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17
[한국, 소통합시다]서재진-이종석 대담 어땠나 - 경향신문
[한국, 소통합시다]서재진-이종석 대담 어땠나 - 경향신문
[한국, 소통합시다]서재진-이종석 대담 어땠나이호준기자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공유 더보기
인쇄글자 작게글자 크게
입력 : 2009.08.02 18:27:39
ㆍ‘남북경색 책임’ 반박·재반박…간극은 멀었다
참여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지낸 이종석 전 장관과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비핵·개방 3000’의 이론 작업을 한 서재진 통일연구원 원장의 대담은 처음부터 끝까지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 진행됐다. 의례적인 인사말조차 생략한 두 사람은 본론으로 곧장 직행했다. 대담은 지난달 21일 오후 경향신문사 인터뷰실에서 2시간가량 이어졌다.
포문을 먼저 연 쪽은 서재진 원장. 서 원장은 “처음부터 센 이야기를 좀 하겠다”며 작심한 듯 이명박 정부에 대한 “불통(不通) 정부 딱지붙이기”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이 전 장관은 처음에는 서 원장의 이야기를 경청하거나, 견해가 엇갈리는 지점을 우회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촛불시위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엇갈리면서부터는 양측 모두 한 치의 물러섬 없이 맞붙었다. 대담의 열기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으로 옮아가면서 절정으로 치달았다. 서 원장이 “ ‘비핵·개방 3000’이라는 새정부의 대북정책을 써보기도 전에 북한이 먼저 문을 닫았다”며 북한의 내부문제에서 남북경색의 원인을 찾자, 이 전 장관은 “새로운 대북정책을 시작하지도 못했을 만큼 전략이 부재했던 것”이라는 말로 맞받았고, 두 사람은 반박과 재반박을 거듭하며 치열하게 논쟁했다. 열기가 뜨거워질 무렵에는 양복 상의를 벗고 편하게 이야기하자는 제안도 듣지 못할 만큼 양측 모두 토론에 몰입했다.
끝없이 평행선을 달릴 것 같았던 대담은 서 원장이 이 전 장관의 주장에 호응하며 고개를 끄덕이고, 이 전 장관 역시 서 원장의 주장을 일부 수용하면서 접점을 찾는 듯한 모습을 간간이 보이기도 했다. “남북관계 경색의 책임이 전적으로 이명박 정부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이종석)는 분석에 대해서는 “다른 분들은 안 그런데 역시 장관님을 만나니 소통이 좀 되는 것 같다”며 서 원장이 반색했고, 서 원장 역시 “그럼에도 이명박 정부가 남북관계 경색에 대한 절반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이 전 장관의 주장에 고개를 끄덕이면서 반걸음 뒤로 물러섰다.하지만 이런 분위기도 잠시, 대담의 말미에 가서 양측은 다시 원래 주장을 반복하며 원점으로 회귀했다. 두 사람은 “통일문제 연구자로서 서로 책을 보내고 (장관님 책을) 책꽂이에 놓고 참고할 정도”(서재진)로 상대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다는 점은 인정했지만, “같은 대북문제 전문가인데도 (정세분석에서) 이만큼 일치가 안 된다”(이종석)고 할 정도로 간극은 쉽게 좁혀지지 않았다.
대북 정책 주무르는 MB맨은 누구? – 시사IN
대북 정책 주무르는 MB맨은 누구? – 시사IN
현 내정자는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 브레인 가운데 한 명이라 예고된 구원투수 후보군이었다. 여기에 통일부 장관 내정에는 한승주 전 외무부 장관이 힘을 보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인사는 “현 교수의 대학 스승인 한 외무부 장관이 그를 강력하게 추천한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현 내정자는 남주홍 경기대 교수, 김우상(연세대 교수) 주오스트레일리아 대사, 남성욱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소장(고려대 교수), 홍규덕 숙명여대 교수, 김태효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성균관대 교수),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서재진 통일연구원장 등과 함께 핵심 참모 그룹으로 분류되던 인물이다.
이명박 사단의 공통점은 현 내정자나 김태효 비서관처럼 정통 대북 전문가라기보다 국제정치 전문가라는 점이다. 또 미국 박사 출신이 많다. 미국 UCLA 정치학 박사 출신인 현 내정자는 북한 전문가라기보다는 안보와 한·미 관계를 주로 연구해온 보수 성향의 학자다. 시카고 대학 박사 출신인 김 비서관도 한·미동맹을 중시하는 국제정치학자다. 이런 성향 때문에 비핵·개방·3000 등 이 대통령의 대북 정책이 북한의 특수성을 담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 이 대통령이 ‘통미봉남’을 신경 쓰지 않고 ‘기다리는 것도 전략’이라고 판단하는 것도 대통령의 ‘귀’를 잡고 있는 이들의 성향과 무관하지 않다. 이 대통령의 한 핵심 인사는 “국제정치학을 전공한 미국 박사 출신들이라 친미 성향은 부인할 수 없지만, 북을 개혁·개방으로 이끄는 데 용미(用美)를 하겠다는 입장이다”라고 설명했다.
대북 정책 주무르는 MB맨은 누구?
고제규 기자 unjusa@sisain.co.kr 2009년 02월 10일 화요일 제74호폰트
ⓒ청와대사진기자단
현인택 통일부 장관 내정자(맨 왼쪽)는 이명박 대통령의 외교안보 분야 참모로 꼽힌다. |
지난해 12월31일 통일부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남북 대화 재개를 담은 새해 업무 보고를 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통일부 간부들을 강하게 질타했다. 이 대통령은 “과거와 같이 북한에 뭔가를 주고 경제 협력을 하는 것으로 남북 관계가 개선됐다고 생각하는 것은 안 된다. 통일부는 제대로 된 근본적 전략을 세워보라”고 주문했다. 통일부와 대통령의 인식 차가 고스란히 드러난 셈이다. 통일부는 부랴부랴 장기 전략 태스크포스를 만들었다.
이 대통령이 현인택 교수를 통일부 장관에 기용한 것과 이런 인식 차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현 내정자는 2007년부터 이 대통령의 외교안보 자문역을 맡아왔다. ‘비핵·개방·3000’을 비롯해 ‘MB 독트린’도 그의 손에서 만들어졌다.
<저작권자 ⓒ 시사IN (http://www.sisai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자보] `이명박 정부, 대북정책 있는지 조차 의심돼`
[대자보] `이명박 정부, 대북정책 있는지 조차 의심돼`
참여정부 시절 마지막 통일부 장관을 지낸 이재정 전 장관이 최근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관련한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서재진 통일연구원장에 대해 26일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이 있는지 없는지 조차 혼란을 일으킬 정도"라며 강도높은 비판을 가했다.
앞서 이명박 정부의 대통령직 인수위 자문위원을 거쳐 지난달 12일 취임한 서재진 원장은 지난 23일 서울대 통일연구소 주최로 열린 정책포럼에서 "계속 관찰하고 있다. (김정일 위원장은)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해 파문을 일으켰다.
이 전 장관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 "국책연구원 원장이 그런 얘기를 한다는 것은 정말 적절치 않다. 더구나 대화 문제를 운운하면서 얘기한 것은 정부 내에 소통이 되고 있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 장관은 "어떤 부처에 있는 사람이든 대북 정책에 대해서 일관성 있게 나가야 한다. 때문에 이번 발언들은 유감스럽다"며 "더구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표현을 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는 또 '북한이 비정상적이고 잘못된 정권이어서 대화를 해 봐도 소용이 없다'는 서 원장의 발언에 대해서도 "정말 이것이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한다면,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해) 정말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와 관련, 이 전 장관은 '서재진 원장의 발언이 북한을 자극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북을 자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대화 재개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부적절할 발언이었음을 재차 지적했다.
이 전 장관은 "대북정책은 정부 내의 일관성이 제일 중요하다"며 "하지만 현재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정말 있는 것인지 없는 것인지, 혹은 있다면 어떤 것이 기본 입장인지 정말 혼란스럽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까지 6자 회담도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노력해 왔다. 우리 정부로서도 지난 10년간 그런 입장에서 추진해 왔고 이것이 상당한 결실을 맺었다"며 "정확하지도 않은 얘기를 가지고 운운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남북은 대화를 해오면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상대방으로서의 역할을 해 왔다. 두 차례 정상회담도 했다"며 "대화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한다면, 한반도의 긴장 관계 뿐 아니라 동북아 전체에 긴장을 주게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 원장, '김정일 건강악화설 입장 자제하라' 정부에 찬물 끼얹어
이에 앞서 서재진 통일연구원장은 지난 23일 "(김 위원장의 건강 문제를) 계속 관찰하고 있다. 하지만 오래 가지는 못할 것"이라며 "건강이상설이 발표되면서 통일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해 논란을 자초했다.
특히 그는 "김정일 이후의 북한은 개혁개방의 가능성이 훨씬 높고 남북관계도 좋아질 것"이라고 말하는가 하면, "북한 정권은 지극히 비정상적이고 잘못된 정권이어서 아무리 대화해봐야 소용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같은 발언이 뒤늦게 알려지자, 서 원장에 대한 비판이 고조됐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외교안보분야 자문위원을 지내기도 한 서 원장이 국책 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을 이끌면서 적절치 못한 발언을 했다는 것.
즉 정부 부처 당국자의 발언은 아니지만 최근 김정일 위원장의 '건강 이상설' 이후 정부가 공식 언급을 자제하고 있는 상황과, 북한을 대화의 무대로 이끌려는 분위기에 비춰 너무도 상반된 발언을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던 것이다.
그는 당시 "북한이 개혁 개방을 하지않는 게 모든 악의 근원이 되고 있다"며 "김정일 이후의 북한은 개혁 개방의 가능성이 훨씬 높고 남북관계도 좋아질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앞서 이명박 정부의 대통령직 인수위 자문위원을 거쳐 지난달 12일 취임한 서재진 원장은 지난 23일 서울대 통일연구소 주최로 열린 정책포럼에서 "계속 관찰하고 있다. (김정일 위원장은)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해 파문을 일으켰다.
"정말 이것이 정부의 기본입장이라면, 미래 우려하지 않을 수 없어"
이 전 장관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 "국책연구원 원장이 그런 얘기를 한다는 것은 정말 적절치 않다. 더구나 대화 문제를 운운하면서 얘기한 것은 정부 내에 소통이 되고 있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 장관은 "어떤 부처에 있는 사람이든 대북 정책에 대해서 일관성 있게 나가야 한다. 때문에 이번 발언들은 유감스럽다"며 "더구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표현을 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는 또 '북한이 비정상적이고 잘못된 정권이어서 대화를 해 봐도 소용이 없다'는 서 원장의 발언에 대해서도 "정말 이것이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한다면,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해) 정말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와 관련, 이 전 장관은 '서재진 원장의 발언이 북한을 자극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북을 자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대화 재개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부적절할 발언이었음을 재차 지적했다.
이 전 장관은 "대북정책은 정부 내의 일관성이 제일 중요하다"며 "하지만 현재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정말 있는 것인지 없는 것인지, 혹은 있다면 어떤 것이 기본 입장인지 정말 혼란스럽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까지 6자 회담도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노력해 왔다. 우리 정부로서도 지난 10년간 그런 입장에서 추진해 왔고 이것이 상당한 결실을 맺었다"며 "정확하지도 않은 얘기를 가지고 운운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남북은 대화를 해오면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상대방으로서의 역할을 해 왔다. 두 차례 정상회담도 했다"며 "대화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한다면, 한반도의 긴장 관계 뿐 아니라 동북아 전체에 긴장을 주게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 원장, '김정일 건강악화설 입장 자제하라' 정부에 찬물 끼얹어
이에 앞서 서재진 통일연구원장은 지난 23일 "(김 위원장의 건강 문제를) 계속 관찰하고 있다. 하지만 오래 가지는 못할 것"이라며 "건강이상설이 발표되면서 통일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해 논란을 자초했다.
특히 그는 "김정일 이후의 북한은 개혁개방의 가능성이 훨씬 높고 남북관계도 좋아질 것"이라고 말하는가 하면, "북한 정권은 지극히 비정상적이고 잘못된 정권이어서 아무리 대화해봐야 소용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같은 발언이 뒤늦게 알려지자, 서 원장에 대한 비판이 고조됐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외교안보분야 자문위원을 지내기도 한 서 원장이 국책 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을 이끌면서 적절치 못한 발언을 했다는 것.
즉 정부 부처 당국자의 발언은 아니지만 최근 김정일 위원장의 '건강 이상설' 이후 정부가 공식 언급을 자제하고 있는 상황과, 북한을 대화의 무대로 이끌려는 분위기에 비춰 너무도 상반된 발언을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던 것이다.
그는 당시 "북한이 개혁 개방을 하지않는 게 모든 악의 근원이 되고 있다"며 "김정일 이후의 북한은 개혁 개방의 가능성이 훨씬 높고 남북관계도 좋아질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비핵·개방3000' 놓고 진보-보수 학자 충돌 - 오마이뉴스
'비핵·개방3000' 놓고 진보-보수 학자 충돌 - 오마이뉴스
'비핵·개방3000' 놓고 진보-보수 학자 충돌경실련통일협회 토론회.."'과거로 가는 다리'로 퇴행" VS "자립경제 실현의 정책"
08.04.30 18:00l최종 업데이트 08.04.30 18:45l
경실련(ccej89)
(사)경실련통일협회가 30일 오후 서울의대동문회관(함춘회관)에서 개최한 14주년 기념토론회에서 진보와 보수를 대표하는 두 학자들이 날선 공방을 벌였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그리고 북핵'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토론회에서 김연철 고려대 교수와 서재진 통일연구원 교수간에 벌어진 논쟁은 '비핵·개방3000' 구상, 한미동맹 강화, 북핵문제 해결 등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정책에 전반에 대해 진보와 보수간 첨예한 의견대립으로 나타났다.
두 교수는 이날 토론회의 주제발표를 맡았으며, 남북관계 및 북핵해결의 현안을 진단하고,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정책에 대한 평가와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비핵·개방3000' 구상은 주권침해와 흡수통일적 발상으로 북한의 반발이 강할 것이고, 북핵-남북관계의 연계론에 입각한 상호주의적 접근은 '남북관계의 안정적 관리'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김연철 교수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비핵·개방 3000' 구상을 한미양국이 지지함으로써, 북핵 해결 구도가 '행동 대 행동' 원칙 아래 상응조치간 병행 해결론에서 '조건부 선후론'으로 변화했다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달 중순 개최된 한미정상회담을 평가하면서 "한미 전략동맹의 강화는 동북아 질서의 대립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파병문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문제, MD 추진문제" 등은 쟁점이 될 것이며, 결국 "한미 군사동맹 강화는 북핵 폐기의 한 축인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의 필요성과 상충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북핵문제에 대해 "부시 행정부가 북한의 핵실험과 핵무기 보유를 막지 못한 외교적 무능으로 드러나는 것을 차단하는데 힘을 쏟을 것이고, 2008년은 2단계인 불능화 과정이 그럭저럭 진행될 것"으로 보았다.
김 교수는 특히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하여, "평화부문(평화체제, 서해협력)과 핵심경제협력사업(해주, 철도개보수, 조선협력) 이행을 공식적으로 거부했기에, 북한도 강경 레토릭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남북관계의 장기교착과 위기조성은 남한으로 하여금 안보환경의 악화와 국제적인 신용등급의 하락 등 경제 환경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남한은 '북핵문제'에서 '북한문제'로 대북정책의 기조가 변화"하고 있다면서, '비핵·개방3000' 구상은 "주권침해와 흡수통일적 발상으로 북한의 반발이 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불어 "북핵-남북관계의 연계론에 입각한 상호주의적 접근의 근거로 작용"할 것이며, "'과거로 가는 다리'로 퇴행적 역할"이 예상된다고 비판했다. 또한 '비핵·개방3000' 구상은 '남북관계의 안정적 관리'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김 교수는 북핵문제와 관련하여, "남북관계 경색은 한국의 외교력 약화로 이어져 북핵문제 해결 과정에서 정보의 소외에 직면하고, 이는 역할의 축소로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동안 6자회담 장에서 "일본이 걸어왔던 길을 재연할 것"이라고 강하게 우려했다.
"'비핵·개방3000' 구상은 단계론적 접근법으로,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국제금융기구의 차관 도입, 외자 유입,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해 북한 경제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할 수 있을 것."(서재진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서재진 실장은 이명박 정부가 한미공조와 미국 역할을 강조하는데, 이는 "미국이 핵문제 해결의 열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구상과 관련하여, "시간상의 순서가 아니라 정책우선 순서이고, 연계론·조건론이 아닌 단계론"이라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포괄적인 대가를 지불한다는 정책이 '비핵·개방3000' 구상의 핵심"이라고 말하고, "핵문제 해결의 진전 정도에 따라 비핵화 단계, 개방화·정상화 단계, 3000 vision 구현 단계 등 3단계로 나눠진다"고 주장했다. 이는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북한이 체제생존을 위해 필요로 하는 미국·일본과의 국교정상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자립경제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북한의 핵문제 해결, 체제의 개방화와 정상국가화의 과정들이 실현되면, 국제금융기구의 차관 도입, 외자 유입,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해 북한 경제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할 수 있다"는 것이 이명박 정부의 궁극적 정책목표라고 말했다.
서 실장은 한미공조 강화와 관련하여, "한미관계 개선→북미관계 개선→남북관계 개선의 선순환 구조"를 강조하고, "북핵문제 해결의 열쇠를 미국이 가지고 있기에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미국을 활용하여 북핵문제를 해결한다는 전략"이 이명박 정부의 북핵정책이며, 노무현 정부와의 차이점이라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북한의 정상국가화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 "핵문제 해결은 물론, 인권문제, 납치자문제, WMD 확산문제 등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북핵해결을 위한 세 가지 채찍과 네 가지 당근을 주장했는데, 세 가지 채찍은 ▲미국의 북핵폐기에 대한 강력한 의지, ▲중국·한국의 북핵 결사반대, ▲BDA로 경험한 미 재무부의 영향력이다. 네 가지 당근은 ▲북미수교 ▲북일수교 ▲ 경수로 제공 ▲ 핵무기와 경제적 대가 교환 등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두 주제발표자 외에 진보 측에서 고유환 동국대 교수,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국제에디터, 보수측에서 조동호 이화여대 교수, 남궁영 한국외대 교수가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덧붙이는 글 | *경실련 홈페이지에도 실렸습니다. 문의 : 통일협회 02-766-5624
'비핵·개방3000' 놓고 진보-보수 학자 충돌경실련통일협회 토론회.."'과거로 가는 다리'로 퇴행" VS "자립경제 실현의 정책"
08.04.30 18:00l최종 업데이트 08.04.30 18:45l
경실련(ccej89)
(사)경실련통일협회가 30일 오후 서울의대동문회관(함춘회관)에서 개최한 14주년 기념토론회에서 진보와 보수를 대표하는 두 학자들이 날선 공방을 벌였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그리고 북핵'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토론회에서 김연철 고려대 교수와 서재진 통일연구원 교수간에 벌어진 논쟁은 '비핵·개방3000' 구상, 한미동맹 강화, 북핵문제 해결 등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정책에 전반에 대해 진보와 보수간 첨예한 의견대립으로 나타났다.
두 교수는 이날 토론회의 주제발표를 맡았으며, 남북관계 및 북핵해결의 현안을 진단하고,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정책에 대한 평가와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비핵·개방3000' 구상은 주권침해와 흡수통일적 발상으로 북한의 반발이 강할 것이고, 북핵-남북관계의 연계론에 입각한 상호주의적 접근은 '남북관계의 안정적 관리'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김연철 교수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비핵·개방 3000' 구상을 한미양국이 지지함으로써, 북핵 해결 구도가 '행동 대 행동' 원칙 아래 상응조치간 병행 해결론에서 '조건부 선후론'으로 변화했다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달 중순 개최된 한미정상회담을 평가하면서 "한미 전략동맹의 강화는 동북아 질서의 대립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파병문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문제, MD 추진문제" 등은 쟁점이 될 것이며, 결국 "한미 군사동맹 강화는 북핵 폐기의 한 축인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의 필요성과 상충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북핵문제에 대해 "부시 행정부가 북한의 핵실험과 핵무기 보유를 막지 못한 외교적 무능으로 드러나는 것을 차단하는데 힘을 쏟을 것이고, 2008년은 2단계인 불능화 과정이 그럭저럭 진행될 것"으로 보았다.
김 교수는 특히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하여, "평화부문(평화체제, 서해협력)과 핵심경제협력사업(해주, 철도개보수, 조선협력) 이행을 공식적으로 거부했기에, 북한도 강경 레토릭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남북관계의 장기교착과 위기조성은 남한으로 하여금 안보환경의 악화와 국제적인 신용등급의 하락 등 경제 환경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남한은 '북핵문제'에서 '북한문제'로 대북정책의 기조가 변화"하고 있다면서, '비핵·개방3000' 구상은 "주권침해와 흡수통일적 발상으로 북한의 반발이 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불어 "북핵-남북관계의 연계론에 입각한 상호주의적 접근의 근거로 작용"할 것이며, "'과거로 가는 다리'로 퇴행적 역할"이 예상된다고 비판했다. 또한 '비핵·개방3000' 구상은 '남북관계의 안정적 관리'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김 교수는 북핵문제와 관련하여, "남북관계 경색은 한국의 외교력 약화로 이어져 북핵문제 해결 과정에서 정보의 소외에 직면하고, 이는 역할의 축소로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동안 6자회담 장에서 "일본이 걸어왔던 길을 재연할 것"이라고 강하게 우려했다.
"'비핵·개방3000' 구상은 단계론적 접근법으로,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국제금융기구의 차관 도입, 외자 유입,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해 북한 경제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할 수 있을 것."(서재진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서재진 실장은 이명박 정부가 한미공조와 미국 역할을 강조하는데, 이는 "미국이 핵문제 해결의 열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구상과 관련하여, "시간상의 순서가 아니라 정책우선 순서이고, 연계론·조건론이 아닌 단계론"이라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포괄적인 대가를 지불한다는 정책이 '비핵·개방3000' 구상의 핵심"이라고 말하고, "핵문제 해결의 진전 정도에 따라 비핵화 단계, 개방화·정상화 단계, 3000 vision 구현 단계 등 3단계로 나눠진다"고 주장했다. 이는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북한이 체제생존을 위해 필요로 하는 미국·일본과의 국교정상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자립경제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북한의 핵문제 해결, 체제의 개방화와 정상국가화의 과정들이 실현되면, 국제금융기구의 차관 도입, 외자 유입,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해 북한 경제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할 수 있다"는 것이 이명박 정부의 궁극적 정책목표라고 말했다.
서 실장은 한미공조 강화와 관련하여, "한미관계 개선→북미관계 개선→남북관계 개선의 선순환 구조"를 강조하고, "북핵문제 해결의 열쇠를 미국이 가지고 있기에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미국을 활용하여 북핵문제를 해결한다는 전략"이 이명박 정부의 북핵정책이며, 노무현 정부와의 차이점이라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북한의 정상국가화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 "핵문제 해결은 물론, 인권문제, 납치자문제, WMD 확산문제 등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북핵해결을 위한 세 가지 채찍과 네 가지 당근을 주장했는데, 세 가지 채찍은 ▲미국의 북핵폐기에 대한 강력한 의지, ▲중국·한국의 북핵 결사반대, ▲BDA로 경험한 미 재무부의 영향력이다. 네 가지 당근은 ▲북미수교 ▲북일수교 ▲ 경수로 제공 ▲ 핵무기와 경제적 대가 교환 등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두 주제발표자 외에 진보 측에서 고유환 동국대 교수,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국제에디터, 보수측에서 조동호 이화여대 교수, 남궁영 한국외대 교수가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덧붙이는 글 | *경실련 홈페이지에도 실렸습니다. 문의 : 통일협회 02-766-5624
‘비핵.개방.3000’, “넌센스에 가까운 일” - 통일뉴스
‘비핵.개방.3000’, “넌센스에 가까운 일” - 통일뉴스
홈 > 오피니언 > 인터뷰
‘비핵.개방.3000’, “넌센스에 가까운 일”<인터뷰> 이종석, “우리가 가진 지렛대는 남북관계다”②
김치관.박현범 기자 | tongil@tongilnews.com
승인 2008.03.04 14:43:38
▲ 2월 29일 세종연구소 연구실에서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과 인터뷰를 가졌다.
[사진 - 통일뉴스 박현범 기자]
[앞 기사 먼저보기] "HEU, 미 국무부도 회의적으로 보고 있어"
<인터뷰> 이종석, "우리가 가진 지렛대는 남북관계다"①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은 지난해 10월초 평양에서 열린 2차 남북정상회담에 직접 참여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는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짐으로써 ‘나름대로 남북관계, 대북정책은 잘했다’ 이런 얘기를 들을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제공됐기 때문에 나로서도 고마운 것이다”며 “아쉬워하거나 그런 건 없고 좋을 뿐이다”고 말했다.
2005년 정동영 당시 통일부 장관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른바 ‘6.17면담’ 이후 사실상 합의됐던 남북정상회담이 “BDA(방코델타아시아)가 딱 터지면서 북한이 움찔했다”는 것이며, 방해요소인 BDA 문제가 풀리고 핵실험 위기를 거쳐 성사된 것일 뿐이라는 판단이 깔려있다.
그는 “정확히 말하면 2005년 가을에는 남북정상회담이 될 거라고 거의 확신하고 있었다. 또 실제 북한에서 그런 식으로 접근해왔고 서로 간에 인식의 접근이 있었다”며 보다 구체적으로 회담 장소 문제까지 진척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금강산을 많이 염두에 뒀다. 왜냐하면 개성은 회담을 할 만한 장소가 없어서 어렵다”고 밝혔으며, “북한은 제 3국까지도 고려해볼 수 있지 않느냐는 입장이었다. 물론 3국을 주장한 것은 아니지만 북한이 실제로 중요한 제 3국들에게 이 문제를 타진까지 한 걸로 우리가 확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측이 타진까지 한 제 3국은 아마도 중국으로 추측된다.
노무현 대통령이 정상회담 직후 북한의 개혁개방 문제에 대해 새로이 언급한 데 대해 일각에서 “그것도 미처 몰랐느냐”는 반응이 나온데 대해서는 “김정일 위원장이 그 문제를 제기했기 때문에 대통령이 ‘아, 나 정말 몰랐다. 이제 알았다’는 뜻에서 말한 게 아니라 상대방을 이해한다는 입장에서 말한, 정치가들, 지도자들의 정치적인 전략적 발언으로 이해해야 한다”며 “한편으로는 북한에 대해서 이해한다는 뜻이고 국민들한테 우리가 이런 것을 이제는 조심해야하지 않겠느냐 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이 도마에 오르자 “새정부가 들어와서 외교안보 정책을 해나가는 것을 보면서 가급적 서서히 판단하려고 한다”고 전제를 깔았지만 그의 말투는 빨라졌고 우려의 빛이 역력했다.
특히 새정부가 대북정책의 기본 틀로 제시한 ‘비핵.개방.3000’에 대해서는 “대북정책의 1단계는 북한을 비핵 개방으로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가이고, 2단계는 그렇게 비핵 개방된 북한에 대해서 어떻게 이명박 정부의 논리대로라면 3천 달러를 만들어 줄 것이냐이다”며 “이명박 정부가 해야 될 1단계는 없고 멀리 있는 2단계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것은 사람들한테 비춰지기는 결국 대북정책 안 하겠다는 거냐는 얘기로 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더구나 “미국조차도 9.19공동성명과 2.13합의를 통해서 북한이 비핵화를 한다면 뭐를 해주겠다는 것이 아니고, 비핵화 하는 과정에서 미국이 관계개선이나 여러 가지 조치를 통해서 비핵화와 같이 맞물려서 주고받기를 하겠다는 것 아닌가”라고 묻고 “하물며 대한민국이 그런 그림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는 것은 정말 넌센스에 가까운 일이라고 볼 수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새정부의 한미동맹 우선론에 대해서도 “한미동맹은 우리에게 대단히 중요한 거지만 대한민국의 국가목표, 국가이익의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표일 수 없다”며 “동맹으로서 한미관계가 중요하지만 남북관계와 한미관계를 균형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가 갖고 있는 레버리지, 지렛대는 사실은 남북관계다”며 “미국 사람들도 우리들한테 와서 먼저 묻는 건 북한이 어떻게 될 거냐고 묻는다”고 말했다.
북한 연구의 권위자이기도 한 그는 “북한이 지금 변화의 시기, 굉장히 폭넓고 깊은 변화의 과정 속에 들어와 있지 않느냐”며 “남북간의 경제협력이나 여러 가지 정치협력, 군사적 대치상태의 해소, 이런 것들이 보다 더 포괄적이고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외교안보통일 정책은 “단일 외교부서 하나 가지고 해결이 안 된다”며 “장관 몇 사람이 밑에서 써준 것 갖고 하는 것이 아니라 이 문제를 실제로 정책적으로 입안하는 수준에 있는 단위의 실무책임자들이 항상 모여서 논의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참여정부 시절의 NSC(국가안전보장회의)나 안보정책조정회의와 유사한 총괄적 구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새정부가 한때 통일부를 외교부로의 통폐합시키겠다는 논지를 편데 대해서는 “그 어려운 냉전시대에 그런 대결의 논리만 가지고는 안 돼서 평화통일을 지향하고자 박정희 대통령이 69년에 만든 게 통일부다. 그런데 그런 걸 없앤다는 것은 논리도 안 맞고 그런 발상을 했다는 것 자체가 대단히 불행하다”며 “존치가 됐지만 상당히 많이 날개를 꺾어 놓은 다음에 존치가 되는 방향으로 나가는 것도 걱정이 된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지금 대북정책에서 참 어렵고 힘든 것이 국민 컨센서스를 이루는 것, 국민통합을 이루는 것”이라며 참여정부는 상대적으로 진보적 성격 때문에 대북 포용정책을 구사했을 때 보수세력들의 강한 반발을 받았지만 보수적 성격을 가진 이명박 정부가 대북정책의 기조를 대북 포용정책으로 잡아 나간다면 국민통합의 중요한 계기가 올 수 있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오는 9월부터 시작되는 안식년 기간에 미국 스탠퍼드대 객원연구원으로 1년간 다녀올 예정이라는 그는 “과거 정부가 했다고 해서 무조건 그걸 감정적으로 또는 선입견을 가지고 부정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다음은 지난 2월 29일 오전 이종석 전 장관과 세종연구소 연구실에서 나눈 인터뷰 내용이다.
2005년 가을 금강산 남북정상회담 추진
▲ 그는 참여정부 4년간 외교안보통일 정책을 책임졌지만 2차 정상회담에는 참여하지 못했다.
[사진 - 통일뉴스 박현범 기자]
□ 통일뉴스 : 2차 정상회담이 성사됐는데, 참여정부의 마지막 대미를 장식한 정상회담에 참여하지 못해 좀 아쉬움도 있을 법하다. 대신 회담 전에 대통령께 조언을 한 것으로 아는데.
■ 이종석 전 장관 : 사람 사는 게 다 그런 것 아닌가. 지난번 남북 열차시험운행 하는데 나도 초청돼서 갔다. 열차가 휴전선 비무장지대를 지나가는데 이재정 장관이 거기 열차에 탄 초청된 손님들한테 그런 말을 하더라. “내가 이 열차시험운행 하면서 이 역사적인 순간에 다른 것은 다 기쁘고 좋은데 딱 하나 이종석 장관한테 미안하기도 하다”. 왜냐하면 내가 1년 전에 합의해놓고 그 다음에 깨졌을 때도 또 경공업 원자재 주는 고리를 걸어놓지 않았나. 그랬더니 당시 청와대 홍보수석이 “본래 대목은 자기가 지은 집에는 못 들어간다”고 농담을 했다.
대통령을 모신 참모나 장관은 한 시대의 정거장을 운행하는 기관사인 것이고, 나는 4년 동안 내가 한 역할로서 내 임무는 마감이 된 것이고, 거기에 대해서 항상 나름대로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아는 것처럼 정동영 장관 6.17면담 그 이후에 정상회담이 사실상 합의가 된 것이 여러 여건이 조성이 돼서 작년에 한 것이 아니겠나. 남북관계를 개선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했고 또 사실은 참여정부 기간동안 남북관계가 상당히 안정돼 있었고 발전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마 정상회담이 안 됐다면 “뭐 했냐” 이런 욕을 들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짐으로써 “나름대로 남북관계, 대북정책은 잘했다” 이런 얘기를 들을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제공됐기 때문에 나로서도 고마운 것이다.
세상에 자기가 다할 수 있는 건 아니지 않나. 그건 시대적인 상황과 운이 있는 거니까. 그래서 거기에 대해선 그렇게 아쉬워하거나 그런 건 없고 좋을 뿐이다.
□ 2차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통령을 만난 것으로 아는데 그 자리에서 특별히 주문하거나 강조한 것이 있었나?
■ 김정일 위원장과의 대화에서 필요한 사항들이나 우리가 전략적으로 나름대로 판단을 가지고 있었으면 하는 생각들, 판단들, 이런 것들에 대해서 말씀드린 것이다.
□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개혁.개방문제라든지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을 보고 “주변에 참모들이 없었던 것 아니냐. 북측의 입장이나 이런 것을 너무 잘 모르고 간 것 아니냐” 이런 비판도 나오는데.
■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하는 것은 철저하게 내 다음 후임자들이 했던 몫이고 내가 거기에 개입하거나 이럴 수 있는 영역은 없고, 자문 정도 하는 수준이지 전임자가 무슨 거기에 감놔라 콩놔라 할 수 없는 것 아니겠나.
□ 노 대통령의 인식수준이나, 북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참여정부가 도대체 어떤 관점에서 대북정책을 해왔던가에 대한 비판이 있다는 것이다. “북은 개혁.개방 문제를 이렇게 이해하고 있더라”라는 것을 두고 “그제서야 알았느냐”는 지적 같은 것이다.
■ 그것은 그런 게 아닐 것이다. 대통령에게 북한의 입장이나 이런 것에 대해서 그전에 이미 내가 NSC에 있을 때도 말씀드렸다. 물론 그때는 워낙 핵문제가 너무 중차대하다 보니까 북한 전문가인 내가 북한문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말씀드릴 기회는 적었지만 그러나 당연히 그런 말씀드렸고, 알고 있었고 또 이번 참모들도 당연히 그렇게 했을 것이다.
다만 대통령이 그렇게 말한 것은 김정일 위원장이 그 문제를 제기했기 때문에 대통령이 “아, 나 정말 몰랐다. 이제 알았다”는 뜻에서 말한 게 아니라 상대방을 이해한다는 입장에서 말한, 정치가들, 지도자들의 정치적인 전략적 발언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런 걸 놓고 대통령이 모르던 것을 그제서야 안 것처럼 말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우리 대통령이나 참여정부를 지나치게 희화화 하는 것이다. 그런 건 절대 아니라고 본다.
한편으로는 북한에 대해서 이해한다는 뜻이고 국민들한테 우리가 이런 것을 이제는 조심해야하지 않겠느냐 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실제 그것이 상당히 효과가 있지 않았나. 그런 차원에서 보면 되지 대통령이 왜 그걸 모르겠나. 다 안다. 이건 꼭 좀 써달라.
□ 2005년 6.17면담이 있고 나서 정상회담 분위기가 무르익었다고 했는데 어느 정도까지 접근했었나?
■ 정확히 말하면 2005년 가을에는 남북정상회담이 될 거라고 거의 확신하고 있었다. 또 실제 북한에서 그런 식으로 접근해왔고 서로 간에 인식의 접근이 있었다. 거기다가 9.19공동성명이 나오니까 더 그러지 않았겠나.
결정적인 것은 BDA(방코델타아시아) 때문이다. BDA가 딱 터지면서 북한이 움찔했다. 그래서 뒤로 물러섰다. 그전 9월 중순경까지 북한은 고민을 많이 한 것 같다. 우리 입장에서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지만 가급적이면 한반도 내에서 하면 좋겠다는 입장을 제기했다. 북한은 제 3국까지도 고려해볼 수 있지 않느냐는 입장이었다. 물론 3국을 주장한 것은 아니지만 북한이 실제로 중요한 제 3국들에게 이 문제를 타진까지 한 걸로 우리가 확인하고 있다.
이렇게까지 됐는데 BDA가 터지면서 북한이 움찔한 거다. “관계개선과 지원 등을 핵포기와 교환하겠다고 하면서 새로운 경제제제가 뭐냐?” 이렇게 된 거다. 그러면서 점점 북한이 “기다려라. 기다려라” 이렇게 미뤄진 것이다.
그래서 2.13합의가 되고 BDA 문제가 해결되고 난 직후에 북한 입장에서 정상회담을 가로막았다고 생각했던 요소들이 해소됐기 때문에 이제는 정상회담을 할 때라고 했는데, 내가 뭘 알아서가 아니라 정상회담이 안 되는 이유가 그거(BDA 문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남북한 간에 최소한의 신뢰구조가 확보된 것은 이미 2005년 6.17 정동영 장관 때 이미 된 것이다. 그것도 사실 우리가 중대제안을 포함해서 그걸 만들어내기 위한 여러 가지 전략들을 만들어서 그때 임했었다.
□ 남측에서 정상회담 장소를 한반도 내에서 정하려고 했다면 어디를 염두에 뒀나?
■ 우리는 금강산을 많이 염두에 뒀다. 왜냐하면 개성은 회담을 할 만한 장소가 없어서 어렵다.
“북과 소통구조 없이는 외교력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 그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렛대는 남북관계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2006년 5월 통일부 장관 취임후 처음으로 개성공단을 방문하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 - 통일뉴스]
□ 참여정부 인수위 때부터 NSC를 쭉 맡아 왔는데, 요즘 일각에서는 새정부의 외교안보통일 기능이 약하다거나 총괄기능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어떻게 보는지?
■ 새정부가 들어와서 외교안보 정책을 해나가는 것을 보면서 가급적 서서히 판단하려고 한다. 일반 전문가들은 괜찮지만, 나는 전임 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했고, 외교안보 정책에서 내가 한 역할을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상태에서 새정부에 대해서 뭐라고 왈가왈부하는 것은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해서 구체적인 말을 하기는 어렵다.
다만 분명한 것은 대북 문제도 그렇고 외교문제도 그렇고, 많은 문제들이 단일 부처 하나로 해결되기 어려운 성격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서 미국이 이란 제재안을 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한미동맹을 최우선 중시하고 그것에 절대적인 가치를 두는 새정부가 그렇기 때문에 그걸 동의할 것인가 하는 문제인데, 또 한편으로 이란은 우리에게 대단히 중요한 경제적 파트너다. 자원외교를 중시하는 입장에서 보면 또다른 문제가 발생한다는 말이다. 이 두 가지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한다.
이런 문제들은 단일 외교부서 하나 가지고 해결이 안 된다. 경제 하는 사람도 포함해 종합적으로 국가전략을 보는 사람들이 모여서 얘기를 해야 하는 것이다.
대북문제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다. 북한 핵문제라는 것이 외교부 하나의 문제가 아니다. 북한을 어떻게 설득해야 되느냐는 문제이고, 북한을 설득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우리가 9.19공동성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봤지만 남한이 직접적으로 북한하고 의사소통하는 구조, 설득할 수 있는 소통구조를 갖고 있지 못한다면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외교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우리가 갖고 있는 레버리지, 지렛대는 사실은 남북관계다. 미국 사람들도 우리들한테 와서 먼저 묻는 건 북한이 어떻게 될 거냐고 묻는다. 다시 말해서 미국 사람들은 우리가 북한에 대해서 확실한 의사소통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 그만큼 잘 알고 있으며, 한국에게 거기에 대해서 많은 걸 의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대북정책에서 가끔 이견도 있지만 그런 점에서는 통일부의 입장이라는 게 대단히 중요하다. 통일부가 하는 인식이 중요하다. 외교부는 외교부대로 외교적 관점에서 문제를 볼 것이다. 그 다음에 핵문제 같은 경우는 안보적 차원이 있으니까 또 거기에 따라서 국방부가 보는 것도 있을 것이다. 정보적인 문제가 있으니까 국정원도 있다. 그러면 이런 부서들이 당연히 모여 가지고 이 문제를 어떻게 할 거냐를 끊임없이 논의를 해야 된다.
그런데 논의는 장관 몇 사람이 모여서 논의가 되는 것이 아니고, 장관 몇 사람이 밑에서 써준 것 갖고 하는 것이 아니라 이 문제를 실제로 정책적으로 입안하는 수준에 있는 단위의 실무책임자들이 항상 모여서 논의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그런데 새정부에서 그런 구조들이 어떻게 형성될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그림이 안보이니까 나한테 질문하는 것인데 그런 구조가 정말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 쉽게 말해서 참여정부 같은 경우는 NSC 같은 형태로 소화를 하려고 했던 그런 기능들이 차기 정부에서도 어떤 형태가 됐든 필요하다는 뜻인가?
■ NSC 다음에 안보정책 조정회의로 바뀌었지만 구조는 NSC랑 같았다. 밑에서부터 의논해서 올라왔으니까.
그것은 해보면 느낄 것이다. 그러나 해보고 느껴서 시행착오를 겪어서 만드는 것보다 역사적으로 각 정부들이 해왔던 경험은 모두 다 자기 경험으로 생각하고 하면 전략을 운용하는데 국가가 얼마나 편하겠나.
“통일부 존치됐지만 날개 꺾어 놓아 걱정”
▲ 2006년 6.15통일대축전 당시 목포 유달산에서 북측 당국대표단 김영대 단장과 함께 한 이 전 장관. [자료사진 - 통일뉴스]
□ 새정부가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가겠다든지 특히 통일부 자체를 통폐합 한다든지 이런 이야기까지 나왔고, 이런 것들이 큰 틀에서 이명박 정부의 구상의 일단을 드러낸 것이라고 보이는데, 우려가 되는지?
■ 일단 통일부는 존치가 됐지만 통일부가 통폐합돼야 된다는 그런 논리에는 아마 글로벌 스탠다드 차원에서 남북관계를 보아야 하고, 외교적 입장에서 봐야 된다는 인식이 내면에 있었을 것 같은데, 이 문제에 대해서 새 정부가 해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내용들을 살펴보면 전혀 그렇지도 않은 얘기들이 나왔다.
뭐 북한하고 밀실협상을 해서 그렇다. 우리가 밀실협상을 언제 했나. 또는 무슨 이제는 남북관계가 많이 발전해서 각 경제부처에다 줄건 다 주고 그래야 된다. 아니 남북관계가 그렇게 발전했으면 참여정부 국민의 정부가 무척 잘한 것 아닌가. 그러나 그렇더라도 여전히 그렇게 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조절하고 뭔가 콘트럴할 수 있는 타워가 필요하다.
어쨌든 간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식론적으로 보자면 글로벌 스탠다드에 남북문제를 맞추겠다는 것은 장기적인 방향으로는 옳을지 모르지만 현실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현실의 남북관계는 우리가 북한에게 글로벌 스탠다드로 문제를 풀자라고 말해서 되는 것이 아니고 북이 우리에게 하는 태도와 행동과 인식이 있고, 그것을 우리가 끌고 가면서 보다 더 보편적 스탠다드로 계속 지향해온 것이다.
10년 전보다 지금이 더 많이 됐지만 아직도 여전히 특수한 문제들을 안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외교적인 시각과 외교적인 방법과 외교적인 맥락만 갖고 북한하고 대화하고 접촉했을 때는 풀려지지 않는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러니까 외교관들도 남북문제를 해보면 외교협상보다 몇 배 더 어렵다고 하지 않느냐.
더욱이 한나라당 의원들과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같이 발의해서 2005년에 만든 ‘남북관계 발전 기본법’에 남북관계는 민족내부의 특수관계라는 게 규정돼 있다.
또 노무현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이 통일부를 만든 것도 아니고 그 어려운 냉전시대에 그런 대결의 논리만 가지고는 안 돼서 평화통일을 지향하고자 박정희 대통령이 69년에 만든 게 통일부다. 그런데 그런 걸 없앤다는 것은 논리도 안 맞고 그런 발상을 했다는 것 자체가 대단히 불행하다. 또 존치가 됐지만 상당히 많이 날개를 꺾어 놓은 다음에 존치가 되는 방향으로 나가는 것도 걱정이 된다.
통일부가 남북관계를 진전시킨다는 것은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이고 우리 국민들의 삶과 경제적인 안정성을 더 증진시켜 나가는 일이고, 또한 한편으로 대한민국 외교가 국제사회에서 자기역량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일이다. 이 모든 게 남북관계에서 나오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동맹으로서 한미관계가 중요하지만 남북관계와 한미관계를 균형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참여정부가 외교안보 전략기조로 4가지를 내세웠는데 그 중에 외교기조는 ‘균형적 실용외교’이다. 실용외교라는 것은 우리도 실용외교 하려고 했다. 그러나 실용외교를 어떻게 할 거냐. 균형을 맞춰야 된다는 거다. 이란 문제만 해도 그럼 한미동맹 때문에 그걸 할 거냐. 아니면 자원외교와 여러 가지 중동관계를 생각해서 미국의 제안을 거부할거냐. 이게 쉬운 게 아니지 않느냐.
한국이 미국과의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를 지향하지만 당장은 안 된다. 그러나 균형을 잡아가는 호혜적 관계로 가야만 된다. 그런 것 아니겠나. 그런 차원에서 문제를 보고. 그러기 위해서는 통일부가 외교부와 영역이 다르면서도 유기적으로 협조함으로써 굳건하게 서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비핵.개방.3000, “1단계는 없고 2단계 이야기하는 것”
▲ 그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사진 - 통일뉴스 박현범 기자]
□ 이명박 정부의 지금까지 나온 대북정책으로는 ‘비핵.개방.3000’이 가장 대표적이고 이하 ‘나들섬’ 이런 몇 가지가 나왔다. 큰 틀에서 비핵.개방.3000이 선핵포기를 전제로 하고 북한의 개혁개방을 공개적으로 거론하는데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은데 어떻게 보나?
■ 그것은 내가 좀 이야기하고 싶다. 요즘 조금 다른 완화된 얘기를 가끔 던지기는 하지만 지금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의 그림으로 나와 있는 건 ‘비핵.개방.3000’ 이외는 없다.
그런데 이것이 갖는 가장 큰 문제점은 뭐냐면 북한이 비핵하고 개방하면 3천달러를 만들어 주겠다는 것인데, 지금 중요한 것은 북한이 비핵하고 개방하는 것을 어떻게 가능하게 할 것인가. 그 과정을 어떻게 우리가 제대로 밟아 갈 거냐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대북정책의 1단계는 북한을 비핵 개방으로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가이고, 2단계는 그렇게 비핵 개방된 북한에 대해서 어떻게 이명박 정부의 논리대로라면 3천 달러를 만들어 줄 것이냐인데, 1단계가 없이 2단계가 없다는 것이다. 정책의 가장 유효한, 즉 이명박 정부가 해야 될 1단계는 없고 멀리 있는 2단계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것은 사람들한테 비춰지기는 결국 대북정책 안 하겠다는 거냐는 얘기로 될 것이다.
그것은 또 어떤 것과도 안 맞느냐면 지금 미국조차도 9.19공동성명과 2.13합의를 통해서 북한이 비핵화을 한다면 뭐를 해주겠다는 것이 아니고, 비핵화 하는 과정에서 미국이 관계개선이나 여러 가지 조치를 통해서 비핵화와 같이 맞물려서 주고받기를 하겠다는 것 아닌가. 미국조차도 북한이 비핵화를 하면, 즉, 선핵포기를 하면 무엇을 해주겠다고 하는 것이 아니고 북한의 핵포기를 위해서 자기들은 어떤 조치들을 하겠다고 합의해서 정책으로 밀고 나가고 있는데 하물며 대한민국이 그런 그림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는 것은 정말 넌센스에 가까운 일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지금 이명박 정부의 논리구조로만 본다면 미국이나 국제사회가 열심히 노력해서 일단 비핵개방 될 때까지는 우리가 별로 할일이 없는 것 아닌가. 북한이 비핵 개방됐다고 치자. 그럼 우리는 3천 달러 만들어주기 위해서 우리가 막 돈을 투입한다고 하자. 북한이 비핵 개방되는데 우리가 역할을 제대로 못했다면 그 이후에 북한문제에 대해서 무슨 영향력을 갖겠나.
우리가 비핵 개방되는 과정 속에 어떤 노력을 하고 우리의 역할이 들어가야만 그 다음 북한문제에 또 여전히 나름대로 주도력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는 것 아니겠나. 그래서 비핵.개방.3000이라는 것은 글쎄 정책을 어떻게 해나갈지 모르지만 자체의 논리구조상 본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래서 요즘 조금 얘기가 달라지는 것 같은데 달라진다면 달라지는 구체적인 상을 대안적으로 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새정부는 참여정부를 비판적으로 보면서 한미동맹 우선론, 한미동맹 강화론을 토대로 삼아서 대북정책까지를 포함한 모든 대외정책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많이 표현하고 있는데 이 점에 대해서 어떻게 보는지?
■ 글쎄 한미동맹 강화, 실용주의 이야기를 하는데, 좀 불편한 점도 있다. 어느 정부나 한미동맹을 강화하려고 노력하지 않은 정부는 없는 것이다. 그것이 비춰졌을 때 물론 인식의 차이가 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실용주의도 마찬가지다. 누구나 다 실용하려고 한다. 말의 성찬처럼 나의 것이라고 특화시키는 것이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한다면 한미동맹은 중요하고 강화시키고 항상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그러나 한미동맹이 중요한 이유는 대한민국의 국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하면 한미동맹이 외교안보에서 갖는 의미는 대한민국의 평화와 안정이나 대한민국의 국가이익, 국가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 아닌가. 그렇기 때문에 한미동맹은 우리에게 대단히 중요한 거지만 대한민국의 국가목표, 국가이익의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표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한반도 평화와 안전을 위해서 한미동맹을 강화시켜야 되지만 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한미동맹 하나만 가지고는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북한하고 관계가 안 좋고 투닥투닥거리고 총질이나 하게 되면 한반도 평화안정이 이루어지겠나. 거기에다 성장하는 거대한 세력인, 또 우리 한국과 무역관계에서 엄청난 거래를 하고 있고 우리가 많은 흑자를 본 중국이 바로 우리 옆에 있는데 그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키면 한반도 평화 안전과 경제발전이 이루어지겠는가. 따라서 한미동맹은 대단히 중요하지만 항상 균형이 있어야 된다.
“남북관계도 중요한 것이고 한중관계도 중요하다. 그러나 한미관계는 시장경제와 민주주의라는 공동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전통적 동맹관계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다” 이렇게 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마치 그것 외에는 없는 것처럼 사람들에게 보이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잘못이고, 바로 그런 점에서 사람들을 쓸 때나 정책을 운영할 때도 보다 균형된 시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포괄적이고 균형적인 시각이 바로 한미동맹이나 또는 실용외교에 당연히 같이 가미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명박 정부가 대북 포용정책 나서면 국민통합 중요 계기 올 것”
▲ 새정부에 대북 포용정책을 주문한 그는 오는 9월 스탠퍼드대 객원연구원으로 떠난다.
[사진 - 통일뉴스 박현범 기자]
□ 북한이 작년 연말에 ‘전국지식인대회’를 하면서 2012년까지 강성대국을 만들겠다고 이야기했는데, 일각에서 우려하는 것은 지금 같은 추세로 간다면 북한이 중국 의존적으로 가지 않을까이다. 북한과 중국 관계에 대해서 책도 쓰고 연구도 많이 했는데, 중국과 미국과의 관계 속에서 과연 북한이 어떤 균형점을 가질 수 있을까에 대해서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일부에서는 “북이 그러기야 하겠느냐. 남측에 달려있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다.
■ 역사 구조적으로 본다면 북한이 지금 변화의 시기, 굉장히 폭넓고 깊은 변화의 과정 속에 들어와 있지 않느냐. 이 속에서 어쨌든 앞으로 한반도의 미래가 평화적이고 통일지향적으로 펼쳐질 것이라고 본다.
이렇게 보는 전제 하나는 대한민국이 이 문제를 주도해 나가야만 그게 되는 것이지 그렇지 않으면 한반도 통일의 과정에서 다시 외세가 개입되고 복잡해질 수 있는 가능성은 우리가 역사에서 봤고 또 논리적으로도 그렇고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금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북한이 어느 쪽을 더 선호할 것이냐 하는 그게 중요한 것이라기 보다는 대한민국이 남북관계를 북한의 변화보다도 더 높은 수준으로 빨리 가져가야 된다.
또 한편으로 현재 발생하고 있는 정세 변화는 통일문제와 북한문제에 대해서 우리가 보다 더 적극적이고 보다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게 만들고 있다.
중국에게 북한이 의존하는 문제는 지금 당장에서는 필요성도 있고 그런 측면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사실 걱정이 되는 부분도 많이 있다. 우리가 북한에 대해서 하나의 같은 민족으로서 하나의 단일한 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을 염두에 두고 생각한다면, 남북간의 경제협력이나 여러 가지 정치협력, 군사적 대치상태의 해소, 이런 것들이 보다 더 포괄적이고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가 우리에게 그걸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제대로 못한다면 그때는 북한 문제는 국제화될 가능성이 크고 그때는 지금 던진 질문처럼 중국 쪽에 당연히 여러 가지 면에서 영향을 더 많이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 마지막으로 새정부에 대해서나 국민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 지금 대북정책에서 참 어렵고 힘든 것이 국민 컨센서스를 이루는 것, 국민통합을 이루는 것이다. 참여정부나 국민의정부는 상대적으로 진보적 성격 때문에 대북 포용정책을 구사했을 때 보수세력들의 강한 반발이 있었다. 그걸 뚫고 우리가 정책을 해왔다. 이 시대에 우리가 가야할 길은 대북포용정책 외에 다른 길은 사실 보이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이제 보수적인 성격을 가진 이명박 정부가 정말 여러 가지 좌고우면해서 합리적으로 정책선택을 하고 대북정책의 기조를 대북 포용정책으로 잡아서 나간다면 아마 국민통합에는 큰 중요한 계기가 올 것이다. 왜냐하면 당연히 야당들은 찬성하지 않겠는가. 이런 것을 기대하고 싶다.
또 하나는 과거 정부가 했다고 해서 무조건 그걸 감정적으로 또는 선입견을 가지고 부정해서는 안 된다. 정부는 연속선상에 있다. 참여정부 때도 북한 핵물질 사태나 용산기지 이전문제, 주한미군 재배치 문제 같은 우리가 볼 때 정말 떠맡고 싶지 않았고 한편으로 다시 협상하고 싶었던 문제들도 있었지만 그런 것들은 다 역대 정부와 정부의 연속선상, 계승선상에서 있었던 문제이기 때문에 당연히 참여정부가 적극적으로 해결해내야 될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고, 또 그 방향으로 해결하였다. 그것이 계승성이다.
그런 점에서 과거 정부가 했던 것 중에서 합리적이고 또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되고, 또 보면 옳은 방향이었다고 판단하면 감상에 휘둘리지 말고 객관적으로 보고 그걸 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 이런 자세가 결국은 역사를 발전시키고 결국 한반도에서 평화를 증진시키고 또 이명박 정부가 성공할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보다 더 과거 정부가 한 것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연속성과 계승과 보완, 그 다음에 버릴 것 이런 것들을 잘 구별해내는 지혜가 필요하지 않겠는가. 지혜라기 보다는 그렇게 하는 노력들이 좀 있었으면 한다.
□ 9월에 스탠퍼드대로 가는 것으로 언론을 통해 접했는데, 혹시 새정부에서 자문역할이든 가능성은 낮지만 실질적인 공직이든 제안한다면 의향이 있는지?
■ 나는 노무현 대통령을 4년 동안 모셨고, 4년 동안 대통령이 나에게 누구한테도 주기 어려운 무한한 신뢰를 주었다. 그걸 갖고 나도 나름대로 노력을 해서 4년을 지내왔다. 노무현대통령을 그렇게 모신 사람 입장에서 내가 가야할 길은 명확하다고 본다.
그런 일은 있지도 않겠지만 내 몫도 아니다. 다만 정책에 대해 혹시 나한테 의견을 물어온다면 그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이야기해 주는 것은 의무라고 생각한다. 그 외에 무슨 공직의 문제나 이런 것은 질문 자체가 안 되는 것 아닌가?
8월부터가 안식년이다. 스탠퍼드대에서 고맙게도 1년간 객원연구원으로 초청하는 것을 결정을 해줘서 가게 된 것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비핵 개방 3000, 뜬구름 잡기” 비판적 견해 다수 : 국방·북한 : 정치 : 뉴스 : 한겨레
“비핵 개방 3000, 뜬구름 잡기” 비판적 견해 다수 : 국방·북한 : 정치 : 뉴스 : 한겨레
“비핵 개방 3000, 뜬구름 잡기” 비판적 견해 다수
등록 :2008-02-12 20:58수정 :2008-02-12 23:03
지난해 5월11일 경기도 파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군사회담장 안에서 남쪽 군인들의 브리핑을 듣는 동안 북쪽 군인들이 회담장 안을 들여다보고 있다. 파주/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새정부 대북정책 전망·평가
<한겨레>와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는 공동으로 2005, 2006, 2007년에 이어 올해 네 번째로 남북관계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신년 한반도정세를 전망했다. 올해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조사시점을 예년의 12월 초순에서 연기해 1월 중순으로 잡았다. 대선으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새로운 변화가 예상됐기 때문이다.
2008년에도 변함없이 북한 핵은 한반도 최대의 현안이 될 것이다. 송민순 외교통상부장관은 시지프스 신화를 넘어서야 한다고 말했지만 역설적으로 북핵은 시지프스의 언덕 꼭대기에 다다르지 못한 채 다시 내려오려 하고 있다. 2007년을 돌아보면 2006년 10월9일 북핵 실험 뒤 6자회담이 재개됐지만 누구도 2·13합의와 10·3 불능화 합의 그리고 그런 배경 속에서 10·4 남북정상선언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지 못했다. 올해도 그런 역동성은 존재할 것이다. 그러나 새해 벽두의 전망은 매우 불투명하다.
과거와 달리 올해는 신년 전망에 그치지 않고 노무현 정부의 대북 외교안보정책을 평가하고 곧 출범하게 될 이명박 정부에 새로운 정책제안들을 내놓는 의미도 있다. 올해의 경우 설문대상으로 삼은 전문가 80여명 가운데 32명이 답을 보내왔다.
새정부 대북정책 전망·평가
실용주의를 내세운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전문가들은 매우 낮은 점수를 줬다.
‘긍정적’ ‘당분간 지켜보자’는 입장을 밝힌 8명을 뺀 나머지 24명은 ‘철학의 부재’ ‘현실성 결여’ ‘무지 소치’ 등 매섭게 비판했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전문가들도 취임 뒤 남북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웅 성공회대 교수는 “아직 전반적 평가를 내릴 만한 내용 자체가 없다”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도 “한반도 문제의 국제화로 남북관계가 대미종속으로 전락했다”며 “현재 남북간 불균형이 심한 상태이기 때문에 비대칭의 상호주의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남북관계 국정과제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이명박 정부는 대북정책은 없고 핵정책만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대북정책이 외교안보정책의 하위범주로 자리매김됐다”며 “한-미동맹, 북핵, 평화체제로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면, 전형적으로 힘과 동맹이란 안보패러다임에 입각한 외교안보정책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 대다수 ‘낮은 점수’
“비대칭 상호주의 비현실적”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 정책이 ‘주장’과 ‘구호’만 있다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정치적 입장을 앞세운 구호와 주장으로 남북관계를 대할 경우 목표는 하나도 이루지 못하고 긴장과 대결만 확대재생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걱정했다.
전재성 서울대 교수는 “실용주의 노선은 대북 정책의 패러다임이라고 보기 어려운, 외교정책 일반의 접근법”이라며 “새 정부 출범과 더불어 북핵폐기를 위한 독자적인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 대북정책의 실용성은 그 자체로 구체성을 가진 정책으로 연결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장·구호로 일관할 경우 “긴장·대결 재생산” 지적
전성훈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비전이나 구체성 및 체계성 면에서 볼 때, 이명박 정부는 경제, 사회 분야 정책에 비해서 통일·외교·안보 분야의 정책이 떨어진다”며 “외교안보 분야에서 통일문제가 갖는 중요성에 대한 확고한 인식이 자리잡고, 종합적인 국가대전략의 바탕 위에서 세부 분야별 전략과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실용주의 대북정책이 남북경협과 국제지원을 통한 북한 경제 재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봉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이명박 정부는 포용정책의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한반도적 시각에서 벗어나 좀 더 보편적이며 설득력이 있고, 국제적이며 특히, 한미공조를 감안한 대북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으로 평가했다. 김태현 중앙대 교수는 실용주의 노선이 지금까지 북한 관련 정책담론을 지배해 온 경직된 이념대결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김영수 서강대 교수는 실용을 내건 이명박 정부는 선핵 폐기, 동맹 중시를 강조하지만 상황이 바뀌면 현 기조를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명박 정부의 핵심국정과제인 ‘비핵 개방 3000’에 대해서는 ‘말의 성찬’ ‘자승자박’ ‘뜬 구름 잡는 계획’이란 날선 지적이 쏟아졌다. 북한이 핵을 폐기하고 개방하면 10년 안에 북한 주민 1인당 소득을 3000달러로 올려준다고 하지만 비핵 ‘이전’에 대한 정책이 결여됐고 특히 북핵 교착 상태에서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어느 수준에서 ‘비핵’과 ‘개방’이 달성되었다고 평가하느냐에 따라 앞으로 나갈 수도 있고, 5년 동안 조건만 탓하다가 남북관계에서 아무 일도 못하고 끝날 수도 있는 자승자박의 구호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미 공조속 유연한 대응땐 비핵·경제 재건 가능 의견도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이 구상이 성공하려면) 새 정부는 북한이 핵 신고로 나가지 않는 것이 단지 북한만의 책임이 아니라 미국의 동시행동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정책 방향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참여정부 대북정책 평가] 정상회담 재개엔 후한 점수-인권문제·대북 지원 혹평
올해안 가능성 희박…‘북핵’ 변수가 결정적
북핵문제 ‘교착’ 원인은 ‘북-미 소통 실패’ 탓
긍정적 평가를 찾자면 “대북정책 비전 제시”(전봉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비핵과 개방에 엄격한 시간차를 고집하지 않는다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김명섭 연세대 교수) 정도다. 하지만 이들 전문가들도 비핵화 과정의 구체적이고 순차적인 정책 로드맵 개발을 주문했다.
한편,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신안보연구실 실장은 2007정상선언 이행과 관련해 이명박 정부에게 ‘총론 계승, 각론 혁신’ 방법을 제안했다. 2007정상선언의 합의문을 원칙적으로 계승한다고 공식 발표하되, 비핵·개방·3000구상에 맞게 재조정, 재편성하자는 것이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269139.html#csidx5a039f5a4be324d83ea554402d7f04a
“비핵 개방 3000, 뜬구름 잡기” 비판적 견해 다수
등록 :2008-02-12 20:58수정 :2008-02-12 23:03
지난해 5월11일 경기도 파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군사회담장 안에서 남쪽 군인들의 브리핑을 듣는 동안 북쪽 군인들이 회담장 안을 들여다보고 있다. 파주/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새정부 대북정책 전망·평가
<한겨레>와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는 공동으로 2005, 2006, 2007년에 이어 올해 네 번째로 남북관계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신년 한반도정세를 전망했다. 올해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조사시점을 예년의 12월 초순에서 연기해 1월 중순으로 잡았다. 대선으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새로운 변화가 예상됐기 때문이다.
2008년에도 변함없이 북한 핵은 한반도 최대의 현안이 될 것이다. 송민순 외교통상부장관은 시지프스 신화를 넘어서야 한다고 말했지만 역설적으로 북핵은 시지프스의 언덕 꼭대기에 다다르지 못한 채 다시 내려오려 하고 있다. 2007년을 돌아보면 2006년 10월9일 북핵 실험 뒤 6자회담이 재개됐지만 누구도 2·13합의와 10·3 불능화 합의 그리고 그런 배경 속에서 10·4 남북정상선언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지 못했다. 올해도 그런 역동성은 존재할 것이다. 그러나 새해 벽두의 전망은 매우 불투명하다.
과거와 달리 올해는 신년 전망에 그치지 않고 노무현 정부의 대북 외교안보정책을 평가하고 곧 출범하게 될 이명박 정부에 새로운 정책제안들을 내놓는 의미도 있다. 올해의 경우 설문대상으로 삼은 전문가 80여명 가운데 32명이 답을 보내왔다.
새정부 대북정책 전망·평가
실용주의를 내세운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전문가들은 매우 낮은 점수를 줬다.
‘긍정적’ ‘당분간 지켜보자’는 입장을 밝힌 8명을 뺀 나머지 24명은 ‘철학의 부재’ ‘현실성 결여’ ‘무지 소치’ 등 매섭게 비판했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전문가들도 취임 뒤 남북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웅 성공회대 교수는 “아직 전반적 평가를 내릴 만한 내용 자체가 없다”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도 “한반도 문제의 국제화로 남북관계가 대미종속으로 전락했다”며 “현재 남북간 불균형이 심한 상태이기 때문에 비대칭의 상호주의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남북관계 국정과제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이명박 정부는 대북정책은 없고 핵정책만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대북정책이 외교안보정책의 하위범주로 자리매김됐다”며 “한-미동맹, 북핵, 평화체제로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면, 전형적으로 힘과 동맹이란 안보패러다임에 입각한 외교안보정책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 대다수 ‘낮은 점수’
“비대칭 상호주의 비현실적”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 정책이 ‘주장’과 ‘구호’만 있다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정치적 입장을 앞세운 구호와 주장으로 남북관계를 대할 경우 목표는 하나도 이루지 못하고 긴장과 대결만 확대재생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걱정했다.
전재성 서울대 교수는 “실용주의 노선은 대북 정책의 패러다임이라고 보기 어려운, 외교정책 일반의 접근법”이라며 “새 정부 출범과 더불어 북핵폐기를 위한 독자적인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 대북정책의 실용성은 그 자체로 구체성을 가진 정책으로 연결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장·구호로 일관할 경우 “긴장·대결 재생산” 지적
전성훈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비전이나 구체성 및 체계성 면에서 볼 때, 이명박 정부는 경제, 사회 분야 정책에 비해서 통일·외교·안보 분야의 정책이 떨어진다”며 “외교안보 분야에서 통일문제가 갖는 중요성에 대한 확고한 인식이 자리잡고, 종합적인 국가대전략의 바탕 위에서 세부 분야별 전략과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실용주의 대북정책이 남북경협과 국제지원을 통한 북한 경제 재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봉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이명박 정부는 포용정책의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한반도적 시각에서 벗어나 좀 더 보편적이며 설득력이 있고, 국제적이며 특히, 한미공조를 감안한 대북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으로 평가했다. 김태현 중앙대 교수는 실용주의 노선이 지금까지 북한 관련 정책담론을 지배해 온 경직된 이념대결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김영수 서강대 교수는 실용을 내건 이명박 정부는 선핵 폐기, 동맹 중시를 강조하지만 상황이 바뀌면 현 기조를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명박 정부의 핵심국정과제인 ‘비핵 개방 3000’에 대해서는 ‘말의 성찬’ ‘자승자박’ ‘뜬 구름 잡는 계획’이란 날선 지적이 쏟아졌다. 북한이 핵을 폐기하고 개방하면 10년 안에 북한 주민 1인당 소득을 3000달러로 올려준다고 하지만 비핵 ‘이전’에 대한 정책이 결여됐고 특히 북핵 교착 상태에서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어느 수준에서 ‘비핵’과 ‘개방’이 달성되었다고 평가하느냐에 따라 앞으로 나갈 수도 있고, 5년 동안 조건만 탓하다가 남북관계에서 아무 일도 못하고 끝날 수도 있는 자승자박의 구호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미 공조속 유연한 대응땐 비핵·경제 재건 가능 의견도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이 구상이 성공하려면) 새 정부는 북한이 핵 신고로 나가지 않는 것이 단지 북한만의 책임이 아니라 미국의 동시행동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정책 방향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참여정부 대북정책 평가] 정상회담 재개엔 후한 점수-인권문제·대북 지원 혹평
올해안 가능성 희박…‘북핵’ 변수가 결정적
북핵문제 ‘교착’ 원인은 ‘북-미 소통 실패’ 탓
긍정적 평가를 찾자면 “대북정책 비전 제시”(전봉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비핵과 개방에 엄격한 시간차를 고집하지 않는다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김명섭 연세대 교수) 정도다. 하지만 이들 전문가들도 비핵화 과정의 구체적이고 순차적인 정책 로드맵 개발을 주문했다.
한편,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신안보연구실 실장은 2007정상선언 이행과 관련해 이명박 정부에게 ‘총론 계승, 각론 혁신’ 방법을 제안했다. 2007정상선언의 합의문을 원칙적으로 계승한다고 공식 발표하되, 비핵·개방·3000구상에 맞게 재조정, 재편성하자는 것이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269139.html#csidx5a039f5a4be324d83ea554402d7f04a
미디어워치
<'비핵.개방.3000' "현실적" 對 "비현실적" 논쟁>
연합뉴스 master@yonhapnews.co.kr2008.04.30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30일 경실련 통일협회의 대북정책에 관한 토론회에서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구상의 전망을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이명박 정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지낸 서재진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비핵.개방.3000' 구상은 북핵 문제 해결시 대규모 '마샬플랜'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북한이 전략적 결단을 내리는 데 인센티브로 작용하며 북핵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구상이 대북 유인책이 될 수 있다는 서재진 연구위원의 주장에 대해 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는 "정치적으로 주권 침해와 흡수통일적인 발상으로 비쳐져 북한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고 ,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국제에디터는 "북한은 이미 '비핵.개방.3000' 구상을 거부함으로써 전혀 유인효과가 없는 비현실적인 정책으로 확인됐다"고 각각 반론을 폈다.
성공 전망과 관련, 서재진 연구위원은 "이명박 정부의 북핵 정책은 북핵 문제 해결의 열쇠를 미국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깔고 있는 만큼 '비핵.개방.3000' 구상은 "현실 분석과 정책 대응이 현실 타당성이 높다는 점에서 성과를 낼 가능성이 높은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김연철 교수는 "현재 북한의 1인당 GNI(국내총생산)는 300달러 정도인 상황에서 '비핵.개방.3000' 구상에 따라 10년이내 3천달러로 만들기 위해서는 성장률이 매년 20% 이상 돼야 하기때문에 통계학적으로 불가능한 구상"이라고 반박했다.
김 교수는 특히 "미국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비핵.개방.3000' 구상을 크게 환영했던 점으로 볼 때 북핵 폐기에 따른 국제적 재정 분담 방식을 결정할 때 한국의 적극적인 재정적 기여 의사를 환영할 것"이라며 "이는 1994년 제네바 합의처럼 한국이 '협상에서는 빠지고 돈만 내는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대근 에디터도 "한미 정상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이 이 대통령을 환대한 것은 한미동맹 복원론, 쇠고기 개방 등 미국의 가치와 이익 보호에 적극적인 이 대통령에 대한 예우였다"고 주장하고 "남과 북이 상호 관계 개선에는 소극적이면서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만 경쟁적으로 매달리는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남북관계를 경제살리기나 한미동맹 강화보다 후순위 과제로 다룰 경우 남북관계의 경색이 장기화되는 큰 대가를 치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총선에서 집권여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했기 때문에 이명박 정부는 전통적인 지지 세력으로부터 상대적 자율성을 가지고 실용주의 대북정책을 구체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대남 의존성이 높아진 북한으로서는 이명박 정부의 실용주의 대북정책의 구체적 실체가 드러나면 이에 대한 대응수위를 조절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newglass@yna.co.kr
연합뉴스 master@yonhapnews.co.kr2008.04.30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30일 경실련 통일협회의 대북정책에 관한 토론회에서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구상의 전망을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이명박 정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지낸 서재진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비핵.개방.3000' 구상은 북핵 문제 해결시 대규모 '마샬플랜'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북한이 전략적 결단을 내리는 데 인센티브로 작용하며 북핵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구상이 대북 유인책이 될 수 있다는 서재진 연구위원의 주장에 대해 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는 "정치적으로 주권 침해와 흡수통일적인 발상으로 비쳐져 북한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고 ,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국제에디터는 "북한은 이미 '비핵.개방.3000' 구상을 거부함으로써 전혀 유인효과가 없는 비현실적인 정책으로 확인됐다"고 각각 반론을 폈다.
성공 전망과 관련, 서재진 연구위원은 "이명박 정부의 북핵 정책은 북핵 문제 해결의 열쇠를 미국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깔고 있는 만큼 '비핵.개방.3000' 구상은 "현실 분석과 정책 대응이 현실 타당성이 높다는 점에서 성과를 낼 가능성이 높은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김연철 교수는 "현재 북한의 1인당 GNI(국내총생산)는 300달러 정도인 상황에서 '비핵.개방.3000' 구상에 따라 10년이내 3천달러로 만들기 위해서는 성장률이 매년 20% 이상 돼야 하기때문에 통계학적으로 불가능한 구상"이라고 반박했다.
김 교수는 특히 "미국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비핵.개방.3000' 구상을 크게 환영했던 점으로 볼 때 북핵 폐기에 따른 국제적 재정 분담 방식을 결정할 때 한국의 적극적인 재정적 기여 의사를 환영할 것"이라며 "이는 1994년 제네바 합의처럼 한국이 '협상에서는 빠지고 돈만 내는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대근 에디터도 "한미 정상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이 이 대통령을 환대한 것은 한미동맹 복원론, 쇠고기 개방 등 미국의 가치와 이익 보호에 적극적인 이 대통령에 대한 예우였다"고 주장하고 "남과 북이 상호 관계 개선에는 소극적이면서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만 경쟁적으로 매달리는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남북관계를 경제살리기나 한미동맹 강화보다 후순위 과제로 다룰 경우 남북관계의 경색이 장기화되는 큰 대가를 치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총선에서 집권여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했기 때문에 이명박 정부는 전통적인 지지 세력으로부터 상대적 자율성을 가지고 실용주의 대북정책을 구체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대남 의존성이 높아진 북한으로서는 이명박 정부의 실용주의 대북정책의 구체적 실체가 드러나면 이에 대한 대응수위를 조절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newglass@yna.co.kr
'비핵·개방3000' 놓고 진보-보수 학자 충돌 - 오마이뉴스
'비핵·개방3000' 놓고 진보-보수 학자 충돌 - 오마이뉴스
'비핵·개방3000' 놓고 진보-보수 학자 충돌경실련통일협회 토론회.."'과거로 가는 다리'로 퇴행" VS "자립경제 실현의 정책"
08.04.30 18:00l최종 업데이트 08.04.30 18:45l
경실련(ccej89)
(사)경실련통일협회가 30일 오후 서울의대동문회관(함춘회관)에서 개최한 14주년 기념토론회에서 진보와 보수를 대표하는 두 학자들이 날선 공방을 벌였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그리고 북핵'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토론회에서 김연철 고려대 교수와 서재진 통일연구원 교수간에 벌어진 논쟁은 '비핵·개방3000' 구상, 한미동맹 강화, 북핵문제 해결 등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정책에 전반에 대해 진보와 보수간 첨예한 의견대립으로 나타났다.
두 교수는 이날 토론회의 주제발표를 맡았으며, 남북관계 및 북핵해결의 현안을 진단하고,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정책에 대한 평가와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비핵·개방3000' 구상은 주권침해와 흡수통일적 발상으로 북한의 반발이 강할 것이고, 북핵-남북관계의 연계론에 입각한 상호주의적 접근은 '남북관계의 안정적 관리'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김연철 교수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비핵·개방 3000' 구상을 한미양국이 지지함으로써, 북핵 해결 구도가 '행동 대 행동' 원칙 아래 상응조치간 병행 해결론에서 '조건부 선후론'으로 변화했다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달 중순 개최된 한미정상회담을 평가하면서 "한미 전략동맹의 강화는 동북아 질서의 대립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파병문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문제, MD 추진문제" 등은 쟁점이 될 것이며, 결국 "한미 군사동맹 강화는 북핵 폐기의 한 축인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의 필요성과 상충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북핵문제에 대해 "부시 행정부가 북한의 핵실험과 핵무기 보유를 막지 못한 외교적 무능으로 드러나는 것을 차단하는데 힘을 쏟을 것이고, 2008년은 2단계인 불능화 과정이 그럭저럭 진행될 것"으로 보았다.
김 교수는 특히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하여, "평화부문(평화체제, 서해협력)과 핵심경제협력사업(해주, 철도개보수, 조선협력) 이행을 공식적으로 거부했기에, 북한도 강경 레토릭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남북관계의 장기교착과 위기조성은 남한으로 하여금 안보환경의 악화와 국제적인 신용등급의 하락 등 경제 환경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남한은 '북핵문제'에서 '북한문제'로 대북정책의 기조가 변화"하고 있다면서, '비핵·개방3000' 구상은 "주권침해와 흡수통일적 발상으로 북한의 반발이 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불어 "북핵-남북관계의 연계론에 입각한 상호주의적 접근의 근거로 작용"할 것이며, "'과거로 가는 다리'로 퇴행적 역할"이 예상된다고 비판했다. 또한 '비핵·개방3000' 구상은 '남북관계의 안정적 관리'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김 교수는 북핵문제와 관련하여, "남북관계 경색은 한국의 외교력 약화로 이어져 북핵문제 해결 과정에서 정보의 소외에 직면하고, 이는 역할의 축소로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동안 6자회담 장에서 "일본이 걸어왔던 길을 재연할 것"이라고 강하게 우려했다.
"'비핵·개방3000' 구상은 단계론적 접근법으로,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국제금융기구의 차관 도입, 외자 유입,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해 북한 경제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할 수 있을 것."(서재진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서재진 실장은 이명박 정부가 한미공조와 미국 역할을 강조하는데, 이는 "미국이 핵문제 해결의 열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구상과 관련하여, "시간상의 순서가 아니라 정책우선 순서이고, 연계론·조건론이 아닌 단계론"이라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포괄적인 대가를 지불한다는 정책이 '비핵·개방3000' 구상의 핵심"이라고 말하고, "핵문제 해결의 진전 정도에 따라 비핵화 단계, 개방화·정상화 단계, 3000 vision 구현 단계 등 3단계로 나눠진다"고 주장했다. 이는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북한이 체제생존을 위해 필요로 하는 미국·일본과의 국교정상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자립경제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북한의 핵문제 해결, 체제의 개방화와 정상국가화의 과정들이 실현되면, 국제금융기구의 차관 도입, 외자 유입,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해 북한 경제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할 수 있다"는 것이 이명박 정부의 궁극적 정책목표라고 말했다.
서 실장은 한미공조 강화와 관련하여, "한미관계 개선→북미관계 개선→남북관계 개선의 선순환 구조"를 강조하고, "북핵문제 해결의 열쇠를 미국이 가지고 있기에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미국을 활용하여 북핵문제를 해결한다는 전략"이 이명박 정부의 북핵정책이며, 노무현 정부와의 차이점이라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북한의 정상국가화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 "핵문제 해결은 물론, 인권문제, 납치자문제, WMD 확산문제 등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북핵해결을 위한 세 가지 채찍과 네 가지 당근을 주장했는데, 세 가지 채찍은 ▲미국의 북핵폐기에 대한 강력한 의지, ▲중국·한국의 북핵 결사반대, ▲BDA로 경험한 미 재무부의 영향력이다. 네 가지 당근은 ▲북미수교 ▲북일수교 ▲ 경수로 제공 ▲ 핵무기와 경제적 대가 교환 등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두 주제발표자 외에 진보 측에서 고유환 동국대 교수,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국제에디터, 보수측에서 조동호 이화여대 교수, 남궁영 한국외대 교수가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덧붙이는 글 | *경실련 홈페이지에도 실렸습니다. 문의 : 통일협회 02-766-5624
'비핵·개방3000' 놓고 진보-보수 학자 충돌경실련통일협회 토론회.."'과거로 가는 다리'로 퇴행" VS "자립경제 실현의 정책"
08.04.30 18:00l최종 업데이트 08.04.30 18:45l
경실련(ccej89)
(사)경실련통일협회가 30일 오후 서울의대동문회관(함춘회관)에서 개최한 14주년 기념토론회에서 진보와 보수를 대표하는 두 학자들이 날선 공방을 벌였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그리고 북핵'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토론회에서 김연철 고려대 교수와 서재진 통일연구원 교수간에 벌어진 논쟁은 '비핵·개방3000' 구상, 한미동맹 강화, 북핵문제 해결 등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정책에 전반에 대해 진보와 보수간 첨예한 의견대립으로 나타났다.
두 교수는 이날 토론회의 주제발표를 맡았으며, 남북관계 및 북핵해결의 현안을 진단하고,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정책에 대한 평가와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비핵·개방3000' 구상은 주권침해와 흡수통일적 발상으로 북한의 반발이 강할 것이고, 북핵-남북관계의 연계론에 입각한 상호주의적 접근은 '남북관계의 안정적 관리'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김연철 교수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비핵·개방 3000' 구상을 한미양국이 지지함으로써, 북핵 해결 구도가 '행동 대 행동' 원칙 아래 상응조치간 병행 해결론에서 '조건부 선후론'으로 변화했다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달 중순 개최된 한미정상회담을 평가하면서 "한미 전략동맹의 강화는 동북아 질서의 대립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파병문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문제, MD 추진문제" 등은 쟁점이 될 것이며, 결국 "한미 군사동맹 강화는 북핵 폐기의 한 축인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의 필요성과 상충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북핵문제에 대해 "부시 행정부가 북한의 핵실험과 핵무기 보유를 막지 못한 외교적 무능으로 드러나는 것을 차단하는데 힘을 쏟을 것이고, 2008년은 2단계인 불능화 과정이 그럭저럭 진행될 것"으로 보았다.
김 교수는 특히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하여, "평화부문(평화체제, 서해협력)과 핵심경제협력사업(해주, 철도개보수, 조선협력) 이행을 공식적으로 거부했기에, 북한도 강경 레토릭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남북관계의 장기교착과 위기조성은 남한으로 하여금 안보환경의 악화와 국제적인 신용등급의 하락 등 경제 환경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남한은 '북핵문제'에서 '북한문제'로 대북정책의 기조가 변화"하고 있다면서, '비핵·개방3000' 구상은 "주권침해와 흡수통일적 발상으로 북한의 반발이 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불어 "북핵-남북관계의 연계론에 입각한 상호주의적 접근의 근거로 작용"할 것이며, "'과거로 가는 다리'로 퇴행적 역할"이 예상된다고 비판했다. 또한 '비핵·개방3000' 구상은 '남북관계의 안정적 관리'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김 교수는 북핵문제와 관련하여, "남북관계 경색은 한국의 외교력 약화로 이어져 북핵문제 해결 과정에서 정보의 소외에 직면하고, 이는 역할의 축소로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동안 6자회담 장에서 "일본이 걸어왔던 길을 재연할 것"이라고 강하게 우려했다.
"'비핵·개방3000' 구상은 단계론적 접근법으로,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국제금융기구의 차관 도입, 외자 유입,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해 북한 경제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할 수 있을 것."(서재진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서재진 실장은 이명박 정부가 한미공조와 미국 역할을 강조하는데, 이는 "미국이 핵문제 해결의 열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구상과 관련하여, "시간상의 순서가 아니라 정책우선 순서이고, 연계론·조건론이 아닌 단계론"이라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포괄적인 대가를 지불한다는 정책이 '비핵·개방3000' 구상의 핵심"이라고 말하고, "핵문제 해결의 진전 정도에 따라 비핵화 단계, 개방화·정상화 단계, 3000 vision 구현 단계 등 3단계로 나눠진다"고 주장했다. 이는 "핵을 포기하는 대가로 북한이 체제생존을 위해 필요로 하는 미국·일본과의 국교정상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자립경제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북한의 핵문제 해결, 체제의 개방화와 정상국가화의 과정들이 실현되면, 국제금융기구의 차관 도입, 외자 유입,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해 북한 경제는 획기적인 발전을 기할 수 있다"는 것이 이명박 정부의 궁극적 정책목표라고 말했다.
서 실장은 한미공조 강화와 관련하여, "한미관계 개선→북미관계 개선→남북관계 개선의 선순환 구조"를 강조하고, "북핵문제 해결의 열쇠를 미국이 가지고 있기에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미국을 활용하여 북핵문제를 해결한다는 전략"이 이명박 정부의 북핵정책이며, 노무현 정부와의 차이점이라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북한의 정상국가화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 "핵문제 해결은 물론, 인권문제, 납치자문제, WMD 확산문제 등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북핵해결을 위한 세 가지 채찍과 네 가지 당근을 주장했는데, 세 가지 채찍은 ▲미국의 북핵폐기에 대한 강력한 의지, ▲중국·한국의 북핵 결사반대, ▲BDA로 경험한 미 재무부의 영향력이다. 네 가지 당근은 ▲북미수교 ▲북일수교 ▲ 경수로 제공 ▲ 핵무기와 경제적 대가 교환 등이다.
이날 토론회에는 두 주제발표자 외에 진보 측에서 고유환 동국대 교수,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국제에디터, 보수측에서 조동호 이화여대 교수, 남궁영 한국외대 교수가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덧붙이는 글 | *경실련 홈페이지에도 실렸습니다. 문의 : 통일협회 02-766-5624
비핵·개방3000, 이명박 대통령의 진심은
비핵·개방3000, 이명박 대통령의 진심은
Home > RADIO >종영프로그램 > 정치개혁
비핵·개방3000, 이명박 대통령의 진심은
관리자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인민의 안녕과 나라의 발전을 위한 조선개혁방송입니다. 오늘 시간에는 최근 정세와 관련하여 '비핵·개방3000'을 내놓은 남조선의 리명박 대통령의 진심은 무엇인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4월 5일 북조선의 은하 2호 로케트 발사를 계기로 조선반도의 정세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갔습니다. 북조선 내부에서는 올해 초부터 전쟁이 일어날 것처럼 야단법석을 떨었지만 북조선 내부에서만 그렇지 남조선은 무사태평으로 무슨 소리냐고 합니다.
남조선에 소식을 전해주는 북조선 사람들이나 간부들은 모두 정말로 전쟁이 나는가 해서 긴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전쟁이 일어난다고 말한 것도 북조선 당국이고, 전쟁 선포나 다름없다고 먼저 남측을 협박한 것도 북조선 당국입니다.
북조선 말로 북조선 당국이 혼자서 북치고 장구치고 하는 셈인데 결단코 조선반도에서 김정일이 먼저 도발하지 않는 한 전쟁은 없습니다. 남조선의 리명박 대통령은 북조선 당국이 미싸일을 발사한 4월 5일이 청명날이기도 하지만 남조선의 식목일이여서 나무를 심었습니다.
리명박 대통령은 "북한은 미싸일을 쏘지만 우리는 나무를 심는다"고 지금의 북남관계를 비유적으로 표현했습니다. 북조선 당국이 긴장을 조성시키지만 남조선은 평화와 발전을 원한다는 것을 현실에 맞게 잘 표현한 것입니다.
남조선은 어떻게 해서든지 김정일을 설득시켜서 북조선이 개혁과 개방을 해서 북과 남 사이의 본격적 교류협력을 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김정일과 남조선의 전 대통령들이 북남관계, 통일사업을 정치적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써먹는 바람에 문제점들이 좀 있었습니다.
남조선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은 대북정책의 상대로 인민이 아닌 김정일을 선택하였으나 리명박 대통령은 반대로 했습니다. 리명박 대통령이 김정일이 아닌 인민을 상대로 하고 대북정책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북남관계가 악화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북조선의 간부들은 김정일이 먼저 전쟁을 일으키지 않는 한 조선에서 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아야 합니다. 1994년 제1차 북조선 핵 위기 때에도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이 녕변의 핵원자로를 폭격하려 할때 남조선 대통령이 반대해 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좀 더 확실하게 알려면 남조선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리해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정책은 전쟁이 아니라 실질적인 교류와 협력을 통해서 서로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자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북조선이 개혁과 개방을 하게 되면 10년안에 인민들의 1인당 국민소득이 3천딸라, 즉 현재 중국의 평균생활 수준만큼 되도록 남조선에서 지원하겠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정책의 핵심인 '비핵, 개방3000'입니다. 지금은 조선중앙방송과 평양방송 그리고 남조선의 친 김정일 좌파들이 하도 비판을 많이 하는 바람에 '상생공영'이라고 바뀌였지만 내용은 그대로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지원 정책인 '비핵, 개방3000'이 북조선을 망하게 하고 그렇게 되면 간부들이 숙청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비핵, 개방 3000은 그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북조선을 망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처럼 서서히 개혁과 개방으로 변하게 하려는 정책입니다.
지금의 북조선의 정치체제와 경제제도를 유지하면서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고 개혁과 개방을 하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입니다. 만약 북조선이 갑자기 붕괴되면 남조선이 북조선을 흡수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남조선의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됩니다.
북조선을 흡수하게 되면 독일처럼 수천억딸라를 북조선에 투입해서 북조선을 재건해야 하는데 이 방법은 남조선에게 경제적 부담이 아주 큽니다. 여기에다가 황무지나 다름없는 북조선을 흡수한 남조선의 경제에 대한 국제적 신뢰가 추락하면 남조선도 하루아침에 추락하게 됩니다.
때문에 남조선에서는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북조선과 당장 통일하는 것을 반대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여 이제는 확실하게 굳어진 상태입니다. 어찌보면 남조선의 리기주의적인 태도라고 할 수 있지만 이것이 현실이고 또 북조선이 붕괴되지 않는 것이 북과 남 모두에게 유리합니다.
남조선의 지난 정권인 김대중, 로무현 정부가 북조선을 지원하게 된 중요한 리유가 북조선의 갑작스런 붕괴를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너무 정치적으로 하다보니 인민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김정일을 지원하게 되었고 대북정책 상대가 김정일이 된 것입니다.
현재 남조선의 리명박 대통령도 북조선이 갑자기 붕괴되면 안된다는 립장은 같지만 대북정책의 상대를 선택하는 것이 다릅니다. 또 정치적 립장에서의 대북정책이 아니라 실용주의적인 립장에서 대북정책을 추진하다보니 비핵, 개방 3000이라는 정책을 내놓게 된 것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의 '비핵, 개방3000'이라는 대북정책을 리해하는데서 가장 핵심은 리명박 대통령 자체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은 지난 시기 김영삼, 김대중, 로무현 대통령과는 아주 다른, 살아온 경력과 리념이 다른 대통령이기 때문에 '비핵개방3000'을 내놓았습니다.
김영삼, 김대중 두 사람은 남조선의 정치력사라고 할만큼 수십년간 야당정치인으로 활동한 말하자면 정치꾼입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50년대 후반부터 정치를 했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60년대부터 정치를 해온 직업정치가로 모든 것을 정치적으로 판단합니다.
로무현 대통령도 1980년대 중반부터 정치를 해온 사람이지만 리명박 대통령은 1992년까지 정주영 회장의 현대그룹 현대건설 사장을 했습니다. 그 이후 국회의원과 서울시장을 했지만 리명박 대통령은 리념보다는 현실과 실용을 강조하는 경제 전문가 형의 대통령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은 대통령 직책을 시작한 초기에는 리념의 시대는 끝났다고 하여 남조선 보수층으로부터 욕을 먹기도 했지만 립장은 확고합니다. 이런 경제 실용주의적 립장이 확고하기 때문에 북남관계도 정치나 리념을 토대로 삼기보다는 현실과 경제를 토대로 삼는 것입니다.
바로 이렇게 돼서 북조선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을 하게 되면 10년안에 북조선 인민의 국민소득을 지금의 중국 수준으로 올린다는 대북정책이 나왔습니다. 비핵, 개방3000 정책이 북조선 정권이 붕괴되면 실천 불가능한 정책이라는 것은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대방을 붕괴시켜 점령하거나 흡수하지 않고 서로 도우면서 함께 발전하자는 것이 비핵개방 3000입니다. 리념의 시대는 갔다는 리명박 대통령의 립장은 사상보다 현실을 중시하고 함께 발전해서 잘 살아보자는 것입니다.
비교하면 중국의 등소평이 개혁, 개방을 하면서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된다"는 실용주의와 내용적으로 같은 것입니다. 이번에도 리명박 대통령이 북조선이 미싸일을 쏘지만 우리는 나무를 심는다고 한 말의 의미를 북조선의 최고위급 간부들은 잘 알아야 할 것입니다.
북조선의 비핵, 개방,개혁을 바라지 않는 사람은 딱 한 사람 김정일이고 김정일만 없으면 북조선 간부들이 개혁, 개방의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리명박 대통령은 바로 지금의 북조선 고위간부들이 비핵, 개방, 개혁의 주체가 되어 북남 교류협력 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비핵, 개방 3000을 내놓은 리명박 대통령의 진심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입력 : 2009-04-09 (조회 : 1334)
Home > RADIO >종영프로그램 > 정치개혁
비핵·개방3000, 이명박 대통령의 진심은
관리자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인민의 안녕과 나라의 발전을 위한 조선개혁방송입니다. 오늘 시간에는 최근 정세와 관련하여 '비핵·개방3000'을 내놓은 남조선의 리명박 대통령의 진심은 무엇인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4월 5일 북조선의 은하 2호 로케트 발사를 계기로 조선반도의 정세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갔습니다. 북조선 내부에서는 올해 초부터 전쟁이 일어날 것처럼 야단법석을 떨었지만 북조선 내부에서만 그렇지 남조선은 무사태평으로 무슨 소리냐고 합니다.
남조선에 소식을 전해주는 북조선 사람들이나 간부들은 모두 정말로 전쟁이 나는가 해서 긴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전쟁이 일어난다고 말한 것도 북조선 당국이고, 전쟁 선포나 다름없다고 먼저 남측을 협박한 것도 북조선 당국입니다.
북조선 말로 북조선 당국이 혼자서 북치고 장구치고 하는 셈인데 결단코 조선반도에서 김정일이 먼저 도발하지 않는 한 전쟁은 없습니다. 남조선의 리명박 대통령은 북조선 당국이 미싸일을 발사한 4월 5일이 청명날이기도 하지만 남조선의 식목일이여서 나무를 심었습니다.
리명박 대통령은 "북한은 미싸일을 쏘지만 우리는 나무를 심는다"고 지금의 북남관계를 비유적으로 표현했습니다. 북조선 당국이 긴장을 조성시키지만 남조선은 평화와 발전을 원한다는 것을 현실에 맞게 잘 표현한 것입니다.
남조선은 어떻게 해서든지 김정일을 설득시켜서 북조선이 개혁과 개방을 해서 북과 남 사이의 본격적 교류협력을 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김정일과 남조선의 전 대통령들이 북남관계, 통일사업을 정치적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써먹는 바람에 문제점들이 좀 있었습니다.
남조선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은 대북정책의 상대로 인민이 아닌 김정일을 선택하였으나 리명박 대통령은 반대로 했습니다. 리명박 대통령이 김정일이 아닌 인민을 상대로 하고 대북정책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북남관계가 악화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북조선의 간부들은 김정일이 먼저 전쟁을 일으키지 않는 한 조선에서 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아야 합니다. 1994년 제1차 북조선 핵 위기 때에도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이 녕변의 핵원자로를 폭격하려 할때 남조선 대통령이 반대해 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좀 더 확실하게 알려면 남조선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리해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정책은 전쟁이 아니라 실질적인 교류와 협력을 통해서 서로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자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북조선이 개혁과 개방을 하게 되면 10년안에 인민들의 1인당 국민소득이 3천딸라, 즉 현재 중국의 평균생활 수준만큼 되도록 남조선에서 지원하겠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정책의 핵심인 '비핵, 개방3000'입니다. 지금은 조선중앙방송과 평양방송 그리고 남조선의 친 김정일 좌파들이 하도 비판을 많이 하는 바람에 '상생공영'이라고 바뀌였지만 내용은 그대로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지원 정책인 '비핵, 개방3000'이 북조선을 망하게 하고 그렇게 되면 간부들이 숙청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비핵, 개방 3000은 그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북조선을 망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처럼 서서히 개혁과 개방으로 변하게 하려는 정책입니다.
지금의 북조선의 정치체제와 경제제도를 유지하면서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고 개혁과 개방을 하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입니다. 만약 북조선이 갑자기 붕괴되면 남조선이 북조선을 흡수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남조선의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됩니다.
북조선을 흡수하게 되면 독일처럼 수천억딸라를 북조선에 투입해서 북조선을 재건해야 하는데 이 방법은 남조선에게 경제적 부담이 아주 큽니다. 여기에다가 황무지나 다름없는 북조선을 흡수한 남조선의 경제에 대한 국제적 신뢰가 추락하면 남조선도 하루아침에 추락하게 됩니다.
때문에 남조선에서는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북조선과 당장 통일하는 것을 반대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여 이제는 확실하게 굳어진 상태입니다. 어찌보면 남조선의 리기주의적인 태도라고 할 수 있지만 이것이 현실이고 또 북조선이 붕괴되지 않는 것이 북과 남 모두에게 유리합니다.
남조선의 지난 정권인 김대중, 로무현 정부가 북조선을 지원하게 된 중요한 리유가 북조선의 갑작스런 붕괴를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너무 정치적으로 하다보니 인민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김정일을 지원하게 되었고 대북정책 상대가 김정일이 된 것입니다.
현재 남조선의 리명박 대통령도 북조선이 갑자기 붕괴되면 안된다는 립장은 같지만 대북정책의 상대를 선택하는 것이 다릅니다. 또 정치적 립장에서의 대북정책이 아니라 실용주의적인 립장에서 대북정책을 추진하다보니 비핵, 개방 3000이라는 정책을 내놓게 된 것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의 '비핵, 개방3000'이라는 대북정책을 리해하는데서 가장 핵심은 리명박 대통령 자체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은 지난 시기 김영삼, 김대중, 로무현 대통령과는 아주 다른, 살아온 경력과 리념이 다른 대통령이기 때문에 '비핵개방3000'을 내놓았습니다.
김영삼, 김대중 두 사람은 남조선의 정치력사라고 할만큼 수십년간 야당정치인으로 활동한 말하자면 정치꾼입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50년대 후반부터 정치를 했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60년대부터 정치를 해온 직업정치가로 모든 것을 정치적으로 판단합니다.
로무현 대통령도 1980년대 중반부터 정치를 해온 사람이지만 리명박 대통령은 1992년까지 정주영 회장의 현대그룹 현대건설 사장을 했습니다. 그 이후 국회의원과 서울시장을 했지만 리명박 대통령은 리념보다는 현실과 실용을 강조하는 경제 전문가 형의 대통령입니다.
리명박 대통령은 대통령 직책을 시작한 초기에는 리념의 시대는 끝났다고 하여 남조선 보수층으로부터 욕을 먹기도 했지만 립장은 확고합니다. 이런 경제 실용주의적 립장이 확고하기 때문에 북남관계도 정치나 리념을 토대로 삼기보다는 현실과 경제를 토대로 삼는 것입니다.
바로 이렇게 돼서 북조선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을 하게 되면 10년안에 북조선 인민의 국민소득을 지금의 중국 수준으로 올린다는 대북정책이 나왔습니다. 비핵, 개방3000 정책이 북조선 정권이 붕괴되면 실천 불가능한 정책이라는 것은 리명박 대통령의 대북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대방을 붕괴시켜 점령하거나 흡수하지 않고 서로 도우면서 함께 발전하자는 것이 비핵개방 3000입니다. 리념의 시대는 갔다는 리명박 대통령의 립장은 사상보다 현실을 중시하고 함께 발전해서 잘 살아보자는 것입니다.
비교하면 중국의 등소평이 개혁, 개방을 하면서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된다"는 실용주의와 내용적으로 같은 것입니다. 이번에도 리명박 대통령이 북조선이 미싸일을 쏘지만 우리는 나무를 심는다고 한 말의 의미를 북조선의 최고위급 간부들은 잘 알아야 할 것입니다.
북조선의 비핵, 개방,개혁을 바라지 않는 사람은 딱 한 사람 김정일이고 김정일만 없으면 북조선 간부들이 개혁, 개방의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리명박 대통령은 바로 지금의 북조선 고위간부들이 비핵, 개방, 개혁의 주체가 되어 북남 교류협력 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비핵, 개방 3000을 내놓은 리명박 대통령의 진심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입력 : 2009-04-09 (조회 : 1334)
이명박 ‘비핵. 개방. 3000’ 가능할까?
이명박 ‘비핵. 개방. 3000’ 가능할까?
이명박 ‘비핵. 개방. 3000’ 가능할까?
2007-08-21
k082107ne-ps.mp3
00:00/00:00
서울-박성우 parks@rfa.org
방송듣기
Download story audio
한나라당의 이명박 대통령 후보는 대북 정책을 발표하면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을 한다면 10년 안에 1인당 국민소득을 3천 달러로 높이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과연 가능한 일인지 알아봤습니다.
[이명박 외교안보 정책 홍보 비디오] 무엇보다 걱정스러운 것은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입니다. 한반도의 평화를 바라는 사람이라면 먼저 북한의 핵무기를 없애는 데 온 힘을 기울여야 합니다.
한나라당의 이명박 대통령 후보는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먼저 북한의 핵무기를 없애는 데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합니다. 지난 6월 이 후보 측에서 제작한 외교안보 정책 홍보물에서도 이 후보는 북한의 비핵화를 강조합니다.
[이명박] 김정일 위원장은 생각을 바꿔서 핵을 폐기하고 세계에 개방을 하라...
북한 핵 폐기를 전제로 이 후보는 다양한 경제 지원과 북한의 개방을 통해 1인당 국민소득을 3,000달러 수준까지 끌어 올린다는 “비핵 개방 3000”공약을 제시했습니다. 이명박 후보입니다.
[이명박] “비핵 개방 3000” 구상은 철저하고도 유연한 접근의 일환으로서 북한이 핵폐기와 개방이라는 대 결단을 내리면 우리와 국제사회가 더불어서 그에 상응하는 협력의 대 결단을 내리겠다는 것입니다.
북한의 현재 1인당 국민 소득은 1,100달러를 조금 넘는다고 한국은행이 지난 8월16일 발표했습니다. 10년안에 3천달러로 북한의 국민소득을 높이는 것이 과연 가능한 것인지의 문제는 한나라당 경선과정에서도 논란거리 중 하나였습니다.
[박근혜] 북한이 15% 내지 20%의 경제성장을 하도록 지원 하겠다... 하셨는데 지난번 747공약 때도 이것은 단지 목표일뿐이다, 희망사항일 뿐이다, 그런데 이것도 희망사항이 되지 않을까 이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이런 지적에 대해 이명박 후보는 남한도 해 냈다면서 북한은 왜 못하겠냐고 맞섭니다.
[이명박] 1960년대 초에 우리 박정희 대통령께서 쿠데타로 집권했을 때 우리는 자본도 없고 기술도 없고 경험도 없었습니다. 세계의 협조를 받아서 개방해 오늘날 경제를 이루었습니다. 북한도 그렇습니다.
“비핵 개방 3000” 계획에서 제기되는 첫 번째 논란은 북한 국민소득 ‘3천 달러’ 목표의 실현 가능성입니다. 이명박 후보측은 3천 달러라는 숫자는 근거 없이 나온 게 아니며 경제학자들이 다양한 계산을 토대로 만든 숫자라고 말합니다. 성균관대 김태효 교수입니다.
[김태효] 향후 10년간 얼마정도의 국제 투자 금액이 들어가야 되고, 또 인프라가 조성돼야 되고, 또 북한에 얼마만큼의 생산 시설이 갖춰져야 되고... 이런 것들을 경제학자들하고 다 계산해서 나온 결과라고 아시면 되겠습니다.
<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무진 교수는, 그렇다고 해도 “비핵 개방 3000” 계획은 북한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아 실효성이 의문이라고 지적합니다.
[양무진] 이 후보의 구상은 너무 시장 논리적이다. 북한에서 전혀 시장 논리 또는 시장 경험이 없는 북한에서 이런 시장 논리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
이명박 후보측은 하지만 북한이 비핵화와 개방과 관련해 이행 조치들을 실행하면 그에 맞춰 남한과 국제사회가 상응 조치를 취하는 식으로, 북한 국민소득을 3천 달러로 만든다는 계획은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김태효 교수입니다.
[김태효] 북한이 얼마나 빨리 결심하고 신속하게 행동하느냐에 따라서 비핵 개방은 더 빨리 일어날 수도 있고... 아니면 10년 이후로 늦춰 질 수 있다. 모든 판단은 북한한테 달려 있는 것이죠.
그러나 재정 부담을 간과했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이에 대해 이명박 후보측은 북한이 시장 개념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관계 정상화를 위한 일본의 대 북한 투자와 국제협력기금 등의 대북 투자가 늘어 날 것이며, 이런 국제사회의 대북 투자가 사실상 “비핵 개방 3000” 계획의 핵심이라고 설명합니다. 김태효 교수입니다.
[김태효] 보다 구체적인 안은 물론 다시 문서상으로 보관을 하고 있습니다마는... 지금 말씀 드릴 수 있는 거는... 대한민국 정부나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는 부분은 사실 많지 않다는 거지요.
양무진 교수는 하지만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북한이 이명박 후보의 대북정책을 받아들일지도 의문이지만, 국제사회가 대규모 자금 지원 단계에서 발을 뺄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양무진] 이명박 후보의 그 구상은 국제사회의 협력, 북한의 협력... 이런 것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그 협력이 없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이런 부분이 전혀 없습니다.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해서 먼저 대안을 내 놔야 되고...
전문가들은 이명박 후보의 “비핵 개방 3000” 계획이 앞으로도 범여권 대선 후보의 대북정책과 맞서는 첨예한 선거 쟁점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사설] 자질이 의심되는 서재진 통일연구원장 : 사설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
[사설] 자질이 의심되는 서재진 통일연구원장 : 사설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
[사설] 자질이 의심되는 서재진 통일연구원장
등록 :2008-09-24 21:10수정 :2008-09-25 10:21
국책 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의 서재진 원장이 그제 서울대 통일연구소에서 열린 통일정책포럼에서
북한 정권은 “지극히 비정상적이고 잘못된 정권”이어서 “아무리 대화해 봐야 소용없다”는 해괴한 발언을 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의 선거공약이었던 ‘비핵·개방 3000’ 정책을 개발하는 데 깊숙이 개입했으며, 대통령직 인수위 외교안보분야 자문위원을 지냈다. 아무리 이명박 정부 출범에 기여했더라도 기본 자질이 의심되는 이런 사람을 국책 기관장에 임명한 것은 정부 책임이 크다.
서 원장은 근거 없는 주장과 적대적 대북관 표출로 일관했다.
서 원장은 근거 없는 주장과 적대적 대북관 표출로 일관했다.
그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오래가지는 못할 것”이며 “통일은 가시권에 들었다”고 강변했다. 최근 정부가 김 위원장의 건강 이상설과 관련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과는 정반대다. 그는 개성공단 사업에 대해서도 “기업 재정보조로 기교를 부린 것”이라며 “개별기업은 수익이 나겠지만 국가 차원에서는 달러를 못 벌어들이고 오히려 국내 일자리만 뺐고 있다”고 폄하했다. 남북 관계를 완전히 끊자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주장이다.
통일연구원은 냉전이 끝나가던 1991년 “민족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국민적 역량을 축적하고 통일환경 변화에 적극적·주도적으로 대응”하고자 만든 연구·분석 기관이다. 또한, 서 원장은 국책 기관장으로서 평화통일 노력을 규정한 헌법을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럼에도, 그는 지난달 임명된 뒤 처음 연 기자 간담회에서부터 “김정일 정권이 빨리 교체되는 것이 남북 통일에는 상당히 유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해 물의를 빚었다.
이명박 정부에 관련된 이들이 비현실적 대북관으로 문제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통일부 장관에 지명됐다가 여론의 반대로 물러난 남주홍씨가 그랬고, 통일교육원장으로 사실상 내정됐다가 교체된 홍관희씨가 그랬다. 북한 붕괴론과 ‘6·15 공동선언은 용공이적 행위’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었다. 이번 발언은 그 연장선에 있다.
이 대통령은 엊그제 민주평통 지역회의 개회사에서 6·15, 10·4 선언을 포함한 기존 남북 사이 합의 정신을 존중하는 바탕 아래 전면적 대화를 하자고 북쪽에 제안했다. 정부 대북정책 역시 상생·공영이란 이름으로 진화했다. 하지만, 서 원장 같은 이가 목소리를 높이는 한 남북 관계 진전은 요원함을 정부는 알아야 한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312160.html#csidx663fcfacf6e8b6bae6316d35458c0ab
통일연구원은 냉전이 끝나가던 1991년 “민족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국민적 역량을 축적하고 통일환경 변화에 적극적·주도적으로 대응”하고자 만든 연구·분석 기관이다. 또한, 서 원장은 국책 기관장으로서 평화통일 노력을 규정한 헌법을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럼에도, 그는 지난달 임명된 뒤 처음 연 기자 간담회에서부터 “김정일 정권이 빨리 교체되는 것이 남북 통일에는 상당히 유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해 물의를 빚었다.
이명박 정부에 관련된 이들이 비현실적 대북관으로 문제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통일부 장관에 지명됐다가 여론의 반대로 물러난 남주홍씨가 그랬고, 통일교육원장으로 사실상 내정됐다가 교체된 홍관희씨가 그랬다. 북한 붕괴론과 ‘6·15 공동선언은 용공이적 행위’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었다. 이번 발언은 그 연장선에 있다.
이 대통령은 엊그제 민주평통 지역회의 개회사에서 6·15, 10·4 선언을 포함한 기존 남북 사이 합의 정신을 존중하는 바탕 아래 전면적 대화를 하자고 북쪽에 제안했다. 정부 대북정책 역시 상생·공영이란 이름으로 진화했다. 하지만, 서 원장 같은 이가 목소리를 높이는 한 남북 관계 진전은 요원함을 정부는 알아야 한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312160.html#csidx663fcfacf6e8b6bae6316d35458c0ab
Labels:
통일교
통일연구원, '이명박정부 2년 대북정책 성과및 향후 방향' 학술회의
교수신문
통일연구원, '이명박정부 2년 대북정책 성과및 향후 방향' 학술회의(2.22) | |||||||||||
| |||||||||||
통일연구원(원장: 서재진, www.kinu.or.kr)은 2월 22일(월) 오후 1시30분부터 서울 중구 소공동에 있는 롯데호텔 3층 사파이어볼룸에서 '이명박 정부 2년 대북정책 성과 및 향후 추진방향'을 주제로 학술회의를 연다. 통일연구원은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그동안의 대북정책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 북핵문제 해결과 새로운 남북관계 정립을 위한 대북정책 추진방향을 모색해 남북관계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주최하고 통일연구원 주관, 국무총리실 후원으로 개최된다. 학술회의 프로그램 <개회식>개 회 사: 서재진 통일연구원장 치 사: 김세원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기조연설: 김태효 대통령실 대외전략비서관 <세션1> 대북정책 추진성과 사 회: 남성욱 국가안보전략연구소장 발표1: 국민들의 대북인식 변화와 대북정책 평가 : 국민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 분석 최진욱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표2: 북한 내부 및 대남정책 평가 김연수 국방대학교 교수 토 론: 이교덕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손광주 데일리NK 편집국장 류길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세션2> 향후 대북정책 추진방향 사 회: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 발표1: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대북정책 추진방향 백승주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발표2: 새로운 남북관계 정립을 위한 대북정책 추진방향 유호열 고려대학교 교수 토 론: 조동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이영종 중앙일보 기자 한용섭 국방대학교 교수 |
[인터뷰: 한국 통일연구원 서재진 원장] “김정은 후계과정, 김정일 때보다 반발 심해”
[인터뷰: 한국 통일연구원 서재진 원장] “김정은 후계과정, 김정일 때보다 반발 심해”
[인터뷰: 한국 통일연구원 서재진 원장] “김정은 후계과정, 김정일 때보다 반발 심해”
2011.4.13
한국의 통일 문제 전문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이 최근 개원 20주년을 맞았습니다. 통일연구원 서재진 원장은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전화인터뷰에서 김정은 후계체제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반발이 김정일 때보다 심하다고 밝혔습니다. 서 원장으로부터 최근 한국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통일 대비 작업과 북한 후계 상황 등에 관해 들어봤습니다.
문) 서 원장님 안녕하십니까?
답) 네, 안녕하셨어요?
문) 먼저 통일연구원 개원 20주년을 축하 드립니다.
답) 네, 감사합니다.
문) 먼저 통일과 관련해서요, 최근에 한국 정부가 통일을 대비하자는 취지에서요, 재원 마련을 포함한 여러 가지 통일과 관련한 공론화 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이 시점에서 이 것이 왜 중요한가요?
답) 최근 북한 상황은 불안정이 대단히 심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북한이 근 15년 이상 핵 문제에 얽매여 있고요, 국제사회와 UN 제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난이 심화됐습니다. 또 북한 당국은 경제난 속에서 재정확보를 위해 2009년 12월 달에 화폐개혁을 실시했고요, 그로 인해서 민심이반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북한 체제의 불안정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정부로서는 그에 대한 대비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국제사회가 북한을 불안정하게 보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는다면, 국제 금융 시장이 불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북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필요한 재원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각에서 통일을 대비하는 정책들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문) 그러니까 북한의 상황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통일 준비가 필요하다는 말씀이군요?
답) 그렇습니다.
문) 하지만 한국사회 일각에서는 이렇게 통일준비를 공론화함으로써 북한을 자극하고, 남북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필요가 없다는 여론도 있거든요. 이런 의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 우리 한국 국민뿐만 아니라, 북한 주민들도 통일에 대해서는 간절한 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통일을 한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한국 국민과 북한 주민이 다같이 공유하는 것이 통일인데요. 그래서 남북간의 합의 통일을 할 경우에는 그것이 북한을 자극하기 보다는, 북한 주민과 간부로부터도 호응을 얻어낼 수 있는 민족적이고 중요한 프로젝트라고 생각합니다. 또 통일을 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그런 비용이 드는 통일을 할 필요가 있냐는 국민들도 많이 계시지만, 통일은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더 많은 이득을 창출하는 측면도 있거든요.
문) 그런 차원에서 통일을 차근차근히 준비해야 한다는 말씀이군요?
답) 그렇습니다.
문)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통일 방향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껴지는데요. 조금 전에 북한의 불안정 상황이 심화되고 있다고 하셨거든요. 앞으로 통일 방식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답) 우리 한국 정부의 공식적인 통일 방안은 점진적인 합의통일 입니다. 그것이 단순히 말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점진적인 합의통일만이 현실적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북한에 급변사태가 일어나는 방식으로 통일을 한다면, 대단히 위험할 수 있고, 한반도가 오히려 전쟁의 혼란에 빠질 수도 있거든요. 그래서 통일의 방식은 합의 통일이라고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가 있고요.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이 현재의 정책방향을 개혁개방의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방식이라고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다.
문) 그래도 급변사태라는 것이 예고 없이 찾아오는 것 아닙니까?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체제 불안도 심화되고 있다면, 그런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하지 않을까요?
답) 북한의 급작스런 변화라는 것은 어떤 체제 붕괴라는 말로는 표현할 수가 없고요. 정권의 교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것은 북아프리카의 튀니지나 이집트, 리비아와 같은 방식의 정권 교체를 의미하는 것이지, 북한이라는 국가가 갑자기 붕괴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거거든요. 북한에서 이렇게 정권이 바뀌고, 정책이 바뀌면 점진적인 정책 변화를 수반하고, 북한의 안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보고 있는 거죠.
문) 이번에는 현안에 대해서 여쭙겠습니다. 최근에 남북간 대화 재개가 한반도를 둘러싼 여러 정치 현안의 핵심쟁점이 되고 있는데요. 대화 또 더 나아가서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답) 대화는 우리 한국 정부가 추구해왔던 남북관계의 방향입니다. 대화라는 것은 그저 의미 없이 대화를 위한 대화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정상화할 수 있는 대화입니다. 이런 전략적인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서 북한과 기 싸움도 하고 압박도 하는 그런 전략을 해온 겁니다. 그것은 압박을 위한 압박이 아니라 대화를 위한 압박을 해왔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남북당국간의 대화라든지, 정상회담 같은 것들은 언제든지 열려 있었고, 그것을 추구하기 위한 단기적인 북한에 대한 압박을 해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 계속해서 북한 내부 상황에 대한 평가도 여쭤보겠습니다. 최근 북한 인민회의에서 후계자 김정은에 대한 언급이 없었고요, 또 한편에서는 김정은이 국가안전부위부장을 겸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최근의 북한 후계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답) 김정은 후계자는 나이가 상당히 어리고요.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지도자로서의 경륜도 부족하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북한 내부에서 상당히 저항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층들, 김정은 후계자가 27세 아닙니까? 그런 27세 전후의 젊은 층들이 자기하고 동년배의 사람이 대장이라는 계급장을 달고, 부위원장이라는 높은 직위를 받는 데 대한 반발과 불만이 상당히 많이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북한 당국으로써도 예상치 못한 사회적 반발에 상당히 긴장하고 있고요.
이런 반발이 생긴 또 하나의 원인은, 국가보위부를 후계 구축의 수단으로 사용한 측면이 있거든요. 과거 김정일 위원장은 당을 통해서 권력을 중계 받았는데, 김정은 후계자는 국가보위부를 통한 권력창출의 방식을 채택했고, 이것이 상당한 부작용을 낳고 있는 것으로 평가합니다.
문) 그것은 당 사업이나 이런 쪽이 아닐, 주민 통제로 권력을 장악하려 한다는 불만인가요?
답) 그렇습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주민들의 불만과 반발을 가져오는 예견된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거죠.
문) 그렇다면 김정은 후계 과정은 과거 김정일 위원장의 후계보다 심각한 주민 반발에 부딪히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시는 건가요?
답) 그렇습니다.
문) 서 원장님,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답) 수고하셨습니다.
아웃트로: 지금까지 한국 통일연구원 서재진 원장으로부터 최근 한국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통일 대비 작업과 북한 후계 상황 등에 관해 들어봤습니다. 인터뷰에 김근삼 이었습니다
[인터뷰: 한국 통일연구원 서재진 원장] “김정은 후계과정, 김정일 때보다 반발 심해”
2011.4.13
한국의 통일 문제 전문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이 최근 개원 20주년을 맞았습니다. 통일연구원 서재진 원장은 ‘미국의 소리’ 방송과의 전화인터뷰에서 김정은 후계체제에 대한 북한주민들의 반발이 김정일 때보다 심하다고 밝혔습니다. 서 원장으로부터 최근 한국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통일 대비 작업과 북한 후계 상황 등에 관해 들어봤습니다.
문) 서 원장님 안녕하십니까?
답) 네, 안녕하셨어요?
문) 먼저 통일연구원 개원 20주년을 축하 드립니다.
답) 네, 감사합니다.
문) 먼저 통일과 관련해서요, 최근에 한국 정부가 통일을 대비하자는 취지에서요, 재원 마련을 포함한 여러 가지 통일과 관련한 공론화 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이 시점에서 이 것이 왜 중요한가요?
답) 최근 북한 상황은 불안정이 대단히 심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북한이 근 15년 이상 핵 문제에 얽매여 있고요, 국제사회와 UN 제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난이 심화됐습니다. 또 북한 당국은 경제난 속에서 재정확보를 위해 2009년 12월 달에 화폐개혁을 실시했고요, 그로 인해서 민심이반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북한 체제의 불안정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정부로서는 그에 대한 대비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국제사회가 북한을 불안정하게 보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는다면, 국제 금융 시장이 불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북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필요한 재원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각에서 통일을 대비하는 정책들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문) 그러니까 북한의 상황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통일 준비가 필요하다는 말씀이군요?
답) 그렇습니다.
문) 하지만 한국사회 일각에서는 이렇게 통일준비를 공론화함으로써 북한을 자극하고, 남북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필요가 없다는 여론도 있거든요. 이런 의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 우리 한국 국민뿐만 아니라, 북한 주민들도 통일에 대해서는 간절한 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통일을 한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한국 국민과 북한 주민이 다같이 공유하는 것이 통일인데요. 그래서 남북간의 합의 통일을 할 경우에는 그것이 북한을 자극하기 보다는, 북한 주민과 간부로부터도 호응을 얻어낼 수 있는 민족적이고 중요한 프로젝트라고 생각합니다. 또 통일을 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그런 비용이 드는 통일을 할 필요가 있냐는 국민들도 많이 계시지만, 통일은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더 많은 이득을 창출하는 측면도 있거든요.
문) 그런 차원에서 통일을 차근차근히 준비해야 한다는 말씀이군요?
답) 그렇습니다.
문)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통일 방향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껴지는데요. 조금 전에 북한의 불안정 상황이 심화되고 있다고 하셨거든요. 앞으로 통일 방식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답) 우리 한국 정부의 공식적인 통일 방안은 점진적인 합의통일 입니다. 그것이 단순히 말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점진적인 합의통일만이 현실적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북한에 급변사태가 일어나는 방식으로 통일을 한다면, 대단히 위험할 수 있고, 한반도가 오히려 전쟁의 혼란에 빠질 수도 있거든요. 그래서 통일의 방식은 합의 통일이라고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가 있고요.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이 현재의 정책방향을 개혁개방의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방식이라고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다.
문) 그래도 급변사태라는 것이 예고 없이 찾아오는 것 아닙니까?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체제 불안도 심화되고 있다면, 그런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하지 않을까요?
답) 북한의 급작스런 변화라는 것은 어떤 체제 붕괴라는 말로는 표현할 수가 없고요. 정권의 교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것은 북아프리카의 튀니지나 이집트, 리비아와 같은 방식의 정권 교체를 의미하는 것이지, 북한이라는 국가가 갑자기 붕괴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거거든요. 북한에서 이렇게 정권이 바뀌고, 정책이 바뀌면 점진적인 정책 변화를 수반하고, 북한의 안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보고 있는 거죠.
문) 이번에는 현안에 대해서 여쭙겠습니다. 최근에 남북간 대화 재개가 한반도를 둘러싼 여러 정치 현안의 핵심쟁점이 되고 있는데요. 대화 또 더 나아가서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답) 대화는 우리 한국 정부가 추구해왔던 남북관계의 방향입니다. 대화라는 것은 그저 의미 없이 대화를 위한 대화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정상화할 수 있는 대화입니다. 이런 전략적인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서 북한과 기 싸움도 하고 압박도 하는 그런 전략을 해온 겁니다. 그것은 압박을 위한 압박이 아니라 대화를 위한 압박을 해왔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남북당국간의 대화라든지, 정상회담 같은 것들은 언제든지 열려 있었고, 그것을 추구하기 위한 단기적인 북한에 대한 압박을 해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 계속해서 북한 내부 상황에 대한 평가도 여쭤보겠습니다. 최근 북한 인민회의에서 후계자 김정은에 대한 언급이 없었고요, 또 한편에서는 김정은이 국가안전부위부장을 겸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최근의 북한 후계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답) 김정은 후계자는 나이가 상당히 어리고요.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지도자로서의 경륜도 부족하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북한 내부에서 상당히 저항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층들, 김정은 후계자가 27세 아닙니까? 그런 27세 전후의 젊은 층들이 자기하고 동년배의 사람이 대장이라는 계급장을 달고, 부위원장이라는 높은 직위를 받는 데 대한 반발과 불만이 상당히 많이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북한 당국으로써도 예상치 못한 사회적 반발에 상당히 긴장하고 있고요.
이런 반발이 생긴 또 하나의 원인은, 국가보위부를 후계 구축의 수단으로 사용한 측면이 있거든요. 과거 김정일 위원장은 당을 통해서 권력을 중계 받았는데, 김정은 후계자는 국가보위부를 통한 권력창출의 방식을 채택했고, 이것이 상당한 부작용을 낳고 있는 것으로 평가합니다.
문) 그것은 당 사업이나 이런 쪽이 아닐, 주민 통제로 권력을 장악하려 한다는 불만인가요?
답) 그렇습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주민들의 불만과 반발을 가져오는 예견된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거죠.
문) 그렇다면 김정은 후계 과정은 과거 김정일 위원장의 후계보다 심각한 주민 반발에 부딪히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시는 건가요?
답) 그렇습니다.
문) 서 원장님,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답) 수고하셨습니다.
아웃트로: 지금까지 한국 통일연구원 서재진 원장으로부터 최근 한국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통일 대비 작업과 북한 후계 상황 등에 관해 들어봤습니다. 인터뷰에 김근삼 이었습니다
He ran North Korea’s secret moneymaking operation. Now he lives in Virginia. - The Washington Post
He ran North Korea’s secret moneymaking operation. Now he lives in Virginia. - The Washington Post
He ran North Korea’s secret moneymaking operation. Now he lives in Virginia.
Play Video 4:49
North Korean defector tells how he secretly made millions for Kim regime
Embed
Share
For three decades, North Korean Ri Jong Ho was one of many men responsible for secretly sending millions of dollars back to Pyongyang. He worked for the shadowy "Office 39" before escaping with his family in 2014. He sat down with The Washington Post’s Anna Fifield to tell his story. (Video: Anna Fifield, Jason Aldag/Photo: Jahi Chikwendiu/The Washington Post)
By Anna Fifield July 13
Efforts to sanction North Korea into submission won’t work because there are too many ways around them, Ri Jong Ho says.
He should know.
For about three decades, Ri was a top moneymaker for the Kim regime, sending millions of dollars a year back to Pyongyang even as round after round of sanctions was imposed to try to punish North Korea for its nuclear defiance.
“We were never in pain or hurting in our trade business because of the sanctions. Instead, we conducted our first nuclear test in 2006,” Ri said in an interview near Tysons Corner.
The 59-year-old, whose job had been to raise money for the North Korean regime, and his family live in Northern Virginia, having defected to South Korea at the end of 2014 and moved to the United States last year.
“I used to be sanctioned, as a North Korean who led trade at the front line, but I never felt any pain from the sanctions. The sanctions were perfunctory,” Ri said.
He described being able to send millions of U.S. dollars to North Korea simply by handing a bag of cash to the captain of a ship leaving from the Chinese port city of Dalian, where he was based, to the North Korean port of Nampo, or by giving it to someone to take on the train across the border.
In first the nine months of 2014 — he defected in October that year — Ri said he sent about $10 million to Pyongyang this way.
[ Trump warns of ‘severe’ consequences for North Korea as Russia, China balk at tough U.S. talk ]
For more than two decades, the United States has been trying to convince North Korea to abandon its nuclear weapons program, alternating between inducements and punishments.
In both cases, American policy has relied on China, North Korea’s erstwhile patron, using its economic power over its cash-strapped neighbor. But Beijing’s implementation of sanctions, even those it backed through the United Nations, has been patchy at best. China’s overwhelming priority is ensuring stability in North Korea.
President Trump has repeatedly called on China to support his policy of putting “maximum pressure” on Pyongyang to stop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Efforts have not changed North Korea’s behavior. This is partly because multilateral sanctions imposed through the United Nations must be watered down to avoid being vetoed by China or Russia, traditional backers of North Korea, and partly because other countries don’t implement the tougher but unilateral U.S. sanctions.
“Unless China,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cooperate fully to sanction North Korea, it will be impossible to hurt them,” Ri said.
China’s interest in North Korea is well known, but Russia’s role in supporting the former Soviet client state is often overlooked. Amid calls for China to limit oil exports to North Korea, Russia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e amount of oil it has sent — some reports suggest exports have quadrupled — to North Korea this year.
North Korea’s financial networks, moreover, are intentionally murky. The U.S. Treasury has sanctioned more and more North Koreans and North Korean companies by name to try to cut them off from the American financial system, but few, if any, have any exposure to the United States.
For this reason, Ri’s insights are widely sought after in Washington, where successive administrations have been trying to find North Korea’s pressure points.
[ The messy data behind China’s growing trade with North Korea ]
Ri worked for three decades in Office 39, the Workers’ Party operation responsible for raising money for the North Korean leader. The office has long been associated with both legal trade and illicit activity, including counterfeiting dollars and drug smuggling.
Ri said he worked as president of a shipping company and was chairman of Korea Kumgang Group, a company that formed a venture with Sam Pa, a Chinese businessman, to start a taxi company in Pyongyang. Ri suppled a photo of him and Pa aboard a jet to Pyongyang.
He was awarded the title “hero of labor” in 2002 for his efforts, and said he lived the good life in Pyongyang, with a color TV and a car. “I was very loyal to Kim Jong Il, so I was rewarded by him,” he said. “I was rich.”
His last position was running the Dalian branch of Daeheung, a trading company involved in shipping, coal and seafood exports, and oil imports. The company was given targets to meet in terms of profits, he said, declining to go into details.
But in 2014, Ri grew increasingly disillusioned after Kim Jong Un suddenly denounced his uncle, Jang Song Thaek, as a “traitor for all ages” and had him executed at the end of 2013.
Jang had been leading economic cooperation efforts with China, and dozens of people who worked for him were also purged at the time, Ri said. He worried that his family would be next. They escaped to South Korea before moving to the United States, where his two children, now in their 20s, plan to go to college.
Experts said Ri’s arrival in the United States could be a boon for American efforts to crack down on North Korea.
“It’s always useful when a defector, especially one that knows the internal operations of Office 39 — and my assumption is that he knows the external operations too — can help us,” said Anthony Ruggiero, who worked on sanctions at Treasury and is now with the Foundation for the Defense of Democracies.
The United States has been trying to understand how North Korea uses banks in China in particular to finance its activities. “I hope that the Treasury and some other organizations with ‘agency’ at the end of their name are talking to him,” Ruggiero said.
[ The secret to Kim’s success? Some experts see Russian echoes in North Korea’s missile advances ]
Ri said North Korea has repeatedly found ways to circumvent whatever sanctions are imposed on it.
“North Korea is a 100 percent state enterprise, so these companies just change their names the day after they’re sanctioned,” he said. “That way the company continues, but with a different name than the one on the sanctions list.”
Ri’s Chinese counterparts weren’t bothered, either, he said.
“My partners in China also want to make a profit, so they don't care much about sanctions,” he said. “When the Chinese government orders them to stop, they stop for a few days and then start up again.”
Growing impatient with Beijing, Washington is increasingly targeting Chinese companies that help North Korea with what are called “secondary sanctions.” At the end of last month, the Trump administration blacklisted the Bank of Dandong,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 its dealings with North Korea.
But without knowing how to really hurt North Korea and teaming up to do it, it will be “impossible” to change Pyongyang’s calculus on the nuclear program, Ri said.
For that reason, the former money man advocates an approach that combines Trump’s “maximum pressure” with another idea that the president has at least flirted with: talks.
“I think there should be top-level talk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so that they can both work together to solve the problem,” Ri said.
After last week’s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est and last month’s death of Otto Warmbier, the Ohio college student who returned from 17 months’ detention in North Korea in a coma, talks seem a long way off.
Today's WorldView
What's most important from where the world meets Washington
Sign up
But Trump, a businessman who prides himself on being a master negotiator, has said he would be “honored” to meet Kim, whom he called a “smart cookie.”
At unofficial talks in Oslo in May, a North Korean delegation signaled to American representatives Kim’s interest in talking, according to two people with knowledge of the discussions.
Previous diplomatic efforts to convince North Korea to give up its nuclear weapons have failed, and there is a great deal of skepticism in Washington about negotiations.
But that shouldn’t stop the current administration from trying, Ri said: “Like they say in politics, yesterday's enemy can be today’s friend.”
Read more
Experts: North Korea’s missile was a ‘real ICBM’ — and a grave milestone
North Korea’s surprising, lucrative relationship with Africa
Trump’s many comments on North Korea
Today’s coverage from Post correspondents around the world
Like Washington Post World on Facebook and stay updated on foreign news
63
Comments
Share on FacebookShare
Share on TwitterTweet
Share via Email
Anna Fifield is The Post’s bureau chief in Tokyo, focusing on Japan and the Koreas. She previously reported for the Financial Times from Washington DC, Seoul, Sydney, London and from across the Middle
He ran North Korea’s secret moneymaking operation. Now he lives in Virginia.
Play Video 4:49
North Korean defector tells how he secretly made millions for Kim regime
Embed
Share
For three decades, North Korean Ri Jong Ho was one of many men responsible for secretly sending millions of dollars back to Pyongyang. He worked for the shadowy "Office 39" before escaping with his family in 2014. He sat down with The Washington Post’s Anna Fifield to tell his story. (Video: Anna Fifield, Jason Aldag/Photo: Jahi Chikwendiu/The Washington Post)
By Anna Fifield July 13
Efforts to sanction North Korea into submission won’t work because there are too many ways around them, Ri Jong Ho says.
He should know.
For about three decades, Ri was a top moneymaker for the Kim regime, sending millions of dollars a year back to Pyongyang even as round after round of sanctions was imposed to try to punish North Korea for its nuclear defiance.
“We were never in pain or hurting in our trade business because of the sanctions. Instead, we conducted our first nuclear test in 2006,” Ri said in an interview near Tysons Corner.
The 59-year-old, whose job had been to raise money for the North Korean regime, and his family live in Northern Virginia, having defected to South Korea at the end of 2014 and moved to the United States last year.
“I used to be sanctioned, as a North Korean who led trade at the front line, but I never felt any pain from the sanctions. The sanctions were perfunctory,” Ri said.
He described being able to send millions of U.S. dollars to North Korea simply by handing a bag of cash to the captain of a ship leaving from the Chinese port city of Dalian, where he was based, to the North Korean port of Nampo, or by giving it to someone to take on the train across the border.
In first the nine months of 2014 — he defected in October that year — Ri said he sent about $10 million to Pyongyang this way.
[ Trump warns of ‘severe’ consequences for North Korea as Russia, China balk at tough U.S. talk ]
For more than two decades, the United States has been trying to convince North Korea to abandon its nuclear weapons program, alternating between inducements and punishments.
In both cases, American policy has relied on China, North Korea’s erstwhile patron, using its economic power over its cash-strapped neighbor. But Beijing’s implementation of sanctions, even those it backed through the United Nations, has been patchy at best. China’s overwhelming priority is ensuring stability in North Korea.
President Trump has repeatedly called on China to support his policy of putting “maximum pressure” on Pyongyang to stop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Efforts have not changed North Korea’s behavior. This is partly because multilateral sanctions imposed through the United Nations must be watered down to avoid being vetoed by China or Russia, traditional backers of North Korea, and partly because other countries don’t implement the tougher but unilateral U.S. sanctions.
“Unless China,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cooperate fully to sanction North Korea, it will be impossible to hurt them,” Ri said.
China’s interest in North Korea is well known, but Russia’s role in supporting the former Soviet client state is often overlooked. Amid calls for China to limit oil exports to North Korea, Russia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e amount of oil it has sent — some reports suggest exports have quadrupled — to North Korea this year.
North Korea’s financial networks, moreover, are intentionally murky. The U.S. Treasury has sanctioned more and more North Koreans and North Korean companies by name to try to cut them off from the American financial system, but few, if any, have any exposure to the United States.
For this reason, Ri’s insights are widely sought after in Washington, where successive administrations have been trying to find North Korea’s pressure points.
[ The messy data behind China’s growing trade with North Korea ]
Ri worked for three decades in Office 39, the Workers’ Party operation responsible for raising money for the North Korean leader. The office has long been associated with both legal trade and illicit activity, including counterfeiting dollars and drug smuggling.
Ri said he worked as president of a shipping company and was chairman of Korea Kumgang Group, a company that formed a venture with Sam Pa, a Chinese businessman, to start a taxi company in Pyongyang. Ri suppled a photo of him and Pa aboard a jet to Pyongyang.
He was awarded the title “hero of labor” in 2002 for his efforts, and said he lived the good life in Pyongyang, with a color TV and a car. “I was very loyal to Kim Jong Il, so I was rewarded by him,” he said. “I was rich.”
His last position was running the Dalian branch of Daeheung, a trading company involved in shipping, coal and seafood exports, and oil imports. The company was given targets to meet in terms of profits, he said, declining to go into details.
But in 2014, Ri grew increasingly disillusioned after Kim Jong Un suddenly denounced his uncle, Jang Song Thaek, as a “traitor for all ages” and had him executed at the end of 2013.
Jang had been leading economic cooperation efforts with China, and dozens of people who worked for him were also purged at the time, Ri said. He worried that his family would be next. They escaped to South Korea before moving to the United States, where his two children, now in their 20s, plan to go to college.
Experts said Ri’s arrival in the United States could be a boon for American efforts to crack down on North Korea.
“It’s always useful when a defector, especially one that knows the internal operations of Office 39 — and my assumption is that he knows the external operations too — can help us,” said Anthony Ruggiero, who worked on sanctions at Treasury and is now with the Foundation for the Defense of Democracies.
The United States has been trying to understand how North Korea uses banks in China in particular to finance its activities. “I hope that the Treasury and some other organizations with ‘agency’ at the end of their name are talking to him,” Ruggiero said.
[ The secret to Kim’s success? Some experts see Russian echoes in North Korea’s missile advances ]
Ri said North Korea has repeatedly found ways to circumvent whatever sanctions are imposed on it.
“North Korea is a 100 percent state enterprise, so these companies just change their names the day after they’re sanctioned,” he said. “That way the company continues, but with a different name than the one on the sanctions list.”
Ri’s Chinese counterparts weren’t bothered, either, he said.
“My partners in China also want to make a profit, so they don't care much about sanctions,” he said. “When the Chinese government orders them to stop, they stop for a few days and then start up again.”
Growing impatient with Beijing, Washington is increasingly targeting Chinese companies that help North Korea with what are called “secondary sanctions.” At the end of last month, the Trump administration blacklisted the Bank of Dandong,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 its dealings with North Korea.
But without knowing how to really hurt North Korea and teaming up to do it, it will be “impossible” to change Pyongyang’s calculus on the nuclear program, Ri said.
For that reason, the former money man advocates an approach that combines Trump’s “maximum pressure” with another idea that the president has at least flirted with: talks.
“I think there should be top-level talk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so that they can both work together to solve the problem,” Ri said.
After last week’s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est and last month’s death of Otto Warmbier, the Ohio college student who returned from 17 months’ detention in North Korea in a coma, talks seem a long way off.
Today's WorldView
What's most important from where the world meets Washington
Sign up
But Trump, a businessman who prides himself on being a master negotiator, has said he would be “honored” to meet Kim, whom he called a “smart cookie.”
At unofficial talks in Oslo in May, a North Korean delegation signaled to American representatives Kim’s interest in talking, according to two people with knowledge of the discussions.
Previous diplomatic efforts to convince North Korea to give up its nuclear weapons have failed, and there is a great deal of skepticism in Washington about negotiations.
But that shouldn’t stop the current administration from trying, Ri said: “Like they say in politics, yesterday's enemy can be today’s friend.”
Read more
Experts: North Korea’s missile was a ‘real ICBM’ — and a grave milestone
North Korea’s surprising, lucrative relationship with Africa
Trump’s many comments on North Korea
Today’s coverage from Post correspondents around the world
Like Washington Post World on Facebook and stay updated on foreign news
63
Comments
Share on FacebookShare
Share on TwitterTweet
Share via Email
Anna Fifield is The Post’s bureau chief in Tokyo, focusing on Japan and the Koreas. She previously reported for the Financial Times from Washington DC, Seoul, Sydney, London and from across the Middle
Labels:
nuclear power
The secret to Kim’s success? Some experts see Russian echoes in North Korea’s missile advances - The Washington Post
The secret to Kim’s success? Some experts see Russian echoes in North Korea’s missile advances - The Washington Post
The secret to Kim’s success? Some experts see Russian echoes in North Korea’s missile advances
This photo distribut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hows what was said to be the launch of a Hwasong-14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in North Korea's northwest. (AP)
By Joby Warrick July 8
Four months before its July 4 missile test, North Korea offered the world a rare technical preview of its latest missile engine, one said to be capable of lobbing nuclear warheads at U.S. cities. A video on state-run TV depicted a machine with thickets of tubes and vents, and a shape that struck some U.S. experts as familiar — in a distinctly Soviet way.
“It shocked me,” said Michael Elleman, one weapons expert who noticed jarring similarities between the engine tested by North Korea in March and one he frequently encountered in Russia at the end of the Cold War. “It seemed to come out of nowhere.”
After intensive study, Elleman, a former consultant at the Pentagon, and other specialists would report that they had detected multiple design features in the new North Korean missile engine that echo those of a 1960s-era Soviet workhorse called the RD-250.
There is no record of Pyongyang’s obtaining blueprints for the Russian missile engine, and experts disagree on whether it ever did so. But the discovery of similarities has focused new attention on a question that has dogged U.S. analysts for at least the past two years: How has North Korea managed to make surprisingly rapid gains in its missile program, despite economic sanctions and a near-universal ban on exports of military technology to the impoverished communist state?
[Experts: North Korea’s missile was a ‘real ICBM’ — and a grave milestone]
Play Video 1:58
North Korea's latest ballistic missile flew 7 times higher tha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Embed
Share
North Korea successfully test fired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July 3. The missile was launched into a steep arc sending it more than 1,700 vertical miles up before beginning its reentry into Earth's atmosphere.(The Washington Post)
Many weapons experts say North Korea’s startling display of missile prowess is a reflection of the country’s growing mastery of weapons technology, as well as its leader’s fierce determination to take the country into the nuclear club. But others see continuing evidence of an outsize role by foreigners, including Russian scientists who provided designs and know-how years ago, and the Chinese vendors who supply the electronics needed for modern missile-guidance systems.
Whether outsiders played a decisive role in Tuesday’s firing of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s not publicly known. But the evidence from the televised engine test in March is tantalizing, and also disturbing, analysts say. While North Korea is known to have obtained other Soviet missile designs in the past, the new revelations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transfer of weapons secrets that has gone undetected until now.
“It would mean that North Korea had a wider procurement network in the former Soviet Union than we had thought,” said Elleman, a missile expert at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who oversaw the dismantling of Soviet-era missiles in Russia and Ukraine two decades ago. “My first question would be, ‘What else have they got?’ ”
A foundation of knowledge
It was, without a doubt, one of the strangest mass arrests in the history of Moscow’s Sheremetyevo-2 Airport: On Oct. 15, 1992, police detained 60 Russian missile scientists, along with their families, as they prepared to board a plane for North Korea.
Under questioning, the scientists confessed that they had been hired as a group to help the North Koreans build a modern missile fleet. In those early day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re was little work for Russia’s elite weapons scientists and little pay to help them feed and clothe their families.
“We wanted to make money and come back,” one of the scientists explained at the time to a Russian journalist.
Scores of other scientists did make the journey in the 1990s, taking with them decades of experience, as well as parts and blueprints. It was the beginning of a Russian-influenced renaissance in North Korea’s missile arsenal, which until then consisted mostly of outdated, early-generation Scuds, some of them purchased on the black market. About the same time, North Korea also obtained sensitive nuclear technology from Pakistani scientist Abdul Qadeer Khan.
Soldiers watch fireworks in Pyongyang, North Korea, to celebrate the test launch of North Korea's first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wo days earlier. (Jon Chol Jin/AP)
The Russian government has insisted it had nothing to do with the transfer of missile secrets to North Korea. But Soviet designs became the templates for a series of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s built and tested by North Korea over the next two decades, with extra features and capabilities added by a new generation of engineers recruited from the country’s best schools.
Still, the program struggled, with many missiles blowing up on the launchpad, said Gaurav Kampani, a University of Tulsa international security expert and fellow at the Washington-based Atlantic Council.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s, especially its long-range missile project, were often considered a joke because of an unusual number of test failures,” Kampani said.
Serious advances
The jokes all but stopped after North Korea achieved a series of technical breakthroughs in surprisingly rapid succession. Just in the past four years, Pyongyang has launched satellites into orbit and successfully tested one missile that can be fired from a submarine, as well as another that uses solid fuel, a significant military advance because it allows for more mobility and a much faster launch.
On Tuesday, its Hwasong-14 missile became the first in North Korean history capable of traveling more than 3,400 miles, the minimum distance needed to be classified as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he missile is believed to be a two-stage version of the Hwasong-12, which carries the same engine North Korea put on public display in March.
[Kim Jong Un’s rockets are getting an important boost — from China]
In nearly every case, the technical foundations of the new missiles can be traced to know-how acquired from Russians and others over many years. Yet, the advances of the past years suggest that North Korea’s engineers are now managing quite well on their own.
“The consensus has been that North Korea’s program — missile as well as nuclear — is mostly indigenous,” said Laura Holgate, a top adviser on nonproliferation to the Obama administration who stepped down in January as head of the U.S.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in Vienna. “They continue to seek to import commercial dual-use technologies for their weapons programs, but the design and innovation is homegrown.”
The many failures in the past were simply part of the learning curve for a country with a demonstrated ability to benefit from its mistakes, said David Albright, a former U.N. weapons inspector and president of th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a Washington think tank.
“Armed with the acquisition of many goods from abroad, North Korea appears to have devoted considerable resources to making the missiles domestically and, more importantly, figuring out how to launch them successfully,” Albright said. “With regards to missiles, practice makes perfect.”
Determined to succeed
Yet it is also clear that North Korea’s engineers are continuing to benefit from designs bequeathed to them years ago. Before Pyongyang’s new missile engine surfaced, U.S. officials fretted about the Hwasong-10, a mobile,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that was successfully tested last June. The missile, which is capable of reaching targets as far as Guam, 2,000 miles away, has been shown in independent analyses to be a modified version of a Russian missile commonly known as the R-27 Zyb. North Korea is believed to have obtained the Russian blueprint in the 1990s and to have spent years working on prototypes, current and former U.S. officials said.
Elleman, the former Pentagon missile expert, believes that North Korea’s newest missile engine has a similar past. The designs were most likely obtained years ago, through rogue scientists or on the black market, only to surface recently as part of a newly energized missile program.
Elleman is preparing to publish an analysis comparing the engine used in the Hwasong-12 and Hwasong-14 with the Soviet-era RD-250, using photos that highlight nearly identical features, including cooling tubes, exhaust nozzles and the four auxiliary engines that steer the rocket.
“They’ve had these designs for a long time, and they’ve probably been doing exercises around these engines for 15 years,” he said. “All that work was done, and all [that] was left to do was the ground testing and flight testing with these different designs. It is what has allowed them to rapidly build up and try all these things over the past few years.”
[The message behind the murder: North Korea’s assassination sheds light on chemical weapons arsenal]
The Kim Jong Un factor
The key new element was most likely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himself, who accelerated the pace of the country’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soon after taking power. “They are serious about trying to create a capability that could threaten the United States,” Elleman said.
The lingering Soviet legacy partly explains why North Korean technology tends to be decades behind that of the United States and other modern military powers, said David S. Cohen, a former deputy director of the CIA who had advised the Obama administration on North Korea’s weapons advances.
Checkpoint newsletter
Military, defense and security at home and abroad.
Sign up
“The missiles they’re shooting now have some new engineering, but it’s all based on old Soviet models,” Cohen said.
Unable to purchase advanced technology on the open market, North Korea also remains dependent on smugglers and black-marketeers to obtain some of the parts it needs, particularly electronics, Cohen said.
But he cautioned against underestimating a North Korean leadership that repeatedly displayed ingenuity in working with old designs and systems as well as a determination to succeed in the face of international isolation and censure.
“It is a mistake to think that this is really a hermit kingdom that is cut off and doesn’t have access to the Internet,” Cohen said. “They have a lot of disadvantages, but the biggest part of the government economy is their nuclear and missiles program, so the smartest folks they have are directed to do this work.
“My fear,” he added, “ is that people underestimate them.”
365
Comments
Share on FacebookShare
Share on TwitterTweet
Share via Email
Joby Warrick joined the Post’s national staff in 1996. He has covered national security, the environment and the Middle East and currently writes about terrorism. He is the author of two books, including 2015’s “Black Flags: The Rise of ISIS," which was awarded a 2016 Pulitzer Prize for nonfiction. Follow @jobywarrick
The secret to Kim’s success? Some experts see Russian echoes in North Korea’s missile advances
This photo distribut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hows what was said to be the launch of a Hwasong-14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in North Korea's northwest. (AP)
By Joby Warrick July 8
Four months before its July 4 missile test, North Korea offered the world a rare technical preview of its latest missile engine, one said to be capable of lobbing nuclear warheads at U.S. cities. A video on state-run TV depicted a machine with thickets of tubes and vents, and a shape that struck some U.S. experts as familiar — in a distinctly Soviet way.
“It shocked me,” said Michael Elleman, one weapons expert who noticed jarring similarities between the engine tested by North Korea in March and one he frequently encountered in Russia at the end of the Cold War. “It seemed to come out of nowhere.”
After intensive study, Elleman, a former consultant at the Pentagon, and other specialists would report that they had detected multiple design features in the new North Korean missile engine that echo those of a 1960s-era Soviet workhorse called the RD-250.
There is no record of Pyongyang’s obtaining blueprints for the Russian missile engine, and experts disagree on whether it ever did so. But the discovery of similarities has focused new attention on a question that has dogged U.S. analysts for at least the past two years: How has North Korea managed to make surprisingly rapid gains in its missile program, despite economic sanctions and a near-universal ban on exports of military technology to the impoverished communist state?
[Experts: North Korea’s missile was a ‘real ICBM’ — and a grave milestone]
Play Video 1:58
North Korea's latest ballistic missile flew 7 times higher tha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Embed
Share
North Korea successfully test fired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July 3. The missile was launched into a steep arc sending it more than 1,700 vertical miles up before beginning its reentry into Earth's atmosphere.(The Washington Post)
Many weapons experts say North Korea’s startling display of missile prowess is a reflection of the country’s growing mastery of weapons technology, as well as its leader’s fierce determination to take the country into the nuclear club. But others see continuing evidence of an outsize role by foreigners, including Russian scientists who provided designs and know-how years ago, and the Chinese vendors who supply the electronics needed for modern missile-guidance systems.
Whether outsiders played a decisive role in Tuesday’s firing of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s not publicly known. But the evidence from the televised engine test in March is tantalizing, and also disturbing, analysts say. While North Korea is known to have obtained other Soviet missile designs in the past, the new revelations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transfer of weapons secrets that has gone undetected until now.
“It would mean that North Korea had a wider procurement network in the former Soviet Union than we had thought,” said Elleman, a missile expert at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who oversaw the dismantling of Soviet-era missiles in Russia and Ukraine two decades ago. “My first question would be, ‘What else have they got?’ ”
A foundation of knowledge
It was, without a doubt, one of the strangest mass arrests in the history of Moscow’s Sheremetyevo-2 Airport: On Oct. 15, 1992, police detained 60 Russian missile scientists, along with their families, as they prepared to board a plane for North Korea.
Under questioning, the scientists confessed that they had been hired as a group to help the North Koreans build a modern missile fleet. In those early day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re was little work for Russia’s elite weapons scientists and little pay to help them feed and clothe their families.
“We wanted to make money and come back,” one of the scientists explained at the time to a Russian journalist.
Scores of other scientists did make the journey in the 1990s, taking with them decades of experience, as well as parts and blueprints. It was the beginning of a Russian-influenced renaissance in North Korea’s missile arsenal, which until then consisted mostly of outdated, early-generation Scuds, some of them purchased on the black market. About the same time, North Korea also obtained sensitive nuclear technology from Pakistani scientist Abdul Qadeer Khan.
Soldiers watch fireworks in Pyongyang, North Korea, to celebrate the test launch of North Korea's first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wo days earlier. (Jon Chol Jin/AP)
The Russian government has insisted it had nothing to do with the transfer of missile secrets to North Korea. But Soviet designs became the templates for a series of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s built and tested by North Korea over the next two decades, with extra features and capabilities added by a new generation of engineers recruited from the country’s best schools.
Still, the program struggled, with many missiles blowing up on the launchpad, said Gaurav Kampani, a University of Tulsa international security expert and fellow at the Washington-based Atlantic Council.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s, especially its long-range missile project, were often considered a joke because of an unusual number of test failures,” Kampani said.
Serious advances
The jokes all but stopped after North Korea achieved a series of technical breakthroughs in surprisingly rapid succession. Just in the past four years, Pyongyang has launched satellites into orbit and successfully tested one missile that can be fired from a submarine, as well as another that uses solid fuel, a significant military advance because it allows for more mobility and a much faster launch.
On Tuesday, its Hwasong-14 missile became the first in North Korean history capable of traveling more than 3,400 miles, the minimum distance needed to be classified as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he missile is believed to be a two-stage version of the Hwasong-12, which carries the same engine North Korea put on public display in March.
[Kim Jong Un’s rockets are getting an important boost — from China]
In nearly every case, the technical foundations of the new missiles can be traced to know-how acquired from Russians and others over many years. Yet, the advances of the past years suggest that North Korea’s engineers are now managing quite well on their own.
“The consensus has been that North Korea’s program — missile as well as nuclear — is mostly indigenous,” said Laura Holgate, a top adviser on nonproliferation to the Obama administration who stepped down in January as head of the U.S.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in Vienna. “They continue to seek to import commercial dual-use technologies for their weapons programs, but the design and innovation is homegrown.”
The many failures in the past were simply part of the learning curve for a country with a demonstrated ability to benefit from its mistakes, said David Albright, a former U.N. weapons inspector and president of th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a Washington think tank.
“Armed with the acquisition of many goods from abroad, North Korea appears to have devoted considerable resources to making the missiles domestically and, more importantly, figuring out how to launch them successfully,” Albright said. “With regards to missiles, practice makes perfect.”
Determined to succeed
Yet it is also clear that North Korea’s engineers are continuing to benefit from designs bequeathed to them years ago. Before Pyongyang’s new missile engine surfaced, U.S. officials fretted about the Hwasong-10, a mobile,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that was successfully tested last June. The missile, which is capable of reaching targets as far as Guam, 2,000 miles away, has been shown in independent analyses to be a modified version of a Russian missile commonly known as the R-27 Zyb. North Korea is believed to have obtained the Russian blueprint in the 1990s and to have spent years working on prototypes, current and former U.S. officials said.
Elleman, the former Pentagon missile expert, believes that North Korea’s newest missile engine has a similar past. The designs were most likely obtained years ago, through rogue scientists or on the black market, only to surface recently as part of a newly energized missile program.
Elleman is preparing to publish an analysis comparing the engine used in the Hwasong-12 and Hwasong-14 with the Soviet-era RD-250, using photos that highlight nearly identical features, including cooling tubes, exhaust nozzles and the four auxiliary engines that steer the rocket.
“They’ve had these designs for a long time, and they’ve probably been doing exercises around these engines for 15 years,” he said. “All that work was done, and all [that] was left to do was the ground testing and flight testing with these different designs. It is what has allowed them to rapidly build up and try all these things over the past few years.”
[The message behind the murder: North Korea’s assassination sheds light on chemical weapons arsenal]
The Kim Jong Un factor
The key new element was most likely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himself, who accelerated the pace of the country’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soon after taking power. “They are serious about trying to create a capability that could threaten the United States,” Elleman said.
The lingering Soviet legacy partly explains why North Korean technology tends to be decades behind that of the United States and other modern military powers, said David S. Cohen, a former deputy director of the CIA who had advised the Obama administration on North Korea’s weapons advances.
Checkpoint newsletter
Military, defense and security at home and abroad.
Sign up
“The missiles they’re shooting now have some new engineering, but it’s all based on old Soviet models,” Cohen said.
Unable to purchase advanced technology on the open market, North Korea also remains dependent on smugglers and black-marketeers to obtain some of the parts it needs, particularly electronics, Cohen said.
But he cautioned against underestimating a North Korean leadership that repeatedly displayed ingenuity in working with old designs and systems as well as a determination to succeed in the face of international isolation and censure.
“It is a mistake to think that this is really a hermit kingdom that is cut off and doesn’t have access to the Internet,” Cohen said. “They have a lot of disadvantages, but the biggest part of the government economy is their nuclear and missiles program, so the smartest folks they have are directed to do this work.
“My fear,” he added, “ is that people underestimate them.”
365
Comments
Share on FacebookShare
Share on TwitterTweet
Share via Email
Joby Warrick joined the Post’s national staff in 1996. He has covered national security, the environment and the Middle East and currently writes about terrorism. He is the author of two books, including 2015’s “Black Flags: The Rise of ISIS," which was awarded a 2016 Pulitzer Prize for nonfiction. Follow @jobywarrick
Labels:
nuclear power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