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4

근대 한국불교 통불교론의 두 유형 ―‘초종파주의 통불교론’과 ‘선종파주의 통불교론’—

근대 한국불교 통불교론의 두 유형 ―‘초종파주의 통불교론’과 ‘선종파주의 통불교론’—



근대 한국불교 통불교론의 두 유형 ―‘초종파주의 통불교론’과 ‘선종파주의 통불교론’—Two Types of the Modern Discourses of the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of Korea: ‘Trans-sectarian United Buddhism’ and ‘Sŏn-sectarian United Buddhism’




종교문화연구

약어 : 종문연구

2015, vol., no.24, pp. 149-184 (36 pages)

UCI : G704-SER000002978.2015..24.003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연구분야 :
인문학 >
종교학 > 기타종교학
송현주 /Song Hyun Ju 1


1순천향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근대 한국의 통불교담론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적 접근을 통해 한국불교에 두 종류의 서로 다른 통불교담론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그 두 담론이 한국불교의 종단설립 혹은 종파의식의 문제 등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전개되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불교의 성격을 둘러싼 입장들은 대부분 그 외형상 통불교론을 표방하고 있다. 하지만 표면적 동일성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내용에서는 미묘하게 구별되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그 하나는 ‘초종파주의 통불교론’이고, 다른 하나는 ‘선종파주의 통불교론’이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통불교론을 엄밀한 구분 없이 사용함으로써 혼란스러운 측면이 있었다. 그 가운데 ‘초종파주의 통불교론’은 하나의 통합된 이상적 불교를 지향하던 서구불교와 일본불교의 관점을 한국불교에 투영함으로써 한국불교의 우수성을 부각시키려 했다면, ‘선종파주의 통불교론’은 ‘조계종’이라는 선종 종단의 창출에 기여함으로써 그 이념이 역사적 실체로 구체화된 담론이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at there are at least two types of modern discourses of the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of Korea. The term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or ‘united Buddhism’(通佛敎) has been widely used to denote the originality and uniqu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since the modern period of Korea has begun. Namsŏn Choi is one of the pioneers in creating a discourse of the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who has indicated that it is a genuine and supreme feature of Korean Buddhism. Many scholars have a similar perspective with him. However, there are also other scholars who have a different point of view. This article compares the contents of the various discourses regarding the transdenominational character of Korean Buddhism and classifies them into two broad groups. One is ‘trans-sectarian united Buddhism’ and the other is ‘Sŏn-sectarian united Buddhism’. The former is an idealistic point of view of Korean Buddhism. This integrates Buddhism of all Buddhist sects and attempts to harmonize with one another as a perfect completion of Buddhism. This perspective is proclaimed strongly by Yeongho Heo who has studied modern Buddhist scholarship in Japan and has advocated Choi’s perspective on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The latter is the main supporting ideology of Chogye-Order(曹溪宗) of Korean Sŏn Buddhism held by Buddhist scholars, such as Yeongsu Kim and Sangno Kwŏn. This differs from the former view in that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is integrated not by equalizing all Buddhist sects but mainly based on the Sŏn. It is worthwhile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of these scholars’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of Korea.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통불교,
초종파주의 통불교론,
선종파주의 통불교론,
한국불교성격론,
조계종,
최남선,
김영수,
허영호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United Buddhism, Discourse of Transdenominational Buddhism of Korea, Trans-sectarian United Buddhism, Sŏn-sectarian United Buddhism, Chogye-Order, Namsŏn Choi, Yeongsu Kim, Yeongho H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