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06

The Living God and the Fullness of Life: Moltmann, Jurgen:

The Living God and the Fullness of Life: Moltmann, Jurgen: 9782825416648:




The Living God and the Fullness of Life Paperback – November 27, 2015
by Jurgen Moltmann (Author)
4.7 out of 5 stars 23 ratings
4.1 on Goodreads

A life founded in God is fulfilling, claims Jurgen Moltmann, while modern life without God has become diminished. For all its virtues and conveniences, it has left us frantic, isolated, and alone. By contrast, Moltmann turns to the promise of life trusting in the living God. His starting point is the biblical experience of the unconditional nearness, attentive love, and the inexhaustible vitality of God. God is neither immovable nor impassible nor remote from people but intimately involved with and present to each of us. What it means to live in the presence of God's love and the life of God is the subject of Part Two. The freedom and friendship of God's love awaken all our senses and give us courage to think and act, Moltmann maintains. In this way, human life may be deeply experienced, fully embraced body and soul, and joyfully lived. Jurgen Moltmann has written a wise yet very personal book. A truly fresh vision and a kind of theological encouragement, it brings together, in an alternative way of life, our everyday experiences and profound insights into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human existence.

November 27, 2015

4.7 out of 5 stars 23 rating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barryb

5.0 out of 5 stars A FESTIVAL OF TRUTH CONCERNING THE “KINGDOM-OF-HENOSI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2, 2016
Verified Purchase
A FESTIVAL OF TRUTH CONCERNING THE “KINGDOM-OF-HENOSIS”:
Jürgen Moltmann’s latest book is a detailed elaboration of earlier work, concerning the doctrine of God and “Spirit”. Therefore, Moltmann assumes the reader to have already become familiar with his earlier work and theological position. In other words, it is not an entry-level read and the reader should have already acquired some background work in Moltmann’s theology.
If you take the manuscript in small portions, you should be able to absorb the material without too much difficulty. I approached the manuscript in the following order of 14 short lessons

1. Negating diminished life pp. 1-14
2. Pre-rational affirmation pp. 23-35
3. False transcendence and attributes pp. 35-45
4. False-transcendence and attributes pp. 46-56
5. Objective transcendence and “unity” pp. 57-67
6. Henosis dimensions of divinity, generations, & earth pp. 73-87
7. Henosis and joy pp. 87-103
8. Henosis and freedom pp. 103-117
9. Henosis and friendship pp. 117-129
10. Henosis and necessity of passion pp. 129-137
11. Love and the binding-agency-of-friendship pp. 137-157
12. Awakening the senses pp. 157-177
13. Transcendence and the “kingdom-of-henosis” pp. 177-191
14. Prayer within “henosis” pp. 191-209

Moltmann approaches theology-proper, that is, the “doctrine-of-God” by introducing a new topic of discussion into systematic theology – the doctrine of the “UNIFYING-ACTIVITY-OF-HENOSIS”. “To enter into a union”, or “unity”. The unifying activity of God’s spirit in lifting creation into union with GODSELF.

In doing this, he openly announces that he is taking-up Hegel; and interpreting him theologically (the Hegel somewhere situated between Tubingen and Jena).

I would classify the book as Grad-level or Post-Grad; and for the seasoned student. But for those who have followed Moltmann over the years; you are going to love it. Brilliant, inspiring, prophetic. 5 stars

9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Customer 7

5.0 out of 5 stars Most Excellen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11, 2019
Verified Purchase
The culmination of one of the 20th century's best theologians. Practical, wise, deep, and inspiring. Highly recommended!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Director Don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3, 2016
Verified Purchase
Moltmann proves again to be our greatest living theologian. Insightful, helpful and worth sharing.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Kindle Customer

5.0 out of 5 stars Spiritual work.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y 14, 2017
Verified Purchase
Wonderful work. Very strong spiritual guidance.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mazon shopper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23, 2016
Verified Purchase
just as expected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Phil Aud

4.0 out of 5 stars Dense But Grea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18, 2016

Moltmann explores what it means to live a joyful and ‘festive’ life with the living God in this book. At the beginning of this work he immediately sets out to talk about the diversity of origins (French, German, and English) that have created what we call the ‘modern’ world. I found this to be very helpful. He then quickly moves into a dialogue with the work of Feuerbach and juxtaposes Feuerbach’s theories (which Moltmann refers to as the ‘reduction' of life against) against his own thesis of the fullness of life (as the title suggests). Interesting, particularly as the book moves on, is Feuerbach’s writing on the non-suffering of God against Moltmann’s premise that Christianity is a religion of joy with a crucified and resurrected Christ at it’s center (resurrection being a key theme and hermeneutic of the book).

Another theme that takes up much of the first quarter of the book (and is revisited at the end) is the “openness of God” (though Moltmann never refers to it as such). He writes compellingly that “The biblical experience of God would correspond to a ‘self-moved Mover’ rather than to an ‘unmoved Mover.’”

The second half of the book had some incredible writing on topics such as joy (“Joy is the meaning of human life. Human beings were created in order to have joy in God. They are born in order to have joy in life.”), the eros of God in creation, and hopeful eschatology. The chapter on friendship was particularly good.

I do have two critiques of the book. First, at the outset Moltmann writes that he “tried to write comprehensibly for theologians and nontheolgians and had in view both those who enjoy thinking theologically and those who have not yet tried to do so.” Mission not accomplished. The first 30% of the book was very dense (though it eases up, somewhat, after that). I think that most who have not read a fair amount of theology or philosophy might put the book down early on. The material was well worth wading through but the author could have/should have spent more time writing these thoughts in a more accessible way. The second critique I have has to do with certain assumptions that the author has taken. One reviewer humbly stated that he wasn’t a “theological scholar" and hadn’t studied all of Moltmann’s work, and continued his review with these disclaimers. I saw this as a weakness of the book, not the reviewer. There were a few times throughout the book where I felt a bit lost. However, I started realizing (while checking the endnotes) that Moltmann was expounding on his previous work. I felt this particularly on some of his Trinitarian work. In fairness, after finishing the book I reread the introduction where Moltmann stated, “I have taken up ideas that I already expressed earlier and have developed them further. I have gathered together previous experiences and insights about the fullness of life, and am setting them in the new context of this book.” This is fair,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ose who are “nontheologians” to whom the book was, at least partially, directed.

Overall the book was dense but fantastic. The endnotes do help one to know where to further explore Moltmann’s particular thoughts, so in that way it is a good place to start.

*I’m reviewing the book from a digital copy that I received from Netgalley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See all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jean Hassenforder
5.0 out of 5 stars En réponse à nos questions existentielles, une théeologie pour la vie en dialogue avec la culture contemporaineReviewed in France on March 25, 2016
Verified Purchase

Aujourd'hui, dans la lignée de ses nombreux ouvrages , le nouveau livre de Jürgen Moltmann, publié par le Conseil Mondial des Eglises, s'intitule : « The living God and the fullness of life » (Le Dieu vivant et la plénitude de vie » . L'auteur s'adresse en premier à un public marqué par une culture moderne qui ferait appel à « des concepts humanistes et matérialistes » de la vie, une culture dans laquelle Dieu serait absent. Cette vie sans transcendance engendre un manque et induit ce que Moltmann appelle une « vie diminuée ».
Si une forme de christianisme a pu apparaître comme un renoncement à une vie pleinement vécue dans le monde, Moltmann nous présente au contraire un Dieu vivant qui suscite une plénitude de vie. Dieu n'est pas lointain. Il est présent et agissant. « Avec Christ, le Dieu vivant est venu sur cette terre pour que les humains puissent avoir la vie et l'avoir en abondance (Jean 10.10). Moltmann nous propose une spiritualité dans laquelle « la vie terrestre est sanctifiée » et qui se fonde sur la résurrection du Christ. Dans la dynamique de cette résurrection, « l'horizon de l'avenir, aujourd'hui assombri par le terrorisme, la menace nucléaire et la catastrophe environnementale, peut s'éclairer. Une lumière nouvelle est projetée sur le passé et ceux qui sont morts. La vie entre dans le présent pour qu'on puisse l'aimer et en jouir' Ce que je désire, écrit Moltmann, c'est de présenter ici une transcendance qui ne supprime, ni n'aliène notre vie présente, mais qui libère et donne vie, une transcendance par rapport à laquelle nous ne ressentions pas l'envie de lui tourner le dos, mais qui nous remplisse d'une joie de vivre » (p X-XI).

Le livre se développe en trois mouvements. Dans le premier, en introduction, Moltmann décrit le visage du monde moderne tel qu'il est issu des Lumières, dans une trajectoire selon les histoires nationales. Et il entre en dialogue avec deux penseurs de cette époque, Lessing, puis Feuerbach, critiquant ainsi les racines de l'athéisme contemporain. Mais à quel Dieu pouvons-nous croire ? N'y a-t-il pas des représentations de Dieu qui font obstacle ? Dans un second mouvement, Moltmann nous présente un « Dieu vivant », tel qu'il le perçoit à travers la Parole biblique, hors des dérives entrainées par un usage inconsidéré de la philosophie grecque. Enfin, dans un troisième mouvement, il nous montre comment la vie humaine trouve son épanouissement en Dieu. « Mon but est de montrer comment cette plénitude procède du développement de la vie humaine dans la joie de Dieu, dans l'amour de Dieu, dans le vaste espace de liberté de Dieu, dans la spiritualité des sens et dans une puissance imaginative et créative et créatrice de la pensée qui traverse les frontières » (p xi).

Ecrit à l'intention d'un vaste public, ce livre nous paraît néanmoins particulièrement dense, notamment dans son argumentation philosophique. Mais il recèle des trésors, car, comme les autres livres de ce grand théologien, il traite des grandes questions contemporaines, il ouvre des voies nouvelles et il répond à des questions existentielles. Les chapitres de la deuxième partie abondent en ouvertures qui nourrissent à la fois la réflexion et la méditation.
La pensée de Moltmann parle à la fois à l'intelligence et au cœur :
« On entend dire que la vie sur terre n'est rien qu'une vie mortelle et finie. Dire cela, c'est accepter la domination de la mort sur la vie humaine. Alors cette vie est bien diminuée. Dans la communion avec le Dieu vivant, cette vie mortelle et finie, ici et maintenant, est une vie interconnectée, pénétrée par Dieu et ainsi, elle devient immédiatement une vie qui est divine et éternelle » (p 73). « La vie humaine est enveloppée et acceptée par le divin et le fini prend part à l'infini. La vie éternelle est ici et maintenant. Cette vie présente, joyeuse et douloureuse, aimée et souffrante, réussie ou non, est vie éternelle. Dans l'incarnation du Christ, Dieu accepté cette vie humaine. Il l'interpénètre, la réconcilie, la guérit et la qualifie pour l'immortalité. Nous ne vivons pas simplement une vie terrestre, ni seulement une vie humaine, mais nous vivons aussi simultanément une vie qui est remplie par Dieu, une vie dans l'abondance (Jean 10.10)' Ce n'est pas la foi humaine qui procure la vie éternelle. La vie éternelle est donnée par Dieu et elle est présente dans chaque vie humaine, mais c'est le croyant qui en a conscience. On la reconnaît objectivement et subjectivement, on l'intègre dans sa vie comme la vérité. La foi est une joie vécue dans la plénitude divine de cette vie. Cette participation à la vie divine présuppose deux mouvements qui traversent les frontières : l'incarnation de Dieu dans la vie humaine et la transcendance de cette vie humaine dans la vie divine' » (p 74). Voici un exemple des horizons que Jürgen Moltmann nous apporte et qui, bien souvent, éclaire notre vie.
Read less
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See all reviews

=====


REVIEW
The Living God and the Fullness of Life
By: Jürgen Moltmann


One wonders if there will ever be an end to Jurgen Moltmann’s passion for theology and writing—this book is but one more example of a life both intensely lived and broadly reflected on with integrity. If this were his last book, it would be a fitting testament. As alluded to in places, it incorporates a good deal of previous volumes, including memoirs, always helpful references to Moltmann’s personal World War II experiences, and his three years as a Prisoner of War. He thinks of it as complementary to two prior readable works with life in the title: The Spirit of Life (Fortress Press, 1992) and The Source of Life (Fortress Press, 1997). There are certainly echoes to In the End–The Beginning: The Life of Hope (Augsburg/Fortress Press, 2004) as he touches on death, the cross, resurrected and eternal life and, once more, clear Trinitarian convictions conveying the pervasive presence of God. If one has even a nodding familiarity with basic Moltmann themes there is much to look forward to and cull from this book, including retrieved and fresh reflections on play, revolution, death, ecology, and hope—with prayer and thinking. In view of the very worrisome current events, what’s missing are explicit comments on corporate sin, and thus evil, though implicit in familiar reflections on the cross and compelling sections on living in fellowship—via the Divine life—with humans living and dead, and the earth. In any case, a working index would have clearly helped the reader.

Likely intended for a wider, popular readership, there are discernible traces of combined approaches of several theological methods in The Living God. I think of apologetics via Friederick Schleiermacher, or a Niebuhr-like treatise in response to the “cultural despisers” of historic and contemporary Christianity. In the introductory chapter, “The Diminished Life of the Modern World,” Moltmann deftly depicts and firmly critiques the plain, shallow reductionistism in secularism and its pretensions to thinking and living apart from the theistic dimension and perspective. I think of a socio-ethical approach given the book’s consistent interweaving of a holistic and concrete attention to both shared and mutually respectful life. It thus includes the earth and the support systems humans are summoned to attend in chapter 5’s “In the Fellowship of the Earth,” and chapter 6’s “Freedom Lived in Solidarity.” I discern a meditative and even poetic tonal approach via an eco-theological or a pen-en-theistic intuition of God’s sustaining grounding of life. Chapter 9’s aesthetically attentive “A Spirituality of the Senses”’ is worth the whole of the book. Indeed, this book could readily be used as a meditation reader. I think further of the approaches of systematic theology and with it, philosophical theology—Moltmann again expressing a thermal current indebtedness to the constructive critique of Ernest Bloch’s affirming “truth as prayer” in chapter 10. Again, one encounters the richness of Moltmann on the inescapable eschatological dimension; he evokes how the “end” penetrates the present, profoundly influences the past, and ever luring us to contribute to what in the eschaton sense of the end—including more than finis or teleos—God will be all to all. That Moltmann persists in professing the nature of God’s redeeming purpose to be relentlessly pervasive continues to challenge—that Dag Hammarskjöld-like, cannot rest until even evil perpetuators as well as their sinned-against are included.  Alas I, and perhaps others, presently lack such grace and hence stand in the need of what Moltmann counsels is the enduring ministry of hope. To wit, “The person who maintains hope in life is already saved” adding, Thomas Merton-like: “It continually makes us live again” (169).

An expression of Moltmann’s core credo is present in this book from start to finish; a confession of faith that expresses the legacy of church history and convictions that endure as bedrock. An “adoration and doxology” section thus concludes the volume: “in the adoration of God we stand face to face not only with the holy mystery but also with God’s inexhaustible fullness … the inexhaustible abundance of God, from which we take not only grace upon grace but also life upon life” (207). Of the many ways life can be depicted or unpacked–Canadian ecologist David Suzuki simply expresses the meaning of life to be life–Moltmann sojourns into the indispensable heritages of the church “fathers” and Reformers. Representing the former, Ireneus professed that the glory of God is the human being full alive, while the Westminster Catechesis confesses that the chief end of humans is to glorify God and enjoy the presence of that Being forever. While I wondered if the discipline of practical theology, in the service of practical ministry, was at all evident, my forced present attention to the devastating opioid crisis—especially in Vancouver and the whole province of British Columbia—signs that indeed, the very title to this book conveys in the drug trade and its virtually evil dependency on desperately pervasive addictions. To all of the above, this book compellingly attests.

Wouldn’t it be fitting if Journey Films took on–as has already been done for Dietrich Bonhoeffer and Reinhold Niebuhr–a life witness of Jurgen Moltmann, his steadfast life partner and frequent co-author, Elisabeth Moltmann-Wendel, and the frequently able translator, Margaret Kohl.

Barry K. Morris is an independent scholar, long-time urban minister, and author of the recent Hopeful Realism in Urban Ministry.

Date Of Review:
February 24, 2017


Taechang Kim | 심관섭 목사 독서모임 유르겐 몰트만《살아 있는 신과 풍성한 생명》

Taechang Kim | Facebook


Taechang Kim
orodnSseptai2h01313t369hmc0i371155iclca2la3fgmu83t1huf29l694 ·






Taechang Kim

今日午前(2023.5.5.金曜日、10:00-12:00)シムクアンソブ牧師主宰神学読書会でユルゲン-モルトマン最晩年著作韓国語訳本《生きている神と豊盛なる生命》講読及び質疑討議に参加し、いろいろ考えさせれた. 改めて今まで、読んで共感し、神体感-体認-体得に多大な
影響を受けた、神関連愛読書たちを選び出して彼方此方を 拾い読みをして見た.

今回シムクアンソブ牧師が選んだ本書を共に読むことの必要性と重要性を実感した. 
抽象化-観念化-教理化され過ぎて、
生命感の剥奪された神が
我々自身の日常生活の真っ只中で
生生化化する実相に直触出来ることを願う.

이번에 심관섭 목사가 선택한 본서를 함께 읽을 필요성과 중요성을 실감했다.
지나치게 추상화 - 관념화 - 교리화되어, 생명감의 박탈 된 하나님이 
우리 자신의 일상 생활의 한가운데서 생화화하는 실상을 직접 만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살아 계신 하나님과 풍성한 생명 오늘날의 무신론 논쟁에 대한 한 담론
위르겐 몰트만 저/박종화 역 | 대한기독교서회 | 2017년

책소개
이 책은 생명의 신학자 몰트만이 성령론 시리즈로 집필한 『생명의 영』, 『생명의 샘』을 보완한 책으로,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변화를 가능케 하는 창조의 힘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영을 누구나 알기 쉽도록 설명한 책이다. 그는 이 책에서 오늘의 세계는 인간 중심과 물질 중심의 세계로, 인간은 일종의 축소된 삶을 경험하게 되지만, 믿는 자들은 하나님을 의지하며 풍성한 삶을 누리며 산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오늘날의 어두운 미래를 그리스도의 부활로 바라보아야 하며, 세상에 새로운 희망을 불어넣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몰트만은 요한일서 1:2에 근거해서 인간이 억압이나 소외당하지 않고 생기를 되찾고, 생명의 환희로 채워줄 초월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의 제1부에서는 성서가 말하는 “살아 계신 하나님”에 대해 살피고, 그의 개인적 경험과 생각을 이 안에서 설명하고 새로운 틀을 제시한다. 제2부에서는 신적인 삶 속에서 인간의 삶이 전개되는 모습을 제시하고, 인간이 어떻게 하나님의 넓은 공간에서, 미래의 시간대에서 풍성한 삶을 살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서 인간의 고난과 함께 숨쉬고, 같이 아파하시는 하나님을 만나게 될 것이며, 하나님의 영이 인간을 어떻게 풍성한 삶으로 인도하는지에 대한 근거와 그 방향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살아 계신 하나님

서론 현대 세계의 축소된 삶 ● 19
제1장 살아 계신 하나님 ● 49
제2장 하나님의 본성 ● 64
제3장 그리스도의 역사에 나타난 살아 계신 하나님 ● 96

제2부 풍성한 생명

제1장 현세의 영원한 생명 ● 117
제2장 하나님의 기쁨이 부여하는 넓은 공간의 삶 ● 135
제3장 연대하는 삶에서 누리는 자유 ● 157
제4장 열린 우정의 삶에서 누리는 자유 ● 177
제5장 사랑받고 사랑하는 삶 ● 192
제6장 감각의 영성 “내 영혼을 소생케 하심이여 …” ● 232
제7장 희망하고 생각하고 ● 258
제8장 삶-끝없는 축제 ● 280
접어보기


저자 소개 (2명)
저 : 위르겐 몰트만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파일
1926년 4월 8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출생한 몰트만은 17세가 되던 해에 제2차 세계대전에 투입되었다가 지옥과 같은 전장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포로수용소에서 군목이 건네준 성서를 읽던 중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만난 후에 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괴팅엔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박사자격논문을 완성했다. 부퍼탈 대학 교수로 부름을 받아 신학을 가르치기 시작한 그는 본 대학을 거쳐 튀빙엔 대학에서 은퇴할 때까지 신학을 가르쳤다.

블로흐의 무신론적 “희망의 철학”에 대한 신학적 응답이었던 『희망의 신학』(1964)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된 그는 지금까지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1972),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1975),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1980),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1985), 『예수 그리스도의 길』(1989), 『생명의 영』(1991), 『오시는 하나님』(1995), 『몰트만 자서전』(2006), 『희망의 윤리』(2010)를 포함하여 30여 권의 책을 썼다. 그는 바르트 이후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현대 신학자로 널리 인정을 받고 있다.
접어보기
작가의 다른 상품
하나님 나라의 지평안에 있는 사회선교
하나님 나라의 지평안에 있는 사회선교

9,500원 (5% 할인)

 
나는 영생을 믿는다
나는 영생을 믿는다

10,800원 (10% 할인)

 
그리스도가 계신 곳에 생명이 있습니다
그리스도가 계신 곳에 생명이 있습니다

10,800원 (10% 할인)

 
오늘 우리에게 그리스도는 누구신가
오늘 우리에게 그리스도는 누구신가

9,900원 (10% 할인)
=====
역 : 박종화

한국신학대학,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튀빙엔 대학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신대학교 교수,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총무, 세계교회협의회 중앙위원, 대통령 통일고문,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총재, 경동교회 담임목사 등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재단이사 및 실천신학대학원 대학교 재단이사, 대화문화아카데미(전 크리스챤아카데미) 이사장, (재)국민문화재단(국민일보) 이사장이다.저서로는 『평화신학과 에큐메니칼 운동』, 『평화?그 이론과 실제』, Minjung: Theologie des Volkes Gottes in Sudkorea Neukirchen, “Protestantism and Postcolonialism in Korea,” in Reformation Legacy and Future, ed. by P. Bosse-Huber, S. Fernerod, T. Gundlach, G. Locher,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5(독일어 판, 500 Jahre Reformation: Bedeutung und Herausforderungen, TVZ/Sek/EKD 2014; 프랑스어 판, Celebrer Luther ou la Reforme? 1517-2017, EKD/Sek/feps, 2014) 등이 있고, 역서로는 『인간화』, 『칼 바르트』 외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Mushāhadah | Ṣūfism | Britannica yaqīn (real certainty) 무샤하다 - 야킨

Mushāhadah | Ṣūfism | Britannica

mushāhadah
Ṣūfism
   
Also known as: shuhūd

Related Topics: Sufism

mushāhadah, (Arabic: “witnessing” or “viewing”) also called shuhūd (“witnesses”), in Sufi (Muslim mystic) terminology, 

the vision of God obtained by the illuminated heart of the seeker of truth. 

Through mushāhadah, the Sufi acquires yaqīn (real certainty), which cannot be achieved by the intellect or transmitted to those who do not travel the Sufi path.

 The Sufi has to pass various ritual stages (maqām) before he can attain the state of mushāhadah, which is eventually given to him only by an act of sheer grace of God. 

Mushāhadah, therefore, cannot be reached through good works or mujāhadah (struggle with the carnal self ). Further, it is bestowed by God upon whom he pleases.

Mushāhadah is the goal of every Sufi who aspires to the ultimate vision of God

its opposite, ḥijāb (veiling of the divine face), is the most severe punishment that a Sufi can imagine. 

Sufis regard their life before attaining mushāhadah as having been wasted. According to one anecdote, when the famous mystic Bāyazīd al-Besṭāmī (d. 874) was asked how old he was, he replied “four years.” When asked for an explanation, he answered, “I have been veiled from God by this world for seventy years, but I have seen Him during the last four years; the period in which one is veiled does not belong to one’s life.”

Ḥaqīqah | Ṣūfism | Britannica

Ḥaqīqah | Ṣūfism | Britannica


ḥaqīqah
Ṣūfism

Related Topics: Sufism
See all related content →


ḥaqīqah, (Arabic: “reality,” “truth”), in Sufi (Muslim mystic) terminology
the knowledge the Sufi acquires when the secrets of the divine essence are revealed to him at the end of his journey toward union with God. 

The Sufi must first reach the state of fanāʾ (“passing away of the self”), in which he becomes free from attachment to the earthly world and loses himself entirely in God. After he is awakened from that state he attains the state of baqāʾ (“subsistence”), and ḥaqīqah is revealed to him.


The Sufis called themselves ahl al-ḥaqīqah (“the people of truth”)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ahl ash-sharīʾah (“the people of religious law”). They used the label to defend themselves against accusations by orthodox Muslims that Sufis deviated from Islamic laws and principles laid down in the Qurʾān (Islamic scripture) and Ḥadīth (sayings of Muhammad). Such accusations, the Sufis maintained, were made because the orthodox relied too much on the external meaning of religious texts and did not have the ambition or energy to seek an understanding of the inner meaning of Islam.

Unio mystica - Wikipedia union with God or the Absolute

Unio mystica - Wikipedia

Unio mystic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direct page

====

Union with the Divine or Absolute and mystical experience[edit]

Deriving from Neo-Platonism and Henosis, mysticism is popularly known as union with God or the Absolute.[1][2] In the 13th century the term unio mystica came to be used to refer to the "spiritual marriage," the ecstasy, or rapture, that was experienced when prayer was used "to contemplate both God’s omnipresence in the world and God in his essence."[web 1] In the 19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Romanticism, this "union" was interpreted as a "religious experience," which provides certainty about God or a transcendental reality.[web 1][note 1]

An influential proponent of this understanding was William James (1842–1910), who stated that "in mystic states we both become one with the Absolute and we become aware of our oneness."[16] William James popularized this use of the term "religious experience"[note 2] in his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18][19][web 2] contributing to the interpretation of mysticism as a distinctive experience, comparable to sensory experiences.[20][web 2] Religious experiences belonged to the "personal religion,"[21] which he considered to be "more fundamental than either theology or ecclesiasticism".[21] He gave a Perennialist interpretation to religious experience, stating that this kind of experience is ultimately uniform in various traditions.[note 3]

McGinn notes that the term unio mystica, although it has Christian origins, is primarily a modern expression.[22] McGinn argues that "presence" is more accurate than "union", since not all mystics spoke of union with God, and since many visions and miracles were not necessarily related to union. He also argues that we should speak of "consciousness" of God's presence, rather than of "experience", since mystical activity is not simply about the sensation of God as an external object, but more broadly about "new ways of knowing and loving based on states of awareness in which God becomes present in our inner acts."[23]

However, the idea of "union" does not work in all contexts. For example, in Advaita Vedanta, there is only one reality (Brahman) and therefore nothing other than reality to unite with it—Brahman in each person (atman) has always in fact been identical to Brahman all along. Dan Merkur also notes that union with God or the Absolute is a too limited definition, since there are also traditions which aim not at a sense of unity, but of nothingness, such as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and Meister Eckhart.[web 1] According to Merkur, Kabbala and Buddhism also emphasize nothingness.[web 1] Blakemore and Jennett note that "definitions of mysticism [...] are often imprecise." They further note that this kind of interpretation and definition is a recent development which has become the standard definition and understanding.[web 6][note 4]

According to Gelman, "A unitive experience involves a phenomenological de-emphasis, blurring, or eradication of multiplicity, where the cognitiv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is deemed to lie precisely in that phenomenological feature".[web 2][note 5]



====

Mahiya, Mahīya: 5 definitions

Mahiya, Mahīya: 5 definitions

Mahiya, Mahīya: 5 definitions

Introduction:

Mahiya means something in Hinduism, Sanskrit. If you want to know the exact meaning, history, etymology or English translation of this term then check out the descriptions on this page. Add your comment or reference to a book if you want to contribute to this summary article.

Languages of India and abroad

Sanskrit dictionary

Source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Benfey Sanskrit-English Dictionary

Mahīya (महीय).—a [denominative.] derived from maha, [Ātmanepada.] ([Parasmaipada.], [Rāmāyaṇa] 6, 82, 44). 

1. To be honoured, [Mānavadharmaśāstra] 4, 260; pass. mahīyya, The same, [Bhaṭṭikāvya, (ed. Calc.)] 2, 38. 

2. To be exalted, [Śākuntala, (ed. Böhtlingk.)] [distich] 194.

Source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Cappeller Sanskrit-English Dictionary

Yoo Jung Gil - 다시, 죽음의 굿판을 때려치워라-김지하시인 1주기 추모문화제>... | Facebook

(3) Yoo Jung Gil - <다시, 죽음의 굿판을 때려치워라> 5월 6일-8일 <김지하시인 1주기 추모문화제>... | Facebook

Yoo Jung Gil
8 h ·
<다시, 죽음의 굿판을 때려치워라>
5월 6일-8일 <김지하시인 1주기 추모문화제>
에서 있을 7일 토론<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의 저의 토론문입니다.
...........................................................
<다시, 죽음의 굿판을 때려치워라>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녹색불교연구소 소장)
(IPCC 6차 보고서, 2040년에 도달할 1.5도의 비극)

지난 달인 2023년 3월 20일 IPCC 6차보고서는 이대로 가면 지구 평균기온은 2040년에 티핑포인트인 1.5℃에 도달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는 3년전 2050년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진 것이다. 인류가 위기를 해결할수 있는 기회가 10년 줄어든 것이다. 그러면 과연 인류는 2040년이후는 어떤 삶이 펼쳐질까? 이 위기 다음의 세상은 어떻게 될까?
이제까지 인류는 어제보다 오늘, 오늘보다 내일이 나을 것이며, 시간적 차이를 두고 모든 국가는 풍요로운 유토피아를 이룰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다. 자본과 돈, 권력이 행세하는 소수의 자본가와 독재권력에 항거하여 민중이 중심이 된 평등한 세상이 되면 시대의 모순은 다 해결되고 아름다운 진보의 미래가 펼쳐질 것을 믿었다. 80년-90년초까지 한국사회는 계급모순이나 민족모순이 해결되면 사회주의나 최소한 북유럽 수준의 풍요로운 사회주의 비슷한 것을 희망의 미래로 상상했다.
그러나 고르바쵸프가 몰타에서 자본주의와의 경쟁을 폐기하고, 전지구적인 위기로서 환경생태문제를 주목하며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를 선언했다. 급기야 1990년 직후 동구와 소련이 붕괴하는 사건을 목도하면서 변혁을 위해 노력한 사람들은 크나큰 충격을 받아야 했다. 이후 92년 브라질 리우환경회의는 <지속가능할 발전 ESSD>이라는 세계적 화두를 던졌다. 이는 인류가 2-300년간의 이제까지의 진보와 성장, 발전이 지속불가능한 발전임을 선언하고 이러한 발전 페러다임의 패절과 강력한 전환을 요구하는 사건이었고, 의제21( Agenda21)이라는 세계적 변혁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온나라의 발전방향의 전환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동구가 붕괴하기 시작한 1990년, 그리고 1992년 리우환경회의 사이에, 1991년 5월 5일 시인 김지하는 “죽음의 굿판을 때려치우라”는 사자후는 당시 전지구적인 전환의 위중한 시기를 깨닫지 못한 사람들에겐 당황스럽고 이해할수 없는 행동이었다. 그래서 과거 동지였던 많은 사람들은 이를 배신이라고, 섬망증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런데 30년이 지난 지금도 그렇게 이해하고 넘어가면 되는 걸까?
 
(생명위기의 본질과 인간의 어리석음)

오늘날 인류에게 닦친 심각한 문제는 계급문제나 민족문제를 압도하는 기후위기로 대표되는 환경위기, 생태위기와 생명위기이다. 한때는 그저 여러문제중 하나인 환경문제의 일부라고 생각해지만, 이제 전지구적인 페러다임의 문제이며, 인류의 총체적인 문명전환을 강제하는 메시지라는 것은 30년이 지난 지금은 상식이 되었다.
그러면 생태위기의 본질은 무엇인가? 자본주의(청색)든 사회주의(적색)이든 결국 기후위기를 초래하게 만든 동일한 원인제공자로서, 그놈이 그놈인 쌍둥이일 뿐이라고 비판하며 생태주의(녹색)가 등장했다. 그래서 생태적 재의식화로 전환사회를 구성하지 않으면 안될 시대임을 강변하게 되었다. 80년-90년대의 진보라는 페러다임이 생태위기 앞에 과연 그것이 진정한 진보였는지를 돌아보게 되었고, 나아가 역사가 그렇게 앞에서 뒤로 직선적으로 상승 발전하는 것인지도 의심을 품게 되었다.
1991년 바로 그때가 인류에게 전환의 각성을 요구한 안팎의 변곡점이었다. 바로 그때 이를 예감한 김지하는 민주화운동을 했던 옛 동지들에게 과거의 인식을 패절하고 생명운동의 전환을 강조하며 1991년 5월 5일 죽음의 굿판을 때려지우라고 주장했다. (김지하, 김종철(녹색평론 1991.10월창간) 두사람이 당시 새로운 페러다임으로서 생태주의, 생명운동으로의 전환을 역설했다.)
기후위기를 앞두고 자본주의든 사회주의자든 국가마다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성장과 풍요를 추구했으며, <생산력의 고도화>가 진보의 척도라고 생각했던 과거를 다시 복기해 보기 시작했다. 우리는 무엇을 잘못했는가?
고전경제학이든 사회주의경제학이든 동일하게 <지구의 자원는 무한하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했다. 이것은 증명이 필요가 없는 당연한 공리였다. 이를 기반으로 무한성장주의, 무한팽창주의는 자본주의나 사회주의 동일한 전제였다. 무한한 자원의 경쟁적 전취, 채취가 바로 발전이었다. 유럽과 미국으로 대표되는 선진국들의 현재의 풍요는 아프리카, 아메리카와 아시아지역의 자원을 빼앗아 자기나라에 쌓아 이룩한 찬란한 문화였고, 그 나라에서 강제로 끌고간 노예등의 값싼 노동력착취를 기반으로 이룩한 풍요였다. 더욱이 과학기술의 가속적인 발달로 자연의 개조능력은 폭주하면서 무한한 채굴, 가속적인 채굴을 하며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주의를 포괄하는 산업사회의 풍요를 이루어왔다. 그리고 가난한 나라들을 향하여 자신들이 걸어온 길을 따라오라고 말하며 GNP,GDP 서열을 매겨 성장을 유도해 왔다.
 
(무한성장주의, 무한채굴주의. 죽임의 사회)

그러나 위기를 통해 우리가 깨달은 너무도 분명한 사실은 지구는 무한하지 않은, “하나뿐인 지구(The Only One Earth / Our Sole Earth)”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무한한 자원채굴은 불가능하며, 무한한 물질생산은 불가능하고,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는 지구자원의 정화능력 재생능력을 넘어서는 불가능한 일임을 깨닫게 되었다. 여기에 <생산력의 고도화>를 그동안의 진보 페러다임이라고 생각해온 생각은 허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구상의 인간만이 유일한 의미있는 중심이라는 인간중심주의가 심각한 문제의 또 다른 원인임도 깨닫게 되었다. 뭇생명과 비인간 존재들은 그저 인간의 식량으로, 지배 정복되고 이용되어야 할 존재로 생각했던 것이 오늘날 생물종의 멸종을 초래하고 자연과의 조화와 균형을 생각하지 않고 스스로 멸망을 자초한 원인임을 깨닫게 되었다. 모든 자원은 미래세대의 것이며 현세대는 그것을 그저 빌어왔을 뿐이라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정의는, 현세대의 인간들간의 협의만 주창했던 민주주의도 비인간존재와 미래세대의 의사까지 반영한 의사결정으로 확장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깨달음을 주었다.
인간의 몸의 조화와 균형을 생각하지 않고 자신만의 번영을 추구하여 무한증식하는 암세포처럼 인간은 바로 자연과 뭇생명과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고 지구의 정화수준을 벗어난 무한정한 쓰레기와 오염을 유발해왔던 것이다. 또한 현세대의 북반구 국가의 풍요는 오염을 가난한나라에 떠넘기거나 미래세대로 떠넘기며 후손들에게 피해를 전가시키며 누리고 있는 번영, 성장임을 깨닫게 되면서, 이러한 성장, 이러한 진보와 발전이 과연 정상적인 것인가를 묻고 있는 것이다.
(기후위기는 전환의 시그널)
여기에 아마존의 밀림이 “파괴되든 말든 나와는 상관없다”, “네가 죽든말든 나는 관계없다”는 “너와 내가 구분하고 단절되어있다”는 가르고 나누는 구분의식이 경쟁사회를 구성하는 근본이 되며 이는 성장사회의 보편적인 사회윤리가 되었다. 경쟁은 곧 너와 나를 가르고 적과 우리편을 가르고, 우리편의 단결을 위해 상대를 극단적으로 배제하는 이분법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경쟁은 필연적으로 승리와 패배를 초래한다. 나의 성공, 승리를 위해서는 개인이든 집단이든 국가든 누군가는 패배해야한다. 인간과 인간끼리 경쟁을 통해 서로를 죽여나가는 사회가 결국 인간이 자연을 죽여나가는 죽임의 사회를 구조화했고 결국 인간 자신이 죽어가는 죽임의 문화가 보편화된 것이다. 이러한 죽임의 문화가 오늘날 약한 고리로서 기후위기로 등장한 것이다. 생태위기시대의 우리의 깨달음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이 구분하고 가르고 나눌수 없으며, 서로가 서로 촘촘히 연결되어있으며, 이러한 연결된 존재로서는 모든 개인과 사건은 우주적으로 연결된 존재임을 깨닫게 된 것이다.
탄소문제가 심각해져 탄소배출만을 생각하는 것, 기후문제만 집착하는 것을 환경운동에서는 “탄소환원주의” 또는 “기후환원주의”라고 비판한다. 실제 탄소나 기후만 해결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잘못된 페러다임이 만든 수많은 문제중에 약한 표층을 뚫고나온 하나의 현상일 뿐이다. 그래서 기후위기는 총체적인 죽임의 사회에 변화를 강제하는 시그널이자 메신저로 봐야 한다는 것이 기후위기운동가들의 공통된 인식이다.
(죽임의 사회를 살림의 사회로)
2035년 1.5도를 막을 수 없으면 인류는 희망을 기대할 수 없는 위기이자, 절멸로 추락할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경고한다. 이러한 상황에도 무한성장과 발전, 직선적 진보의 추구는, 벼랑끝으로 가는 줄 모르고 무리지어 달려가는 어리석은 동물떼들 아닌가? 전지구적인 ‘죽음의 굿판’아닌가. 누군가 방향을 틀어야 하지 외쳐야 하지 않는가. 당시도 그렇고 지금도 여전히 계급모순과 민족문제가 심각하지만, 그것은 침몰하는 타이타닉호안에서 의자를 평등하게 배치하는 것보다 침몰을 우선 막는 것에 집중할수 밖에 없지 않을까? 뜨거운 물속에서 서서히 죽어가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개구리처럼 1990년대 우리들은 서서히 죽어가는 이러한 거대한 죽음을 인지 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김지하는 80년 초부터 죽임의 문화를 살림의 문화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해 왔고 그의 목소리는 갈수록 절규로 변했다. 92년 인류는 이대로 가면 안된다고 7만명이 넘는 유엔인간개발회의를 통해 발전과 성장에 대해 방향 전환을 강변했다. 우리는 그저 다양한 문제중에 하나인 환경문제가 심각해졌구나하는 정도의 인식에 머물러있을때, 그는 7-80년대의 동지들을 향해 새로운 페러다임 전환을 절규했던 것이다. 3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그가 외쳤던 죽음의 굿판속에 살아왔음을 깨달았다. 이제야 죽임의 문명을 살림의 문명으로 개벽되어야 함을 깨달았던 것이다.
(다시, 죽음의 굿판을 때려치워라)
이념이 아니라 생명에 주목하라고 말하는 그의 절규, 단순한 평등이 아니라 서로 모심을 통해 평등이 완성됨을, 뭇생명을 모시는 민주주의를 새로운 제기를, 외부의 산업화에 포섭된 인간 내면의 산업화를 극복해야 함을, 사회변화는 결국 인간의 자기변화와 함께 해야한다는 각성을, 인간과 모든 존재들이 큰 하나님을 모시는 한울임을 깨닫는 영성, 확장과 지배, 정복이라는 남성성에서 관계과 과정, 돌봄과 협동이라는 여성성의 사회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30년이 지난 이제야 모두가 하나씩 깨닫게된 것이다.
절박한 기후위기는 전인류에게 공포와 두려움이 되어 희망을 말하기 어렵지만, 이러한 위기를 인지한 시인은 파국과 절멸, 공포와 두려움이 아니라 신명과 풍류로 새세상이 열리는 차원변화의 세계임을 강조했고 이를 준비해야함을 강변했다. 혁명, 변혁이 아니라 다시 개벽의 희망을 말하고 있는 그의 사상은 위기로 암울한 이때 정말 눈물어리게 고맙고 소중한 희망의 메시지가 되고 있다.
위기의 시대, 많은 사람들은 지금이 바로 죽임의 굿판임을 깨달았다. 그러나 30년전 그것을 알아차리고 알린 사람은 소수였고 그중 맨 앞에 선 사람중에 하나, 광야에서 많은이 들의 돌을 맞으며 외치는 예언자는 바로 김지하였다. 이제야 우리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을 죽여나가는 “죽음의 굿판”속에 살아왔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제 죽음의 굿판을 “때려치우고” 살림의 개벽세상을 위해 이 위기를 전환의 기회로 만드는 일은 우리의 몫이다. (끝)












TED | run effective meetings that matter

(2) TED | Facebook





TED's post

Feel like you're in too many unproductive meetings? These 4 tips can help you make the most of everyone’s time — and run effective meetings that matter.
PS: Don’t forget to arrive with an agenda!
Claire Hughes Johnson joins Anne Morriss and Frances Frei 
to offer advice on how to plan and prepare for your next work huddle
Listen now on our newest podcast episode of Fixable: 


井筒俊彦と牟宗三における「思考と存在」

Chinese_Studies_smt_0443-0445.pdf


早稲田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紀要 第67輯(2022年3月)
Bulletin of the Graduate School of Letters, Arts and Sciences of Waseda University Vol.


井筒俊彦と牟宗三における「思考と存在」 67 (Mar.2022) 優秀修士論文概要

井筒俊彦と牟宗三における「思考と存在」
── 東アジアの「現代哲学」をめぐる試論 ──
伊勢康平



 本論文では、井筒俊彦の「東洋哲学」と牟宗三の「中国哲学」のなかで意識と存在、ないし心と物がもつ関係に焦点をあて、両者を比較した。とくに、両者の仕事をアーレントのいう「現代哲学」の条件
──カントの批判哲学によって人間の思考が及ばない存在の領域(=到達不可能な物自体)が想定され、
「思考と存在の統一」という信念が機能しなくなったあとに、いかに両者の関係性を調停するか──に対する東アジア的な応答として読めないかという問いを立てて、おなじ理論的平面に配置しようと試みた。
 大胆にまとめれば、井筒も牟も、東アジアの思想は思考と存在の統一性を特徴とすると主張していた。
たとえば晩年の井筒は、「東洋哲学の共時的構造化」を掲げてアジアの思想を再構築し、「東洋哲学」の根本的な性質を「意識即存在」という命題に集約させた。他方の牟は、独自のカント読解をつうじて、「中国哲学」では人間もまた知的直観をもち、物自体に到達しうると説いていた。
 こうした類似性があるにもかかわらず、歴史上、両者につながりはなかった。じっさい井筒は、新儒家などのように東アジアのべつの地域で同様に伝統的なテクストを読みなおそうとした人々がいたことには無頓着だったようにみえる。それは井筒の「東洋哲学」を論じる人々もおおむね同様だ。近代に東アジアの思想を再構築した試みとして、京都学派と新儒家を比較する研究は散見されるが、井筒の「東洋哲学」はまだ、このような比較がなされていないのが現状である。こうした状況が、東アジアの「現代哲学」として井筒と牟を読解することの背景にある。
 第1章では井筒を論じた。第1、2節では「現代哲学」の条件を念頭に、井筒の「東洋哲学」の輪郭を描いた。かれのいう「意識即存在」とは、意識が物を分節する過程と、諸存在が一なる「存在」から分かれていく過程を、相関するふたつのプロセスと捉えたうえで、あらゆる分節がとりのぞかれる一点、つまり「意識と存在のゼロ・ポイント」で両者が統合されるというものだ。また、ゼロ・ポイントは意識にとって不可能な虚無ではなく無限のエネルギー体=「無限宇宙に充溢する存在エネルギー」であり、あらゆる観念や物質がこの純粋な力動性からもたらされる。事実、意識と存在の分節プロセスは、ゼロ・ポイントという宇宙論的な頂点で統合されるだけでなく、根本的には「存在」から人間の言語までを包括する分節エネルギー一般を意味する「コトバ」という力動的な概念によって一元的に縫合される。本論文では、このような「東洋哲学」の性質を「唯動論」と名づけた。
 このような性質から、井筒の哲学には否定性がないとしばしばいわれる。だが筆者は、それは厳密には正しくないと考える。第3節では『スーフィズムと老荘思想』を分析しながら、当時の井筒が人間と一なる「存在」の合一可能性に厳格な制限を設けており、明らかに否定神学的な言説を展開していることを論じた。第4節では、『スーフィズムと老荘思想』と「東洋哲学」を比較し、前者では不可能なものとされた事柄が、後者では可能なものとしてゼロ・ポイントに回収され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ここ
443
から考えられるのは、井筒は「東洋哲学」という枠組みを構築するにあたって否定性を消去したのではないかということだ。本論文では、その理論的なメカニズムを解析し、井筒が東洋と西洋を否定性の有無で対比している点などを確認したうえで、かれが「東洋」の名を冠する思想体系をあらたに構想するにあたって、否定的なものの存在を不要と判断したのではないかと仮に結論づけた。
 第2章では、牟宗三なりの「現代哲学の条件」へのアプローチといえる「二層の存在論」(執着の存在論/執着のない存在論)を分析した。第1節で二層の存在論を提示するまでの牟の問題意識を確認したのち、第2節で「執着のない存在論」における心と物の関係性を検討した。牟の戦略は、人間の心が無限性と有限性のふたつの様態をもつことを肯定することである。このふたつの様態が二層の存在論に対応する。すなわち、執着の存在論には有限心・感性的直観・現象が属し、他方で無限心・知的直観・物自体が執着のない存在論に属する。牟によれば、中国哲学では道徳的実践をつうじて天と心が貫通し、両者が一体となることによって無限心が実現されると考えられていた。この無限心は主体と対象、心と物を区別せず、感応の運動がもたらす知的作用=知的直観をつうじて、心も物も一元的に捉えるという。
 牟自身はこうした自身の議論を「唯心論」と呼び、多くの先行研究もそれに従っている。しかし牟は、自身の思想体系の頂点に天も道も心も物も包摂する絶対的な存在 - 力動の原理である「本体宇宙論的実体」をすえていたのである。これを根拠に、本論文ではかれの体系もまた唯動論的な構造をもつと指摘した。また本論文では、執着のない存在論は「道徳」という語のなかで想定されている人間と宇宙の関係性が中国と西洋とで異なることによってのみ成立しており、そのかぎりでこの理論をめぐるもっとも根本的な問題は、(カント読解の妥当性よりも)宇宙論的差異が根拠としてどれほど有効なのかだと主張した。また、補論的な位置づけとなった第3節では、二層の存在論の構図に依拠する「良知の自己否定」からの近代化論を論じた。
 さいごの第3章では両者の比較を行なった。第1節では類似性に、第2節では差異に着目した。第1節では類似性として以下の点をあげた。1)両者は思考(意識/心)と存在の統一性を肯定する。2)統一性は所与の経験世界からは異質な次元(意識と存在の「深層」/執着のない存在論)で認められ、次元の変容には実践が関与する。3)統一性の究極的な根拠として、絶対的な力動性が前提される。この三点を受けて、唯動論の概念をあらためて定義した。唯動論とは、絶対的な力動性の原理を体系の頂点にすえおき、その展開をつうじてさまざまな様態や関係性をもつ諸存在や意識の生成を説明するような、一元論的な思考の形式である。唯動論には、力動性の前提および共有というふたつの傾向がある。絶対的なものとして前提された力動性は、諸存在を生成するだけでなく、人間の思考一般の内部に共有される。根本的に同種の力動性を共有することによって、思考と存在の関係は、究極的にはある統一性によって把握されることになる。この性質の典型的な表現として、牟や杜維明、井筒らが論じる「内在超越」の問題に言及した。
 さらに同節では、両者の仕事が「現代哲学の条件」に十分に応えうるかを検討した。両者における思考と存在の統一性の根拠は、東洋/中国の異なる宇宙論にあるが、それによってカントが強いる(とアーレントが語る)条件から統一性を回復できるかには疑問の余地がある。その理由として、筆者は「万物の終わり」という論考におけるカントの中国思想および神秘主義一般の批判を参照し、カントが自身の批判哲学によって制限すべき対象として、中国思想や神秘主義を明確に意識していたことを指摘した。
 ここからつぎの主張が導かれる。知的直観にかんする牟の主張や、一種の神秘主義的実践をつうじた意識と存在の統一を説く井筒の議論は、カント自身が抑えようとした思想の形態をカント以後にふたた
444
井筒俊彦と牟宗三における「思考と存在」
びもちだし、それを根拠にカントの思想、ひいては西洋哲学一般を乗り越えようとした(あるいはそのオルタナティヴを提示しようとした)にすぎないのではないか。であれば、それはたんに哲学の歴史を単にひっくり返しただけではないのか。つまり、西洋と東洋の宇宙論の差異を根拠に東アジアの思想をオルタナティヴとして提示するには、おそらくより根本的な読みかえか、より巧妙な文脈設定が必要なのである。
 いまの段階で根本的な読み替えを提示することは困難だが、第2節では、文脈設定の一例として「宇宙技芸」にかんする許煜の仕事を簡単に導入した。だがそのまえに、まずは井筒と牟の差異が精神性と地域性という対比で示されることを確認した。井筒の「東洋」の概念は、思想の構造に着目した精神的なものであって地理的な領域や民族とは関係がなく、ときにヨーロッパを「東洋」のなかへ取り込んでしまう。このように理論上無限に拡大しうる領域に「東洋」という名をつけたことの政治性を本論文では問題視した。他方の牟は、一貫して「中国」を問題にし、井筒に比べれば地域性を重視した思想家である。牟の二層の存在論は中国の伝統の素朴な肯定にとどまらず、むしろ中国思想自体を改良しようとするものではあったが、本論文では牟が「文化的」な面にかぎってきわめて民族主義的な発言をしていることは問題だと考えた。
 こうした課題を受けて、伝統的な宇宙論の差異を強調するための文脈設定の問題にくわえ、精神性と地域性のあいだでいかに距離感を保てばよいかという問題を提起した。そのうえで、許煜の仕事がこれらふたつの問いに一定の解をあたえうることを示した。
 まず、許が肯定するのは宇宙論的差異そのものではない。異なる宇宙論はあくまで技術との関連性のなかで提示され、多様な宇宙技芸を構成しうるかぎりで妥当性を得る。つまり許は、技術論を介在させることによって、宇宙論的差異を語ることがそのまま近代的なテクノロジーの問題に接続されるような文脈を設定した。つぎに、宇宙技芸への問いは、たえず地域性を要請する。そこでは「精神的」領域を拡大させるのではなく、むしろ地域差が強調される。それと同時に、たえず思弁性によって地域性を再発明し、あらゆる「故郷回帰」の誘惑に抗い続けることが要請される。この再発明は困難であり、許自身もなしえているとはいえない。だがそれは、許個人の議論にとどまらず、いわば現代東アジア哲学のひとつの共通の課題として、広く参与されるべきものである。
445


井筒俊彦は力道山と木村政彦の試合を見たか?: 王様の耳そうじ

井筒俊彦は力道山と木村政彦の試合を見たか?: 王様の耳そうじ

« 中国武術研究家の松田隆智さんの訃報 | トップページ | エジプトの沈滞、革命のトラウマ? »

井筒俊彦は力道山と木村政彦の試合を見たか?

今年2013年は井筒俊彦の没後20年にあたるとのことで、慶應義塾大学出版会から全集が刊行されはじめた。刊行記念に慶應の言語文化研究所では井筒さんの業績をめぐるシンポジウムなども行われた。

井筒俊彦といえば、生前から半ば伝説と化していた知の巨人だった。 言語学、西洋哲学、中世ユダヤ哲学、禅や老荘思想、イスラム哲学など東西の宗教・思想・哲学についてこれほど幅広く、しかも深い洞察を展開し、それが世界的に評価されている日本人学者はほかにいない。トルコでは井筒さんのコーラン解釈をイスラーム神学部の教科書として採用しているところもあるほどだ。







井筒さんの非凡な天才性をしめすエピソードは多いが、なによりもまず語学の天才だった。井筒さんに「外国語はなにができますか?」と聞かれて、「英語とドイツ語なら・・」と答えると、「英独仏は外国語ではありません」といわれたという伝説も聞いたことがある。実際、ヨーロッパのほとんどの言語の他、古代ギリシア、アラビア語、ペルシャ語、トルコ語、ヘブライ語、中国語、ロシア語、タミール語など30を超える言語を自在に使えたと聞く。岩波文庫の「コーラン」の翻訳も井筒さんである。


それはさておいても、井筒俊彦の著作には、他をよせつけない超然とした魅力があった。80年代初めころから知の大衆化がすすみ、それまでの権威的で、重く、いかめしいアカデミズムに代わって、若手の学者たちによる軽やかで如才ない言説が流行しはじめていた。その中にあって、旧世代の学者であったはずの井筒俊彦が、革命に揺れるイランから帰国後、立て続けに発表した著作群には、他を寄せつけない、重厚で、圧倒的な迫力があった。とくにスーフィズムの存在論を論じた『イスラーム哲学の原像』と代表作『意識の本質』は衝撃的だった。『意識の本質』はわからないなりに、なんども読んだが、やっぱりよくわからなかった。でも、わからないのだけど、おもしろいのだ。


井筒さんの著作は難解だ。だが、書かれ方はけっして難解ではない。書かれ方は難解だけれど、じつはたいしたことをいっていない本というのもよくあるが、そういうのとはまったく逆だ。いかに内容を薄めず、イスラーム哲学や東洋思想のもっとも深い部分を伝えられるか、ということに徹しているという意味では、これほど親切で、ていねいに、平易に、わかりやすく書かれた本はない。

そのわかりやすさは、テキストを厳密に分析したからというだけでなく、井筒さん自身がその内容を客観的な知識ではなく、生きるための哲学として身体的にとらえようとしていることから生まれているのだと思う。だからこそ、そこには生半可な理解を拒む迫力や歯ごたえがあるし、それを理解するには、読む側に相当の知的体力や想像力、観察力が必要とされる。イスラームとはどんなものか、禅や密教のような東洋的思惟とはどんなものか、かいつまんで、かんたんに知りたいという人には、井筒さんの本はまったく向いていない。だから、ここで井筒さんの思想や哲学をかんたんに紹介することはしない、というか、できない。
 




古典的な哲学を、現代を生きるための血の通ったものとして、みずからの体の中に甦らせたいと思うひとにとっては、井筒さんの本は汲みつくせない知の水源となるはずだ。わからないなりにもなんども読むうちに、概念ではなく、一種のイメージができあがってきて、そのイメージをよすがに、イスラームなり東洋思想なりについて、たんなる知識ではない身体的な理解が深まっていくという感じだろうか。そういう本というのは、とても珍しい。


慶應のシンポジウムも聞きにいった。古代哲学研究者の納富信留さんが30代半ばの井筒さんが発表した『神秘哲学』(1949)をとりあげて論じた。これはプラトンやプロティノスなどのギリシア哲学に見られる神秘主義の展開を追った本だ。幼い頃から漢学をたたき込まれ、座禅を組まされるような東洋的無の雰囲気が濃厚な家庭に育った井筒さんにとって、西洋のルーツとされる古代ギリシア哲学を研究することは、みずからの東洋を相対化し、解放の可能性をさがすものであった。ところが、東洋と対比する対象であったギリシア哲学が、じつはその本質において東洋的なものにつながっていたことに気づく。つまり、かつては自明とされていた東洋と西洋という枠組みそのものを見直すことへと、井筒さんの研究がシフトしていくことになる。それが井筒さんのその後の研究の方向性を決めていくことになる。

 

納富さんの話はおもしろかったのだが、三田まで行く電車の行き帰りで、たまたま増田俊也さんの『木村政彦はなぜ力道山を殺さなかったのか』を読んでいたせいで、話を聞いているうちに、井筒俊彦は学問の世界における柔道の木村政彦のような存在なのではないかという考えがなんとなく浮かんできた(ここから先は世迷言です)。

 












井筒俊彦全集のパンフレットに文芸評論家の安藤礼二氏が「井筒俊彦は20世紀の日本が生み落とすことができた最大かつ最高の思想家である。思索の対象としたジャンルと地域の多様性においても、その理解の深みにおいても他の追随を許さない」と書いていた。だが、この評価はそのまま木村政彦にもあてはまる。こんなふうにーー。


 
「木村政彦は20世紀の日本が生み落とすことができた最大かつ最高の柔道家である。研究の対象とした格闘技ジャンルと技の多様性においても、その理解の深みにおいても他の追随を許さない」




井筒俊彦は既存のアカデミズムや学問のジャンルといった枠を超え、さらに若いときから外国へ出て、膨大な学問分野を渉猟し、それをアカデミズムという枠を超えて、現代を生きるための、いいかえれば現代を戦うための実践的な哲学としてまとめあげようとしてきた。日本のアカデミズムとは距離を置き、イラン王立アカデミーの教授となり、ユングやエリアーデとともに「エラノス会議」という知の異種格闘技戦に、鈴木大拙に次ぐふたりめの日本人正式レクチャラーとして15年にわたって参加し、東洋哲学について講演を行ってきた。その桁外れの学識の広さと深さは、日本はもちろん、むしろ世界でこそ知れ渡っているし、あまりにもすごすぎて、他の追随をゆるさない。




一方、木村政彦は、全日本柔道選士権3連覇を達成し、全日本選手権13年連続保持、天覧試合優勝も含め、15年間不敗の不世出の天才だった。柔道のほかに、空手やボクシングなど、さまざまな格闘技を積極的に研究し、講道館のスポーツ柔道の枠を超えて、実践的な武道としての柔道を追求しつづけた。講道館からはにらまれ、プロ柔道、さらにプロレスに足を染めて海外にわたり、ブラジルで柔術家のエリオ・グレイシーを倒し、ほぼ半世紀後のグレイシー柔術発展の種をまき、今日の総合格闘技のスタイルの先駆となった。力道山との試合で謎のKO負けを喫するが、いまなお技術的にも、その技の幅の広さにおいても「木村の前に木村なく、木村の後に木村なし」と讃えられ、いまなお史上最強の柔道家とされている。




こう書くと、井筒俊彦のどこが木村政彦なのかとつっこまれそうだし、たしかにまったくちがった人生、とくに木村の後半生は悲劇的なものがあったし、対比したからなんだというものではないのだけれど、ひとつ一致する点があるとすれば、木村政彦もまた今年、没後20年だということだ。つまり、井筒俊彦(1914-1993)と木村政彦(1917-1993)は、ほとんど同世代なのである。




もちろん、都会の裕福な家に生まれ、幼い頃から禅や書に親しんで育ち、好きな学問に集中することのできた井筒俊彦と、熊本の貧しい田舎で川で父の砂利拾いの仕事を手伝いながら育ち、食うためにはなんでもやらなくてはならなかった木村政彦の人生はあまりにもちがう。若き日の井筒俊彦が街頭テレビで力道山と木村の一戦を夢中になって見ていたとも想像しにくい。けれども、境遇はことなれど、同じ時代の空気を吸って生き、それぞれに孤高の道を歩んでいったことはまちがいない。




ともに「道」という東洋的伝統の中から出発し、やがて、そこに息苦しさをおぼえ、異なる分野を渉猟することで、おのれのなかの東洋をいっそう身体的に深め、より強靱なものへと鍛え上げていき、ついにはだれも到達しえない境地へと達したという点では共通するものもあるのではないか(もっとも、木村は思想性というものには無縁だったようだが)。世迷言は承知で、井筒俊彦は知らないけれど格闘技のことは知っているというひとに、「井筒俊彦は学問の世界における木村政彦のような存在だ」といって紹介することは、半分くらいは当たっているという気がしなくもない。







2013年10月21日 (月) 雑記 |

===

«중국 무술 연구가 마츠다 타카토시 씨의 포기 | 톱 페이지 | 이집트 침체, 혁명의 외상? »

이츠키 슌히코는 역도산과 기무라 마사히코의 경기를 보았습니까?
올해 2013년은 이츠쓰 슌히코의 몰후 20년에 해당하는 것으로, 게이오 기주쿠 대학 출판회로부터 전집이 간행되기 시작했다. 간행기념에 게이오의 언어문화연구소에서는 이통씨의 실적을 둘러싼 심포지엄 등도 열렸다.


이츠쓰 슌히코라고 하면, 생전부터 중반 전설로 되어 있던 지의 거인이었다. 언어학, 서양철학, 중세유대철학, 선과 노장사상, 이슬람 철학 등 동서의 종교·사상·철학에 대해 이렇게 폭넓고 깊은 통찰을 전개하고 그것이 세계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일본인 학자 별로 없다. 터키에서는 이통씨의 꾸란 해석을 이슬람 신학부의 교과서로 채용하고 있는 곳도 있을 정도다.


이미지_3941


이통 씨의 비범한 천재성을 시사하는 에피소드는 많지만, 무엇보다도 우선 어학의 천재였다. 이츠키 씨에게 「외국어는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일이 있다. 실제로 유럽의 대부분의 언어 외에 고대 그리스, 아랍어, 페르시아어, 터키어, 히브리어, 중국어, 러시아어, 타밀어 등 30개가 넘는 언어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었다고 들었다. 이와나미 문고의 「코란」의 번역도 이통씨이다.



그건 그렇다고 해도, 이츠키 슌히코의 저작에는, 그 밖을 설레지 않는 초연한 매력이 있었다. 1980년대 초부터 지의 대중화가 스스미, 그때까지의 권위적이고, 무겁고, 미묘한 아카데미즘을 대신해, 젊은이의 학자들에 의한 경쾌하고 여재없는 언설이 유행하기 시작하고 있었다. 그 안에 있어, 구세대의 학자였을 것이다 이통 토시히코가, 혁명에 흔들리는 이란으로부터 귀국 후, 세워 계속해서 발표한 저작군에는, 다른 것을 들르지 않는, 중후하고, 압도적인 박력이 있다 했다. 특히 수피즘의 존재론을 논한 '이슬람 철학의 원상'과 대표작 '의식의 본질'은 충격적이었다. '의식의 본질'은 모르겠지만, 다들 읽었지만 역시 잘 몰랐다. 그렇지만, 모르겠지만, 재미있는 것이다.



이통씨의 저작은 난해하다. 하지만 쓰는 방법은 꽤 난해가 아니다. 쓰는 방법은 난해이지만, 실은 뭔가를 말하지 않은 책이라고 하는 것도 자주 있는데, 그러한 것과는 전혀 반대이다. 어떻게 내용을 얇게 하지 않고, 이슬람 철학이나 동양 사상의 가장 깊은 부분을 전할 수 있을까 하는 것에 철저히 하고 있다는 의미에서는, 이렇게 친절하고, 정중하게, 평이하게, 알기 쉽게 쓰여진 책은 없다.



그 알기 쉬움은, 텍스트를 엄밀하게 분석했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이통씨 자신이 그 내용을 객관적인 지식이 아니라, 살기 위한 철학으로서 신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것으로부터 태어나고 있다고 생각해. 그러므로 거기에는 생반가능한 이해를 거부하는 박력과 잇몸이 있고, 그것을 이해하려면 읽는 측에 상당한 지적 체력이나 상상력, 관찰력이 필요하다. 이슬람이란 어떤 것인지, 선이나 밀교와 같은 동양적 사유와는 어떤 것인지, 언제든지, 간단하게 알고 싶다고 하는 사람에게는, 이통씨의 책은 전혀 적합하지 않다. 그러니까, 여기에서 이통씨의 사상이나 철학을 간단하게 소개하는 것은 하지 않는다, 라고 할까, 할 수 없다.
 

이미지_3944


 

고전적인 철학을, 현대를 살기 위한 피가 다니는 것으로, 미즈로부터의 몸속에 되살아나게 하고 싶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이통씨의 책은 펌핑하지 않는 지의 수원이 될 것이다.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읽는 동안 개념이 아니라 일종의 이미지가 완성되어 그 이미지를 좋게 하지만 이슬람이 되어 동양사상에 대해서는 지식이 아닌 신체적인 이해가 깊어진다고 한다. 느낌일까. 그러한 책이라는 것은 매우 드물다.



게이오 심포지엄도 들으러 갔다. 고대 철학연구자인 납부신류씨가 30대 중반의 이통씨가 발표한 '신비철학'(1949)을 논의했다. 이는 플라톤과 프로티노스 등 그리스 철학에서 볼 수 있는 신비주의의 전개를 쫓은 책이다. 어린 시절부터 한학을 박아 좌선을 짜는 것 같은 동양적 무의 분위기가 농후한 가정으로 자란 이통씨에게 있어서, 서양의 뿌리로 여겨지는 고대 그리스 철학을 연구하는 것은, 미즈로부터의 동양 를 상대화하고 해방의 가능성을 찾는 것이었다. 그런데, 동양과 대비하는 대상이었던 그리스 철학이, 실은 그 본질에서 동양적인 것으로 연결되어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즉, 한때는 자명하게 되어 있던 동양과 서양이라는 틀 자체를 재검토하는 것으로, 이통씨의 연구가 시프트해 가게 된다. 그것이 이통씨의 그 후의 연구의 방향성을 결정해 가게 된다.


 
 

나토미씨의 이야기는 재미있었지만, 미타까지 가는 전철의 행운으로, 우연히 마스다 토시야씨의 「키무라 마사히코는 왜 역도산을 죽이지 않았는지」를 읽고 있었기 때문에, 이야기를 듣고 있는 동안, 이츠쓰 슌히코는 학문의 세계에 있어서의 유도의 기무라 마사히코와 같은 존재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어딘지 모르게 떠올랐다(여기서부터는 세미언입니다).

 

51mskxpvzyl_ss400__3


이츠키 슌히코 전집의 팜플렛에 문예 평론가의 안도 레지씨가 “이츠키 슌히코는 20세기의 일본이 낳을 수 있었던 최대이고 최고의 사상가이다.사색의 대상으로 한 장르와 지역의 다양성에 있어서도 , 그 이해의 깊이에 있어서도 다른 추종을 용서하지 않는다”라고 쓰고 있었다. 하지만 이 평가는 그대로 기무라 마사히코에도 적용된다. 이런 식으로.


 
“키무라 마사히코는 20세기 일본이 태어날 수 있었던 최대이고 최고의 유도가이다. 아니"


이츠키 슌히코는 기존의 아카데미즘이나 학문의 장르와 같은 테두리를 넘어 더욱 젊은 때부터 외국으로 나와 방대한 학문 분야를 섭렵하고 그것을 아카데미즘이라는 테두리를 넘어 현대를 살기 위한, 아니면 현대 을 싸우기 위한 실천적인 철학으로 정리해 왔다. 일본의 아카데미즘과는 거리를 두고, 이란 왕립 아카데미의 교수가 되어, 융이나 엘리아데와 함께 「에라노스 회의」라고 하는 지의 이종 격투기전에, 스즈키 대졸에 이은 두 번째 일본인 정식 렉처러로서 15년에 걸쳐 참가해, 동양철학에 대해 강연을 해왔다. 그 거대한 학식의 넓이와 깊이는, 일본은 물론, 오히려 세계에서야말로 널리 알려져 있고, 너무나 너무 대단해, ​​다른 추종을 풀지 않는다.


한편 기무라 마사히코는 전일본 유도 선사권 3연패를 달성해 전일본 선수권 13년 연속 유지, 천람 경기 우승을 포함해 15년간 불패한 불세출의 천재였다. 유도 외에 가라데와 권투 등 다양한 격투기를 적극적으로 연구해 강도관의 스포츠 유도의 틀을 넘어 실천적인 무술로서의 유도를 계속 추구했다. 강도관에서 벗어나 프로 유도, 또한 프로레슬링에 발을 물들여 해외에 걸쳐 브라질에서 주술가의 엘리오 그레이시를 쓰러뜨리고 거의 반세기 후의 그레이시 주술 발전의 씨앗을 뿌려 오늘의 종합 격투기 스타일 의 선구가 되었다. 역도산과의 시합으로 수수께끼의 KO 패배를 피우지만, 지금도 기술적으로도, 그 기술의 폭의 넓이에 있어서도 「키무라 앞에 키무라 없고, 키무라 뒤에 키무라 없음」이라고 칭찬받아 지금도 사상 최강의 유도가로 여겨진다.


이렇게 쓰면 이츠키 슌히코의 어디가 기무라 마사히코인지 붙잡힐 것 같고, 분명히 완전히 틀린 인생, 특히 키무라의 후반생은 비극적인 것이 있었고, 대비했기 때문에 뭐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 하나 일치하는 점이 있다면 기무라 마사히코도 올해 몰후 20년이라는 것이다. 즉, 이통 슌히코(1914-1993)와 기무라 마사히코(1917-1993)는 거의 같은 세대이다.


물론, 도시의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선이나 책에 친숙해져 자라, 좋아하는 학문에 집중할 수 있었던 이통 토시히코와, 구마모토의 가난한 시골에서 강에서 아버지의 자갈 픽업의 일을 돕면서 키우고 먹기 위해서는 뭐든지 해야 했던 기무라 마사히코의 인생은 너무나 다르다. 젊은 날의 이츠키 슌히코가 거리 TV에서 역도산과 기무라의 일전을 열중해 보고 있었다고도 상상하기 어렵다. 하지만 처지는 일이지만 같은 시대의 공기를 빨아 살아 각각 고고의 길을 걸어간 것은 틀림없다.


함께 「길」이라고 하는 동양적 전통 속에서 출발해, 이윽고, 거기에 숨결을 느끼고, 다른 분야를 섭렵하는 것으로, 누구의 동양을 한층 신체적으로 깊게 해, 보다 강인한 것으로 단련 드디어, 마침내 아무도 도달할 수 없는 경지에 도달했다는 점에서는 공통되는 것도 있는 것이 아닌가(가장 기무라는 사상성이라고 하는 것에는 무연이었던 것 같지만). 세미언은 알고 있고, 이츠키 슌히코는 모르지만 격투기는 알고 있다고 하는 사람에게, 「이츠츠리 슌히코는 학문의 세계에 있어서의 기무라 마사히코와 같은 존재이다」라고 소개하는 것은, 반 정도는 맞았다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