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jin Pak
spSrdetnoo37hm55f81430flf2060afc2m1f63clic771h17tia2i7m9ag6l ·
[아버지] 아, 아~, 아버지~~있!!
--
- 한번도 나와 가깝지 않은 관계로 사시다가, 1984년, 67세에 카나다, 토론토에서 돌아가신 울 아버지.
- 나는 미국 보스톤에서 박사학위 하러가 살다가, 잠간 날아갔다가 돌아가서, 또 일본으로 가는 등, 또 대학에 교편을 잡는 직장을 찾아 호주까지 가게되는 정신없는 생활을 하다가,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20년 정도 지난 후부터 때때로 아버지와의 관계를 생각해왔다.
- 생각할 때 마다, 매번, 왜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는 아버지를 그 세대의 한국 남성이란 것으로 보아주고, 내가 더 가까이 하려고 노력하지 못하고, 단지 아버지라는 인품이 싫다고 생각했던가, 아들로서 송구하기 짝이 없다는 마음으로 가슴이 벅차 매번 눈물이 흐른다.
- 결혼조차 아버지에게 알리지 않고, 둘이 만 시청에 가서 등록하고 만 식으로 한 것, 그 시대의 아버지로서는 괘씸하게 느끼셨을 것은 분명한데, 그러시리라는 것을 알면서, 그냥 아버지를 무시하는 행동을 되풀이해온, 이 못난 아들.
- 내 인생에, 훗날, 두고 두고, 후해하는 한 가지 일이다.
그런데 과거 나처럼 나에게 하는 아들.
- 그 아들에게는 내가 우리 사이의 관계가 나의 아버지와의 관계처럼되지 않게 해야지 ~~~, 하고 생각하고 있다.
- 아들이 나에게 어떻게 하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내가 아들에게 어떻게 하는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 그런데 수수께끼인 점은 나보다 30년 후배이며, 서양에서 태어나고 자란 아들이 왜 감정면에서는 나에게는 아버지와 같은 인격자처럼 보이고, 아들에게 역시 나는 내가 본 아버지 같은 인격자처럼 보일까? 이걸 알아내고 풀려면 둘이 깊은 소통을 해야된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고 있으나, 과연 이것이 이루어질까? 궁금하다.

See more in Video
박정미
아! 교수님도 그런 회한이 있으시군요. 이것은 자식의 숙명같은 거라고 생각됩니다. 엄마아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가 엄마아빠가 되어야하는데, 그 때는 이미 돌아가시고 없지요.
그래도 그 회한으로 내 자식을 이해할 수 있으니 그나마 다행일까요.
(거기에 저는 윤회를 믿어서 다음 생을 기약하며 자신을 위로 한답니다. 남은 생 잘 배워서 다음번 기회가 오면 꼭 잘해야겠다는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