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28

Against the Wind: Memoir of a Radical Christian: Rumscheidt, Barbara, Rumscheidt, Martin H., Soelle, Dorothee: 9780800630799: Amazon.com: Books

Against the Wind: Memoir of a Radical Christian: Rumscheidt, Barbara, Rumscheidt, Martin H., Soelle, Dorothee: 9780800630799: Amazon.com: Books

Against the Wind: Memoir of a Radical Christian Paperback – May 28, 1999
by Barbara Rumscheidt (Author), & 2 more
4.6 out of 5 stars    11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Paperback
AUD 13.73 
14 Used from AUD 8.48
13 New from AUD 30.39
-----
184 pages
Fortress Press


Editorial Reviews
From the Back Cover
"Written with clarity, eloquence, and passion, Dorothee Soelle's memoirs resound with a clarion call to remember the costs of injustice. Just as we must never forget the horrors of history, so too we must never forget the lives of those who live for justice. Soelle's is such a life, and this account is a gift to the imagination, to the intellect, and to the will. Against the Wind is a joy to read and has much to offer students, scholars, activists, and all who seek to live out an 'indestructible love for life." ---Sharon D. Welch Author of a Feminist Ethic of Risk

About the Author
Martin Rumscheidtis an ordained minister in the United Church of Canada and retired professor of historical theology at the University of Windsor, Halifax, Nova Scotia, and Charles University, Prague. He is the translator of Act and Being (1996)in Dietrich Bonhoeffer Works, English edition, and cotranslator with the late Barbara Rumscheidt of Soelle"s Against the Wind (1999) and The Silent Cry.



Dorothee Soelle was Professor of Theology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New York City, for thirteen years. Among her many influential writings are Great Couples of the Bible (2005; 0-8006-3831-X), Theology for Skeptics (1994; 0-8006-2788-1), and The Silent Cry (2001; 0- 8006-3266-4). She died in 2003.

Excerpt. © Reprinted by permission. All rights reserved.
dorothee soelle a Lutheran who is also a sectarian a poet who is also an essayist a systematic thinker who also live and writes with passion a believer in life who can life creatively within the reality of death acquainted with eschatological exuberance she insists that we pray for the world, but only as we strive to live within it made from dust and created in god's image she gives us ground for hope she believes, along with Dietrich Bonhoeffer, in both resistance and submission but only in their proper proportions she fits no conventional categories and can employ a fairy tale to make a point she is a pacifist who can demand stern commitments because they are already part of her own life she is an activist who is also a mystic she refuses to separate prayer and politics and stresses the redemptive possibilities in every human situation as a scholar, she is deeply immersed in the prophets and as a feminist she is committed to equal rights for all god's children everywhere
Join her. It will be worthwhile; she presents her faith on her own authority, which she has already donated to the glory of God ---A Tribute by Robert McAfee Brown

A few years ago, my friend and editor Johannes Thiele suggested that I write an autobiography. "Are you crazy? I am no unharnessed politician, and I have better things to do!" was my first reaction. But he did not let go. And so a productive tussle arose about what was important and worth telling, what was already prefigured or hinted at in various places of my books and talks, and what could be taken over, brought together, and left out. The result of that tussle or pleasant cooperation is before you. Thank you, dear Johannes. Every headwind also has its upward draft.

Much is missing that a classic autobiography would contain. I have told nothing about my father, nothing about the encounters with Hannah Arendt, Ernst Bloch, President Gustav and Ms. Hilda Heinemann, Premier Johannes Rau. Nor is there anything about my abhorrence of crocheting and knitting or enough about my favorite activities, swimming and singing. I have preferred to speak about certain central aspects of life in poetry, seeing that life brings along enough prose as it is.

I am very glad that this book now also appears in English. It is surely no coincidence that a German woman-theology, who has become rather well-known, found no teaching position in her fatherland but could work in the more liberal world of the American academy. The encounter with that world has enriched and formed me to an extraordinary degree: Being "right in the belly of the beast," as we used to say, that world deepened my fears, but much more than that, it strengthened my hope in people who do not submit to the dictates of the economy, the military, and the advertising industry. Indeed, there was and still is what we always called the "other America." ---from the Preface

This is the highest honor I can offer: The life of Dorothee Soelle speaks for itself. It needs no justification; it refisters no longing to prove itself, to base on appeal on status, education, gender, color, theological niceties.

Indeed the life of Dorothee has been blessed with all the above and more; admiration and friendship come to mind. So does that ironic, unexpected last "blessing" promised the disciples. First, plenty of good things: "homes, brothers and sisters, mothers, children and property." Then the twister: "and persecution besides."

In a sense dear to Bonhoeffer, this woman's theology is worldly. One thing: as the Incarnation is worldly. From Latin America to the U.S. to Europe she has tested the gospel (and been tested!), laying the Word against the realities of this horrific century---torture, disappearance, oligarchic immunity, enforced misery, weapons, warfare, the buttoned-up arrogance of the great powers.

And in personal life as well, testing, testing---in marriage and motherhood, in being pilloried and denied academic place. In aligning herself, to put the matter briefly, with the plight of Jesus in his century or ours; one and the same.

Her writing, here and elsewhere, has the edge and clarity of a telegram to the world. One does not waste words; the time is short. Speak up then, shout aloud, on behalf of the inarticulate and victimized.

And remember, an intellectual also has a heart.

Therefore this heartfelt book. Which is as much about friendship as anything else---or more so.

Let me rejoice, too, in a long friendship with Dorothee. I learn from her. Theology must not be mired or stalemated in the mind. It must enable, induce an imperative.

Stand squarely in the world. And once there, withstand ---Daniel Berrigan, S.J. from the Foreword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J. Cutting
5.0 out of 5 stars Highly recommend. This arrived from a third party in excellent ...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March 25, 2017
Verified Purchase
Having read 'The Silent Cry, Mysticism and Resistance', I wanted to learn more about this profound thoughtful theologian activist. In her memoir 'Against the Wind' written in short chapters she shares the evolution of her spiritual and activist development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her from post war Germany to the early 21st century. Highly recommend.
This arrived from a third party in excellent condition and in a timely fashion.
2 people found this helpful
===
douglas a. dailey
5.0 out of 5 stars Five Star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3, 2017
Verified Purchase
excellent copy
===========
Christina Hennig
3.0 out of 5 stars ... different from others of her publications - not so easy to read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17, 2015
Verified Purchase
this book was different from others of her publications - not so easy to read either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
Steven H Propp
TOP 100 REVIEWER
5.0 out of 5 stars THE GERMAN THEOLOGIAN RECALLS AND EXPLAINS HER LIFE AND WORK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2, 2018
Dorothee Steffensky-Sölle [Soelle] (1929-2003) was a German liberation theologian who taught systematic theology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from 1975 to 1987. She wrote many books, such as  On Earth as in Heaven: A Liberation Spirituality of Sharing , Thinking About God: An Introduction to Theology , The Strength of the Weak: Toward a Christian Feminist Identity , Celebrating Resistance: The Way of the Cross in Latin America , Political Theology , etc.

She wrote in the Preface of this 1995 book, “Much is missing that a classic autobiography would contain. I have told nothing about my father… I have preferred to speak about certain central aspects of life in poetry, seeing that life brings along enough prose as it is… It is surely no coincidence that a German woman-theologian, who has become rather well-known, found no teaching position in her fatherland but could work in the more liberal world of the American academy. The encounter with that world has enriched and formed me to an extraordinary degree… it strengthened my hope in people who do not submit to the dictates of the economy, the military, and the advertising industry.” (Pg. xi)

She recalls of her youth, “I tried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Germany, the dream, and the Nazis, whom, almost without exception, I found repugnant or trivial… My parents had many Jewish friends, and by the time I was eight or nine, I had known what a concentration camp was. As children of parents opposed to the Nazis, we literally grew up with two languages. At home, there was plain language that named the shootings, torture, and deportations. But for school, where frankness was mortally dangerous, our speech was guarded… I knew much, but certainly not everything. I definitely knew nothing of Auschwitz…” (Pg. 4)

In her teen years, “My relationship to Christianity was a critical-liberal one; it had been damaged by the Nazis… I respected the Church inasmuch as it had dared to speak out now and then against what was happening… I could not call it ‘resistance’ because that was too big a word for the church’s actions… Christians were cowards, unable to look nihilism in the eye. I harbored a vulgarized Nietzschean disdain for Christianity… Our religion classes [in school] were so unbearable that my best friends in the grade above mine walked out en masse. I could not bring myself to join in their boycott, because I still wanted to know more---particularly about Jesus, the tortured one who did not become a nihilist… I really could not accept that one had to believe in the virgin bir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rmon on the Mount. Soon a new religion teacher made her appearance … [She] steered us into a radically different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I finally began to look for another philosophy of life. I studied theology in order to get at the truth that had been kept from me long enough. Slowly, a radical Christianity began to nest in me… I tried to make ‘the leap,’ as Søren Kierkegaard called it, into the passion for the unconditional, into the reign of God. I began to become a Christian.” (Pg. 12-13)

As she learned of the Holocaust, “I was preoccupied with the questions of my generation: How could this happen?... All during the fifties, I wanted to know exactly when, where, how, and by whom Jews had been murdered. Then, in the mid-sixties, I tried to develop a ‘post-Auschwitz’ theology---I did not want to write one sentence in which the awareness of that greatest catastrophe of my people was not made explicit… Collective shame is the minimum required for a people with a history like that of the Germans… And I am ashamed again, anew: by the poison gas that German industrialists sold to Israel’s enemies or by the billions German Marks that we could spare for the Gulf War but not for providing potable water to countries plagued with cholera. I need this shame about my people; I do not want to forget anything, because forgetting nurtures the illusion that it is possible to be a truly human being without the lessons of the dead.” (Pg. 16-17)

She explains, “It was Rudolf Bultmann who spoke to where I was in my final high school years… I knew Bultmann to be a Christian hospitable to the Enlightenment. I need not leave my mind at the church door… How could these go together: thinking and believing, criticism and religiosity, reason and Christianity? Bultmann answered such questions with his program of demythologizing… It was not Bultmann’s intention to do away with or dissolve myth but to interpret it… The cat is out of the mythological bag; the stories of Jesus’ empty tomb and of his perhaps filmable resurrection are legends, media in which the first disciple expressed their faith… As a teacher, again and again, [Bultmann] helped people to have the courage for piety and did so no less as a proponent of existence freed from the mythological.” (Pg. 28-29)

She notes, “I had often been asked about my personal reasons for engagement on behalf of Vietnam… One cannot care for a few children while supporting a policy that incinerates so many children, that lets them starve or rot in camps. Another reason I became involved with Vietnam was both personal and Christian. I thought that I had known what it meant when I said, ‘I am a Christian.’ In those words I expressed a relationship to a human being who lived 2,000 years ago and who spoke the truth… I believed his story has implications to this very day… I could find no difference worth mentioning between the newly tested shells and poisons and the ancient technique of killing by crucifixion… The American antiwar movement played a very significant part for me. I was shaped extensively by Christians… This has given me a deep fascination with the United States, so much so that when I moved there, I felt intimations of homecoming. I Western Europe… I almost had to apologize for being a Christian. But in the United States, it was taken for granted; a radical Christian tradition lives there. Political radicalism blossomed forth from Christianity and traveled with it.” (Pg. 45-46)

She points out, “The seminary where I taught has the reputation of being a place of rebelliousness… people were indeed radicalized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Conversion is… an occasion when the grace of god grasps a person usually associated with a specific moment in the person’s life. From this theological tradition, however, arose questions relating to how one’s political awareness came about. Many people have experienced a similar event, a theological-political conversion.” (Pg. 60) Later, she adds, “I became a feminist through the agency of my American women friends. After reading my books in English translation, they campaigned that I be called to Union Theological Seminary.” (Pg. 65) She admits, “Why did I not become a professor in Germany? The reasons certainly had to do with sexism, politics, and church theology… I cannot say that I feel particularly bitter about this. For me… a professorship at a very liberal theological school in the United States was actually ideal.” (Pg. 67)

She acknowledges the difficulty of being a working mother: “Of course, it was a balancing act… My husband and I now divide the work of the home among ourselves… I have four children. Were I a young woman today I would still decide to have children. However strongly I critique patriarchy, my feminism is not separatist in relation to men… after recovery from the damages inflicted by patriarchy, the tasks of humanity remain to be addressed in common with men.” (Pg. 69-70)

She observes, ‘My theology never conformed to the church. I wanted to write ‘edifying discourses’ like Kierkegaard’s. Presumably, my readership so a large extent consists of people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church and who for good reasons no longer attend its services. Often they switch their support to Amnesty International, but still sense that there is something missing in their nonreligious endeavors. They look for and need something different. These are the people whose language I speak.” (Pg. 90)

She states, “I think that today I would no longer define my theological position as ‘political theology.’ … Even when the concept of ‘political theology’ began to be filled with new meaning years ago, it still lacked clarity… Today I am overwhelmed and grateful that the ‘theology of liberation’ … has opened up theological dimensions that are so different from those I knew. I refer to the rereading of the Bible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countries.” (Pg. 98) Later, she laments, “I often fear that Christianity and socialism are hardly anything but dinosaurs in postmodernity… There is no common good whereby human beings feel responsible for what happens in their village, or their part of the city, or to the neighbors and the children… And I ask if it does not take a piece of religious language in order to safeguard a compassionate interrelationship among people, to keep commonality and a life that is good for all.” (Pg. 144)

She concludes, “Theology that is truly alive … does not drop straight from heaven as ‘God’s Word.’ Rather, it constitutes itself in the solidarity of those affected. I continue to understand faith as a mixture of trust and fear, hope and doubt… My life is that of a theological worker who tries to tell something of God’s pain and God’s joy… It was my participation in the worldwide Christian movement toward a Conciliar Process in which justice, peace, and integrity of creation finally, clearly represent the heart of faith. Theologically, I think I am less alone today than years ago.” (Pg. 166)

This is a charming and very informative book, that will be “must reading” for fans of Soelle’s work, and of great interest to those concerned with contemporary/progressive theology.
Read less
3 people found this helpful
==================
Steven H Propp
TOP 100 REVIEWER
5.0 out of 5 stars THE GERMAN THEOLOGIAN RECALLS AND EXPLAINS HER LIFE AND WORK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2, 2018
Dorothee Steffensky-Sölle [Soelle] (1929-2003) was a German liberation theologian who taught systematic theology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from 1975 to 1987. She wrote many books, such as  On Earth as in Heaven: A Liberation Spirituality of Sharing , Thinking About God: An Introduction to Theology , The Strength of the Weak: Toward a Christian Feminist Identity , Celebrating Resistance: The Way of the Cross in Latin America , Political Theology , etc.

She wrote in the Preface of this 1995 book, “Much is missing that a classic autobiography would contain. I have told nothing about my father… I have preferred to speak about certain central aspects of life in poetry, seeing that life brings along enough prose as it is… It is surely no coincidence that a German woman-theologian, who has become rather well-known, found no teaching position in her fatherland but could work in the more liberal world of the American academy. The encounter with that world has enriched and formed me to an extraordinary degree… it strengthened my hope in people who do not submit to the dictates of the economy, the military, and the advertising industry.” (Pg. xi)

She recalls of her youth, “I tried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Germany, the dream, and the Nazis, whom, almost without exception, I found repugnant or trivial… My parents had many Jewish friends, and by the time I was eight or nine, I had known what a concentration camp was. As children of parents opposed to the Nazis, we literally grew up with two languages. At home, there was plain language that named the shootings, torture, and deportations. But for school, where frankness was mortally dangerous, our speech was guarded… I knew much, but certainly not everything. I definitely knew nothing of Auschwitz…” (Pg. 4)

In her teen years, “My relationship to Christianity was a critical-liberal one; it had been damaged by the Nazis… I respected the Church inasmuch as it had dared to speak out now and then against what was happening… I could not call it ‘resistance’ because that was too big a word for the church’s actions… Christians were cowards, unable to look nihilism in the eye. I harbored a vulgarized Nietzschean disdain for Christianity… Our religion classes [in school] were so unbearable that my best friends in the grade above mine walked out en masse. I could not bring myself to join in their boycott, because I still wanted to know more---particularly about Jesus, the tortured one who did not become a nihilist… I really could not accept that one had to believe in the virgin bir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rmon on the Mount. Soon a new religion teacher made her appearance … [She] steered us into a radically different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I finally began to look for another philosophy of life. I studied theology in order to get at the truth that had been kept from me long enough. Slowly, a radical Christianity began to nest in me… I tried to make ‘the leap,’ as Søren Kierkegaard called it, into the passion for the unconditional, into the reign of God. I began to become a Christian.” (Pg. 12-13)

As she learned of the Holocaust, “I was preoccupied with the questions of my generation: How could this happen?... All during the fifties, I wanted to know exactly when, where, how, and by whom Jews had been murdered. Then, in the mid-sixties, I tried to develop a ‘post-Auschwitz’ theology---I did not want to write one sentence in which the awareness of that greatest catastrophe of my people was not made explicit… Collective shame is the minimum required for a people with a history like that of the Germans… And I am ashamed again, anew: by the poison gas that German industrialists sold to Israel’s enemies or by the billions German Marks that we could spare for the Gulf War but not for providing potable water to countries plagued with cholera. I need this shame about my people; I do not want to forget anything, because forgetting nurtures the illusion that it is possible to be a truly human being without the lessons of the dead.” (Pg. 16-17)

She explains, “It was Rudolf Bultmann who spoke to where I was in my final high school years… I knew Bultmann to be a Christian hospitable to the Enlightenment. I need not leave my mind at the church door… How could these go together: thinking and believing, criticism and religiosity, reason and Christianity? Bultmann answered such questions with his program of demythologizing… It was not Bultmann’s intention to do away with or dissolve myth but to interpret it… The cat is out of the mythological bag; the stories of Jesus’ empty tomb and of his perhaps filmable resurrection are legends, media in which the first disciple expressed their faith… As a teacher, again and again, [Bultmann] helped people to have the courage for piety and did so no less as a proponent of existence freed from the mythological.” (Pg. 28-29)

She notes, “I had often been asked about my personal reasons for engagement on behalf of Vietnam… One cannot care for a few children while supporting a policy that incinerates so many children, that lets them starve or rot in camps. Another reason I became involved with Vietnam was both personal and Christian. I thought that I had known what it meant when I said, ‘I am a Christian.’ In those words I expressed a relationship to a human being who lived 2,000 years ago and who spoke the truth… I believed his story has implications to this very day… I could find no difference worth mentioning between the newly tested shells and poisons and the ancient technique of killing by crucifixion… The American antiwar movement played a very significant part for me. I was shaped extensively by Christians… This has given me a deep fascination with the United States, so much so that when I moved there, I felt intimations of homecoming. I Western Europe… I almost had to apologize for being a Christian. But in the United States, it was taken for granted; a radical Christian tradition lives there. Political radicalism blossomed forth from Christianity and traveled with it.” (Pg. 45-46)

She points out, “The seminary where I taught has the reputation of being a place of rebelliousness… people were indeed radicalized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Conversion is… an occasion when the grace of god grasps a person usually associated with a specific moment in the person’s life. From this theological tradition, however, arose questions relating to how one’s political awareness came about. Many people have experienced a similar event, a theological-political conversion.” (Pg. 60) Later, she adds, “I became a feminist through the agency of my American women friends. After reading my books in English translation, they campaigned that I be called to Union Theological Seminary.” (Pg. 65) She admits, “Why did I not become a professor in Germany? The reasons certainly had to do with sexism, politics, and church theology… I cannot say that I feel particularly bitter about this. For me… a professorship at a very liberal theological school in the United States was actually ideal.” (Pg. 67)

She acknowledges the difficulty of being a working mother: “Of course, it was a balancing act… My husband and I now divide the work of the home among ourselves… I have four children. Were I a young woman today I would still decide to have children. However strongly I critique patriarchy, my feminism is not separatist in relation to men… after recovery from the damages inflicted by patriarchy, the tasks of humanity remain to be addressed in common with men.” (Pg. 69-70)

She observes, ‘My theology never conformed to the church. I wanted to write ‘edifying discourses’ like Kierkegaard’s. Presumably, my readership so a large extent consists of people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church and who for good reasons no longer attend its services. Often they switch their support to Amnesty International, but still sense that there is something missing in their nonreligious endeavors. They look for and need something different. These are the people whose language I speak.” (Pg. 90)

She states, “I think that today I would no longer define my theological position as ‘political theology.’ … Even when the concept of ‘political theology’ began to be filled with new meaning years ago, it still lacked clarity… Today I am overwhelmed and grateful that the ‘theology of liberation’ … has opened up theological dimensions that are so different from those I knew. I refer to the rereading of the Bible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countries.” (Pg. 98) Later, she laments, “I often fear that Christianity and socialism are hardly anything but dinosaurs in postmodernity… There is no common good whereby human beings feel responsible for what happens in their village, or their part of the city, or to the neighbors and the children… And I ask if it does not take a piece of religious language in order to safeguard a compassionate interrelationship among people, to keep commonality and a life that is good for all.” (Pg. 144)

She concludes, “Theology that is truly alive … does not drop straight from heaven as ‘God’s Word.’ Rather, it constitutes itself in the solidarity of those affected. I continue to understand faith as a mixture of trust and fear, hope and doubt… My life is that of a theological worker who tries to tell something of God’s pain and God’s joy… It was my participation in the worldwide Christian movement toward a Conciliar Process in which justice, peace, and integrity of creation finally, clearly represent the heart of faith. Theologically, I think I am less alone today than years ago.” (Pg. 166)

This is a charming and very informative book, that will be “must reading” for fans of Soelle’s work, and of great interest to those concerned with contemporary/progressive theology.
Read less
=======================
Sela Finau
5.0 out of 5 stars a wind view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16, 2009
This is one of my favorite books. If you have not gotten the chance to read any of Dorothee Soelle's writings, let this be your intro; she is an amazing writer. Dorothee Soelle was a very open-minded theologian, radical with her thoughts and deeply considerate with her heart. Her heart-filled and beautiful stories are very moving to say the least. It is rich, real, well written, and worth the few pennies you'll invest.
11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Dorothee Soelle - Biography by Renate Wind | Goodreads

Dorothee Soelle - Mystic and Rebel: The Biography by Renate Wind | Goodreads:


Dorothee Soelle - Mystic and Rebel: The Biography
by Renate Wind, Martin Rumscheidt (Translator)
 4.20  ·   Rating details ·  15 ratings  ·  4 reviews


Renate Wind has composed a well-researched and searching biography of Dorothee Soelle (19292003), who became a true religious provocateur and one of the most prolific and widely read theologians of the postwar period.

Born in Germany and educated at the University of Cologne, Soelle turned from literary studies to theology, concentrating on rethinking Christian convictions in light of World War II and the Holocaust. A poet and activist as well as theologian, after her arrival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1974, where she assumed the post previously held by Paul Tillich, Soelle became a leading voice for the liberation of women and against militarism, especially the Vietnam War. Her person, work, travels, and the times themselves combined to make her a pioneer and leader in the most exciting developments of the period: political theology, feminist theology, and liberation theology.

Among her influential works were Christ the Representative (1967), Suffering (1975), To Work and to Love (1984), Theology for Skeptics (1994), and The Silent Cry (2001).

Winds short and insightful biography is informed by extensive interviews with Soelles friends and family, especially her husband, Fulbert Steffensky, by use of the familys archives, and by Winds extensive knowledge of contemporary theology, political history, and the contemporary church. (less)

 Average rating4.20  ·  Rating details ·  15 ratings  ·  4 reviews
====
riley
Nov 18, 2020riley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r-e
What a beautiful biography. Wind writes about the visionary Soelle in a tender way that makes it clear she carried affection for the late "mystic and rebel", yet openly and honestly, painting her as a real person full of flaws and contradictions throughout her passionate life.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Luke Hillier
Dec 05, 2020Luke Hillier rated it liked it
Shelves: academic-religion, christianity, memoir-bio

I read this quite quickly while working on a paper that explores some of Soelle's theological ideas and ideals. It was a perfectly adequate biography that included chapters on Dorothee's life from childhood until her death, obviously with most focus around her adult years as a theologian and professor. I found that it relied quite heavily on Soelle's own memoir and work, which gave the book more a "review" or "compilation" quality than I prefer. I think more analysis from the author drawing connections or expounding on different details would have added meaningful richness to the text. 

Notably, I felt like this quality was most prominent when discussing Soelle's time in NYC, during which Wind seemed to feel more permission to speak critically of her subject. While it was disappointing and disillusioning to discover that, despite her radical politics and avowed concern for the poor, marginalized, and oppressed at a theological level, Dorothee struggled as many academics do to engage meaningfully in relationship with people of those categories. 

I appreciated Wind's willingness to burst that bubble a bit, especially with the rest of the book being so complementary. That said, Soelle is certainly depicted as a faithful, fascinating, and deeply compelling figure here and this was helpful in establishing a sort of timeline to her life and the development of her thought.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Axel
Apr 09, 2018Axel rated it really liked it
Renate Wind writes a short, but compelling and even-handed portrait of Dorothee Soelle. I was introduced to Soelle's writings in a course on evil in the Christian tradition, and was intrigued by her early critical work on the concept of Christo-fascism, a cultural and theological cooption of Christianity by imperialist/nationalist/fascist movements. This text gives a deeper appreciation of her development of the concept. Seeing Soelle's growth from a callow child in Nazi Germany to a legendary theological rabble-rouser in late 20th century America gives us a deeper appreciation of her critical and prophetic works. Of particular interest, the book spent a share of its time presenting her place in the wider circle of mid-late 20th century German theologians. While she was clearly treated with disdain by the German church and academy as a whole, it was very interesting to see how a number of theologians we treat with reverence today (Moltmann, Bultmann, etc.) held her with a much higher esteem.

Plus, it introduced me to the word "Piet-cong" - a rather amusing if dark German wordplay for the historically and conceptually surprising, but increasingly common pietistic/hardline-leftist theologians in academic settings.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Barbara P
Apr 16, 2013Barbara P rated it it was amazing
Years ago while in Seminary I read a couple of books by Dorothee Soelle, a Liberation Theologian. Her work and life and writings inspired me. The recent biography showed up in our PP library. I read the book last week while away from home. The author wrote a short and to the point biography of her life and I was again enthralled with her life and struggles. Her life as a theologian and mystic began in earnest after the war. She lived in Germany and witnessed the murders of the Jews and its aftermath. In her searching and with a brillant mind she wanted to understand God in lieu of the evil AND good in the world. She became such a committed and outspoken Christian she was never allowed to teach at a German University. She did, however, become a member of the Union Seminary for some 10 years. She taught there six months of a year and spent the other six months in Germany with her husband and children. Soelle was a poet, activist as well as theologian and became a leading voice for the liberation of women and against militarism, especially the Vietnam War. She was a pioneer in so many areas: feminist theology, political theology and liberation theology. I am so grateful for her life and teaching. She died in 2003. (less)
===



Editorial Reviews

"This book is a bole wide-ranging work. Dorothee emerges as a mystical Midas-like Figure who turned to gold the lives she touched by her insight and resolve." --Daniel Berrigan, University Poet-in-Residence, Fordham Univeristy

"Dorothee Soelle was one of the most evocative (and provocative!) voices in the Christian theological discourse of our era. Influenced by some of the leading thinkers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shocked into action by the post-war revelations about her nation and society, Soelle realized more than most that the ‘theology of the cross’ is a political theology. Renate Wind's biography, in this excellent translation, is a much-needed and lucid guide to the works of this inspired and fearless Christian witness." --Douglas John Hall, McGill University

"Through engaging the horrors of war, Christian anti-Semitism, and the depths of other suffering caused by human injustice, Dorothee Soelle developed a deep theo-poetics as she lived. Wind tells of her very particular struggles and joysof belonging and identity, Christian faith and reason, politics and prayer, the personal and the public. A most welcome biography of this fascinating and pre-eminent political theologian and eco-peace activist." --Marilyn J. Legge, Emmanuel College, Toronto

"orothee Soelle was one of the most evocative (and provocative!) voices in the Christian theological discourse of our era. Influenced by some of the leading thinkers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shocked into action by the post-war revelations about her nation and society, Soelle realized more than most that the ‘theology of the cross’ is a political theology. Renate Wind's biography, in this excellent translation, is a much-needed and lucid guide to the works of this inspired and fearless Christian witness." --Douglas John Hall, McGill University

"Through engaging the horrors of war, Christian anti-Semitism, and the depths of other suffering caused by human injustice, Dorothee Soelle developed a deep theo-poetics as she lived. Wind tells of her very particular struggles and joysof belonging and identity, Christian faith and reason, politics and prayer, the personal and the public. A most welcome biography of this fascinating and pre-eminent political theologian and eco-peace activist." --Marilyn J. Legge, Emmanuel College, Toronto

"orothee Soelle was one of the most evocative (and provocative!) voices in the Christian theological discourse of our era. Influenced by some of the leading thinkers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shocked into action by the post-war revelations about her nation and society, Soelle realized more than most that the ‘theology of the cross’ is a political theology. Renate Wind's biography, in this excellent translation, is a much-needed and lucid guide to the works of this inspired and fearless Christian witness." --Douglas John Hall, McGill University

"Through engaging the horrors of war, Christian anti-Semitism, and the depths of other suffering caused by human injustice, Dorothee Soelle developed a deep theo-poetics as she lived. Wind tells of her very particular struggles and joys—of belonging and identity, Christian faith and reason, politics and prayer, the personal and the public. A most welcome biography of this fascinating and pre-eminent political theologian and eco-peace activist." --Marilyn J. Legge, Emmanuel College, Toronto


About the Author
Martin Rumscheidtis an ordained minister in the United Church of Canada and retired professor of historical theology at the University of Windsor, Halifax, Nova Scotia, and Charles University, Prague. He is the translator of Act and Being (1996)in Dietrich Bonhoeffer Works, English edition, and cotranslator with the late Barbara Rumscheidt of Soelle"s Against the Wind (1999) and The Silent Cry.



Nancy Lukensis Professor Emerita of German and Women's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New Hampshire. Her translations include among others three volumes in Dietrich Bonhoeffer Works, English edition: Sanctorum Communio (1998, with Reinhard Krauss), Fiction from Tegel Prison (2000), and Bonhoeffer"s prison poetry and late correspondence in Letters and Papers from Prison (2010), as well as Daughters of Eve: Women Writers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1993). She and her husband, Martin Rumscheidt, are co-translators of Soelle"s The Mystery of Death (2007).



Renate Wind lives in Heidelberg and is Professor of Biblical Theology and Church History at the Evangelische Hochschule Nurnberg. She has been engaged for many years in the peace movement and is author of Dietrich Bonhoeffer: A Spoke in the Wheel (1991).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Fortress Press (April 15, 2012)
Language ‏ : ‎ English
Hardcover ‏ : ‎ 224 pages
Customer Reviews: 4.4 out of 5 stars    2 rating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Clint Schnekloth
5.0 out of 5 stars 
A theologian who should be more widely known and read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26, 2013

This is a lovely and convicting biography. It's lovely in that it focuses the reader on crucial aspects of Soelle's career, always walking that delicate balance between telling the story of a life and evaluating the theological contributions of the theologian under examination.

Renate Wind is a concise and fair biographer. She knows her material well. In the end, readers of this biography will have an excellent sense of the challenges Soelle was confronted with as perhaps the most prominent female theologian of the last generation. More importantly, readers will know Soelle's contributions to that theology, which are as much in her actions as an advocate for social justice as they were in her theology itself.

The two are so intimately tied together as to be inseparable.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ologians and Christians of all types will be Wind's thesis, summarized in the sub-title, that Soelle brought mystical theology and rebel (liberation?) theology into conversation with each other. Or one could say how they energize each other.

Soelle also writes some of the first theology after Auschwitz, theology after the death of God, eco-theology, and theology inviting the world into the rising ecumenical and inter-faith conversations of the 20th century.

That she was also a political activist centered out of the political evensong movement in journey makes her life story even that more compelling.

You won't be disappointed with this biography, and it will convince you that reading the biographies of prominent theologians is well worth the time.
Read less
4 people found this helpful
===
Matthijs Kronemeijer
3.0 out of 5 stars 
OK introduction to Sölle, disappointing as a bio but good picture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29, 2016

I was disappointed as I read this biography alongside Solle's own memoirs "Against the Wind" (Gegenwind). The biography does very little more than retelling the memoirs. Almost every telling anecdote pre-1995 that's in the biography is also in Against the Wind. There is not enough independent engagement.
What I did like though is the selection of pictures. And there is some extra info about her (especially on her divorce and second marriage) that is quite valuable. It is a carefully edited book that probably does well as a gentle introduction to Sölle. I first gave two stars but now I made it three. But I still think a biography of a person who has written so engagingly about herself should have more to add.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Report abu

알라딘: 너 자신을 혁명하라 함석헌 (지은이),김진 (엮은이)

알라딘: 너 자신을 혁명하라



너 자신을 혁명하라
함석헌 (지은이),김진 (엮은이)
오늘의책2003-03-10




7.0 100자평(1)리뷰(6)
품절 출판사/제작사 유통이 중단되어 구할 수 없습니다.
248쪽

책소개
함석헌은 한국 근대사를 서술할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로, 역사, 언론, 종교, 정치와 사회운동 영역에서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에게 영향을 받은 인물로는 장기려 박사, 장준하 선생, 문익환 목사, 원경순 선생등을 들 수 있다.

이 책은 함석헌이 남겼던 말과 글들을 모아 놓은 '명상집'이다. 학문으로서 그의 사상을 파고드는게 아닌, 그의 글 속에서 자신과 세상에 대한 자연스러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도록, 그래서 '명상과 실천'의 조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5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책은 참된 나를 되돌아 보게 하는 글, 생명과 전체에 대한 글, 올바른 가치관과 역사 의식에 관한 글, 편견과 자만에 빠지지 않은 참된 종교와 믿음에 관한 글, 마지막으로 몸과 마음을 닦고 인생의 참 의미를 깨닫게 하는 글로 이루어져 있다.


목차


서문

1. 참 찾아 나선 혼
2. 생명의 우주와 하나되어
3. 이 역사에 씨알로 서서
4. 미완성의 하나님
5. 아름다워라, 우리의 삶이여


책속에서



네 맘을 좀더 가라앉혀라. 좀더 속을 들여다보아라, 참 자유를 얻기 위하여 숨을 좀더 죽이고 생각을 좀더 고요히 해 보아라.
새벽 밝기 전에 명상의 낚시로 잡은 산 고기가 있는 사람은 종일 피곤을 모르고 슬픔을 모르고 독수리처럼 영원을 향해 올라간다. 그 사람은 낚는 줄도 모르게 많은 영혼을 낚을 것이다. -42쪽 - 이누아
이제 기도해라, 새로 내는 네 맘의 뿌리가 지구의 중심을 뚫도록까지 기도를 끊지 마라, 맘 박기를 쉬지 마라. 네 맘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라. 네 가슴 속에서 빛이 환하게 날 때까지 열도를 내리지 마라. 맑아져서 새벽 이슬 같을 때까지. 향기로워서 향기로워서 아침 연못의 연꽃 같을 때까지, 동짓달 밤하늘의 별보다 더 거룩하도록, 그래, 거룩해야 한다. -57쪽 접기 - 이누아
산을 움직이는 믿음은 사실은 나를 움직이는 믿음이다. 산보다도 더 무거운 것은 내 몸이다. -85쪽 - 이누아
진리는 체험해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체험은 몸으로 앎이다. 몸으로 하기 전엔 참이 아니다. 마음이 옹근(통일) 것이 함(행동)이요, 함이 맺힌 것이 몸이다.-196쪽 - 이누아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함석헌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일제하의 민족 운동가, 그리고 이후 민주주의 인권 운동가이자 종교·평화 사상가로서 끝없는 실천의 인생을 산 함석헌(咸錫憲)은 아버지 함형택(咸亨澤)과 어머니 김형도(金亨道) 사이에서 5남매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1916년에 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의사로서의 진로를 결정, 경성의학전문학교를 갈 생각으로 평양의 관립인 평양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한다. 2학년이던 1917년 8월 부모님의 뜻에 따라 이웃 마을에 살던 황득순(黃得順)과 결혼을 한다(슬하에 2남 5녀). 3학년이 되던 1919년에 당시 숭실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이었던 친척 형 함석은이 찾아와 평안남북도 학생 운동의 책임을 그에게 맡기고 역사적인 3·1 운동을 직접 경험하게 되면서 의사를 꿈꾸던 함석헌의 생애는 크게 바뀌게 된다.
3·1 운동 참여 이후 학교를 자퇴하게 된 함석헌은 소학교에서 교편을 잡거나 수리조합에서 조합원 일을 하며 2년 간 방황하다가, 아버지의 권유로 일단 학업을 이어 나가기 위해 경성으로 가게 된다. 신학기 시작을 놓쳐 입학할 학교를 찾지 못했던 그는 함석규 목사의 추천을 받아 1921년 정주의 오산중학교 3학년으로 입학한다.
1923년 오산학교를 졸업하고 도쿄로 유학길에 오른 함석헌은 고심 끝에 교육자로서의 진로를 정하고 이듬해 도쿄고등사범학교 문과 1부(甲組)에 입학하게 되었으나, 당시 일본식 국가주의로 무장된 직업 교사 양성을 목표로 하는 학교의 수업 과정에는 큰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대신, 평생 친구가 되는 김교신(金敎臣)과 친분을 가지게 되고 이어 그가 나가고 있던 우치무라 간조의 성경 연구 모임에 같이 참여하게 되면서 우치무라의 무교회주의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김교신을 포함해 여기서 만난 조선인 친구들(유석동, 송두용, 정상훈, 양인성) 6명은 별도의 모임을 만들어 성서 연구를 지속하면서 1927년 7월 동인지 성격의 ≪성서조선(聖書朝鮮)≫을 도쿄에서 창간한다. 창간호(국판 44쪽)에 발표된 <먼저 그 의를 구하라>는 활자화된 함석헌의 첫 번째 글이라고 할 수 있다.
1928년 도쿄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한 함석헌은 귀국 후 오산학교에 부임해 역사와 수신(修身)을 가르친다. 한편으로는 ≪성서조선≫을 발행하면서 ‘성서조선 독자회’를 열고 다수의 글을 발표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본격적으로 하게 되지만 그의 무교회주의 방식의 신앙 운동은 기존 기독교인들에게 배척을 받기도 한다. 이에 개의치 않고 자신만의 종교 사상을 개척해 나가던 함석헌은 1933년 12월 30일부터 이듬해 1월 5일까지 송두용의 집(서울 오류동)에서 가진 성서 모임에서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 역사> 초고를 발표하고 토론을 거친 뒤 2월부터 1935년 12월까지 ≪성서조선≫에 연재한다. 일제에 의한 조선의 역사 왜곡이 본격화되던 시기에 우리의 역사를 바로 보고자 하는 이 글은 그의 대표작으로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해방 이후 이 글은 일제 당시 검열로 삭제되었던 부분을 포함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으며(1950. 3. 28), 이후에는 ‘성서적 입장’을 빼고 대폭 수정해 ≪뜻으로 본 한국 역사≫(1962)로 제목을 변경·출간했는데 민중의 고난을 중심으로 하는 이른바 ‘씨? 사관’을 보여 주는 그의 중요한 저술이다.
일제 말기 점점 노골화되던 식민지 교육 정책 속에서 창씨개명과 일본어 교육이 강조되자 더 이상 선생직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 함석헌은 1938년 오산학교를 그만두고, 과수원을 경영하기도 했는데 이해에 자식 둘을 홍역으로 잃는다. 1940년 평양 송산리의 송산(松山)농사학원을 인수해 거처를 옮긴다. 하지만 전 주인이었던 김두혁(金斗赫)이 도쿄로 유학 가서 도쿄농과대학 조선인 졸업생들과 만든 소위 ‘계우회(鷄友會)’ 모임 사건으로 구속되었는데, 함석헌도 연루자로 검거되어 1년 여 동안 평양의 대동경찰서에 수감되었다. 결국 농사학원은 폐원되었고, 아버지는 옥살이 중에 세상을 떠나게 되어 임종을 지키지 못하게 된다.
1942년 3월 ≪성서조선≫에 김교신이 쓴 권두언을 문제 삼은 일제의 폐간 조치와 더불어 함석헌 역시 연루자로 지목되면서 다시 서대문 형무소에서 1년간 복역한다. 출소 후, 고향에서 농사를 짓고 있던 중 오랜 벗이자 스승의 관계였던 김교신의 사망으로 인한 큰 충격과 슬픔 속에서 해방을 맞게 된다.
해방 공간에서 여러 자리에 불려 다니며 평안북도 임시 자치 위원회 문교부장을 맡기도 하였으나, 반소(反蘇)?반공(反共) 시위인 ‘신의주 학생 사건’에 연루되어 소련군 사령부에 의해 체포되어 평안북도 경찰부 유치장에 또다시 50여 일을 감금당하고 만다. 석방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오산학교에 뿌려진 반정부 전단의 배후 인물로 지목되어 또다시 투옥된다. 별다른 용의점이 없어 한 달 만에 석방되었으나,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땅 때문에 당시 내려진 ‘지주 숙청령’의 대상이 되었고 이를 피하기 위해 결국 1947년 월남을 감행한다. 1년여 후 아내와 자식 일부도 월남했으나, 어머니는 내려오지 못하고 이산가족이 된다.
월남 직후 오류동 노연태의 집에서 지내면서 YMCA 강당에서 일요 종교 집회를 시작하고, 유영모 선생 등과 함께 모임을 가지던 중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대구, 김해 등지로 피난을 가게 되는데 이때 가진 한 성서집회에서 그간의 무교회주의와 결별하는 신앙적 변화를 겪게 된다. 퀘이커(Quaker)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이즈음으로 여긴다. 휴전 이후 다시 서울에 올라와 강연 활동과 양계장을 하며 어렵게 삶에 정착해 나가는 가운데 ≪말씀≫, ≪편지≫ 등의 신앙 잡지에 여러 글을 발표한다. 그중 1956년 ≪사상계≫ 1월호에 발표한 <한국의 기독교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는 글에서 그는 기독교의 타락상과 계급화를 비판했는데, 이 글은 그의 이름을 널리 알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이후에도 함석헌은 ≪사상계≫에 영향력이 큰 글들을 발표하면서 장준하와 함께 군사 독재와 치열하게 싸우는 길을 걷게 된다. 한편으로는 언제나 꿈꾸어 왔던 ‘이상촌’을 위해 기증(정만수 장로)받은 천안(봉명동)의 땅에서 교육과 농사를 함께하는 공동체를 운영하기도 했다. 이곳의 이름을 ‘씨?농장’이라고 했는데, 후일에 직접 번역해 책으로 출간한 간디의 자서전을 읽게 된 것도 이 무렵이다.
1958년 8월호 ≪사상계≫에 발표한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로 국가 보안법 위반 혐의를 받아 서대문 형무소에 20여 일간 구금되는, 이승만 정권 시기 대표적인 필화 사건을 겪는다. 함석헌의 첫 번째 정치 평론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글로 인한 필화 사건 이후 함석헌은 오히려 왕성하게 글들을 발표하면서, ‘씨?농장’에서 시국을 참회하는 단식 투쟁을 전개하는 등 사회적인 목소리를 높여 간다. 1961년 ≪사상계≫ 7월호에 쿠데타를 통해 집권하게 된 당시 군부 정권을 비판하는 글 <5·16을 어떻게 볼까>로 인해 사장이었던 장준하와 취재부장이 중앙정보부에 체포되기도 했으나 당시 대중에게 끼치는 영향력 때문이었는지 정작 함석헌을 체포하지는 못했다.
1962년 2월 미 국무성의 초청으로 3개월 예정 방미 길에 오른다. 귀국한 직후 7월에 오산학교 강당에서 귀국 강연회(오산학교 동창 주최)를, 이어 시민회관(지금의 세종문화회관)에서 ≪사상계≫주최의 시국 강연회를 연다. 수많은 인파가 몰려들어 미처 입장하지 못한 시민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기마 경관대까지 출동한 이 강연회를 함석헌은 스스로 ‘사회 참여의 시작’으로 보았는데, 이후 장준하와 더불어 활발한 강연을 통해 군사 정권의 잘못을 꾸짖는 한편 굴욕적인 한일 협정의 비준을 반대하는 활동을 한다. 1965년에는 이를 위해 각 분야 인사 30여 명이 결성한 조국 수호 국민 협의회의 상임 대표로 선출되기도 한다.
1969년 박정희 정권의 3선을 위한 개헌을 앞두고 반대 시위에 앞장서는 한편, 1970년에는 4·19혁명 10주년에 맞추어 개인 잡지 성격의 월간지 ≪씨의 소리≫를 창간하지만 두 달 만에 폐간 조치를 당하게 된다. 이후 법정 투쟁 끝에 승소해 이듬해 8월에야 복간호로 3호를 발행할 수 있게 되었다.
1971년에는 이후 1988년까지 지속된 ≪노자≫와 ≪장자≫ 접기


최근작 : <매일, 시 한 잔 : 두 번째>,<[큰글씨책] 함석헌 수필선집 >,<함석헌 수필선집> … 총 59종 (모두보기)

김진 (엮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십 대 때 성경말씀 읽기에 빠져 평생 성경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길을 가고자 신학대학에 입학했다. 신학대학 재학 중, 예수전도단(YWAM) DTS를 마치고 대학부 간사를 했다. 신앙 수도공동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후, 이십 대 중반에 한국인 최초로 스위스 라브리 공동체(L’Abri Fellowship)에서 생활하며 공부했다.
총신대학, 한신대학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프랑크프트 대학 신학부에서 신학과 종교학의 경계학문인 종교신학을 공부해 박사학위를 받았다.(Ph.D) 독일 유학 중, 인도 푸나에 있는 “드 나빌리 칼리지”에 교환학생으로 공부한 것이 계기가 되어, 영성과 수련에 더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귀국 후, 여러 대학에서 신학과 종교학을 강의했고, <크리스챤 아키데미>에서 근무한 후, 인도선교사로 생활했다. 한국 최초의 도심 속 기독교명상 센터 <예수도원>을 개원했고, 40대 초반 인도를 오가면서 10년을 생활하며 “씨알아쉬람”을 개원했으며, 실롱(Silong)에 있는 마틴 루터 대학에서 연구 방문교수로 생활했다.

(재)밀알복지재단 사목으로 사역했고, 생활수도 공동체인 <예수나무공동체> 꿈꾸고 있다. 현재에는 북한 장애인을 위한 활동을 주로하는 (사)글로벌블레싱 상임대표로 일하고 있면서 동시에 예수향남교회 협동목사로 사역하고 있다.
신부와 스님과 함께하는 <삼인삼색> 토크쇼로 KBS <아침마당>, <여유만만> 출연했으며, 현재 SBS 라디오 <시사특공대>에 고정으로 출연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김진의 영성시리즈>, <나의 질긴 외로움을 만지시는 이>, <하나님과 내통하라>, <간디와 대화>, <예수공부법> 등 20 여권의 책이 있다,
E-mail : kimsanjin1@naver.com 접기


최근작 : <왜 기독교인은 예수를 믿지 않을까?>,<예수공부법>,<간디와의 대화 어떻게 살 것인가> … 총 31종 (모두보기)


북플 bookple

평점
분포

7.0
전체 (1)

공감순

함석헌 선생의 사상을 단편적인 글 모음으로 보여주기는 무리인듯.
madwife 2015-10-31 공감 (1) 댓글 (0)


마이리뷰

구매자 (3)
전체 (6)


[마이리뷰] 너 자신을 혁명하라


씨알 함석헌 명상집.

책 제목만 보면 흔히 유행하는 자기계발서 같지만, 내용적으로 깊이가 일반 자기계발서와는 다르다. (책 내용 중 `몸은 언제나 꼿꼿이 가지자`, `늘 하늘을 우러러보자`, `닭 울기에 일어나 하루 살림 준비를 하자`, `날마다 글 읽기를 잊지 말자`, `먹고 입음을 간단히 하자`, `내 몸 거둠을 내가 하자`, `때때로 산과 바다에 가자`, `술, 담배를 마시지 말자`, `산 물건을 죽이지 말자`, `하루 한번 땀을 흘리자`, `시골을 지키자`, `빚을 지지 말자`라는 삶에 대한 조언도 있기에, 자기계발서의 측면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혁명(革命)은 개인의 혁명이 아니라, 민중(民衆) 전체의 혁명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개인의 변화를 말하는 자기계발서와 큰 차이가 있다. 마치, 대학(大學)에서 말하는 `修身-齊家- 治國-平天下` 중에서 일반 서적은 `修身` 측면을 강조하는데 반해, 이 책은 `平天下`까지 말하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또한, 책의 두께는 그리 두껍지 않지만, 동양 고전, 성경, 불경에 대한 어느 정도의 배경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책 곳곳에 고전에 대한 인용과 설명이 예고도 없이 튀어나와, 나 같은 초보자들은 초반에 질려 버릴 수가 있다. 실제로 초반부에 나오는 한 단락이다.

˝생각은 스스로 하는 것이요, 영원 무한하다. 그러나 사람은 지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올바르게 하자지만 그렇게 할 수가 없다.
그래서, 공자가 가운데(中)를 말했고, 고르게 함(和)를 말했다. 가운데란 여기나 저기가 아니다. 여기면서 저기요 저기면서 여기인 곳이다. 고르게 함이란 함이나 아니 함이 아니라, 하면서 아니 하고 아니 하면서 하는 지경이다.
그래서, 노자가 비임(虛)을 말했고 됨(化)을 말했다. 비임이란 있음이나 없음이 아니다. 있으면서 없고 없으면서 있음이다. 됨이란 달라짐이나 그대로 있음이 아니다. 달라지면서 그대로 있고 그대로 있으면서 달라짐이다.
그래서, 예수가 십자가를 졌고 새로남을 보여 주었다. 십자가란 죽음이나 삶이 아니다. 죽음으로 살고 삶으로 죽음이다. 새로남이란 육이나 영이 아니다. 육이면서 영이요 영이면서 육이다.
그래서, 석가가 반야(知慧)를 말했고 해탈(解脫)을 말했다. 지혜란 안다 모른다가 아니다. 앎으로 모르고 모름으로 아는 자리다. 해탈이란 이 세상이나 저 세상에 가는 것이 아니다. 이 세상이면서 저 세상이요 저 세상이면서 이 세상인 삶이다. (p39)˝

˝사람에게 있어서 자아라, 영혼이라, 아트만이라, 인격이라 하는 것이요, 전체에 있어서는 하늘이라, 하나님이라, 브라만이라, 생명이라 부르는 것이다. 그것은 둘이면서 하나요, 아버지면서 아들이요, 절대면서 상대다. 거기 생명의 정신의 한 큰 운동이 있다. (P43)˝

이 책의 장점은 내용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는 동안 새로움 깨달음을 접한다는 감동을 주기에, 흥미진진한 소설처럼 끝까지 읽게 만드는 흡입력이라 생각된다.
또한, 많은 인용이 있음에도, 그러한 인용이 저자의 `지식 자랑`이 아닌, 우리에게 `一以貫之(하나로써 꿰뚫음)`하는 친절함으로 다가오는 책이다.

단편적인 명상집이지만, 큰 주제별로 묶인 내용을 정리해 본다.


사람은 생각을 통해 자신을 깨닫게 된다. 자신을 비추어 보면서 `하나님의 뜻(天命)`을 알게 된다. 자신을 비추어 보는 거울, 스승이 바로 `씨알`이다.
우리는 `씨알(생각함)`을 통해 하늘의 얼을 우리 속에서 발견한다. 우리는 이러한 `씨알`을 각자의 혼에서 발견할 수 있다. 우리 모두는 각자의 씨알이 있다.
씨알을 찾는 것은 각자의 믿음을 가지고 스스로 체험하는 것이다. 삶 속에서 끊임없이 찾기 위해 우리는 노력해야 한다.(구체적인 실천 사항은 서두에 정리한 내용임)

하늘의 전체는 `하나님`이지만, 역사의 전체는 `씨알`이다. 생각을 통해 깨닫게 되면, `나`와 `너`가 다름이 아니라, 모두가 `하나`임을 알게 된다. 그리고, 역사는 `씨알`이 `하나`되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天心은 民心으로 나타나며, 민심의 표현은 `악에 대한 반항`, `폭력을 쓰지 않는 싸움`, `조직적인 운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민심의 표현을 통해 새로운 역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끊임없이 불의와 싸워 나가야 한다.

책에 있는 대강의 내용을 정리했는데, 함석헌 선생의 사상에 대한 이해도 많이 부족했기에, 놓치는 부분이 많았던 것이 많이 아쉽다. 이러한 부분은 시간을 두고 더 깊은 공부를 통해서만이 극복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을 읽는 시간은 자신의 선택한 하나의 길을 통해 전체를 보려는 함석헌 선생의 사상을 조금이라도 알 수 있었던 기쁜 시간이었다.

˝<中庸>에서는 중(中)은 천하지정리(天下之定理)라 했지만 이(理)가 이(理)대로만 있다면 죽은 이(理)다. 중(中)은 필연적으로 발(發)하지 않을 수 없다. 말씀이 곧 하나님이지만 하나님은 말씀을 하고야 만다. 그러면 벌써 만물이다. 말씀 안에 생명이 있고 그 생명이 곧 사람에게 있어서 빛이지만, 빛이라 할 때 벌써 거기 어두움이 있었다. 싸움은 거기서부터 벌어진다. 힘씀이 필요하다.(P47)˝

˝나는 물론 불교도가 아니기 때문에 감히 불교에 대해 무엇을 아는 것처럼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부처님은 안다. 알아서 아는 것이 아니라, 모르면서도 안다. 그것은, 부처님은 영원하신 분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나는 예수를 통해서 안다. 영원하신 이는 마치 소금과 같은 것이다. (P81)˝

ps. `인(仁)`에는 한자로 `씨(核)`의 의미도 있는데, 이러한 공자의 `인(仁)`사상과 `씨알사상`도 아마 연관이 있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도 들었다.

- 접기
겨울호랑이 2016-06-14 공감(30) 댓글(0)
Thanks to
공감




씨알사상과 자기 혁명....


이 책은 함석헌 사상을 그가 남긴 글을 따라 재정리한 것이다. 이 책은 전기가 아니다.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이야기는 이 책 어디에도 없다. 하지만 그의 생애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편향적인 시각없이 오로지 그의 생각과 사상을 직접적으로 만날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그래서 이 책은 그의 사상의 주요내용을 담은 글을 통해 나 자신의 존재와 삶의 변화를 위한 책이라고 엮은이가 말한다.

'너 자신을 혁명하라'라는 제목의 말은 함석헌 옹의 씨알사상으로 드러난다. 씨알은 민의 역동적인 생명력이며 그것은 늘 변화한다. 그것은 죽음으로써 보다 널리 퍼지며, 자신을 버림으로써 더욱 크게 산다. 그것은 자신의 내면 깊숙이 자리한 영원한 존재와의 만남도 현실의 삶에서의 민중의 처지와의 만남도 이루어낸다.

늘 나의 내면으로 들어가는 세계와 밖으로 나가는 세계와는 불연속면이 존재한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그 어울릴것 같지 않은 두 세계의 삶을 동시에 살아가는 위대한 삶들을 만날 때면 늘 그 불연속면이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의문이 들곤 하였다. 그들의 삶에는 존재하지 않는 불연속면....

하지만 그 두 삶을 동시에 사는 사람들에겐 역사적 사회적 현실에서도 꺽이지 않고 좌절되지 않는 내면의 밝은 빛이 있었고, 그 빛은 사회적 현실의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고 꺼지지 않을 정도로 강해야만 했다. 그가 스승으로 모셨던 다석 유영모 선생처럼.... 그의 삶에 대한 평가는 놓아두고, 그가 가진 생명의식과 씨알 사상은 나의 개인사적 관심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관심의 한가운데를 뚫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 접기
달팽이 2003-10-13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나는 정말로 노력한다



이누아 2009-08-21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The Power of Now Free Summary Review | Eckhart Tolle | PDF | Free Audiobook | Book Mind Map | Infographic | by Chapters

The Power of Now Free Summary Review | Eckhart Tolle | PDF | Free Audiobook | Book Mind Map | Infographic | by Chapters





Free Book Summaries

BOOKS
PRICING
LOGIN
JOIN OUR AFFILIATE PROGRAM

The Power of Now by Eckhart Tolle Summary, Analysis and Key Insights

posted on SEPTEMBER 13, 2021


Read time: 9 min
A Guide to Spiritual Enlightenment
Contents hide
1 A Guide to Spiritual Enlightenment
2 Eckhart Tolle’s Perspective
3 Introduction
4 StoryShot #1: Your Mind and Body Are Separate
5 StoryShot #2: Observe Your Relationship With Your Mind
6 StoryShot #3: Focus on the Present
7 StoryShot #4: Accept the Tragedies in Your Life
8 StoryShot #5: Be Permanently Alert
9 StoryShot #6: Your Ego is Destructive
10 StoryShot #7: Manifest Your Flow of Energy
11 StoryShot #8: Relationships Can Pull You Away From the Present
12 StoryShot #9: Detach to Find Peace
13 StoryShot #10: Surrender Rather Than Resign
14 Final Summary and Review of The Power of Now
15 Rating
16 The Power of Now PDF, Free Audiobook and Animated Book Summary
17 The Power of Now by Eckhart Tolle Free Mindmap
18 Related Book Summaries to The Power of Now



Life gets busy. Has The Power of Now been gathering dust on your bookshelf? Instead, pick up the key ideas now.

Don’t you already have the book? We’re scratching the surface here. To learn the juicy details and support the author, order the book or get the audiobook for free on Amazon.


Eckhart Tolle’s Perspective

A German resident of Canada, Eckhart Tolle is a spiritual leader and author. In 2008, the New York Times described Tolle as “the most popular spiritual author in the United States.” Additionally, the Watkins Review claimed in 2011 that he was the most spiritually influential person in the world. Although not identified with a particular religion, Tolle claims to be influenced by multiple religions and spiritual works.
Introduction

The Power of Now states that living in the now is the most authentic path to happiness and enlightenment. Eckhart Tolle awakens readers to their role as a creator of pain. He also shows them how to have a pain-free identity by living fully in the present. If you surrender to the present moment, your problems will no longer exist. The present is where you will find joy, embrace your true self, and discover you are already complete and perfect.
StoryShot #1: Your Mind and Body Are Separate

Your mind is the primary origin of pain. So, if you allow your ego to take over, you will endure considerably more pain. Your mind is associated with pain because it frequently brings up memories. Focusing on your memories often leads to worries about the past and more significant anxiety about the future. Generally, our mind fixates on negative memories. Subsequently, this prevents us from living in the present. The pain associated with memories is compounded by us having no control over these events. Eckhart Tolle highlights that we only have control over the present. We have no control over our memories or future events.

Tolle suggests you try to separate yourself from your mind due to the pain associated with your mind. Try to focus on your body. Your body understands what is best for you. Subsequently, you can learn a lot about the critical factors within your life by choosing to focus on your body. Tolle argues that nobody has ever found enlightenment by focusing on their mind and ignoring their body.

The Buddha was passionate about the concept of separating your mind from your body. The Buddha learned from spending six years abstaining and intermittently fasting that he could not reach enlightenment by separating his body. Instead, he found the only effective practices were those that helped him feel united with his body.
StoryShot #2: Observe Your Relationship With Your Mind

When you seek to detach yourself from your mind, you must be fully conscious of your mind’s power. This consciousness should allow you to highlight the subtle ways your mind causes you pain. This pain could be through behavior or thoughts. Simply observing your relationship with your mind will create a gap in the flow of your thinking. For example, suppose you ask yourself what your next thought will be. There will likely be a delay before your next clear thought arrives. Consistently using questions like this will help you become more conscious of how you become so used to your mind’s flow. Alternatively, breaking up your thoughts will help you isolate your mind and separate yourself from it. Try to accept these thoughts as they arise. But, do not necessarily follow the advice of these thoughts.
StoryShot #3: Focus on the Present

You likely spend most of your time thinking about the past and future. Tolle suggests you could be neglecting the only moment fully available to you, which is your present. No events occur in the past or future. Life is just a continuous stream of present moments over time. The past is a collection of once-present moments that have passed. The future is filled with several present moments that are yet to arrive.

As the past and future are simply alternative versions of the present, there are no advantages to worrying about them. If you can simply focus on the present, you will only be dealing with minor problems as they arise. You can break a challenging task into several minor challenges.
StoryShot #4: Accept the Tragedies in Your Life

Tolle introduces the readers to the concept of pain-body. According to him, pain-body is an accumulation of painful life experiences that were not fully faced and accepted in the moment they happened. They leave an energy form of emotional pain behind. They come together with other energy forms from other instances, and so after some years you have a pain-body: an energy entity consisting of old emotion. It’s a heavy burden for us to carry around and it

continues to grow as we add more pain. The residual pain can overwhelm us, so we must learn to cope with it.

Living in the present does not mean you should surrender to the present. You should adopt mental strategies to deal with any negative feelings that emerge from dealing with the present. Not all pain is within our control, as we all experience challenging moments like loved ones passing away. That said, you must accept these traumatic events for what they are. Doing so will limit the quantity of pain and the length of this painful period. Understanding that nothing can now be changed will help you avoid unnecessary suffering. Detaching from your mind will provide you with the inner strength required to accept painful situations.
StoryShot #5: Be Permanently Alert

Eckhart Tolle describes the optimal state of presence as permanent alertness. As well as separating yourself from your mind, you should also adopt an active waiting technique. Active waiting is characterized by being aware that something important could happen at any moment. So, during this state, you have all your attention focused on the present moment.

Active waiting suppresses any opportunities to daydream, plan for the future, or remember the past. It is impossible to be distracted from the present. One of the strengths of active waiting is that it helps you pay attention to your body for potential events. Tolle explains that Zen masters sneak up on their pupils when they have their eyes closed. Then, they attempt to hit the student. This approach forced their students to adopt active waiting, which helped them fully concentrate on their bodies.
StoryShot #6: Your Ego is Destructive

Tolle speaks at length about the negative impact of your ego. Your ego is a part of your mind that controls your thoughts and behavior. Crucially, ego is part of your ‘inner body,’ which often controls you without your knowledge. Tolle highlights that your ego depends on your misery for its continued existence. As your ego relies on misery, it also obstructs your potential happiness.

The impact of egos on humans is apparent when you consider that nobody wants to suffer. Yet, there are so many people who are architects of their own downfall. They intentionally sabotage their own happiness or stay in painful relationships. The ego is a destructive part of the human mind. It wants to be an essential part of you and knows no limits. So, if you let it gain control, it will bring you much suffering.
StoryShot #7: Manifest Your Flow of Energy

Tolle recommends that readers connect to the unmanifested presence of the now that we carry with us at all times. So, we must practice being present to inner energy for 10-15 minutes at a time. Breaking away from a focus on your body will allow you to be more aware of this energy. Specifically, once you have identified unmanifested energy, you want to flow this energy into the manifested form. Tolle calls this Chi.

Sleep is a period when you will experience more of the unmanifested. But you will not liberate the energy associated with the manifested unless you enter it consciously. So, conscious awareness of the now is your main portal. You can reinforce your awareness of the now by practicing silence. The interplay of sound and silence shapes all our manifested experiences. Space is also the emptiness among the atoms of the world and is comparable to silence. It is usually impossible to be fully aware of space or silence. However, if you can become aware of space, you will also become aware of the unmanifested.

Sleep is an example of an involuntary portal. Similarly, death is another involuntary portal. It opens up briefly at the time of physical death. Suppose you missed all other opportunities for spiritual realization during your lifetime. In this case, you will still have one last portal open up for you immediately after the body has died.
StoryShot #8: Relationships Can Pull You Away From the Present

Relationships are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suffering, partly because society believes we are entitled to great relationships. That said, Tolle believes that relationships often pull us away from the present. This is common because relationships encourage us to consider future experiences as saviors. Relationships are naturally addictive because they create a love-hate cycle. These cycles make us feel alive. But we are often drawn to people romantically because of our wounds. Subsequently, we become disillusioned when our romantic partners are unable to heal these wounds.

Your spiritual path should never depend on another person.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consider as relationships can activate the pain-body when we are disillusioned with the relationship. To heal, we must dis-identify with the mind and connect with the now.

Tolle believes women are naturally closer to enlightenment, as they are also naturally closer to their bodies. Men are too obsessed with their minds. Women also have a collective pain-body due to women being subjugated within society. So, women must reflect on how much they resist letting go of their pain.
StoryShot #9: Detach to Find Peace

Simply accepting things as they are is the first step in achieving peace. Tolle suggests you move beyond the binary of good and bad by viewing every experience as potentially moving you toward peace. The ego’s need for control creates the most destructive things in life. We can create drama when we battle with other egos. We can also create drama on our own, battling with our egos. Tolle says humans are the only life form on earth that knows negativity. Fight against this and use detachment to be free of expectations and acquire genuine compassion.
StoryShot #10: Surrender Rather Than Resign

Surrender is not the same thing as resignation. One can surrender to the reality of a situation and still take steps to create a different path. Surrendered actions involve letting go of judgment while seeking change. Tolle believes you can experience more effective motivation when you surrender. Surrender your resistance by acknowledging it and then understanding how your mind seeks to label and judge this resistance. Understanding your resistance will liberate you from being reactive and allow you to choose your actions freely.

Surrendering is another way to achieve peace. Tolle suggests you mindfully surrender to each moment. Say yes to both what is and what isn’t. Without surrendering, we are swapping potential peace for suffering through resistance. You will know that you have effectively surrendered when you no longer have to ask yourself whether you have surrendered.
Final Summary and Review of The Power of Now

The Power of Now is an overview of how you can move from the past and future into the now. Tolle believes that being present and aware of your bodily reactions is key to understanding yourself. Being present requires you to realize the influence of your mind and focus more on your body. The power of being present is the ability to surrender to the reality of pain and still seek change. By accepting hardship, you can find peace and choose your actions freely.
Rating

We rate this book 4.5/5.
Our Score

The Power of Now PDF, Free Audiobook and Animated Book Summary

This was the tip of the iceberg. To dive into the details and support the author, order the book or get the audiobook for free on Amazon.

Did you like the lessons you learned here? Comment below or share to show you care.

New to StoryShots? Get the PDF, free audio and animated versions of this review of The Power of Now and hundreds of other bestselling nonfiction books in our free top-ranking app. It’s been featured by Apple, The Guardian, The UN, and Google as one of the world’s best reading and learning apps.
The Power of Now by Eckhart Tolle Free Mindmap
Related Book Summaries to The Power of Now



The Miracle Morning by Hal Elrod

The Body Keeps the Score by Bessel Van der Kolk

Ikigai by Albert Liebermann and Hector Garcia

The 5 am Club by Robin Sharma

Feeling Good by David Burns

Who Will Cry When You Die? by Robin Sharma

Be Here Now by Ram Dass

The Four Agreements by Don Miguel Ruiz

Stillness Is the Key by Ryan Holiday

Ego is The Enemy by Ryan Holiday

Think Like A Monk by Jay Shetty

Tao Te Ching by Lao Tzu

Super Attractor by Gabrielle Bernstein



Share via:

Reddit
Facebook
Twitter
LinkedIn
Email
Pinterest
WhatsApp
More

Filed Under: All Books, New, Personal Growth, Philosophy, Spirituality & ReligionTagged With: meditation, mindfulness

알라딘: 다른 행복의 권리 Dorothee Solle 도로테 죌레

알라딘: 다른 행복의 권리
다른 행복의 권리  
도로테 죌레 (지은이),손규태,이한석 (옮긴이)한국신학연구소2000-09-01

168쪽



책소개

독일의 여성 신학자 도로테 죌레의 신앙 에세이 모음집. 성서의 핵심을 잘 파악하면서도, 섬세한 여성의 눈으로 참다운 자신을 찾기 어렵게 만드는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진정으로 개인주의와 죄책감으로부터 벗어나서 사랑하고 행복하게 사는 길을 모색하고 있다. 그리고 지은이에게 그런 행복은 추구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반드시 찾아야 할 권리이다.


저자 및 역자소개
도로테 죌레 (Dorothee So"lle)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29년 독일 쾰른에서 태어남. 독일 괴팅엔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쾰른 대학에서 「계몽주의 이후 신학과 문학의 연관성」이란 주제로 교수자격을 취득하였다.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미국 유니온 신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03년 별세하였다.

지은책으로 <사랑과 노동>, <고난>, <환상과 복종>,<현대신학의 패러다임> 등이 있다.
최근작 : <사랑과 노동>,<신비와 저항>,<다른 행복의 권리> … 총 8종 (모두보기)

손규태 (옮긴이) 
한국신학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하나님 나라와 공공성』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평화윤리』 등이 있다.

최근작 : <프랑크푸르트 하늘 아래>,<장공 김재준의 정치신학과 윤리사상>,<한반도의 그리스도교 평화윤리> … 총 30종 (모두보기)

이한석 (옮긴이) 
<다른 행복의 권리>
최근작 : … 총 2종 (모두보기)

구매자 (2)
전체 (2)
공감순 
     
더이상 기독교인이기 싫을 때 나를 자유롭게 해준 책  구매
레고 2007-12-21 공감 (1) 댓글 (0)
==
다른 행복은 가능하다!  구매
teem 2009-10-28 공감 (0) 댓글 (0)
==
마이리뷰
구매자 (1)
==
그리스도가 오늘 다시 온다면 그는 무신론자 일것이다.

다시 말하면 그는 그의 세계를 변화시키는 사랑외에 다른 것에는 기대도 걸지 않을 것이다. 
그가 무신론자인 것은 이성의 자기 절제 때문도, 우리가 가진 가능성들의 한계인식 때문도 아니다.
바로 모든 사람들을 위해 행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는 무신론자 일것이다. (무신론적인 그리스도교가 있나? 88쪽)

다른 행복의 권리는 도로테 죌레의 신앙 에세이 모음집이다.

죌레는 교회가 보다 더 에큐메니칼적이고 보다 더 여성신학적이며 보다 더 신비주의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신비주의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사랑의 관계성을 드러내는 가장 핵심적 문제이다.

그리스도인과 사회주의자, "마르크스와 성경"의 생도로서 우리는 초월성에 관해 말할 수 있기 위해 하나의 새로운 언어를 필요로 한다.(신은 정의이다. 126쪽)

“하나님이 이 세상을 바라보실 때면 하나님도 때로는 추위에 떨고 계신다고 나는 생각한다. 
하나님은 우리의 온기를 필요로 하신다. 천겹, 만겹으로 자신의 모습을 감추고 계신 하나님을 찾는 것이 우리가 할 일이다. 
하나님을 찾는 것은 온갖 소음으로 뒤범벅이 된 이 세상에서의 조용한 외침이다.(도로테 죌레)

하나님은 시간의 세 가지 상이한 형태 가운데서 우리와 만난다. 
과거의 시간으로서 우리보다 앞선 살았던 이들이 경험한 하나님을 기록한 성서와 계약으로서, 그리고 미래에 대한 약속으로서 만나는 하나님이 두번째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과거와 미래 곁에 하나님의 현재, 즉 그분의 여기 우리와 함께 하심을, 연기되어질 수 없는 그분의 현재를, 그 신비한 지금(das mystische Nun)을 필요로 한다.

생명의 충만, 전체, 신비적 현재 속에서 하나님을 경험한다.

그 경험은 나 중심주의, 소유, 폭력 이렇게 나와 우리를 가두고 있는 이 세가지의 감옥에 맞서 싸우는 것이 필요하다.

세상을 책임지면서 세상을 취득해 가는 믿음은 성장하는 자유를 의미한다.(자유로운 사람만이 회계 할 수 있다.62쪽)

죌레는 하나님을 잊는 것이 아니라, 나를 잃어버리도록, 즉 나를 비우도록 한다. 
나를 비우고, 스스로를 잊고, 생각을 모으고, 사랑에 깊이 빠져든다는 것은 하나님을 찾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나를 생각하는 것은 나의 일이 아니다. 
나의 일이란 하나님을 생각하는 것이다. 
나를 생각하는 것은 하나님의 일이다.” (시몬느 베이유)

- 접기
사람 2018-05-25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페이퍼
전체 (1)
페이퍼 쓰기
좋아요순 
도로테 죌레 <현대신학의 패러다임> 새창으로 보기
 도로테 죌레 

 

1.현대신학자 중, 현대'여성'신학자 중에서도 도로테 죌레는 퍽 친숙한 학자다. <사랑과 노동>, <다른 행복의 권리>, <땅은 하나님의 것이다>, 그녀의 말년작인 <신비와 저항>등 적지않은 저서가 우리말로 옮겨졌고 또 (신학책치고) 널리 읽혔기 때문이다. 그녀를 여성신학자, 즉 페미니스트 신학자로 규정하기는 쉽지 않은데 그녀는 여성운동 보다는 좀 더 넓은 범주, 평화운동에 주로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2.도로테 죌레는 1929년 9월 30일, 쾰른에서 태어났으며, 쾰른과 프라이부르크에서 고전문학과 철학을, 괴팅엔에서 신학과 독문학을 공부했다. 1972년 쾰른대학에서 계몽주의 이후의 신학과 문학의 관계에 관한 논문으로 교수자격을 취득했고, 1975년 이래 뉴욕에 있는 유니온신학교의 교수로 매년 한 학기씩 강의를 했다. 저서를 펴내고 적잖은 지명도를 얻은 뒤에도 그녀는 독일에서 교수가 되지 못했는데 이는 그녀의 사생활(이혼 경력과 가톨릭 사제였던 슈테펜스키와의 재혼)에 대한 적대자들의 험담, 정치적 급진성(그녀는 1968년 10월 쾰른에서 시작되어 기독교인의 평화를 위한 연대와 정치적 결단을 호소하는 '정치적 밤의 기도회'를 주도했다), 당대 신학계와의 불화가 적잖이 작용했다.  

3.신학자로서의 도로테 죌레를 저평가하는 이들은 그녀를 신학자라기보다는 에세이스트, 혹은 독문학자로 보려하지만, 그녀의 저술활동의 밑바탕에 신학이 자리잡고 있음을 아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그리고 <현대신학의 패러다임>은 그녀가 20세기에서 간과될 수 없는 신학자임을 보여주는 저작이다.  

4.<현대신학의 패러다임>에서 그녀는 신학의 패러다임을 정통주의, 자유주의, 해방주의로 나누어 자신의 견해를 개진해나간다. 패러다임의 전환의 끝을 해방주의로 논다는 점에서, 그녀는 자신이 급진적이고 진보적인 신학자임을 감추지 않으며, 패러다임이 어떻게 전환되어 가는지를 살피면서 '성서와 실천' '창조와 인간과 세계' '죄와 소외' '은총' '십자가와 부활' '하나님나라와 교회'등의 개념들이 어떤 식으로 변천되어가는지, 각 패러다임들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논하고 있다.  

5.도식화의 함정을 벗어나기는 힘들지만, 사상의 전개를 살피며, 그 안에 절박한 현실에 참여해, 그 현실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열망을 담아 신학의 방향전환을 논하는 것을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죌레는 이를 이루었으며, 그 자체로 높게 평가받을 가치가 있다.



- 접기
Viator 2011-06-27 공감 (6)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

2021/09/27

서양의 세계 종교 입문서는 어떻게 동양을 배제했는가 휴스턴 스미스

01 최명훈.pdf
서양의 세계 종교 입문서는 어떻게 동양을 배제했는가: 휴스턴 스미스의 세계의 종교와 이능화의 백교회통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종교학연구 제38호 한국종교학연구회, 2020, pp. 1-21. 서양의세계종교입문서는어떻게동양을배제했는가:
휴스턴스미스의 세계의종교와이능화의 백교회통 간의비교를중심으로
최 명 훈*

目 次

Ⅰ. 서론
Ⅱ. 타 종교들을 바라보는 관점
1 세계의 종교의 제국주의적 시각과 영원주의적 기획: 러셀 맥커 천의 비판을 중심으로
2 백교회통의 ‘회통’과의 비교
Ⅲ. 종교들을 비교하는 틀
1 세계의 종교의 ‘신(God)’
2 백교회통의 ‘천(天)’과 세계의 종교의 ‘신(God)’ 비교
3 백교회통의 ‘도(道)’와 세계의 종교의 ‘신(God)’ 비교
Ⅳ. 결론
===

Ⅰ. 서론

미국 학자가 쓴 세계 종교 입문서를 읽으면서 한국의 독자는 어떤 느낌을 받 을까. 특정 배경의 영향을 받은 한 명의 학자가 여러 문화권의 종교들을 성공적 으로 서술할 수 있을까. 종교 서술이 특정 입장에 치우친다면 이것은 결과적으로 독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줄까. 이러한 질문들을 안고 시작하는 이 글은 오랜 기 간 세계 종교 입문서로 (특히 북미 지역에서) 활용됐고, 여전히 강의 현장에서 널리 읽히고 있는 휴스턴 스미스의 세계의 종교(The World’s Religions)1)를 다 룬다. 
휴스턴 스미스의 세계의 종교는 지난 반세기 동안 북미에서 가장 많이 팔린 세계 종교 입문서다. 이 책은 6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큰 영향력을 발휘했고, 최 근까지도 북미 지역의 대학 수업들에서 여전히 권위 있는 입문서로 사용되고 있 다.2) 하지만 1958년 초판 인간의 종교(The Religions of Man)로 시작한 이 책은 현대의 시점에서 여러 비판을 받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주로 러셀 맥커천(Russell 
McCutcheon)의 주장을 검토한다. 
맥커천은 1997년 출판된 그의 책3)에서 세계의 종교가 ‘전통(tradi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현대와 과거를 이분법적으로 나누고 있으며 이러한 이분법 은 제국주의적인 기획과 연결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2018년의 논문4)을 통 해 스미스의 책이 최근에까지도 널리 읽히는 이유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2018 년의 시점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논의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스미스가 역사 적 상세함(detail)보다 의미(meaning)를 강조하면서 영원주의적(perennialist) 관점을 드러내는 점을 추가로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러셀 맥커천의 비판을 바탕으로 스미스의 서술이 특히 ‘동양’의 독자 들을 어떻게 배제하는지 논의를 이어가려고 한다. 스미스의 서술은 그가 전제하 고 있는 (혹은 갖고 있는) 서구적 종교관과 서술 대상이 되는 종교 사이에서 생 겨나는 특정한 비교종교학적 작업을 수반한다.5) 이 글에서는 ‘동양’ 혹은 한국적 인 시각을 바탕으로 한 서술과 스미스의 서술을 비교하여 스미스의 서술이 보이
 
*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석사과정
1) Huston Smith, The World’s Religions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1991).
2) Russell McCutcheon, “A Question (Still) Worth Asking about The Religions of Man,” Religion & Theology 25(2018): 300-2. 
3) Russell McCutcheon, Manufacturing Relig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 McCutcheon, “A Question (Still) Worth Asking about The Religions of Man.” 
5) 맥커천은 스미스가 비교의 방법을 공언한 것은 아니지만, 내포되고 수반되는 비교가 전 체적인 텍스트에 있다고 주장한다. McCutcheon, Manufacturing Religion, 108.
는 한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이능화의 백교회통(百敎會通)6)을 함께 살펴본다. 
백교회통은 1912년 쓰인 이능화의 첫 저서로, 한국에서 최초로 세계 종교들 을 비교의 관점에서 본격적으로 다룬 책이다.7) 근대 한국의 가장 뛰어난 민속학 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이능화는 유교, 도교, 기독교, 이슬람교, 바라문교, 천도 교, 대종교 등 11개의 종교 전통과 불교를 비교하며 서술하고 있다. 그는 불교를 중심으로 모든 가르침이 통할 수 있다는 것(회통)을 보여주려는 데에 목표를 두 지만, 동시에 불교가 다른 종교 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하지 않고 다른 종교들에 대한 판단과 평가도 자제하고 있다.8) 그래서 김종서는 이능화가 자료의 측면에 서나 방법론의 측면에서 모두 두드러진 ‘근대 한국 종교학의 아버지’라고 불릴
만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9) 
특히 이 글은 이능화의 서술이 서구의 영향이 적었던 시기에 ‘동아시아적 방 법론’의 성격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스미스의 서술과 비교될 수 있 는 측면을 드러낸다. 그래서 두 서술이 공통으로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 과정 을 통해 스미스가 놓치고 있는 ‘동아시아적 관점’을 이능화의 서술에서 찾고자 한다. 
먼저 이능화의 불교를 중심으로 한 ‘회통’과 스미스의 제국주의적 시각 및 영 원주의적 접근을 비교한다. 이를 통해 타 종교들을 바라볼 때 드러나는 스미스의 배타적 입장과 이능화의 관용적 입장을 대조한다. 또한 스미스가 여러 종교들을 비교하는 틀로서 주로 ‘신(God)’ 개념을 활용하는 반면, 이능화는 ‘천(天)’ 개념과 ‘도(道)’ 개념을 중심으로 종교 간의 비교를 시도하는 것에서 보이는 차이점에

6) 이능화, 백교회통, 강효종 옮김 (서울: 운주사, 1989).
7) 김종서, 「한말 일제하 한국종교 연구의 전개」, 한국사상사대계 6, 철학종교연구소 엮음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290.
8) Yi Neunghwa, Harmonizing the Hundred of Teachings: Baekgyo hoetong, trans. Dan B. Jung (Seoul: Korea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2017), xvii-xviii.
9) 김종서, 「한말 일제하 한국종교 연구의 전개」, 289.

주목한다. 이는 스미스의 배타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비교종교학적 작업으로 드 러나는지 보여준다.
들어가기에 앞서 두 저자를 비교하는 과정의 한계와 의의를 짚고자 한다. 두 서술의 시기나 접근 가능한 자료가 다르다는 점에서 동등한 위치에서 비교는 어 렵다. 스미스의 한계에 집중하기 때문에 그 서술상의 장점은 논의되지 못했다는 점도 고려돼야 한다. 이능화의 서술이 현대의 시각에서 봤을 때 비학문적이라는 비판에 직면하는 것10)을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다. 하지만 스미스가 놓치는 ‘동 양적’ 관점들을 이능화가 제시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두 서술의 비교가 가진 의의를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Ⅱ. 타종교들을바라보는관점

한 개인이 여러 종교들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해당 저자의 관점은 서술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저자가 살아오면서 친숙하게 경험한 종교들과 그 밖의 종교 들(‘타 종교들’)에 대한 서술은 다를 수 있다. 또한 개별 종교에 대한 관점 이외 에 여러 종교들을 동시에 바라볼 때, 각 종교들 간의 관계에 대한 관점에도 저자 의 입장이 개입한다. 휴스턴 스미스와 이능화는 여러 종교들을 대할 때 저마다 전제로 하는 시각을 갖고 있다. 스미스를 비판적으로 봤을 때, 러셀 맥커천은 그 의 저술에서 제국주의적 시각과 영원주의적 기획이 드러나는 점을 지적한다. 반 면 이능화는 책의 제목과 서문에서부터 자신이 여러 종교들을 바라보는 관점에
10) 여러 종교와 불교의 비교 부분이 일관되거나 독특한 종교학적 관점 없이 개념적, 교리 적 무차별 대응만을 시도하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김종서, 「한말 일제하 한국종교 연 구의 전개」, 290; 하지만 신광철은 이능화가 단순히 자료를 모으는 데서 그치지 않고 자료들의 의미를 밝히는 것까지 나아가고 있기 때문에 이능화의 의의를 제대로 평가하 려면 ‘그 어떤 무엇을 지향하는 모음’을 분석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신 광철, 「이능화의 종교사학과 한국기독교사 연구」, 한국기독교와 역사 4 (1995): 185; 또한 고전의 인용을 나열하는 것은 당시 아시아에서 중요한 전통이었다는 설명도 있다. 

Yi, Harmonizing the Hundred of Teachings, xxiv.는 불교를 중심으로 한 ‘회통’이 전제돼 있음을 밝히고 있다.

1. 세계의종교의제국주의적시각과영원주의적기획: 러셀맥커 천의비판을중심으로
휴스턴 스미스의 세계의 종교는 오랜 기간 판매되어 온 책이다. 1958년에 처음 출판된 이래 많은 개정판들이 나왔고, 2009년에는 50주년 개정판이 출판됐 다. 이 책은 또한 오랜 기간 살아남은 것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의 대학생들을 위 한 권위 있는 입문서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맥커천이 출판사를 통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3백만 부 이상이 팔렸고, 그 중 2분의 1에서 3분의 2 정도가 수업용 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1) 초판이 출판된 지 60년이 지난 책을 두고 맥커 천은 왜 여전히 인기가 유지되는지 질문을 던지고, 이 책을 비판적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맥커천이 스미스를 비판하며 핵심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스미스가 ‘전통
(tradition)’이라는 용어를 수차례 사용하며 ‘현대, ‘이성’, ‘서양’을 ‘전통’과 이분법 적으로 구별했다는 것이다. 이를 보여주기 위해 그는 스미스 책 유교 챕터의 다 음 구절들을 인용한다.
현대적 삶이 부족 사회의 전통 중심적(tradition-dominated) 삶으로부터 상당히 멀어져서 관습(mores)이 통제되는 것이 얼마나 완전히 가능할지 깨닫기 어려워졌 다... 중국은 수많은 개인들이 등장하게 되는 사회적 발전의 새로운 지점에 도달 했었다. 집단의식보다 자의식에 따라 이러한 개인들은 그들 스스로를 1인칭 복수 형으로 생각하던 것을 멈추고 1인칭 단수형으로 생각했다. 이성은 사회적 관습
(convention)을 대신했고, 개인의 이익이 그룹의 기대를 넘어섰다. 개인주의와 자 의식은 전염병처럼 퍼져나갔고, 반성 없는 연대(unreflective solidarity)는 과거의 것이 되었다.12)
 
11) McCutcheon, “A Question (Still) Worth Asking about The Religions of Man,” 302.
12) Smith, The World’s Religions, 161-63.
맥커천에 따르면, 스미스의 서술은 많은 대립항(polarities)을 전제한다. 특히 맥 커천은 ‘전통적(traditional)’이라는 용어가 오랫동안 ‘비문명화된’, ‘원시적인’, ‘부 족적인’ 혹은 ‘비서구적인’라는 말의 완곡 어법으로 사용되어 왔다는 분석이 스 미스의 용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3) 무엇보다 스미스의 서술은 ‘그들 (즉, 중국인)’을 ‘우리(즉, 서구의 독자)’와 대립되도록 묘사한다.
맥커천은 종교에 대한 연구가 이러한 이분법적 구분을 바탕으로 제국주의적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을 비판한다. 이것은 스미스가 독자들에게 타 종교를 이해하 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내용의 서문에서 잘 드러난다. 
최근에 나는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 외곽의 맥스웰 공군 기지에 있는 천 명의 장교들에게 타 민족 종교들에 대한 강연을 하러 공군 전투기로 이동한 적이 있 다. 나는 그들만큼 배움에 열정을 가진 학생들을 본 적이 없다. 무엇이 그들에게 동기를 부여했을까? 여러 사례들 중에서 이것은 이해가 안 될 수 있지만, 그들은 그들이 공부하는 민족들을 군대로서 동맹, 적, 군사 점령의 대상으로 언젠가 대하 게 될 것을 염려했다. 그런 상황에서 타 민족의 행동을 예상하고, 최악의 경우 그 들을 정복하게 되면 그들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해진다.14)
맥커천은 이 구절에서 세계가 ‘동맹과 적’,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로 나뉜 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비교종교학을 통해 전달되는 지식이 특정 집단 만을 소유자로 만드는 효과적인 제국주의적 도구가 된다고 비판한다.15) 이와 같 은 맥커천의 비판은 스미스의 이분법적 서술이 특정 대상을 배제한다는 것을 지 적한다. 그의 비판을 따르면, 스미스의 서술에서 배제되는 대상에는 비서구
(non-Western)의 독자들과 ‘비서구적 종교들’이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13) McCutcheon, Manufacturing Religion, 178-79. 
14) Huston Smith, The Religions of Man (New York: Harper & Row, 1958): 7-8. McCutcheon, 
Manufacturing Religion, 179-80에서 재인용. 이 글에서는 1958년 초판의 내용을 인용했다. 
1991년 판에도 이러한 내용이 언급되지만, 기지의 이름이나 위치 같은 구체적인 사실들 이 생략되고 점령이나 정복 등의 표현이 빠졌다.
15) McCutcheon, Manufacturing Religion, 180.
이에 더해 2018년의 논문에서 맥커천은 추가적인 비판점으로 스미스가 ‘영원 주의적 접근(perennialist approach)’을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 영원 주의적 접근은 모든 종교들의 공통된 본질이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 논의를 가리킨다. ) 이 글에서 영원주의적 기획 자체의 문제점을 검토하려는 것은 아니 다. 여기서는 스미스의 영원주의적 접근이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앞서 언급한 그의 제국주의적 시각이 동반될 때라는 점에 주목한다. 이 두 가지가 결합될 때 스미스의 서술은 동양 종교를 효과적으로 배제할 위험성을 지닌다. 공통으로 상 정되는 본질에 ‘비서구적 종교들’이 배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미스는 책의 서문에서 종교는 ‘사실의 문제(a matter of facts)’가 아니라 ‘의 미의 문제(a matter of meaning)’라고 말한다. ) 스미스가 서술하는 의미로서의 종 교는 ‘넓은 일반화(broad generalizations)’를 거치면서 역사적이고 구체적인 사건들 을 배제하고, ‘모든 사람’과 관계되는 초역사적인 지혜와 의미의 사례가 된다. ) 또한 스미스는 ‘인간 본성 속 본질적인 유사성(the essential similarity in human nature)’을 통해 독자들에게 세계 종교 전통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는데, ) 이는 그의 영원주의적인 기획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스미스는 종교 전통들을 설명할 때 해당 종교만의 용어가 아닌 보편적인 용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특히 힌두교를 서술할 때 두드러진다. 그는 힌두교에 대한 서술을 시작하면서 ‘힌두교적인 용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힌두 교 챕터 66쪽 중 약 15쪽 가량을 전개하고 있다. 대신 사람이 삶을 살아가며 원 하는 것은 무엇인지, 힌두교는 그러한 욕구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는지 일반적 인 용어를 통해 이야기한다. 다만 그 과정에서 목샤(moksha)나 아트만(atman), 브 라만(brahman)이라는 용어가 각각 한 번씩만 설명 없이 언급되는데 이는 열 번째 페이지에서였다. 이러한 서술은 각 종교 전통들이 가진 고유의 세부적인 특징들 이 아니라 다른 종교들과 함께 보편적으로 보일 수 있는 특징들을 부각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2. 백교회통의 ‘회통’과의비교

서론에서 언급했듯 백교회통에는 여러 종교들을 대등하게 비교하려는 관점 과 불교를 강조하려는 관점이 공존하고 있다.20) 이능화는 자신이 불교를 강조하 는 이유가 자신이 불자이기 때문일 뿐이라고 밝히면서 다른 종교인들을 배척하 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인다. 이렇듯 다른 종교에 배타적이지 않지만, 불교를 중 심으로 하는 그의 입장은 ‘회통(會通)’으로 드러난다. 그는 서문에서 이러한 그의 입장과 여러 종교들을 비교하고 회통하려는 목적을 밝히고 있다.
...오래지 않아 한 사람이 한 가지 씩의 교(敎)를 만나게 될 날도 있을 것이다. 그럴 때에는 어떤 것이 올바른 종교이며 또 어떤 것이 삿된 종교라 할 수 있겠는 가? (중략) 그러나 비록 그렇더라도 따지고 보면 원래 한 가지 둥근 원이 나누어 져 백 가지의 길이 이뤄졌을 뿐인데, 세상 사람들이 그것을 모르고 스스로 자기 것은 옳고 남의 것은 그르다고 분별을 짓는다. 그러다보면 원래 하나이던 것이 공연히 분파를 많이 만들어 결국은 물과 우유의 섞이는 면을 보기가 어렵고 모순 만이 팽배해 질 것이 염려가 되는 것이다. 이에 본인은 모든 종교의 강령을 열람 하고 대조해 서로 견주어 보아 같은 것과 다른 것을 가리고, 필요에 따라 원문을 인용하여 증거를 하면서 회통케 하였다....또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 모든 문장을 판별해 가는 부문은 나 자신이 불교인인 까닭으로 불교를 비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서 올바로 밝힌 것이므로 혹 다른 종교인이 이를 볼 때는 이점에 오해가
없기를 당부한다.21)
이능화는 불교의 우월성을 내세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서로 다른 종교들 간의
20) 이병욱, 「이능화 종교관의 변화」, 정신문화연구 28 (2005): 167.
21) 이능화, 백교회통, 6-7.

갈등을 해결하고자 회통을 시도했다. 이런 점을 고려했을 때, 백교회통의 서문 은 제국주의적 시각이 묻어나는 세계의 종교의 서문과 대조적이다. 
이능화의 회통은 동아시아 전통에서 발전된 회통을 기반으로 한다고 볼 수 있 다. 본래 회통은 “불교라는 이름 밑에 광범위하게 포함된 제 교설과 기타의 화의 (化儀)들을 적절히 위치지우며, 그 상대적 가치들을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관용적 입장”을 의미한다.22) 김종명의 설명에 따르면, 동아시아 불교사에서 ‘회통론’은 8 세기 이후 중국에서 발전돼 왔다.23) 초기 회통은 불교 내의 선 명상과 교학을 일치시키는 것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됐다. 이후 이는 유교와 불교 사이의 회통으 로, 나아가 유교, 불교, 도교의 삼교 회통으로 변화했다. 특히 회통은 그 선구자 인 원효 이래 한국 불교의 중요한 측면으로 고려돼 왔다.24)   
백교회통 속 이능화의 회통은 동아시아 전통의 연장선에서 다종교 상황이라 는 근대적 현실에 회통 개념을 확대해서 적용한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서문에서 이능화는 특정 종교에 대한 우월함을 배제한 채 여러 종교들이 공존하는 종교 다원주의적 인식을 드러낸다.25) 이능화의 회통은 당시 한국의 모든 종교들에 적 용되었다. 회통의 중심인 불교는 우월한 하나의 가르침이 아니라 여러 종교들의 공존을 위한 도구로 쓰일 뿐이다. 따라서 백교회통의 회통은 자기 종교가 다른 종교의 진리를 포함한다고 보는 ‘내포주의(inclusivism)’의 입장이라기보다는,26) 
22) 이기영, 「한국불교의 근본사상과 새로운 과제」, 한국불교연구, (서울: 한국불교연구원, 
2006), 329.
23) Kim Jongmyung, “Yi Nǔnghwa, Buddhism,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 A Critical Review,” in Makers of Modern Korean Buddhism, ed. Jin Y. Park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0), 99. 
24) 회통을 한국 불교만의 특징이라고 보는 시각은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원효 이 래 한국 불교에서 중요한 주제이자 특징으로 다뤄진 것은 맞지만, 이는 조화를 추구하 는 불교 자체의 특성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심재룡,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 불교 평론 3 (2000)을 참고하라.
25) 김종서, 「한말 일제하 한국종교 연구의 전개」, 290.
26) 김영호는 이능화의 회통이 자기 종교 안에 다른 종교의 진리가 내포되어 있다는 원리 이기 때문에 내포주의라고 보았다. 김영호, 「이능화의 종교회통론」, 한국학 연구 8 (1997): 215-16. 불교는 여러 종교들을 통하게 하기 위한 도구로서 선택되었고, 이는 이 능화가 불자이기 때문일 뿐 다른 종교보다 우월하기 때문이 아니다. 달리 말한다면, 불
 
동등한 위치에 놓인 종교들 간의 대화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백교회통의 ‘회통론’은 앞서 논의한 스미스의 영원주의적인 관점과 마찬가 지로 여러 종교들 간의 관계에 대한 관점이기도 하다. 모든 종교가 하나였으나 그것이 갈라진 것이라고 말하는 이능화의 회통론은 영원주의적 관점과 유사한 점들을 보인다. 회통론 또한 결국 여러 종교들 사이의 ‘같음’을 위한 논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미스의 영원주의적 기획은 보편적이고 공통된 하나의 본질을 상정하지만, 이능화의 회통은 ‘서로 통하는 것’에 강조점이 있다는 점에서 분명 한 차이가 있다. 김영호가 “바다만 있고, 백 개의 냇물이 없어야 된다는 얘기는 아닐 것”이라고 표현했듯이 회통은 각 종교의 모습을 통일시키는 것이 아니다.27) 그리고 영원주의적 접근은 모든 종교들 간의 공통점을 찾지만 회통은 불교와 각 종교들 간의 연결점을 찾는 작업이다. 그래서 이능화는 불교가 아닌 종교의 경전 구절을 제시하고, 여기에 대응할 만한 내용의 불교 경전 구절을 함께 배치해 둘 사이의 차이점 혹은 유사점을 부각시키는 방식으로 비교 작업을 수행했다. 불교 가 아닌 종교들 간의 직접적인 비교는 없었다.
이렇듯 조화 혹은 통합을 추구하는 한국적·동아시아적 전통을 기반으로 한 이 능화의 회통론은 앞서 비판했던 스미스의 관점과 달리 관용과 공존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불자라는 자신의 종교적 입장을 미리 밝히고 불교를 중심으로 다른 종교를 바라보는 작업을 수행한 것은 현대의 기준에서 보더라도 연구자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실 속 저자들은 자신이 처한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모 든 종교들로부터 제3자의 입장을 유지하는 완전한 독립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 운 이상이다. 그러나 이능화처럼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미리 밝히는 것은 절대 적이지는 않더라도 ‘상대적인 객관성’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완전히 객관적 일 수 없다면, 자신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 이처
 
교가 아닌 다른 종교의 신자가 자신의 종교를 중심으로 여러 종교들을 통하도록 하는 작업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능화의 회통론은 각 종교가 자신의 입장을 중심에 놓고 다른 종교들과 통할 수 있다는 점을 불교의 사례로서 보여준 것이다. 
27) 김영호, 「이능화의 종교회통론」, 214.
럼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 후 다른 종교에도 동등한 입장을 취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비로소 현실적인 의미에서의 종교다원주의적인 인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Ⅲ. 종교들을비교하는틀
스미스와 이능화는 독자의 보다 나은 이해 혹은 저자의 보다 나은 서술을 위 해 저자 자신이 전제하고 있는 관점을 비교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특히 두 저자 모두 종교들 간의 공통적인 구조를 발견했다고 여길 때, 그것을 자신들이 전제하 는 관점의 종교 현상과 비교하며 서술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각 저 자가 전제하고 있는 종교와 서술 대상으로 하는 종교 사이의 비교종교학적 관점 을 드러낸다.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비교의 관점이자 틀은 스미스의 경우 ‘신(God)’ 개념이고, 이능화의 경우 ‘천(天)’과 ‘도(道)’ 개념이다.

1. 세계의종교의 ‘신(God)’

스미스는 책의 곳곳에서 대문자 ‘G’로 시작하는 용어 ‘신(God)’을 사용했다. 이 용어는 대개 기독교의 유일신과 같은 의미로 사용됐다. 이것은 힌두교를 설명 할 때 잘 드러난다. 힌두교를 설명할 때 스미스는 ‘신’ 개념을 빈번하게 사용하 는데 특히 자주 발견되는 것은 박티 요가(bhakti yoga)를 설명할 때다. 신과 인간 의 직접적인 관계에 사랑을 통해 헌신하는 박티 요가가 스미스의 ‘신’과 관련한 논의와 들어맞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스미스는 박티 요가의 기본적인 원칙들 은 기독교에서 그 예시가 잘 드러난다고 언급한다. ) 
스미스가 ‘신’을 다른 종교에 비교적으로 적용하는 작업이 잘 드러나는 사례 는 불교를 설명하는 챕터에 등장한다. 여기서 스미스는 ‘열반(nirvana)’ 개념이 곧 ‘신’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한다. ) 그에게 이 문제는 우선 종교라는 정의가 신을 필요로 하는가의 여부와 관련된다. 만약 종교가 신을 필요로 한다면 불교는 신을 고백하지 않기 때문에 종교가 아니지만, 종교가 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불교 를 종교라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미스는 ‘신’의 정의를 재검토한다. 만약 신이 의도를 갖고 우주를 창조한 ‘인격적 존재(personal being)’를 의미한다 면, 열반은 신이 아니며 불교라는 종교는 기본적으로 무신론적(atheistic) 이라고 말한다. 한편 신(God)이 ‘Godhead’ )를 의미한다면, 인격성(personality)은 이 개념 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열반과 유사성을 갖는다고 설명한다. 이처럼 ‘신’은 스미 스(그리고 서구의 독자들)에게 어떤 종교적인 현상을 바라볼 때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한다. 
또한 유교를 설명할 때 스미스는 유교가 윤리(ethics)인지 종교(religion)인지 질 문을 던진다. ) 스미스에 따르면 종교의 좁은 정의는 ‘인간 존재의 초월적 근거 와 인간성을 연결시키는 관심’이다. 그는 이 정의를 적용한다면 그 초월적인 근 거가 ‘하늘(Heaven)’이라는 ‘무언의 존재(muted one)’이긴 하지만 유교는 여전히 종교라고 설명한다. 여기서 스미스는 ‘하늘’의 존재를 ‘신’과 직접 비교하지는 않 지만 이 같은 정의로만 종교로서의 유교를 한정하는 것은 ‘초월적 존재’가 종교 의 필수 조건이라는 그의 시각을 보여준다. 
눈여겨 볼 점은 이능화가 현대에 ‘God’을 의미할 때 흔히 사용되는 ‘신(神)’을 스미스가 말하는 ‘신(God)’의 의미로 쓴 적이 없다는 것이다. 대신 그는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의 신을 가리킬 때는 ‘상제(上帝)’라는 표 현을 썼다.  ) 달리 말한다면, 서구의 신 개념에 적절히 들어맞는 개념이 동아시 아에는 본래 없었고, 이능화가 활동하던 시기까지도 스미스의 유일신 ‘God’과 같 은 개념이 한국에 널리 퍼져있지 않았다고 추측할 수 있다.
 
2. 백교회통의 ‘천(天)’과 세계의종교의 ‘신(God)’ 비교

‘천(天)’은 이능화가 모든 종교를 관통하는 틀로 제시하는 개념이다. 이능화는 11개의 종교들과 불교를 비교한 뒤 12장 ‘모든 종교를 총합하여 불교와 대조함’ 에서 천 개념을 제시한다. ) 그는 “도교가 주로 자연에 방임(放任)하는 것을 제 외하고는 모든 종교가 하늘(天)로써 위주로 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자신이 수행한 비교 작업의 성과를 밝힌다. 

이능화는 천을 형체(形體), 주재(主宰), 명운(命運), 의리(義理) 등 네 가지로 구 분한다. 첫 번째는 물리적 형태의 천을 가리키고, 두 번째는 세계를 관리하는 존 재로서의 천을 가리킨다. 세 번째는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운명을 가리키고, 네 번째는 도덕성 혹은 도덕적 원칙을 의미한다. 이능화에 따르면 유교에는 네 가지 의미의 하늘이 다 있고, 나머지 기독교, 이슬람교, 바라문교, 대종교 등에서 말하 는 하늘은 두 번째 의미의 천(주재)과 관련돼 있다. 이어 그는 불교는 이와는 다 른 네 가지 천(세간천, 생천, 정천, 의천 또는 성천)을 말하고 있기는 하지만, 부 처는 이들을 초월한 하늘 중의 하늘, 즉 ‘천중천(天中天)’이라고 설명한다.

이능화의 ‘천’ 구분은 불완전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한국적인’ 성격의 비교종 교학적 틀을 제시하려 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옛부터 하늘이란 4종으로 구분되 는 것을 벗어날 수가 없다”는 언급34) 이외에 네 가지로 하늘을 구분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논증이 부족하다. 또한 각 종교들이 해당되는지 여부 를 결정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도 부족하다. 하지만 신광철은 이러한 천 개념이 오랜 역사 속 한국 종교에 이어진 해답의 상징체계 두 가지로 볼 수 있다는 분 석을 제시한다. 그 중 하나는 한국인들이 ‘하늘을 경험하며 만들어 온 해답의 상 징체계를, 다른 하나는 사제를 통해 ‘힘’과 만나는 제의적 삶에의 참여를 통해 살아가는 무속적 종교를 가리킨다.35) 이는 하늘이라는 존재가 한국인들의 경험 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특히 무속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한편 스미스 또한 ‘천’에 해당하는 ‘하늘(Heaven)’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유교 챕터에서 스미스는 하늘과 땅(Earth)의 영역이 끊임없이 접촉하고 서로 관련을 맺으며, 하늘은 땅의 번영을 통제한다고 설명한다.36) 하지만 스미스는 이능화처 럼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 등 여러 종교를 엮어 낼 수 있는 개념으로 사용하지 는 않았다. 대신 스미스는 하늘의 개념을 유교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한 것이 다. 특히 스미스는 하늘을 인간과 관계를 맺는 초월적인 대상으로만 한정 짓고 있다. 이는 앞서 논의했던 스미스의 좁은 의미의 종교 정의에 따르면서도, 이능 화가 제시한 (기독교, 이슬람 등이 속한다고 했던) 두 번째 의미의 천, 즉 ‘주재’ 의 의미로만 ‘하늘’을 바라봤기 때문일 것이다. 이능화가 제시하는 ‘천’은 스미스의 ‘신’과 동일선상에서 비교되기는 어렵다. 서구의 유일신은 창조주로서 이능화가 제시한 물리적 형태의 하늘마저도 만들어 낸 존재이며 운명이나 도덕을 (불교와는 다른 의미로) 초월한 존재이기 때문이 다. 그렇지만 유사한 측면도 갖는다. 인간을 초월하면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존재라는 점, 인간이 좋은 삶을 살아가기 위해 관계를 맺어야 하는 대상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는 스미스의 신이 주로 인격적인 존재, 이능화의 천은 ‘비인격적인 원리’로 대조되는 데서 나타난다. 백교회통에서 인간과 비교적 인 격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중국 고대 신앙의 초자연적인 존재들인 ‘귀신(鬼神)’ 이다. 이들은 강력한 초자연적 존재로, 하늘에 살며 바람이나 비, 천둥이 의인화 된 형태이고 이러한 존재 중 최고는 상제로 알려진다.37) 하지만 이러한 존재들 을 모두 초월하는 지고의 존재는 비인격적인 원리로 작동하는 ‘천’이다. 스미스

35) 나아가 신광철은 이러한 천(天) 개념은 이능화의 종교사학의 의도가 한국 종교의 원류 를 ‘신교(神敎)’라고 밝히는 데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인다. 신광철, 「이능화의 종교학 적 관점」, 종교연구 9 (1993): 184.
36) Smith, The World’s Religions, 183-87.
37) Yi, Harmonizing the Hundred of Teachings, 32.

또한 신의 정의를 비인격적인 존재(Godhead)로 보는 경우에, 열반이 신 개념에 해당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 이능화의 기독교 서술에는 신과 인간이 인격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습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도 주목 할 만하다. 애초에 이능화의 서술에는 수행자이자 스승으로서 나타나는 예수의 모습 이외에 기독교의 신이 활동하는 모습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3. 백교회통의 ‘도(道)’와 세계의종교의 ‘신(God)’ 비교

이능화가 ‘천’ 개념을 모든 종교를 관통하는 틀로 제시했다면, ‘도(道)’는 유교, 
불교, 도교와 같은 ‘동아시아적’ 종교를 서술할 때 활용되는 틀로 강조된다. 
유교와 불교의 비교, 도교와 불교의 비교에서 ‘도’와 관련된 주제가 많이 등장 한다. 도의 정의와 도가 갖는 특징들 혹은 도를 위해 수행하는 방법 등에 대해 유교 및 도교와의 비교에 수차례 다루고 있다. 이때 이능화는 의도적으로 ‘도 (道)’라는 한자를 중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공통된 내용을 부각시키고 있다. 한편 스미스 또한 ‘도’의 개념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다룬다. ) 다만 이는 도교를 설명할 때만 등장한다. 스미스에 따르면, ‘도(Tao)’에는 세 가지 의미가 있다. 첫 번째는 ‘형언할 수 없고(ineffable)’, ‘초월적인(transcendent)’인 궁극적 실재 (ultimate reality)를 의미한다. 두 번째는 자연의 모든 생명을 이끌어가는 내재적인 (immanent) 힘을 가리킨다. 세 번째는 앞서 묘사된 우주적 도와 꼭 들어맞을 때 인간의 삶을 의미한다. 이러한 설명은 도덕경에 등장하는 ‘도’에 대해서는 적 절한 설명일 수 있다. 하지만 스미스의 ‘도’는 동아시아 종교들을 함께 읽어내는 틀로 나아가지는 못했다.

백교회통 속 유교, 불교의 도는 도교의 도와 마찬가지로 모두 수행을 통해 추구해야 할 대상으로, 서로 비슷한 점도 많지만 각 종교 전통마다 강조하는 바 가 다르다. 유교에서 도는 주로 ‘덕’이라는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며,40) 하 늘 의 명을 따르는 데서 비롯된다. ) 불교에서는 수행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루어 야 할 상태 혹은 진리를 의미한다. ) 

이러한 ‘도’를 스미스의 ‘신’과 비교했을 때 드러나는 것은 동아시아 종교의 ‘수행 전통’이다. 백교회통에서 도는 ‘닦는 것(도를 닦는다)’으로 등장하기도 하 고, ) ‘드는 것(도에 든다)’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 이처럼 동아시아 전통에서는 신과 인간의 관계보다는 인간 스스로가 도를 향해 나아가는 수행이 중요하게 다 뤄진다. 그런 점에서 이능화는 기독교를 다룰 때 예수가 보이는 ‘수행자’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키기도 하고,  ) 개인이 구원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수행에 빗대기도 한다.46)

Ⅳ. 결론

이 글에서는 스미스의 세계의 종교가 ‘동양’을 배제하는 방식에 대해서 다 루었다. 맥커천의 비판을 바탕으로 제국주의적 관점과 영원주의적 관점이 결합해 ‘비서구의 독자들’과 ‘비서구적 종교’를 배제하게 되는 스미스의 시각을 논의했 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종교를 서술할 때 스미스의 비교종교학적 접근이 어떤 식으로 구체적으로 드러나는지 ‘신(God)’ 개념이 활용된 사례들을 통해 살펴봤다. 

세계의 종교가 동양을 배제하는 방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이에 대한 ‘동 아시아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능화의 백교회통과의 비교를 시도했다. 이 능화의 ‘회통’이 스미스의 제국주의적/영원주의적 관점과 비교했을 때, 종교다원 주의를 전제로 한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관용적 입장이 될 수 있음을 제안했다. 또한 백교회통에서 비교종교학적 틀로 활용된 ‘천(天)’과 ‘도(道)’의 개념이 가 진 특징을 살펴보며 서구의 ‘신’이 놓치는 부분들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글은 세계의 종교가 가진 한계를 드러내는 비교라는 목적 아래 백교회 통을 다루면서 그 전반적인 가치를 다루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백교회 통에 대한 연구가 이능화의 방법론을 주로 다룬 것에 더해 이 글은 ‘동아시아 적’ 혹은 ‘한국적’ 비교종교학적 작업으로서의 성과를 집중적으로 드러내고자 했 다. 

이렇게 백교회통이라는 자료를 활용해 그 가치를 드러내려고 했던 것과 마 찬가지로 스미스의 책이 지금의 시점에서 활용되는 방안도 논의돼야 한다. 휴스 턴 스미스의 세계의 종교는 북미에서 종교학이라는 분야가 제대로 자리 잡기 이전부터 영향력 있는 세계 종교 입문서로 활용돼 왔다. 서구의 독자들에게 효과 적인 설명을 제공하며 큰 인기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이 책이 현재의 시점에서도 여전히 활용된다면, 있는 그대로의 내용이 전부 받아들여지기보다는 비판적으로 다뤄질 필요가 있다. 맥커천의 표현처럼 이 책은 과거 종교학의 방법론이나 문제 점을 드러내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중요한 것은 이 글에서 논의된 문제점이 과거에만 머물러 있지 않다는 점과 서구의 학자들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서구화돼 온 학문적 지형에서 활동하는 비서구의 학자들도 역시 ‘동양적인 것’을 배제하는 태도는 경계해야 한 다. 무엇보다 이 글에서 다룬 ‘동양-서양’의 이분법을 포함해서, 현실 속 차별과 배제를 만들어 내는 권력과 지식의 결합은 계속해서 비판되고 수정돼야 한다.
  
주제어: 휴스턴 스미스, 세계의 종교, 이능화, 백교회통, 회통, 비교종교학, 천(天), 도(道)

일: 2020. 11. 10. 심사종료일: 2020. 11. 18. 게재확정일: 2020. 11. 27.
참고문헌
김영호. 「이능화의 종교회통론」, 한국학 연구 8 (1997): 187-216. 
김종서. 「한말 일제하 한국종교 연구의 전개」. 한국사상사대계 6: 근대편, 철학 종교연구소 엮음, 243-314.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신광철. 「이능화의 종교사학과 한국기독교사 연구」, 한국기독교와 역사 4 
(1995): 177-206.  
______. 「이능화의 종교학적 관점」, 종교연구 9 (1993): 173-98. 
이기영. 「한국불교의 근본사상과 새로운 과제」. 한국불교연구, 327-51. 서울: 한 국불교연구 원, 2006[1982].
이능화. 백교회통. 강효종 옮김. 서울: 운주사, 1989. 
이병욱. 「이능화 종교관의 변화」, 정신문화연구 28 (2005): 165-84. 
Kim, Jongmyung. “Yi Nǔnghwa, Buddhism,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 A 
Critical Review.” In Makers of Modern Korean Buddhism, edited by Jin Y. Park, 91-107.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0.
McCutcheon, Russell. Manufacturing Relig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______. “A Question (Still) Worth Asking about The Religions of Man,” Religion & Theology 25 (2018): 298-311. 
Smith, Huston. The World’s Religions.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1991[1958].
Yi, Neunghwa. Harmonizing the Hundred of Teachings: Baekgyo hoetong, trans. Dan B. Jung. Seoul: Korea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2017.
====
<Abstract>

How a Western Introductory Book on World Religions Excludes the East: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Huston Smith’s The World’s Religions and Yi  Neunghwa’s Harmonizing the Hundred Teachings
Choi, Myung Ho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Huston Smith’s The World’s Religions by focusing on how the book excludes Eastern readers and Eastern religions. I compare Smith’s work with Yi Neunghwa’s Harmonizing the Hundred Teachings (Baekgyo hoetong, 백 교회통) to illustrate Smith’s exclusive view and Yi’s alternative perspective based on an East Asian view. First, I discuss how Smith’s viewpoint toward “other” (non-Western) religions can be considered imperialist. I review Russell McCutcheon’s critique that Smith supposes a dichotomy between tradition and reason or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to separate “us” from “them.” In addition, Smith generalizes religions broadly to show the similarity of all religions. This “perennialist approach” can exclude non-Western religions as it is accompanied by an imperialist view. Instead I suggest Yi’s “harmonizing” (hoetong, 회통), a concept based on the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as an alternative. Yi’s harmonizing relates all religions with Buddhism. However, his attempt is not intended to emphasize that Buddhism is superior to other religions. Yi considers Buddhism as a tool to understand other religions; therefore, his viewpoint can be understood as religious pluralism aimed at the coexistence of religions.  Second, I show Smith’s and Yi’s comparative religious frames for describing unfamiliar religions. Smith noticeably juxtaposes the notion of “God” with similar notions of non-Western religions. On the other hand, Yi suggests four different meanings of “Heaven” (Cheon, 천) as a framework to comprehend all religions. Furthermore, I show that Yi utilizes “Dao” (Do, 도) when he describes East Asian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with an emphasis on the tradition of self-discipline.
Key words: Huston Smith, The World’s Religions, Yi Neunghwa, Harmonizing the 
Hundred Teachings, hoetong (harmonizing), comparative religion, cheon 
(heaven), do (d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