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선명 3남 문현진 “가능성의 땅 파라과이, 한국 기업 선점했으면”
입력 : 2013.06.30 21:41 수정 : 2013.07.01 10:57
아순시온(파라과이) | 박주연 기자
문현진 UCI그룹 회장
지구 반대편 파라과이에서 그는 ‘국빈(國賓)’이었다. 이동할 때마다 경찰차가 요란한 사이렌 소리와 함께 호위했다. 전·현직 대통령의 환대에 이어 오는 8월 임기가 시작되는 오라시오 카르테스 대통령 당선자도 자택에까지 그를 초청해 담소를 나눴다. 수도 아순시온시는 특별 명예시민증을 줬다. 고(故) 문선명 전 통일교 총재의 3남 문현진 UCI그룹 회장 겸 글로벌피스재단(GPF) 세계의장(44·사진)의 얘기다. UCI는 문 전 총재가 1977년 세운 국제조직으로 미국의 대형 수산물 유통업체인 트루 월드 수산, 항공사인 워싱턴타임스항공(WTA), 일성건설 등을 소유하고 있다. 문 회장이 2008년 설립한 GPF는 비영리 기구로 파라과이, 케냐 등 22개국의 저개발국에서 종교의 틀을 벗어난 평화운동과 사회혁신 활동을 해왔다.
6월 10, 11일 양일간 아순시온시 엑셀시오 호텔에서는 문 회장이 이끄는 파라과이 국가전략 싱크탱크인 IDPPS와 중남미 전직 국가원수들로 구성된 모임이 주최한 국제회의가 열렸다. 지정학적으로 남미의 심장에 해당하지만 중남미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파라과이의 의식 개혁과 외국의 투자 유치를 통해 경제도약을 이끌어, 궁극적으로 중남미 개발의 로드맵을 제시하는 자리였다. 과테말라, 콜롬비아, 볼리비아, 파라과이 등 6명의 전직 국가 원수들과 파라과이 정부각료, 각계 인사, 취재진 등 400여명이 참여했다. 한국에선 우리은행, 신한금융그룹 등 금융권과 한국도로공사, 코레일 등 10여곳이 참석했다.
문 회장을 만난 건 12일 아침 엑셀시오 호텔에서다. 국제회의 기간 내내 좌중을 압도하는 카리스마 넘치는 연설을 보여준 건장한 체구의 그는 인터뷰 자리에서도 달변가임을 과시했다. 거듭 강조한 것은 세계평화 그리고 파라과이 개발에 대한 한국정부와 기업의 관심 촉구였다. 한국어가 서툰 그는 주로 영어를 사용했다. 그는 “전쟁의 폐허를 딛고 불과 60년만에 경제 대국이 된 한국은 많은 개발도상국들의 롤모델이 될 수 있다”며 “한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가지려면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블록인데다 잠재적 자원 개발 가능성이 높은 남미 지역에 관심을 갖고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파라과이는 지정학적으로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볼리비아와 접경해 있어 도로, 철도, 항만과 같은 인프라가 구축되면 남미의 관문이자 허브가 될 겁니다. 봉건체제 잔존으로 소수의 사람들이 정치, 경제, 문화를 장악하고 빈곤과 부패가 만연하며 정치적으로 불안정했던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 이유로 리스크가 커 그간 국제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았지만 최근 몇년 새 민주적 절차와 자유시장 시스템을 갖춰가고 있습니다. 또 새로 들어설 정부가 경제발전과 외국인 투자 증진에 큰 기대와 관심을 드러내고 있고요. 전 한국 기업이 선점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중계자 역할을 자처한 겁니다.”
그는 “이번 국제회의의 가장 큰 성과는 남미 발전의 선행 조건인 봉건체제 청산에 대한 이 지역 지도층들의 깊은 공감대 형성”이라고 말했다.
“이틀 전 카르테스 대통령 당선자와의 면담에선 파라과이에 대한 저의 비전을 나눴습니다. 파라과이 발전을 위해선 현재의 농업과 에너지 산업을 뛰어넘어 부가가치 산업과 서비스 분야를 발전시키고 교육해야 한다고 당선자에게 강조했죠.”
그는 “파라과이의 가능성을 파라과이 북부 차코지역의 인구 6000명의 작은 도시, 푸에르토 카사도에서 우선 실험했고, 좋은 결실을 얻었다”고 말했다. 카사도는 파라과이 내에서도 특히 심각한 빈곤지역으로 부패와 범죄가 들끓은 곳이었다. 그가 이끄는 GPF와 IDPPS는 2008년부터 이 지역 주민들과 손잡고 빈곤퇴치 프로젝트를 가동, 의식개혁운동과 함께 양식장과 유기농 농장 설립, 도시미화 작업을 벌였다. 그 결과 800가구의 일자리가 창출됐고 생기 넘치는 지역으로 탈바꿈했다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영적 지도자’로 불리길 원한다는 그는 통일운동에 대한 이야기와 선친 이야기도 많이 했다. 그러나 자신과 다른 길을 가고 있는 지금의 통일교나 다시 요동치는 후계구도에 대해선 극도로 말을 아꼈다. 다만 “통일교 내 나쁜 지도자들이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언론을 이용해 모든 책임을 아버지에게 몰았고 우리 형제들 전체를 통일교에서 몰아내기 위해 최근 왕자의 난으로 언론플레이를 하면서 형제들 간 싸움으로 비쳐지게 했다. 그러나 사실은 그런 게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런 그가 꿈꾸는 세상은 어떤 것일까. 그는 “하나님 아래 인류 한 가족의 비전을 이루는 것. 즉 종교와 인종, 국경이라는 울타리가 가로막는 세계가 아닌, 평화와 행복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답했다.
문현진 UCI그룹 회장
지구 반대편 파라과이에서 그는 ‘국빈(國賓)’이었다. 이동할 때마다 경찰차가 요란한 사이렌 소리와 함께 호위했다. 전·현직 대통령의 환대에 이어 오는 8월 임기가 시작되는 오라시오 카르테스 대통령 당선자도 자택에까지 그를 초청해 담소를 나눴다. 수도 아순시온시는 특별 명예시민증을 줬다. 고(故) 문선명 전 통일교 총재의 3남 문현진 UCI그룹 회장 겸 글로벌피스재단(GPF) 세계의장(44·사진)의 얘기다. UCI는 문 전 총재가 1977년 세운 국제조직으로 미국의 대형 수산물 유통업체인 트루 월드 수산, 항공사인 워싱턴타임스항공(WTA), 일성건설 등을 소유하고 있다. 문 회장이 2008년 설립한 GPF는 비영리 기구로 파라과이, 케냐 등 22개국의 저개발국에서 종교의 틀을 벗어난 평화운동과 사회혁신 활동을 해왔다.
6월 10, 11일 양일간 아순시온시 엑셀시오 호텔에서는 문 회장이 이끄는 파라과이 국가전략 싱크탱크인 IDPPS와 중남미 전직 국가원수들로 구성된 모임이 주최한 국제회의가 열렸다. 지정학적으로 남미의 심장에 해당하지만 중남미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파라과이의 의식 개혁과 외국의 투자 유치를 통해 경제도약을 이끌어, 궁극적으로 중남미 개발의 로드맵을 제시하는 자리였다. 과테말라, 콜롬비아, 볼리비아, 파라과이 등 6명의 전직 국가 원수들과 파라과이 정부각료, 각계 인사, 취재진 등 400여명이 참여했다. 한국에선 우리은행, 신한금융그룹 등 금융권과 한국도로공사, 코레일 등 10여곳이 참석했다.
문 회장을 만난 건 12일 아침 엑셀시오 호텔에서다. 국제회의 기간 내내 좌중을 압도하는 카리스마 넘치는 연설을 보여준 건장한 체구의 그는 인터뷰 자리에서도 달변가임을 과시했다. 거듭 강조한 것은 세계평화 그리고 파라과이 개발에 대한 한국정부와 기업의 관심 촉구였다. 한국어가 서툰 그는 주로 영어를 사용했다. 그는 “전쟁의 폐허를 딛고 불과 60년만에 경제 대국이 된 한국은 많은 개발도상국들의 롤모델이 될 수 있다”며 “한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가지려면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블록인데다 잠재적 자원 개발 가능성이 높은 남미 지역에 관심을 갖고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파라과이는 지정학적으로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볼리비아와 접경해 있어 도로, 철도, 항만과 같은 인프라가 구축되면 남미의 관문이자 허브가 될 겁니다. 봉건체제 잔존으로 소수의 사람들이 정치, 경제, 문화를 장악하고 빈곤과 부패가 만연하며 정치적으로 불안정했던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 이유로 리스크가 커 그간 국제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았지만 최근 몇년 새 민주적 절차와 자유시장 시스템을 갖춰가고 있습니다. 또 새로 들어설 정부가 경제발전과 외국인 투자 증진에 큰 기대와 관심을 드러내고 있고요. 전 한국 기업이 선점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중계자 역할을 자처한 겁니다.”
그는 “이번 국제회의의 가장 큰 성과는 남미 발전의 선행 조건인 봉건체제 청산에 대한 이 지역 지도층들의 깊은 공감대 형성”이라고 말했다.
“이틀 전 카르테스 대통령 당선자와의 면담에선 파라과이에 대한 저의 비전을 나눴습니다. 파라과이 발전을 위해선 현재의 농업과 에너지 산업을 뛰어넘어 부가가치 산업과 서비스 분야를 발전시키고 교육해야 한다고 당선자에게 강조했죠.”
그는 “파라과이의 가능성을 파라과이 북부 차코지역의 인구 6000명의 작은 도시, 푸에르토 카사도에서 우선 실험했고, 좋은 결실을 얻었다”고 말했다. 카사도는 파라과이 내에서도 특히 심각한 빈곤지역으로 부패와 범죄가 들끓은 곳이었다. 그가 이끄는 GPF와 IDPPS는 2008년부터 이 지역 주민들과 손잡고 빈곤퇴치 프로젝트를 가동, 의식개혁운동과 함께 양식장과 유기농 농장 설립, 도시미화 작업을 벌였다. 그 결과 800가구의 일자리가 창출됐고 생기 넘치는 지역으로 탈바꿈했다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영적 지도자’로 불리길 원한다는 그는 통일운동에 대한 이야기와 선친 이야기도 많이 했다. 그러나 자신과 다른 길을 가고 있는 지금의 통일교나 다시 요동치는 후계구도에 대해선 극도로 말을 아꼈다. 다만 “통일교 내 나쁜 지도자들이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언론을 이용해 모든 책임을 아버지에게 몰았고 우리 형제들 전체를 통일교에서 몰아내기 위해 최근 왕자의 난으로 언론플레이를 하면서 형제들 간 싸움으로 비쳐지게 했다. 그러나 사실은 그런 게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런 그가 꿈꾸는 세상은 어떤 것일까. 그는 “하나님 아래 인류 한 가족의 비전을 이루는 것. 즉 종교와 인종, 국경이라는 울타리가 가로막는 세계가 아닌, 평화와 행복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