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평화개념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평화인문학 기획총서 - IPUS 평화인문학총서 8
이찬수,김혜경,강성우,김선,류경희,김준,서보혁,김병로,이원삼,박구병,김광수 (지은이)인간사랑2020-01-20



Sales Point : 62


433쪽
책소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평화인문학 기획총서 IPUS 평화인문학총서 8권. 평화는 결국 공존과 상생이자, 인류에게 두루 적용되어야 할 보편적 가치라는 사실을 원천적으로 배제한 곳은 없었다. 인류는 힘에 의한 지배를 꿈꾸면서도 그러한 지배와 억압을 넘어서는 이상 상태를 놓치지 않았다.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는 주장을 과거의 것으로 돌리고, “평화를 원하거든 평화를 준비하라”는 새로운 금언을 두루 퍼뜨려야 하리라는 데에 대부분 동의하고 있었다.
목차
간행사 _ 임경훈 7
서문: 인류의 평화, 그 거대담론의 역사 _ 이찬수 9
제1부
1장 팍스(Pax), 정의(Giustizia), 아르테(Arte): 이탈리아 평화개념의 역사 _ 김혜경 23
2장 평화, 끝없는 전쟁 속에서 피어나다: 영국 평화개념의 탄생과 진화 _ 강성우·김선 61
3장 ‘최상의 집단질서유지와 복지’를 추구하다: 인도의 집단적 차원의 평화개념 _ 류경희 93
제2부
4장 대일통(大一通), 대동(大同) 그리고 화평(和平): 중국 근대 평화사상의 전개 _ 김준 133
5장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개념사의 핵심 _ 이찬수 159
6장 한국인의 평화사상, 그 궤적과 특징 _ 서보혁 203
7장 자위(自衛)로서의 평화: 북한의 평화개념 _ 김병로 245
제3부
8장 평화가 전쟁으로: 이슬람의 평화관 _ 이원삼 287
9장 과테말라의 평화 협정 이후: 적극적 평화에 이르는 험로 _ 박구병 321
10장 차별과 갈등에서 화해와 공존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 평화개념의 역사적 맥락화 _ 김광수 362
초록 405
필자 소개 430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 한겨레 신문 2020년 2월 21일 학술 새책
저자 및 역자소개
이찬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일본의 사상과 문화, 동아시아의 종교와 평화 연구자.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거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일본의 철학자 니시타니 케이지와 독일의 신학자 칼 라너의 사상을 비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남대 교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코세이 가쿠린 객원교수, (일본)중앙학술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난잔대학 객원연구원, 성공회대 대우교수, 보훈교육연구원장 등을 지냈다.
『일본정신』, 『불교와 그리스도교 깊이에서 만나다: 교토학파와 그리스도교』, 『다르지만 조화한다』, 『평화와 평화들』, 『사회는 왜 아픈가』, 『아시아평화공동체』(편저), 『평화의 여러가지 얼굴』(공편저), 『근대 한국과 일본의 공공성 구상』(공저), 『北東アジア·市民社会·キリスト教から観た平和』(공저),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개념사의 핵심」, 「平和はどのように成り立つのか」, 「北朝鮮の民間信仰」 등 80여 권의 단행본(공저서, 번역서 포함)과 90여 편의 논문을 출판했다.
현재 인권평화연구원 공동원장으로 일하면서 가톨릭대에서 평화학을 강의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실패의 인문학>,<동학과 서학>,<메이지의 그늘> … 총 62종 (모두보기)
김혜경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전 대구가톨릭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최근작 : <세계평화개념사>
강성우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연구교수
최근작 : <세계평화개념사>
김선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전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최근작 : <세계평화개념사>
류경희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전 서울대 외래교수
최근작 : <세계평화개념사>
김준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최근작 : <세계평화개념사>
서보혁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앞에는 들과 낙동강이, 뒤에는 산이 자리한 경북 안동의 한 마을에서 태어나 자랐다. 권위주의 시대를 마감하고 민주주의 시대를 준비하던 1980년대 중반에 서울에서 대학을 다녔다. 1987년 민주화의 여파는 노동운동과 통일운동의 활성화로 이어졌고 이는 북한·통일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 뒤늦게 대학원에 진학해 북한·통일 문제를 공부했다. 북한의 연방제 통일 정책 변화와 북한과 미국의 관계를 연구해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북한 연구가 어려운 여건에서 한국정치연구회 선후배들과 함께 한 북한 원서 ... 더보기

최근작 : <북한 주민의 군대 생활>,<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코리아 인권> … 총 50종 (모두보기)
김병로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부교수.
현재 통일평화연구원 조사분석실장 및 김대중학술원 연구위원, 한반도평화연구원 연구위원, 평화나눔재단 고문, 기독교통일포럼 상임대표 등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2016), 『한국과 조선: 남북한 정통성 경쟁』(2024) 등이 있으며, 대표 논문으로는 “State-led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in North Korea under Kim Jong-un Regime”(2021) 등이 있다.
최근작 : <MZ세대의 통일의식 (반양장)>,<MZ세대의 통일의식 (양장)>,<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 총 4종 (모두보기)
이원삼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선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최근작 : <세계평화개념사>
박구병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로스앤젤레스 소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UCLA) 사학과에서 멕시코 정치의 탈군사화 과정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아주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멕시코 혁명을 비롯한 20세기 라틴아메리카 정치사, 미국과 라틴아메리카의 관계이다. 저서로는 『세계화 시대의 서양현대사』(공저), 『글로벌 냉전과 동아시아』(공저), 『제3세계의 역사와 문화』(공저), 『사회갈등과 역사교육』(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아메리카노: 라틴아메리카의 독립투쟁』(... 더보기

최근작 : <사회갈등과 역사교육>,<라틴아메리카 문화 ‘흠뻑’ : 라틴아메리카 즐기기>,<사회갈등과 역사교육 (양장)> … 총 25종 (모두보기)
김광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림 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HK교수
최근작 : <세계평화개념사>
출판사 제공 책소개
정리하고 보니, 거의 모든 나라와 지역에서 평화 및 그에 해당하는 가치가 전개되어온 양상은 과히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술한 베게티우스의 표현을 빌리면,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는 오랜 생각에서 자유로운 나라는 거의 없었다. 대부분 현실에서는 ‘힘에 의한 평화’를 추구했거나, 힘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그러한 생각에 편승하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그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사실도 버리지는 않았다. 평화는 결국 공존과 상생(相生)이자, 인류에게 두루 적용되어야 할 보편적 가치라는 사실을 원천적으로 배제한 곳은 없었다. 인류는 힘에 의한 지배를 꿈꾸면서도 그러한 지배와 억압을 넘어서는 이상 상태를 놓치지 않았다.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는 주장을 과거의 것으로 돌리고, “평화를 원하거든 평화를 준비하라”(Si vis pacem, para pacem)는 새로운 금언을 두루 퍼뜨려야 하리라는 데에 대부분 동의하고 있었다.





55. <세계 평화 개념사>

인류의 평화 그 거대담론사의 역사,,,,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쟁은 안하더라도 갈등과 충돌과 분쟁의 연속이다.... 오늘날 평화라는 말은 많이 통용되지만 세상은 여전히 평화롭지는 않다. 과연,, 평화란 무엇일까???
< 팍스(Pax), 정의(Giustizia), 아르테(Arte),,, 이탈리아 평화 개념의 역사,,, >
< 평화, 끝없는 전쟁속에서 피어나다,,, 영국 평화개념의 탄생과 진화,,, >
< 최상의 집단질서유지와 복지를 추구하다,,, 인도의 집단적 차원의 평화 개념,,, >
< 대일통(大一通, 대동(大同) 그리고 화평(和平),,, 중국 근대 평화사상의 전개,,, >
<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개념사의 핵심,,, >
< 한국인의 평화사상,,, 그 궤적과 특징,,, >
< 자위(自衛)로서의 평화,,, 북한의 평화개념,,, >
< 평화가 전쟁으로,,, 이슬람의 평화관,,, >
< 과테말라의 평화 협정 이후,,, 적극적 평화에 이르는 험로,,, >
< 차별과 갈등에서 화해와 공존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 평화개념의 역사적 맥락화,,, >
공존과 상생(相生),,,평화를 준비하자.... 적극적인 평화를 준비하자...
추천합니다.
※ 이 리뷰는 도서출판 "인간사랑"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접기
네모도리 2020-02-10 공감(0)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