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9

알라딘: 일본 철학사상 자료집 Japanese Philosophy A Sourcebook James W Weisig

알라딘: 일본 철학사상 자료집

일본 철학사상 자료집 
제임스 하이직 (지은이),김계자 (옮긴이)보고사2021-10-20


















크게보기

정가
80,000원
판매가
76,000원 (5%, 4,000원 할인)
마일리지
4,00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8월 1일 출고
(중구 서소문로 89-31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101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
무이자 할부
소득공제 3,420원






수량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
중고 등록알림 신청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양장본
1062쪽

목차


  1. 서장
  2. 불교전통
  3. 선불교
  4. 정토불교
  5. 유교
  6. 신도
  7. 근대 강단철학
  8. 교토학파
  9. 20세기 철학
  10. 문화와 정체성
  11. 사무라이 정신
  12. 여성 철학자
  13. 미학
  14. 생명윤리



저자 및 역자소개
제임스 하이직 (James W. Heisig)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난잔대학 명예교수

최근작 : <일본 철학사상 자료집>

김계자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신대학교 대학혁신추진단 조교수.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일본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일본문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일 문학이 관련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인의 일본어문학이 형성된 전체상을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에 『근대 일본문단과 식민지 조선』(역락, 2015), 『일본대중문화의 이해』(공저, 역락, 2015), 「김석범 장편소설 1945년 여름」(보고사, 2017) 등이 있다.

최근작 : <일본의 근대, 근대의 일본>,<역사 속의 한류>,<지식의 쓸모를 찾아서> … 총 27종 (모두보기)

=======



See this image


Follow the AuthorsSee all

John C. Maraldo
Follow

James W. Heisig
Follow





Japanese Philosophy: A Sourcebook (Nanzan Library of Asian Religion and Culture, 5) Paperback – Illustrated, July 31, 2011
by John C. Maraldo (Editor), Thomas P. Kasulis (Editor), James W. Heisig (Editor)
4.7 4.7 out of 5 stars 53 ratings
4.4 on Goodreads
35 ratings
Part of: Nanzan Library of Asian Religion and Culture (6 book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25.00
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29.94
5 Used from $25.006 New from $45.99



















With Japanese Philosophy: A Sourcebook, readers of English can now access in a single volume the richness and diversity of Japanese philosophy as it has developed throughout history. Leading scholars in the field have translated selections from the writings of more than a hundred philosophical thinkers from all eras and schools of thought, many of them available in English for the first time.

The Sourcebook editors have set out to represent the entire Japanese philosophical tradition―not only the broad spectrum of academic philosophy dating from the introduction of Western philosophy in the latter part of the nineteenth century, but also the philosophical ideas of major Japanese traditions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Shinto.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each tradition is laid out in an extensive overview, and each selection is accompanied by a brief biographical sketch of its author and helpful information on placing the work in its proper context. The bulk of the supporting material, which comprises nearly a quarter of the volume, is given to original interpretive essays on topics not explicitly covered in other chapters: cultural identity, samurai thought, women philosophers, aesthetics, bioethics.

An introductory chapter provides a historical overview of Japanese philosophy and a discussion of the Japanese debate over defining the idea of philosophy, both of which help explain the rationale behind the design of the Sourcebook. An exhaustive glossary of technical terminology, a chronology of authors, and a thematic index are appended. Specialists will find information related to original sources and sinographs for Japanese names and terms in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and general index.

Handsomely presented and clearly organized for ease of use, Japanese Philosophy: A Sourcebook will be a cornerstone in Japanese studies for decades to come. It will be an essential reference for anyone interested in traditional or contemporary Japanese culture and the way it has shaped and been shaped by its great thinkers over the centuries.
Read less


Report incorrect product infor

Review
An outstanding sourcebook for all those interested in Japanese philosophy, as well as religious thought, social ideology, and artistic expressions stemming from the classical (Heian) and medieval ( Kamakura) through the early modern (Tokugawa) and modern (Meiji and post-Meiji) periods. . . . All readers of Japanese Philosophy will greatly benefit from and be gratified in finding authoritative versions of philosophical materials, offered in a creative, cross-thematic and historically based fashion. The reader may already be familiar with some of these resources, but may wish to reference or cite them anew, while other sections will provide original translations of philosophers with whom many readers may not yet be familiar or have not previously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upon in depth or view in historical perspective. The Thematic Index is one of the excellent tools that will enable the reader to navigate a path through over twelve hundred years of philosophical writing in Japan. ― Philosophy East & West

This massive tome will stand for the forseeable future as the gold standard for comprehensive treatment of all matters of Japanese philosophy. The three editors, all significant names within this small but growing subfield, have assembled an impressive group of established and up-and-coming scholars to translate and provide introductions to each entry, resulting in a readable sourcebook remarkable in both scope and acuity of analysis. . . . Essential. ― 
Choice

About the Author

James W. Heisig is a permanent research fellow at the Nanzan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in Nagoya, Japan.

Thomas P. Kasulis is University Distinguished Scholar and Professor Emeritus in Comparative Studies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where he has taught in the departments of comparative studies, philosophy, and East Asian studies.

John C. Maraldo is distinguished professor of philosophy emeritus at the University of North Florida.

Product details

  • Publisher ‏ : ‎ University of Hawaii Press; Illustrated edition (July 31, 2011)
  • Language ‏ : ‎ English
  • Paperback ‏ : ‎ 1376 pages

Customer Reviews:
4.7 4.7 out of 5 stars 53 rating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Maimai

5.0 out of 5 stars Grea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11, 2019
Verified Purchase
Came just in time for class. No damage at all. Thanks!🙏🏾



HelpfulReport

Michigan Rifleman

5.0 out of 5 stars Indispensibl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29, 2014
Verified Purchase
For anyone really wanting to read primary source material from Japanese philosophy, there is nothing better in the English language. Not a book for the timid or the dilatant. Well over 1000 pages of materials: a great wealth of reading.

5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S. B. London

5.0 out of 5 stars I sense therefore I am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19, 2017
Verified Purchase
Everything you want to know about Japanese philosophy but don't know how to ask.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me

4.0 out of 5 stars Grea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8, 2013
Verified Purchase
Informative and well researched. This book was a required text for a class but it is one that I will keep.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Rosa Mercedes Montgomery

3.0 out of 5 stars The book was for a university cours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20, 2012
Verified Purchase
The problem I had with the book is that as soon as I open the book the binding of the book broke. It was very dissapointing that it was so poorly made.
I have no comments about the content.

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ChaosAngel

5.0 out of 5 stars Perfect Book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15, 2013
Verified Purchase
Perfect book for the price and it helped me very, very much in class. Thank you very much for the sale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mazon Customer

4.0 out of 5 stars Great, but missing page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27, 2018

This is a wonderful trove of information. Honestly the only negative thing I have to say is that in my copy, during the section on the first major thinker, Kukai, roughly twelve pages or so are missing. It jumps from somewhere in the sixties to about page 80., right into Nichiren. Considering how important both these figures are, this shortage is quite unfortunate. I'm not sure if anyone else has experienced this, but I've read at least one other review where the customer had issues with the physical quality of the book. Still, for any student of Japanese history, thought, or culture this is simply indispensable.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nton Sevilla

5.0 out of 5 stars A Great Referenc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26, 2013

One of the difficulties that an English speaker might have in approaching Japanese philosophy is not really knowing where to start and who to work on. As one can see from the table of contents, Japanese philosophy is broad. There are communitarian thinkers like Watsuji Tetsuro, and there are individualist liberals like Fukuzawa Yukichi. There are the Zen Buddhist thinkers like Dogen and Shinran, and severe critics of Zen like Ichikawa Hakugen (who was in himself an incredible Zen man). There are both nationalists and people who got thrown in jail for their views against Japan. Oh and there are female thinkers too. So clearly, Japan outside travel guides is a complex place, difficult to reduce to stereotypes about nothingness, no-self, community, and nihonjinron (Japanese ethnocentrism).

But where does one start? Even if one can read Japanese, a non-native speaker would have a hard time just randomly going through dozens of thinkers trying to find who one finds really worth studying. And that is where I think this book is excellent. If you come across a name in a book or in a lecture, in minutes you can have a grasp of the basic approach of that person and his/her historical context. This book covers almost anyone of note in the history of thought. Spare half an hour and you can read a few selections from key works, translated in excellent and readable English. If you are convinced this person is worth reading, then you can head off to primary sources--likely in Japanese as many of the people taken up in the sourcebook have never been translated to English before.

The Japanese language is difficult, so is the philosophy, and put those two elements together and you have a very forbidding field in Japanese Philosophy. But it is the publication of books like these that make it possible both to research and to teach this subject in English.

21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See more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Great CompliationReviewed in Canada on March 18, 2017
Verified Purchase

This is a great anthology of Japanese Philosophy. There is a lot of information in this book and good for those who want an overview of Japanese Philosophy. I particularly liked that there wa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ers before showing their writings.

I bought this book hoping to gain information about Japanese Confucian scholars (and I did), but I was pleasantly surprised to learn about the Kyoto School.
Report

Jade
5.0 out of 5 stars Great introduction to Japan philosophyReviewed in Japan on May 11, 2020
Verified Purchase

This book is incredibly rich in entries and themes as well. It provides a key inside within Japan history and it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deas from ancient time to modern Japan. Many of the thinkers introduced in this book have never been translated in English either, so it is a great opportunity to discover a wide range of Japanese thinkers through the ages. Highly recommended.

2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侏儒
4.0 out of 5 stars いま日本哲学とは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27, 2013
Verified Purchase

 英語で出版された、殆ど唯一の包括的な日本哲学に関する参考書。戦後の日本は敗戦の影響もあってか(実際戦前の主な哲学教授は戦後公職追放されましたから)、「日本に哲学なし」を信望し、過去を殆ど顧みることなくフッサール、ハイデッガー、英米系分析哲学、古代ギリシャ哲学の研究に勤しんで来ました。それらの研究は確かに厳密なテキストの読解と意義ある翻訳書の多くを残してくれましたが、同時に「日本において哲学するとは」という視点を、我々に見失わせることになりました。実際好むと好まずと日本人に生まれ、日本語を使って哲学をしているからには、それらの影響を何も受けていないと考えるのは、それこそ哲学的ではありません(もっとも始めから西欧哲学の「普遍性」を信じ込むならこの限りではありませんが)。
 是非、編集者のHeisig氏が執筆しているイントロダクションをお読みください。実は、ハワイ―南山大学のラインを中心に、日本哲学は近年、密かに世界中の注目を集め始めています。過去に中国哲学やインド哲学の影響を受けながら、それを独自の形で消化してきた日本が、近代期に取り入れた西欧哲学とどう折り合いをつけるのか、西田幾多郎をはじめとした多くの哲学者が悩んできたこの問題を、もう一度日本人は考え直すときが来ているのかもしれません。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


















The 16 Best Books on Buddhism & Meditation | Buddho.org

The 16 Best Books on Buddhism & Meditation | Buddho.org

The 16 Best Books on Buddhism & Meditation

You started meditating, for whatever reason. Maybe it’s a way to relax a bit more, to let go of stress, or to make suffering that you have experienced more bearable. Maybe the meditation is driven by the feeling that there is more we can access, or it is part of an investigation of reality.

It could just be that at some point you want to complement your meditation with some book-wisdom. Although absolutely not necessary, from time to time a book can be motivating and inspiring and can help you to put experiences into perspective.

So you have decided to read a book on meditation or buddhism (or both). But where to begin?

Choosing the right book at the right time is not that easy. Many different authors have dedicated many words to the Buddha and his teachings. There are books that might be easier to read first and books for people who want to go even deeper, books about Theravāda, about Zen, about Tibetan buddhism, books that contain translations of ancient writings, and books that mainly contain the authors experiences, opinions or interpretations. And with all books, the question always arises whether the author really knows from his own experience what he/she writes about and whether the content can really be trusted (at least to some extent).

You might even wonder if it is not just best to start with the Pali Canon (the ancient writings that contain the direct teachings of the Buddha). The answer to that is yes and no.

Ahba has indicated that when reading the Pali Canon you are at least sure that the content is good, this cannot always be said with certainty for many other works by modern authors. However, Ahba also gives warnings for delving into the sutta’s as well as the Abhidhamma.

The reason fort his caution is that the sutta’s (teachings of the Buddha) are context-dependent. That is, the Buddha was a master at adapting his message to his audience so that his teachings had the best effect. This also means that the wisdoms in the sutta’s are context-dependent. Without knowledge of the context and the accompanying nuances, one can arrive at wrong insights or interpretations.

Ahba indicates that it is like trying to catch a fish in a very cloudy pond. The fish can’t see you, but neither can you see the fish. All you can do is move your hand haphazardly back and forth in the water, hoping to meet a fish. Maybe you’ll catch a fish, but maybe you won’t, and who knows how long it will take.

Of course it’s fine to read the sutta’s, just be careful with thinking you gained all kinds of true insights from them.

When it comes to studying the Abhidhamma (the teachings on ultimate reality), Ahba also makes it clear that wanting to dive too deeply into the Abhidhamma, i.e. reading the seven books of the Abhidhamma itself, makes no sense without a trained Abhidhamma teacher. The chance of confusion and speculation otherwise is too great.

This warning given by Ahba actually also applies to the Abhidhammattha Sangaha, the summary of the Abhidhamma.

It is like trying to catch a fish in a very clear pond. You can see the fish very well, but they can also see you. Every time you think you can catch a fish it is gone before your hand has reached it.

It’s the same with deeper knowledge of the Abhidhamma, just as we think we can grasp it, it slips away. If we think we can actually understand it through solely studying it we just fool ourselves.

Read for inspiration, for guidance during practice, for reassurance or confrontation with one’s own concepts and ideas, perhaps just to form a small hairline crack in your notion of a ‘self’. Don’t read with the intention of gaining wisdom, that only leads to misplaced arrogance.

True wisdom comes only through direct personal experience, through meditation, by practicing every day. Always keep that in mind.

With that note we’re going to venture into some books.

With these 16 recommended books on buddhism and meditation we hope to show a (in our experience) reasonably safe path in the swamp of choices. Of course the list is not a definitive work. It is just an advice from someone who has read a lot.

This is also just a start, if you want more advice (or personal advice) afterwards you can always contact us.

Please note that there is an order to the list. We start with more accessible works and gradually move to works that may offer more depth to the experienced student. If the book exists as a pdf we will place a link.

There are almost only Theravāda Buddhist books on this list because that is where buddho meditation comes from. That said, we consider this list a nice starting point for practitioners of other traditions as well.

When it comes to books from other lineages, for example, we can warmly recommend the Venerable Shunryu Suzuki (not to be confused DT. Suzuki) for Zen and the Venerable Dilgo Khyentse Rinpoche for Tibetan Buddhism.

Have fun reading!

영원한 보석 , 마가레타 폰 보르직 2010 Juwel des Lebens

우리출판사














영원한 보석
출간일 2010.9.27
저자 마가레타 폰 보르직 역저. 김명&

규격 신국판(154×200)
ISBN-10
ISBN-13 978-89-7561-299-2
정가 9,500원








===
책 소개

그리스도교의 세계로 읽는 법화경 『영원한 보석』. 기독교와 불교를 접목하여 두 종교의 공통점과 메시지를 담아낸 책이다.

=====
목차
추천의 글
한국어판을 내면서/ 마가레타 폰 보르직
종교 간 대화의 보석이 되길 기대하며

  • 법화경과 붓다의 위대한 선언

  • 불타는 집의 비유
  • 잃어버린 아들의 비유
  • 약초의 비유
  • 마술도시의 비유
  • 옷 속 진주의 비유
  • 왕의 보석의 비유
  • 여래의 수명
  • 관세음보살의 우주적인 문

각주
참고문헌
1~3판 서문
접기

===




『영원한 보석』(원제: 『Juwel des Lebens』, 삶의 보석)은 

두 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을 치루면서 유럽의 문화가 그의 영적 뿌리를 다시 찾기를 원하면서, 불교의 명상적 의식이 접목되는 과정에서 출현한 독일 최초의 법화경 번역서다.

그동안은 주로 팔리경전을 토대로 하는 남방불교와 일본의 선불교, 티벳불교 관련 불서들이 소개되긴 했지만 대승불교의 한문불전(佛典)은 독일인들에게 매우 생소한 시점이었다. 이러한 때 법화경의 비유를 뽑아 정리한 『영원한 보석』과 법화경의 한역 원전을 번역한 보르직의 독일어판 『법화경-경이로운 법의 연꽃에 관한 경전』의 출간은 독일인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이 두 책은 출간 이후 개정을 하며 거듭 오늘날까지도 법화경 필독서로 읽히고 있다.

이렇듯 보르직의 법화경 관련서들이 꾸준히 읽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영원한 보석』은 그 답을 잘 보여준다. 그것은 그리스도의 길과 붓다의 길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저자의 사상적 확장 혹은 종교적 해석이 밑바탕을 이루고 있는 까닭이다.

저자 보르직은 중생구제를 위한 붓다의 무조건적인 자비와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십자가의 죽음을 택한 예수 그리스도의 절대적 은총을 별개의 것으로 보지 않는다. 오히려 그러한 방편을 통한 자비와 은총이 그리스도교와 불교가 만날 수 있는 교차점이며, 바로 그곳이 종교인들의 신앙의 출발점이 되어야 함을 암시해 주고 있다.
『영원한 보석』은 그리스도교와 만날 수 있는 ‘자비와 방편’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법화경의 다양한 비유들을 한데 모아 엮었다. 자비와 방편은 ‘은총과 육화’라는 그리스도교의 신앙고백과 공유할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방편이라는 입장에서 보면 다양한 종교와 종파들이 갈등 없이 평화공존 할 수 있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영원한 보석』은 법화경에서 선별한 6개의 비유와 2개의 글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중생을 구제하려는 붓다의 자비가 그 핵심을 이룬다. 이 책의 제목으로 쓰인 ‘보석’은 붓다의 자비가 담겨 있는 법화경을 의미한다. 법화경에서 붓다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메시지가 '보석'인 것이다. 그 메시지의 목표는 ‘내가 붓다임’을 깨닫는 것이며, 이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최고의 경전이 법화경이라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법화경이 다른 어느 경전보다도 ‘최고의 경전’이라는 것이 거듭 강조된다. 붓다는 듣는 사람의 근기에 맞게 설법을 하였는데, 최고의 경전 법화경 이외의 경전들은 ‘방편’으로써 주어졌다는 것이다. 성문(聲聞)과 연각(緣覺)에게는 ‘작은 수레’(소승)가, 보살에게는 ‘큰 수레’(대승)가 주어졌다.
「왕의 보석의 비유」에서는 “저 힘 있는 왕이 오랫동안 지켜왔던 빛나는 보석을 마침내 선물한 것과 똑같이 나는 최후의 경전으로서 법화경을 준다.”(160쪽)고 밝히고 있다. 여기서 붓다는 법화경을 ‘왕의 머리 위에서 빛나는 보석’에 비유한다. 이 보석은 최후에 가장 큰 공신에게 건네주는 ‘은총의 선물’로서 ‘내가 붓다’임을 깨닫게 하는 ‘최고의 안내자’다. 이것은 「마술도시의 비유」에서의 안내자이고, 「불타는 집의 비유」에서의 아버지이며, 「잃어버린 아들의 비유」에서 다시 찾은 아들에게 모든 보화를 넘겨주는 아버지다. 이들 비유의 목표는 중생의 성불(成佛)에 있으며, 이 목표를 위해 붓다가 사용한 것이 방편이다. 붓다는 듣는 이의 근기에 맞게 방법을 달리하여 법을 전하였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방편)이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방편의 필요성과 다양성이 가장 잘 드러난 곳이 이 책의 말미에 있는 「관세음보살의 우주적인 문」이다. 중생구제를 위해 무한한 방편을 사용하는 관세음보살의 빛나는 자비는 이 책의 절정을 이룬다.
인간 자신의 힘만으로는 열반에 들 수 없기에 붓다는 자비의 방편을 통해 중생들의 성불(成佛)을 위한 대각성(大覺醒)을 돕는다. 이 ‘방편’이 그리스도교와 불교가 만날 수 있는 접점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육화로서 타락한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중보자’로서 세상에 들어온다. 이 ‘육화된 중보자 예수’의 모습이 바로 붓다의 방편으로 해석될 수 있다. ‘불타는 집’에서 아들들을 구하려고 사용한 ‘수레’와 같다. 「잃어버린 아들의 비유」에는 “나는 마음속으로 결코 기대하지 않았다. 이 값비싼 보석이 마치 저절로 들어온 것 같다!”(93쪽)는 아들의 고백이 있다. 자력종교로만 알려져 있는 불교에도 신앙의 타력적인 요소가 있음을 보여주는 구절이다. 기대하지 않은 값비싼 보석, 저절로 들어온 그것이야말로 붓다의 자비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인 것이다. 「약초의 비유」에서 붓다는 “생명을 주는 비를 쏟아 붓는 큰 구름"(113쪽)이라고 비유한다. 세존(世尊)은 모든 메마른 중생들 위에 축복을 붓고, 중생들을 모든 고통으로부터 구해 내며, 중생들이 세상의 기쁨과 열반의 기쁨을 얻도록 축복하는 자비와 구제의 붓다다.

『영원한 보석』은 불교와 그리스도교 간의 경전을 통한 대화의 장을 열어주고 있다. 그동안 종교 간의 대화가 추상적, 관념적, 교리적인 방향에서 진행되어왔다면, 이 책은 경전을 통한 대화의 자리를 마련했다는데 있어서 그 의미가 자못 크다. 타종교의 경전을 읽고 그들의 지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한 종교의 『영원한 보석』을 넘어 ‘종교 간 대화의 보석’을 우리에게 선물한 것이다.





역저자 / 마가레타 폰 보르직
마가레타 폰 보르직은 1944년에 독일 바이에른주 펠덴(Velden)/필스(Vils)에서 출생하였다. 독일의 뮌헨, 보쿰,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고전문헌학과 일본학, 중국학, 철학, 신학 등을 전공하였고, 1974년에 뮌헨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영원한 보석>은 중국어에서 독일어로 옮긴 최초의 법화경 번역서다. 한편 1999년, 법화경 전문을 번역하여 출간한 『법화경-경이로운 법의 연꽃에 관한 경전』은 2010년 현재 중판을 거듭하며 독일에서 대승불교를 만나는 필독서로 읽히고 있다.
그밖에도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대화를 위한 여러 간행물을 펴낸 바 있는 저자는, 독일 상트 오틀리엔 수도원(Erzabtei St. Ottlien)에서 주관하는 <종교 간 수도자의 대화>에 오랫동안 참여하며 그 자신의 앎을 삶 속에서 실천해 온 참 종교인이다.

역자 / 김명희
1962년 생. 서강대 종교학과 졸업.
독일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종교학 석사학위(Magistra Artium)를 취득한 뒤, 뮌헨대학교에서 원효의 화쟁사상을 주제로 한 「일심 안에서의 화쟁: 종교 다원화의 해석학에 대한 원효의 기여」로 신학박사학위(Th. D.)를 받았다.
2010년 현재 서강대 신학연구소 연구원이며 감신대, 서강대, 서울장신대, 성공회대, 한남대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 전공분야는 종교 간의 대화로 특히 그리스도교와 불교와의 대화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다.
논저로는 「종교간 대화에 관한 폰 부뤽의 해석학」 「교신과 조신의 대승적 믿음을 통해 본 종교간 대화의 해석학」 「종교 ∙ 폭력 ∙ 평화: 요한 갈퉁의 평화이론을 중심으로」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Lotos-Sutra - Borsig, Margareta von | 2009

Lotos-Sutra - Borsig, Margareta von



Lotos-Sutra Hardcover – 1 January 2009
German edition by Margareta von Borsig (Author)
4.7 4.7 out of 5 stars 29 ratings
===
Print length
413 pages
German
Publisher ‏ : ‎ Herder, Freiburg (1 January 2009)
Language ‏ : ‎ German
Hardcover ‏ : ‎ 413 pages
4.7 4.7 out of 5 stars 29 ratings


Customer reviews
4.7 out of 5 stars
4.7 out of 5
29 global rating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happy
2.0 out of 5 stars 
Can one evaluate Mahayana Buddhism?
Reviewed in Germany 🇩🇪 on 5 January 2015
Verified Purchase

Can one evaluate Mahayana Buddhism? 
If so, and only then, can you rate this book.

The book's subtitle is a lie: The Lotus Sutra is neither an enlightenment book nor a book of all Buddhism (just as Martin Luther's catechism is not a book of all Christianity). 

The Lotus Sutra is the central book of the Mahayana denomination of Buddhism. Especially the great vehicle (mahayana) relies more on promises, rites and faith than on enlightenment. 
The Lotus Sutra is also rather unsuitable for meditation 
or even as a guide to the Boddhisatwa.

The actual text extends over 350 pages and the Chinese original was written almost 1000 years after Buddha-Gautama. It is supposed to represent a sermon of the Buddha (at 350 pages an extremely long sermon lasting many hours), the Buddha-Gautama on Geierspitzberg (a real place in Bihar, ie a very small rocky peak that only offers space for very few people, unless the little space is occupied by countless vultures) is said to have held. 

Unfortunately, there are neither photos of the Boddhisatwas mentioned nor a photo of the very small rocky peak of the Geierspitzberg (Griddhraj Parvat) in this book. So you only have a realistic, plastic understanding of the mentioned Boddhisatwas and the place of the sermon by googling.

Much in the Lotus Sutra is reminiscent of the Gospel of Luke: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this is even more difficult than in Luke), the parable of the herbs (is an analogue of the parables of the wheat field and the parable of the vineyard).

 The style of the parables is also reminiscent of Luke. This may well have been the reason that the Catholic Church financed this translation into German and published it through a Catholic publisher.

The words in this Lotus Sutra, on the other hand, do not sound like the benevolent and tolerant Gautama at all. Here are the concluding words of the discourse (Chapter-28):

"Again, if one sees those who take up and adhere to sutras, and he proclaims their faults and transgressions, whether true or false: such a one will be afflicted with leprosy in the present life. If he laughs at them, for generations his teeth will be gapped or missing, his lips low, his nose flat, his hands and feet crooked, his eyes squinting, his body foul-smelling and dirty, with bad scabies and bloody pus, he will become addicted to water and asthmatic, in short, be afflicted with any serious disease Therefore, Samantabhadra, when you see those who are absorbing and keeping this sutra, you should stand up and salute them from afar,

Read less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Translate review to English


Pe-Bu
5.0 out of 5 stars enrichment
Reviewed in Germany 🇩🇪 on 28 August 2012
Verified Purchase

Anyone who is interested in Mahayana Buddhism and would like to study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exts of almost all Mahayana schools and traditions will find this careful translation very useful. The translation is appropriate for today's German language without being modernist. And in many footnotes, terms and contexts are explained and worked out very carefully and in as much detail as necessary, but also as briefly as possible. So if you want to get to know one of the "sacred texts" of most Japanese Buddhist schools (Tendai, Nichiren, etc.), then this book is highly recommended.

However, the subtitle of the book "The Great Enlightenment Book of Buddhism" bothers me a little. First, in the Buddhist traditions for which this sutra is authoritative, enlightenment plays a far less important role than it does in Zen Buddhism. Above all, however, one cannot speak of an "enlightenment book of Buddhism", because the Lotus Sutra has only marginal importance for many other Buddhist traditions and schools (Theravada (Hinayana), Tibetan Buddhism, also Zen to a certain extent). Here the publisher approaches a small "trick" that can perhaps be explained in terms of sales, which the book does not need at all, especially since the (publisher's) blurb itself indicates that the sutra is only relevant for certain Buddhist schools.

Nevertheless, I give 5 points, because this small critical note does not change the fact that this text is not only an enrichment for Buddhists, but for all those who are religiously, yes, philosophically interested.
Read more

18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Michael Schroeder
3.0 out of 5 stars Mahayana programmatic
Reviewed in Germany 🇩🇪 on 9 August 2020
Verified Purchase

The book is touted as an important enlightenment book. It certainly is for those Mahayana schools that refer to the Lotus Sutra. It must be one of the earlier Mahayana sutras and develops some key Mahayana tenets such as the Bodhisattva path, the need to teach the Buddha's doctrine by the mean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that all can become Buddhas, etc. Many of these are said to be so special and new teachings are also laid out in Theravada and the Pali Canon.

What I really dislike about the Lotus Sutra is the constant propaganda for the supposed superiority of Mahayana over the other Sravaka Buddhist schools (of which only Theravada survives today). 

And the constant praise of the uniqueness of one's Lotus Sutra teachings. 
And the virtual damnation of all who, like me now, doubt its uniqueness and mean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educated Buddhist" it might be nice to know the numerous parables, such as that of the prodigal son, the burning house or the imagined "heavenly" city, which have now almost become common property.

Despite some passages that are definitely worth reading and interesting, the Lotus Sutra appears to me in numerous passages primarily as a propaganda document of the Mahayana that was flourishing at the time.

I would have to read the Lotus Sutra in historical context to better appreciate its achievements. Unfortunately I don't have the information (books, papers, ...)
Read less

5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

Matthias
5.0 out of 5 stars The Lotus Sutra is well worth readingReviewed in Germany 🇩🇪 on 3 March 2017
Verified Purchase

The evaluation applies to the text of the Lotus Sutra.
Less the author of the book, who ends up talking too much about the Catholic Church.
It has no place in a book about the Lotus Sutra.
Buddha is the father of this world - I am the father of this world.
The text of the Lotus Sutra is well translated and presented separately.
The translation is far better than Thich Nan Tan's.
The author of the book has done a very good job in this regard.

To those who like the Lotus Sutra, the father of this world will reveal himself to him, who as an invisible force tries to free his children from the chains of this world and lead them back into the light. Nice that this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exists.

7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



Waldrose
4.0 out of 5 stars Can you evaluate a state of mind?Reviewed in Germany 🇩🇪 on 15 March 2013
Verified Purchase

This book contains sacred texts that have strong meaning for me. The resemblance to the New Testament is interesting. 

I bought the book to check the claims of the book: "Mysteries about Jesus Christ". It's very exciting.
Only then did I get holy wrath in the middle. Always only Buddhas, only monks, only men. In the beginning there was also something about nuns, but it became more and more masculine. That's when I hit the crisis. I am a woman, at the time the book was written, there were women there too, I assume, but this worldwide ignoring of women in religion prompted me to close this book and I decided again the stories of Frau Holle by Heide Göttner-Abendroth.
That was healing for my woman's soul.
I don't want to deny the sacredness of this book, only as a woman I don't find myself addressed. Therefore a star deduction.

11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


Heide Gottner-Abendroth

Frau Holle > 
The fairy folk of the Dolomites: The great goddess myths of Central Europe and the Alps retold 
by Heide Göttner-Abendroth Paperback – 19 Oct. 2005
by Heide Goettner-Abendroth (Author)

4.6 4.6 out of 5 stars 12 ratings

Frau Holle – a Great Goddess? The popular story of the old woman in the clouds has many a surprise in store. From a rich treasure trove of Frau Holle myths, Heide Göttner-Abendroth brings to life the image of a cult figure who has shaped people's lives for thousands of years. What we knew as fairy tales now encounters us in a remarkably different way. This time, in her literary retelling of influential myths, Heide Göttner-Abendroth traced the figure of Mother Holle and the fairy world of the Dolomites. These myths from Central Europe, known today as 'Children's and Household Tales', were once robbed of their religious and spiritual content. Although a living belief in the helping power of the maternal goddess had long been cultivated, An alienation from the matriarchal world finally took place with the writing of the myths. Heide Göttner-Abendroth uncovers real places and names in the fairy tales and gives them back their historical and spiritual content. The figure of Mother Holle embodies the matriarchal cycle of the seasons. For a long time she resisted patriarchalisation; but when she can no longer stop them, she takes her blessings with her. The cycle of myths surrounding the fairy people of the Dolomites is also an example of drastic historical changes. Heide Goettner-Abendroth gives these unjustly neglected stories back their place in the system of the great goddess myths. A treasure trove for those interested in history, lovers of fairy tales and legends, for parents and young people, scientists and laypeople. ---- Excerpt Frau Holle This is the wheel of time!', said Frau Holle. 'It made you grow older as it walked, and it transformed me into the divine crone at the end of this year.' With these words she threw off her heavy cloak, put down the high hood and ordered the mill wheel to stop. Groaning, the mill wheel came to a standstill and Frau Holle sat on top of it. 'But this year is over, a new one is beginning!' she called from above, 'I too want to renew myself.' And she said the magic spell: 'What is old becomes young with a swing!' Now the mill wheel turned backwards. Schrumm, it whizzed around once, and after this roundabout the goddess had become a year younger. Schrumm, went the second roundabout, scrounge scruff, another and another, and with every turn Frau Holle grew younger. […] She jumped down and now resembled herself, bringing the first buds of spring to all lands in March of every year. Light was her veil and dove feathers her dress. […] The rejuvenated Holle grabbed one of the fair ones after the other and threw them onto the mill wheel, saying the saying: 'What is old becomes young with a swing!' And crooked, the wheel ground backwards, made one after the other young and beautiful again like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The same thing happened to the earth serpent, in the whirl of spokes the time that had passed so far ran back for her, without her forgetting what she had learned and experienced. Her hands became smooth and her face beautiful, and she felt lightness in her heart again. That was Mother Holle's gift that she rejuvenated her priestesses like herself. But one last one still stood there, she seemed helpless and lost. The goddess looked at her angrily, spoke the severe words: 'You have served me badly as a priestess! You were lazy with the people to whose help I sent you, you also accepted gifts against my command. Chattering you revealed your time and secrets to guard. […] I will give you the reward for it!' Without further ado she grabbed the unfaithful priestess, threw her onto the mill wheel and said the magic spell: 'The mill grinds, what is young grows old!' Schrumm, the wheel was turning forward again, and before the faithless woman could think of it, she was a year older. On the next trip, another year had passed, then another one and another one, time went by so fast for her. The false fair lady screamed and begged to be allowed off the wheel again, but whining and crying didn't help her, the mill wheel turned incessantly and ground her into a very old woman. When the goddess took her down, she was crooked and wrinkled, her arms hanging withered about her body. So she had wasted her life with her naughtiness. She was sent back to Earth...

4.6 4.6 out of 5 stars 12 ratings

Top reviews from Germany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Ina Wähner

4.0 out of 5 stars New impressions of old stories
Reviewed in Germany on 12 August 2006
Verified Purchase
As in the first two parts, the author describes legends and myths from the times when mother-daughter inheritance was still common. Traces of the old mother goddess, who is often still called "Frau Holle", can be found in the Alpine region and in the German low mountain ranges, as well as corresponding links to legends, such as with the Thannhäuser myth or the Kyffhäuser story. The second part of the book tells the

story of the Dolomite fairies with their queens - reflected in the mountains; the mother line is passed on in different versions and the connection with the animal kingdom finds meaning in harmony with omnipotent nature.

In this book, too, the mirrored but well-known version is told in the respective appendix,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us through the collections of fairy tales from the patriarchate. Recognizing the fascinating female side gives tremendous insights into almost lost female development phases.

3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Brit

5.0 out of 5 stars 
Reviewed in Germany on 22 August 2012
Verified Purchase

I was just fascinated by this book. So many things that you still have stored in the subconscious from the old beliefs come together after this book and make sense. I was fortunate to read and learn from this beautiful ancient faith. Many things make more sense to me than some beliefs today. Many thanks to the author!!!!! In any case, this book is highly recommended.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J. W.

3.0 out of 5 stars Matriarchat
Reviewed in Germany on 6 February 2006
Verified Purchase

really nice stories that Mrs. göttner-abendroth has put together. the subject of 'matriarchy' should certainly not be dismissed as a fairy tale, but göttner-abendroth places it in the realm of legends. she is completely wrong in her assumption that the problem of war and violence was completely unknown in pre-celtic and pre-germanic societies - the archaeological finds prove the opposite: just think of the violent death of ötzi and the mass graves of talheim - not to mention the proven human sacrifices. göttner-abendroth unfortunately loses credibility with her theses and is therefore no help in matriarchy research.

26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Christian F. Brunner

4.0 out of 5 stars Important and good book
Reviewed in Germany on 16 October 2014

I would recommend reading this work to anyone who cares about the survival of European traditions. Much only makes sense through the matricentric mythology.
Unfortunately, from a spiritual point of view, the author walks into the same quagmire as those she so harshly condemns in her writings. Everything that is not matricentric is fundamentally bad. So did the Celts, who absolutely had a culture supported by the Great Goddess.
Anyway, she misses finding wisdom in balance.
Abfalter, the apple tree druid

5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Rosalyn Reeder

5.0 out of 5 stars Mother Hulda
Reviewed in Germany on 20 October 2009

I read, but do not write, German. I ordered this book because of the Frau Holle research. So far, I have read only the Frau Holle section. It verifies so much of what I have researched ever since reading Merlin Stone's "When God was a Woman", 1978. December 2006 I was in Munich, where I was excited to find the holly-shaped cookies for sale at Dolmayr labeled Hexenblätter. At the Swarevski shop on the Marienplatz, I asked for the Hexenblat pendant I saw in the window. The clerk had no idea what I meant - told me this was Stechpalme. Neither clerk had any idea what I meant by "holly."
I hope the book will be translated into English so the English speaking world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resurgence of Frau Holle. This was not a "cult" but a major world religion - since it links with Brigid, Hera, Hapi, Kali und viel weiter.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Y. Arendt

5.0 out of 5 stars beautiful fairy talesReviewed in Germany on 9 September 2010


beautiful fairy tales about the great goddess Frau Holle. It is a beautiful collection with many little-known fairy tales about Frau Holle. Very nice book.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Translate review to English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잘못된표현 소천(召天)과 명복(冥福)우리말 죽음에대한별칭 : 네이버 블로그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잘못된표현 소천(召天)과 명복(冥福)우리말 죽음에대한별칭 : 네이버 블로그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잘못된표현 소천(召天)과 명복(冥福)우리말 죽음에대한별칭

자연숲치유산업학과

2023. 1. 14.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는

잘못된표현 소천(召天)과 명복(冥福)

우리말 죽음에 대한 별칭




​어느 학생에게 아버지의 나이를 물었더니 학생이 말하기를 “향년 54세입니다” 하였다. 내가 순간 당황하여 “그럼 돌아가신 지는 얼마나 되었는가?” 하였더니 학생은 더욱 당황하여 “지금 집에 계시는데요.” 하였다.



아마 학생이 ‘향년(享年)’을 나이의 높임말인 연세(年歲)나 춘추(春秋) 등과 같은 의미로 혼동하였던 모양이다. 향년은 살아생전의 나이 곧 죽은 이가 이 땅에서 향유(享有)하였던 수명을 말한다.



우리말 가운데 죽음에 대한 별칭은 매우 다양하다.



사망(死亡), 임종(臨終), 별세(別世), 타계(他界), 하직(下直), 서거(逝去), 작고(作故), 선서(仙逝), 기세(棄世), 하세(下世), 귀천(歸天), 영면(永眠), 영서(永逝), 영결(永訣), 운명(殞命), 절명(絶命) ….. 이 외에도 엄청나게 많다.



이는 우리 선조들이 오래도록 죽음을 고민하고 살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간혹 신문 기사에서 ‘운명(運命)을 달리했다.’라는 표현을 보게 된다. 이 또한 잘못된 문장으로 ‘유명(幽明)을 달리했다’라고 해야 옳다.



'유(幽)’와 ‘명(明)’을 달리했다.”라는 말은 생과 사를 달리했다는 말로서 ‘幽’는 어둠·밤·죽음·저승·악·무형·어리석음 등을 의미하고 ‘明’은 밝음·낮·삶·이승·선·유형·지혜로움 등을 뜻한다.



굳이 ‘운명했다’라는 표현을 하고자 한다면 “암 투병 끝에 ‘운명(殞命)했다’”라고 해야 옳다.




·죽음의 종교적 별칭으로는 불가에서는 열반(涅槃), 입적(入寂), 입멸(入滅), 멸도(滅度) 등이 있으며, 유가에서는 역책(易簀), 결영(結纓), 불록(不祿) 등으로 표현한다.



'역책(易簀)’이란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로서,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말이다. 증자(曾子)가 운명할 때, 일찍이 계손(季孫)에게 받은 대자리에 누워 있었는데 자신은 대부가 아니어서 이 자리를 깔 수 없다 하고 다른 자리로 바꾸게 한 다음 운명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결영(結纓)’이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나오는 말로서 갓끈을 고쳐 맨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자로가 위(衛)나라 난리에 싸우다가 적의 창에 맞아 갓끈이 끊어졌는데, “군자는 죽을 때에도 갓을 벗지 않는다.”하고 갓끈을 고쳐 매고서 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불록(不祿)’이란 신분에 따른 죽음의 다섯 가지 등급 가운데 하나이다. 즉 천자(天子)는 붕(崩), 제후는 훙(薨), 대부(大夫)는 졸(卒), 선비는 불록(不祿), 서인(庶人)은 사(死)라고 한다. 또한 《예기》 <곡례(曲禮)>에는 장수하다가 죽은 것을 ‘졸(卒)’이라 하고, 젊어서 죽은 것을 ‘불록(不祿)이라 한다.’고 하였다.






천주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선종(善終)’이라 하는데, 이는 ‘선생복종(善生福終)’의 준말로서 ‘착하게 살다 복되게 생을 마쳤다’라는 의미이다. ‘믿음대로 살다 천국에 갔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개신교에서는 많은 사람이 ‘소천(召天)하였다’라고 말들 하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표현이다. ‘아무개님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아 소천하였다’라는 표현은 명백한 문법상의 오류이다. ‘소천(召天)’이라는 말은 우리말 사전에도 없는 신조어로서 문법적으로 본다면 ‘하늘을 부른다.’라는 뜻이 된다.



대개 ‘소명(召命)’이나 ‘소집(召集)’이란 단어가 능동형으로 쓰일 때, 그 주체는 부르는 존재를 말한다. 예를 들자면 신학교를 입학하고자 하는 신학생은 ‘소명을 받았다.’라고 하지 스스로 ‘소명했다’라고 하지 않는다. 훈련장에 가는 예비군은 ‘소집을 당했다’라고 하지 자신이 ‘소집을 했다’라고 하지 않는다.




굳이 ‘소천’이라는 단어를 쓰고자 한다면 “소천하셨다”가 아니라 “소천을 받았다”라고 해야 옳다. ‘소천(召天)을 하였다’라는 말은 내가 ‘하늘을 불렀다’라는 뜻이므로 이제 때가 되었으니 ‘내가 죽고자 한다’라거나 ‘나를 죽여달라’라는 뜻이 된다. 인간이 자신의 수명을 위해 신을 불러낸다는 망령된 표현은 결국 죽을 권리가 내게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셈이다.



한편 망자나 그 가족에게 흔히 하는 상례의 인사말로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는 말들을 한다. ‘명복(冥福)’이란 죽은 뒤에 저승에서 받는 복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명복을 빈다.’라는 말은 죽은 사람의 사후 행복을 비는 말로서, 서방 정토에 가서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불사(佛事)를 행하는 일이다.




‘고인의 영면을 기원합니다.’라거나 ‘고인의 별세를 애도합니다.’ 또는 ‘고인의 영면을 추모합니다.’, ‘고인의 영원한 안식을 기원합니다.’ 등등 고인의 생전의 종교나 신념에 따라 얼마든지 추모할 수 있는 표현들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무턱대고 한결같이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고 하는 말은 진정성도 의미도 반감되는 매우 무성의한 예법이다.




더욱이 기독교인이나 천주교인에게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고 하는 것은 매우 큰 결례의 표현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죽은 이의 명복을 빕니다.’라고 하는 것은 무간지옥에 떨어진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인 ‘지장보살’과 ‘관세음보살’에게 기도를 하는 천도(薦度)의 발원(發願)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언어는 세를 따른다.’ 하였으니 이러한 모순된 말조차도 오랜 기간 많은 사람이 사용하다 보면 표준어로 굳어질 날이 있을 것이다. 神의 이름조차 인간의 의지대로 개명하는 족속들인데 뭔들 못하겠는가마는 그래도 알고는 써야 하지 않을까?



출처: 세종대 박황의 교수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불교#종교#소명

#소천(召天)#명복(冥福)#기독교#천주교

#우리말#향년#춘추#사망#임종#별세#타계

#투데이플라워 #영정바구니#제단장식#하림조경

#임재선대표#국립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

https://m.blog.naver.com/ppfbhj

서양철학은 '신과 이법의 관계'를 어떻게 본것인가? - 증산도 공식 홈페이지

서양철학은 '신과 이법의 관계'를 어떻게 본것인가? - 증산도(Jeung San Do) 공식 홈페이지

HOME > 게시판 

서양철학은 '신과 이법의 관계'를 어떻게 본것인가?
진성조 | 2010.12.29 | 조회 5481

17세기 철학에서 활발하게 토론되었던 문제들이 <칸트> 에서 부터 소외 되었기에, 지금에 와서 또 다시 토론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신도神道)과 논리적 법(=이법理法)> 의 관계에 대한 문제점을 말한다.

그것들(논리적 법)이 (신에 의해) 창조 되었는지? (데카르트 철학에서 제기됨)

신이 그것들(이법)에 종속되어 있는지? (라이프니츠 철학에서 제기) 에

문제에 관한 가장 정확한 답은 의심할 여지없이 스피노자에게서 나온다.

그것들은 (스피노자 철학에 의하면) <신神의 본질本質>에 대한 표현이다.

(제 해석으로는, 대자연 섭리, 즉 이법(理法)과 신은 하나로 같은 본질을 이룬다 는거죠)

## 출처: [스피노자의 후계자들] 머릿말 P21 중에서 - 박삼열 저/북코리아 출판

=================================================================

1. "신은 과연 있는가? 신이 있다면 도데체 신은 어떤 존재인가?" 에 대한 생각을 <신관(神觀)> 이라 하고, 이것은 또한 세계 각지역 문명권의 여러종교의 <세계관世界觀> 과도 관련이 많습니다.

인류역사 전체를 통해서 보면, <신관>에는 <유일신관(有一神觀)> <다신관(多神觀)> <이신관(理神觀)><범신론(汎神論)> 등등이 있습니다,

잘 아시듯이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는 <유일신관> 입니다.

고대 그리스문화는 <다신관> 르네상스 이후 과학천재들이 쏟아지던 때에 라이프니츠,뉴턴 등이 믿은건 "우주이법이 곧 신" 이라는 <이신관> 이고,

이런 <과학적 이신관> 에서는 "대 자연법칙(이법)이 보이지않는 신 자체" 라고 주장해서, 이법을 강조하여, 나중엔 우주의 신성을 무시하는 지나친 <유물론적 과학주의> 로 기우는 경향도 생깁니다.

그리고 고대의 이집트,중동(유태인만 유일신으로 예외) ,인도와 그 주변과 한,중,일 동아시아 지역 에서 주로 믿어온건 "모든 자연만물 속에 갖가지 종류의 신성이 깃들어 있다"는 <다신관> 또는 <범신론> 경향이 강합니다. 인간영혼에 깃든 신, 강의 신, 나무의 신, 바다의 신 등등...

2. 오늘날 유태인들의 뿌리인 히브리(헤브류)족은 같은 성경,종교문명에 공통기반을 두고, 이름만 다를뿐 똑같은 유일신(여호와,알라 등) 을 믿는 3종교-즉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 3교 중에 기독교는 오늘날 <서양의 대표종교>가 되었습니다.

기독교는 하나의 절대신 만을 믿는 유일신 종교이고, 이것은 바로 유대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교리 입니다. 기독교 에서 말하는 창조주 유일신은 우주 밖에서 천지일월과 인간,만물을 창조했다는 신 입니다. 즉, 우주는 기독교 신이 만든 피조물 입니다. 물론 인간,만물도 그 신이 만들었다고 합니다. 과연 이것이 맞을까요?

<기독교 성경>에 보면, 첫째날에 그 신의 말씀에 의해 하늘을 만들고 둘째날에 뭘 만들고..마지막날에 인간(아담)을 흙으로 빚고 영(靈)을 불어넣어 등등 그렇게 만들어나가는 이치가 바로 기독교 신이 우주를 만들었다는 이법(이법理法: 이치와 법칙), 섭리 입니다.

즉, 서양종교인 기독교는 "신이 이법(=우주,대자연 원리)을 만드는 존재로, 이법 위에 존재한다" 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건 우주법칙을 전체적으로 깨닫지못하고 일부분만 알고 얘기하는 일개 종교교리 일뿐 입니다.

역대 서양 지성인중 최고의 인물들- 뉴턴,러셀,아인쉬타인,호킹 등- 이 이런 기독교 진리의 한계점을 지적하며 믿지않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한번 더 상세히 설명해보면~

3. 어떤 종교의 진리들 보다도 상위(上位)이며 먼저 존재하는 절대진리는 <우주 대자연 섭리> 입니다. 우주는 천-지-인(공간적) 3계(三界)와 시간적인 4계절 으로 절대법칙이 정해져서 수억 수천 만년간,수억 수천만번을 4계절로 순환하며 둥글어갈 뿐 입니다. 이 원리를 알아야만 신의 존재도 알고 절대진리도 알게됩니다.

동양의 대표종교인 불교는 신(神)보다는 이법을 많이 강조합니다. 세상만사가 원인-결과로 돌아간다는 연기설,업보설,전생설 등등 많고 복잡하지만, 오늘날 과학이론에 의해 그 심오한 타당성이 많이 증명되어, 서양의 지성인 들이 열광하고 있죠.

그러나 불교는 마음에서 일어나는 의식에 관해 많이 얘기하므로, 대우주의 신성에 관한것-즉 신학적(神學的) 논리는 좀 약한면이 있습니다.

4. 원래 불교,기독교 등등의 동,서양 인류종교들의 뿌리문화, 인류뿌리 종교라 할수있는 인류최고 경전인 약1만년(9700년)전의 <환단고기>에 나오는 <신교>문화 에서는

대자연을 피조물이 아닌 '신神 자체(=삼신 하느님)' 로서 봅니다. 우주 대자연은 서양과학에 말하듯 흙,먼지,가스 등드이 물질덩어리 만이 아닌, 그속에 기(氣)와 신성(神性)이 존재하는 거대한 성령세계가 우주 라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이런 <신교문화>의 정통성은 오늘날 증산도 진리가 계승하고 있습니다.

즉, 세상의 대자연 만유(萬有)속에 다 신성(神性)이 내재(內在)한다고 봅니다. 또한 천지(=우주)를 피조물이 아닌, 인간과 만물을 빚은 <창조주 신(=삼신하느님)> 으로 봅니다. 천지가 바로 조물주(삼신三神 하느님) 라는 것이지요.

물론 서양종교 처럼 흙으로 창조하고, 빚는 식이 아닙니다. 음,양의 생명기운 의 조화로서 빚은 것이죠. 여기서 천지(삼신 하느님) 가 인간, 만유를 조화로 빚을때의 우주적 시간,즉 탄생의 시간대 가 바로 <우주의 봄철> 입니다.

대 우주를 설계할때, 공간적으로 <천-지-인> 시간적으로 <4계절> 의 법칙(=이법)으로 대우주와 만유가 생성(生成) 되었던 겁니다. 그래서 <신교>에서는 대 우주법칙과 하느님인 신, 즉 신성(神性) 또는 신도(神道)가 일체로 하나입니다. 둘이면서 하나요 하나이면서 둘 입니다.

5. 스피노자의 " 대자연=신(삼신) 또는 신성(神性)" 이라는 철학은 동,서양의 뿌리인 <신교>의 우주관 과 거의 일치합니다. 실로 놀라운 서양의 대철학 라고 생각됩니다.

부연적으로 조금 더 설명하면, 스피노자는 "기독교에서 말하는 신, 즉 천지(우주)를 빚은 창조주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며 부정했으며, 대자연 을 신 자체로 보았습니다.

스피노자는 <대자연 자체의 신성(神性)>과 <대자연 만유(萬有)> 를 구분하기 위해 ,

대우주 자연 자체의 거대한 성령은 <능산적(能産적) 자연>- 즉 능히 자연만물을 낳을수 있는 창조적 대자연 신성(神性) -- 이라 이름짓고, <능산적><소산적> 인 대자연은 서로 만나 부모-자식 처럼 한마음(일체)으로 존재합니다. 이 천지생명과 하나되게하는 한마음을 체득하게 해주는 주문이 바로 증산도의 <태을주 주문수행> 입니다.

대자연에서 생겨난 자연만물은 <소산적(所産的) 자연> 이라 했습니다, <신교>의 진리 눈으로 보면, 인간은 천지(인간이 생겨난 바탕)에 대해선 <소산적 자연>이 되며, 또 인간에겐 천지만물과 세계의 여러문명 이란게 <소산적 자연>이 됩니다,

6. 서양의 <창조신-피조물>은 <상.하위(上下位)> <주.종(主從)> 관계 입니다, 즉 하늘(신)은 고귀하고 지상만물은 비천하고, 신은 주인이고 인간,만물은 종놈 이라는 관념 입니다. 그리고 창조가 인위적,일방적 이 으로 이뤄진다는 점 입니다.

그러나 <스피노자> 와 신교의 <삼신하느님>에서 말하는 건 <수직>이 아니라 <수평적 일체>관계 입니다. <주.종><상.하> 도 아니고 ,서양식 <창조-피조>가 아닙니다.

<창조>라는 말은 수직관계를 나타내니, 정말 좋지않은 용어 이죠. 그래서 "천지의 음양기운이 대자연법칙에 의해서 서로 조화되어 저절로 만물이 생겨났다"고 합니다.

<신교>에서 말하는 우주의 조물주 하느님, 삼신하느님 은 <천-지-인>으로 나타나고 <능산적 자연> 이 되고. 그 삼신하느님의 생명기운이 조화되어 생겨난 '천지만물'은 그속에 '삼신의 성령이 내재된 <소산적 자연> 이 됩니다.

('삼신 하느님'은 단순하게 '신이 3분' 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우주와 만물을 조화로 빚어내는 신의 조화가 3수로 작용한다는 뜻 입니다. 하늘도 삼신하느님, 땅도 삼신하느님, 인간도 삼신하느님 입니다. 그래서 인간 몸속에 정-기-신, 성-명-정 등 인체원리가 3수로 구성됩니다. )

<우주봄철>이 되면 우주 삼신의 조화로 자연히 인간생명이 생겨나고 , <지구봄철>엔 지구상 만물이 저절로 자연히 생겨 납니다. 이런 대자연섭리를 바탕에 깔고 진리를 말하지 않으면, 무슨 종교의 신앙이나 교리(철학)을 주장하고 믿고 간에~ 그건 " 인간이 정교한게 만들어낸 부분적 진리" 이상을 담을수 없습니다.

선천세상의 세계 종교문화, 첨단과학의 한계점은 바로 이 문제를 알아야만 그 본질을 알게됩니다.

====
진성조님의 댓글입니다. 2010.12.29 14:46
결론적으로 핵심을 보면,

서양 2천5백년 철학,종교가 \'차별적 2원론(二元論)\'에 너무 중심을 두다보니, 중도적으로 진리를 보지못하고 <신>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자연이법>을 등한시 된 문제점을 드러냅니다. 그 반동으로 유물론,자본주의가 또 나오게 된것이고요

<스피노자>와 <동방 신교> 에서는 <다신적(多神的) 일원론(一元論)> 이라 볼수 있고, <신도神道>와 <자연이법>을 일체로 보았습니다. 즉 대자연법칙을 떠나서 신들과 하느님도 존재할수 없고, 신들과 하느님을 떠나서 대자연법칙이 따로 존재하는게 아니라는 겁니다.

현상적으로 보면 둘인듯 싶으나, 실은 하나로 일체 관계 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쳐서 보면 안되고, 양쪽 다 즉 음.양이 조화된 진리의 눈으로 모든걸 볼줄 알아야 합니다

강주영 - #동학에_신은_없다

강주영 - #동학에_신은_없다 베트남에 오는 비행기가 지루해서 천상에서 이 글을 쓴다. ​동학의 하늘님 또는... | Facebook

강주영 230728 
  · 
#동학에_신은_없다

베트남에 오는 비행기가 지루해서 천상에서 이 글을 쓴다.

​동학의 하늘님 또는 한울님은 신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기독교나 이슬람 같은 '인격신'도 아니요, 혹자가 말하는 것처럼 '이법의 신'도 아니다. 

내 생각에 ​하늘님은 모든 존재마다 있는 령(靈)의 이름이다. 령이 무엇인가? 령은 신비로운 것도, 존재의 본질도 아니다. 령은 정신도 마음도 아니요. 육체도 아니다. 령은 육체와 마음을 통틀어 하는 말이다. 몸 따로 마음 따로가 아니다. 령은 서로 얽혀서 존재를 존재케 하며, 유에서 유를 생성하는 힘 곧 기(氣)라고도 할 수 있다. 

령은 사건의 담지자, 사건의 연쇄파동자다. 세계를 구성하는 주체가 령이다. 신령하다고 하는 것은 존재들의 생성력에 다름아니다. 령은 데카르트에게서는 '코키토'요, 스피노자에게서는 '코나투스'요, 니체에게서는 '힘에의 의지'다.  
 
​령은 높은 도덕적 세계도 아니요, 고상함도 아니다. 령은 불택선악, 선하기도 하고 악하기도 하다. 령은 성스럽지 않다
 시중에서 '영성적이다'라는 말을 신비롭고도 높고 고상함 등으로 쓰는 것 같은데 악인도 영성적이다. 
인간이 '최령자'라는 말은 인간이 천지만물 중에서 가장 악하기도 하고, 가장 착하기도 하다는 말이다. 그 말은 틀림없다. 

​존재에 '본질'이 따로 있고, 본질이 생생하게 드러난(현전) '양태'가 따로 있는 게 아니다. ​스피노자는 양태를 실체가 현전하는 것이라 하고, 실체는 그 자신 이외의 그 어떤 원인자가 없는 것이라 하였다. 

​나는 스피노자와 달리 순수한 자기원인자는 없다고 생각한다. 도올은 노자의 도법자연을 스스로 그러하다고 한다. 도올은 수운의 무위이화를 노자의 도법자연과 같다고 한다. 도올이 생각하는 도법자연과 무위이화는 스피노자의 실체와 같아 보인다. 

세계는 순수한 제1자기원인자가 없을 뿐더러 내유신령함외유기화하여 조화정함으로서 구성된다고 생각한다.

존재들은 타자와 얽혀서 만이 세계의 구성에 참여한다. 그래서 내 뜻대로 되지는 않는 것이 세계라는 것이 수운의 '무위이화'라고 본다. 도올의 말대로 스스로 그러한 주체의 의지만으로 세계가 구성된다면 세계는 주체의 폭력으로 넘쳐날 것이다. 
순수 단독자로 자신 이외의 원인자가 없다는 스피노자의 '실체'라는 개념에 동의하지 않는다. 스피노자의 '실체'와 '양태'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 

 그런데 스피노자의 실체는 기독교의 인격신과 달리 자연의 이법이라는 주장도 있다. 스피노자가 신을 자연이라 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세간에서 스피노자를 범신론이라고 하는 주장은 신을 자연이라 한 것을 두고 한 말이지만  자연의 이법을 범신론이라고 할 수는 없다. 범신론은 완전히 헛짚은 것이다. 한국에서도 동학을 스피노자의 범신론 같은 것이라고 하는 학자가 있는데 내 생각에 동학은 범신론이 아니다.

​동학의 하늘님은 악하기도 하고, 선하기도 하고, 노동하기도 하고, 울기도 한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을 동학은 모시라고 한다. 시천주(侍天主)가 그것이다. 

천주를 모심이 아니니 시/천주가 아니다. 
시천한 님들 시천/주다. 
주는 님이다. 
시천에서 천은 무엇인가? 조화정하는 힘이 곧 천이다. 
조화정이 뭣인가? 존재의 생성력, 사건의 생성력이다. 
세계는 존재의 집합이 아니라 사건의 연쇄파동이다. 
나는 그것이 시천, 즉 세계를 구성하는 힘을 가진 존재라고 본다. 

세계를 구성하는 생성력 즉 '령'을 잘 모셔서 지상천국을 구성하라는 것이 동학이라고 본다. 

하여 동학의 하늘님은 길가의 주정뱅이에게도, 컨테이너에 눌린 청년노동자에게도, 윤석열에게도, 김정은에게도, 바이든에게도 있다. 
길가의 고양이에게도, 겨자씨에도, 개망초에도 있다. 

어떻게 하면 존재의 생성력, 사건의 생성력을 잘 모셔서​ 
우애와 협동, 나눔과 돌봄, 생명과 평화의 지상천국을 만들 수 있을까? 
파국을 막고 존재들의 갖은 억압과 불의로부터  해방을 이룰 수 있을까? 

모심은 수련도 아니요, 시일(예배)도 아니요. 기도도 아니고, 주문도 아니다. 
주문하고, 수련을 하는 것은 모심을 잘 하라는 것이지 
주문하고 수련하는 것이 곧 모심은 아니다.

 주문의 첫번째는 잘 듣는 것이다. 그래야 접신강령한다. 

​기독교가 말씀주의, 성령주의, 경전주의  복음주의로 빠지면서 혹세무민하게 되는 것처럼, 
동학이 말씀주의, 경전주의에 빠진다면 종교의 아편에 빠질 것이다.



崔明淑 Taoism· IV Beyond This and That 이것과 저것을 넘어

(1) Facebook:

崔明淑
·
IV Beyond This and That 이것과 저것을 넘어

공자의 본질주의에 저항한 존재주의의 노장사상.
이즈츠도시히코의 해석을 읽는 것이지만 읽다보면 빠지는 멋짐이 노장사상에는  있다.
그래도 숙제이니까 하는 것이지 자발적 독서로는 벽이 있음. 
#수피즘앤타오이즘
#이즈츠도시히코노장사상






Comments
Taechang Kim
정말 어려운 책을 열심히 읽으시는 모습이 정겹습니다. 원래
영어로 쓴 것을 일본말로 번역한 것인데다 스피즘이나 노장사상도 만만찮은데 다시 한국말로 번역한 책이니 얼마나 읽기 어려울까 짐작됩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Reply
3 h
崔明淑
Taechang Kim 감사합니다^^한국어로는 나오지 않았고 저는 일어, 다른 멤버는 영어로 읽어와서 발표합니다.
Reply
3 h
Taechang Kim
崔明淑 아 그렇습니까? 그럼
영어권에 사는 분들과 함께
하시는 공부모임이군요. 어쩐지 우리말 번역이 거기까지
미쳤나 놀라고 있었는데. 그럼
대화는 영어로 합니까 일어로
합니까?
Reply
3 h
崔明淑
Taechang Kim 박세진 샘이 만든 퀘이커공부방입니다. 대화는 한국어로 하구요, 텍스트는 자기가 구할 수 있고 읽을 수 있는 언어로 읽고 와서 합니다. 제가 영어로 못 읽어서 한국어 일어로 나와 있는 책이어야하고 또 다른 분들이 일어로 충분히 못 읽으니 영어나 한국어로 나와 있어서 멤버가 어떻게든 읽고 올 수있는 책이어야합니다. 책선정이 어려운데 박세진샘이 그런쪽으로 서치를 잘 하셔서 우리에게 제시하십니다.
Reply
2 h
Edited
Taechang Kim
崔明淑 재미있겠군요. 그야말로 한국어 영어 일본어 삼개국어로 준비된 인식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대화니까 이해장해도 있겠고 다양성감수의 수련도 되겠습니다.
Reply
2 h
崔明淑
Taechang Kim 네, 이해가 어렵다고는 해도 재미가 없지는 않으니까 하게 되는 것 같아요. 다양한 문화점 관점도 배우게 되어 좋은 점이 있어요. 인류의 종교철학을 공부하며 텍스트읽기의 훈련도 됩니다
Reply
1 h
Taechang Kim
쓰신 글은 우리말로 되어 있어서 어떻게 된
Reply
3 h
崔明淑
Taechang Kim 제가 발표용으로 한국어로 요약한 것입니다.
Reply
2 h
Taechang Kim
모임인지 잘 이해가 안되네요.
Reply
3 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