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25

Death - Wikipedia

Death - Wikipedia

Death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e human skull is used universally as a symbol of death
Statue of Death, personified as a human skeleton dressed in a shroud and clutching a scythe, from the Cathedral of Trier in Trier, Germany
The dead tending to flowers, in "The Garden of Death," Hugo Simberg (1906)

Death is the irreversible cessation of all biological functions that sustain an organism.[1] It can also be defined as the irreversible cessation of functioning of the whole brain, including brainstem.[2][3] Brain death is sometimes used as a legal definition of death.[4] The remains of a former organism normally begin to decompose shortly after death. Death is an inevitable process that eventually occurs in almost all organisms.

Death is generally applied to whole organisms; the similar process seen in individual components of an organism, such as cells or tissues, is necrosis. Something that is not considered an organism, such as a virus, can be physically destroyed but is not said to die. As of the early 21st century, over 150,000 humans die each day, with ageing being by far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Many cultures and religions have the idea of an afterlife, and also may hold the idea of judgement of good and bad deeds in one's life (heavenhellkarma).

Diagnosis

World Health Organization estimated number of deaths per million persons in 2012
  1,054–4,598
  4,599–5,516
  5,517–6,289
  6,290–6,835
  6,836–7,916
  7,917–8,728
  8,729–9,404
  9,405–10,433
  10,434–12,233
  12,234–17,141

Problems of definition

Symbols of death in a painting: it shows a flower, a skull and an hourglass
A flower, a skull and an hourglass stand for life, death and time in this 17th-century painting by Philippe de Champaigne
Ivory pendant of a Monk's face. The left half of the pendant appears skeletal, while the right half appears living
French – 16th-/17th-century ivory pendant, Monk and Death, recalling mortality and the certainty of death (Walters Art Museum)

The concept of death is a key to hum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5] There are many scientific approaches and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Additionally, the advent of life-sustaining therapy and the numerous criteria for defining death from both a medical and legal standpoint, have made it difficult to create a single unifying definition.

One of the challenges in defining death is in distinguishing it from life. As a point in time, death would seem to refer to the moment at which life ends. Determining when death has occurred is difficult, as cessation of life functions is often not simultaneous across organ systems.[6] Such determination, therefore, requires drawing precise conceptual boundaries between life and death. This is difficult, due to there being little consensus on how to define life.

It is possible to define life in terms of consciousness. When consciousness ceases, an organism can be said to have died. One of the flaws in this approach is that there are many organisms that are alive but probably not conscious (for example, single-celled organisms). Another problem is in defining consciousness, which has many different definitions given by modern scientists, psychologists and philosophers. Additionally, many religious traditions, including Abrahamic and Dharmic traditions, hold that death does not (or may not) entail the end of consciousness. In certain cultures, death is more of a process than a single event. It implies a slow shift from one spiritual state to another.[7]

Other definitions for death focus on the character of cessation of organismic functioning and a human death which refers to irreversible loss of personhood. More specifically, death occurs when a living entity experiences irreversible cessation of all functioning.[8] As it pertains to human life, death is an irreversible process where someone loses their existence as a person.[8]

Historically, attempts to define the exact moment of a human's death have been subjective, or imprecise. Death was once defined as the cessation of heartbeat (cardiac arrest) and of breathing, but the development of CPR and prompt defibrillation have rendered that definition inadequate because breathing and heartbeat can sometimes be restarted. This type of death where circulatory and respiratory arrest happens is known as the circulatory definition of death (DCDD). Proponents of the DCDD believe that this definition is reasonable because a person with permanent loss of circulatory and respiratory 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dead.[9] Critics of this definition state that while cessation of these functions may be permanent, it does not mean the situation is irreversible, because if CPR was applied, the person could be revived.[9] Thus, th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DCDD boil down to a matter of defining the actual words "permanent" and "irreversible," which further complicates the challenge of defining death. Furthermore, events which were causally linked to death in the past no longer kill in all circumstances; without a functioning heart or lungs, life can sometimes be sustained with a combination of life support devices, organ transplants and artificial pacemakers.

Today, where a definition of the moment of death is required, doctors and coroners usually turn to "brain death" or "biological death" to define a person as being dead; people are considered dead when the electrical activity in their brain ceases. It is presumed that an end of electrical activity indicates the end of consciousness. Suspension of consciousness must be permanent, and not transient, as occurs during certain sleep stages, and especially a coma. In the case of sleep, EEGs can easily tell the difference.

The category of "brain death" is seen as problematic by some scholars. For instance, Dr. Franklin Miller, senior faculty member at the Department of Bioethic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otes: "By the late 1990s... the equation of brain death with death of the human being was increasingly challenged by scholars, based on evidence regarding the array of biological functioning displayed by patients correctly diagnosed as having this condition who were maintained on mechanical ventilation for substantial periods of time. These patients maintained the ability to sustain circulation and respiration, control temperature, excrete wastes, heal wounds, fight infections and, most dramatically, to gestate fetuses (in the case of pregnant "brain-dead" women)."[10]

While "brain death" is viewed as problematic by some scholars, there are certainly proponents of it that believe this definition of death is the most reasonable for distinguishing life from death. The reasoning behind the support for this definition is that brain death has a set of criteria that is reliable and reproducible.[11] Also, the brain is crucial in determining our identity or who we are as human beings. The distinction should be made that "brain death" cannot be equated with one who is in a vegetative state or coma, in that the former situation describes a state that is beyond recovery.[11]

Those people maintaining that only the neo-cortex of the brain is necessary for consciousness sometimes argue that only electrical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fining death. Eventually it is possible that the criterion for death will be the permanent and irreversible loss of cognitive function, as evidenced by the death of the cerebral cortex. All hope of recovering human thought and personality is then gone given current and foreseeable medical technology. At present, in most places the more conservative definition of death – irreversible cessation of electrical activity in the whole brain, as opposed to just in the neo-cortex – has been adopted (for example the Uniform Determination Of Death Act in the United States). In 2005, the Terri Schiavo case brought the question of brain death and artificial sustenance to the front of American politics.

Even by whole-brain criteria, the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can be complicated. EEGs can detect spurious electrical impulses, while certain drugshypoglycemiahypoxia, or hypothermia can suppress or even stop brain activity on a temporary basis. Because of this, hospitals have protocols for determining brain death involving EEGs at widely separated intervals under defined conditions.

In the past, adoption of this whole-brain definition was a conclusion of the President's Commission for the Study of Ethical Problems in Medicine and Biomedical and Behavioral Research in 1980.[12] They concluded that this approach to defining death sufficed in reaching a uniform definition nationwide. A multitude of reasons were presented to support this definition including: uniformity of standards in law for establishing death; consumption of a family's fiscal resources for artificial life support; and legal establishment for equating brain death with death in order to proceed with organ donation.[13]

Aside from the issue of support of or dispute against brain death, there is another inherent problem in this categorical definition: the variability of its application in medical practice. In 1995,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AN), established a set of criteria that became the medical standard for diagnosing neurologic death. At that time, three clinical features had to be satisfied in order to determine "irreversible cessation" of the total brain including: coma with clear etiology, cessation of breathing, and lack of brainstem reflexes.[14] This set of criteria was then updated again most recently in 2010, but substantial discrepancies still remain across hospitals and medical specialties.[14]

The problem of defining death is especially imperative as it pertains to the dead donor rule,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one of the following interpretations of the rule: there must be an official declaration of death in a person before starting organ procurement or that organ procurement cannot result in death of the donor.[9] A great deal of controversy has surrounded the definition of death and the dead donor rule. Advocates of the rule believe the rule is legitimate in protecting organ donors while also countering against any moral or legal objection to organ procurement. Critics, on the other hand, believe that the rule does not uphold the best interests of the donors and that the rule does not effectively promote organ donation.[9]

Signs

Signs of death or strong indications that a warm-blooded animal is no longer alive are:

Timeline of postmortem changes (stages of death).

The stages that follow after death are:

  • Pallor mortis, paleness which happens in the 15–120 minutes after death
  • Algor mortis, the reduction in body temperature following death. This is generally a steady decline until matching ambient temperature
  • Rigor mortis, the limbs of the corpse become stiff (Latin rigor) and difficult to move or manipulate
  • Livor mortis, a settling of the blood in the lower (dependent) portion of the body
  • Putrefaction, the beginning signs of decomposition
  • Decomposition, the reduction into simpler forms of matter, accompanied by a strong, unpleasant odor.
  • Skeletonization, the end of decomposition, where all soft tissues have decomposed, leaving only the skeleton.
  • Fossilization, the natural preservation of the skeletal remains formed over a very long period

Legal

The death of a person has legal consequences that may vary between different jurisdictions. A death certificate is issued in most jurisdictions, either by a doctor, or by an administrative office upon presentation of a doctor's declaration of death.

Misdiagnosed

Antoine Wiertz's painting of a man buried alive

There are many anecdotal references to people being declared dead by physicians and then "coming back to life", sometimes days later in their own coffin, or when embalming procedures are about to begin. From the mid-18th century onwards, there was an upsurge in the public's fear of being mistakenly buried alive,[15] and much debate about the uncertainty of the signs of death. Various suggestions were made to test for signs of life before burial, ranging from pouring vinegar and pepper into the corpse's mouth to applying red hot pokers to the feet or into the rectum.[16] Writing in 1895, the physician J.C. Ouseley claimed that as many as 2,700 people were buried prematurely each year in England and Wales, although others estimated the figure to be closer to 800.[17]

In cases of electric shock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or an hour or longer can allow stunned nerves to recover, allowing an apparently dead person to survive. People found unconscious under icy water may survive if their faces are kept continuously cold until they arrive at an emergency room.[18] This "diving response", in which metabolic activity and oxygen requirements are minimal, is something humans share with cetaceans called the mammalian diving reflex.[18]

As medical technologies advance, ideas about when death occurs may have to be re-evaluated in light of the ability to restore a person to vitality after longer periods of apparent death (as happened when CPR and defibrillation showed that cessation of heartbeat is inadequate as a decisive indicator of death). The lack of electrical brain activity may not be enough to consider someone scientifically dead. Therefore, the concept of information-theoretic death[19] has been suggested as a better means of defining when true death occurs, though the concept has few practical applications outside the field of cryonics.

There have been some scientific attempts to bring dead organisms back to life, but with limited success.[20] In science fiction scenarios where such technology is readily available, real death is distinguished from reversible death.

Causes

The leading cause of human death in developing countries is infectious disease. The leading causes in developed countries are atherosclerosis (heart disease and stroke), cancer, and other diseases related to obesity and aging. By an extremely wide margin, the largest unifying cause of death in the developed world is biological aging,[21] leading to various complications known as aging-associated diseases. These conditions cause loss of homeostasis, leading to cardiac arrest, causing loss of oxygen and nutrient supply, causing irreversible deterioration of the brain and other tissues. Of the roughly 150,000 people who die each day across the globe, about two thirds die of age-related causes.[21] In industrialized nations, the proportion is much higher, approaching 90%.[21] With improved medical capability, dying has become a condition to be managed. Home deaths, once commonplace, are now rare in the developed world.

American children smoking in 1910. Tobacco smoking caused an estimated 100 million deaths in the 20th century.[22]

In developing nations, inferior sanitary conditions and lack of access to modern medical technology makes death from infectious diseases more common than in developed countries. One such disease is tuberculosis, a bacterial disease which killed 1.8M people in 2015.[23] Malaria causes about 400–900M cases of fever and 1–3M deaths annually.[24] AIDS death toll in Africa may reach 90–100M by 2025.[25][26]

According to Jean Ziegler (United Nations Special Reporter on the Right to Food, 2000 – Mar 2008), mortality due to malnutrition accounted for 58% of the total mortality rate in 2006. Ziegler says worldwide approximately 62M people died from all causes and of those deaths more than 36M died of hunger or diseases due to deficiencies in micronutrients.[27]

Tobacco smoking killed 100 million people worldwide in the 20th century and could kill 1 b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a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 warned.[22]

Many leading developed world causes of death can be postponed by diet and physical activity, but the accelerating incidence of disease with age still imposes limits on human longevity. The evolutionary cause of aging is, at best, only just beginning to be understood. It has been suggested that direct intervention in the aging process may now be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against major causes of death.[28]

Le Suicidé by Édouard Manet depicts a man who has recently committed suicide via a firearm

Selye proposed a unified non-specific approach to many causes of death. He demonstrated that stress decreases adaptability of an organism and proposed to describe the adaptability as a special resource, adaptation energy. The animal dies when this resource is exhausted.[29] Selye assumed that the adaptability is a finite supply, presented at birth. Later on, Goldstone proposed the concept of a production or income of adaptation energy which may be stored (up to a limit), as a capital reserve of adaptation.[30] In recent works, adaptation energy is considered as an internal coordinate on the "dominant path" in the model of adaptation. It is demonstrated that oscillations of well-being appear when the reserve of adaptability is almost exhausted.[31]

In 2012, suicide overtook car crashes for leading causes of human injury deaths in the U.S., followed by poisoning, falls and murder.[32] Causes of death are different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In high-income and middle income countries nearly half up to more than two thirds of all people live beyond the age of 70 and predominantly die of chronic diseases. In low-income countries, where less than one in five of all people reach the age of 70, and more than a third of all deaths are among children under 15, people predominantly die of infectious diseases.[33]

Autopsy

A painting of an autopsy, by Rembrandt, entitled "The Anatomy Lesson of Dr. Nicolaes Tulp"
An autopsy is portrayed in The Anatomy Lesson of Dr. Nicolaes Tulp, by Rembrandt

An autopsy, also known as a postmortem examination or an obduction, is a medical procedure that consists of a thorough examination of a human corpse to determine the cause and manner of a person's death and to evaluate any disease or injury that may be present. It is usually performed by a specialized medical doctor called a pathologist.

Autopsies are either performed for legal or medical purposes. A forensic autopsy is carried out when the cause of death may be a criminal matter, while a clinical or academic autopsy is performed to find the medical cause of death and is used in cases of unknown or uncertain death, or for research purposes. Autopsies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cases where external examination suffices, and those where the body is dissected and an internal examination is conducted. Permission from next of kin may be required for internal autopsy in some cases. Once an internal autopsy is complete the body is generally reconstituted by sewing it back together. Autopsy is important in a medical environment and may shed light on mistakes and help improve practices.

A necropsy, which is not always a medical procedure, was a term previously used to describe an unregulated postmortem examination. In modern times, this term is more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corpses of animals.

Senescence

Senescence refers to a scenario when a living being is able to survive all calamities, but eventually dies due to causes relating to old age. Animal and plant cells normally reproduce and function during the whole period of natural existence, but the aging process derives from deterioration of cellular activity and ruination of regular functioning. Aptitude of cells for gradual deterioration and mortality means that cells are naturally sentenced to stable and long-term loss of living capacities, even despite continuing metabolic reactions and viability. In the United Kingdom, for example, nine out of ten of all the deaths that occur on a daily basis relates to senescence, while around the world it accounts for two-thirds of 150,000 deaths that take place daily (Hayflick & Moody, 2003).

Almost all animals who survive external hazards to their biological functioning eventually die from biological aging, known in life sciences as "senescence". Some organisms experience negligible senescence, even exhibiting biological immortality. These include the jellyfish Turritopsis dohrnii,[34] the hydra, and the planarian. Unnatural causes of death include suicide and predation. From all causes, roughly 150,000 people die around the world each day.[21] Of these, two thirds die directly or indirectly due to senescence, but in industrialized countries –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 the rate approaches 90% (i.e., nearly nine out of ten of all deaths are related to senescence).[21]

Physiological death is now seen as a process, more than an event: conditions once considered indicative of death are now reversible.[35] Where in the process a dividing line is drawn between life and death depends on factors beyo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vital signs. In general, clinical death is neither necessary nor sufficient for a determination of legal death. A patient with working heart and lungs determined to be brain dead can be pronounced legally dead without clinical death occurring.

Cryonics

Technicians prepare a body for cryopreservation in 1985.

Cryonics (from Greek κρύος 'kryos-' meaning 'icy cold') is the low-temperature preservation of animals and humans who cannot be sustained by contemporary medicine, with the hope that healing and resuscitation may be possible in the future.[36][37]

Cryopreservation of people or large animals is not reversible with current technology. The stated rationale for cryonics is that people who are considered dead by current legal or medical definitions may not necessarily be dead according to the more stringent information-theoretic definition of death.[19][38]

Some scientific literature is claimed to support the feasibility of cryonics.[39] Medical science and cryobiologists generally regards cryonics with skepticism.[40]

Reperfusion

"One of medicine's new frontiers: treating the dead", recognizes that cells that have been without oxygen for more than five minutes die,[41] not from lack of oxygen, but rather when their oxygen supply is resumed. Therefore, practitioners of this approach, e.g., at the Resuscitation Science institute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im to reduce oxygen uptake, slow metabolism and adjust the blood chemistry for gradual and safe reperfusion."[42]

Life extension

Life extension refers to an increase in maximum or average lifespan, especially in humans, by slowing down or reversing the processes of aging through anti-aging measures. Despite the fact that aging is by far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orldwide, it is socially mostly ignored as such and seen as "necessary" and "inevitable" anyway, which is why little money is spent on research into anti-aging therapies, a phenomenon known as the pro-aging trance.[21]

Average lifespan is determined by vulnerability to accidents and age or lifestyle-related afflictions such as cancer, or cardiovascular disease. Extension of average lifespan can be achieved by good dietexercise and avoidance of hazards such as smoking. Maximum lifespan is also determined by the rate of aging for a species inherent in its genes. Currently, the only widely recognized method of extending maximum lifespan is calorie restriction. Theoretically, extension of maximum lifespan can be achieved by reducing the rate of aging damage, by periodic replacement of damaged tissues, or by molecular repair or rejuvenation of deteriorated cells and tissues.

A United States poll found that religious people and irreligious people, as well as men and women and people of different economic classes have similar rates of support for life extension, while Africans and Hispanics have higher rates of support than white people.[43] 38 percent of the polled said they would desire to have their aging process cured.

Researchers of life extension are a subclass of biogerontologists known as "biomedical gerontologists". They tr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ging and they develop treatments to reverse aging processes or to at least slow them down,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the maintenance of youthful vigor at every stage of life. Those who take advantage of life extension findings and seek to apply them upon themselves are called "life extensionists" or "longevists". The primary life extension strategy currently is to apply available anti-aging methods in the hope of living long enough to benefit from a complete cure to aging once it is developed.

Location

Kyösti Kallio (in the middle), the fourth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Finland, had a fatal heart attack a few seconds after this photograph was taken by Hugo Sundström on December 19, 1940 at Helsinki railway station in Helsinki, Finland.[44][45]

Before about 1930, most people in Western countries died in their own homes, surrounded by family, and comforted by clergy, neighbors, and doctors making house calls.[46] By the mid-20th century, half of all Americans died in a hospital.[47] By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only about 20–25% of people in developed countries died outside of a medical institution.[47][48][49] The shift away from dying at home towards dying in a professional medical environment has been termed the "Invisible Death".[47] This shift occurred gradually over the years, until most deaths now occur outside the home.[50]

Psychology

Death studies is a field within psychology.[51]

Many people are afraid of dying. Discussing, thinking about, or planning for their own deaths causes them discomfort. This fear may cause them to put off financial planning, preparing a will and testament, or requesting help from a hospice organization.

Different people have different responses to the idea of their own deaths.

Philosopher Galen Strawson writes that the death that many people wish for is an instant, painless, unexperienced annihilation.[52] In this unlikely scenario, the person dies without realizing it and without being able to fear it. One moment the person is walking, eating, or sleeping, and the next moment, the person is dead. Strawson reasons that this type of death would not take anything away from the person, as he believes that a person cannot have a legitimate claim to ownership in the future.[52][53]

Society and culture

A duke insulting the corpse of Klaus Fleming
The regent duke Charles (later king Charles IX of Sweden) insulting the corpse of Klaus FlemingAlbert Edelfelt, 1878
A naturally mummified body (from Guanajuato)
Dead bodies can be mummified either naturally, as this one from Guanajuato, or by intention, as those in ancient Egypt

In society, the nature of death and humanity's awareness of its own mortality has for millennia been a concern of the world's religious traditions and of philosophical inquiry. This includes belief in resurrection or an afterlife (associated with Abrahamic religions), reincarnation or rebirth (associated with Dharmic religions), or that consciousness permanently ceases to exist, known as eternal oblivion (associated with Secular humanism).[54]

Commemoration ceremonies after death may include various mourningfuneral practices and ceremonies of honouring the deceased. The physical remains of a person, commonly known as a corpse or body, are usually interred whole or cremated, though among the world's cultures there are a variety of other methods of mortuary disposal. In the English language, blessings directed towards a dead person include rest in peace (originally the Latin requiescat in pace), or its initialism RIP.

Death is the center of many traditions and organizations; customs relating to death are a feature of every culture around the world. Much of this revolves around the care of the dead, as well as the afterlife and the disposal of bodies upon the onset of death. The disposal of human corpses does, in general, begin with the last offices before significant time has passed, and ritualistic ceremonies often occur, most commonly interment or cremation. This is not a unified practice; in Tibet, for instance, the body is given a sky burial and left on a mountain top. Proper preparation for death and techniques and ceremonies for producing the ability to transfer one's spiritual attainments into another body (reincarnation) are subjects of detailed study in Tibet.[55] Mummification or embalming is also prevalent in some cultures, to retard the rate of decay.

Legal aspects of death are also part of many cultures, particularly the settlement of the deceased estate and the issues of inheritance and in some countries, inheritance taxation.

Gravestones in Japan
Gravestones in Kyoto, Japan

Capital punishment is also a culturally divisive aspect of death. In most jurisdictions where capital punishment is carried out today, the death penalty is reserved for premeditated murderespionagetreason, or as part of military justice. In some countries, sexual crimes, such as adultery and sodomy, carry the death penalty, as do religious crimes such as apostasy, the formal renunciation of one's religion. In many retentionist countries, drug trafficking is also a capital offense. In China, human trafficking and serious cases of corruption are also punished by the death penalty. In militaries around the world courts-martial have imposed death sentences for offenses such as cowardicedesertioninsubordination, and mutiny.[56]

Death in warfare and in suicide attack also have cultural links, and the ideas of dulce et decorum est pro patria morimutiny punishable by death, grieving relatives of dead soldiers and death notification are embedded in many cultures. Recently in the western world, with the increase in terrorism following the September 11 attacks, but also further back in time with suicide bombings, kamikaze missions in World War II and suicide missions in a host of other conflicts in history, death for a cause by way of suicide attack, and martyrdom have had significant cultural impacts.

All is Vanity by Charles Allan Gilbert is an example of a memento mori, intended to represent how life and death are intertwined

Suicide in general, and particularly euthanasia, are also points of cultural debate. Both acts are understood very differently in different cultures. In Japan, for example, ending a life with honor by seppuku was considered a desirable death, whereas according to traditional Christian and Islamic cultures, suicide is viewed as a sin. Death is personified in many cultures, with such symbolic representations as the Grim ReaperAzrael, the Hindu god Yama and Father Time.

Santa Muerte, the personification of death in Mexican tradition[57]

In Brazil, a human death is counted officially when it is registered by existing family members at a cartório, a government-authorized registry. Before being able to file for an official death, the deceased must have been registered for an official birth at the cartório. Though a Public Registry Law guarantees all Brazilian citizens the right to register deaths, regardless of their financial means, of their family members (often children), the Brazilian government has not taken away the burden, the hidden costs and fees, of filing for a death. For many impoverished families, the indirect costs and burden of filing for a death lead to a more appealing, unofficial, local, cultural burial, which in turn raises the debate about inaccurate mortality rates.[58]

Talking about death and witnessing it is a difficult issue with most cultures. Western societies may like to treat the dead with the utmost material respect, with an official embalmer and associated rites. Eastern societies (like India) may be more open to accepting it as a fait accompli, with a funeral procession of the dead body ending in an open-air burning-to-ashes of the same.

Consciousness

Much interest and debate surround the question of what happens to one's consciousness as one's body dies. The belief in the permanent loss of consciousness after death is often called eternal oblivion. Belief that the stream of consciousness is preserved after physical death is described by the term afterlife. Neither are likely to ever be confirmed without the ponderer having to actually die.

In biology

Earthworms are soil-dwelling detritivores

After death, the remains of a former organism become part of the biogeochemical cycle, during which animals may be consumed by a predator or a scavenger.[59] Organic material may then be further decomposed by detritivores, organisms which recycle detritus, returning it to the environment for reuse in the food chain, where these chemicals may eventually end up being consumed and assimilated into the cells of an organism. Examples of detritivores include earthwormswoodlice and dung beetles.

Microorganisms also play a vital role,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decomposing matter as they break it down into yet simpler molecules. Not all materials need to be fully decomposed. Coal, a fossil fuel formed over vast tracts of time in swamp ecosystems, is one example.

Natural selection

Contemporary evolutionary theory sees death as an important part of the process of natural selection.[60] It is considered that organisms less adapted to their environment are more likely to die having produced fewer offspring, thereby reducing their contribution to the gene pool. Their genes are thus eventually bred out of a population, leading at worst to extinction and, more positively, making the process possible, referred to as speciation. Frequency of reproduction plays an equally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species survival: an organism that dies young but leaves numerous offspring displays, according to Darwinian criteria, much greater fitness than a long-lived organism leaving only one.

Extinction

Painting of a dodo
dodo, the bird that became a byword in the English language for the extinction of a species[61]

Extinction is the cessation of existence of a species or group of taxa, reducing biodiversity. The moment of extinc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the death of the last individual of that species (although the capacity to breed and recover may have been lost before this point). Because a species' potential range may be very large, determining this moment is difficult, and is usually done retrospectively. This difficulty leads to phenomena such as Lazarus taxa, where species presumed extinct abruptly "reappear" (typically in the fossil record) after a period of apparent absence. New species arise through the process of speciation, an aspect of evolution. New varieties of organisms arise and thrive when they are able to find and exploit an ecological niche – and species become extinct when they are no longer able to survive in changing conditions or against superior competition.

Evolution of aging and mortality

Inquiry into the evolution of aging aims to explain why so many living things and the vast majority of animals weaken and die with age (exceptions include Hydra and the already cited jellyfish Turritopsis dohrnii, which research shows to be biologically immortal). The evolutionary origin of senescence remains one of the fundamental puzzles of biology. Gerontology specializes in the science of human aging processes.

Organisms showing only asexual reproduction (e.g. bacteria, some protists, like the euglenoids and many amoebozoans) and unicellular organisms with sexual reproduction (colonial or not, like the volvocine algae Pandorina and Chlamydomonas) are "immortal" at some extent, dying only due to external hazards, like being eaten or meeting with a fatal accident. In multicellular organisms (and also in multinucleate ciliates),[62] with a Weismannist development, that is, with a division of labor between mortal somatic (body) cells and "immortal" germ (reproductive) cells, death becomes an essential part of life, at least for the somatic line.[63]

The Volvox algae are among the simplest organisms to exhibit that division of labor between two completely different cell types, and as a consequence include death of somatic line as a regular, genetically regulated part of its life history.[63][64]

Religious views

Buddhism

In Buddhist doctrine and practice, death plays an important role. Awareness of death was what motivated Prince Siddhartha to strive to find the "deathless" and finally to attain enlightenment. In Buddhist doctrine, death functions as a reminder of the value of having been born as a human being. Being reborn as a human being is considered the only state in which one can attain enlightenment. Therefore, death helps remind oneself that one should not take life for granted. The belief in rebirth among Buddhists does not necessarily remove death anxiety, since all existence in the cycle of rebirth is considered filled with suffering, and being reborn many time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one progresses.[65]

Death is part of several key Buddhist tenets, such as the Four Noble Truths and dependent origination.[65]

Christianity

While there are different sects of Christianity with different branches of belief; the overarching ideology on death grows from the knowledge of afterlife. Meaning after death the individual will undergo a separation from mortality to immortality; their soul leaves the body entering a realm of spirits. Following this separation of body and spirit (i.e. death) resurrection will occur.[66] Representing the same transformation Jesus Christ embodied after his body was placed in the tomb for three days. Like Him, each person's body will be resurrected reuniting the spirit and body in a perfect form.[67] This process allows the individuals soul to withstand death and transform into life after death.

Hinduism

Illustration depicting Hindu beliefs about reincarnation

In Hindu texts, death is described as the individual eternal spiritual jiva-atma (soul or conscious self) exiting the current temporary material body. The soul exits this body when the body can no longer sustain the conscious self (life), which may be due to mental or physical reasons, or more accurately, the inability to act on one's kama (material desires). During conception, the soul enters a compatible new body based on the remaining merits and demerits of one's karma (good/bad material activities based on dharma) and the state of one's mind (impressions or last thoughts) at the time of death.

Usually the process of reincarnation (soul's transmigration) makes one forget all memories of one's previous life. Because nothing really dies and the temporary material body is always changing, both in this life and the next, death simply means forgetfulness of one's previous experiences (previous material identity).

Material existence is described as being full of miseries arising from birth, disease, old age, death, mind, weather, etc. To conquer samsara (the cycle of death and rebirth) and become eligible for one of the different types of moksha (liberation), one has to first conquer kama (material desires) and become self-realized. The human form of life is most suitable for this spiritual journey, especially with the help of sadhu (self-realized saintly persons), sastra (revealed spiritual scriptures), and guru (self-realized spiritual masters), given all three are in agreement.

Islam

Judaism

yahrzeit candle lit in memory of a loved one on the anniversary of the death

There are a variety of beliefs about the afterlife within Judaism, but none of them contradict the preference of life over death. This is partially because death puts a cessation to the possibility of fulfilling any commandments.[citation needed]

Language

Study of Skeletons, c. 1510, by Leonardo da Vinci

The word "death" comes from Old English dēaþ, which in turn comes from Proto-Germanic *dauþuz (reconstructed by etymological analysis). This comes from the Proto-Indo-European stem *dheu- meaning the "process, act, condition of dying".[68]

The concept and symptoms of death, and varying degrees of delicacy used in discussion in public forums, have generated numerous scientific, legal, and socially acceptable terms or euphemisms. When a person has died, it is also said they have "passed away", "passed on", "expired", or "gone", among other socially accepted, religiously specific, slang, and irreverent terms.

As a formal reference to a dead person, it has become common practice to use the participle form of "decease", as in "the deceased"; another noun form is "decedent".

Bereft of life, the dead person is a "corpse", "cadaver", "body", "set of remains" or, when all flesh is gone, a "skeleton". The terms "carrion" and "carcass" are also used, usually for dead non-human animals. The ashes left after a cremation are lately called "cremains".

See also

References

  1. ^ "death"Dictionary.com Unabridged (Online). n.d. Retrieved 27 February 2021.
  2. ^ DeGrazia, David (2021), Zalta, Edward N. (ed.), "The Definition of Death"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ummer 2021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22, retrieved 23 July 2022
  3. ^ Parent, Brendan; Turi, Angela (1 December 2020). "Death's Troubled Relationship With the Law"AMA Journal of Ethics22 (12): 1055–1061. doi:10.1001/amajethics.2020.1055ISSN 2376-6980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22. Retrieved 23 July 2022.
  4. ^ "brain death"Dictionary.com Unabridged (Online). n.d. Retrieved 27 February 2021.
  5. ^ Samir Hossain Mohammad; Gilbert Peter (2010). "Concepts of Death: A key to our adjustment". Illness, Crisis and Loss18 (1).
  6. ^ Henig, Robin Marantz (April 2016). "Crossing Over: How Science Is Redefining Life and Death"National Geographic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November 2017. Retrieved 23 October 2017.
  7. ^ Metcalf, Peter; Huntington, Richard (1991). Celebrations of Death: The Anthropology of Mortuary Ritual. New York: Cambridge Press.[page needed]
  8. Jump up to:a b DeGrazia, David (2017), "The Definition of Death", in Zalta, Edward N. (ed.),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7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19, retrieved 19 February 2019
  9. Jump up to:a b c d Bernat, James L. (2018). "Conceptual Issues in DCDD Donor Death Determination"Hastings Center Report48 (S4): S26–S28. doi:10.1002/hast.948ISSN 1552-146XPMID 30584853.
  10. ^ Miller, F.G. (October 2009). "Death and organ donation: back to the future"Journal of Medical Ethics35 (10): 616–620. doi:10.1136/jme.2009.030627PMID 19793942.
  11. Jump up to:a b Magnus, David C.; Wilfond, Benjamin S.; Caplan, Arthur L. (6 March 2014). "Accepting Brain Death".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370 (10): 891–894. doi:10.1056/NEJMp1400930ISSN 0028-4793PMID 24499177.
  12. ^ Lewis, Ariane; Cahn-Fuller, Katherine; Caplan, Arthur (March 2017). "Shouldn't Dead Be Dead?: The Search for a Uniform Definition of Death". The Journal of Law, Medicine & Ethics45 (1): 112–128. doi:10.1177/1073110517703105ISSN 1073-1105PMID 28661278S2CID 4388540.
  13. ^ Sarbey, Ben (1 December 2016). "Definitions of death: brain death and what matters in a person"Journal of Law and the Biosciences3 (3): 743–752. doi:10.1093/jlb/lsw054PMC 5570697PMID 28852554.
  14. Jump up to:a b Bernat, James L. (March 2013). "Controversies in defining and determining death in critical care". Nature Reviews Neurology9 (3): 164–173. doi:10.1038/nrneurol.2013.12ISSN 1759-4766PMID 23419370S2CID 12296259.
  15. ^ Bondeson 2001, p. 77
  16. ^ Bondeson 2001, pp. 56, 71.
  17. ^ Bondeson 2001, p. 239
  18. Jump up to:a b Limmer, Dan; O'Keefe, Michael F.; Bergeron, J. David; Grant, Harvey; Murray, Bob; Dickinson, Ed (21 December 2006). Brady Emergency Care AHA (10th Updated ed.). Prentice Hall. ISBN 978-0-13-159390-9.
  19. Jump up to:a b Merkle, Ralph. "Information-Theoretic Death"merkle.com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ugust 2016. Retrieved 4 June 2016A person is dea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theoretic criterion if the structures that encode memory and personality have been so disrupted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in principle to recover them. If inference of the state of memory and personality are feasible in principle, and therefore restoration to an appropriate functional state is likewise feasible in principle, then the person is not dead.
  20. ^ "Blood Swapping Reanimates Dead Dogs"Fox News. 28 June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October 2016. Retrieved 18 January 2014.
  21. Jump up to:a b c d e f Aubrey D.N.J, de Grey (2007). "Life Span Extension Research and Public Debate: Societal Considerations" (PDF)Studies in Ethics, Law, and Technology1 (1, Article 5). CiteSeerX 10.1.1.395.745doi:10.2202/1941-6008.1011S2CID 20110199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October 2016. Retrieved 20 March 2009roughly 150,000 deaths that occur each day across the globe
  22. Jump up to:a b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08" (PDF)WHO.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8 March 2008. Retrieved 26 December 2013.
  23. ^ "Tuberculosis Fact sheet N°104 – Global and regional incidence"WHO. March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December 2013. Retrieved 6 October 2006.
  24. ^ Chris Thomas, Global Health/Health Infectious Diseases and Nutrition (2 June 2009). "USAID's Malaria Programs". Usaid.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anuary 2004. Retrieved 19 September 2016.
  25. ^ "Aids could kill 90 million Africans, says UN"The Guardian. London. 4 March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ugust 2013. Retrieved 23 May 2010.
  26. ^ Terry Leonard (4 June 2006). "AIDS Toll May Reach 100 Million in Africa"The Washington Post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December 2013. Retrieved 26 December 2013.
  27. ^ Jean ZieglerL'Empire de la honte, Fayard, 2007 ISBN 978-2-253-12115-2 p. 130.[clarification needed]
  28. ^ Olshansky, S. Jay; Perry, Daniel; Miller, Richard A.; Butler, Robert N. (2006). "Longevity dividend: What should we be doing to prepare for the unprecedented aging of humanity?". The Scientist20: 28–36.
  29. ^ Selye, H. (1938). Experimental evidence supporting the conception of "adaptation energy", Am. J. Physiol. 123 (1938), 758–765.
  30. ^ Goldstone B (1952). "The general practitioner and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South African Medical Journal26 (6): 106–109. PMID 14913266.
  31. ^ Gorban A.N.; Tyukina T.A.; Smirnova E.V.; Pokidysheva L.I. (2016). "Evolution of adaptation mechanisms: adaptation energy, stress, and oscillating death"J. Theor. Biol405 (21): 127–139. arXiv:1512.03949Bibcode:2016JThBi.405..127Gdoi:10.1016/j.jtbi.2015.12.017PMID 26801872S2CID 9173426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8. Retrieved 9 April 2016.
  32. ^ Steven Reinberg (20 September 2012). "Suicide now kills more Americans than car crashes: study"Medical Express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12. Retrieved 15 October 2012.
  33. ^ "The top 10 causes of death"WHO.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November 2012. Retrieved 12 December 2012.
  34. ^ "Turritopsis nutricula (Immortal jellyfish)". Jellyfishfacts.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October 2016. Retrieved 18 January 2014.
  35. ^ Crippen, David. "Brain Failure and Brain Death"Scientific American Surgery, Critical Care, April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ne 2006. Retrieved 9 January 2007.
  36. ^ McKie, Robin (13 July 2002). "Cold facts about cryonics"The Guardian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uly 2017. Retrieved 1 December 2013Cryonics, which began in the Fifties, is the freezing – usually in liquid nitrogen – of human beings who have been legally declared dead. The aim of this process is to keep such individuals in a state of refrigerated limbo so that it may become possible in the future to resuscitate them, cure them of the condition that killed them, and then restore them to functioning life in an era when medical science has triumphed over the activities of the Banana Reaper
  37. ^ "What is Cryonics?"Alcor Foundation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December 2013. Retrieved 2 December 2013Cryonics is an effort to save lives by using temperatures so cold that a person beyond help by today's medicine might be preserved for decades or centuries until a future medical technology can restore that person to full health.
  38. ^ Whetstine L, Streat S, Darwin M, Crippen D (2005). "Pro/con ethics debate: When is dead really dead?"Critical Care9 (6): 538–42. doi:10.1186/cc3894PMC 1414041PMID 16356234.
  39. ^ Ben Best (2008). "Scientific justification of cryonics practice"Rejuvenation Research11 (2): 493–503. doi:10.1089/rej.2008.0661PMC 4733321PMID 18321197.
  40. ^ Lovgren, Stefan (18 March 2005). "Corpses Frozen for Future Rebirth by Arizona Company"National Geographic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4. Retrieved 15 March 2014Many cryobiologists, however, scoff at the idea...
  41. ^ Nuland, Sherwin B. (1993). How We Die: Reflections on Life's Final Chapter. Turtleback Books. ISBN 978-1-4176-4352-3.
  42. ^ Adler, Jerry (7 May 2007). "To Treat the Dead (The new science of resuscitation is changing the way doctors think about heart attacks – and death itself)"Newswee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y 2007. Retrieved 3 May 2007.
  43. ^ "Living to 120 and Beyond: Americans' Views on Aging, Medical Advances and Radical Life Extension"Pew Research Center.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6 August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ugust 2013. Retrieved 19 September 2016.
  44. ^ Aladár Paasonen (1974). Marsalkan tiedustelupäällikkönä ja hallituksen asiamiehenä (Marshall's chief of intelligence and Government's official. In Finnish). Weilin, Göös, Helsinki
  45. ^ Kari Hokkanen. "Kallio, Kyösti (1873 - 1940) President of Finland". Biografiakeskus,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February 2014. Retrieved 10 January 2013.
  46. ^ Ariès, Philippe (1974). Western attitudes toward death: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87–89ISBN 978-0-8018-1762-5.
  47. Jump up to:a b c Nuland, Sherwin B. (1994). How we die: Reflections on life's final chapter. New York: A.A. Knopf. pp. 254–255ISBN 978-0-679-41461-2.
  48. ^ Ahmad, S.; O'Mahony, M.S. (December 2005). "Where older people die: a ret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QJM98 (12): 865–870. doi:10.1093/qjmed/hci138PMID 16299059.
  49. ^ Cassel CK, Demel B (September 2001). "Remembering death: public policy in the USA"J R Soc Med94 (9): 433–436. doi:10.1177/014107680109400905PMC 1282180PMID 11535743.
  50. ^ Ariès, P (1981). "Invisible Death". The Wilson Quarterly5 (1): 105–115. JSTOR 40256048PMID 11624731.
  51. ^ Solomon, Sheldon; Piven, J.S. (9 May 2017) [first published 2014]. "Death and Dying"Oxford Bibliographies Online. Oxford University. doi:10.1093/obo/9780199828340-0144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21. Retrieved 11 August 2021.
  52. Jump up to:a b Strawson, Galen (2018). Things that Bother Me: Death, Freedom, the Self, Etc. New York Review of Books. pp. 72–73. ISBN 9781681372204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ly 2020. Retrieved 2 July 2019.
  53. ^ Strawson, Galen (2017). The Subject of Exper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pp. 108–110. ISBN 9780198777885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July 2020. Retrieved 2 July 2019.
  54. ^ Heath, Pamela Rae; Klimo, Jon (2010). Handbook to the Afterlife. North Atlantic Books. p. 18. ISBN 978-1-55643-869-1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6. Retrieved 12 April 2012.
  55. ^ Mullin 1998[page needed]
  56. ^ "Shot at Dawn, campaign for pardons for British and Commonwealth soldiers executed in World War I". Shot at Dawn Pardons Campaig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06. Retrieved 20 July 2006.
  57. ^ Chesnut, R. Andrew (2018) [2012]. Devoted to Death: Santa Muerte, the Skeleton Saint (Secon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p. 6. doi:10.1093/acprof:oso/9780199764662.001.0001ISBN 978-0-19-063332-5LCCN 2011009177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November 2021. Retrieved 2 December 2021.
  58. ^ Nations, Marilyn K.; Amaral, Mara Lucia (September 1999). "Flesh, Blood, Souls, and Households: Cultural Validity in Mortality Inquiry". Medical Anthropology Quarterly5 (3): 204–220. doi:10.1525/maq.1991.5.3.02a00020.
  59. ^ Falkowski, Paul G. (1 January 2001), Levin, Simon Asher (ed.), "Biogeochemical Cycles"Encyclopedia of Biodiversity, New York: Elsevier, pp. 437–453, doi:10.1016/b0-12-226865-2/00032-8ISBN 978-0-12-226865-6, retrieved 23 August 2022
  60. ^ Gregory, T. Ryan (June 2009). "Understanding Natural Selection: Essential Concepts and Common Misconceptions"Evolution: Education and Outreach2 (2): 156–175. doi:10.1007/s12052-009-0128-1ISSN 1936-6434.
  61. ^ Diamond, Jared M. (1999). "Up to the Starting Line". Guns, Germs, and Steel: The Fates of Human Societies (illustrated, reprint ed.). W.W. Norton. pp. 43–44ISBN 978-0-393-31755-8.
  62. ^ Beukeboom, L. & Perrin, N. (2014). The Evolution of Sex Determination. Online Chapter 2: The diversity of sexual cycles Archived 12 November 2014 at the Wayback Machine, p. 12. Oxford University Press.
  63. Jump up to:a b Gilbert, S.F. (2003). Developmental biology (7th ed.). Sunderland, Mass: Sinauer Associates. pp. 34–35. ISBN 978-0-87893-258-0.
  64. ^ Hallmann, A. (June 2011). "Evolution of reproductive development in the volvocine algae"Sexual Plant Reproduction24 (2): 97–112. doi:10.1007/s00497-010-0158-4PMC 3098969PMID 21174128.
  65. Jump up to:a b Blum, Mark L. (2004). "Death" (PDF). In Buswell, Robert E. (ed.). Encyclopedia of Buddhism. Vol. 1. New York: Macmillan Reference, Thomson Gale. p. 203. ISBN 978-0-02-865720-2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18. Retrieved 15 February 2018.
  66. ^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Second Epistle of St. Paul to the Corinthians. Alfred Plummer"The Biblical World46 (3): 192. September 1915. doi:10.1086/475371ISSN 0190-3578.
  67. ^ "Resurrection - Resurrection of Christ"Sacramentum Mundi Onlinedoi:10.1163/2468-483x_smuo_com_003831. Retrieved 14 November 2021.
  68. ^ "Death"Online Etymology Dictionary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October 2016. Retrieved 5 November 2013.

Bibliography

Further reading

External links


==

죽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람의 두개골은 죽음의 상징으로 널리 쓰인다.
죽음의 동상, 독일 트리어 대성당에서 수의를 입고 낫을 든 인간의 해골로 인격화된 죽음의 동상의 모습이다.

죽음 혹은 사망(死亡, 영어death의학: expire)은 생명체의 이 끝나는 것을 말한다.[1] 죽음은 살아 있는 유기체를 유지하는 모든 생물학적 기능의 중지이다.[2] 대부분의 생명체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죽음을 맞이한다. 자연계에서 생명체들은 다른 생명체에게 잡아먹히거나에 걸리거나, 대량으로 몰살당하거나 혹은 사고나 노화 등으로 죽음을 맞게 된다. 사람의 경우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죽임을 당하거나 (살인), 스스로 죽거나 (자살), 혹은 에 의해 정해진 형벌(사형)로 인해 죽음을 맞이하기도 한다.[3] 인간의 가장 주요한 사망 원인은 노화, 질병, 사고이다.[4]

죽은 생물의 몸을 사체(死體)라고 하고, 사람의 경우에는 주검, 송장, 시체(屍體) 또는 시신(屍身)이라고 한다.

정의

예전에는 심장의 정지와 함께 일어나는 호흡안구 운동 등 여러 가지 생명 활동의 정지가 죽음의 특징으로 여겨져 왔으나, 의학이 발전하면서 죽음의 구체적인 생물학적 정의를 내리는 일은 상당히 어려워지고 있다. 때문에 죽음의 정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3]

인체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장기는 없겠지만, 그 중에서 생명의 유지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 장기는 심장의 세 장기이다. 이 세 장기를 '3대 생명유지장기'라고 하며, 모두 죽는 것을 심폐사라고 한다. 법의학과 민법에서는 원칙적으로 심폐사를 개체의 사망시점으로 한다. 심장의 세 장기는 어느 것이나 생명의 유지에 매우 중요하기에 어느 하나라도 죽게 되면 다른 둘도 곧 기능이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기능이 정지하면 개체의 죽음으로 이어지므로 이 셋 가운데 하나의 장기라도 죽는 것을 장기사라고 한다. 다만 의학 기술의 발달로 가 죽는 경우에도 인공호흡기를 이용해서 생명을 유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뇌사라고 한다.[5]

덧붙이자면, 뇌사상태와 식물인간은 다른 상태이다. 식물인간은 뇌사와는 달리 의 일부가 살아있어 영양만 공급된다면 자력으로 계속 살 수 있고 희박하나마 회복의 가능성도 있다. 이에 반해 뇌사는 비가역적으로 뇌세포가 죽은 상태이기 때문에 회복도 전혀 기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의학적으로 뇌사는 심폐사와 똑같은 죽음으로 판정한다.[6]

심장가 죽어서 개체가 죽을지라도 신체 각부의 세포들이 동시에 죽는 것은 아니다. 심폐사 이후에도 신체 각부의 세포들은 어느 정도 살아서 자기 할 일을 하다가 죽게 된다. 여기서 모든 세포가 다 죽는 때를 세포사라고 하며, 심폐사와 세포사 사이의 시간을 '생사 중간기'라고 한다. 개체의 사망과 세포사 사이의 시간에 차이가 있어 사후 시반의 색이 암적색으로 변화하는데, 생사 중간기에 살아남은 세포들이 정맥 속의 산소를 다 써버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사중간기에 세포들이 하는 자기 할 일과 그에 따라 일어나는 신체의 변화를 초생반응이라 한다.[7]

문화

죽음에 관한 전통이나 신앙은 인류의 문화와 종교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장례

장례는 사람이 죽은 후 치러지는 의식이다. 문화권에 따라 수장매장화장조장풍장자연장수목장 등 다양한 형태의 장례 의식이 있다.

기념

동아시아에서는 명절이나 기일(忌日)에 제사를 지낸다. 단, 명절제사는 차례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무덤이나 납골묘에 묘비를 세우고 기념하기도 한다. 국립묘지에 매장된 사람들의 무덤에는 묘비가 반드시 있다. 유교 및 불교에서는 효도를 특히 중요한 윤리적 가치로 여기기 때문에 죽은 사람에 대한 기념 의식이 발달하였다. 성묘도 이 기념 의식의 하나이다.

서양에서는 유명인을 기념하기 위해 동상을 세웠다. 근대 이후 이러한 문화는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어떤 경우에는 살아있는 사람의 동상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이슬람교에서는 에 대한 이슬람의 교리 (하나님 외에는 신은 없나니/꾸란[8]) 때문에 조상에 대한 제사를 엄금하고 있다. 유교에서는 집에서, 불교에서는 에서 제사를 지낸다. 천주교에서는 위령 기도로 제사를 대신하지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각 문화별 특성에 따른 제사 풍습을 존중하고 있다. 예컨대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유교식 제사를 허용해 오고 있는데, 이때 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것만은 우상숭배로 간주해 허용하지 않는다.

숫자 4와 죽을 사, 17 (XVII)과 VIXI

동아시아에서는 숫자 4(四)를 죽을 사(死)와 연관시켜 이른바 4자 기피가 있어서 빌딩이나 종합병원 같은 곳에는 4층이 없고 F(Four)로 쓰거나 3에서 5로 바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에서 숫자 4(四)는 ‘사’로 읽어 죽을 사(死) 자와 연관하듯이, 중국어에서도 ‘四’자는 ‘sì(쓰)’로 읽히며 ‘死’자 역시 성조는 다르나 발음이 비슷한 ‘sǐ(쓰)’라고 읽힌다. 이외에도 일본어로도 4는 ‘시(し)’ 또는 ‘욘(よん)’으로 읽히며 전자는 ‘死’ 자와 음이 같다. (일본에서는 뉴스에서도 4를 주로 ‘し’ 보다는 ‘よん’을 사용해서 보도한다.)

이탈리아에서는 17 (XVII)을 VIXI로 보아 무서워하는 17 공포증이 있다.[출처 필요]

문학 속의 죽음

로마의 시인 루크레티우스는 두려움을 “신들의 어머니(Mutter der Götter)"라 부르고 있는데 그것은 아마도 생에 대한 두려움이라기보다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었을 것이다.[9]

박목월은 시 〈하관〉(下棺)에서 아우의 죽음을 묘사하고 있다. 아우의 시신을 땅에 묻는 장례 의식을 그린 부분과 꿈에서 아우를 만나고, 죽음의 세계와 현실과의 거리감을 실감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종길은 시〈고갯길〉에서 아버지를 여읜 슬픔을 절제된 언어와 구체적인 이미지를 통해 형상화하였다. 짧고 간결한 언어 표현과 서리를 뒤집어써 하얗게 우거진 마른 풀의 모습, 차가운 봄 날씨, 허허로운 솔바람 소리 등의 구체적 이미지를 통해 아버지를 잃은 화자의 슬픔을 잘 드러내고 있다. 박제천은 시 〈월명〉(月明)에서 나뭇잎을 통해 깨달은 인생의 본질을 노래하고 있다. 나무를 떠나야만 하는 수많은 나뭇잎들을 통해 죽음의 세계로 떠나야 하는 인간 존재를 형상화하고 있다.[10]

사후 세계

상당수의 종교에서는 죽은 후에도 살아있을 때와 유사한 세상으로 보내진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고대 이집트에서는 파라오가 죽으면 매우 거대한 무덤을 만들어 파라오가 죽은 후 살아갈 거주공간을 만들어 주는데 이를 피라미드라 한다. 또한 기독교와 불교도 각각 어떻게 살았느냐에 따라 죽은 후 가는 곳이 달라지며, 신앙심이 깊고 선량하게 살았으면 천국(극락)으로, 악하게 살면 지옥(나락)으로 간다고 믿고 있다. 사후세계를 다녀왔다고 주장하는 일부 사람들도 존재한다. 북유럽 신화에 의하면 (劍)을 통해서 죽어야만 천국에 간다고 기록되어 있다.

많은 종교와 문화, 문학 등에서 사후 세계를 묘사하고 있지만, 사후 세계는 경험적 관찰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과학의 영역이 되지는 못한다.

죽음에 대한 표현

한국어에서는 죽음을 동사로 일반적으로 죽는로 표기하지만,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는 돌아가시다라는 높임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영어에서는 완곡한 표현으로 passed away, passed on, expired 와 같은 표현이 쓰인다.

‘죽음’이란 단어는 여러 개의 높임말을 가지고 있고 쓰이는 사람에 따라 단어도 다르다.

  • 붕어(崩御) - 황제나 황후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 훙서(薨逝) - 왕비 또는 황태자황태자비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 승하(昇遐) - 군주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 서거(逝去) - 자신보다 높은 사람(예: 대통령, 국무총리)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예:박정희노태우김영삼전두환 전대통령 서거)
  • 선종(善終) - 천주교회에서 신자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착하게 살고 복되게 생을 마친다'라는 뜻을 가진 선생복종(善生福終)에서 유래하였다. (예:김수환 추기경교황 요한 바오로 2세정진석 추기경 선종)
  • 입적(入寂) - 불교에서 승려(비구비구니)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예:법정 입적)
  • 소천(召天) - 하늘의 부름을 받는다는 뜻이며, 개신교에서 신자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 열반(涅槃) - 불교에서 부처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 순국(殉國) -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죽음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예:윤봉길 의사, 안중근 의사 순국)
  • 순교(殉敎) - 자신의 종교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죽음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예: 불교 순교자인 이차돈의 순교, 조선일본베트남의 천주교 박해로 순교한 천주교 순교자들(김대건신부 포함), 일제강점기에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순교한 장로교 고 주기철 목사, 나치독일에 저항하여 순교한 독일 루터교회 디트리히 본 회퍼 목사 등의 개신교 순교자.)
  • 순직(殉職) - 자신의 직책을 다하다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죽음. 즉, 산업재해에 따른 죽음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과로에 따른 지병악화 및 돌연사, 건설현장 추락,기계에 끼임, 집배원들의 교통사고처럼 사고에 따른 죽음, 감정노동자들이 정신장애에 의해 자사하는 일처럼 노동과 연관된 죽음을 뜻한다. 사용자의 안전배려 의무, 노동시간 단축, 안전교육 등의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 임종(臨終), 작고(作故) - 자신의 가족 등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 별세(別世) - 일반적으로 높여 부르는 말로 쓰인다. 2004년 성공회 기도서에서는 별세자를 위한 기도를 감사성찬례 양식에 적었다. 또는 원불교에서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 타계(他界) - 인간계를 떠나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자 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 사망(死亡) - 죽음을 뜻하는 단어로 가장 많이 쓰인다.
  • 졸(卒) ,몰(沒)-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죽음을 격식을 갖춰 이르는 말이다.
  • 폐(廢) - 고꾸라져 죽는다는 뜻이다.
  • 전사(戰死) - 전쟁에서 싸우다 죽음. 전몰. 전망.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는 한국 전쟁 중에 전사한 분들의 유골을 발굴하여, 장례를 치르고 있다.
  • 산화(散花/散華) - 목적을 이루다 죽음.
  • 요절(夭折) - 어린 나이에 죽음.

죽음에 대한 명언

아무도 죽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래도 죽음은 우리 모두의 숙명이다. 아무도 피할 수 없다. 왜냐하면 삶이 만든 최고의 발명품이 죽음이기 때문이다.
 

죽음, 법의학적 관점

죽음의 단계
Hofmann Lehrbuch killed woman.jpg
v  d  e  h

개인의 죽음을 개체사(somatic death)라고 하면 개체는 심폐사, 뇌사로 나눈다.

심폐사(cardiopulmonary death)는 3대 생명유지 장기인 뇌, 심장, 폐는 서로 독립하여 생명활동하지 않고 서로 연관성가지고 있으며 이 세 장기의 기능이 모두 영구히 정지하면 심폐사라고 한다. 전통적 죽음의 개념은 심폐사를 의미한다.

뇌사(brain death)는 뇌간을 포함한 뇌 전체의 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정지하면 뇌사라고 한다. 심장은 자동능이 있어 뇌사 상태에서도 일정한 기간 동안은 박동을 할 수 있으나 폐기능은 뇌간의 기능이 정지되면 호흡도 정지되어 인공호흡기에 의해서만 호흡이 유지되고, 심장도 박동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뇌사라고 한다.

참고로 식물인간 (persistent vegetative state)은 뇌사와 다르다. 즉 사고를 담당하는 대뇌는 기능이 정지 된 상태이나 호흡과 생명 유지를 담당하는 뇌간 기능이 살아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궁극적인 사망은 세포사(cellular death)이다. 세포의 기능이 정지되는 시점이다.

법의학에서 사망의 시점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심폐사적 사망인지, 뇌사적 사망인지가 중요하며, 또 생활 반응도 중요하다. 생활 반응이란 사망자가 살아 있을 때 생긴 반응이므로 사후에 생긴 상처 등과 구분하여야 사망 원인을 잘 알 수 있다.

법의학적 관점에서 고려하여야 할 죽음의 여러 측면

같이 보기

각주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생물의 목숨이 끊어지는 일
  2.  “the definition of death”. 《Dictionary.com》. 2018년 4월 13일에 확인함.
  3. ↑ 이동:  신정호, 《인간과 행동》, 연세대학교출판부, 1997년, ISBN 89-7141-414-6, 185쪽
  4.  이광자 외, 《건강 상담 심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년, ISBN 89-7300-797-1, 12-13쪽
  5.  전성식, 죽음,죽어감,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야하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DOI:10.3345 / kjp.2009.52.8.851
  6.  전세일, 새로운 의학 새로운 삶, 창작과 비평사, 2000년, ISBN 89-364-7061-2, 76-77쪽
  7.  김종열, 《법치의학》, 지성출판사, 2005년
  8.  “이슬람에서의 하나님의 개념”. 2012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6일에 확인함.
  9.  파울 프리샤우어 (1991년 1월 15일) [1968]. 《세계풍속사(상)》. 이윤기 번역. 서울: 도서출판 까치. 20쪽. ISBN 89-7291-011-2로마의 시인 루크레티우스는 두려움을 “신들의 어머니(Mutter der Götter)"라 부르고 있는데 그것은 아마도 생에 대한 두려움이라기보다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었을 것이다.
  10.  강승원, 편집. (2009년 1월 5일).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초판. 한국교육방송공사. 해설6~7쪽.

외부 링크

==


주사위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죽음의 세계적인 상징으로 인간의 두개골

죽음 은

  1. 생명 이 사라질 것 [1] . 생활 이 사라질 것 [2] . 생명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2] .
  2. 기능을 할 수 없는 것, 도움이 되지 않는 것, 능력을 행사할 수 없는 상태 [1] (→ #비유적인 용법 을 참조).

다만, 무엇을 가지고 사람의 죽음으로 하는지, 그 판정이나 정의는 문화, 시대, 분야 등에 따라 다양하다(→「사망의 판정·정의」절을 참조). 일단은 생명이 없다고 여겨지는 상태가 되었지만 다시 살아 있는 상태로 돌아왔을 경우, 도중의 「죽음」이라고 된 상태를 「가사」나 「가사 상태」 「임사 상태」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종교 , 철학 , 신학 이 죽음을 다루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사생학 , 법학 , 법의학 , 생물학 등도 죽음에 관련되어 있다. 죽음의 뒤에 다양한 말을 연결해, 다양한 뉘앙스를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 사망 ', ' 사망 ', ' 사망 ' 등이 있다.

「죽음」의 정의 및 판정에 관한 여러 문제 편집 ]

어떤 상태가 된 것을 「죽음」으로 하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각 지역 의 문화적 전통, 개인의 심정, 의료 , 법 제도 , 윤리적 관점 등이 서로 대립하고 있어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의학적인 견해의 하나에 주목해 보았을 경우에도, 거기에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요로 묘지 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생사의 경계라는 것이 어딘가에 제대로 있다고 생각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의사라면 그것이 알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 정의는 매우 어렵습니다. 라고 하는 것도, 「살아 있다」라고 하는 상태의 정의를 할 수 없으면, 이 경계도 정의할 수 없습니다. 거짓말처럼 보일지도 모릅니다만, 그 정의는 실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3] .

의료 현장에서의 죽음의 판정 방법 편집 ]

삼조 후[ 편집 ]

의료에서 사용되는 「죽음의 3조후」로, 다음의 3개로 이루어진다.

장기 이식 문제가 나타날 때까지 이렇게 생각해 보면 기본적으로 문제는 없었다 [4] .

바이탈 사인 편집 ]

현대의 의료 현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우선 바이탈 사인 을 보고 생명의 상태를 판단하고 있다. 즉 심박수 · 호흡수 · 혈압 · 체온 이다. 그리고 생체 사인에 의한 생명 활동을 확인할 수 없게 되어 동공 반사 를 조사하여 그것도 없는 경우에 사망했다고 판단하는 방법이다 [주 1] .

뇌사와 장기 이식 편집 ]

죽음을 엄격하게 정의하는 것은 어렵지만, 의료 현장에서는 앞서 언급한 '죽음의 3조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단 해결을 보고 있었다. 그러나 장기 이식 의 등장으로 사태가 복잡해졌다 [4] .

미국 등에서 일부 의사에 의해 장기이식 시도가 이루어지게 되면 이러한 의사는 가능한 한 상태가 좋은 장기 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빨리 장기를 적출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 쪽이 이식된 사람의 예후 는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기에 장기를 적출하는 수술을 한 것으로 환자가 사망했다고 볼 수 있을 경우 그 일련의 행위는 (일종의) ' 살인 '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장기이식을 하고 싶은 의사들이 의식 의 유무를 생사 선화에 이용하는 것을 제창하여 ‘ 뇌사 ’라는 개념이 태어났다. 이로 인해  가 죽은 상태에서도 남은 장기는 신선한 상태를 유지한 채 장기를 이식할 수 있게 되었다. 뇌사라는 개념에서는 "뇌의 전기적 활성 정지가 의식의 끝을 나타낸다"고 했다. 즉, 뇌의 전기적 활성이 멈췄을 때, 사람은 사망했다고 한다.

뇌사에 대한 견해는 분리되어 있다. 원래 「뇌사」라고 하는 개념 자체, 선취는 다양하고, (뇌의 어느 부분이 죽은 단계에서 「뇌사」로 할지 의견은 나뉘어져), 「뇌의 신경세포가 전부 죽은 시점이 뇌사」로 한다 사람도 있다 [5] . 그러나, 만약 이 논법을 취하는 경우에서도, 도대체 어느 시점에서 신경세포가 전부 사망했다고 말할 수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5] [주2] [주3] [주4] [주5] [주6] [주 7] . 일본 장기 이식 네트워크에서는 뇌사를 "뇌간을 포함한 뇌 전체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로 정의하고 있으며 소위 식물 상태와는 명확하게 다르다고 한다 [6] .

뇌사의 논의는 과학 분야보다는 사회가 일치하여 결정하는 '죽음'이 문제의 중심이 되는 것 같다고 요로 묘지 는 지적했다 장기이식을 둘러싼 '뇌사' 개념에서는 장기이식을 하려는 의사, 장기를 적출되는 사람과 그 가족 , 장기를 받는 사람의 입장 등에 따라 의견이 다르다. 양로는 인체라는 것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 로 이루어져 있고 그들이 전체적으로 살고 있는데, 그러한 수많은 세포 중에서 뇌의 신경세포만을 특별시할 정도의 명확한 근거가 있는 것 아니 [5] 라고 주장했다.

뇌의 신경세포만을 특별시한다는 것은 피부나 근육의 세포를 경시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요로는 지적하고 있다 [8] . 또, 근육은 「뇌사」의 판정 후에도 전기 자극을 주면 잘 움직인다 [9] 로부터, 「생사의 경계」나 「죽음의 순간」은 엄격하게 존재하고 있다고 하는 생각은, 추억에 지나지 않는다 없는 것이 아닌가와 양로는 주장하고 있다 [9] .

장기 이식법」에서는, 뇌사는 죽음인 등이라고는 적혀 있지 않다 [10] . 단순히 뇌사 상태의 환자에게서 장기를 이식 할 수 있다고 밖에 적혀 있지 않고, 해석은 분리되어 있다 [10] [10] . 

무라카미 요이치로 는 ‘뇌사’라는 개념은 상당히 부적절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11] . 무라카미는 '뇌사'라는 개념이 만들어진 것은 의학 이 인간을 부품 모임으로 밖에 보지 못했기 때문이며, 거기에는 한 사람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의 환자에 대한 시점이 부족하다고 주장 했다 [11] . 한편, 장기제공에 의해 구명할 수 있는 환자도 존재하고 있으며, 뇌사라는 개념과 장기이식에 대한 평가는 나뉘어져 있다 [12] .

장기이식과 뇌사를 둘러싸고 논의가 활발했을 때, 죽음(뇌사)을 “앞으로는 죽음을 향해 비가역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이 되는 상태이다”고 한 사람도 있다 [13] . 법의학의 교원에서도 “사람의 죽음은 심장 ·  ·  , 그들 모두의 돌이킬 수 없는 기능 정지”라는 사람이 있다. 「생명 활동이 돌이킬 수 없게 멈추는 것」등이라고도 말해졌다 [14] [주 8] [주 9] .

이상과 같이 입장에 따라 견해가 다르기 때문에 21세기 현재에도 「죽음」의 판정이나 정의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다.

법 제도의 요청에 의한 의사의 판단 편집 ]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생과 죽음의 경계는 명확하게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말로서「생사」라는 말이 있어 사용되고 있는 이상, 「사이에 틈이 있다」라고 하는 전제가 놓여 있어 [15] , 또 사회 의 제도 로서는, 어떤 형태로 해도, 생사를 명확 하는 것은 요구된다. 그러한 배경에서 죽음을 규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의사는 사망 진단서의 「사망 시각」란에 사망했다고 판단되는 시각을 쓰는 것으로 대상이 언제 사망했는지를 일단 명확하게 하고 있다 [15] [15] . 그것에 의해, 「죽음의 순간」이 형식적으로는 있지만 결정된다 [15] .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문서 위에서 결정한 것에 지나지 않고, 실체로서의 「죽음의 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견해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15] .

사망 판정 관련 서류 및 법적 절차 편집 ]

많은 나라 에서 사람의 죽음은 의사에 의한 사망 진단서 , 경우에 따라서는 시체 검안서 에 의해 법적인 죽음으로 한다. 덧붙여 일본에서는 사망 진단서는 의사뿐만 아니라 치과 의사도 작성할 수 있지만, 시체 검안서에 대해서는 의사만이다.

죽음의 오진 편집 ]

의사 에게 사망을 선고받은 후, 살아났다고 여겨지는 사례가 존재한다 [16] .

영국 의 빅토리아 시대 의 그러한 일화에서는, 어떤 것은 방부 처리 를 시작했을 때, 어떤 것은 죽음의 며칠 후에 관 속에서 의식을 회복하는 등 해 돌아다니거나 한다 요출전 ] . 당시 영국에서는 이런 너무 이른 매장을 강박관념적으로 두려워하게 되는 사람이 있었다. 동시대 이전에는, 페스트 등의 전염병 유행시에, 감염을 두려워 모욕적인 검사가 자주 있었다고 되어 이것이 사망자 부활(→ 흡혈귀  좀비 · 구르  )의 전승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출처 ] .

이들은 그 당시의 검사 기술이 완전하지 않고, 쇼크 상태에 있어서의 체온의 급격한 저하나, 호흡량의 현저한 감소, 혹은 혈압 저하에 의한 맥의 미약한 상태를 사망이라고 잘못 판정한 케이스나, 일시적 한 심폐정지 후에 우발적으로 심장 의 고동이 정상으로 돌아와서 '살아났다'고 여겨졌다고 한다 요출전 ] . 이 때문에 현대적인 검사에서는, 최초의 체크로부터 일정시간 후에 생명의 징후가 없는지를 재확인하게 되어 있다.

검사기술의 발달 이전의 토장 에서는 이와 같이 살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장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발명가들은 피매장자의 상태를 관 밖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발명했다. 지표에는 벨과 깃발이 있었고, 그것이 관 안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의 뚜껑 에는 금망 이나 도르래 장치로 부서 지는 유리 의 구획이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쉬는 것 밖에 없고, 이 도르래 장치가 관에 걸린 흙 때문에 기능할 수 없고, 관을 파괴한 곳에서 깨진 유리와 흙이 피매장자의 얼굴을 덮게 된다. 안전한 관도 참조)

통계 및 원인 편집 ]

WHO에 의한 인구 백만당 사망자 수(2012년)
  1,054–4,598
  4,599–5,516
  5,517–6,289
  6,290–6,835
  6,836–7,916
  7,917–8,728
  8,729–9,404
  9,405–10,433
  10,434–12,233
  12,234–17,141

세계 에서는 하루 당 약 15만명이 죽음 을 맞이하지만, 그 중 2/3은 고령 에 의한 연령 관련이 사인 이다 [17] . 선진국 이 되면 그 비율은 높고, 90% 정도가 나이 관련이다 [17] .

일본의 월별 사망 수의 비율 [18] [19] . 일본 에서는 최근에는 겨울 에 사망하는 예가 많고, 그 이외의 시기의 사망수는 비교적 적다. 난방 , 냉방 이 보급되지 않았던 메이지 시대 에는 겨울과 여름에 2개의 사망의 피크가 인정된다.

사람이 죽음에 이르는 원인을 사인 이라고 한다.

직접적으로 사망으로 이어진 원인을 「직접 사인(direct cause of death)」이라고 하고, 직접 사인을 초래한 원인을 「원사인(underlying cause of death)」이라고 한다. 요출전 ]

흡연 하는 미국인 소년 , 1910년 . 담배 흡연은 20세기 에 1억 명의 사망을 일으켰습니다.

(일반적인 사인의 분류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참고까지) 사망 진단서 에서의 「사인」의 분류에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20] .

자궁내의 태아 가 사망한 상태에서 태어나는 것을 사태검안서에서는 「자연 사산」이나 「인공사산」으로 분류한다 [23] . 엄밀하게는 태아 그 자체의 사인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태아가 사망했을 때에 사용된다.

또한 병사에 관해서는 최근 일본에서는  , 심장 질환 , 폐렴 이 3대 요인이 되고 있다 [24] .

2018년 ( 2018 년 )에서는 암·심질환· 노쇠 가 상위 3개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후 뇌혈관장애, 폐렴, 불의의 사고로 이어진다 [25] .

생물학적 죽음 설명 편집 ]

남북전쟁 에서 남군병의 시체( 1865년 , 피츠버그 )

죽음에 이르면, 생물체는 점차 붕괴에 이른다. 이것은 주로 두 가지 작용 때문입니다.

하나는 생물체 자체가 스스로를 분해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소화 효소 와 같이, 생물체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는 생물체 내의 곳곳에 존재하고, 이것에 의해 생물체가 분해되지 않는 것은 생명 활동의 하나로서 그들을 격리한 상태로 하는 활동이 있기 때문이다. 죽음에 의해 그것이 멈추면, 생물체는 스스로 분해를 시작한다.

다른 하나는 다른 생물로 분해된다는 것입니다. 생물의 몸은 다른 ​​다양한 생물에 유익한 영양원입니다. 특히 미생물은 항상 공기중이나 지면 등으로부터 침입을 시도하고 있다. 이것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는 살아있는 생물에게는 면역 작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죽음에 의해 그 활동이 멈추면 곧 그 침입과 번식이 시작된다.

단세포 생물 등의 죽음 편집 ]

원칙적으로 단세포 생물 에는 수명 ( 노화 )에 의한 죽음이라는 개념이 없다. 다세포 생물은 텔로미어 에 의해 세포의 분열 횟수가 제한되고, 분열 횟수의 한계 가 노화를 초래하지만, 진핵 단세포 생물은 예외 없이 텔로머라제 에 의해 텔로미어를 수복함으로써 무한히 늘어날 수 있다.

단세포 생물에 수명되는 것을 찾아내려고 해도, 코끼리 벌레 의 분열 제한 정도밖에 들 수 없다. 코끼리벌레 를 인위적으로 하나씩 분리하는 것을 반복하여 자가생식 또는 접합을 하지 않도록 주의 깊게 사육한 바, 350회 정도의 세포분열 후에 죽음을 맞이한다. 이는 코끼리벌레가 자가 생식 또는 접합에 의한 핵의 융합이 텔로머라제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계에서 수명을 맞이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말해도 좋다.

다세포 생물의 죽음 편집 ]

다세포 생물 에서는 세포 · 조직 · 개체 의 죽음은 구별된다.

죽음의 과정 편집 ]

심폐정지 편집 ]

일반적으로 호흡이 멈추고 맥박이 사라지면 죽음 과정이 시작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 심폐 정지 "를 참조하십시오.

세포사 편집 ]

통상적인 세포 기능은 필수적인 세포 대사에 필요한 에너지 , 효소 및 구조 단백질 의 생산, 세포의 화학적 및 침투적 항상성의 유지 등을 포함한다.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세포는 산소 , 인산염 , 칼슘 , 수소 , 탄소 , 질소 ,  , 영양 기질, ATP 등을 섭취해야하며 또한 손상되지 않은 세포막과 산소를 ​​소비하는 불변 활동도 필요합니다. 이들 요소 중 어느 것이 차단되어도 세포 사멸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심폐 정지 로 세포사가 급속히 진행하게 된다.

뇌사 편집 ]

심폐 정지 상태가 되면 대량의 산소를 필요로 하는 뇌가 신속하게 파괴된다. 인간의 신체의 중추이기 때문에, 의식의 회복이나, 신체의 항상성의 유지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 뇌사 "를 참조하십시오.

사후 시신의 변화 편집 ]

렘브란트 “니콜라스 터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1632년)

사후에 인체에 일어나는 변화를 사후 변화 라고 한다. 우선, 심박이 정지한 시점을 사망 시간으로 하고, 그 후 보이는 현상은 이하와 같다. 사망 후 나타나는 분명한 변화의 대부분은 혈류의 정지로 인한 것입니다. 요출전 ]

우선, 체표 온도가 신속하게 실온 에 가까워진다. 사후, 체심 온도는 체표 온도와 달리 완만하게 기온에 접근한다. 대부분의 경우 기온은 체온보다 낮기 때문에 낮아집니다 ( 사냉 ). 체온의 저하 속도는, 사망시의 체온이나 시체의 크기, 환경이나 의복 등, 몇개의 요인에 의해 변화한다. 주위의 습도가 낮 으면 손가락 뾰족, 비 첨예 등의 돌출 부위로부터 신속하게 건조하여 피부의 수축이 관찰되어 미라화가 시작된다. 생리적으로는 혈류정지 후 산소의 공급이 끊긴 전신세포 중 신경세포 등의 취약한 세포로부터 수분 이내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시작되어 마지막으로 근섬유 등의 제일 소혈에 강한 세포가 사멸합니다. 말초의, 상피 등 혈액 이외로부터 산소를 얻을 수 있는 세포에서는 혈류의 정지에 의한 수분의 부족(건조), 전해질의 이상 등을 원인으로 세포사가 시작된다. 건조로부터 벗어나 주변 공기로부터 어떻게든 산소가 공급되고 있는 경우, 모근 등의 세포는 잠시 생존할 가능성도 있지만, 시체의 수염이나 머리카락이 늘어난다고 하는 경우, 대부분은 표피의 건조에 의한 수축 때문에 모발이 더 노출되어 보이는 것에 의한 착각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또한, 눈꺼풀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각막의 건조, 각막의 세포 사멸에 의한 단백질의 변성에 의한 백탁이 신속하게 진행된다. 요출전 ] 시체가 부패하기 전에 사후 경직 이 시작된다. 시체 경직의 발현까지의 시간과 그 지속기간은, 사망시의 근육의 온도와 기온에 영향을 받는다. 시체 경직은 보통 죽음 2 - 4 시간 후에 시작 됩니다 요출 ] , 근육은이 과정에서 근원 섬유에있는 ATP의 감소와 젖산 아시도시스 때문에, 서서히 꺾인다. 사후 9~12시간이 경과하면 근원섬유의 기능이 상실되기 때문에 시체 경직은 해제된다. 사후 경직 중에 타동적으로 관절 을 굴신시키면 사후 경직은 해제된다. 또한 기온이 충분히 높으면 시체 경직은 일어나지 않는다. 요출전 ]

임사체험 편집 ]

가사상태에서 의학처치 등으로 소생한 사람의 4-18%가 가사체험 상태에서 체험한 사건을 보고한다. 즉, 의사 등에 의해 사망했다고 판정되었는데, 시간을 거쳐 다시 살아남는 사람이 있다. 다른 말을 한다면 가사상태에서 살아남는 사람이다. 따라서 " 임사체험 "이라고 불리고 있다.

유사 이래 '임사체험'을 한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고, 서양 에서도 동양 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다양한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하버드에서 종교학 강의를 담당하는 캐롤 자레스키는 중세 문헌 이 임사 체험의 설명으로 넘쳐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일본에서도 「지금 옛 이야기」 「우지 훈 유 이야기」 「후 와 이야기」 「일본 왕생 극악기」 등에 임사 체험과 똑같은 설명이 있다고 한다 [26] .

최근에는 의학기술에 의해 정지된 심장의 박동이나 호흡을 다시 시작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죽음의 연에서 생환하는 사람의 수는 과거에 비해 증가하고 있다 [27] .

임사체험의 연구라고 하는 것은, 구미 에서는 지질학자의 알베르트·하임 이 등산시의 사고로 자신이 임사 체험한 것을 계기로 실시해 1892년 에 발표해 선편을 붙여, 그 후 1910년대 - 1920년대 에 수명 에 의해 연구가 발표되었지만 일단 끊어져, 1975년 에 큐블러=로스 와 레이몬드 무디 라는 의사가 그 녀석에서 저서를 출판한 것으로 다시 주목하게 되었다 [26] . 1982년 에는, 역시 의사의 마이클 세이봄도 조사 결과 [28] 를 출판했다 [26] .

사람은 죽음에 임해, 눈부신  , 아름다운 경치 등을 보거나, 이 세상 을 떠나 오랜 신내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고 한다. 자신이 공중에 떠오르고 나중에 육체 속으로 돌아온 것을 기억할 수도 있다고 한다 [27] . 임사체험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영적 해석과 유물론적 해석이 있으며, 의사와 과학자 사이에서도 해석은 나뉘어져 있다 [29] [30] ( 임사 체험 에서 상세설명).

죽음의 수용 편집 ]

철학과 죽음의 수용 편집 ]

고대 그리스 의 플라톤 은 철학 을 'melete thanatou (죽음의 연습)'로 간주하고 영혼 의 영원성을 믿고 평연히 죽을 수 있도록 마음 훈련을 하는 것이 철학을 하는 것이라고 했다( 『파이돈』).

독일 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 는 주저 ' 존재와 시간 '에서 사람의 존재양식의 철학적 개념으로서 자신의 ' 현존재 '라는 특징적 용어를 사용하여 '죽음은 현 존재가 자기 앞서 관계되는 것으로 하고, 「현 존재」를 「죽음에 관계되는 존재」라고 규정한다. 또, 평균적 일상성 = 「사람」의 세상에 낙락하고 있는 현존재는 죽음에 대한 비본래적 존재양식 이라고 하며, 실존 의 각성으로서의 본래성에의 되돌아가기 때문에 「미래 죽음에 접근하는 각오 "성"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31] 하이데거의 죽음에 대한 고찰은 덴마크 의 철학자 세일렌 킬케골 의 실존 사상, 러시아 의 소설가 료돌 도스토예프스키 의 작품 등에 의거하고 있으며, 전후 일본의 철학자에게도 강한 흔적을 남기고 ( 실존주의 #불안의 시대 참조).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하이데거와 동시대의 철학자 루트비히 위트겐슈타인 은, 제1차 세계대전 의 참호전 에 일병졸로서 참전중에 저술한 「논리철학 논고[32] 에 있어서, 「죽음은 생의 사건 아니다. 사람은 죽음을 경험할 수 없다”(6.4311). 또, 영원이란 무한한 시간 지속이 아니라 무시간성이라면,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은 영원을 살다고 한다. 와 같이”라고 묶는다. 이어서, 위트겐슈타인은 6.4312에서 사람의 영혼의 시간적 의미에서의 불멸이 그것만으로는 우리의 소위 "인생의 수수께끼"를 푸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33] .

철학자의 가루야마 긴시로 는, 「철학 개설」에 있어서, 사람의 본질적인 특성으로서 「죽음을 자각하는 존재」인 것을 들고 「죽음을 알지 못하면, 사람은 이렇게 편한 것 는 없다”라는 취지의 말을 말하고 있다 [34] . 사람 이 다른 생물 과 다른 한 가지 특징은 사람이 모두 (그리고 자신도) 곧 죽는다는 것을 "알고있다"는 것이라고도한다 [35] .

자기가 죽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사람의 철학적 영업은 시작된다고도 한다. 죽음을 아는 것은 철학 에의 계기이기도 하고, 또 종교 에의 계기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삶의 의미 를 묻는 것과 마찬가지로 죽음의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받아들이는지, 일생을 걸어 계속 묻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철학자 미키 키요시 는 「죽음은 관념이다.」로서, 생이나 병과 대비적으로 취급하면서 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우리는 세상적 일상성에서 탄생을 '생의 시작', 죽음으로 '생의 끝'으로 본다. 그러나 우리는 실존적 지평에 있어서는 스스로의 탄생을 체험하지 않고, 우리의 삶은 이미 시작되어 버린 것으로서 각각 개인의 눈앞에 나타난다. 이것을 뒤집으면, 우리는 잠의 순간을 경험하지 않기 위해 "생의 끝"으로서의 죽음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이데거적으로 말하면 세상적인 일상성에슬럼프힘든)한 사람이 무언가의 계기로 실존적 각성에 이르고 「죽음에 관련된 존재」로서 현 존재의 본래성에 돌아왔을 때, 그때까지 당연히 알고 있었을 것이다 「생의 끝」으로서의 추상 관념에 불과 없는 "죽음"이 눈앞에서 사라져 버리는 것에 의해,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말하기 어려운 기묘한 실감에 습격당하는 것은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36] .

죽음의 인칭에 따른 분류 편집 ]

철학자 장케레비치는 인칭에 의한 죽음의 분류를 제창했다 [37] .

  1. 1인칭 의 죽음: 영어 로의 인칭「I」에 해당한다. 자신의 죽음.
  2. 2인칭 의 죽음: 영어로의 인칭 'you'에 해당한다. 친한 자의 죽음. 스스로의 큰 인생 경험으로 받아들여져 애착이 있기 때문에 비애 등의 감정이 일어난다. 이 죽음에 접하는 것으로, 다음은 자신의 죽음이라고 자각하게 되는 것이다, 라고 한다.
  3. 3인칭 의 죽음: 영어로의 인칭 「it」「he」「she」등에 해당한다. 말하자면 무관한 인물의 죽음. 2인칭의 죽음이 대체할 수 없는 존재인데도 무관한 인물의 죽음으로도 대체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죽음의 수용에 관한 연구 편집 ]

사람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해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마침내 진지하게 연구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프랑수아 드 라 로슈프코 ( 1613-1680 ) 는 " 잠언집 "에서 "죽음을 이해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죽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죽을 것이다.” 등이라고 말했다.

돌발적 사고 등으로 덮쳐 오는 죽음의 경우에는 사람은 죽음에 대해 생각할 여유조차 없다. 회복의 전망이 없는  에 걸려, 의사 등으로부터 여명 이 몇개월이라고 선고되는 경우, 사람은, 자신이 죽어야 하는, 갑자기 죽는다는 사실에 마주하게 된다. 죽음의 결정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다양한 시도를 실시한다.

죽음을 자각한 사람은 도대체 어떻게 자기 죽음의 사실과 마주보고 어떻게 그 사실을 거부하거나 받아들이는가? 큐블러=로스 는 실제로 다수의 '죽으러 가는 사람'이라고 말을 나누고 심리치료에 종사한 경험을 종합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추적하는 '죽음의 수용에의 과정'을 다음과 같이 단계적 모델로 보여주었다 [38] .

첫 단계: ' 부인과 고립'
병 등의 이유로 자신의 여명 이 앞으로 반년이라든지 3개월이라는 등을 알고 그것이 사실 이라고 알고 있지만, 굳이 죽음의 운명 사실을 거부하고 부정하는 단계. 그것은 농담일까, 뭔가 잘못이라는 바람에 반론함으로써 죽음의 사실을 부정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임을 알고 있지만, 사실을 거부, 부정하는 것으로 사실을 긍정하고 있는 주위로부터 거리를 두게 된다.
2단계: '분노'
거부하고 부정하려고 하고, 부정할 수 없는 사실, 숙명 이라고 자각할 수 있었을 때, 「왜 내가 죽어야 하는 것인가」라고 하는 「죽음의 근거」를 묻는다. 이때 당연히 그러한 형이상학 적 근거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누구와 같은 사회의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이 죽는 것은 납득할 수 있다. 왜 자신이 죽어야 하는지 그 질문의 대답의 부재에 분노 를 느끼며 표명한다.
세 번째 단계: '거래'
죽음의 사실성·기정성은 거부도 할 수 없고, 근거를 물어 대답이 없는 것에 대해 화내어도, 결국, 「죽으러 가는 결정」은 변화시킬 수 없다. 죽음의 숙명은 어쩔 수 없다고 인식하지만, 뭔가 구원 이 없는지 모색한다. 이때, 자신은 욕심이었기 때문에, 재산을 자선 사업에 기부하기 때문에, 죽음을 해제해 주었으면 한다든가, 오랫동안 만나지 않은 딸이 있다, 그녀를 만날 수 있었다면 죽는 등, 조건을 붙여 죽음을 회피 할 가능성을 탐구하거나 죽음의 수용을 생각하고 거래 를 시도한다.
4단계: " 우울증 "
조건을 제시하고 그것이 채워져도 여전히 죽음의 규정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 어떻게 해서도 자신은 곧 죽는다는 사실이 감정적으로도 이해되어 폐색감이 찾아온다. 아무런 희망 도 없고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무엇을 시도해도 죽음의 사실성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런 식으로 깊은 우울 과 억울 상태로 떨어진다.
제5단계: 「수용
억울한 가운데, 죽음의 사실을 반추하고 있을 때, 죽음은 「」이고 「암흑 의 허무」라는 지금까지의 생각은, 혹시 잘못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만날 수 있다 . 혹은 그러한 명확한 생각이 아니어도, 죽음을 공포 , 거부 하는 것으로, 회피 하려고 필사적이었지만, 죽음은 무엇인가 다른 것일지도 모른다는 심경이 찾아온다. 사람에 따라 표현은 다르지만, 죽어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인식 에 도달할 때, 마음에 있는 평안 이 방문해 「죽음의 수용」으로 사람은 이른다.

다만 이것은, 큐브러=로스가 다수의 「죽으러 가는 사람」의 사례를 관찰해 얻은 하나의 범형이며, 사람이 전원, 이상과 같은 단계를 거쳐, 죽음의 수용에 이르는 것 아니다. 여러가지 자기의 죽음과의 대면이 있다는 것을, 로스 자신도 인정하고 있다.

어쨌든 사람이 죽음을 받아들이고 존엄 을 가지고 죽음에 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위의 이해와 협력이 필수 불가결하다고도 한다.

의료장에서의 영적 케어 편집 ]

의료 의 현장( 병원 , 혹은 죽음을 각오하지 않을 수 없는 사람들이 많은 호스피스 등의 터미널 케어 의 장소)에서는, 사람은 「병인 것의 의미」・「살려 있는 것의 의미」・‘죽는 것의 의미’ 등에 관해 다양한 의문을 안고 고통을 느낀다. 이러한 통증은 "영적 창"이라고 불린다. 구미의 의료에서는 전통적으로 이러한 통증을 완화시키는 서비스, 즉 영적 케어 를 제공하는 구조가 갖추어져 있다. 일본의 의료장에서는 오랫동안 대응이 늦었지만, 1990년대 에 들어서 서서히 진전을 볼 수 있게 되었다.

긍정적 인 수락 편집 ]

앞서 언급했듯이, 죽음을 불쌍한 사건이라고 하는 문화·종교가 있는 한편, 죽음을 기쁜 사건이라고 하는 문화·종교도 있다.

죽음을 불쌍한 사건이라고 하는 문화권·종교에서는, 자신과 친한 인간의 죽음이 방문했을 때 등은 눈물고 있다. 하지만 죽음은 새로운 세계로 떠나는 문화권에서는 웃는 얼굴로 내보낸다.

엘리자베스 큐블러-로스 의 서적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다고 한다 .

죽음은 봄이 되어 무거운 오버코트가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을 때에 그것을 벗어버리는 것과 같은 것......... 육체는 불멸의 자기를 가두고 있는 껍질에 지나지 않는다.

아메리카 인디언 의 푸에블로 족 에게는 "오늘은 죽는데 안성맞춤의 날이다"라는 말도 전해지고 있다 [40] .

오늘은 죽는데 안성맞춤인 날이다. 살아있는 모든 것이 나와 호흡을 맞추고 있다. 모든 목소리가 내 안에서 합창하고 있습니다. 모든 아름다움이 내 눈 속에서 쉬려고 왔다. 모든 나쁜 생각은 나에게서 떠났다. 오늘은 죽는 데 안성맞춤의 날입니다 ...— 푸에블로의 고로가 말하는 말 [40]

죽음의 입체적인 표현 편집 ]

죽음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인간의 해골
해골에서의 표현

비유적 용법 편집 ]

자연언어라는 것은 그 성립으로 기본적으로 은유나 메타파르로 가득한 것이지만, 죽음이라는 표현도 뭔가 생명에 의지되는 존재가 그 은유적인 "생명"을 잃는 것 같은 경우에도 사용된다. 로마제국 의 죽음', '  의 죽음' 등이다.

OS의 죽음, 블루 스크린 . 서울 지하철에서

현재 언제? ] 에서는 기계 장치 등이 파손된 경우에 '죽은' 등으로 형용될 수도 있다. 특히 컴퓨터 에 대해서는, 전원이 꺼진, 크래쉬, 혹은 프로세스 가 정지한 등의 상태를 비유적으로 「죽었다」라고 표현하는 일이 있어, 그 연장으로 「프로세스를 죽인다」(진행중의 처리를 정지시킨다) 등과 같은 은유 표현도 사용된다(일례를 말하면, UNIX계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는 단순한 은유에 멈추지 않고 프로세스 정지 커멘드로서 'kill' 커맨드가 존재하고 있다). 생명의 돌이킬 수 없는 죽음과는 달리, 이들 기계의 비유적인 죽음으로는 손상된 부품을 교환하여 수리하고, 컴퓨터의 경우는 크래쉬한 프로그램에 관한 메모리를 파기해 기억 매체로부터 다시 읽어내는 등 복구시킨다 방법은 다양하다. 특히 기술근으로도 되면 "이상이나 고장이 손에 들지 않게 되고, 그것을 파기하고 이상이 없는 것으로 바꾸는 것 이외에 대처 방법이 없다" 경우에 "죽었다"고 표현한다.

스모 의 「죽음 에 몸 」, 야구 의 「사구」등의 표현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 일정한 직업 에 종사하고 있던 자가, 여러가지 사정에 의해 그 직무 가 현저하게 곤란하게 된 경우 등은 비록 생물학적 으로는 살아 있어도 매스 미디어 등에서는 「○○생명이 끊어진다」 등으로 표현된다 또, 정치가나 연예인 , 저널 리스트 등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직업 에 종사하는 자가, 자신이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 의 소위 「염상」등에 의해 사실 무근의 다양한 풍평 피해 를 받음으로써, 상기의 그러한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없게 된 것 등도 직업인으로서는 「죽고 있다」 혹은 「죽은」같은 것이기 때문에 「사회학적 죽음」으로 간주된다.

덧붙여 「죽는다」라든가 「죽을 정도로 괴롭다」라든가 「이제 안된다」라고 하는 의미로, 죽음을 비유로서 사용하거나, 과장 표현의 도구로서, 주로 약음 을 토할 때, 최근, 젊은이가 사용하는 넷슬랭 에 「타히루」라고 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반각 으로 쓰여진 '타히'가 '죽음'이라는 글자를 닮은 것이 어원이다 [41] .

컴퓨터 게임 에서는, 주로 플레이어 스톡제를 채용하고 있는 게임에 있어서, 실수를 하고 자기 가 하나 줄어드는 것을 「죽는다」라고 표현되는 일이 있다.

군인이 죽을 때의 표현 편집 ]

영어나 프랑스어로는 군인이 패배를 했을 때 "먼지(토)를 씹는다(영어:bite the dust, 프랑스어:mordre la poussière)", 독일어로는 "풀을 씹는다( Ins Gras beißen  ) )」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흙을 씹는다는 표현은 고대 그리스의 이리아스 (2, 418)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일본어에서는 모래를 씹는 것은 감정이 솟지 않는 듯한 때의 표현으로, 패배를 피울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서는 「바닥 페로」라는 말이 사용된다 [42] .

예술 작품의 죽음 편집 ]

예술 작품이 사람의 눈에 닿지 않게 되거나(사장), 작자의 의도한 일이 부분적으로조차 받아들일 수 없게 된 경우, 그 작품은 의미를 없애고 "죽는다"고 된다.

고대 그리스 , 고대 로마 에서 인간 은 죽어야 할 것이라고 불리고 신들 , 틀림없이 불사하는 것의 영원성과의 대비에 의해, 시간적으로 한정된 것으로 이미지되고, 예술가나 시인과  , 이 한계를 극복 인간 과 신들을 매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요출전 ] [43] . 현재 언제? ] 에서도 예술작품은 "불사성"과 연결되어 포착되는 경우가 많다.

발터 벤야민 ( 1892년 -1940  )은 이미 "죽어버린" 예술 작품의 '구제'가 역사가의 사명이라고 생각했다.

20세기 후반에는 쿤델라 와 오에 켄사부로 등이 '소설의 죽음', '문학의 죽음'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 사실은 죽지 않았다 - 셜록 홈즈의 라이헨 바흐 폭포 에서 사투 후부터 부활. 「개그 캐릭터가 아니면 죽었다」등, 인기 캐릭터를 작자나 팬이 죽일 수 없게 되거나, 작풍으로서 살고 있다, 혹은 작품을 북돋우기 위해 일시적으로 죽은 것처럼 치장되는 플롯·디바이스 .

각주 편집 ]

각주 사용법 ]

주석 편집 ]

  1.  죽음의 판정을 하는 의료자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의사 와 치과 의사 이외의 사람이 환자 의 사망을 선언할 권한은 없다. 소방기관 의 응급업무 규정 중 ' 명확하게 사망한 경우 '나 ' 의사가 사망하고 있다고 진단한 경우 '에는 구급대 가 환자를 반송하지 않는다고 정해져 있다. 즉, 다른 경우에는 환자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분명히 사망」이란, 단두, 체간부의 이단, 시체 경직, 사반 , 부패 , 탄화, 미라 화 그 외의 분명하게 생존 상태와는 모순되는 신체에의 손해(이른바 사회사 상태)를 말한다. 사회사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구급대원은 구명조치를 시작한 후 의사의 진단을 받을 때까지 그만두어서는 안 된다. 병원 도착 시 진찰로 사망이 확인되는 것을 DOA(Dead on arrival = 병원 도착 시 이미 사망)라고 한다.
  2. ^ 실은 의식의 유무의 판정도 쉽지 않다. 의식의 정지는 수면 중이나 혼수 중에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정지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영속적이고 회복 불능인 것이 아니면 안된다. 의식의 정지가 단순한 수면이었을 경우는 뇌파계로 비교적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뇌의 일부 기능이 손실되었다고 외부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었을 경우라도 그 상태에서 의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3. ^ 일부의 사람은, 뇌간 이 살아 있는지 어떤지를 선발에 사용하면 좋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뇌간의 기능이 정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각 쪽은 살아 기능을 유지하고 있어 주위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있는 환자의 사례도 발견되었다.
  4.  일부 사람은 “인간의 의식에 필요한 것은 뇌의 신피질 뿐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람은 “신피질의 전기적 활성만을 기준으로 죽음의 판정을 해야 한다”고 한다. 대뇌피질  죽음에 의해 초래되는 인식기능의 영구적이고 회복 불가능한 소실이 죽음을 판정하는 기준이 된다"고 말하는 사람 도 있다 ). "사람의 사고와 인격을 회복하려는 희망은 없으니까"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5. 산결에 의해 대뇌피질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에도 뇌의 전기적 활성이 뇌파계가 감지하기에는 너무 낮았을 경우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아도 뇌파계는 노이즈 (겉보기 전기 신호 )을 감지할 수 있다. (병원에서는 뇌파계를 사용하여 죽음을 판정할 때는 병원 내에서 넓게 공간을 분리하는 등 정교한 실시 요강이 있다고 한다.)
  6. ↑ 미국 에서는, 2005년 에, 식물 상태 에 빠진 테리 스키아보 의 존엄사 를 둘러싼 사례가, 미국의 정치 를 뇌사와 인위적인 생명 유지의 문제에 직면시켰다. 일반적으로, 죽음의 판정을 둘러싸고 싸워진 사례에서, 뇌의 사인은 무산소 상태에 의해 일어난다. 대뇌피질은 약 7분간 산결로 죽음에 이른다.
  7. 인공심폐 등 의료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심폐정지 상태에서도 항상 뇌를 살려 의식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또,  기능만이 폐절해도 심폐기능을 인공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심폐기능이 유지되고 있지만 뇌의 활동을 나타내는 소견이 없는 상태를 「뇌사」, 심폐정지에 의한 심폐뇌 모든 정지를 '심장사'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 인간 의 심장 이나  를 대신하는 생명 유지 장치 , 혹은 페이스 메이커 등에 의해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나타났다. 또한 심폐소생술과 신속한 세동제거의 발달에 의해 고동이나 호흡은 재개시킬 수 있는 경우도 나타나 죽음에 관한 종래의 의학적 사고방식에서도 나눌 수 없게 되어 왔다. 그리고 심박과 호흡 정지를 ' 임상사 '라고 부르는 것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죽음’을 둘러싼 상황은 복잡해지고 있다.
  8. ^ 이런 제안을 하는 사람은, 「불가역적」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예로 생각하면 알기 쉽다, 라고 말한다. 인간의 머리카락 이나 손톱 은 심장 ·  ·  가 모두 정지하고 있어도, 며칠간은 계속 늘어난다. 이 기간 동안 모근 세포 는 살아 있지만 심폐 뇌가 모두 멈추고 있다면 결국 모근 활동도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해 “ 개체 상태의 돌이킬 수 없는 활동 정지로의 변화가 죽음”이라고 말한다. 이 사고방식에서는 반대로 사고 등으로 심폐정지 상태에 빠져도 심폐소생 에 의해 숨을 내뿜었을 때에는 이 사이의 심폐정지는 가역적이므로 죽음이라고는 말하지 않는다고 한다. (출처 : 간사이 의과 대학 대학원 법의 학생 명 윤리학 연구실에 의한 간사이 의과 대학 법의학 강좌
  9. 요로 묘지 는 이런 ‘죽음을 향해 비가역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이 되는 상태’가 죽다는 정의는 그럴듯하게 들리는데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 라는 것은 원래 인간 은 전원 죽는다. 즉, 인간은 전원, 태어날 때부터 죽음을 향해 비가역적으로 진행하는 존재이며, 돌아올 수 없다. 원래 사람은 누구나, 처음부터 그 상태로 살고 있는데, 「불가역적으로… 과정" 되는 것에, 언제부터 들어갔는지, 어떻게 판정하는 것인가? 라고 요로는 그 정의·논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양로 묘지 2004 , p. 69)

÷

출처 편집 ]

  1. b広 ciyuan 5판 p.1127
  2. ↑ b 대사천
  3. 연금 Mengsi 2004 , p.55.
  4. b 연금 Mengsi 2004 , p. 69.
  5. c 연금 Meng Si 2004 , p. 57.
  6. ↑ “ 뇌사란? 일본 장기 이식 네트워크 ” (일본어). 일본 장기 이식 네트워크 . 2022년 6월 8일에 확인함.
  7. 연금 Mengsi 2004 , p.67.
  8. 연금 Mengsi 2004 , p.59.
  9. b 연금 Mengsi 2004 , p. 58.
  10. c 연금 Meng Si 2004 , p. 70.
  11. ↑ b 무라카미 요이치로 「생과 죽음의 눈빛」청도사 2000년 ( 2000 년), ISBN 4791758625
  12. ↑ “ 선크스레터|일본 장기 이식 네트워크 ” (일본어). 일본 장기 이식 네트워크 . 2022년 6월 8일에 확인함.
  13. 연금 Mengsi 2004 , p. 68.
  14. ↑ 간사이 의과 대학 대학원 법의 학생 명 윤리학 연구실 사이트 게재 정보 간사이 의과 대학 법의학 강좌
  15. e 연금 Mengsi 2004년 .
  16. 에드거 알란 포 ' 이른 매장 ': 푸른 하늘 문고 )
  17. b Aubrey DNJ, de Grey (2007). “Life Span Extension Research and Public Debate: Societal Considerations” (PDF). Studies in Ethics, Law, and Technology 1 (1, Article 5). doi : 10.2202/1941- 6008.1011 2011년 8월 7일에 확인함. .
  18. http://www.stat.go.jp/data/chouki/02.htm
  19. http://www.stat.go.jp/data/chouki/zuhyou/02-28.xls
  20. ↑ g 간사이 의과 대학 법의학 강좌 - 사망 진단서
  21.  「자연사」에는 노쇠 에 의한 죽음 등이 포함된다.
  22. ^ 병사인지 외인사인지 불상한 경우에는 「불상의 죽음」이 된다.
  23. ↑ 사망 진단서(시체 검안서) 기입 매뉴얼 - 후생 노동성
  24. ↑ 일본인의 사인 3위에 부상한 「폐렴」
  25. [1]
  26. ↑ c 마이클 B. 세이봄 「일본판의 Carl Becker에 의한 서문」ISBN 978-4531080427 .
  27. ↑ b 마이클 B. 세이봄 「세이봄에 의한 엽서」 「「그 세상」으로부터의 귀환 임사 체험의 의학적 연구」일본교문사, 1986년, xiii-xv페이지. ISBN 978-4531080427 .
  28.  마이클 B. 사봄, 죽음의 회상 , 1982
  29.  참고: 세이범, 큐브러=로스 등은 의학자·과학자이다.
  30. ↑ 마이클 B. 세이봄 「제11장」 「「그 세상」으로부터의 귀환 임사 체험의 의학적 연구」일본교문사, 1986년, 303-315쪽. ISBN 978-4531080427 .
  31.  『실존주의』마츠 나미 신사부로 / 이와나미 신서 p 102-
  32.  하이퍼·텍스트 버전 논리 철학 논고 [2]
  33.  이 개소의 설교는 원시불전 인 은유경 [3] 과 닮았다.
  34. ^ 樫山欽四郎 『철학 개설』 (초판: 1964년 ( 쇼와 39년)) 창문사 ISBN 4-423-10004-5 ( ISBN 978-4-423-10004-2 ). 樫山은 서설 부분에서 철학 의 의의로서 사람에 있어서의 실존 의 여러 문제를 예시하여 이러한 말을 말하고 있다.
  35. ^ 아니오 미래를 생각할 수 있는 동물은 사람뿐이라고 한다.
  36.  『논리철학논고』[4] 6.5-6.522 참조
  37. ^ 양로묘사 '죽음의 벽' 등에도 유사한 시체 분류가 있다.
  38. 엘리자베스 로스 2011 .
  39.  빌 구겐하임 "생활의 메시지"p.347-348
  40. b 낸시 우드 『오늘 은 죽는데 안성맞춤의 날 
  41. ↑ “ 타히루(타히루) ”. numan . 2020년 6월 9일 열람.
  42. “ 【오늘의 게임 용어】 “바닥 페로”란 ─ 사태의 무게를 어쩐지 가볍게 해주는 효과도? (일본어). 인사이드 . 2022년 5월 18일에 확인함.
  43. ^ 덧붙여 고대 그리스의 비극은, 작자 의 죽음과 함께 연기되지 않게 되는 관습이 있었지만, 유일하게 아이스큘로스의 작품은 별로의 인기 때문에 사후에도 상연되었다. 아리스토파네스 의 희극 '나베'에 그것에 대해 언급하고 싶은 곳이 있다.

참고 문헌 편집 ]

관련 항목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