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22

Amazon.com: The Tao of the West: Western Tranformations of Taoist Thought: Clarke, J.J

Amazon.com: The Tao of the West: Western Tranformations of Taoist Thought eBook: Clarke, J.J.: Kindle Store

The Tao of the West: Western Tranformations of Taoist Thought 1st Edition, Kindle Edition
by J.J. Clarke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4.4 out of 5 stars    4 ratings

Kindle
from $35.76
Hardcover
$72.87 - $105.40
Paperback
$19.89
---------------

Editorial Reviews
Review
'John brings a wealth of knowledge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to bear, which enriches the reader's perspective.' - David Lorimer 
---
About the Author
J.J Clarke has taught philosophy at McGill University, Montreal, and at the University of Singapore, and is currently Reader in History of Ideas at Kingston University, UK. 
He is the author of 
In Search of Jung, Jung and Eastern Thought, and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 
all published by Routledge. --This text refers to the paperback edition.

Product details
File Size: 613 KB
Print Length: 288 pages

Publisher: Routledge; 1 edition (January 4, 2002)
Publication Date: January 4, 2002
Language: English

X-Ray:
Not Enabled
Word Wise: Enabled
Lending: Not Enabled
Enhanced Typesetting: Enabled

Customer reviews
4.4 out of 5 stars
4.4 out of 5
4 customer ratings
5 star 
 68%


Top Reviews
Top Reviews


5.0 out of 5 stars Reorienting with the dao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25, 2011
Verified Purchase
Daoism has been presented in the West in so many ways: from the mythologic/folkloric (see esp. EJ Girardot) to the philosophic (esp. Chad Hansen) to practices such as Tai Chi and Chinese medicine (see your Yellow Pages). This book is a wide ranging exploration of how Daoism may stimulate meanings and perspectives in science, ethics, spirituality, politics, the arts, philosophy and health.

Clarke's book allows the Western reader to better contact Daoism by an awareness of the contexts in which we read and experience Daoist texts and practices. He shows how we may misinterpret, misapply, sometimes just miss what the Daoist tradition offers because of assumptions and perceptions from Western history and theory, as well as differences in language. His aim is not so much to correct distortions as to appreciate cultural and philosophic differences as essential to scholarly and personal experience and meaning. He hopes that we encounter Daoism (or any Other we may want to understand) through a continuing dialogue "in which meaning is a func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He doesn't advocate a better Eastern Way for the West. What I believe he'd anticipate from the interaction is the kind of spontaneous and unpredictable re-constituting effects upon each of the traditions as has been observed from the vantage of chaos theory and the Daoist hun dun.

Clarke questions the "ism" of Daoism. He persuasively argues it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e Western tradition of wars or antagonisms among religious sects or doctrines, that it fluidly interacted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China.

Among facets of Daoism explored by Clarke, I note:

-Science and the natural world: "In process philosophy, a way of thinking chiefly associated with A.N. Whitehead, emphasis is placed on universal flux and on the idea of an open, creative universe in which order is seen as `emergent', arising out of the mutual adjustment of natural processes within a synergistic whole, an `aesthetic' rather than a `logical' or `transcendent' order, as some have termed it. ... Nature, in this Daoist/Whiteheadian view is therefore `an inexhaustible field of creative potential.' ... As with Chinese thought in general, it is concerned primarily with placing human life firmly within the wider domain of nature and cosmos, and `seeks to recapture a sense of the cosmic context of human life--that man's well-being is primarily related to and defined by nature even while he lives within the cultural order'." (p. 66)

-Politics: What I find really cool is not just Daoism's "robust individualism, its anarchist radicalism, and its decentralist, anti-statist tendencies," but especially how "the privileging of non-violent activities and attitudes in Daoist traditions is not based on a high estimation of the virtues of meekness and humility, but rather on a belief that violence is a form of weakness, not of strength ..." (p. 110)

-Spirituality: This realm has been divided in the West from materialism, which contrasts with Daoism in fascinating ways: "... we tend to overlook the fact that in Daoism there is a general indeterminacy in the ordering of events; and we fail to appreciate that the interdependence of things requires no externally initiated cosmic source, no Leibnizian pre-established harmony but a harmony which arises spontaneously. ...[F]or the Daoist, the spiritual quest is one which seeks not to go beyond the particularity of things to their ultimate source, but rather to discover unity with the dao within that very particularity, within the flux and flow of existence itself." (pp. 161-2)

-Acceptance of the body: Contrasting the body's renunciation in much of the Buddhist and Christian traditions, Daoism places the body at the center of it all.

The book is accessible to the non-academic, but familiarity with 20th century currents in Western philosophy is almost necessary for parts of it. Though a scholar may find some historical or philosophical flaw, or someone may disagree over some of Clarke's explorations (e.g., of parallels in postmodernism), the benefits of his work shouldn't be missed. After more than a decade, the book still points to the potential of Daoism to catalyze creativity, meaning and ethics. Lest you think it's about archaic texts and art, see the art of Haegue Yang, whose current exhibition in Aspen (Haegue Yang) draws from Daoism. Her work is just the kind of unpredictable and inspired interaction Clarke would hope for.
Read more
7 people found this helpful
----
Ernest Yanarella
5.0 out of 5 stars Taoism a la America and the Wes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11, 2020
Verified Purchase
An outstanding and nuanced book by a interdisciplinary scholar grounded in a subtle understanding of Daoism and the problems and possibilities of the Westernization and Americajzaion of this theophilosophy.
----
Kevin Blachford
3.0 out of 5 stars An unfinished journey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28, 2009
Verified Purchase
I have been reading Tao since 1958 and have read Chinese history. A history and critique of Tao as presented in Western contexts is well overdue and Clarke's contribution is a welcome start. As a start, he deserves the credit and sympathies accorded trailblazers but progress toward better work depends on the feedback from others. The 25- page bibliography is useful, even though there are many others that are longer, better, and focused only on philosophical Taoism.

Clarke points out that French scholars were the first to take a serious scholarly interest in Taoism but it was not until 1870 that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CT appeared (in German). An English translation did not appear until 1881. Western history has a pattern of such alternating valuations and denigrations of Taoism. All such positions tend not to be attempts to understand Taoism in its own terms; all tend to be attempts to interpret Taoism or to read Taoism selectively in order to relate it to Western philosophy and/or religion and/or science. There is no basis in Tao for such dichotomies, and Clarke, despite his intentions, does not avoid dualisms.

Many Western writers try to show that the Taoist classics contain theories about topics considered important in Western philosophy and psychology. Some writers have been guilty of the most outrageous transl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philosophical Taoist works, attempting to reduce Tao, for example, to the fundamentalist Christian God and philosophical Taoism to the other absurdities of conventional Christianity or of theism generally. The ambition of the Jesuit Matteo Ricci, the first to bring Taoism (but only the TTC) to Europe, was, of course, the advancement of Roman Catholicism in China through Confucianism. James Legge (1861), the pioneer translator, was a Protestant missionary. J.C.H. Wu (1963) translates and describes Tao in Christian terms, completely misunderstanding and distorting the Chuang Tzu. Blakney (1955) and Osho (2002) use the word `God' liberally in their distorted works on Tao. Lin Yutang (1948) distorts Tao badly in order to relate to Christianity. Some writers falsely translate Tao as `Heaven'. It is a persistent Western misunderstanding to talk about Taoism as a religious belief system with followers as in Christianity. The fact is that there are no churches to Tao, and many who accept philosophical Taoism are also atheists, agnostics, Buddhists or members of one or more other non-theistic religions. Until the modern era, the Chinese language did not even have a word for `religion.' There are some who reject or denigrate Taoism and for a variety of reasons that generally reflect Western or Christian assumptions, thus `Taoism is bad because it is not Christianity'. There are some who accept Taoism for the same reasons, thus `Taoism is so similar to Christianity that it is good.' There are others who argue from the perception of Western deficiencies or the projection of Western needs on to Taoism, e.g. `The West is sick and Tao is the corrective'. Some have misinterpreted the Taoist classics in other most ridiculous ways, e. g. Creel (1953), Hansen (1983), Knaul (1985), and, to some extent, Wing-sit Chan (1967) portray Chuang Tzu as a relativist and some, e.g. A. Cua, the later works of A. Graham (1983, 1969-1970), and D. Wong (1984) portray the master as a `soft relativist'. In my view, such critics do not understand the total text (Allinson 1989:112-115). The list of the distorters and their distortions would fill a very large book.

Despite Clarke, there is no a priori justification for his rejection of Tao as potentially of universal applicability or relevance rather than just another philosophy (as is the obsessively relativist position of postmodernism). Apart from the bias of Western scholars, the ancient language of the text, textual ambiguity, and the complexity of the ideas make an understanding of the Taoist classics difficult. Paul Carus (1898) saw Taoism as a model of religious universalism and toleration. Joseph Needham (1952-1974), despite his Anglican religion, emphasized the basic incompatibility of Taoism and theism and argued that the basic anti-transcendental empirical, holistic, organicist mysticism of Taoism fostere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 development that failed to mature in China for socio-economic, rather than philosophical reasons. At the same time, Taoism did not offer a mechanist view of the world and, in Newtonian days, would have been regarded as false, misleading, romantic or fanciful. With the advent of quantum mechanics and studies of ecology, Taoism gained favour (e.g. Capra, 1974) in the West but it is, of course, silly to claim that the ancient Taoists knew implicitly what quantum scientists have discovered and proven.

The major weakness of Clarke's work is that he assumes and defends the dichotomies of organicism- mechanism, Enlightenment-Romanticism, and the like (e.g. see p. 193). He attacks Postmodernism for tending to lead to a view of the world as inherently banal and aimless that leads to despair rather than to wisdom. Chad Hansen, for example, approaches Taoism via differential approaches to discourse. His Taoism is `useful' in the critique of Western philosophy and is resonant with modern linguistic philosophy, but what does linguistic philosophy have to do with personal or spiritual development... especially when the Taoist classics specifically make the point that the Tao is not to be found or communicated exactly in words? And yet Clarke remains committed to Postmodernism and seeks to use Taoism in his language games about the alleged crisis in Western philosophy. Fundamentally, he is ignorant of the absolute non-duality of Taoism. For all his expressed concern about the evils of projecting Western concepts on to the Other (e.g. Taoism), he is blind to any other possible perspectives. He simply fails to take a position when it comes to evaluating Taoism or the Taoism in relation to language, science, cosmology, morality, politics, and personal transformation. Lacking a coherent understanding of Taoism, he retreats and returns to postmodernism.

Clarke argues that the differentiation of philosophical Taoism from religious Taoism is difficult historically and culturally and that the distinction does not correspond exactly to the philosophy/religion distinction in the West. For my part, the argument is irrelevant; in a history and a culture of China, I would expect the philosophy and the religion to be interrelated in many different ways but to understand the Taoist classics, even in an elementary fashion, is to reject the so-called Taoist religion. Moreover, religion did not exist as a concept in China and the definition of religion is itself disputed in the West - my view is that the essence of religion is supernaturalism or theism. Thus, for example, Christianity, Islam and Judaism are religions while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re not. A particular virtue of Taoism is skepticism towards conventional morality though Westerners have accused Taoism variously of quietism, individualism, relativism, and amoralism, all notions that I believe to be unsustainable by a thorough reading of the classics. Indeed, Clarke's conclusions (e.g. 196-197) are so bizarre as to have me conclude that he has his own biased reading of the Taoist classics. He is determined to `play games' with Taoism, determined to see it as a counter to Western narcissism, determined to see Taoism simply as an evaluation of Eurocentrism, Enlightenment thinking, technology, and Western orthodoxy generally. His categories of consideration remain `East' and `West', `multiculturalism' or `respect for diversity', even relativism. He eschews a universal global perspective and favours divergence and the anachronistic idea of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different beliefs and different ways of life (Let the poor remain poor for that is their way of life!) Clarke is not rational in shunning a critical, universalistic perspective; his final statement is nothing short of postmodern stupidity: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where the influence of positivism meant that traditional religious systems from remote parts of the globe could conveniently be ignored, Daoism had little place. But in recent years the pendulum has swu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our times are marked by a retreat from the certainties sought by positivists, and a compensating emphasis in science, philosophy and literature on unpredictability, disorder, incommensurability and a suspicion of the truth-telling power of language. In the previous chapters, we have noted in various ways not only the importance of Chinese ideas in the emerging ecumenism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but the relevance of this intercultural discourse to contemporary philosophical interest in issues concerning self, truth and gender identity, and of course in general to postmodern critiques of the Western Enlightenment project. The impact of Asian thought has long been felt, if only marginally, in the West's struggle with the nihilistic mood that arose both out of and in reaction to modernism. Earlier, it was Hinduism and Buddhism that entered into this dialectic. Now it is the turn fo Daoism, with its robust sense of finitude and its romantic healing of oue relationship with the natural and the ordinary, to help find a way beyond nihilism without having recourse to narratives of transcendence." (Clarke 2000:208).

A sound history and evaluation of Taoism with respect to the West has yet to be written; the West, not to mention many Chinese scholars, have yet to understand Taoism, but I am buoyed by the progress that is being made in the journals.
Read less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
R. Griffiths
5.0 out of 5 stars An antidote to the Tao of Pets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27, 2000
An intriguing feature of modern western culture has been its readiness to play fast and loose with the elements of Chinese religion without really understanding or caring how they fit together. From yin-yang coffee tables to 'the Tao of Pets', this cultural appropriation is ubiquitous. J.J. Clarke has given us a timely and excellent discussion of the interface between Taoist and Western religion and philosophy, which should not to be confused with 'A Gathering of Cranes : Bringing the Tao to the West', to which it is vastly superior. Wha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about Clarke's work is its willingness to set the philosophy of Taoism firmly alongside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and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their meeting. He begins by quoting Nietszche: 'what is needed is... new philosophers', and goes on to suggest that some of this newness might in fact be provided by age-old Taoism. While this is an academic and scholarly work, its clarity and readibility is such that I would have no hesitation in recommending it to undergraduate students of religion, or indeed to the interested general reader. However, here is probably not the best place to begin an understanding of Taoism as such. For this I would recommend Martin Palmer's 'The Elements of Taoism' or Isabelle Robinet's 'Taoism, Growth of a Religion'.
2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
Comment Report abuse
See all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

Kang-nam Oh 등잔 밑이 어둡다 -우리 전통의 재발견

Kang-nam Oh  등잔 밑이 어둡다 -우리 전통의 재발견 


며칠 전에 <남의 밥의 콩이 굵다 = 나의 종교 남의 종교>라는 제목의 글에서 종교적 배타성을 경계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오늘은 그 연장선에서 서양종교를 절대시하는 우리의 일반적 경향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 싶습니다.
================
 독일 시성 괴테(Goethe)는 외국어를 모르는 사람은 자기 말도 모른다고 했다. 현대 종교학의 창시자라 여겨지는 맥스 뮐러(Max Müller, 1823-1900)는 이 말이 언어에 해당되는 것보다 종교 문제에 더 적절한 표현이라 보고 “하나의 종교만 아는 사람은 아무 종교도 모른다”고 선언했다.
 우리 중에는 종교나 철학의 문제라면 서양 사람들만 생각해 본 일이 있는 것으로 믿고 있는 이들이 더러 있다. 지금은 많이 바뀌었겠지만, 내가 한국에서 대학 다닐 때만 해도 철학개론 시간에 달레스가 어떻고, 소크라테스가 무슨 말을 했고, 칸트, 데카르트, 누구 누구 하다가 끝났다.
 그 후 철학을 논한다는 것은 의례 서양 철학을 들추는 것, 종교 철학을 이야기한다는 것도 그리스도교를 중심으로 하는 서양 종교사를 살피는 것쯤으로 생각했다. 지금 생각하면 얼굴이 붉어지는 이야기다.

 영국의 사상가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라는 사람은 1940년대 초반에 출판된 그의 책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에서 그 당시 동양 종교에 대한 자료가 충분히 번역되고 소개된 형편인데, 서양 사람들 중 ‘아직도 종교나 형이상학의 문제에 관한 한 유대인이나 그리스인이나 그리스도인들 이외에는 생각해 본 일이 없는 것처럼’ 착각하는 이들이 많은데, ‘오늘 같은 시대에 이런 무식은 전적으로 자의적이고 고의적이며, 불합리하고 창피스러운 일일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위험한 일이기도 하다’고 했다. ‘모든 형태의 제국주의와 같이 신학적 제국주의도 영원한 세계 평화에 위협이 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1960년대 70년대를 거치면서 서양 사람들 중에는 동양의 종교 사상에 심취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리스도교 정신의 진정한 의미를 재발견하는 기쁨을 맛보게 되었다. 그 대표적 예로 20세기 미국 종교사상가로 가장 영향력이 많았던 사람 중 하나인 토마스 머튼(Thomas Merton)을 들 수 있다. 그는 “서양이 동양의 정신적 유산을 낮게 평가하거나 등한시하기를 계속한다면 인류와 인류의 문명을 위해하는 비극을 자초하게 될지 모른다.”고 선언하고, 기독교 시작에 동방에서 선물을 받은 것처럼 지금 기독교에 필요한 것은 동방에서 오는 동양의 정신적 유산이라고 했다.

 동양인 자신들은 어떤가? 아니 우리 한국인들은 어떤가? 이제 우리는 우리의 정신적 유산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있는가? 슬프지만 선뜻 긍정적인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도 다행스러운 것은 요즘은 한류 붐에 따라 한국 정신이나 사상에 대해 새롭게 보는 시각이 움트는 것도 사실이지만 아직도 한국인들 중 많은 사람들은 마치 ‘빛은 서방에서’라는 것이 현대판 진리쯤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뭣이나 서양 것이라면 좋고 옳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데가 특히 한국 그리스도교의 경우다. 상당수 그리스도인들은 아직도 그리스도인이 된다고 하는 것이 전통적 동양의 종교 사상이나 철학을 배격하고 서양 역사에서 형성된 그리스도교 사상에만 충성하는 것쯤으로 믿고 있다.

 이런 이들 대부분은 그리스도교 신앙과 동양의 정신적 유산과는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빛과 어둠이 어찌 합하며, 그리스도와 벨리알이 어떻게 손을 잡으며, 진리와 거짓이 어이 어울릴 수 있느냐고 한다. 따라서 동양의 전통적 종교 사상에 대해 무지하면 할수록 더욱 충성된 그리스도의 종이 되는 것으로 믿는 경향이 있다. 혹시 동양 사상에 대해 듣거나 읽거나 인용하려면 오로지 그것을 반박하고 비웃기 위해서일 뿐이다.

 영국 역사가 아놀드 토인비(Arnold Toynbee)에 의하면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는 어차피 배타적인 종교들로서 자기들의 절대성을 주장하지 않고서는 속이 시원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교도 요즘 서양 신학자들 사이에서는 그런 절대적 배타주의에서 탈피해야만 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스도교에만 계시가 있고 다른 모든 종교들은 ‘거짓 종교’라고 주장하여 그리스도교 배타주의의 선봉장이던 칼 바르트(Karl Barth)가 죽고 그의 후계자로 들어선 하인리히 오트(Heinrich Ott) 교수마저도 오래전 캐나다를 방문했을 때, 에드먼튼 저널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인류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가치에 대해 열린 마음, 그리고 인간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가 있어야 하는데, 이 일은 모든 종교 전통들의 공헌을 감안하지 않고서는 이룰 수가 없다”고 공언했다.

 20세기 최고의 신학자로 꼽히는 폴 틸리히(Paul Tillich) 교수도 죽기 전, 시카고 대학교 세계 종교사학의 거장 머치아 일리아데(Mircea Eliade)와 세계 종교를 섭렵하고, 자기에게 시간적 여유가 있으면 세계 종교의 빛 아래서 새로운 조직신학 책을 써보고 싶다고 했다.

 서양 사람들이 동양의 정신적 유산에 대해 관심을 갖고 알아보겠다고 하는 판국에 우리는 어느 때까지 강 건너 불 바라보듯 보고 있어야 하는 것일까? 우리들에게 와서 우리의 전통적 종교 사상에 대해 물어오는 그들에게 본래 ‘등잔 밑이 어두운 법’이라는 진리만을 일깨워 주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유일한 의무일까?
------
이 문제에 대한 훌륭한 책으로 J. J. Clarke지음, 장세룡 옮김, <동양이 어떻게 서양을 계몽했는가>(Oriental Enlightenment) (우물이 있는 집, 2004)을 참조할 수 있다.  동양 사상이 서양에 미친 영향을 세심한 고증을 거쳐 상술한 책이다.
특히 한국 사상가로 최제우와  , 류영모와 함석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야 괴로움에서 자유롭다[특집 화엄사 화엄법회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Why I Stopped Talking About Racial Reconciliation and Started Talking About White Supremacy | Inheritance

Why I Stopped Talking About Racial Reconciliation and Started Talking About White Supremacy | Inheritance
By Erna Kim Hackett

Mar 25, 2020 | 8 min read
Part of 66: Can You Forgive Me?

361 Snaps

Recently, people have asked me, “Why isn’t talking about white privilege enough, why white supremacy?” There is an obvious discomfort with the term by white people. The one exception to that is when things like Charlottesville happen. When people march around with Nazi flags, most folks I know feel comfortable saying, “I’m not down with that.” Which is a pretty low bar, but OK. However, when the term white supremacy is used for anything less obvious than tiki torch-wielding, Nazi flag-waving people, lots of folks get uncomfortable. Most of my crowd was taught to use the terms “white privilege” and “racial reconciliation”. Here is why I no longer focus on them and instead teach on white supremacy.

When I first learned the term racial reconciliation in the early ‘90s, I found it very helpful and exciting. I was passionate about issues of race and justice, but I had never heard those things discussed in Christian circles. Suddenly, there was a biblical basis and communal energy toward this value. When I came on staff with a Christian campus ministry, I was taught that racial reconciliation consisted of a three-strand rope — ethnic 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ystemic injustice. Though the focus was almost always on the first two.

Beginning with the not guilty verdict of George Zimmerman and gaining momentum with the murder of Michael Brown Jr. in the fall of 2014, Black Lives Matter revealed the limits of the racial reconciliation model espoused by many evangelical organizations in the ‘90s. I watched as white Christians, and people of color (POC)(1) submitted to whiteness, responded again and again with:
denial of systemic injustice
disregard for the lived experience of Black people
silence in the pulpit
deeply ingrained superiority regarding issues of race
fixation on intentions over outcomes

I had to ask why those discipled by the racial reconciliation framework were so ill-equipped to engage, learn from, and respond to a movement focused on systemic and institutionalized racial injustice. I’ll discuss three reasons that I’ve observed: individualistic theology, a sanitized version of history, and good old white centering.


Bad Theology


The term racial reconciliation serves the dominant culture; it serves white people and those who align with whiteness. The term reconciliation is relational in nature. And though relationships are important, the focus on relationships is anchored in white theology’s pathological individualism.

Jesus died for my sins.

Jesus went to the cross for me.

I know the plans He has for me.

Though there is a place for the individual in theology, white theology, in profound syncretism with American culture, has distorted the Bible to be solely about individual redemption. So it is blind to the reality that when Scripture says, “I know the plans I have for you”, the “you” is plural and addressed to an entire community of people that has been displaced and are in exile. All Scripture has been reduced to individual interactions between God and a person, even when they are actually between God and a community, or Jesus and a group of people. As a result, white theology defines racism as hateful thoughts and deeds by an individual, but cannot comprehend communal, systemic, or institutionalized sin, because it has erased all examples of that framework from Scripture.

Secondly, white Christianity suffers from a bad case of Disney Princess theology. As each individual reads Scripture, they see themselves as the princess in every story. They are Esther, never Xerxes or Haman. They are Peter, but never Judas. They are the woman anointing Jesus, never the Pharisees. They are the Jews escaping slavery, never Egypt. For citizens of the most powerful country in the world, who enslaved both Native and Black people, to see itself as Israel and not Egypt when studying Scripture is a perfect example of Disney princess theology. And it means that as people in power, they have no lens for locating themselves rightly in Scripture or society — and it has made them blind and utterly ill-equipped to engage issues of power and injustice. It is some very weak Bible work.


Together, these create a profoundly broken theological framework. It explains why people love a photo of a cop hugging a Black person, but dismiss claims of systemic racism in policing. It pretends that injustice is resolved when individuals hug. This was actually something that people were encouraged to do at Promise Keeper events in the ‘90s: go find a Black person and hug them. It confuses white emotional catharsis with racial justice. The two are far from each other. The movement for Black Lives Matter and other marginalized communities insist on addressing systemic issues, and white Christianity is pathologically individualistic. Learning must come from POC, who would clearly be the experts on issues of racism in the church.

Bad History


Racial reconciliation assumes an innocent reading of history. This is a term I learned from theologian Justo Gonzalez. An innocent telling of history is foundational to maintaining unjust and racist systems. When have white people ever been in just relationship with Black people? During slavery? During Jim Crow? During the War on Drugs? What are we RE-conciling? It pretends that there was a time when everything was fine, we just need to get back there. However, that idyllic time has never existed.

Even when the Civil Rights Movement is taught, it is framed as a discussion of the courage of Black people. Which is true, their courage was amazing. But why did they have to be so courageous? What were they facing? The rage, racism, and violence of white people. Rarely is the profound hatred and resistance of white people taught. The evil of white people is downplayed, or minimized, to a few racist exceptions in the South. But white people, all across the United States, resisted any move toward racial justice with fury, rage, and violence. Our history never tells the true story of whiteness.

In her brilliant book on the Great Migration, Isabel Wilkerson describes a riot that broke out in Chicago, in 1951, when a Black family attempted to move into a white apartment building. After being driven from the apartment, white people destroyed everything the family owned, and over the course of the next day, the crowd grew to over 4,000, eventually burning down the entire building. White people would rather burn a building than see Black people live there. Or looking to the West Coast, “When Oregon was granted statehood in 1859, it was the only state in the Union admitted with a constitution that forbade Black people from living, working, or owning property there. It was illegal for Black people even to move to the state until 1926 ... Waddles Coffee Shop in Portland, Oregon was a popular restaurant in the 1950s for both locals and travelers alike. The drive-in catered to America’s postwar obsession with car culture, allowing people to get coffee and a slice of pie without even leaving their vehicle. But if you happened to be Black, the owners of Waddles implored you to keep on driving. The restaurant had a sign outside with a very clear message: “White Trade Only — Please”.(2)

And hence, white people don’t believe it when white racism is pointed out in the present. They’ve been told a fairy tale about themselves. Even when the history of POC is told, white violence is erased, and the consequences of historical injustices are minimized. White people do not connect themselves to history, once again because of pathological individualism. They simply want a friend in the present, with no acknowledgement of the past or present injustice.
White Comfort


Racial reconciliation centers language with which white people and their allies are comfortable. Racial reconciliation moves at the pace that whiteness dictates. It focuses on making sure white people don’t feel guilty, but not on the systemic disenfranchisement of POC. It will talk about redeemed white identity without teaching about white supremacy. It will lament but not repent with action. It is comfortable with POC being displaced and paying significant mental and emotional tolls for the work, but asks little to nothing of its white people. It is profoundly anxious about white discomfort and is always trying to control the narrative.

In the racial reconciliation model, POC are commodities. POC exist to teach and educate whiteness. When white people are ready to learn, POC must share their story, and our pain is for consumption. Whiteness listens, feels superior to other white people who aren’t as “woke”, but does not change. Recently, I talked with a 24-year-old African American woman who works for a Christian ministry. As she described her current job, it became clear that she was expected to do her job, educate her peers, educate her supervisors, and educate up the line to leadership with 20 years more experience than her. While those leaders congratulate themselves for listening to a Black woman, they never wonder why there are no people at their own level of management with whom they can engage. And the 24-year-old white guy, her peer, is left to simply learn his job, carries none of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ng up, and exerts none of that emotional labor. This is the racial reconciliation model: massive labor by people of color, but no accountability for systems and institutions that exploit this labor. If POC become angry, frustrated, and tired of this dynamic, they are labeled as uncommitted to the cause, immature, or not a right fit.


The racial reconciliation model perpetuates white privilege because the pacing is centered on the dominant culture, the language is white-centered, and the implicit audience of teachings and content is always the dominant culture. In the racial reconciliation model, POC are expected to show up whenever the topic of race is addressed, even though the implicit audience is always white people. The time is not really for people of color, but they must be there to validate that “real” work is happening. Again, POC are a commodity.

The role of POC in racial reconciliation is to feel grateful, be loyal, educate (but nicely, and without anger) and conform to white culture. POC are to bring just a sprinkle of color — without ever pressing for deeper cultural, organizational, or systemic change. POC must always “trust their leaders” and be satisfied with intentions over outcomes. Whiteness controls the narrative at all times. And let me state for the record, one does not need to be white to be working for whiteness. As someone who grew up in the Korean immigrant church and has been a part of the Korean American Christian community for much of my life, I am troubled to see how often there is alignment with white theology and white tellings of history. Communities of color must rigorously disentangle ourselves from white supremacy, anti-Blackness, and settler colonialism.
White Privilege


The term white privilege can be helpful, but it is still located in pathological individualism. It assumes that issues are resolved by how an individual white person handles their privilege. Hence, it cannot be considered a term that is sufficient to address or resolve organizational or systemic white supremacy. It cannot dismantle white supremacy culture in a denomination, organization, or church. It is useful, and it is real. It is often a first step for people of privilege. It is important that they realize they participate in unequal systems, even unintentionally. However, it is not enough for anyone in a position of leadership or influence.

Shifting to the term white supremacy and understanding that it means more that flag-waving Nazis is a move away from pathological individualism. It puts responsibility on white people to stop supporting white supremacy versus putting the responsibility on POC to educate and provide diversity. Racial reconciliation often views POC as the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White supremacy locates the problem in the right place.

Let me close by referencing the imagery of the canary in the mine. In the olden days, miners would take a canary into coal mines because their delicate lungs would more readily be impacted by deadly gases and alert the miners that they should leave before they died of poisonous gases.

In the racial reconciliation model, the death (or departure) of POC is sad and sort of confusing, but is seen as an indicator that the bird was just not a good fit for the mine. They bring down another canary, try to put a tiny mask on it, and get confused when it dies as well. At no point is there a discussion that the mine is toxic.

The white supremacy framework says, HEY! That bird died because your well-intentioned mine is toxic. It is on you, it is on the mine, to stop being toxic. It is not on the canary to become immune to deadly fumes.

The term white supremacy labels the problem more accurately. It locates the problem on whiteness and its systems. It focuses on outcomes, not intentions. It is collective, not individual. It makes whiteness uncomfortable and responsible. And that is important.
Tags:
Anti-Blackness
White Supremacy

361 Snaps




This was edited and adapted from Erna’s blog. You can read the original here.


(1) Though I am using the term people of color, I believe that it is important to name that white supremacy enacts itself onto different communities in different ways. The erasure of Indigenous people for the sake of settler colonialism is different than the violent anti-Blackness that pervades our society at every level, which is different than the way white supremacy is enacted on Latinx, Asian American, and Pacific Islander communities. Since my focus is on white theology and white responses, I am using the collective term people of color.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term not be used to erase the specific experiences of different communities.


(2) https://gizmodo.com/oregon-was-founded-as-a-racist-utopia-1539567040



Erna Kim Hackett currently serves as Executive Pastor at the Way Berkeley. She has recently launched a new project for women of color called Liberated Together. She received her masters in intercultural studies from the Institute for Indigenous Theological Studies. She is passionate about empowering WOC leaders, and helping Jesus followers get free from white supremacy, patriarchy, and other nonsense.

알라딘: 서양, 도교를 만나다 J.J. Clarke

알라딘: 서양, 도교를 만나다





서양, 도교를 만나다  | 노장총서 9

J.J. Clarke (지은이),조현숙 (옮긴이)예문서원2014-01-15원제 : The Tao Of The West (2000년)







서양, 도교를 만나다



정가

36,000원

판매가

34,200원 (5%, 1,800원 할인)

기본정보

양장본472쪽160*230mm815gISBN : 9788976463166



장바구니 담기

 The Tao of the West : Western Tranformations of Taoist Thought (Paperback) Paperback

---

책소개



동양에 대한 서양의 이해를 유럽식의 문맥으로 읽어 내는 분위기 속에서, 저자는 서양인의 눈으로 본 도교가 아닌, 도교의 영향 아래 형성된 서양의 사상과 문화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오리엔탈리즘, 해체주의 등 서구사회의 한계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촉발된 다양한 형태의 논의들이 받았던 도교로부터의 충격과, 서구인의 생활세계 속에 여성운동이나 명상, 요가활동 같은 방식으로 녹아 있는 도교의 흔적을 추적하고 있다.



물론 도교 속에서 반이성주의·상대주의의 시각을 찾아내어 근대성을 해체하고 한계에 직면한 서구사회의 진로를 모색하려는 시도는 어떤 의미에서 서양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착취일 수도 있다. 이 점은 저자가 이 책의 곳곳에서 재삼 경고하고 강조하는 바이다. 그래서 도교에 대한 저자의 시선은 시종일관 조심스럽고 타자화되어 있다.

---

목차

서문

옮긴이의 말



제1장 말할 수 있는 도

1. 오리엔테이션 그리고 반오리엔테이션

2. 방법과 수단

3. 서양으로 가는 길



제2장 그 의미는 그 의미가 아니다

1. 도교란 무엇인가?

2. 삼교(유교, 불교, 도교)

3. 역사적 기원



제3장 답답한 학자들

1. 도교에 대한 서양의 시선

2. 도교 읽기



제4장 위대한 대지

1. 혼돈 속의 질서

2. 우주론

3. 과학: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4. 환경주의: 새로운 방법인가?



제5장 소요유

1. 도교의 도덕적 전망

2. 자기수양(self-cultivation)의 윤리학

3. 무정부주의 정치학

4. 여성과 성



제6장 물화

1. 불사의 도

2. 내적 수양의 도

3. 섹스의 도

4. 건강의 도



제7장 도는 말할 수 없다

1. 신비주의

2. 눈에 보이는 신비주의: 산수화

3. 초월



제8장 새들의 지저귐

1. 차이 생각하기

2. 회의주의, 상대주의, 그리고 비이성주의

3. 포스트모더니즘



제9장 서유기

1.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2. 도교를 넘어서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J.J. Clarke (J.J. Clarke) (지은이)



맥길 대학교, 몬트리올 대학교, 싱가포르 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고, 영국 킹스턴 대학교 사상사학과 학과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같은 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In Search of Jung, Jung and Eastern Thought(1995),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1997), The Tao of the West: Western Transformations of Taoists Thought(2000)가 있다.

최근작 : <서양, 도교를 만나다>,<동양은 어떻게 서양을 계몽했는가> … 총 15종 (모두보기)





조현숙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성균관대학교에서 동양철학을 공부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강사를 지냈으며 〈장자 죽음의식에 관한 연구〉, 〈혜시의 사유체계에 관한 연구〉, 〈순자의 제자비판에 관한 연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는 《마음으로 읽는 장자》(초역抄譯 본), 《중국철학사방법론》(공역), 《중국철학강의》(공역), 《노자 도덕경》, 《법구경》, 《서양, 도교를 만나다》가 있다.

최근작 : <마음으로 읽는 장자> … 총 3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서양 속을 유영하는 도교…

도교는 서양사회 속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어떻게 받아들여졌는가?



한때 서양인들은 동양의 불교와 힌두교에 몰입한 적이 있었다. 그것은 서양의 지적 전통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철학성과 종교성이 하나가 된 차원 높은 정신세계에 대한 희구였다. 그리고 이제, 과거 불교와 힌두교에 대해 그랬듯이 서양인들은 도교 속으로 탐닉해 들고 있다. 최근까지 중국 바깥의 세계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도교의 텍스트와 전통에 대한 치밀한 연구에서부터 도교적 명상, 건강과 성생활에 대한 흥미의 증폭까지, 서양 사회는 학문적으로나 대중적으로나 동양의 이 생소한 사상에 대한 열정으로 넘쳐나고 있다.

도교는 서양의 기성관념의 틀로는 이해하기 어렵다. 종교의 시각에서 볼 때 도교에는 서양의 신과 같은 초월적인 존재가 없고, 철학의 관념으로 볼 때 도교에는 서양철학에서 추구해 온 절대불변의 보편진리가 없다. 때문에 도교를 처음 접했을 때 서양인들은 그 속에서 주로 비합리적인 신비주의와 회의주의의 요소들을 읽어 낼 뿐이었다. 그들은 이러한 서양식 관념과 개념을 동원하여 도교를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평가해 왔다. 그러나 이런 식의 평가에서 벗어나 이제는 도교의 진면목을 파악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다. 여성주의와 자연긍정, 상대주의, 근대적 이성의 부정 등, 세계와 자연을 수용하고 절대주의의 함정에 빠지지 않는 도교의 생기발랄함이 이제 서양인들에게는 낯선 매력으로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동양에 대한 서양의 이해를 유럽식의 문맥으로 읽어 내는 분위기 속에서, 저자는 서양인의 눈으로 본 도교가 아닌, 도교의 영향 아래 형성된 서양의 사상과 문화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오리엔탈리즘, 해체주의 등 서구사회의 한계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촉발된 다양한 형태의 논의들이 받았던 도교로부터의 충격과, 서구인의 생활세계 속에 여성운동이나 명상, 요가활동 같은 방식으로 녹아 있는 도교의 흔적을 추적하고 있다.

물론 도교 속에서 반이성주의·상대주의의 시각을 찾아내어 근대성을 해체하고 한계에 직면한 서구사회의 진로를 모색하려는 시도는 어떤 의미에서 서양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착취일 수도 있다. 이 점은 저자가 이 책의 곳곳에서 재삼 경고하고 강조하는 바이다. 그래서 도교에 대한 저자의 시선은 시종일관 조심스럽고 타자화되어 있다.

접기


2020/06/21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

Amazon.com: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 (9780415133760): Clarke, J.J.: Books

Books›New, Used & Rental Textbooks›Humanities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
by J.J. Clarke  (Author)
4.5 out of 5 stars    3 ratings
-----
Editorial Reviews
From Library Journal
Clarke (history of ideas, Kingston Univ., UK) notes that for hundreds of years the West has sought out the tradition of the East's philosophies. The search has been one-sided, however; the East generally has not reached out to the West for philosophical ideas. Further, despite a so-called shrinking globe, the West is still reluctant to acknowledge that it may have borrowed anything of significance from the East. So why does the West remain fascinated with the East? One insightful observation by Clarke: "It is Europe's collective day-dream, symptomatic of a certain weariness that from time to time bests European culture." Clarke here offers a solid academic survey of how ideas from India, China, and Japan have been drawn into the West's thinking since at least the 17th century. Thoughtful but scholarly; recommended for academic libraries.?Dennis L. Noble, Sequim, Wash.
----
Paperback: 288 pages
Publisher: Routledge (May 22, 1997)
Language: English
-------
Ralph Blumenau
5.0 out of 5 stars 
So much more nuanced than Edward Said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 4, 2006

This book is principally an examination and explanation of how the West has seen the philosophies, religions and cultures of the Far East - chiefly of China and India. To this interest in the East Clarke gives the name Orientalism. That word since 1985 has carried the connotation that Edward Said gave to it in his book of that name. Though that work concerned itself chiefly with the Arab Middle East, other scholars have applied Said's characterization to the western study of cultures further East. That school of thought saw Orientalism as permeated with condescending, exploitative and colonialist attitudes, and scarcely allowed any other factors to play a role. Clarke admits that colonial attitudes were one aspect of Orientalism, but 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were many others. True, students of Orientalism, like students of all other subjects, cannot help having agendas, and agendas are liable to lead to distortions. So the West's interpretations of the Orient (the word `hermeneutic' turns up with rather tiresome frequency in this text) generally fulfill some need felt by the West; but this is often not at all a need to exploit the East, but rather to gain through Oriental studies a new and enriching perspective on Western culture and frequently to provide a remedy for what are perceived to be its flaws or discontents.

Clarke argues, along with other scholars whom he cites, that in the West the Renaissance and the Reformation ushered in a philosophical restlessness and uncertainty which made Europeans be more inquisitive and open to other ways of thinking. This uncertainty was generated from within European culture, whereas in Asia it was only when Western technology and power irrupted into the area that the interest of Asians in European culture began, in response to a challenge from outside rather than from within their own culture. Clarke acknowledges this interest, but devotes only a small part of the book to the impact of Western thought on Asia.

He documents how in the 18th century the philosophes set up their rosy view of Confucian China in opposition to the religious and social criticisms they made of their own society; how, when this interest faded, it was replaced in the 19th century by the interest of the Romantics in Indian thought. We learn of Anquetil Duperron (1723 to 1805) who first translated the Upanishads (into French) and of William Jones (1746 to 1794), who showed that most European languages have an affinity with Sanskrit, which suggested that many of the peoples of Europe came originally from Asia. German nationalists, resenting French cultural hegemony, preferred the idea that their culture was rooted in the Aryan languages (and later, by a perversion of the word, in the Aryan race). Philosophically also, the most profound impact of Indian thought was on a line of German philosophers: Hegel, Schelling, Schlegel and Schopenhauer saw an affinity between the monism of the Absolute and that of Brahman, between their own metaphysical ideas that the world as we know it through our senses is not the real world and the Indian notion that we see the world only through the veil of maya. Both Confucianism and Buddhism were seen by many Europeans as a system of ethics which was independent of a belief in God, and was therefore espoused by many western thinkers in reaction to the claims that religion was the essential basis of ethics.

Towards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into the twentieth, at the very time when the West's cultural imperialism emphasized by Edward Said was at its height, there was also the countervailing current that the West's cultural hegemony was increasingly questioned in the West itself; and the interest in Eastern ideas became a broad stream with wide diffusion. Ralph Waldo Emerson (1803 to 1882) and Henry David Thoreau (1817 to 1862) popularized Eastern thought in America on a scale that earlier thinkers had not been able to achieve. Edwin Arnold's poem The Light of Asia (1879), disseminated the Buddhist message and sold nearly a million copies. The Theosophical Society, founded by Madame Blavatsky and Colonel Alcott in 1875, had over 45,000 members in 1920. It was strongly infused with oriental ideas, and even played a part in the revival of Hindu and Buddhist self-awareness and self-respect in Asia itself. Some Western actually thought that western civilization, with its frenetic materialism and its spiritual life eroded by rationalism, was worn out and needed to draw on Eastern thought to renew itself. Eastern influences have moved out of the academic and literary world to permeate the very life-style of many westerners.

So Zen and Tibetan Buddhism have found many followers in the West; there are now many practitioners of t'ai chi, yoga and transcendental meditation; the young have gone on the hippy trail to visited ashrams in India. From this point onwards, about half way through the book, Clarke produces so many exampl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East and West - on literature, on the arts, on religion, on psychotherapy, on holistic medicine, on ecological thinking, on non-violence, even on the philosophy of modern physics (though, curiously, only marginally on the mainstreams of western academic philosophy) - that a short review like this cannot do justice to them. There was even a strand in fascism which claimed an Oriental heritage. Clarke's range is truly encyclopaedic, and in this second half of the book that there will be found much detailed material and many names that are likely to be unfamiliar to the educated non-specialist.

The mainly narrative chapters are followed by two final superb reflective ones. In the first of these Clarke reflects on the philosophical traps into which Orientalism can fall and sometimes has fallen, but his defence of the value of Orientalism is eloquent and persuasive. In the second (more difficult) one he shows how deconstructive Post-Modernism challenges Orientalism but can also find an ally in it.
Read less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brilliant, scholarly & beyond Said's orientalism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ly 7, 2000

Clarke uses the following Framework for intercultural contact: - Gadamer: hermeneutics of the dialogue: it comes bit by bit, and entails a continuous exchange of meaning between interpreter and interpreted, the goal is 'fusion of conceptual horizons' which requires 'self-awareness of difference' and 'recognition of otherness of the other'. Problem: doesn't take into account underlying discursive power relations (Foucault) - Said: the influence (power) that the west exerted via colonisation, to secure world hegemony, is present in the image that has been created of the East in the West. Everybody involved in orientalism is consciously or not guilty of western imperialism. Clarke says that this image of Said is not complete and shows that interest for the East has often been connected to pragmatic interests, deeply rooted in Europe's own intellectual, cultural and political history. Orientalism often had a countercultural, counterhegemonic rol in the past three centuries and has often been source of energy for radical protest. This way orientalism has often not enforced Europe's established role and identity, but undermined it. Periods of cultural revolution and global expansion in Europe made it possible to create a painful void in the spiritual and intellectual heart of Europe, but also favoured the establishment of certain geopolitical conditions that allowed the transmission of alternative worldviews of the East to the West more easily.

The making of "the Orient"

Both the French Sinophile Enlightenment thinkers and the German Indophile Romantici used orientalism as instrument for the subversion and reconstruction of European civilization, to fight the deeply rooted evils of that time. This way they idealized and romanticized heavily eastern thought and culture. Confucianism gave the French a model for rationalistic, deistic philosophy, but also the Hinduism of the Upanishads gave the Germans an elevated metaphysical system that resonated with their idealist suppositions, as a counterweight to the materialistic and mechanistic philosophy that came to dominate the Enlightenment period.Buddhism: Schopenhauer formulates a radical critique on the Jewish-Christian tradition that searches salvation throught a divine Savior, while buddhism searches it by denial of the will. Wagner and Nietzsche give similar critiques because buddhism, so they claim, offers a psychologically more honest explanation of suffering. Because of the Victorian crisis of faith and belief in progress, and the apparent compatibility of buddhism and science (positivism, Darwinism, evolutionism, materialism, monism), buddhism gains importance. Also the American transcendentalists (Emerson, Thoreau) used buddhism against Lockean materialism and Calvinism, in their belief in the essential unity and spiritual nature of the cosmos, combined with a belief in the goodness of humans, and the domination of intuition over rational thinking.Besides romanticizing voices, also racist and denigrating voices are found in orientalist discourses.

Twentieth century

Because of the quick progress and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to modern, Europe experienced an atmosphere of malcontentment with the promises of Western civilization, which made it search for more meaningful and satisfying alternatives. There are two types of associations of the turbulent twentieth century with orientalism: on the one hand the creative involvement in philosophy, theology, psychology, science and ecology, and on the other hand associations with occultism, and mystical undercurrents of fascism. In a period of growing imperialist expansion (which enhanced communication with the East), there was a possibility to begin to see the East really as other (with a different culture), but there was also a sense of being afraid, mixed with feelings of guilt toward the East. This had a different intellectual response: on the one hand there were big speculations about a universal philosophy or global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ore modest propositions for the encouragement of a hermeneutical dialogue. There was a tremendous spread of orientalism in the twentieth century, buddhist monasteries arised in the West, poets, writers, hippies and Beat movement, and also New Agers made use of Eastern thought, though not all of them seriously. Academic institutions were built, and eastern scholars came to Europe. Important European thinkers were influenced by the East. This accelerated the understanding of Eastern thought.

Philosophy

- Universalism (Leibniz, Moore) - Comparative philosophy (Nagarjuna compared with Nietzsche, Heidegger and Derrida, Madhyamaka with Wittgenstein) - Hermeneutics (Rorty: "the conversation of mankind", Larson: "from talking to one another, to talking with one another") - Diversity, otherness, difference, but a sharp awareness of the danger of cultural imperialism

Religion

- Exclusivism - Inclusivism - Pluralism

Psychology

- Psychotherapy and mental health: holistic contextual approach of the individual, more emphasis on experiential knowledge than on intellectual knowledge - Fromm, Jung, Maslow, Naranjo, Ornstein - Transpersonal, humanistic, cognitive psychology - Meditation

Science and ecology

- Sovjet Marxism and buddhism - Capra, Jung, Bohr, Heisenberg, Schroedinger, Prigogine, Bohm - Schumacher, Naess, Macy - Wholeness (holistic medicine, ecology)

Reflections

Beside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different cultures, there 's also a problem of projection: Eastern ideas are appropriated by simply projecting them to categories and presuppositions of the West, and the West has become a sort of all-eating monster, usurping all cultures. Clarke claims the aim is not to avoid use of a vocabulary that is derived from the own culture, but that the crucial point is that one does so with critical self-awareness.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utuality in the hermeneutical process: interpretation begins with pre-conceptions that are replaced by more appropriate conceptions. Example: the wrong understanding the West had (and still has) throughout buddhist history doesn't have to be considered as a failure, but as a necessary and wholesome "turning of the hermeneutical wheel". Orientalism contributed, so says Clarke, to a growth in mutuality, dialogue, knowledge and sympathy, and this while the East has now on the one hand enhanced grip to its own tradition (partly as a result of the encounter with the West) and on the other hand can formulate a solid critique to fundamental aspects of western culture. Also Said believed in a postcolonial era, where an increasingly sophisticated study and criticical self-awareness would make possible a post-orientalist epoch where westerners could approach the East without disturbing presuppositions.
Read less
15 people found this helpful
---
Bernard G. Lawrence
4.0 out of 5 stars first impression excellent - except for the painfully small font!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18, 2006

I've only read the first chapter so far, my first impressions of the content are excellent, but I have a complaint for the publisher: the font is painfully small and makes it actually a bit of struggle to read.

The ideas are very dense, so I would tend to make the font and line spacing a bit bigger than usual to reduce the strain in that area of comprehension and save the reader's mental energy for understanding the ideas rather than screwing their eyes up at the type. I'm not exaggerating - it's like the size they usually print footnotes in!
3 people found this helpful

See all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

J.J. Clarke


What is the place of Eastern thought - Buddhism, Taoism, Hinduism, Confucianism - in the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Oriental Enlightenment shows how, despite current talk of 'globalization', there is still a reluctance to accept that the West could have borrowed anything of significance from the East, and explores a critique of the 'orientalist' view that we must regard any study of the East through the lens of Western colonialism and domination.Oriental Enlightenment provides a lucid introduction to the fascination Eastern thought has exerted on Western minds since the Renaissance.
$6.36 (USD)
Publisher:
Release date: 1997
Format: PDF
Size: 0.88 MB
Language: English
Pages: 288

동양은 어떻게 서양을 계몽했는가 J.J. Clarke Oriental Enlightenment 1997

알라딘: 동양은 어떻게 서양을 계몽했는가

동양은 어떻게 서양을 계몽했는가  
J.J. Clarke (지은이),장세룡 (옮긴이)우물이있는집2004-02-25원제 : Oriental Enlightenment1997
----
400쪽152*223mm (A5신)
----
책소개여러가지 예를 통하여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양이 서양에 미친 영향을 서술한 책이다. 서양의 철학과 예술, 문화는 동양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다고 주장한다.

지은이는 이 책을 통해 오리엔탈리즘의 정의가 새롭게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에드워드 사이드가 서구의 자유주의를 강력히 비판하기 위해 오리엔탈리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면, 클라크는 서양이 자신들의 지적 관심사 안으로 동양을 통합시키려고 노력했다는 사실이 포함된 개념으로 오리엔탈리즘이 재정의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즉, 클라크는 오히려 서양 안에서 제국주의 권력을 전복하려는 자극제로서 오리엔탈리즘이 작동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유교 예찬론자 볼테르, 주역의 영향을 받은 라이프니츠, 인도철학의 영향을 받은 칸트와 낭만주의자들, 우파니샤드의 영향을 받은 괴테 등등 여러 인물들이 그 예로 제시된다.


목차
1부 서론

1장 방향 정하기 : 쟁점
동양 : 유럽의 '타자'
오리엔탈리즘 : 용어와 주제
사상사 : 방법론과 수단

^2장 오리엔탈리즘 : 몇 가지 추정^
동양의 유혹
동양의 황홀한 매력
에드워드 사이드 : 권력에 관한 의문
교정하는 거울로서의 오리엔탈리즘
허무주의와 서양

2부 동양의 형성

3장 중국 숭배 : 계몽주의시대
고대에서 중세로
중국에 대한 새로운 전망과 예수회
계몽사상가들과 중국
영국인 이신론자들과 중국식 정원
중국애호가들의 쇠퇴

4장 인도로 가는 길 : 낭만주의시대
인도와 낭만주의자들
새로운 숭배의 원천
독일 사상가들
힌두교에서 불교로

5장 불교도 정념 : 19세기
낭만주의의 후속편
불교 : 새로운 발견
쇼펜하우어, 바그너, 니체
빅토리아시기 신앙의 위기와 불교
미국 초월주의자들
세기말

3부 20세기 오리엔탈리즘

6장 20세기 동서양의 만남
20세기의 '흥분열'
동양의 새물결
문화적 맥락
학문적, 지적 차원
공통의 이상과 동기

7장 철학적 만남
서양의 철학과 동양의 전통
미국의 오리엔탈리즘
보편주의
비교철학
해석학적 접근

8장 종교적 대화
오리엔탈리즘의 도전
비교연구와 보편주의자의 외양
신비주의와 보편주의
신앙 간의 대화
배타주의, 포괄주의, 다원주의
정신적 수행에서의 대화

9장 심리학적 해석
새로운 심리학적 전망
심리요법과 정신건강
명상과 의식 연구

10장 과학적 성찰과 생태학적 성찰^
동양과 근대과학
생태학과 전체성

4부 결론

11장 성찰과 방향 재정립
경계선을 넘어서 해석하기
경계선을 건너서 투사하기
인종주의
파시즘
비합리주의
정적주의
권력

12장 오리엔탈리즘과 포스트모더니티
오리엔탈리즘과 포스트모더니티
탈식민주의 시기의 오리엔탈리즘
오리엔탈리즘의 변환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역자후기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J.J. Clarke (J.J. Clarke) (지은이)

맥길 대학교, 몬트리올 대학교, 싱가포르 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고, 영국 킹스턴 대학교 사상사학과 학과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같은 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In Search of Jung, Jung and Eastern Thought(1995), Oriental Enlightenment: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1997), The Tao of the West: Western Transformations of Taoists Thought(2000)가 있다.
최근작 : <서양, 도교를 만나다>,<동양은 어떻게 서양을 계몽했는가> … 총 15종 (모두보기)
---
장세룡 (옮긴이)

현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인문한국(HK)교원(정교수 대우)이다. 1953년 경북 구미시 인동에서 태어나 인동초등학교와 인동중학교, 대구상업고등학교(현 대구상원고등학교), 영남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서양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서양사(프랑스 정치사상)를 전공했다. 국내 최초로 프랑스 현대 지성 미셸 드 세르토와 앙리 르페브르에 관한 논문을 썼으며 일상생활과 도시 및 로컬리티 공간의 재구성 양상에 관심을 기울였다. 부산대학교에서 ‘로컬리티의 인문학’ 과제를 집단연구로 수행하며 전 지구화와 로컬리티, 도시재생, 협동조합, 이주민 커뮤니티 등을 비롯한 도시정책을 연구했다. 지금까지 논문 85편, 저서 4권, 공저서 23권, 번역서 3권을 내놓았다. 저서로 ??몽테스키외의 정치사상??(한울, 1995), ??프랑스 계몽주의 지성사??(2013), ??미셸 드 세르토: 일상생활의 창조??(2016)가 있고, 번역서로는 마르퀴 드 콩도르세의 ??인간정신의 진보에 관한 역사적 개요??(2002), J. J. 클라크의 ??동양은 어떻게 서양을 계몽했는가???(2004), 아리프 딜릭의 ??글로벌 모더니티: 전지구적 자본주의 시대의 근대성??(2016)이 있다. 접기

최근작 : <도시와 로컬리티 공간의 지형도 (반양장)>,<도시와 로컬리티 공간의 지형도 (양장)>,<공동체와 로컬리티> … 총 17종 (모두보기)
----
전체 (1)

    
동양의 힘 새창으로 보기

요즘 동양사상을 주목하는 서양인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불교와 요가가 대유행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물질적으로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서양, 서양의 대중문화로 온 세상의 지적 수준을 서양의 그것으로 하향 평준화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책은 오히려 동양의 정신이 서양 속으로 깊이 침투하고 있고 서양을 계몽시키고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는 책입니다. 외견상으로는 서양이 동양을 서구화 시키고 있지만, 정신적인 면에서는 동양이 서양을 압도하고 있고, 앞으로는 그런 경향이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주장은 더 이상 낮선 것이 아닙니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과는 정반대의 주장이 되는 셈입니다. 이 책은 한걸음 더 나아가는 책입니다. 과거부터, 즉 서양의 제국주의가 동양으로 몰려오기 시작하던 그 당시부터 서양 내에서는 그런 정신적인 움직임이 일고 있었다는 것을 설명하는 책이니까요. 볼테르, 칸트같은 쟁쟁한 인물들이 바로 그런 사람들의 반열에 들고 있다는 것은 참 놀라운 일입니다.

플로라 2007-05-02 공감(2) 댓글(0)

당신의 아름다운 세계 - 바이런 케이티, 금강경을 말하다 스티븐 미첼,바이런 케이티


당신의 아름다운 세계 - 바이런 케이티, 금강경을 말하다  epub
스티븐 미첼,바이런 케이티 (지은이),이창엽 (옮긴이)침묵의향기2020-01-21 원제 : A Mind at Home with Itself

종이책 페이지수 415쪽, 약 25.2만자, 약 6.5만 단어
가능 기기 : 크레마 그랑데, 크레마 사운드, 크레마 카르타, PC,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폰/탭, 크레마 샤인


책소개

서구를 대표하는 영적 지도자인 바이런 케이티가 선불교의 중심 경전인 금강경에 대해 말한다. 궁극의 진실이 무엇인지, 이 진실에 눈을 뜬 사람은 세계를 어떻게 보고 어떤 삶을 살아가는지, 어떻게 하면 우리도 온전한 자유와 깊은 평화를 누릴 수 있는지를 심오한 통찰과 감동적인 언어로 들려준다.

32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바이런 케이티와 함께 ‘작업’을 한 5가지 사례가 실려 있으며, 부록에서는 생각의 족쇄에서 풀려나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방법인 ‘작업’에 대해 자세히 안내한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인 《네 가지 질문》 《기쁨의 천 가지 이름》 등의 저자인 바이런 케이티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영적 지도자 중 한 명이며, 시사주간지 타임은 그녀를 새 시대의 영적 지도자로 소개했다.
목차
머리말
탐구에 대하여
금강경에 대하여
이 책의 금강경 번역에 대하여

1. 우주적인 농담
2. 모래알에게 절한다
3. 환히 빛나는 순간
4. 주는 것이 받는 것이다
-작업: “데이브가 나를 무시했어요.”
5. 일상 속의 붓다들
6. 마음이 모든 것이며 마음은 선하다
7. 일상생활 중에 집에 있기
8. 궁극의 자비
9. 사랑은 자기에게 돌아온다
10. 탐구 속에 살기
11. 비판이라는 선물
12. 고양이에게 개처럼 짖으라고 가르치기
-작업: “어머니가 나를 공격해요.”
13. 이름 너머의 세계
14. 아무것도 우리 것이 아니다
15. 집으로 돌아오기
16. 모든 일은 당신에게 일어나는 게 아니라
당신을 위해 일어난다
17. 분리 없는 삶
18. 자유란 생각을 믿지 않는 것
-작업: “딸이 내 말을 듣지 않아요.”
19. 상상할 수 없는 부유함
20. 완벽한 몸
21. 잃을 것이 없다
22. 쓰레기를 줍는다
23. 감사에는 이유가 없다
24. 모든 괴로움의 원인
-작업: “남편이 약속을 지키지 않아요.”
25. 동등한 지혜
26. 집에 있는 붓다
27. 생각 사이의 공간
28. “이를 닦아라!”
29. 투명함
30. 완전히 친절한 세상
-작업: “아들이 다시 술을 마십니다.”
31. 모든 것의 본성
32. 꿈을 사랑하기

부록: 작업을 하는 방법
감사의 말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이렇게 나는 들었다. 부처님께서 사위국 아나타핀디카의 기원정사에서 1,250명의 비구와 함께 머물고 계셨다.
P. 130 자기가 없음을 깨달으면, 죽음도 없음을 깨닫게 됩니다. 죽음이란 단지 정체성의 죽음일 뿐이며, 그것은 아름다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마음이 쌓아 올린 모든 정체성이 탐구로 사라지면, 당신은 아무 정체성이 없으므로 태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과거와 미래의 ‘나’는 이제 존재하지 않으며, 남은 것은 상상된 것뿐입니다. 마음이 멈추면, 마음이 없음을 알 마음도 없습니다. 완벽합니다! 죽음은 끔찍한 악명을 떨치고 있지만, 그건 헛소문에 불과합니다.  접기
P. 139~140 깨달음에 대해 알 필요가 있는 단 하나는, 어떤 생각을 믿는 것이 스트레스를 주는가 주지 않는가, 입니다. 그 생각이 가슴을 아프게 하나요, 안 하나요? 그 생각이 가슴을 아프게 하지 않는다면, 괜찮습니다. 그 생각을 즐기세요. 만일 그 생각이 가슴을 아프게 한다면, 슬픔이나 화, 어떤 불편함을 일으킨다면, 그 생각에 대해 질문해 보세요. 그래서 자신이 그 생각을 깨닫게 하세요. 고통은 우리가 선택하는 것입니다. 고통은 몇 년씩 지속될 필요가 없습니다. 몇 달, 몇 주, 며칠, 몇 분, 몇 초로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나중에는 과거에 당신을 괴롭히던 생각들이 일어나더라도 마음이 편안할 수 있습니다.  접기
P. 140 탐구는 당신을 맑은 마음의 자리로 되돌려 줍니다. 당신이 ‘나’의 모든 생각보다 먼저인 존재임을 깨닫게 해 줍니다. 현실로 돌아오는 것은 얼마나 재미있는지요! 나는 돌아옴을 중단하지 않을 것입니다. 눈을 뜨고 거울에 비친 나 자신을 보는 것은 하나의 특권입니다. 하지만 영원히 맑은 마음 상태는 없습니다. 맑은 마음에는 미래가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영원히 깨어나는 게 아닙니다. 오직 지금 깨어납니다. 지금 이 순간 당신의 생각에 질문하고 행복할 수 있나요? 사람들은 영적으로 열리는 멋진 경험을 하는데, 이런 경험은 ‘그것’이 아닙니다. “이 멋진 경험이 영원히 지속되기를 원해”라고 생각하는 순간, 그들은 미래로 이동했고 현실을 잃어버렸습니다. 바로 지금, ‘이것’이 그것입니다. 이렇게 단순합니다. 이것만이 존재합니다.  접기
P. 143 자아 없이 사는 삶은 어떨까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삶조차도. 당신이 보고 듣고 만지고 냄새 맡고 맛보고 생각하는 모든 것은 그 행위가 시작하기 전에 이미 끝나 버렸습니다. 나의 발이 방금 움직였는데, 내가 그 움직임을 지켜볼 때, 나는 과거를 보고 있을 뿐입니다. 그 일은 지금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가 그것을 볼 때조차 그 지금은 이미 지나갔습니다. 이것이 깨달은 마음의 힘과 선함입니다. 나는 차도 마실 수 없습니다. 그 일은 일어나기 전에 사라졌고, 그것에 대해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접기
P. 153~154 마음이 무엇을 지각하든 마음은 그것 이전입니다. 마음은 맑고 순수하며, 모든 것에 완전히 열려 있습니다. 아름다운 듯한 것만큼 추한 듯한 것에도 열려 있고, 수용만큼 거부에도 열려 있으며, 성공만큼 실패에도 열려 있습니다. 마음은 자신이 언제나 안전하다는 것을 압니다. 마음은 삶을 끊임없는 흐름으로서 경험합니다. 마음은 어디에도 발을 딛지 않습니다.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며, 어디에든 발을 디디면 한계가 된다는 것을 압니다. 마음은 자기가 생각하는 모든 생각을 알아차리지만, 어떤 생각도 믿지 않습니다. 마음은 발 디디고 서 있을 수 있는 단단한 기반이 전혀 없음을 깨닫습니다. 그 깨달음에서 자유가 흘러나옵니다. ‘서 있을 곳 없음’이 마음이 서 있는 곳입니다. 거기에 마음의 기쁨이 있습니다. 당신의 내면에 탐구가 살아 있을 때, 당신이 생각하는 모든 생각은 마침표가 아니라 물음표로 끝이 납니다. 그리고 그것이 고통의 끝입니다.  접기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스티븐 미첼 (Stephen Mitchell)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예일대학, 파리대학 등에서 수학했으며 지은 책으로 <개구리 왕자>, 옮긴 책으로 <도덕경>, <바가바드 기타> 등이 있다.
최근작 : <당신의 아름다운 세계>,<네 가지 질문>,<부처가 부처를 묻다> … 총 183종 (모두보기)
바이런 케이티 (Byron Katie)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세계적인 영적 스승 바이런 케이티는 ‘생각’에 대한 믿음이 모든 스트레스와 고통의 원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모든 생각에서 해방되어 완전한 자유와 평화에 이르는 단순하면서도 경이로운 방법인 ‘작업’(The Work)을 창안했다. ‘작업’은 네 가지 질문과 뒤바꾸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단한 질문으로 생각의 족쇄에서 풀려나 평화로운 마음을 경험하게 한다. 시사주간지 타임(TIME)은 그녀를 새 시대의 영적 지도자로 선정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사막지대의 소읍인 바스토우에서, 세 자녀를 둔 어머니이자 부동산 중개인으로... 더보기
최근작 : <당신의 아름다운 세계>,<기쁨의 천 가지 이름>,<그 생각이 없다면, 당신은 누구일까요? 2> … 총 74종 (모두보기)
이창엽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역사적 예수’를 공부하며 일상생활에서 영생 혹은 행복에 이르는 길을 탐구하고, 붓다의 가르침에 의해 예수의 메시지를 깊이 이해하고 실천하는 길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언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서양인들에게 전해진 불교를 통해 새로운 불교의 길을 찾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붓다 없이 나는 그리스도인일 수 없었다』(공역), 『마음과 통찰』, 『알아차림의 기적』, 『나는 힘든 감정을 피하지 않기로 했다』, 『티베트 마음수련법 로종』, 『후회 없는 죽음, 아름다운 삶』, 『과학자인 ... 더보기
최근작 : … 총 13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서구를 대표하는 영적 스승 바이런 케이티,
모든 스트레스와 고통에서 해방되는 단순한 길을 발견하다

올해 나이 70대 후반인 바이런 케이티는 에크하르트 톨레와 함께 서구를 대표하는 영적 스승이다. 모든 스트레스와 괴로움에서 온전한 자유와 평화로 해방되는 혁명적인 방법을 담은 그녀의 책 《네 가지 질문》은 29개 언어로 번역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로 사랑받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사막지대의 소도시에서 평범한 주부로 살던 바이런 케이티는 이혼을 계기로 십여 년에 걸쳐 우울증에 시달리다가, 1986년 어느 날 아침, 문득 (사람들이 깨달음이라고 부르는) 기쁨의 상태로 깨어났다. 그때 그녀가 발견한 진실은 단순한 것이었다. 모든 스트레스와 괴로움의 원인은 진실하지 않은 ‘생각’을 믿기 때문이라는 것. 생각을 믿으면 스트레스와 고통을 받고, 생각을 믿지 않으면 평화롭고 행복하다는 것이다.

“나는 내 생각을 믿을 때는 고통을 받지만, 그 생각을 믿지 않을 때는 고통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그리고 이것은 모든 사람에게 진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유는 그처럼 단순합니다. 고통은 우리가 선택하는 것이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그때 내 안에서 발견한 기쁨은 한순간도 사라진 적이 없습니다. 그 기쁨은 언제나 모든 사람 안에 있습니다.”

그녀는 깨어나면서 ‘작업(The Work)’을 발견했는데, 생각에 대해 질문하는 ‘네 가지 질문’과 뒤바꾸기로 이루어진 이 자기탐구 방법은 생각의 족쇄에서 해방되는 단순하면서도 경이로운 방법이다.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의 저자인 에크하르트 톨레는 이 ‘작업’을 우리 지구별에 위대한 축복이라고 극찬했다.


바이런 케이티와 금강경의 만남,
그녀가 말하는 궁극의 진실과 자유로운 삶

금강경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널리 독송되었으며 가장 중요한 경전으로 여겨진다. 이 책 《당신의 아름다운 세계》는 이 금강경을 소재로 궁극의 진실이 무엇인지, 이 진실에 눈을 뜬 사람은 세계를 어떻게 보고 어떤 삶을 살아가는지, 어떻게 하면 우리도 그런 자유와 평화를 온전히 누릴 수 있는지를 심오한 통찰과 감동적인 언어로 얘기한다.

책에 실린 금강경 번역문은 숭산 스님에게 한동안 선불교를 배운 스티븐 미첼이 현대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간결한 표현으로 번역했다. 그는 이렇게 번역한 금강경을 바이런 케이티에게 읽어 주고, 여기에 대해 그녀가 한 말을 엮어 책으로 펴냈다. 책은 총 32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케이티와 함께 ‘작업’을 한 5가지 사례가 실려 있으며, 부록에서는 ‘작업’을 하는 방법을 자세히 안내한다.

이 책에서 바이런 케이티는 궁극의 진실에 관해 말한다. 궁극의 진실은, 양자물리학이 밝히는 진실이 그렇듯이, 우리의 상식과는 무척 다르고 우리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도 어렵다. 그런데 왜 영적 스승들은 먼 옛날부터 이 진실을 얘기하는 것일까. 왜냐하면 물거품 같은 자유와 평화가 아니라, 스트레스와 괴로움에서 완전히 해방되어 한없는 자유와 깊디깊은 평화를 발견하고 변함없이 누리려면 이 진실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진실은 처음에는 어려워 보여도 선지식(善知識)이 가리키는 바에 꾸준히 관심을 기울이면서 유심히 살펴보면 누구나 발견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 진실은 우리 자신과 별개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며, 언제나 지금 여기에 현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진실에 눈을 뜬 사람에게 세계는 어떻게 보일까. 지은이의 수많은 표현 가운데 하나만 예로 들어 보자.

“그들은 실제 세계를 점차 알아봅니다. 그것은 두려움 없는, 이름 없는, 아름다운, 사랑인 세계이며, 아무것도 분리되어 있지 않은 세계, 창조성이 방해받지 않고 흐르도록 허용되는 세계, 매 순간 새로운 것을 보고 감사하는 세계, 당신이 늘 자신과 함께 혼자인 세계, 당신이 모든 사람이고 모든 것이며, 온 세계―당신의 세계, 당신의 상상의 세계―의 창조자로서 자유롭게 모든 책임을 지는 세계입니다.” (309쪽)

금강경 1장부터 32장까지 차례차례 이어지는 이 진실에 관한 그녀의 독특한 통찰과 경험, 표현들은 마치 저마다의 광채로 빛나는 보석들로 촘촘히 장식된 화환과 같아서 그 다채로움과 깊이를 몇 마디 말로 요약할 수가 없다. 이 책이 여느 금강경 해설서와 가장 크게 다른 점은, 그 진실을 고스란히 살아가는 그녀 자신의 삶을 곳곳에서 들려준다는 것이다. 완전한 자유와 평화, 기쁨과 행복, 사랑과 자비, 깨달음에 관해 얘기하는 글과 가르침은 많지만, 온전히 그렇게 살아가는 삶을 보여 주는 글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녀는 말과 행동이, 진실과 삶이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죽음을 눈앞에 두었을 때도 초연하고 감사하며, 고래고래 고함을 치면서 죽여 버리겠다고 위협하는 험악한 남자 앞에서도 변함없이 평화롭고, 지저분한 행색에 악취를 풍기는 노숙자들이든 험상궂은 청년이든 가리지 않고 사랑으로 껴안아 주며, 자신의 집을 간절히 원하는 사람에게 가족의 역사가 깃들어 있는 집을 흔쾌히 넘겨 주기도 한다. 그런 그녀는 깨달음이란 없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또 이렇게도 말한다.

“만일 당신이 깨달았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의 차가 견인되어 가는 것도 사랑할 것입니다. 그것이 진짜 증거입니다! 자녀가 아플 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나요? 남편이 이혼하자고 할 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나요? 남편이 원하는 인생을 살려 하는 걸 보고 가슴이 설레나요? 남편이 집을 떠나려 짐 싸는 걸 도와줄 때 진심으로 그를 사랑하나요?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당신과 순수한 자비심 사이를 어떤 생각이 가로막고 있나요?” (64쪽)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우리가 아니다
참된 우리 자신은 무엇일까?

그런데 만약 그런 삶이 바이런 케이티나 극소수의 사람에게만 해당하는 것이라면, 평범한 다수의 우리와는 다른 특별한 소수에게만 가능한 삶이라면, 이런 말이나 글은 별 가치도 없고 쓸모도 없다. 그러나 온 우주에서 어떤 분리도 보지 못하는 바이런 케이티에게는 그녀가 곧 우리 자신이다. 그녀가 따로 있고, 우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생각을 믿지만 않으면, 생각과 관념, 이름에서 해방되기만 하면 그런 진실을 누구나 알 수 있다고 그녀는 말한다.

“나도 없고 남도 없다는 것은 진실입니다. 진리도 없고 비진리도 없다는 것은 진실입니다. 분리된 것들은 없으며, 분리되지 않은 것들도 없습니다. 당신의 바깥에는 세상이 없고, 당신의 안에도 세상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한 명의 ‘당신’이 있다고 믿기 전에는 당신은 아직 세상을 만들어 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만일 세상이 있다고 믿는다면, 당신에게는 두 가지―당신과 세상―가 있습니다. 당신의 바깥에 세상이 없다고 믿어도, 당신에게는 여전히 그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둘은 없습니다. 둘은 혼란한 마음이 만들어 낸 것입니다. 오직 하나만 있고, 그것조차 없습니다. 세상이 없고, 자아가 없고, 물질이 없습니다. 오직 이름 없는 알아차림(앎)만 있을 뿐입니다.” (113-114쪽)

궁극의 진실에 관해, 그 진실을 사는 삶에 관해, 그 진실에 눈을 뜨는 방법에 관해 주옥같은 말들이 가득 담긴 이 책은 이런 진실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이라면, 모든 스트레스와 괴로움에서 해방되어 온전한 자유와 평화를 깊이 누리고 싶은 독자라면 더없이 반가워할 귀하고 탁월한 영성 문학 작품이다. 접기
북플 bookple

네 가지 질문 : 내 삶을 바꾸는 경이로운 힘 - 내 삶을 바꾸는 경이로운 힘, 개정판 스티븐 미첼,바이런 케이티

알라딘: [전자책] 네 가지 질문 : 내 삶을 바꾸는 경이로운 힘


[eBook] 네 가지 질문 : 내 삶을 바꾸는 경이로운 힘 - 내 삶을 바꾸는 경이로운 힘, 개정판  epub
스티븐 미첼,바이런 케이티 (지은이),김윤 (옮긴이)침묵의향기2020-02-04 원제 : Loving What is



네 가지 질문 : 내 삶을 바꾸는 경이로운 힘






























전자책 미리 읽기  종이책으로 미리보기
종이책
15,000원 13,500원 (마일리지750원)
전자책정가
10,500원
판매가
10,500원 (종이책 정가 대비 30% 할인)
쿠폰할인가
9,450원
10% 할인쿠폰 받기
마일리지
52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48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정신건강 주간 2위|Sales Point : 475
 9.6100자평(5)리뷰(5)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eBook] 네 가지 질문 : 내 삶을 바꾸는 경이로운 힘 - 내 삶을 바꾸는 경이로운 힘, 개정판
10,500원 (종이책 정가 대비 30% 할인) 쿠폰 할인가 9,450원
10% 쿠폰 받기
eBook 바로구매
eBook 장바구니 담기
eBook 장바구니 담기
eBook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배송상품이 아닌 다운로드 받는 디지털상품이며, 프린트가 불가합니다.
이용 안내
다운로드
 iOS APP Android APP PC 크레마

기본정보
제공 파일 : ePub(44.25 MB)
TTS 여부 : 지원
종이책 페이지수 393쪽, 약 20.3만자, 약 6.6만 단어
가능 기기 : 크레마 그랑데, 크레마 사운드, 크레마 카르타, PC,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폰/탭, 크레마 샤인
ISBN : 9788989590804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eBook > 건강/취미/레저 > 정신건강
eBook > 에세이 > 명상에세이
eBook > 에세이 > 외국에세이
eBook > 자기계발 > 인간관계 > 인간관계 일반
eBook > 자기계발 > 힐링 > 마음 다스리기
이벤트

6월 특별 선물! 오로라 유리컵.본투리드 머들러(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크레마 카르타G 출시! 1만원 할인, 본투리드 굿즈를 함께 (마일리지 차감)

오늘의 추천 eBook (일반) + 6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오늘의 추천 eBook(장르) + 6월 쿠폰북 (매일 적립금, 10% 쿠폰)
책소개세계적인 영적 지도자인 바이런 케이티가 모든 스트레스에서 해방되어 마음의 평화와 행복을 누리는 법을 들려준다. 그녀는 모든 스트레스와 고통의 원인은 생각을 믿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네 가지 질문과 뒤바꾸기로 이루어진 그녀의 '작업'은 모든 생각의 족쇄를 부수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방법이다. 생각에서 풀려나면 스트레스는 사라지고 즉시 평화가 찾아온다.

'작업'은 가족이나 친구 간의 갈등이나 인간관계, 심리적인 문제뿐 아니라 우리가 겪는 세상의 모든 문제에 적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혁명적인 도구이다.

시사주간지 타임은 그녀를 새 시대의 영적 지도자로 선정했으며, 에크하르트 톨레는 "바이런 케이티의 '작업'은 우리 지구별에 위대한 축복"이라고 극찬했다. 오프라 윈프리는 자신의 소울 시리즈에 바이런 케이티를 초대하여 전 세계의 시청자들에게 소개했다. 29개의 언어로 번역 출간된 세계적 베스트셀러이며, 2003년에 초판 발행했던 책을 새롭게 번역하여 다시 펴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이 책에 대하여

1. 몇 가지 기본 원칙
2. 완전한 자유의 길
3. 대화로 들어가며
4. 부부와 가족생활에 대해 작업하기
5. 더 깊이 탐구하기
6. 일과 돈에 대해 작업하기
7. 자기비판에 대해 작업하기
8. 아이들과 작업하기
9. 밑바탕 믿음들에 대해 작업하기
10. 생각이나 상황에 대해 작업하기
11. 몸과 중독에 대해 작업하기
12.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상황과 친해지기
13. 질문과 답변
14. 스스로 작업하기

부록 스스로 작업한 사례들

책속에서
P. 36 나는 지금 있는 현실을 사랑합니다. 내가 영적인 사람이어서가 아니라, 현실과 다투면 나 자신이 괴롭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현실이 지금 있는 그대로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실과 다투면 긴장하고 좌절하기 때문입니다. 그럴 때는 마음이 편안하거나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우리가 현실에 맞서기를 멈출 때 행동은 단순하게, 물 흐르듯이, 친절하게, 두려움 없이 일어납니다.  접기
P. 41-42 이제껏 내가 경험한 모든 스트레스는 진실하지 않은 생각에 집착한 까닭에 일어났습니다.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생각 뒤에는 늘 자기에게 진실하지 않은 생각이 있습니다. “바람이 계속 불면 안 돼”나 “남편은 내 말에 동의해야 해”와 같은 생각들. 우리는 현실에 반하는 생각을 믿고, 그 뒤 스트레스를 느끼고, 다음에는 그 느낌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스스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만들어 냅니다. 최초의 원인인 생각을 이해하는 대신에, 우리 바깥을 바라봄으로써 스트레스 받는 느낌을 바꾸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일시적인 위안과 스스로 통제하고 있다는 환상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을 바꾸려고 애쓰거나 섹스, 음식, 술, 마약, 돈 등에 기대려 합니다.  접기
P. 259 질문할 수 없는 생각이나 상황은 없습니다. 모든 생각, 모든 사람, 그리고 문제처럼 보이는 모든 것은 당신의 자유를 위해 여기에 있습니다. 어떤 것이 자신에게서 분리되어 있거나 받아들일 수 없다고 느껴지면, 질문해 보세요. 그러면 그 생각을 믿기 전에 느꼈던 평화를 다시 누릴 수 있습니다. 세상에 살면서 조금이라도 불편한 마음이 들거든 ‘작업’을 하세요. 모든 불편한 느낌이 있는 까닭은, 아픔이 있는 까닭은, 돈이 있는 까닭은, 담벼락과 구름과 개와 고양이와 나무가 있는 까닭은, 세상 모든 것이 있는 까닭은 바로 이것을 위해서입니다―당신의 자기 깨달음. 그 모든 것은 당신의 생각이 거울에 비치듯 비친 모습들입니다. 자유를 원한다면 그것을 판단하고, 조사하고, 뒤바꿈으로써 자유로워지세요.  접기
P. 266 몸은 생각하거나 상관하지 않으며, 자기에게서 아무런 문제점도 보지 못합니다. 몸은 자기를 때리거나 모욕하지 않습니다. 몸은 그저 스스로 조화롭게 유지하고 치유하려 할 뿐입니다. 몸은 완전히 효율적이며, 지성적이고, 친절하고, 슬기롭습니다. 생각이 없으면 문제도 없습니다. 우리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은 우리가 믿는 조사되지 않은 이야기입니다. 나의 아픔은 몸의 잘못이 아닙니다. 나는 내 몸에 대한 이야기를 얘기하면서, 내 몸이 문제이며 이것이나 저것이 바뀌기만 하면 내가 행복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 생각을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접기
우리가 느끼는 모든 스트레스는 지금 있는 현실과 다투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p35

그 일은 일어나야 했습니다. 그 일이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세상의 어떤 생각도 그 사실을 바꿀 수는 없습니다. 용납하거나 시인해야 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지금 일어나는 일을 거부하지 않으면서, 마음의 갈등과 혼랍 없이 지켜볼 수 있다는 뜻입니다. p36

나는 지금 있는 현실을 사랑합니다. 내가 영적인 사람이어서가 아니라, 현실을 거부하면 나 자신이 괴롭기 때문입니다. p36

우울과 아픔, 두려움은 “지금 당신의 생각을 바라보세요. 당신은 지금 자기에게 진실하지 않은 이야기 속에 빠져 있어요”라고 말해 주는 선물입니다. 진실하지 않은 이야기에 따라 살면 언제나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p42

당신이 지금까지 기다린 스승과 치유자는 바로 당신 자신입니다. p66

어느 누구도 당신을 아프게 할 수 없다는 말이 이해될 거예요. 당신을 아프게 할 수 있는 사람은 당신뿐입니다. p92

지금 우리 앞에 나타나는 일을 하는 데에 열리고, 기다리고, 신뢰하고, 사랑하며 그렇게 단순하게 살면, 우리의 삶에는 생명력이 넘치게 됩니다. p245-6

당신의 바깥에는 당신이 찾고 있는 것을 줄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p265  접기 - learningbydoing
저자 및 역자소개
스티븐 미첼 (Stephen Mitchell)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예일대학, 파리대학 등에서 수학했으며 지은 책으로 <개구리 왕자>, 옮긴 책으로 <도덕경>, <바가바드 기타> 등이 있다.
최근작 : <당신의 아름다운 세계>,<네 가지 질문>,<부처가 부처를 묻다> … 총 183종 (모두보기)
바이런 케이티 (Byron Katie)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세계적인 영적 스승 바이런 케이티는 ‘생각’에 대한 믿음이 모든 스트레스와 고통의 원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모든 생각에서 해방되어 완전한 자유와 평화에 이르는 단순하면서도 경이로운 방법인 ‘작업’(The Work)을 창안했다. ‘작업’은 네 가지 질문과 뒤바꾸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단한 질문으로 생각의 족쇄에서 풀려나 평화로운 마음을 경험하게 한다. 시사주간지 타임(TIME)은 그녀를 새 시대의 영적 지도자로 선정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사막지대의 소읍인 바스토우에서, 세 자녀를 둔 어머니이자 부동산 중개인으로... 더보기
최근작 : <당신의 아름다운 세계>,<기쁨의 천 가지 이름>,<그 생각이 없다면, 당신은 누구일까요? 2> … 총 74종 (모두보기)
김윤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자유롭고 평화로운 삶으로 안내하는 글들을 우리말로 옮기고 소개하는 일을 하고 있다. 그동안 번역한 책으로는 《네 가지 질문》 《기쁨의 천 가지 이름》 《가장 깊은 받아들임》 《아잔 차 스님의 오두막》 《마음은 도둑이다》 《지금 이 순간》 《영원으로 가는 길》 《오늘 하루가 선물입니다》 등이 있고, 공역한 책으로는 《사랑에 대한 네 가지 질문》 《요가 수업》 《아쉬탕가 요가의 힘》 등이 있다.
최근작 : <철학을 좋아하게 만드는 책> … 총 20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29개의 언어로 번역 출간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타임지가 새 시대의 영적 지도자로 선정한
사랑의 현자 ‘바이런 케이티’의 혁명적인 행복 레시피!

우리 모두가 정말 원하는 것은, 결국 행복이다. 사람들마다 바라는 소원들은 수없이 다양하고 다를 수 있지만, 그 소원들을 통해 이루고 싶은 것도 결국은 행복이다. 그렇지 않은가? 의식하든 못하든, 당신은, 나는, 우리는 행복하게 살고 싶은 것이다. 문제는 언제나 이것이다.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는가? 이 책은 이 질문에 분명한 해답을 제시한다.

바이런 케이티, 절망의 한가운데에서 평화와 기쁨으로 깨어나다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사막지대의 소도시 바스토우에서, 세 자녀를 둔 어머니이자 부동산 중개인으로 평범하게 살던 케이티는 이혼을 계기로 점점 우울증이 심해졌고 분노와 좌절감에 빠져들었다. 급기야 죽고 싶은 충동에 사로잡히게 된 그녀는 결국 1986년에 스스로 요양원에 들어갔다. 보름쯤 지난 어느 날 아침, 요양원 다락방에서 홀로 자던 그녀는 홀연히 (사람들이 깨달음이라고 부르는) 절대 기쁨의 상태로 깨어났다.

“나를 괴롭히던 모든 분노와 생각, 내 모든 세상, 온 세상이 사라지고 없었습니다. 동시에 깊은 곳에서 웃음이 솟아나와 넘쳐흘렀습니다. 아무것도 알아볼 수 없었습니다. 마치 다른 무엇이 깨어난 것 같았습니다. ‘그것’은 자기의 눈을 떴습니다. ‘그것’은 케이티의 눈을 통해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기쁨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기쁨에 취해 있었습니다. 그것과 분리되어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고, 그것이 받아들이지 못할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모든 것은 바로 그것 자신이었습니다.”

스트레스 해방의 바이블!
생각을 믿지 않으면 스트레스는 없다

그때 케이티가 발견한 진실은 단순한 것이었다.
모든 스트레스의 원인은 ‘생각’을 믿기 때문이라는 것.

생각을 믿으면 스트레스와 고통을 받고, 생각을 믿지 않으면 평화롭고 행복하다는 것이다. 이런 생각 중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현실이 지금과는 달라야 한다’는 생각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더 친절해야 해”, “아이들은 예의바르게 행동해야 해”, “이웃들은 밤에 떠들지 말아야 해”, “마트 계산원은 더 빨리 계산해야 해”, “남편(아내)은 내 말에 동의해야 해”, “나는 더 날씬해야 해, 더 예뻐야 해, 더 성공해야 해”와 같은 생각들은 현실이 지금과 달라야 한다는 생각들이며, 이런 생각을 믿을 때 우리는 예외 없이 스트레스와 고통을 받는다.

케이티의 경우, 그녀는 양말을 거실 바닥에 벗어 놓는 자녀들 때문에 줄곧 스트레스를 받았다. 세탁바구니에 양말을 넣으라고 수없이 잔소리를 하고 나무랐지만 바뀐 것은 거의 없었다. 그 때문에 케이티는 번번이 화가 나고 우울했는데, 깨어난 뒤로는 바닥에 놓인 양말 자체가 아니라, “아이들은 양말을 세탁바구니에 넣어야 해”라는 생각을 믿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자 즐겁게 양말을 주울 수 있었고, 나중에는 말하지 않아도 자녀들이 양말을 줍게 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사소한 예일 수 있지만 이 원리는 모든 경우에 똑같이 적용된다. 부부나 연인 간 갈등도, 부모자녀 간 불화도, 인간관계의 문제도, 화나 불안, 우울증, 강박관념 같은 심리적인 문제들도, 질병과 관련된 고통에 대해서도, 심지어 개인의 범죄뿐 아니라 인종학살 같은 끔찍한 집단 범죄들, 나라 간의 전쟁도 그 원인을 들여다보면 반드시 어떤 생각에 대한 믿음이 있다. 어떤 생각을 믿기 때문에 어떤 반응과 행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런 인과관계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반응을 조금만 살펴보면 누구나 알아차릴 수 있다.

이 책에서 갖가지 문제들로 고통 받던 사람들이 케이티와 대화를 하면서 하나같이 상상하지 못했던 해방감을 느끼고 평화를 되찾는 이유는 그런 원리 때문이다. 생각에 대한 믿음이 문제의 원인이므로 생각에서 자유로워지면 모든 문제와 고통에서 해방될 수 있는 것이다.

생각의 족쇄에서 해방되는 혁명적인 방법!
네 가지 질문과 뒤바꾸기

에크하르트 톨레가 인간의 상태를 “생각의 감옥에 갇힌”이라고 표현했듯이, 우리는 생각이라는 보이지 않는 감옥에 갇혀 있다. 생각에 대한 믿음과 집착은 고질적인 습관이 되어 버렸기에 벗어나기가 너무 어려워진 것이다. 그래서 생각에서 해방되고 싶어도 그러질 못한다. 그러니 어떻게 하면 생각에서 해방되어 마음 편히 즐겁게 살 수 있을까?

참된 현실로 깨어나면서 케이티는 모든 생각의 족쇄에서 해방되는 강력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발견했다. 네 가지 질문과 뒤바꾸기로 이루어진 ‘작업’(The Work)이 그것이다.

예를 들어, 남편의 태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데, 그 원인이 “남편은 나를 무시해”라는 생각임을 발견했다고 하자. 이 생각에 대해 아래의 네 가지 질문을 차례차례 묻고 대답을 해본다. 그 다음에는 뒤바꾸기를 한다.

그게 진실인가요?
그게 진실인지 당신은 확실히 알 수 있나요?
그 생각을 믿을 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나요?
그 생각이 없다면 당신은 누구일까요?

그리고 뒤바꾸기를 한다.

이렇게 네 가지 질문을 하다 보면, 스트레스를 받은 원인은 사실은 남편 자체가 아니라, 남편에 대한 생각임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뒤바꾸기를 하면, “남편은 나를 무시하지 않는다, 나는 남편을 무시한다, 나는 나를 무시한다”라는 정반대의 문장들이 나오며, 이 문장들이 얼마나 진실에 가까운지를 살펴보게 된다. 열린 마음으로 ‘작업’을 하면, 그동안 밉게만 보이던 남편이 갑자기 사랑스러워지는, 생각지도 못한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생각에 대한 집착에서 풀려나면 그런 경험을 하게 된다.

이것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모든 문제는 결국 생각의 문제이므로 케이티의 ‘작업’은 우리의, 세상의 모든 문제에 똑같은 방식으로 적용된다. ‘작업’이 어느 상황에서나 효과를 발휘하는 만병통치약인 까닭은 이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작업’은 우리가 미처 보지 못했던 지금 있는 현실의 아름다움을 보게 해준다. 그리고 생각에서 완전히 해방되면 완전한 평화와 행복과 사랑을 누릴 수 있다고 한다.

“바이런 케이티의 ‘작업’은 우리 지구별에 위대한 축복입니다.”
_에크하르트 톨레

이 책은 삶에서 마주치는 온갖 문제들을 네 가지 질문을 이용하여 쉽고 명쾌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자세히 안내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제로 고민하는 사람들―주식에 투자했다가 망한 사람, 배우자가 바람을 피워 괴로운 사람, 심장병을 앓는 남자, 부하직원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사람, 심하게 울어대는 아기 때문에 상심한 엄마, 가족의 죽음으로 괴로워하는 사람, 죽음이 두려운 사람, 성폭행 당한 기억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여성 등―이 바이런 케이티와 대화하면서 네 가지 질문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참된 평화와 행복을 찾는 17편의 사례가 함께 실려 있다.

바이런 케이티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영적 지도자 중 한 명이며, 시사주간지 타임은 그녀를 새 시대의 영적 지도자로 소개했다. LA 타임스 매거진,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퍼시픽 선, 바디 앤 소울 등 다수의 언론매체에서 그녀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으며, 오프라 윈프리도 소울 시리즈에 초청하여 전 세계의 시청자들에게 소개하였다.

2003년에 초판 발행한 것을 새롭게 번역하여 펴냈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9) 읽고 있어요 (5) 읽었어요 (29)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
6.7% 20대 6.7%
33.3% 30대 13.3%
6.7% 40대 3.3%
13.3% 50대 10.0%
0% 60대 6.7%
여성  남성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4)
전체 (5)
공감순
    
제가 하는 마음공부 수업에서 에크하르트톨레 님의 책과 더불어 가장 많이 인용하는 책입니다. 저의 마음공부 관련 추천 책 30 종류 중에 가장 위에 자리하기도 합니다. 더 널리 알려지길 바랍니다. 그야말로 지구별로 배달된 소중한 선물입니다. ^^  구매
타박타박 2019-10-28 공감 (2) 댓글 (0)
Thanks to

공감
    
우리가 싫어하는 상황이 바로 우리가 그동안 찾아온 것, 곧 우리 자신으로 들어가는 입구입니다. p.74  구매
ooohcoach 2019-10-16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책은 자신이 꺠달은 경험을 이야기해주는 식이지만 이 책은 플라톤의 대화편처럼 서로 대화하면서 자신이 무엇을 잘못보고 있는지 질문을 통해 알게해주는 형식이다.
 구매
mongyoang 2016-02-11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내용이 다소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습니다. 저자가 하라는대로 하다보니, 화가 나기도 하고, 내가 지금 뭐하고 있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연유인즉, 내가 나를 객관적으로 보기 시작하니,나에 대한 사실이 내가 인정하기 싫어서였습니다. 아니러니하게도, 인정하니 마음이 편해집니다. 읽어보세요  구매
kangim 2019-07-2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3)
전체 (5)
리뷰쓰기
공감순
    
바이런 케이트를 만나다.. 새창으로 보기
1. 그게 진실인가요?

2. 당신은 그게 진실인지 확실히 알 수 있나요?

3. 그 생각을 생각할 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나요?

4. 그 생각이 없다면, 당신은 누구일까요?

뒤바꿔보세요.



이 네 가지 질문으로 삶이 평안해진다?

믿기 어려웠지만 함께 심리상담 일을 하는 형의

강력한 추천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가장 간단하고 핵심적인 인지치료의 정수' 라더니

거짓말이 아니었다.



당시 대학에서 상담을 하고 있던 내게

이 책은 내 상담의 비장의 무기 중 하나가 되었다.

단순하고 정직하게 그리고 섬세하게

간단한듯 심오한 질문을 하고 내담자의 대답을 따라가는 가운데

많은 친구들이 '아!' 하는 경험을 했다.



솔직히 안 쉽다.

간단할수록 깊이와 정도를 조율하기가 까다롭다.

그러나 기억하고, 사용하라.

정직하게 네 가지 질문 앞에 서라.

성장이 있다.

- 접기
슝슝 2015-01-23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사실의 영역과 의미의 영역 새창으로 보기 구매
우리는 우리가 언어를 이용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언어가 우리를 지배한다. 언어가 등장하여 지각을 물들일 때, 우리의 지각은 사실의 영역에서 의미의 영역으로 넘어가게 된다. (‘나’는 언어가 만들어낸 의미의 세계에서 살아간다.) 그러나 사실의 영역에 머무를 땐 ‘나’도 하나의 사실이 된다. 생각도, 모든 것도, 심지어 탐진치조차 해석되지 않고 사실의 영역으로 보아질 때는 번뇌가 아닌 것이다.



생각에 함몰된 지각이 생각 속에서 빠져나와 그 바탕에서 생각을, 언어적 사유를 응시하게 될 때. 우리는 그러한 사유와 생각이 우리가 눈을 깜빡이거나 코로 숨을 쉬는 것과 같은 생리적 부수작용에 불과함을 깨닫게 된다. 그리하여 생각과의 동일시로부터 벗어난 삶은 놀랍도록 가뿐해진다. (요점은 생각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해석하지 않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각이 '나'라고 얘기하는 것을 진짜 '나'라고 믿습니다. 어느 날, 숨 쉬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님을 알게 되었습니다. 나는 숨쉬어지고 있었습니다. 또 놀랍게도, 생각하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니었습니다. 실제로는 내가 생각되어지고 있었고, 생각은 개인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나는 오늘 생각하지 않겠다"고 생각해도, 이미 늦습니다. 이미 생각하고 있습니다. 생각은 저절로 나타납니다. 구름이 텅 빈 하늘을 가로질러 흘러가듯, 생각은 허공에서 나와 허공으로 돌아갑니다. 생각들은 와서 머무르지 않고 지나갑니다. 진실이라 믿고 집착하지만 않으면, 생각은 조금도 해롭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생각을 통제할 수 있었다는 사람들에 대해 얘기하지만, 그럴 수 있었던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나는 생각을 놓아주지 않습니다. 생각을 이해로 만납니다. 그러면 생각이 나를 놓아줍니다.



생각은 산들바람이나 나뭇잎,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방울과 같습니다. 생각은 그렇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우리는 질문을 통해서 생각들과 친구가 될 수 있습니다. 당신은 빗방울과 다툴 수 있나요? 빗방울은 개인의 것이 아니며, 생각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괴로운 생각을 이해로 만나면, 다음에 그 생각이 나타날 때는 흥미롭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전에는 악몽이었던 생각이 이제는 재미있게 느껴집니다. 다음에 그 생각이 또 나타날 때는 웃을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아예 알아차리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지금 있는 현실을 사랑하는 힘입니다.



------p.38~39, 바이런 케이티 저, <네 가지 질문>



바이런 케이티는 미국의 떠오르는 영성가 중 한 명이다. 그녀는 삶의 부조리한 고통이 '생각'을 직면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녀는 사람들에게 생각의 대상성을 깨닫게 하기 위해 잘 정제된 네 가지 질문을 던진다. 그는 아주 정교한 외과의처럼, 사람들이 갖고 있는 '생각에 대한 믿음'을 예리한 질문 몇가지로 해체시킨다.



이를테면 이런 것. 현재 자기 자신에게 문제가 되는 명제를 이야기하도록 한다. 이를테면 '그(그녀)는 나를 괴롭게한다'라는 식의. 바이런 케이티는 이 명제에 스스로 네 가지 질문을 던지게 한다. 첫번째 질문, 그것이 진실인가? 두번째 질문, 그것이 진실인지 확실히 알 수 있는가? 세번째 질문, 그 생각을 믿을 때 나는 어떻게 반응하는가? 네번째 질문, 그 생각이 없다면 나는 누구인가?



자신이 문제라고 믿고 있는 현상들에 대해, 그것이 있는 그대로의 현상이 아닌, 현상에 대한 자신의 해석(생각)임을 확인케하고, 그 해석(생각)의 대상성을 부각하여 생각이 내가 아님을 깨닫게하는 과정이다. 저자는 특별한 지도자 없이도 스스로 종이에 네 가지 질문을 적어가며 자신의 '생각에 대한 믿음'을 해체시킬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녀는 아주 예리하고 심플한 기법을 통해 '생각'을 조사케하고, 그 조사의 결과로 고통으로부터의 자유를 얻게 한다. 저자 자신도 언급하듯이, 이 기법은 마치 달마와 혜가가 나눈 안심법문을 연상케한다.



그녀는 현상을 다루지 않는다. 현상에 대한 해석을 다룬다. 우리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현상이 아닌, 현상에 대한 해석임을 직시하게 만든다. 그래서 그녀의 가르침은 현실적인 상황들을 직접적으로 변화시키지 않는다. 단지 그 현실적 상황들을 받아들이는 관점의 전환만을 이야기할 뿐이다. (이것은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가르침과도 일맥상통한다)



마음은 생각을 통해서만 자기의 본질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생각 말고 또 무엇이 있나요? 마음이 달리 어떻게 자기를 발견할까요? 마음은 자기를 위해 실마리들을 남겨 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마음은 스스로 자기의 빵 부스러기들을 떨어뜨렸음을 깨닫게 됩니다(헨젤과 그레텔 이야기에서 인용함-옮긴이). 마음은 그것 자체로부터 나오지만, 아직 그 사실을 깨닫지 못했습니다. 탐구는 빵 부스러기들이 그것 자체로 돌아가게 하는 빵 부스러기입니다. 모든 것은 모든 것으로 돌아갑니다. 없음은 없음으로 돌아갑니다.



------p.364, 바이런 케이티 저, <네 가지 질문>



- 접기
닭 2020-03-18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처음 만나는 자유 새창으로 보기 구매
바이런 케이티는 '질문'이라는 방법으로 우리를 리얼리티로 인도합니다. 그동안 애가 얼마나 생각속에서만 살고 있었고 나를 힘들게 하는 갈등의 모든 것이 바로 그 생각이었음을 이해를 통해 만나도록 권합니다. 질문을 통해 자신을 만나는 시간은 때로는 고통스럽고 그만두고 피하고픈 나와 다툴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자유를 원한다면 이 순간 정면으로 그 질문을 쳐다보고 대답해야합니다. 그리고 그 순간 우리는 예상치도 못했던 자유와 만나게 됩니다. 본래 있었지만 생각의 그림자로 감추어져 있던 나의 진정한 모습은 아름답기 그지없습니다. 머리로 이해하며 마음을 이해하는 것과 달리 질문이라는 구체적인 방법은 분명히 나에게 자유를 선사할 것입니다. 함께 그 질문의 모험에 참여해보시길 적극 권합니다~~

- 접기
joonoo815 2015-01-23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생각을 깨우는 질문과 방법찾기 새창으로 보기 구매
일반적으로는 자신이 깨달은 내용을 줄줄이 적어놓는 방식으로 책을 썼다면 이 책은 질문을 토대로 자신이 직접 성찰하게 만드는 방식이 특이하다.
mongyoang 2016-01-16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바이런 케이티의 '네 가지 질문'을 읽고 새창으로 보기
세계적인 영적 지도자인 바이런 케이티는 자기 자신과 삶에 대한 관점을 혁명적으로 바꾸는 방법인 ‘작업(The Work)’을 창안했습니다. ’작업‘은 네 가지 질문과 뒤바꾸기로 이루어진 자기탐구의 방법입니다.



바이런 케이티는 이혼을 계기로 심한 우울증과 자살충동에 시달리며, 결국 요양원 생활을 하던 어느 날 아침, 요양원 다락방에서 고통이 없는 기쁨의 상태로 잠에서 깨어났으며, 그 깨달음의 자유가 그 뒤로 지속되었고, 인생의 모든 문제들이 치유되며 항구적인 평화를 얻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그 순간부터 모든 것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려졌고, 스스로 자신의 삶을 바꿨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에게 인식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하고 있습니다.



네 가지 질문과 뒤바꾸기는 아래와 같이 아주 단순하고, 명쾌합니다.

1. 그게 진실인가요?

2. 당신은 그게 진실인지 확실히 알 수 있나요?

3. 그 생각을 생각할 때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나요?

4. 그 생각이 없다면, 당신은 누구일까요?

그리고

뒤바꿔보세요.



정말 간단합니다. 우리는 매번 진실이 아닌 생각을 가지고 여러 가지 많은 감정과 생각을 떠올리고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 대해, 우리가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네 가지 질문을 던집니다. 순서에 따라 진술을 하고 나면, 모든 것은 내 생각에 대한 믿음이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또한 탐구라는 과정을 통해 이것을 바꿔가고, 올바른 믿음으로 향하게 됩니다. 내가 힘든 것은 항상 타인 때문이라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나를 힘들게 하는 건 그들에 대한 나의 생각이었고, 그 생각에 대한 믿음이 부정적이었음을 깨닫게 되듯이 말입니다.



네 가지 질문은 우리가 믿고 있는 생각을 의심하는데서 출발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불행하다. 왜냐하면 나는 현재 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라는 진술을 종이에 썼다고 가정해 보면, 과연 그 생각이 진실인가? 그리고 나는 그 생각이 진실인지 확실히 알 수 있는가? 그 생각을 생각할 때 나는 어떻게 반응하는가? 그리고 그 생각이 없다면 나는 누구일까? 네 가지 질문에 맞춰 답을 해나가다 보면, 그 동안 근거 없는 생각을 믿어 왔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즉 내 고통의 원인은 내 생각임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생각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생각을 저자는 생각을 통제하거나 내려놓을 수는 없다고 말합니다. 대신 생각을 조사하고 이해하면, 생각이 나를 놓아준다고 말합니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게 되면 그것은 아무런 문제가 안됩니다. 우리가 마음의 갈등을 느끼는 순간은 언제나 과거 또는 미래에 대한 생각이 들어차 있을 때입니다. 사람들은 늘 남의 일이나, 신의 일에 대한 생각으로 힘들어한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거짓된 생각을 진실이라고 믿음으로서 삶의 참 모습을 제대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현실은 고통스럽습니다. 삶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그것을 바라보는 내 생각이 문제라는 것입니다. 네 가지 질문은 뭔가를 바꾸려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삶을 지금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하려는 것입니다. 네 가지 질문을 통해,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었던 생각들이 사실은 진실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고, 그 깨달음을 통해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던 많은 문제들이 사실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렇게 인식하는 순간 삶은 휠씬 편안해지고, 새로운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가지게 됩니다. 그저 막연하게 보이는 이 질문들을 통한 ‘작업’이 모든 생각의 족쇄를 부수는 강력한 치유의 방법인 것입니다.



우리 모두는 행복해지기 위해 이 세상을 살아갑니다. 행복하게 사는 일은 모든 사람들이 바라고, 추구하는 이상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요? 우리는 진실이 아닌 생각을 가지고 여러 가지 많은 감정과 생각을 떠올리고 있습니다. 네 가지 질문을 통해 잘못된 생각을 바로잡아나간다면 생각의 구조가 바뀌고, 편협된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으로 문제를 보게 되는 것만으로도 행복하게 세상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뭔가 내 머리 속에서 불편한 생각이 떠오른다면 “그 생각이 진실인가?”라는 질문을 합니다. 진실이라고 믿었던 생각들이 사실은 거짓이고, 왜곡된 생각임을 인지하게 된다면,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그 생각으로부터 벗어나 항상 평화롭고 행복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 나를 힘들게 하는 생각이나 상황에 처해 있다면 바이런 케이티님의 <네 가지 질문>을 통하여 새로운 생각의 틀로 바꿔보시기를 권합니다.



만일 내게 기도가 있다면 이러할 것입니다. “신이시여, 부디 저를 사랑받고 인정받고 존중받으려는 욕망으로부터 구해 주소서, 아멘”







- 접기
품앗이 2015-01-31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페이퍼
전체 (2)
페이퍼 쓰기
좋아요순
2018 첫 책 구매와 2017년에 읽은 책 목록 새창으로 보기
            새 해의 첫 책을 3권 주문하고 시간이 더 가기 전에 2017년 읽은 책을 정리해야겠다.눈이 피곤해서  책보다는 드라마의 재미에 눈을 뜬 해이기도 했는데그래도 그럭저럭 70여권은 읽은 것 같다.                    &nbs... + 더보기
혜덕화 2018-01-02 공감 (15) 댓글 (0)
Thanks to

공감

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