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 몸-마음, 젠더, 생태, 평화 Scapbook

Spirituality, Mind-Body, Gender, Ecology, Ageing, Peace, Scrapbook (in English and Korean)

2022/01/10

Sulak Sivaraksa - Wikipedia

Sulak Sivaraksa - Wikipedia

Sulak Sivaraks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Sulak Sivaraksa
Sulak.Sivaraksa 3-small.jpg
Sulak Sivaraksa
Born27 March 1933 (age 88)[1]
Bangkok, Siam
NationalityThailand
Other namesS.Sivaraksa
OccupationNGO director, writer
Known forSocial activism
Awards2011 Niwano Peace Prize
Right Livelihood Award

Sulak Sivaraksa (Thai: สุลักษณ์ ศิวรักษ์; RTGS: Sulak Siwarak; pronounced [sùlák sìwárák]; born 27 March 1933[1] in Siam) is a Thai social activist, professor,[2] writer and the founder and director of the Thai NGO "Sathirakoses-Nagapradeepa Foundation", named after two authorities on Thai culture, Sathirakoses (Phya Anuman Rajadhon) and Nagapradeepa (Phra Saraprasoet). He initiated a number of social, humanitarian, ecological and spiritual movements and organizations in Thailand, such as the College SEM (Spirit in Education Movement).

Sulak Sivaraksa is known in the West as one of the father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of Engaged Buddhists (INEB), which was established in 1989 with leading Buddhists, including the 14th Dalai Lama, the Vietnamese monk and peace-activist Thich Nhat Hanh, and the Theravada Bhikkhu Maha Ghosananda, as its patrons.

When Sulak Sivaraksa was awarded the Right Livelihood Award in 1995 for "his vision, activism and spiritual commitment in the quest for a development process that is rooted in democracy, justice and cultural integrity", he became known to a wider public in Europe and the US. Sulak was chair of the Asian Cultural Forum on Development and has been a visiting professor at UC Berkeley, the University of Toronto, and Cornell.[2]

Contents

  • 1Life
  • 2Books
    • 2.1Pridi Banomyong in S. Sivaraksa Opinion
    • 2.2Royal Majesty with Thai Future
    • 2.3Loyalty Demands Dissent
    • 2.4Interfaith Connections
    • 2.5Working with the Monks
    • 2.6Seeds of Peace: A Buddhist Vision for Renewing Society
      • 2.6.1"Buddhism with a small 'b'"
    • 2.7Conflict, Culture, Change: Engaged Buddhism in a Globalizing World
      • 2.7.1"Buddhist Solutions to Global Conflict"
  • 3Socially engaged Buddhism
  • 4Works
  • 5See also
  • 6References
  • 7External links

Life[edit]

The grandson of a Chinese immigrant[3] whose surname was Lim and born into an affluent Teochew[4] Sino-Thai family,[5] Sulak Sivaraksa was educated at Assumption College in Bangkok and at the University of Wales, Lampeter,[6] where he is now an honorary fellow in Buddhism.[7] He passed the Bar in London in 1961.[8] Upon his return home, he became the editor of Social Science Review magazine. Many considered it the leading Thai intellectual journal of its time.[9]: 199  By 1968 the Social Science Review had become "the intellectual voice of the nation".[9]: 199  Also in 1968, Sulak founded the Sathirakoses-Nagapradipa Foundation (SNF), which publishes "the intellectual successor" to Social Science Review and acts as an umbrella organization for a group of NGOs.[9]: 204  Soon after his return to Thailand, he directed his energies towards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models for a rapidly changing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The military coup of 1976 forced him into exile for two years. At this time he toured Canada, the US, and Europe to lecture academic audiences. Because of the coup, Sulak's commitment to peace was strengthened. Since then he has championed nonviolence in war torn and repressed countries like Sri Lanka.[9]: 206  His devotion to peace and nonviolence is demonstrated by his leadership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peace organizations like Buddhist Peace Fellowship, Peace Brigade International, and Gandhi Peace Foundation.[9]: 206  After he returned to Thailand, Sulak was prompted to establish the Thai Inter-religious Commission for Development (TICD), and soon thereafter Sulak was appointed chairperson of the Asian Cultural Forum on Development (ACFOD) and the editor of its newsletter, Asia Action.[9]: 206  In 1982, Sulak established the Thai Development Support Committee as a way to coordinate othe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o better tackle large problems that they could not tackle alone.[9]: 204 

The foreign contacts he made while in exile proved beneficial when Sivaraksa was arrested in 1984 for lèse majesté, causing international protests which pressured the government to release him. Sivaraksa was again charged with lèse majesté in September 1991 after a talk he gave at Thammasat University about the repression of democracy in Thailand. Sivaraksa fled the county and went into exile until he was able to convince the courts of his innocence in 1995. He was awarded the Swedish Right Livelihood Award in 1995, the UNPO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Award in 1998, and the Indian Millennium Gandhi Award in 2001. He was nominated for the Nobel Peace Prize by th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in 1994.[9]: 198 

Sulak Sivaraksa at the Buddhistischen Zentrum, Salzburg, 1999.

Sulak was a strong critic of deposed Thai Prime Minister Thaksin Shinawatra. He publicly accused Thaksin of adultery at rallies organized by the People's Alliance for Democracy. However, he has never cited any evidence for his claims.[10] During a protest on 26 February 2006, Sulak called Thaksin a pitiful dog. Sulak's comments were condemned by Somsri Hananantasuk, former Chairperson of Amnesty International Thailand, who said that such words could provoke violence.[11]

In 2007, he spoke out against proposals to declare Buddhism Thailand's "national religion" in the new constitution, arguing that to do so would exacerbate the existing conflict in southern Thailand.[12]

Sulak Sivaraksa also appears in the documentary film about the Dalai Lama entitled Dalai Lama Renaissance.[13]

Sulak Sivaraksa is an advocate for social and political change in Thailand, as well as globally. Sivaraksa has written several influential works that have both inspired people to work towards justice and provoked controversy from political leaders. Nonetheless, Sulak Sivaraksa's speeches and other writings discuss political and economic corruption in Thai government, universal ethics, and socially engaged Buddhism. Some of Sivaraksa's most influential works include his autobiography, Loyalty Demands Dissent, as well as Seeds of Peace: A Buddhist Vision for Renewing Society, and Conflict, Culture, Change: Engaged Buddhism in a Globalizing World. Sulak Sivaraksa’s writings, as well the organizations he has created, express his desire for a moral and ethical world from a Buddhist perspective. Sivaraksa's religious faith is clearly the foundation of all of his political and social beliefs, yet he uses his religious beliefs to create social change in a modernist fashion.

Sulak was arrested on 6 November 2009 for lèse majesté. He was bailed out shortly thereafter.[14]

In 2014 Sulak was again charged with defamation of the monarchy after questioning the historicity of a 16th-century royal duel on elephantback. He was cleared of these charges in December 2017.[15]

In a 2019 interview with The Isaan Record, Sulak expressed his disappointment with the government of Prayut Chan-o-cha, but saw great promise in the rise of new progressive parties.[16]

Books[edit]

Pridi Banomyong in S. Sivaraksa Opinion[edit]

Royal Majesty with Thai Future[edit]

Loyalty Demands Dissent[edit]

Sulak Sivaraksa presents his view of Buddhism is his autobiography, Loyalty Demands Dissent. Along with a first hand account of this life, he also includes information about hi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society, and politics. Two chapters in his autobiography, "Interfaith Connections" and "Working with the Monks", discuss Buddhism's relationships with other religions and also the changes in Buddhism that he believes are necessary for it to apply to the modern world.

Interfaith Connections[edit]

An important aspect of Sulak’s work as an engaged Buddhist is his focus on inter-religious dialogue. Spending some of his early years in Great Britain enabled him to present Buddhism in a way that is congruent with Western logic. His concern for social change as a religious matter moved him to found the Coordinating Group for Religion and Society (CGRS) in 1976, which included Buddhist men, but also students, women, Catholics, Muslims, and Protestants. While many had religious backgrounds, Sulak has stressed the fact that they were all just people who were coming together to discuss social change.

Sulak's commitment to inter-religious dialogue has been important throughout his life. Sulak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and believed that there was much work to be done within society by Buddhists and Catholics together. When discussing the dialogue between Buddhists and Catholics, Sulak states "the idea that one religion is better than the other simply doesn’t exist".[17]: 162  This perspective concentrates on the work that needs to be done in society by people of all faiths.

Working with the Monks[edit]

With growing concern about communism in Asia in the early-1960s, Sulak received funding in 1962 to promote a reform of Buddhism as an alternative means to social change. He traveled to monasteries where he encouraged the monks' education in higher institutions of learning so that they would be "concerned about conservation, peace, and society", because he writes, "our monasteries had to become more modern, and our monks needed to understand the West. We can't keep Buddhism as it is. It has to change to meet the modern world".[17]: 88 

In a movement to modernize monasticism, Sulak began a group named sekhiyadhamma in order to increase social awareness among monks. Sulak claims that he relied heavily on the ideas of Buddhadasa Bhikkhu and Bhikkhu P. A. Payutto in forming his own ideas. While Buddhadasa Bhikku advocated a theory of Dhammic socialism, Payutto's main focus in Buddhism was studying the original teachings of the Buddha and making them more applicable to the modern world.[17]: 91 

Seeds of Peace: A Buddhist Vision for Renewing Society[edit]

"Buddhism with a small 'b'"[edit]

In "Buddhism with a Small 'b'" in Seeds of Peace, Sulak discusses the seminal teachings of the Buddha. He presents mindfulness, tolerance, and interconnectedness in a way that makes them applicable not only to the individual, but to entire communities. "Buddhism with a Small 'b'" seems to call for a religion that is not institutionalized or concerned with ritual, myth, and culture.[18]: 68  Sulak feels that these dimensions of religion lead to chauvinism and prejudice, so he believes humans must step away from these and focus on the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Sulak advocates a return to the Buddha's original teachings as a means of social reform. In addition, he believes that the social dimension of Buddhism cannot be ignored because Buddhism is "concerned with the lives and consciousness of all beings".[18]: 66  Sivaraksa also explains that many Buddhists understand religion and politics "as two interrelated spheres", implying that government should adhere to the moral and ethical values that Buddhism, or any religion, has to offer.[18]: 66 

Conflict, Culture, Change: Engaged Buddhism in a Globalizing World[edit]

"Buddhist Solutions to Global Conflict"[edit]

In a chapter on Buddhist solutions to global conflict in Conflict, Culture, Change: Engaged Buddhism in a Globalizing World, Sulak Sivaraksa explains the principle of nonviolence in the teachings of Buddhism. Sulak describes the three forms of violence according to the Buddha's teachings, "Every action has three doors, or three ways we create karma: through body, speech, and mind".[19]: 3  Sulak explains that nonviolence, or ahimsa, does not mean non-action. For example, if a person sees a violent act and does not attempt to prevent it, this can be considered an act of violence because the bystander is not acting with compassion.

Sulak applies these ideas to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s as a response to social injustice. He uses the principle of nonviolence as a call for action against social injustice, defining a strategy to bringing about long-term peace to the world: peacemaking, peacekeeping, and peace building.[19]: 9  Sulak's application of Buddhist principles show his intention of instilling morals and ethics into corrupt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Socially engaged Buddhism[edit]

Main article: Engaged Buddhism

Socially Engaged Buddhism advocates religion as a means of reform. He states, "Religion is at the heart of social change, and social change is the essence of religion".[18]: 61  Sulak advoc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ways of life through the use of Buddhist principles.[19] Sivaraksa calls for the "value of simplicity", and connects this with the Buddhist idea of "the freedom from attachment to physical and sensual pleasure".[19]

Sivaraksa chooses to highlight the universal and rational aspects of Buddhism and eschews ritualism and mythology in order to make Buddhism more applicable to contemporary global issues. By presenting Buddhism in this fashion, people of all faiths can relate to, and interpret his work in a universally spiritual light.[18] Though he is both a Buddhist and Thai nationalist, he makes it clear in his work that all religions should be tolerated and respected.

Works[edit]

  • A Socially Engaged Buddhism, Thai Inter-Religious Commission for Development, 1975
  • Religion and Development, Thai Inter-Religious Commission for Development, 1987
  • Siam in crisis: A Collection of Articles, Santi Pracha Dhamma Institute, 1990
  • Seeds of Peace: A Buddhist Vision for Renewing Society, Parallax Press, 1992, ISBN 0-938077-78-3
  • Buddhist Perception for Desirable Societies in the Future: Papers prepared for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 Thai Inter-Religious Commission for Development, 1993
  • A Buddhist Vision for Renewing Society: Collected articles, Inter-religious Commission for Development, 1994, ISBN 9747493411
  • Loyalty Demands Dissent: Autobiography of a Socially Engaged Buddhist, Parallax Press, 1998, ISBN 1-888375-10-8
  • Global Healing: Essays and Interviews on Structural Violence, Social Development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Thai Inter-Religious Commission for Development, 1999, ISBN 9742601569
  • Sivaraksa, Sulak (1999), Powers That Be: Pridi Banomyong through the rise and fall of Thai democracy, ISBN 9747449188
  • Conflict, Culture, Change: Engaged Buddhism in a Globalizing World, Wisdom Publications, 2005, ISBN 0-86171-498-9
  • The Wisdom of Sustainability: Buddhist Economics for the 21st Century, Souvenir Press, 2010, ISBN 978-0-9821656-1-4

See also[edit]

  • List of peace activists

References[edit]

  1. ^ Jump up to:a b "OVERVIEW Sulak Sivaraksa". Oxford Reference. Retrieved 11 July 2021.
  2. ^ Jump up to:a b "Sulak Sivaraksa". Koa Boo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October 2016. Retrieved 16 November 2019.
  3. ^ Gosling, David L. (2001). Religion and Ecology in India and South East Asia. Routledge. p. 99. ISBN 0-415-24031-X.
  4. ^ China refuses visa for Sulak
  5. ^ [泰国] 洪林, 黎道纲主编 (April 2006). 泰国华侨华人研究. 香港社会科学出版社有限公司. p. 186. ISBN 962-620-127-4.
  6. ^ How an activist Buddhist convinced Thai king law on insulting monarchy was being abused
  7. ^ Ping, Foo Yee (16 July 2006). "No muffling this bold old man Thai Takes". sulak-sivaraksa.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07. Retrieved 16 November 2019.
  8. ^ Waites, Dan (15 February 2014). CultureShock! Bangkok.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ISBN 978-9-814-51693-8.
  9. ^ Jump up to:a b c d e f g h Swearer, Donald K. (1996). Christopher S. Queen; Sallie B. King (eds.). Sulak Sivaraksa's Buddhist Vision for Renewing Society. Engaged Buddhism: Buddhist Liberation Movements in Asi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28436.
  10. ^ Specifically, Sulak's own personal website Archived 2007-03-12 at the Wayback Machine notes that he said that, "As for breaking the Third Precept, I don't have hard evidence. But there are lots of rumors that Thaksin and his cabinet ministers have engaged in many illicit sexual reveries — that Thaksin has been unfaithful to his wife. There is even a toddler who looks astonishingly like Thaksin. All these still cannot be proven. So we may have to give him the benefit of the doubt. But truths about Thaksin's notorious sexual life will surely surface after his fall from power — like those of the dictator Sarit Thanarat."
  11. ^ The Nation, Non-violence is not simply the absence of physical violence Archived 2016-03-03 at the Wayback Machine, 1 March 2006
  12. ^ Monks push for Buddhism to be named Thailand's religion Archived 2007-06-16 at the Wayback Machine
  13. ^ "Dalai Lama Films". Dalai Lama Films. Wakan Films. Retrieved 16 November 2019.
  14. ^ "Lese Majeste Charge: Politics Behind Sulak's arrest, Says Lawyer". Bangkok Post. 2009-04-20.[dead link]
  15. ^ "Socially Engaged Buddhist Sulak Sivaraksa Cleared of Defamation Charge". Tricycle. 2017-12-21.
  16. ^ Phaholtap, Hathairat (16 November 2019). "Sulak Sivaraksa: Behind the audience with the King". The Isaan Record. Retrieved 16 November 2019.
  17. ^ Jump up to:a b c Sivaraksa, Sulak (1998). Loyalty Demands Dissent (Autobiography of a Socially Engaged Buddhist. Parallax Press. ISBN 1-888375-10-8.
  18. ^ Jump up to:a b c d e Sivaraksa, Sulak (1992). Seeds of Peace: A Buddhist Vision for Renewing Society. Foreword by H. H. the Dalai Lama. Parallax Press / International Network of Engaged Buddhist / Sathirakoses-Nagapradipa Foundation. ISBN 0-938077-78-3.
  19. ^ Jump up to:a b c d Sivaraksa, Sulak (2005). Conflict, Culture, Change. Engaged Buddhism in a Globalizing World. ISBN 0-86171-498-9.

External links[edit]

Wikimedia Commons has media related to Sulak Sivaraksa.
  • Recipient of Right Livelihood Award 1995
  • Large Anti-Government Protests in Thailand - video interview of Sulak by Democracy Now!
  • Sulak Sivaraksa: Happiness lies 'beyond GDP' Hard Talk, BBC World Service, 28 June 2011
  • "The Engaged Buddhism of Sulak Sivaraksa", Kyoto Journal
  • Book: A Siamese Story: A Biographical Essay on Sulak Sivaraksa
Posted by Sejin at January 10, 2022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Body keeps", Engaged Buddhism, mindfulness, Sallie B. King, Thich Nhat Hanh

2022/01/09

[인터뷰] 白壽 맞은 한국 유기농의 아버지, 元敬善 풀무원 원장 : 월간조선

[인터뷰] 白壽 맞은 한국 유기농의 아버지, 元敬善 풀무원 원장 : 월간조선



白壽 맞은 한국 유기농의 아버지, 元敬善 풀무원 원장
“사람의 죄는 소유와 욕심에서 나와… 이걸 없애자는 게 공동체”


글 : 오동룡 월간조선 기자 gomsi@chosun.com

⊙ 1955년 부천 소사에 풀무원 공동체 건설… 전쟁고아와 부랑자들과 성경 읽고 농사훈련
⊙ 일본 고다니 준이치 선생에게 유기농업을 알게 돼… 1976년 양주로 옮기면서 유기농업 시작
⊙ 1990년 국제기아대책기구 한국지부 설립해 구호활동 펼쳐

사진제공 : 원혜영 의원실

충북 괴산의 평화원 농장에서 큰아들 원혜영 민주통합당 의원과 함께한 원경선 원장.


6월 초순, 승용차로 43번 국도를 타고 38선 휴게소에서 한탄강을 가로지르니 해발 877m의 지장산(地藏山)이 모습을 드러냈다. 경기 포천 관인면 중리에 위치한 지장산은 남한 최북단의 고산이다. 한국 유기농의 아버지라 불리는 원경선(元敬善) 풀무원 원장이 말년을 보내고 있는 곳이다. 원 원장은 충북 괴산 풀무원 농장에서 생활하다 2년 전 넷째딸 원혜덕씨 부부가 운영하고 있는 경기도 포천 중리 농장으로 거처를 옮겼다.

‘원경선의 소원은 간단했다. 우리나라 모든 국민이 우리 땅을 소중히 여기고, 무공해 농사를 비롯해 미래의 환경을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중학교 1학년 도덕 교과서에는 원 원장을 ‘미래와 환경을 생각하는 할아버지’로 소개하고 있다.

유기농 식품회사 풀무원의 모태가 된 풀무원 농장 설립자인 그의 평생 직업은 농부였다. 그냥 농부가 아니라 ‘생명 농부’라고 부르는 것은 국내에서 ‘유기농’을 처음으로 시작했기 때문이다. 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농사법을 한평생 고수해 온 원 원장은 지난 4월 17일 아흔아홉 살 생일인 백수(白壽)를 맞았다. 이번 19대 총선에서 당선된 민주통합당 원혜영(元惠榮) 의원 등 2남5녀와 며느리, 손자, 증손자를 합쳐 37명의 자손을 두고 있다.


냉면 한 그릇 후딱 해치운 白壽 노인

원 원장의 건강비결은 현미와 유기 농산물을 섭취하는 것이다. 1975년부터 현미식을 시작한 원 원장은 요즘도 세 끼 식사를 유기농 현미 잡곡밥과 채식 위주의 반찬으로 한다. 어릴 때 영양실조로 간디스토마를 심하게 앓아 머리가 어지러웠으나, 유기농 현미밥을 먹으면서 이런 증상이 사라졌다고 한다.

2년 전 뇌경색으로 쓰러졌던 원 원장은 워낙 강인해 재활치료를 받고 난 뒤에는 지팡이를 짚고 마당도 산책하고, 자동차로 한두 시간 드라이브를 즐긴다고 했다.

혜덕(57)씨는 “작년까지만 해도 매 주일에 포천에서 서울 제기동에 있는 교회에 다닐 정도로 건강했으나, 올해 초부터 기력이 떨어져 대외활동을 삼가고 집으로 찾아오는 손님을 맞으며 지내신다”고 했다.

원 원장은 구한말 서예가 김태희(金泰熙) 선생이 성경구절을 인용해 쓴 ‘愛第一也(애제일야·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라는 족자 아래에서 편한 자세로 창밖을 응시하고 있었다. 점심시간, 원 원장이 혜덕씨의 부축을 받아 식탁에 앉았다. 풀무원 공동체에 들어와 혜덕씨와 결혼한 사위 김준권(金準權·65)씨도 원 원장 맞은편에 앉았다. 김씨는 3년 전부터 한국의 첫 유기농단체인 정농회(正農會) 회장을 맡고 있다.

혜덕씨는 “아버지가 이북 분이라서 풀무원 남승우(南承祐) 사장이 보내 주는 냉면을 무척이나 좋아하신다”면서 “밭에서 나는 열매가 없어 고명 거리가 없어 어쩌나…” 하며 노랑 피망을 길쭉하게 썰고 삶은 계란을 절반으로 잘라 냉면요리를 완성했다.

혜덕씨가 “아버지, 기도하셔야지”라고 하자, 원 원장이 “오늘 좋은 모임을 갖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음식 주시오니 감사합니다. 아멘” 하고 기도했다.

아흔아홉 노인의 목소리라고 믿기지 않을 만큼 맑고 청량했다. 혜덕씨가 “요즘 아버지 기도가 짧아져서 너무 좋아”라고 깔깔 웃으며, “오빠(원혜영 의원)도 아버지가 기도하실 때 정신이 맑아지는 것 같다며 기회만 되면 기도를 부탁한다”고 했다. 원 원장은 유기농 배추로 담근 잘 익은 배추김치를 곁들여 냉면 한 그릇을 후딱 해치웠다.

교사 5년 생활을 빼곤 줄곳 아버지 곁을 지켰던 혜덕씨는 “여태껏 이웃과 공동체를 위해 이타적인 삶을 살아오신 것이 건강한 삶의 밑바탕이 된 것 같다”면서 기자에게 원경선 원장의 100년 삶을 들려주었다.


1원50전의 행운



지난 4월 17일 세종문화회관에서 백수연이 열렸을 때, 한국의 글로벌500 수상자들의 모임인 ‘글로벌 500 한국인회’가 증정한 액자. ‘선생님이 계셨기에 우리는 오늘도 안심하고 밥상 앞에 앉습니다’라고 적었다.
원경선의 100년 삶은 땅, 생명, 이웃이라는 말로 압축된다. 1914년 출생한 원경선은 평남 중화군의 빈농(貧農) 아들이었다. 아버지(원낙범·元洛範)는 술로 세월을 보내고, 어머니(김승수·金承水)와 주린 배를 움켜쥐고 밭일을 했으나 가난을 면할 수는 없었다. 보통학교를 가까스로 마쳤다. 그나마 도(道) 장학금 덕분이었다.

아버지는 그가 열일곱이 되던 해 소 두 마리 값에 해당하는 40원의 빚만 남기고 돌아가셨다. 그러던 어느날, 군청에서 “농촌 자력갱생 운동의 수혜자로 선정됐으니 영농자금을 받으러 오라”는 연락을 받는다. 신청한 적도 없는 자금이었다. 알고 보니 보통학교 6학년 때 장학금 10원 가운데 아껴 쓰고 남은 돈 1원50전을 학교에 돌려준 일이 있었는데, 그 일에 감동한 일본인 교장의 추천 덕분이었다.

원경선은 11살 때 황해도 수안으로 이사 가 교회에 나가기 시작했다. 그는 “주일날에는 아무 일도 해서는 안 된다”고 배웠다. 보통학교 4학년 때 천황의 교시가 담긴 ‘교육칙어(敎育勅語)’를 암송할 때 고개를 숙이지 않아 담임선생님에게 크게 혼이 나기도 했다.

연 6%, 24년 상환이라는 파격적인 자금으로 3만3057m²(1만평) 정도의 땅도 사고 집도 마련했다. 그러나 신앙이 독실했던 원경선은 ‘주일날’ 농장 시찰을 나오겠다는 일본인 관료와 갈등을 빚게 되자, 두말 없이 땅문서를 돌려주고 농장을 포기한다.

‘차라리 공부나 더 하자’는 생각이 절로 났다. 그길로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향했다. 그때가 1935년, 그의 나이 스물두 살 때다. 농사로 단련된 탄탄한 몸에 한창 나이였다. 그는 친구 안성겸을 찾아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목장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그 후 뜻이 맞지 않아 대책없이 친구집을 나왔다. 원경선의 모친은 청소부, 두부장수로 나섰다.

그는 성경에 나오는 바울 같은 전도사가 되기로 했다. 그가 속한 교단은 퀘이커와 비슷한 평신도 독립 교회를 주장하는 형제단(브레들린·Brethren)이었으므로 목사가 없었다. 전도사가 되려면 신학교에 진학해야 했으나, 학력이 초등학교 졸업이었던 만큼 우선 고등학교 졸업 자격을 따야 했다. 검정고시 공부를 시작했다.


牧夫와 新女性의 결혼



넷째딸 원혜덕씨 부부와 함께 냉면으로 점심식사를 하고 있는 원경선 원장.


새벽 2시 반에 일어나 우유 배달을 하고, 낮에는 목장에서 막일을, 밤에는 공부를 했다. 잠은 3시간을 넘지 못했다. 어차피 정신력에 의지해 가는 길이어서 몸은 억지로라도 따라와 주었다. 다만, 생전 처음 하는 영어 공부는 혼자 힘으로 해 낼 수가 없어 학원을 다녔다. 결국 이 도전은 전차에 치여 죽을 고비를 넘기며 석달 만에 좌절됐다.

서울서 사귄 선배 최병록에게 사진 기술을 배우기도 했다. 북한산 출장 촬영을 나갔다가 자칭 동경유학생이라는 젊은이들에게 강도를 당할 뻔하기도 했다. 석달 후, 도하 신문 지면에는 ‘정릉리 백골사건’이란 기사가 실렸다. 원경선이 갔던 북한산 그 장소에서 사진관 주인이 돌무덤에 덮인 채 시신으로 발견됐던 것이다. 렌즈만 사라진 사진기도 함께 나왔다. 당시 카메라 렌즈는 소 두 마리 정도 값의 고가품이었다. 원경선은 그길로 경찰서를 찾아 범인의 인상착의를 말했고, 경찰은 범인들을 검거할 수 있었다.

원경선의 아내가 된 지명희(池明熹·2009년 작고)는 배화여고보를 졸업한 독실한 기독교 집안의 딸이었다. 게다가 무역회사에서 타이피스트로 일하던 신여성이었다. 서울 돈의동 동신교회에서 우유 배달원 원경선을 처음으로 보고 그 성실함에 마음을 빼앗겼다고 한다. 딸의 마음에 있는 청년을 그 어머니가 찾아가 ‘중매’를 섰다. 지명희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새벽 우유 배달을 끝내고 배달 주머니가 주렁주렁 달린 자전거를 타고 교회에 왔어. 늘 눈여겨보았지. 차림도 그렇고… 그랬지만, 사람이 성실해 뵈고, 곧은 생활자세, 신앙심 그런 거 때문에 내가 먼저 맘에 두었어. 그걸 알고 친정어머니가 나섰지.”

원경선은 “여학교를 나와 타이피스트까지 하면 좋은 신랑감들이 줄을 설 텐데 왜 나같이 돈 없고 학교도 제대로 나오지 않은 사람을 택했소?”라고 물었고, 지명희는 “굳은 신앙심으로 바르게만 산다면 평생을 같이할 생각”이라고 했다. 1938년 두 사람은 동신교회에서 김태희 선생의 주례로 결혼식을 올렸다.



“요리 먹이고, 기생 채워 주고”

원경선 부부는 결혼 이듬해인 1939년 살길을 찾아 북경으로 떠났다. 아내의 뛰어난 타자 솜씨를 밑천으로 삼아 작은 등사 인쇄소를 차렸다. 두 사람의 성씨를 따 상호를 지원인서사(池元印書社)라고 했다. 금세 직원이 20명이 넘어설 정도로 사업은 번창했다.

북경 살림 7년 만에 광복을 맞았다. 조국은 광복을 맞았지만 원경선의 안정된 생활엔 금이 갔다. 이듬해 아내와 아이 둘을 데리고 귀국했다. 그해 5월 귀국선을 타기까지 벌어 놓은 돈을 야금야금 빼먹어 빈털터리 신세가 됐다. 원경선은 “아수라장인 귀국선을 타고 인천항으로 오는 8일이 중국 생활 7년보다 지루했다”고 했다.

귀국한 원경선은 원점에서 다시 시작했다. 그때부터 6·25 때까지가 돈이란 것을 꽤 풍요롭게 만져 보았던 때라고 한다. 귀국하자 미군을 상대로 한 ‘동구공영’이란 회사에 취직해 토목 청부업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북경에서 닦은 영어가 도움이 됐다. 원경선의 표현대로, 돈이 벌리니까 더 벌어 보려고 미군들한테 ‘요리 먹이고 기생 채워 주고’ 했다. 일단 뇌물이 들어가면 목재나 시멘트 같은 자재가 뒷구멍으로 술술 나왔다고 한다.

1949년 어느날, 원경선은 건축 청부업을 정리하고 경기도 부천으로 이주했다. 농사를 짓기 위해 친구를 통해 13만2231m²(4만평)의 토지도 마련해 두었었다. 그러나 당시 구입한 토지가 과거 일본인 소유의 적산토지로 분류돼 강제몰수를 당하고 만다. 그는 “토지대금을 치르고 정당하게 구입한 것”이라며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하고 말았다.

남은 방법은 정부 소유가 된 땅을 불하받는 방법밖에 없었다. 타락과 부정이 싫어 땅으로 돌아온 그에게 ‘급행료’로 뇌물을 요구하는 손길이 뻗쳐 왔다. 그는 거절했다. 다행스럽게도 그의 마음을 알아준 세무사의 도움으로 구입한 땅의 절반을 불하받는 방식으로 되찾을 수 있었다.


1955년 풀무원 공동체 만들어



1938년 기독동신회서울교회에서 올린 결혼식. 주례는 당대의 명필인 김태희 선생이 섰다. 뒤편에 김태희 선생이 쓴 성경구절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愛第一也)’가 걸려 있다.
원경선은 부천에 처음으로 가족공동체를 꾸리고 포도를 심었다. 그러나 첫 해 농사를 짓고 이듬해 6·25 전쟁이 터져 버렸다. 전쟁은 원경선의 인생에 또 한 번 소용돌이를 일으켰다. 기독교인인 데다 땅도 적지 않은 지주계급이라 마을 사람들은 피란을 재촉했다. 그는 공동체의 노인들과 아이들을 나 몰라라 할 수 없었다. 부천에 남았다.

한번은 인민군에게 무작정 끌려가 부천 소사읍사무소에 갇혔다. 그들은 원경선에게 공산당에 가입할 것을 강요했고, 그는 “종교인이라 당원 자격이 없다”고 버텼다. 그들은 막무가내로 원경선을 두들겨 패고 따귀를 때렸다. 그때 고막이 파열되는 바람에 지금도 왼쪽귀를 듣지 못하게 됐다. 1·4후퇴 때는 졸지에 마흔의 나이에 국민방위군에 징집돼 제주도 훈련소로 갔다. 부패한 군인들이 쌀과 옷을 빼돌리는 바람에 제주도 생활은 지옥이나 다름없었다.

1952년 5월, 천신만고 끝에 귀가했다. 천행이었다. 집에 돌아오니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들렸다. 여섯 살짜리 둘째 아이가 디프테리아로 약 한 번 써 보지 못하고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포성이 막 멈춘 1955년의 한반도에는 탄피처럼 여기저기 전쟁고아들이 흩어져 있었다. 그는 고아원에서 나온 고아들, 넝마주이들을 데려다 거친 땅을 개간하고 농사를 가르쳤다. ‘함께 일하고 함께 먹자’는 원칙을 세웠다.

농장의 이름은 녹슬고 쓸모없는 인간을 풀무질로 달구고 담금질해 쓸모있는 인간으로 만드는 터전이 되자는 의미에서 ‘풀무원’이라고 붙였다. 충남 홍성에 풀무농업학교(현 풀무학교)가 있어, 원경선은 그 학교 주옥로 교장에게 “우리 공동체 이름에 안성맞춤인데, 그 이름을 쓰게 해 달라”고 부탁해 허락을 받았다.



자본주의의 위력 느껴



부천 공동체 시절 원경선 원장(왼쪽 두번째)의 가족사진. 뒷줄 오른쪽 끝이 원혜영 의원.
풀무원의 문은 늘 열려 있었다. 함께 살고자 하는 사람은 언제나, 누구든 받아들였다. 이른바 사회 부적응자, 인생 낙오자들, 구체적으로는 삼시 세끼를 해결하는 일이 다급한 사람들이 주로 풀무원을 찾아들었다.

풀무원 식구들은 서로 동병상련할 수 있는 처지였으나, 삶의 궤적이 제각기 달라 풀무원 농장에는 바람 잘 날이 없었다. 공동체에 들어온 지 얼마되지 않은 청년이 숫돌에 낫을 갈다 누군가 장난삼아 물을 끼얹는 바람에 갈던 낫에 손을 크게 다쳤다. 피범벅이 됐지만 응급처치만 하고 ‘금방 낫겠지’ 했다.

그러나 청년의 상처는 파상풍으로 번져 생명이 위독했다. 수술비는 당시 젖소 2마리에 상당하는 금액이었다. 원경선의 머리에는 돈이 없어 치료받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둘째 아이를 생각하며 ‘만약 내 아이였다면, 젖소 한 마리 값이 아깝다고 망설였을까’라는 생각이 스치고 지나갔다. 그길로 청년을 들쳐 업고 병원으로 향했다.

원경선은 풀무원 공동체에서 자본주의, 개인주의의 위력도 실감했다. 한 부인네가 자식 둘을 데리고 공동체로 들어왔다. 그 부인에게는 양계장을 맡겼다. 그런데 원경선은 양계장에서 나오는 수익을 따로 챙기도록 했다. 하루빨리 독립해 나가라는 배려였다.

그 부인은 죽기 살기로 일해 병아리 1000마리 대부분을 온전한 닭으로 키워 냈다. 당시만 해도 병아리 폐사율은 10%를 훨씬 넘었었다. 그 부인이 병아리를 보듬다시피 해 가며 정성을 들인 결과였다.

그러나 풀무원 공동체는 사유재산을 아주 예외로만 인정했고, 모든 것을 공동체 소유로 했다. 그러다 보니 사소한 먹거리 하나를 두고도 아귀다툼이 벌어졌다고 한다. 심지어 자기 자식에게 고기 한 점 더 먹이겠다는 싸움 끝에 보따리를 싸 들고 공동체를 떠나는 경우도 생겨났다.

원경선은 공동체의 교육은 고등학교까지 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취직을 위한 대학교육은 사실상 의미가 없다고 판단해서다. 그렇지만 공동체 식구들도 대학수준의 교양이 필요하다고 판단, 매년 겨울 단기대학 형식의 강의를 개설했다. 농한기에는 공동체 식구들이 무료한 철이기 때문이다.


‘글쎄 철학자’ 咸錫憲



1984년 양주 풀무원 농장을 방문한 함석헌 선생(오른쪽에서 세 번째).
원경선이 12살 손위의 함석헌 선생을 처음 만난 것은 1936년경, 스물두 살 무렵이었다. 무교회 운동을 벌이던 선생의 주장에 원경선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아 YMCA에서 있었던 선생의 목요강좌에 자주 들렀다.

선생은 나중에 무교회주의도 버리고 보다 더 자유로운 ‘퀘이커교도’를 선택했다. 원경선은 공동체를 출범시킨 뒤 땅에서 바른 생활을 일구기로 작정했기 때문에 선생의 사상을 그대로 따라갈 처지는 아니었지만, 자유로운 신앙생활에는 크게 공감했다.

또 선생과 원경선은 농사라는 공통점이 있어 더욱 가까이 지낼 수 있었다. 선생은 1957년 천안에 ‘씨알농장’을 세우고 직접 농사를 지으며 사상의 깊이를 더했다. 그런 선생은 농사이야기를 하기 위해 원경선이 운영하던 공동체를 찾아 부천과 양주를 자주 들렀고, 원경선도 천안으로 선생을 찾아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원경선은 “선생이 현대사에 끼친 사상·실천적 영향이야 말할 필요도 없다”면서도 “그러나 농사에 관해서는 선생은 나보다 한참 아래였던 것 같다. 농사는 도리어 나한테 배워야 할 형편이었다”고 회고했다.

여름이 한창이던 8월 초 정도로 기억된다. 천안으로 선생을 찾아갔는데 선생은 포도밭에서 알이 영 부실한 포도를 들고는 고민스런 표정을 짓고 있었다. “무슨 문제라도 있습니까, 선생님?” 하고 원경선이 다가가자 선생은 “포도가 하나같이 알이 차질 않네”라고 말을 받았다.

찬찬히 살펴보니 포도송이가 나올 무렵 곁에 있는 포도순을 따 줘야 하는데 시기를 놓쳐 포도가 제대로 영글지 못한 것이었다. 원경선이 “올해 농사는 포기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며 농 섞인 말을 던지자 선생의 얼굴이 굳어졌다.

원경선은 함 선생을 ‘글쎄 철학자’라고 했다. 함 선생은 명쾌한 대답을 하는 때가 많지 않고, 대개는 “글쎄”로 대답한다는 것이다. 함 선생 자신도 그것을 알고 있기에 언젠가 “나더러 또 글쎄라고 대답한다고 하겠지만…” 하고 말시작 소리를 하는 걸 들었다고 한다.

원경선은 함 선생의 ‘글쎄’의 의미가 만사에 양면이 있다는 것을 존중하는 것이어서 함 선생이 그만큼 생각이 넓고 크다는 뜻으로 받아들였다고 한다. 함 선생은 농사와 자유로운 신앙을 병행했다는 점에서 원경선과 통하는 면이 많았다. 그러나 원경선은 함 선생이 농사를 통해 바른 일꾼을 길러 내겠다는 자신의 의지를 여러 모로 격려해 준 스승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한밤에 만난 고다니 준이치



1986년 정농회 창립 20주년 집회에서 양주 풀무원 농장을 찾은 고다니 준이치 선생(왼쪽)이 강연하고, 원경선 원장이 통역하고 있다.
1974년 원경선은 미국을 다녀오는 길에 일본 미에현(三重縣) 아오야마(靑山)에 있는 애농학교를 찾아갔다. 1946년 일본의 유기농을 정착시키고 애농회(愛農會)를 조직한 고다니 준이치(小谷純一) 선생을 만나기 위해서였다.

애농회는 일본 전역의 경작지가 심각한 병충해에 노출되었을 때 이 유기농 단지들만 무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명해졌다. 유기농은 화학비료나 농약이 아니라 땅의 본성을 살려 그 힘으로 농사를 짓는 것이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해 짓는 농사는 사람과 환경을 죽이는 죽음의 농사, 남에게 파는 농작물에 농약을 치고 화학비료를 뿌린다면 ‘간접살인’이나 마찬가지라는 게 고다니 준이치의 주장이었다.

원경선은 일본 애농회에서 낸 유기농 관련 책을 읽고 농약, 화학비료, 제초제의 폐해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는 그 실체를 정확히 확인하고 싶었던 것이다.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원경선은 유기농업에 관한 어떤 지식도 없었다. 새마을운동으로 증산(增産)만이 농업의 최고 덕목이던 시절이었다. 농촌진흥원 같은 기관의 지도에 따라, 통일벼 계통의 다수확 품종이 권장되고 있을 때였다. 밭은 밭대로 농약과 화학비료의 즉각적이고도 환상적인 효능에 사로잡힌 농민들에 의해 약 범벅이 되어 갔다.

많을 때는 60~70명에 이르는 대식구를 거느리고 있었던 풀무원 농장도 시절에 맞게, 그리고 현실이 절실해서 다수확을 제일의 과제로 삼고 있었다. 농약, 화학비료, 제초제를 멀리할 아무런 이유도 알고 있지 못했다는 말이다.

고다니 준이치는 연락 없이 불쑥 찾아온 그를 따뜻하게 맞아 밤 늦게까지 이야기를 나누었다. 교토대 농학부를 졸업한 고다니 선생은 전후 직접 농사를 지으며 애농회를 조직해 농촌살리기 운동을 벌이다 유기농을 접하고 유기농 전도사가 됐던 것이다.

고다니는 유기농에 대한 효능을 자신의 경험으로 들려주었다. 전쟁통에 부인과 함께 결핵을 앓아 76kg 나가던 몸무게가 36kg까지로 줄었다고 했다. 그런데 유기농과 현미식을 하고부터 결핵도 낫고 몸무게도 정상으로 돌아왔다는 것이다. 그 말에 원경선도 현미식을 결심하고 곧바로 실천에 들어갔다.

원경선은 고다니를 부천으로 초대했다. 그가 한밤의 회동을 끝내고 돌아온 그 이듬해 고다니가 부천에 왔다. 고다니는 이렇게 외쳤다.

“일본은 패전 후 그저 식량증산을 위해 무분별하게 농약을 치고 화학비료를 사용해 왔습니다. 비록 생산량 증가에는 성공했지만, 이러한 농법은 결국 모두가 자멸하는 길일 뿐입니다. 제발 우리의 전철을 밟지 말아 주십시오.”

고다니는 원경선에게 1972년에 발간된 로마클럽 보고서, 《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를 조목조목 설명해 주었다. 그 보고서는 로마클럽의 석학들이 인구, 식량생산, 공업화, 환경오염, 재생 불가능한 자연자원의 소비가 모두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제 아래, ‘인류의 곤경’을 예언한 충격적인 분석서다.

원경선은 그 내용 중에서 당장 자신이 실천 가능한 영역을 찾아 냈다. 닭이나 소, 돼지가 사람 하나에게 필요한 열량을 낼 만한 고기를 ‘생산’하려면 사람 넷에게 필요한 열량을 낼 만한 곡물을 먹어야 한다는 분석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풀무원 농장의 양계는 그때 그만두었다. 대신, 주곡인 쌀 생산의 중요성과 생태와 환경에 순응하는 유기농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한다.


유기농 단체, 정농회를 만들다

원경선은 부천에서 6·25전쟁으로 오갈 데 없는 사람을 거두자는 ‘가난구제’라는 목적으로 공동체를 운영했다. 그러나 1976년 양주로 옮기면서 부천의 바르게 사는 삶보다 ‘나누는 삶’에 힘을 쏟았다. 원경선은 “사람의 죄는 소유와 욕심에서 온다”며 “이걸 없애고 함께 일하고, 함께 나누자는 게 공동체”라고 역설했다. 그는 농장을 꾸려 나가기 위해 만든 한삶회란 재단에 자기 재산부터 털어 넣었다.

그는 유기농을 안 날부터 유기농이 무엇이고 왜 해야 하는지 계몽해 따르도록 하는 전도사를 자청했다. 원경선의 그런 지칠 줄 모르는 권유로 자기 땅에서 유기농 실험을 해 보기로 작정하는 농부들이 하나둘씩 늘어 갔다.

마침내 한국 최초의 유기농 생산자 단체인 정농회가 1976년 1월 부천 풀무원 농장에서 조촐하게 결성됐다. 초대 회장은 오재길씨가 맡았다. “이런 농사는 간접 살인이다”라는 원경선의 극적인 이 한마디가 농부들을 정농회로 끌어들였다. 정농회가 한국의 대표적인 유기농 운동 단체로 성장하기까지 원경선은 전국의 농촌을 누비며 농민들을 만났다.

당시 농촌사회는 가톨릭농민회나 기독농민회 등 농민 권리 찾기 단체들을 두고 “우리도 사회참여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원경선은 “권리 찾기 데모는 그쪽에 맡겨 두고 우리는 생명운동만 열심히 하면 된다”고 정리했다.

정농회를 만들고 석달 뒤인 1976년 4월 풀무원 농장은 경기도 양주군 회천읍 옥정리, 그때까지만 해도 후미진 산골로 이사했다. 정농회를 결성하는 과정에서 그린벨트로 묶여 있던 부천을 떠나 좀 더 큰 규모로 바른 농사를 지어 보자는 희망을 키운 결과였다. 원경선은 농사일에 투신했다. 국내 최초로 화학비료와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이 시작됐다.

“제초제 대신에 내 손으로 김매고, 농약을 안 쓰니까 내 손으로 벌레 잡고, 화학비료를 안 쓰니까 내 손으로 퇴비를 만들었습니다. 새벽에 농장에 나오면 어두워질 때까지 허리 한 번 제대로 펼 수 없었죠. 가난하고 일손까지 부족한 우리 농촌에서 결코 쉽게 시작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내가 하자고 했으므로 나부터 나서는 것이 당연했습니다.”


“유기농은 가시 박힌 장미다발을 껴안는 것”



1992년 겨울, 양주 풀무원 농장에서 공동체 식구들이 집중 성서교육을 받고 나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양주에서는 양계와 양돈을 포기하고 모두 채소와 벼농사에 집중했다. 그러나 첫해는 참혹했다. 모진 병충해가 약 안 친 채소밭을 걸레로 만들고, 벼 이삭을 반 넘어 훑고 지나가 쭉정이만 남겼다. 농약을 뿌리지 않아 채소에는 벌레가 들끓었고, 벌레를 일일이 손으로 잡아 내는 수밖에 없었다.

그 이듬해도 그보다 덜하지 않았다. 서울 변두리의 살 만한 집이 몇백만 원 하던 시절에 1000만원어치쯤 손실을 보았다. 풀무원 농장의 형편이 그토록 딱하게 되었다는 소문을 듣고 유기농이 뭐 하자는 짓이냐고 빈정대는 사람들도 있었고, 아예 정농회를 탈퇴하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그때마다 원경선은 고다니 선생의 말을 떠올렸다. “유기농은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방법인데 쉽지는 않습니다. 아름다운 장미다발을 껴안는 것이어서 장미를 껴안을 때마다 가시가 온몸을 찌르게 됩니다. 그 아픔을 모두 견뎌 내야 비로소 장미를 껴안을 수 있는 겁니다.”

그래도 원경선은 계속했다. “오로지 사람을 살리자고 이런 농사를 시작했는데 땅이 나를 망하게 할 턱은 없다”는 생각만이 의지였다. 삼 년째부터 땅이 조심스레 화답하기 시작했다. 흙 1g에 5000만~1억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고, 이들을 살리는 것이 유기농의 관건이라는 것도 터득했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면 미생물이 죽지만, 농약과 비료를 쓰지 않는다고 미생물이 되살아나지는 않는다. 미생물도 생명체라 영양분을 먹어야 산다. 먹이는 다름 아닌 퇴비 같은 유기질 비료였다. 원경선은 해낸 것이다. 3년 만에 손익분기점을 넘은 것이다.


유기농산물 가게 차린 큰아들 혜영

1980년대 전후로 매스컴이 유기농의 성공을 앞다투어 보도했다. 서울 강남의 부인들이 풀무원의 유기농 소식을 듣고 양주까지 비포장 도로를 달려 채소를 사러 오는 일이 생겼다. ‘유기농’이란 말조차 생소하던 때여서 그저 ‘무공해’라고들 했다.

1979년부터는 좀 넉넉히 심은 덕에 농장 식구들이 먹고도 남아 조금씩 팔 수 있었다. 원경선의 장남인 원혜영은 서울대 입학 후 학생운동을 하는 바람에 취직을 할 수 없게 되자, 아버지가 키운 무공해 농산물을 팔기 위해 1981년 서울 압구정동에 농산물 직판장을 열었다. 이것이 풀무원의 시작이다.

원 의원은 몇 년 후 고교(경복고) 동창인 남승우 풀무원홀딩스 총괄사장의 투자를 받아 회사를 키우다가 정치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1993년 경영권을 남 사장에게 넘겼다. 원 원장은 풀무원 창립 이래 지금까지 고문을 맡고 있으며, 이 기업의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하고 있다. 풀무원은 30여년이 흐른 지난해 1조5000억원 규모의 대표적인 식품기업으로 성장했다. 원경선은 유기농에 바탕한 생명정신을 풀무원에 전해 준 기업의 정신적인 창업자인 셈이다.

원경선은 “풀무원식품이 없었다면 한삶회 공동체의 자립도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고 회고했다. 공동체가 어려운 마당에 유기농까지 겸했으니 판로가 확보되지 않았다면, 풀무원 농장은 문을 닫았을 것이라고 했다. 현재 풀무원식품에서 250여 농가의 농산물을 소화해 주고 있다.

유기농에 대해 정부는 무관심했다. 김대중(金大中) 정부 들어 유기농에 대한 입장은 크게 바뀌었다. 김성훈(金成勳) 농림부 장관은 농림부 내에 친환경농업과를 만들고 정농회를 비롯한 유기농 단체들을 지원했다. 입각 전 정농회와 경실련이 합쳐 만든 정농생협의 이사를 맡은 게 인연이 됐다.


유기농업 실천으로 1995년 ‘글로벌 500상’ 수상



1995년 남아공에서 열린 글로벌 500인 시상식에서 원경선 원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는 넬슨 만델라 대통령(가운데).
원경선은 1990년 국제기아대책기구 한국지부를 설립했다. 1992년 11월 에티오피아 방문을 시작으로 중국 산둥성(山東省) 린쥐(臨駒)현 ‘예수가정’의 의료기구 지원, 1994년 북한 제3병원 의료기구·식량 지원 등의 사업을 펼쳤다.

원경선은 1992년 브라질에서 열린 리우환경회의에 유재현(兪在賢) 박사(현 녹색미래 상임대표)와 함께 참석했다. 원경선은 리우회의에서 한국 유기농의 성과와 현황을 소개했다. 원경선은 리우 환경회의를 계기로 유기농이 단지 몸에 좋은 음식이 아니라 환경과 연관지었을 때는 ‘생명환경’을 개척하는 지름길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한다.

경실련 산하기구로 시작한 환경개발센터(현 환경정의시민연대) 초대 이사장을 맡기도 했던 원경선은 1995년 유엔환경계획(UNEP)이 주는 ‘글로벌 500상’을 수상했다. 유기농업 실천으로 생명환경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시상식장에서 세계인권운동의 상징인 만델라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은 원경선에게 축하의 인사를 건넸다.

원경선은 평소 이렇게 말했다. “모든 세포는 다른 세포를 위해서 일한다. 그러나 암세포는 자기만을 위해 먹고 자란다. 그러므로 이기주의는 암적 존재다. ‘일용할 양식’을 빼고 나머지를 나누면서 욕심을 버리면 전쟁은 없다.”

원경선의 ‘공동체 실험’은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를 맞으면서 큰 타격을 받았다. 양주의 풀무원 공동체가 해체된 것이다. 풀무원식품의 성장을 보면서 큰 기술이 필요치 않은 식품가공에 도전장을 던졌던 것이 화근이었다. 정부 지원을 받아 현미식혜에 도전했던 원경선은 IMF 외환위기 사태가 터지자 생산한 식혜 전량을 폐기했다.

막대한 투자비는 빚으로 고스란히 남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한삶회의 재무책임을 맡은 사람이 어음사기에 말려 큰 돈을 잃고 말았다. 결국 농장은 정부 지원금 등의 부채상환용으로 경매에 부쳐져 처분됐다. 넷째딸 혜덕씨는 “풀무원 공동체도 그때부터 해산에 들어가 식구들이 뿔뿔이 흩어졌다”면서도 “사업으로 치면 큰 실패였지만, 당신이 일궈 온 반백 년의 공동체 농사는 지금도 농촌 곳곳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다”고 했다.

원혜영 의원은 2010년 발간한 《아버지, 참 좋았다》에서 “《농부철학자, 피에르 라비》란 책을 읽으면서 아버지를 생각했다”고 했다. 그는 “평생을 농부로 살고자 한 것, 생명을 살리는 농사를 짓는 것, 그것을 교육하고 세상에 전파하는 것, 기아를 예측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길을 찾는 것, 공동체가 이 모든 것을 해결하는 길이라는 믿음을 갖고 실천한 것에서 아버지와 피에르 라비는 너무나도 흡사하다”고 했다.

원혜덕씨는 “아버지는 ‘좋은 게 좋은 게 아니다, 옳은 게 좋은 것이다’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하셨다”며 “오빠가 경찰에 쫓기고 있을 때, 서울대 김진세(金鎭世) 교수가 부천 집에 찾아와 ‘데모를 하면 여러가지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 하자, 아버지는 ‘어떤 불이익을 당하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데모를 하는 게 옳은 것이냐 그른 것이냐를 따져야 하는 것 아니냐. 잘못하는 일도 아닌데 손해 보니까 하지 말라는 말을 아비가 어떻게 자식한테 하느냐’고 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원경선은 자식들도 ‘유기농’으로 키웠다. 자식들의 본성을 살려 스스로의 길을 가게 한 것이다. 넷째딸 혜덕씨가 대학입학 예비고사에서 경기지역 여자수석을 했을 때, 원경선은 “그 정도면 서울에 있는 교대를 가는 것도 좋겠구나”라고 했으나, 혜덕씨는 “외딴섬 오지에서 교편을 잡기 위해 지방대학으로 간다”며 인천교대에 진학했다.

혜덕씨는 “공동체 생활을 하다 보니 언니나 여동생은 매일 아침 교복을 갈아입을 곳을 찾지 못해 발을 동동 굴렀다”며 “오빠가 언니에게 ‘강원도 가서 감자만 캐 먹더라도 우리끼리 살았으면 좋겠다’고 말하곤 했는데, 어머니가 그 얘기를 전해 듣고 가슴 아파하셨다”고 했다.

그는 “덕분에 우리 식구들은 오빠나 여동생이 학생운동을 하면서도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서 “공동체 생활이란 게 이상은 좋지만 얼마나 엉터리인지 너무 실감나게 겪었기 때문”이라며 웃었다. 혜덕씨는 “그 많은 공동체 식구들의 밥과 빨래를 해 대시면서 아버지의 말에 오로지 ‘예’라는 말밖에 하지 않으신 어머니였다”며 “어머니는 ‘세상 사람들이 다 내 자식이고, 이 사람들을 돌보는 게 내 달란트(talent)’라고 생각하신 것 같다”고 했다.


<元敬善의 詩>

원경선 원장은 대안교육의 상징으로 꼽히는 경남 거창고 고 전영창(全永昌) 교장과 인연으로 고 장기려(張起呂) 박사 등과 함께 이 학교를 키웠고, 졸업생 8000여 명에게 성경을 가르치기도 했다.

풀무원식품은 2004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평단리에 23만1404m²(7만평) 규모의 유기농 농장을 건설하면서 원경선 원장을 위해 공동체 공간을 마련했다고 한다. 농장 바로 옆에 1만9834m²(6000평) 정도 규모의 공동체 공간을 원경선 원장은 ‘평화원’이라고 불렀다.

향후 평화원은 후대에도 남을 것이고, 건축가 승효상(承孝相)이 설계한 원경선 원장의 집은‘원경선기념관’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한다. 딸 혜덕씨는 “아버지의 기념관은 여느 기념관과는 다를 것”이라며 “아버지의 공동체 삶의 정신을 후대에 전하는 방향으로 꾸며질 것”이라고 했다.

중리농장 서재에는 원 원장의 오랜 벗인 고 이열(李烈)의 시 한 편이 액자에 담겨 있다. 이열은 1979년 지은 ‘원경선의 시’에서 그를 두고 ‘하늘의 시를 땅에 쓰는 사람’이라고 했다.

<원경선의 시는 하늘이 내려준/양주 4만평의 땅에서 빛난다/산줄기에서 벗어난/밋밋한 들판에/원경선은/침묵의 시를 쓴다/사람이/사유욕을 버리면/오히려 부요해지는 신비가/그의 시에 사무친다/사람이 사람과 더불어 사는/아름다운 전설이 그의 시에/메아리친다/원경선의 시엔 태초의 숨결이/넘친다/원경선은 하늘의 시를 땅에 쓴다/하늘이 내려준 양주 4만평의 땅에/그리스도의 시를 쓴다>⊙
Posted by Sejin at January 09, 2022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Labels: 미생물

말씀과 노동으로 풀무질한 원경선 원장 별세 < 사람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말씀과 노동으로 풀무질한 원경선 원장 별세 < 사람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말씀과 노동으로 풀무질한 원경선 원장 별세
공동체·생명 운동 평생 투신...1월 8일 100세에 흙으로 돌아가다

기자명 임안섭
승인 2013.01.09 23:10


▲ 공동체 운동과 유기농업의 산 증인 원경선 평화원 원장이 타계했다. '풀무원 농장' 설립자이기도 한 원 원장은 1월 8일 오전 1시 49분경 노환으로 향년 100세에 별세했다. (사진 제공 풀무원)"공동체를 하는 것은 세계 평화를 위해서다. 자기들끼리만 잘 먹고 잘살기 위해 모인 것은 집단이기주의다. 자급자족하고 남은 것은 이웃을 위해 내놓아야 한다."


공동체 운동과 유기농업의 산 증인 원경선 평화원 원장이 타계했다. '풀무원 농장' 설립자이기도 한 원 원장은 1월 8일 오전 1시 49분경 노환으로 향년 100세에 별세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5호이며, 장지는 인천 강화군 파라다이스 추모원이다. 장례는 풀무원홀딩스 회사장으로 치러지며, 영결식은 10일 오전 9시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린다.

'한국 유기농업의 아버지'라 불리는 원 원장은 한평생 공동체 운동을 펼치며 나누는 삶을 실천했다. 평신도가 수평적으로 직제를 담당하는 '형제단(brethren)' 소속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했고, '씨알 농장'을 일군 함석헌 선생과 교류하며 농사와 신앙에 대해 이야기했다. 하나님의 말씀을 좇아 나눔과 자급자족을 강조하며, 평생 생명 농사를 지으면서 이웃 사랑과 생명 존중의 정신을 남겼다.

고인은 1914년 평안남도 중화군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열여섯 살 되던 해 아버지를 잃고 농군의 길로 들어섰다. 1955년 한국전쟁 후 마흔을 넘긴 나이에 경기도 부천 땅 1만 평을 개간해 풀무원 농장을 지어, 오갈 데 없는 이들을 위해 공동체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풀무원'이라는 이름은, 대장장이가 대장간에서 쇠를 달구듯이 농장 식구들을 하나님의 말씀과 농사일로 풀무질해 쓸모 있는 사람이 되게 하겠다는 뜻으로 지었다.


▲ 원경선 원장은 평신도 중심의 형제단 소속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했고, 함석헌 선생과 교류하며 농사와 신앙에 대해 이야기했다. 하나님의 말씀을 좇아 나눔과 자급자족을 강조하며 생명 농사를 지었다. (사진 제공 풀무원)

공동체는 초기에 가난 구제를 목적으로 삼았다. 차차 공동생활을 하며 바른 삶을 배우는 교육장으로 바뀌었다. 오전에는 성경 공부와 교양 교육을 하고, 오후에는 양계법과 영농 실습을 했다. 공동체에서 바른 삶의 방식을 배우고 농사 현장으로 간 사람만 100명이 넘었다.

원 원장은 일본 기독 농민이 모이는 '애농회'가 발간하는 잡지에서 유기농에 대한 글을 읽고 일본 유기농의 선구자인 고다니 준이치를 만나면서 다시 한번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 화학비료와 농약으로 생명을 파괴하는 농사를 짓지 않겠다고 결심한 원 원장은, 1976년 경기도 양주로 풀무원 농장을 옮겨 유기농사를 시작했다. 국내 최초의 유기농 단체인 '정농회'를 만든 것도 이때다.

'인간 상록수'로 불리는 원 원장은 자신이 옳다고 믿는 것은 꼭 실천하며 살았다. 1961년부터 2006년까지 열린 교육으로 유명한 경남 거창고등학교 이사장을 지냈다. 거창고는 군사정권 시절 교육 당국과 마찰을 빚으며 세 번이나 폐교 위기에 몰렸으나, 그때마다 원 원장은 "타협하느니 차라리 학교 문을 닫는 것이 인격적으로 바른 교육을 하는 것"이라며 버텼다.


▲ 원경선 원장은 1955년 경기도 부천에 풀무원 농장을 지어 공동체를 하기 시작했고, 1976년 유기농사를 시작했다. 2004년에는 충북 괴산으로 거처를 옮기고, 농장 근처에 '평화원'이라는 공동체를 세워 생명 존중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데 남은 생을 바쳤다. (사진 제공 풀무원)공동체 운동에서 출발해 생명 운동을 해 온 그의 삶은 국제 구호 활동과 환경 운동으로 뻗어 나갔다. 1990년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 창립에 참여해 가난한 이들을 돕는 운동에 동참했다. 1992년 78살의 나이에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 세계 환경 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가해 유기농 실천 운동에 대해 강연했다. 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산하 기구로 시작한 환경개발센터의 초대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2004년에는 충북 괴산으로 풀무원 농장 거처를 옮기고, 농장 근처에 '평화원'이라는 공동체를 세웠다. 거기서 생명 존중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데 남은 생을 바쳤다. 원 원장은 유기농업을 통해 환경 보존에 이바지한 공로로 1992년 녹색인상, 1995년 유엔 글로벌 500상, 1997년 국민훈장 동백장, 1998년 인촌상을 수상했다.

원 원장의 장남 원혜영 의원(민주통합당)은 1981년 아버지의 정신을 따라 풀무원을 창업, 30여 년이 지난 현재 연간 매출 1조 5000억 원이 넘는 식품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풀무원은 충북 괴산의 연수원 로하스 아카데미에 기념관을 설립해 고인의 뜻을 이어 가기로 했다.


Posted by Sejin at January 09, 2022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성폭력·분쟁으로 깨진 교회, 어떻게 목회해야 하는지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아" < 교회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성폭력·분쟁으로 깨진 교회, 어떻게 목회해야 하는지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아" < 교회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성폭력·분쟁으로 깨진 교회, 어떻게 목회해야 하는지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아"
[인터뷰] 인천새소망교회 임시당회장 박성철 목사 "그루밍 성폭력은 구조와 인식 문제"

기자명 구권효 기자
승인 2022.01.09 08:54

[뉴스앤조이-구권효 기자] 인천새소망교회 김 아무개 부목사의 성폭력은 교회에서 벌어지는 '그루밍 성폭력'이 얼마나 심각한지 세상에 알린 사건이었다. 2018년 5월 <뉴스앤조이> 첫 보도 이후 교계뿐 아니라 일반 언론에서도 이 사건을 주목했다. 결국 김 목사는 2021년 7월 징역 7년을 선고받았다. 현재 항소심이 진행 중이다.

이 사건은 또한 교회에서 벌어진 성폭력 사건에 대한 교회 및 교단의 무능도 드러냈다. 김 목사의 아버지 김영남 목사는 소속했던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예장합동)에서 총회 임원까지 할 만큼 영향력 있는 사람이었다. 그는 자신의 권위를 이용해 아들의 성폭력을 덮으려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교회 안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교인들을 출교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노회는 김영남 목사를 제재하기는커녕 그가 교단을 탈퇴할 수 있도록 길을 내 줬다.

김영남 목사를 지지하는 교인들은 반대 교인들이 예배당에 들어오지 못하게 막았다. 쫓겨난 교인들은 예배당 출입 방해 금지 가처분을 신청해 승소했다. 이 소송에서 김 목사를 지지하는 교인들이 강행한 출교도 적법성이 인정되기 어렵다는 판단이 나왔다. 하지만 김 목사와 그를 지지하는 교인들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쫓겨난 교인들은 어쩔 수 없이 김영남 목사의 담임목사 직무 집행정지 가처분도 신청했다. 이것도 작년 11월 30일 받아들여졌다.

법원은 김영남 목사의 담임목사 직무를 정지하고, 쫓겨난 교인들의 소송 대표자 박성철 목사(하나세교회)를 인천새소망교회 임시당회장으로 인정했다. 박성철 목사는 독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뒤 횃불트리니티대학원대학교 초빙 교수, 경희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종교 중독과 권위주의를 연구해 2020년 말 <종교 중독과 기독교 파시즘>(새물결플러스)을 펴내기도 했다. 지금은 2022기독교대선행동 정책위원장으로 활동하며 교회 개혁 및 사회 선교 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지금까지 박성철 목사의 행보와 인천새소망교회 임시당회장직은 어울려 보이지 않았다. "동명이인인 줄 알았다"고 말하자, 그는 "말할 때마다 사람들이 놀라는데 나는 사실 예장합동 소속이다"라며 멋쩍게 웃었다. 박 목사는 1월 6일 서울 중구 희년평화빌딩에서 <뉴스앤조이>와 만나, 인천새소망교회 임시당회장을 맡게 된 사연부터 교회 성폭력 및 분쟁으로 상처받은 이들에 대한 목회, 교단의 무관심 등 이번 사건이 드러낸 교회의 민낯에 대해 이야기했다.

인천새소망교회 임시당회장이 된 박성철 목사를 만났다. 뉴스앤조이 구권효
마음이 '찢겨' 있는 교인들


- 어떻게 인천새소망교회 임시당회장이 된 건가.

이 사건을 처음부터 도왔던 정혜민 목사(성교육상담센터 숨)에게 작년 8월 전화가 왔다. 정 목사는 개인적으로 알고 지내던 사이였는데 부탁할 게 있다더라. 인천새소망교회에서 김영남 목사에게 문제를 제기하던 교인들이 직무 집행 정지 가처분을 신청하려 하는데, 인천새소망교회가 소속했던 예장합동 교단 목사가 대표자가 되어 주면 좋겠다는 내용이었다. 들어 보니, 교인들이 이미 예장합동 목사 몇몇에게 부탁을 했는데 번번이 거절을 당했더라. 내가 생각해도 그럴 거 같았다. 우리 교단에서 누가 이런 분쟁 있는 교회, 더구나 그루밍 성폭력 사건이 생긴 교회에서 피해자 편에 서려고 할까….

'이걸 감당할 수 있을까' 고민했지만, 만약 여기서 나도 거절하면 다른 사람 찾기가 쉽지 않겠다고 생각했다. 이미 여러 번 거절당하고 왔다는데 어떻게 나까지 거절할까. 그간 교회 개혁을 많이 이야기해 왔고, 이 사건은 내가 속한 교단에서 일어났다는 부채 의식도 있었다. 이후 일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소송에 대표자로 이름을 올리기로 했다. 그때는 어쨌든 재판을 진행하는 게 중요했으니까. 근데 11월 말 우리가 이긴 거다. 김영남 목사의 담임목사직은 정지됐고, 즉시 소송의 대표자인 내가 임시당회장이 됐다.

- 이후로 한 달이 지났다. 지금 교회 상황은 어떤가.

12월 초부터 쫓겨난 교인들과 인천새소망교회 건물 지하 1층 카페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다. 이분들은 그루밍 성폭력 피해자와 가족들, 김 목사에게 문제를 제기했다가 출교당한 사람들이다. 대부분 중직자다. 총 25명 정도 되고 현장 예배는 방역 상황에 따라 10~15명이 함께한다.

김영남 목사와 그를 지지하는 교인이 한 서른 명 정도 되는 것 같은데, 우리가 본당에 못 들어가게 막고 있다. 자신들이 주일 오전 10시 1층 본당에서 예배를 하고, 우리는 들어가지 못하도록 문을 잠근다. 이렇게 하는 건 불법이라고, 법원에서 인정한 임시당회장의 직무를 방해하는 행동이라고 말해도 그들은 문을 열어 주지 않았다. 경찰이 출동한 날도 있다. 그래도 아랑곳하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지난주에 '업무방해' 혐의로 형사 고소장을 제출한 상태다.

나도 목사라서 웬만하면 소송은 하지 않으려 한다. 그런데 김 목사를 지지하는 교인들은 대놓고 법원 판결을 무시하고 있다. 이건 전형적인 종교 중독 현상이고 사교 집단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어쨌든 쫓겨난 교인들이 예배당에서 예배할 수 있어야 하는데, 들어가려 하면 물리적 충돌을 피할 수 없다. 교인들은 이미 상처를 많이 받았다. 그런 충돌까지 겪는 일은 없어야겠다 싶어 고소를 진행했다.

- 인천새소망교회 그루밍 성폭력 사건은 언론을 통해 많이 알려졌다. 임시당회장이 되기 전 밖에서 사건을 봤을 때와 지금 피해자 및 교인들을 만났을 때 느낌이 다를 것 같다.

피해자와 교인들을 직접 만나기 전에는 가해자에게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 언론으로만 접했을 때는 가해자가 어떤 처벌을 받는지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루밍 성폭력은 심각한 성범죄 아닌가. 목사가 그런 범죄를 저질렀다는 것에 굉장히 분노했고, 성범죄를 일으켰으니 당연히 처벌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11월 말 재판에서 이기고, 그 주에 바로 피해자와 가족들, 쫓겨난 교인들과 통화도 하고 직접 만났다. 근데 이분들 마음이 정말 '찢겨' 있더라. 분명히 소송에서 이겼는데, 하나도 기쁜 얼굴이 아니었다. 예배를 드리고 싶다더라. 3년 반을 길거리에서 예배했다고. 내가 "어떻게 버티셨나" 물어보니 "악으로 깡으로 버텼다"고 하더라. 언론 보도로 보면 그저 "3년 반 고통을 받았다"지만, 직접 이야기를 나눠 보니 정말 그 찢긴 마음이 너무 많이 보였다.

이후로 가해자보다는 피해 교인들이 더 눈에 들어왔다. '회복'이라는 말을 쓰는데, 이게 그냥 한국교회에서 흔히 쓰는 회복·위로 이런 건 아닌 거 같다. 뭐라고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다. 정의로운 회복? 그런 회복이 돼야 하는데…. 범죄로 피해를 입은 분들이기 때문에 그냥 마음에 위로를 받는다고 해서 회복되는 게 아니라, 가해자가 처벌받는 것은 물론 이분들이 원래 자리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 직장에서 성폭력 문제가 생기면 가해자는 처벌받고 피해자는 직장으로 돌아가는 것이 정의로운 회복 아닌가. 이분들도 원하는 곳에서 예배를 드리고 신앙생활 할 수 있을 때 정의로운 회복이 이뤄진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김영남 목사를 지지하는 교인들의 저항이 정말 거세더라. 예배당 문 잠그고 불법을 저지르는 것에 전혀 두려움이 없고, 가해자를 두둔하며 피해자들에게 저주의 말을 내뱉는 것에도 전혀 양심의 가책이 없어 보였다. 특히 안타까운 건, 그루밍 성폭력을 당한 피해자 중 일부도 김영남 목사 편에 서 있다는 점이다. 피해 교인들도 그들을 안타깝게 바라보고 있다. 그루밍 성폭력과 종교 중독 문제가 이렇게나 심각하구나 다시 한번 깨달았다.

김영남 목사에게 문제를 제기했던 피해자들과 교인들은 교회에서 쫓겨났다. 사진은 2019년 4월 7일 피해자들과 교인들의 예배 및 피켓 시위 현장. 뉴스앤조이 박요셉
'목사'라는 게 부끄러웠다


- 이 사건은 아들 목사의 성폭력도 그렇지만, 이를 묻으려고 한 아버지 김영남 목사 문제도 컸다. 같은 교단 목사로서 어떻게 봤나.

정말 부끄러웠다. 이 사건의 원인은 단순히 한 교회 목사의 개인적 일탈이 아니다. 이건 예장합동 교단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문제의 단면을 보여 준다. 만약 교단 내 법이 제대로 작동하고 법을 지키는 구조가 잡혀 있었다면 이렇게까지 갈 문제가 아니었다. 마땅히 노회가 가해 목사를 징계하고 피해를 입은 성도들을 위해 나섰어야 했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노회가 그 반대 역할을 했다. 가해 목사와 그를 두둔했던 김영남 목사가 교단을 탈퇴하는 걸 방관했다.

이 사건은 지금 한국의 보수적인 교단들 혹은 근본주의적 교회들의 성 인지 감수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을 방증한다. 그런 곳에서는 언제고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사회는 계속해서 변하고 있다. 느리든 빠르든 성 인지 감수성이나 성폭력, 양성평등, 젠더 평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바뀌고 있다. 그런데 교회는 여전히 구시대적인 인식 속에서 벗어나기를 원하지 않는 것 같다. 이런 구조적인 문제와 인식론적 한계가 인천새소망교회 사건을 통해 드러난 것이다.

그런데 교단이 너무 관심이 없다. 김영남 목사는 교단을 탈퇴했다고 하지만, 어쨌든 우리 교단에 있을 때 벌어진 일 아닌가. 피해 교인들이 교단 목사들에게 몇 번이나 거절당했다는 말을 들었을 때 너무나 부끄러웠다. 요청을 수락하고 피해 교인들과 통화를 했는데, 그들이 제일 먼저 하는 이야기가 "목사님 고맙습니다"였다. 정말 얼굴이 확 붉어지더라. 무슨 말을 할 수가 없었다. '내가 목사인 게 너무 부끄럽다'는 생각밖에 안 들었다.

- 교단 이야기를 하다 보니 이런 생각도 든다. 예장합동에 여성 목사가 있었다면 교단 차원에서 성폭력에 대한 논의가 좀 더 있지 않았을까.

당연하다. 만약 우리 교단에 여성 목사가 있었으면 성폭력 문제가 생겼을 때 좀 더 잘 대처할 수 있었을 것이다. 교단 자체가 여성 목사 안수를 반대하는 구시대적 인식 속에 있으니까 성폭력 문제 해결도 더 어려운 거다. 이 사건이 드러난 몇 년 전에는 총회장이 교단 차원에서 성교육을 하겠다고 했다. 그런데 그것도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내가 막상 교회 성폭력과 그로 인한 분쟁으로 피해를 입은 성도들을 목회하게 됐는데, 누구한테 물어볼 수가 없다. 우리 교단은 이런 문제에 대해 어느 누구도 교육을 하지 않는다. 대부분 성도들이 잘못했을 때 목사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가르치지, 목사가 잘못해서 교회에 문제가 생기고 성도들 마음이 깨졌을 때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다. 더구나 이렇게 가해자와 피해자가 명확한 사건에서, 가해자를 사교 집단의 지도자처럼 따르는 사람들이 있을 경우, 신앙의 이름으로 2차 가해를 정당화하는 집단이 있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느 누구도 말해 준 적이 없다.

- 목사님 스스로도 답답하겠지만, 어쨌든 임시당회장으로서 상처 입은 교인들을 목양하는 역할을 맡았다. 어떻게 할 계획인가.

솔직히 잘 모르겠다. 어쨌든 성도들에게는 "끝까지 도와드리겠다"고 말했다. 이건 불의한 일이고 가해자가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지, 피해자가 부끄러워할 일이 아니라고도 말씀드렸다. 그러면서 성경에서 말하는 공의가 무엇인지, 피해자를 위한 공의란 무엇인지 계속 설교하고 있다. 그렇게 마음을 위로하면서 한편으로는 법적인 절차를 진행하거나 언론을 통해서 공론화하는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 같다. 꾸준히 만나야 지금 성도들도 교회나 목회자에 대한 신뢰가 어느 정도 회복될 것 같다. 지금은 막 시작한 단계라 얼마나 걸릴지,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 모르겠다.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 자체가 없을지도 모른다.

매주 배워 가는 중이다. 나는 종교 중독에 대한 공부도 했고 담임 목회도 해 봤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내가 생각하는 방향은 있다. 하지만 지금은 피해자들의 생각이 우선인 것 같다. 이야기를 많이 들으려 한다.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고 그들이 뭘 원하는지 알고 거기에 맞게 반응하는 게 회복을 위한 목회의 첫걸음이라고 생각한다. 피해를 당한 성도들이 충분히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게 해 주고, 그들의 발걸음에 내가 맞추려 한다. 그렇게 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 좀 더 긴 호흡을 가져야 할 것 같다. 지금은 이 방법 외에는 어느 누구도 '이게 좋은 방법이다'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Posted by Sejin at January 09, 2022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아나뱁티스트 관점으로 보는 '기독교 평화주의'와 '평화 교회' < 교계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아나뱁티스트 관점으로 보는 '기독교 평화주의'와 '평화 교회' < 교계 < 기사본문 - 뉴스앤조이

아나뱁티스트 관점으로 보는 '기독교 평화주의'와 '평화 교회'
2022년 제6차 아나뱁티스트 컨퍼런스…1월 20~21일 오후 8시 ZOOM으로 진행

기자명 한국아나뱁티스트센터
승인 2022.01.06





202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한국아나뱁티스트센터(KAC)는 매년 1월에 아나뱁티스트 컨퍼런스를 개최합니다. 올해는 아나뱁티스트 관점의 평화주의와 평화 교회에 대한 주제로 함께 고민하고자 합니다. 평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역사 속의 평화, 그리고 교회 안에서 경험해야 할 평화 이야기를 펼쳐 나가고자 합니다.

주제: 기독교 평화주의와 평화 교회
첫째 날 강의: 기독교 전통의 3가지 평화론(이상규 교수)
둘째 날 강의: 평화 교회(황인근 목사, 허현 목사)

첫째 날에는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 기독교 평화론의 역사>(SFC)를 쓰신 이상규 교수님을 모십니다. 성경에서 발견되는 평화에서 시작하여 초기 교회, 중세 시대, 종교개혁 시대, 계몽주의 시대, 근대 및 한국의 평화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의 시각에서 평화를 살펴볼 것입니다. 논찬자로서 김복기 캐나다 파송 선교사님이 함께합니다.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를 미리 읽고 오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둘째 날에는 담론으로서의 평화가 교회 내에서 어떻게 실천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낼 것입니다. 패널로 평화교회연구소 황인근 목사님과 미국 LA ReconciliAsian 대표 허현 목사님께서 함께합니다. <평화 교회>(대장간)를 읽어 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황인근 목사님은 영성과 성품으로서의 평화를, 허현 목사님은 교회 조직과 운영에 있어서의 평화를 나눌 예정입니다. 그 어느 때보다 평화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구체적인 평화의 실천을 지향하고자 이번 컨퍼런스를 엽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일시: 2022년 1월 20~21일(목~금) 오후 8시~10시
장소: 줌 링크(추후 공개)
등록비: 1인당 2만 원(SC제일은행 425-20-403665, 한국아나뱁티스트센터)
*등록비를 내지 못할 경우는 '장학금 신청'으로 표시해 주시면 됩니다.


연락처: 033-242-9615
참가 신청 문의: kac@kac.or.kr
등록 마감일: 2021년 1월 19일(수)
*신청 링크: https://bit.ly/3n0lfDl


Posted by Sejin at January 09, 2022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Swedish Couple Builds Greenhouse Around Home to Stay Warm and Grow Food All Year Long

Swedish Couple Builds Greenhouse Around Home to Stay Warm and Grow Food All Year Long



Swedish Couple Builds Greenhouse Around Home to Stay Warm and Grow Food All Year Long
MARCH 4, 2019 AT 2:26 AM

Greenhouse keeps home in the 60’s, even when it’s freezing outside; allows family to grow Mediterranean fruit in Sweden



Marie Granmar and Charles Sacilotto literally live in a bubble, insulated from the cold and the harshness of the elements, while taking in the best of what nature has to offer.

Their house is built inside of a greenhouse, providing them free heat and free food in the winter.



In Stockholm, Sweden, where winter lasts 9 months out of the year, that’s a huge asset.

The average temperature in Stockholm in January is below freezing. But step into Marie and Charles’ bubbled-in “backyard,” and you’ll be much warmer.

“For example at the end of January it can be 28°F outside and it can be 68°F upstairs,” says Marie in a video interview.



A normal family in Stockholm switches on their heater on sometime around mid-September, and doesn’t turn it off again until mid-May or so, Marie says.

The greenhouse allows them to reduce the number of months they need to heat their home from 9 to 6 months per year, and reduces the amount of energy they use doing so. Any supplemental heat they need, that is not provided by the sun, is provided by a wood-burning stove.

Marie says she is more or less immune to the winter blues many of her friends experience during cold weather. Rain or snow, she can sit out on her balcony or her roof-top terrace and gaze at the stars, or any glimpses of sun she can catch.

Then, during the warmest parts of the summer, her glass roof automatically opens up when it hits a certain temperature, to let the heat out so it doesn’t get too hot.

“It can get warm a few days in the summer,” she says, “but that’s not really a problem because we open the windows and we enjoy the heat. We like the sun!”

The family’s favorite hangout is the rooftop deck. Since they built a glass ceiling, they no longer needed a roof, so they removed it to create a large space for sunbathing, reading, gardening or playing with their son on swings and bikes.



In addition to keeping their bodies warmer, the greenhouse also keeps their plants warmer.

The footprint of the greenhouse is nearly double that of the home, leaving plenty of room for a wrap-around garden. And since they’ve created a Mediterranean climate for themselves, the couple grows produce that typically isn’t grown in Sweden, like figs, grapes, tomatoes, cucumbers and herbs. Outside the glass they have cherry and apple trees.

“Growing things here is not easy,” Marie says in the video. “We need all the extra energy we can get.”



On top of free heat, the couple has also installed a rainwater collection system for free water, and a composting toilet system that provides free fertilizer for their plants. Also, the plants that thrive in their home return the favor by cleaning the air and providing more oxygen.

It starts with a urine-separating toilet and uses centrifuges, cisterns, ponds and garden beds to filter waste water and compost the remains.

For the future, the couple is working on designing a system to capture excess solar energy during the summer and store it for the winter.

“If you want to be self sufficient, and not dependent on bigger systems, you can have this and live anywhere you like,” Marie said.

“It’s all a philosophy of life, to use nature, sun and water to live in a another world,” Charles said.

Charles and Marie weren’t the first ones to build a house-inside-a-greenhouse. Their idea was inspired by Swedish architect Bengt Warne who built the first “Naturhus” (Nature House) in Stockholm in 1974:





Since then a handful of others have been built in Sweden and Germany.

Tags: Couple Ecohouse House inside greenhouse Natural Living Nature House Naturhus Permaculture Sweden Swedish

Share:

Author: Sara Burrows
Posted by Sejin at January 09, 2022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Xty FOR PEOPLE WHO AREN'T CHRISTIANS J E WHITE Ch 7 Unchristians

 Xty FOR PEOPLE WHO AREN'T CHRISTIANS  J E WHITE

Posted by Sejin at January 09, 2022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Xty FOR PEOPLE WHO AREN'T CHRISTIANS J E WHITE Ch6 The Church

 Xty FOR PEOPLE WHO AREN'T CHRISTIANS  J E WHITE

Posted by Sejin at January 09, 2022
Email ThisBlogThis!Share to XShare to FacebookShare to Pinterest
Newer Posts Older Posts Home
Subscribe to: Comments (Atom)

Directory Page

  • Home

Blog Archive

  • ▼  2025 (653)
    • ▼  October (33)
      • [新釈]講孟余話 吉田松陰、かく語りき eBook : 吉田 松陰, 松浦 光修: Japanese...
      • 죽음에서 배우는 삶 (매주 토요일 업로드) - YouTube
      • 죽음의 미래 | 최준식 | 알라딘
      • [1/4 부] 죽음을 통해 삶을 깨닫다 ㅣ최준식
      • 책추남YouTube 카르마의 법칙 최준식
      • 한 권으로 읽는 인간의 죽음 | 최준식 | 알라딘
      • 마음챙김의 광기 (The Madness of Mindfulness) Barbara Ehre...
      • 윤녕 뇌 속 '나'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메타내러티브로 풀어보는 이야기
      • Byung-Chul Han - Wikipedia
      • 윤녕 나는 왜 본질화시키는가.
      • Byung-Chul Han’s Burnout Society: Our Only Imperat...
      • The Internet’s New Favorite Philosopher | The New ...
      • "자폐 가진 형은 제게 문화인류학 이해시켜준 스승이죠"
      • Exploring Border Languages: Philosophy, Poetry, an...
      • Amazon.co.jp: もう親を捨てるしかない 介護・葬式・遺産は、要らない (幻冬舎新書) :...
      • 下村湖人 - Wikipedia
      • 論語物語 | 著者下村湖人
      • エースと呼ばれる人は何をしているのか | 日本最大級のオーディオブック配信サービス audioboo...
      • 葬式は、要らない | 島田裕巳 0葬 あっさり死ぬ , 葬式消滅 お墓も戒名もいらない
      • Catherine Hogarth —The forgotten wife of Charles D...
      • 読書の学校 若松英輔 特別授業『自分の感受性くらい』 - 若松英輔 - 小説・無料試し読みなら、電子...
      • “홀로코스트에 맞선 네 여성” < 칼럼 에큐메니안
      • 死ぬとはどういうことか | 日本最大級のオーディオブック配信サービス audiobook.jp
      • 死の講義 : 橋爪 大三郎: Japanese Books
      • ふしぎなキリスト教 : 橋爪大三郎, 大澤真幸
      • Representative Men - Wikipedia Ralph Waldo Emerson
      • Representative Men of Japan (Kanzo Uchimura, 1908)
      •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이나모리 가즈오 生き方 人間として一番大切なこと
      • 카미야 미에코(神谷美恵子) 책 요약
      • 크러스너호르커이의 작품 세계
      • Jane Goodall, dogged advocate for the natural worl...
      • 魂 - Wiktionary, the free dictionary
      • 타마시 한자(魂)가 영혼의 개념을 정의하는 방법 – Kokusai Bujin Renmei
    • ►  September (116)
    • ►  August (94)
    • ►  July (139)
    • ►  June (61)
    • ►  May (30)
    • ►  April (17)
    • ►  March (83)
    • ►  February (68)
    • ►  January (12)
  • ►  2024 (1394)
    • ►  December (21)
    • ►  November (40)
    • ►  October (47)
    • ►  September (82)
    • ►  August (105)
    • ►  July (93)
    • ►  June (46)
    • ►  May (76)
    • ►  April (191)
    • ►  March (241)
    • ►  February (245)
    • ►  January (207)
  • ►  2023 (4088)
    • ►  December (154)
    • ►  November (141)
    • ►  October (313)
    • ►  September (371)
    • ►  August (552)
    • ►  July (584)
    • ►  June (523)
    • ►  May (480)
    • ►  April (341)
    • ►  March (180)
    • ►  February (212)
    • ►  January (237)
  • ►  2022 (3375)
    • ►  December (192)
    • ►  November (159)
    • ►  October (154)
    • ►  September (162)
    • ►  August (358)
    • ►  July (445)
    • ►  June (517)
    • ►  May (560)
    • ►  April (327)
    • ►  March (204)
    • ►  February (78)
    • ►  January (219)
  • ►  2021 (3270)
    • ►  December (154)
    • ►  November (223)
    • ►  October (374)
    • ►  September (316)
    • ►  August (252)
    • ►  July (286)
    • ►  June (272)
    • ►  May (302)
    • ►  April (338)
    • ►  March (316)
    • ►  February (212)
    • ►  January (225)
  • ►  2020 (2422)
    • ►  December (228)
    • ►  November (385)
    • ►  October (417)
    • ►  September (270)
    • ►  August (214)
    • ►  July (71)
    • ►  June (161)
    • ►  May (141)
    • ►  April (98)
    • ►  March (142)
    • ►  February (84)
    • ►  January (211)
  • ►  2019 (1234)
    • ►  December (85)
    • ►  November (8)
    • ►  October (98)
    • ►  September (228)
    • ►  August (50)
    • ►  July (76)
    • ►  June (52)
    • ►  May (55)
    • ►  April (111)
    • ►  March (64)
    • ►  February (152)
    • ►  January (255)
  • ►  2018 (587)
    • ►  December (157)
    • ►  November (28)
    • ►  October (22)
    • ►  September (82)
    • ►  August (59)
    • ►  July (13)
    • ►  June (40)
    • ►  May (53)
    • ►  April (48)
    • ►  March (66)
    • ►  February (18)
    • ►  January (1)
  • ►  2017 (188)
    • ►  December (14)
    • ►  November (19)
    • ►  October (4)
    • ►  September (55)
    • ►  August (11)
    • ►  July (38)
    • ►  June (1)
    • ►  April (16)
    • ►  March (11)
    • ►  February (7)
    • ►  January (12)
  • ►  2016 (987)
    • ►  December (53)
    • ►  November (111)
    • ►  October (267)
    • ►  September (70)
    • ►  August (11)
    • ►  July (41)
    • ►  June (92)
    • ►  May (153)
    • ►  April (123)
    • ►  March (66)
  • ►  2015 (6)
    • ►  August (2)
    • ►  July (3)
    • ►  February (1)
  • ►  2013 (1)
    • ►  October (1)

Search This Blog

Labels

  • Ibn Arabi (4)
  • ??? (1)
  • "Body keeps" (643)
  • "centering prayer" (62)
  • "contemplative life" (53)
  • "de Ropp" (2)
  • "Esoteric Christianity" (27)
  • "holy obedience" (30)
  • "inner chapters" (5)
  • "inner christianity" (4)
  • "Sejin Pak" (13)
  • "Shall We Live" (4)
  • "spiritual care" (33)
  • "spiritual practice" (298)
  • "study bible" (8)
  • "김시천 노자 강의 " (27)
  • "의식과 본질" (262)
  • "일본으로 건너간 연오랑" (5)
  • [Directory (2)
  • [spiritual journey (1)
  • [아직도 가야 할 길> 요약 (5)
  • ** (222)
  • *** (2)
  • 120 (2)
  • A.C. Graham (9)
  • Abhidharma (119)
  • Acupuncture (1)
  • adhidhamma (161)
  • AFSC (100)
  • ageing (55)
  • Ajita (3)
  • Alastair McIntosh (1)
  • Aldous Huxley (102)
  • Amartya Sen (13)
  • Ambedkar (30)
  • American (1)
  • Andrew B. Newberg (1)
  • anger (4)
  • Anil Seth (5)
  • Anne Bancroft (4)
  • Anne Marie Schimmel (16)
  • Anthony Manousos (3)
  • archetype (1)
  • Arthur Versluis (4)
  • Aurobindo (1)
  • Australia (5)
  • Australian soul (1)
  • Australian spirituality (1)
  • AVP (10)
  • Basham (4)
  • Beatrice Tinsley (10)
  • Before (4)
  • before triology (4)
  • Bessel A. van der Kolk (1)
  • Bessel Van Der Kolk (19)
  • Beyond Majority Rule (6)
  • beyul (13)
  • bhagavad gita (39)
  • Bible as literature (14)
  • Bill Devall (11)
  • biography (5)
  • body (2)
  • Body remembers (17)
  • Body Score (9)
  • bodymind (16)
  • Brain (1)
  • Brian Greene (5)
  • Brief History of Everything (8)
  • Buddha (3)
  • Buddhism (3)
  • C. S. Lewis (165)
  • calling (1)
  • Cambridge Companion to Quakerism (5)
  • Camino (1)
  • Care (1)
  • Carl Jung (170)
  • Carl Jung unconscious (65)
  • Cārvāka (2)
  • Change We Must (3)
  • Charlotte Kasl (11)
  • Chi (2)
  • Chikako Ozawa-de Silva (7)
  • Choan-Seng Song (6)
  • Chopra (3)
  • Chris Hedges (1)
  • Christian mysticism (3)
  • Christian pacifism (8)
  • Christian Zen (16)
  • Christianity Made in Japan (15)
  • Christopher Irsherwood (4)
  • Christopher Isherwood (9)
  • Claude Swanson (10)
  • compassion (44)
  • Confucianism (1)
  • contemplative (102)
  • Contemplative Practices (21)
  • cooperative (1)
  • Courage to Teach (1)
  • Course in Miracles (14)
  • Creel H G (10)
  • critics (4)
  • cult (5)
  • Dalai Lama (38)
  • Damasio (26)
  • Daniel Keown (1)
  • Dao (129)
  • Daoism (62)
  • dark matter (4)
  • David Bohm (73)
  • David Karchere (7)
  • David R. Hawkins (16)
  • death (9)
  • Deep Ecology (85)
  • Deepak Chopra (4)
  • deepening (50)
  • Dhammapada (85)
  • Diarmuid O'Murchu (8)
  • DISCIPLINE (3)
  • divine design (13)
  • divine ground (42)
  • Divine Light (1)
  • Doctor Zhivago (8)
  • Doctrine of the Mean (14)
  • Dogen (109)
  • Donald W. McCormick (15)
  • Donna J. Haraway (12)
  • Dorothee Solle (7)
  • Dr Wayne W Dyer (4)
  • dying (1)
  • ecology (2)
  • Ehrenreich (25)
  • Einstein (50)
  • Elton Trueblood (7)
  • emdr (24)
  • Emerson (159)
  • Émile Zola (1)
  • Emissaries (25)
  • Emissaries of Divine Light (2)
  • emotion (1)
  • emotionalism (1)
  • energy (1)
  • Engaged Buddhism (86)
  • Enneagram (11)
  • Enomiya-Lassalle (8)
  • Erwin Schrodinger (9)
  • Eternal Promise (1)
  • Ethics for the new millennium (12)
  • existential Jesus (5)
  • faith (50)
  • Feminism (1)
  • Fenelon (3)
  • fingarette (8)
  • Fiona Gardner (15)
  • Fit (2)
  • Forgiveness (1)
  • Francis S Collins (6)
  • Fusus Al-Hikam (1)
  • Gandhi (29)
  • gardening (1)
  • Garfield (12)
  • Garma Chang (13)
  • Gloriavale (3)
  • God (5)
  • Goddess (1)
  • Goddesses (2)
  • Great Courses (93)
  • Great World Religions (1)
  • Gretchen Rubin (5)
  • Grundtvig (61)
  • Grundtvig2 (3)
  • Gut (2)
  • gut microbiome (23)
  • Hakuin (3)
  • Hans-Georg Moeller (14)
  • happiness chemicals (1)
  • Hari Prasad Shastri (3)
  • Head & Heart Together (311)
  • Headspace (1)
  • healing (2)
  • Healing Touch (2)
  • Health (1)
  • Heinrich (9)
  • Henri Nouwen (22)
  • Heup-young Kim (2)
  • Hew Len (4)
  • Hindu (12)
  • Hinduism (69)
  •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Tillich (14)
  • Ho’oponopono (4)
  • Hoʻoponopono (11)
  • holy indifference (42)
  • holy spirit (99)
  • Homosexuality (8)
  • how to know god (2)
  • Huayen (102)
  • Humor (5)
  • Huston Smith (86)
  • Huxley (1)
  • Hwa Yen (101)
  • Hwa Yen Buddhism (101)
  • Hwayen (102)
  • Hyun Ju Kim (1)
  • Ibn Al-Arabi (2)
  • Ibn Arabi (133)
  • Identity (1)
  • Ikeda (7)
  • ikigai (32)
  • Ilchi (61)
  • Ilia Delio (11)
  • India (17)
  • Indian (16)
  • Indian Cultural History (4)
  • Indian materialism (2)
  • Indian philosophy (81)
  • Indian philosopy (1)
  • indifference (99)
  • indigeneous (4)
  • Inner light (1)
  • Integral theory (11)
  • integrative (2)
  • Integrative Medicine (2)
  • Interbeing (53)
  • interspirituality (4)
  • Intro 해설 (2)
  • Ishida Baigan (1)
  • Ishvara (1)
  • Islam (421)
  • Israel (1)
  • J Quaker (3)
  • Japan Quaker (50)
  • Japanese Buddhism (3)
  • Japanese philosophy (72)
  • Jean Améry (7)
  • Jesus (1)
  • Johan Galtung (6)
  • John B Cobb Jr (24)
  • John Carroll (5)
  • John Howard Yoder (2)
  • John Lennon (24)
  • John Lie (1)
  • John O'Donohue (7)
  • John Woolman (19)
  • Joseph Goldstein (1)
  • K. M. Sen (2)
  • Kabat-Zinn (93)
  • Kamiya Mieko (9)
  • Kang-nam Oh (50)
  • Karen Armstrong (37)
  • Karl Rahner (50)
  • Karma (17)
  • Kelly [Book] (1)
  • ken wilber (26)
  • Kenneth Boulding (50)
  • Ki (2)
  • Kohei Saito (8)
  • Komjathy (7)
  • Komjathy. Daoist Tradition (17)
  • Korea (1)
  • Korea Quaker (126)
  • Korean Buddhism (11)
  • kukai (45)
  • leading (2)
  • Lecture Mystic Traditions (12)
  • Leonard Swidler (10)
  • Lessons In Truth (12)
  • Lessons In Truth Book (13)
  • Life force (10)
  • LIght (1)
  • lokāyata (4)
  • Losing Ourselves (2)
  • Lotus Sutra (28)
  • Louis Massignon (7)
  • Luke Timothy Johnson (21)
  • M. Scott (1)
  • Marcus J Borg (10)
  • Marie De Hennezel (7)
  • Marina Schwimmer (4)
  • Mark Mullins (18)
  • Mark W. Muesse (1)
  • Mary Baker (12)
  • Mary Baker Eddy (39)
  • Mary Magdalene (7)
  • materialism (2)
  • Matt Haig (3)
  • Matthieu Ricard (18)
  • Meaning (1)
  • Meaning of Life (13)
  • Medicine (2)
  • Meditation (1)
  • Meeting for Learning (26)
  • Meister Eckhart (60)
  • Mennonite (91)
  • Merton (1)
  • meta religion (3)
  • Michael Talbot (6)
  • Mieko Kamiya (4)
  • mindbody (11)
  • mindfulness (542)
  • mindfulness* (7)
  • Moana (3)
  • Mondragon (1)
  • Montgomery (5)
  • Moral action (1)
  • Mu Soeng (5)
  • Muhammad (1)
  • Mukunda Rao (11)
  • mystical (1)
  • mysticism (4)
  • Nagarjuna (4)
  • Naikan (31)
  • namarupa명색 (2)
  • name of the rose (6)
  • Namgok Lee (101)
  • Namgok Lee 이남곡 (22)
  • Namgok Leem (50)
  • Nana Veary (3)
  • Nei Gong (33)
  • Neil MacGregor (1)
  • New Thought (81)
  • Nietzsche (2)
  • Nishida Kitaro (1)
  • NK (68)
  • Noah (4)
  • Noble Strategy (51)
  • Non-Believer (1)
  • Non-Duality (1)
  • non-theism (1)
  • Non-violence (1)
  • nontheism (1)
  • nontheism nontheistic (57)
  • Nontheist Quakers (59)
  • nontheistic (1)
  • nuclear power (100)
  • Nyaya (1)
  • Os Cresson (17)
  • Osho (10)
  •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10)
  • Panentheism (1)
  • Panikkar (5)
  • Pankaj Mishra (4)
  • Paramahansa Yogananda (5)
  • Parker Palmer (60)
  • Parkere Palmer selection (14)
  • Patanjali (14)
  • Peace (14)
  • peace studies (5)
  • People of the Lie (2)
  • perennial (118)
  • perennial phil (1)
  • Perennial Philosophy (1)
  • Perennial Philosophy Bk (33)
  • PerennialSufi (19)
  • Phenomenon of Man (10)
  • Phil Gulley (17)
  • Philip Sheldrake (6)
  • Philo Kalia (1)
  • Philo Kalia 심광섭 (32)
  • Pierre Claverie (5)
  • pilgram (198)
  • Pilgrimages in Japan (1)
  • plague virus pendemic (15)
  • Pleiadian (15)
  • pneuma (48)
  • Prabhavananda (8)
  • prayer (1)
  • psyche (149)
  • qi (1)
  • Qigong (96)
  • Quaker (33)
  • Quaker Australia (1)
  • Quaker indigenous (1)
  • Quaker missionary (1)
  • Quaker retreat (133)
  • Quaker retreat projects (36)
  • Quaker studies (5)
  • Quaker Sufi (35)
  • Quaker universalism (29)
  • Quakerism (64)
  • Quakersufi (2)
  • Quantum mysticism (12)
  • Qui Gong (33)
  • Radhakrishnan (2)
  • Ramakrishna (4)
  • Real Zen for Real Life (13)
  • Rebellion (1)
  • reiki (32)
  • Reincarnation (52)
  • religion (4)
  • Religions of the Axial Age (2)
  • René Girard (1)
  • Rene Guenon (16)
  • Rex Ambler (1)
  • Riane Eisler (4)
  • Richard Rohr (39)
  • Richard Smoley (7)
  • Rick Hanson (1)
  • Rinpoche (55)
  • Road less travelled (7)
  • Robert E. Buswell (13)
  • Robert Powell (10)
  • Robert Wright (42)
  • Rodney Stark (2)
  • Roger Scruton (20)
  • Romain Rolland (6)
  • Rumi (159)
  • SA (2)
  • sabda (2)
  • Śabda Brahman (1)
  • Sacred Texts (9)
  • Sallie B. King (52)
  • Samkhya (6)
  • Samsara (4)
  • Sankara (10)
  • Satish Kumar (15)
  • scandal (3)
  • Schleiermacher (7)
  • Schweitzer (8)
  • science spirituality (125)
  • Scott Jeffrey (7)
  • Scott Peck (44)
  • sefirot (8)
  • SGI (41)
  • shade (1)
  • Shankara (10)
  • Shanti Sadan (1)
  • Sheeran (7)
  • Shingon (51)
  • Shingon Buddhism (1)
  • Shinji Takahashi (8)
  • Shinto (12)
  • Shoko Yoneyama (4)
  • Shri Shankara (1)
  • shusaku endo (18)
  • Soil (5)
  • Song of God (9)
  • Spinoza (147)
  • spirit (1)
  • spirit possession (1)
  • spiritual gift (5)
  • spiritual practice (100)
  • Spirituality (213)
  • SQ 21 (2)
  • Starseeds (6)
  • Stefan Zweig (59)
  • Stephen Batchelor (48)
  • Stephen Cope (4)
  • Stephen Mitchell (1)
  • Steve Smith (5)
  • Steve Taylor (55)
  • Steven Katz. (1)
  • Subhash C. Kashyap (1)
  • Sue Hamilton (3)
  • Sufism (334)
  • Sufism and Taoism (4)
  • Sufism Intro (24)
  • Sumanasara (9)
  • Sun Myung Moon (45)
  • Swami Bhaskarananda (2)
  • Swami Mukundananda (1)
  • Swami Rama (9)
  • Swami Tadatmananda (6)
  • Swami Vivekananda (14)
  • Swedenborg (3)
  • Tae-Chang Kim (4)
  • Taechang Kim (36)
  • Tagore (32)
  • Tai Chi (2)
  • Taichi (1)
  • Tajalli (3)
  • Tao (3)
  • Tao Te Ching translation (12)
  • Taoism (148)
  • Taoism_Intro (15)
  • Teilhard de Chardin (32)
  • Tenzin Palmo (7)
  • Testament of Devotion (9)
  • Testment of Devotion (1)
  • Ṭhānissaro (13)
  • The "Philosophy of the Daodejing" (2)
  • The Body Keeps (2)
  • The Chosen TV drama (10)
  • The Courage to Teach (7)
  • The Meaning of Life (1)
  • The Razor's Edge (9)
  • The Road Less Traveled (2)
  • The Springs of Contemplation (1)
  • The Unity of Being (16)
  • The Way of Chuang Tzu (1)
  • The Yoga Sūtras of Patañjali (7)
  • Thich Nhat Hanh (210)
  • third Jesus (1)
  • Thomas Berry (20)
  • Thomas Kelly (1)
  • Thomas Mann (2)
  • Thomas Merton (160)
  • Thomas Moore (9)
  • Thomas R. Kelly (126)
  • Thomas Raymond Kelly (1)
  • Thomas Sowell (6)
  • Thoreau (100)
  • Tibet (1)
  • Timothy Morton (30)
  • Tolstoy (43)
  • Toshihiko Izutsu (113)
  • Toshihiko Izutsu Sufism And Taoism (50)
  • transcendentalism (63)
  • Transpersonal (61)
  • trauma (104)
  • Tuesdays with Morrie (6)
  • Tulshuk Lingpa (4)
  • U. G. Krishnamurti (19)
  • Uddalaka (3)
  • Umberto Eco (6)
  • unconscious (1)
  • unification (1)
  • unitarian (3)
  • unitive knowledge of God (64)
  • Unity (2)
  • Unity Church (2)
  • universalism (1)
  • upanishads (7)
  • Ursula K. Le Guin (1)
  • Val Plumwood (9)
  • Ved Mehta (10)
  • Vedanta (22)
  • Vicki Mackenzie (1)
  • Vipassanā (36)
  • Vivekananda Biography (4)
  • Volunteer (23)
  • volunteer (240)
  • Waḥdat al-wujūd (19)
  • Wahiduddin (5)
  • Wakamatsu Eisuke (1)
  • Wayne Teasdale (4)
  • Welch Jr. (50)
  • Well (1)
  • Western Sufism (2)
  • When Nietzsche Wept (7)
  • Wherever You Go (1)
  • Wild God (2)
  • Will Durant (8)
  • Witness Lee (7)
  • Yalom (26)
  • Yamaga Sokō (1)
  • Yasuo Yuasa (20)
  • Yijing (1)
  • Yoga (93)
  • Yoga sutra (9)
  • Yoga Sutras of Patanjali (9)
  • Yuval Noah Harari (2)
  • zen (1)
  • Zen Buddhism (1)
  • Zhuangzi (5)
  • 가미야 미에코 (11)
  • 강민창 (2)
  • 강상중 (3)
  • 강유원 (1)
  • 개벽의 사상사 (1)
  • 격물궁리 (33)
  • 경의 敬義 (1)
  • 고인수 (3)
  • 공 空 (100)
  • 공 空 sunyata (12)
  • 공공철학 (78)
  • 공해 (42)
  • 관념론 (43)
  • 관음 (62)
  • 교토학파 (45)
  • 구카이 (15)
  • 국선도 (54)
  • 권근 (1)
  • 귀신사생론 (1)
  • 그룬트비 (61)
  • 근친상간 incest (3)
  • 기공 호흡법 (5)
  • 기세춘 (14)
  • 기수련 (66)
  • 기철학 (10)
  • 기측체의 (1)
  • 기치료 (41)
  • 기학 (2)
  • 길희성 (9)
  • 김동춘 (12)
  • 김복기 (1)
  • 김상일 (33)
  • 김상준 (3)
  • 김성갑 (5)
  • 김성례 (11)
  • 김성수 (45)
  • 김승혜 (17)
  • 김시천 (35)
  • 김연숙 (3)
  • 김영민 (12)
  • 김용옥 (13)
  • 김용환 (44)
  • 김정현 (3)
  • 김조년 (62)
  • 김종건 (3)
  • 김지하 (100)
  • 김태영 (2)
  • 김태완 (3)
  • 김태창 (118)
  • 김태창 일기 (14)
  • 깊은 강 (7)
  • 깊은강 (2)
  • 깨달음 (148)
  • 나우웬 (5)
  • 남명 조식 (7)
  • 내관법 (10)
  • 노길명 (10)
  • 노자 (100)
  • 농업 (44)
  • 니시타니 케이지 (1)
  • 니체 (4)
  • 다다 마헤슈와라난다 (1)
  • 다산 (1)
  • 다카하시 신지 (30)
  • 단군 (2)
  • 단월드 (71)
  • 단학 (3)
  • 달라이 라마 (2)
  • 대장암 Bowel cancer (6)
  • 대종경 (1)
  • 대행스님 (6)
  • 데이비드 호킨스 (16)
  • 덴마크 (62)
  • 도덕경 (317)
  • 도마복음 (1)
  • 도법 (181)
  • 도법2 (5)
  • 도사카 준 (4)
  • 도승자 (2)
  • 도영인 (2)
  • 동경대전 (1)
  • 동양포럼 (46)
  • 동학 (2)
  • 들뢰즈 (4)
  • 러시아적 (3)
  • 로고스 (92)
  • 로카야타 (2)
  • 류경희 (9)
  • 마고 (1)
  • 마성 (8)
  • 마스노 슌묘 (6)
  • 마음공부 (124)
  • 마이스터 엑카르트 (13)
  • 만달라 (85)
  • 만달라 만다라 mandala (67)
  • 메이지의 그늘 (5)
  • 명리학 (1)
  • 명상 (787)
  • 모리시타 나오키 (4)
  • 모리오카 마사히로 (11)
  • 목민심서 (1)
  • 몸은 기억한다 (18)
  • 몸은 안다 (13)
  • 몽골생태영성순례 (5)
  • 무교 (1)
  • 무당 (133)
  • 무묘앙 (26)
  • 문선명 (66)
  • 문선명 사상 (1)
  • 문선명 통일교 (108)
  • 문수신앙 (5)
  • 문화영 (33)
  • 미생물 (103)
  • 밀의 종교 (1)
  • 밀의종교 (1)
  • 바가바드 기타 (44)
  • 박규태 (1)
  • 박길수 (1)
  • 박미라 (5)
  • 박보희 (11)
  • 박석 (36)
  • 박석 인문학 (1)
  • 박성수; 연오랑 (1)
  • 박성준 (23)
  • 박영재 (6)
  • 박재찬 (6)
  • 박정미 (4)
  • 박진여 (13)
  • 반성과 행복 (1)
  • 백낙청-박맹수-김용옥 (6)
  • 백승종 (18)
  • 버스웰 (2)
  • 벌레 이야기 (1)
  • 법구경 (33)
  • 법륜 (48)
  • 법화경 (21)
  • 베단타 (3)
  • 보은 (1)
  • 보현TV (3)
  • 부도지 (1)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4)
  • 북한 (68)
  • 북한농업 (44)
  • 북한지리 (5)
  • 불광선인(佛光仙人) (1)
  • 불교 (2)
  • 불교와 기독교 (1)
  • 불필스님 (1)
  •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6)
  • 빌게이츠 (5)
  • 빙의 (1)
  • 산수화(山水畵) (4)
  • 산자야 (5)
  • 삼국유사 (1)
  • 삼족오 (21)
  • 상카라 (10)
  • 상키야 (6)
  • 생명 (1)
  • 생명농업 (5)
  • 샤만 (1)
  • 샤먼 (1)
  • 샹카라 (10)
  • 서경덕 (19)
  • 서정록 (14)
  • 선과 그리스도교 (2)
  • 선도 (6)
  • 선도체험기 (2)
  • 선도회(禪道會) (3)
  • 선옥균 (2)
  • 선옥균 악옥균 (6)
  • 성덕도 (21)
  • 성령 (150)
  • 성리학 (1)
  • 성학십도 (1)
  • 세피로트 sefirot (15)
  • 소노 아야코 (4)
  • 소태산 (148)
  • 소학 (60)
  • 송규 (7)
  • 송기득 (1)
  • 송정산 (6)
  • 송천성 (6)
  • 수련문화 (24)
  • 수선재 (20)
  • 수피즘 (118)
  • 수행 (101)
  • 숭산 (21)
  • 슈테판 츠바이크 (34)
  • 스콧 펙 (35)
  • 스티브 테일러 (8)
  • 스피노자 (3)
  • 신기통 (5)
  • 신내림 (25)
  • 신라불교 (1)
  • 신비 종교 (1)
  • 신비주의 종교 (1)
  • 신선사상 (1)
  • 신은희 (4)
  • 심광섭 (32)
  • 심광섭 신비주의 (4)
  • 심상 (40)
  • 심중식 (9)
  • 아나밥티스트 (42)
  • 아비달마 (50)
  • 아비담마 (100)
  • 아지타 (3)
  • 아직도 가야 할 길 (14)
  • 아카마쓰 아키히코 (1)
  • 야규 마코토 (66)
  • 야기 세이이치 (1)
  • 야마기시 (12)
  • 야마기시즘 (19)
  • 양명학 (47)
  • 양생도인법 (1)
  • 어윤형 (2)
  • 에노미야 라쌀 (8)
  • 엔도 슈사쿠 (37)
  • 역경 (11)
  • 연오랑 (1)
  • 영성 (1)
  • 영성 신학 (2)
  • 영혼의 탈식민지화 (16)
  • 예술신학 (1)
  • 오강남 (71)
  • 오구라 기조 (28)
  • 오대산 (5)
  • 오비츠 료이치 (4)
  • 오카다 다카시 (8)
  • 오카다 타카시 (11)
  • 와카마쓰 에이스케 (2)
  • 와카마츠 에이스케 (2)
  • 외경 畏敬 (2)
  • 요가 (1)
  • 우리는 누구인가 (13)
  • 웃다라카 (3)
  • 원불교 (239)
  • 원자력 (42)
  • 원전 (79)
  • 원주민 영성 (2)
  • 원톄쥔 (7)
  • 원효 (254)
  • 위안부 (124)
  • 유교페미니즘 (1)
  • 유동식 (72)
  • 유사역사학 (7)
  • 유사종교 (30)
  • 유상용 (15)
  • 유지 크리슈나무르티 (22)
  • 윤정현 (13)
  • 윤홍식 (1)
  • 윤회 (67)
  • 율려 (1)
  • 은혜철학 (9)
  • 의식과 본질 (14)
  • 의식의 단계 (149)
  • 의식의 지도 (3)
  • 이기상 (28)
  • 이나모리 가즈오 (5)
  • 이나모리 카즈오 (6)
  • 이남곡 (52)
  • 이대섭 (2)
  • 이도흠 (20)
  • 이만열 (1)
  • 이명권 (5)
  • 이병철 (86)
  • 이부영 (21)
  • 이븐 아라비 (1)
  • 이슈바라 (1)
  • 이승헌 (102)
  • 이시다 바이간 (1)
  • 이시형 (8)
  • 이신(李信) (7)
  • 이은선 (43)
  • 이인우 (4)
  • 이정배 (65)
  • 이정우 (7)
  • 이종만 포럼 (6)
  • 이종철 (3)
  • 이종희 (11)
  • 이즈쓰 도시히코 (98)
  • 이즈쓰 토시히코 (1)
  • 이찬수 (111)
  • 이청준 (1)
  • 이케다 (20)
  • 이키가이 (32)
  • 이해인 (28)
  • 이행우 (17)
  • 이현주 (38)
  • 이황 (12)
  • 인도철학 (50)
  • 인류세 (57)
  • 인중무과론 (1)
  • 인중유과론 (1)
  • 일리아 델리오 (11)
  • 일본 이데올로기론 (4)
  • 일본 주자학 (1)
  • 일본 철학 (1)
  • 일본불교 (5)
  • 일본인식 (1)
  • 일본적 영성 (16)
  • 일본종교 (1)
  • 일본철학 (10)
  • 일지 (39)
  • 잃어버린 초월 (1)
  • 임건순 (10)
  • 임상 종교사 (20)
  • 임천고치(林泉高致) (7)
  • 입학도설 (1)
  • 자천의학 (5)
  • 장 아메리 (7)
  • 장내미생물군 (23)
  • 장자 (364)
  • 장태원 (2)
  • 장회익 (1)
  • 재산 (1)
  • 적의 계보학 (14)
  • 전생 (21)
  • 전창선 (2)
  • 정경희 (3)
  • 정리 (6)
  • 정산종사 (1)
  • 정세윤 Sea-Yun Pius Joung (6)
  • 정약용 (3)
  • 정웅기 (5)
  • 정창용 (2)
  • 정채현 (1)
  • 정호진 (5)
  • 조선사상사 (11)
  • 조성택 (30)
  • 조성환 (121)
  • 종교간 대화 (5)
  • 주역 역경 I Ching (122)
  • 주요섭 (18)
  • 죽음 (31)
  • 죽음 공부 (9)
  • 중용 (14)
  • 지구유학 (1)
  •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1)
  • 지성수 (9)
  • 진언종 (51)
  • 창가학회 (45)
  • 천부경 (101)
  • 천지인 (1)
  • 천황가 (2)
  • 초기불교 (77)
  • 최민자 (29)
  • 최재목 (16)
  • 최준식 (68)
  • 최진석 (11)
  • 최한기 (82)
  • 최현민 (32)
  • 출가의 공덕 (4)
  • 츠시모토 소군 (5)
  • 침구 (48)
  • 침구학 (14)
  • 카르마 (16)
  • 카마다 토지 (9)
  • 카미야 미에코 (10)
  • 칼 라너 (2)
  • 켄 윌버 (19)
  • 쿠바 (3)
  • 퀘이커 (197)
  • 큐바농업 (17)
  • 크리슈나무르티 (1)
  • 크릴 (8)
  • 타오 (1)
  • 탈원전 (8)
  • 태허설 (1)
  • 텅비움 (2)
  • 통불교 (11)
  • 통일교 (77)
  • 퇴계 (1)
  • 투리야 turiya (5)
  • 트라우마 (116)
  • 파커 파머 (6)
  • 팔정도 (31)
  • 폴 틸리히 (34)
  • 풍류신학 (10)
  • 플럼우드 (1)
  •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1)
  • 하늘철학 (1)
  • 하인리히 (5)
  • 한국 메노나이트 (42)
  • 한국 퀘이커 (105)
  • 한국선도 (4)
  • 한국철학 (1)
  • 한국퀘이커 (116)
  • 한스-게오르크 묄러 (1)
  • 한윤정 (99)
  • 한자경 (21)
  • 함석헌학회 (1)
  • 허우성 (26)
  • 허호익 (40)
  • 혜강 (1)
  • 호모 쿠란스 (5)
  • 홍대선 (2)
  • 홍신자 (7)
  • 홍인식 (9)
  • 화엄 (102)
  • 화엄 華嚴 (102)
  • 화쟁 (10)
  • 화쟁2 (1)
  • 화쟁기호학 (1)
  • 환단고기 (37)
  • 훈육 (3)
  • アルボムッレ・スマナサーラ (15)
  • グルントヴィ (40)
  • フーゴ・ラッサール (8)
  • 不倫 (8)
  • 井筒俊彦 (87)
  • 対本宗訓 (5)
  • 希修 (150)
  • 幻(환) (2)
  • 惠崗 (1)
  • 日本思想 (1)
  • 柳生真 (1)
  • 森岡 正博 (12)
  • 湯浅 泰雄 (1)
  • 神谷美恵子 (16)
  • 空海 (41)
  • 聖德道 (19)
  • 若松 英輔 (24)
  • 訓育 (3)
  • 高橋信次 (9)

About Me

My photo
Sejin
View my complete profile

Translate

Simple theme. Theme images by luoman.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