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28

Cosmology Has Some Big Problems - Scientific American Blog Network



Cosmology Has Some Big Problems - Scientific American Blog Network

Cosmology Has Some Big Problems

The field relies on a conceptual framework that has trouble accounting for new observations

By Bjørn Ekeberg on April 30, 2019


Credit: Thanapol Sisrang Getty Images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our universe?

Born out of a cosmic explosion 13.8 billion years ago, the universe rapidly inflated and then cooled, it is still expanding at an increasing rate and mostly made up of unknown dark matter and dark energy ... right?

This well-known story is usually taken as a self-evident scientific fact, despite the relative lack of empirical evidence—and despite a steady crop of discrepancies arising with observations of the distant universe.
ADVERTISEMENT

In recent months, new measurements of the Hubble constant, the rate of universal expansion, suggested major differences between two independent methods of calculation. Discrepancies on the expansion rate have huge implications not simply for calculation but for the validity of cosmology's current standard model at the extreme scales of the cosmos.

Another recent probe found galaxies in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dark matter, which posits this hypothetical substance to be everywhere. But according to the latest measurements, it is not, suggesting the theory needs to be reexamined.

It's perhaps worth stopping to ask why astrophysicists hypothesize dark matter to be everywhere in the universe. The answer lies in a peculiar feature of cosmological physics that is not often remarked. A crucial function of theories such as dark matter, dark energy and inflation—each in its own way tied to the big bang paradigm—is not to describe known empirical phenomena but rather to maintain the mathematical coherence of the framework itself while accounting for discrepant observations. Fundamentally, they are names for something that must exist insofar as the framework is assumed to be universally valid.

Each new discrepancy between observation and theory can, of course, in and of itself be considered an exciting promise of more research, a progressive refinement toward the truth. But when they add up, they could also suggest a more confounding problem that is not resolved by tweaking parameters or adding new variables.

Consider the context of the problem and its history. As a mathematically driven science, cosmological physics is usually thought to be extremely precise. But the cosmos is unlike any scientific subject matter on earth. A theory of the entire universe, based on our own tiny neighborhood as the only known sample of it, requires a lot of simplifying assumptions. When these assumptions are multiplied and stretched across vast distances, the potential for error increases, and this is further compounded by our very limited means of testing.

Historically, Newton's physical laws made up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worked for our own solar system with remarkable precision. Both Uranus and Neptune, for example, were discovered through predictions based on Newton's model. But as the scales grew larger, its validity proved limited. Einstein's general relativity framework provided an extended and more precise reach beyond the furthest reaches of our own galaxy. But just how far could it go?

The big bang paradigm that emerged in the mid-20th century effectively stretches the model's validity to a kind of infinity, defined either as the boundary of the radius of the universe (calculated at 46 billion light-years), or in terms of the beginning of time. This giant stretch is based on a few concrete discoveries, such as Edwin Hubble's observation that the universe appears to be expanding (in 1929) and the detection of the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in 1964). But considering the scale involved, these limited observations have had an outsized influence on cosmological theory.

It is, of course, entirely plausible that the validity of general relativity breaks down much closer to our own home than at the edge of the hypothetical end of the universe. And if that were the case, today's multilayered theoretical edifice of the big bang paradigm would turn out to be a confusing mix of fictional beasts invented to uphold the model, along with empirically valid variables mutually reliant on each other to the point of making it impossible to sort science from fiction.

Compounding this problem, most observations of the universe occur experimentally and indirectly. Today's space telescopes provide no direct view of anything—they produce measurements through an interplay of theoretical predictions and pliable parameters, in which the model is involved every step of the way. The framework literally frames the problem; it determines where and how to observe. And so, despite the advanced technologies and methods involved, the profound limitations to the endeavor also increase the risk of being led astray by the kind of assumptions that cannot be calculated.

After spending many years researching the foundations of cosmological physics from a philosophy of science perspective, I have not been surprised to hear some scientists openly talking about a crisis in cosmology. In the big “inflation debate” in Scientific American a few years ago, a key piece of the big bang paradigm was criticized by one of the theory's original proponents for having become indefensible as a scientific theory.

Why? Because inflation theory relies on ad hoc contrivances to accommodate almost any data, and because its proposed physical field is not based on anything with empirical justification. This is probably because a crucial function of inflation is to bridge the transition from an unknowable big bang to a physics we can recognize today. So, is it science or a convenient invention?

A few astrophysicists, such as Michael J. Disney, have criticized the big bang paradigm for its lack of demonstrated certainties. In his analysis, the theoretical framework has far fewer certain observations than free parameters to tweak them—a so-called “negative significance” that would be an alarming sign for any science. As Disney writes in American Scientist: “A skeptic is entitled to feel that a negative significance, after so much time, effort and trimming, is nothing more than one would expect of a folktale constantly re-edited to fit inconvenient new observations."

As I discuss in my new book, Metaphysical Experiments, there is a deeper history behind the current problems. The big bang hypothesis itself originally emerged as an indirect consequence of general relativity undergoing remodeling. Einstein had made a fundamental assumption about the universe, that it was static in both space and time, and to make his equations add up, he added a “cosmological constant,” for which he freely admitted there was no physical justification.

But when Hubble observed that the universe was expanding and Einstein's solution no longer seemed to make sense, some mathematical physicists tried to change a fundamental assumption of the model: that the universe was the same in all spatial directions but variant in time. Not insignificantly, this theory came with a very promising upside: a possible merger between cosmology and nuclear physics. Could the brave new model of the atom also explain our universe?

From the outset, the theory only spoke to the immediate aftermath of an explicitly hypothetical event, whose principal function was as a limit condition, the point at which the theory breaks down. Big bang theory says nothing about the big bang; it is rather a possible hypothetical premise for resolving general relativity.
On top of this undemonstrable but very productive hypothesis, floor upon floor has been added intact, with vastly extended scales and new discrepancies. To explain observations of galaxies inconsistent with general relativity, the existence of dark matter was posited as an unknown and invisible form of matter calculated to make up more than a quarter of all mass-energy content in the universe—assuming, of course, the framework is universally valid. In 1998, when a set of supernova measurements of accelerating galaxies seemed at odds with the framework, a new theory emerged of a mysterious force called dark energy, calculated to fill circa 70 percent of the mass-energy of the universe.

The crux of today's cosmological paradigm is that in order to maintain a mathematically unified theory valid for the entire universe, we must accept that 95 percent of our cosmos is furnished by completely unknown elements and forces for which we have no empirical evidence whatsoever. For a scientist to be confident of this picture requires an exceptional faith in the power of mathematical unification.

In the end, the conundrum for cosmology is its reliance on the framework as a necessary presupposition for conducting research. For lack of a clear alternative, as astrophysicist Disney also notes, it is in a sense stuck with the paradigm. It seems more pragmatic to add new theoretical floors than to rethink the fundamentals.

Contrary to the scientific ideal of getting progressively closer to the truth, it looks rather like cosmology, to borrow a term from technology studies, has become path-dependent: overdetermined by the implications of its past inventions.

This article is based on edited excerpts from the book Metaphysical Experiments:Physics and the Invention of the Universe, published b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일본의 계산된 경제 도발…대법 판결 정당성 세계에 알려야 - 중앙일보



일본의 계산된 경제 도발…대법 판결 정당성 세계에 알려야 - 중앙일보

일본의 계산된 경제 도발…대법 판결 정당성 세계에 알려야
[중앙선데이] 입력 2019.07.27
기자배명복 기자


[배명복의 사람속으로] 한·일 갈등, 한국의 대응 - 호사카 교수


호사카 유지 교수는 일본의 한국 수출규제 조치에 대응하면서 위안부 합의가 왜 문제인지,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왜 정당한지를 한국과 일본 국민, 국제사회에 제대로 설명하고 알리지 못한 것은 문재인 정부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신인섭 기자“이 기회에 한국 경제를 완전히 꺾어놓겠다는 의도로 한국에 대해 일본이 경제전쟁을 감행한 것입니다.” 일본계 한국인 학자인 호사카 유지(63) 세종대 교수(정치학)는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를 경제전쟁 선포로 규정하고, “지금은 여야를 떠나 거국일치로 총력 대응에 나설 때”라고 강조했다. 세종대 독도종합연구소장을 겸하고 있는 그를 지난 23일 서울 서소문에 있는 중앙일보 9층 회의실에서 만났다.

강제징용 피해자 개인 청구권 유효
작년 고노 외상도 언론에 “그렇다”
아베 정부, 알면서도 계속 말 바꿔

한국 경제적 부상 막으려 수출규제
대법 판결 인정 땐 배상 문제 불거져
아베가 벌인 경제 전쟁 장기화될 것

이미 나온 판결은 배상으로 해결
향후 판결은 ‘1 +1’ 방식이 바람직
질의 :한·일 갈등이 격화될 때마다 입장이 곤혹스러울 것 같습니다. 실제로 그렇습니까.
응답 :“한·일 관계가 좋은 것이 저로서도 물론 좋지만, 그렇다고 곤혹스러울 것은 없습니다. 전공이 한·일 관계의 현안이다 보니 양국 관계가 안 좋을 때마다 저를 찾는 분이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저는 학자이기 때문에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확하게 팩트를 전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질의 :강제징용 피해자들 개인의 청구권을 인정한 한국 대법원 판결은 1965년 한·일 기본협정을 무시한 사실상의 국제법 위반 행위로, 50년 이상 유지해온 한·일 관계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는 게 아베 정부의 주장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응답 :“전적으로 잘못된 주장이라고 생각합니다. 피해자 개인의 청구권이 남아 있다는 것은 91년 당시 일본 외무성 조약국장이던 야나이 슌지(柳井俊二)가 세 번이나 정확하게 말한 내용입니다. 65년 청구권 협정으로 소멸한 것은 국가의 외교보호권입니다. 협정에 따라 일본이 한국에 제공한 돈은 미수금이나 미불금 등 한국인 징용자들이 입은 피해에 대한 보상이지 배상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은 일본 법원도 지금까지 인정해온 부분입니다. 그걸 알면서도 아베 정부가 말을 바꾼 겁니다.”
일본 피해 커지면 아베도 무시 못할 것


질의 :왜 바꾼 거죠.
응답 :“개인 청구권을 인정하면 일본이 불리해지니까요.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에서 확정판결이 났을 때 일본 기자들이 고노 다로(河野太郞) 외상에게 ‘개인의 청구권은 남아 있는 것 아니냐’고 물었습니다. ‘그렇다’고 대답했고, 그 내용이 일본 신문에 다 났습니다. 그 후 아베 정부는 한국이 국가 대 국가의 약속을 어긴 것이 문제라고 말을 바꾸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은 국가 간 약속을 어긴 나라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는 게 그때부터 일본이 줄곧 주장해온 논리입니다.”

질의 :강제징용 판결 문제를 계기로 아베 정부가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에 나선 진짜 의도가 뭐라고 보십니까.
응답 :“한국의 경제적 부상을 막겠다는 것입니다. 1인당 국민소득에서 한·일 간 격차가 계속 좁혀지고 있습니다. 몇 년 후에는 한국이 일본을 추월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남북한 평화공존이 실현되면 한국의 국력은 엄청나게 커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한국이 일본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날지 모른다고 우려하는 일본인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기회에 한국 경제를 완전히 꺾어놓아야 하고, 그 핵심은 반도체다, 이런 식으로 면밀하게 계산한 끝에 감행한 의도적 도발이라고 봅니다.”

질의 :다른 목적은 없을까요.
응답 :“한국 대법원 판결을 인정하면 배상 문제가 불거질 수밖에 없습니다. 청구권 협정은 보상 문제였지 배상은 포함돼 있지 않았습니다. 보상은 적법한 행위에 따른 손해를 보전해주는 것이지만, 배상은 위법 행위로 인한 피해를 보전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불법성을 전제로 합니다. 지금까지 일본은 보상금 외에는 낸 적이 없습니다. 배상은 식민 지배의 불법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아베 정부로서는 매우 곤혹스러운 문제입니다.”

질의 :이대로 가면 한국 쪽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떻게든 외교로 풀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응답 :“외교적으로 푼다고 해서 일본이 원하는 대로 해주면 위안부 합의를 되풀이하게 됩니다. 아베 정부가 원하는 외교적 합의는 일제의 강점이 합법이었다는 전제 위에서 이루어지는 합의밖에 없습니다. 그건 결국 일본에 굴복한다는 뜻입니다. 일본은 지금 한국에 경제전쟁을 감행하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중국에 감행한 무역전쟁은 경제에 국한해 시작했지만, 일본은 강제징용 판결이라는 사법적 문제를 경제 문제로 바꿔 시작했다는 점에서 훨씬 비열합니다. 미국 농민들의 피해가 커지자 대선에 빨간불이 켜질 것을 우려해 트럼프가 한 발 뒤로 물러났듯이 일본 내 피해가 커지면 아베도 후퇴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 국민이 일본 상품 안 사고, 일본 여행 안 가면서 일본 경제에도 피해가 나타나고 있어요. 규슈의 사가현 같은 데서는 ‘한국인들이 오지 않아 타격이 크다’는 비명이 벌써 나왔습니다. 이런 소리가 일본 여기저기서 나오면 아베도 무시하지 못할 겁니다. 그걸 무시하면 아베의 장기집권에 빨간 불이 켜질 수 있습니다.”

질의 :외교적 해법이 따로 있는 게 아니고, 전쟁도 외교라는 마음가짐으로 맞서야 한다는 말씀이군요.
응답 :“그렇습니다.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가 말한 대로 전쟁은 외교의 연장입니다. 외교의 연장으로 일본이 경제 전쟁을 시작한 만큼 우리도 싸울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감정적으로 싸우라는 게 아닙니다. 논리적으로 싸우라는 뜻입니다.”
화해치유재단 일방적 해산은 아쉬움




12일 한 대형마트에 일본 제품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붙어있다. [연합뉴스]
질의 :그래도 타협의 길은 열어둬야 하지 않겠습니까.
응답 :“그렇습니다. 이미 나온 한국 대법원 판결까지는 일본 기업이 배상을 통해 해결하고, 앞으로 나올 판결에 대해서는 한국 기업과 일본 기업이 참여하는 ‘1+1’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봅니다. 상징적으로라도 일부는 일본이 배상을 인정한 것으로 해야 한국의 정체성을 지킬 수 있습니다.”

질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일본인 다수가 지지하는 것으로 여론조사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국에 대한 피로감 때문일까요.
응답 :“피로감 프레임을 씌운 게 바로 아베 정권입니다. 아베는 한국은 골대를 몇 번이나 옮긴 나라이기 때문에 믿을 수 없다는 말을 기회 있을 때마다 되풀이하면서 위로부터 혐한 감정을 조장해 왔습니다.”

질의 :아베가 한국을 신뢰할 수 없다고 하는 데는 전임 정부의 위안부 합의를 현 정부가 뒤집은 탓도 있지 않을까요.
응답 :“위안부 합의를 파기하지 않고, 재협상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 문재인 정부의 스탠스였습니다. 문제가 된 것은 화해치유재단의 해산 아닐까 싶습니다. 이 부분만큼은 일본과 어느 정도 협의를 했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질의 :그런 과정 없이 해산한 것은 문제라는 뜻입니까.
응답 :“좀 더 나은 방법이 있을 수 있었다는 뜻입니다. 정부에는 설명 책임이 있습니다. 지금은 많이 개선됐지만, 설명을 잘 안 하는 것은 문재인 정부의 문제라고 봅니다. 예를 들면 위안부 합의가 왜 문제인지, 대법원 판결이 왜 정당한지 제대로 설명하고 알려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한국과 일본 국민, 국제사회를 설득하는 노력에서 미흡한 점이 있었다고 봅니다. 일본 보세요. 아베 총리와 스가 관방장관, 경제전쟁을 지휘하고 있는 이마이, 세코, 하기우다 3인방이 돌아가면서 한국의 잘못이라고 계속 떠들고 있습니다. 이에 맞서 한국도 그게 아니다, 이렇기 때문에 우리가 옳다, 일본이 잘못하고 있는 것이라는 얘기를 매일 하고, 기사화해야 합니다.”

질의 :아직은 한국 국민이 비교적 차분하게 대응하고 있지만, 일본이 한국을 수출 절차 간소화 대상국인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면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을 정말로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할 거로 보십니까.
응답 :“한번 결정하면 그대로 가는 게 일본의 속성이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하지만 그건 아베가 진짜 잘못하는 것입니다.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것은 폭탄으로 한국을 파괴하겠다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잘못하고 있는 것은 일본이지 한국이 아닙니다. 이 점을 한국 국민과 정치권, 언론이 정확하게 인식해야 합니다.”

질의 :한·일 관계의 미래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응답 :“지금은 미래를 말할 때가 아닙니다. 일본과의 경제전쟁에 온 힘을 쏟아야 할 시기입니다. 출구가 없는 잘못된 경제전쟁을 시작한 것은 일본입니다. 아베 정권은 경제를 최우선시했던 일본 보수의 본류가 아닙니다. 그들에게는 경제보다 이데올로기가 중요합니다. 일제 강점에 대한 배상 책임을 인정하면 그 이데올로기가 무너집니다. 그래서 그들은 일제의 강점은 합법이었고, 한국을 식민지화했지만 근대화시켰고, 위안부는 없었고, 있었어도 합법이었다고 주장하면서 패전 이전 일왕 중심의 대일본제국을 부활하겠다는 일념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그런 정신세계를 가진 사람들이 자국 경제를 희생해가면서까지 한국에 경제전쟁을 감행한 것입니다. 아베 정권 자체가 바뀌지 않는 한 이 상황은 바뀌지 않습니다. 그걸 알고, 경제전쟁에서 이길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래야 새로운 국면이 열릴 수 있습니다.”

배명복 중앙일보 대기자·칼럼니스트 bae.myungbok@joongang.co.kr

호사카 유지 교수 1979년 도쿄대 금속공학과 졸업. 88년 한국 입국. 98년 세종대 교수. 2000년 고려대 박사 학위 취득. 2003년 대한민국 귀화. 2009년 세종대 부설 독도종합연구소장 취임.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사. 『일본 고지도에 독도 없다』 『일본 우익사상의 기저 연구』 『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 『우리역사 독도』 『독도 1500년의 역사』 등 다수의 저서.

와다 하루키 등 일본 지식인 75명, ‘수출규제 철회’ 서명운동 개시


李宇衍
1 hr ·



일본 일부 인사들의 이러한 움직임이 한일관계에 도움이 될까? 안된다. 바람직하지도 않다. 방향을 잘못 잡은 한국정부를 고무함으로써 오히려 유해하다.

지금 이 난리가 난 데는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들 탓도 크다. 그들은 전시노동자(소위 “강제징용” 노동자) 관련, 역사왜곡을 방관, 방조하거나, 심지어 그에 가담하기도 했다. 위안부 문제도 마찬가지다. 왜 그랬을까? “동정주의”였다.

그들이 지금 또 다시 사실을 호도하려 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올해 초 국회 시정연설에서 한일 관계에 대해선 한마디도 안 하면서 한국을 상대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과시했다”, “(최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문재인 대통령만 무시했다”
: 한국 정부는 작년 10월 30일 대법원 판결 이후 지난 9개월간 어떠한 조치도 하지 않았다. 일본의 외교적 협의와 중재위 설치 요구에 대해서는 콧방귀도 뀌지 않았다. 한국은 일본을 철저히 무시했다.

“마치 한국이 ‘적’인 것처럼 다루는 조치를 하고 있는데, 이는 말도 안 되는 잘못”, “한국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기조로 해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구축하고 있는 중요한 이웃”
: 동아시아에서 자유민주주의 한국의 최대의 적은 북조선과 중국이다. 그런데도 한국 정부는 이들과 손을 잡으려 지극정성을 다해왔다.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범국민적 극단적 반일운동을 선동한다. 또 상대를 먼저 적대시한 것도 한국이다. 문제인 대통령이 아베 수상 앞에서 “일본은 동맹이 아니다”고 단언한 예가 극명하다.

지식인? 전혀 지성적이지 않다.

일본 “양심적 지식인”들의 이와 같은 태도는 어디에서 나올까? 역시 우리가 청한 바 없은 “동정주의”다. 이런 움직임에 의해 일본 정부가 태도를 바꾼다면, 물론 그럴 일은 없겠지만, 단기적으로는 한국에 이득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아니다. 패자의 콤플렉스만 아니라, 승자의 동정주의도 건전한 상호관계의 발전을 저해한다. 1965년 이후 한일관계에서 우리는 그것을 보아왔다.




와다 하루키 등 일본 지식인 75명, ‘수출규제 철회’ 서명운동 개시

입력 2019.07.26 23:14


김정우 기자

“한국이 적인가’ 성명 발표… “일본 조치는 적대 행위, 한국은 중요한 이웃”

일본 유명 학자와 변호사, 시민단체 활동가 등 총 75명이 "일본 정부는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조치를 즉각 철회하라"는 주장을 담은 성명서 발표와 함께 온라인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사이트(https://peace3appeal.jimdo.com). ‘한국은 적인가’라는 제목이 달려 있다. 인터넷 캡처

https://peace3appeal.jimdo.com

---

일본의 저명한 학자와 변호사, 시민단체 활동가 등 사회지도층 인사로 활동하는 지식인들이 일본 정부의 대(對)한국 수출 규제 철회를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최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5일 개설된 일본의 인터넷 사이트(https://peace3appeal.jimdo.com)에는 ‘한국은 적인가’라는 제목의 성명서가 올라와 있다. 8월 15일을 1차 기한으로 내걸고 서명자를 모집 중인데,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와 우치다 마사토시(內田雅敏) 변호사, 오카다 다카시(岡田充) 교도통신 객원논설위원, 다나카 히로시(田中宏) 히토쓰바시(一橋)대 명예교수 등 총 75명이 공동 작성자로 참여했다. 다른 대학 교수와 변호사, 시민단체 활동가, 언론인, 전직 외교관, 의사, 작가 등도 이름을 올렸다.


성명에서 이들은 “우리는 7월 초 일본 정부가 밝힌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에 반대하며,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한다”며 “반도체 제조가 한국 경제에 갖는 중요한 의의를 생각하면 이번 조치가 한국 경제에 치명적 타격을 줄 수 있는 적대적 행위임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은 이 나라(한국)를 침략해 식민지 지배를 한 역사가 있어 한국과 대립하더라도 특별하고 신중한 배려가 필요하다”며 “일본의 압력에 ‘굴복했다’고 보인다면 (한국의) 어떤 정권도 국민에게서 버림받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경제) 보복이 한국의 보복을 부르면 그 연쇄 반응의 결과는 수렁”이라며 “이런 사태만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홍인기 기자ㆍ한국일보 자료사진
--
성명은 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올해 초 국회 시정연설에서 한일 관계에 대해선 한마디도 안 하면서 한국을 상대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과시했다”며 “(최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문재인 대통령만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는 “마치 한국이 ‘적’인 것처럼 다루는 조치를 하고 있는데, 이는 말도 안 되는 잘못”이라며 “한국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기조로 해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구축하고 있는 중요한 이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의 국익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도 펼쳤다. 성명은 “일본의 조치는 그동안 큰 수혜를 입은 자유무역의 원칙에 반하며, 일본 경제에도 커다란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면서 “보통 올림픽의 주최국은 주변국과의 갈등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지만, 일본은 주최국 자신이 주변과 마찰을 일으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 강제동원 피해자와 일본 기업과의 화해 성립에 힘써 온 일본의 우치다 마사토시 변호사가 지난 20일 도쿄 사무실에서 한일 징용문제 갈등과 관련, 기급 설립을 통한 해결 방안을 밝히고 있다. 도쿄=김회경 특파원
--
특히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과거사 문제가 모두 해결됐다’는 일본 정부 입장도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한일 청구권협정은 양국 관계의 기초로 존재하고 있는 만큼, 존중을 받아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아베 정권이 반복하는 것처럼 ‘해결이 끝났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 정부는 그동안 일관되게 개인에 의한 보상청구권을 부정하지 않아 왔다”며 “일본 정부는 (한일 청구권협정 체결 후) 반세기 동안 사할린의 잔류 한국인 귀국 지원, 피폭 한국인 지원 등 식민지 지배로 인해 개인이 입은 피해의 보상을 갈음할 조치를 해 왔다”고 짚었다. 이와 함께 “한국과 일본이 중재위원회 설치를 둘러싸고 대립 중이지만, 한일 청구권협정에 따른 중재위 설치 논의는 2011년 8월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 헌법재판소의 결정 때 처음 나왔다”며 “당시엔 일본 측이 중재위 설치에 불응했다”고 설명했다.

성명은 결론 부분에서 “(일본에서) BTS(방탄소년단)의 인기는 압도적이고, (매년) 300만명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여행하고 700만명이 한국에서 일본을 찾고 있다”며 “우익과 혐오 스피치 세력이 아무리 외쳐도 일본과 한국은 중요한 이웃나라로서 분리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는 일본 국민과 한국 국민의 사이를 갈라놓고 대립시키려는 걸 그만두라”며 “일본 정부는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즉시 철회하고 한국 정부와 냉정한 대화와 토론을 시작하라”고 촉구했다. 성명의 마지막 문장은 이렇다. “의견이 다르면 손을 잡은 채 토론을 계속 하면 되지 않겠어요?”

김정우 기자 wookim@hankookilbo.com
--

The Prayer Life of Quakers David Johnson

The Prayer Life of Quakers

https://youtu.be/gZxGL2GQgZ0


QuakerSpeak
Published on Jul 25, 2019

---
What does Quaker prayer look like? Australian Friend David Johnson says it’s something every human being does naturally, and it leads to inordinate spiritual refreshment. 

Quaker prayer is a matter of letting go of outward words, and of our thoughts and imaginations, and of centering down into a place of silence where we can wait and notice the movements of God within us.

 A Quaker Prayer Life 

I’m David Johnson. I live in far North Queensland, Australia. I’m part of a small worshipping group; my monthly meeting is Queensland Regional Meeting. I’ve written many small pieces in Australia, but the two main things I’ve done recently are to collate–with some of my own comments–many quotes on Quaker prayer from the first- and second-generation Quakers. 

A Heart Prepared By God 

There’s a difference here between an outward prayer of a known prayer or a liturgy, which for some people–and I’ve used it myself–is a very helpful anchor. When I first kneel by a bed or when I first sit down to say a prayer, it’s a very helpful anchor and an introduction. 
But that is different to the prayer which emanates from the heart, and the early Quaker William Penn identified his experience when he said that “true prayer can only come from a heart prepared by God.” 

A Natural Contemplative Practice 

Our Quaker prayer life is one of the inheritors of this very ancient, very natural contemplative practice. This is very natural for the human being. 
We can see this practice coming down in many strands. We can see it in the mindful breathing in the Buddhist faith. We can see it in the constant invoking of the name of God in the Orthodox Christian faith. We can see it in a similar way in the Sufi faith. 

The Quaker prayer life, for me, is a way of going inward, using normally one of these practices as an entry point: using deep breathing, using the same repetitive saying of a sacred word, so that my attentiveness moves from up in here, gradually and sinks down into here where I’m enabled, I don’t actually do it, I’m actually enabled to give up my own willing, give up my own running of my own mind, sinking down, breathing down, centering down into where the spirit of God is present in the heart, and where the presence of God can actually minister to me, convey things to me that I then have a choice about. 

The Steps of Quaker Prayer 

So the first step as we go inward, which is identified in the Quaker prayer life, is actually being very attentive inwardly in the heart to the Light and the movements there, what the early Quakers called “mind the light,” be attentive to it. 
The second step, when the light shows us something, is actually to welcome it. What George Fox, the early Quaker called, “love the Light” no matter what it shows you. Because the Light is showing parts of you that may be in error (what others call sin) so that it might be remedied and you might become purer of the heart. 

And that’s my experience, that when I welcome those signs–and they come quite often– that I was out of line spiritually, when I welcome those and sit with them, the light shows me some reparation or there is some healing. There is some reconciling going on towards peace within me. 

Experiencing Inward Refreshment 

The Quaker experience is that as we continue that letting-go of outward forms and just sinking inward, we find we’re being helped. 
Something is actually working with us. We can call that the grace, we can call that the presence of the Light, or of Christ, or another word for it, is the anointing within us–it comes to help us in this path. 

And as we do this, we find that it gradually goes deeper and starts to take hold of us. We begin to let go of those expectations. We begin to find, eventually, for small times at first and then for longer ones–that that deep silence is actually accessible to every one of us, and that it is actually–even though we don’t hear anything–we begin to realize that the first language of God is actually silence

More: https://fdsj.nl/prayer










2019/07/22

CK Park - 평화란 무엇인가? 사람들은 오랫동안 평화란 전쟁이 없는 상태라고 생각했다. 전쟁은 다른 이의...



(21) CK Park - 평화란 무엇인가? 사람들은 오랫동안 평화란 전쟁이 없는 상태라고 생각했다. 전쟁은 다른 이의...





CK Park
20 July at 09:53 ·



평화란 무엇인가?

사람들은 오랫동안 평화란 전쟁이 없는 상태라고 생각했다. 전쟁은 다른 이의 생명을 살상하고 다른 이의 것을 빼앗는 행위를 당연시한다. 고대사회에서의 전쟁은 야만 그 자체였다. 전쟁에서 이긴 편은 남자들은 무참하게 학살하고 여자들을 강간하고 노예로 삼았다. 그 잔인한 전쟁의 역사는 오직 평화로만 잠재울 수 있었다. 하지만 전쟁이 부재한 상태가 평화라는 생각은 매우 폭력적인 평화를 말하는 것이다. 상대를 진압하여 얻는 평화는 승자 독식의 평화였기 때문이다.

아시아의 평화와 서구 사회에서의 평화를 살펴보다 보면 아시아인의 평화 이해가 매우 전근대적이고도 비인간적이라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서구 사회를 비판하는 아시아 학자들은 아시아의 정신적 풍요를 낭만화하며 그 우월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심원한 유불선의 유산을 생각하면 그리 틀린 것은 아닐 것 같지만 내가 보기에는 서구 사회가 가지는 이웃에 대한 적대성과 우리가 경험한 이웃에 대한 적대성에는 큰 차이가 있다. 즉 이웃을 이해하는 방식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

유럽의 역사에서 평화 사상의 원류를 찾아보면 기원전 그리스 세계에서 형성되었던 도시국가들 사이에서 벌어진 각축전의 성격과 그 시대에 그들이 꿈꾸었던 평화 사상을 만나게 된다. 소규모의 도시국가들이 각축전을 벌이다가 강력한 페르시아나 마케도니아 세력의 위협을 받게 되자 도시국가의 지도자들은 상대를 살육과 정복의 대상으로 보는 생각을 버리고 공존의 대상으로 여기기 시작했다. 거기서 나온 개념이 에이레네, 평화다. 그러니까 이웃을 나와 같은 인간, 나와 같은 생존권, 나와 같은 삶의 의지를 가진 인간이라고 바라보는 데에서 평화 사상이 싹튼 것이다.

다양한 차이와 일방적인 집단의 욕망을 넘어서 서로가 인간, 동류라는 의식은 서구 사회에서 평화를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건이 되었다. 물론 그들 역시 종족주의적인 우월성, 그리고 이질 집단을 향한 비하와 멸시의 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갈등과 투쟁, 폭력이 난무하는 시대를 극복하기 위하여 그들은 서로의 생존을 보장하는 원칙을 평화의 근본 요건으로 삼았다. 그리스 도시국가 중에서 자웅을 겨루던 아테네, 스파르타, 테베 등과 같은 도시국가들의 지도자들은 평화협약을 맺을 때 불가침의 조건만 내건 것이 아니었다. 상대의 생존을 보장하는 원칙을 반드시 포함시켰다. 평화의 약속은 상대를 향한 인도주의적인 생존 보장 약속이 담겨있었다. 보급로를 끊는다든지, 용수로를 차단하는 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이다.

이런 인도주의적인 정신에 바탕을 둔 평화 사상이 모든 영역에서 보편적으로 시행되었던 것은 아니다. 근동 아시아 지방에서 형성된 야훼종교는 가장 포악한 전쟁사를 기록한 문서를 남기고 있다. 그것이 성서다. 야훼 백성이라 자인하는 이스라엘 집단은 가나안 땅을 정복하면서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했다. 그들은 상대편이라면 남녀, 노소, 짐승의 새끼까지 죽이는 족속이었다. 원시 유대교의 포악은 갈멜산 위에서 광기에 사로잡힌 야훼 제사장들이 이교도들을 살육하는 피튀기는 장면에서 극을 이룬다. 그들은 상대를 자신들과 같은 존재라고 여기지 못했다. 이런 이들이 가진 평화 사상이란 정복과 잔인한 살상 이후에 얻는 “피 묻은 평화”였다. 야훼 종교의 한 얼굴이다.

하지만 성서의 전통에는 피 묻은 평화 사상만 담겨있는 것이 아니다. 성서에는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서의 평화, 자기들만의 평화를 측정하는 기준도 있었다. 거기에서 샬롬이라는 단어가 나왔다. 샬롬은 일종의 복지적 개념이다. 몸과 마음과 관계의 평화를 모두 아우르는 말이기 때문이다. 유감스러운 것은 유대인들이 이러한 샬롬 사상을 자기네 족속에게만 적용하곤 했다는 것이다. 샬롬 평화 사상을 종족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넘어 보편적으로 확대하여 새롭게 해석한 종교가 예수의 사상을 중심으로 형성된 기독교다.

기독교를 잘못 이해하는 사람들은 구약 성서에 나타난 피 묻은 평화를 영적 전투라 해석하며 호전적인 선교론을 제창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거짓 교사들에게 속아 피 묻은 평화를 주장하며 포악해지는 기독교인들은 매우 잘못된 가르침에 세뇌된 것이다.

예수는 모든 형태의 국가주의나 종족주의적, 심지어 영적 전투를 빙자한 종교적인 폭력을 거부했다. 예수는 고위 유대 종교가 버린 사람들을 친구라 불렀다. 그는 부유한 사람들이 멸시하는 가난한 이의 이웃이 되었고, 거룩함을 자랑하는 종교인들과는 달리 거룩하지 못한 사람으로 간주하던 이들의 친구였다. 민족적 순수라는 우월성에 사로잡혀 이교적 문화를 수용한 이들을 저급한 존재로 여기던 전통도 여지없이 깨뜨리신다. 이 예수가 가르치신 평화는 인종, 신분, 소유, 권력을 통해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가장 아름다운 평화다.

그런데 많은 기독교인이 이 예수의 평화를 안이하게 여긴다. 그저 주어지는 것이라고 여기고, 그러한 평화를 위한 실천적 지평을 가지지 않는 것이다. 사실, 예수의 평화는 무수한 차별과 적대성과의 싸움을 의미한다. 예수는 유대 종족주의와 싸웠고, 권력자들과 대립했으며, 종교적 우월성을 주장하는 이들과 등졌다. 예수는 자애롭고 평화로운 부처의 미소를 가지지 않았다. 그는 수행자이기도 했지만, 수행자만이 아니었다. 그는 논쟁했고, 심지어 다투기도 했으며, 제자들을 향하여 엄격하기도 했다. 그에게서 평화란 인간의 존엄한 가치를 훼손하는 악과는 공존할 수 없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오늘 아침 일본군들의 성노예로 살아가신 다섯 분의 이야기를 읽었다. 남의 나라 사람이면 강제로 잡아다가 가두어 두고 집단 성폭력을 하고, 성노예로 삼아도 생각하는 일본인들의 추악한 도덕성의 희생자들이다. 일본인은 자신의 누이나 어머니도 일제 군사의 성욕의 하수구로 삼았을까? 어쩌다가 그리스인들이 기원전에 인식한 평화 사상의 근간, “나도 그대도 사람이라는 인식”이 일본인들에게서는 19세기가 넘도록 형성되지 못했을까? 그리고 이런 일본인들이 범한 전쟁범죄를 박정희의 대일청구권 행위 하나로 면탈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한국인이 할 수 있을까?

일군 성노예로 살아가셨던 이들은 그 고되고 수치스러운 악몽으로 남아있는 기억을 더듬어 증언했다. “주말이면 그들이 트럭을 타고 와 수십 명이 줄을 서서 문밖에서 자기 차례를 기다렸어요...” 짐승들의 세계가 아닌가? 세상의 어느 군대가 이런 조직적인 방식으로 인간의 성을 범한단 말인가? 자신의 누이나 어머니가 일제 군인들에게 할머니들이 겪었던 집단 성폭력을 수개월 혹은 수년 동안 겪었다면, 자신의 아버지를 일제가 끌고 가 개처럼 학대하며 징용살이시켰다면 그렇게 만만하게 용서하라고 할 수 있을까?

일제 성노예로 살아갔던 김군자 할머니는 해방된 후 자신이 모은 돈을 하나도 남기지 않고 모두 기부했다. 한번은 5,000만 원, 또 6,000만 원, 그리고 1억 원을 모두 가난한 이들을 위한 학비로 써달라고 내놓았다. 가난때문에 자기처럼 못 배워 자기 권리를 박탈당하는 일이 없도록 가난한 학생을 도우라고 내놓은 것이다. 이런 할머니가 지금 일본에게 금전적인 보상을 받기 위해 항의하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인간으로서는 해서는 안 될 가공할 몹쓸 짓을 집단으로 범하고서도 모른 척하는 일본인들의 비양심을 드러내며 진정한 사죄를 요구하는 것일까? 어떻게 생각하시는가?

많은 이들이 일본과의 선린우호 관계에 이상이 왔다며 적당한 평화를 주장한다. 거기에는 속내로 경제적인 이유, 과학기술의 의존성, 혹은 개인적인 일본과의 친분 등을 이유로 든다. 할머니들의 인간의 존엄성을 바닥까지 부정한 집단에게 슬쩍 돈으로 퉁 치려던 박정희나 그의 딸 박근혜와 다를 바가 무엇인가? 그것이 그대가 바라는 평화인가? 평화는 일본인들이 사악한 제국주의적 망상에 사로잡혀 전쟁을 벌이며 조선인의 인간의 존엄성을 토탈 부정한 행위가 잘못된 것이었다는 자인이 있을 때 가능한 것이다.

그것이 아니라면 그들은 자신들의 죄를 참회한 것이 아니다. 돈 문제로 보상할 수 있는 것은 더욱 아니라는 것을 일러주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평화는 돈 주고 사는 것도 아니다. 적당히 퉁치는 데에서 얻어지는 것도 아니다. 피차 사람의 얼굴로 서로를 인간으로 바라볼 때 찾아 오는 것이다.

=============

134Kang-nam Oh, Sung Luke Kim and 132 others

11 comments22 shares

김진구 참된 평화는 평강의 왕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 모두가 안식을 누리는 것이 아닐까요?

사자들이 어린 양과 뛰놀고...
1


CK Park 김진구 네 강한 자, 사자가 약자, 어린 양을 먹잇감으로 바라보지 않는 관계가 평화의 상징적 의미지요..,ㅎ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2d

이의용 고맙습니다.
깨우쳐주셔서.
1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2d

조경애 교수님 글 소중히 읽고 가슴깊이 새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늘 가슴한켠이 아린 구약성경의 내용이 있습니다 왜 가나안 사람들을모두 죽이라고 하셨는지요? 이스라엘의 정복전쟁의 전멸방법이과연 하나님의 방법이었을까요? 이방사람과 같은 잔인한 살육인 듰싶어서요 신약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맞지 않고요~20대의 제 딸은 구약의 이스라엘의 나라세우는 방법들에 대한 회의가 많습니다 구약엔 폭력이 아주정당하게 그려지고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수를 사랑하는 저와 제딸은 구약과 신약의 하나님에대한 이해에 가끔 혼란이 옵니다~ 첫 댓글에 어려운 질문을드려죄송합니다~ 늘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1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2d


CK Park 조경애 성서는 다양한 자료를 묶은 책이고, 각 자료들의 저자와 사회적 맥락이 다르지요. 문자적으로 읽으면 안 됩니다. 좋은 주석서를 구해 함께 읽으셔야 조금은 바르게 이해할 수 있어요. 이 주제와 관련된 제 책을 읽어보셔요.
Hide or report this


7


LikeShow More Reactions
· 2d

Byung Jik Kim 참으로 귀한 말씀을 전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11h

Paul Ji 격하게 공감합니다!
Hide or report this

1


LikeShow More Reactions
· 2d

이경자 이런 역사를 알아야하는데 안타깝게도 이 시대에 살면서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생긴 아픔입니다.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바로잡기 위해서 역사를 바르게 인식해야되고 크리스찬은 정신 좀 차려야 하죠.
1
Hide or report this


LikeShow More Reactions
· 2d

유영재 누구든 남여노소, 이념과 종교를 불문하고
"#사람의얼굴로 #서로를인간으로 보기를 소망합니다.
2

이찬수 한국종교를 컨설팅하다 / 종교학자가 비판적으로 진단한 한국종교의 현재와 미래


[책] 한국종교를 컨설팅하다 / 종교학자가 비판적으로 진단한 한국종교의 현재와 미래
저자 이찬수 외 [등저], 발행 모시는 사람들 / 2014/ 254p.

목차
----
신앙을 상실한 종교/ 이찬수
-----
한국 종교, 어디까지 왔나?│최준식
프롤로그
1. 들어가며
2. 서설: 종교를 정의하는 문제 -- 영원철학을 중심으로
3. 본설 : 한국 종교계의 비종교적인 모습
4. 마치면서
====


한국 천주교회 성장의 빛과 그늘│박영대
1. 2005년 인구센서스를 통해서 본 한국천주교회
2. 교구장 사목교서를 통해서 본 한국 천주교회
논평/ 가톨릭 제자리 찾기 │ 변진흥
------
한국 개신교, 자리 잡기와 자리 찾기│김진호
1. 시작, 근대성과 식민성, 그리고 배타성
2. 한국 개신교회의 자리 잡기, 전형이 형성되다
3. 한국 개신교회의 전형, 절정을 지나 위기에 놓이다
4. 맺음 : 작은 교회들의 수평적 네트워크의 가능성
논평/ 한국 개신교의 자리 찾기 │ 최대광
--------
한국 불교, 문제와 발전 방향│이병두
1. 이야기를 시작하며
2. 한국 불교의 문제
3. 바람직한 불교의 발전 방향 - 결론을 대신하여
논평/ 불교 제자리 찾기 │ 조준호
-------
개교 100년, 원불교의 과제│김경일
1. 시작하는 말
2. 원불교 출현의 시대적 배경
3. 원불교의 유래와 성립과정
4. 불교와 원불교의 관계
5. 불평등한 사회 혁신을 위한 방안 - 사요四要
6. 원불교의 자리 찾기
7. 마무리의 말
논평/ 원불교의 자리 찾기를 위하여 │ 이찬수

------
천도교의 위기, 한계와 기회│김용휘
1. 동학·천도교의 창도와 역사적 전개
2. 현실진단
3. 원인 분석과 대안의 모색
4. 결과에 연연하지 않는 의연함으로
논평/ 천도교 제자리 찾기 | 정혜정

------
주석
찾아보기
---------
199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한국 천주교회 안에서는 자성과 쇄신의 목소리가 높았다. 이 같은 분위기에서 소공동체 사목, 교구 시노드 등 다양한 사목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2005년 인구 센서스 결과, 천주교가 크게 성장한 것이 드러나면서 자성과 쇄신의 분위기는 사라지고 있다. 대신에 각 교구가 성장 제일주의로 나아가고 있는 조짐이 보인다. … 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있는가? 희망은 깨어 있는 평신도이다. 교회를 이미 떠나 있거나 교회의 경계에 서 있는 깨인 평신도를 어떻게 조직해서 효과 있는 실천을 함께 해 나갈 것인지에 그 해답이 있다고 생각한다.(한국 천주교회 성장의 빛과 그늘│박영대)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성장은 현저히 둔화된다. 하지만 교회의 신앙적 제도는 성장주의에 맞추어져 있었다. 성장은 지체되었는데, 성장주의는 지속되는 상황을 맞게 된 것이다. 이것이 이 시기 교회 위기의 요체였다. … 한데 이 시기에 급부상한 교회들이 있다. 우리가 ‘후발 대형 교회’라고 부르는 이념형은 바로 이러한 변화를 함축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 하여 작은 교회들은 사회를 횡단하는 수평적 연대의 새로운 주역으로 등장하고 있다. 수평적 연대는 배타성을 지양하는 새로운 존재 조건이다. 그런 점에서 수직적 네트워크가 낳은 식민주의도 청산할 수 있는 신앙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한국 개신교, 자리 잡기와 자리 찾기│ 김진호)

진정한 불교 포교는 인구 통계상의 불교인 숫자를 증가시키는 일이 아니라 ‘붓다의 가르침’을 좇아 세상을 지혜롭게 그리고 자비 정신을 구현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그래서 세상이 평화로워지게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글 서두에 올린 달라이 라마의 발언에 100% 동감하고, 한국 불교계가 이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간절히 바란다.(한국 불교, 문제와 발전 방향│이병두)

원불교는 아직 100년이 채 안 된 어린 교단이다. 최근 ‘4대 종단’의 하나로 이름하고 상대적으로 잘 정돈된 교단이라고 하는 칭송을 받는 경우도 간혹 있지만, 기성종단에 비하여 아직 교세의 규모나 사회적 역할에 있어서는 감히 비교할 수 없다.… 날이 갈수록 심화되는 시대의 문제를 원불교는 어떻게 대면할 것인가.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 이 말은 원불교 개교開敎정신을 집약한 핵심 표어이다. 원불교가 이 시대 대중이 필요로 하는 종교로 자리매김하는 참된 길 찾기는 가능할 것인가. (개교 100년, 원불교의 과제│김경일)

(천도교의) 문제는 하나로 요약된다. 수행과 사회 참여가 함께 가지 못했다는 점이다. 수행의 목적이 제대로 제시되지 못하였고, 사회 참여는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지 않았고 거친 이데올로기의 주변에서 맴돌았다.… 그런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실제 몸의 변화이고 생활의 변화이다. 정신 개벽과 생활 개벽이 동학 개벽의 핵심이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급증을 내지 않고 그저 묵묵히 가야 한다는 것이다. 결과에 연연하지 않는 의연함이 중요하다. 결과에 연연하지 않아야 실패에도 좌절하지 않고, 마음의 평화를 유지하며 끝까지 주어진 길을 갈 수 있기 때문이다.(천도교의 위기, 한계와 기회│김용휘)

Park Yuha 2016 · 학문이라는 이름의 외설 혹은 테러 정영환

Park Yuha
21 July 2016 ·



학문이라는 이름의 외설 혹은 테러
(오랫만에 씁니다. 좀 깁니다..)

나에 대한 비판이 다시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상황을, 슬프게 생각한다.
고발 이후 내가 집중적인 비난을 받은 것은 고발직후,가처분판결전후, 기소, 한일합의,민사패소때였다. 물론 그 대부분은 언론이 “자발적 매춘부” 라는 틀을 갖고 왔기 때문이다.


이번 비난은 정영환의 책이 계기가 된 것 같다. 아니 어쩌면 워커스의 기사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외부요인이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는 정영환의 책은 “박유하는 위안부할머니를 자발적매춘부라고 했다”는 언론보도와 똑같은 역할을 했다.
학문이라는 이름의 외설, 혹은 테러. 그 시도는 성공한 듯 하다.

언론이 출판사의 보도자료를 그대로 옮기지만 않았어도 기자간담회까지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실, 정말은 2년전에 했어야 할 일이었다. 나는 이 2년동안 나눔의집 소장과 고문변호사의 “외설”(대중의 관심을 모으려는 의도가 뚜렷하다는 점에서)과 테러(“박유하는 친일파”라는 틀을 씌워 대중의 손가락질과 짓밟기를 유도해 왔다는 점에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고민해 왔지만, 아직 직접적으로는 아무런 대응에 나서지 않았다. 내가 공식적으로 대응한 것은 언중위에 간 일과 검찰의 기소에 대한 항의기자회견 뿐이다. 그리고 페이스북을 통한 소극적인 변명 혹은 설명. 반론을 제대로 쓴 것은 작년 여름에 잡지에 난 두개의 비판/비난에 대한 글에 대한 반론 뿐이다.

이미 쓴 것처럼, 몇 달 전부터 이어진 비판서들을 사두기는 했지만 나는 아직 읽지 않았다.
반론이 없다고 해서 꼭 반론이 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의문들에 대해 이미 몇 개의 반론을 통해 대답해 두었으니 링크해둔다 . 비판자들은 물론, 제게 의구심을 갖게 된 분들도 읽어 주시면 좋겠다.

아래 글을 링크하면서 알게 된 건, 내가 길게 대답한 글들의 대상이 전부위안부문제 연구자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말하자면 이들은 나를 비판하기 위해 기존연구나 인식들—남의 말을 옮긴데 불과하다.
나는 이른바 전문가-- 위안부문제 연구자가 아니라고 해서 배제할 생각이 없었지만 연구자가 아닌 사람들까지 대상으로 하다보니 좀 소모적이다. 앞으로는 오랫동안 이 문제에 관한 연구를 해 왔거나 운동을 해 온 분들과 토론해야 할 것 같다.

학자의 소송가담이라는 사태를 맞아(월요일 재판에서는 검사가 <제국의 변호인>을 증거라면서 제출했다)포기한 국민재판도 다른형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법원에 제출한 자료들을 홈페이지에 공개해 나갈 예정이다.
그리고 이제, 나의 책을 포르노로 만들려던 이들의 시도가 왜 외설이 되고 마는지, 왜 평화 대신 끊임없는 불화를 만드는 "폭력의 사고"일 수 밖에 없는 지에 대해 생각하면서 나머지 여름을 보내려 한다.

이재승, 윤해동교수에 대한 반론은 쓰다 말았었다 .정말은 젊은 역사학자들이 이 교수의 의견을 신봉하기에 이 반론에서 이재승 교수에 대한 비판도 썼었는데 반론의 직접 대상이 아니라면서 수정해 달라는 요청에 따라 뺏었다.

기자간담회는 어디까지나 언론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간담회 내용을 글로 정리할 시간이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일본에서도 기존 연구자들과 운동가들이 오해마저 포함한 비난을 이어가고 있으니 몸이 열개라도 충분치 않다.
앞으로는 반론할 의미가 있는 글에 대해서만 반론해야 할 것 같다.

홈페이지에, 지난 3월말에 동경대에서 이루어진 옹호자와 비판자들의 연구모임에 관한 후기를 <연구모임후기>라는 항목에 몇 개 번역해 올려 두었다.
사실 나는 그 글들이, 당일 이루어진 정영환등의 발표를 내가 없었던 탓에 그대로 믿고(그 시점에서는 아직나의 반론의 일본어번역을 준비하지 못했었다) 나의 책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쓰인 부분들이 있어서 자괴감이 크다. 중요한 일에도 때로 빠르지 못한 나의 불찰의 결과다.
그렇긴 하지만, 이 모임에 대한 한겨레, 시사인, 오마이뉴스등의 편향된 보도를 보셨던 분들은 참고해 주시면 좋겠다.

나는 정영환의 곡예적인 왜곡은 아프지 않다. 그저 그런 외설을 학자들마저 환영하는 이 사회가 슬플 뿐이다. 비판자들 대부분의 진정성을 믿기에 더욱 그렇다.

추신: 간담회에서 말했으나 보도 되지 않은 이야기를 덧붙여 둔다.

1)유희남할머니의 작고에 대한 애도와 그 분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 당일 아침에야 작고사실을 알았다. 연기할까 고민했으나 이미 시간을 한번 변경한 터여서 재변경을 감행해 기자분들에게 혼란을 주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여성신문은 그 자리에 있었다는데 그 말을 빼고 보도했다. 심지어 20억 얘기를 다시 재유포했다. 이에 대해서는 대응할 생각이다.
(할머니들께 그런 거짓마저 말하도록 한 건 우리 모두다.)

2) 정영환의 입국을 허하라고 말했다

-------------------

피소 1년 시점의 글(동아시아 화해와 평화의 목소리 심포지엄 발제문,2015/6)
http://parkyuha.org/%ea%b8%b0%ec%96%b5%ec%9d%98-%ec%a0%95%…/


(정영환비판에 대한 반론1, 페이스북 노트 2015/8/31)
http://parkyuha.org/%eb%b9%84%ed%8c%90%ec%9d%b4-%ec%a7%80%…/


정영환 비판에대한 반론 2, 역사비평 122호, 2015/8)
https://cldup.com/mt2lV_7iqt.pdf


젊은 역사학자들에 대한 반론(역사문제연구 34호,2015/10)
https://cldup.com/9Nl3W0KE2Q.pdf


한겨레 기사에 대한 반론(2016/2)
http://www.hani.co.kr/a…/society/society_general/729598.html

정영환 책에 대한 보도관련 생각(2016/7)
. http://wp.me/p7BuXx-10P
WP.ME
기자간담회 자료 전문 다운로드 [요약] 1) “일본군/국가의 책임을 극소화했다” 국가책임을 말했고 그에 따른 사죄보상을 요구했음 당사자 포함한…
Comments
Write a comment...

Quakernomics: An Ethical Capitalism (Anthem Other Canon Economics): Mike King, Sir Adrian Cadbury Sir: 9780857281128: Amazon.com: Books



Quakernomics: An Ethical Capitalism (Anthem Other Canon Economics): Mike King, Sir Adrian Cadbury Sir: 9780857281128: Amazon.com: Books




Quakernomics: An Ethical Capitalism (Anthem Other Canon Economics)Paperback – April 1, 2014
by Mike King (Author), Sir Adrian Cadbury Sir (Foreword)
4.7 out of 5 stars 4 customer reviews


Kindle
$11.21
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19.9519 Used from $8.0620 New from $2.99

Combining commercial success with philanthropy and social activism, ‘Quakernomics’ offers a compelling model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modern world. Mike King explores the ethical capitalism of Quaker enterprises from the eigh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ies, testing this theory against those of prominent economists. With a foreword by Sir Adrian Cadbury, this book proves that the Quaker practice of ‘total capitalism’ is not a historically remote nicety but an immediately relevant guide for today’s global economy.
--------------

Editorial Reviews

Review

‘Fascinating, highly relevant and opportune, this book is a powerful exploration of history showing how ethical behaviour has been – and can be – an effective route to wealth creation and growth.’ —Carlota Perez, author of ‘Technological Revolutions and Financial Capital’ and Centennial Professor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Quakernomics” presents a refreshing new way of thinking about economic activity, one which links the pursuit of profit with social justice.’ —David Vogel, Haas School of Busines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Book Description




Explores Quaker enterprises from 1700 to the twentieth century as examples of an ethical capitalism, and tests them against prominent economists and their concern for economic justice.

See all Editorial Reviews


Product details

Series: Anthem Other Canon Economics (Book 1)

Paperback: 308 pages
Publisher: Anthem Press (April 1, 2014)


4 customer reviews

4.7 out of 5 stars
4.7 out of 5 stars
----------

Showing 1-4 of 4 reviews
Top Reviews

Cheri Berens

5.0 out of 5 starsA fascinating and unique walk through historyMay 17, 2019
Format: PaperbackVerified Purchase
Giv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utlining Quaker contributions to the foundation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Mike King then moves to Quaker contributions made in investment banking, botany, pharmaceuticals, luxury items and various other industries. Through these examples, we are shown that Quakers were active participants in the history of capitalism. But King’s primary concern throughout Quakernomics is “ethical” capitalism. Using a wide variety of examples to make his point, King suggests a capitalism that serves the community, that involves morality, and that provides a “middle way.” This middle way is provided by the ethics of the Quakers.
Using the socialist worker villages of Soviet Russia and Maoist China and other examples, such as the horrific conditions that existed during the Victorian Era and the extremes between the rich and poor, Quaker examples are used in contrast, such as the approach of a planned garden city, which was a workers village, but where amenities were planned to cater to the needs of the workers. As King notes, “…this was not socialism, neither was it ogre capitalism.”
King gives us examples of Quaker industries in the early days of iron and we are shown that Quakers made fortunes, but also were devoted to philanthropy. We are led through a fascinating journey of history, with examples of Quakerism in the iron and steel industrie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mining, railways, cotton, wool and the textile industry, but also the fields of science, pharmaceuticals, banking and finance. Thus we are shown ethical capitalism through examples of Quakerism.
We are then given examples of capitalism through the eyes of writers who documented working-class poverty and the conditions of factory workers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that point out the failures of capitalism, the side effect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xploitation of labor. We are offered a solution: “ethical” capitalism. Quakers created partnerships with workers rather than exploitation.
King then gives a synopsis of various economists, again pointing out the outcome of “unethical” capitalism, and also examples of various works of fiction that point out the need for social justice. After this in-depth survey of the pitfalls of capitalism through various genres and thinkers of the past, none of whom give solutions, but highlighting unethical capitalism, it is concluded that the business practices of the Quakers are “largely comprised of ethical capitalism.”
Not only is this book a fascinating and unique walk through history, we learn that Quakers follow the teachings of peace, equality, truth and simplicity. As King points out, “No other single identifiable religious groups in history has applied these so extensively to economic activity.”


HelpfulComment Report abuse

Kirby Urner

4.0 out of 5 starsDid Quakers practice "Total Capitalism"?October 9, 2014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Very cool that the author focuses on The Iron Bridge as an entry point, a science fiction novel about a time traveler sent back from a future that's decided humans had industrialized too early, before their thinking had matured enough to handle it (witness the World Wars the followed). In this future, the planetary ecosystem is messed up beyond repair. Industrialization must be delayed. So she (the time traveler) is to sabotage the Iron Bridge, built by industrious Quakers who treated their workers fairly well. Hence the book's claim that Quakers not only practiced "total capitalism" (from foundry to factory to wholesale to retail) but did it in such away as to give "total socialism" a run for its money, i.e. they treated their workers relatively well. Quakers reach in apogee in power and influence around 1781 when the bridge opens. Given their socially unpopular positions in the US, anti Indian Wars and anti slavery, their Quaker utopia (Pennsylvania) is already on the wane, but that's another story. This book is more about the UK and the difference Quakers made there.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Rusty G SATX

5.0 out of 5 starsQuakers did more than just hunt Moby DickJune 6, 2014
Format: Kindle EditionVerified Purchase
I am not a Quaker but grew up around them and am an occasional "attender". Second, I have a graduate degree in economics. The author combines history, economics, and Quaker society into an excellent story. On rare occasions he is "cataloging" through notable Quaker businesses like the "begat" parts of The Bible, but just blow through those and you'll discover some new ideas.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Comment Report abuse

J. Mann

5.0 out of 5 starsPaternalistic CapitalismAugust 10, 2014
Format: Kindle Edition
This is a fascinating and informative review of the impact of Quakers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a reflection on what this might mean in how we think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today.

The book is divided into two parts - the first is a historic review of the economic impact of Quakers from their rise in the seventeenth century revealing their economic and financial importance through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and then their decline as an economic force in the twentieth century. Mike seeks to draw out the principles that led Quakers to economic success, these principles are what he calls "Quakernomics".

The second part looks at theories of economics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political spectrum, and makes the argument that both are lacking in important respects, and that 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s of "Quakernomics" provides a way to create an "ethical capitalism".

What is Quakernomics? Mike looks at what characterises the Quaker enterprises in the eighteenth century - he argues they were innovative and hard working, they looked after their workers and paid good wages, they employed a model of what Mike calls "total capitalism", where a whole network of interrelated Quaker businesses worked together - industry, housing, farming, finance, communications, energy and so on, and they sought be trustworthy and reliable, to always be able to pay their bills. If they fell behind in any of these areas, the local Quaker meeting was on hand to challenge the member and ensure they quickly corrected their mistakes.

Mike argues that Quakers created a "cooperative" - in the sense of cooperating together - economy, with for example Quaker bankers able to offer other Quakers finance at lower than market rates to help innovate and develop their business.

There is an impressive list of Quaker enterprises in a wide variety of areas - for iron we have the Darbys of Coalbrookdale but also we are told "Quakers owned between half and three-quarters of the ironworks in operation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There is the Quaker Lead Company who mined and smelted lead, copper and silver who supplied the Royal Mint with silver. Robert Ransome produced agricultural equipment, and Quakers were active in railways (the Stockton to Darlington Railway was Quaker owned and was also known as "The Quaker Line") and canals, cotton (John Bright was a cotton manufacturer as well as the fourth Quaker to sit in parliament), wool, textiles, shoes (Clarks), matches (Bryant and May), science (John Dalton, Thomas Young, Luke Howard, Elizabeth Brown, Arthur Stanley Eddington), chemicals, pharmaceuticals, chocolate (Fry, Cadbury and Rowntree) and biscuits (Huntley and Palmers, Carr's and Jacob's), also lawyers, stockbrokers, accountants, merchants and banking (Barclays and Lloyds).

This is a compelling story but there is a worrying lack of statistics, so that much of the argument runs on the basis of anecdote and example rather than firm facts and figures.

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percentage of Quakers followed the examples of looking after their workers that are given in the book. Similarly there is an impressive list of companies run by Quakers but do we really know how many in these Quaker "family" firms were really practising Quakers? Without any figures it is difficult to make a judgement on the claims made.

After all there were other employers such as Robert Owen who looked after their workers - is it possible to say whether the percentage of Quaker employers who looked after their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These broad claims that Quakers were more "ethical" than non-Quakers is particularly difficult to sustain as there are counterexamples also available. Marx talks about Quakers using child labour, the Quaker firm Bryant and May were the firm involved in the famous Match Girls Strike of 1888, and the banking firm Overend and Gurney collapsed in 1866 due to what could be regarded as unethical risk taking. Mike tries hard to argue these were exceptions but it shows Quaker companies were not always as ethical as he claims, and it begs the question whether the idea they were substantially different to other companies is really just wishful thinking? Not everyone who looked after their workers were Quakers, and there don't seem to be any figures to show it was more widespread in Quakers firms.

Mike's description of the "total capitalism" of Quaker firms all working together might seem as if they are avoiding the dog eat dog ethos of competition and the market but an alternative explanation might be that they were operating as a cartel - hardly ethical?

In the second part Mike reviews economic theories to look at whether lessons learned from Quakers might take theoretical form.

There is an excellent description of the tragedy caused to economies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ideas of right wing economists such a Milton Friedman and the ideas of Hayek and Ayn Rand particularly through their influence in the USA.

He makes an excellent point that economic freedom is not related to political freedom as these thinkers claim. For Friedman, Hayek and Rand, Economic freedom is the removal of regulation for companies so they are free to do as they wish - no protection for consumers or workers - all that matters is that companies can make as much money as possible, if that involves lying to consumers and oppressing workers so be it, maximum profit overrides all other considerations - certainly they believe as little tax as possible should be paid, even though they still expect an operating infrastructure.

As Mike points out, when the rich have large amounts of money they use it to corrupt the political system, though paying money to "think tanks" to support policies favourable to themselves, buying advertising, newspapers and media, giving money to political parties and even bribing politicians and the those in authority. Economic "freedom" is many cases can be shown to be the death of political freedom. Back in the 1970s when the UK had plenty of companies in public ownership and taxes were relatively high, there was still plenty of political freedom, people were free to go to protest and fight for causes, so the link to economic "freedom" and political freedom can easily be shown to be false.

Nevertheless his characterisation of certain economic views seems unfair - Marx in particular gets treated rather like God in a Dawkins book - there are numerous asides against Marx throughout the book on usually quite poor grounds. For example Marx is said to be against commodities because he uses the term "commodities" and rather than "goods", hence he doesn't think of them as being good. This seems a weak argument and Marx's theory of value shows he certainly regards commodities as being useful, so why would he think something useful wasn't good?

Marx wasn't against the creation of goods or commodities but argued thei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was unjust because a small number of wealthy capitalists owned the means of economic production and hence made choices which ensured the economy worked for their benefit - for the few, rather than the benefit of the workers - the many. Marx's basic point against capitalism was that an economy that has great wealth and also great need yet is organised in such a way that the wealth cannot be used to meet the need is an economic system not fit for purpose.

Similarly the "environmental" view is characterised through a fictional character wanting to go back in time and destroy Abraham Darby's furnaces (Maggie Foster from David Morse's novel The Iron Bridge). This idea of environmentalists being essentially Luddites who want us to all live in mud huts is very unfair to the important contributions to economics provided by environmental economists. Mike doesn't make any any mention in the book of this group of economists and to make matters worse he complains economists don't pay enough attention to energy supply - environmental economists certainly do!

Mike identifies four "evils" of modern capitalism: unemployment, low wages, industrial hazards and environmental harm. These are certainly evils but why pick just these four? Many more could be added: discrimination, militarisation, sexism, nationalism and xenophobia, poor housing, poor diet, lack of access to education, lack of access to the law, media bias, massively unfair distribution of resources, extremes of wealth and poverty and so on.

The problem with the four chosen is that they are all framed in a paternalistic context - they are "evils" that might have been addressed by having more kindly, ethical - paternal - employers. Yet even the Quaker businesses described in the book could not claim to avoid them - Darby did not care about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Bryant and May did little for industrial hazards (workers suffered from "phossy jaw") and were paid low wages.

Mike is proposing an "ethical capitalism" which appears to simply be a form of paternalism - keep the existing system but treat people in a more ethical manner.

Such paternalism doesn't address the systemic problems within capitalism - for example the drive for growth - if we define capitalism as the investment of private capital in an enterprise in order to achieve a return on that investment there are all sorts of issues not only in the length of time a private capitalist is willing to invest for, but how much risk they are willing to take and the sort of enterprises they are willing to invest in. Capitalism is not an economic model that encourages innovation for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worthwhile discoveries, it is focussed on short term profit, and whether the enterprises are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useful is irrelevant.

Mike also doesn't address the militaristic implications of capitalism - having large defence industries seeking to maximise profits encourages the use of the military as a means of solving world problems. People laugh when the NRA says the solution to gun crime is more guns, but in effect that is western foreign policy since the birth of Imperialism.

In fact the source of the problem is not the lack of ethics of the powerful, but the imbalance of power itself. Capitalism has an inherent feudalism within many of its structures and organisations - businesses of course, but also hospitals, schools, universities, prisons, mental health care, social work, the media, charities, religious groups - there are very few organisational structures which are not hierarchical, and many which have no way for those at the bottom of the organisation to change those who are at the top.

A hierarchical system is inherently subject to exploitation of those without power by those with it. The answer to this structural problem is not a plea for those in power to behave in a more ethical manner, but a change to the structure itself.

The experience of "Quakernomics" doesn't seem to show an ethical capitalism can avoid the evils of capitalism - time and again we see how Quakers suffer from the inherent injustices built into capitalism the same as everyone else.

The attempt to put a human face on the machine of capitalism ultimately fails because capitalism is a system which seeks to perpetuate itself and a small number of the very rich, the Quaker family businesses were replaced by limited companies because they were larger and more ruthless, they understood the rules of the game better and so triumphed over those who didn't.

However Mike's interpretation of the experience of Quakers in business is open to an alternative explanation. Increasingly Quakers and others opposed to unfettered capitalism came to realise the limits of capitalism and the need for regulation - elimination of child labour, minimum wages, health and safety, government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Society increasingly operates through institutions to train and conform people to work the economy - prisons, hospitals, mental health care, social care, schools and workplaces themselves operate under a hierarchical feudal system in which prisoners, patients, pupils and workers are powerless to innovate and change the system they are subject to.

Humanity needs innovation, but private capital is very limited in what innovation it will invest in - people probably have ideas for innovations every day that could improve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look after our planet but unless they can be turned into a product that is low risk and returns high profits in the short term private capital isn't interested. As economist Mariana Mazzucato argues in her book "The Entrepreneurial State" private companies are very poor at investing in innovation.

Mike says Quakers are opposed to revolution but Quakerism was birthed in revolution and is itself a permanent revolution - challenging our understanding of how communities can function. Rather than see the parochial Quakers of the eighteenth century as somehow exemplifying Quaker ethics Quakerism has at its heart a profoundly revolutionary ethic of how societies should function as non-hierarchical organisations. If there is such a thing as Quakernomics it is the economic reorganisation of society as a cooperative community that comes together to meet needs and provide resources for people to flourish, for differences to be respected and for the planet to be loved and cared for.

It is said in our society we have a democratic deficit, yet Quakers take us beyond democracy. Even though democracy is preferable to the feudal hierarchies that dominate our present system, democracy itself has some failings and weaknesses - it can be the dictatorship of the majority, it can delight in populism and fail to listen to genuine concerns of minorities.

Quakers look to a community in which even the minorities are included and considered, in which a conversation goes on between all sectors of society, according everyone respect as Children of God, and working together to produce a society with space for all.

5 people found this helpful
------------















A review of "Quakernomics" - QuakerQuaker



A review of "Quakernomics" - QuakerQuaker




A review of "Quakernomics"
Posted by Matt on 9th mo. 11, 2015 at 7:48am
View Blog




Mike King’s 2014 book Quakernomics: An Ethical Capitalism should interest anyone who wants to learn more about the history of 19th century British Quakers in business. Beyond that, the claim that the book provides “an immediately relevant guide for today’s global economy” should be treated with skepticism.

The historical narrative that makes up the first half of the book is definitely interesting, but it is worth mentioning a couple of important concerns:

- First, as one reviewer on Amazon notes there is little statistical evidence presented to back the author’s claim that Quakers were any more ethical than their counterparts.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percentage of Quakers followed the examples of looking after their workers that are given in the book. Similarly there is an impressive list of companies run by Quakers but do we really know how many in these Quaker ‘family’ firms were really practising Quakers? Without any figures it is difficult to make a judgement on the claims made… is it possible to say whether the percentage of Quaker employers who looked after their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erage?”

- Second, his historical argument is that “Quakernomics…is a philosophy of wealth creation which sought from the outset to put its wealth to social ends” (128). While he does provide some examples of Quakers seeking changes in public policy, the bulk of his examples to support the idea of the social concerns of Quaker business owners (above average wages, model villages, hot chocolate instead of beer, etc.) are rooted in voluntary action and moral persuasion rather than legislation. This historical evidence is at odds with the author’s personal conviction (which informs the economic analysis in the second half of the book) that “the state must inexorably play a key role in the construction of an ethics for reining in raw capitalism” (255).

You can read more here: http://quakerlibertarians.weebly.com/blog/quakernomics

--------------------------
< Previous Post
Next Post >
Comment by Kirby Urner on 9th mo. 13, 2015 at 1:55pm


I've referenced that book quite a bit in leading interest groups on "What is Quakerism?" to groups of non-Quakers, example here:

http://controlroom.blogspot.com/2014/10/a-quaker-arc.html

The story these non-Quaker authors tell delightfully piggy-backs on science fiction already in the bag: The Iron Bridge. That helps keep the tone light and more literary.

http://www.quaker.org/fqa/types/t10-iron.html

Also apropos, George Bernard Shaw was looking to ridicule and/or satirize the socially responsible businessman but shied away from using Cadbury, not evil enough to make his point:

http://worldgame.blogspot.com/2008/06/major-barbara-movie-review.html
(see ending paragraph)

What I get from the book is how business-oriented Quakerism was and therefore still could be or even is in some respects.

One need not dig too deeply to impress a newcomer with this orientation, given the prominence of Meetings for [Worship for] Business Meeting and emphasis on check-and-balance workflows among committees (talking unprogrammed here, what they had in the 1790s, more than pastor-led).

A finely tuned Meeting could manage millions if not billions in assets, with processes already on the books or within reach of innovation, would be my contention. Ethically? That may be a function of Meeting depth, more than simply design i.e. that depends on the Meeting.


Kirby Urner
Co-clerk IT Committee / NPY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