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22

Sung Deuk Oak [Public의 뜻]요즘 public thelogy라는 말을 많이 쓴다.

(5) Facebook

Sung Deuk Oak

[Public의 뜻]요즘 public thelogy라는 말을 많이 쓴다. 

100년 전에는 public health(보건, 공중보건)라는 말이 유행했다.
병원을 차려 놓고 찾아오는 환자 개인을 치료하던 방식에서, 병원에 오기 어려운 민중 속으로 들어가서 가정과 마을과 공동체의 건강을 향상시킨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었다. 농촌으로, 도시 빈민촌으로, 학교로, 공장으로, 가정으로, 의사와 간호원들이 들어가 위생 사업, 예방주사, 전염병 예방 교육, 영유아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모자 교육, 우유 공급, 탁아소 사업 등을 실시했다. (1928년 예루살렘 국제선교대회 후 농촌 사업 적극 추진)
교회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교회에 직장을 둔 목사나 전도사가 아니라, 교회 안으로 들어오지 않는 일반민을 위해서 밖으로 나가서 마을 속에서, 직장에서, 학교에서 그들의 고통과 질병을 치유하는 목회/신학 개념은 그리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오늘의 공중/공공 신학은 무엇이 다른가? 당장은 내 일로 인해 공부할 수 없으니, 미리 공부하신 분들이 댓글에 간단히 공부 입문과 과정을 지도처럼 그려주면 좋겠다. 
내가 이해하는 공적 신학의 출발은, 종교/기독교가 'politically correct'한 일반 시민의 공적 차원에서 설 자리와 발언권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공적 신학의 이름으로 기독교 신학도 다른 학문이나 영역처럼 동등하게 하나의 영역을 차지하고, 고유의 목소리를 내고 대화하고 참여하자는 뜻에서 나온 것으로 안다. 

한국에서는 공공 차원에서 신학의 목소리가 먹히는지, 안 먹힌다면 누구 책임인지 궁금하다. 예를 들면 신학자의 논문/책을 일반인이 읽는가? 기독교 신문을 일반인이 읽는가? 신학자의 공공 신학 유투브를 일반인이 보는가? (신학 강좌에 50명 시청, 고양이 동영상 하나에 5,000명 시청.) 여전히 내가 차려 놓은 밥상에 와서 먹으라는 식은 아닐까? 기독교와 타종교와의 대화도 중요하지만, 기독교와 사회/정치/경제/문화와의 대화/참여가 더 중요하다. 공적 신학이 학자들의 놀이터가 아니라면, 논문이나 책이 아니라, 어디서 발설되고 실천되어야 할까?  

100년 전 한국에서 공중 보건 사업에 기독교인 의사와 간호사들이 적극 참여했다. 특히 신생아, 유아, 어린이, 산모의 보건 사업의 대부분은 그들이 수행했다. 탁아소와 유치원도 기독교에서 먼저 시작했고 추진해 나갔다. 지금으로 치면 사회복지 사업을 "public health" 이름으로 실천했다. 

한국의 기독교인 의료진과 의료 사업이 병원 확장에 몰려 있다면, 이는 대형 교회 현상과 무엇이 다른가? 최신, 첨단, 편리, 규모, 브랜드의 이름으로 개교회 중심주의, 개병원 중심주의를 추진하다 보면 결국 사유화, 집단이기주의로 가고, 잠시 흥행하는 듯해도, 지속가능하지 않아 몰락한다. 그들에게 퍼블릭의 개념은 어디에 있을까?
하나님은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지만, 교회와 병원은 '자신의 브랜드 가치'를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의 십자가를 채플에 가두어 둔다고 하면 과언일까? 한국 사회가 병들어 있다면, 교회는 어디로 들어가야 할까? (예장 통합 총회는 브랜드 가치도 까먹고 있지만...)
#옥묵상

4 comments


Shin-sung Kong
평신도 운동 ,작은 교회 연합 운동이 필요해 보입니다...신세대를 감당하기 어려워 보입니다...중대형 교회라도 소그룹 운동이 필요해 보이기도 하군요...젊은 새대들이 점점 개인주의화되니...자기에게 적합한 교회 ,적합한 신앙?? 를 찾아 나서는 것 같고...한국 교회가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이대로 가면 서구처럼 문닫는 교회가 늘어날 것 입니다...이미 시작이 된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요....
Reply9 h
"Most relevant" is selected, so some replies may have been filtered out.

Author
Sung Deuk Oak
Shin-sung Kong 어려운 시절, 평신도가 나설 분야가 있겠지요.
===
공적 신학 위키백과

공적신학 (Public theology)은 일반 은총에 근거하여 기독교인들이 교회와 사회의 일반적인 관심에 대하여 참여와 대화를 추구하는 신학이다. 공공 신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독교 신학은 사회를 향해서 말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더불어 대화한다.  이것은 공적으로 이해될수 있으며, 공적 토론과 비판적 질문을 갖는 방법으로 제시되어야 한다.[1]

주제의 발전
공적 신학을 처음으로 만든 학자는 시민 종교에 반대한 마르틴 마티(Martin Marty)이다.[2] 시민종교는 일반적으로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서 종교에 더 치우치지만, 공적 신학은 기독교인의 관점에 뿌리를 가지고 사회와 국가에서 기독교인들의 공헌에 더욱더 정체성을 둔다.[3]

데이비드 트레시(David Tracy)도 공적 신학에서 공적인것이 무엇인가에 질문을 던진다,[4] .[5]

비판
공적신학은 주제의 광범위성으로 인해 특정 문제에 대하여 전문적인 접근과 전문적인 방법에 대한 결여를 나타낸다고 한다.[5]

===
 Forrester 2004.
 Marty 1974.
 Stackhouse, Max L. (2004). “Civil Religion, Political Theology and Public Theology: What’s the Difference?”. 《Political Theology》 5 (3).
 Stackhouse 1998.
 Kim 2011.
===

Public theolog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Public theology is the Christian engagement and dialogue within the church and especially with the larger society. It seeks the welfare of the state and a fair society for all by engaging issues of common interest to build the common good. This is Christian theology that talks with society not just to society.[1] This is done by presenting the Christian position in a way that can be publicly understood and thereby open to public debate and critical enquiry.[2]

Key developments[edit]

The term public theology was first coined by Martin Marty to contrast against civil religion.[3] Civil religion looks more generally at religion in relation to the state, whereas public theology is rooted in a Christian standpoint and identity as it considers its contributions to the society and the state.[4][page needed]

David Tracy asked what the "public" in "public theology" meant. He identifies three publics that public theology should try to engage in dialogue with: the society, the academy and the church.[5] He suggests that, given these publics, the language and rationale used should be openly accessible by all and not couched in theologically elitist terms. Since Tracy identified these three publics, others have suggested the addition of other "publics" such as economics,[6] law,[7] the market, media, and other religious communities.[8]

Harold Breitenberg suggests that most literature on public theology falls into one of three classes.[9] Firstly, there are studies on key public theologians and how they understand the topic.[10] Secondly, there are discussions on the nature and the shape of public theology.[11] Lastly, there is "constructive public theology" which is the actual doing of public theology.[12] The first two aim at developing public theology as a field of study while the last one i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t.[13]

Some notable figures in this field are Dietrich BonhoefferWilliam TempleMartin Luther King Jr.Desmond TutuJürgen MoltmannRonald ThiemannDorothee SoelleJohn Courtney MurrayReinhold NiebuhrDuncan ForresterMax Stackhouse, and Sebastian C. H. Kim.

Common traits[edit]

While there is no authoritative definition or corpus of books on public theology, there are several common traits which are observable in varying degrees. Katie Day and Sebastian Kim note six common "marks" of public theology. Firstly, public theology is often incarnational. It is not confined to the church but meant to be relevant to people outside of it as well. It is meant to be realistic and concerned with all aspects of societal life. Secondly, there is often discussion over which public(s) to engage and the nature of the public sphere. Thirdly, it is interdisciplinary because it draws on other fields of study in order to be more relevant to society. Fourthly, public theology always involves dialogue and critique from both the church itself and society as well. Fifthly, it has a global perspective because many issues affect countries across borders, such as immigration, climate change, refugees, etc. Lastly, public theology is performed, not just printed in books. This field of theology is not theorized first then applied, but it is a theology that develops and evolves while being expressed in society.[14]

Compared with political theology[edit]

Public theology and political theology share many common points. They have overlapping concerns for social justice and Christian engagement in the public and political sphere.[15] They also share similar concerns that the Christian faith is more than individual piety. It has a role to play in building societal peace, justice, and the common good.[16]

However, they differ in many ways as well. Political theology tends to be more radical in its pursuit for societal transformation, sometimes compelled by a sense of crisis. Public theology, on the other hand, is more moderate. It seeks to bring change gradually through social analysis, public dialogue, and shaping the moral fabric of society. So political theology tends to be more revolutionary while public theology is more reformative.[17]

Political theology is directed more towards the government or the state, whereas public theology is more towards civil society.[18] This is because political theology is more concerned with a just political system whereas public theology is more concerned for a just society for everyone, open dialogue,[19] and the building a common ground.[20]

Criticism[edit]

A common critique of public theology is the overly broad range of issues it is concerned with. Because it seeks to engage in all issues that concern the society, public theology may find itself spread too thin across these issues. As a result, it may fail to engage the issues with sufficient depth and academic rigour because it lacks the necessary subject matter expertise. This overt broadness may also cause public theology to lack a focused approach and method because each issue may require a different methodology.[21]

Another critique public theology faces is the inherent difficulty in retaining its Christian distinctiveness while being publicly relevant.[22] Too much weight in either direction may cause it to be irrelevant to the public or bearing no distinct Christian witness.[23] The tension may be ideal in theory, but difficult to achieve in reality.[24]

See also[edit]

References[edit]

Footnotes[edit]

  1. ^ Day & Kim 2017, p. 14.
  2. ^ Forrester 2004, p. 6.
  3. ^ Marty 1974, p. 359.
  4. ^ Stackhouse 2004.
  5. ^ Tracy 1981, pp. 3–5.
  6. ^ Stackhouse 1998, p. 166.
  7. ^ Benne 1995Kim 2011, p. 19.
  8. ^ Kim 2011, pp. 10–14.
  9. ^ Breitenberg 2003, p. 63.
  10. ^ Breitenberg 2003, pp. 63–64.
  11. ^ Breitenberg 2003, p. 64.
  12. ^ Breitenberg 2003, pp. 64–65.
  13. ^ Breitenberg 2003, p. 65.
  14. ^ Day & Kim 2017, pp. 10–18.
  15. ^ Lee 2015, p. 57.
  16. ^ Lee 2015, p. 53.
  17. ^ Kim 2011, p. 22; Lee 2015, p. 54.
  18. ^ Bell 2015, p. 117.
  19. ^ Kim 2011, p. 23.
  20. ^ Kim 2011, p. 22.
  21. ^ Kim 2011, pp. 20–25.
  22. ^ Kim 2011, pp. 19, 25.
  23. ^ Kim 2011, p. 19.
  24. ^ Kim 2011, p. 25.

Bibliography[ed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