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1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 인문학적 자료 - 시와 image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 인문학적 자료 - 시와 image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작성자鏡文|작성시간11.07.16|조회수961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고대 그리스철학이나 신학에서 기본을 이루는 용어로,
  • 로고스는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것을 가리키며
  • 파토스는 감각적ㆍ신체적ㆍ예술적인 것을 가리킨다.
인간의 인식과 행동의 방법은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로고스적이거나 파토스적인 것의 어느 한쪽으로 분류할 수 있다.

로고스와 파토스 그리고 에토스

성경에 관한 책들을 읽다보면 로고스(Logos)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라는 용어를 접하게 된다.
모두기 헬라 철학에서 유래된 신학의 기본 용어들이다
  • 쉽게 말하면 로고스란 [옳은 것을 찾아가는 이성]을 말한다 : (理性)
  • 파토스란 주위 상황과 환경에 따라 변하는 감정이라 할수 있다. : (感性)
  • 에토스란 사회적 관습이나 개인이나 민족의 정신을 의미한다. : (慣習)

1. 로고스(LOGOS)

1-1. 헬라 철학적 정의
(1). 파토스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사물의 본질이 무엇인가?(本質存在)를 규정하는 법칙과 준칙을 인식하고 이를 따르는 분별과 이성을 말한다.
(2). 로고스는 말을 하고 사물의 존재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인간의 분별과 이성을 뜻한다.
인간은 말을 함으로서 로고스를 가진 동물(이성적 동물)이라고 정의 한다.
(3). 로고스는 사물의 성립 즉 모양과 본성을 규정하고 한정 함으로서 다른 사물과 구별되게 하고 사물의 근거와 이유를 뜻하기도 한다.
즉 사물의 정의, 논증을 뜻하기도 한다.
(4). 로고스는 철학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이성(理性)이란 의미이다
(5). 스토아 철학에서는 로고스는 신적인 이성 뿐만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에 주어진 이성이라고 하였다.

1-2. 신학적 정의
(1). 로고스는 신약성경에서 말씀(말)을 뜻하는 헬라어이다.
(2). 기독교 사상에서 로고스는 천지창조 하나님에 대한 사상이며 구체적으로는 성부 하나님과 구별되는 제2의 위격인 [아들] 예수 그리스도이다

(3). 요한서신에서는 삼위일체중 제2위격을 뜻하는 말로 사용 되었다.
  • 요1:1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람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 이시니라]
  • 요1:14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 요일1:1 [태초부터 있는 생명의 말씀(로고스)에 관하여는 우리가 들은 바요 눈으로 본바요 주목하고 우리 손으로 만진 바라]
  • 계19:13 [또 그가 피 뿌린 옷을 입었는데 그 이름은 하나님의 말씀이라 칭하더라]
(4). 요한은 요1:1에서 로고스는 창조시에 이미 존재 하였다고 선언하고 있다
창조시의 모든 사역은 로고스를 통하여, 로고스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
(5). 로고스는 실로 하나님이셨다.
로고스는 생명의 근원이며(요1:4) 모든 사람들의 참빛이시며(요1:9) 하나님의 본성을 드러내셨다.(요1:14)라


2, 파토스(PATHOS)
(1). 철학적인 용어로 정념(情念), 충동, 정열등으로 번역되며 로고스와 상대되는 말이다,
(2). 윤리학에서는 외부의 자극을 받아서 생기는 감정을 말한다.
현대에는 감정중에도 흔히 격앙된 감정, 격정을 뜻한다.
(3). 고대 그리스어 pachein(받다)에서 유래된 말로 근본적인 뜻은 [받은 상태] [받아서 마음의 변화상태]를 말한다
다시말해서 그때 그때 내외적인 상황에 따라 사람의 마음이 받는 기분, 정서를 총괄하는 말로서 감성이라고 한다.
(4). 파토스는 이성의 판단과는 다른 원천에서 오는 것이며 쾌(快),고(苦), 정(情)이 기본이 되고 덕(德)까지도 포함된다.
(5). 파토스는 로고스(올바른 이성)의 명령에 반항하기 때문에 스토아 철학에서는 이를 병(病)이라 하였다.
(6). 파토스는 내외부적 충동에 관계가 있다.
항시 충동관계에 놓여 있는 인간을 설명할 때 파토스는 인간존재의 표층적,근원적 존재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수 있다.

3. 에토스(ETHOS)
(1). 에토스는 성격이나 관습을 나타내는 헬라어이다
(2). 일반적으로 민족이나 사회적인 관습이나 정신을 말한다.
(3). 헬라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가지는 능력은 동일한 행위를 반복함으로서 한 방향으로 지향하는 습성이나 습관이 생긴다]고 하였다.
이 습관이 에토스이다.
(4). 에토스는 지속적인 특성을 가지며 일시적인 특성을 가진 파토스[감정, 정의(情意) 또는 격정(激情)]와는 대립되는 개념이다.
(5). 에토스는 개인 또는 민족 그리고 사회 전체 모두에게 있는 일련의 사고와 태도, 열망을 말하는 것이다.

===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문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예1). 현재 이 나라의 모습은 나라의 진로나 정책을 설명하는 로고스도 없고, 공정한 경쟁을 위한 에토스도 없고 오로지 감정의 파토스만 남은 정치판이 우리를 혼돈시키고 있다.

예2). 유명한 설교자는 자신의 감정과 체험을 드러내는 에토스를 통하여 청중을 설득한다. 억지로 주입시키는 로고스(말씀)는 청중이 외면하게 된다.
설교는 청중이 설교자를 신뢰하고 공분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제에 모범을 보이지 않는 설교자가 구제를 강론한다면 청중은 그 자리에서 마음이 떠날 것이다.
설교자는 자신의 에토스를 통해 로고스(진리)를 제시해 청중들이 파토스(공감)를 느끼게 하는 것이 유능한 설교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