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의 이해
중앙대학교
이연도
강의학기2017년 1학기조회수12,781
강의계획서
근현대 이후 동양철학의 현대적 전환을 중심으로, 주요 철학자들의 사상적 특징과 의미를 살펴본다
차시별 강의
1.
2.
3.
4.
5.
6.
7.
8.
9.
10.
연관공개강의
연관학위논문
중국 신문화 운동전후 유학의 성격변화 = Changes in the nature of confucianism before and after the new culture movement in China
詩經과 詩篇의 天ㆍ神-人關係 比較 硏究
풍우란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맹자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中國哲學에 있어서의 天人合一論에 관한 연구 : 先秦 宋明儒家를 중심으로 = (A)study on the unification between the heaven and the human being in the chinese philoso
===
차시별 강의
1. | 동양철학: 전통과 현대의 고민 | 1. 학습과정 소개 2. 동양철학의 현대적 전환 | ||
동양철학: 전통과 현대의 고민 | 1. 학습과정 소개 2. 동양철학의 현대적 전환 | |||
2. | 전통유학의 근대적 전환: 강유위와 금문경학 | 강유위 철학사상의 특징 | ||
전통유학의 근대적 전환: 강유위와 금문경학 | 강유위 철학사상의 특징 | |||
3. | 유가 대동사상의 현대적 전환: 대동서 | 대동사상의 현대적 전환 | ||
유가 대동사상의 현대적 전환: 대동서 | 대동사상의 현대적 전환 | |||
4. | 번역과 근대중국 : 엄복과 천연론 | 사회진화론의 영향 | ||
번역과 근대중국 : 엄복과 천연론 | 사회진화론의 영향 | |||
5. | 아시아 국가주의의 기원: 양계초와 신민설 | 민족국가 논의와 신민 | ||
아시아 국가주의의 기원: 양계초와 신민설 | 민족국가 논의와 신민 | |||
6. | 현대신유학의 등장: 양수명과 동서문화철학 | 동서 문화철학의 특징 | ||
현대신유학의 등장: 양수명과 동서문화철학 | 동서 문화철학의 특징 | |||
7. | 중국철학의 특질: 모종삼과 유가도덕론 | 중국철학의 특징, 현대신유가 | ||
중국철학의 특질: 모종삼과 유가도덕론 | 중국철학의 특징, 현대신유가 | |||
8. | 중국철학의 세계화: 풍우란과 중국철학사 | 중국철학사의 특징, 신리학 | ||
중국철학의 세계화: 풍우란과 중국철학사 | 중국철학사의 특징, 신리학 | |||
9. |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모택동과 실천론 | 실천론과 모순론 | ||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모택동과 실천론 | 실천론과 모순론 | |||
10. | 중국미학의 특성: 이택후와 미의 역정 | 중국미학의 특성 | ||
중국미학의 특성: 이택후와 미의 역정 | 중국미학의 특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