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무의식을 엿본 가장 아찔한 비밀을 담은 책 ㅣ레드 북 ㅣ 칼 융 ㅣ부글 ㅣ책추천 ㅣ베스트셀러 ㅣ 책
BOOKTUBER
430K subscribers
===
27,125 views Apr 4, 2025 15 products
BOOKTUBER tagged products below. Learn more
[SET상품] 사이토히토의 3권 세트
Limited shipping areas
navischoolbook.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31&srsltid=AfmBOooxlYP05S4o3z3ukH3IwlniKhe-AXc7KBMz992P1lNRi_iNXRyLyBY
운 좋은 놈이 성공한다 -별난 부자 사이토 히토리의 절대 성공 법칙
Limited shipping areas
navischoolbook.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30&srsltid=AfmBOopmovt3oYpRBD5CVDpVpehofedAOirK7JxHT2kOdu5VcOOwGguNeXc
간헐적 몰입
Limited shipping areas
navischoolbook.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28&srsltid=AfmBOoq-xFQ73rtuGLbleHYf-ZvaozYzSquR0N0i89_seVeNne7V6KAxGZQ
무엇이 행복한 영재를 만드는가
Limited shipping areas
navischoolbook.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29&srsltid=AfmBOorf0w7FUQetcZHUQYvQIbuQMy9Aqk8gyeNnfMfXq7ZgYEK80JzSbS8
더 젊게 오래 사는 법
Limited shipping areas
navischoolbook.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27&srsltid=AfmBOoqLswPTEsqSu3cWtxUbG4kEXYj8iB6SEijv_K8t7U0KtcG5y2FPNY0
머니룰 : 머니룰을 아는 자, 부를 지배하리라!
Limited shipping areas
navischoolbook.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26&srsltid=AfmBOorrGC0XScCYyqmMh9jVlnSd_n0EAKLEdOEUHNFvx5togPA9EPKr3jo
▶ 하버드식 독서 토론법이 인생을 진짜 바꾸는 이유는?
https://cafe.naver.com/booktuber/10639
▶ 책추남 나비스쿨 120% 활용법이 궁금하다면?
https://link.inpock.co.kr/booktuber (클릭)
책추남TV 무료 뉴스레터 가입하기 https://navischool.kr/
책추남TV 채널 멤버십 가입 https://bit.ly/3hE4usN
책추남TV 네이버 까페 https://cafe.naver.com/booktuber
책추남TV 카카오 채팅방 https://open.kakao.com/o/ge3nkH7
나비스쿨 온라인 서점 https://navischoolbook.com/
(이곳에서 책을 구입해주시면 절판 도서 살리기에 도움됩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책추남TV 멤버십 회원에 가입하셔서 나비효과 일으켜주세요.
채널 후원은 좋은 영상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 @booktuber
❤ 다음 링크로 필요하신 물품이 있을 경우 좋은 조건일 경우 쿠팡에서 어느 제품이라도 구입해주시면 나비스쿨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https://link.coupang.com/a/cjD2bp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본문 바로 가기
00:00 인트로
▶ 책 소개
칼 구스타프 융이 손수 책의 형태로 묶은 『RED BOOK』은 말하자면 융의 ‘유고’(遺稿)인 셈이다. 융은 1913년부터 펜으로 직접 글을 쓰고 그림까지 그린 이 책의 제목을 라틴어로 ‘새로운 책’이라는 뜻으로 ‘Liber Novus’라 붙였다. 한편으로 융은 빨간색 가죽 장정의 이 책을 ‘RED BOOK’이라 부르기도 했다. 융이 1959년에 이 책 말미에 ‘에필로그’ 형식의 글을 쓴 것으로 봐서 출판할 뜻을 가진 것 같지만 무슨 사정에선지 에필로그를 미완성으로 남겼으며, 이 원고는 1961년 융이 세상을 떠난 직후 출판되지 못했다. 학자들이 이 원고를 보는 것도 2001년이 되어서야 허용되었다. 그러고도 한참 더 지나서 2009년에야 독일과 미국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이 책을 시작한 1913년은 융에게 있어서 개인적으로나 세계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는 시기이다. 개인적으로는 6년여 지속되었던 오스트리아 심리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와의 관계가 최종적으로 단절된 때였다. 프로이트와 애제자 소리까지 들었던 융의 결별은 리비도와 종교 등을 둘러싼 이견 때문이었다. 프로이트와의 결별을 계기로 칼 융은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 앞날에 대해 깊이 고민했다. 이 시기에 융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지만 많은 공적 활동을 접고 자신의 이론을 개발하는 일에 몰두한다. 그 결실이 바로 분석심리학이다. 이 시기에 융은 환상과 환청에 많이 시달린 것으로 전해진다.
그즈음 유럽은 보통 사람들의 눈에는 그저 평화로워 보였을지 몰라도 지식인들의 눈에는 고요 뒤에 전운이 감돌고 있는 것이 보였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융 같은 지식인들에게는 그 정세가 더욱 불안하게 다가왔을 것이다. 이 책에도 제1차 세계대전을 예견하는 내용이 많이 나오지만, 실제로 전쟁이 터짐에 따라, 칼 융은 자신의 환상이나 공상, 상상이 개인적인 것만은 결코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자신의 정신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던 일이 유럽 대륙의 전체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는 확신이 섰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융은 자신을 대상으로 심리한 연구에 들어갔다. 이 책은 융이 직접 경험한 정신의 세계를 문학 형태로 담아내고 그림까지 곁들여 이해를 돕고 있다.
『RED BOOK』은 융의 표현 그대로 융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에 관한 기록이다. 그 후에 나온 그의 이론들은 모두 이 책에서 잉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을 쓰는 16년 동안에 융은 원형, 집단무의식, ‘개성화’ 이론을 개발했다.
융이 말하는 원형(原型)이란 사람, 행동 또는 성격의 모델을 일컫는다. 융은 사람의 정신이 3가지 요소, 즉 의식과 개인 무의식, 집단 무의식으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한다. 개인 무의식은 억눌린 기억을 포함하여 그 사람 본인에게 일어난 일들에 대한 기억을 말하며, 집단 무의식은 인간이 하나의 종(種)으로서 공유하는 지식과 경험을 말한다. 융에 따르면 바로 이 집단 무의식에서 원형들이 나온다.
원형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이다. 어떤 사람의 내면에서 의식과 무의식이 통합을 이룬 상태가 바로 자기이다. 그런 상태에 있는 사람의 정신은 하나의 전체로서 적절히 작용하게 된다. 융이 자주 쓰는 개성화가 바로 이 자기를 실현하는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말하자면, 개성화는 한 인간이 진정한 자기로 성숙해가는 과정을 말한다. 타고난 성격적 요소들과 다양한 인생 경험, 정신적 요소들이 세월을 두고 서로 통합하여 하나의 전체로 완성되는 과정을 뜻하는 것이다. 융은 이 과정을 대단히 중요하게 여긴다.
분석심리학에서 자기는 원으로 상징된다. 우리가 흔히 만다라라 부르는 것이 자기 또는 개성화의 상징으로 통한다. 그래서 분석심리학에서 인격의 중심은 두 곳이다. 의식의 중심이 있고 전체 인격의 중심이 있는 것이다. 전자는 자아라 불리고, 후자는 자기라 불린다.
융은 당시 기독교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웃에 대한 사랑을 가르치는 기독교를 2,000년 가까이 믿어 온 유럽에서 세계대전 같은 전쟁이 일어났으니, 당시에 유럽인의 정신적 충격은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자연에 반하는 이타적인 사랑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생명을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 칼 융의 입장이다. 이런 배경을 알고 책을 읽으면 영혼의 본질, 사고와 감정의 관계, 남성성과 여성성의 관계, 기독교의 의미 등에 대한 융의 관점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칼융 #무의식 #레드북 #책 #베스트셀러 #책추천 #스테디셀러 # #asmr #자아실현 #책추남 #나비스쿨 #책추천해주는남자 #book #reading #booktube
People mentioned
2 people
Sigmund Freud
Founder of psychoanalysis (1856–1939)
Carl Jung
Swiss psychiatrist and psychotherapist (1875–1961)
Explore the podcast
1,675 episodes
책추남 오디오 팟캐스트
BOOKTUBER
Podcasts
Transcript
Follow along using the transcript.
Show transcrip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