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14

천부경(天符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천부경(天符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천부경 (天符經)

대종교 문헌 
대종교(大倧敎)에서 신성시하는 기본 경전으로 우주창조의 이치를 81자로 풀이하고 있음.

내용
대종교의 기본 성전으로 천신(天神)인 한인(환인, 桓因)의 뜻에 따라 한웅(환웅, 桓雄)의 천부인(天符印)을 가지고 백두산 신단수(神檀樹) 아래 강림하여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大業)을 시작한 고사(古事)에서 연유하는 지고(至高)의 천서(天書)로 평가된다.

원래 대종교가 1909년초 중광(重光)될 당시는 밝혀지지 않았던 경전이다.

그 시절 묘향산에서 수도하던 계연수(桂延壽)가 10여 년 동안 정성을 들인 끝에 암벽에 새겨진 『천부경』을 찾아내어 1916년 9월 9일 이를 탁본(拓本)하여, 뜻을 살펴보려 해도 헤아릴 도리가 없어, 고심하던 끝에 서울에 한배검[檀君]을 신봉하는 단군교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1917년 초 대종교로 전하여옴으로써 밝혀졌다.

그 뒤 대종교에서 발간된 『종리문답(倧理問答)』이라는 책 등에서 한배검의 사관(史官)인 신지(神誌)가 『비사(祕詞)』와 『천부경』을 지어서 한배검의 교화를 전하였다는 내용으로 『천부경』을 말하고는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대종교경전으로 편입되지 않았다.

1975년 6월 대종교 교단 교무회의의 결정에 따라 경전으로 정식 공인되었고, 1983년 간행된 『대종교요감』에 처음 경전으로 실리기 시작하였다.

『대종교요감』에 의하면, “천부경은 한배검께서 홍익인간의 이념으로 천하만민을 교화하는 데 ‘조화의 원리’, 즉 우주창조의 이치를 81자로 풀이한 진경(眞經)으로, 1에서 10까지의 수리(數理)로 천(天)·지(地)·인(人) 삼극(三極)의 생(生)·장(長)·노(老)·병(病)·몰(歿)의 무한한 반복의 경위를 설파한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그 구성내용을 보면 一에서 三으로 오고 三에서 一로 가는 ‘一·三, 三·一’의 원리이다.

같은 원리를 담고 있는 『삼일신고』가 논설적 경전인 데 비하여 이 『천부경』은 상수학적(象數學的)인 경전이라는 특징이 있다.

원리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종교에서 추구하는 ‘삼신일체(三神一體)·삼진귀일(三眞歸一)’이라는 기본교리로 표현된다.

앞의 것이 신도(神道)의 차원에서 홍익인간의 이념을 구현하는 것이라면, 
뒤의 것은 인도(人道)의 차원에서 성통공완(性通功完: 참된 성품을 닦아 수행의 공덕을 이룩함)의 공덕을 쌓아 지상천궁(地上天宮: 光明世界)을 세우는 것으로 상통(相通)하고 있음을 본다.

이 상통성은 대종교 교리에서 매우 중요한 뜻을 갖는데, 『천부경』 내용도 이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야 한다. 전체 81자를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대종교의 여러 경전에 나오는 내용을 원용(援用)하여 설명하고, 그런 다음에 일괄 풀이를 하는 방식으로 한다.

① 일시무시일석삼극무진본(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 

우선 一, 무시(無始), 삼극(三極)의 뜻이 문제이다. 『신리대전(神理大全)』에서는 “대종지리(大倧之理)는 三一일 따름이다.

一이 있고 三이 없으면 그 용(用)이 없고, 三이 있고 一이 없으면 그 체(體)가 없으니, 고로 一은 三의 체가 되고 三은 一의 용이 된다.”, “천지의 이치는 一을 상(常)으로 하고, 三을 변(變)으로 한다.”라 하였다.

그리고 『회삼경(會三經)』에서는 “크도다, 신도(神道)여, 즉일즉삼(卽一卽三)이 되어서 체(體)로써 끝없이 위에 이르고, 용(用)으로써 끝없음을 다하도다.”, “이 세가지 도(道)는 사람이 또한 가졌으되, 다만 사람에게는 시작이 있고 신(神)에게는 시작이 없을 뿐이니라(無始而己).”, “귀일(歸一)은 삼진귀일이니 곧 반진일신(返眞一神)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一’은 수리적으로는 三에 대한 체요 천지지리(天地之理)의 근본[常]이며, 또한 삼신일체의 일신(一神)이며 신도(神道)의 뜻이 있음을 알게 된다. 또한 ‘무시’가 신의 절대성과 관련하여 쓰였음을 알게 된다.

이어서 『회삼경』에서 “성(性)은 ○로 보고 명(命)은 □로 보고 정(精)은 △로 보니 이것을 삼묘(三妙)라 한다.”, “철인(嚞人)이 이것을 써서 삼극의 상(象)을 삼으니 ○는 하늘이요 □는 땅이요 △은 사람이다.”라고 하였으니, ‘삼극’은 천·지·인을 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풀이하면 삼신일체로서의 일신(一神)인 한배검의 신도는 우주만물의 근본이요, 또한 비롯됨이 없는 절대적인 것이다. 그 근본이 되는 一이 작용하여 천·지·인의 삼극을 이루는 것이지만, 이 작용은 그 근본(體)됨을 다한 것이 아니다.

② 천일일지일이인일삼일적십거무궤화삼(天一一地一二人一三一積十鉅無匱化三): 

一·二·三·十의 뜻이 문제이다. 그리고 같은 숫자의 뜻이 쓰임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천一一과 지一二, 그리고 인一三의 一의 수는 생(生)·화(化, 長)·성(成)의 3단계에서 첫번째 단계이며(體로서 生의 조짐만을 머금었을 뿐), 아직 형상을 이루기 전인 첫 단계를 뜻한다.

그리고 이어서 나오는 一·二·三의 수는 『회삼경』에 “…수로써 하면 ○는 一로 비롯하고, □는 二로 비롯하며, △은 三으로 비롯한다.”라고 하였으니, 여기서 천·지·인의 창조과정을 말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는 『신리대전』에 “一에서 十과 十에서 백(百)과 백에서 만(萬)은 모두가 하나로 말미암아 쌓이지 않음이 없으니 고로 一이 체가 되고, 三으로 九, 九로 二十七, 二十七로 八十一은 모두가 三으로 말미암아 변하지 않음이 없으니, 고로 三이 용이 된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十은 수리적으로 모든 수의 끝 수로 무한성을 나타내며, 三은 모든 변화의 기본 수임을 알게 된다.

이를 풀이하면, 창조과정에서 하늘의 근본인 一은 첫번째가 되고, 땅의 근본인 一은 두번째가 되고, 사람의 근본인 一은 세번째가 되었다. 이 만유(萬有)의 근본인 一을 쌓아 나가면 十까지 끝 수에 이르도록 커져서 우주만상이 이루어지는 데 아무 부족함이 없이 三이라는 용수(用數)로 이룩하게 된다.

③ 천이삼지이삼인이삼대삼합육생칠팔구(天二三地二三人二三大三合六生七八九): 

천·지·인 다음에 모두 二三으로 표현된 것은, 바로 앞에서 一의 단계를 거친다고 한 것에 이어서, 여기서는 화(化)를 뜻하는 二와 성(成)을 뜻하는 三의 단계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는 『신사기』에 “홀로 양(陽)만으로는 생(生)하지 못하며, 홀로 음(陰)만으로는 화(化)하지 못한다. 치우치게 맞서면 성(成)이 어그러지며, 음양이 서로 감(感)하고 화(和)하여야 기름[育]을 도울 수 있다.”라고 하여, 음과 양이 어울려서 형상을 갖추게 되는 단계가 두번째인 화(化)이며, 완성하게 되는 단계가 세번째인 성(成)임을 보여주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다음은 『회삼경』에 “육대(六大)가 있은 뒤에야 신도가 드러나고, 진(眞)과 망(妄)이 있은 뒤에야 인도가 나타나니, 상천(上天)과 하천(下天)이 이치가 통한다.”, “이 길(神道)이 한 번 변하매 육대가 성상(成象)하니, 가로대 공(空)·열(熱)·진(震)·습(濕)·한(寒)·고(固)이다.

공은 천(天)이 되고 열은 화(火)가 되고 진은 전(電)이 되고 습은 수(水)가 되고 한은 풍(風)이 되고 고는 지(地)가 된다.”라고 하였으니, 천지간에 육대현상(六大現象)이 신도에서 비롯되는데, 이 신도는 또한 신의 대덕(大德)·대혜(大慧)·대력(大力)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삼합육(大三合六)’을 추론(推論)할 논거가 마련되지만, 특히 ‘六’은 『회삼경』에서 “…후천지수(後天之數)는 처음이 二요 가운데가 六이요 十에서 끝난다….”라고 하였으니, ‘六’은 수리적으로 우주생성과 운행과정의 중간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어서 七·八·九는 二에서 十까지로 나타내는 과정에서 六에 이어지는 과정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이리하여 천·지·인 삼극은 각각 음양을 갖추어 형상을 이룩하는 二인 화(化)의 자리를 거쳐 일단 완성을 뜻하는 三인 성(成)의 자리에 나아가게 된다.

여기서 한배검의 대덕·대혜·대력 하심은 천지간에 육대현상을 성상(成象)하여 신도를 드러내는 단계에 이르는데, 이 단계는 우주생성과 운행과정의 중간으로 ‘七·八·九’의 다음 단계가 이어진다.

④ 운삼사성환오칠일묘연만왕만내용변부동본(運三四成環五七一妙衍萬往萬來用變不動本):

 三·四·五·七의 뜻이 문제이다. 다만, 이제까지는 우주만물의 모든 생성과정인 十까지를 일괄하여 설명한 데 비하여, 여기서는 이렇듯 생성된 것들이 어떻게 운행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신사기』에 “공경하게 치화주(治化主:단군)를 상고하니 가로대 한검(桓儉)이시니 오사(五事)를 맡으사 홍익인간 하시며, 처음 나라를 세우사 제통(帝統)을 만만대로 드리우시다. 삼선(三僊: 三仙)과 사령(四靈)에게 명하시어 공경하게 직분(職分)을 주시고, 인간 366사를 맡아 다스리게 하시다.”라고 하였는데‘運三四’의 三四는 삼선사령을 가리킨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성환오칠(成環五七)’, 즉 五와 七이 가락지 같은 원(圓)을 이룬다는 것은, 나머지 十까지 수를 아울러 검토할 때 어떤 원형(圓形), 다시 말하여 주역(周易)의 하도(河圖)나 낙서(洛書)를 연상하게 한다.

그러나 이것들과는 다르게 『회삼경』에는 신도에 따른 우주천지의 운행을 설명하는 선천지도(先天之圖)와 후천지도(後天之圖) 두 가지가 있다.

그리고 한배검이 홍익인간의 뜻을 가지고 새로이 창세(創世)한만큼 ‘후천지도’가 쓰이겠는데, 바로 이 후천지도의 한가운데 있는 중궁(中宮)의 수가 六이다. 이 六을 가운데에 두고 五와 七, 四와 八, 三과 九, 二와 十 등 넷이 배열되어 있다. 다시 말하여 ‘성환오칠(成環五七)’은 이 후천지도에 따른 운행을 가리키고 있다.

또 다음에 ‘일묘연(一妙衍)’의 一은 바로 ‘일신(一신)’을 뜻하고, 수리적으로 말하면 앞에서도 설명한 바 있듯이, 모든 수의 체가 되는 근본 수 一인 것이다.

이를 풀이하면, 우주천지는 신도에 따라 삼선사령이 모든 일을 맡아 주관하며, 정해진 이치(후천지도에 나타난)에 따라 운행된다. 一이라는 근본 수는 오묘(奧妙)하게 불어서 우주천지간에서 무한한 작용을 일으키지만, 그 용만이 변할 뿐이고 근본은 변동이 없다.

⑤ 본심본태양앙명인중천지일일종무종일(本心本太陽昻明人中天地一一終無終一): 

여기서는 신도 차원의 설명을 인도(人道) 차원에서 다시 정리하면서 끝마무리를 짓고 있다.

즉, ‘본심(本心)’의 심이 그것을 나타내고 있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회삼경』에 보면 신도는 육대가 있음으로 하여 드러나고, 인도는 삼진(三眞)인 성(性)·명(命)·정(精)과 삼망(三妄)인 심(心)·기(氣)·신(身)이 있음으로 하여 나타나며, 상천(上天)의 신도와 하천(下天)의 인도는 그 이치가 서로 통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다시 상천은 성천(性天)이니 곧 신도요 하천은 심천(心天)이니 곧 인도라 하여 신도와 인도의 관계 뿐만 아니라, 인도가 서기 위해서는 심(心)이 중심이 된다는 내용을 말해주고 있다.

그리고 ‘심’에 대하여 살펴보면, 사람은 본래적으로 성·명·정 삼진을 품수(稟受)하여 무선악(無善惡)하고 무청탁(無淸濁)하고 무후박(無厚薄)하지만, 배태초(胚胎初)에 삼망이 뿌리박아서 심·기·신을 지니게 된다.

심은 성에 의지하여 선악이 있게 되고, 기는 명에 의지하여 청탁이 있게 되며, 신은 정에 의지하여 후박이 있게 되는데, 이 때문에 사람은 가달길[妄途]로 빠질 수도 있는 위태로운 처지가 된다.

여기서 뜻을 하나로 모아 바른길로 나가서(一意化行) 삼망에서 벗어나 삼진으로 돌아가는 ‘반망귀진(返妄歸眞)’의 길로 나가야 한다. 이것이 바로 ‘성통공완’하여 ‘삼진귀일’하는 인도인 것이며, ‘본태양앙명(本太陽昻明)’의 뜻도 이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한다.

다음의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은 맨 처음의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과 대조적인 의미로 쓰였음이 분명하다. 一이 체로서 근본으로 우주만물을 ‘비롯됨’이 있게 하였다면, 또한 ‘되돌아옴’이 있게 하여야 할 것이고, 그러면서도 ‘비롯됨이 없고’ ‘마침도 있을 수 없다’는 영원한 신도의 절대성이 자명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 근본은 또한 곧 심이요, 태양과 같이 밝게 비치면 반망귀진하고 성통공완하여 삼진귀일하는 인도가 설 것이니, 이와 같이 하면 사람은 천지 가운데 서서 신도와 함께 할 것이다. 이렇듯 모든 이치가 근본인 신도로 돌아가지만 이 근본은 마침이 없는 절대적인 것이다.

접기/펼치기
참고문헌

『대종교요감』(대종교총본사, 1983)
『역해종경사부합편』(대종교총본사, 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