 『본 생경』(혼조 쿄) 등.한역에서는 상당문이 산재하지만, 주로 대장경 의 「본연부」에 상당한다.)
소지부파 [ 편집 ]
위의 한역 '사아함'은 분별 설부 ( 스리랑카 불교 대사파)에서 일괄적으로 계승되어 온 '파리 5부'와 달리 다른 부파의 '아함경'(아가마)을 모아 모아 이다. 오늘 생각되고 있는 각 『아함경』(아가마)의 소지부파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 .
역사 [ 편집 ]
중국에서도 원초적인 경전임을 깨닫고 있어 연구를 실시한 기록도 있지만, 대세를 차지하지 않았다. 천대 종 의 교상 판석 인 5시 8교에서는 '아함경'은 석가가 포교 초기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가장 평이하고 초보적인 가르침이라고 자리매김할 정도이다. 일본 에도 불교의 전파 초기부터 전해지고 있어, 야사무네 에서 연구 되고 있었다고 하는데 [ 5] 사람의 부영중기 에 재평가된 정도였다 [6] .
연구사 [ 편집 ]
'아함경'은 오히려 근대문헌학을 하는 유럽의 연구자들에 의해 정당한 평가를 받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함경은 일본의 불교자에게 있어서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지만, 유럽의 연구자에게 배운 메이지 이후는 일본에서도 활발히 연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하, 파리어의 연구사와 함께 약사를 적는다.
연구의 계기는, 영국 에 의한 세일론섬 지배(1815년에 영령 편입이 완료)이었다. 1824년, 영국인 선교사 크라프에 의해 파리어의 문법서가 출판 [7] 된 이래, 우선 파리어의 연구가 시작된다. 이것은 실론의 역사서 연구의 필요성 때문이었다. 프랑스 도 파리어 불교권인 태국 과 버마 에 세력을 늘리고 있으며, 1826년 뷔르누프 에 의한 파리어에 관한 학적 논문이 발표된다. 이윽고 이러한 연구의 성과로서, 1837년 실론 섬사 「마하반사」(대사)가 파리어 원전으로부터 터너 에 의해 영역되었다.
같은 시기에, 브라이언 호튼 호지슨 에 의해 1826년에 네팔 의 산스크리트 (이하, 범어) 불전이 소개되고 있어, 유럽은 불전에 범어에 의한 것과 파리어에 의한 것의 다른 것이 존재하는 것을 알았다. 이 두 신고를 둘러싸고 논쟁이 일어나 불전의 비교연구가 시작된다. 1852년에 상술한 뷔르누프는 『법화경』을 프랑스어 번역했지만, 이와 같이 파리어 불전의 연구는 범어의 연구와 깊은 관계를 가진 것이었다. 호지슨은 이윽고 범어불전이 고층이라는 자설을 철회했지만, 뷔르누프로 해도 범파불전의 전후관계에 대해서는 자료 부족으로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1855년 파우스벨 이 『법구경』의 파리어 원문과 라틴어 번역을 출판한 이후 원전 출판이 활발해졌고, 1881년에는 다람쥐 데이비즈 에 의해 파리 성전 협회 (Pāli Text Society)가 런던에 설립되어 파리어학자의 총력을 꼽아 조직적인 출판이 시작되게 된다. 오늘까지 이 협회의 출판이 파리어 불전 연구의 기초이다.
이미 언급했듯이, 파리어 연구는 원래 기독교 선교사가 시작했으며, 선교사의 연구 동기는 "불교보다 기독교가 더 낫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8] 이었다. . 이에 대해 식민지 지배의 구조와도 상황으로 열세에 놓인 불교도의 반론이 이루어졌다. 1873년 실론의 그너난다 는 신문사 주최의 토론으로 기독교를 논파하고 불교의 위신을 회복했다. 이를 기회로 1874년 콜롬보 에 비도요다야 대학 이 설립되어 불교도에 의한 연구가 일어났다.
실론의 불교는 포르투갈 , 네덜란드 , 힌두교 도 의 국왕의 박해 등에 의해 몇 차례에 걸쳐 출가 히오카 산가의 전통이 끊겼다. 현존하는 히오카상가는 1756년 태국에서 버마에서 구족계를 역수입함으로써 부흥되었다. 이를 위해 태국 버마의 불교도의 연구와 출판의 성과가 국제색이 강한 실론에서 발표된다는 구도를 취하게 되었다. 실론은 남전상좌부 불교 의 국제센터라는 지위를 획득한 것이다.
메이지 이후 일본 불교자들도 실론과 태국 유학이 선행해 유행했다. 그 후, 범어 불전이나 인도 철학 일반과의 관계, 불교 일반 등의 시점의 획득을 요구해 유럽에의 유학이 활발해졌다. 일본 불교자는 대승 불교도 였으며 유럽 유학의 주요 동기도 범어 연구에 있었다. 그러나 범어를 습득하면 파리어의 독해도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범어에 비해 2차적인 관심밖에 없었던 파리어 연구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범어·파리어·한어・티벳어의 비교 대조 연구라고 하는 방면에서 번성한다.
난죠 후미오 는 1883년에 영역 『대명삼장성교목록』(난조목록이라고 불린다)을 출판했지만, 그 중 한역의 아함경과 파리어의 아가마가 대응관계에 있음을 지적했다. 이 한역불전과의 관계라는 방면에 대해서는 유럽에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은 분야이며, 그 관계도 불명으로 되어 있었다.
다카구스 준지 로가 1896년에 한역 『선견률 毘婆沙』이 파리어 율장의 주석서 『사만타 파사디카』의 번역임을 발표, 파리어 불전과 한역 불전의 대응을 증명했다 . 타카 구스는 귀국 후에 도쿄 대학 에서 범어와 파리어 강의를 개시, 그 후 그의 주도에 의해 편찬이 이뤄진 「다이쇼 신수 대장경」에는, 아함부와 리츠조에 대해 파리어 불전의 상당 부분이 주기되어 있습니다.
네자자키 마사하루 , 시이오 벤다이에 의한 파리 5부와 한역 사아 포함의 면밀한 대조 연구 이후, 와타나베 카이 아사치 , 나가이 마코토 , 갯벌 용상 , 와타나베 야스오 , 아카누마 토모선 , 기무라 타이켄 , 우이 백수 등 [9] 따라서 이루어진 비교연구는 한문을 싫어하는 20세기 초반까지의 유럽연구를 기초로 하면서 전통적인 한역불전연구의 기반이라는 어드밴티지가 있는 일본 연구자의 독립장이 된다. 여기에 일본의 근대불교학의 국제적 지위가 확립되었다. 그 정화로서 일본의 연구자가 그 총력을 꼽아 파리어의 불전을 국역한 ' 남전대장경 '은 번역사업으로서는 유럽의 연구를 규모에서 능가하는 것이었다.
일본에서는 학문적으로 환원될 수 있는 원시불교 에 대한 강한 관심으로부터도 아함의 연구가 활발해졌지만, 파리어의 아가마에도 신고의 층이 있는 것이 판명되어 가면서 대승 비불설 에 대한 소승 비불설 까지 등장했다. 나카무라 모토 와 산에다 미츠키 도 「아함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과 같이 「현존의 「아함경」은 석존의 가르침을 원형대로 기록하고 있는 것은, 결코 없다」[10] 즉 아함이라며 석가의 "
내용 [ 편집 ]
직설경전이기 때문에, 석가의 언동, 그리고 그 교법――특히 칠과삼십칠도품으로 알려진 성불법(수행법)이 적혀 있다.
한역 아함경의 신뢰성 [ 편집 ]
한역의 『아함경』은 파리어의 니카야를 원전으로 한 번역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흔적이 있고, 속어나 산스크리트어로 전해지고 있던 원전이 파리어역과는 별도로 한역된 것으로 생각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한역은 의역도 많고 분명히 원어에 없는 단어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12] . 이 때문에 한역 '아함경'의 신뢰성은 보다 낮다는 견해도 있지만, 파리어 문헌이 절대라고 할 수 없다.
일본어 번역 [ 편집 ]
전역 [ 편집 ]
- 「국역 일절경」「인도 철술부 아함부」 제1-10권 다이토 출판사
부분 번역 [ 편집 ]
각주 [ 편집 ]
- ^ a b c d e f g 바바 기수 2018 , pp. 56–59.
- ↑ Monier-Williams (1899), p. 129, see "Āgama," retrieved 12 Dec 2008 from "U. Cologne" at 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scans/MWScan/MWScanpdf/ mw0129-Akhara.pdf .
- ↑ Rhys Davids & Stede (1921-25), p. 95, entry for "Āgama," retrieved 12 Dec 2008 from "U. Chicago" at http://dsal.uchicago.edu/cgi-bin/philologic/getobject. pl?c.0:1:2582.pali .
- ↑ 「원시 불교 성전 자료에 의한 석존전의 연구」의 목적 과 방법론
- ↑ 토마츠 1981 , p. 17.
- ↑ 토마츠 1981 , p. 33.
- ↑ Clough,Benjamin: A Compendious Pali Grammar, with a Copious Vocabulary in the same Language, Colombo, 1824.
- ^ 미즈노 히로모토 『파리 어 문법』(山喜房仏書林, 1955), pp209.
- ↑ 토마츠 1981 , p. 35.
- ^ 나카무라 모토 · 산에다 미츠키 "바우다 [불교]"(코단샤 학술 문고, 2009 년) p.52
- ^ 『불전해제사전』(춘추사, 1966, 1977) 아함경 항목 참조.
- ↑ 앵그리마라경 , 압굴마경
참고 문헌 [ 편집 ]
- 토모마츠엔 포기 “ 아함경 입문” 코단샤 <코단샤 학술 문고>, 1981년 4월 10일. ISBN 978-4061585461 .
- 나카무라 모토『광설 불교어 대사전』 카미 마키 도쿄 서적 , 2001년 6월, 13-14페이지.
- 바바 기수 『초기 불교―― 붓다의 사상을 따라간다』〈이와나미 신서〉 2018년. ISBN 978-4004317357 .
관련 항목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 원시불교 - 광제사 홈페이지
- Ekottara Agama (증일 아함경의 영어 번역) (영문)
- 사사키 섬 "아함경의 가르침" - 불교 학자에 의한 해설 동영상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