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08

한국군 포로, 김정은 상대 손배소 승소…한국 법원, 북한 관련 재판권 첫 행사 | Voice of America - Korean

한국군 포로, 김정은 상대 손배소 승소…한국 법원, 북한 관련 재판권 첫 행사 | Voice of America - Korean




한국군 포로, 김정은 상대 손배소 승소…한국 법원, 북한 관련 재판권 첫 행사
2020.7.7 4:40 오전



한국 서울중앙지방법원 건물. (자료사진)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에 포로로 잡혀 강제노역을 했던 한국 군인들이 한국 법원에 북한 정부와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상대로 소송을 내 이겼습니다. 한국 법원이 김 위원장에 대한 재판권을 행사해 손해배상을 명령한 첫 판결입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47단독 김영아 판사는 7일 한모 씨와 노모 씨가 북한과 김 위원장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피고들은 한 씨와 노 씨에게 각각 2천100만원, 미화로 약 1만7천500달러를 지급하라”며 원고 승소로 판결했습니다.

한 씨 등은 한국전쟁에 참전했다가 북한군의 포로가 돼 정전 후에도 송환되지 못하고 내무성 건설대에 배속돼 노동력을 착취당했다며 2016년 10월 소송을 냈습니다.

노 씨는 2000년, 한 씨는 2001년 각각 북한을 탈출해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번 소송을 주도한 민간단체 ‘물망초 국군포로 송환위원회’는 “북한과 김정은에 대해 한국 법원의 재판권을 인정하고 손해배상을 명령한 첫 판결”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 씨와 노 씨는 재판에서 “50년 가까이 이뤄진 장기간의 불법 행위는 인권말살적”이라며 “북한이 원고 1인 당 6억원의 위자료를 지급할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이 강제노역 피해를 본 시기에 통치자였던 김일성 주석,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손해배상 책임이 있으며 자손인 김 위원장이 손해배상 채무를 상속받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상속 비율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이 책임져야 할 손해배상금은 원고 1인당 2천246만원”이라며 “이 가운데 일부 금액을 청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법원은 소장을 접수한 지 약 2년 8개월 만인 지난해 6월 첫 변론준비 기일을 열어 심리한 결과 북한과 김 위원장의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북한 정부와 김 위원장에게 소송이 제기된 사실을 알릴 방법이 없어 결국 법원은 소장을 공시송달한 뒤에 사건을 심리했고, 이 때문에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공시송달이란 소송 상대방이 서류를 받지 않고 재판에 불응할 때 법원 게시판이나 관보 등에 게재한 뒤 내용이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는 제도입니다.

피고에게 소장을 공시송달하고 사건을 심리할 경우 원고 측이 제출한 증거만을 바탕으로 사건을 심리하고 이 과정에서 피고 측의 주장은 반영되지 않게 됩니다.

재판이 끝난 직후 한 씨는 “국군포로 문제에 한국 정치권이나 사회가 관심을 갖지 않아 섭섭했지만 어쨌든 이런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돼 감사하다”고 소감을 말했습니다.

물망초 소속 구충서 제이앤씨 대표변호사는 “사단법인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이 북한에 지급할 저작권료 약 20억원을 현재 법원에 공탁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채권 압류와 추심 명령을 받아내 추심한 금액을 한 씨와 노 씨에게 지급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은 2005년 북한 저작권 사무국과 협약을 맺어 ‘조선중앙TV’ 영상을 비롯한 북한 저작물을 사용할 때마다 저작권료를 지급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2008년까지 약 8억원이 송금됐으나 이후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으로 대북 제재가 시행되면서 송금이 막히자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은 저작권료를 법원에 공탁해 왔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김환용입니다.




관련 기사

사회·인권
한국군 포로 가족, 한국전 70주년 맞아 유엔에 진정서 제출
한국전쟁 중 북한에 포로로 끌려간 한국군 가족들이 유엔에 진정서를 제출했습니다. 북한이 포로의 생사를 확인하고 한국으로 송환하도록 유엔이 촉구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기자 김영교
2020.6.23 1:00 오전

정치·안보
귀환 한국군 포로 “남북 정상회담 통해 전우 한 명이라도 데려오길”
남북 정상회담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반도 분단으로 잊힌 사람들에게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쟁 포로와 납북자 문제입니다.

기자 김영권
2018.4.17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