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13

유기재배, 이것만은 알아야 한다(흙살림연구소 유기농업 총서 11) - 인터넷교보문고



유기재배, 이것만은 알아야 한다(흙살림연구소 유기농업 총서 11) - 인터넷교보문고





유기재배, 이것만은 알아야 한다 유기재배의 기초지식
흙살림연구소 유기농업 총서 11
니시오 미츠노리 지음 | 서종호 옮김 | 흙살림연구소 | 2006년 04월 20일 출간
리뷰 0개 리뷰쓰기


매장 재고 · 위치

이 책의 다른 상품 정보
원서/번역서 :[해외]有機栽培の基礎


정가 : 15,000원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기술/공학 > 농수산/축산 > 원예/작물학/임학 > 재배/보호
『유기농업 총서』제11권《유기재배 이것만은 알아야 한다》. 이 책에서는 유기재배와 관련한 단편적, 전문적 기술지식의 전달보다는 유기재배에서 중요한 기초적 기술을 소개하고 그 기술 실천이 갖는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시리즈 시리즈 자세히 보기
한방영양학 개론
유기재배, 이것만은 알아야 한다
농사짓는 즐거움
유기농업의 이론과 실제
유기농업자재의 이론과 실제
유기농업 관련규정
유기농업이 희망이다
흙 살리기
참농부
흙을 살리는 기쁨 땅위에 사는 기쁨
이 땅에서 농업을 하는 의미
유기농업을 위한 병충해 방제의 실제와 현장농민 실천 사례
전체선택 장바구니 담기
저자소개

저자 : 니시오 미츠노리
지은이 니시오 미츠노리는 1941년 동경에서 태어났다. 동북대 농학박사. 농림성농사시험장, 농수산성 초지시험장, 토양미생물연구실장, 농업연구센터 연구기획과장을 역임했다. 농수산성초지시험장 기획실장을 거쳐 농수산성농업환경기술연구소 소장과 쯔쿠바대학 농림공학계 교수를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작물의 생육과 환경>, <농업과 환경오염> 과 같은 책이 있다.

옮긴이 서종호는 서울대 농학과 농학석사, 박사를 하고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작물환경과를 거쳐 지금은 작물과학원 작물생리생태과에 근무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두과녹비작물의 재배와 이용>, <작물윤작기술론>(역서) 따위가 있다.
목차
지은이머리말

옮긴이 서문

제 1 장 지속 가능한 유기농업이란
1. 관행농업에 의한 환경파괴
(1) 유럽의 심각한 질산염 오염
(2) 일본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질산염 오염
(3) 재이용할 수 없는 과잉 가축분뇨
(4) 축산에 의한 악취와 수질 및 대기오염
(5)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에 의한 오존층파괴
(6) 개발도상국에서 확대되는 농지의 사막화

2. 화학비료에 의한 식물의 병해와 장해의 발생
(1) 과잉시비에 의한 토양양분의 축적
(2) 토양 pH의 변화와 아질산 가스의 발생
(3) 질소형태의 차이에 의한 병 발생정도
(4) 과잉시비가 초래하는 병해발생 증가의 예

3. 지속 가능한 농업의 전개
(1) 합리적 농법에 대한 하워드의 비판
(2)「부자연적인 농법」의 배제-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
(3) 지속 가능한 농업과 농촌의 개발-의제21
(4) 저투입 중시(重視)에서 지속 중시로- 미국
(5) 환경에 건전한 전통농법에 대한 소득보상 - EU
(6) 「신정책」에서의 환경보전형농업 - 일본
(7) 생태학적으로 건전하다에 관한 판단기준

4. 유기농업을 지속시키기 위한 과제
(1) 경지 밖에서 투입 없이는 부족한 양분
(2) 과잉 생산되지만 활용이 어려운 유기폐기물
(3) 지속 가능한 농업에 꼭 필요한 윤작의 도입

제 2 장 유기재배의 기본기술

1. 토양의 성립
(1) 암석에서 점토광물의 생성
(2) 유기물분해에 의한 부식물질의 생성
(3) 부식물질에 의한 토양입단의 형성
(4) 물질순환에 따른 유기물의 소모
(5) 변화되기 어려운 토양의 기본적 성질
(6) 농업형태와 더불어 변화하는 토양

2. 유기물의 비효 특성
(1) 유기물에 의한 비료공급 및 토양개량효과
(2) 신선유기물을 퇴비화하는 의의
(3) 각종 유기질비료의 무기화 특성
(4) 퇴비 비효 발현의 경시적 변화
(5) 주요한 유기물자재의 비효 특성
(6) 고농도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유기물

3. 유기물의 시용법
(1) 유기재배에 의한 양분의 부족과 과잉
(2) 유기물 시용으로 발생하기 쉬운 칼륨과잉
(3) 양분이 작물에 이용되는 비율
(4) 관행재배를 전제로 한 시용기준
(5) 환경부하를 고려한 시용기준
(6) 유기재배에서의 시비관리 기준

4. 윤작의 의의와 활용법
(1) 유기재배에서의 윤작의 필요성과 가능성
(2) 윤작에 의한 토양 비옥화의 구조
(3) 연작에 따른 토양병해 다발(多發)의 구조
(4) 윤작에 의한 토양병해충 방제의 예

제 3 장 유기재배의 이점을 활용한 기술 포인트

1. 식물에 의한 유기물의 직접 흡수
(1) 유기영양흡수의 기구와 사고방식
(2) 유기물축적 토양에 적응한 식물
(3) 유기영양분 직접흡수의 환경 및 생육조건
(4) 유기영양흡수에 관련된 기술과제

2. 양, 수분스트레스의 활용
(1) 저수분에 의한 품질향상의 기구
(2) 저질소에 의한 품질향상의 기구
(3) 양, 수분스트레스에 의한 품질향상의 예
(4) 양, 수분스트레스에 의한 장해경감의 예

3. 토양동물의 작용과 활용
(1) 유기물 절단에 의한 분해촉진
(2) 지렁이에 의한 통기(통수) 및 경운 효과
(3) 실지렁이에 의한 논잡초의 방제
(4) 유기재배에 의한 생물다양성의 창조

4. 토양미생물의 활동과 활용
(1) 토양고유형(土壤固有型)의 저영양 세균의 활동
(2) VA균근균에 의한 인산의 흡수촉진
(3) 시판 및 토착의 VA균근균의 이용
(4) 인용해균에 의한 인산의 유효화
(5) 질소고정미생물에 의한 양분의 확보
(6) 시판 미생물자재의 활용 시 고려할 사항

제 4 장 유기재배의 기술과제

1. 작물생산을 규제하는 토양의 특성
2. 논과 지역자원 활용을 기본으로

참고문헌
책 속으로
화학자재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이 유기농업이다. 유기농업에서도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당연히 수단에 불과하고, 어떤 목적으로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는가가 매우 중요하다.
농업생태계와 농촌의 물질순환을 중시하고, 지력을 유지․증진시켜 생산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고, 외부로의 환경부하를 방지하고 자연과 조화하면서,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고, 농민의 만족감과 소득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농업은 지속 가능한 농업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수단으로 농업생태계의 기능이나... 더보기
출판사 서평
세계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경제가 발전되면서 인류의 장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1세기 중반에 세계인구 100억 명 시대를 대비하여 개개인의 건강과 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하면서 생존환경의 악화를 방지하고, 필요한 식량,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생활기반을 어떻게 확보하는 것이 좋은 것인가?
유기농업의 지향해야할 것은 무엇인가? 유기농업의 한계와 이점은 무엇인가? 좋은 토양이란 어떤 것인가? 유기물을 어떻게 시용해야 하는가? 토양미생물은 유기농업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미생물자재는 효과가 있는가.
최근 유기농업에 관한 많은 책이 쏟아지고 있지만 대부분 유기농산물의 안전성이나 도농 교류와 농업의 활성화, 유기농업의 역할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유기농업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해설서로서 유기농업의 기초가 되는 기술을 설명하는 책이다. 이 책에서는 유기농업 가운데 작물생산을 ‘유기재배’로 하고 시비․토양관리를 중심으로 유기재배를 지속시키는 위해서 어떻게 하면 좋은가를 염두에 두고 정리했다.
이 책은 유기재배와 관련한 단편적, 전문적 기술지식의 전달보다는 유기재배에서 중요한 기초적 기술을 소개하고 그 기술 실천이 갖는 의미를 잘 설명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처음 유기재배를 실천하는 분과 현장에서 유기재배를 지도하는 분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믿는다.
하나의 유기재배기술도 그것을 접하는 사람의 처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거나 강조될 수 있다. 환경주의자는 작물생산보다 환경보전의 관점에서, 농민이나 자재생산자는 소득보전의 관점에서, 정책결정자는 생산이나 수급의 관점에서 유리한 쪽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은 그 유기재배 기술의 중요한 부분을 종합하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정리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매우 돋보인다.
인류의 발전은 다른 생물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서로 관련되어 생태계가 성립되고 그 생태계의 물질순환이 일어나고 식물, 동물, 미생물의 재생산이 가능하게 되며, 생태계에 의해 흙․물․공기의 정화나 그 영속적인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 모든 생물은 인류의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유전자원도 되며 생물의 서식지는 인간에 정신적 여유를 주는 휴식공간이 되기도 한다.
이 책이 주장하고 있는 것을 단적으로 설명하면, 유기농업에서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당연히 수단에 불과하고, 어떤 목적으로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가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유기재배에서는 생물농약으로 병충해를 방제할지라도 평소에 윤작을 실시하여 병충해가 발생하기 어려운 조건을 만들고, 그 가운데 발생하는 특정 범위의 병충해를 생물농약으로 방제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토양비옥도를 저하시키는 채소만으로 연작을 계속하여 병충해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이라는 원인이 계속 남아 있는 한, 지속 가능한 농업을 한다는 것은 무리여서 윤작을 기본으로 한 생산체계의 도입이 꼭 필요하다고 지은이는 한 목소리로 주장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