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AFSC.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AFSC. Show all posts

2021/11/02

이해학 이행우 “한반도 평화 지킴이 소임 다하셨으니 ‘은하수의 강’ 기쁘게 건너가소서”

“한반도 평화 지킴이 소임 다하셨으니 ‘은하수의 강’ 기쁘게 건너가소서” : 네이버 뉴스



“한반도 평화 지킴이 소임 다하셨으니 ‘은하수의 강’ 기쁘게 건너가소서”
신문23면 1단 기사입력 2021.11.01.

[가신이의 발자취] 평화통일운동가 고 이행우 선생님 영전에

미국 필라델피아 시절 고 이행우 선생의 자택은 국내외 인사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교류처였다. 1980년대 함석헌(왼쪽) 선생 방문 때 한국수난자가족돕기회장이던 김순경(오른쪽) 템플대 교수가 거실에서 함께 차를 마시던 모습이다. 아들 이상연씨 제공
----

지난달 16일 은하수를 건너신 이행우 선생님을 기쁘게 환송합니다. 이행우 선생님은 2011년 한겨레 통일문화상을 받으실 때 ‘함석헌은 하나님 발길에 채이어 살았고, 나는 함석헌 발길에 채어서 살았다’고 하시어 함석헌과 같은 운명적 결을 사신다고 고백하였습니다.

태평양은 선생님의 강이었습니다. 한국전쟁의 후유증으로 극심한 가난과 혼란의 시절, 공병우 타자기 하나 덜렁 들고 태평양을 건너가시어 미국에서 컴퓨터 전문 프로그래머로 45년을 살다 연어처럼 고국으로 돌아와 이제는 영원한 은하수의 강을 건너셨습니다.

제가 선생님을 처음 뵌 것은 1990년 제1차 범민족대회 이후 논란이 된 범민련결성 여부를 협의기 위해 조용술 목사님을 모시고 조성우 동지와 함께 독일 베를린에 갔을 때였습니다. 남쪽의 초청으로 모인 남·북·해외 대표들 중 선생님은 북미주 대표이셨습니다. 실은 그 회담도 선생님께서 퀘이커교 평화단체를 통해 북쪽을 설득한 덕분에 가능했던 자리였습니다. 더 나아가, 진영논리를 넘어서지 못하고 짜여진 틀 속에서 마치 냉전국가 대표회담 마냥 팽팽한 긴장을 반복할 때 선생님은 유연하게 합의를 봉합하는 구실을 해주셨습니다. 그 회합 때문에 제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을 살게 됐을 때도 누구보다 많이 아파해주셨습니다.

미국 퀘이커봉사위원회(AFSC)의 활동가 로베르타 레벤바흐(왼쪽부터)와 조지 오글 목사 부인인 도로시 오글 등이 미국 필라델피아 이행우 선생 자택을 방문했을 때

그뒤 1995년 11월4일엔 제가 선생님 초청을 받아 미주동포전국협회(NAKA) 워싱턴디시 사무실에서 열린 ‘북미주동포회의 제1차 전체회의’에 참석했습니다. 나카는 미국전국교회협의회 의장이신 이승만 목사님과 사업가 조동설 선생님이 설립했고, 이 목사는 경험을 바탕으로 미 주류사회와의 연결, 조 선생님은 재정 지원, 그리고 이행우 선생님은 조직화를 맡았습니다. 저도 건방지게 “우리 힘으로 통일의 시대를 열자”고 힘주었던 기억이 납니다. 나카의 ‘윌리암 조 평화센터’는 다양한 포럼과 집회, 문화운동, 정신대 관련 활동 등 꾸준히 워싱턴 지역사회 진보 운동의 마당터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007년 제가 야스쿠니신사반대공동행동 미주 캠페인을 하러 갔을 때 선생님은 노구를 끌고 뉴욕으로 달려와 마지막까지 맨해튼 거리를 함께 걸어주셨습니다. 그 모습에서 선생님 자신이 미주에 세워진 마당터란 사실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모두 세 차례 미국 방문 때마다 선생님의 필라델피아 자택에서 여정을 풀고 미국 투어를 계획할 수 있었습니다. 한 번은 워싱턴에서 뉴욕으로 가는 눈길을 졸음을 참으며 헤쳐나가던 이야기를 전설처럼 되뇌이며, 사모님 모르게 하자고 둘이서 ‘끼득’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사모님과 가족들 피해가 많아 미안하다는 말씀엔 숙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선생님은 제가 미국에 갈 때마다 직접 차를 몰아 여기저기 안내를 해주셨습니다. 깨진 미국 독립기념 ‘자유의 종’보다도 서재필 박물관을 방문한 것이 감동이었습니다. ‘인디안 박물관’과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에서 충격이 컸습니다. 왜 우리는 일제 학살의 상징물 하나 못 만드나? 제 눈에서 비늘이 벗겨나간 순간이었습니다. 그때 뉴욕이나 워싱턴에서 필라델피아 집까지 오가면서 굳이 우회 도로를 돌아서 다니시기에 이유를 물었더니, 1달러의 교통세를 절약하기 위해서라고 하시어 새삼 부끄러움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저 만이 아니라, 1980년대 이래 미국에 간 민주인사들은 모두 선생님의 필라델피아 집을 출발점으로 삼았습니다. 김재준·함석헌·문익환·문동환을 비롯해 무수한 유명 인사들의 서명이 방명록에 빼곡히 담겼습니다. 특히 북한 대표까지도 유일하게 외부 숙소로 선생님 집에서 묵었다는 사실은 그럴 정도로 자택이 공공의 공간으로서 정치·문화교류의 장이었다는 사실을 반증합니다.

지난해 김원웅 회장이 광복회의 방향 전환을 상징하는 ‘평화통일상’을 제정해, 숨은 인물을 발굴해달라고 해서 선생님을 추천드렸습니다. “뭔 상을 받아”라며 세 번이나 사양하시어, 실랑이 끝에 마지못해 ‘억지상’을 받으셨습니다. 그렇지만 시상식 날 환하게 웃으시며 “사람들이 상을 좋아하나봐” 하셨을 때는, 반가운 사람들을 많이 만나 기분이 좋으신 것 같아 다행이었습니다.

지난 2007년 이해학(왼쪽 둘째) 목사가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 공동대표를 맡아 미국 순회 캠페인을 했을 때 고 이행우(맨 왼쪽) 선생과 서승(왼쪽 넷째) 리츠메이칸대학 교수 등이 뉴욕 맨해튼 시위에 동참했다. 사진 이해학 목사 제공

선생님은 저에게 바다같은 넓은 세상을 보여주셨습니다. 미국 전역을 돌며 통일 강연이나 좌담회를 열도록 멍석을 깔아주셨습니다. 그때 서부 샌디에고에서 만난 은호기 선생은 “이행우 선생은 미주에 세워진 자랑스런 통일 기둥”이라고 칭송하셨습니다.

유엔(UN)본부 옆 종교빌딩에서 유일하게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다는 퀘이커봉사위원회의 ‘퀴노센터’는 적은 인력으로 세계를 움직이는 시민활동의 현장이었습니다. ‘퀴노하우스’는 호텔을 얻기 어려운 가난한 나라 대표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며 그들이 서로 유엔 아젠다를 검토하는 토의장을 만들어 ‘작은 유엔’이라 불리는 공간이었습니다. 퀘이커 운동은 신도는 작은 규모이지만 미국에서 처음 시작한 ‘인간답게 보살피는 정신병원’에서부터 유명 대학과 고등학교를 가장 많이 운영하는 신비로운 힘을 발휘하고 있었습니다. 선생님께서 손수 아미시 공동체에 저희 부부를 실어다 주신 덕분에 비폭력 무소유 공동체인 브루더호프를 체험하고 종교의 새로운 지평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저는 그 뒤에도 여러차레 시카코의 공동체와 부루더호프를 들락거렸습니다.

선생님은 제가 긴급조치 1호로 구속됐던 1974년부터 박정희 군사정권 아래 고문·투옥·살해 당하는 양심수 가족들을 돕고자 설립된 ‘한국수난자가족돕기회’를 오랫동안 이끌어 오셨습니다. 부친의 반 박정희 독재 투쟁으로 인연을 맺어 십대 때부터 선생님을 그림자같이 따랐던 나카의 이재수 사무국장은 “반독재 운동가들이 주로 국내 유명 정치인 후원그룹 세력 규합에 급급할 때에도 선생님은 남북통일운동에 전념하셨다”고 증언합니다.

1980년대에는 윤한봉님의 망명을 계기로 광주학살에 분노한 젊은이들이 미국에서 민주·민족 청년운동을 조직하고 활동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1986년 선생님은 순수 동포 민간인의 힘을 모아 워싱턴에 ‘한겨레미주홍보원’(KIRC)을 설립하셨습니다. 그때 선생님과 뜻을 같이한 정기열·최관호·한호석·이재수·서혁교 등의 후학들이 지금은 의연한 생명일꾼으로 세계 곳곳에서 제몫을 다 하고 있습니다.

선생님은 1989년 ‘범민족대회 북미주 추진본부’를 결성하시고 2001년에는 6·15공동선언실천 미국위원회 결성을 주도하는 등 통일운동 선두에서 활동하셨습니다. 그때 유럽 등 국외에서 모임이 있을 때면, 직장 근무를 마치고 금요일 오후 비행기를 타고 이동해, 주말 동안 회의를 주재하시고, 일요일 늦은 저녁 아니면 월요일 새벽 돌아와 곧바로 출근을 하는, 놀라운 정신력을 발휘하셨습니다. 물론 일흔세살로 은퇴할 때까지 직장 휴가도 모두 통일운동과 관련된 활동으로 보냈습니다.

1992년 엘에이(LA) 폭동을 계기로 재미 한인들의 정치력 강화의 필요성을 느낀 선생님은 퀘이커봉사위원회(AFSC)를 발판 삼아 본격적으로 자본주의 심장부인 미 의회를 대상으로 홍보 활동을 펴고 국제연대를 통해 본격적으로 미 주류사회를 설득하는 로비리스트 활동에 박차를 가하셨습니다. 또 미 의회에서 미국·남한·북한 의회의원 3자 회의를 최초로 개최하고,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이 참가하는 민간인 ‘6자 회담’도 성사시켰습니다.

2013년 한국으로 영구 귀국한 이후 마지막 날까지 사단법인 겨레살림공동체의 고문으로 남북 신뢰 회복과 통일을 위해 최선을 다해 주셨습니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제공

그럼에도 선생님은 평생토록 하신 일을 세상에 자랑하고 내보이지 않았습니다. 공과와 훈장에 미친 세상에서 말없이 “그저 할 일을 했을 뿐입니다”라며 스스로 다짐하셨겠지요. 선생님은 다른 운동가들과는 결이 다른 삶을 사셨습니다. 주변에 숱한 활동가들이 민주화와 통일에 열정을 쏟다가 지치고 타락해버리나 선생님은 물 흐르듯 꾸준한 일관성으로, 퀘이커인으로서 중심을 잃지 않고 열정을 다 바치셨기 때문입니다. 선생님은 제게 하나님을 품고사는 사람의 도리를 졸탁(啐啄)으로 눈 뜨게 해 주셨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발에 체인 사람들인 것을.

이행우 선생님! 별들을 밟으며 은하수의 강을 건너 신나게 가십시오. 저희들도 늘 선생님을 기억하며 오늘을 기쁘게 살겠습니다.

이해학/목사·겨레살림공동체 이사장

2021/10/27

'퀘이커 평화주의자' 이행우 선생을 보내며

'퀘이커 평화주의자' 이행우 선생을 보내며


'퀘이커 평화주의자' 이행우 선생을 보내며

[기고] 평화통일운동가 이행우 선생의 '진주알 잇는 실' 같았던 삶
김성수 <함석헌 평전> 저자 | 2021-10-26 

나는 1980년 대 초반 함석헌(1901-1989)을 처음 만나며 금방 '함석헌에 미친 사람'이 되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35546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65180)

1984년 5월 군대에서 제대하고 철도청에 복직한 나는 서울 명동 전진상교육관과 향린교회에서 매주 함석헌이 강의하는 노자와 장자 공부모임을 참석했다. 한 번은 노자 공부모임에서 바로 옆자리에 앉은 분이 퀘이커 교도인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1985년 어느 날 그의 손에 이끌려 서울 신촌 봉원동에 있는 퀘이커모임을 처음 찾았다. 그곳에서 나는 예배 후 함석헌이 강의하는 성경과 퀘이커 공부모임에 참석할 수 있었다.

퀘이커 모임에 참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 중년의 재미동포가 미국에서 한국 퀘이커 모임을 방문했다. 그는 예배 후 그의 생생한 '북한방문기'를 들려주었다. 그 재미동포가 이행우 선생(1931-2021)이었다. 나는 아버지가 한국전쟁 중 함경남도 북청에서 '혈혈단신'으로 월남한 '전쟁피난민' 출신이라 이행우 선생의 북한방문기에 온 시각을 곤두세우고 깊은 관심을 갖고 들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29329)

▲오른쪽 끝이 이행우 선생이다. ⓒ김성수 제공

당시는 광주학살로 손에 피를 묻히고 정권을 잡은 전두환 군사독재정권기라 북한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국가보안법 위반사항이었다. 그래서 이행우 선생은 전두환 정권에서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었다. 하지만 그가 재미동포라 전두환 정권은 그를 철저히 감시는 하되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하지는 못했다. 이행우 선생은 그 후에도 거의 매년 평생 40번 이상 북한을 방문했고 방한 할때 마다 퀘이커모임에서 북한에 관한 이야기를 해주었다.

1950년대 후반부터 이행우 선생은 그의 스승 함석헌을 모시고 서울퀘이커모임에 참석했고 1960년엔 함석헌과 함께 서울퀘이커모임을 창립했다. 그리고 1968년 그는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퀘이커연구소 펜들힐로 유학을 갔고 그 후 가족과 함께 미국에 정착했다. 전주고등학교와 서울대 수학과 출신이었던 그는 미국에서 공부를 마치고 곧 컴퓨터 전문가로 직장을 잡아 지난 2003년 73세의 나이로 현업에서 은퇴했다. 컴퓨터 전문가 1세대로 수입도 좋았지만 그는 그와 가족이 평생 살 집 하나 마련 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그가 평생 번 돈을 한반도 평화통일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썼기 때문이었다.

가족들과 함께 단란하게 휴가나 여행을 가기 보다는 그는 자비를 털어 미국, 북한. 일본, 중국, 유럽을 방문해 정치인, 관리, 시민활동가, 학자, 언론인들을 만나며 한반도 평화통일의 중요성을 이야기했고 국제회의를 개최했으며 그들이 한반도 평화를 위해 노력해 달라고 설득했다. 그 외에도 그는 자비를 털어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영어논문집을 제작해 이들에게 배포했고 민주화운동으로 고난을 받고 있는 한국의 재야인사나 정치범들을 위해 미국에서 모금을 해 한국으로 돈을 송금해주었다.

1974년 한국민주화운동인사들과 그 가족들을 돕기 위해 '한국수난자가족돕기회'를 미국에 결성하면서 그는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그는 한국의 민주화운동인사들이 거의 수입이 없는 실업 상태였기 때문에 재미동포들에게 모금활동을 하여 국내에 돈을 보냈던 것이다.

1982년에는 미국 퀘이커(AFSC) 대표단을 이끌고 북한을 방문해 북한 관리들을 만나 한반도 평화통일문제, 조미관계 개선문제, 북조선대표단을 미국에 초청하는 문제 등을 협의했다.

1986년 그는 한겨레 미주홍보원을 설립, 'Korea Report'라는 영문보고서를 발간해 대미홍보와 국제연대 활동을 전개했다. 그가 이 보고서를 발간하기 전에는, 인터넷도 없던 시절이라, 미국에서 한국문제를 분석한 영문 자료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미국 고위관리, 정치인, 학자. 언론인들이 그가 낸 보고서에 큰 관심을 보였고 미국사회에 한반도평화통일의 중요성에 대해 대단히 큰 영향을 미쳤다.

1987년엔 그는 미국의 지인들과 한국지원연대(Korea Support Network)를 결성, 한국 민주화운동을 지원하고 국제사회에 알렸다.

1989년엔 전국대학생협의회를 대표해 방북한 대학생 임수경이 문규현 신부와 함께 군사분계선을 넘어온 일이 있었다. 그 때 이행우 선생은 대학생 임수경을 무사히 한국으로 데려오기 위해 미리 문규현 신부와 함께 방북해 '임수경의 안전한 귀환을 위해' 북한당국의 협조를 구했다.

1994년에는 대기근으로 북한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아사했다. 그러자 이행우 선생은 기근으로 고통받는 북한동포들을 인도적으로 돕기 위해 미국 퀘이커들과 함께 방북해 북한의 농업을 지원하고 인적교류를 추진했다.

1995년 그는 미주평화통일연구소, 1998년에는 자주민주통일미주연합을 설립했다. 이런 단체들을 통해 이행우 선생은 한반도 평화통일문제에 대한 논문을 발간했다. 그리고 그가 발간한 논문들은 남북과 해외동포들 사이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는 그런 긍정적 반응을 바탕으로 다른 한반도 평화통일운동단체들과 적극적 연대활동을 벌였다.

이행우 선생의 이런 물밑 작업과 각고의 노력은 마침내 지난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을 가능하게 했고 한반도 평화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이행우 선생의 한반도평화통일을 위한 보이지 않는 헌신적 봉사와 희생 덕에 마침내 지난 2000년 10월 김대중 대통령은 노벨평화상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늦게나마 그의 한국 민주화운동, 남북한 긴장완화, 한반도 평화통일 노력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지난 2011년 이행우 선생은 한겨레 통일문화상을 받았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83611)

그로부터 2년이 흐른 지난 2013년, 45년의 미국생활을 마치고 그는 한국으로 영구 귀국했고 곧 한국국적 회복을 신청했다. 하지만 당시 이명박 정권과 그 뒤를 이은 박근혜 정권은 블랙리스트에 오른 이행우 선생의 국적회복 신청을 받아들여 주지 않았다.

한편, 지난 2012년 8월 나는 북한 실향민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실의에 빠져있었다. 그러던 중 그 다음해인 2013년 귀국한 이행우 선생을 나는 매주 서울퀘이커모임에서 만나며 마치 아버지가 죽음에서 돌아온 것처럼 느꼈다. 그는 내가 이명박 대통령이 임명한 극우 인사 이영조 진실화해위원장을 상대로 고소한 법적소송에서도 큰 위로와 힘이 되어 주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379063)

그리고 그런 이행우 선생의 따스한 격려에 힘입어 나는 지난 2016년 마침내 이영조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승소하는 결실을 맺기도 했다.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1605281843001

한편, 지난 2020년 8월 그는 광복회로부터 "한반도 분단극복과 통일운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광복평화상'을 받았다.

올해 9월 나는 암으로 병상에 누워계신 이행우 선생께 문안인사차 영국에서 국제전화를 드렸다. 올해 3월 어머니를 보내고 코로나 때문에 어머니 장례도 참석 못해 힘들어 하던 내게 선생은, "성수, 힘내야지! 그리고 오래 살자!"라며 오히려 격려의 말씀을 주셨다. 그런 선생이 지난 10월 16일, 암으로 투병 생활 끝에 돌아가셨다. 그의 부인과 두 아들은 고인의 유언에 따라 비공개 가족장으로 장례를 진행한 뒤 그를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에 모셨다.

함석헌 선생이 내게 정신적 할아버지와 같은 분이였다면 이행우 선생은 내게 정신적 아버지와 같은 분이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96447

이행우 선생은 달변가가 아니었지만 그 말씀의 내용은 늘 놀라웠다. 그의 가장 큰 무기가 '진실함'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평생 '이름 없이 빛도 없이' 화려한 무대 뒤에서 남을 위해 조용히 일만 하셨다. 그는 아름다운 '진주목걸이를 이어주는 실' 같은 분이었다. 진주목걸이가 그 아름다움을 뽐내고 한 여인의 목에 당당하게 걸릴 수 있는 것은 그 진주 하나하나 속을 관통하여 이어주는 가느다란 '보이지 않는 실' 때문이다. 내가 보는 이행우 선생은 그런 분이었다. 그는 입이 아니라 삶의 모습을 통해 인간이 어떻게 남을 위해 살아야 하는지 몸소 본을 보여 주셨다. 그런 이행우 선생이 너무 그립다. 내년에 모국에 가면 반드시 어머니와 그의 묘지를 찾아가 머리 숙이고 목 놓아 마음껏 울고 싶다. 선생님, 너무나 그립습니다!
===

* 이행우 선생 : 1931년 1월 3일 전북익산 생. 1955년 서울대 문리과대학 수학과 졸업, 그 해에 해군장교에 임관, 해군사관학교에서 수학 교수. 1957년 군복무를 마치고 이리 남성고등학교, 서울 동북고등학교, 숭문고등학교에서 수학 교사, 한양대학교 출강. 종교는 퀘이커교. 1968년 미국퀘이커교단 초청으로 유학, 퀘이커교육기관인 펜들힐(Pendle Hill)에서 1년간 퀘이커교에 대하여 공부. 공부를 마치고 미국 필라델피아에 정착, American Bank(1969-1979), Burroughs Corp.(1979-1980), Polymer Corp.(1980-1986), Delaware Investments(1986-2003) 등에서 Systems Analyst로 근무. 2011년 한겨레통일문화상, 2020년 '광복평화상' 수상. 2021년 10월 16일 하늘나라로 가심.


▲이행우 선생 추도식 안내문


2021/10/20

Sungsoo Kim [Obituary] Hangwoo Lee (1930-2021), a quite Quaker and an active Peacemaker

Facebook


김성수 
Sungsoo Kim

[Obituary] Hangwoo Lee (1930-2021), a quite Quaker and an active Peacemaker

In 1985, I began to attend the Quaker Meeting in Seoul, South Korea where I met Hangwoo Lee. One Sunday afternoon, after a Meeting for Worship, Lee gave a talk about his visit to North Korea. As my father was a North Korean refugee, I listened to Lee's fascinating talk with great interest. At that time, South Korea was ruled by a military dictatorship, thus Lee's talk on North Korea was a forbidden topic. Naturally Seoul Friends were very cautious about possible interference by the military regime.

Lee was a Korean-American Quaker and visited South and North Korea nearly every year and whenever he came to Seoul Quaker Meeting, we talked about North Korea. Thus, he was blacklisted by the military regime of South Korea.
In 1960, together with a well-known Korean Quaker, Ham Sok Hon (1901-1989), Lee founded a Korean Quaker Meeting in Seoul. In 1968, Lee went to Pendle Hill (Quaker Study Center in the USA) to study Quakerism for a year then he settled in Philadelphia with his family. He worked there as a computer analyst and retired in 2003, when he was 73 years old. However, he did not even own a home of his own and he spent most of his wages and holidays working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movement of two Koreas.

Rather than going on family holidays with his wife and children, he met government officials and lawmakers of the USA, North Korea, China, Japan, and Europe and with them, he discussed, appealed and sought a way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wo Koreas. Moreover, Lee spent most of his wages on publishing reports on Korea's peaceful reunification issues and sent money to help South Korean dissidents and political prisoners.

He was not a good speaker, but he was a quiet man of action. He spoke through his life.
In 1974, he founded a 'Meeting for Suffering for Koreans in the USA to help and support South Korean dissidents and their families
In 1982, as one of the delegates of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Quakers), he visited North Korea and tried to promote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Since then, he has visited North Korea more than 40 times with this goal in mind. 
In 1986 he founded the 'Korea-US Public Relations Center' in the USA, where he published a 'Korean Report' in the English language, which was widely read among the US lawmakers, officials, activists, and journalists as well as the overseas Korean experts.
In 1987, he also founded the 'Korean Support Network (KSN)' in the USA and through the KSN, he not only supported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movement but also raised public awareness among American politicians, officials, and scholars in relations to South Korean democracy.
In 1993, when North Koreans suffered famine, as one of delegates of AFSC, he visited North Korea and supported agriculture facilities there.
In 1995, Lee founded the 'Peaceful Reunification Institute for two Koreas' in the USA, and the institute published various papers on peaceful reunification issues of two Koreas.

Le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peaceful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and due to his relentless contribution, in June 2000, South Korean president, Kim Dae-jung, was able to visit North Korea and held a summit meeting with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ung-il. It was the first summit meeting of the two Korean leaders since the cease fire of the Korean War in 1953. Subsequently in October 2000, Kim Dae-jung received the Nobel Peace Prize, thanks to Lee's invisible toil and effort.

In 2009, Lee le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ding of Arms Race in the Asia-Pacific Region.'
Due to his contribution, in 2011, Lee received the 'Korean Reunification Culture Award' from South Korea.

In 2013, after 45 years of life in the USA, Lee returned to South Korea for good. After that I was able to meet him every week at Seoul Quaker Meeting. During this time, Lee gave me courage, comfort and inspiration while I was engaged in a lawsuit against a right wing government minister. Thanks to his kind support, in 2016, I won this legal battle. http://english.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606031507077&code=710100&fbclid=IwAR3KjQri4-g9X-tfQVThmjrvLpI024-2sgqMGiqm4PitJjRmjIsHtHDXpsc
In August 2020, Lee received the 'Liberation and Peace Award'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n recognition of his contribution for peaceful reunification of two Koreas.
In September 2021, when I rang him by an international telephone call, he was on his sickbed and he said to me , "Sungsoo, let's live cheerfully!" He passed away in the morning of 16th October 2021 of prolonged cancer. To me, he was like a father figure, and he talked to me through his life. An active peacemaker and quiet Quaker, Hangwoo Lee, I miss you!

* Sungsoo Kim is a member of Seoul Monthly Meeting and Leicester Quaker Meeting of Britain Yearly Meeting of Religious Society of Friends. He is author of 'Biography of a Korean Quaker, Ham Sok Hon.'
** Photos: Hangwoo Lee with Sungsoo Kim








2021/09/20

Quaker Theology Group : Rufus Jones (1863-1948) on the spiritual impact on him of a November 1922 car accident in Morristown, New Jersey, recalled a decade later | Facebook

(3) Quaker Theology Group : Rufus Jones (1863-1948) on the spiritual impact on him of a November 1922 car accident in Morristown, New Jersey, recalled a decade later | Facebook

Rufus Jones (1863-1948) on the spiritual impact on him of a November 1922 car accident in Morristown, New Jersey, recalled a decade later. (Jones was a Haverford College Philosophy Professor, a founder of the AFSC and author of 54 books.)
There was no single moment of invasion or of uprush. I discovered that a new life and power -had come- to me without my knowing precisely when it came.
I was hit by an automobile one night while away from home. It happened without any preparation for it. No sound, no light, no consciousness of danger, preceded the startling event.
Suddenly I felt my chest break and cave in.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powerful impact in my leg and my body was hurled through space with tremendous force. The odd thing was that I did no thinking. I just felt.
I was vaguely aware that an irresistible force was crushing the life out of my body, but I felt no touch of fear. There was a huge boulder of undifferentiated experience, undisturbed by reflection and without the emergence of overwhelming emotions.
I was near neighbor to death as I shall ever be while actually living, as close to the border of our world here as one can ever be and return again to the fullness of life, and yet not the least sense of fear or terror.
When a doctor arrived a few minutes after the accident my heart was beating regularly and my pulse was normal. In a few days I was brought home, carried to my spacious library and settled into a high modern hospital bed.
I was strapped tight to protect my broken ribs. My leg was fastened in a ‘fracture case’ so that I could not turn, for the slightest movement hurt me. My students brought moveable chairs, filling the room, and I went on with my college lectures and finished all my courses, lying thus flat on my back, feeling all the time an unusual élan.
Gradually I began to discover the amazing power of regeneration which living tissue reveals. Forces as gentle as the fall of snow flakes began to operate as though miracles had not ceased.
The split and broken bones were woven together again. The ligaments were stretched back and fastened in their old places. The lacerated muscles are healed by some hidden alchemy. The torn skin and contused flesh were made whole by unseen processes. Every broken fibre was regenerated as though nature’s whole business was restoration and renewal.
It was a long time before I realized that a still deeper miracle had been taking place within me. I cannot quite date the discovery. But it began to dawn upon me that a 'restoration' of another sort had gone on. I seemed in a new way to be liberated from fears and anxieties and worries. I had entered into an unexpected tranquility and peace.
More than that I had gained an immense increase of vitality and ‘vis viva.’ Life had become a more joyous and radiant affair than I had ever known. I no longer cared anything about arguments to prove the reality of God, any more than I did to prove the incomparable worth of the human love which surrounded my life as I lay quietly recovering.
Rufus Jones, “Why I Enroll with the Mystics,” in Contemporary American Theology: Theological Autobiographies, ed. V. Ferm, New York: Roundtable Press, 1932, p. 208-9.
You and 31 others
10 comments
Like
Comment

10 comments

All comments

  • Jim Fussell
    Admin
    Richard Penaskovic: “We’re composed of matter (body) that is finite and corruptible, plus a soul that’s eternal and incorruptible or infinite.
    We have been made a little less than the angels. We’re in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God with whom we live, move, and have our being.
    As Rufus Jones notes, “The Spiritual Universe is thus a concrete reality, not an abstract one.”
    The mystic of everyday life: Rufus Jones
    AUBURNVILLAGER.COM
    The mystic of everyday life: Rufus Jones
    The mystic of everyday life: Rufus Jones
    2
    • Like
    • Reply
    • 2 d
  • Teri Lynn Bookless
    Embracing life and leaving the peripheral to take care of itself by the grace of God. Living in the moment.
    1
    • Like
    • Reply
    • 2 d
  • Teri Lynn Bookless
    Jim, I think this would be an excellent post for sharing with my relatively new FB friends who are pushing against unsubstantiated claims that some of our former beliefs hinged upon.
    • Like
    • Reply
    • 2 d
    • Like
    • Reply
    • 2 d
    • Teri Lynn Bookless
      I am finding my FB experience very positive because I have purposefully sought friends who identify themselves as Christians, who are still seeking, and are progressives in social justice issues.
      • Like
      • Reply
      • 2 d
      • Edited
  • Muriel Edgerton
    Moderator
    Thank you, Jim, for sharing this. I find it very helpful.
    1
    • Like
    • Reply
    • 2 d
  • Rich Accetta-Evans
    Jim, this is a great post, but somewhat marred by several typos. I assume they were not in RJ's original document, but were introduced when pasted or retyped into your post. IMO it would be worthwhile for you to edit the post and correct these. (I find that I have to correct typos in my own posts and comments all the time. There are probably some in this one. I like to blame predictive text or autocorrect. )
    2
    • Like
    • Reply
    • 1 d
    • Edited

  • Carter Nash

    I wish I could share this




    Like


    ·
    Reply
    · 1 d








    Jim Fussell
    Admin


    Carter Nash I’ve also sent the same post this afternoon to the Quakers Facebook open group, which is shareable.
    It hasn’t been approved yet, but the moderators there often lag for 12 to 24 hours.

    =
==

The mystic of everyday life: Rufus Jones

Richard Penaskovic | Columnist


With Covid-19, the entire human race now lives in a fog, unaware of where we’re headed. It’s like we’re on a gigantic cruise ship, plowing through a thick fog, sirens blaring, thus warning other ships to beware. Passengers cannot see the sun and much less are the stars and sky open to their gaze. As daily cases rise exponentially, so far there’s no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As the July 13, 2020 edition of the Wall Street Journal, page one noted, experts warn that the Covid-19 crisis seems to be turning “uncontrollable.”


Correspondingly, low visibility on the horizon might be a parable for the physical health and spiritual climate around the world today. Global leaders today from China to Russia to the U.S. and Brazil can’t agree on a strategy to clear the fog and go full speed ahead,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piritually. In this connection we need to 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 This means we need to take the advice of infectious disease experts and use social distancing and the wearing of a mask when in public as ordered by the CDC.


In this article, I reflect on the thought of Rufus Jones, a Quaker, writer, and spiritual guru from the 20th century. I like to think of him as a mystic of everyday life, as described in the book, "Rufus Jones: Essential Writings: Selected with an Introduction by Kerry Walters," (Maryknoll, N.Y.: 2001).


In times of crisis, God appears to be absent when needed most. It’s akin to the sun on a cloudy day. Though the Lord on high seems to be distant, the Transcendent One is there like the sun, behind and above the clouds. As Muslims teach us, God is nearer to us than our jugular vein. Also, in the Hebrew Scriptures, Yahweh made a covenant with Israel, according to Jeremiah 31:33 “I will be their God, and they shall be my people.” This implies that the Lord is the One who’s there when needed by those suffering the ravages of disease and tribulations. As Rufus Jones puts it, “Every situation may be turned into an occasion for winning a nearer view” of the Lord.


At the end of the day, we must all bow down in silent awe to the mystery that is the divine. Jones reminds us why we’re here on the planet. He remarks that “the major business we are here for in this world is to be a rightly fashioned person as an organ of the divine purpose.” What we do in terms of our work, success, and the like doesn’t seem to matter in the sight of the Lord of the universe. The kingdom of God is what it says, “God’s” kingdom, not ours.

Within each human being there exists a Beyond in us, a “More yet,” (or as William James calls it “our Mother Sea), since we are in our constitution temporal-eternal, finite-infinite beings. We’re composed of matter (body) that is finite and corruptible, plus a soul that’s eternal and incorruptible or infinite. We have been made a little less than the angels. We’re in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God with whom we live, move, and have our being. As Rufus Jones notes, “The Spiritual Universe is thus a concrete reality, not an abstract one.” (See Rufus Jones, “Why I Enroll with the Mystics,” in Contemporary American Theology: Theological Autobiographies, ed. V. Ferm, New York: Roundtable Press, 1932).

As human beings, we live in an Over-World that influences the entire world-drama. The Spirit that is God may be found in the middle of our everyday world, if only we took the time to look. We humans contain within ourselves a capacity for the divine as noted by the early Christians after the event of Pentecost. The 17th-century Quakers constructed their religion on the premise that the presence of God may be found in every human being.

Hence, the Quakers down through the centuries speak of getting in touch with the “Inner Light” or the “Divine Seed.” In short, we humans have a divine origin and a divine goal or destiny. This “Inner Light” must be seen, known, and felt by each of us experientially. We humans are way More than who we are because of this “Inner Light” within our consciousness.

In this connection I am reminded of Psalm 36:9 “in your light we see light.”

Richard Penaskovic is an Emeritus Professor at Auburn University. His writings have appeared in the Birmingham News, Columbus- Ledger Enquirer, Montgomery Advertiser and online by Informed Comment and Politurco.
====

Rufus Jones: Essential Writings
(Modern Spiritual Masters)
by Rufus Matthew Jones, Kerry S. Walters
 4.36  ·   Rating details ·  25 ratings  ·  0 reviews
A Quaker mystic and social activist, Rufus Jones was awarded a Nobel Prize as co-founder of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Widely considere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ligious voices in America at the time of his death in 1948, 
his writings impart an Emersonian vision of the ever-present reality of God in our souls and in our world. Indeed, his quintessentially American "affirmative mysticism" infuses all contemporary spirituality and offers an uplifting, positive, and powerful message today. (less)
GET A COPY
KoboOnline Stores ▾Book Links ▾
Paperback, 160 pages
Published January 10th 2002 by Orbis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