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02

Richard Rohr - Wikipedia

Richard Rohr - Wikipedia

Richard Rohr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Richard Rohr

RichardRohrOFM.jpg
Born1943 (age 77–78)
Kansas, United States
Occupation
  • Author
  • spiritual writer
  • Franciscan friar
NationalityAmerican
Period1972–present
SubjectTheology
Webcast with Rohr

Richard RohrOFM (born 1943), is an American author, spiritual writer,[1] and Franciscan friar based in Albuquerque, New Mexico.[2] He was ordained to the priesthood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1970. PBS has called him "one of the most popular spirituality authors and speakers in the world."[3]

Life and ministry[edit]

Rohr was born in Kansas in 1943. He received his master's degree in theology in 1970 from the University of Dayton.[4] He entered the Franciscans in 1961 and was ordained to the priesthood in 1970. He became founder of the New Jerusalem Community[5] in Cincinnati, Ohio, in 1971[6] and the Center for Action and Contemplation (CAC) in Albuquerque, New Mexico, in 1986[7][8] where he serves as founding director and academic dean of the Living School for Action and Contemplation.[9][10] The curriculum of Rohr's school is founded on seven themes developed by Rohr and explored in his book Yes, And....[11]

In his 2016 book The Divine Dance, Rohr suggests that the top-down hierarchy approach of western Christianity since Constantine has held ecumenical traditions back for centuries, and that the future of people of faith will have to be awakening to a bottom-up approach.[12] Rohr maintains what he would call prophetic positions, on the "edge of the inside" of a church that he sees as failing to transform people, and so increasingly irrelevant.[13][14] In a critique of Rohr published in the New Oxford Review, Fr. Bryce Sibley writes that Rohr asserts that God holds both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together rather than either or binary dualistic thinking and criticizes ecumenical religious rituals that focus on rules rather than the paramount centrality of relationship with God, and neighbor.[15]

In 2000, Rohr publicly endorsed Soulforce, an organization which challenges religion-based LGBTQ oppression through nonviolent protest.[16] In a 1999 essay, and afterwards, Rohr welcomes and affirms God's love for LGBTQ people, emphasizing that God asks the same of people in homosexual relationships as God asks of heterosexual ones: "truth, faithfulness, and striving to enter into covenants of continuing forgiveness of one another".[17][18]

In his teaching on Scripture, such as in his book Things Hidden, Rohr describes the biblical record as a human account of humanity's evolving experience with God, "the word of God in the words of people".[19] Rohr's book Immortal Diamond: The Search for Our True Self suggests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is an archetypal pattern for the individual's movement from "false self" to "true self", from "who you think you are" to "who you are in God".[20] Rohr's 2014 book, Eager to Love, explores the key themes of Franciscan spirituality, which he sees as a "third way" between traditional orthodoxy and heresy, a way of focusing on the Gospel, justice, and compassion.[21]

Rohr emphasizes "alternative orthodoxy", a phrase the Franciscan tradition has applied to itself, referring to a focus on "orthopraxis"—a belief that lifestyle and practice are much more important than mere verbal orthodoxy,[22] which in itself is much overlooked in Catholic preaching today.[23][24] The Perennial Tradition,[25] or Perennial Philosophy, forms the basis of much of Rohr's teaching; the essential message of his work focuses on the union of Divine Reality with all things and the human potential and longing for this union. Rohr and other 21st century spiritual leaders explore the Perennial Tradition in the Center for Action and Contemplation's issue of the publication Oneing.[26]

Influences on Rohr outside of Christian sources include Buddhism and HinduismGandhiCarl JungSpiral Dynamics, and Integral Theory.[11]

Criticism[edit]

Some of Rohr's views have been criticized as unorthodox, as in a review of his book The Divine Dance by evangelical theologian Fred Sanders [27] on The Gospel Coalition website.

Also at The Gospel Coalition is a review of Rohr's The Universal Christ by Michael McClymond, professor of Modern Christianity at St. Louis University. McClymond asserts that, "Though Rohr wraps himself in the mantle of Catholic and Franciscan spirituality, much of what Rohr presents contradicts the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and historic Christianity."[28]

Ian Paul, an Anglican theologian, in a review of The Universal Christ, says, "I did not find a single biblical text which was cited with any plausibility; every single one was either misread, or taken out of context, or even cited with errors," and concludes that, "Rohr is leading us down some very odd paths and a long way from orthodox Christian faith at numerous points."[29]

Aquinas & More Catholic Goods, an online store based in Ft. Collins, Colorado, has refused to carry Rohr's books, citing a policy to "only carry product that is true to Catholic teaching," and alleging that "Fr. Rohr's ideas about salvation are heretical."[30]

Published works[edit]

Nonfiction[edit]

  • Wild Man's Journey: Reflections on Male Spirituality (Saint Anthony Messenger Press, ISBN 0-86716-279-1, 1986; Revised edition 1996)
  • Why Be Catholic?: Understanding Our Experience and Tradition (with Joseph Martos) (Saint Anthony Messenger Press, 1989) ISBN 978-0-86716-101-4
  • Simplicity, Revised & Updated: The Freedom of Letting Go (1991, reissued by Crossroad Publishing Co, U.S.; 2nd New edition of Revised edition, 2004) ISBN 978-0-8245-2115-8
  • Near Occasions of Grace (Orbis Books (USA), 1993) ISBN 978-0-88344-852-6
  • Quest for the Grail: Soul Work and the Sacred Journey (1994, reissued by Crossroad Publishing Co, U.S.; New edition, 1997) ISBN 978-0-8245-1654-3
  • The Enneagram: A Christian Perspective (with Andreas Ebert) (1995, reissued by Crossroad Publishing Co, U.S., 2002) ISBN 978-0-8245-1950-6
  • Jesus' Plan for a New World: The Sermon on the Mount (with J. Feister) (St. Anthony Messenger Press, 1996) ISBN 978-0-86716-203-5
  • Radical Grace: Daily Meditations (with John Bookser Feister, Editor) (1993, reissued by St. Anthony Messenger Press, 1996) ISBN 978-0-86716-257-8
  • The Good News According to Luke: Spiritual Reflections (Crossroad Publishing Co, U.S., 1997) ISBN 978-0-8245-1490-7
  • Hope Against Darkness: The Transforming Vision of Saint Francis in a (St. Anthony Messenger Press, 2001) ISBN 978-0-86716-440-4
  • Everything Belongs: The Gift of Contemplative Prayer (Crossroad Publishing Co, U.S.; 2nd Revised edition, 2003) ISBN 978-0-8245-1995-7
  • Adam's Return: The Five Promises of Male Initiation (Crossroad Publishing Co, U.S., 2004) ISBN 978-0-8245-2280-3
  • Soul Brothers: Men in the Bible Speak to Men Today (with art by Louis S. Glanzman) (Orbis Books (USA), 2004) ISBN 978-1-57075-534-7
  • From Wild Man to Wise Man: Reflections on Male Spirituality (with Joseph Martos) (St. Anthony Messenger Press, 2005) ISBN 978-0-86716-740-5
  • Job & the Mystery of Suffering (1996, reissued by Gracewing, 2006) ISBN 978-0-85244-308-8
  • Things Hidden: Scripture as Spirituality (Saint Anthony Messenger Press, 2008) ISBN 978-0-86716-659-0
  • Preparing for Christmas: Daily Meditations for Advent (Franciscan Media, 2008) ISBN 978-1-61636-478-6
  • The Naked Now: Learning to See as the Mystics See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2009) ISBN 978-0-8245-2543-9 [31]
  • Wondrous Encounters: Scripture for Lent (Saint Anthony Messenger Press, 2010) ISBN 978-0-86716-987-4
  • A Lever and a Place to Stand: The Contemplative Stance, the Active Prayer (Paulist Press, 2010) ISBN 978-1-58768-064-9
  • Breathing Under Water: Spirituality and the Twelve Steps (Saint Anthony Messenger Press, 2011) ISBN 978-1-61636-157-0
  • Falling Upward: A Spirituality for the Two Halves of Life (Jossey-Bass, 2011) ISBN 978-0-470-90775-7
  • A Companion Journal to Falling Upward: A Spirituality for the Two Halves of Life (Jossey-Bass, 2013) ISBN 978-1-118-42856-6
  • Immortal Diamond: The Search for Our True Self (Jossey-Bass, 2013) ISBN 978-1-1183-0359-7 [32]
  • Yes, And...: Daily Meditations (Franciscan Media, 2013) ISBN 978-1-61636-644-5
  • Silent Compassion: Finding God in Contemplation (Franciscan Media, 2014) ISBN 978-1-61636-757-2
  • Eager to Love: The Alternative Way of Francis of Assisi (Franciscan Media, 2014) ISBN 978-161636-701-5
  • What the Mystics Know: Seven Pathways to Your Deeper Self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2015) ISBN 978-0824520397
  • A Spring Within Us: Daily Meditations (Center for Action and Contemplation, 2016) ISBN 978-1-62305-037-5
  • The Divine Dance: The Trinity and Your Transformation with Mike Morrell (Whitaker, 2016) ISBN 978-1629117294 [33]
  • Just This: Prompts and Practices for Contemplation (Center for Action and Contemplation, 2017)
  • The Universal Christ: How a Forgotten Reality Can Change Everything We See, Hope For and Believe (Convergent Books, 2019) ISBN 9780281078622
  • The Wisdom Pattern: Order, Disorder, Reorder (Franciscan Media, 2020) ISBN 978-1632533463

Contributions[edit]

  • Foreword in Roots of Violence in the U.S. Culture: A Diagnosis Towards Healing by Richard Alain (Blue Dolphin Publishing, 1999) ISBN 978-1-57733-043-1
  • Foreword in Meal Stories: The Gospel of Our Lives by Kathleen Casey (Thomas More Association, 2000) ISBN 978-0-88347-495-2
  • "Sadness" in The Yale Journal for Humanities in Medicine, (October 11, 2004).[34]
  • The Franciscan Opinion in Stricken by God? Nonviolent Identification and the Victory of Christ, ed. by Brad Jersak and Michael Hardi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8) ISBN 978-0-8028-6287-7)
  • 25 Books Every Christian Should Read, Julia L. Roller, ed.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2011) ISBN 9780062098665
  • Hungry, and You Fed Me: Homilies and Reflections for Cycle C, Jim Knipper, ed. (Clear Faith Publishing, 2012)
  • God for Us: Rediscovering the Meaning of Lent and Easter, Greg Pennoyer, ed. (Paraclete Press, 2013) ISBN 978-1612613796
  • Naked, and You Clothed Me: Homilies and Reflections for Cycle A, Jim Knipper, ed. (Clear Faith Publishing, 2013)
  • Sick, and You Cared for Me: Homilies and Reflections for Cycle B, Jim Knipper, ed. (Clear Faith Publishing, 2014)
  • Spiritual Ecology: The Cry of the Earth, Llewellyn Vaughan-Lee, ed. (The Golden Sufi Center, 2016) ISBN 978-1941394144
  • Foreword in The Sacred Enneagram by Christopher L. Heuertz (Zondervan, 2017) ISBN 9781683666998

References[edit]

  1. ^ Paul Elie (May 21, 2018). "The Spiritual Nearness of Wim Wenders's "Pope Francis: A Man of His Word"". New Yorker.
  2. ^ Tippett, Krista (April 13, 2017). "Richard Rohr — Living in Deep Time"The On Being Project. Retrieved 2018-06-05.
  3. ^ "November 11, 2011 ~ Richard Rohr | November 11, 2011 | Religion & Ethics NewsWeekly | PBS"Religion & Ethics NewsWeekly. 2011-11-11. Retrieved 2018-08-06.
  4. ^ "Richard Rohr | Teachers | Spirituality & Practice"www.spiritualityandpractice.com. Retrieved 2018-08-06.
  5. ^ Taylor, Leon (January 1978). "Rohr on the cutting edge of the church". Retrieved February 2, 2015.
  6. ^ "Fr. Richard Rohr to speak at pro-life pilgrimage". March 14, 198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5, 2013. Retrieved August 7,2009.
  7. ^ Crum, Julie (November 16, 1986). "New kinds of church communities". Retrieved August 7, 2009.
  8. ^ "Franciscan Priest To Give Newman Center Lecture". Lexington Herald-Leader. November 4, 1989.
  9. ^ Manson, Jamie (2013). "The Living School". National Catholic Reporter.
  10. ^ Longhurst, Mark (September 19, 2014). "Learning Action and Contemplation at Richard Rohr's Living School Living School". Patheos Emerging Voices.
  11. Jump up to:a b "Living School Lineage and Themes". Center for Action and Contemplation.
  12. ^ "Rohr Wants Christians to see the Trinity as a divine dance". Religion News Service.
  13. ^ "Life On The Edge: Understanding The Prophetic Position"Huffington Post. March 19, 2011.
  14. ^ "'Eager to Love': Author Q&A with Father Richard Rohr, O.F.M."America Magazine. 2014-08-06. Retrieved 2018-08-06.
  15. ^ Sibley, Rev. Bryce (2006). "The Fr. Richard Rohr Phenomenon". New Oxford Review. Retrieved April 7, 2013.
  16. ^ Rohr, Richard. "Fr Richard Rohr's Letter of Endorsement"Soulforce. Retrieved October 23, 2011.
  17. ^ Huff, Gene (March 7, 2000). "Review: Debating homosexuality"The Christian Century.
  18. ^ Rohr, Richard (1999). "Where the Gospel leads us". In Wink, Walter (ed.). Homosexuality and Christian faith : questions of conscience for the churches. Fortress Press. ISBN 9780800631864.
  19. ^ Bell, Rob (July 17, 2014). "What is the Bible?".
  20. ^ "The Intricate Dance of Our True and False Selves". Englewood Review of Books. April 12, 2013.
  21. ^ Greene, Dana (July 23, 2014). "Seize the Franciscan moment, Rohr advises". National Catholic Reporter.
  22. ^ "The Franciscan Alternative Orthodoxy". Center for Action and Contemplation.
  23. ^ "Reclaiming Jesus event brings its message to the White House"National Catholic Reporter. 2018-05-25. Retrieved 2018-08-06.
  24. ^ "Christian crowd vows to 'reclaim Jesus' from polarized U.S." Crux. 2018-05-26. Retrieved 2018-08-06.
  25. ^ "The Perennial Tradition". Center for Action and Contemplation.
  26. ^ Holcomb, J.S. (2017). Christian Theologies of Salvation: A Comparative Introduction. NYU Press. p. 175. ISBN 978-0-8147-6064-2. Retrieved June 5, 2018.
  27. ^ Sanders, Fred (2016-12-02). "Why I Don't Flow with Richard Rohr"The Gospel Coalition. Retrieved 2018-08-06.
  28. ^ McClymond, Michael (2019-09-16). "'Everything is Christ' and Other Muddled Messages from Richard Rohr"The Gospel Coalition. Retrieved 2020-02-23.
  29. ^ Paul, Ian (2019-04-10). "Is Richard Rohr's 'Universal Christ' Christian?"Psephizo. Retrieved 2020-02-23.
  30. ^ "Why We Don't and Won't Ever Carry Richard Rohr"Behind the Catholic Counter. 2011-03-16. Retrieved 2018-08-06.
  31. ^ scienceandnonduality (2017-02-07), Christianity and Unknowing, Richard Rohr, retrieved 2018-08-06
  32. ^ Oprah & Author Richard Rohr: The Search For Our True Self, 2015-02-08, retrieved 2018-08-06
  33. ^ "Richard Rohr wants Christians to see the Trinity as a divine dance - Religion News Service"Religion News Service. 2016-10-19. Retrieved 2018-08-06.
  34. ^ "YJHM: Fr. Richard Rohr, "Sadness""yjhm.yale.edu. Retrieved 2018-08-06.

External links[edit]

녹색사업단의 녹색누리 천인합일, 지구를 살리는 길 | 권병현

녹색사업단의 녹색누리

천인합일, 지구를 살리는 길 | 권병현 한중문화청소년미래숲(2009. 여름호) | 녹색소리/숲과 사람

녹색누리 2010. 4. 21. 11:06
http://blog.daum.net/kgpa/5








숲은 우리가 일궈야 할 미래 / Forest is our future
천인합일(天人合一), 즉 인간이 자연과 하나가 되는 이 사상은 동양사상의 기초이며
자연정복을 위주로 한 서양문화와 대칭되는 동양 특유의 문화다.
환경파괴를 막고 지구를 살리는 방법은 동양의 천인합일 정신 밖에 없다.
- 당대 중국 최고 석학으로 인정받은 지신린 (季羨林) 북경대학교 교수 -



글∙사진 권병현 한중문화청소년미래숲 대표

하늘과 맞선 큰 대가, 황사

본래 인간은 천인합일(天人合一), 즉 자연과 인간이 하나로 공존하는 원리를 믿어왔습니다. 그러나 몇 세기 전부터 서양문명과 기계론적 우주관이 세상에 퍼졌고, 자연은 인간의 무한욕망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산업의 발달은 인간의 유일한 삶의 터전인 지구를 파괴하고 자연의 균형을 깨뜨리고 있는데 우리가 체감할 수 있는 가장 큰 피해가 바로‘황사’입니다. 중국대사이던 시절인 1999년 4월 5일 식목일을 맞아 베이징에 사는 한국인들과 근교 황무지 밀운지역에 무작정 나무를 심었습니다. 한국인들이 중국 땅에 나무를 심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중국 기자들의 질문에“베이징에서 접한 황사를 오늘 서울에 사는 내 딸이 접했다는 마당에 나무 심는 일에 네 땅 내 땅 구별이 어딨냐?”고 답한 것이 중국 언론에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그 후 밀운지역에는 매년 봄 한국인들이 나무를 심어 최초의‘한중우의림’이 조성되었고, 지금은 중국인들이 자주 찾는 식수조림 시범단지가 됐습니다. 임기를 마치고 서울로 돌아온 저는‘한중문화청소년협회(미래숲)’란 비정부단체(NGO)를 만들어 2002년 3월 제1회‘한중미래숲녹색봉사단’을 중국에 파견했습니다. 자연 스스로의 재해가 아닌 우리 스스로가 자초해 만들어낸 최대의 재앙 황사, 이 재앙을 극복하는데 힘을 보태고자 했습니다

자연을 돌이키기 위한 끝없는 도전

올해로 벌써 10년째, 필자는 황사 및 사막화 방지용 방풍림 건설사업에 매진해왔습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10년이지만 처음 이 일을 시작했을 때를 생각하면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집니다. 중국의 공무원, 공산당 간부, 언론인 등 지도층 인사들을 만나 황사의 심각성을 설명하며 양국이 공동으로 대처해보자고 설득했으나 중국 당국은 수년이 지나도록 적극적인 협력 태세를 보이기는커녕 일각에서는 왜 외국인이 나서냐고 비아냥거리기도 했습니다. 또한 사막의 특성상 실현 불가능한 일이라는 전문가들의 고정관념에 맞서야했습니다. 우리의 주장은 간단한 논리입니다. 사막의 최전선을 막지 못하면 이미 사막화가 확대되고 있는 북경과 천진부근은 어찌할 것입니까. 황사가 시도 때도 없이 한국에 불어와도 좋단 말인가요. 방법은 단 하나, 나무를 심어 사막지대를 녹색지대로 바꾸는 것뿐입니다. 그렇게 뜻을 굽히지 않고 일을 추진한 결과, 3~4년 전부터 미래숲이 만든 방풍림이 사막화의 진행 속도를 둔화시키고 황사 발생 규모도 일부 감소시키는 등의 성과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본 공청단, 국가임업국 등 중국 당국도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자연은 서서히 그러나 위대한 모습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관대한 자연은 좋은터전을 사막으로 만든 못난 인간을 용서하고 있는 것일까요.

녹색꿈을 실현할 천인합일의 시작, 숲 만들기

하지만 이러한 부분적인 대응으로 사막화 속도를 다소 늦출 수는 있겠지만 지구촌 전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없는 한 한계가 있습니다. 한국,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 등 역내 국가가 참여하는 범지구적인 협조가 있어야 함은 물론 녹색장성 사업은 단기에 효과를 보기 어려운 만큼 현세대와 후세대로 이어지는 세대 간의 협력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구와 인간이다. 함께 살아남을 수 있느냐 하는 갈림길에서 우리는 지구와 인간의 관계를 다시금 정립해야 합니다. 천인합일(天人合一), 이것이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서로 돕고 살 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 오늘도 꿈을 꿉니다. 미래의 우리 아이들이 맑은 공기를 마시며, 드넓은 초원에서 뛰노는 꿈을 말이죠. 인류 문명의 앞에는 숲이 있고 문명의 뒤에는 사막이 있습니다. 저와 미래숲은 후대에게물려줄‘자연’이라는 아름다운 선물을 위해, 우리의 미래를 짊어질 인재들과 함께 사막에 가서 나무를 심고 또 심을 것입니다.


녹색사업단 블로그

(http://blog.daum.net/kgpa/)

좋아요공감

장자(莊子)의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 연구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KISS

장자(莊子)의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 연구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KISS

장자(莊子)의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 연구
莊子的天人合一思想之硏究

페이스북 트위터 RSS
조원일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간행물 : 동양문화연구 30권0호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발행년월 : 2019년 05월
페이지 : 95-119(25pages)

기관 미인증
 보관함 담기  다운로드함 담기  인용하기
DOI
목차
Ⅰ. 序言
Ⅱ. 이원론적 사고방식과 인간 중심주의 관점에 대한 성찰
Ⅲ. 자연유기체론적 천도사상
Ⅳ. 천인합일
Ⅴ. 結語
참고문헌
키워드 보기
장자 자연 인간 환경 천인합일 莊子 自然 人 環境 天人合一
초록 보기
장자의 자연유기체론은 우주생성론을 기반으로 수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주생성론은 존재적 경로와 가치적 경로라고 하는 양자의 변증적 통일성을 총괄하는데, 그 주요한 함의는 천지만물은 일체라고 하는 자연유기체의 전체적인 측면을 나타낸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존재물의 본성에 의거하여 만물의 내재적 가치를 증명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자는 한 사물의 두 측면으로 존재에 즉하면서 가치에 즉하는 전체적인 관점이다. 또한 장자가 언급한 도는 만물의 근원이며 만물은 도의 구체적인 드러남이기 때문에 도는 만물이 드러내고 있는 보편성과 영속성에서 체현되어, 천지만물이 하나의 자연유기체라고 하는 존재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연유기체의 생동감 있는 의미는 만물이 갖추고 있는 내재적 가치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장자는 인간은 자아실현을 통해서만이 인간은 자신에게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부단히 생명의 한계를 초월할 수 있게 되어 그 생명의 총체성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러한 총체성은 인간이 천지 사이에서 및 천지와의 상호관계를 묘사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즉 생명의 총체성은 곧 천인합일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천인합일의 경지는 진인의 경지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간이 자연과 환경의 상호관계 아래서 표현되어지는 진·선·미라고 하는 세 측면의 조화와 통일의 경지 역시 천인합일의 경지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장자는 정신상에 있어서 도의 본체에 들어맞고 자연에 부합될 수 있어서, 주관과 객관이 합일 되고 만물과 내가 합일되고 천인합일이 되는 커다란 조화를 실현할 때 비로소 정신주체의 절대자유를 체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진정으로 천지의 커다란 아름다움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했다.

[국학이야기]천인합일은 통치사상의 기초 - 주간경향

[국학이야기]천인합일은 통치사상의 기초 - 주간경향

[국학이야기]천인합일은 통치사상의 기초

단군시대부터 내려온 민주주의의 뿌리 “백성이 하늘이다”

“단 한번이라도 그 백성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면, 참으로 크게 걱정할 만한 일이 생긴다. 아래 있는 뭇 백성들은 지극히 약해 보이지만 힘으로 겁을 줄 수도 없고, 지극히 어리석어 보인다 해서 지모(꾀)로써 속일 수 없다. 그들의 마음을 얻으면 그들은 복종하지만, 마음을 얻지 못하면 그들은 곧 떠나가버린다. 떠나고 붙는 것이 털끝만큼의 여유도 허락지 않는다.”

조선왕조의 개국공신인 정도전의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정보위(正寶位)’의 한 구절이다. 고려왕조를 빼앗은 이성계의 역성(易姓)혁명을 천명으로 정당화하기 위한 논리로 비칠 수 있다.

하지만 조선조 초기의 선비들, 특히 정도전은 정몽주를 통해 처음으로 접한 맹자의 혁명사상에 경도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맹자의 ‘민위귀 사직차지 군위경(民爲貴 社稷次之 君爲輕)’의 영향임에 틀림이 없다. 백성이 제일 귀하고, 사직은 다음이며, 군주는 가볍다는 가치관은 가위 코페르니쿠스적 발상이다.

그들은 유학에 새 기풍을 일으켰다. 그것은 군왕도, 사직도 바꿀 수 있지만 백성은 변치(變置)의 대상이 아니라는 생각이다. 백성은 하늘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치관은 하늘의 질서를 인간의 도덕원리로 삼는 천명(天命)과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을 새로운 철학체계로 삼아 새로운 사회질서를 만들게 했다. 이러한 사유체계는 조선초기의 세종대왕이란 성군을 낳게 한 원동력이 아니었을까 싶다.

왕의 자리는 귀하고 높지만, 그 자리(位)를 지키는 방법은 패도가 아닌 인(仁)이어야 했다. 그 자리를 얻는 것도 어짊(仁)으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세종대왕을 있게 한 원동력

이 말은 군주가 어질지 못하면 변치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는 혁명의 논리다. 천지는 만물을 생(生)하는 것으로서 그 마음을 삼고, 만물을 생하는 마음이 천지의 큰 덕이라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인(仁)이라고 여겼다. 천명을 대행하는 군주는 천지처럼, 인간 세상사가 생산적일 수 있도록 어진 마음을 갖출 때 치자로서 그의 보위(寶位)를 유지할 수 있다고 했다.


‘인자인야(仁者人也)’, 즉 어질다는 것은 사람답다는 말이다. 백성을 사람답게 여기는 것이 인(仁)이다. 그래야 그 자리를 지킬 수 있다는 것이다. 군주의 마음이 올바를 때 백성의 마음도 편하다. 임금은 ‘천지생물지심(天地生物之心)’을 그 마음으로 삼아야 한다. 그것이 덕이며 인(仁)이기 때문이다. 군주는 생산에 직접 참여하지 못하나 군주의 뜻을 따라 백성이 대신한다. 이 생산이 군주의 권력 기반이 되는 것이다. 오늘날 민주주의의 뿌리정신이기도 하다.

이런 천인합일 사상은 맹자 이전인 단군시대, 환웅시대에 시작됐다. 하늘의 형상이 사람이라는 생각은 천부경에 뿌리를 두고 있다. 천지만물이 하나에서 시작하고 천지의 기운이 사람이 됐다는 사유체계는 세종대왕의 “백성이 하늘이다”란 정신으로, 동학의 인내천(人乃天)으로 면면히 전승되었다. 정치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우리 시대에 천지 마음이 무엇인지 깊이 고민해야 할 명제다.

이형래〈세계역사문화연구소장〉


원문보기:
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10109&code=116#csidx04aba7093e449b7b78c35b87e9b69cc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

유교개념용어

 유학에서 하늘과 사람은 합일체라는 학설.   유교교리.

입학도설 / 천인심성합일지도
분야
유교
유형
개념용어
영역닫기영역열기 정의
유학에서 하늘과 사람은 합일체라는 학설.유교교리.
영역닫기영역열기내용
『중용』에서는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이라 하여 인간 존재의 본질인 성(性)을 천명과 동일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성이라는 글자의 모양이 ‘忄(心)’와 ‘生’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살려는 마음’·‘살려는 의지’로 이해할 수 있는데, ‘살려는 의지’는 인간의 지각(知覺)이나 의식(意識)을 초월한 본질적인 것으로서 깊은 잠에 들었을 때도 심장을 움직이고 호흡을 하게 하는 근원자인 것이다.
인간 존재의 본질로서의 성은 한 개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있는 동일한 것이며, 또한 만물에 내재되어 있는 생(生)의 본질과도 동일한 것이다. 말하자면, 개체의 본질이 바로 전체의 본질인 것이다.
다만 개체의 본질을 가리켜 말할 때는 성이라 하고 만물 전체의 본질을 가리켜 말할 때는 하늘의 작용이라는 의미로서 천명이라고 한 것이지, 성과 천명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인간은 개체적 존재이면서 본질적으로는 전체적 존재이며 그러한 의미에서 하늘과 사람은 합일체라는 것이다.
인간은 성장하면서 감각 기관이 발달하게 되는데 이 감각 기관은 육체를 중심으로 하여 남과 나를 구별하는 쪽으로 작용하여 점차 인간은 전체적 존재로서의 본질을 잃게 된다. 그러므로 전체적 존재로서의 본질을 잃지 않은 상태의 인간이란 바로 갓 태어난 아기의 모습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맹자는 ‘대인자 불실기적자지심자(大人者 不失其赤子之心者)’라 하여 그가 이상적 인간으로 설정한 대인은 갓 태어난 아기 때의 마음을 잃지 않고 보존하는 자라고 설명하였다. 이 때의 대인은 천인합일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맹자는 이미 전체적 존재로서의 본질인 천명의 성을 잃어버린 사람이 마땅히 해야 할 과제로서 학문을 설정하고, 학문의 길은 잃어버린 마음을 다시 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는 또 ‘진기심자 지기성야 지기성 즉 지천의(盡其心者 知其性也 知其性 則知天矣)’라 하여 전체적 본질로서의 성을 다시 구하는 과정으로서 학문의 길을 진심(盡心)·지성(知性)·지천(知天)의 세 단계로 세분하였다.
『중용』에서는 성을 다시 구하여 천인합일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성(誠)의 실천을 제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오직 천하의 지성(至誠)이라야 능히 자기의 성을 다하니 자기의 성을 다하면 남의 성을 다하고 남의 성을 다하면 물(物)의 성을 다하며 물의 성을 다하면 천지의 화육(化育)을 도울 수 있고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으면 천지와 더불어 그 작용에 참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심(心)을 다하여 성(誠)을 실천하고 천명의 성(性)을 다시 구하여 천인합일이 되면 인간은 개체적 존재를 극복하여 전체적 존재를 실천하게 되는데, 그러한 때의 인간 행위의 구체적인 표현으로 맹자는 ‘여천지동류(與天地同流)’라 하였다.
『주역』에서는 “천지와 그 덕을 합하고 일월(日月)과 그 밝음[明]을 합하고 사시(四時)와 그 차례[序]를 합하고 귀신과 그 길흉을 합하여 천지와 혼연일체가 되어 같이 흐른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따라도 법도에 어긋나지 아니하였다”라고 한 공자의 실천 세계도 또한 천인합일의 세계로 이해할 수 있다.
천인합일사상은 인간을 본질적으로 전체적인 조화 속에서 존재하는 자로 봄으로써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성선설을 도출하게 되는데, 전국 시대 말기에 태어나 투쟁이 계속되고 있는 사회적 현실을 직시하면서 투쟁에 염증을 느끼고 그 해결 방법을 모색하려던 순자(荀子)는 성선설이나 천인합일사상을 신뢰하지 않았다.
그는 투쟁의 직접적인 해결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인간은 본질적으로 서로 투쟁하게 되어 있다고 봄으로써 성악설을 제창하고 아울러 천인분리사상을 주창하여 인간은 천의 의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간 스스로의 힘에 의해 인간 사회의 조화와 질서를 이루어야 한다고 하고 그 원리로서 예(禮)를 강조하였다.
한대(漢代)의 동중서(董仲舒)는 “하늘도 인간과 같은 희로애락이 있다”고 설명함으로써 천인합일사상을 더욱 발전시켰다.
당말(唐末)의 이고(李翺)는 천인합일의 방법론으로서 복성론(復性論)을 제창하고 다시 복성의 방법으로서 성(誠)의 실천과 멸정(滅情)을 제시하였는데, 주돈이(周敦頤)에 이르러 이는 성(誠)의 실천과 무욕(無欲)으로 계승되고 또 복성의 객관적인 방법으로서 우주론이 전개되었다.
주돈이의 사상은 다시 장재(張載)·정이(程頤) 등을 거쳐 주희(朱熹)에 이르러 성리학으로 완성되는데, 주희는 성의 실천과 무욕을 거경(居敬), 우주론을 궁리(窮理)로 집약하여 복성의 방법을 거경과 궁리로 정리하였다.
한국 유학에서는 천인합일사상보다 더욱 밀도가 높은 천인무간사상(天人無間思想)이 발달하였다. 천인합일이 천과 인이 분리되었다가 다시 합일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면 천인무간은 천과 인이 애당초 간격이 없이 하나라는 의미이다.
천인무간사상에서 나타나는 한국적 특징으로는 궁리보다도 복성의 직접적인 방법인 거경을 중심으로 하는 고도의 수양철학(修養哲學)과 지치주의운동(至治主義運動)과 같은 강렬한 정치적 실천 의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천인무간의 사상은 인간의 감정까지도 긍정하게 되어 천의 의지를 인간이 따른다는 천 중심의 천인합일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를 천이 따른다는 인간 중심의 천인합일사상으로서 인내천사상(人乃天思想)이 발달하게 된다.


영역닫기영역열기 집필자
집필 (1996년)
이기동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
=============


유학의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에 대한 현대적 해석 - 성(誠)과 성실(誠實)을 중심으로-
关于儒学“天人合一”思想的现代诠释: 以“诚”和“诚实”为中心


한글판<유교문화연구>

2011, vol.1, no.18, pp. 37-62 (26 pages)

윤사순 /Youn, Sa-Soon 1


1고려대학교

초록

천인합일사상은 안신입명(安身立命)을 지향하는 ‘유학의 궁극적 이상’임과 아울러 유학 사상을 사실상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유학의 한 대표적 특징’이다. 그런 만큼 이 사상에 대한 현대적 해석은 유학의 현대적 실용성을 탐색하는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유학 가운데서도 천인합일을 가장 구체적으로 논한 서적은 『중용』인데, 거기서는 그 실현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오직 천하의 지성(至誠)이라야만 그 성(性)을 다 할 수 있고, ....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으면 천지와 더불어 병립(參)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에 더해, “성(誠者)은 천도(天之道)이고. 성하려는 것(誠之者)은 인도(人之道)”라고도 한다. 이로 보면, 천인합일의 성취방법은 두 가지로, ‘성(誠)에 기초한 진성(盡性)’의 방법과 인도를 천도에 합치시키는 ‘원리(原理)차원’의 방법이 그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의 구사로 천인합 일을 구현하려 할 때, 그 구현을 불가능한 듯이 보이게 하는 사유가 발견된다. 그 하나는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이 이질적 성(性)이므로, 그것들의 일원화(一元化)를 전제한 천인합일은 구현될 수 없지 않느냐는 사유이다. 또 하나는 도(道)로서의 ‘리(理)’개념의 의미 가운데는 소이연(所以然)과 소당연(所當然)이 드는데, 이것들 또한 동일하지 않은 의미이므로, 인도와 천도의 원리적 합일에 난관으로 인지된다. 이것들의 극복이 천인합일의 성취에 있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먼저 알아야 할 점으로, 이 두 가지 사유는 특히 사회의 대인차원에서 선악(善惡)의 야기를 감안하여 ‘본성’과 ‘기질성’을 이분화한 관점에서 고려되는 사유이지, 자연에 대한 대물차원에서 고려하는 사유가 아니라는 점이다. 더욱이 천인합일 논의는 물성인 기질성이 가치중립(價値中立)임을 전제 하고, 본성과 기질성의 원천인 생명(生命)자체의 ‘생성현상(生成現象)의 특성’만을 논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두 문제의 해결은 다 형식논리를 벗어나 ‘생성논리’를 적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첫째 본성을 대표하는 인(仁)이 그 본래의 애인(愛人)의 의미를 간직하면서도, 그것을 대물차원에로 확대하여 애물(愛物)과 생의(生意)와 생물(生物), 및 산물(産物) 의미로 운용해야 한다. 이는 본성을 보존하면서도, 그것을 기질성과 동일시하도록 하는 작업이다. 둘째 우주 생명체관에 입각하면, 그 생명체(有機體)에서 소이연과 소당연이 ‘하나의 일치된 상태’로 생성함을 본다. 생명체의 생성은 각 부분으로는 일종의 기계론적•필연적으로 일어나는 듯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치 목적론적•당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논자가 생성논리라고 한 것은 이러한 이론을 가리킨다. 천인합일을 성취시키는 기본요건인 ‘성(誠)’의 개념에 대한 해석도 성찰할 부분이다. 일찍이 주희는 성(誠)의 의미를 ‘진실무망(眞實而無妄)’으로 해석했다. 이는 적합한 해석이지만, ‘정성’의 의미로 미루면, 사실적 ‘진실’ 의미와 함께 티(瑕疵) 없는 ‘순수(純粹)’ 의미를 더해야만 그 의미가 더 충실해진다고 논자는 판단한다. 이렇게 해석해야 성(誠)의 진실이라는 객체적 성격과 함께 그 주체적 의지적 성격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誠)을 구현하려는 태도는 곧 성실(誠實)이다. 성실할 때 인의(仁義) 같은 선한 본성이 발현된다. 성실은 본성 발현의 근본조건이다, 이는 성(性)이 성(誠)의 조리에 해당함을 시사한다. 이렇게 성실이 그 조리인 성(性)을 드러내는 사실은 성(誠) 자체와 아울러 성실(誠實)을 원리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현상이다. 성(誠)자체는 ‘진실과 순수함’의 가능태로서 보편성과 객관성을 지닌 것이라는 점에서 천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구현인 성실은 ‘진실함과 순수함’의 현실태로서 당위적(요청적)으로 주체화된 보편성 객관성(곧 조리)을 띠는 점에서 인도라 할 수 있다. 성(誠者)이 천도이고 성실의 태도가 인도라는 규정은 이런 사유에서 나왔다고 해야 한다. 성(誠) 또는 성실(誠實)을 천인합일 성취를 위한 기본원리로 규정하는 사유는 성실이 천인합일 성취의 ‘핵심적 열쇠(키워드)’임을 가리킨다. 성실의 이런 위상은 붇다(佛陀)의 경지를 초래하는 선(禪)에 견줄만하고, 노장사상의 자연 상태를 가능케 하는 무위(無爲)에 견줄만하다. 이렇게 이해하면, 천인합일 경지에서 이루는 안심입명의 내용이 불교나 노장사상의 것과 다르다. 성실로 뒷받침되는 안심(安心)은 일단 불안해소를 이룬 점에서 ‘행복(幸福)의 상태’임을 지칭한다. 그렇지만 불교의 무심, 노장사상의 망아나 무아와 달리, 이 상태의 행복은 소아적 이기심으로 인한 방황을 끝내고 대아적 이타가 가능해진 ‘여유로운 심리상태’이다. 이는 성실이 주는 활력(活力)으로 인해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상태임을 시사한다. 입명(立命) 또한 운명에 순종하는 순명(順命)을 넘어, 운명의 충실화를 도모하는 무명(務命)과, 운명을 끊임없이 개척하는 개명(開命)에 든 내용이다. 이런 점은 유학이 지닌 현실적이고 실용적이며 실제적인 특징의 바람직한 실현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지에 든 ‘성인상(聖人像)’도 노장과 불교에서 말하는 성인(聖人)과 다를 수밖에 없다. 노자의 무위로 이룬 진인(眞人), 불교의 고통과 고뇌에서 해탈한 불타와 변별되는 인간이 이 경지의 성인이다. 그는 이미 ‘생명의 광장’에 들어선 까닭에, 일생 동안 생성적인 자강불식을 하면서, 사회와 자연에 대해 스스로 ‘무한책임 의식’을 지니고, 항상 ‘공인(公人)의 태도’로 살아가는 성숙한 인격자이다. 이런 인간상이 오늘날 요청되는 인간상임은 물론이다. 성실을 바탕으로 자신의 인품을 고양하고, 화해로운 사회를 이루면서, 우주 자연의 균형 있는 생성을 저해하지 않고, 그 자연과도 조화로운 생활을 기하려는 ‘천인합일사상’이야말로 현대사상으로서 이용해야 할 실학적인 실용성을 충분히 지닌 사상이다. 현대의 실상을 정시할 때 그렇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为了探索儒学在现代的可用性,笔者试图用现代的理念诠释儒学的终极理想“天人合一”思想。之所以考察此思想是因为笔者认为“天人合一”思想是儒学思想的代表性特征。自古以来,儒学者们把“天人合一”视为理想的原因在于认定此境界使“安身立命”成为可能,并且已经在现实里实现之。《中庸》提示了实现天人合一的方法论,即“唯天下之至诚,为能尽其性。能尽其性,则能尽人之性。能尽人之性,则能尽物之性。能尽物之性,则可以赞天地之化育。可以赞天地之化育,则可以与天地参矣。”进而言之,“诚者天之道,诚之者人之道也。”由此看来,天人合一的成就方法有二:以“诚”为基础的“尽性”之方法和将“人道”与“天道”合而为一的原理层面上的方法。通过实践躬行,可以使“天人合一”变为可能,这就是《中庸》所蕴含的思想。当用上述两种方法来实现“天人合一”时,就会发现如下困难:一,由于人性和物性相区别,二者又具有异质性,而此异质性是阻碍其一元化的因素;二,由于“理”这一概念所蕴含的“所以然”与“所当然”之涵义的不同,因此“人道”和“天道”的原理性合一也难以实现。以上两种因素成为“天人合一”所需解决的课题。这里需要正确理解的是,无论是人性和物性的异质性还是“所以然”和“所当然”的区别,都属于社会对人的层面的因素,而不是自然界里对物层面的因素。以上均源自将“本然之性”和“气质之性”视为异质、二分化的思维。而“天人合一”应该在作为物性的“气质之性”价值中立的基础上,只探讨“本然之性”和“气质之性”的源泉-生命本身“生成现象的特点”即可。因此,只要脱离“形式讨论”而进行“生成讨论”,那么以上两种问题的解决就成为可能。进行“生成讨论”时“本然之性”和“气质之性”的二分化思维问题才得以解决。首先,将代表本然之性的“仁”理解成“爱人”,同时把“仁”扩展到对物层面上,运用在“爱物”、“生意”、“生物”以及“产物”里。这既保存了本然之性,又使之等同于气质之性。其次,根据宇宙生命体观,从生命体(有机体)里可观察到“所以然”与“所当然”同一化的现象。虽然生命体的生成呈现出机械的、必然的生成过程,但是整体上看仍属于有目的的、当为的现象。笔者所指的生成探讨就是指此理论。使“天人合一”成为可能的基本因素“诚”之概念也成问题。朱熹则将“诚”解释为“真实无妄”。这种解释算很恰当。笔者则在此基础上添加事实的“真实”涵义与无瑕疵的“纯粹”涵义,认为只有这样,“诚”之概念才能变得更加充实。这是因为只有这样,“诚”之“真实”这一客体性格和其本来的主体意志性格才得以体现。此时仍需准确把握“诚和性的关系”。“性”即是指“诚”的体现-“诚实”之“法则性条理”。“诚实”实现其条理的“性”的过程就是“诚”与“诚实”原理化的过程。“诚者天之道,诚之者人之道也”,也出自此思维。将“诚”和“诚实”视作是成就“天人合一”之原理的思维,已将“诚实”看作成就“天人合一”的关键所在。“诚实的地位”也在于此。这时的诚实可与使佛教的理想境界“佛陀”成为可能的“禅”相匹敌,也可与使老庄思想的理想境界“自然”成为可能的“无为”相媲美。只有这样,才能重新解读以诚实为基础的“天人合一”之境界。此境界无疑与“安身立命”即“安心立命”有关,但是此时的“安心立命”有别于佛教和老庄思想的“安心立命”。以诚实为基础的安心可消除不安的状态,使个人达到“幸福的状态”。这有别于佛教的无心和老庄思想的忘我和无我。儒学的此状态下的幸福结束了因小我的利己心而彷徨的状态,使之进入“大我的利他”的“充裕的心理状态”里。这表明“诚实”所带来的“活力”开启了人生新的生活。“立命”则超越了服从于命运的“顺命”,包含使生命更加充实的“务命”和不断开拓命运的“开命”之内涵。以上皆是儒学所蕴含的现实的、实用的、实际的特点最理想化的实现状态。此境界里的“圣人像”也区别于老庄和佛教的圣人。与老子的无为的“真人”和佛教的超脱了痛苦和烦恼的“佛陀”相区别的人就是儒学里所讲的圣人。他由于已进入“生命的广场”,一生都自强不息,对社会和自然怀有“无限的责任意识”,以“公人的态度”生存下去的成熟的人格体。此形象无非是现今社会所需的。以诚实为基础、提高自身的人品、构建和谐的社会、顺应宇宙自然的均衡状态、与自然协调发展的“天人合一思想”才是当今社会所需的实学的、实用性的思想所在。面对现代的状况,我们不得不承认此思想。


키워드

천인합일(天人合一),
진성(盡性),
성실(誠實),
천도(天道),
인도(人道)

天人合一, 盡性, 誠實, 天道, 人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