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07

산상수훈 8복

산상수훈 8복 : 네이버 블로그




산상수훈 8복

우리안

2016. 7. 27. 8:17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Ⅰ. 서론



복이란 헬라어로는 '마카리오스(Μακάριος)'로써 '일상적인 염려와 걱정들로부터 놓여 자유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적인 언어에서 이 단어는 '신들의 행복'을 가리키는 말로써 신들의 상태와 더불어 신들의 행복한 실존을 함께 나누는 자들의 상태를 나타내었다.

헬라어 원어에서 복에 대한 두 가지 핵심적인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세상의 근심 걱정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이며, 둘째는 하나님의 은혜에 참예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복에 대한 원어적 의미는 세상을 통해 얻는 권력, 물질, 형통의 의미가 아니라 오히려 세상으로부터 구별됨으로써 얻게 되는 진정한 마음의 평안의 상태, 하나님의 위로와 평강의 은혜로 말미암아 얻게 되는, 즉 세상에서 맛볼 수 없는 은혜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이처럼 '마카리오스'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주어지는 은혜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지 개인의 노력으로 얻은 결과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오랫동안 번영신학에 빠져 있었다.(비단 한국교회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복음주의 목회자인 존 파이퍼 목사는 그가 시무하던 교회의 마지막 설교에서 번영신학을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예배가 수다스럽게 떠드는 라디오 토크쇼같이 취급되며, 모든 것에 대해 명랑 쾌활하게 말하고, 사람들에게 편안하고 즐겁고 활기찬 느낌을 주도록 기획된 교회 예배에 크게 실망했다. 물론 세상이 행복한 크리스천을 봐야 하지만 그 행복은 고통 속에서 하나님이 빚으신, 그리스도가 획득한 행복이어야 한다. 우리가 그들에게 줘야 할 것은 그들이 이미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다."



개인적인 견해로 마카리오스를 ‘복’이라고 번역하지 않고 ‘행복하다’고 번역했다면 지금처럼 기복적인 개념으로 덜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번역을 탓하자는 것이 아니라 세속적인 단어를 가져올 때에는 그 단어에 실린 의미도 함께 따라오기에 번역에 신중했거나 아니면 이를 신학적 적용에 더욱 주의했어야 한다는 말이다.





Ⅱ. 성경이 말하는 복



1. 구원받은 자의 행복

구약에서의 말 하는 복은 죄 사함을 받고 죄의 길에 서지 않는 것(시 1:1, 32:1), 가난한 자에게 선을 베풀며(시41:1), 오직 말씀 즉 여호와께 의지하는(84:12) 것 등을 말한다.

신약의 서신서에서 바울은 죄 사함과 믿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구원받은 자의 행복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롬4:7; 14:22) 계시록에서 말하는 복은 단호하다. 즉 죄 앞에 부끄럽지 않고 정결하며(계16:15; 22:14) 말씀을 지키고(계22:7), 믿음으로 인하여 죽는(계14:3) 것이 복 받은 자들의 자격 요건인 것이다.

이처럼 신·구약에서 공통적으로 복에 대해 말하는 것은 구원을 받은 자들의 마땅한 신앙적인 상태(죄를 멀리하고 정결하며 말씀을 지키고 죽기까지 믿음으로 충성하는)를 말하고 있다. 물론 예수님께서는 믿는 모든 자들에게 복을 주시기 위해 이 땅에 오셨다(행 3:26). 그러나 성경 어디에도 예수를 열심히 믿으면 이 세상에서 주는 복을 받는다는 말은 없다.



2. 천국 시민이 받는 복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복은 무엇인가? 마태복음 5장(1~12절)에서 선포하시는 예수님의 말씀은 산상수훈 중에서 팔복에 관한 말씀이다. 산상수훈은 구원받지 못한 자를 위한 복음의 메시지가 아니며 제자들에게 전하는 메시야 왕국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원어로 8복은 마카리오이(Makarioi)라는 형용사로 서술적 용법 즉 ‘복이 있나니’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우리말 해석과는 순서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즉 “심령이 가난한 자는(애통하는 자는, 온유한 자는, …) 복을 받는다."라는 우리말 표현은 어떠한 사람들이 복을 받는데 필요한 조건, 또는 복을 받는 사람들의 유형을 말하는 것과 같은 뉘앙스를 풍긴다. 그러나 진작 팔복에 말하는 ‘복’은 세상에서 가지는 통념과는 매우 다르기에 역설(paradox)이라고도 부른다.

따라서 팔복은 복을 받기 위한 조건이나 복을 받는 사람들의 유형을 말하기보다 그들의 특성(거룩한 성품)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달라스 윌라드는 그의 저서 '하나님의 모략'에서 팔복을 복을 받는 조건처럼 해석한다면 다양한 부류의 사람이 자신에게 맞는 복을 고름으로써 천국에 자동 입성하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팔복을 원어의 의미를 살려서 해석을 한다면, “복되도다. 이곳에 심령이 가난한 자가 있느냐? 천국은 그들의 것이다.”라고 볼 수 있다.

예수님께서 팔복을 강론하는 대상은 병 고침을 받으러 온 자들이 아니라 믿음으로 나온 제자들이었다. 예수님께서는 장차 천국 시민이 될 제자들에게 천국 시민이 복되며 복된 이유에 대해 말씀하고 계신 것이다.





Ⅲ. 천국 시민의 특성



3.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요 4.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 5.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 6.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배부를 것임이요 7.긍휼히 여기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긍휼히 여김을 받을 것임이요 8.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 9.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 10.의를 위하여 박해를 받은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라



1. 심령이 가난한 자

심령(퓨뉴마)은 우리의 영혼을 말하며 가난(프토코스, ptocos)하다는 것은 두려워하여 움츠려든 상태를 말한다. 즉 세상 가운데에서 억압을 받고 개인의 힘으로서는 살아갈 수 없는 상태인 것이다.

예수님이 이 세상에 오셨을 때에도 세 부류의 가난한 사람들이 있었다. 첫째는 단순히 물질적 의미에서 '가난한 자'다. 둘째는 몸이 병들고 약하거나 사회적으로도 아무 힘이 없기 때문에 차별당하고 억압을 당하는 사람, 그래서 사회적으로 보호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다. 셋째는 세상적인 물질과 권력, 명예 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양심으로는 가책을 느끼는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가난한 자'라는 것은 세상적으로는 부유하거나 권력이 있음에도 그 영혼이 움츠려든 상태에 있는 사람이다. 똑같은 바리새인이면서도 니고데모와 같이 영적인 갈급함이 있는 사람이 있었고, 또한 부자인 세리장이면서도 영적인 가난을 깨달은 삭개오와 같은 사람이 있었다.

세상의 권력과 부를 탐하면서 마음이 부자인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세상 권세를 붙잡고 또한 그것을 탐닉하기에 그 양심이 굳어있는 자들이다. 그들은 겉으로는 예배의 자리에 있거나 하나님을 향하고 있는 것 같지만 그들에게는 믿음의 형식만 남아있고 그 안에는 교만과 욕심으로 가득 차 있는 것이다.

가난한 자는 구걸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누구에게 구걸하느냐는 것이다. 니고데모와 삭개오 그리고 욥과 같은 자가 가난해서 구걸한 것이 아니라 영적인 갈급함을 알기에 하나님 집 앞에서 구걸하며 그의 베푸심에 의존하는 것이다. 세리는 상한 심령으로, “하나님이여 불쌍히 여기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눅 18:13)”라고 외쳤는데, 이것이 바로 심령이 가난한 자들의 외침인 것이다.

오직 예수님을 만난 자만이 자신의 영혼이 가난한 상태를 깨달을 수 있다. 마치 거울을 본 자가 자신의 추악한 모습을 볼 수 있듯이 말이다. 이러한 자들의 모습은 겸손함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회당장 야이로는 회당에서 말씀을 선포하는 청년 예수를 보고 자신의 무력함, 세상의 권세와 물질 그 어떤 것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영적인 가난에 처했을 때 예수님 앞에 겸허히 무릎을 꿇었다.(막 5:22)

천국은 부족한 것이 없는 곳이다. 그러나 천국은 세상의 부자나 교만한 자가 들어갈 수 없는 곳이다. 천국은 오직 이 세상의 것을 배설물과 같이 여기며 자신의 영혼의 가난한 상태를 깨닫는 겸손하고 온유하며 순종하는 심령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2. 애통하는 자

우리가 그리스도를 바라보면서 가져야 할 경건한 슬픔이 있다. 그것은 곧 죄에 대해 갖는 슬픔이다. 애통하는 자란, 자신의 본성적인 부패성과 또한 실질적인 갖가지 범죄들을 슬퍼하는 자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자신으로부터 멀어진 것에 대해 슬퍼하며, 또한 하나님을 존귀하게 여기려는 열심으로 다른 이들의 죄에 대해서도 슬퍼하고 모든 가증한 일로 말미암아 탄식하며 우는 자들이다.

그러므로 진실로 애통하는 자는 자신의 죄에 대해 깊이 슬퍼하고 철저히 '애통하는 자'의 자리에까지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특별히 이 애통은 영적인 측면의 애통을 말하는 것으로 인간과 하나님 사이를 갈라놓는 불의에 대한 애통이며, 사람들이 자랑하던 바로 그 도덕성과 '자기 의'(self-righteousness)에 대한 애통이며, 하나님의 뜻을 진지하게 찾고 끝끝내 발견하려는 가운데 분출되는 애통인 것이다.

우리는 누구 때문에 무엇 때문에 애통해하며 기도하고 있는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안타까움보다 나 자신의 부요함에 부끄러워해야 한다. 예수님께서는 자신의 전부를 우리에게 주셨는데 우리는 자신의 작은 소유조차도 아까워하지 않는가? 우리 주변에서 애통해하는 많은 자들을 보면서 우리는 위로를 받은 자로서 주님이 주시는 위로를 소개하는 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누가 위로를 받는가? 당연히 애통하는 자가 위로를 받는다. 문제는 무엇 때문에 애통해 하느냐는 것이다. 세상 가운데 아등바등 살다가 뜻대로 되지 않아서 애통해 하는 것인지 아니면 하나님 뜻대로 살다가 고난을 당함으로써 애통해하냐는 것이다.

이 세상에 애통해보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그러나 중요한 것은 누구로부터 위로를 받았느냐는 것이다. 힘들 때 사랑하는 남편이나 아내 혹은 부모나 친구로부터 받는 위로가 얼마나 큰 것인가? 그때 비로소 가족이나 친구의 소중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때론 가족이나 친구 등으로부터도 위로가 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인생의 위기에서 절망 가운데 있을 때 그 어느 누구도 위로가 되지 않을 때 위로해 주시는 단 한 분이 계시다.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주님의 위로를 받으라. 주님의 위로를 경험한 사람은 다른 애통해하는 사람에게 주님의 위로로 격려할 수 있는 것이다.(요16:30)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 제자들과 예수님을 따르던 자들은 모두 슬픔에 잠겼다. 반면 예수님의 대적들은 모두 기쁨의 환호를 질렀다. 그러나 그들의 기쁨과 슬픔은 잠시였고 이내 역전이 되고 말았다. 부활의 첫 열매가 되신 예수님께서는 믿음으로 십자가를 바라보는 모든 자들, 즉 애통을 경험한 자들에게 기쁨의 위로를 주시는 것이다.



3. 온유한 자

온유함이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순종이다. 예수님께서는 십자가에 달리시기까지 온전히 순종하셨다. 마치 제물로 바쳐진 어린 양이 반항하지 않듯이 말이다. 예수님의 철저한 순종이 없었다면 십자가도 없었을 것이고 십자가가 없다면 우리의 구원도 물 건너갔을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아버지 하나님께 온전히 순종하심으로 친히 산 제물이 되셨을 뿐 아니라 다시 부활하심으로 산 자의 첫 열매가 되셨다. 즉 그분의 죽으심은 우리의 구원이요 그분의 사심은 우리의 부활과 영생인 것이다. 십자가에서 물과 피를 다 쏟으신 주님께서는 십자가에 달리시기 전에 마지막 만찬에서 제자들에게 빵과 포도주로써 자신을 기념하라고 하셨다(눅22:19). 그러므로 천국 시민은 늘 생명의 말씀과 십자가의 보혈을 기억함으로써 예수님의 온유함에 동참해야 하는 것이다. 늘 말씀 앞에 낮아지고 죽기까지 순종해야 하는 것이다.

온유함의 두 번째 의미는 범사에 모든 사람에게 언행으로 나타나는 품성과 태도다(딛3:2). 즉 화를 돋우는 일이 있어도 화내지 않고 침묵하거나 부드럽게 대답할 줄 아는 자요, 불쾌함을 나타내 보이되 예의를 잃지 않으며, 다른 이들이 격렬한 감정을 나타낼 때에도 침착할 줄 아는 자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이러한 온유함은 세상 사람들 중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덕목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천국 시민으로서 온유함의 특성은 무엇인가?

온유는 헬라어로 프라위스(prawis)인데 이 말은 동물에 관해서는 길들여져 유순한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선천적으로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에게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성품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본성은 거칠고 급하고 인내심이 없었던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을 섬김으로써 나타나는 순종인 것이다. 즉 주님의 성품으로 길들여진 것이다.

모세가 바로 그러한 사람이었다. 다혈질적인 혈기로 사람까지 죽였던 모세가 하나님을 만나고 나서 그는 완전히 길들여진 사람이 되었다. 성경은 그를 누구보다도 온유한 사람이라고 말하고 있다(민12:3).

이러한 온유한 자에게는 땅이 기업으로 주어진다. 마치 길들여진 짐승에게 목초지가 주어지듯 말이다. 그 목초지에는 풀이 풍성하고 또한 목자의 보호 아래 쉼이 있는 것이다. 주님께 순종함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자들은 주님이 주시는 땅에서 주님의 보호 아래 풍성한 생명의 꼴을 먹고 평안과 기쁨을 누리는 삶을 사는 것이다.



4.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

주리다는 것은 헬라어 원어(페이나오, peinao)로 굶주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대에서 자기가 통치하는 백성들이 굶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은 통치자의 책무였다(예: 애굽의 바로). 통치자들은 식량을 공급하여 사람들의 생명을 보존하기 때문에 헬라 세계에서 신과 같은 영예를 누렸다

세상 사람들은 양식이 없음으로 굶주리지만 천국 시민은 의로 말미암아 굶주린다. 왜냐하면 회개함으로 심령이 되살아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깨어난 내면의 영이 정의를 갈급해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육신을 통해 들어오는 것은 육신의 양식에 불과하며 영의 양식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영의 양식인 의는 무엇을 말하는가? 그것은 바로 하나님의 의가 되신 그리스도를 말한다. 그러므로 예수님께서는 빵과 포도주를 주시면서 내 몸과 피를 먹과 마시라고 하신 것이다(눅 22:19,20). 그렇다. 의에 굶주린 자는 예수의 살과 피를 마심으로써 영적이 회복이 있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리스도의 옷, 즉 하나님의 형상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의에 굶주린 자는 거룩한 욕구로 가득 찬 사람이다. 따라서 날마다 영의 양식을 갈망한다. 살아있는 몸이 언제나 새로운 음식의 공급이 필요한 것처럼 주님이 공급해 주시는 은혜의 신선한 공급을 갈망하는 것이다.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루에 필요한 만나가 날마다 주어졌듯이 의에 굶주린 자는 날마다 신선한 만나를 구하며 그것으로 배부른 자다. 그러므로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날마다 의를 공급받기 위해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다. 즉 날마다 말씀을 묵상하며, 무시로 기도하며, 늘 기쁨으로 찬양하며 예배를 사모하는 자인 것이다.



5. 긍휼히 여기는 자

남을 긍휼히 여기는 자는 비참한 상태에 있는 사람을 향하여 경건한 사랑을 품고 그들을 불쌍히 여기며 돕고 구해 주는 자들이다. 선한 사마리아인이 바로 그러한 사람이다(눅 10:29-37).

강도 만난 어떤 사람이 거의 죽어가는 상태에 있었음에도 제사장과 레위인은 그냥 지나쳤다. 그들은 왜 지나쳤을까? 아마도 예루살렘에서의 성전 봉사 때문에 급히 가야 해서 강도를 도울 여유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사마리아인도 그의 볼 일을 보러 지나가는 중이었다. 그러나 그는 곤경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것이 하나님에 대한 제사보다 우선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제사는 오직 선을 행함과 서로 나누어 주는 것이다(히13:16). 예수님께서 바리새인들을 책망하신 것은 율법을 자신의 해석으로 가져갔다는 것이다. 예컨대 “부모를 공경하라"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그들은 ‘고르반’ 맹세를 악용해 부모 공양 의무를 피하면서 자기 소유는 그대로 유지하는 수단으로 삼았듯이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이 없는 자(딤후 3:5)”의 모습이 바로 강도 만난 자를 회피하는 자의 모습인 것이다.

우리는 강도 만난 자였다. 우리의 원수인 사탄은 우리를 약탈하고 우리의 옷을 벗겨갔으며 우리에게 상처를 입혔다. 결국 우리의 영혼은 피폐해져서 강도 만난 자와 같이 영적으로 죽은 자였다. 율법의 사역자인 제사장과 레위인은 우리를 불쌍히 여기지도 않았고 우리를 구해주지도 않았지만, 즉 율법은 우리를 도울 힘도 없어 피해 지나갔지만(롬 8:3) 찬송 받으실 예수, 저 사마리아인(유대인들은 예수를 사마리아인이라고 부르며 비난하였다.)이 오셔서, 우리를 불쌍히 여기시고, 피가 흐르는 상처를 싸매어 주신 것이다.

남을 긍휼히 여기는 자는 긍휼함을 입은 자다. 즉 긍휼의 은혜에 빚진 자이기에 남에게 긍휼을 베푸는 것을 자선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리스도인의 긍휼은 세상 사람들의 동정심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받은 사랑을 실천하는 자인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깨닫고 긍휼을 베푸는 자는 또한 주님의 긍휼을 덧입는 것이다.



6. 마음이 청결한 자

구약 시대에는 하나님을 볼 수 없었다. 하나님은 거룩하시기에 죄를 가진 인간은 거룩하신 하나님을 대면하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대제사장도 지성소에 들어가면 발에 방울을 매달고 들어가야만 했다.

그런데 그 거룩하신 하나님이 인간에게 직접 자신을 나타내셨다. 바로 육신으로 오신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그러나 빛이 세상에 왔으되 깨닫는 자가 없었다(요1:5). 죄로 눈이 가려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죄로 인해 마음이 어두운 자는 비록 육신의 하나님을 볼 수 있었으나 영적인 하나님은 볼 수 없었다. 제사장과 서기관과 바리새인이 바로 그러한 자였다.

그러나 자신의 죄를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본 자는 구원의 하나님을 볼 수 있었다. 예수님께 향유를 뿌리고 눈물로 예수님의 발을 적셨던 여인, 침상에 들려온 중풍병자처럼 죄 사함을 받은 자가 바로 그러한 자였다(눅7:48; 눅5:20).

즉 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음이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대면하여 회개함으로써 육신의 정욕과 부정한 생각과 욕심으로부터 마음의 순결을 유지하는 사람이다. 진정한 회개에 이르러 구원의 십자가를 바라보는 자, 십자가의 보혈로 양심의 죄 씻음을 받은 자는 마음이 청결한 자요. 이러한 자는 영의 눈으로 예수님을 바라보는 자다.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는 자는 곧 하나님을 보는 자다(요14:9).



7. 화평하게 하는 자

이 말씀에서 화평은 단지 마음의 상태가 평안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즉 이 말씀의 핵심은 화평보다도 화평하게 하는 중재의 의미인 것이다. 그렇다면 누구를 화평하게 한다는 것인가?

아담이 죄를 지어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후 인류는 하나님과 원수가 되었다. 죄로 인해 타락한 인간은 죄의 담을 넘어서 거룩한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없을 뿐 아니라 거룩하신 하나님을 심히 욕되게 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죄에 빠진 인간은 하나님과 화평할 수 있는 능력도 자격도 없었다. 심지어 앞서 언급한 제사장과 레위인 그리고 율법도 하나님과 화평하게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결국 화평하게 할 수 있는 주도권은 오직 하나님만이 쥐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쌓인 담을 허무는 것은 오직 하나님의 주권이며 따라서 하나님이 친히 그 담을 허물어 주시는 것이 은혜인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가로막힌 죄의 담은 하나님도 일방적으로 허물 수 있는 담이 아니다. 공의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법적으로 죄의 담을 허물기 위해서는 희생양이 필요했는데 예수님께서 직접 희생양이 되신 것이다. 전능하신 하나님이요 영존하시는 아버지시며, 평강의 왕이신(사 9:6)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과 인간의 화평을 위해 친히 이 땅에 오셔서 십자가에 달리신 것이다.

모든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하나님과 화목(화평)하게 하시고 또한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분을 주신 것이다(고후5:18-21). 그렇다. 십자가로 하나님과 세상을 화평하게 한 자는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 예수 그리스도시며, 예수께서는 믿음으로 말미암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자녀라는 직분, 즉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컫는 은혜를 주신 것이다.



8. 의를 위하여 박해를 받는 자

이 말씀은 팔복 중에서 가장 큰 역설이요, 오직 기독교에만 있는 고유한 것이다. 팔복의 결론이기도 하다. 의를 위하여 받는 핍박은 의를 위하여 받는 것이요(마5:10),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받는 것이다(마5:11). 그는 의의 일에 관심을 두시기 때문에 의의 원수는 곧 그리스도의 원수인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팔복의 결론이 예비 된 고난이다. 예수님이 부활하셔서 하늘로 올라가신 후 제자들과 초대교회가 직면한 것은 세상의 복된 삶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전한다는 이유만으로 모욕과 조롱을 당했다. 심지어 바울처럼 사십에 하나가 감해진 매를 3번이나 맞기도 하였다(고후 11:2). 초대교회의 사도들은 예수님의 기적과 십자가의 고난, 부활의 영광을 눈으로 보고, 듣고, 만진 자들이었다. 그들이 체험한 것은 아무나 체험할 수 없는 특별함과 영광이었지만 그들은 복음을 위하여 순교에 이르기까지 고난을 감내해야 했다.

결국 예수를 따르는 제자의 길은 가장 복된 것이지만 그 길은 핍박과 고난의 길이 되는 것이기에 천국이 보장되는 길인 것이다.





Ⅳ. 결론



8복은 하나님이 주시는 8가지 복의 종류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8복의 주인공은 하나다. 즉 말씀 앞에서 죄를 깨닫고 회개하는 자며, 회개함으로 죄 용서함을 받은 자는 하나님의 긍휼을 깨닫고 또한 남을 긍휼히 여길 줄 아는 자다. 십자가를 대면하여 죄에서 돌이킨 자는 죄에 대하여는 죽은 자요 하나님 즉 의에 대하여는 산 자다. 죄에 대해 죽은 자는 곧 마음이 청결한 자다. 거룩하신 하나님의 자녀로 하나님을 닮은 자기 때문이다.

이 모든 것이 예수 그리스도를 만난 자가 경험하는 복이며 천국 시민의 품성인 것이다. 주님이 주시는 복은 이 땅에서 먹고 마시며 즐기기 위함이 아니요 오직 구원받은 자, 즉 복음에 빚진 자로서 주어진 사명을 감당해야 할 자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복음의 사명을 가진 자에게는 마귀가 대적함이 당연한 것이고, 따라서 그 삶 속에서 알게 모르게 크고 작은 고난과 핍박이 따르는 것이다.



“기뻐하고 즐거워하라(마5:12)”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요16:33)”



8복의 결론은 세상에서 얻은 복으로 기뻐하지 말고 구원받은 자로써 구별된 삶을 기뻐하라는 것이다.

#산상수훈
#팔복
#마카리오스
17 공감한 사람 보러가기
댓글 2공유하기

우리안좋은글·이미지

로뎀나무교회 김광열 목사(기독교한국침례회, 침례신학대학원 M.Div)의 개인 블로그입니다. 이곳을 찾으신 모든 분들을 주님의 이름으로 환영합니다.

이웃추가
===
gie sim chang한국컴패션
5 hfJ0anfalu7aryhs8r 7240121  · Seoul, South Korea  · 
산상수훈 중에서 8복은 가장핵심적인 예수님의교훈입니다…
첫째;심령이가난한자
자신이 죄인임을깨닫고 회개하는사람 ~이런사람은복음을 쉽게받아들이고 마음속에 심령천국을 소유하게됩니다.
둘째;애통하는자.
이는 자신의부족함과죄를통해하는사람 이런사람은 하나님의 위로를 받게됩니다
셋째;온유한자.
하나님을온전히믿고 순종하는사람.이런사람은 땅을기업으로받게됩니다.
넷째;의에주리고 목마른자
하나님나라와 그의 의를  갈구하는사람.
이런사람은 그리스도의 영원한 의로 만족함을 얻게됨니다.
다섯째;긍휼히여기는자.
이는 자원하는심령으로 우는자와 함께울고 마음을 낮은곳에두며 형제들에게 선한일을 베푸는 사람.
이런사람은 하나님의 궁휼과자비를 받게됩니다.
여섯째;마음이 정결한자.
이는 예수님의 보혈로 씻음받아 순수하고 정직한 마음을 가진 사람을 말함니다.이런사람은 마지막 날 영광중에 주님을 뵙게 됩니다.
일곱째; 화평케하는자.
이는 예수그리스도와 바르놘계를 맺고 이웃을 회복케하는 사람을 가리킵니다.이런사람은 하나님의 아들이라일컬음을
받게됩니다.
여덟째;의를위하여 핍박을 받는자.
이는 예수님과 복음을위해서
고난받는 사람.
이런사람은 천국을 소유하고
그리스도의 영광에 참여하게 됩니다.
8복의 근본은예수님의 십자가 대속에 근거합니다.
예수님의십자가에 뿌리를 든든히내리고 천국시민의도리를 다하여 참으로 복된 삶을 살게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
산상수훈 - 팔복
 김창환 (서울남노회,강서교회,목사)  2018-11-22 (목) 16:42  6931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http://cafe.daum.net/thekingjesus/I1Nl/486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행복한 예수님의 사람들 칼럼 (486호)     
                        팔복을 누리는 성도가 되자 (마 5:1-12) 

 “예수께서 무리를 보시고 산에 올라가 앉으시니 제자들이 나아온지라 입을 열어
 가르쳐 이르시되”(마 5:1-2).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8가지의 복을 가르쳐 주셨다. 
  이 복을 모두 누리는 성도가 되자.

 1. 심령이 가난한 자가 되자.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요”(마 5:3).
 심령이 가난하다는 것은 절대자 앞에서 자신은 아무 것도 아니며 지극히 작은 
 보잘 것 없는 자의 모습이다. 절대자를 의지하는 자이다.   
 * 칼빈-인간은 연약한 갈대. * 루터-우리 모두는 하나님 앞에 거지들이다.

2. 애통하는 자가 되자.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마 5:4). 
 렘 17:9 에 보면 "만물보다 거짓되고 부패한 것은 사람의 마음"이라고 하며, 
 이어서 "누가 능히 이것을 알리오"라고 하였다. 이것을 깨달았을 때 애통하는 마음
 이 되며 이러한 심정은 단지 죄의 고백에만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삶의 방향 전환
 을 하게 되는데 회개라는 말의 ‘메타노니아’는 철저한 방향 전환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그래서 바울은 ‘나는 죄인 중의 괴수라’고 고백했다.

3. 온유한 자가 되자.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마 5:5). 
 온유한 자는 부드럽고 겸손한 마음을 가진 자이다. 온유한 마음은 강제와 권위로
 하는 것이 아니라 참된 겸허와 인내와 자제로 하는 마음이다. 예수님께서 자신
 스스로에게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다’라고 하셨다.

4.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가 되자.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배부를 것임이요”(마 5:6).
 여기서 의란 본질적으로 하나님 자신을 지적한다. 의로우신 하나님의 속성을 말하
 는 것은 ‘의’가 하나님 자신에게서 출발하며, 주님 자체가 ‘의’이고 주님이 원하시는
 것이 ‘의’이다.  따라서 의에 주리고 목마르다는 것은 의 자체이신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갈망이다.

5. 긍휼히 여기는 자가 되자.
 “긍휼히 여기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긍휼히 여김을 받을 것임이요”(마 5:7).
  긍휼은 히브리어로 ‘헤세드’로서 이웃의 마음으로 들어가 그 고통을 당하는 이의
 시각에서 이웃의 고통을 보는 사랑이다. 히브리어 헤세드의 헬라어 번역은 ‘엘레오
 스’이다. 엘레오스는 당연한 결과로 비참한 상태에 처해 있는 이들을 오히려 불쌍히
 여겨 돕는 미덕이다. 하나님의 긍휼의 극치는 십자가 사건이다.

6. 마음이 청결한 자가 되자.
 “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마 5:8). 
  청결하다는 뜻은 헬라어인 ‘카타로스’는 원래 비혼합, 비합금의 의미로서 분열되지
 않고 순수한 마음, 윤리적 순결, 영혼의 순결 등으로 이해된다. 마음이 청결한 자에
 게 주는 축복은 하나님을 보는 것이다. 이것은 시각적 대면이 아니라 의를 위하여
 하나님의 거룩한 성품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7. 화평케 하는 자가 되자.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받을 것임이
  요”(마 5:9). 화평은 곧 평화로서 히브리어 ‘샬롬’을 번역한 말이다. 샬롬의 헬라어는
 ‘에이레네’이다. 샬롬의 상태는 물가에 심겨진 나무가 그 생명력을 발휘하는 것처럼
 인간의 삶이 아무런 제약을 받지 으며 잘 되어가는 상태를 말한다.

 8. 의를 위하여 박해를 받는 자가 되자.
 “의를 위하여 박해를 받은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라”(마 5:10).
  의는 하나님의 속성이고 하나님 자체를 의미하기 때문에 여기서 의를 위해 박해를
 받는다 함은 하나님 때문에 받는 박해이다.  마태복음은 다른 복음서에 비해 ‘의’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 ‘의’(디카이오쉬네)란 단어를 마가는 단 한 번도 기록하지 않고,
 누가는 1회, 요한은 단지 2회만 기록한다. 그런데 마태복음에는 17회나 언급이 되었고,
 자신의 죄 때문이 아니라 의 때문에 박해를 받는 자가 복이 있다고 했다. ‘예수님을 
 구주로 믿고, 믿음으로 살고, 믿음을 증거하다' 받는 박해를 뜻한다.
"너희 믿음의 확실함은 불로 연단하여도 없어질 금보다 더 귀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때에 칭찬과 영광과 존귀를 얻게 할 것이니라"(벧전 1:7).
“의를 위하여 박해를 받은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라”(마 5:10). 
 팔복의 마지막 복은 순교의 정신이다. 



  산상수훈의 팔복이란?  

 성경은 창세기부터 계시록까지 복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베푸시는 "복"을 성경에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그 중 하나는 '일반은총'에 속한 복이고, 다른 하나는 '특별은총'에 속한 복이다.
일반은총의 복이란 현세적이고 일반적이기 때문에 누구나 함께 누리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특별은총의 복은 신령한 복으로, 하나님의 백성이 현세에서 누리는 내세적인
복이다. 
 산상수훈은 구약의 십계명과 비교할 수 있다. 십계명은 하나님이 출애굽 후 시내산
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율법이다. 출애굽 하였으니 이제 너희들이 하나님 백성
답게 살라는 법이다. 즉 십계명은 '구원의 법'이 아니라 구원받은 자가 구원받은 자답 
게 사는 '성결의 법'이다. 
 반면에 산상수훈은 예수님이 팔복산에서 선포하신 하나님 나라의 새 율법이다. 
하나님 백성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 가를 말해 주는 '성결의 법'이다. 성결(Holy)한 
삶이란 노력해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직 '성결의 영'(Holy Spirit)의 지배를 
받을 때 성결하게 살 수 있다. 
 성령충만이란 성령의 지배를 받는다는 말이다(엡 5:18).
       

매주 14,000 여명의 회원님들에게 한번씩 보내는 칼럼입니다. 
                                                     서울 강서교회 김창환 목사(문지기) 드림
===

2021/12/05

庭野日敬 - Wikipedia

庭野日敬 - Wikipedia

庭野日敬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ナビゲーションに移動検索に移動
庭野 日敬
Statue of Niwano.JPG
庭野日敬銅像
肩書き立正佼成会開祖
個人情報
生誕
庭野 鹿蔵

1906年11月15日
死没1999年10月4日(92歳没)
宗教仏教
国籍日本の旗 日本
子供庭野日鑛
両親(父)庭野重吉
法名開祖日敬一乗大師
地位
過去の地位日本宗教連盟理事長
テンプレートを表示

庭野 日敬(にわの にっきょう、1906年(明治39年)11月15日 - 1999年(平成11年)10月4日、改名前は庭野鹿蔵)は、日本の宗教家で仏教系新宗教の在家教団立正佼成会の開祖(初代)会長。彼は立正佼成会を創立し、一代で一時期は信者公称約170万世帯700万人以上を擁する大教団に育てた。 また1979年(昭和54年)「宗教界のノーベル賞」といわれるテンプルトン賞の日本人初の受賞者でもある。

略歴[編集]

1906年(明治39年)11月15日、新潟県中魚沼郡十日町大字菅沼(現・新潟県十日町市菅沼)の農家に、庭野重吉の次男・庭野鹿蔵として生まれた。小学校を卒業後、16歳で上京。米穀店や薪炭店に勤め、漬物店や牛乳店を営む傍ら、自分の子供の病気をきっかけに信仰に目覚めた。易学修験道など様々な信仰遍歴を重ねた末、法華経信仰の道に入る。

1935年(昭和10年)に法華系新宗教教団の霊友会に入会し、当時教団幹部であった新井助信より法華経の講義を受け師事する。1938年(昭和13年)3月5日、かねてより師事する新井の強力な勧めもあり、庭野は長沼政(後の長沼妙佼副会長、脇祖)とともに霊友会を脱退し、国柱会出身の村山日襄ら他約30人の信者で法華経をよりどころとする大日本立正交成会を創立(初代会長…村山日襄・初代副会長…石原叔太郎)した。この会創立と共に庭野は日敬に改名し戸籍登録。創立当初の同会本部は庭野が当時経営していた東京・中野の牛乳販売店の2階に置かれた。会の草創期は早朝に牛乳配達を終えた後、自転車の荷台に長沼を乗せて深夜まで、2人3脚で寝る間も惜しんで布教に駆け回った。1943年(昭和18年)村山日襄会長、石原叔太郎副会長がそれぞれ退任。後継として実質の運営・指導者である庭野と長沼がそれぞれ「開祖会長」「副会長」に就任、名実ともに庭野会長・長沼副会長体制がスタートする。同会は、1948年(昭和23年)に立正交成会、1960年(昭和35年)に立正佼成会と改称。信者が車座になって互いに悩みを語り合う「法座」活動などで順調に教勢を伸ばした。

しかし、1950年代後半には、会の教勢が急速に伸びていく中、連日全国から馳せ参じる大勢の信者を受け入れる道場や宿泊施設が手狭なために本部施設・建設用地が慢性的不足に陥った。また教団の運営・管理部門を収容する施設や本部根本道場の建設が急務となる中、その教団施設建設用地の取得問題や、霊視・霊感による半ば強引な布教活動がマスコミから格好の批判の的となり、衆院法務委員会から参考人召喚を受ける。庭野はこの批判に対し反発・反論を行わず、信者代表や外部の学識経験者も交えた諮問委員会を設けて教団のあり方を見直し、事案に対しての調査内容を教団内外にそのまま発表した。

さらに当時教団内で、庭野より霊視・霊感に秀でた長沼のカリスマ性ゆえに、一部教団幹部より「長沼教祖・庭野会長待望論」や副会長の長沼を会長に擁して新教団独立を模索する動きが起こり、一部は庭野への式典出席拒否(例えば、出席を予定していた地方拠点の式典の日程を庭野に告げず1~2日前倒しで執り行って、そこに長沼を招聘するもの)などの排除行動にも顕れた。この動きは1957年(昭和32年)かねてより患っていた持病の悪化により長沼が死去した事で自然消滅し事態は収束した。しかし庭野は「待望論」を論じたり新教団の独立模索を主導した教団幹部の責任は一切追及せず、その後も従来と変わらず重用し続けた。

長沼の没後、庭野は法華経と教義を基盤として教団の近代化と機構改革を図るとともに、信者に対しては個人救済から社会全体の救済へと会の運動・信仰の理念を発展させ、社会奉仕を目的とする「明るい社会づくり運動」、節約した食費を途上国援助などに寄せる「一食を捧げる運動」を提唱。ユニセフ支援、アフリカ援助アフリカに毛布を送る運動などに尽力した。また当時より(後年発足する四月会とも連携して)自由民主党などの支持団体として、政界にも発言力を持つ。

他宗派との宗教協力にも取り組み、日本宗教連盟理事長などを歴任。1965年(昭和40年)仏教徒はもとより異教宗教者として初めて第2バチカン公会議に招聘された。その際、当時のローマ教皇パウロ6世から諸宗教の宥和を説かれたことをきっかけに、国際的な諸宗教の対話による平和の実現を決意。世界宗教者平和会議(WCRP…国際連合経済社会理事会の専門部会の一つ)アジア宗教者平和会議(ACRP)を創立し、1970年(昭和45年)京都で開催された第一回世界宗教者平和会議(WCRPⅠ)を皮切りに宗教者が宗教協力と対話からもたらす平和活動を推進した。また1980年(昭和55年)6月、前年9月にイランの首都テヘランで発生したイランアメリカ大使館人質事件の早期解決と人質の解放を求め、実効指導者とされたホメイニ師と会談を行い、国連軍縮特別総会でも1978年(昭和53年)・1982年(昭和57年)・1988年(昭和63年)の3回、非政府組織や立正佼成会の代表として核兵器廃絶などを訴えた。

国内では新日本宗教団体連合会(新宗連…日本宗教連盟の協賛団体)創立に参画し、1951年(昭和26年)10月結成。(初代理事長はパーフェクトリバティー教団第2代教祖御木徳近)また日宗連との縁で日蓮宗はもとより天台宗とも繋がりを持ち、1987年(昭和62年)親交の深い山田恵諦第253代天台座主提唱による比叡山宗教サミットに長男で現・会長の庭野日鑛とともに出席、国内外を問わず宗教者同士との対話と協力を通じての平和活動に邁進した。

1979年(昭和54年)、宗教協力による平和活動の功績で「宗教界のノーベル賞」といわれるテンプルトン賞テンプルトン財団)を日本人で初めて受賞し、受賞会場のイギリスウィンザー城にて基調講演を行った。またこの他にも、アルベルト・シュヴァイツァー博士の生誕100年を記念して創設されたユニクェスト・シュバイツァー賞ローマ教皇庁大聖グレゴリウス勲章キリスト教・ユダヤ教国際協議会インターフェイス・メダリオン(宗教対話促進賞)など、数多の賞勲を受けた。

1991年(平成3年)11月15日、立正佼成会大聖堂(本部道場)で法燈継承式が挙行され、長男の庭野日鑛に会長位を委譲して初代「開祖」となった。この後も、ローマ教皇ヨハネ・パウロ2世とともに、バチカンで開かれた第6回世界宗教者平和会議(WCRP VI)に出席するなど引き続き宗教対話・宗教協力への活動を続けた。

1998年(平成10年)の秋に風邪を悪化させ入院、翌1999年(平成11年)3月には教団の式典に出席したものの、同年4月から再入院。1999年(平成11年)10月4日午前10時34分、東京都中野区の病院で老衰のため逝去。享年92。

葬儀・告別式は、開祖葬として同年10月10日、東京都杉並区和田二丁目の立正佼成会大聖堂で挙行。国内外の新宗教団体、仏教神道キリスト教などの各宗派宗教者の代表および政財界関係者、信者ら延べ約6万人参列、その列は杉並の本部周辺の道路にまで及び数キロメートルに渡り続いた。

庭野日鑛会長は、庭野日敬開祖へ法号「開祖日敬一乗大師」を追贈。また、2000年(平成12年)10月1日には、庭野開祖を顕彰する「一乗宝塔」を立正佼成会本部内の法輪閣庭園に建立した。

著書[編集]

  • 『新釈法華三部経』(全10巻)
  • 『仏教のいのち法華経』
  • 『法華経の新しい解釈』
  • 『脚下照顧』(正・続)
  • 『瀉瓶無遺』
  • 『人生、心がけ』
  • 『開祖随感』
  • 『この道』

・『人間らしく生きる』

受賞歴・受章歴[編集]

参考文献[編集]

  • 開祖 庭野日敬 - 立正佼成会のサイト
  • 1999年(平成11年)10月4日付『朝日新聞』、「庭野日敬氏が死去 立正佼成会の開祖・国際対話に貢献」
  • 1999年(平成11年)10月21日付『朝日新聞』、「立正佼成会開祖・庭野日敬さん(惜別)」

関連項目[編集]

外部リンク[編集]

先代:
立正佼成会会長
初代
1938年3月5日 - 1991年11月15日
次代:
庭野日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