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18

Hanging Gardens of Babylon - Wikipedia

Hanging Gardens of Babylon - Wikipedia

Hanging Gardens of Babylo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is hand-coloured engraving, probably made in the 19th century after the first excavations in the Assyrian capitals, depicts the fabled Hanging Gardens, with the Tower of Babel in the background.
Timeline and map of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including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were one of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listed by Hellenic culture. They were described as a remarkable feat of engineering with an ascending series of tiered gardens containing a wide variety of trees, shrubs, and vines, resembling a large green mountain constructed of mud bricks. It was said to have been built in the ancient city of Babylon, near present-day HillahBabil province, in Iraq. The Hanging Gardens' name is derived from the Greek word κρεμαστός (kremastóslit.'overhanging'), which has a broader meaning than the modern English word "hanging" and refers to trees being planted on a raised structure such as a terrace.[1][2][3]

According to one legend, the Hanging Gardens were built alongside a grand palace known as The Marvel of Mankind, by the Neo-Babylonian King Nebuchadnezzar II (who ruled between 605 and 562 BC), for his Median wife, Queen Amytis, because she missed the green hills and valleys of her homeland. This was attested to by the Babylonian priest Berossus, writing in about 290 BC, a description that was later quoted by Josephus. The construction of the Hanging Gardens has also been attributed to the legendary queen Semiramis[4] and they have been called the Hanging Gardens of Semiramis as an alternative name.[5]

The Hanging Gardens are the only one of the Seven Wonders for which the location has not been definitively established.[6] There are no extant Babylonian texts that mention the gardens, and no definitive archaeological evidence has been found in Babylon.[7][8] Three theories have been suggested to account for this: firstly, that they were purely mythical, and the descriptions found in ancient Greek and Roman writings (including those of StraboDiodorus Siculus and Quintus Curtius Rufus) represented a romantic ideal of an eastern garden;[9] secondly, that they existed in Babylon, but were destroyed sometime around the first century AD;[10][4] and thirdly, that the legend refers to a well-documented garden that the Assyrian King Sennacherib (704–681 BC) built in his capital city of Nineveh on the River Tigris, near the modern city of Mosul.[11][1]

Descriptions in classical literature[edit]

There are five principal writers whose descriptions of Babylon exist in some form today. These writers concern themselves with the size of the Hanging Gardens, their overall design and means of irrigation, and why they were built.

Josephus (c. 37–100 AD) quotes a description of the gardens by Berossus, a Babylonian priest of Marduk,[6] whose writing c. 290 BC is the earliest known mention of the gardens.[5] Berossus described the reign of Nebuchadnezzar II and is the only source to credit that ki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Hanging Gardens.[12][13]

In this palace he erected very high walls, supported by stone pillars; and by planting what was called a pensile paradise, and replenishing it with all sorts of trees, he rendered the prospect an exact resemblance of a mountainous country. This he did to gratify his queen, because she had been brought up in Media, and was fond of a mountainous situation.[14]

Hanging gardens of Semiramis, by H. Waldeck

Diodorus Siculus (active c. 60–30 BC) seems to have consulted the 4th century BC texts of both Cleitarchus (a historian of Alexander the Great) and Ctesias of Cnidus. Diodorus ascribes the construction to a Syrian king. He states that the garden was in the shape of a square, with each side approximately four plethra long. The garden was tiered, with the uppermost gallery being 50 cubits high. The walls, 22 feet thick, were made of brick. The bases of the tiered sections were sufficiently deep to provide root growth for the largest trees, and the gardens were irrigated from the nearby Euphrates.[15]

Quintus Curtius Rufus (fl. 1st century AD) probably drew on the same sources as Diodorus.[16] He states that the gardens were located on top of a citadel, which was 20 stadia in circumference. He attributes the building of the gardens to a Syrian king, again for the reason that his queen missed her homeland.

The account of Strabo (c. 64 BC – 21 AD) possibly based his description on the lost account of Onesicritus from the 4th century BC.[17] He states that the gardens were watered by means of an Archimedes' screw leading to the gardens from the Euphrates river.

The last of the classical sources thought to be independent of the others is A Handbook to the Seven Wonders of the World by the paradoxographer Philo of Byzantium, writing in the 4th to 5th century AD.[18] The method of raising water by screw matches that described by Strabo.[19] Philo praises the engineering and ingenuity of building vast areas of deep soil, which had a tremendous mass, so far above the natural grade of the surrounding land, as well as the irrigation techniques.

Historical existence[edit]

This copy of a bas relief from the North Palace of Ashurbanipal (669–631 BC) at Nineveh shows a luxurious garden watered by an aqueduct.

It is unclear whether the Hanging Gardens were an actual construction or a poetic creation, owing to the lack of documentation in contemporaneous Babylonian sources. There is also no mention of Nebuchadnezzar's wife Amyitis (or any other wives), although a political marriage to a Median or Persian would not have been unusual.[20] Many records exist of Nebuchadnezzar's works, yet his long and complete inscriptions do not mention any garden.[21] However, the gardens were said to still exist at the time that later writers described them, and some of these accounts are regarded as deriving from people who had visited Babylon.[2] Herodotus, who describes Babylon in his Histories, does not mention the Hanging Gardens,[22] although it could be that the gardens were not yet well known to the Greeks at the time of his visit.[2]

To date, no archaeological evidence has been found at Babylon for the Hanging Gardens.[6] It is possible that evidence exists beneath the Euphrates, which cannot be excavated safely at present. The river flowed east of its current position during the time of Nebuchadnezzar II, and little is known about the western portion of Babylon.[23] Rollinger has suggested that Berossus attributed the Gardens to Nebuchadnezzar for political reasons, and that he had adopted the legend from elsewhere.[24]

Identification with Sennacherib's gardens at Nineveh[edit]

Oxford scholar Stephanie Dalley has proposed that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were actually the well-documented gardens constructed by the Assyrian king Sennacherib (reigned 704 – 681 BC) for his palace at Nineveh; Dalley posits that during the intervening centuries the two sites became confused, and the extensive gardens at Sennacherib's palace were attributed to Nebuchadnezzar II's Babylon.[1] Archaeological excavations have found traces of a vast system of aqueducts attributed to Sennacherib by an inscription on its remains, which Dalley proposes were part of an 80-kilometre (50 mi) series of canals, dams, and aqueducts used to carry water to Nineveh with water-raising screws used to raise it to the upper levels of the gardens.[25]

Dalley bases her arguments on recent developments in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Akkadian inscriptions. Her main points are:[26]

  • The name Babylon, meaning "Gate of the Gods",[27] was the name given to several Mesopotamian cities.[28] Sennacherib renamed the city gates of Nineveh after gods,[29] which suggests that he wished his city to be considered "a Babylon".
  • Only Josephus names Nebuchadnezzar as the king who built the gardens; although Nebuchadnezzar left many inscriptions, none mentions any garden or engineering works.[30] Diodorus Siculus and Quintus Curtius Rufus specify a "Syrian" king. By contrast, Sennacherib left written descriptions,[31] and there is archaeological evidence of his water engineering.[32] His grandson Assurbanipal pictured the mature garden on a sculptured wall panel in his palace.[33]
  • Sennacherib called his new palace and garden "a wonder for all peoples". He describes the making and operation of screws to raise water in his garden.[34]
  • The descriptions of the classical authors fit closely to these contemporary records. Before the Battle of Gaugamela in 331 BC Alexander the Great camped for four days near the aqueduct at Jerwan.[35] The historians who travelled with him would have had ample time to investigate the enormous works around them, recording them in Greek. These first-hand accounts have not survived into modern times, but were quoted by later Greek writers.

King Sennacherib's garden was well-known not just for its beauty – a year-round oasis of lush green in a dusty summer landscape – but also for the marvelous feats of water engineering that maintained the garden.[36] There was a tradition of Assyrian royal garden building. King Ashurnasirpal II (883–859 BC) had created a canal, which cut through the mountains. Fruit tree orchards were planted. Also mentioned were pines, cypresses and junipers; almond trees, date trees, ebony, rosewood, olive, oak, tamarisk, walnut, terebinth, ash, fir, pomegranate, pear, quince, fig, and grapes. A sculptured wall panel of Assurbanipal shows the garden in its maturity. One original panel[37] and the drawing of another[38] are held by the British Museum, although neither is on public display. Several features mentioned by the classical authors are discernible on these contemporary images.

Assyrian wall relief showing gardens in Nineveh

Of Sennacherib's palace, he mentions the massive limestone blocks that reinforce the flood defences. Parts of the palace were excavated by Austin Henry Layard in the mid-19th century. His citadel plan shows contours which would be consistent with Sennacherib's garden, but its position has not been confirmed. The area has been used as a military base in recent times, making it difficult to investigate further.

The irrigation of such a garden demanded an upgraded water supply to the city of Nineveh. The canals stretched over 50 kilometres (31 mi) into the mountains. Sennacherib was proud of the technologies he had employed and describes them in some detail on his inscriptions. At the headwater of Bavian (Khinnis)[39] his inscription mentions automatic sluice gates. An enormous aqueduct crossing the valley at Jerwan was constructed of over two million dressed stones. It used stone arches and waterproof cement.[40] On it is written:

Sennacherib king of the world king of Assyria. Over a great distance I had a watercourse directed to the environs of Nineveh, joining together the waters.... Over steep-sided valleys I spanned an aqueduct of white limestone blocks, I made those waters flow over it.

Sennacherib claimed that he had built a "Wonder for all Peoples", and said he was the first to deploy a new casting technique in place of the "lost-wax" process for his monumental (30 tonne) bronze castings. He was able to bring the water into his garden at a high level because it was sourced from further up in the mountains, and he then raised the water even higher by deploying his new water screws. This meant he could build a garden that towered above the landscape with large trees on the top of the terraces – a stunning artistic effect that surpassed those of his predecessors.

Plants[edit]

Date palms are a common tree species in Babylon.

The gardens, as depicted in artworks, featured blossoming flowers, ripe fruit, burbling waterfalls and terraces exuberant with rich foliage. Based on Babylonian literature, tradition, 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some of the following plants may have been found in the gardens:[41][unreliable source?]

Imported plant varieties that may have been present in the gardens include the cedarcypressebonypomegranateplumrosewoodterebinthjuniperoakash treefirmyrrhwalnut, and willow.[42] Some of these plants were suspended over the terraces and draped over its walls with arches underneath.

The "Garden Party" relief depicting Ashurbanipal with his wife seated under a pergola of climbing grapevines with hanging grapes, also small birds, surrounded with fruiting date palms and pine trees. The head of a defeated king hangs between the 1st and 2nd figures at left. North Palace, Nineveh, c. 645 BC.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c Stephanie Dalley (1993). "Ancient Mesopotamian Garden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Resolved". Garden History21 (1): 7. doi:10.2307/1587050JSTOR 1587050.
  2. Jump up to:a b c Reade, Julian (2000).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Iraq62: 195–217. doi:10.2307/4200490ISSN 0021-0889JSTOR 4200490S2CID 194130782.
  3. ^ Foster, Karen Polinger (2004). "The Hanging Gardens of Nineveh". Iraq66: 207–220. doi:10.2307/4200575ISSN 0021-0889JSTOR 4200575.
  4. Jump up to:a b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Retrieved 5 February 2014.
  5. Jump up to:a b Cartwright M (July 2018). "Hanging Gardens of Babylon"World History Encyclopedia. Retrieved 15 September 2018.
  6. Jump up to:a b c Finkel (1988) p. 41.
  7. ^ Finkel (1988) p. 58.
  8. ^ Finkel, Irving; Seymour, Michael (2008). Babylon: City of Wonders. London: British Museum Press. p. 52. ISBN 978-0-7141-1171-1.
  9. ^ Finkel 2008
  10. ^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Retrieved 5 February 2014.
  11. ^ Dalley, Stephanie (2013).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an elusive World Wonder trace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6226-5.
  12. ^ Finkel (2008) p. 108.
  13. ^ Dalley, Stephanie (1994). "Nineveh, Babylon and the Hanging Gardens: Cuneiform and Classical Sources Reconciled". Iraq56: 45–58. doi:10.2307/4200384ISSN 0021-0889JSTOR 4200384.
  14. ^ Joseph. contr. Appion. lib. 1. c. 19.—Syncel. Chron. 220.—Euseb. Præp. Evan. lib. 9.
  15. ^ Diodorus Siculus II.10-1-10
  16. ^ History of Alexander V.1.35-5
  17. ^ Strabo, Geography XVI.1.5, translation adapted from H.L. Jones, Loeb Classical Library edn (1961).
  18. ^ The paradoxographer Philo of Byzantium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earlier engineer Philo of Byzantium. See Stephanie Dalley, "More about the Hanging Gardens," in Of Pots and Pans: Papers on the Archaeology and History of Mesopotamia and Syria as presented to David Oates on his 75th Birthday, Edited by L. al-Gailani-Werr, J.E. Curtis, H. Martin, A. McMahon, J. Oates and J.E. Reade, (London), pp. 67–73 ISBN 1-897750-62-5.
  19. ^ Dalley (2013), p. 40. Dalley bases her translation on Brodersen (1992) who uses an early Greek text. A previous translation by David Oates, based on a Latin text, is found in Finkel (1988) pp. 45–46.
  20. ^ Finkel (2008) p. 109.
  21. ^ Dalley (2013)
  22. ^ Priestley, Jessica (2014). Herodotus and Hellenistic culture: Literary Studies in the Reception of the Histor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91. ISBN 9780191510168.
  23. ^ Oates, Joan (1986). Babylon (Revised ed.). London: Thames and Hudson. p. 144. ISBN 0-500-27384-7.
  24. ^ Rollinger, Robert (2013). "Berossos and the Monuments". In Haubold, J.; et al. (eds.). The World of Berossos. Wiesbaden. p. 151. ISBN 978-3-447-06728-7.
  25. ^ Alberge, Dalya (5 May 2013). "Babylon's hanging garden: ancient scripts give clue to missing wonder"The Guardian. Retrieved 6 May 2013.
  26. ^ Dalley, Stephanie (2013)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an elusive World Wonder trace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6226-5.
  27. ^ AR George, Babylonian Topographical Texts, (1992)
  28. ^ see for example Cuneiform Texts in the British Museum, Vol 19, page 25, line 25
  29. ^ Pongratz-Leisten, Ina Sulmi Erub (1994),
  30. ^ See Dalley (2013) ch 1 for a summary.
  31. ^ Especially: the Iraq Museum prism dated 694 BC published by A Heidel, The Octagonal Sennacherib Prism in the Iraq Museum, Sumer 9 (1953); and the British Museum prism BM103000 of the same date
  32. ^ T Jacobsen and S Lloyd, Sennacherib's Aqueduct at Jerwan (1935); Reade, Studies in Assyrian Geography, Revue d'Assyriologie 72 (1978); Channel 4 TV programme Secret History: Finding Babylon's Hanging Garden, 24 November 2013
  33. ^ AH Layard, Discoveries in the Ruins of Nineveh and Babylon, (1853)
  34. ^ Dalley (2013), pp. 62–63
  35. ^ R Lane Fox, Alexander the Great (1973)
  36. ^ Stephanie Dalley (2013).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An Elusive World Wonder Traced. Oxford University Press. pp. 65–82. ISBN 978-0-19-966226-5. The quotations in this section are the translations of the author and are reproduced with the permission of OUP.
  37. ^ BM124939
  38. ^ Original Drawing IV 77
  39. ^ Layard (1853)
  40. ^ Jacobsen (1935)
  41. ^ The Lost Gardens of Babylon - Guide to Ancient Plants by PBS, May 2, 2014
  42. ^ Stephanie Dalley (2013). "page 48"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OUP. ISBN 978-0-19-163932-6.

Sources[edit]

Further reading[edit]

  • Dalley, Stephanie. 1994. "Nineveh, Babylon and the Hanging Gardens: Cuneiform and Classical Sources Reconciled." Iraq 56: 45–58. doi:10.2307/4200384.
  • Norwich, John Julius. 2009. The Great Cities In History. London: Thames & Hudson.
  • Reade, Julian. 2000.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Iraq 62: 195–217. doi:10.2307/4200490.

External links[edit]

돌 하나 쓰임새도 각기 다른 한·중·일 정원

돌 하나 쓰임새도 각기 다른 한·중·일 정원 - 프리미엄조선

박경자의 한중일 정원 삼국지 
돌 하나 쓰임새도 각기 다른 한·중·일 정원

입력 : 2014.04.26
 
우리나라나 중국, 일본에서는 정원에 기괴하게 생긴 특이한 모양의 돌을 써서 사람들이 석가산을 만들거나 돌 그대로를 놓고 완상했다. 정원석은 나라별로 각기 다르다. 돌은 자연에서 수집되며 수집 장소나 방법 등이 서로 다른 것 같다.

김홍도의 '단원도(檀園圖)'. 초가집 우측 연못가에 중국풍의 괴석이 보인다.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은 1801년 신유사옥辛酉邪獄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유배되고, 1808년 다산초당으로 거처를 옮겼다. ‘다산사경첩茶山四景帖’에는 바닷물에 침식된 기괴한 모양의 돌을 가져와 연못에 석가산을 만들었다 한다, 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 시는 다산초당에 거처를 옮긴 다음 해에 쓴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강진의 다산초당에 가면 연지석가산을 볼 수 있다.

따라온 사람이 6, 7명이었다. 바닷물이 침식한 곳에 기이하고 이상한 돌이 많았다. 사람들이 수십 덩이를 주워다가 배에 싣고서 돌아왔다. 뒤에 그것으로 석가산을 만들었다.

蓮池石假山 연지석가산

沙灣怪石聚爲峯 모래벌판의 괴석 모아 봉우리 만드니
眞面還輸飾假容 진짜 산보다 만든 산이 더 멋있구나.
巀嶭巧安三級墖 가파른 곳 묘하게 삼층으로 앉히고
谽谺因揷一枝松 오목한 곳 모양따라 한 그루 소나무 심었네.
蟠廻譎態蹲芝鳳 서리고 휘감긴 묘한 모습 이끼낀 봉황모양 돌을 쭈그리고 앉힌 듯
尖處斑文聳籜龍 뾰족한 곳 얼룩무늬 죽순이 치솟은 듯
復引山泉環作沼 다시 산에서 흐르는 물을 끌어 빙 둘러 연못을 만드니
靜看水底翠重重 고요히 물밑을 바라보면 푸른 산빛이 어렸구나.

중국 정원에서는 태호석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중국인이 가장 사랑하고 즐기는 돌이다. 중국 당시대 시인 백거이白居易는 ‘태호석기太湖石記’에서 태호석을 상찬했다.

전남 강진에 있는 다산 초당 연못 속의 석가산. 

대통으로 연못에 물이 흘러들어온다.돌에는 종류가 있으니, 태호太湖에서 모은 것이 으뜸이고 나부산羅浮山과 천축天竺의 것이 그다음이다.…구불구불 높이 솟아 신령스런 언덕에서 피어나는 고운 구름과 같고, 바르고 의젓하게 꼿꼿이 서 있는 것이 도사道士나 신선과도 같고, 치밀하고 윤택하며 깎아지른 듯한 것이 홀이나 제기와 같고, 날카롭고 모난 것이 칼이나 창과 같은 것도 있다. 또 뿔 없는 용이나 봉황 같은 것이 있어 웅크리는 듯 움직이는 듯하거나 날아오르려는 듯 뛰어오르려는 듯하고, 귀신이나 짐승과 같아서 걷는 듯 달리는 듯하거나 후려치거나 싸우려고 하는 것도 있다. 

바람이 거세고 비 내려 어두운 저녁에 골짜기가 열려 구름을 들이마시고 우레를 토해내는 듯 우뚝하여 바라보기에도 두려워할 만한 것이 있는가 하면, 안개가 걷히고 경치가 아름다운 새벽에 바위 낭떠러지에 구름이 잔뜩 껴서 마치 푸른 산기운을 품어내는 것 같아서, 자욱하니 가까이서 즐길 수 있다. 이런 모습이 아침저녁으로 바뀌어 이름 짓거나 형용할 수가 없었다. 즉 삼산三山과 오악五岳, 수많은 골짜기와 계곡들이 촘촘히 모여 모두 그 안에 있다고 하겠다. 백 길이 한 주먹이 되고 천 리가 눈 깜짝할 사이가 되어 앉아서 얻을 수가 있으니, …그러나 저절로 한번 이루어져 변화되지 않은 후로 몇천만 년이 흘렀는지 알 수 없지만, 바다 한 귀퉁이에 버려지거나, 호수 밑바닥에 잠기기도 했을 것이다. 높은 것은 거의 몇 길이나 되고 무거운 것은 천 균鈞(무게 30근)에 가까운데, 하루아침 사이에 채찍질하지 않았는데도 왔고 다리가 없는데도 도착하여 기이함을 다투고 괴이함을 자랑하여…

중국 북송때의 문인 미원장米元章이 말하는 이름난 돌 즉 태호석은 네 가지 빼어난 점을 갖춰야 한다. '투透 ․ 준浚 ․ 수秀 ․ 수瘦’의 사원칙이다. ‘투透’는 구멍이 뚫려 있고, ‘준浚’은 석면의 주름이 있어야 하고 ‘수秀’는 격조 높은 기품을 풍겨야 하며 '수瘦’는 돌의 살이 여위어 있고 그러면서도 강한 선을 지닌 것이어야 한다.

중국 항저우에 있는 청말 부유한 상인 호설암 고거의 석가산. 20세기 초 복원되었다.태호太湖는 중국 장수성과 저장성 사이에 있다. 태호 안에는 자그마한 산들이 많이 있다. 태호석은 바로 수조우의 동서쪽 동정산 부근의 호수 밑바닥에서 산출된다.

태호석은 결이 가로세로 사방으로 뻗어 있어, 이리저리 뒤엉켜져서 있다. 돌 표면에는 전체적으로 구멍이 많이 뚫어져 요철凹凸을 만들며 풍랑에 의한 충격 때문으로 이것을 탄자와(彈子窩 총알에 벌집처럼 난 구멍)이라고 부른다. 두드리면 은은한 소리가 난다.

태호석을 채취하는 사람은 송곳과 끌을 휴대하고서 깊은 호수 속으로 들어가 기이하고 교묘한 형상을 찾아 떼어낸다. 그리고는 큰 새끼줄로 수석을 꿰어서 큰 배 위에 설치한 나무시렁에 매달아 물 위로 들어올린다.

태호석은 키가 크고 몸체가 거대한 것을 귀하게 여긴다. 그러나 헌당軒堂의 건물 앞에 세워놓는 재료로 적합할 뿐이다. 혹은 키가 큰 소나무나 기이한 꽃나무 아래에 놓기도 한다. 가산을 만들 적에는 정원의 널찍한 정사亭榭의 건물 속에 나열하는데 그럴 경우 웅장하고 위엄있는 풍경을 한껏 보여주게 된다.

일본 우지에 있는 헤이안 시대의 뵤도인. 불당앞 연못가에서 거친 바닷가의 풍경을 나타내는 잔자갈을 깐 스하마를 볼 수 있다.일본 헤이안 시대 정원석은 그림과 문헌 속, 또 정원 발굴 때 나오는 질감이 거친 돌이다. 교토 북쪽의 기타야마 산지에서 수암이 생산되는데, 강 속에서 오랫동안 구르면서 둥그런 모양이 되는 화강암이나 현무암과 달리 수암은 강도가 다른 퇴적층으로 만들어져 침식이 진행되면 아주 복잡한 모양을 만든다. 이 돌을 정원 만들 때 썼다.

교토 동쪽 경계를 이루는 히가시 산은 대부분 화강석이며, 이 화강석은 흰색 장석과 회색 석영, 검은색 운모다. 화강석은 지표면에 노출되면 쉽게 분해되며 산에서 흘러가는 강에서 볼 수 있는 하얀 모래를 만든다. 정원의 남쪽 뜰에 바닥을 깔거나, 연못이나 계류에 거친 바닷가의 풍경인 스하마(洲浜)를 만들 때 이 모래를 썼을 것이다.



☞[박경자의 한중일 정원 삼국지] 전체기사 보기

한중일 정원 공간형태의 특성 연구 : 다양한 사용자의 생활문화 중심으로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


한중일 정원 공간형태의 특성 연구 : 다양한 사용자의 생활문화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6066480
저자
후핑리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2022. 2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한국어

DDC
745 판사항(23)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spatial form in Korea, China and Japan : focusing on the lifestyle culture of diverse users

형태사항
xi, 265: 삽화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최경란
참고문헌 : p.

UCI식별코드
I804:11014-200000605111

소장기관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138

상세조회
151

다운로드
15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정원 공간의 정신적 기능 특성에 대한 연구로 다양한 사용자가 유사한 동아시아 사상(유(儒), 불(佛), 도(道), 신(神)과 자연 철학 사상 포함)이 있다.

한중일 사상은 사용자의 생활공간 사용행태 유형에 따라 다양한 자연사상을 표현하는 방식을 택하고, 공간의 정신적 기능적 특징은 사용자의 사상과 생활, 취미를 반영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특화된 요소형태적 특성을 다양한 각도로 구성하고 있다.

한중일의 유사와 차이, 공간재료, 요소유형, 공간질서 표현, 물애, 실적, 유현, 식물의 흥망성쇠는 자연의 우주순환을 상징한다는 철학적 도리, 풍화된 자연천석, 산석과 실적의 미학이 보여주는 시공간의 환경, 질서, 축선, 중심성, 교통동선관념은 인간의 욕구기능을 주제로 한 인공질서를 표현한다.

유학과 신학의식, '하늘' '도' 관계, 유교 불교 도교의 세 가지 문화 형태, 유가의 교육교화 기능과 사회, 윤리와 민간신앙이 한중일의 동아시아 생활방식을 구성한다.한국이 주희를 받아들인 유학사상 사림학자의 형이상학문은 '이(理)' '기(氣)' 자연철학 사상을 둘러싼 형이하적 실천은 실학으로, 중국 유학은 공자·맹자를 핵심으로 한 '천인합일(天人合一)' '치중화(致中和)' 등 형이상적 자연철학 사상이 사용자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난다.

한중일 정원 공간 형태는 사용자의 지역 문화와 연관된다. 역사문화, 민간 신앙 및 사용자의 사회 신분 특징에서 구현되며, 사림(士林), 문인(文人), 무사의 세계관, 자연 사상, 심미 사상과 개인 취향이 정신적 욕구를 형성하여 서원(書院), 문인(文人) 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의 공간 배치, 경관 요소,시각적 화면과 정신적 사용 기능 등 형태 특성을 구성하였다. 이런 사용자의 문화 특성으로 15-17세기 한중일 지역 공간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공간 형태는 사용자의 정신과 물질적 삶을 담고 있으며,전통공간을 비교 분석하는 목적은 사회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공간 형태에 대한 영향이며,현대의 새로운 생활의 공간욕구 방향에 대한 탐색이다. 한중일의 서원, 문인정원,가레산스이 정원은 공간 사상과 정원 형태에서 객관적 차이가 두드러진다.

서적,문헌,회화 자료를 바탕으로 한중일 사용자 생활과 관련된 사례 3개씩 총 9개의 공간을 선정해 사용자 유형의 정원 공간 사용 행태를 자세히 그려 분석한다.
정원 사용자의 공간 사용 유형은 사상 유형, 생활 유형, 취향 유형이다. 문헌 조사 연구는 사용자 행위, 공간 배경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한중일 분석 연구와 고대 회화(繪畵) 자료에 대한 연구로 사용자 생활방식을 찾고, 공간 현장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추(Analogy)’라는 인지모델과 이론을 사용해 정원공간 내 사용자와 공간유형의 유사성과 차이의 특성관계를 분석 연구한다.유추의 주요 기능에는 이미 알고 있는 유추 내원의 개념 액세스, 이미 알고 있는 유추 내원을 목적물과 비교, 유추물 및 목적물간의 매칭 접합도 평가, 나의 액세스 유추물과 목적물간의 추론, 유추물과 목적물간의 공통성과 차별성 추출이 있다.

연구결과로 보면 사용자 사상은 서원,문인정원,가레산스이 정원 공간유형을 형성하면서 사용자의 생활습관과 풍속,개인적 취향 등이 공간의 차이를 이루고,또 사회계층과 구조의 변화가 새로운 생활방식을 가져오고 생활방식의 변화가 삶의 사용방법에 영향을 미쳐 공간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사한 사상 배경, 상이한 생활 방식과 상이한 사용자 정신적 기능에 대한 욕구에서 서원(書院), 문인(文人) 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 유형의 형태가 나타났다.본 논문이 공간 문화 차이 특징에 대한 연구를 형성하였으며, 공간 문화 특성의 구성요소를 발생하여 공간의 정신적 기능의 디자인 구성 요소의 가상을 제출하였다.

서원(書院), 문인(文人) 정원,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 공간의 4개 요소인 공간, 공간 배치, 경관 요소, 시각적 화면의 사용 기능에 대한 분석 연구 결과, 
한중일 각이한 유형의 정원 공간이 모두 공동한 정신적 기능이 있고, 정원 공간 내에서 사용자는 보편적으로 유사한 유불도(儒佛道) 사상이 있어 문화적 심리의 “은(隱)” “일(逸)” “의(義)” “리(理)”가 거주 생활 기능에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사림(士林), 문인(文人), 무사의 자아 정신의 실현이기도 하다. 

동시에 유정(幽靜)한 산수(山水) 경관에서의 생활방식에 대한 사용 욕구에서도 반영된다. 사림(士林)이 산림에 은거하여 “자연과 즐긴다”의 공간 행위는 우주 자연 본원과 인간 간의 관계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문인(文人) “도시 은거”의 은퇴는 도시에서 산거(山居)하는 유토피아식의 전원 생활에 대한 추구이고, 
무사가 정신적 생활을 선수(禪修)하는 것은 “생사일여(生死一如)” “검산일여(剑禪一如)”의 마음속에서 질리를 추구하고 각오하는 정신을 구현한다. 

한중일 정원 공간 형태는 상이한 사용자의 사상에서 생겨나는 공간 유형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여 사용자의 사용 방식에 따라 정원 공간 형태의 특성을 형성하였다. 전통적인 생활방식과 현대 도시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의 개인 취향, 사회 교류, 자연 체험 등 생활 행위에 대한 욕구는 자연적인 지속성이 존재한다. 한중일 3국 전통적인 사용자 생활방식과 공간 형태 특징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사상, 생활, 취미 행위 유형과 생활방식에 영향주는 공간 형태를 제출하였다. 이상적인 생활방식 디자인 구조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aper aim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life and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in which the space usage mode and architecture space configurati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were compared focusing on the users life and conception through the analysis on the features of space usage mode and space configuration of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It can be kn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thoughts and space forms reflected the East Asian though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gional folk custom and life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Amid the cases in this study, the user’s life culture was affected by the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regional life culture. As is known, the East Asian thoughts originated from hundreds of philosophical thoughts in ancient China.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the ideological basis of similarity among China, Korea and Japan has a long-term impact on users social values and spatial life cognition. In the Middle Ages, Korea, China and Japan blended local culture and foreign thoughts together, thus the main life culture thoughts of three countries under the change of their own society, namely, Neo-Confucianism, Confucian humanism and Buddhism, were formed. Owing to different user’s thought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emand were varied. Therefore, the garden living space forms of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with different functions were developed. In the 15th–17th century, the social environment of Second Literati Purge, factional struggle between bureaucratic groups and samurais’ war in Korea, China and Japan affected the space lifestyle of users. During this period, ancient intellects who wanted seclusion lived in mountain forests from the city center for learning and education, and scholars retired to the urban pastoral life, during which Zen Buddhism and Samurai Thought merged together and people began to pursue the life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ir inner essential spirit. Besides, the thoughts of diverse users also made the types and spatial elements of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form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use, the spatial forms of traditional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were understood, compared and studied, and an analog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patial life behaviors, usage modes and usage types of diverse users. Under the background of similar East Asian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natural concepts, different users thoughts, behaviors and lifestyles presented different needs of garden types, as well a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garden space elements and life cultur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sers in space use ideas and garden forms. Therefore, analyzing the behavior demand characteristics of users for traditional garden space is also the significance of studying the inherent and uniqu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space culture design. The space form involv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ra. The cases like classical academy,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are unique living and cultural space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are also regarded as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These cultural forces, which are hidden in the way of life and widely used, have gone beyond the functional scope of use and become the driving force of social innovation. Since ancient intellects, literati and samurais in the cases were the main social strata in the 15th–17th century, th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ere taken as a common basis for comparison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thoughts, usage and spatial forms of different types of users in the garden space by combining with regional culture, lifestyle and philosophical values. In terms of space though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concluded: among Korean scholars, the natural philosophy of “reason” and “spirit” and the order of life style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were shown,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propriety” and “true character” was reflected in their use behavior. In China, the spirit of Chinese literati came from Confucian classics, history, literary aesthetics and Taoist natural attitude towards life,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morality” and “art” in life behavior. From the aspect of Japanese samurai,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native deity thought and foreign religion and life culture thought were shown, and samurai’s spiritual life highlighted the inner nature. Above elements composed the space demand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had a direct correspondence with the space use types of the educational learning spac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lassical academies, the living space of scholars’ families, and the living space in monasteries. In addition to these, the study also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studying the lifestyle of living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e users.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behavior of space users not only reflected the space Neo-Confucianism, Confucian humanism, Buddhism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but also reflected the specific design elements of the garden space form demand by the types of space use thoughts, life types and interest type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users space usage, space types and element forms constitute the garden forms of academy education, literati life and belief life. Changes in social class and structure will bring new lifestyles, and changes in lifestyles will also affect the use of life and change the spatial form. Therefore, the research on the change of users spatial behavior provided a reference and a new perspective for the design of users use demand and spatial form.
Conclusion: Through the analogy analysis on the spatial form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 and Japanese rock gardens, the analysis on users spatial us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forms, the natural and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users ideology and culture and spatial forms can be obtained, thereby the research methods for the features of garden space usage and spatial form elements, and for the spatial form design feature elements were developed. Similar ideological background, different regional lifestyles and different users demands for spatial thought function have produced the types and usage modes of classical academies, literati gardens and Japanese rock gardens. Through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ultural differences, the element features of space life culture were learned, and the elements for functional design features of space spirit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put forwar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user’s hidd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pace percep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traditional culture inheritance were analyzed. Besides, the use type of space 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demand elements, the use thought reflecte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the life type showed the regional life culture, and the interest type made the inherent differences of individual perception clear, which forms the demand difference tendency of users for space as a whole under the influence of regional life style.
In Korea, the spatial characteristics reflected the overall order, and the outward tendency of using culture. Under the guidance of social system features, the overall system of the users can be reflected in their thoughts. As a result, social features, lifestyles, individuals and collectives were in the overall system, and spatial forms were realized through users.
The diversity in China’s spatial characteristics is not only reflected in the appearance differences and shape features, but also refers to the extended influence of thought, forming invisible and unique cultural marks. Spati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user’s behavior, and thoughts led to the characteristics of usage. It was know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usage types have a direct impact on space, which is convertible accordingly and appreciable, and also indicates the cognitive law of individualist, collective sprit and anatman to natur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pace life shows the independent space form,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the tendency of users to use space freely. The consistency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inward orientation of users form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inheritan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1.1 논문 챕터 구조 관계 5
1.1.2 한중일 선행 연구 9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9
1.2.1 연구 범위와 대상 19
1.3 연구 진행 구조 21

제 2 장 한중일 정원 공간 생활문화 특정 22
2.1 한중일 다양한 사상문화 23
2.1.1 한국 성리학 사상 23
2.1.2 중국 인문 사상 28
2.1.3 일본 종교 신앙 사상 32
2.2 한중일 사용자 생활문화 39
2.2.1 성리학에 기초한 생활문화적 특징 39
2.2.2 '문덕(文德) '에 기초한 생활문화적 특징 45
2.2.3 선종 사상에 기초한 생활문화적 특징 51
2.3 한중일 정원 생활공간 특징 57
2.3.1 한국 서원 공간 특징 57
2.3.2 쑤저우 고전원림 공간 특징 67
2.3.3 교토 신사·사원 공간 특징 74
2.4 한중일 정원 공간 사상과 생활문화 특성 82
2.4.1 공간 사상 특징 83
2.4.2 생활방시 문화 특징 84
2.4.3 정원 공간 특징 85
2.4.4 한중일 정원공간 사용자의 사상와 생활문화 특성 87

제 3 장 정원 공간과 사용자 행위의 특정한 비교 92
3.1 한중일 정원공간 내 사용방식과 공간형태 특성 93
3.1.1 한국 사례 93
3.1.2 중국 사례 108
3.1.3 일본 사례 134
3.2 정원 공간 내 사용 방식 유형 분석 158
3.2.1 한국 사례 사용 방식 158
3.2.2 중국 사례 사용 방식 165
3.2.3 일본 사례 사용 방식 174
3.3 한중일 정원 사용 방식 비교 183
3.3.1 한중일 정원 공간내의 사용방식 유형 분석 183
3.3.2 한중일 사상과 공간 요소 분석 186
3.3.3 한중일 정원 공간 형태 차이 특징 188
3.4 한중일 사용 유형와 공간 형태 요소 특성 194

제 4 장 15-17세기 한중일 정원 공간의 디자인 특성 분석 196
4.1 서원·문인정원·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 공간 형태 요소 198
4.1.1 공간 배치 199
4.1.2 경관 원소 202
4.1.3 시각 화면 205
4.1.4 사상기능 208
4.1.5 정원 시각 공간 특징 요소 211
4.2 한중일 정원 공간 사용 방식 분석 213
4.2.1 사용자 공간 사용 유형 특성 213
4.2.2 생활 문화과 사용자 행위 관계 217
4.2.3 공간 사용자 사용 방식 유형 분석 219
4.2.4 한중일 공간 사용 방식의 특성 비교 226
4.3 사용 방식과 공간 형태 디자인 특성 연구 229
4.3.1 사용자 사상 및 정원 공간형태 관계 229
4.3.2 공간사상의 특징 유형 236
4.3.3 자연 사상와 공간형태 특성 요소 240
4.4 한중일 사용자 행위과 공간형태 디자인 특성 241
4.4.1 정원 공간 형태 요소 분석 241
4.4.2 한중일 정원 공간 디자인 특성 243

제 5 장 결론 248
5.1 한중일 정원 공간 자연 사상, 생활문화 특성 249
5.1.1 공간 기능 형성 요인 250
5.1.2 공간 사용자의 사상 특성 251
5.2 한중일 사용유형과 공간형태 요소 특성 252
5.3 한중일 사용자 행위과 공간형태 디자인 특성 253
5.4 사용자 사상문화와 공간형태의 유기적 관계 255

===




====

전통정원의 재해석 ② 한국식 정원이란

전통정원의 재해석 ② 한국식 정원이란

전통정원의 재해석 ② 한국식 정원이란
정진우 입력 2013-09-23 


친환경 자연공간 속 '비움·채움의 미학' 깃들어


▲ 건지산 힐링숲, 조경단 역사경관 묘역, 동물원, 체련공원,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등을 에두르며 전통정원화사업이 추진되는 전주 덕진공원. 전북일보 자료사진

전통정원을 조성하기 위해 우리 조상들은 터살피기(相地), 자리잡기(立地), 설계(規劃), 시공(營造) 등의 과정을 거쳤다.



이 가운데 터살피기와 자리잡기의 경우 '지세는 높낮이를 따르고, 문을 들어서면 아취를 느끼게 하며, 지형에 따라 경물을 배치한다'는 지세자유고저 섭문성취 득경수형(地勢自由高低 涉門成趣 得景隨形)의 의미를 앞세웠다.



설계·시공단계에서는 '인지제의, 정청당위주 선호취경'(仁地制宜, 定聽堂爲主 先乎取景·지형에 따라 알맞게 조성하되, 청당 위치선정을 중히 여기며 경물의 취사선택을 앞세운다)을 중시했다.




△전통정원은 자연공간



굳이'배산임수'(背山臨水·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는 지세)나 '장풍득수'(藏風得水·바람은 감추고 물은 얻는다)와 같은 풍수적 사고를 거론하지 않아도, 한국정원은 친환경 자연공간이다. 자연재료와 조영물을 적절하게 배치해 한국의 미를 극대화하고, 몸과 마음을 스스로 열리게 만드는 공간이 한국정원인 셈이다. 또 한국정원은 심층적 생태주의와 차경기법을 앞세운, 비움과 채움의 미학을 깃들어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중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원을 '원림(園林)'으로 불렀고, 일본에서는 '정원(庭園)'이라고 썼다. 학계에서는 정원을 일본식 용어로 보는 이가 많다. 국내에서는 가원(家園), 임원(林園), 임천(林泉), 원(園), 원(苑), 정원(庭院), 화원(花園) 등의 다양한 명칭을 사용했고, 이제는 정원으로 굳어졌다.



어떤 이는 원림을 자연의 조건을 훼손하지 않고 식물과 조형물의 배치를 돋보이게 하는 친환경 조경문화로, 정원은 인위적인 부분이 가미된 인공적인 조경문화로 구분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정원은 자연과 인공이 어우러진 일종의 예술이다. 정원예술을 통해 사람들은 심신을 달래고, 상처를 어루만지는 게 어쩌면 당연하다.



△덕진연못에 전주 정체성 담아야


그런 한국식 정원을 덕진공원에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이 일단은 '옳은 선택'으로 평가받는다. 전북지역의 경우 남원 광한루가 대표적인 한국식 정원으로 불리고 있으며, 덕진연못이 전통정원으로 탈바꿈한다면 사정이 달라지게 된다.



이런 저런 이유로 덕진공원 전통정원화 사업은 한국식 정원의 새로운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덕진연못의 역사적 의미는 많은 문헌에서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고, 역사성과 상징성을 갖춘 공간에 전통정원이 채워진다면 전주의 시격이 한단계 올라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조선시대 대표적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덕진지(德眞池)는 부(府)의 북쪽 10리에 있다. 부의 지세는 서북방이 비어 있어 전주의 기맥이 이쪽으로 새어 버린다. 그러므로 서쪽의 가련산에서 동쪽의 건지산까지 큰 둑을 쌓아 기운을 멈추게 하고 이름을 덕진이라 하였으니, 둘레가 9073자이다"라고 적고 있다. 또 고려의 대문장가 이규보는 용왕제와 성황제가 덕진연못에서 거행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조선왕조의 창업과 관련된 건지산과 조경단도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그러면서도 덕진공원 전통정원화사업은 덕진공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덕진연못외에도 건지산 힐링숲, 조경단 역사경관 묘역, 동물원, 체련공원,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등을 에두르며'한국적 도시공원모델 제시'라는 포부를 숨기지 않고 있다.


전북대 김정문 교수는 "덕진공원 전통정원 조성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전주의 정체성에 맞는 전통정원에 대한 개념이 정립돼야 하고, 덕진연못·조경단·건지산·동물원 등이 활용지속성과 환경생태성이라는 밑그림아래 유기적으로 결합돼야 한다"면서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긴 호흡으로 넓게 멀리 보고 청사진을 그려야 한다"면서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는 주문을 잊지 않았다.



● 한·중·일의 전통정원



- 韓 '자연 순응' 中 '규모 압도' 日 '축소 지향'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의 전통정원은 '차경'(借景·경치를 빌리다)을 중시하는 동양정원이라는 울타리에 속해있다. 그러면서도 세 나라의 전통정원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에 대해 우석대 신상섭 교수는 "한국의 정원이 '1대 1'이라면, 중국의 정원은 '1대 10', 일본은 '1대 1/10'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한국의 정원이 자연을 있는 그대로 옮기는 데 주력했다면, 중국의 정원은 모든 것을 한 눈에 볼 수 없을 정도로 규모를 앞세웠고, 지진이 잦은 일본에서는 자연을 축소하는데 천착했다는 것.



또 한국에서는 궁궐·별서정원이, 일본에서는 사찰정원, 중국은 부유한 관리들과 문인들이 지은 민간정원이 발달한 것도 특이하다.



숲이 유난히 많고 수려한 자연경관을 가진 한국의 경우 자연스럽게 자연과 동화된 자연풍경식 조경을 중시했다. 연못·누각·화단 등은 직선으로 처리하는 등 자연미를 최대한 배려하면서 도형적인 대비효과를 가미했다. 한국인 특유의 무위자연과 겸양,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순천주의(順天主義)정신을 엿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중국의 정원은 자연의 이상향과 다양성을 표현하기 위해 규모를 키웠고, 형식에 치우치지 않는 자유분방함이 돋보인다. 동굴·바위 등을 인공적으로 만들고, 누각도 높고 화려하다.



한편 일본은 땅가름(地割)과 돌놓기(石組)로 대표되는 독특한 정원양식을 발전시켰다. 재난재해가 많다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일본의 정원은 폐쇄적이고 축소지향적이다. 불교사찰·신사를 중심으로 정원문화가 발달한 만큼 간결하고 사색적이며 작위적이라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