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12

** 최한기의 신기(神氣) 개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기(神氣)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기 (神氣)
====
목차

조선후기 학자 최한기가 기(氣)의 운동과 변화를 강조하기 위하여 
눈에 보이지 않거나 원인을 알 수 없는 작용 · 운동(신)과 주체(기)를 합쳐 표현한 유교용어.
====
내용

신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용 혹은 원인을 알 수 없는 운동을 지칭하는 신이라는 개념과 
그 작용 내지 운동의 주체로 간주된 기가 합쳐진 용어로 신령한 기 혹은 정신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기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신기 개념이 더욱 확충되어 철학의 중심 개념으로 사용된 것은 최한기의 기학(氣學)에서이다. 최한기도 신의 의미를 기와 관련해 설명하고 있는데 대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기의 능함을 일컬어 신이라고 한다.”. 
  • “기는 천지의 작용하는 바탕[質]이요 신은 기의 덕(德)이다.”. 
  • “그 기 전체의 무한한 공용의 덕을 총괄해 신이라고 한다.”.

이러한 말들로 미루어 볼 때 최한기 기철학에서의 신 개념은 기 속에 내재된 기의 운동 능력(氣之良能), 기의 작용 변화(氣之伸)라는 전통적인 의미를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신이 정신 작용을 비롯한 눈에 보이지 않는 신비한 작용을 주로 지칭한데 비해, 최한기는 기의 운동 및 변화 모두를 지칭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그래서 최한기는 “(기의 속성인) 활동운화가 신이 된다.”고 하고, 나아가 “신이란 운화지능(運化之能)을 가리키므로 운화지기(運化之氣)가 곧 신이다.”고 하여 기와 신을 동일시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형체있는 사물을 구성하는 요소와 사물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이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신개념과 합해 형성된 신기도 형체지기(形體之氣)·운화지기(運化之氣)·천지지기(天地之氣) 등과 구분되는 별개의 기가 아니라, 어떤 존재로 형성된 기가 지니는 작용 내지 운동의 측면에서 그 기를 규정짓는 기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최한기는 “형질이 크면 그 신기도 크고 형질이 작으면 그 신기도 작다.”고 말하면서 신기라는 기의 일종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각 형질에 따라 형성되는 것임을 말하고 있다.

그 한 예로 가장 큰 형질인 천지는 만물을 형성하는 작용을 지니는데, 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천지의 신기는 “천의 신기가 땅에 빈틈없이 접해 땅의 증발하는 기운과 더불어 서로 물들이고 섞여 한 덩어리로 뭉쳐서 천지의 신기를 이룬다.”고 한다.

말하자면, 기의 측면에서는 천지만물이 동일하지만 기가 천·지·인·물의 형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는 각각의 존재들이 각각의 운동 법칙과 속성을 지니게 되고 그 측면에서 각각의 존재는 서로 다른 작용 즉 신기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신기도 다른 사물의 신기와 마찬가지로 사람이 외물에 반응하고 대응하는 작용일체를 지칭하지만, 경험적 인식과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최한기는 사람의 신기가 형성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사람의 몸에 신기를 생성하는 요소는 네 가지이니 첫째는 천(天) 이요, 둘째는 토의(土宜)요, 셋째는 부모의 정혈(精血)이요, 넷째는 견문염습(見聞染習)하는 것이다. 위의 세 조목은 이미 품수한 바가 있는 것이므로 소급해 고칠 수 없지만, 아래의 한 조목은 실로 변통하는 공부가 된다.”

또한 최한기는 개인의 몸에서 신기가 형성되고 작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도 한다. 최한기에 의하면, 신기는 여러 감각 기관과 몸체가 모여 형성되는 것인데 인간이 외부의 대상을 인식할 때 여러 감각 기관의 신기가 먼저 움직이고 혈액과 장부가 이어 응한다고 한다.

인간의 신기는 
  • 천지를 포함한 사물이 지니는 작용과 즉 사물의 신기를 지각하고 인식하는 인간의 능력을 지칭하는 것이고, 
역으로 
  • 천지만물의 신기얼마나 잘 파악하느냐에 따라 각 개인의 능력 즉 개인의 신기도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최한기의 신기에 관한 논의를 종합해 보면 
신기는 
  • 기의 형체운동 작용이라는 두 측면 중 운동 작용의 측면을 지칭하는 용어로 
  • 인간에 있어서는 명지(明知), 즉 지각과 추측이라는 인식 능력을 주로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명남루전집(明南樓全集)』(최한기)
『한국실학사상연구』(금장태, 집문당, 1987)
「최한기(崔漢綺)의 과학적인 철학사상」(박종홍, 『한국철학연구』 下, 동명사, 1978)
집필자  허남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