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30

9/30~10/1, "생태문명을 향한 전환, 철학부터 정책까지" 한국생태문명회의 – 다른백년

9/30~10/1, "생태문명을 향한 전환, 철학부터 정책까지" 한국생태문명회의 – 다른백년



9/30~10/1, "생태문명을 향한 전환, 철학부터 정책까지" 한국생태문명회의

작성자
thetomorrow
작성일
2019-09-23 13:34
조회
1994
지난 주말 전세계 주요 도시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시민집회에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4백만명 이상 참여했다고 합니다.

마침 한국에서도 '한국생태문명프로젝트'가 주관하고 다른백년도 함께하는 회의가 9/30 -10/1 이틀간 서울 역사박물관에서 개최됩니다.

생활주변의 환경운동에서 이제는 '철학에서 정책까지 생태문명의 대전환기'임을 천명하는 모임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대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2020/04/29

Kang-nam Oh 포도원의 품꾼들 - 발상의 전환


Kang-nam Oh


<포도원의 품꾼들> - 발상의 전환
코로나19 사태 이후 직장 사정을 생각해보면서 써보았습니다. (설교 아닙니다.^^)
-----
성경 마태복음 20:1-16에 보면 예수님이 하신 비유로 “포도원의 품꾼들”이라는 비유가 나온다. "하늘 나라는 자기 포도원에서 일할 일꾼을 고용하려고 이른 아침에 집을 나선 어떤 포도원 주인과 같다.“ 하는 말로 시작한다.
포도원 주인은 일손이 필요해서 아침 일찍 장터로 나가 하루의 품삯으로 한 데나리온씩 주기로 합의하고 일꾼들을 모집해서 포도원에서 일하게 한다. 포도원 주인은 오전 9시쯤에 장터에 나가 보니 아직 일을 구하지 못해 서성이는 이들이 있었다. 정오 12시에, 오후 3시에, 심지어 오후 5시에 나가봐도 일을 구하지 못한 사람들이 있었다. 포도원 주인은 이들을 모두 포도원에 가서 일하도록 했다. 일을 끝낸 후 관리인에게 부탁해 일당을 지불하되, 제일 먼저 제일 나중에 온 사람에게 한 데나리온을 주게 했다. 먼저 온 사람들은 자기들은 그보다 더 받을 것을 기대하고 있었는데, 그들도 역시 처음 합의한 대로 한 데나리온을 받았다. 처음 온 사람들이 주인에게 불평을 했다. 나중 온 사람은 한 시간 밖에 일하지 않았는데, 어찌 하루 종일 더위를 견디며 일한 우리와 같은 임금을 받느냐는 것이었다. 주인은 “'이보시오, 나는 당신을 부당하게 대한 것이 아니오. 당신은 나와 한 데나리온으로 합의하지 않았소? 당신의 품삯이나 받아 가지고 돌아가시오. 당신에게 주는 것과 꼭 같이 이 마지막 사람에게 주는 것이 내 뜻이오.” 라고 대답했다. 포도원 주인의 가치관과 행동 원리가 번뜩이는 대목이다.
===
우리의 상식적인 생각으로 도대체 이런 불공평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임금을 힘든 노동의 대가”로만 생각하는 경우라면 열 시간 일한 사람과 한 시간 일한 사람이 똑 같은 임금을 받는다는 것이 불평거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마음을 조금만 고쳐먹으면 포도원 주인이 한 일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노동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인으로서는 이렇게 생각했을 수 있다.
해가 지려고 하는데 아직까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사람들은 그 동안 얼마나 노심초사 마음 졸이고 있었겠는가? 일을 구하지 못하면 다섯 식구 오늘 저녁 먹을거리도 없는데 어쩔까 하면서. 그뿐인가? 일자리가 없다는 것은 자존감하고도 관계가 있다. 나는 잉여 인간이 아닌가, 집에 가서 뭐라고 말할까 하는 자멸감 마저 가질 수 있다. 불쌍한 일이다.
반면 아침부터 일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당신들은 비록 육체적으로는 힘들었을지 모르지만 이런 마음고생 없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었다. 당신들이 누리는 이런 특권을 자각할 수만 있다면 당신들이 얼마나 행운아들인가 발견하고 불평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아니 오히려 마음 졸이며 기다렸던 사람들, 한 시간 일했다고 당신들 임금의 10분의 1을 받으면 저녁거리도 제대로 수 없는 사람들을 위로하고 주인에게도 당신들보다 마음고생을 더 한 그들에게도 먹고 살 수 있도록 임금을 같이 주라고 부탁이라도 해야 할 것 아닌가.
=====
한국에서 임시직 노동자들을 정규직 노동자들로 전환하겠다고 하니 정규직 노동자들이 반대하고 나선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비정규직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바꾸어준다고 자기들의 임금이 깎기는 것도 아니라고 하는데 왜 그럴까? 가장 큰 이유가 자기들은 까다로운 시험을 치르고 여러 가지 힘든 과정을 거쳐 정규직이 되었는데 그런 고생도 안 한 사람들이 자기들과 동일한 대접을 받게 된다니 참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어려운 과정을 거쳐 정규직을 획득한 그들의 노력은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마음을 좀 고쳐먹을 수 없을까? 그동안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정규직 노동자와 거의 비슷한 종류의 일을 했는데 억울하게 임금도 겨우 연명할 정도로만 받고 인간적인 대접도 제대로 못 받고, 더욱이 언제 해고될지 조마조마하게 마음 졸이며 지내왔다. 정규직 사람들이 그들의 사정을 들여다보고 그들에 대한 측은지심(惻隱之心)을 발동한다면 그들이 정규직이 되어 그동안의 고생을 위로받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도 있을 것이다.
예수님이 선포한 하늘나라는 이 포도원 주인과 같다고 했다. 천국이란 이처럼 사랑과 배려, 발상의 전환, 가치전도, 역지사지의 원리가 작동하는 사회가 아닐까. 코로나19 이후 많은 해고가 예상된다고 한다. 이때도 이런 원리가 적용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 비유가 주는 종교적 의미는 무엇일까? 다음에... (무엇일까 짐작해 보세요.^^)




김진화

이제야 이 비유가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Like
·
Reply
· 1 h


Hyunsub Choi

네, 늘 귀한 말씀으로 일깨워주시어 감사합니다.
신학교육의 일대 변혁을 끌어내는 일이 급해보입니다.
선한 양들이 엉터리 목자의 놀이개가 되는 걸 막아야 하지 않을까요?


Like
·
Reply
· 55 m


황호건

이 비유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메타포로 보입니다. 노사관계의 문제나 노동자와 사용자의 태도 문제로 볼 수도 있겠으나 그렇게 보면 불평등한 임금 지급에 노사분규를 조장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신처럼 포도원 주인이 되어버린 목회자의 자의적 폭력에 이용될 위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저는 공동체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네러티브 일지라도 하나님나라의 구성요소와 속성을 나타낸 것으로 봅니다. 주인과 품꾼들 그리고 시간이 하나님 나라의 주인 백성 누림의 혜택과 책임 시간을 상징한 것으로 봅니다.


Like
·
Reply
· 49 m



김선주

언젠가 제가 설교했던 것과 동일한 말씀입니다. 그래서 오늘 말씀이 더 반갑고 기쁩니다. 감사합니다.^^


Like
·
Reply
· 13 m



하중조

불평등을 빙자한 <사촌 논 사면, 배 아프다> 아닌가요?

기원전 5~4세기 도덕적 종교 탄생의 뿌리 : 종교 : 사회 : 뉴스 : 한겨레



기원전 5~4세기 도덕적 종교 탄생의 뿌리 : 종교 : 사회 : 뉴스 : 한겨레




기원전 5~4세기 도덕적 종교 탄생의 뿌리

등록 :2014-12-19


‘에너지획득량 2만칼로리’ 부 확보가 ‘밑거름’
제례의식과 타부에 기반한 이전 종교와 차이

부의 증가가 자기수양과 금욕을 강조하는 도덕적 종교의 탄생을 불렀다는 주장이 나왔다. sciencemag.org




오늘날의 세계 주요 종교와 사상이 일제히 등장한 시기를 ‘축의 시대’라 부른다. 기원전 900~200년에 이르는 시기로, 인류 역사장 가장 경이로운 시기라는 평가를 받는다. 독일의 철학자 칼 야스퍼스(Karl Jaspers)가 1947년에 제창한 개념이다. 이 시대를 ‘축의 시대’라고 부른 이유는 이 때 등장한 사상과 철학이 오늘날까지도 인류사상의 중심 축 노릇을 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축의 시대’에 인류는 오늘날 인류의 스승 역할을 하는 성인들을 한꺼번에 맞아들였다. 중국에서는 공자, 묵자, 노자가 세상을 주유했고 인도에서는 붓다가 ‘천상천하 유아독존’을 설파했다. 이스라엘에서는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엘리야, 예레미야, 이사야같은 선지자들이 모습을 드러냈고 그리스에서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같은 철학자들이 숱한 사상가들을 길러냈다.

그런데 이 ‘축의 시대’에 등장한 종교들은 그 이전에 나타났던 종교들이 주로 제례의식에만 신경을 썼던 것과 달리, 도덕성을 강조했다. 종교는 언제부터, 그리고 어떤 이유로 자기수양, 절제, 금욕 같은 덕목들을 강조하기 시작했을까? 파리고등사범학교의 니콜라 보마르(Nicolas Baumard) 교수(심리학) 연구팀은 최근 과학저널 <셀>의 자매지인 <현대 생물학>(Current Biology) 온라인판에 실린 논문을 통해, ‘도덕적 종교’가 부상하게 된 것은 ‘축의 시대’에 인류가 충분한 양의 부를 확보하게 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보마르 교수에 따르면, 유사 이래 수천년 동안 종교는 불운이나 악마를 피하기 위한 제례의식과 타부에 기반을 뒀다. 그래서 비나 풍년을 기원하려면 신에게 희생 제물을 바쳤다. 그러다 ‘축의 시대’가 절정을 치닫던 기원전 500~300년 무렵 그리스에서 인도, 중국에 이르는 유라시아 전역에 걸쳐 새로운 종교가 등장하면서 종교에 근본적 변화가 일어났다. 이 신흥 종교들은 각기 먼 거리에 떨어져 있었지만 도덕성, 자기수양, 금욕을 강조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스토아교, 자이나교, 힌두교, 불교, 도교, 유대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것들을 이어 등장한 기독교, 이슬람, 마니교 등 신흥 종교들은 전 세계에 걸쳐 확산됐고 오늘날 세계의 종교가 됐다.





성당에서 미사를 보고 있는 가톨릭 신자들. 위키미디어 코먼스



당시 교류가 거의 없던 문명권들에서 도덕성을 강조하는 종교들이 왜 한꺼번에 등장한 것일까? 보마르 교수팀은 문해율, 도시화를 비롯한 여러 통계들을 이용해 몇가지 인과관계의 가능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경제 발전으로 생겨난 풍요가 사람들의 동기와 보상 시스템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이 처분할 수 있는 자원이 적을 땐 ‘지금 당장’ 보상받는 것을 최선의 전략으로 삼는다. 오늘 당장 먹을 것을 찾기 위해 애쓰고 있는 마당에 ‘미래를 위한 저축’은 시간을 최선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먹을 것이 풍요해지면 미래에 대한 생각이 의미를 갖기 시작한다. 사람들은 먼 미래의 목표를 위해 지금 이 순간의 보상을 포기할 줄 알게 된다. 물론 풍요가 가져다 준 자기수양 등의 가치들이 이타심이나 동정심 등 도덕적 종교가 권하는 가치들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세속적 욕구가 충족되면 현재의 물질적 보상에서 내세의 정신적 보상으로 옮겨갈 수 있는 기반이 생길 뿐이다. 그때, 도덕적 종교가 등장해 그 새로운 가치의 맹아들을 종교라는 틀에 담아 키우는 것이다. 보마르 교수는 “풍요는 사람들의 심리를 바꾸고, 그 다음 종교를 바꿨다”라고 말한다.

그는 ‘축의 시대’에 해당하는 유라시아 지역의 여러 사회집단에 대한 역사적, 고고학적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도덕적 종교의 출현을 알려주는 가장 뛰어난 지표로 ‘에너지 획득량’을 제시했다. ‘에너지 획득량’이란 그 사회의 구성원 한 사람이 하루에 식량과 연료, 자원으로부터 얻는 칼로리의 총량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안락한 의식주 생활을 영위하는 필요한 에너지 획득량의 기준을 하루 20000칼로리로 설정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기준은 현대 인류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연구팀이 각 사회집단의 시기별 에너지획득량을 비교한 결과, 하루 에너지 획득량이 20000칼로리 미만인 사회집단에서는 도덕적 종교가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반면 20000칼로리를 넘어서는 곳에서는 도덕적 종교의 출현 확률이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오랜 기간의 자녀양육, 일부일처제 같은 현대 인류사회의 다른 특징들도 도덕적 종교와 같은 역사적 기원을 갖는 것은 아닌지 들여다볼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부 종교학자들은 보마 교수팀의 주장에 냉소적이다. 캐나다 밴쿠버의 브리티시 컬럼비아대에서 고대중국 종교를 연구하는 에드워드 슬링거랜드(Edward Slingerland) 교수는 과학저널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탐구해 볼 만한 흥미로운 가정이다. 하지만 제례의식의 종교에서 도덕적 종교로의 전환에 대해 논문 저자들은 구시대적 아이디어를 적용했다. 예컨대 현재 종교학자들은 이런 변화가 축의 시대라는 좁은 기간 동안 전면적으로 일어났다는 데 의문을 갖고 있다. 고대 중국에 등장한 많은 도덕적인 종교들은 그 이전에 나타났다. 반면 아라비아반도에서는 서기 7세기까지도 나타나지 않았다. 나는 특정 기간보다는 사회의 복잡성과 규모가 더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도덕성을 강조하는 종교는 사람들이 더 많은 이방인들과 협력할 필요성을 자각하면서 생겨나기 시작했다.” 슬링거랜드 교수는 그러나 양쪽 다 가설을 뒷받침하는 통계 데이터는 부족한 상태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논문은 종교 학자들에게 새로운 분석도구의 개발 필요성을 일깨워줬다고 논평했다.

곽노필 기자 nopil@hani.co.kr


인류가 일궈낸 정신적 발전의 ‘황금률’을 찾아서 - 교수신문



인류가 일궈낸 정신적 발전의 ‘황금률’을 찾아서 - 교수신문



인류가 일궈낸 정신적 발전의 ‘황금률’을 찾아서

정영목 이화여대·번역가
승인 2010.12.27

[책을 말하다] 카렌 암스트롱 지음, 『축의 시대』(정영목 옮김, 교양인, 2010.12)

‘축의 시대’라는 말은 물론 카를 야스퍼스가 사용한 용어다. 야스퍼스는 인류의 역사를 역사철학의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대략 기원전 800년부터 200년 사이에 중국, 인도, 그리스, 근동 등 세계의 네 지역에서 위대한 종교적, 사상적 전통이 탄생했다는 사실, 그리고 그것이 인류의 정신적 축이 돼 역사의 바퀴를 지금까지 계속 굴려왔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영국 종교학자 카렌 암스트롱의 『축의 시대』는 야스퍼스가 포착해낸 그 시대에 실제로 그 네 지역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졌는지 시간 순서에 따라 살펴보는 책이다.


따라서 암스트롱의 책은 야스퍼스의 주장을 받아들여 구체적으로 실증해내는 측면도 있다. 실제로 암스트롱은 야스퍼스 이후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야스퍼스가 좁게 잡았던 시대를 약간 넓히고(기원전 800년을 900년으로), 조로아스터, 노자 등 주요 등장인물들의 활동 시기를 정정할 뿐, 야스퍼스가 제시한 틀에 큰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또 야스퍼스의 생각을 확대해, 16세기 과학혁명 이후의 시기를 ‘제2의 축의 시대’라고 부르며 이 시대의 주역으로 뉴턴, 프로이트, 아인슈타인을 꼽기도 한다. 암스트롱은 이런 식으로 야스퍼스가 제시한 틀을 받아들인 뒤에는 역사철학이나 문명사의 맥락에서 그의 틀을 검증하는 일에 더 매달리지 않는다. 사실 암스트롱의 관심은 다른 데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시기에 인류에게 중요한 영적 발전이 이루어졌다면 그 발전의 내용이 무엇이냐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 작업 자체가 야스퍼스의 틀을 풍부하게 채우는 면은 분명히 있지만, 그렇다고 암스트롱이 그것을 자신의 과제로 삼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 작업을 하면서 야스퍼스 철학의 다른 도구를 빌려오는 일도 거의 없다. 일단 야스퍼스의 틀을 통과해 암스트롱의 『축의 시대』로 진입하면, 이제 야스퍼스는 잊어도 좋다고 말할 수 있다.



암스트롱의 책이 야스퍼스의 주장에 대한 추상적인 학문적 관심에서 출발하지 않았다는 점은 그녀가 축의 시대에 주목하는 이유를 밝힌 머리말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암스트롱은 현대 인간의 정신적 위기는 기존의 종교적 틀로는 해결할 수 없으며, 이 위기를 돌파해 인간의 정신적 삶을 감당해낼 수 있는 새로운 도약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대량 살상에 이용되는 “뛰어난 과학기술적 재능에 뒤처지지 않는 어떤 정신적 혁명이 없으면, 이 행성을 구하지 못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암스트롱은 이런 절실한 위기감 때문에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종교와 사상의 뿌리가 박혀 있는 축의 시대로 들어가보려고 한 것이며, 이때 그녀가 우선 주목한 점은 축의 시대의 사상들 또한 안온한 온실에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전쟁으로 찢긴 무시무시한 사회, 오랜 가치들이 사라져 가는 사회에서” 태어났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축의 시대는 주 왕조의 붕괴와 더불어 시작돼 어지러운 춘추전국 시대에 공자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전개됐다. 인도의 축의 시대를 이끈 ‘우파니샤드’의 제의 전문가들은 하라파 문명(인더스 문명)이 해체되면서 등장했으며, 고타마 싯다르타는 이들의 탐구를 극한으로 밀고 나아갔다. 그리스의 변화는 미케네 왕국이 붕괴하면서 시작돼, 가치의 혼란과 호전적인 분위기 속에서 소크라테스나 소포클레스가 탄생했다. 근동에서는 조국의 붕괴와 추방이라는 엄청난 충격을 겪은 상황에서 이사야, 예레미야 등의 예언자들이 극도의 고통에 시달리며 자기를 버리고 야훼 신앙을 재해석했다.




이렇게 네 지역에서 축의 시대가 개화하기까지는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 계속되는 전쟁과 대규모 살상이라는 역사적 배경이 있었다. 이런 사회적 격변이 사람들에게 정신적 위기를 가져왔으며, 많은 사람들이 영성을 지배하던 기존의 틀로는 도저히 자신의 위기를 해결할 수 없음을 인식하게 됐다. 이들은 비슷한 위기에서 출발한 만큼 비슷한 방식으로 돌파구를 찾아나갔다.


축의 시대 이전에 영성을 지배하던 틀의 가장 정교한 표현물은 희생제로 대표되는 제의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외부의 초월적 존재와 인간을 맺어주는 핵심적인 통로였던 제의가 사회적 격변이 일어나면서 사람들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자 개혁가들은 제의를 재해석하게 됐다.


예를 들어 축의 시대의 선두에 섰던 기원전 9세기 인도의 사제들은 제의를 드리는 대상에서 제의를 드리는 사람 자신에게로 눈길을 돌렸다. 그들은 제의를 드리는 사람의 정신적 상태를 강조하면서 본격적으로 인간 내면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탐구가 시작됐다. 그러나 이 ‘나’라는 것은 불멸의 진리가 자리 잡고 있는 곳인 동시에 모든 고통의 출발점이기도 했다. 현실이 고통이 될 수밖에 없는 원인이 자기중심주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를 아는 동시에 ‘나’를 버리는 현란한 영적 곡예가 시작됐다. 이것은 곧 ‘고통’이 보편적 상황임을 인정하고, 그 바탕에서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 나를 비움으로써 모든 사람에 대한 관심과 자비로 나아가는 과정이기도 했다. 결국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은 타인에 대한 사랑밖에 없었다. 이렇게 축의 시대의 성과인 중국의 인이나 겸애, 인도의 자비, 근동의 회개, 그리스의 비극 등은 모두 남이 자신에게 하기를 원치 않는 일을 남에게 하지 않는다는 황금률로 귀결되는 것이다.


저자에게 놀라운 점은 바로 이런 주제 자체를 이 책을 서술하는 틀로 사용하면서, 그것을 연대기적 서술 및 각 지역 역사의 병치와 결합해냈다는 것이다. 이런 서술이 가능했다는 것 자체가 축의 시대의 인류에게 공통된 위기와 해법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형식과 내용의 통일이라는 면에서 『축의 시대』는 최고 수준에 이른 책이라고 말해도 과장이 아니다.


또 하나 놓치면 안 되는 점은 이 책이 역사철학이나 문명사와 관련된 명제와 연구를 구체적인 현실적 과제와 결합시키는 대단히 실천적인 글쓰기의 모범이라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눈에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인류가 축의 시대에 정신적으로 도약한 계기를 인류 외부에서 찾지 않고, 현실적 삶의 위기를 맞아 그것을 타개해나가려는 인간들 자신의 고된 노력의 결실로 본 종교학자 암스트롱의 입장에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지금 이 세계의 현실을 반영하는 혁신적인 믿음을 창조하는 것이다.”




정영목 이화여대·번역가



서울대 영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화여대 번역대학원 겸임교수다. 역서로 『지젝이 만난 레닌』, 『마르크스평전』등이 있다.
저작권자 © 교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축의 시대 - 종교의 탄생과 철학의 시작

알라딘: 축의 시대

축의 시대 - 종교의 탄생과 철학의 시작
카렌 암스트롱 (지은이),정영목 (옮긴이)교양인2010-12-20
원제 :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Beginning of Our Religious Traditions


2020 필수 지식교양! 본투리드 젓가락(대상도서 포함 국내도서 25000원 이상)
정가
32,000원
판매가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담기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Beginning of Our Religious Traditions (Paperback) Paperback
[절판] The Great Transformation (Audio CD, Abridged)

책소개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세계의 주요 종교와 철학이 탄생한 인류사의 가장 경이로운 시기를 다룬 역사서. 서로 교류가 없던 네 지역에서 어떻게 비슷한 시기에 그토록 놀라운 사유의 혁명이 일어날 수 있었을까? 왜 그들은 우주와 인간과 삶에 대해 같은 결론에 이르렀을까? 이 책은 인간의 윤리적 각성과 철학적 성찰이 폭발하던 시대, ‘축의 시대’에 관한 인문학적 탐사이다.

‘축의 시대’는 독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가 <역사의 기원과 목표>라는 책에서 제시한 문명사적 개념이다. 야스퍼스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인류가 정신의 기원으로 인정할 수 있는 시대, 인류 공통의 기축이 되는 시대를 설정하고 그 시기를 ‘축의 시대’라고 이름 붙였다. 카렌 암스트롱은 ‘축의 시대’를 대략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 사이의 시기로 설정한다. 이 시기에 이후 인류의 정신에 자양분이 될 위대한 철학적·종교적 전통이 태어났다.

그렇다면 왜 지금 ‘축의 시대’인가? 과거의 시간들을 살펴보는 데 역사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것 말고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을까? 암스트롱은 ‘축의 시대’에 이루어진 인간의 근본적 인식 전환과 사유의 깨달음에서 폭력과 증오, 불관용으로 점철된 우리 시대의 위기를 극복할 돌파구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

목차
머리말 - 우리는 축의 시대의 통찰을 넘어선 적이 없다

1장 축의 시대 문명 벨트(기원전 1600년∼900년경)
조로아스터, 선과 악의 대결
인도에 정착한 정복자 아리아인
요·순·우, 의로운 통치자의 시대
전쟁하는 신성한 신 야훼

2장 불안과 공포의 시대(기원전 900년∼800년경)
암흑의 400년을 견뎌낸 아테네
최초의 유일신 숭배자 엘리야
하늘의 도(道)를 따르는 지상의 삶
아트만, 내 안의 진정한 나

3장 자아의 발견(기원전 800년∼700년경)
분노하는 야훼의 대리자 이사야
오디세우스와 아킬레우스, 영웅들의 자기 중심주의
춘추시대, 새로운 감수성의 출현
숲으로 간 현자, 영적 탐구의 선구자들

4장 앎을 향한 기나긴 여행(기원전 700년∼600년경)
인간 내면의 정복, 《우파니샤드》
로고스, 그리스 영웅 시대를 끝내다
혼란한 시대 삶의 모델, 군자(君子)
‘책의 종교’ 유대교의 탄생

5장 고난의 시대(기원전 600년∼530년경)
추방당한 자들의 트라우마
아테네의 솔론, 정치를 발명하다
상키아, 인류 최초의 무신론
흔들리는 예(禮), 무너지는 도(道)

6장 공감의 발견(기원전 530년∼450년경)
공자, 인(仁)의 나라를 찾아 떠나다
고난의 길에서 태어난 일신교
그리스 민주주의를 연 이성의 힘
자이나교, 비폭력과 불살생의 극한

7장 사유의 혁명(기원전 450년∼398년경)
에즈라의 닫힌 길, 요나의 열린 길
땅으로 내려온 철학, 삶을 정화하는 비극
소크라테스, 무지의 지혜를 가르친 앎의 교사
묵가, 급진적인 공감의 사상
고타마 싯다르타, 무아의 발견자, 마음의 혁명가

8장 철학의 모험(기원전 400년∼300년경)
혜자의 역설, 장자의 무위, 맹자의 자애
두려움에 떠는 전사들의 서사시 《마하바라타》
동굴에서 나온 이데아의 탐구자, 플라톤
로고스의 건축가, 아리스토텔레스

9장 제국의 시대(기원전 300년∼220년경)
한비자·순자·노자의 도덕 군주론
헬레니즘, 문명을 만든 최초의 문명 충돌
《바가바드기타》, 축의 시대 마지막 위대한 노래

10장 축의 시대의 귀환(기원전 2세기~ )
천하 통일과 사상의 통합
새로운 불교 영웅 보디사트바(보살)
토라의 원리, “이웃을 네 몸처럼 사랑하라”
이 위험한 시대에 우리에게는 새로운 비전이 필요하다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축의 시대의 영성(정신성, spirituality)을 처음 시도한 이들은 러시아 남부의 초원 지대에 산 목축민이었다.

추천글

인류 정신 기원 시대, 무슨 일이 있었을까 - 최재천 (민주당 전 국회의원)
종교, 인간의 문명을 만들다 - 정인경
“우리는 한 번도 축의 시대의 통찰을 넘어선 적이 없다.” 세계적인 종교학자 카렌 암스트롱이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세계의 주요 종교와 철학이 탄생한 인류사의 가장 경이로운 시기 ‘축의 시대’를 재조명한다. 비교종교학적 지식과 영성적 통찰력으로 축의 시대 네 민족(인도, 이스라엘, 중국, 그리스)의 역사를 추적한다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인사회)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중앙일보
 - 중앙일보(조인스닷컴) 2010년 12월 18일자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0년 12월 18일자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0년 12월 17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카렌 암스트롱 (Karen Armstrong)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축의 시대』, 『스스로 깨어난 자 붓다』, 『마음의 진보』, 『신화의 역사』, 『신을 위한 변론』 등 다수의 종교 서적을 쓴 권위 있는 종교 역사학자이다. 1944년 영국에서 태어나 열여덟 살이던 1962년에 로마 가톨릭 수녀로 살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옥스퍼드 대학의 학업과 병행했던 7년간의 수녀 생활 끝에 자신의 탐구정신과 부딪히는 수녀원의 전통적인 엄격함에 실망하여 환속했다. 이후 옥스퍼드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교직과 저술 활동을 시작했으며, 2008년 TED 상을 수상하면서 대중과도 가깝게 다가섰다. 2009년 황금률에 기반한 ‘공감의 헌장(Charter for Compassion)’을 주창하고 세계의 다양한 민족과 종교들이 공감의 가치를 설득하면서 비교 종교학의 핵심 가치를 실천에 옮기고 있다. 접기
최근작 : <카렌 암스트롱의 바울 다시 읽기>,<성서 : 읽을수록 새롭게 다가오는 최초의 경전>,<이슬람> … 총 217종 (모두보기)
정영목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습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며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습니다. 옮긴 책으로는 「길가메시」 시리즈, 『인디언의 진짜 친구』, 『셰익스피어 이야기』,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 『보물섬』, 『트로이 전쟁』, 『눈먼 자들의 도시』등이 있습니다.
최근작 : <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완전한 번역에서 완전한 언어로>,<21세기 청소년 인문학 1> … 총 264종 (모두보기)
Editor Blog2011 Sorry CEO 추천도서 발표합니다! l 2011-07-07
노벨상에 이그노벨상이 있고, 아카데미상에 골든라즈베리상이 있다면 SERI CEO 여름휴가 추천도서에는 Sorry CEO 여름휴가 추천도서가 있습니다. 이게 무슨 의미가 있는 일인지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의미를 발견한다면 당연히 의미의 확대재생산을 위해 세를 불리고 힘을 모아볼 작정입니다. 그나저나 앞에 언급한 두 개의 상은 모두 노벨상과 아카데미상 보다 ...

2010년 12월 4주_ 한발 앞서 만나는 인문교양 신간 l 2010-12-21
알라딘 인문, 사회, 과학 분야에서는 '한발 앞서 만나는 인문교양 신간'이란 이벤트를 상시 진행합니다. 매주 담당 MD가 10권 이내의 책을 소개하는 공간이자 예리한 관찰과 정확한 판단으로 누구보다 먼저 좋은 책을 알아보시는 독자께 조금이나마 혜택을 드리고자 마련한 자리입니다. 매주 월요일 새로운 책으로 페이지가 바뀌고 도서별 구매자 선착순 50분께 다음 ...

출판사 소개
교양인
출판사 페이지


출판사 제공 책소개

“우리는 한 번도 축의 시대의 통찰을 넘어선 적이 없다.”

축의 시대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자연의 힘을 경배하던 인간이
시선을 안으로 돌려 자아를 발견하고 내면의 신을 탐구하기 시작한
인류 정신 문명의 첫 번째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었다.

인류 정신 문명의 첫 번째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인간 창조성이 가장 뜨겁게 폭발했던 경이로운 시대
문명 도약의 결정적 순간에 관한 인문학적 통찰

《축의 시대》는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세계의 주요 종교와 철학이 탄생한 인류사의 가장 경이로운 시기를 다룬 역사서이다. 축의 시대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자연의 힘을 경배하던 인간이 시선을 안으로 돌려 자아를 발견하고 내면의 신을 탐구하기 시작한 인류 정신 문명의 첫 번째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었다.

역사상 가장 뛰어난 사유의 천재들의 시대 !
이 시대에 중국에서는 공자, 묵자, 노자가 활동했고, 인도에서는 《우파니샤드》, 자이나교, 고타마 싯다르타가 등장했으며, 이스라엘에서는 엘리야, 예레미야, 이사야가 나타났고, 그리스에서는 소포클레스, 소크라테스, 플라톤이 차례로 태어났다. 이들의 출현은 불을 다루는 기술을 발견한 것 다음으로 인류에게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서로 교류가 없던 네 지역에서 어떻게 비슷한 시기에 그토록 놀라운 사유의 혁명이 일어날 수 있었을까? 왜 그들은 우주와 인간과 삶에 대해 같은 결론에 이르렀을까?
세계적인 종교학자 카렌 암스트롱의 《축의 시대》는 인류사의 수수께끼로 불리는 이 놀라운 문화적 평행 현상을 중국, 인도, 근동, 그리스에 이르기까지 축의 시대 문명 벨트를 횡단하며 재조명한다.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 질문이 터져 나오고, 신화적 인식에 대한 이성의 투쟁이 첫발을 내딛고, 인간의 윤리적 각성과 철학적 성찰이 폭발하던 시대, 인류 정신사에 거대한 전환점이 된 축의 시대에 관한 인문학적 탐사를 만난다.

전례 없는 폭력과 두려움과 삶의 공허에 직면했던 축의 시대가 우리에게 말한다
《축의 시대》는 카렌 암스트롱의 비교종교학적 지식과 영성적 통찰력이 결합된 책이다. 암스트롱은 독일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가 창안한 문명사적 개념인 ‘축의 시대’를 파피루스나 양피지 속에 말라붙은 희미한 관념이 아닌, 고통과 불안의 시대를 두 발로 걸어간 살아 있는 인간들의 이야기로 재탄생시켰다. 축의 시대에 이르러 사람들은 타인의 고통을 같이 느끼고 인간의 비참을 함께 슬퍼하는 공감과 자비의 정신을 발견했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유의 천재들이 찾은 답은 2천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인류의 철학적?종교적 성찰의 근본을 이루고 있다. 근대 세계를 탄생시킨 과학주의와 진보주의가 치열한 반성과 질문의 대상이 된 오늘, 암스트롱은 우리와 똑같이 폭력과 두려움과 삶의 공허에 직면했던 ‘축의 시대’ 사람들에게서 우리 시대의 난제를 넘어 미래를 밝힐 비전을 찾아낸다.

“우리는 한 번도 축의 시대의 통찰을 넘어선 적이 없다.”
- 인류 정신 문명의 출발점 ‘축의 시대’

‘축의 시대(Axial Age)’는 독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가 《역사의 기원과 목표》(1949년)라는 책에서 제시한 문명사적 개념이다. 야스퍼스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인류가 정신의 기원으로 인정할 수 있는 시대, 인류 공통의 기축(基軸)이 되는 시대를 설정하고 그 시기를 ‘축의 시대’라고 이름 붙였다. 《축의 시대》에서 카렌 암스트롱은 ‘축의 시대’를 대략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 사이의 시기로 설정한다. 이 시기에 이후 인류의 정신에 자양분이 될 위대한 철학적·종교적 전통이 태어났다. 중국의 유교와 도교,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 이스라엘의 유일신교, 그리스의 철학적 합리주의가 그것이다. 또한 이 시기는 붓다, 소크라테스, 공자, 예레미야, 맹자, 에우리피데스, 플라톤 등 사유의 천재들이 나타난 역사상 가장 뜨거운 ‘창조의 시기’였다.

정치적 격동과 폭력의 시대가 낳은 ‘축의 시대’
축의 시대 민족들이 모두 균일하게 진화한 것은 아니었다. 인도 사람들은 늘 축의 시대 진보의 선두에 서 있었다. 이스라엘에서는 기원전 6세기에 바빌로니아로 끌려간 사람들에 의해 특별한 창조성이 피어나는 짧고 강렬한 시기를 경험했다. 이스라엘인들이 이룬 축의 시대 통찰은 랍비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로 재탄생했다. 중국에서는 공자가 기원전 6세기 말에 처음으로 완전한 축의 시대 정신을 발전시켰으며, 제자백가에 의해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했다. 이 세 지역이 처음부터 내면 탐구와 영성 추구의 방향으로 나아간 것과 달리 그리스는 로고스와 합리주의의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이 네 지역에서 ‘축의 시대’가 개화하기까지는 공통적인 역사적 배경이 있었다. 시기는 조금씩 달랐지만 대부분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 계속되는 전쟁이라는 수난의 시간을 겪어야 했다.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모여 함께 살아가면서 발생하는 폭력과 무질서를 해결하는 데 전통적 관습이나 신에게 올리는 희생제는 별 효과가 없었다. 이제 인간은 신화의 세계에서 벗어나 인간 자신에게 집중하기 시작했다. 인간 심리, 개인의 자아, 도덕과 윤리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축의 시대’는 이러한 거대한 변화 속에서 태어났다.

축의 시대의 영적 혁명은 혼란, 이주, 정복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하나의 제국이 망하고 다른 제국이 일어서는 사이에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았다. 중국에서 축의 시대는 주 왕조의 붕괴와 더불어 마침내 시작되었으며 진나라가 전국시대를 통일하면서 끝을 맺었다. 인도의 축의 시대는 하라파 문명(인더스 문명)이 해체된 후에 일어나 마우리아 제국과 더불어 끝을 맺었다. 그리스의 변화는 미케네 왕국과 마케도니아 제국 사이에 이루어졌다. 축의 시대 현자들은 정박지에서 떨어져 나와 떠도는 사회에 살았다. …… 중동에서 제국의 모험 때문에 혹심한 고통을 겪었던 유대인마저 조국의 붕괴와 그에 뒤이은 추방이라는 트라우마로 인해 과거와 단절하고 새로 시작해야만 하는 무시무시한 자유를 얻게 되면서 축의 시대로 밀려 들어갔다. - 623쪽·10장 축의 시대의 귀환

이 책에서 저자는 ‘축의 시대’ 네 민족(인도, 이스라엘, 중국, 그리스)의 역사를 추적한다. 특히 시간대 별로 네 민족의 정신적 변화 과정을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그들이 각자 나름의 속도로 ‘축의 시대’를 통과해 가는 과정을 더욱 흥미진진하게 보여준다. 예를 들어, 기원전 8세기경 인도에서는 사제와 전사들이 모두 서서히 ‘아힘사’(불살생, 비폭력)라는 축의 시대 이상을 향해 나아갔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그리스인은 자기 중심적인 전사의 영웅적 에토스를 찬양했다. 다른 축의 시대 민족들이 아힘사와 ‘케노시스’(‘자기 비움’. 자기 중심주의에서 벗어남)를 추구한 것은 폭력에 대한 혐오 때문이었지만, 그리스인들은 비슷한 시기에 오히려 강한 군대를 위해 이기심을 버리고 타인을 위해 헌신하는 노력을 강조했다. 이처럼 저자는 축의 시대 문명 벨트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비교하고 때로 예고하면서 독자로 하여금 마치 잘 짜인 한 편의 추리 소설을 읽을 때처럼 시종일관 기대와 호기심을 품고 서둘러 다음 장으로 눈을 옮기게 만든다.

왜 ‘축의 시대’인가?
그런데 왜 지금 ‘축의 시대’인가? 이 과거의 시간들을 살펴보는 데 역사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것 말고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을까? 암스트롱은 ‘축의 시대’에 이루어진 인간의 근본적 인식 전환과 사유의 깨달음에서 폭력과 증오, 불관용으로 점철된 우리 시대의 위기를 극복할 돌파구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20세기에 우리는 전례 없는 규모로 폭력이 분출하는 광경을 목격했다. 안타깝게도 인간들끼리 서로 해치고 상처를 내는 능력은 인류 문명이 이룬 특별한 경제적?과학적 진보에 뒤처지지 않고 함께 발전해 왔다. 저자는 어떤 정신적 혁명이 없으면 이 행성을 구하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한다.

이런 곤경에서 빠져나오려 할 때, 나는 우리가 독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가 ‘축의 시대(Axial Age)’라고 부른 시기에서 영감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 우리와는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살았던 축의 시대 현자들이 어떻게 우리의 현재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을까? 왜 우리가 공자나 붓다에게 도움을 청해야 하는가? 물론 이 머나먼 시대를 공부하는 것은 정신의 고고학의 한 과정에 불과할 수도 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지금 이 세계의 현실을 반영하는 혁신적인 믿음을 창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는 축의 시대의 통찰을 넘어선 적이 없다. 정신적이고 사회적인 위기의 시기에 사람들은 늘 축의 시대를 돌아보며 길을 찾았다. - 5~7쪽·<머리말>에서

하늘로 향했던 눈을 돌려 인간 내면을 들여다보다
- 자아의 발견과 종교의 내면화

카렌 암스트롱은 ‘축의 시대’에 서로 전혀 교류가 없던 네 지역에서 거의 같은 내용의 정신적 도약이 이루어졌음에 주목한다. 그중에서도 ‘축의 시대’가 인류에게 남긴 가장 큰 유산은 인간 내면의 발견이었다. 인간은 이 시기에 이르러 처음으로 하늘로 향해 있던 눈을 돌려 자기 내면을 바라보게 되었다. 그리고 저 먼 하늘이 아니라 바로 내 안에 우주가, 불멸의 진리가 들어 있음을 깨달았다. 이제 고통스런 삶에서 구원받고 해방되는 길은 외부의 신이나 초월적 존재가 아니라 자기 안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인류 역사상 최초로 코페르니쿠스적인 사유의 ‘대전환’이 일어난 것이다.

축의 시대 사람들은 이전처럼 하늘, 자연물, 조상 등 ‘외부’의 신들을 정해진 교리와 제의에 따라 섬기기보다 인간 ‘내면’의 근본적 변화를 추구했다. 그들은 동물 희생제가 아니라 요가나 명상 같은 특별한 정신 훈련법에 따라 자기 안에서 초월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인간 내면의 탐구는 기원전 9세기경에 인도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으며, 인도의 현자들에 의해 가장 깊이, 가장 멀리까지 나아갔다.

인도에서 축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현대 세계에서 제의는 종종 노예적인 순응을 장려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브라민들은 그들의 학문을 이용하여 외적인 제의와 신들로부터 해방되어,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자아라는 완전히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냈다. 사제 개혁가들은 제의의 내적인 역학을 명상함으로써 내면을 들여다보게 되었다. 이제 그들은 아리아인 전사들이 인도의 미지의 밀림 속으로 파고들듯이 앞장서서 열심히 내적 세계를 탐험하기 시작했다. 축의 시대에는 지식을 축적하는 것 또한 중요한 것으로 강조된다. 제의 전문가들은 모두가 제의를 깊이 생각하며 자신이 하는 일의 의미를 깨달을 것을 요구했다. 새로운 자의식이 탄생한 것이다. 그 이후로 인도의 영적인 탐구는 외적인 신이 아니라, 영원한 자아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 150쪽·2장 불안과 공포의 시대

기원전 5세기 춘추전국시대의 중국에서는 군주가 자기 내면에서 중심을 발견하면 세상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현실에서 물러나지 않고도 명상을 통해 얼마든지 마음의 평화와 안정을 찾을 수 있으며, 자기 내면 깊은 곳을 발견할 때 비로소 인간다움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글(<심술(心術>)의 저자는 인(仁)이 인간 본성의 왜곡이 아니라 완성이라고 주장했다. 사실 인이라는 말 자체가 인간성과 동의어다. 군주가 진정으로 ‘인간적인 마음’을 갖고자 한다면 자신의 내면 깊은 곳을 발견해야 한다. 숲으로 달아나 평화와 안정을 찾는 대신 명상으로 내적인 고요를 길러 나가야 한다. 깨달음을 얻은 군주는 열정을 제어하고 욕망을 가라앉히고 마음에서 산만한 생각을 비워 진실하고 참된 자아를 발견할 것이다. 그러면 자신의 정신적인 힘을 분명하게 정리하게 되고, 몸의 건강이 나아질 것이며, 굳이 더 노력을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인(仁)의 인간이 되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 옛날에 왕들은 신체의 정확한 방향을 잡아 도를 확립했다. 이제 <심술>에 따르면 군주는 자기 내면에서 진정한 중심을 발견하여 세상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 497쪽, 498쪽·8장 철학의 모험

“삶의 피할 수 없는 진실인 고난과 직면하라!”

축의 시대 현자들이 남긴 중요한 통찰 중 하나는 “삶의 피할 수 없는 진실인 고난과 직면해야 한다.”는 것이다. 축의 시대에 네 지역에서 창조된 종교 전통은 모두 공포와 고통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이들은 모두 이런 고난을 부정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고난을 완전히 인정하는 것이야말로 깨달음의 전제 조건이었다.

예레미야는 예언자 노릇을 싫어했다. 그러나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어쩔 수 없이 하루 종일 “파멸과 멸망!”이라고 외치고 다닐 수밖에 없었다. 입을 닫으려 하면 심장과 뼈에 불이 붙는 듯하여 다시 예언을 할 수밖에 없었다. 예레미야는 아모스나 호세아와 마찬가지로 하느님이 자신을 장악했다고 느꼈다. 자신의 사지를 비트는 고통은 야훼의 고통이었다. 하느님 또한 수모를 당하고, 추방을 당하고, 버림받은 것처럼 느꼈다. 예레미야는 자신의 고난을 부정하는 대신 사람들 앞에 슬픔의 인간으로 나타났다. 그는 자기 시대의 공포, 분노, 슬픔에 마음을 열고, 그것이 자기 존재의 구석구석을 침범하는 것을 받아들였다. 부인할 수가 없었다. 그것은 깨달음에 방해가 될 뿐이기 때문이었다. - 289~290쪽·5장 고난의 시대

상키아는 인도의 영성에 두 가지 중요한 기여를 했다. 첫째는 모든 삶이 ‘두카(dukkha)’라는 인식이었다. 이 말은 흔히 ‘괴로움(苦)’으로 번역되지만 ‘불만족스럽다, 뒤틀려 있다’는 더 넓은 의미가 있다. …… 어떤 것도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우리의 혼란스러운 내적 세계는 순식간에 이런 상태에서 저런 상태로 바뀔 수 있다. 친구들은 죽는다. 사람들은 병들고, 늙고, 아름다움과 활력을 잃는다. 이 보편적인 두카를 부정하는 것-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만-은 미망이다. 두카가 삶의 법칙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키아는 이런 불완전한 본성이 우리의 친구이기도 하다고 주장한다. ‘내’가 고통을 겪고 이 덧없는 세상과 한몸이 될수록, ‘나’는 푸루샤라는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실재를 더 갈망하기 때문이다. - 332쪽?5장 고난의 시대

암스트롱은 우리 자신의 고통을 인정할 때에만 타인의 고통에 진심으로 ‘공감’할 수 있으며, 바로 그 지점에서 변화를 이끌 행동을 시작할 수 있다고 말한다.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인들은 비극을 통해 ‘타자와 함께 느끼는 능력’을 계발할 수 있었다. 이 점은 기원전 472년에 디오니소스 축제에 등장했던 아이스킬로스의 《페르시아인》에서 특히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작품을 본 아테네인들은 불과 몇 년 전 아테네를 유린했던 페르시아인들의 고통을 느끼며 울었다.

바로 몇 년 전 페르시아인은 그들의 도시를 파괴하고 성소를 더럽혔는데, 이제 그들이 페르시아 전사자들을 위해 울 수 있었던 것이다. 크세르크세스, 그의 부인 아토사, 다리우스의 유령은 모두 혈육을 잃고 안전이라는 겉치장이 뜯겨져 나가고 삶의 공포가 드러나면서 느끼는, 가슴을 찢는 슬픔에 관하여 감동적으로 이야기한다. 의기양양해하며 독선을 부리는 태도는 없었다. 고소해하는 분위기도 없었다. 아이스킬로스는 페르시아인을 적이 아니라 애도하는 사람들로 묘사했다. 페르시아인의 용기를 칭찬하기도 했다. …… 《페르시아인》은 목숨을 건 싸움의 기억이 아직 생생한 시기에 과거의 적을 향해 뻗어나간 공감의 탁월한 예였다. - 387~388쪽·6장 공감의 발견

케노시스(kenosis), 혹은 자기 버리기

삶이 본래 고통이라면, 그 고통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축의 시대 현자와 철학자들은 개인이 겪는 고통은 물론이고 사회적 갈등의 원인이 모두 ‘자기 중심주의’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자기를 보호하려는 욕구, 자기의 본능과 욕망을 우선시하는 이기심이 사람들 사이에서 탐욕과 갈등과 증오를 불러오는 것이다. ‘자기’를 버리는 방법을 찾는 것은 축의 시대 현자들의 공통된 목표였다. 중국에서는 고대에 태평성대를 이룬 요 임금과 순 임금이 ‘자기 버리기’를 실천한 현자로 추앙받았다.

초기 단계에도 노나라의 제의 전문가들 가운데 일부는 ‘자기 버리기’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있었다. 그들은 고대의 성군 요와 순을 숭배했으며, 《서경》에 나오는 최초의 연대기 가운데 하나인 <요전(堯典)>과 <순전(舜典)>을 썼을지도 모른다. …… 요와 순은 성인(聖人)이 되었다. 그들은 평화의 황금 시대를 확립한 선하고 자비로운 사람들이었다. 《서경》에 나오는 그들의 전설은 왕조가 대물림으로 이어지고 힘과 강압에 기초를 둔 통치가 이루어지는 현실에 대한 암묵적 비판임이 분명하다. 요와 순은 자신의 지위와 위엄에 집착하지 않고 자신들이 본능적으로 좋아하는 것보다 백성의 유익을 앞세웠다. 그들은 예(禮)가 계발하고자 하는 절제, 겸손, 자제, 경의의 원형적 모범이었다. 중국의 정치 생활이 점점 더 이기적이고 무자비해짐에 따라 요순 전설은 계속 영감의 원천이 된다. 축의 시대 현자들은 모든 인간에게 이런 위인이 될 잠재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 206, 208쪽·3장 자아의 발견

이스라엘에서는 예언자들이 신에게 존재를 완전히 압도당하는 경험을 통해 ‘자기 비우기’의 영성을 경험했다. 동시에 그들은 이스라엘 민족의 오만한 자아에 구멍을 내 비우는 역할을 맡았다.

아모스는 이스라엘의 자존감에 엄청난 타격을 입혔다. 그는 민족의 에고에 구멍을 내고 싶어했다. 이것이 이스라엘에서 ‘자기 버리기’의 영성 ·축의 시대 이상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 에 대한 최초의 표현 가운데 하나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종교를 이용하여 자존감을 강화하는 대신 정의와 공평을 앞세워 개인적 이해 관계를 초월해야 했다. 예언자는 그리스인이 케노시스(kenosis) 즉 ‘비움’이라고 부른 것의 걸어다니는 본보기였다. 아모스는 자신의 주체성을 신이 차지했다고 느꼈다. 그는 자신의 말이 아니라 야훼의 말을 했다. 예언자는 신에게 열정적으로 감정 이입을 하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을 버렸다. 신은 이스라엘이 저지르는 불의를 개인적인 모욕으로 여겼다. 이것은 중요한 순간이었다. 축의 시대 종교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느끼는 공감이 기본 조건이 된다. 아모스는 스스로 분노를 경험한 것이 아니라, 야훼의 분노를 느낀 것이다. - 160쪽·3장 자아의 발견

마침내 공감과 자비를 발견하다

‘축의 시대’ 현자와 철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을 믿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행동하느냐였다. 축의 시대 현자들은 모두 황금률과 양보, 공감, 자비로운 생활을 요구했다. 그들은 사람들이 자기 중심주의와 탐욕, 폭력과 무례를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로 죽이는 것만 잘못된 것이 아니다. 적대적인 말을 하거나 성마르게 행동해서도 안 된다. 나아가 축의 시대의 거의 모든 현자들은 자비를 자기 민족에게만 제한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어떻게 해서든 전 세계로 관심을 확대해야 한다.
각각의 전통은 각기 그 나름의 방식으로 황금률 ? “네가 당하고 싶지 않은 일을 남에게 하지 마라.”? 을 정리해냈다. 공자는 그것을 ‘서’(恕, ‘자기 자신에게 견줌’)라고 말했고, 묵자는 ‘겸애’(兼愛, ‘모든 이를 향한 관심’)라고 표현했으며, 붓다는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은 남들도 해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랍비 힐렐은 “당신 자신에게 가증스러운 일을 다른 사람에게 하지 마시오. 그게 토라의 전부이고, 나머지는 그 주석일 뿐이오.”라고 말했다. 세상 모든 존재의 신성한 권리를 존중하는 것이야말로 자비의 바탕이었다.

우리는 축의 시대 현자들이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상황에서 자비의 윤리를 발전시켰다는 사실을 우리 자신에게 늘 일깨워야 한다. 그들은 상아탑에서 명상을 한 것이 아니라, 전쟁으로 찢긴 무시무시한 사회, 오랜 가치들이 사라져 가는 사회에 살았다. 그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공허와 심연을 의식했다. 이 현자들은 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람들이 아니라 실용적인 사람들이었다. 많은 수가 정치와 정부에 몰두했다. 그들은 공감이 단지 유익하게 들리는 이야기일 뿐 아니라, 실제로 효과가 있다고 확신했다. 자비와 모든 이에 대한 관심은 최선의 정책이었다. 우리는 그들의 통찰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들은 전문가들이었기 때문이다. - 670쪽·10장 축의 시대의 귀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현자와 철학적 천재들의 시대!

‘축의 시대’에는 인류 역사상 가장 비범한 인물들이 집중되었다. 중국에서는 공자와 맹자가 나타났으며, 묵가, 도가, 법가 등 중국 철학의 모든 학파들이 탄생했다. 인도에서는 고타마 싯다르타와 자이나교의 마하비라가 태어났으며, 이란에서는 조금 이른 시기에 조로아스터가 나타나 ‘축의 시대’를 예고했다.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아모스, 에스겔, 이사야, 예레미야 등 이스라엘의 예언자들이 출현했다. 그리스에서는 호메로스가 등장했고, 파르메니데스,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철학자, 소포클레스와 에우리피데스 등 비극 작가가 활약했다. 저자는 이 놀라운 시대를 만든 현자와 철학자들의 삶과 생각을 흠결 하나 없는 고매한 ‘위인’이 아니라 우리와 똑같이 기쁨과 슬픔, 분노를 느끼며 ‘인간성’에 대해 고민했던 사람의 이야기로 부활시켰다.

조로아스터, 선과 악의 우주적 투쟁
기원전 1500년경부터 러시아 남부 초원 지대에 살던 아리아인들의 느리고 무탈했던 삶이 폭력적으로 바뀌었다. 청동 무기, 소와 말을 이용한 새로운 이동 방법을 알게 되면서 아리아인은 전사가 되었다. 그들은 이제 빠른 속도로 멀리 여행을 할 수 있었다. 우월한 무기를 이용하여 이웃의 정착지를 기습하고 가축과 작물을 빼앗았다. 방어를 위해서라도 군사 기술을 배워야 했다. 영웅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힘이 곧 정의였다. 이때 초원 지대를 휩쓴 폭력에 마음 깊이 괴로워하던 한 젊은 사제가 새로운 깨달음을 얻었다. 그의 이름은 조로아스터였다. 조로아스터는 자신의 민족에게 닥친 수난과 절망에 충격을 받아 갈등에 사로잡혀 갈가리 찢기는 절망에 빠져들었다.

예전의 평화로운 세상에서 삶은 주기를 그리는 것처럼 보였다. 계절이 바뀌고, 낮은 밤으로 이어지고, 추수는 파종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조로아스터는 이제 이런 자연의 박자를 믿을 수가 없었다. 세상은 격변을 향해 쏜살같이 나아가고 있었다. 조로아스터와 그의 추종자들은 우주의 갈등이 폭발하는 ‘경계의 시간’에 살고 있지만, 그들은 곧 선의 최후 승리와 어둠의 세력의 절멸을 목격하게 될 터였다. 무시무시한 전투가 끝난 뒤 아후라 마즈다와 불멸의 존재들은 남자와 여자의 세상으로 내려와 희생제를 드릴 것이다. 이어 큰 심판이 이루어진다. 악한 자들은 지상에서 쓸려 나가며, 타오르는 강이 지옥으로 흘러들어 ‘적대적인 영혼’을 태워 재로 만들 것이다. 그러면 우주는 원래의 완벽한 상태로 회복될 것이다. …… 우리는 이런 묵시록적 전망에 익숙하다. 그러나 조로아스터 이전의 고대 세계에는 이런 전망이 전혀 없었다. 이 전망은 자신의 민족이 수난을 당하는 것을 지켜본 조로아스터의 분노와 정의를 향한 갈망에서 나온 것이다. 조로아스터는 악한 자들이 선하고 무고한 사람들에게 준 고통에 대하여 벌을 받기를 바랐다. - 35쪽?1장 축의 시대 문명 벨트

수백 년 뒤 축의 시대가 시작되었을 때, 철학자, 예언자, 신비주의자들은 모두 비폭력에 기초한 영성을 장려하여 자기 시대의 잔혹함과 공격성에 맞서려 했다. 그러나 상처 입은 조로아스터의 전망은 복수심에 불타며, 거기에는 방화, 폭압, 절멸의 이미지가 담겨 있었다. 조로아스터가 살아온 길을 보면 정치적 격동, 잔혹 행위, 수난이 언제나 축의 시대 양식의 신앙을 생산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복잡한 현실을 선과 악이라는 지나치게 단순한 범주로 양극화하는 전투적 믿음이 나올 수도 있다. 그러나 조로아스터는 뜨겁게 윤리적인 전망으로 축의 시대를 고대했다. 그는 새로운 전사의 에토스 속에 도덕성을 집어넣으려 했다. 진정한 영웅은 동포를 탄압하지 않고 폭력에 맞선다. 신성한 전사는 평화에 헌신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축의 시대’의 첫 번째 종교를 만든 사람들은 바로 조로아스터가 비난했던 인도로 아리아인 가축 도둑들이었다.

《우파니샤드》의 현자, 인간 내면을 정복하다
인도의 고대 베다 종교는 끊임없는 이주와 새로운 영토의 정복에서 영감을 받았다. 폭력적 갈등의 세계에서 등장한 것이다. 그러나 베다 종교의 정수를 담은 《우파니샤드》는 내적 공간의 평화로운 정복에 나섰다. 이것은 종교사에서 외적인 제의가 엄격한 자기 성찰로 대체되는 매우 중요한 진전을 뜻한다. 현자들은 지도 없는 정신 세계에 침투하여 선구자가 되었다. 초기 《우파니샤드》에서 가장 유명한 두 사람은 비데하 왕국의 야지나발키아와 쿠루-판찰라 지역의 우달라카 아루니였다.

야지나발키아는 새로운 영성을 옹호하는 데 앞장섰던 비데하의 자나카 왕의 직속 철학자였다. 《우파니샤드》의 모든 현자들과 마찬가지로 야지나발키아도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는 말하자면 불멸의 불꽃이 있다고 확신했다. 불멸의 불꽃은 전 우주를 유지하고 또 거기에 생명을 주는 불멸의 브라만에 참여하며 또 그 본질도 같았다. 이것은 엄청나게 중요한 발견이었으며, 모든 주요 종교 전통에서 중심을 이루는 통찰이 된다. 궁극적 실재는 모든 인간 한 사람 한 사람 안에 존재했다. 따라서 자아, 즉 아트만의 깊은 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 225~226쪽·4장 앎을 향한 기나긴 여행

처음으로 인간은 인간 의식의 더 깊은 층들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축의 시대 현자들은 규율 잡힌 자기 성찰로 정신의 표면 아래 놓인 자아의 방대한 영역에 눈을 떴다. 완전하게 ‘자의식’을 갖추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야지나발키아는 종교의 외적 의식(儀式)을 논의하지 않았다. 대신에 진정한 자아, 즉 세속적 경험 속의 ‘나’를 통제하고 살아 있게 하는 ‘내적 인간’을 밝히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인간 존재의 심리적 구조를 탐험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외적 제의가 아니라 인간 내면에서 신성함을 경험하려는 시도는 모든 지역에서 나타난 축의 시대의 특징 중 하나였다. 19세기에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인간 무의식을 탐구하기 훨씬 전에 이미 인도에는 인간의 내면 깊은 곳을 찾아 성찰한 선구자들이 존재했다.

추방당한 자들의 트라우마, 이스라엘의 축의 시대를 열다
기원전 6세기에 이스라엘은 본격적으로 축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번에도 변화의 촉매는 걷잡을 수 없는 충격적인 폭력의 경험이었다. 아시리아의 뒤를 이어 바빌로니아 제국이 가나안 일대를 장악했다. 기원전 722년에 아시리아에 정복당한 북부 이스라엘 왕국에 이어 이제 남부 유다 왕국이 바빌로니아라는 외세에 정복당하고 말았다. 기원전 597년 유다 왕국의 젊은 왕 여호야긴은 바빌로니아에 항복하여, 백성 8천 명과 함께 자기 땅에서 추방당했다. 새로운 축의 시대 전망을 창조한 사람들은 이때 바빌로니아에 끌려간 사람들이었다. 예언자 에스겔도 그렇게 끌려간 사람들 중 하나였다.

에스겔은 나중에 환상에서 야훼가 뒤에 남은 유다 사람들의 우상 숭배와 부도덕 때문에 자신의 도시에서 쫓겨난 것임을 알게 된다. 그러나 추방당한 사람들도 그런 재앙에 어느 정도 책임이 있음을 깨달아야 했다. 에스겔의 임무는 기원전 597년에 추방당한 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깨닫게 하는 것이었다.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환상은 품지 말아야 했다. 그들이 해야 할 일은 회개하는 것이었고, 어떻게 해서든 바빌로니아에서 제대로 질서 잡힌 생활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슬픔의 무게를 온전히 경험하기 전에는 그렇게 할 수가 없었다. - 295~296쪽·5장 고난의 시대

바빌로니아의 무자비한 제국 권력의 과시는 추방당한 사람들의 민족적 통일성을 훼손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 추방당한 사제와 예언자들은 원한과 복수에 기초한 믿음을 피하고, 모든 생명의 신성함을 인정하는 영성을 창조함으로써 위대한 성취를 이루었다. 축의 시대 현자들은 폭력은 또 다른 폭력을 부를 뿐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남을 탓하기 전에 먼저 자신을 돌아보아야 하고, 모든 생명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축의 시대’ 통찰의 핵심이었다.

공자, 인(仁)의 나라를 찾아 떠나다
하늘로부터 천명을 받은 천자가 다스리던 주나라가 힘을 잃으면서 중국은 엄청난 혼란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른바 춘추전국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제후국들 간에 전쟁이 치열해지고 중원은 폭력에 휩싸였다. 낡은 정치와 사회 구조는 해체되어 갔으며, 중국은 무정부 상태로 곤두박질치는 것처럼 보였다. 조상을 모시던 제의에 대한 경멸이 확산되었고, 예법에 따른 절제의 기풍도 약해졌다. 졸부가 크게 늘었고, 지배계급의 가장 아래쪽에 있던 사(士) 가운데는 평민으로 전락하는 이들도 나타났다. 많은 사람들은 천도(天道)를 이렇게 무시하다가 우주 전체가 위험에 빠질 수 있겠다고 걱정했다. 이 무렵, 노(魯)나라에서 예(禮)의 깊은 뜻을 제대로 해석하면 중국인들을 다시 천도로 되돌릴 수 있다고 믿는 이가 나타났다. 그의 이름은 공구였으며, 우리는 흔히 그를 공자라 부른다. 공자에 이르러 마침내 중국의 축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공자의) 서(恕)는 ‘매일 종일토록’ 우리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우리에게 고통을 주는 것을 발견하고, 무슨 일이 있어도 다른 사람들에게 그런 고통을 주는 일을 삼갈 것을 요구한다. 자신을 특별한 별도의 범주에 넣지 말고, 늘 자신의 경험을 타인의 경험과 연결시킬 것을 요구한다. 공자는 황금률(Golden Rule)을 처음 공포한 사람이었다. 공자에게 그것은 초월적 가치였다. 예를 완벽하게 습득하면 그가 인(仁)이라고 부른 것을 얻는 길로 나아갈 수 있었다. 인이라는 말은 원래는 ‘고귀하다’거나 ‘훌륭하다’는 뜻이었지만, 공자의 시대에는 그냥 인간을 뜻했다. 공자는 이 말에 완전히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지만, 규정하려 하지는 않았다. 나중에 일부 철학자들이 인을 ‘박애’와 같다고 보았지만, 이것은 공자에게는 그 말의 의미를 너무 좁히는 것이었다. - 357쪽·6장 공감의 발견

공자는 전통적 관습과 전례의 세목에 매달리는 소심한 보수주의자가 아니었다. 그의 전망은 혁명적이었다. 그는 관례적인 제의(예)에 새로운 해석을 부여했다. 이것은 귀족의 존엄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자기를 잊는 실천을 습관으로 만들어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해 고안한 것이었다. 공자는 제의에서 자기 중심주의를 밀어내 제의의 영적이고 도덕적인 심오한 잠재력을 끄집어냈다. 공자는 또 새로운 평등주의를 도입했다. 전에는 오직 귀족만 예를 수행했다. 이제 공자는 누구라도 전례를 실행하면 출신이 미천한 사람이라도 군자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축의 시대 중국의 다른 철학자들은 중국의 많은 문제에 더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만, 그들이 늘 공자만큼 야심이 컸던 것은 아니다. 공자는 법과 질서 이상의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인간의 존엄함, 고귀함, 신성함을 원했으며, 이것은 서(恕)라는 덕을 얻으려고 매일 노력할 때만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실로 대담한 계획이었다.

에우리피데스, 삶을 정화하는 그리스 비극의 힘
다른 지역에서 종교의 사제들과 철학자들이 축의 시대를 개척했다면, 그리스에서는 비극 작가들이 그 임무를 맡았다. 기원전 5세기 아테네에서는 비극이 귀중한 제도가 되었다. 매년 디오니소스 축제 기간에 상연되는 연극은 축의 시대의 자기 성찰을 반영하였다. 이 연극들은 아가멤논, 오이디푸스, 아이아스, 헤라클레스 등 신화의 유명한 인물들이 내적인 여행을 떠나 복잡한 선택 때문에 갈등을 하고 선택의 결과와 마주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 연극들은 축의 시대의 새로운 자의식을 보여준다. 관객은 주인공의 마음이 자기 내부를 향하고, 대안을 명상하고, 고통스럽게 결론에 이르는 과정을 지켜보았다. 비극 작가들은 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신의 본성, 그리스 문명의 가치, 삶의 의미 등 모든 것에 질문을 던졌다. 또한 비극은 아테네 사람들에게 자신을 ‘타자’에게 비춰 보고, 자신과 전제가 분명히 다른 사람들도 공감의 범위 안에 포함시키라고 가르쳤다.

무엇보다도 비극은 고난을 무대에 올려놓았다. 비극은 관객에게 삶이 두카(dukkha)라는 것, 고통스럽고, 불만스럽고, 비틀린 것임을 잊도록 허락지 않았다. 아이스킬로스(Aeschylos), 소포클레스(Sophocles), 에우리피데스(Euripides) 등 기원전 5세기의 비극 작가들은 폴리스보다 고통받는 개인을 앞세우고, 그 사람의 고통을 분석하고, 관객이 그에게 공감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축의 시대 영성의 핵심에 이르렀다. 그리스인은 슬픔과 눈물을 함께 나누는 것이 사람들 사이에 귀중한 유대를 창조한다고 굳게 믿었다. 그래서 원수들도 《일리아스》의 끝에서 아킬레우스와 프리아모스가 그러는 것처럼 공통의 인간성을 발견했다. 그들의 눈물이 카타르시스가 되어 독기 가득한 증오가 담긴 슬픔을 정화해준 것이다. 아테네 사람들은 디오니소스 축제에서 부끄러움 없이 큰 소리로 울었다. 이것은 시민 간 유대를 강화해주었을 뿐 아니라, 개인들에게 그들이 슬픔에서 혼자가 아님을 일깨워주었다. 그들은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모든 인간이 고난을 겪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카타르시스(정화)는 공감과 자비를 경험하는 데서 얻을 수 있었다. 타자와 함께 느끼는 능력이 비극적 경험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 386~387쪽·6장 공감의 발견

에우리피데스는 ‘타자’, 심지어 복수를 위해 자신을 논리적으로 설득해 자식들을 살해한 메데이아나 여신 헤라가 불어넣은 광기에 빠져 부인과 자식들을 죽인 헤라클레스 같은 사람들을 향해서도 감정적으로 손을 내미는 비극의 전통을 이어갔다. 《헤라클레스》의 결말부에서 테세우스는 더럽혀지고 망가진 사나이에게 공감하려 한다. 테세우스는 헤라클레스를 무대 뒤로 데려가면서 ‘우정의 굴레’의 표시로 팔짱을 낀다. 합창(코러스)은 ‘애도와 눈물로’ 탄식한다. “오늘 우리는 가장 고귀한 친구를 잃었기 때문이다.” 이 말에 관객도 따라서 울었다. 이것은 우리 안에 깊이 뿌리박힌 편견과 선입관에서 ‘밖으로 나가’(엑스타시스), 연극을 보기 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자비의 행동으로 나아가는 것이었다.

소크라테스, 무지의 지혜를 가르친 앎의 교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질질 끌고 잔혹 행위가 잇따라 일어나던 기원전 420년대에 새로운 철학자가 아테네에서 유명인사가 되었다. 멋쟁이 소피스트들과는 달리 그는 꾀죄죄한 편이었다. 그는 돈을 버는 데는 관심이 없었으며, 학생들에게 돈을 받는다는 발상에 경악했다. 소크라테스는 출신이 비천했지만 아테네에서 가장 좋은 집안 출신 청년 몇 명이 제자가 되겠다고 찾아왔다. 그들은 소크라테스에게 매혹되었으며, 그를 철학적 영웅으로 숭배했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아는 것이 얼마나 적은지 이해했으며, 자기 생각의 한계에 연거푸 마주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남들보다 나은 점이 있다고 느꼈다면, 그것은 자신이 스스로 제기하는 문제의 답을 결코 찾지 못할 것임을 깨달았다는 점뿐이었다. 소피스트들은 이 무지로부터 실용적인 행동으로 피신했던 반면, 소크라테스는 그것을 삶의 깊은 신비를 드러내는 엑스타시스로 경험했다. 사람들은 자신의 가장 근본적인 가정에 반드시 질문을 던져야 했다. 그래야 올바르게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으며, 진짜 있는 모습 그대로 사물을 볼 수 있고, 그릇된 의견을 넘어서서 언제나 올바르게 행동하게 해주는 완벽한 직관에 조금이라도 다가갈 수 있었다. 이렇게 하지 않는 사람들은 편의에 따라 피상적인 삶을 살 수밖에 없었다. 소크라테스가 남겼다고 하는 기억할 만한 말에서 이 점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검토하지 않은 삶은 살 가치가 없다.” - 444~445쪽·7장 사유의 혁명

그러나 아테네 사람들은 소크라테스를 위험한 인물로 보았다. 재판에서는 소크라테스에게 국가의 신들을 인정하지 않고, 새로운 신들을 도입하고, 젊은이들을 부패시킨 죄를 물었다. 결국 기원전 399년 소크라테스는 감옥에서 독약을 마시고 죽음을 맞았다. 플라톤의 말에 따르면, 소크라테스는 독약을 마시기 전에 자신의 몸을 씻었다. 자신이 죽은 뒤에 여자들이 해야 할 일을 덜어주려는 것이었다. 간수에게 친절하게 대해준 것에 정중하게 감사했다. 심지어 자신의 곤경을 두고 온화한 농담을 하기도 했다. 소크라테스는 차분하게 죽음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었으며, 친구들에게 애도하지 말라고 하면서, 곁을 지켜주는 그들의 우정을 조용하고 다정하게 받아들였다. 파괴적이고 소모적인 슬픔 대신 조용하고 수용적인 평화가 있었다. 축의 시대 내내 현자들은 죽음에 몰두했다. 소크라테스는 고통과 고난 가운데에서도 인간이 자신의 환경을 초월하는 평온을 누릴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고타마 싯다르타, 무아의 발견자, 마음의 혁명가
기원전 5세기 말 무렵, 히말라야 산맥 산기슭에 자리잡은 샤카 공화국에 살던 한 크샤트리아가 머리와 턱수염을 자르고, 출가자의 샛노란 가사를 입고 마가다로 가는 길에 나섰다. 그의 이름은 고타마 싯다르타였으며, 나이는 29살이었다. 출가자가 된 고타마는 당대 최고의 요가 수행자를 찾아 공부했고 놀라운 성취를 보였다. 스승들은 기뻐했으나 고타마는 만족할 수 없었다. 자기 안에서 진정한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다음에 고타마는 금욕주의자들에게 배움을 청했다. 고타마는 극단적인 고행으로 등뼈가 물렛가락처럼 튀어나올 정도로 바짝 말라 거의 죽음에 이를 지경까지 갔다. 그러나 아무리 고행을 해도 욕정과 갈망은 사그라들지 않았고, 평화와 자아의 해방은 찾아오지 않았다. 고타마는 스스로 특별한 요가 훈련법을 계발하기 시작했다. 그는 매일 요가 수련을 통해 의식의 새로운 영역으로 들어갔으며, 점차 이기적인 갈망과 욕망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7년 동안 끊임없는 자기 수련을 통해 고타마는 마침내 모든 고통에서 해방되는 깨달음에 이르렀다. 이제 고타마는 ‘깨어 있는 사람’ 또는 ‘깨달은 자’(붓다)가 되었다.

고타마는 괴로움과 고통에서 벗어나 니르바나에 이르는 길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전통적으로 ‘여덟 가지 고귀한 길’(팔정도八正道)이라고 부르는 이 길은 도덕, 명상, 지혜로 이루어진 행동 방침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수행자들은 요가 수행을 통해 고타마의 가르침을 ‘직접’ 이해하고 자신의 일상 생활과 통합할 수 있다. …… 니르바나란 무엇일까? 우리가 이미 보았듯이, 이 말은 고타마가 깨달음을 얻으면서 ‘꺼졌다’는 뜻이다. 고타마는 깨달음을 얻은 뒤에 종종 ‘타타가타’(tathagata, ‘사라졌다’)라고 불렸다. ‘그’는 이제 거기에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것은 개인적인 소멸을 뜻하지 않는다. 꺼진 것은 그의 인격이 아니라 욕심, 증오, 기만의 불이었다. 붓다(이제 고타마를 이렇게 불러야 한다)는 ‘해로운’ 마음 상태를 눌러 없앰으로써, 자기가 없는 상태로부터 오는 평화를 얻었다. - 479쪽·장 사유의 혁명

붓다는 폭력적이고 슬픈 세상에 살던 자기 시대의 많은 사람들에게 평화로운 안식처 역할을 했다. 그는 니르바나를 찾음으로써 자신의 목표를 달성했지만, 그것이 자기 사명의 끝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붓다는 공감과 자비의 마음으로 슬픔의 세상에 자신의 깨달음을 전하려 했다. 그는 45년간 지칠 줄 모르고 갠지스 평원의 도시들을 돌아다니며 신과 동물과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주었다.

사람들은 그의 냉정함에 불쾌함을 느끼지 않았으며, 어떤 대상 또는 어떤 사람을 특별히 더 좋아하지 않는 태도에 풀이 죽지도 않았다. 붓다는 유머가 없고 엄격하고 비인간적인 사람이 아니었다. 외려 그를 만나는 모두에게 특별한 감정을 불러일으켰던 것 같다. 그의 변함없고 끈질긴 관대함, 고요, 공정함은 심금을 울리고 사람들의 가장 깊은 갈망과 공명했던 것 같다. 붓다는 소크라테스나 공자와 마찬가지로 카를 야스퍼스가 ‘인격의 모범’이라고 부른 사람이 되었다. 인간이라면 될 수 있고 되어야만 하는 목표를 예증하는 사람이 된 것이다. 이 축의 시대의 선각자들은 원형적 모델이 되었다. 다른 사람들도 그들을 모방함으로써 그들이 구현한 고양된 인간성을 성취하는 길로 조금이라도 더 나아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 490~491쪽·7장 사유의 혁명 접기

공감순
 
벼르고벼르다 산 책. 원서는 얇은데 번역서는 너무 외관이 사치스럽고 비싼게 단점  구매
커피홀릭 2011-03-16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종교와 철학의 성립사, 이것은 인간심리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지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강추.  구매
alicego 2012-07-17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한번 더 읽어봐야할 책  구매
장님버드나무 2011-03-04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가장 어렵고 심오한 문제를 통찰력 있게 풀어냈다. 곱씹어볼 만한 이야기가 가득.  구매
푸른거리 2012-07-13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사상사를 축의시대로 구분지어 서술한 저자의 논리가 읽을수록 신선하고 설득력있게 다가온다  구매
의암 2012-08-11 공감 (1) 댓글 (0)
Thanks to


마이리뷰

 
인간의 발견 새창으로 보기 구매
고대 “중국인은 하늘과 땅의 간극을 보지 않고 오직 그 연속성만을 보았다. 그들은 ‘저 바깥’에서 원가 신성한 것을 찾는 일보다는 이 세계를 하늘의 원형과 일치시켜 더 신성하게 만드는데 관심이 있었다. 여기 땅에서 모든 것을 하늘의 도와 일치시키는 일상적이고 실용적인 노력을 하면서 신성함을 경험햇다. 일식이 일어나면 왕과 봉신들은 지단 주위에 모여 각자 정확한 위치에 자리를 잡았다. 우주의 질서를 회복하려는 것이엇다. 이렇게 땅은 하늘의 동반자엿다.

왕이 왕으로서 천명을 받아 천자가 되면 지상에서 하늘을 위한 ‘길이 열린다.’ 그는 도덕 즉 ‘도의 힘’이라 부르는 마법적 능력을 부여받는데 이 힘으로 적을 진압하고 충성스런 추종자들을 끌어들이고 자신의 권위를 강제한다. 왕이 일단 이 힘을 가지면 왕이 있는 것만으로도 그 힘이 발휘된다고 믿었다. 왕의 힘이 강하면 땅이 부서져 꽃이 피어난다. 왕의 힘이 쇠퇴하면 백성이 병들어 때 이르게 죽고 흉년이 들고 우물이 마른다. 자연과 사회는 서로 묶여 있다.

왕은 더할 수 없이 높은 권력을 가졌지만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없었다. 평생 천상의 모범과 일치해야 햇다. 그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느냐 싫어하느냐는 중요하지 않았다. 왕의 역할은 자신의 힘으로 대외 또는 국내 정책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냥 길을 따르는 것이엇다. 왕이 제의적인 의무를 정확하게 이행하면 그의 힘(도덕)이 만물을 ‘차분하고 온순하게’ 만들었다. 이런 신성한 안정 상태를 큰 평화(태평)라 불렀다. 왕은 살아있는 원형이었다. 사람들은 하늘의 아들을 모방하여 자신의 생활이 하늘의 도와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축제는 신성한 사회를 드러내는 것이었으며 신적인 것에 가까이 다가가 사는 것이었다. 모두에게 남과 바꿀 수 없는 유일무이한 역할이 있었다. 그들은 일상의 자아를 떠남으로써 더 크고 더 중요한 것에 사로잡혀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제의는 극적으로 천궁의 복제품을 창조햇다.

중국인들은 정교하게 고안된 의식의 중요성을 이해햇다. 이런 복잡한 드라마를 공연하면서 그들은 완전한 인간을 행해 나아간다고 느꼈다. 기원전 9세기에 이르면 제의에서 경험하는 변화의 힘이 신들을 다루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시작햇다. 우리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여 우리 자신과는 다른 존재가 된다. 다른 페르소나를 맡음으로써 우리는 순간적으로 다른 존재 속에서 우리 자신을 잃는다. 제의는 참여자에게 조화, 아름다움, 신성의 전망을 제시했으며 이 전망은 그들이 일상의 혼란으로 돌아가도 그대로 남았다.

제의의 확립은 주나라의 위대한 업적으로 꼽히며 뒷세대들도 이 점을 인정했다. 축의 시대 이후에 완성된 텍스트인 ‘예기’는 상나라는 영혼을 앞에 두고 제의를 두번째에 놓았으나 주나라는 제의를 앞에 두고 영혼을 두번째에 놓았다고 말한다. 상나라는 제의를 통해 신들을 통제하고 이용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주나라는 직관적으로 제의 자체가 신보다 큰 변화의 힘을 지니고 잇음을 깨달았다.”

공자가 述而不作이라 말할 때 그가 ‘술’하는 대상은 물론 서주의 ‘문화’이다. 그러나 그 문화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려면, 그리고 유교가 종교라 불리는지 이해하려면 고대중국인의 天觀, 원형에 대한 사고를 알아야 한다. “예란 하늘의 도(經)이며 땅의 의(義)이니 사람이 해야 할 것이다”란 춘추의 말은 공자에게 여전히 살아있는 것이었고 유효한 것이엇다.

중국인들의 원형에 대한 사고는 고대인들에게 공통된 것이엇다. 중국인들이 신과 대화하기 뼈에 문자를 썼듯이 이집트에서도 문자는 신과 소통하기 위한 수단이엇다. 고대인들에게 인간은 혼자가 아니라 하늘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였다.

그런 고대인들의 사고방식을 엘리아데는 이렇게 요약한다. 고대인들은 “외계의 사물이거나 인간의 행동이거나 간에 그 자체로선 어떤 가치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들에 의하면 사물이나 행동은 어떤 가치를 본래 가지는 것이 아니라 획득하는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비로서 실재가 된다. 그런데 그럴 수 잇는 것은 사물이나 행동이 그들 자체를 초월하는 다른 실재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돌 중에서 어떤 돌이 거룩한 돌이 되었다고 하자. 그 돌이 거룩하게 된 것은 그 돌이 聖顯(hierophany)이 된다든가 마나를 소유한다든가 혹은 그 돌이 신화적 행위를 기념한다든가 하는 이유 때문이다. 사물은 어떤 외부의 힘을 받아들이는 하나의 용기이다. 그 외부의 힘은 그 사람을 독특한 것으로 해줄 뿐 아니라 그 사물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다.

인간의 행동 역시 마찬가지이다. 인간의 행동이 의미와 가치를 갖는 것은 자연 그대로의 육체적 여건과 연결된 것이 아니라 원초적인 행위를 재현하고 신화적 범례를 반복할 때 이다. 음식을 먹는 것도 생리작용이 아니며 결혼과 질탕한 주연도 신화적 원형을 반향하는 것이다. 그런 것들이 반복되는 이유는 태초에 신들이나 조상들이나 영웅들에 의해 그런 것들이 성별되었기 때문이다.” (M. 엘리아데)

고대인에게 실재란 하늘의 원형(celestial archetype)을 모방한 것일 뿐이었다. 하늘의 장소를 본떠 만들어질 때 도시나 사원이나 집은 실재가 된다. “메소포타미아인들은 티그리스강 은 아누니트 별을 그 모델로 하고 유프라테스강은 스왈로우 별을 모렐로 한다고 한다. 이집트인들은 장소라든가 주의 이름을 천상의 ‘들판’ 이름을 따라 지었다. 먼저 천상의 들판을 안 다음에 지상의 지리와 그것을 동일시 한 것이다.” (엘리아데)

하늘의 따라 만들어진 장소는 ‘세계의 중심’ 또는 우주의 배꼽(Omphalos)이며 그렇기에 거룩한 장소이다. 고대인들은 누구나 자신이 우주의 배꼽, 거룩한 곳에 살고 잇다고 생각햇다. 그들은 성스러운 장소에서 성스러운 행위를 모방하며 성스럽게 살았다.

저자는 아리아인들의 성스러운 삶을 이렇게 묘사한다. 그들은 이름부터 성스러웟다. “아리아인이라는 말은 자부심의 표현으로서 ‘고귀하다’거나 ‘명예롭다’는 의미엿다. 그들은 기원전 4500년 경부터 카프카스 초원 지대에 살았다. 아리아인들은 조용한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멀리 여행할 수 없었다. 말이 아직 가축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들의 시야는 초원 지대에 한정되엇다. 그들은 땅을 경작하고 양, 염소, 돼지를 치고 안정성과 지속성을 귀중히 여겼다. 이렇다할 적도 없엇고 새로운 땅을 정복할 야망도 없었다 그들의 종교는 단순하고 평화로웠다. 다른 고대인들처럼 자신의 내부와 자신이 보고 듣고 만지는 모든 것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힘을 경험햇다. 폭풍, 바람, 나무, 강은 비인격적인 정신이 결여된 현상이 아니었다. 아리아인들에게 인간, 신, 동물, 식물, 자연의 힘은 모두 같은 신성한 영혼의 표현이었으며 이것을 마이뉴 또는 마냐라 불렀다. 이것이 그들에게 생기를 주고 그들을 유지해주고 그들을 모두 함께 묶어주었다. 신들도 인간처럼 우주를 지탱하는 이 힘에 신성한 질서에 복종해야 했다. 이 질서가 삶을 가능하게 했다. 모든 것을 제자리에 유지해주고 진실하고 옳은 것이 무엇인지 정해주었기 때문이다.

이런 느리고 무탈한 삶은 아리아인이 최신 기술을 발견하면서 끝이 났다 기원전 1500년 무렵 그들은 카프카스 산맥 남쪽의 메소포타미아와 아르메니아인에게서 청동무기를 배웠으며 전차를 얻었고 야생마를 길들이는 법을 배웠다. 남쪽 왕국에서 용병으로 일하고 돌아온 아리아인은 전사가 되엇다. 그들은 이제 빠른 속도로 여행을 할 수 있었고 새로운 기술을 이요해 이웃을 기습하고 가축과 작물을 빼앗았다. 습격과 약탈이 가축을 기르는 것보다 재미도 있고 이익도 많았다. 그들은 죽이고 약탈하며 전통적인 아리아인을 공포에 떨게 햇다. 전통적인 아리아인은 당황하고 겁을 먹었다. 방향 감각을 완전히 상실했다. 삶은 엉망으로 뒤집혔고” 더 이상 우주적 질서를 따르는 성스러운 것이 아니게 되었다.

길고 긴 영웅시대가 시작되었다. “힘이 정의였다. 족장들은 이익과 영광을 추구했다. 시인들은 침략, 무모한 배짱, 무용을 칭송했다. 이전의 아리아 종교는 호혜주의, 자기 희생, 동물을 사랑하는 태도를 가르쳤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가축 약탈자들의 마음을 끌지 못햇다. 이제 습격자들이 갈망하는 신의 모범은 신성한 전사 인드라였다.”

가축 도둑들은 전사가 되엇고 전사는 명예를 아는 귀족이 되었다. 귀족의 뿌리는 언제 어디서든 전쟁이었다. 귀족이 귀족일 수 있는 것은 귀족이 귀족의 자격을 갖는 것은 목숨의 대가였다. 가장 먼저 죽을 각오가 되어 있는 자. 남보다 앞에 서서 죽음을 향해 돌진할 수 있는 자만이 남에게 목숨을 요구할 자격을 가졌다. 남의 앞에 설 자격이 있는 자, 귀족은 전장에서 남의 앞에 서는 자들이 그 기원이었다. 중세 유럽의 기사도는 그런 전사의 에토스가 가장 세련되게 진화한 예일 것이다.

비겁하지 않겠는가?

약자를 보호할 것인가?

스스로를 속이지 않겠는가?

맹세는 죽음으로 지키겠는가?

넌 언제든 죽을 각오가 되었으니 이제 기사다

중세의 기사서약이다. 그 의식이 치뤄졌을 고딕 성당이 머리 속에 그려지는 맹세이다. 중세 기사도를 규정했던 가치는 명예였고 그것은 신의 영광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그 외양이 어떻든 그 본질은 전사의 에토스에 있었다.

항우는 길고 긴 중국의 역사에서 전사의 에토스를 가장 완벽하게 보여주었다. “항우의 관심은 부귀영화가 아니라 영웅의 업적이었다. 더구나 그는 결과(황제라는 ‘저 자리’)보다 과정(저 자리에 ‘오르는’)을 더 중시했다. 그는 원하는 바를 얻은 후에 무엇을 어떻게 누리며 살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관심도 없었다. 그에게는 오직 자신이 바라는 바를 얻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 진정한 영웅은 승리를 위해서보다 전투 그 자체에 더 혼신을 다하는 법이다. 어느 영웅이 하릴없이 소일이나 하며 자기 생을 소모하고 싶겠는가. 할 일이 있으며 나서서 해내는 것이 영웅의 자세이다. 무슨 일을 하는 지는 중요치 않으며 그 일을 하고 나서 어떻게 되는지도 중요하지 않다. 이것이야말로 감정의 인간이 생각하는 방식이요 행동하는 방식이다.” (이중톈) 감정의 인간은 머리로 세상을 보지 않고 가슴으로 세상을 느낀다. 감정의 인간에게 삶은 윤리적인 것이 아니라 미학적이다. 그들에게 삶은 추하거나 멋있거나 둘 중의 하나이다. 그런 삶의 태도를 속된 말로는 폼생폼사라 하며 고상하게는 명예라 한다.

삶의 멋이란, 명예란 항우에게 무엇이었는가는 그의 최후에서 잘 드러난다. “항우는 줄곧 백전백승이었다가 마지막 전쟁에서 참패해 체면을 구기고 집에 돌아가지도 못햇다. 그는 ‘내가 강동의 자제 8천명과 함께 강을 건너 서쪽으로 왔다 지금 한 사람도 돌아가지 못하니 강동의 부형들이 불쌍히 여겨 나를 왕으로 삼더라도 내가 무슨 면목으로 그들을 만나겠는가!’라고 했는데 이는 ‘낯으로 그들을 보러 가겠는가’하는 것이다. 결국 항우는 자살했다. 비록 죽음의 길 밖에 없었지만 죽음의 길도 길이다. 항우가 자살하자 많은 사람들이 그를 영웅이라 칭송하며 그의 편을 들어주었다. 그는 또한 ‘면목이 없다’라는 성어를 남겼으니 영원히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할 수 있다.” (이중톈)

항우에게 체면 또는 명예는 목숨보다 귀했다. 달리 말해 ‘폼’이 망가지는 것은 죽는 것보다 못했던 것이다. “그는 어째서 면목이 없다고 말했을까?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 외에도 사람들의 연민을 견딜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항우처럼 일생동안 강함을 추구해온 인간에게 연민이란 곧 죽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연민을 받느니 차라리 죽음을 택한다.”

“그에게는 승리는 중요하지 않았다. 그의 관심은 오로지 전투 그 자체였다.” 그런 미학적 인간에게 구질구질하게 악착같이 포기하지 않는 것은 어울리지 않았다. “그의 목적은 천자의 자리가 아니었고 그가 원한 것은 영웅호걸의 통쾌한 삶일 뿐이었”으니 다 진 싸움에서 구차하게 목숨을 건진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전장에서 물러나는 인생의 마지막 순간, 그는 다만 멋진 피날레를 연출하고 싶어햇다.” 삶을 미학적으로 살았던 항우는 그 최후에도 폼(또는 명예)을 꺾지 않았다. 그러나 그 폼, 그 명예가 어떤 명예인가가 문제이다.

‘면목이 없다’ 외에도 항우는 많은 고사성어의 원전이 되었다. 금의환향도 그중 하나이다. 그런데 그 말이 나온 배경이 문제이다.

항우는 진의 수도 함양을 점령한 후 힘없는 어린 황제를 죽이고 궁궐을 불태웠고 백성을 모조리 죽엿다. “역사서에는 이를 두고 성에 모기 새끼 한 마리 없었다고 전한다 분명 아녀자와 어린애도 죽였을 것이다. 모든 일이 끝나자 부하가 간언했다. ‘함양은 제왕의 수도입니다. 함양을 수도로 정하고 천하를 호령하십시오’ 점입가경으로 항우는 고향에 돌아가고 싶어했다. 그는 ‘부귀한 몸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은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가는 것과 같으니 누가 알아줄 것인가’라 말했다. 입신출세해 비단옷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가야 된다는 뜻이다. 이렇게 항우는 황궁에서 약탈한 금은보화와 수백명의 미녀들을 수레에 태워 의기양양하게 고향으로 갔다.” (이중톈)

항우는 명예를 중시했다. 그러나 그 명예는 약자를 위한 것도 천하를 위한 것도 아닌 자기를 아는 사람에게만 세우면 되는 폼이었고 명예였다. 그런 명예이니 그가 모르는 사람이 얼마가 죽든 상관이 없었다. “항우는 일단 성을 점령하면 성에 있는 백성을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학살했으며 투항한 병사까지 생매장했다. 커다란 구덩이를 판 다음 수십만명이나 되는 사람을 며칠 밤을 새워 생매장했다.” (이중톈)

항우의 명예는 철저하게 자기중심적인 명예였다. 이기적이고 쾌락주의적이고 잔인한 그런 명예는 호머가 그린 그리스 영웅들의 것이기도 하다. 알렉산드로스 역시 그런 삶을 살았다. 스승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렇게 말려도 그가 전쟁터까지 끼고 갔던 책은 일리아드였다. 그에게 호머의 영웅들은 삶의 모범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그런 영웅들의 삶을 살았다. 명성을 쫓고 과시하기 좋아하는 호머의 영웅들은 책임감 있는 통치자라기 보다는 전사였다.

“호메로스는 사람들이 전쟁터에서 더 강렬한 삶을 산다고 말하는 것같다. 만일 영웅의 명예로운 행위가 서사시에서 기억된다면 그는 죽음의 망각을 극복하고 소멸할 수 밖에 없는 인간에게 가능한 유일한 불명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 명성은 생명보다 소중하며 시는 명성을 얻기 위해 필사적으로 경쟁하는 전사들을 보여준다. 이 영광의 탐구에서 모든 사람은 자신을 위해 나선다. 영웅은 며예와 지위의 문제에 시달리는 자기중심적인 인간이며 시끄럽게 자신의 공적을 떠벌리고 자신의 존엄을 높이기 위해 전체의 이익을 언제든지 희생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그런 자기중심적인 전사들은 통치자의 모델이 될 수 없었다. 아리스토텔레스보다 먼저 살았던 공자도 그랫고 당시는 정치철학이 완숙된 시절이었다. 당시 완성된 정치철학에서 군주란 민심을 헤아리고 천명을 받드는 사람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알렉산더를 움직인 것은 그런 정치철학이 아니었다. 그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야망과 허영에 따라 행동했다.

물론 그는 페르시아 제국을 소수의 병력으로 쓰러트릴 정도로 유능한 전술가였고 나이에 어울리지 않게 권력을 다룰줄 아는 노련한 정치가였다. 그리고 그가 능력이 있었기에 그가 이룬 정복사업의 결과 위에서 그의 사후 헬레니즘이란 문명이 태어날 수 있었으며 로마제국이 가능했고 로마제국 위에서 기독교가 일어나고 지금의 서구문명이 태어날 수 있었다. 이것은 분명 그의 업적이다.

그러나 인간 알렉산더에게 세상은 자신의 명성과 새로운 도전 또는 모험을 위해 존재할 뿐이었다. 항우가 제국건설에는 무관심하고 오직 전쟁 자체에 열광했던 것처럼, 그는 페르시아 제국을 무너트린 후 통치를 어떻게 할 것이라는 비전이 전혀 없었다. 물론 뛰어난 정치적 감각이 있었지만 그에게는 정복자체가 당기는 것이지 통치는 지겨울 뿐이었다. 그의 사후 그의 제국이 사분오열된 것은 당연하다.

그는 죽을 때까지 영원한 아이로 살았다. 게다가 술주정뱅이에 변덕스럽고 신경질적인 성격이었다. 그리고 독재적인 기질이 있는 권력욕의 화신이었다.

영웅시대는 항우와 알렉산더 같은 전사들이 세상이엇다. 그리고 그 영웅들의 신이 그들을 닮은 것은 이상할 것이 없다. “아리아인은 초원 지대에서 습격을 시작한 이후로 자신들의 일상 생활의 경쟁적인 분위기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제의의 형식을 바꾸엇다. 그들은 조용하고 평화로운 삶에 관심이 없었다. 그들은 전차와 강력한 청동 검을 사랑했다. 그들은 목축민이엇으며 이웃의 가축을 훔쳐서 생계를 유지했다. 가축 도둑질은 목숨이 걸린 문제였기 때문에 오락이 아니었다. 또한 행위에 신의 힘을 불어넣는 제의가 결합된 성스러운 활동이었다. 인도의 아리아인들은 역동적인 종교를 우너했다. 그들의 영웅은 이동하는 전사이자 전차를 탄 투사였다. 아리아 전사들은 습격과 전투에서 데바와 아수라가 벌이는 천상의 전투를 재연했다. 그들은 싸움을 할 때 자신을 넘어서서 인드라와 하나가 된 것처럼 느꼈다. 이런 제의들은 그들의 전투에 영혼을 부여했으며 지상의 전투와 신성한 원형을 결합하여 전투를 성스러운 활동으로 만들었다.”

인도 아리아인의 종교에 그리고 그들의 그리스 사촌의 종교는 영광과 공포라는 영웅의 에토스를 재연했다. “전사의 삶 전체가 식량과 부를 둘러싸고 죽음을 각오해야 하는 위험한 경쟁 즉 아곤이었으며 이런 경쟁은 죽음으로만 끝날 수 있었다.”

영웅시대는 달리 암흑시대라고도 부른다. “중동에서는 철의 야금 및 가공 기술이 보급됨과 더불어 기원전 1200년부터 기원전 1000년 사이에 침입과 이민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 히브리인, 도리아인, 그 밖의 많은 새로운 민족이 역사에 등장하여 야만적이면서 훨씬 평등주의적인 시대를 열었다. 성서 ‘판관기’의 저자는 폭력과 유혈로 가득 찬 그 이야기를 이렇게 요약한다. ‘그때는 이스라엘에 왕이 없어서 사람마다 제멋대로 하던 시대였다.’” (윌리엄 맥닐)

일리아드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미케네 문명이 무너진 후 “그리스의 암흑시대 초기에는 정치체제는 존재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대부분 스무 명 정도의 소규모 집단을 이루고 목축을 하거나 농사를 지으며 근근히 연명해나갔다. 실제 그리스 인구가 그전의 번영했던 시절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고 경작지도 따라서 감소했으며 당연히 식량생산도 줄었다.

농업이 시들해지자 많은 그리스인들은 유목민처럼 살았다. 머물던 곳의 목초지가 과도하게 방복되면 그 다음에는 새로운 목초지를 찾아 떠나야 했다. 운이 좋으면 곡식을 경작할 땅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런 반 정착민 생활을 했기 때문에 그들은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간단한 오두막을 짖고 최소한의 집기만을 갖추고 살았다.” (토머스 마틴) 물론 그들은 떠돌며 약탈과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파라오 람세스 3세는 북쪽으로부터 이집트의 변방응ㄹ 침략해온 해상 침략자들의 가공할 만한 연합세력을 기원전 1182년에 패퇴시키고 이렇게 말햇다. ’갑자기 사람들이 움직였다. 그 어떤 땅도 그들의 공격을 물리칠 수 없엇다. 그들은 땅끝까지 그들의 영토를 확장하려 들었고 그들의 정신은 자신감과 믿음으로 흘러넘쳤다.’ 이집트의 기록은 이들 바닷사람들(sea people: 암흑시대의 약탈자를 가리키는 역사용어)이 여러 다른 인종으로 구성되었다고 전핝다. 그들은 아마도 미케네 그리스, 에게 해 제도, 아나톨리아. 키프로스, 근동의 여러 지역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그들은 어떤 통일된 민족집단을 구성하지 않았다. 그들은 본거지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 때문에 본거지를 떠나온 독립된 집단이엇다. 그들 중 일부 세력은 과거의 강력한 지도자 밑에서 한때 용병을 하던 자들이엇다. 그러다 권력과 전리품을 노려 그 지도자들에게 반기를 들었다. 일부 세력은 외국 땅에서 노략질을 하려고 먼 곳에서 온 자들이엇다. 지중해 동부를 휩쓴 바닷사람들은 여러 번에 걸쳐 파괴행위를 자행했다. 공격과 퇴각의 연쇄반응이 반복적으로 확장되는 사이클로 진행됨으로써 더 많은 약탈 집단이 파괴행위에 가담하게 되엇다. 바다사람들 중 일부는 순전히 약탈을 목적으로 했고 일부는 새로운 거주지를 찾는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이런 침략자 집단이 자행하는 물질적 피해는 그들이 기존의 정착사회에 끼친 사회적 혼란으로 더욱 악화되엇다. 이런 침략과 이주는 지중해의 정치적 지도와 인구의 지도를 바꾸어 놓았다. 이런 요란한 소동의 이유와 원인은 수수께끼로 남아잇지만 그것이 근동문명과 그리스문명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토머스 마틴)

암흑시대는 그리스와 중동 그리고 인도까지 지배했다. 암흑시대가 길어지면서 사람들은 지쳣다. “’리그베다’의 후기 시들 가운데 몇 편은 전에 볼 수 없는 피로와 비관을 표현한다. ;곤궁과 헐벗음과 피로가 나를 아프게 죄어 온다. 내 마음은 새의 마음처럼 차닥거린다. 쥐가 직조공의 실을 쏠쏠 듯 근심이 나를 갉아먹는다.’ 이런 허약한 상태는 혼란스러운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던 베다 시대 후기의 특징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새로운 시대의 폭력과 무자비함에 당황햇다. 전통적인 가치들은 쓸모없게 되엇고 무너졌다. 익숙한 생활방식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새로 들어선 질서는 무시무시하고 낯설었다. 인도인들이 삶을 ‘두카’라고 느낀 것도 당연했다. 이 말은 보통 ‘괴로움’이라고 번역하지만 ‘불만족스럽다’, ‘결함이 잇다’, ‘뒤틀렸다’와 같은 말이 원뜻에 더 가깝다.” (저자의 ‘스스로 깨어난 자, 붓다’에서)

그리스의 비극은 암흑시대의 두카에서 태어난 예술이다. “비극은 고난을 무대에 올려놓았다. 비극은 관객에게 삶이 두카라는 것, 고통스럽고, 불만스럽고, 비틀린 것임을 잊도록 허락하지 않았다. 기원전 5세기의 비극작가들은 폴리스보다 고통받는 개인을 앞세우고, 그 사람의 고통을 분석하고 관객이 그에게 공감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축의 시대 영성의 핵심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리스인들은 이 두카를 그들 자신의 카르마의 결과로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외부의 신성한 원천에서 나온 것으로 경험한다. 필멸인 인간은 자신의 운명을 책임지지 않는다. 그들은 안티고네처럼 비극을 치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다해야 한다. 그러나 노력을 할만큼 한 뒤에는 당당하게 용기를 내어 운명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그리스 비극의 비관주의, 숙명론은 그리스인들이 암흑시대에 얻은 트라우마였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그 트라우마에서 결코 벗어나지 못햇다.

믿어지지 않을 만큼 부자였던 리디아의 왕 크로이소스는 아테네의 현자 솔론에게 자신의 보물창고를 보여주었다. 그러면 그 현자가 ‘부의 장대함’에 놀라워하리라 생각햇다. 그리고 크로이소스는 솔론에게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누구인지 알고 싶다고 말햇다. 그는 가장 행복한 사람이 바로 자신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솔론은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크로이소스가 아니라 한창 나이에 전사한 아테네의 어느 가장인 텔루스라고 답했다. 그 다음으로 행복한 사람도 역시 죽은 두 형제였다. 이 형제는 마치 한 쌍의 황소처럼 자신들을 마차에 매고 달려 어머니를 마을 축제에 모셔다 드리고 나서 쉬려고 곤히 잠든 사이에 세상을 떠났다.

크로이소스는 당연히 당혹했고 분노했다. ‘정말이지 어리석은 자’ 솔론을 멀리 쫓아버렸다.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오는 에피소드이다. “솔론의 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건장한 형제가 휴식을 취하다 곤히 단잠에 빠진 뒤 다시는 눈을 뜨지 못하게 된것, 그리고 인생의 한창때 아내와 자식들을 남기고 생을 마감한 젊은 가장, 대체 어떤 면에서 이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볼 수 잇는가?

크로이소스가 갈망했던 손에 잡히지 않는 ‘그것’을 명명하는 단어는 그리스어의 유(eu: 좋은)와 다이몬(daimon: 신, 영혼, 악마)의 합성어인 유다이모니아(eudaimonia)는 행운이란 뜻(좋은 신, 안내해주는 영혼을 옆에 가진다는 것은 행운이므로)을 내포하게 된다. 이 말은 신성의 개념도 띠는데 다이몬이 신들을 대신해서 보이지 않게 인간을 지켜보는 신들의 사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에서 불행한 데스데모나는 신들도 인간처럼 변덕을 부린다는 것에 놀란다. 그녀의 이름은 그리스어로 불행을 뜻하는 디스다이몬을 변형한 것이다. 다이몬은 악귀 또는 악령 즉 데몬의 어원이기도 하다. 그 모호하고 불길한 어떤 의미가 유다이몬에 녹아있다. 크로이소스가 물었을 때 솔론은 운이라는 것은 아무도 확신할 수 없는 것이라 말한 것이다.

‘크로이소스, 신이 질투도 하고 인간을 괴롭히기도 한다는 것을 알고 잇는 당신이 내게 인간사에 대해 물었고. 인생을 보자면 원치 않지만 봐야 할 것도 많고 겪고 싶지 않은 고통도 많이 겪게 되는 것이외다. 인간의 수명을 70년으로 봅시다. 윤년을 빼면 25,200일로 환산되니 대략 한 인간 앞에 놓이는 것은 26,250일이오. 이 수많은 날 중 어느 하루도 같은 날이 없소. 그러니 크로이소스, 인간이란 자신 앞에 닥치는 것에 전적으로 달려 있을 뿐이라오. 당신이 아주 대단한 부자이고 많은 사람을 거느린 왕이라는 건 의심의 여지없는 분명한 것이오. 허나, 당신이 내게 물은 그것은 당신이 생을 마감했다는 소식을 듣기 전까지는 내가 대답할 수 없는 문제라오.’

공포를 자아내는 천둥이나 일식, 월식, 공동체 전체를 휩쓸어버리는 주기적인 역병이나 기아, 어느 부락이든 어김없이 존재하는 끔찍하게 뒤틀린 외양을 가진 남녀들, 기껏 5년도 넘기지 못하고 죽는 아이들, 존재의 취약함을 부단히 상기시키는 피비린내 나는 전쟁들. 이런 세상에서 삶이란 뭔가 추구해가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견디어 내는 것이엇다. 성공적으로 잘 견디어낸 자만이 운좋고 축복받은 행복한 사람들로 간주될 수 있었다.” 솔론이 말한 텔루스는 “역병이나 약탈군에 파괴되지 않은 도시에 살면서 출산 중에 자손을 하나도 잃지 않은 아버지이자 할아버지이기도 했다ㅓ. 건강과 유복함을 누렸으며 죽어서도 “아테네 시민들은 그가 숨을 거둔 장소에 공식 장례식을 거행하는 영예를 안겨주는” 명예로운 삶을 살았다.

솔론이 말하는 것은 “진정 그들에게 의미있는 것은 그 마지막 바로 죽음이다. 인간의 행운, 축복이 이제는 더 이상 빼앗길 수 없는 것이 됐음을 마지막에 확신하게 된 것이다. 인생은 불확실성으로 좌우되는 것이므로 생을 마감하기 전까지는 그 누구도 행복하다고 볼 수 없다. 솔론이 떠난 후 얼마 되지 않아 크로이소스는 ‘악마의 엄청난 방문’에 맞닥드리며 비로소 솔론이 남긴 말을 깨닫는다. 아들이 이상한 죽음을 맞고 자신은 신탁을 잘못 이해해 전쟁의 재앙에 휩쓸리며 그의 왕국은 페르시아군에게 파괴당한다. 포로가 되어 장작더미 위에서 죽음을 맞이할 때 그는 ‘살아 잇는 자는 그 누구도 행복하지 않도다’라고 외치며 솔론의 이름을 세번 부른다.” (대린 맥마흔)

축의 시대는 두카에 대한 것이며 두카의 극복에 대한 것이었다. “축의 시대의 영적 혁명은 혼란, 이주, 정복을 배경으로 이루어졋다. 어떤 사회에 전쟁과 테러가 만연한다면 이것은 사람들이 하는 모든 일에 영향을 준다. 증오와 공포는 그들의 꿈, 관계, 욕망, 야망에 스며든다. 축의 시대 현자들은 이런 일이 자기 시대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것을 보고 이것을 극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자아의 더 깊고 덜 의식적인 수준에 뿌리를 둔 교육을 만들어냈다. 그들이 서로 다른 경로를 거쳤음에도 깊은 수준에서는 서로 비슷한 해결책을 제시햇다는 사실은 그들이 인간이 움직이는 방식에서 어떤 중요한 것을 실제로 발견했음을 보여준다. 그들의 프로그램은 이런 저런 방식으로 폭력의 원인인 자기 중심주의를 없애기 위해 고안된 것이었다.” 그 첫 프로그램은 인도에서 시작되었다.

인도의 축의 시대는 전례개혁과 함께 시작된다. “희생제는 인도 아리안 사회의 영적 핵심이었다.” 희생제의 의미는 지금도 농촌에 가면 고시레를 볼 수 잇는데 음식을 먹기 전 첫 숟가락의 음식을 조금 떠서 신에게 바치는 제의(祭儀)의 유물이다. 고시레와 마찬가지로 ‘아리아인은 신들이 세계의 질서를 유지하느라 소비한 에너지를 채워주려고 희생물을 바쳤다.” 고대인들은 사람이 살기 위해선 다른 생물의 죽음 즉 희생이 필요하듯이 신도 살기 위해 그런 희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희생제는 중국인들의 제의와 마찬가지로 하늘과 땅이 연결되었다는 원형론을 전제로 한다. 아리아인들이 초원지대에 살때는 그들의 평화로운 삶처럼 희생제 역시 평화로웠지만 아리아인들이 가축도둑으로 거듭나면서 희생제 역시 호전적이고 경쟁적이 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9세기 무렵이 되면 아리아인은 점차 약탈보다 농업 생산물에 더 의존하게 되었다. 정착인이 되면서 약탈의 악순환을 중단해야 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전통적 제의는 이런 파괴적 패턴을 정당화했을 뿐 아니라 신성한 의미를 부여하기까지 했다. 사제들은 희생 전례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폭력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는 관행은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희생제의 핵심인 희생 즉 죽음은 내면화되었다.

“후기 베다 시대로 오면서 아리아인은 브라만, 즉 최고의 실재라는 개념을 발전시켯다. 브라만은 데바가 아니라 신들보다 더 높고, 더 깊고, 더 기본적인 힘, 우주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모든 요소득을 한데 묶어 그것들이 파편이 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힘이었다. 브라만은 정의되거나 묘사될 수 없엇다 모든 것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브라만 밖으로 나와 그것을 객관적으로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제의에서는 경험할 수 있었다.”

희생제의 의미는 브라만을 느끼고 필멸자인 인간의 운명인 죽음을 극복한다는 의미로 확장된다. 그러나 그 자격을 얻으려면 “전리품을 들고 습격에서 안전하게 돌아”와야 했다. 그러나 제의 개혁가들은 죽음을 다른 사람들에게 투사하는 대신 자신의 내부로 받아들였다.” 희생 제물과 제물의 제공자가 하나가 되어 “세로운 제의에서 상징적으로 죽어 신들에게 바쳐졌으며” 희생제물처럼 “불멸을 경험했다. ‘그 자신이 희생물이 됨으로써 희생제를 바치는 사람은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후원자는 이제 영웅시대의 약탈자들이 만신전의 주인으로 모셨던 “인드라처럼 죽여서 불멸을 얻는 것이 아니라 제의화된 죽음을 겪었다. 그렇게 해서 적어도 의식이 진해오디는 동안만이라도 시간을 초월한 신들의 세계에 들어가야 했다. 그는 이렇게 선포할 수 있다. ‘나는 하늘을, 신들을 얻엇다. 나는 불멸이 되었다.’”

여기서 개혁은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발전한다. 필멸자가 불멸자가 된다는 것은 희생제를 바치는 사람은 자신을 바치는 것이며 자신을 바치는 것으로 브라만과 하나가 되어 “그의 자아(아트만)을 재구성한다”는 의미가 된다. 제의의 의미는 다음 세상에 길을 잃지 않기 위해 생전에 ‘신성한 자아’를 알기 위한 것으로 바뀐다.

“전례의 가장 중요한 결과는 내면 세계의 발견”이 되었다. 사제들은 “희생제를 드리는 사람의 정신적 상태를 강조하여 그의 관심을 내부로 이끌었다 고대에는 종교가 보통 바깥을 외부의 현실을 가리켰다. 과거의 제의들은 신에게 초점을 맞추었으며 그들의 목표는 가축, 부, 지위 등 물질적 이익을 얻는 것이엇다. 자의식적 반성은 거의 또는 전혀 없었다. 제의 개혁자들은 선구자였다. 아트만이란 말은 점차 한 인간을 독특하게 만드는 그 사람의 본질적이고 영원한 핵심을 가리키게 되었다.”

내적 자아의 발견은 제의를 불필요하게 만들었다. “혼자서 명상을 하는 것이 외적인 제의만큼이나 효과가 있다. 제의 지식을 아는 자는 제의에 참가하지 않고도 하늘에 이르는 길을 찾을 수 있다. 고행자도 혼자서 적어도 자신의 신성한 아트만은 창조할 수 있을 것 아닌가? 따라서 이 순간부터 제사를 드리는 사람은 신과 동급이 되었으며 신들을 섬길 필요가 없었다. 인도에서 축의 시대가 열렷다. 그 이후로 인도의 영적인 탐구는 외적인 신이 아니라 영원한 자아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그러나 인도에는 이 득의양한 자기만족이 (영웅들의) 괴물 같은 자기중심주의로 변하지 않도록 해줄 강력한 윤리적 의무가 여전히 결여되어 있었다.”

축의 시대의 촉매는 폭력과 그 결과인 무질서엿다. 축의 시대 현자들은 질서를 무너트리는 폭력은 자기중심주의에서 나온다고 보았고 질서를 회복하려면 작은 나를 버리고(초월해) 더 큰 나를 깨달아야 된다는 케노시스가 축의 시대의 핵심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전사에겐 케노시스(또는 초월)란 “전사가 자아의 경계 ‘밖으로 나가는’ 유일한 길은 살해의 엑스타시스를 경험할 때뿐이다. 전사는 전쟁의 신 아레스에게 사로잡히면 생명의 엄청난 풀요를 경험하며 신과 같은 상태에 이르고 아르스테이아 속에서 자신을 잃고 앞에 있는 모든 것을 도륙한다. 따라서 전쟁은 사람에 의미를 줄 수 잇는 유일한 활동이다.”

전사들의 라그나로크를 끝내려면 케노시스가 필요햇고 축의 시대는 케노시스의 방법론에 관한 것이엇다고 저자는 말한다. 인도에서 그 방법론은 자아의 발견이엇다면 중국에선 윤리의 탐구와 함께 시작되었다.

기원전 8세기, 중국의 천자는 더 이상 도덕(도의 힘)을 가진 자가 아니었다. “종교도 다시 생각해야 햇다. 왕은 과거의 전례에서 핵심이었다. 그러나 이제 무력한 꼭두각시가 되고 말았는데 어떻게 그의 힘을 계속 숭배할 수 있을까?” 왕의 힘은 정치적인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우주적인 문제엿다. 우주의 질서를 떠받치는 힘을 잃었을 때 질서는 어떻게 유지될 수 있을까? 중국에서도 그 해답은 제의전문가들이 내놓았다. “제의 전문가(儒)들은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귀족 생활의 원리를 정리햇다. 군자는 봉신들의 모임에서 자신이 어디에 있어야 할지 어떻게 서서 사람들과 어떻게 인사를 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알아야 햇다. 언제 이야기를 할지 언제 입을 다물어야 할지도 알아야 했다. 그때그때 정확한 옷을 입고 적절한 몸짓을 하고 적당한 얼굴 표정을 지어야 했다. 이 모든 것에는 종교적 가치가 있었다. 주나 초기에 왕실의 제의는 자연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고안되었었다. 이제 군주제가 쇠퇴하자 유는 대평원 지대에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생활 전체를 정교한 제의 수행과 다름없게 바꾸어놓았다.

제의 개혁은 폭넓은 의미를 지니는 원칙에 기초를 두었다. 예는 전례를 실행에 옮기는 사람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이런 의식에서 관심을 쏟는 자의 신성함도 높여준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주술적인 개념이지만 깊은 심리적 통찰에 기초를 둔 것이엇다. 일관되게 최고의 존경심으로 사람을 대하면 이 사람은 자신이 숭배를 받을 자격이 잇다고 느끼게 된다. 전례는 군자의 지위와 위엄을 고양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그러나 제대로 실행에 옮기기만 하면 조정에서 자기중심주의를 몰아낼 수도 있었다. 봉건제는 모두가 자기 자리를 지켜야 유지되었다. 봉신이 너무 힘이 강해지면 아슬아슬하게 유지되는 국가의 평형을 흔들 수도 잇었다. 예는 폭력과 교만을 제어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전례는 제방이 홍수를 방지하듯이 무질서를 방지한다.’”

“제의화된 새로운 절제는 점차 중원의 제후국들에 뿌리를 내렸다. 비록 긴장된 시대엿지만 이러한 절제는 예로 표현되는 중국의 이상에 여전히 충성하는 이 오래된 읍성들이 평화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엇다. 제후국들 사이의 전쟁에도 불구하고 폭력을 일정한 테두리 안에 가두어둘 수 있었다. 기원전 7세기가 되자 제후국의 삶은 예로서 세밀하게 규제되어 사회, 정치, 군대 생활이 주나라 조정의 정교한 제의적 의식을 닮아가기 시작했다.” 중국에서 제의 개혁의 “목적은 절제와 자제로 우아한 삶을 사는 군자들의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엇다.”

그러나 예는 시대를 이길 수 없었다. 예의 내용은 조화이다. 조화는 서로를 존중하는데서 나온다. 그러나 “이런 전례를 따르는 것이 사실 케노시스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귀족의 제의화된 생활 양식은 귀족들에게 겉으로는 서로를 존중하며 겸손하게 행동하도록 가르쳤지만 보통의 경우 예의 특징은 자기 이익이엇다. 모든 것이 위신의 문제였다. 귀족은 특권과 명예를 선망했으며 예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위를 높엿다.” 결굴 예는 형식만 남고 그 내용은 그 시대의 정신인 자기이익을 담게 되었다. 유가식으로 말하자면 質이 文을 압도했고 무질서는 피할 수 없었다.

그리고 그 형식마저도 초나라와 같은 변방의 無禮한 나라들이 무대에 오르면서 무너져 내린다. 초나라 뿐 아니라 “다른 큰 나라들도 전통의 속박을 벗어던지기 시작했다.” 이제 절제와 양보의 미덕으로 구속했던 전쟁은 달라졌다. “적을 완전히 없애는 한이 있어도 더 많은 영토를 정복하고 확장하려 했다. 전쟁은 과거의 위엄있는 출정과는 사뭇 달라졌다. 제의에 대한 결멸이 확산되었다. 절제의 기풍도 희미해졋다.

이것은 단순한 사회적, 정치적 위기가 아니엇다. 하늘과 땅은 상호의존적이기에 천도를 이렇게 경멸하다가는 우주 전체가 위험에 빠질 수 있겠다고 걱정했다. 노나라의 제의 전문가들은 새로운 탐욕, 폭력, 물질주의를 신성한 제의에 대한 신성모독이라 보앗다.

공자는 “제의의 깊은 의미를 이해했으며 그것을 제대로 해석하면 중국 사람들을 천도로 돌이킬 수 잇다고 확신했다.” 중국의 축의 시대는 공자의 그 확신과 함께 시작되엇다.

“이제 예는 귀족의 탐욕과 허세를 제어하지 못했다. 하늘은 무관심해 보엿다. 공자는 축의 시대의 다른 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시대로부터 깊은 소외감을 느겼다. 그는 오랫동안 제후국의 행동을 관장했던 전통적인 제의를 무시한 것이 당대 중국에 만연한 무질서의 뿌리 깊은 원인이라 확신햇다. 제후들은 도를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사치를 쫓고 자신의 이기적인 야심을 채우느라 바밨다. 낡은 세계는 무너져 가는데 과거의 가치를 대신할 새로운 가치는 나타나지 않았다. 공자의 관점에서 볼 때 가장 좋은 해법은 과거에 잘 운용되었던 전통으로 돌아가는 것이엇다.”

그러나 공자가 해석한 전통은 근본적으로 달라진 것이엇다. “과거의 종교는 하늘에 초점을 맞추엇다. 사람들은 그저 신과 영혼의 은혜를 얻으려고 의생제를 거행햇다 그러나 공자는 이 세상에 집중했다. 사실 그는 하늘에 관해 전혀 말하지 않는 쪽을 더 좋아햇다. 공자는 중국의 종교를 땅으로 끌어내렸다. 사라믈은 내세에 관심을 두는 대신 여기 아래에서 선해져야 했다. 그들의 궁극적 관심은 하늘이 아니라 도였다. 군자의 과제는 그길을 조심스럽게 걸어가는 것이었으며 그 자체에 절대적 가치가 있었다. 그렇게 하면 어떤 장소나 사람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 초월적인 선의 상태에 이르렀다. 제의는 그들에게 올바른 방향을 안내해줄 지도엿다.

공자는 인도의 현자들처럼 ‘에고 원리’를 인간이 편협함과 잔혹의 원천으로 보앗다. 사람들이 삶의 매순간 이기심을 버리고 예의 이타적 요구에 복종한다면 덕의 아름다움에 의해 변할 것읻. 그들은 군자. 즉 우월한 인간이라는 ‘원형’을 따를 것이다. 전례는 일상적인 행동을 다른 수준으로 올려놓았다. 공자는 덕이 이타주의와 분리될 수 없다는 점을 처음으로 분명히 밝힌 사람이다. 공자는 (예의 근본정신인) 황금율을 처음 공포했다. 공자에게 그것은 초월적 가치엿다. 예를 완벽하게 습득하면 그가 仁이라 부른 것을 얻는 길로 나아갈 수 있었다.”

공자 이전 제의 개혁자들이 예의 형식만 구할 수 잇었고 내용은 시대의 힘 앞에 무너졌다면 공자는 시대에 맞는 내용을 제시했다. “공자는 인이 도의 힘(도덕)이며 성군들은 이것 때문에 무력 없이 통치할 수 있었다고 믿엇다 인은 마법적 효력이 아니라 정신적 효력으로 간주해야 하며 폭력이나 전쟁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잇다.

공자는 건종적 관습과 전례의 세목에 매달리는 소심한 보수주의자가 아니엇다. 그의 전망은 혁명적이엇다. 그는 관례적인 예에 새로운 해석을 부여했다. 이것은 귀족의 존엄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자기를 잊는 실천을 습관으로 만들어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해 고안한 것이었다. 공자는 제의에서 자기중심주의를 밀어내 제의의 영적이고 도덕적인 심오한 잠재력을 끄집어냈다. 공자는 굴종적인 순응을 장려하지 않았다. 각 상황이 독특하다는 것을 알고 스스로 판단해야 하기에 예는 상상력과 지성을 요구했다. 공자는 또 새로운 평등주의를 도입했다. 전에는 오직 귀족만 예를 따랐다. 이제 공자는 누구라도 전례를 실행하면 안회처럼 미천한 사람도 군자가 될 수 잇다고 주장햇다. 공자는 법과 질서 이상의 것을 목표로 삼앗다. 그는 인간의 존엄함, 고귀함, 신성함을 원했으며 이것은 인이란 덕을 얻으려고 매일 노력해야만 얻을 수 있음을 알앗다. 실로 대담한 계획이엇다.

인은 얻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이다. 인은 엄격하지만 환희에 찬 생활방식이다. 그것은 그 자체로 사람들이 얻고자 하는 초월이다. 동정적이고 공감하는 삶을 살면 우리 자신을 넘어 다른 영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안회는 예와 인이라는 지속적인 규율 덕분에 성스러운 실재를 잠깐 보았다. 이 실제는 내재하는 동시에 초월하는 것이며 안에서 어렴풋하게 나타나는 동시에 함께 벗할 수 잇는 존재이며 ‘내 위에 우뚝 서 잇는’ 것이다.

공자는 삼가는 태도로 자신이 실패자라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중국의 영성에 지울 수 없는 자취를 남겼다.”


인도의 축의 시대의 다음 단계를 규정한 사람은 브라민 사제가 아니라 출가자엿다. 누가 진정한 브라민인가? 외적인 제의를 거행하는 사제인가, 아니면 어디를 가나 신성한 불(아트만)을 운반하는 출가자인가? 출가자는 축의 시대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종교의 내면화를 처음 성취한 사람들이다. 제의전문가들은 희생제가 신성하고 영원한 자아를 창조한다고 주장했다. 희생제가 곧 아트만이엇다. 제의에는 브라만의 힘이 들어있다. 출가자는 여기서 더 나아갔다. 출가자는 아트만을 발판으로 우주를 통합하는 힘에 다가갈 수 있었다.” 그리고 우파니샤드는 이렇게 말한다. “아트만은 브라만과 동일하다. 현자가 자기 존재의 내적 핵심을 발견할 수 잇다면 자동적으로 궁극적 실재로 들어가 필멸의 공포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아트만은 이제 누구에게나 있는 당연한 것이 되었다. “아트만은 이제 단순히 인간 존재에 생명을 주는 숨이 아니라 들이마시고 내쉬는 그 자체이기도 햇다. 깨달은 사람은 자기 내부에서 세상을 초월하여 위로 올라갈 수단을 발견한다. 그들은 단지 주술적 제의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본성의 신비를 아는 과정에서 초월을 경험한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아트만은 희생제를 통해 구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모든 행위와 경험의 규정을 받는” 것이 된다. “인간이 어떻게 되는가 하는 것은 그가 행동하는 방식과 처신하는 방식에 달려 있다. 행동이 좋으면 좋게 변할 것이다. 행동이 나쁘면 나쁘게 변할 것이다. 바라지 않는 사람, 욕망이 없고 욕망으로부터 자유롭고 욕망이 이미 충족되어 잇고 유일한 욕망이 자신의 자아인 사람은 그 핵심적 기능들이 떠나지 않는다. 그가 브라만이며 그는 브라만에게 간다.” 다시 말해 두번 다시 두카의 삶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자신이 온 우주를 포함한 브라만과 동일하다는 것을 깨달으면 현재의 이 제한된 존재에 매달려서 얻을 것이 하나도 없음을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처음으로 ‘행동(카르마)’의 교의를 듣게 된다. 이제 카르마(業)는 인도 영성에서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한다. 이제 신들은 배경으로 물러나 희미해졋다. 초기의 ‘우파니샤드’에서 브라만의 인격화된 펴현인 프라자파티는 이제 평범한 구루가 되어 제자들을 가르쳤다. 제자는 프라자파티를 지고의 실체로 존중하지 않으면서 그들 자신의 아트만을 구해야 했다. 데바와 아수라도 이 중요한 진리를 배워야 했으며 그래서 인간과 마찬가지로 내부로 향하는 훈련을 열심히 했다.” 여기에서 다시 인도의 축의 시대는 한 단계 도약한다.

“인도에서는 우파니샤드와 오나전히 다르고 베다 경전에도 거의 눈길을 돌리지 않는 새로운 철학이 나타났다. 이 철학은 상키아(분별)라 부른다. 인도에서 진실은 객관적 가치가 아니라 치유적 가치를 기준으로 평가된다. 삶의 고통과 좌절을 넘어서려면 에고가 진짜 자아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강렬한 인식 행위를 통해 이 구원의 지식에 이르면 우리는 모크샤(해방)를 달성하게 된다. 상키아의 관점에서 희생제는 소용이 없다. 신들 또한 자연에 갇혀 있으니 그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은 쓸모없다. 제의하는 수단으로 하늘에서 살아남을 아트만을 구축하는 것도 역효과다. 에고-자아는 죽어야 하기 때문이다. 오직 우리의 가장 진정한 실재에 눈을 뜨는 특별한 앎만이 영원한 해방을 가져온다. 상키아는 사실 (원형론이란) 영속철학의 전통적이고 전형적인 관점이 발전한 것이다. 사람들으 늘 천상의 모범에 몰입하기를 갈망해왔으나 상키아는 그것이 외적 실재가 아니라 내부에 존재한다고 말한다. 신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참된 자아에 눈을 떠야 절대적인 것을 발견한다는 이야기다. 원형은 머나먼 신화의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 내부에 있다.”

상키아는 두가지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하나는 삶은 두카라는 인식이다. 두번째는 요가이다. “요가는 에어로빅 운동이 아니었다. 사람들이 긴장을 풀거나 과도한 불안을 누르거나 자기 삶에 편안함을 느끼도록 돕지도 않았다. 오히려 반대다. 요가는 에고에 대한 체계적인 공격이엇다. 오랜 시간에 걸쳐 수행자에게 정상적인 의식과 더불어 그 의식의 잘못과 미망까지 없애버리는 가혹한 수련법이엇다. 기원전 6세기에 이르면 요가는 인도의 영적 풍경 안에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요가는 인간이 되는 다른 방식에 입문하는 것이었으며 이것은 근본적인 정신적 변화를 의미했다.” 자기 안의 원형을 찾는 방법론인 요가는 “원형적 모범의 모방이라는 전통을 축의 시대 방식으로 새롭게 변형한 것이었다.”


- 접기
Lulu 2011-08-30 공감(23) 댓글(0)
Thanks to

공감
 
믿음보다 중요한 행동과 실천, 그것이 종교다. 새창으로 보기 구매
한 동안 회사를 옮기고 정신이 없어서 책장을 넘길 여유가 없었다. 하지만 이 번 주말에 축구 보고 실컷 자고 일어나니 오랜만에 머리가 개운해 져서 방 구석에 처박혀 있던 [축의 시대]를 꺼내 끝까지 다 읽을 수 있었다. 얼마만에 느껴보는 여유였는지... 행복했다.



먼저 이 책을 처음 봤을 때 느낌은 “이 걸 언제 다 읽나” 였는 데 막상 다 읽고 나서 드는 생각은 “이렇게 무거운 주제에 이 정도 속도감이라니……”라는 감탄과 놀라움 이였다. [축의 시대]는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세계의 주요 종교와 철학에 대한 인문학적 비평이다. 국가별로 살펴보자면 그리스에서는 제우스, 아폴론으로 대표되는 신화의 세계에서 소크라테스, 플라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의 세계가 완성되고 있었고, 중국은 공자, 묵자, 노자, 장자의 윤리적/정치적 성찰의 시대였으며 이스라엘이 유일신 창조자 야훼에 대한 믿음에 기초한 엘리야, 예레미야, 이사야의 예언과 율법의 시대였다면 인도는 우파니샤드, 자이나교, 싯타르타 (붓다)등으로 대표되는 인간 내부의 깨달음에 다다르고자 하는 고행의 시대였다. 이를 종교로 분류해 보자면 중국의 유교와 도교, 인도의 흰두교와 불교, 이스라엘의 유대교, 그리고 그리스의 철학적 합리주의로 요약할 수 있다.



저자는 인류사의 철학적, 종교적 유산의 탄생은 모두 다르지만 축의 시대의 종교들이 공유하는 가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첫째, 자기 중심주의의 한계에서 벗어나기.



둘째, 종교는 곧 황금률이다. 쉽게 말하자면 내가 하기 싫은 것은 남도 하기 싫은 법이다.



셋째, 종교는 사람들이 초월해야 할 대상 – 탐욕, 자기 중심주의, 증오, 폭력 등등 – 에 집중했다.



넷째, 종교적 가르침은 행동 강령이다. 믿음은 부차적인 문제이다. – 물론 유일신을 믿는 유대교는 예외일 수 있지만 유대교가 율법의 종교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마지막으로, 자비가 제일 중요하다. 자비는 타자에 대한 관심임 동시에 존중이며 배려이다.



그럼 저자가 궁극적으로 독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이었을까? 저자는 현대의 종교들이 축의 시대의 종교가 보여주는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과 실천적 행동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편협한 자기 중심적 종교주의의 배타성으로 인한 인류의 피해는 정도를 벗어나고 한 참 벗어 났다는 게 종교 비평가인 저자의 정확한 진단이며 이런 동기로 이 책을 쓰지 않았나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이 책을 한번 읽고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반드시 이 책은 서재에 꽂아두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보는 사전이나 백과사전으로 이용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오랜만에 읽어보는 방대한 역사적 지식을 풍부하고, 명쾌하고, 이해하기 쉽게 풀어간 비범한 책이다. 올 여름에 강력하게 추천하는 인문학서이다.







- 접기
junghoi92 2012-08-13 공감(5) 댓글(0)
Thanks to

공감
 
축의 시대 / 카렌 암스트롱 새창으로 보기 구매
'축의 시대'란 무수한 폭력으로 집단을 유지, 발전시켜 나가던 고래의 관습을 타개하기 위해 기원전 400년을 전후로 시작된, 영적인 진리에 대한 갈망의 시기를 가리킨다.

그 흐름의 중심에 있는 선구자들이 바로 소크라테스와 공자, 붓다와 사제 P(이 사랑의 가르침을 완성한 이가 바로 예수)와 같은 현자들이었다.

이들은 모두 제각각의 조건 아래에서 조금씩 다른 사유 과정을 거쳤지만 한가지 공통된 황금률에 도달했으니 그것이 바로 '자신을 귀하게 여기듯이 타인을 대하라'는 명제이다.

이 사랑의 공동체를 완성하기 위해서 소크라테스는 그치지 않는 이성의 물음을 강조했고, 공자는 고대의 이상적인 주공의 예를 되살려 다듬었다.

붓다는 스스로 깨달음의 반열에 올라 중생에게 길을 열어주었으며, 예수는 메시아라는 원천적인 징표 아래 고달픈 백성의 마음을 그러모았다.

많은 시간이 흘러 종교의 교리가 우상화되고 서로가 절대적 우위성을 주장하게 된 지금, '축의 시대'가 지향한 사랑의 가치는 잊혀져가고 있다.

아마도 그 이유는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것이 '말씀'이 아니라 '실천'이라는 사실을 자주 잊어버리기 때문이리라.

너희가 자기를 사랑하는 이들만 사랑한다면 무슨 상을 받겠느냐? 그것은 세리들도 하지 않느냐? 그리고 너희가 자기 형제들에게만 인사한다면, 너희가 남보다 잘하는 것이 무엇이겠느냐? 그런 것은 다른 민족 사람들도 하지 않느냐? (마태복음 5:46~47)
- 접기
nana35 2013-01-23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전쟁으로 찢긴 고통의 현실에 직면했던 고대의 현자들이 제시한 실천 대응 방안은... 새창으로 보기 구매


DSC00153







이 책의 원제는 The Great Transformation 입니다. 하지만 번역 제목이 더 인상적입니다.  '축의 시대'.



저자는 머릿말에서 우리가 이 시대에서 겪고 있는 많은 난관 뒤에는 더 깊은 정신적 위기가 자리잡고 있다고 진단합니다.  '전례 없는 규모로 폭력이 분출했던 20세기'를 겪으며 저자가 목격한 바는 '우리가 서로 해치고 상처를 내는 능력은 경제적, 과학적 진보에 뒤처지지 않고 함께 발전해 왔다는 것'과 '인간 존중의 마음을 키우도록 도와주어야 할 종교조차 종종 이 시대의 폭력과 절망을 반영 하는 듯하다'는 점이었습니다.



이 시대에 대한 이런 진단을 내린 뒤에 저자가 눈을 돌린 것은 과거의 역사 중에서 특히 '축의 시대'입니다. 저자는 카를 야스퍼스를 인용하며, '축의 시대'를 정의합니다. 기원전 900년 경부터 기원전 200년 사이에 세계의 네 지역에서 이후 계속 해서 인류의 정신의 자양분이 될 위대한 전통이 탄생했다고 하며 이 시기가 인류의 정신적 발전에서 중심축을 이룬다 하여 '축의 시대'라 한다고 합니다.



유목 문화에서 차차 농경 문화로 옮겨갈 무렵, 빠르게 진행된 도시화, 차곡차곡 증가하는 부와 늘어가는 인구는 그 이전 시대보다 더한 폭력의 증가를 가져왔습니다. 전쟁과 대규모 살상이라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던 많은 사람들은 폭력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질서를 세우고 유지하기 위해, 폭력이 난무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 그 이전까지 막연하게 가져왔던 종교적, 문화적, 정치적 신념들을 재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에서는 주나라의 봉건제에 기반한 통치질서가 세워지기까지, 그리고 그 봉건제가 다시 무너지고 전국 시대를 거쳐 진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입니다. 이 시대는 제자백가로 알려진 다양한 사상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전하던 시대이기도 합니다. 주나라의 예전을 발전적으로 재해석해서 다시 세우려는 공자로부터 시작해서 묵자, 장자, 노자, 맹자 등 다양한 사상들이 발전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국가 체제를 효율적으로 정립하게 만든 법가의 정치철학이 진으로 하여금 천하를 통일하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리스에서는 도시 국가인 폴리스들끼리의 국지적인 경쟁적 발전 단계에서 페르시아와의 전쟁이라는 국제적인 격변에 휩쓸렸던 사람들에게 삶의 의미를 돌아보게 하면서 자신을 둘러싼 자연환경을 이해하게 하는 문화가 발달했습니다. 에우리피데스 등으로 대표되는 그리스의 비극은 고난에 직면한 등장인물에 대한 심리 묘사를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깊은 공감의 경지에 이르게 하였고, 소크라테스에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까지 이어지는 합리적, 철학적 사고는 그리스가 페르시아 침략이라는 전대 미문의 고난에 접했을 때, 가장 합리적인 대응방안을 빠르고 신속하게 채택하게 함으로써 위기를 모면하게 하였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변방인 유다에서 야훼 신앙은 앗시리아와 바빌론의 침공으로 인한 포로기를 겪으며 새롭게 재해석되고 발전했다고 합니다.



인도에서는 하라파 문명과 마우리아 왕조를 겪으면서 자신을 깊게 성찰하는 전통이 세워졌고, 고타마 싯다르타가 등장하여, 불교를 일구어 냈습니다.



이러한 각 지역에서의 사상적 발전은 도덕성, 자비, 비폭력에의 추구를 공통적인 강조점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축의 시대의 희망이고, 그 시대 영성의 특징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일들의 배경과 그 전개를 10개장에 걸쳐서 설명합니다. 1~3장까지는 축의 시대의 배경이 되는 기원전 1600년경 부터 700년경까지를 다루고, 4~9장까지는 축의 시대인 기원전 700년경부터 220년경까지를 다룹니다.



마지막 10장에서는 '축의 시대의 귀환'이라는 이름으로 기원전 200년경 이후의 시대에 축의 시대의 유산이 제국의 성립, 또는 해체라는 새로운 변화의 상황에서 어떻게 재발견되었는지를 얘기합니다.



중국에서는 한 제국이 성립되고 통치철학으로서의 장점을 가진 유가가 중심적인 사상이 되었지만, 다른 사상들도 폭넓게 수용되었습니다.



마우리아 왕조가 해체된 인도의 불교 전통에서는 새로운 불교 영웅 보디사트바(보살)가 탄생했습니다. 그는 깨달음을 얻어 니르바나에 도달할 수 있음에도, 자신의 행복을 희생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주려고 남아 있는 사람입니다. 그들은 '세상의 피난처, 세상의 빛, 세상의 구원 수단의 안내자'가 되기로 하려한 사람들로 축의 시대의 오래된 이상을 새로운 형식으로 번역한 존재였다 합니다.



유대교는 로마의 지배라는 변화된 상황에서 새롭게 개화하였다 합니다. 바리사이파는 유대교의 축의 시대에서 가장 포용력있고 진보적인 영성을 발전시켰습니다. 당시의 대표적인 랍비 힐렐은 토라 전체를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요약했습니다. "당신 자신에게 가증스러운 일을 다른 사람에게 하지 마시오. 그게 토라의 전부이고, 나머지는 그 주석일 뿐이오. 가서 그것을 공부하시오." 당시 유대교에서 토라의 본질은 이러한 황금률이었습니다.



유대교를 배경으로 한 기독교 역시 이타적인 방식으로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것을 중요한 순종의 규범으로 삼았습니다.  사도 바울에게는 자기 비움과 사랑이 기독교의 핵심이었습니다. '사랑은 자만심으로 부풀어 올라 자기에 대한 과장된 관념에 매달리는 것이 아니라, 텅 빈 것이고, 자기를 잊는 것이고, 끝없이 타인을 존중하는 것'이었습니다.



저자는 축의 시대의 마지막 개화가 서기 7세기의 아라비아에서 이슬람교의 탄생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이슬람의 전통은 다른 종교에 대해서 관용적 태도를 강조했으나 오늘날의 모습은 그러한 전통과 멀어진 모습도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기원전 200년 이후의 주요한 흐름으로 유가를 중심으로 한 사상체계의 안정적 정립, 불교의 갱신, 랍비 유대교로의 변화,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탄생을 열거하면서 축의 시대가 새롭게 귀환했다고 합니다.



저자는 10장의 마지막 소챕터에서 오늘의 '이 위험한 시대에 우리에게는 새로운 비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우리는 큰 공포와 고통의 시기에 살고 있다. 축의 시대는 인간 삶의 피할 수 없는 사실인 고난과 직면하라고 가르쳤다. 우리 자신의 고통을 인정할 때에만 타인과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축의 시대 현자들이라면, 우리의 고통이 곪아서 폭력, 불관용, 증오로 터지도록 놓아두는 대신, 그것을 건설적으로 이용하려는 영웅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할 것이다.'



유다의 예레미야는 추방당한 유대인들에게 원한에 휘둘리지 말고 그들을 위해서 기도하라고 했으며, 그리스인은 불과 몇 년 전에 그들의 도시를 유린했던 페르시아인들의 고통에 공감하는비극 서사를 만들어냈다.



"우리는 축의 시대 현자들이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상황에서 자비의 윤리를 발전시켰다는 사실을 우리 자신에게 늘 일깨워야 한다. 그들은 상아탑에서 명상을 한 것이 아니라, 전쟁으로 찢긴 무시무시한 사회, 오랜 가치들이 사라져 가는 사회에 살았다. 그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공허와 심연을 의식했다. 이 현자들은 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람들이 아니라 실용적인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공감이 단지 유익하게 들리는 이야기일 뿐 아니라, 실제로 효과가 있다고 확신했다. 자비와 모든 이에 대한 관심은 최선의 정책이었다. 우리는 그들의 통찰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들은 전문가들이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시대는 과학과 기술의 천재들의 시대지만, 축의 시대는 영적 천재들의 시대였습니다. 그들은 오늘날의 과학자들이 암 치료법을 찾아내는데 쏟아붓는 것 만큼이나 많은 창조적 에너지를 인류의 영적 불안의 치료법을 찾는데 쏟아 부었습니다.



황금률은 축의 시대에 새롭게 발견된 '개인'들에게 '내가 나 자신을 귀하게 여기듯이 타인도 자기 자신을 귀하게 여긴다는 사실'을 일깨웠습니다. 저자는 우리의 과제가 이런 통찰을 발젼시켜, 여기에 전지구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라 합니다.



오늘날 우리는 비극적 세계에 살고 있으며, 그리스인이 이미 알고 있었듯이, 여기에는 간단한 답이 있을 수 없다고 합니다. 그리스 비극이라는 장르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관점에서 사물을 볼 것을 요구합니다. 종교가 우리의 부서진 세계에 빛을 가져오게 하려면, 맹자가 주장했듯이, 우리는 사라진 마음, 우리의 모든 전통의 핵심에 놓여 있는 자비의 정신을 찾으러 나서야 한다고 하며 책을 마무리 합니다.



책을 읽으며 저자의 방대한 지식과 각 종교에 대한 깊은 이해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각 지역에서의 역사를 시대별로 지역별로 나누어 기술한다기 보다, 같은 시대에 각 지역에서 어떤 흐름들이 있었는지를 차례차례 조망하는 방식의 기술이어서 그 시대 자체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네 개 지역에서의 수백년에 걸친 영적, 종교적 통찰의 결과가 결국 '네 자신이 받고 싶은 대로 남을 대접하라'는 황금률로 수렴된다는 것은 놀랍고도 감동적인 결론이었습니다.



제레미 리프킨은 우리가 사는 시대가 '공감의 시대'가 되어갈 거라고 얘기합니다.  SNS의 도래와 같은 기술적, 문화적 변화는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를 더 잘알게 돕게 되므로 '공감'은 이전 시대 보다 조금 더 쉬어질거라 합니다.



반면에 저성장 시대를 거치면서 사람들끼리 더욱 각박해져가는 모습은 이미 전세계적인 현상이 되었습니다. 난민에 대해서 보다 더 엄격해지고, 이민자들에 대한 적대감이 증가한 오늘의 현실은 '공감'과는 거리가 멀어지고 있다고도 보입니다.



오늘 우리의 삶에 남겨진 선택지는 두가지 극단의 사이 어딘가에 있습니다.



이 책아 우리에게 주는 통찰은 축의 시대가 남긴 정신적, 영적 경험과 지식의 기반 위에서 공감의 실천을 하는 것이 결국 우리 시대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희망인 것 같습니다.







- 접기
하얀소망 2018-12-21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종교 탄생과 철학의 시작 새창으로 보기 구매
카렌 암스트롱 <축의 시대>
ebs 무슨 독립서점 안내하는 프로에 고미숙쌤이 나와 추천해서 읽었다 바로 후회했다. 너무 두껍고 방대해서...ㅎ

‘대략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 사이에 세계의 네 지역에서 이후 계속해서 인류의 정신에 자양분이 될 위대한 전통이 탄생했다. 중국의 유교와 도교,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 이스라엘의 유일신교, 그리스의 철학적 합리주의가 그것이다.‘

이 시기를 독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가 ‘축의 시대‘라 명칭했다고. 그리고 머리말 제목처럼 우리는 축의 시대의 통찰을 넘어선 적이 없고. 늘 근원적 질문의 철학적 해답을 찾을땐 이 축의 시대의 통찰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읽어보니 어렵지 않고 쉽게 읽히고 역사책이나 인문서를 읽을때마다 언급되는 조로아스터교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는데 그 발생 과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흥미롭게 시작하지만 역시나 종교 철학의 방대한 시대 역사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따라가며 읽기가 결코 쉽지 않은 책이다. 중간쯤 읽으며 이번 첫 독서는 그냥 전체적 흐름을 익히는 수준에서 만족하자고 스스로 저절로 다짐하게 되더라는.ㅎ 두세번은 읽어야 할 책.
- 접기
느린산책 2020-03-02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Beginning of Our Religious Traditions by K Armstrong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Beginning of Our Religious Traditions 
by Karen Armstrong | Goodreads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Beginning of Our Religious Traditions

by
Karen Armstrong
4.03 · Rating details · 3,431 ratings · 257 reviews
In the ninth century BCE, the peoples of four distinct regions of the civilized world created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that have continued to nourish humanity to the present day: Confucianism and Daoism in China, Hinduism and Buddhism in India, monotheism in Israel, and philosophical rationalism in Greece. Later generations further developed these initial insights, but we have never grown beyond them. Rabbinic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for example, were all secondary flowerings of the original Israelite vision. Now, in The Great Transformation, Karen Armstrong reveals how the sages of this pivotal "Axial Age" can speak clearly and helpfully to the violence and desperation that we experience in our own times.

Armstrong traces the development of the Axial Age chronologically, examining the contributions of such figures as the Buddha, Socrates, Confucius, Jeremiah, Ezekiel, the mystics of the Upanishads, Mencius, and Euripides. All of the Axial Age faiths began in principled and visceral recoil from the unprecedented violence of their time. Despite some differences of emphasis, there was a remarkable consensus in their call for an abandonment of selfishness and a spirituality of compassion. With regard to dealing with fear, despair, hatred, rage, and violence, the Axial sages gave their people and give us, Armstrong says, two important pieces of advice: first there must be personal responsibility and self-criticism, and it must be followed by practical, effective action.

In her introduction and concluding chapter, Armstrong urges us to consider how these spiritualities challenge the way we are religious today. In our various institutions, we sometimes seem to be attempting to create exactly the kind of religion that Axial sages and prophets had hoped to eliminate. We often equate faith with doctrinal conformity, but the traditions of the Axial Age were not about dogma. All insisted on the primacy of compassion even in the midst of suffering. In each Axial Age case, a disciplined revulsion from violence and hatred proved to be the major catalyst of spiritual change. (less)




Jul 22, 2011William2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uknonfiction21-cehistoryreligionspirituality
Karen Armstrong takes great mountains, virtual Everests, of wretched scholarly prose and turns them into something highly readable. She is a first-rate disseminator and popularizer of the history of religion. The Great Transformation reviews the history of what Karl Jaspers famously termed the "Axial Age." During this period, roughly 900-200 B.C.E., the foundations for all of our present religious traditions were laid down: Hinduism, Confucianism, Buddhism, Jainism, Judaism, the other monotheisms, etc. For example, she follows the Aryans from the Caucasus onto the Gangetic Plain and unfolds the story of proto-Hindu culture there. Similarly, she writes of the pre-Biblical development of what would become Judaism, and so on for all the relevant faiths. These are stories I have never come across elsewhere. Leave it to Armstrong to see this gap in common knowledge of religious history and seek to fill it. What she has undertaken here is of enormous scope. To write the proto-history and then the history of all the Axial faiths is not just ambitious, it is an effort that astonishes the reader as he watches it unfold. I recommend all Armstrong's books but especially The Case for God (also reviewed here) and A History of God. What marks her prose is tremendous empathy. Her portraits of the various Axial Age peoples are stunning in their range and complexity. It is a very dense book, but loaded with fascinating information for the patient reader. Armstrong believes that there is much to be learned from our religious history. Properly understood it is both a cautionary tale and an indication of how very much we need spirituality in our lives. To paraphrase Jean-Paul Sartre, without it we are left with a great "God-shaped hole" in our lives. Christopher Hitchens (R.I.P.) and Richard Dawkins think we can discard it. I disagree. This is an integral part of our evolution as a species and we have much to learn from it. (Note: The other writer of excellence in this field I'm familiar with is Elaine Pagels. She, too, has a number of wonderful books but it is her The Gnostic Gospels (also reviewed here) that is her summa.) Highly recommended! (less)
flag29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Jan 25, 2008John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history-of-religion
The Great Transformation argues that the core religious/philosophical traditions of several major civilizations -- China, India, Greece, and Israel -- emerged at about the same time, for the same reasons, and were preoccupied with the same ideas. The time is what philosopher Karl Jaspers called the Axial Age, the period from approximately 700-200 B.C. when these civilizations all developed philosophical or religious tenets that emphasized what we might now call inner spiritual development rather than abasement before omnipotent deities. The reason, Armstrong suggests, is that each of these societies was seeking a way beyond the incessent violence that marked their existence. As for the ideas, they have become cliches but are no less powerful for that: first, do unto others as you would have them do unto you; and second, be the change you wish to see in the world. Armstrong concludes that from these concepts, explored in different places and for somewhat different reasons, emerged Confusianism, Buddhism, classical Greek philosophy, and rabbinical Judaism (she considers the core precepts of both Christianity and Islam to be mere latter-day variations on rabbinical Jewish thought, with few innovations to contribute to that philosophical tradition).

Much as I enjoy reading early religious history, I'll confess that I don't have the background to evaluate Armstrong's argument on its merits. It's certainly compelling -- and given my own leanings (which are pretty vague, but could be said to be triagulated by agnosticism, unitarianism, and secular humanism), the argument that religion is at its best when it emphasizes personal growth rather than proper worship of the correct Sky God is one I'm inclined to favor. I did find myself wondering whether Armstrong was overstating the extent to which these complex philosophies had an impact on their own societies, as well as the extent to which they displaced, even temporarily, traditional religious emphasis on pleasing and/or appeasing an external deity. In addition, her final chapter -- aimed at today's fundamentalists of all faiths -- spends more time celebrating Christianity's and Islam's connections to Axial Age tradition than exploring why those connections seem, more and more, a minor part of both faiths (at least as professed by their loudest adherents).

Still, this was a thought-provoking read and, while slow going at times, one I found rewarding. A final word of praise: the book contains many useful maps and an excellent glossary, both of which are essential to a work like this but, I find, are too rarely included. Bravo to Armstrong and her publisher for providing them; they really help. (less)
flag11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Oct 13, 2013P.J. Wetzel rated it liked it
I came to be aware of this book through my research for my distant future fantasy/sci-fi novel series 'Eden's Womb'. I wanted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evolution of mankind's religious journey in order to project a plausible future. That's a tall order, of course, but for me the study was a fascinating journey. I started by reading Huston Smith's iconic 'The World's Religions' and then began to delve deeper.

Along the way I had a little epiphany: It seemed that many major faith traditions/institutions were founded about the same time (800 to 200 BCE). I pursued this idea, wondering if the nascent trade routes that would become the Silk Road had begun a cultural exchange that early in human history.

Well, as I dug into it, I found out that my idea was far from original (few ever are). Karl Jaspers had the idea, and published it in `The Origin and the Goal of History' in 1953. Karen Armstrong seems to have latched onto Jaspers' grand theories as a way of hooking the reader (selling more books). But it remains unclear whether she actually believes them. Nowhere did she overtly refute Jasper's theories, but in the meat of the text she seems uninterested in reinforcing them. Sometimes it seems as if she finds his themes unsupportable but doesn't want to make an issue of it. That's not the kind of incisive scholarly analysis I would hope for from a book with such a grand title published by an expert. It's clear she's more interested in the detail. She shies away from big-picture analysis. Result: the title begins to come across as disingenuous--false advertising. And I begin to feel cheated.

From my point of view I wanted insight into the maturing of the human psyche, its causes and implications. Were there unifying factors that led to this period of unprecedented global advancement in and formalization of human thought?

Through my own independent research I found that this revolution or maturing of human consciousness seemed to be entirely global. Jaspers and Armstrong focus only on four major hubs of emergent civilization (Greece, Judea, India and China). What I found was that there were many more examples of emerging faith traditions and landmark human advancement that flowered during this period. Shinto religion began during this time frame as did the Norse theology--Odin first appears during this time. The first major cities of the Maya civilization arose during this period. The Polynesians were at the height of their seagoing prowess as they migrated across the south Pacific, and humans arrived in Madagascar for the first time. Clearly any unifying mechanism went far beyond cultural stimulation via the Silk Road trade routes.

To my disappointment Armstrong mentions none of these other cultures, and does not seem to be interested in the physical/environmental/external underpinnings of why this revolution happened. Rather she focuses on something she seems to implicitly assume is a 'universal' underpinning of human morality.

Fine. She's on a different wavelength. By now this has become abundantly clear. Okay, I'll sit back and let her elaborate before I pass judgment.

So now she proffers her primary theme: it's all about the `Golden Rule' -- "Do unto others as you (in your '*infinite wisdom and universal understanding*') would desire that others would do unto you."

For the obvious reasons (highlighted in the sarcastic parenthetical expression) this ancient and revered ethical directive is becoming one of the old canards that can no longer be supported. It translates into: 'ignore cultural diversity, reject the opportunity to expand your personal horizons through deep listening and understanding of your neighbor's point-of-view, and just blindly assume that everyone wants to be treated the way you want to be treated'.

Surely (Armstrong implicitly assumes) the 'Golden Rule' is a universal sign of humanity's newly emerging (shallowly defined) 'compassion' to which all these nascent religious movements must have aspired, and thus to which they all gravitated.

To me this is not a satisfying explanation. I see no universality. I'll offer one benign example: In China you must burp to express your satisfaction for a meal. In western Europe the burp is a sign that you're uncultured. Okay, here are a few more examples: http://mrfarshtey.net/WorldCultures/2...

The closest Armstrong comes to addressing my 'big-picture' question is by regurgitating Jaspers' thesis that the Great Transformation was a result of an interregnum between eras of war and destruction and suppression of original thought by great empires. This seems insufficient, and again this is not my original thought--it is shared by other critics.

Having posited her theme for the 'Axial Age' (as Jaspers called it), Armstrong proceeds to delve into an historical survey, in chronological blocks, of the secular and spiritual events in the four cultures. It turns out that the Axial thinkers (by her definition) arose sporadically, not simultaneously in most cases. In fact she concludes that Axial thinking never really took hold in Greece as it spawned the Western philosophies.

No unifying motivation? Why publish it under such a lofty title: "The Great Transformation"? Why parrot Jaspers' themes if you don't even support them?

Here's why: your publisher wants to sell books.

Armstrong is a 'can't see the forest for the trees' thinker. Her book reads like a series of book reports (here is what I read and here's what I got out of it). Too often her work becomes a tedious recitation of factual historical events and summations of ancient writings without any raison d'être. Rather, it seems, she has an obsession for completeness (demonstrated in other works of hers such as `A History of God'.) Finally, a pet peeve: Armstrong has the annoying habit of using `chic' words drawn from the subject culture, such as nibbana (nirvana), ahimsa (harmlessness) and li (tradition). There are many of these. She defines them once and then expects the reader to remember them all.

As a research earth scientist I find myself wondering if human interactions with the changing global climate of the time may have contributed to this great global revolution. Psychologists may wonder if this was a result of the natural evolution of human self-awareness as we came to recognize our mind as a useful tool. Armstrong peripherally mentions (in barely a few lines) such revolutions as the smelting of iron and the domestication of the horse as contributing factors to destabilization during these times. She was silent on my Silk Road thesis and the others. In the end, this book was not what I was hoping for. (less)
flag10 likes · Like · 3 comments · see review



Dec 17, 2010Nicholas Whyte rated it did not like it
http://nwhyte.livejournal.com/1541807.html

This is a rather brave attempt to wring significance out of the fact that Confucius, the Buddha, Socrates and Jeremiah all lived at about the same time, between them causing a revolution in the way in which humans relate to the universe in philosophy and religion. It did not completely work for me. I found Armstrong's account of the evolution of the Old Testament as a product of the Jews' exile in Babylon pretty compelling, and we have a couple more of her books on the shelves which I am looking forward to reading now. Her description of ancient Greek thought, which I gave tutorials on many years ago, seemed decent enough and made a very interesting claim about the importance of Sophocles in particular and Greek theatre in general as giving people a new way to talk about and think about the world. But her Indian sections were rather dull, and her Chinese sections very dull indeed, coming alive respectively only with the appearance of the main characters, the Buddha and Confucius. It is my fault more than hers, but I felt completely adrift in Chinese geography; various kingdoms with unfamiliar and confusingly similar names, and no obvious relationship to the present day geography which I know a little better.

And I was not convinced by the book's overall thesis, which seems to be that the near-coincidence of lifespan of the four main characters is a particularly interesting fact. It is true, but rather dull, to note, for instance, that James Marsters and Sophie Aldred were born on the same day. I think it is a little more interesting that Alexander Hamilton and the Duchess of Devonshire were born and died within two years of each other, because both were engaged in politics, and particularly in relations between England and America, at the same time. But Armstrong doesn't seriously argue that there was any influence, or even much in the way of common roots, between her four main characters, so we get four completely different stories (only two of which are interesting) chopped across each other with various totally disparate incidents lumped together purely because they happened at roughly the same time. It did not really work for me. (less)
flag6 likes · Like · 1 comment · see review



Jul 14, 2012Megan Kiekel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historynonfictionreligion
This textbook covers the beginnings and transformation of the major world religions through the Axel Age, from 1600 BCE to 220 BCE, plus an epilogue that brings the history into the current time.

I borrowed this from our friend Steve last fall, and I haven’t had enough brain cells to absorb this much information until now. This was the textbook from one of his religion classes in undergrad (he’s a genius grad school engineer now), and he passed it on to me because he knew I’d love it. I have to give this copy back to Steve, but I’m totally buying it for reference. (For the record- I did not read an entire textbook in a month. I was reading this well into October as well).

I thoroughly enjoyed this book. I needed a clear head to read it; it’s a lot of information to take in. But it is amazing to trace the changes in philosophies and religious practices over time with the changes in human development. Each chapter is broken into four parts: one focusing on each of the major Axel Age peoples in China, Greece, India, and Jerusalem.

This was an introduction to this information for me, so I’m not really able to fully criticize the biases or limitations of this text. Armstrong did seem to have a strong detachment from the information, except when she was drawing her main points in the introduction and final chapter. All history texts, of course, are an argument: the author chooses which information to include and which to leave behind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points and persuade the reader to their way of thinking. It is impossible to be objective when writing about history because of the vast amount of information out there. Armstrong obviously focused on what tied the major world religions together and made connections between their individual developments over the age. A book could probably just as easily be written on the differences of these religions.

I’d love to come back to this after I know more.

P.S. If you dislike religious history that is not written from a theological standpoint, then you may find this work offensive. (less)
flag6 likes · Like · 1 comment · see review



Nov 07, 2016Tim Pendry rated it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cultural-studiesclassicshistory-of-sciencehistory-of-philosophyhistoryeast-asianreligion-spiritualsouth-asianancient-worldclassical-civilisation

The core of this book is a solid account of the 'spiritual' traditions of four great civilisations (the Hellenistic-Pagan; the Judaean; the South Asian; and the Chinese) during the thousand or so years before the end of the third century BC. As far as it goes, it is an excellent and coherent narrative.

But I have my doubts. The story sometimes seems shoe-horned not only into the contention that all four cultures saw a first axial age that defined Old World culture until a second 'axial age' in the early modern era but it seems to be designed to be a rather passive-aggressive polemic for religion.

Although the range of reading is extensive, the transmission of specialist research impressive and the insights to be had considerable (until the very last chapters when Armstrong sometimes just tells a story most educated people already know), some claims for the early period seem excessive.

There are occasions when she appears to lack imagination about the claims of her sources. Is it really so that the very ancient Chinese conducted war in such stately fashion? Perhaps but perhaps the story is derived from later literary tropes. She takes texts on trust sometimes.

But the book disappoints because one soon becomes suspicious of her ideological motivation. The first and last chapter spin a yarn about religiosity that I found irritating and even misleading insofar as an empathic sentimentality was linked without warrant to her academic findings.

I found this shoe-horning of history into a 'sell' for religion in an age of violence (the book was written five years after 9/11) on the edge of objectionable as if somehow the essentialism of religion was not in itself part of the problem of all times. Complexity went out the window.

Still, if you can get her spirituality 'sell' (what the hell is this thing called 'spirituality' when it is not ideology or sentiment?) out of the way, her narrative flows, she is readable and one gets a sense of how one idea builds on its predecessors and why some particular ideas take root.

As history it is mostly very worthwhile but as proselytising for empathy and idealistic sentiment, it is in cloud-cuckoo land. There is some very good analysis of the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in which ideas take root but very little critique of the nexus between material reality and 'religion'.

This intellectual weakness frustrates when the book is taken as a whole. It stays in the library as a ready reference on some key ideas and thinkers, with some sound general history thrown in, but it cannot be regarded as a first class text because its final analysis is overwhelmed with apologia.

The fashion for 'spirituality' is one of the problematics of current Western culture. The main theme of the sentimentalists is that if only we would listen to the great teachers and become empaths or submit to something outside ourselves, the violence would cease. Well, perhaps!

In fact, the violence and terror won't cease because universal empathy is a human impossibility. We are who we are, complex creatures. If someone has an idea you can be sure that the idea will be used as a tool or a weapon to gain advantage. Yes, this is what we are.

Her book-ending chapters presents a world of shoulds and oughts that defies reality and creates a vision that is always going to be more fiction than fact. Exhortation may influence some people to be better persons but as many or more will and must ignore the message.

If anything an excess of empathy, when faced by the standard alleged sociopathy of social systems, simply neuters the 'good' and sends them into defensive postures, private life, clerisy or the monastery, leaving everyone else as prey while the faithful protect themselves with 'sacred space'.

If humanity is to be liberated in terms of both private freedoms and the avoidance of oppressive harms, it is a moot point whether a passive intellectual and 'spiritual' approach will offer anything more than this defensive protection for the few (often at the expense of the many).

I have no problem with people believing in nonsense or even coming together consensually in societies that believe in nonsense but the idea that 'spirituality' will do anything other than abandon the mass of the people to the wolves is increasingly absurd.

'Spirituality' (I am still waiting for a non-nonsensical definition beyond mere sentiment) may be regarded as any belief system that eases the suffering and neuroses of life.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 unless we think it reflects anything other than magical thinking.

Out of spirituality comes religion which is little more than the imposition of social order on the crooked timber of humanity, a process of containing and corralling the human 'spirit' (actually the human being) in despair at any other form of social organisation possibly 'being good'.

This book, for all its descriptive and narrative value, thus becomes a false friend to a species that needs to stop evading and avoiding material reality and the actual structures of power, stop trying to find bolt holes for itself and start creating practical approaches to solving problems.

In essence, there are only two problems here ... how to ensure human autonomy within an otherwise functional social system and how to ensure that one person does not do harm to another person. The great faiths partially solve the second but usually at the expense of the first.

They are only a partial solution because religious and 'spiritual' tendencies to treat personal liberation as liberation from the world will often result in the accidental de-humanisation of humanity, running away from materiality by (for example) 'abandoning the ego'.

The religious obsession with abandoning the ego is cowardice. The real task is to embrace the ego and put it to work as a lifetime project of self improvement and the social project of equalising the value of all egos viz. a society where you can 'do what thou wilt an harm no-one'.

There are arguments, of course, for mystery and ritual - like the Greek tragedies or Chinese li - as undogmatic artistic and magical endeavours that are not trying to make too many claims.

The poetry, drama, art, ritual and magic in the performance art that is 'religion' is not a bad thing but it is only valuable when it allows persons to appreciate the liminalities and absences in the world. Subsequently building a system out of such things destroys that very purpose.

One final world of praise for the book, however. It is very well served with maps, charts and plans - 25 in all. These are invaluable in comprehending the narrative. Despite the irritations, the book still remains recommended for anyone wanting a basic overview of ancient intellectual culture.

(less)
flag5 likes · Like · 2 comments · see review



Feb 26, 2012Jason rated it it was amazing
Karen Armstrong looks beyond doctrine to find a common core in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that emerged during the years 900 to 200 BCE - an era the German philosopher Karl Jaspers called the Axial Age. All around the world at the time, people were trying to address the question of violence and endless war.

What she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great thinkers and sages of Confucianism and Daoism in China, Hinduism and Buddhism in India, Judaism and the precursors of Christianity in Israel, and philosophical rationalism in Greece is this: what a person believes is not what brings an end to suffering. Suffering only ends when we let go of selfishness and learn compassion for others. Or, as Rabbi Hillel summarized it: "What is hateful to yourself, do not to others. That is the whole of The Torah. The rest is commentary."

From this perspective, arguing over whose views on God are "correct" is not just pointless but actually harmful to ourselves and to others. This concurs with what the Buddha said to many a disciple. The remedy to conflict is not to find the flaws in our enemy, but to look inside ourselves for our own flaws.

Even for those not interested in saving the world or finding peace within themselves, this book should still prove an enjoyable reading experience. It is a thoroughly researched, well-written romp through a very interesting time in history, over a wide range of peoples and cultures. Armstrong's writing is always clean and lively, never stuffy or morbidly academic.

This is a book well-suited for our troubled times. (less)
flag5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Mar 28, 2015Sarahj33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owned-bookslifestylereligion
So I bought this book about three years ago at a street festival in Michigan when I was on a big non-fiction kick. I never got past the first couple of chapters because the writing felt pretty dense and seemed to assume that I had a background knowledge of things like the Assyrian Empire and the Book of Deuteronomy. I still don't know anything about those things, but I decided to give the book another go as part of my quest to actually read all the books that are languishing on my shelves before buying any new ones.

And somehow, this book was exactly the book I needed to be reading right now. If you've been keeping up with the news lately, it can feel like a lot of things are going wrong in the world, and organized religions in some form are implicated in a lot of the world's problems. So to open a book and read about lots of very smart people from 500 BCE seeing the same problems and actually coming up with solutions is very comforting. Obviously the solutions didn't last forever, but I've come away from this book convinced that we can learn a lot from the sages of the Axial Age.

The basic idea of The Axial Age is that around the same time, many of the world's religions took profound leaps forward in terms of incorporating ethical systems into their traditions - new ethical systems that were based on the Golden Rule, non-violence, and the suppression of ego. These systems also took the fascinating position that, although they never denied the existence of a god, they thought it was counter productive to try to define "God" when God is by nature undefinable. It would be much more appropriate to spend your energy leading a good life than worrying about whether Yahweh was more powerful than Baal. Armstrong writes clearly and concisely, weaving together different stories in a well organized but intricate web. I ended up changing my mind about the writing being too dense and requiring too much outside knowledge - it is easy to follow her arguments and conclusions even if you don't know anything about Vedic texts or the Chinese classics.

This book doesn't claim to be a panacea for all the world's problems, but to me it felt like it could be. Armstrong doesn't deny the various problems of the Axial traditions - the Greek Axial Age never really coalesced, the Chinese tradition split into several splinter groups, basically all the Axial sages completely ignored women, etc. And, of course, none of them could really make it last for more than a few hundred years. But overall the message of the book is hopeful. These guys were on to something, and it shows that even if religion is part of the problem, it can also be part of the solution. (less)
flag4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Dec 07, 2009Charles Matthews rated it really liked it
We can be almost certain that somewhere, at this very moment, someone is committing an act of violence in the name of God. That troubling realization underlies this book, an attempt to reach back 2,500 years and more, to survey our earliest attempts to establish systems of belief that promise a release from human strife.

Karen Armstrong's "great transformation" took place in what the philosopher Karl Jaspers called "the Axial Age" – roughly seven centuries, starting around 900 B.C., in which the foundations were laid for Judaism, Buddhism and Hinduism, as well as for such later faiths as Christianity and Islam and for secular inquiries into the nature of being and the good life. In discrete corners of the world -- places we now know as Greece, Israel, India and China – thinkers developed new concepts of human beings' relationship to God and to one another.

This was the age of great texts: the Hebrew scriptures; the Upanishads, Bhagavad-Gita and Mahabharata;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dialogues of Plato. All of them stressed the primacy of doing good. As Armstrong sums it up, "First you must commit yourself to the ethical life; then disciplined and habitual benevolence, not metaphysical conviction, would give you intimations of the transcendence you sought."

The Golden Rule -- do unto others as you would have them do unto you -- recurs through all four of the traditions Armstrong surveys. "The Axial sages put the abandonment of selfishness and the spirituality of compassion at the top of their agenda," she writes. "For them religion was the Golden Rule. They concentrated on what people were supposed to transcend from – their greed, egotism, hatred, and violence."

What makes the emergence of this "spirituality of empathy and compassion" more striking, and earns it the designation of "great transformation," is that in all four regions, Armstrong observes, it was "rooted in fear and pain." Brutal tribal warfare was the rule at the opening of the Axial Age, and religion was very much a matter of trying to make sure – through ritual and sacrifice and other means of subjugation to a mysterious higher power -- that you had a god on your side who was stronger than the other guy's god. Armstrong's often fascinating intellectual history shows how a new attitude toward God and humanity emerged from these bellicose origins, a belief that "Heaven was not simply influenced by the slaughter of pigs and oxen, but by compassion and justice."

The transformation was brought about by a variety of thinkers whose ideas Armstrong presents with a welcome lucidity. There is, for example, the biblical author or editor – "or, more probably, a school of priestly writers and editors," Armstrong notes – whom scholars identify as "P." Armstrong shows how, in the opening chapter of Genesis, P transformed the creation myth, which in most traditions was presented as a titanic struggle, into a story of calm mastery: "There was no fighting or killing. God simply spoke a word of command: 'Let there be light!' … P methodically extracted aggression from the traditional cosmogony."

Other sages recognized that religious dogma was itself a cause of strife. Confucius "discouraged theological chatter," Armstrong tells us. "Instead of wasting time on pointless theological speculation, people should imitate the reticence of Heaven and keep a reverent silence. … The ultimate concern was not Heaven but the Way." The Buddha, Armstrong says, even went so far as to deny the existence of "an authoritative, overseeing deity," because it "could become another prop or fetter that would impede enlightenment. … But his rejection of God or gods was calm and measured. He simply put them peacefully out of his mind."

"The Great Transformation" is likely to irk scholars and specialists who object to an amateur, a former nun with degrees in English literature, venturing onto their turf. The book does seem over-ambitious in its attempt to survey four distinct cultures over a span of seven centuries about which reliable documentation is scant and what little is known has been overlaid with interpretation and speculation. Armstrong often glosses over the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forces that underlie the transformation. She's much more focused on what was thought than on why it was thought. And there are good reasons to object to her overuse of phrases like "a time of transition." We're always in some kind of transition, after all – history is not a row of little fixed and stable boxes between which human beings scurry, doffing old ideas and putting on new.

But above all else, this is a book that aims to still the noise of our own troubled time. Since Sept. 11, 2001, Armstrong has been a frequent commentator in the media on matters of belief, particularly on the emergence of militant fundamentalism. Her book is a defense of the healing power of religion in an age when many have concluded, as she puts it, "that religion itself is inescapably violent or that violence and intolerance are endemic to a particular tradition." She reminds us that the Axial sages lived "in violent societies like our own. What they created was a spiritual technology that utilized natural human energies to counter this aggression." Armstrong's conviction, passion and intelligence radiate throughout the book, making us feel the urgency of the ideas it seeks to convey.

(less)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Jun 21, 2010Nathan rated it it was ok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historyfranklin-librarysociology
Beginning with an exploration of Asian religious tradition, Karen Armstrong gradually moves to a general, and rather generic, call for religious tolerance. She focuses exclusively on the religious traditions of the Asian continent, notably Buddhism, Hinduism and Jainism, and while she does a cracking good job of it (her explication of Buddhist belief was the clearest I've ever read), she does so to the neglect of the contributions of the West to religious thought, notably Catholicism and post-Reformation Christianity. If these are too modern for her selected timeframe, she ought to have presented Judaism as more separate from Christianity; as it is, the omission feels like a job half-done.

She also doesn't do so well when highlighting the distinctives of each particular faith, combining them into a single nebulous philosophy more akin to modern New Age thought, rather than presenting each as an independent system. I think part of the problem was ambition: she can't possibly present a nuanced and exact portrait of each faith in the amount of detail she needs to. This sort of syncretism, while it may help the cause of religious tolerance in general, does nothing to further the ostensible goal of such a study: substantive dialogue on religious issues that doesn't degenerate into violence.
This book had potential, and realizes some of it. But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foremost a fulfillment of its own solution: genuine discussion between different faiths that isn't afraid to acknowledge differences. (less)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Apr 05, 2015Dawn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historynon-fictionaudiobookreligionauthors-womenread-2015
Much as I’d like to just leave my review to one word, fascinating, I don’t think that would be sufficient.
So, this book left me feeling just a bit uneducated as I know practically nothing about all but one of the religions discussed but I did find it curious, as obviously the author has, that all three would have such similar ideas at approximately the same time. The progression of each religion based on their geographical area and societal influences as well as their ultimate conclusions, which while laudable don’t seem to have been followed very well through the centuries, made for some thought provoking reading.
While the conclusions of the book came across to me as simplistic to the point of being boiled down to ‘be nice’, the lead up to that and all the historical elements were very well presented.
(less)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May 24, 2010Cliff rated it really liked it
A bit dry but very well researched.
flag3 likes · Like · 1 comment · see review



Dec 09, 2019Becca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non-fiction
Armstrong is quickly becoming one of my favorite religious thinkers. Here, she gives a history of the evolution of religious concepts from ancient times through the Axial Age when the ideals governing the world's societies were developed, taking us into the development of religion and philosophy in Asia, Eurasia, India, and the Middle East. I've been waiting to read a book like this practically my whole life, and while I certainly learned plenty, I now have even more questions: What about the ancient religions in the Americas? They followed many of the same evolutionary paths that the Eastern-based religions did, but Armstrong said nothing about the Western ancients. I understand this is meant to be a book about the thoughts that are still prevalent today on a global scale, so those religions may be outside the scope of this work, but I certainly hope she writes about them someday and how they fit into the timeline she's developed here.

She frequently uses the term "technology" in this book to describe the mental/doctrinal inventions developed over different regions to address life's common questions and challenges. It's such a wonderful way to think about religious thought.

Some things to know if you are considering reading this:
*Armstrong is a former Catholic nun who is a leading scholar in the field of world religion and religious history.

*While she continues to believe in Christian principles, her books are wonderfully neutral. You'd never guess she adheres to any specific viewpoint because she is unfailingly fair and respectful of each viewpoint she's talking about.

*If you're looking for scholarly "proof" of the supremacy of Christianity, you won't find it here. But I guarantee you'll see the faith (and all the others) with a much deeper appreciation than you did before.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Jan 14, 2019Jill Hudson rated it liked it
I was surprised by the many gushing reviews this book has received. Yes, it is a useful survey of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several world religions, and a very readable introduction to their characteristics. It also makes a strong case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tolerance. But for me it just doesn't do 'what it says on the tin'. It offers no real explanation of why so many similar ideas emerged in different cultures at a similar time, though on the cover it says it is going to. Why were so many of Plato's ideas so reminiscent of Hinduism? What were the links between the two? We never find out; and what is mor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various religions and philosophies are stressed rather too simplistically at the expense of the differences. Armstrong implies that metaphysical beliefs simply weren't important to the 'Axial sages', whose insights she boils down to not much more than 'The Golden Rule' which she says has never been improved upon. In fact Jesus' statement of this 'rule' goes way beyond most of its previous formulations, in that most other sages stated it in its 'negative' form ('Don't do to others what you wouldn't want them to do to you') whereas Jesus', positive, version is much, much more challenging ('Do to others what you would have them do for you'). She claims that 'loving your neighbour' is pretty much all that true religion entails, forgetting that loving God is seen as equally important, not only by Jesus but by the Jewish 'Shema' and by the champions of many other faiths as well. Belief in God is not an optional extra; genuine compassion and transformation are only attainable when God's grace indwells us, not as a result of 'discipline'. Furthermore neither Christianity, rabbinic Judaism nor Islam emerged in Armstrong's 'Axial Age' (900-200BCE) at all, so she has to perform some dodgy sleight of hand to force them to fit into her framework. She is also guilty of some vague, generalised statements unbacked up by evidence and almost worthy of Philomena Cunk (e.g. 'In the ancient world it was generally permissable to eat only meat that had been sacrificed ceremonially in a sacred area'(!) - p161). I think I would have enjoyed this book more if its blurb hadn't made all sorts of extravagant claims which the content doesn't live up to.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Jan 19, 2015Miroku Nemeth rated it really liked it
I have mixed feelings about this book. It's a perspective on history that is interesting in many ways, but very misleading in others. The attribution of nonviolence to peoples who were violent is really quite inexplicable if it was actually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theoretical "axis age" (that this is a problematic construction is actually borne out by the tortured argument structure of the book), but it is a recurrent theme she uses to support her thesis throughout the 500 and some odd ...more
flag2 likes · Like · 3 comments · see review



Feb 21, 2012Kathy rated it it was amazing
I read this book after reading Armstrong's wonderful book, "The Spiral Staircase." As a person who has never studied religious history, I lack the context for assessing Armstrong's treatment of the Axial Age during which major religions evolved versions of the Golden Rule. Her writing is very clear and easy to read, and she provides extensive documentation and explanations at the back. For me, the book was a captivating journey through a dimension of history that has fueled my curiosity. She stimulated me to read her other books, which I also found very valuable. A winner of a TED award, Armstrong is an important philosopher, humanitarian, and voice for peaceful communication among the world's religions.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Jul 13, 2013AC Fick rated it it was amazing
Armstrong is informed and informative without ever being didactic or preachy. This book, given the vast scope of its subject matter -- across time and space -- is infinitely readable, while always being detailed, specific, and accurate.

If you're intrigued by or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the major religious and faith-based traditions in the world, this book is rewarding reading.

In fact, this ought to be required reading for all students of humanity; everyone, every last one of us, ought to read this book.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Jun 27, 2011Lori rated it it was amazing
I have read this two times and now am having it read to me in bed by my husband, a release for gut centered pacifists pained by all these war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Apr 18, 2011Tom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philosophynon-fictionhistory
It took a long time to finish this book, but it is worth the effort. In its scope and importance, it reminds me of Ideas: from Fire to Freud, another very worthwhile book. However, this one is more focused and, in some ways, more original.

Armstrong deals with what the historian Karl Jaspers calls the Axial Age (that period between 900 and 200 BC) during which the major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raditions that exist today, began. She follows developments in this regard in 4 distinct regions and traditions: Confucianism and Daoism in China, Hinduism and Buddhism in India; monotheism in Israel; and philosophical rationalism in Greece. “The Axial Age was one of the most seminal periods of intellectual, psychological, philosophical and religious change in recorded history; there would be nothing comparable until the Great Western Transformation, which created our w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odernity.”

A recurring point made by Armstrong, is that, in each of these examples, advances in understanding occurred in the midst of periods of violence and turmoil. Perhaps such social, and spiritual stresses are necessary pre-conditions for such change.

“The prophets, mystics, philosophers, and poets of the Axial Age were so advanced and their vision was so radical that later generations tended to dilute it. In the process, they often produced exactly the kind of religiosity that the Axial reformers wanted to get rid of. That, I believe, is what has happened in the modern world.”

“In Middle Eastern treaties, to 'love' meant to be helpful,loyal, and to give practical support. The commandment to love was not excessively utopian, therefore, but was within everybody's grasp.”

In speaking about the importance of theater in Greek culture: “The playwrights often chose subjects that reflected recent events, but usually presented them in a mythical setting that distanced them from the contemporary scene and enabled the audience to analyze and reflect upon the issues. The festival was a communal meditation, during which the audience worked through their problems and predicament. All male citizens were obliged to attend; even prisoners were released for the duration of the festival.”

In fifth century BC China a school of philosophy founded by Mozi, “...used the imagery of the working man, comparing Heaven's organization of the world to the compasses and L-square of the wheelwright and the carpenter, who employed these instruments 'to measure the round and the square throughout the world.;”

Mencius (371-288 BC) was a devout Confucian. He taught that it was natural for people to feel compassion toward those who suffer. [This is supported as well by newer findings in human behavior and neuroscience] “Every single person had four fundamental 'impulses' (tuan) that, if properly cultivated, would grow into the four cardinal virtues: benevolence, justice, courtesy, and the wisdom to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They were like the first shoots that would one day grow into a plant...You could stamp on these 'shoots'-just as you could cripple or deform yourself-but if they were cultivated properly, they acquired a vibrant, dynamic power of their own. Once they were active, they would transform not only the person who practiced them, but everyone with whom he came into contact.”

“The Greek word idea did not mean 'idea' in the modern English sense..[it] was not a private, subjective mental construct, but a 'form' pattern' or essence'. A form of ideas was an archetype, the original pattern that gave each particular entity its distinctive shape and condition. Plato's philosophical notion can be seen as a rationalized and internalized expression of the ancient perennial philosophy in which every earthly object or experience has its counterpart in the divine sphere.”

“We moderns experience thinking as something that we do. But Plato envisaged it as something that happened to the mind: the objects of though were living realities in the psyche of the person who learned to see them. This vision of beauty was not merely an aesthetic experience. Once people had experienced it, they found that they had undergone a profound moral change and could no longer live in a shabby, unethical way. A person who had achieved this knowledge could 'bring forth not merer reflected images of goodness, but true goodness, because he will be in contact not with a reflection but the truth...Plato's description of beauty was clearly similar to what others called God or the Way” In Plato's world: “..the nous of each human being was divine; each had a daimon, a divine spark, within him or herself, whose purpose was to 'raise us up away from the earth and toward what is akin to us in heaven.' Human beings therefore lived in a perfectly rational world, the exploration of which was both a scientific and a spiritual enterprise.”

“The Hellenistic philosophers may not have been as revolutionary as their predecessors, but hey had lasting influence, and in many ways they epitomized the emerging Western spirit. In the West, people gravitated toward science and logos, and were less spiritually ambitio9us than the sages of India and “China. Instead of making the heroic effort ot discover a realm of transcendent peace within, the Hellenistic philosophers were prepared to settle for a quiet life. Instead of training the intuitive powers of the mind, they turned to scientific logos. Instead of achieving mystical enlightenment, the West was excited by a more mundane illumination. The Western genius for science eventually transformed the wolrld, and in the sixteenth century its scientific revolution introduced a new Axial Age. The would greatly benefit humanity, but it was inspired by a different species of genius. Instead of the Buddha, Socrates, and Confucius, the heroes of he second Axial Age would be Newton, Freud, and Einstein.”

Re: the Daodejing (Tao Te Ching) credited to Laozi: “While other creatures kept to the Way designed for the, humans had separated themselves from thier dao by constant, busy yu wei relfection: they made distinctions that did not exist, and formulated solemn principles of action that were simply egotistical projections.”

Re: Jewish theology: “ The rabbis fully accepted the Axial principle that the ultimate reality was transcendent and ineffable. Nobody could have the last word on the subject of God. Jews were forbidden to pronounce God's name, as a powerful reminder that any attempt to express the divine was so inadequate that it was potentially blasphemous...What we call 'God' was not the same for everybody. Each of the prophets had experienced a different 'God', because his personality had influenced his conception of the divine.”

Re: Muslim theology: “the Quran did not claim to be a new revelation, but simply to resate the message that had been given to Adam, the father of humanity, who was also the first prophet. It insisted that Muhammad had not come to replace the prophets of the past but to return to he primordial faith of Abraham, who lived before the Torah and the gospel-before, that is, the religions of God had split into warring sects.”

“When warfare and terror are rife in a society, this affects everything that people do. The hatred and horror infiltrate their dreams, relationships, desires, and ambitions. The Axial sages saw this happening to their own contemporaries and devised an education rooted in the deeper, less conscious levels of the self to help them overcome this. The fat that they all came up with such profoundly similar solutions by so many different routes suggest that they had indeed discovered something important about the way human beings worked. Regardless of the theological 'beliefs'-which, as we have seen,did not much concern the sages-they all concluded that if people made a disciplined effort to reeducate themselves, they would experience and enhancement of their humanity, in one way or another, their programs were designed to eradicate the egotisms that are largely responsible for our violence and promoted the empathic spirituality of the Golden Rule....The practice of disciplined sympathy would itself yield intimations of transcendence.”

“This is not to say that all theology should be scrapped or hat the conventional beliefs about God or the ultimate are 'wrong'. But-quite simply- they cannot express the entire truth. ...Christianity... has set great store by doctrinal orthodoxy, and many Christians could not imagine religion without their conventional beliefs. This is absolutely fine, because these dogmas often express a profound spiritual truth. The test is simple: if people's beliefs-secular or religious- make them belligerent, intolerant and unkind about other people's faith, they are not 'skillful'. If, however, their convictions impel them to act compassionately and to honor the stranger, then they are good, helpful and sound. This is the test of true religiosity in every single one of the major traditions.”

What I found most original about this book is the idea that over centuries, humans, at least some of us, have been engaged in a gradual advance in our spiritual nature and that, across time and distance, different cultures and traditions have converged in very similar ways. The general road map that Armstrong describes runs through ritual, kenosis (emptying...of one's ego and material attachments), knowledge, suffering, empathy, concern for everybody and all is one. She argues that the Axial sages brought forth new formulations during times of violence and social upheaval. Given recent history, are we in a period when there will be further advances in human spiritual development?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an 22, 2011Sean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non-fiction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Beginnings of Religious Traditions" is the sort of scholarship you can come to expect from Karen Armstrong, an independent scholar from Britain who writes extensively on religious topics. She is able to take quite complicated issues and ideas and his able to make them accessible to a wider audience. This really is the biggest job of a scholar, whether independent or attached to a university- to be able to communicate your thoughts and ideas in a coherent way. If you can do this to a massive audience of non-academics, all the better. In this regard, Karen Armstrong is in many ways second-to-none.

"The Great Transformation" describes a theoretical period in history known as the "Axial Age," which according to her estimations ran from about 900 BCE to 200 BCE (with extensions into the Common Era). During this time period of immense change and characterized by violence and trauma, nearly all of the worlds major religious or philosophical traditions got their starts, from Israelite Monotheism to Vedic Religions to Chinese Religions to Greek Philosophy. Its a very broad theory they implies that humanity as a whole had reached a certain point by this time period to need a new form of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and therefore, this transition happened in a number of places simultaneously. For Armstrong, the transition to Axial Age religions involved an evolving sense of self and an acute awareness of suffering and pain. These religions gave their followers the tools to live in chaotic times and make sense of the rapid changes surrounding them. There is also the sense that the religious journey is one that forced the follower to acknowledge the impermanence of things and the difficulty of knowing the divine. What these faiths did was to encourage their followers towards a certain "knosis" of the divine, or to a sense of truths and ideas which are not able to be articulated. This is the sort of knowledge that cannot be taught but knowledge acquired through living and practice.

The book has some amazing ideas and deserves a high rating for the audacity to try to synthesize almost 1,000 years of complex history and philosophy from four different areas. The information is fascinating and clearly aimed for a modern audience- whom she tries to encourage at the end to take the lessons from these thinkers and apply them to the modern world. However, I cannot rate this higher for a number of reasons. First is that while the information is extremely useful and interesting, it suffers from a real lack of organization. The book is arranged chronologically and thematically but within chapters, there is really jumping between the four regions. I do not think that she chose the order of the content randomly but her chain of logic is hard to discern. I also think that by trying to connect these movements so closely, she risks making them seem like they were in extremely close contact and that their developments were in one logical stream. It is a very tricky line to balance and I feel at times, she gets trapped in the idea of the Axial Age. What I may consider doing in the future is reading all of the material for one area at once to be able to connect the sections across chapters. Second is that I am not sure how much I buy into the Axial Age theory. The evidence is compelling but I am wary of "all-encompassing" theories of religion. We must be careful not to allow the theory to overtake what I would call the organic nature of religion.

As a new scholar of religion myself, I can agree with this theory on a basic level. I think that this new conception of humanity was a logical development of religion and shows one way that humans can react to profound change. An axial mindset would be useful in the modern world and I think this book goes a long way to remind us of these essential truths founded by these seekers so many years ago.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ul 21, 2017Mary Ellen rated it really liked it
Karen Armstrong's scholarly exploration of the Axial Age was esoteric at times, and I found her discussion of Christianity to be surprisingly lacking, but ultimately I loved how she rounded it all out with a discussion of how compassion and the Golden Rule is the heart of all the world's religious traditions. Very inspiring.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Dec 15, 2007Adam rated it it was amazing
From The Washington Post's Book World/washingtonpost.com
In 1948, the German philosopher Karl Jaspers coined the term "Axial Age" to denote an astonishing era, from roughly 900 B.C. to 200 B.C., in which the foundations of the world's great religions were laid. This was the time of Socrates, Elijah, Siddhartha, Confucius. In her magisterial new exploration of the era, Karen Armstrong argues that all Axial Age traditions emphasized justice and were committed to the practice of "disciplined sympathy" and compassion. The Great Transformation is Armstrong at her best -- translating and distilling complex history into lucid prose that will delight scholars and armchair historians alike, drawing connections between the distant past and our own religious practices, suggesting that the antidotes to some of contemporary religion's excesses lie in the roots of the religious traditions themselves.

Armstrong's emphasis on the things that unify Hinduism, Socratic philosophy, Judaism and Confucianism has just a whiff of the old colonialist approach to "world religions," reveling in religions' resemblances without sufficiently acknowledging their particularities. (The Brits who "discovered" Hinduism cast it, and every other religion, in terms that looked a lot like Christianity. Armstrong does much the same thing in reverse, casting Judaism and its spiritual descendants in terms that look a lot like Buddhism.) This approach fails to recognize the ways in which Buddhist compassion and Hindu compassion and Christian compassion and Jain compassion may meaningfully differ. Without an honest appraisal of those differences, it is hard to evaluate, sa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rality of the euthanasia advocate and the radical pro-life Catholic. Whose compassion trumps, that of George W. Bush or of John Paul II?

And yet, Armstrong's call to rededicate our religious selves to compassion, other-directed love and service is downright rousing. People from many different faiths will close this book reminded of the value their tradition places on compassion and recommitted to expressing it in their own religious idiom.

Reviewed by Lauren F. Winner
Copyright 2006, The Washington Post. All Rights Reserved.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an 09, 2010Mark rated it liked it
I like reading Karen Armstrong's books. This book is a travel through religious history, especially that of the Judaism and Christianity. It includes Islam, but not to the same extent. The book seems centered around the 'axial' age of religions; that is, the movements,mostly early on, that defined religious belief as a changing phenomenon motivated by individual betterment, rather than traditional acceptance of socially defined belief.

The book starts with the Aryans, around 1600 B.C.E and takes the reader through to the early Islamic believers, around 700 C.E. With chapter titles such as "Knowledge", "Suffering", "Empathy", and "Concern With Everybody", the tone of the book is clear. Armstrong does not completely disregard the violence that religion has caused through the ages, but plays it down. It seems her argument is that there is a 'true' nature of religion that is overshadowed by its long, violent history. This argument is akin to the modern versions of 'spirituality' that can be found in western societies today.

Armstrong is primarily a historian, which is what I like about the book. There are tidbits of information in each chapter that are often helpful to piecing puzzles together about societies and belief systems. The chapters read like religious history, but with a few directives thrown in, reminding the reader that the religion itself (the 'true' religion) is beyond the actual historical connotations. She is a thorough writer, leaving little to the imagination; again, a sign of a good historian.

I think that the subtitle of the book, "The Beginnings of our Religious Traditions", is at the core of the book, her point being that in the beginning, most religious were simply the product of "sages" trying to live in a world filled with violence. While this may be true, a 'true' historian would need to be faithful to the history, not the intentions.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Nov 03, 2016Daniel Seifert rated it liked it
Shelves: religious-studiesreferencehistory
Armstrong, a religious historian in her own right, discusses four Axial cultures under that while they are not synchronic developments/transformations in human development, they are great Axial figures (900 BC to 200 CE) such as Zoroaster in Persia, Buddha in India, and Laozi and Confucius in China. Wile I am not a ride reader of history, I found helpful this rich background to my familiarity with Rabbinic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that are categorized as “latter day flowerings of the Axial Age,” and other creative traditions who gave us, e.g., the Pali canon, the Greek tragedies, or the Tao.

Like any tradition or history, Armstrong delivers a disjunctive, raggedness in her telling. For example she echoes her sympathies for Aristotle who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spirituality than Plato” and was “more comfortable with emotions” than his master. While later writing a lament that “unfortunately,” Aristotle “made an indelible impression on Western Christianity.”

Anyone who has read Armstrong's books (e.g., A History of God) knows she seeks understanding the enduring relevance of the traditional teachings handed down and to retrieve their authentic import--to “bring the best insights of modernity to the table” with the ultimate outcome of such efforts being “recreation” of the “Axial vision.” She propels in her quest the gradual discovery of interiority, a move away from tribalism and ritualism as the “great transformation” marking the Axial Age. Perhaps the end of the text provides a sense of this aim in an appeal to mutual understanding and tolerance “in a tragic world, where, as the Greeks knew, there can be no simple answers."

With the themes of The Great Transformation, she ends with an inspiring call for a return to the Axial Age principles of human compassion, selflessness, and a desire to avoid inflicting harm as a remedy for many of today’s social and religious ills, a fitting way to leave with us with "The Way Forward."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May 05, 2017Laura rated it it was amazing
I loved this book. I have read a lot of Karen Armstrong's work and love the way she explains religion in a scholarly and yet respectful manner for every religious tradition. However, this was my favorite by far. I got lost in her descriptions of the mindset, culture, and beliefs of the peoples of the Axial Age. It was fascinating to visit Ancient Greece, China, India, and Israel. I just couldn't get enough and would have read on another 400 pages.

Sometimes at the end of Armstrong's work she seems a little preachy and flippant about how we should be applying her insights into these religions to our own day and our own problems, but this time she did not fall into that trap. She gently scolded and clearly showed how we are now going through our own time spiritual upheaval just as the axial peoples did before our time. She already showed us in the book how they religions and beliefs changed in response to the hardships the various civilizations encountered so she left it to the reader to infer that the same type of transition would occur in our own time to be able to successfully heal the divisions in our society. Where that transition may take us, no one knows, but Ms. Armstrong and I both pray that it takes toward compassion and the insights of the sages of the Axial Age.

Cannot recommend it highly enough!!!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an 15, 2018Bonnie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history
An excellent book if you're interested in religion or history, or some perspective on the confusing state of affairs in the world today. Ms. Armstrong explains in depth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four main civilizations from around 1000 years before and until around 500 years into the common era. The peoples she studies are the Israelites, the Greeks, Indian and Chinese, during times of upheaval for each of them. In general she shows how for each of these groups a greater understanding of individuality emerged, causing them to grapple with how to reconcile that awakening with the demands of the society. It was basically a transformation from tribal to a larger awareness. Her focus is the religious struggles, though she describes other aspects that are relevant.

I loved it just for the historical information, but here's a great quote from the end:

"Today we are making another quantum leap forward. Our technology has created a global society, which is interconnected electronically, militari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We now have to develop a global consciousness, because whether we like it or not, we live in one world. Even though our problem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xial sages, they can still help us. They did not jettison the insights of the old religion, but deepened and extended them. In the same way, we should develop the insights of the Axial Age."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Oct 21, 2016JJ Lehmann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in-collection
Although I'm not quite convinced on the concept of an Axial age, it is quite fascinating that so many giants of the religion world arose around the same time. In my opinion, it seems that because of the violence and desperation of the time or perhaps both made the populace open to, and the ground fertile for, the rise of spiritually intelligent people to combat this dukkha. It just seems to easy to connect them all.
That said, every academic field of study needs a person that can popularize its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It seems that Karen Armstrong has taken over that role from the great Huston Smith, and she does it quite well. She is extremely readable and explains often complex information in a way that most will understand. I agree with her that these sages have a lot to teach us as we struggle with our current divisiveness.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May 21, 2017Erin Britton rated it it was amazing
In 'The Great Transformation', Karen Armstrong tackles a far greater range of religious philosophies than she has done in previous books. This time, Armstrong considers the numerous ideologies than came into existence during the turbulent five centuries (800 BC to 300 BC) known as the Axial Age.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many of the main religious theories - Daoism, Confucianism, Hinduism, Buddhism, Judaism and Philosophical Rationalism - were developed and Armstrong considers each of these theories. As ever, Armstrong provides a clear and scholarly explanation of a complex subject and 'The Great Transformation' is an excellent introduction to religious theory although, due to the scope of the topic, it cannot provide an in-depth study of any one of the religious ideologies.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Jun 05, 2010Chris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religion
Originally I tried to read this one as an old fashioned book. However, I found it difficult to find the time to dedicate to it. While it is a very interesting read, it was a slow read for me. I needed time to let the concepts and the history sit in my mind.

Then I decided to get the audiobook version of it. (Thank you Audible.com!) Driving back and forth to work turned out to be a great time to absorb this tome.

It ties in directly to Armstrong's 'Charter for Compassion'. Listening to it felt like I was in the lecture hall while Professor Armstrong led us in an exploration of religions and philosophies. While I cannot recommend this book for everyone, if you have a geeky interest in religions and ideas, this is your kind of book.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Oct 04, 2015Nik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religion-philosophyhistory
Karen Armstrong proposes that the test of true religiosity in every single one of the major religious traditions, is to act compassionately and to honor the stranger. She suggests that when looking at the worlds major religious traditions one may discover the spiritual kernel behind all of them when one avoids jettisoning the doctrines within them. She gives a wide and broad view of the axial age within each faith tradition and helps one see the commonality behind this striving for compassion. I thought it was a great read and one worth promoting. Our world can use more compassion and each of our faith traditions can certainly promote this need in a more effective way.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Beginning of Our Religious Traditions Kindle Edition
by Karen Armstrong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4.5 out of 5 stars    163 ratings

Length: 496 pages  Word Wise: Enabled  Enhanced Typesetting: Enabled 


Editorial Reviews
Review
“A splendid book. . . . Lucid, highly readable. . . . Relevan[t] to a world still embroiled in military conflict and sectarian hatreds.” —The New York Times“Masterful. . . . Stimulating. . . . A tour de force.”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The Great Transformation is Armstrong at her best–translating and distilling complex history into lucid prose. . . . Her call to rededicate our religious selves to compassion, other-directed love and service is downright rousing.” —The Washington Post“Remarkable and persuasive.” —The Independent“Perhaps her most ambitious work to date. . . . Thoroughly researched and readable.” —The San Francisco Chronicle


From the Trade Paperback edition.

From Publishers Weekly
It's not what one may expect from a book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world's religions: "Crouched in his mother's womb, he lay in wait for his father, armed with a sickle, and the next time Uranus penetrated Gaia, he cut off his genitals and threw them to the earth." However, the Greek myth of Cronus clearly illustrates Armstrong's main thesis, that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the world's religions during what Karl Jung called the axial age, is a direct result of the violence and chaos, both physical and spiritual, of past civilizations. Armstrong, a former nun turned self-described "freelance monotheist," has enough background and personal investment in the material to make it come alive. Her delivery is crystal clear, informative and, though somewhat academic, easy for the layman to understand. Her voice is straightforward yet wrought with palpable concern. This reinforces the book's goals of creating a clear understanding of where religious developments have come from and explaining how today's "violence of an unprecedented scale" parallels the activities that created the "axial age" in the first place.
Copyright © Reed Business Information, a division of Reed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
From Bookmarks Magazine
If you've already written God's biography (A History of God), surely it's a cakewalk to tackle the era before His ascendancy in theological affairs. But making sense of four disparate cultures and religious traditions in the space of 400 pages proves to be a risky proposition for Armstrong. Critics agree that her central theme, "the gradual elimination of violence from religion" (New York Times), makes for compelling reading, as does her weaving together of similarities among disparate faiths. Though her analysis shines, many reviewers feel the book suffers from too broad a focus; centuries are foreshortened, and even her supporters feel her conclusion doesn't do the book justice. With classic titles like The Battle for God and Islam: A Short History in her bibliography, the "runaway nun" remains our preeminent writer on popular religion, but this tome might best be reserved for her hardcore followers.
Copyright © 2004 Phillips & Nelson Media, Inc.

From The Washington Post
In 1948, the German philosopher Karl Jaspers coined the term "Axial Age" to denote an astonishing era, from roughly 900 B.C. to 200 B.C., in which the foundations of the world's great religions were laid. This was the time of Socrates, Elijah, Siddhartha, Confucius. In her magisterial new exploration of the era, Karen Armstrong argues that all Axial Age traditions emphasized justice and were committed to the practice of "disciplined sympathy" and compassion. The Great Transformation is Armstrong at her best -- translating and distilling complex history into lucid prose that will delight scholars and armchair historians alike, drawing connections between the distant past and our own religious practices, suggesting that the antidotes to some of contemporary religion's excesses lie in the roots of the religious traditions themselves.
The Axial Age was anticipated, Armstrong writes, by the prophetic priest Zoroaster. Outraged at the violence of the Aryan warrior culture, Zoroaster conceived of the cosmos as a battle between the forces of good and evil, and he envisioned a great judgment that would eventually culminate in a world of peace and justice. Zoroastrianism is now known to us largely as a historical relic, but his "passionately ethical vision" and his determination to find a spiritual idiom that promoted peace bore fruit in the religious traditions of the Axial Age.

Other sages also emerged from the conflicts of the era: In India, the Axial Age coincided with the collapse of the Harappan civilization; in Greece, spirituality and philosophy flourished as the Mycenaean kingdom gave way to the Macedonian empire. Socratic philosophy was forged in the brutality of the Peloponnesian War. Breaking sharply from the Greek tradition of vengeance, Socrates argued that retaliation was always unjust and that the key to enlightenment and social virtue was acting with forbearance toward everyone, friend or enemy. The Buddha similarly taught that focusing on the self led to envy, conceit and pride; only a movement into "no self" would lead to "non-distress" and "unhostility."

When the kingdom of Israel, profitably allied with Assyria, failed to care for its poor, the prophet Amos warned that God would turn against his chosen people if they did not clean up their act. Amos, Armstrong writes, exemplified kenosis, or self-emptying: He believed that "his subjectivity had been taken over by God," so it was not Amos offering radical prophecies but God himself. God had experienced the injustices committed by Israel as painful and humiliating acts against him -- so Amos was calling the Israelites to feel, as their God felt, the sufferings of others.

Though this is a study of ancient history, Armstrong has a present-day agenda. We also live in a time of great social transformation and unrest, and, like the Axial sages, we should foster compassion, self-emptying and justice.

She notes that compassionate spirituality leaves room for doctrine: "This is not to say that all theology should be scrapped or that the conventional beliefs about God or the ultimate are 'wrong.' . . . The test is simple: if people's beliefs -- secular or religious -- make them belligerent, intolerant, and unkind about other people's faith, they are not 'skillful.' If, however, their convictions impel them to act compassionately and to honor the stranger, then they are good, helpful, and sound. This is the test of true religiosity . . . . Instead of jettisoning religious doctrines, we should look for their spiritual kernel."

Armstrong's emphasis on the things that unify Hinduism, Socratic philosophy, Judaism and Confucianism has just a whiff of the old colonialist approach to "world religions," reveling in religions' resemblances without sufficiently acknowledging their particularities. (The Brits who "discovered" Hinduism cast it, and every other religion, in terms that looked a lot like Christianity. Armstrong does much the same thing in reverse, casting Judaism and its spiritual descendants in terms that look a lot like Buddhism.) This approach fails to recognize the ways in which Buddhist compassion and Hindu compassion and Christian compassion and Jain compassion may meaningfully differ. Without an honest appraisal of those differences, it is hard to evaluate, sa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rality of the euthanasia advocate and the radical pro-life Catholic. Whose compassion trumps, that of George W. Bush or of John Paul II?

And yet, Armstrong's call to rededicate our religious selves to compassion, other-directed love and service is downright rousing. People from many different faiths will close this book reminded of the value their tradition places on compassion and recommitted to expressing it in their own religious idiom.

Reviewed by Lauren F. Winner
Copyright 2006, The Washington Post. All Rights Reserved.
----
From AudioFile
During the ninth century BCE, the people of India, China, the area now known as Israel, and Greece developed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that continue today. This era of intense spiritual activity came to be known as the Axial Age and brought us the figures of Buddha, Confucius, Socrates, and the Hebrew prophets. Religious scholar Karen Armstrong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se four traditions, which have in common a call for personal responsibility followed by effective action. The material is deep, with many names of people and places, and requires great concentration. Also, Armstrong is far from aurally engaging. When making transitions, she doesn't uses pauses effectively, a characteristic that causes one to lose track momentarily. R.C.G. © AudioFile 2006, Portland, Maine-- Copyright © AudioFile, Portland, Maine
----
From Booklist
*Starred Review* The foremost English-language historian of religion today, whose A History of God (1993) has become the standard popular work on the great monotheisms, expands upon German philosopher Karl Jaspers' characterization of the long period preceding the rise of Rome--900 to 200 B.C.E.--as the Axial Age. That at first puzzling geometric metaphor crystallizes Jaspers' sense, which Armstrong clearly shares, of that immense era as pivotal in human consciousness. During it the major religious traditions began and refined the moral attitudes they manifest to this day. Commencing as tribal and aristocratic, the pre-Christian religions became personal and democratic as the realm of divinity came to be perceived as transcendent. Most important was the development of nonviolence as a holy ideal, not least because the early religions initially employed violence in their rituals and justified violence by their adherents. The Aryans of northern India and the Chinese, both initially violent, attempted to constrain belligerence and avert chaos by fashioning what became Hinduism and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Taoism, respectively. Meanwhile, the smaller civilizational formations of the Jews and the Greeks responded to experiences of, respectively, periodic near-obliteration and social collapse with monotheism and philosophical rationalism, respectively. Armstrong tells this huge story in 10 chapters that each relate historically parallel developments among the Indians, Chinese, Greeks, and Jews. Magisterially but companionably, she unfolds the successive movements that molded religious consciousness in each nation, explaining them with such clarity that this book ranks with A History of God as one of her finest achievements and an utterly enthralling reading experience. Ray Olson
Copyright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
Excerpt. © Reprinted by permission. All rights reserved.
----
ASRA
THE AXIAL PEOPLES

(c. 1600 to 900 BCE)

The first people to attempt an Axial Age spirituality were pastoralists living on the steppes of southern Russia, who called themselves the Aryans. The Aryans were not a distinct ethnic group, so this was not a racial term but an assertion of pride and meant something like “noble” or “honorable.” The Aryans were a loose-knit network of tribes who shared a common culture. Because they spoke a language that would form the basis of several Asiatic and European tongues, they are also called Indo-Europeans. They had lived on the Caucasian steppes since about 4500, but by the middle of the third millennium some tribes began to roam farther and farther afield, until they reached what is now Greece, Italy, Scandinavia, and Germany. At the same time, those Aryans who had remained behind on the steppes gradually drifted apart and became two separate peoples, speaking different forms of the original Indo-European. One used the Avestan dialect, the other an early form of Sanskrit. They were able to maintain contact, however, because at this stage their languages were still very similar, and until about 1500 they continued to live peacefully together, sharing the same cultural and religious traditions.

It was a quiet, sedentary existence. The Aryans could not travel far, because the horse had not yet been domesticated, so their horizons were bounded by the steppes. They farmed their land, herded their sheep, goats, and pigs, and valued stability and continuity. They were not a warlike people, since, apart from a few skirmishes with one another or with rival groups, they had no enemies and no ambition to conquer new territory. Their religion was simple and peaceful. Like other ancient peoples, the Aryans experienced an invisible force within themselves and in everything that they saw, heard, and touched. Storms, winds, trees, and rivers were not impersonal, mindless phenomena. The Aryans felt an affinity with them, and revered them as divine. Humans, deities, animals, plants, and the forces of nature were all manifestations of the same divine “spirit,” which the Avestans called mainyu and the Sanskrit-speakers manya. It animated, sustained, and bound them all together.

Over time the Aryans developed a more formal pantheon. At a very early stage, they had worshiped a Sky God called Dyaus Pitr, creator of the world. But like other High Gods, Dyaus was so remote that he was eventually replaced by more accessible gods, who were wholly identified with natural and cosmic forces. Varuna preserved the order of the universe; Mithra was the god of storm, thunder, and life-giving rain; Mazda, lord of justice and wisdom, was linked with the sun and stars; and Indra, a divine warrior, had fought a three-headed dragon called Vritra and brought order out of chaos. Fire, which was crucial to civilized society, was also a god and the Aryans called him Agni. Agni was not simply the divine patron of fire; he was the fire that burned in every single hearth. Even the hallucinogenic plant that inspired the Aryan poets was a god, called Haoma in Avestan and Soma in Sanskrit: he was a divine priest who protected the people from famine and looked after their cattle.

The Avestan Aryans called their gods daevas (“the shining ones”) and amesha (“the immortals”). In Sanskrit these terms became devas and amrita. None of these divine beings, however, were what we usually call “gods” today. They were not omnipotent and had no ultimate control over the cosmos. Like human beings and all the natural forces, they had to submit to the sacred order that held the universe together. Thanks to this order, the seasons succeeded one another in due course, the rain fell at the right times, and the crops grew each year in the appointed month. The Avestan Aryans called this order asha, while the Sanskrit-speakers called it rita. It made life possible, keeping everything in its proper place and defining what was true and correct.

Human society also depended upon this sacred order. People had to make firm, binding agreements about grazing rights, the herding of cattle, marriage, and the exchange of goods. Translated into social terms, asha/rita meant loyalty, truth, and respect, the ideals embodied by Varuna, the guardian of order, and Mithra, his assistant. These gods supervised all covenant agreements that were sealed by a solemn oath. The Aryans took the spoken word very seriously. Like all other phenomena, speech was a god, a deva. Aryan religion was not very visual. As far as we know, the Aryans did not make effigies of their gods. Instead, they found that the act of listening brought them close to the sacred. Quite apart from its meaning, the very sound of a chant was holy; even a single syllable could encapsulate the divine. Similarly, a vow, once uttered, was eternally binding, and a lie was absolutely evil because it perverted the holy power inherent in the spoken word. The Aryans would never lose this passion for absolute truthfulness.

Every day, the Aryans offered sacrifices to their gods to replenish the energies they expended in maintaining world order. Some of these rites were very simple. The sacrificer would throw a handful of grain, curds, or fuel into the fire to nourish Agni, or pound the stalks of soma, offer the pulp to the water goddesses, and make a sacred drink. The Aryans also sacrificed cattle. They did not grow enough crops for their needs, so killing was a tragic necessity, but the Aryans ate only meat that had been ritually and humanely slaughtered. When a beast was ceremonially given to the gods, its spirit was not extinguished but returned to Geush Urvan (“Soul of the Bull”), the archetypical domestic animal. The Aryans felt very close to their cattle. It was sinful to eat the flesh of a beast that had not been consecrated in this way, because profane slaughter destroyed it forever, and thus violated the sacred life that made all creatures kin. Again, the Aryans would never entirely lose this profound respect for the “spirit” that they shared with others, and this would become a crucial principle of their Axial Age.

To take the life of any being was a fearful act, not to be undertaken lightly, and the sacrificial ritual compelled the Aryans to confront this harsh law of existence. The sacrifice became and would remain the organizing symbol of their culture, by which they explained the world and their society. The Aryans believed that the universe itself had originated in a sacrificial offering. In the beginning, it was said, the gods, working in obedience to the divine order, had brought forth the world in seven stages. First they created the Sky, which was made of stone like a huge round shell; then the Earth, which rested like a flat dish upon the Water that had collected in the base of the shell. In the center of the Earth, the gods placed three living creatures: a Plant, a Bull, and a Man. Finally they produced Agni, the Fire. But at first everything was static and lifeless. It was not until the gods performed a triple sacrifice—crushing the Plant, and killing the Bull and the Man—that the world became animated. The sun began to move across the sky, seasonal change was established, and the three sacrificial victims brought forth their own kind. Flowers, crops, and trees sprouted from the pulped Plant; animals sprang from the corpse of the Bull; and the carcass of the first Man gave birth to the human race. The Aryans would always see sacrifice as creative. By reflecting on this ritual, they realized that their lives depended upon the death of other creatures. The three archetypal creatures had laid down their lives so that others might live. There could be no progress, materially or spiritually, without self-sacrifice. This too would become one of the principles of the Axial Age.

The Aryans had no elaborate shrines and temples. Sacrifice was offered in the open air on a small, level piece of land, marked off from the rest of the settlement by a furrow. The seven original creations were all symbolically represented in this arena: Earth in the soil, Water in the vessels, Fire in the hearth; the stone Sky was present in the flint knife, the Plant in the crushed soma stalks, the Bull in the victim, and the first Man in the priest. And the gods, it was thought, were also present. The hotr priest, expert in the liturgical chant, would sing a hymn to summon devas to the feast. When they had entered the sacred arena, the gods sat down on the freshly mown grass strewn around the altar to listen to these hymns of praise. Since the sound of these inspired syllables was itself a god, as the song filled the air and entered their consciousness, the congregation felt surrounded by and infused with divinity. Finally the primordial sacrifice was repeated. The cattle were slain, the soma pressed, and the priest laid the choicest portions of the victims onto the fire, so that Agni could convey them to the land of the gods. The ceremony ended with a holy communion, as priest and participants shared a festal meal with the deities, eating the consecrated meat and drinking the intoxicating soma, which seemed to lift them to another dimension of being.

The sacrifice brought practical benefits too. It was commissioned by a member of the community, who hoped that those devas who had responded to his invitation and attended the sacrifice would help him in the future. Like any act of hospitality, the ritual placed an obligation on the divinities to respond in kind, and the hotr often reminded them to protect the patron’s family, crops, and herd. The s...
About the Author
Karen Armstrong is the author of numerous other books on religious affairs, including A History of God, The Battle for God, Holy War, Islam, and Buddha. Her work has been translated into forty languages, and she is the author of three television documentaries. Since September 11, 2001, she has been a frequent contributor to conferences, panels, newspapers, periodicals, and other media on both sides of the Atlantic on the subject of Islam. She lives in London.
---
Product details
Print Length: 592 pages
Publisher: Anchor; 1st edition (March 28, 2006)
Publication Date: March 28, 2006
Language: English
---

Karen Armstrong
 Follow
Biography
Karen Armstrong is the author of numerous other books on religious affairs-including A History of God, The Battle for God, Holy War, Islam, Buddha, and The Great Transformation-and two memoirs, Through the Narrow Gate and The Spiral Staircase. Her work has been translated into forty-five languages. She has addressed members of the U.S. Congress on three occasions; lectured to policy makers at the U.S. State Department; participated in the World Economic Forum in New York, Jordan, and Davos; addressed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in Washington and New York; is increasingly invited to speak in Muslim countries; and is now an ambassador for the UN Alliance of Civilizations. In February 2008 she was awarded the TED Prize and is currently working with TED on a major international project to launch and propagate a Charter for Compassion, created online by the general public and crafted by leading thinkers in Judaism, Christianity, Islam, Hinduism, and Buddhism, to be signed in the fall of 2009 by a thousand religious and secular leaders. She lives in London.
----
Customer reviews
4.5 out of 5 stars
4.5 out of 5
163 customer ratings
5 star 


Top Reviews
Q
5.0 out of 5 stars Worth reading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4, 2017
Verified Purchase
This is an excellent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with focus on Greece, Israel, India, and China. She surveys political developments but also with special attention to religious and philosophical developments and major figures. The Great Transformation is a theory of the "Axial age" from about 900 to 200 BC. The Great Transformation is religious and social in nature. What's amazing is that far distant areas of the world underwent comparable developments at the same time, with no apparent communication: the Hebrew prophets, Buddha, Confucius, Greek tragedians and philosophers. It's like the whole world underwent a religious and philosophical revival. As I understand it, religion is transformed from a ritual practice to one that is more moral and ethical, with a value on self-sacrifice. "Do unto others as you would have them do unto you." Politically there are important developments too, from tribal "compactness" to a more cosmopolitan outlook; and in Israel, we see the beginnings of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the state.

Armstrong has done a lot of research for this book, and she presents the latest thinking on many issues of the time. Most of the time she is careful to present speculation as such, but often she presents speculation as fact. The historical record for this period is very scant.
1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Anne Mills
3.0 out of 5 stars Not Her Best: Perhaps Too Much Breadth to Leave Much Depth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19, 2015
Verified Purchase
This book was something of a disappointment to me, at least compared to several other of Ms. Armstrong's works. Some of her books have been very important to me, offering understanding, knowledge, and even enlightenment. This one, however, falls short of her best efforts, perhaps because it attempts so much. The problem is not the quality of Ms. Armstrong's research or clarity. In discussing the evolution of four major religious/philosophical traditions (the Indian, the Chinese, the Judaic, and the Greek) in the centuries around 500 BC, she imparts an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without overloading or confusing the reader. Rather, it seems to me that she tries to force what she is telling us into a pre- determined conclusion; that religion in general in this period moved away from violence and towards compassion. Certainly, this pattern did appear in the emergence of Buddhism, in some Hebrew texts, and in some strains of Chinese thought. But other, contradictory elements were there as well, and the compassion she finds in Chinese thinking seems very different to me from the compassion of Buddhism, or from contemporary developments in Judaic thought -- let alone what was happening in Greece. This is an interesting and instructive book, but it lacks for me the depth of some of her other works.
20 people found this helpful
----
Richard F. Wilson
5.0 out of 5 stars A challenge worth the effor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y 4, 2017
Verified Purchase
My first comment is that the Amazon post from Publishers Weekly (pasted here) needs an editor..
Karl Jung is not the one who coined the term Axial Age. It was Karl Jaspers.
Furthermore, the review is sensationalistic and misses the key points of Armstrong's work.

"It's not what one may expect from a book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world's religions: 'Crouched in his mother's womb, he lay in wait for his father, armed with a sickle, and the next time Uranus penetrated Gaia, he cut off his genitals and threw them to the earth.' However, the Greek myth of Cronus clearly illustrates Armstrong's main thesis, that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the world's religions during what Karl Jung called the axial age, is a direct result of the violence and chaos, both physical and spiritual, of past civilizations. Armstrong, a former nun turned self-described 'freelance monotheist,' has enough background and personal investment in the material to make it come alive. Her delivery is crystal clear, informative and, though somewhat academic, easy for the layman to understand. Her voice is straightforward yet wrought with palpable concern. This reinforces the book's goals of creating a clear understanding of where religious developments have come from and explaining how today's 'violence of an unprecedented scale' parallels the activities that created the 'axial age' in the first place."

In The Great Transformation (TGT) Armstrong meticulously, but without losing energy, explores the emergence of the pivotal religions of the world that emerged from c. 900 to c. 200 BCE. Her treatment is, first of all, historical and cultural, with emphases upon India (Hinduism and Buddhism), China (Taoism and Confucianism), the Middle East (Judaism), and ancient Greece.
Although Armstrong often is tagged as a comparative religion scholar/writer, she is less interested in comparing religions (comparisons almost always devolve into value assessments that fuel competitive approaches to religion) than she is showing how diverse histories and cultures leave us with deep resonances of religious and spiritual awareness.
Those resonances--including ritual, kenosis (emptying), knowledge, suffering, empathy, and concern for everybody--provide the clues to a careful reader to help understand how regional/cultural/historical expressions of religion finally transcended those beginnings and became viable across cultures and eras in history.
The transformation suggested in the book's title is kaleidoscopic. From time to time and from place to place the resonances emerge from particular circumstances and move toward universally recognized traits of authentic, transformative religions.
A delight found in each chapter is Armstrong's judicious use of primary sacred texts--yes, including Homer's epics and the Greek dramatists broad ouvre--that contextualize the values of religion without attempting to put all religions in one proverbial pot.
Finally, TGT begins with reflections upon recent history (e.g., the fall of the Twin Towers in 2001) and the rise of the perceived certaint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at have had the effect of muting the myths and mysteries found in the history of religions. Armstrong's closing parenthesis, "The Way Forward," holds out the hope those seeking to survive the twenty-first century might find, again, the values of myth and mysteries from ancient and contemporary flowerings of Axial Religion.
Read less
8 people found this helpful
----
Joseph G. Liscouski
5.0 out of 5 stars Really happy I read i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4, 2016
Verified Purchase
There is a lot of stuff in this book and you have to be prepared to spend the time with it, but it is well worth it. It helped answer a lot of questions and gave me a perspective I hadn't had access to before. Really happy I read it, and may read it again - sometimes a book changes you and your point of view and you see things differently the second time around.

If you want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religious thinking, and more importantly, the cultural and historic setting for that development, I'd highly recommend this book. Just be prepared to spend the time needed. This is the third book I've read by this author and I've learned a lot from them.
8 people found this helpful
----
Shawn Thompson aka the intimate ape
4.0 out of 5 stars Outstanding review of the spiritual origins of humanity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5, 2016
Verified Purchase
Whether you believe in religions or not, spirituality or not, this book has a wonderful range of clear, uncluttered, undogmatic and useful insights for the open, enquiring mind about the spiritual origins of humanity. The book is vastly useful because of the intelligent perspective it gives across the origins of spirituality in different places and different cultures and the way it balances and compares the different origins. Armstrong gives us the sense of putting different pieces together in the puzzle of the underlying urge for spirituality in human beings.
4 people found this helpful
----
Kindle Customer
5.0 out of 5 stars Five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June 16, 2015
Verified Purchase
fascinating book
----
Arijit Ghosh
5.0 out of 5 stars Excellent book
Reviewed in India on November 28, 2019
Verified Purchase
Excellent book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evolution of different religions and philosophies in India, China, Middle East and Greece, during the first millennia BCE. Gives us a glimpse of life then with the historical context of what the author calls, the Axial Age.
----
Sarthak Maji
1.0 out of 5 stars Very poor binding
Reviewed in India on August 29, 2019
Verified Purchase
The rating is for binding of the book which is terribly poor... Don't buy the paperback version..
review imagereview image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
Shawn Thompson aka the intimate ape
5.0 out of 5 stars The roots of spirituality in diversity
Reviewed in Canada on August 27, 2016
Verified Purchase
Karen Armstrong gives amazing clarity and insight to the root of spiritual development that in its diversity defines the potential of human nature.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