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2

일본 내셔널리즘 해부 저자 고야스 노부쿠니

일본 내셔널리즘 해부

다나베 하지메(1885~1962)의 [종(種)의 논리의 변증법]에 대하여 참고





일본 내셔널리즘 해부
저자 고야스 노부쿠니

출판사항 그린비, 발행일:2011/10/25
형태사항 p.208 국판:22

▣ 출판사서평

일본은 왜 자꾸 우측으로, 우측으로 가는가
―모토오리 노리나가에서 전쟁기 ‘국체론’까지 일본 내셔널리즘을 해부한 책


소녀시대와 카라를 비롯한 일본 내 한류 열풍 이면에는 한국의 걸그룹을 비하하는 ‘혐한류’(嫌韓流)가 있다. 한국 문화산업의 유입에 대해 ‘무조건 싫다’는 식으로 반응하며 조롱거리를 찾기 위해 애쓰고 심지어는 테러리스트 취급을 하기도 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최근에는 김태희가 독도수호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막 시작한 후지TV드라마를 반대하는 시위가 조직되는 등 점차 정치적인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한감정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일본이 주변국들을 무시?배척하며 자신의 내셔널리티를 강화한 것은 그 역사적 뿌리가 깊다.
그 유래는 에도시대에 ‘일본’을 만든 국학자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 1730~1801)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는 일본의 옛 문헌을 한국과 중국의 흔적을 지우고 일본 중심의 세계관에 맞추어 읽는 작업을 하여 일본인의 언어관과 국가관의 토대를 세웠다. 예컨대 [니혼쇼키](日本書紀)와 [고지키](古事記)에는 신(神), 사람, 물건, 장소, 언어 등 수없이 많은 ‘한’(韓)의 흔적이 기록되어 있다. 대표적인 일본의 신 중 하나인 스사노오노미코토가 신라에 강림했다가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에도의 학자 후지이 데이칸(藤井貞幹)이 [쇼코하쓰](衝口發)라는 고증학적 저술에서 이런 영향관계를 밝혔을 때,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격분하여 “미치광이의 말”이라고 비난했다. 노리나가에게 그러한 한의 흔적은 오히려 왜(倭)의 흔적이었다. 일본의 신의 위세가 이국땅에 미친 영향이라는 것이다. 그렇게 일본은 한국과 중국의 흔적을 지움으로써 성립했다.
이 책은 이러한 일본 내셔널리즘의 담론적 기원을 추적하는 책이다. 모토오리 노리나가를 비롯하여 메이지 시기 문명론자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윤리학자 와쓰지 데쓰로(和?哲?), 철학자 다나베 하지메(田邊元) 등의 내셔널리즘적 담론을 분석하여 일본 사상사상의 주요 맥락을 조목조목 짚어 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일본 내셔널리즘의 윤곽을 그릴 수 있고, 주변국들에 적대적인 일본인의 심성이 어디에서 기인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민족 개념 자체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못지않게 민족 문제에 과도하게 사로잡혀 있는 우리에게도 큰 시사점을 줄 것이다.

‘민족’의 기원은 근대로부터
이 책의 내셔널리즘 연구는 개념의 정의를 넘어서 그 개념을 낳은 역사적 담론의 지층을 정밀조사하는 고고학적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졌다. 예컨대 일본의 건국신화를 담고 있는 [고지키]를 모토오리 노리나가가 어떻게 새롭게 해석했는지, 그 결과 일본문화의 기원을 어떻게 왜곡하게 되어 자신들의 내셔널리티를 만들어 내는지를 서술한다. 특히 주목할 것은 ‘일본민족’이 과거로부터 지속되어 온 것이 아니라 ‘개념의 성립’이 시작된 근대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이다. 민족의 에스닉한 실체적 기원을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인들이 하나의 민족이라는 관념을 갖게 된 계기를 탐색함으로써 근세 이후, 특히 메이지와 쇼와 시대를 거치면서 사람들에게 유입되는 과정에 주목한 것이다. 그 결과 ‘민족’이란 개념 자체가 ‘근대’의 역사에서 성립했듯이 ‘일본민족’ 역시 일본 근대사 위에서 재구성된 관념임을 밝혀낸다.

일본 사상사에서 지속된 내셔널리즘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고지키 해석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고지키]를 일본어로 읽었다. 정확히는 [고지키]라는 한문 텍스트에서 고유 일본어 ‘야마토고토바’(大和言葉)를 읽어 냈다. 그는 [고지키]의 제작자가 상고사회의 전승 기록을 고어 그대로 후세에 전하고자 하는 게 의도였으므로 후세인도 그에 따라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일본어가 먼저 있었고 이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자를 사용한 것뿐이므로 ‘천지’(天地)와 같은 한자를 야마토고토바의 ‘아메쓰치’(阿米都知)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천지’는 임시 글자이기 때문에 그것을 가지고 ‘아메쓰치’의 의미를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나로서는 아직 ‘아메’라는 말의 본래 의미를 잘 모르겠다”(본문 50쪽)고 시인하듯 그 정확한 뜻은 알 수 없다. 다만 그는 한자가 아니라 ‘야마토고토바’가 먼저 있었다고 주장함으로써 한자문화의 지배를 배제하고 일본어와 일본문화의 고유성을 만들어 낸 것이다.

후쿠자와 유키치의 국체론와 지덕론
일본 근대의 대표적인 지식인인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는 문명론의 관점에서 일본 ‘국체’(國體)에 대한 해체를 시도한다. 외침을 받은 적 없는 금구무결(金?無缺; 흠이 없는 황금?지처럼 완전하고 결점이 없다는 뜻)의 ‘국체’라는 기존의 절대적인 국체관에서 탈피하여 국체란 ‘인민을 주체로 한 주권의 영속성’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때문에 그는 국체의 단절을 왕가의 단절로 보지 않고 인민이 정치권력을 잃고 타국의 지배를 받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선진 서양에 대한 그의 경계감과 독립에 대한 강한 지향은 “언젠가 한 번은 일본의 국위를 선양하여 인도와 지나의 토인 등을 제어하는 것을 영국인에게 배울 뿐만 아니라 그 영국인도 괴롭혀 동양의 권세를 우리 손에 잡아넣겠다”(86쪽)는 야심으로 표출되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국민국가의 형성에 있어서 유교적 도덕주의와 전통적 정의(情誼) 관계가 아니라 새로운 문명적 사회의 지성과 모럴이 토대가 되는 것을 과제로 삼았다. 그래서 기존 이념, 예컨대 사덕(四德)에 기반한 도덕주의적 입장을 철저히 배척하고 인민의 지력(智力)을 향상시키는 것을 급선무로 보았다. 그에게 지력은 일신(一身)의 자유와 독립을 가져오는 중요한 사회 기반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후쿠자와는 메이지유신 이후에도 계속 공권력이 우위에 있는 일본사회를 비판하며 정부와 인민의 대등한 관계가 바탕이 된 문명화된 세상을 추구했다.

와쓰지 데쓰로의 윤리학
수많은 윤리학 관련 저술과 강연으로 근대 일본에 걸맞은 윤리학을 설파한 와쓰지 데쓰로(1889~1960). 그러나 그의 윤리학은 국민도덕론의 성격이 짙은 일종의 국가윤리학이라 할 수 있다. 메이지 초 ‘에식스’(ethics)가 ‘윤리학’(倫理學)으로 번역될 당시 일본은 일종의 도덕적인 공백 상태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근대적 시민윤리의 보급 같은 것이 아니라 [교육칙어] 발포(1890) 등 국민도덕론의 전파에 힘썼다. 그런데 와쓰지는 이 윤리라는 말이 근대 일본에 활력을 지닌 채 사용되고 있다고 간주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를 지속한 것이다. 그리고 메이지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어 ‘윤리’를 마치 예부터 지금까지 잘 보존해 온 인간존재의 이법(理法)처럼 여겼다.
더구나 이런 “속임수에 가득 찬” 와쓰지의 윤리학은 근대의 개인주의적 인간관을 비판하는 반면 인간의 공동적 존재성, 혹은 인간의 공동체적 존립에 기초해 형성되었으며, 그것도 ‘가족’에서 ‘국가’에 이르는 공동체적 서열로 구성된 것이다. 국가는 지상에 실현되는 인간 공동성의 최종 형태로서 자기 자신 안에 모든 사적 존재를 포섭함으로써 ‘공’(公)답게 만들어 간다. 와쓰지는 국가가 한 국가로 폐쇄적으로 성립하면서도 그 자체가 ‘공’인 것은 이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렇게 와쓰지에게 윤리학의 형성이란 ‘민족국가’의 윤리학적 형성에 다름 아니었다.

광기에 사로잡힌 민족 담론

내셔널리즘의 극한은 바로 ‘국가를 위해 죽는 것’이다. ‘가미카제’(神風)로 잘 알려진 일본의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이를 여실히 보여 준다. 이 책은 이런 논리를 사상적으로 뒷받침한 학자들 중 다나베 하지메(1885~1962)라는 교토학파 철학자를 다룬다. [종(種)의 논리의 변증법]으로 유명한 그는 1943년 ?사생?(死生)이라는 강연에서 국가를 위해 죽을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 생물학적 죽음이나 추상적인 죽음과 달리 실천적 입장에서 “실제 우리가 죽는 것”을 적극적으로 실행하는 것의 숭고함을 말하여 학생 청중들에게 죽음을 받아들이도록 만들었다.
다나베는 국가는 신과 인간 사이에 있기 때문에 그 죽음은 신성성을 띠며 신과 연결되는 실천이라고 말하며 죽음의 현실적인 의미를 피력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민족은 ‘종의 논리’로 근거가 마련되는데, 그것은 이성적 근거를 지닌 국가의 성립을 이끌어 내는 매개로서 기능한다. 그리하여 다나베는 이 종의 논리에 따라 일본인은 몸을 바침으로써 “국가가 신의 도에 일치하도록 행동하는 것, 즉 국가로 하여금 진실과 정의를 잃지 않게 하는 것”(181쪽)이 본분이라며 지금 보면 궤변 같은, 잔인한 철학의 논리를 내세운다.

지금은 전쟁의 시대가 저문 듯하지만 아직도 곳곳에서는 이런 ‘내셔널리즘’에 기반한 전쟁과 폭력이 아무렇지도 않게 자행되고 있다. 멀리 가 볼 것도 없이 우리의 일상에서 혹은 인터넷 공간에서 보이는 민족의 논리, 한국인의 논리는 손쉽게 사람을 매장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책은 내셔널리즘이 역사적으로 얼마나 강력한 사상적 도구였는지 잘 보여 주는 한편 민족 관념의 이러한 배타적이고 폭력적인 성격 또한 잘 보여 준다. 일본 내셔널리즘의 발생부터 최극단에 이르는 시기까지 사상가들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이 책은 내셔널리즘이 그 내부에 품고 있는 비이성과 광기를 고발하고 있다.

▣ 작가 소개

저자 : 고야스 노부쿠니
1933년생. 근현대 일본에 관한 저명한 사상가로서,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윤리학을 전공하고, 현재는 오사카대학 명예교수로 있다. 담론에 관한 고고학적인 방법론에 영향을 받아 모토오리 노리나가, 오규 소라이, 히라타 아쓰타네, 후쿠자와 유키치 등에 관한 사상사적 검토를 행해 왔고, 근래에는 야스쿠니 신사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발언하는 등 폭넓은 사상사적 논의를 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사건''으로서의 소라이학』(''事件''としての?徠?), 『귀신론』(鬼神論),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 『일본 근대사상 비판』(日本近代思想批判), 『방법으로서의 에도』(方法としての江?), 『히라타 아쓰타네의 세계』(平田篤胤の世界), 『한자론』(漢字論),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론 개략''을 정밀하게 읽는다』(福?諭吉『文明論之?略』精?),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누구인가』(本居宣長とは誰か), 『''근대의 초극''이란 무엇인가』(''近代の超克''とは何か), 『소라이학 강의 : 『변명』을 읽는다』(徠講義: 『弁名』を?む), 『사상사가가 읽는 논어』(思想史家が?む論語) 등이 있다.

▣ 주요 목차

책머리에

해독 1. 일본의 고유성과 타자의 흔적 - 모토오리 노리나가에 있어서의 광기와 정기
‘한’(韓)의 흔적 / ‘일본’의 성립 / 신라에 강림한 신 / [쇼코하쓰]라는 저술 / 정기의 담론이란 무엇인가 / ‘일본’ 성립의 언어적 기념비 / ‘한’을 포괄하는 제국

해독 2. ‘일본어’(야마토고토바)의 이념과 그 창출 - 모토오리 노리나가 [고지키전]의 선물
‘일본어’란 / [고지키]를 읽는 것 / [고지키]를 읽을 수 있는가 / 노리나가의 [고지키] 발견 / ‘야마토고토바’의 훈독 / 먼저 ‘야마토고토바’가 있었다

해독 3. 제사국가 일본의 이념과 그 성립 - 미토학과 위기의 국가신학
‘천조’라는 한자어 / [신론]과 국가적 장계 / 제사적 사적의 회상 / 소라이의 귀신제사론 / 국가적 위기와 민심 / 죽음이 귀착하는 곳

해독 4. 국체론의 문명론적 해체 =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론 개략]과 국체론 비판
국체 개념의 기존성 / 국체론과 문명론 / 국체 개념의 탈구축 / 고습의 혹닉

해독 5. 도덕주의적 국가와 그 비판 - 후쿠자와 유키치의 ‘지덕론’ 해독
비판적 담론으로서의 문명론 / ‘지덕론’의 과제 / 지ㆍ덕의 구별과 재구성 / 도덕주의 비판 / 지력이 행해지지 않는 사회 / 인지 발달의 광경 / 독립 인민과 정부: 급진적 리버럴리즘

해독 6. ‘일본민족’ 개념의 고고학 - ‘민족’, ‘일본민족’ 개념의 성립
고고학적 해독이라는 작업 / 개념 성립을 둘러싼 ‘시차’ / 사전에서의 ‘민족’ / ‘민족’ 개념의 전이적 성립 / 국수주의적 ‘일본’ / ‘일본민족’ 개념의 성립 / ‘일본민족’ 개념의 이중화

해독 7. ‘민족국가’의 윤리학적 성립(1) - 와쓰지 데쓰로의 윤리학에 대해: 에식스에서 윤리로
먼저 ‘윤리학’이 있었다 / 국민도덕의 요청 / ‘에식스’에서 ‘윤리’로 / ‘윤리’의 해석학

해독 8. ‘민족국가’의 윤리학적 성립(2) - 와쓰지 데쓰로의 윤리학에 대해: 쇼와 일본의 윤리학
‘윤리’ 개념의 재구성 / ‘인간’ 개념의 재구성 / 인간 공동태의 윤리학 / ‘공공성’과 ‘사적 존재’ / 문화공동체로서의 ‘민족’

해독 9. 철학이라는 내셔널리즘 - ‘종의 논리’, 국가의 존재론
1943년의 철학자 / ‘죽는 것이다’ / 국가를 위한 당위로서의 죽음 / 국가의 존재론 / ‘종’의 논리

해독 10. 동양민족협화와 ‘국체’의 변혁 - 다치바나 시라키의 "국체론 서설"
다치바나 시라키를 아는가 / 1941년의 다치바나 / "국체론 서설"의 위상 / ‘국체’ 개혁의 세 법칙 / 동양사회의 재구성

YM22 almost upon us!

YM22 almost upon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