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ver Let Me Go (novel)
![]() First-edition cover of the British publication | |
Author | Kazuo Ishiguro |
---|---|
Cover artist | Aaron Wilner |
Language | English |
Genre | Science fiction, speculative fiction |
Publisher | Faber and Faber |
Publication date | 2005 |
Publication place | United Kingdom |
Media type | Print (hardback & paperback) |
Pages | 288 |
ISBN | 1-4000-4339-5 (first edition, hardback) |
OCLC | 56058300 |
823/.914 22 | |
LC Class | PR6059.S5 N48 2005 |
Never Let Me Go is a 2005 science fiction novel by the British author Kazuo Ishiguro. It was shortlisted for the 2005 Man Booker Prize (an award Ishiguro had previously won in 1989 for The Remains of the Day), for the 2006 Arthur C. Clarke Award and the 2005 National Book Critics Circle Award. Time magazine named it the best novel of 2005. It included the novel in its "100 Best English-language novels published since 1923—the beginning of TIME".[1] It also received an ALA Alex Award in 2006. A film adaptation directed by Mark Romanek was released in 2010; a Japanese television drama aired in 2016.[2]
Background
Never Let Me Go, Ishiguro's sixth novel, takes place in England during the 1990s and follows students' lives at an elite boarding school. The story explores themes of
- friendship,
- memories, and
- what it means to be human,
gradually revealing deeper mysteries about the nature of their world. Ishiguro started writing Never Let Me Go in 1990. It was originally titled The Student's Novel.[3]
Plot
Kathy H describes herself as a carer for donors. She reminisces about her time at Hailsham, a boarding school, where the teachers are known as guardians. The children are closely monitored and are instructed on the importance of producing art and staying healthy; smoking is taboo. The students' best art is selected by Madame for a mysterious gallery. Kathy develops a close friendship with two other students: Ruth C and Tommy D. Kathy develops a fondness for Tommy, looking after him when he is bullied and having private talks with him. However, Tommy and Ruth form a relationship instead. At one of the school's Sales, where the students are allowed to buy items from the outside world, Kathy acquires a cassette tape containing songs by Judy Bridgewater (a fictional singer), including a song about a woman saying to her lover, "...baby, never let me go". Kathy dances to this song, imagining that she is a mother and singing the song to her child. Kathy discovers Madame looking at her from the corridor, crying, then rushing away. Kathy eventually loses the tape, and the students joke that it has gone to "Norfolk", where they believe all lost things go.
Towards the end of their time at Hailsham, the guardian Miss Lucy tells the students that they are being raised to donate organs to others (like saviour siblings), and it is predetermined that they will die young. Miss Lucy is removed from the school as a result; the students passively accept their fate.
Ruth, Tommy, and Kathy move to the Cottages when they are 16 years old. It is the first time they are allowed to explore the outside world, but they mostly keep to themselves. Ruth and Tommy are still together, and Kathy has some sexual relationships with other men. They have housemates who are not from Hailsham; they all struggle with social skills, and are revealed to be clones. Two older housemates tell Ruth that they have seen a "possible" for Ruth, an older woman who resembles her and thus could be the woman from whom she was cloned. The five of them go on a trip to see her, and the older clones discuss a rumour they have heard: that a couple can have their donations deferred for a few years if they can prove that they are in love. They believe that the privilege is for Hailsham students only and so wrongly expect that the others know how to apply for it. They find the possible in an office, but the resemblance to Ruth is only superficial; Ruth voices angrily that they must all be cloned from lower social classes.
During the trip, Kathy and Tommy leave to look for a copy of the music cassette tape that Kathy had lost at Hailsham. Tommy's recollection of the tape and desire to find it make clear the depth of his feelings for Kathy. They find the tape, and Tommy shares with Kathy a theory that the reason Madame collected their art was to determine which couples were truly in love, citing a guardian who had said that their art revealed their souls. They do not tell Ruth of the found tape or of Tommy's theory about the deferral; when Ruth finds out about these, she attempts to drive a wedge between Tommy and Kathy, telling Kathy that even if Ruth and Tommy were to split up, Tommy would never enter into a relationship with Kathy because of her sexual history. A few weeks later, Kathy applies to become a carer, meaning that she will not see Ruth or Tommy for about ten years.
Ruth's first donation goes badly and her health deteriorates. Kathy hears and becomes Ruth's carer, and both are aware that Ruth's next donation will probably be her last. Ruth suggests that she and Kathy take a trip and take Tommy with them. During the trip, Ruth expresses regret for keeping Kathy and Tommy apart. Attempting to make amends, she hands them Madame's address, urging them to seek a deferral even though Tommy has already started donating. Shortly afterward, Ruth makes her second donation and "completes", a euphemism for dying. Kathy becomes Tommy's carer, and they finally enter a relationship. Encouraged by Ruth's last wishes, they go to Madame's house to attempt to defer Tommy's fourth donation, taking new artwork from Tommy to support their claim that they are in love.
The clones are invited in by Madame, and also meet Miss Emily, their former headteacher, who lives with her. The two women reveal that deferrals do not exist. Miss Emily then explains to Kathy and Tommy that people started making clones for medical sciences and research after the 'war' (presumably the Second World War). These initial clones were brought up in terrible conditions, and Hailsham was part of a small movement to make people see clones as human and thus deserving of a cultural education and humane upbringing. The gallery was meant to convey to the outside world that the clones are in fact normal human beings with a soul. However, a series of experiments where a professor in Scotland tried to create genetically superior clones resulted in public opinion turning against the overall movement, leading to Hailsham being shut down. Upon further questioning, Miss Emily reveals that Miss Lucy wanted to change Hailsham by raising the clones with full knowledge of what was going to happen to them, but the proposal was rejected because Miss Emily felt that this would shatter the rich and happy upbringing which was the entire point. As Kathy and Tommy are leaving, Madame tells Kathy that when she saw Kathy dancing to the song "Never Let Me Go" in Hailsham, she imagined Kathy trying to hold on to an older kinder world, but one that could never come back.
Tommy and Kathy take the backroads to the donation centre. On the way, Tommy has Kathy stop the car and runs out into the field. He screams and shouts as he did back in Hailsham, till Kathy comes and calms him down. Tommy receives the notice for his fourth donation, a major event since it is widely believed that either all clones "complete" after their fourth, or are left in a horrible state where they are simply used for more and more donations till they die.
Tommy, angry when facing his death, distances himself from Kathy and eventually tells her that he wants a new carer. Kathy resigns as Tommy's carer, but still visits him till he is handed over to his new carer. The novel ends after Tommy "completes": Kathy has gotten her notice for her first donation at the end of the year, she drives up to Norfolk and stares at a remote windswept fence where litter and debris has caught up, contemplating everything she remembers and everything she lost.
Title
Never Let Me Go shares its title with a fictional song within the novel. Kathy treasures her cassette of the fictional album, Songs after Dark by Judy Bridgewater, which she purchased at a Hailsham sale. On one occasion, while dancing to the song's chorus, which again contains the title, she notices Madame watching her and crying. Madame explains the encounter when they meet at the end of the book: while Kathy explains that she was imagining herself holding and cherishing a child, Madame connects Kathy's behaviour with the loss of an "old kind world" du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In another section of the book, Kathy refers to the three main characters "letting each other go" after leaving the cottages.
Characters
Main characters
- Kathy – The protagonist and narrator of the novel. She is a 31-year-old clone who was raised to be an organ donor. During her childhood, Kathy is free-spirited, kind, and loving, and stands up for what is right. At the end of the novel, Kathy is a young woman who does not give away much emotion as she deeply contemplates her past. As an adult, she criticises people less and is accepting of the lives of her friends.
- Tommy – A male donor and childhood friend of Kathy, uncreative and isolated at Hailsham. He has a bad temper and is the object of tricks played by the other children. Miss Lucy tells him it is okay not to be creative, giving him relief, but takes it back years later, making him a quiet and sad teenager. As he matures, Tommy becomes a young man who is generally calm and thoughtful, but retains his old spirit.
- Ruth – A childhood friend of Kathy, Ruth is a female donor from Hailsham who is described by Kathy as bossy. At the start of the novel, she is a self-conscious extrovert with strong opinions who attempts to be the centre of social activities. Her hopes for the future are crushed as she processes that she was born to be a donor. Ruth undergoes a transformation to become a more aware person, thinking in greater depth. She becomes an adult who is deeply unhappy and regretful.
Minor characters
- Madame (Marie-Claude) – A woman who visits Hailsham to collect the children's artwork. Described as a mystery by the students at Hailsham, she appears professional and stern, and a young Kathy describes her as distant and forbidding. The children are shocked to discover that she seems disgusted by them, but she weeps when she sees Kathy dance to a love song called "Never Let Me Go".
- Miss Emily – Headmistress of Hailsham. She can be very sharp, according to Kathy. The children thought that she had an extra sense that allowed her to know where children were hiding.
- Miss Lucy – A teacher at Hailsham with whom the children feel comfortable. She is one of the younger teachers at Hailsham and tells the students very frankly that they exist only for organ donation. She feels a lot of stress at Hailsham and is fired for what she tells the students.
- Miss Geraldine – A teacher at Hailsham who works with younger students on their art.
- Chrissie – A female donor, slightly older than the three main characters, joining them at the Cottages. She completes (dies because of her organ donations) before the book ends.
- Rodney – Chrissie's boyfriend, the one who originally sees Ruth's possible, the person from whom Ruth might have been cloned, out in Norfolk. He and Chrissie are mentioned to have broken up before she completed.
Analysis
Ishiguro has stated that the novel began with a plot involving a nuclear bomb, but that he then began to wonder "what the 20th century might have looked like if the incredible developments that took place in nuclear physics, culminating in the creation of the atom and hydrogen bombs, had taken place instead in the field of biology, specifically in cloning".[4]
Ishiguro said he began writing the novel in the 1990s, without a clear idea of his intentions.[5] In 2001, listening to a radio broadcast on biotechnology, he suddenly decided to direct his new novel to deal with "the sadness of the human condition". He also proposed to deal with "some of the oldest questions in literature (…)
- 'What does it mean to be human?'
- 'What is the soul?'
- 'What is the purpose for which we've been created, and
- should we try to fulfill it?'"[5]
In Contemporary Literature, author Anne Whitehead highlights the novel's focus on healthcare as particularly thought-provoking, with Kathy's status as a "carer" defining much of her adult life. Whitehead writes, "[Kathy's] preoccupations with professional success and with minor inconsistencies in the system mean that she is not addressing either her own imminent death or the larger inequities and injustices at work," and wonders, "Is 'caring,' viewed in this light, a form of labor that is socially valuable because Kathy is making a positive difference to others (preventing "agitation"), or—given the political resonances of Ishiguro's choice of word here—is it a means of preventing resistance and unrest?"[6]
John Mullan speculates that the novel's modern setting is "calculated to have a defamiliarizing effect. While this novel measures carefully the passing of time, its chronology, we soon realize, is removed from any historical reality that we can recognize".[7]
Reception
Critical reception
Louis Menand, in The New Yorker, described the novel as "quasi-science-fiction", saying, "even after the secrets have been revealed, there are still a lot of holes in the story [...] it's because, apparently, genetic science isn't what the book is about".[8] Sarah Kerr, in The New York Times, characterizes the novel's setup as "potentially dime-store-novel" and "an enormous gamble," but elaborates that "the theme of cloning lets [Ishiguro] push to the limit ideas he's nurtured in earlier fiction about memory and the human self; the school's hothouse seclusion makes it an ideal lab for his fascination with cliques, loyalty and friendship."[9]
Horror author Ramsey Campbell labeled it one of the best horror novels since 2000, a "classic instance of a story that's horrifying, precisely because the narrator doesn't think it is".[10]
Joseph O'Neill from The Atlantic suggested that the novel successfully fits into the coming of age genre. O'Neill writes that "Ishiguro's imagining of the children's misshapen little world is profoundly thoughtful, and their hesitant progression into knowledge of their plight is an extreme and heartbreaking version of the exodus of all children from the innocence in which the benevolent but fraudulent adult world conspires to place them".[11]
Theo Tait, a writer for The Daily Telegraph, wrote: "Gradually, it dawns on the reader that Never Let Me Go is a parable about mortality. The horribly indoctrinated voices of the Hailsham students who tell each other pathetic little stories to ward off the grisly truth about the future—they belong to us; we've been told that we're all going to die, but we've not really understood".[12]
Awards and lists
In 2019, the novel ranked 4th on The Guardian's list of the 100 best books of the 21st century.[13] In 2024, the novel ranked 9th on the New York Times list of the 100 best books of the 21st century.[14]
Adaptations
Mark Romanek directed a 2010 film adaptation of Never Let Me Go starring Carey Mulligan as Kathy, Andrew Garfield as Tommy, and Keira Knightley as Ruth.
In Japan 2014, the Horipro agency produced a stage adaptation, Watashi wo Hanasanaide (私を離さないで). Directors included Ken Yoshida, Takeyoshi Yamamoto, Yuichiro Hirakawa, and Akimi Yoshida.
In 2016, under the same title, Tokyo Broadcasting System Television aired a TV drama adaptation set in Japan starring Haruka Ayase as Kyoko Hoshina and Haruma Miura as Tomohiko Doi.[15]
A television series adaptation was optioned at FX, to be produced by DNA TV, Searchlight Television and FXP, with Andrew Macdonald, Allon Reich, Marc Munden, Melissa Iqbal, and Alex Garland executive producing.[16][17] It would have premiered on Hulu in the United States, Star in other territories and Star+ in Latin America with Viola Prettejohn, Tracey Ullman and Kelly Macdonald starring.[16] However, in February 2023, it was announced that FX had cancelled the series before production began.[18]
A stage adaptation in English by Suzanne Heathcote was presented at the Rose Theatre Kingston in September 2024[19] and subsequently at other theatres in England.[20]
References
- Grossman, Lev (8 January 2010). "All-Time 100 Novels". Time. Retrieved 13 January 2020.
- "Never Let Me Go (Programme Site)". Never Let Me Go (Programme Site). TBS.co.jp. Retrieved 29 January 2016.
- "Never Let Me Go: Context". SparkNotes. Retrieved 20 April 2021.
- Kato, Norihiro (1 March 2011). Emmerich, Michael (ed.). "Send in the Clones". The American Intere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ne 2022. Retrieved 28 February 2023.
- Ishiguro, Kazuo (25 March 2006). "Future imperfect". The Guardian. London. Retrieved 25 January 2024.
- Whitehead, Anne (Spring 2011). "Writing with Care: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Contemporary Literature. 52 (1): 54–88. doi:10.1353/cli.2011.0012.
- "Bloomsbury Collections – Kazuo Ishiguro – Contemporary Critical Perspectives". bloomsburycollections.com. Retrieved 20 April 2021.
- Menand, Louis (28 March 2005). "Something About Kathy". The New Yorker. New York. Retrieved 26 July 2013.
- Kerr, Sarah (17 April 2005). "'Never Let Me Go': When They Were Orphans". The New York Times. New York. Retrieved 14 March 2011.
- "Ramsey Campbell interviewed by David McWilliam". Gothic Imagination at the University of Stirling, Scotland. 24 September 2012. Retrieved 29 November 2015.
- O'Neill, Joseph (May 2005). "Never Let Me Go". The Atlantic. p. 123. Retrieved 14 March 2011.
- Tait, Theo (13 March 2005). "A sinister harvest". The Telegraph. London. Retrieved 26 July 2013.
- "The 100 best books of the 21st century". The Guardian. London. 21 September 2019. Retrieved 22 September 2019.
- "The 100 Best Books of the 21st Century". The New York Times. 3 September 2024. Retrieved 3 September 2024.
- "Never let Me Go Cast (in Japanese)". Never Let Me Go (Programme Site). TBS.co.jp. Retrieved 29 January 2016.
- Porter, Rick (25 October 2022). "'Never Let Me Go' Drama Lands FX/Hulu Series Order". The Hollywood Reporter.
- Hailu, Selome (9 May 2022). "'Never Let Me Go' Series in Development at FX". Variety.
- Otterson, Joe (2 February 2023). "'Never Let Me Go' Series Not Moving Forward at FX". Variety. Retrieved 3 February 2023.
- "Never Let Me Go – Based on the novel by Kazuo Ishiguro". Rose Theatre, Kingston.
- Lawson, Mark (28 September 2024). "Never Let Me Go review – fresh life found in Kazuo Ishiguro's school dystopia". The Guardian.
- 인간은 근원에 상관없이(클론이든, 바다밑 열수공에서 직조된 단백질이 진화된 물질적 존재이든) 영적인 존재라는 거?
- 인간의 존엄은 그 무슨 이유에서도 수단시 되어서는 안된다는 거?
- 아니면 그저 생의 본질이 살아갈 때는 아슬아슬한 결단이고 추억할 때는 회한과 슬픔이라는 것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고 싶어서?
주인공은 외롭고 고독한 생애에서 어린시절부터 알아본 평생의 사랑을 곁에 두고도 겉돌기만 한다.
나중에 너무 늦게야 만나게 되었지만 이별은 예정된 것이었다.
내가 꼬마때부터 참 이상했던 것이 모든 아름다운 음악은 다 슬프게 느껴진다는 것이었다. 지극한 슬픔과 아름다움은 통한다는 건데, 이야기도 인생도 그렇다는 것을 또 한번 새삼 실감했다.
내 하나의 인생을 살고 왔다. 그저 한 생애를 통째로 살아낸 것만 같다.
====
====
わたしを離さないで 나를 떠나지 마라.
나를 놓지 말고 Never Let Me Go | ||
---|---|---|
저자 | 카즈오 이시구로 | |
역자 | 츠치야 마사오 | |
발행일 | ![]() ![]() | |
게시자 | ![]() ![]() | |
장르 | 과학 소설 | |
국가 | ![]() | |
언어 | 영어 | |
형태 | 위 제본 | |
페이지 수 | 349 | |
공식 사이트 | www.hayakawa-online.co.jp | |
코드 | ISBN 978-4-15-208719-5 ISBN 9784151200519 ( 문고본 ) | |
![]() | ||
|
「나를 놓지 말아라」(나를 하지 말고, 원제: Never Let Me Go )는, 2005년 발표의 카즈오 이시구로 에 의한 장편 소설로, 같은 해의 부커상 최종 후보작.
일본어판은 2006년 4월에 츠치야 마사오 의 번역으로 하야카와 서방에서 단행본이 간행되어 2008년 8월에 하야카와 문고판 이 발간되었다.
2010 년 마크 로마넥 감독, 캐리 머리건 , 앤드류 가필드 , 키라 나이틀리 주연에 의해 영화화 되었다.
일본에서는 2014년 에 니가와 유키오 연출, 다베 미카코 주연에 의해 무대화되고, 2016년 에는 아야세 하루카 주연에 의해 TBS TV 에서 TV 드라마화되었다 [ 1 ] .
2017년 이시구로의 노벨 문학상 수상 에 따라 본작의 주목도도 높아져 일본 에서도 주문 이 쇄도 해 증판 됐다 [ 2 ] .
줄거리
1990년대 말 영국에서 제공자들을 돌보는 31세의 간병인인 캐시는 제공자들을 돌보면서 자신이 자란 헤르샴 에 있는 시설에서 살았던 기묘한 소녀시대와 졸업후를 회상해 자신들의 비밀을 풀어나간다.
제1부(1장~9장)
그곳은 외계에서 격절된 전 기숙사 학교로 주임보호관 에밀리 선생님을 중심으로 보호관들이 수업을 하고 학생들의 생활을 감시·감독한다. 그 작품은 외부의 전시관에 장식된다고 소문이 났다. 나머지 작품은 교환회에 출품해, 출품에 응할 수 있는 교환 표로 다른 학생의 작품을 얻을 수 있었다.
12, 3세 무렵, 캐시는 간질 로 괴롭힘을 당한 아이의 토미와 친해졌다. 하지만, 그림을 그리고 싶지 않으면 그리지 않아도 된다고 루시 선생님에게 말해져 침착하다.
캐시는 어린 시절부터 가장 친한 친구로 멋진 루스와는 싸움을 반복하면서도 매료되어 간다. 캐시는 "베이비, 나를 놓지 말아라"는 가사가 들어간 주디 브리지워터의 '밤에 듣는 노래'의 카세트 테이프를 좋아했고, 아기를 준 어머니의 노래라고 생각하며 반복해서 듣고 있었다. 어느 날, 들으면서 춤추고 있는 곳을, 마담에 들여버렸지만, 마담은 울고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테이프가 없어져 버렸지만, 대신과 루스가 「댄스 20선」의 테이프를 주었다.
15 세 , 헤르샴 마지막 해, 루시 선생님이 참을 수 없고 학생들에게 헤르샴의 「진실」을 말했다 . 를 부르며 옛날 자신의 발언을 부정하고 토미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권했다. 가 되면 눈에 띄었지만, 당의 루스로부터 토미와의 화해의 도움을 받아 승낙, 토미의 상담을 타고 꼬임을 되돌렸다.
제2부(10장~17장)
16세가 된 학생들은 헤일샴을 둥지며 여러 곳으로 옮겨진다. 캐시, 루스, 토미 등 8명은 폐업한 농장을 이용한 코티지에 간다. 거기서는 다른 시설 출신자들과 함께 지내고, 최장 2년간 논문을 쓰지만, 도중에 코티지를 나와 간병인이 되는 훈련에 갈 수도 있다. 늙은 케퍼스씨가 물자를 전달해 주는 것만으로, 보호관은 없는 환경에서 집단 생활을 실시한다. 각각 커플이 되거나, 섹스를 하거나, 거리에 나가거나 할 수 있을 만큼 자유로운 환경이었다. 그 중 헤르샴의 졸업생은 특별시되고 있었다.
제공자로 만들어진 이들은 인공적인 클론 인간이며 아이도 만들 수 없다. 니에게서 루스의 포시블의 목격 정보를 얻은 3명은 노 포크 로 향한다. 낙담한다. 애초에 선배들의 목적은 그 밖에 있었고, 헤르샴 출신자는 정말 사랑하고 있으면 제공을 3년간 유예해 줄 수 있다는 소문의 진상을 3명에게서 찾아 자신들도 그렇게 되고 싶다는 일이었다. 토미는 맞지 않았기 때문에 루스의 분노를 샀다.
토미는 제공의 유예가 있다고 하면, 마담의 전시관 행이 된 작품을 참고로 내면을 알고, 커플이 정말로 사랑하고 있는지 판정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고 그리고 작품 제작을 거슬러 올라간 자신을 회개해, 새롭게 상상의 동물의 그림을 계속 그렸다. 코티지로 돌아와서 캐시와 토미에 있었던 것을 루스가 아는 곳이 되어, 루스의 유도에 의해 캐시와 토미는 사이의 차이를 했다.캐시는 해결하려고 했지만 거기서 루스와의 사이도 나빠졌다.
제3부(18장~23장)
캐시가 코티지를 떠나 7년이 지났다. 헤일샴은 폐쇄되어 있었다. 의 제공을 마치고 2개월, 캐시가 개호인으로서 붙게 되었다.습지에서 배가 좌초했다는 뉴스가 흘러, 그 근처에 토미가 있는 회복 센터가 있는 것으로부터, 2명은 배의 구경 속에 토미를 만나러 갔다. 토미는 2회째의 제공을 마친 후였다 배를 구경한 귀가, 루스는 2명에게 회개했다. 무의 주소를 입수했기 때문에 제공을 유예해달라고, 2명의 시간을 되찾아 주었으면 하고 루스는 2번째의 제공 후에 죽고, 1년 후, 토미가 3번째의 제공을 마치고 나서 캐시는 토미의 개호인이 되었다.
2명은 섹스를 하게 되어, 토미의 계속 그린 그림을 가지고, 마담에게 제공의 유예를 부탁하러 갔다.마담과 함께 살고 있던 에밀리 선생님이 설명을 했다. 와 똑같이 자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헤르샴의 시설을 만들어 아이들의 작품을 모아 전시회를 열어 기부를 모으는 운동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클론 인간에 대한 세상의 혐오를 부추기게 되어 운동에 대한 지원도 없어져 헤어샴도 폐쇄에 몰렸다. 밀리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거짓말을 하고도 희망을 갖게 하고 열심히 사는 것을 가르치려고 했고, 그 때문에 루시 선생님은 퇴직했다.
주위에서 大裈裟에 칭찬될 정도로 위험한 네 번째 장기 제공을 맞이할 때 죽음을 각오한 토미는 추태를 보이고 싶지 않기 때문에 간병인을 바꾸기로 했고, 캐시는 토미의 근원에서 떠났다.
평가
억제된 문체로 인간과 사회의 새로운 관계를 그려낸 본작은, 영문학자의 시바타 모토유키가 이시구 로의 최고 걸작과 격상하는 한편 [ 5 ] , 작가의 사토 아키 는 너무 에 모셔 널한 정동 을 너무 쫓고 있다고 혹평하고 2006년의 워스트 작품
2017년도 노벨 문학상이 이시구로로 보내졌을 때에는 그 수상 이유인 '세계와 연결되어 있다는 우리의 환상에 숨겨진 심연을 위대한 감정력으로 밝게 한 일련의 소설'을 구현하는 대표작으로 본작을 소개하는 해설자가 많았다 [ 요출전 ] .
도요사키 유미 는 서평에서 '안타까운 연애 소설', '잔혹한 빌딩슬로만 '으로 평가했다 [ 7 ] .
이시구로는 '나를 놓지 말아라'는 평행 세계 의 영국 을 무대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까지 자신의 작품 중 가장 '일본적' 소설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동안 접해 온 일본 영화와 서적의 영향 이 등장 인물의 행동 등에 반영되어 있다 .
일본어 번역
- "나를 놓지 마라"츠치야 마사오 번역
- 하야카와 서방, 2006년 4월, ISBN 978-4152087195
- 하야카와 EPI 문고 , 2008년 8월, ISBN 978-4151200519
영화
캐리 마리건 , 앤드류 가필드 , 키라 나이틀리 주연 , 마크 로마넥 감독으로 영화화 되어 2010 년 에 공개 됐다 .
무대
홀리프로 의 기획 제작에 의해 2014 년 에 무대화되어 아야의 나라 사이타마 예술극장 , 아이 치현 예술극장 과 극장 드라마 시티 에서 상연 됐다 .
캐스트(무대)
스탭(무대)
상연 일정
- 4월 29일 - 5월 15일 : 아야노 나라 사이타마 예술 극장 대홀 [ 11 ]
- 5월 23일~5월 24일: 아이치현 예술 극장 대홀
- 5월 30일 - 6월 3일: 우메다 예술 극장 극장 드라마 시티 [ 12 ]
TV드라마
나를 떠나지 마라. | |
---|---|
장르 | TV드라마 |
원작 | 카즈오 이시구로 |
각본 | 모리시타 카코 |
연출 | 요시다 켄 야마모토 고요시히라카와 유이치로 |
출연자 | 아야세 하루카 미우라 하루마 미즈카와 아사미 마비 세이 이토 호코모토 마사히로 아소 유미 |
제작 | |
프로듀서 | 와타세 아키히코 이이다 카즈히로 |
제작 | TBS TV |
방송 | |
음성 형식 | 스테레오 방송 |
방송국·지역 | ![]() |
방송 기간 | 2016년 1월 15일 - 3월 18일 |
방송 시간 | 금요일 22:00 - 22:54 |
방송 프레임 | 금요일 드라마 |
방송분 | 54분 |
횟수 | 10 |
공식 사이트 | |
특기사항: 첫회는 15분 확대 (22:00 - 23:09) |
2016년 1월 15일 부터 3월 18일 까지 TBS TV 계 ' 금요일 드라마 ' 테두리에서 TV 드라마화되었다. 주연은 아야세 하루카 [ 1 ] . 각본은 모리시타 카코 .
캐치 카피 는 " 운명에 도전하기에는 사랑할 수밖에 없었다. ".
원작 의 영국에서 무대 를 일본으로 옮겨 번안. 주인공은 ' 쿄코 ', 헤르샴은 ' 양광 학원 ' 등 으로 대체하고 있다 . [ 13 ] 제6화를 「제2장: 코티지편」, 제7화 이후를 「최종장: 희망편」으로 하고 있다.
스즈키 리오 는 2013년 NHK 대하 드라마 ' 야에의 벚꽃 '에 이어 아야세가 연기하는 주인공의 어린 시절을 연기한다 [ 14 ] .
드라마에 앞서 아야세는 영국에서 원작자 이시구로와 4시간 이상에 걸친 대담에 임했다 [ 15 ] [ 16 ] .
캐스트(TV 드라마)
주요 인물
- 보과 쿄코(호시나 쿄코)
- 배우 - 아야세 하루카 (어린 시절 : 스즈키 리오 )
- 원작에서의 캐시에 상당.
- 현재는 몇 명의 「개호인」을 맡는다. 요리 · 회화 가 자랑. 어린 시절은 밝고 친절한 우등생으로, 토모히코를 항상 신경쓰고 서로 끌려간다.
- 학원 졸업 후, 토모히코, 미와와 함께 코티지 '브라운'에서 생활하지만, 3명의 관계는 점차 꼬여 가고, 진실의 자결을 계기로, 감정을 버리고 담담하게 자신의 사명을 받는 것을 결의, 혼자 코티지를 떠난다 [ 17 ] .
- 그 후, 미와로부터의 「개호인」 리퀘스트를 계기로 재회한다.
- 도이 토모히코(도이 토모히코)
- 연 - 미우라 하루마 (어린 시절: 나카가와 츠바사 )
- 원작에서의 토미에 상당.
- 별명은 「토모」.약간 밀기에 약하고 우유부단한 곳이 있다 .
- 어린 시절은 그림이 서투르고 간질 한 것으로, 놀리는 대상으로 되어 있었지만, 쿄코나 류코의 배려로부터 축구 선수에의 꿈을 가진다.
- ‘제공자’가 된 뒤 쿄코와는 소원해졌지만 미와의 ‘제공’을 앞두고 3명이 양광원 터지를 보러 가겠다는 약속을 하고 재회한다.
- 사카이 미와(사카이 미와)
- 배우 - 미즈카와 아사미 (어린 시절 : 미즈키 사쿠라 )
- 원작에서의 루스에 상당.「제공자」가 되어, 쿄코를 「개호인」에게 리퀘스트한다.
- 유소보다 자신이 제일이 아니면 신경이 쓰이지 않는, 승기로 소악마적인 성격.
- 그 반면, 쿄코가 코티지를 떠나려고 하는 일에 당황하는 등, 내심에서는 그녀에 의존하는 언동도 보인다.
쿄코의 전 클래스 메이트
- 엔도 마코토 (엔도 마나미)
- 배우 - 나카이 노에미 (어린 시절 : 엠마 번즈 )
- 냉정하고 감이 날카롭고, 자신들의 출자나 학원의 관리에 재빨리 알아차린다.
- 학원 졸업 후에도 쿄코와 연락을 취해 애연가 이자 학원 시대에 엄격히 멈추고 있던 담배 를 맡는다.
- 코티지 ' 화이트 맨션'에서 거주자 와 함께 '제공자'의 권리운동을 벌이지만 경찰 에 알려진 도망 .
- 오야마 쥬세(오야마 타마요) [ 18 ]
- 연- 바바엔 아즈사 (어린 시절:혼마 히요카즈)
- 현재는 토모히코의 개호인으로, 「제공」의 통지가 도착하고 있다.
- 꽃(하나)
- 배우 - 오니 시 레요 (어린 시절 : 하마다 여기 )
- 어른스러운 성격으로, 내심으로 미와를 서투른 생각한다.
- 미무라 히로키(미무라 히로키)
- 연기 - 고바야시 희일
- 학원에서의 가키 대장적인 존재로, 그림이 서투른 토모히코를 놀리고 있었다 사다리를 사용하여 성인과 함께 학원 밖으로 나와 그 날 이후 소식을 끊는다.
- 우치다 세이토(우치다 마사토)
- 연 - 이시카와키
- 히로키와 함께 학원 밖으로 나와 소식을 끊는다.
양광학원 교직원
- 호리에 타츠코 (호리에 타츠코)
- 배우 - 이토호
- 원작에서의 루시 선생님에 상당. 양광학원에 부임해 온 보건 체육 교사.
- 당초는 에미코의 교육이념에 공감하고 있었지만, 학원의 현실을 목격하고, 히로키·성인의 실종 사건을 계기로 심신 모두 얽혀, 마음의 병을 이유로 학원을 떠난다.
- 원래는 「제공자」에의 지원 단체에 참가해, 교사 퇴직 후에는 제공자에 관련되는 라이터의 일에 취한다.
- 거리에서 쿄코와 재회, 세 번째 "제공"이 다가온 토모히코를 소년 축구 관전에 초대한다.
- 카츠에
- 연기 - 야마노 바다
- 기숙사 겸 식당 담당.
- 야마자키 지로(야마자키 지로)
- 연 - 코모토 마사히로
- 미술부 고문. 밝게 교육 열심으로, 미와에 모셔져 있었다.
- 가미가와 에미코(카미가와 에미코)
- 배우 - 아소 유미
- 양광학 원 교장 과 창립자 .
- 앞면은 온화하고 늠름한 인상이지만, 학생들을 '특별한 사명을 가진 ' 천사 ''라고 세뇌 겸손하게 교육하고, 학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냉철하게 수단을 가리지 않는다.
- 친아버지는 클론 연구의 1인자이며, 당시는 자신이나 신내의 세포를 사용해 클론의 연구를 실시하고 있었다.
- 원작에서의 에밀리 선생님에 상당(원작에는 클론이라고 하는 설정은 없다).
코티지 브라운
- 타치바나 코스케 (타치바나 코스케)
- 연기 - 이노우에 요시오
- 코티지 거주자의 리더. 코티지에서 고립된 쿄코를 위로해 몸도 거듭한다.
- 미네기시(미네기시)
- 배우 - 카지하라 요시
- 코티지 관리인. 「제공자」의 존재를 경멸하고, 코티지 거주자에게 무언가와 악태를 한다. 원작의 케퍼즈에 상당.
- 가나이 아구리
- 연기 - 시라바 유리
- 코티지에서의 쿄코의 행동으로 자신의 입장이 없어지는 일로, 내심으로 쿄코를 희미하게 생각한다.미와가 말한 소문의 「제공의 유예」를 믿고 있다.
- 양지(조지)
- 배우 - 아베 진노스케
- 아구리의 남자 친구. 원작의 로드니에 상당.
- 신 (신)
- 배우 - 카와무라 요스케
- 햇빛과는 다른 「홈」이라고 하는 시설의 출신.
- 복숭아
- 연 - 마츠오카 에요코
- 신과 같은 시설의 출신. 성에 분방. 햇빛 출신자의 대우에 불만을 품는다.
기타
- 마담
- 배우 - 마비 세이
- 때때로 양광학원에 방문해서는 학생들의 작품을 선별해 가지고 돌아가는 수수께끼 같은 여성.
- 작품을 정재계 등에 소개해, 「제공자」가 가지는 재능을 세상에 알리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 카토(카토)
- 연기 - 무늬 혼유
- 쿄코가 개호를 담당하는 「제공자」의 1명으로, 쿄코의 좋은 상담 상대가 되고 있다.
- 나카무라 아야(나카무라 아야)
- 연기 - 미즈사키 아야메
- 주세 대신 우유히코의 '개호인'을 맡는다.
게스트
5화
- 헌 옷가게 점장
- 배우 - 오토모 야스히라
- 쿄코와 토모히코가 방문한 「노조미가사키」(원작에서의 노퍽에 상당) 부근의 헌옷 가게에서 만난 남성. 한때 토모히코가 쿄코에게 선물한 것과 같은 CD를 양보한다.
- 한때 "제공"을 받고 생명을 도왔던 적이 있는 모양.
8화
- 소녀
- 연기 - 스즈키 리오
- 양광학자취지에 설립된 '홈'에 있던 어린 시절의 쿄코와 슌 두 소녀. 쿄코와 같은 뿌리를 가진 클론으로 추측된다.
9화
- 후루이(체)
- 배우 - 야쓰시로 히데키
- 출판사에 근무하는 편집자.어린 시절의 쿄코가 그린 그림이 책의 표지에 사용되고 있었던 것으로부터, 쿄코들이 에미코와 재회하는 계기를 만든다.
최종 이야기
- 소년 축구 아버지
- 배우 - 마키오 유스케
- 어린 시절에 심장의 "제공"을 받고 있다.
스탭(TV 드라마)
- 원작 - 카즈오 이시구 로 '나를 놓지 마라'
- 각본 - 모리시타 카코
- 음악 - 야 아직 풍요
- 극중 노래 - " Never Let Me Go" ( 작곡 : 야마토 유타카 , 노래 : Julia Shortreed )
- 극중에서는 Judy Bridgewater의 CD앨범 'Songs after Dark' 중 1곡이라는 설정.
- 연출 -요시다 켄 , 야마모토 고요시, 히라카와 유이치로
- 프로듀서 - 와타세 아키히코 , 이이다 카즈히로
- 제작 저작 - TBS
방송 일정
각 이야기 | 방송일 | 부제 | 연출 | 시청률 [ 21 ] |
---|---|---|---|---|
1화 | 1월 15일 | 드라마 역사상 가장 애처로운 운명… | 요시다 켄 | 6.2% |
제2화 | 1월 22일 | 인연 재회… 20년 전 거짓말이 이제 3명의 운명을 움직인다 | 6.2% | |
제3화 | 1월 29일 | 첫사랑의 행방은… | 야마모토 고요시 | 7.7% |
4화 | 2월 05 | 열린 문… 새로운 사랑은 희망인가 절망인가 | 요시다 켄 | 7.4% |
5화 | 2월 12일 | 드디어 보인 희망!!제공의 "유예"가 이끄는 파란의 사랑 | 야마모토 고요시 | 7.7% |
6화 | 2월 19일 | 제2장 완결!! 요구한 사랑과 희망의 행말은… 영원의 이별 | 히라카와 유이치로 | 6.8% |
7화 | 2월 26일 | 마지막 장으로… | 6.7% | |
8화 | 3월 04 | 친구와의 이별… 풀리는 인연, 맡겨진 것은 마지막 희망 | 요시다 켄 | 6.2% |
9화 | 3월 11일 | 미래를 되찾는다!! 마지막 희망의 행방… 모든 진실이 밝혀지는 운명의 순간 | 야마모토 고요시 | 6.5% |
최종 이야기 | 3월 18일 | 사랑과 희망의 결말은…살아 사랑하는 것 그리고 태어난 의미란? | 요시다 켄 | 6.7% |
평균 시청률 6.8% [ 22 ] (시청률은 비디오 리서치 조사, 간토 지구 ·가구) |
TBS 계 금요일 드라마 | ||
---|---|---|
이전 프로그램 | 프로그램 이름 | 다음 프로그램 |
나를 놓지 마라 (2016년 1월 15일 - 3월 18일) |
각주
- ^ a b “아야세 하루카 & 미우라 하루마 & 미즈카와 아사미가 공연!“나를 놓지 말고” 첫 드라마화 결정” . 시네마 카페 (주식회사 이드). (2015년 11월 19일) 2015년 11월 19일 열람.
- ↑ “ 노벨 문학상 이시구로 씨의 작품 출판사에 주문 쇄도” . NHK NEWS WEB . 2017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드라마판 “나를 놓지 말고”, 스카퍼가 재방송을 급히 결정” . 산케이 뉴스 . (2017년 10월 6일) 2017년 10월 12일 열람.
- ↑ “아야세 하루카 “나를 놓지 말고” 지상파로 재방송” . 일간 스포츠 . (2017년 10월 13일) 2017년 10월 13일 열람.
- ↑ 하야카와 epi 문고 해설
- ↑ 구마모토 일일 신문「사토 아키가 읽는다」, 2006년 8월 6일.
- ↑ “ 『나를 놓지 말아라』(하야카와 서방) - 저자:카즈오 이시구로 번역:츠치야 마사오 - 도요사키 유미에 의한 서평 ”. ALL REVIEWS (2017 년 8 월 1 일). 2025년 5월 17일에 확인함.
- ^ https://www.tbs.co.jp/never-let-me-go/original/
- ↑ 영화 공식 사이트
- ^ “ 니가와 유키오×쿠라모치 유우가 카즈오·이시그로 의 걸작을 무대화 극장 가이드 (2013 년 11 월 12 일). 2015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a b “ '나를 떠나지 말라' ”. 아야노 나라 사이타마 예술 극장. 2015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a b c d “ 나를 놓지 마라 | 아사히 방송 ”. 아사히 방송 홈페이지. 2015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 아야세 하루카×미우라 하루마×미즈카와 아사미 공동 출연 『나를 놓지 마라』 연속 드라마화 . ORICON STYLE (2015년 11월 19일).
- ^ “스즈키 리오 다시 아야세의 어린 시절 역 “나를 놓지 말고” 초반 견인” . 스포니치아넥스 . (2016년 1월 15일) 2016년 2월 7일 열람.
- ^ “ 촬영 보고서 ”. 나를 놓지 마라 . TBS TV (2015 년 12 월 23 일). 2016년 2월 7일에 확인함.
- ^ “아야세 하루카, 주연 드라마 '나를 놓지 말고' 원작자와 4시간 넘는 대담” . ORICON STYLE (주식회사 oricon ME). (2015년 12월 23일) 2016년 2월 7일 열람.
- ↑ 제6화에서 마미의 유품인 담배를 쿄코가 향향으로서 불어낸 것에 의한다.
- ^ 이름은 제3화에서의 제공 개시 통지에 기재되어 있다.
- ^ " 삽입 노래 정보 ". 나를 놓지 마라 . TBS TV (2016 년 1 월 29 일). 2016년 2월 7일에 확인함.
- ^ “드라마 '나를 놓지 말고' 화제의 극중 노래를 전달” . ORICON STYLE (주식회사 oricon ME). (2016년 1월 29일) 2016년 1월 29일 열람.
- ^ “ 아야세 하루카 주연 “나를 놓지 말고” 최종회 시청률은 6.7% ”. 스포니치아넥스 (2016년 3월 22일).
- ^ “ 아야세 하루카, 『나를 놓지 말아라』 금기 최저도… ”. 사이조우먼 (2016년 3월 23일). 2016년 3월 23일 열람.
외부 링크
- TV드라마
- 금요일 드라마 나를 놓지 마라 - TBS
- 금요일 드라마 나를 놓지 마라 - TBS 채널
- 나를 놓지 마라 - U-NEXT
- 나를 놓지 마라 (@NLMG_tbs) - X (이전 트위터)
- 나를 놓지 마라 (NLMG.tbs)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