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3

Sejin Pak -[이종만] 이남곡-이병철의 <대동당>이야기 --- 세진: - 외조부... | Facebook

(2) Sejin Pak - [한국사회][문화운동][이종만] 이남곡-이병철의 <대동당>이야기 --- 세진: - 외조부... | Facebook
[한국사회][문화운동][이종만] 이남곡-이병철의 <대동당>이야기
---
세진:
- 외조부 이종만과 그가 꿈꾸던 <대동사회>의 이야기가 이남곡-이병철 대화에서 다시 나와서 이곳에 본문과 댓글들을 복사해 둔다.
----
Namgok Lee 글
November 24 at 6:24am ·
---
[어제 페북에 올린 나의 글에 대한 친애하는 벗 이병철 선생과의 댓글 대화다.
우리는 만천하에 공개하고 생각을 나눈다.
물론 은밀하게 하는 일도 있다. ㅎㅎㅎ
---
이병철; 새로운 정권이란 표현에 걸림이 있습니다. 지금은 정권의 교체 차원을 넘어가야 하겠지요. 그런 점에서 새로운 정부의 수립이 아닌 국가의 틀과 내용을 전면적으로 바꾼 새로운 나라 만들기에 관점을 집중해야할 것 같습니다. 지금 이대로의 정치판과 그 역량으론 새로운 문명도, 중심교역국가 건설이라는 실천적 버젼도 마련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새로운 나라 틀을 마련하는 중심 동력을 새로운 좌우와 녹색진영의 합작에서 마련해야한다는 견해에 공감합니다. 그런데 이를 현실화 하기 위해선 현 대통령의 하야 또는 탄핵과 함께 기존 붕당적 정치판을 무너뜨리는 외적 압력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기존 정치체제와 그 세력들에 대한 탄핵입니다. 국민의 힘을 그리로 모아야하리라 싶습니다.
---
이남곡; 동감입니다. 다만 '기존 붕당적 정치판을 무너뜨리는 외적압력'이 어떻게 현실 정치를 변혁할 수 있는지, 그 통로는 무엇인지, 박정권의 황당함에는 반대가 일치하지만, 그 동안 존재해 온 '국민' 안의 상호 극단적으로 불신하고 미워하는 콘크리트를 어떻게 해체하고 약화시켜야할지, 지혜를 모아야 할 것 같습니다.혁명적 상황인데, 혁명으로 풀 수 없다는 것이 우리가 만나고 있는 현실인 것 같습니다.결국 여러 인연들이 그물코처럼 엮어지며, 하나의 '시대정신'이라는 장강을 이루어갈 것으로 예견합니다.우리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 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남곡; 언젠가 서울 행 버스 안에서 썼던 글입니다.
“1%대99%, 또는 20%대80%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양극화를 넘어 이중화가 위험한 사회다.1%면, 50만 정도다.질이 다른 1%를 기대한다.이성적이어서 사랑으로 투쟁하고, 생활과 주장이 일치하며, 여러 콘크리트로부터 자유로운 사람들이 당원이 되는 정당.이 1%면, 세상을 바꾸기에 족하다.여기에는 당당한 빈자도 풀어놓기 좋아하는 부자도 동지이다.”
아마도 이런 정당을 만들 수 있다면 그것을 만드는데, 또 하나는 지난 번 말씀드렸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운영할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을 만드는데, 내 분수(分數)에 맞게 인문운동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것이 제 여생의 계획입니다.
---
이병철; 저도 오늘 서울 길 오가며 댓글을 답니다. 지금 집에 가는 버스 탔습니다. 도착하면 자정을 넘어 내일 첫새벽이 되겠지요. 여명의 어둠을 생각합니다. 지금은 우선 저마다의 등불을 밝힐 때. 그 등불로 내 안과 내 바깥의 어둠을 밝혔으면 합니다. 내 안에도 어느새 드리워지고 있는 그 어둠을. 다시금 지혜와 자비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도합니다. 새로운 나라는 새로운 기운이 모아져야 되겠지요.
---
이남곡; 문득 새벽에 잠이 깨, 앞에 이야기한 당의 이름이 떠올랐습니다.'대동당' 大同黨
동양에서 오랫동안 이상사회로 그려온 '대동사회'의 '대동'입니다.괜찮은 것 같은데요. ㅎㅎ이름은 정체성을 표현합니다.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와도 잘 어울리는 것 같고, 발음도 괜찮은 것 같은데...뭐 슬슬 시작해도 되지 않을까요? ㅎㅎ
---
이남곡; 열명 정도 시작해서 50만 당원이 될 때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요?시대정신을 담지한다면, 인터넷의 발달로 의외로 빨리 될지도...
독거노인의 낭만적인 새벽 꿈. ㅎㅎㅎ]
======
<Comments>
이병철
이병철 '대동당' 좋군요. 저는 오랫동안 한심당의 당수 노릇을 한 적이 있습니다. 천하의 모든 한심한 이들이 자동적으로 당연직 당원이 되는 정당으로 당의 모토는 '백수가 세상을 구하리라.'는 사뭇 비장한 것이기도 한 데 문제는 당원이란 소속감을 가진 당원이 전무하다는 데에 당의 근본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 이참에 형님 말씀처럼 새로운 당을 만들까 생각 중인데 '대동사회당' '대동평화당' '대동생명당' '대동상생당' 등 가운데 하나로 하면 어떨까 싶군요. 약칭으로는 '대동당'입니다.
문득 해방 후 금광 개발로 조선 제일 갑부로 회자되던 이종만선생의 대동사상이 떠오릅니다. 거금의 사재를 출연하여 대동사회의 이상을 실현하려 했던 그 분의 사상과 실천적 삶에 대해 더 깊이 공부해봐야 겠다 싶습니다.
Like · Reply · 1 · November 26 at 3:06am · Edited
---
Chul Hyoung Lee
Chul Hyoung Lee 저는 대동상생당에 조심스럽게 한표입니다.^^
Like · Reply · 1 · November 24 at 3:18pm
---
이병철
이병철 이철형 저도 내심으로는 대동상생당이 마음에 듭니다. 그런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Like · Reply · 1 · November 24 at 4:39pm
---
장건
장건 공감합니다. 그런데 여기에도 열려있는지요?
두 분이 생명평화새물결 멤버이시기에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으나) 한가지 궁금합니다. 지난 9월 광주 모임에 초청을 받아 참석하였습니다. 그리고 11월 모임에도 초청을 받아 참석하려고 했는데 갑자기 초기 멤버로 제한 한다고해서 서울 모임에 가지 못하였습니다. 그 후 모임에 대한 어떤 내용도 전달받지 못했습니다. ???
Like · Reply · 1 · November 24 at 2:03pm
---
Namgok Lee
Namgok Lee 장건 선생님, 제가 말씀드릴 입장은 아닙니다만, 일단 문자로 말씀드리겠습니다.
Like · Reply · November 24 at 2:47pm
---
이무열
이무열 대동당 좋습니다. 오랜만에 당원이 되고 싶네요 ^^
Like · Reply · November 24 at 3:35pm
---
Namgok Lee
Namgok Lee 가볍게 드린 이야기입니다만, 사실 늘 마음 속에 그려지는 것이 있습니다.
‘국민운동본부’와 같은 경험을 통해서 아마 많은 분들이 느끼시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지금 우리 상태는 ‘국민’이라는 이름으로 하나로 추상화될 수 없는 장벽들이 많습니다.
지금의 정치권이나 정치문화가 근본적으로 바뀌기가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여러 ‘게임의 룰’들이 기존 기득권 정당에 유리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적대적인 것 같으면서도 견고한 기득권동맹들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마 새로운 물꼬를 트는 것은 ‘새로운 정당’일 것 같습니다.
지금의 원내 정당들은 대부분 기본적으로 보수 정당입니다.
그 정당들이 지역주의적 붕당을 탈피해서 바람직한 보수정당으로 대개편되면 좋을 것 같은데, 만만치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진보적이고 녹색(새문명)지향의 21세기 형 정당이 만들어지는 것이 정치 지형을 바꾸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은 중국 문화(유교, 공자)와 인도 문화(석가의 불교)가 오랫 동안 만나온 곳입니다.
중국과 인도 보다도 한국에서 이 거대한 두 문화의 현대적 르네상스가 일어나고, 이것이 진보한 시민의식에 바탕을 둔 새로운 정당과 삼투하는 꿈을 꾸어봅니다.
연부역강한 분들과 젊은 청년들이 주도하면 좋겠습니다.
저도 인문운동가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보고 싶습니다.
시대적으로는 절실하고, 가능성도 대단히 열려 있습니다.
국민의 1%,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50만 진성 당원을 가진 정당이라면, 세상을 충분히 바꿀 수 있을 것입니다.
가볍게 시작할 수 있는 것은 젊음의 특성 같습니다.
Like · Reply · November 24 at 5:12pm
---
Sanae Chung
Sanae Chung 무리 지으면 당이되는데 지금 추진되고 있는 국민운동본부가 당이 되지 않겠읍니까?
Like · Reply · November 24 at 6:17pm
---
박찬은
박찬은 지금 읽고 있는 가라타니 고진의 신작 <제국의 구조>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선생님의 대동당의 원조는 강유위?ㅎㅎ. 추구하는 바가 비슷하면 언어도 닮는가 봅니다.
ㅡㅡ
...하지만 내가 주목하고 싶은 것은 청조 타도를 생각한 쑨원보다도 오히려 청조를 긍정하면서 그것을 변혁할 것을 생각한 사상가들 쪽입니다. 그것은 앞서 말한 ‘변법자강운동’에 참여한 캉유웨이, 엔푸, 량치차오, 장빙린 등입니다. 그들은 단순히 ‘서양화'를 기도한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강유웨이는 청조를 입헌군주제로 만들 것을 제창했습니다만, 단순히 서양의 사상이나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중국의 전통을 바꿈으로써 이루려고 했습니다. 말하자면 공자를 선구적인 진보주의자로서 해석함으로써 말입니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한제국의 기초를 부여한 동중서의 유학을 재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또 강유웨이는 일단 입헌군주제를 제창했습니다만, 그보다 훨씬 더 앞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즉 국가와 민족이 소멸하는 ‘대동세계*’를 말입니다.
캉유웨이나 그것을 이은 청조 말기 사상가의 작업은 당시 존재했던 제국을 부정했지만, 그 가능성을 고차원적으로 회복하려고 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강유웨이의 ‘대동세계'라는 비전도 그와 같은 것입니다. 그것은 말하자면 제국을 '지양'하는 것입니다. 물론 강유웨이 등의 사상이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만약 이와 같은 이념이 없었다면 청조를 넘어뜨린 혁명운동은 민족자결, 그리고 다민족의 분열로 귀결되었을 것입니다.
*대동세계: 캉유웨이(康有爲)는 국경이 폐지되고 중국과 동이의 구별이 사라지고 인류동포의 세계가 실현되는 세계를 대동세계(大同世界)라 고 불렀다. ‘대동'은 유교의 개념이다. 그것은 "대도가 행해질 때는 천하를 공(公)으로 삼으며 만인평등이 이루어져서 싸움이 없다"(『예기(禮記)』 예운(禮運)편)이다. 그 반대가 ‘소강(小康)’= ‘대도가 사라지 고 천하를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 싸우고 예의를 세우고 군권(君權)이 행해지는 세상'이다. 물론 현재는 '소강'이다.
<제국의 구조>206쪽
Like · Reply · 2 · November 25 at 5:08pm · Edited
---
Namgok Lee
Namgok Lee 지금 대구 도착.
'대동당' 만들어지면, 박찬은 선생이 이론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기를...ㅎㅎ
Like · Reply · 1 · November 25 at 7:24pm
---
Vana Kim Hansen
Vana Kim Hansen 대동당이 만들어지면 저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겠습니다. 일제시대에 대동사상을 실현하고자 모든 것을 다 바치신 제 외조부님 이종만 선생의 꿈이 이 시대에 꼭 이루어지가를 바랍니다.유튜브에 2007년에 어머니와 평양 방문 후 만든 다큐멘타리 SACRED MISSION KOREA에 그 스토리가 담겨 있으니 보세요.
Like · Reply · 2 · November 26 at 12:55am
---
songsoonhyun
songsoonhyun 이병철
형님! 대동사상가이고 대동정신 실천가인 이종만 선생님 함자를 잘못 적으셨네요^^
Like · Reply · 1 · November 26 at 1:23am
---
이병철
이병철 그렇군요. 기억이 갈수록 꼬이네요. 조금 전에 고쳤어요.
Like · Reply · 1 · November 26 at 3:07am
---
songsoonhyun
songsoonhyun 이병철 선생님이 언급하신 이종만 선생님께서 1948년에 작성하신 대동교학회 취지서 일부 내용 참고자료로 옮깁니다.
ㅡㅡ
<대동교학회 취지서>(후반부) - https://www.evernote.com/.../3c754e6ed23cbd116540032197bb...
Like · Reply · 1 · November 26 at 1:28am · Edited
Namgok Lee
Namgok Lee Vana Kim Hansen님, 반갑습니다.
몇 년 전에 어머님의 책을 읽고, 뵈러 갔었습니다.
많이 편찮으셔서 말씀은 못 나누고, 뵙기만 하고 돌아왔습니다.
오늘 페북에 무심코 가볍게 올린 글이었는데, 그 뿌리가 깊어 우연이 아닌 듯 합니다.
송순현 선생이 올린 자료를 보았습니다.
유쾌하고 밝게 좋은 에너지들이 모아지기를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Like · Reply · 2 · November 26 at 1:54am
---
Namgok Lee
Namgok Lee 마침 2012년에 썼던 글이 있네요.
임진년 우리 이렇게 살아요. 설 잘 지내시구요.
.
2012년 1월 22일 오후 4:21
어제까지 빗방울이 떨어지는 겨울 답지 않은 날씨더니, 오늘 그러니까 섣달 그믐이지요. 날씨가 화창하네요.
우리들 삶의 애환을 그 자체로 바라보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살고 싶군요.
새해에는 좋은 일만 가득하라는 인사는 물론 진심에서 울어나는 말이지만, 세상일이 어디 그렇게만 되는가요?
그래서 어떤 일이 있더라도 마음 편하게 받아들이고 그 상태를 즐기시는 한 해가 되시기를 기원하는 마음입니다.
요며칠 '북으로 간 아름다운 부자 이종만의 딸 이남순 영혼의 회고록' <나는 이렇게 평화가 되었다>라는 책을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많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이 종만 선생(1885-1977)은 자본가로서는 유일하게 북한의 이른바 애국열사능에 묻힌 특이한 인생을 산 분이더군요.
일제강점기에 28전 29기 끝에 광산을 해서 당시로는 엄청난 부를 얻었으면서도 대동정신이라는 이상주의를 위해 아낌 없이 그 돈을 사용한 아름다운 부자를 우리 역사가 가지고 있군요.
그리고 그 딸과 손자들에 의해 그 정신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 깊은 감동으로 다가옵니다.
해방 후 이러 저런 사정 때문에 북을 선택했고 그래서 그가 북에서 어떤 역할을 했을지, 정말로 자기가 하고 싶던 일을 할 수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남한에 있었더라도 대단히 중요한 일을 했으리라고 짐작이 갑니다.
이런 아름다운 부자들이 많이 나오는 것이 이 시대의 요청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자본가라는 계급을 뛰어넘어 대동정신으로 세계평화, 도덕국가, 행복을 위한 산업, 기쁨의 근로, 신성한 싦을 실현하려한 한 순수한 영혼을 만나는 기쁨으로 새 해를 맞이합니다.
그가 일관되게 주장하고 그 따님에 의해 계속되는 '영세중립 평화통일'이 어떻게 보면 꿈 같은 이야기일지 몰라도 여러가지 엄혹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세계평화의 초석이 될 이런 통일 방안이 현실성을 획득하게 되기를 진심으로 기도하게 되는 마음입니다.
Like · Reply · November 27 at 4:30pm
---
songsoonhyun
songsoonhyun <나는 이렇게 평화가 되었다>
대담•정리와 이 책을 펴낸 정신세계원 발행인 역할을 제가 맡았었는데, 선생님께도 뜻깊은 책이라고 하시니 반가운 마음입니다.
이종만 선생님 평전을 외손녀인
김반아 박사님이 준비중이신데
옆에서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보셨느지 모르겠습니다만 이종만 선생님에 대해 한겨레신문 곽병찬 대기자가 쓴 글 옮깁니다.
[곽병찬의 향원익청] ‘대동’ 향한 금광왕 이종만의 무한도전
곽병찬의 향원익청
Like · Reply · 1 · November 27 at 5:03pm
---
어제 페북에 올린 나의 글에 대한 친애하는 벗 이병철 선생과의 댓글 대화다.
우리는 만천하에 공개하고 생각을 나눈다.
물론 은밀하게 하는 일도 있다. ㅎㅎㅎ
이병철; 새로운 정권이란 표현에 걸림이 있습니다. 지금은 정권의 교체 차원을 넘어가야 하겠지요. 그런 점에서 새로운 정부의 수립이 아닌 국가의 틀과 내용을 전면적으로 바꾼 새로운 나라 만들기에 관점을 집중해야할 것 같습니다. 지금 이대로의 정치판과 그 역량으론 새로운 문명도, 중심교역국가 건설이라는 실천적 버젼도 마련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새로운 나라 틀을 마련하는 중심 동력을 새로운 좌우와 녹색진영의 합작에서 마련해야한다는 견해에 공감합니다. 그런데 이를 현실화 하기 위해선 현 대통령의 하야 또는 탄핵과 함께 기존 붕당적 정치판을 무너뜨리는 외적 압력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기존 정치체제와 그 세력들에 대한 탄핵입니다. 국민의 힘을 그리로 모아야하리라 싶습니다.
이남곡; 동감입니다. 다만 '기존 붕당적 정치판을 무너뜨리는 외적압력'이 어떻게 현실 정치를 변혁할 수 있는지, 그 통로는 무엇인지, 박정권의 황당함에는 반대가 일치하지만, 그 동안 존재해 온 '국민' 안의 상호 극단적으로 불신하고 미워하는 콘크리트를 어떻게 해체하고 약화시켜야할지, 지혜를 모아야 할 것 같습니다.혁명적 상황인데, 혁명으로 풀 수 없다는 것이 우리가 만나고 있는 현실인 것 같습니다.결국 여러 인연들이 그물코처럼 엮어지며, 하나의 '시대정신'이라는 장강을 이루어갈 것으로 예견합니다.우리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 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남곡; 언젠가 서울 행 버스 안에서 썼던 글입니다.
“1%대99%, 또는 20%대80%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양극화를 넘어 이중화가 위험한 사회다.1%면, 50만 정도다.질이 다른 1%를 기대한다.이성적이어서 사랑으로 투쟁하고, 생활과 주장이 일치하며, 여러 콘크리트로부터 자유로운 사람들이 당원이 되는 정당.이 1%면, 세상을 바꾸기에 족하다.여기에는 당당한 빈자도 풀어놓기 좋아하는 부자도 동지이다.”
아마도 이런 정당을 만들 수 있다면 그것을 만드는데, 또 하나는 지난 번 말씀드렸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운영할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을 만드는데, 내 분수(分數)에 맞게 인문운동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것이 제 여생의 계획입니다.
이병철; 저도 오늘 서울 길 오가며 댓글을 답니다. 지금 집에 가는 버스 탔습니다. 도착하면 자정을 넘어 내일 첫새벽이 되겠지요. 여명의 어둠을 생각합니다. 지금은 우선 저마다의 등불을 밝힐 때. 그 등불로 내 안과 내 바깥의 어둠을 밝혔으면 합니다. 내 안에도 어느새 드리워지고 있는 그 어둠을. 다시금 지혜와 자비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도합니다. 새로운 나라는 새로운 기운이 모아져야 되겠지요.
이남곡; 문득 새벽에 잠이 깨, 앞에 이야기한 당의 이름이 떠올랐습니다.'대동당' 大同黨
동양에서 오랫동안 이상사회로 그려온 '대동사회'의 '대동'입니다.괜찮은 것 같은데요. ㅎㅎ이름은 정체성을 표현합니다.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와도 잘 어울리는 것 같고, 발음도 괜찮은 것 같은데...뭐 슬슬 시작해도 되지 않을까요? ㅎㅎ
이남곡; 열명 정도 시작해서 50만 당원이 될 때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요?시대정신을 담지한다면, 인터넷의 발달로 의외로 빨리 될지도...
독거노인의 낭만적인 새벽 꿈. ㅎㅎㅎ

이병철 - - 몽골 생태영성순례를 떠나며

이병철 - - 몽골 생태영성순례를 떠나며/ 6월 24일부터 7월 3일까지, 10일간의 일정으로 몽골 생태순례를... | Facebook


이병철

eSdporostnm5a778if2lul0ch9iml2ua6h1ff265ih7h3utifh930661681a ·

- 몽골 생태영성순례를 떠나며/

6월 24일부터 7월 3일까지, 10일간의 일정으로 몽골 생태순례를 떠난다. 일행이 24명이라 평소보다 순례단의 규모가 배로 커졌다. 규모거 커지면 장거리 여행에서 진행이 더뎌지고 어려움이 늘어나는데도 이렇게 된 까닭은 함께 가겠다는 이들이 대부분 아는 분들이라 차마 안된다고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단장이라고는 하지만 다른 분들에게 더 신세를 져야할 것 같다.
 
이번 여정을 ‘여행’이라고 하지 않고 ‘생태영성순례’라는 거창한(?) 이름을 붙인 데에는 그 나름의 까닭이 있다.
나는 2000년 초, 시민사회활동가 중심으로 ‘지구행성 생태영성순례단’이라는 이름을 내걸고 히말라야, 바이칼, 티베트 등을 다녀온 바 있다. 그때 내가 그런 이름으로 나섰던 것은, 어느 순간 문득 이번 생의 의미를 ‘지구행성에 여행을 온 것’이라고 한다면, 그 여행에서 우선해야 하는 것은 지구행성의 성스러운 곳을 방문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깊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런 생각 끝에 가장 먼저 떠올린 곳이 이 행성의 성산(聖山)이라고 하는 히말라야, 그 만년설이 빛나는 설산이었다. 그래서 성산을 찾아가는 이 순례를 ‘지구생태영성순례’라는 이름으로 시작하게 된 것이었다.
내가 이 순례에 ‘생태영성’이라는 말을 덧붙이게 된 것도, 
1986년 한살림운동을 전후하여 이른바 생명운동으로 방향을 바꾸면서였다. 
그즈음 ‘생태’는 문명화에 대한 새로운 대안 개념으로 다가왔고, 그 생태의 핵심은 ‘생태영성’에 있다는 자각이 들었다.

내가 1996년에 시작했던 귀농운동을 ‘생태 가치와 자립적 삶의 실현’이라는 이름으로 내걸었던 것도, 그 뒤에 생태귀농학교지리산생태영성학교라는 이름의 학교를 운영한 것도, 모두 이런 까닭이었다.
‘생태영성순례’라는 용어가 그 전에도 있었는지는 나는 모른다. 아무튼 그런 이름을 내걸고 첫 번째 성산 순례를 마친 뒤 내면에서도 나름의 깊은 체험을 느꼈다. 그러고 나서 성산과 대비되는 성스러운 바다(聖海)인 바이칼을 찾아가게 되었고, 그것이 두 번째 생태영성순례가 되었다.

그다음에는 티베트를 다녀왔고, 그 이후에도 히말라야를 몇 차례 더 찾았으며, 바이칼에도 다시 다녀오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지구여행학교와 함께 ‘산티아고 순례길 포르투갈 코스’를 같은 이름으로 다녀왔다.

‘생태영성’이란, 내 오랜 화두 가운데 하나이다. 
천지만물이 모두 성스러운 존재라는 것을 알고, 
그렇게 모시고 사는 마음이 바로 생태영성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면, 
그것은 곧 해월선사의 말씀 “천지만물 가운데 하늘을 품지 않는 것이 없다(天地萬物 莫非侍天主也)”와도 닿아 있으리라 싶다.

그렇게 모시고 삼가는 마음으로 생명과 존재를 만나고 대하는 여정을 ‘생태영성순례’라고 할 수 있으리라.

이번 순례단의 공동 약속문을 소개한다.

2025/06/20

"AI에게 빼앗긴 배움의 기술을... - Francis Minchang Kang | Facebook

[제주미래교육포럼 다섯 번째 모임 안내] "AI에게 빼앗긴 배움의 기술을... - Francis Minchang Kang | Facebook

[제주미래교육포럼 다섯 번째 모임 안내]
"AI에게 빼앗긴 배움의 기술을 어떻게 되찾을 것인가?"
- 일시: 2025년 7월 8일(화) 오후 6:00-10:00
- 장소: 산지천갤러리카페 (제주시 중앙로 3길 36)
- 방식: 대면 및 줌 (줌주소 별도 안내)
- 참가비: 2만원 (아래 후원계좌 이용)
- 발제: 정찬필 사무총장 (미래교실네트워크)
(사)미래교실네트워크 사무총장이며 교육부 교육정책자문위원이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 아쇼카 재단에서 체인저메이커들을 선정하는 아쇼카 펠로우이기도 하다. 그는 KBS PD 출신 교육 혁신가로, 2013년부터 다큐멘터리 ‘거꾸로 교실의 기적’ 5부작 시리즈를 제작해 국내에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 신드롬을 일으켰다. 이후 국내 교육현장의 적체된 난제들을 해결하고자 비영리법인 (사)미래교실네트워크를 설립하였다. 현직 교사들과 함께 10년 이상 교육 혁신 프로그램들을 운영해왔고, 지금까지 4만 여 명의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혁신 직무 연수를 수행하였다.
(사)미래교실네트워크는 구글 임팩트 챌린지를 시작으로 OECD, 핀란드 hundrED 재단 등에서 뛰어난 교육 혁신 사례로 인정받으며 세계에서 가장 앞선 교육을 세상에 퍼뜨리는 혁신 단체로 자리매김해왔다. 이런 경험을 통해 OECD 미래교육 프레임워크인 ‘Learning Compass 2030’ 개발 과정에 민간 전문가 자문위원으로 참여해 글로벌 미래교육 방향 제시에 기여하였다. 그 외에도 KOICA의 아제르바이잔 교육혁신 ODA 프로젝트의 리더 등 글로벌 교육 혁신 경험과 인도 헤세드 스쿨 등 저개발 국가 교육혁신을 지원한 경험을 갖고 있다.
그는 혁신적 미래 교육을 국내 초중고생 누구나 받을 수 있는 ‘PICL 또래학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난 2024년 오픈하였다. 사교육 없이도 교과 성적뿐 아니라 행위주체성, 자신감,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등 종합적인 미래역량이 동시에 빠르게 향상되는 효과를 증명하였다. 현재 전국적으로 40여 개의 또래학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계속 확산 중이다. ‘PICL 또래학교’는 교육불평등과 학습격차, 청소년 사회정서 문제해결을 위한 솔루션으로, 현재 강남구 교육복지 혁신의제로 추진 중이다. PICL은 신경과학 기반 문제해결 프로그램으로서, 교육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들도 고가의 사교육 프로그램 이상의 우수한 교육적 경험을 할 수 있게 만든다. 뇌과학의 발전으로 등장한 최신 이론 중, 특히 Active Learning과 Social Learning을 토대로 한 교육혁신 프로그램이다. 학습과학적으로 성적과 Soft Skill 등 핵심 역량이 연계되어 향상될 수밖에 없는 구조의 프로그램인 것이다.

2025/06/19

The Problem of Marital Loneliness | The New Yorker

The Problem of Marital Loneliness | The New Yorker


Cultural Comment
The Problem of Marital Loneliness
The new “Scenes from a Marriage,” on HBO, avoids the dark questions that Ingmar Bergman confronted in the original.
By Agnes CallardSeptember 25, 2021




Illustration by Sun Bai

My husband is really into geometry, and once he’s mastered a complicated proof he likes to go through it with me in exacting detail. If he sees my eyes wandering, he commands me to pay attention. In general, the kinds of conversations he enjoys are the ones in which he expounds his latest cognitive treasure, be it scientific, historical, or some fine point about how to interpret an obscure ancient text.

I, on the other hand, gravitate toward paradoxes, and enjoy conversations in which I am the one who sets the terms of the problem and I am the one who gets to push all the simplest answers aside. Recently, I tried to spark a debate: Why isn’t it permissible to walk up to strangers and ask them philosophical questions? As I probed for the deeper meaning behind this prohibition, my husband was frustrated by my ignoring the obvious: “Literally no one but you wants to do that!”


Occasionally, the point he wants to explicate magically lines up with the one I want resolved, but much of the time there is a decidedly unmagical lack of complementarity between his love of clarity and my love of confusion. Of course, we compromise: by taking turns, and by putting up with the fact that one of us is, to some degree, dragging the other along for the ride. But we can also tell that we are compromising, and that makes each of us feel sad, and somewhat alone.



Conversation is only one example of the various arenas in which we routinely fail to connect; broadly, he’s considerate and unromantic, whereas I’m romantic and inconsiderate. Marriage is hard, even when no crises loom, and even when things basically work. What makes it hard are not only the various problems that arise but the lingering absence that is felt most strongly when they don’t. The very closeness of marriage makes every bit of distance palpable. Something is wrong, all the time.

Ingmar Bergman’s “Scenes from a Marriage,” from 1973, is the greatest artistic exploration of the vicissitudes of marital loneliness. It consists of six roughly hour-long episodes, in which a married couple—Johan and Marianne—try and mostly fail to connect to each other. Marianne is a lawyer, and early in the series we see her counselling an older woman who is seeking a divorce after more than twenty years of marriage. The client admits that her husband is a good man and a good father: “We’ve never quarrelled.” Neither has been unfaithful toward the other. “Won’t you be lonely?” Marianne asks. “I guess,” the woman answers. “But it’s even lonelier living in a loveless marriage.”

The client goes on to describe the strange sensory effects of her loneliness. “I have a mental picture of myself that doesn’t correspond to reality,” she says. “My senses—sight, hearing, touch—are starting to fail me. This table, for instance: I can see it and touch it, but the sensation is deadened and dry. . . . It’s the same with everything. Music, scents, faces, voices—everything seems puny, gray, and undignified.” Marianne listens in horror: the woman represents the ghost of her own future.

It is a profound insight on Bergman’s part to notice that loneliness involves a detachment not only from other people but from reality in general. As a child, I had trouble forming friendships, and turned instead to fantasy. I could imagine myself into the books I read and, by embellishing the characters, supply myself with precisely the sorts of friends that I’d always longed for. If you have engaged in this kind of fantasizing, you know that the thrill of creativity eventually collapses into a feeling of emptiness. This is the moment when loneliness hits. You’ve prepared yourself an elaborate psychological meal, and you realize, belatedly, that it can never sate your real hunger.

One is often loneliest in the presence of others because their indifference throws the futility of one’s efforts at self-sustenance into relief. (If you spend a party reading in a corner, you come to see, no matter how good the book, that you are not fooling anyone.) In a marriage, this loneliness manifests in the various ways that couples give each other space, demarcating spheres in which each person is allowed to operate independently. If I allow my husband to hold forth and he allows me to go paradox-mongering—if we humor each other—the very frictionlessness of the ensuing thoughts infuses them with unreality. “My husband and I cancel each other out,” Marianne’s client says. She means, I think, that we sap the reality from one another’s lives by way of our lack of interest, our noninvolvement, our failure to provide the constraining traction that is needed for even the most basic sensory experiences to feel real.


Video From The New Yorker

The Epic Promise of Wedding Vows




Bergman uses the brief scene with Marianne’s client as a backdrop to the very different trajectory of Johan and Marianne’s marriage. Instead of reaching mutual accommodation, they become increasingly—and violently—intolerant of their failures to connect. In the opening episode, the couple is being interviewed for a magazine story that presents them as the picture of bourgeois marital contentment. As the series develops, they bicker, learn that they have cheated on each other, come to blows, divorce, and eventually, having both remarried, cheat again, with each other. The closing of the final episode, titled “In the Middle of the Night in a Dark House Somewhere in the World,” finds them huddled together in a remote cottage for a lovers’ weekend. Marianne has woken from a nightmare that evokes existential fears; Johan quiets her sobs, and the series ends.



Bergman wrote, of this ending, that the two are “now citizens of the world of reality in quite a different way from before.” Having come to understand that they really do have something to offer each other, they are also forced to see how much less that is than they had initially expected. They have traded the illusion of a happy marriage for a genuine connection that is painfully limited in scope. Marianne’s nightmare reflects this hard-won knowledge: “We were crossing a dangerous road. I wanted you and the girls to hold on to me. But my hands were missing. All I had left were stumps. I’m sliding around in soft sand. I can’t get ahold of you. You’re all up there on the road and I can’t reach you.” The small real comfort that Johan is able to provide her doesn’t negate the insight: “I can’t reach you.”

Marriages are enclosed by an opaque shell; we don’t tend to talk, publicly, about how they reverberate with the buzz of disconnection. “Scenes from a Marriage” cracked open this shell, exposing—and here I borrow Bergman’s own phrasing—how the married couple responds to each “dimly sensed rift” with “makeshift solutions and well-meant platitudes.” Viewed by roughly half of Sweden, the series was reputed to be responsible for a rise in the country’s divorce rates. Evidently, not all of Bergman’s viewers were prepared to be shown what lurks behind the marital façade.

Hagai Levi’s remake of “Scenes from a Marriage,” now airing on HBO, is heavy with the air of homage. It’s often deeply faithful to the original, down to details such as the dream with stump arms. But Levi updates and Americanizes the story: Johan becomes Jonathan, a Jewish philosophy professor played by Oscar Isaac; Marianne becomes Mira, a tech executive played by Jessica Chastain; and the gender dynamics are reversed so pointedly that one can say Mira is Johan and Jonathan is Marianne. These and other modernizing touches are the superfici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ries. The deep difference concerns their treatments of the problem of loneliness.

Levi’s series totals five episodes rather than six. The missing episode—Bergman’s second—is the one with the encounter between Marianne and her client. It also includes scenes in which Johan and Marianne paper over the communicative gaps between them, culminating in a discussion—and display—of the couple’s sexual disconnection. Levi’s cutting of this episode corresponds to a more general softening of Bergman’s conflicts. It is a striking feature of Johan and Marianne’s fights that the one being attacked often fails to notice just how harshly they have been spoken to; even in moments of intense emotion, they talk past each other. Jonathan and Mira, by contrast, are immediately sensitive to the ways in which they hurt each other. Although Levi includes some discussion of sexual dysfunction, he cuts the scene displaying it, and, at a crucial moment in the plot, inserts a tender sex scene absent from the original.

If Jonathan and Mira’s relationship seems better than Johan and Marianne’s, it must also be acknowledged that Levi sets his couple an easier problem. Bergman suggested that marriage was meant to address a metaphysical need: our connection to reality. Levi, by contrast, sees marriage as a way of navigating one’s place in the economic and social order. Child rearing features much more saliently in his characters’ lives, as does the management of a shared household. Whereas Bergman chose a range of locations for his scenes, Levi grounds every one of his in the home, which becomes a focus of both visual and intellectual attention throughout the series.

The shift is telling. If marriage is composed of a set of tasks or projects—a career, parenting, keeping a home—its failures can be displayed as extrinsic to the question of how spouses connect. Levi’s diagnosis is something like: these people have different priorities. This means that their lives can succeed to a greater extent than their marriage does. What was, in Bergman’s hands, a horrifying picture of the limits of human contact becomes, in Levi’s, a set of increasingly independent journeys of personal growth.

By the end of the remake, Jonathan, Mira, and their daughter are flourishing, and even part of their house has been renovated. In Levi’s vision, the problem of loneliness can be addressed by adjusting the pragmatics of mutual dependence; at first, these changes are painful, but eventually everyone is better off—which is to say, better at achieving their goals. For Bergman, connecting is the goal, and it’s not clear that we can do it. It is when Johan and Marianne realize this that they become “citizens of reality,” a loss of innocence from which they cannot recover. Can any marriage survive an honest reckoning with itself? Can you get close enough to any person for life to feel real? These are Bergman’s questions; Levi doesn’t ask them.

Agnes Callard is an associate professor of philosophy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and the author of “Aspiration: The Agency of Becoming.”

‘Radical acceptance’: Yiyun Li lost both her sons to suicide. Her rigorous memoir reveals her as a very special writer

‘Radical acceptance’: Yiyun Li lost both her sons to suicide. Her rigorous memoir reveals her as a very special writer





‘Radical acceptance’: Yiyun Li lost both her sons to suicide. Her rigorous memoir reveals her as a very special writer
Published: June 19, 2025 6.06am AEST


AuthorJen Webb

Distinguished Professor of Creative Practice, Faculty of Arts and Design, University of Canberra
Disclosure statement

Jen Webb has received funding from the Australian Research Council.
Partners



University of Canberra provides funding as a member of The Conversation AU.

View all partners

We believe in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Republish our articles for free, online or in print, under Creative Commons licence.Republish this article

Copy link
Email
X (Twitter)
Bluesky
Facebook
LinkedIn
WhatsApp
Print


“My husband and I had two children and lost them both,” writes Yiyun Li early in her latest book, Things in Nature Merely Grow. And then, with harrowing directness, “Both chose suicide”.

Such loss might seem at odds with the title of growth, but as she explains in her deeply thoughtful, rigorous account of a family tragedy, it reflects insights developed through the practice of gardening. “Things in nature merely grow until it’s time for them to die” – and gardeners must learn to develop patience, flexibility and openness to what may come.

Such capacities are very useful for writers, and Li is a prolific author who brings to her writing a forensic, incisive perspective, along with a marvellous deployment of language and tone.

Review: Things in Nature Merely Grow – Yiyun Li (Fourth Estate)

Born and raised in China, Li 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in 1996 with the intention of completing a doctorate in immunology. But, she says, “I wanted to do something I loved”. That turned out to be writing. In 2005, she added a master of fine arts (MFA) from University of Iowa to her bachelor of science and research masters in immunology.

I imagine these qualifications, along with her nuclear physicist father, provided deep immersion in the scientific method – and led to her writing style, imbued with systematic observation and analysis.

Li’s first book, the short-story collection A Thousand Years of Good Prayers, was the inaugural winner of the Frank O'Connor International Short Story Award. In 2010, she was included in the New Yorker’s 20 best writers under 40 and won a MacArthur “genius” grant. Since then, she has received cabinets of further awards.

Across her work, Li consistently explores difficult issues – as writers generally do. In many cases, the topic and content draw on her experiences as the child of an abusive mother, and as a young woman living under the strictures of China in the post-Tiananmen Square period.

Years after her migration, she experienced a major depressive episode and was hospitalised following suicide attempts. Out of this experience, she wrote her first memoir (in essays), Dear Friend, From My Life I Write to You in Your Life (2017).

Her collection explores what it means when one finds, or feels, that “all the things in the world are not enough to drown out the voice of this emptiness that says: you are nothing”. It is a deeply moving book, while managing to avoid becoming bleak or sentimental. She writes in ways that illuminate what reading can do for a person who is suffering, offering techniques for living well – or well enough.
Improbably, impossibly cruel

But when she wrote Dear Friend, she had not yet experienced how much sorrow was to come. Just months after its publication, her elder son Vincent, then 16, died by suicide.

She responded by writing a novel, Where Reasons End (2019), which takes the form of a conversation between a mother and the son who, like Vincent, had decided not to remain among the living. Anthony Cummins writes its, “tone is both astringent and faintly mischievous”: an extraordinary achievement under such circumstances.

Six years later, in what seems an improbably, impossibly cruel event, her second son James, aged 19, also died by suicide. Again, Li turned to reading and to writing. This time, she selected nonfiction, resulting in Things in Nature Merely Grow. She explains this decision:


Vincent lived feelingly. James lived thinkingly. When Vincent died, I was able to conjure him up in a book by feeling, but I knew, right after James died, that I would not be able to do that for him. James would not like a book written from feelings.

This book is James’ story; but it is also the story of Vincent, his beloved older brother – and of Li herself and her husband, and their life in the permanent absence of their sons.
A very special kind of writer

It is not an easy book. I had to take a break after each chapter or two, to reset my emotional state so that I could read it as a reviewer, and not as a parent. The first line of the first chapter warns readers: “There is no good way to say this”. A bit further into the volume, she writes:


This book is about life’s extremities, about facts and logic, written from a particularly abysmal place where no parent would want to be. This book will neither ask the questions you may want me to ask nor provide the closure you may expect the book to offer.

What she does provide is clarity, precision, close observation. Despite the “extremities”, she reports on the situation – from the moment of the police arriving to announce James’ death, right through to her arriving at a “radical acceptance” of how she must now live.


This approach reminds me forcibly of Joan Didion’s account of the sudden death of her husband, in The Year of Magical Thinking (2005). Robert McCrum argued this book changed the pattern of grief writings, which evolved from “misery memoir” to literature.

He observes, “you have to be a very special kind of writer to find the detachment to examine a devastating personal loss”. Li is, like Didion, that “very special kind of writer”, and it is her capacity to observe and examine that makes this volume such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n mourning.

Is it detachment? The tone is thoughtful; in a way, both scientific and analytical. In an interview, Li noted both she and Didion “focus on their thoughts, rather than their feelings”. This is, I imagine, a useful way of getting by, rather than collapsing from the overburden of feelings.

But I suspect the voice both Li and Didion use models detachment, rather than in fact being detached or aloof. They attend to the “what is” of where they find themselves – and this choice affords a clarity of seeing and writing. There seems to me a deep investment in such writing: not striving to “make sense” of something that exists outside sense, but rather finding a way to look at it directly.

It is, perhaps, akin to Graham Greene’s “splinter of ice in the heart of a writer”: a splinter that provides a standpoint from which one can build at least temporary stability in the midst of turmoil.
A primer for mourning

The terms very much in my own mind as I read this book were “clarity” and “precision”. Li applies both as she lays out the way such losses alter the world; or rather, alter one’s being in the world.

She reads copiously and cites widely – Euclid, Shakespeare, Euripides, Montaigne, C.S. Lewis, Albert Camus, Henry James, Wallace Stevens. And while she observes there may be consolations in writing and reading, she does not offer either as treatment, or panacea. Instead, she writes:


Writing, offering a transient refuge, is an approximation of salvation, nothing more. Who among us stands a chance facing an abyss?

There are no empty consolations, no promises of resolution. But there is a great deal of wisdom and discussion of how one might come to understand and accommodate loss. Manifestly, she loved and continues to love her sons. But “more important than loving”, she writes, “is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my children, which includes, more than anything else,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ir choices to end their lives”.

In this respect, the book is something of a primer for those who mourn. She models how she came to the point of radical acceptance, and offers insights and advice to the freshly bereaved. For example: get enough rest; eat, and exercise; work; find ways to live in this new state.

Because, she writes:


If an abyss is where I shall be for the rest of my life, the abyss is my habitat. One should not waste energy fighting one’s habitat.

The book also offers advice for those seeking to engage with mourners. If you’re sending flowers, she suggests, deliver them in a vase – the mourner will lack the energy to find a vase and trim and arrange the flowers. Also: don’t offer advice; don’t avoid the mourner; do talk about the person they have lost.
Not consoling, but wise

Things in Nature Merely Grow is an essay as much as it is a memoir. An essay in what death can mean, and does mean, and might be. An essay on suicide; on the loss of a child or children; the complexities of parenting; the joys of loving.

It unfolds the paths that emerge from initial shock through to capacity to reflect on what this entails. It is – and I use the term advisedly – wise. It draws on literature, philosophy, maths: all that deep knowledge we humans have been collecting over centuries and millennia.

Do they provide consolation? Probably not. But they provide context. And context can bring at least an intellectual understanding – and hope that an emotional understanding, or at least an accommodation, might follow.





===

ENLARGE BOOK COVER

Things in Nature Merely Grow

by Yiyun Li

On Sale: 22/05/2025
Format:


Book Overview Author Info and Events






About the Book

'One of the most important books to be published in years' SARA COLLINS

'There are few writers with Li’s power' DOUGLAS STUART

'I will return to it for the rest of my life' CHARLOTTE WOOD

A remarkable, defiant work of radical acceptance from acclaimed Pulitzer Prize finalist Yiyun Li as she considers the loss of her son James.

'There is no good way to say this,' Yiyun Li writes at the beginning of this book.

'There is no good way to state these facts, which must be acknowledged. My husband and I had two children and lost them both: Vincent in 2017, at sixteen, James in 2024, at nineteen. Both chose suicide, and both died not far from home.'

There is no good way to say this – because words fall short. It takes only an instant for death to become fact, 'a single point in a timeline'. Living now on this single point, Li turns to thinking and reasoning and searching for words that might hold a place for James. Li does what she can: including not just writing but gardening, reading Camus and Wittgenstein, learning the piano, and living thinkingly alongside death.

This is a book for James, but it is not a book about grieving. As Li writes, 'The verb that does not die is to be. Vincent was and is and will always be Vincent. James was and is and will always be James. We were and are and will always be their parents. There is no now and then, now and later, only, now and now and now and now.' Things in Nature Merely Grow is a testament to Li’s indomitable spirit.

As seen in the New Yorker, Vanity Fair, LA Times, TIME, and the Paris Review.

'To state that this courageous book is a testament to love is an understatement. One is left altered by it' OBSERVER

'A story of loss that is unlike any other book I've read … an unforgettable monument to endurance' SUNDAY TIMES

'Resolutely unsentimental, and yet it might wind you with its emotional force' GUARDIAN

'A memoir unlike others, strange and profound and fiercely determined not to look away' NEW YORK TIMES

'An extraordinary book’ SARAH MOSS

'A manifesto of living, not dying, and of how we endure the most unimaginable things' SINÉAD GLEESON, in THE WEEK

'A profound look at how a parent continues to live in a world without her children’ TIME

‘Li’s astonishing record of how she has chosen acceptance over despair' LA TIMES

‘A book unlike any I've read, that brims with rare clarity and intelligence, with love and care. It will stay with me for a long time’ CECILE PIN

Product DetailsISBN: 9780008753863
ISBN 10: 0008753865
Imprint: Fourth Estate
On Sale: 22/05/2025
Pages: 192
List Price: 16.99 AUD
BISAC1: FAMILY & RELATIONSHIPS / Death, Grief, Bereav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