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bi-sabi
This article has multiple issues. Please help improve it or discuss these issues on the talk page.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ese template messages)
|
In traditional Japanese aesthetics, wabi-sabi (侘寂) is a world view centered on the acceptance of transience and imperfection.[2] The aesthetic is sometimes described as one of appreciating beauty that is "imperfect, impermanent, and incomplete" in nature.[3] It is prevalent in many forms of Japanese art.[4]
Wabi-sabi is a composite of two interrelated aesthetic concepts, wabi (侘) and sabi (寂). According to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wabi may be translated as "subdued, austere beauty," while sabi means "rustic patina."[5] Wabi-sabi is derived from the Buddhist teaching of the three marks of existence (三法印, sanbōin), specifically impermanence (無常, mujō), suffering (苦, ku) and emptiness or absence of self-nature (空, kū), however, the two were originally seen as distinct concepts.[6]
Characteristics of wabi-sabi aesthetics and principles include asymmetry, roughness, simplicity, economy, austerity, modesty, intimacy, and the appreciation of both natural objects and the forces of nature.
Description[edit]
According to Leonard Koren, wabi-sabi can be described as "the most conspicuous and characteristic feature of what we think of as traditional Japanese beauty. It occupies roughly the same position in the Japanese pantheon of aesthetic values as do the Greek ideals of beauty and perfection in the West." Another description of wabi-sabi by Andrew Juniper notes that, "If an object or expression can bring about, within us, a sense of serene melancholy and a spiritual longing, then that object could be said to be wabi-sabi."[7] For Richard Powell, "Wabi-sabi nurtures all that is authentic by acknowledging three simple realities: nothing lasts, nothing is finished, and nothing is perfect."[8]
The words wabi and sabi do not translate directly into English; wabi originally referred to the loneliness of living in nature, remote from society; sabi meant "chill", "lean" or "withered". Around the 14th century, these meanings began to change, taking on more positive connotations.[3]
After centuries of incorporating artistic and Buddhist influences from China, wabi-sabi eventually evolved into a distinctly Japanese ideal. Over time, the meanings of wabi and sabi changed to be more lighthearted and hopeful. Around 700 years ago, particularly among the Japanese nobility, understanding emptiness and imperfection was honored as tantamount to the first step to satori, or enlightenment. In today's Japan, the meaning of wabi-sabi is often condensed to "wisdom in natural simplicity". In art books, it is typically defined as "flawed beauty".[9] Wabi-sabi artworks often emphasize the process of making the piece and that is ultimately incomplete.[10]
From an engineering or design point of view, wabi may be interpreted as the imperfect quality of any object, due to inevitable limitations in design and construction/manufacture especially with respect to unpredictable or changing usage conditions; in this instance, sabi could be interpreted as the aspect of imperfect reliability, or the limited mortality of any object, hence the phonological and etymological connection with the Japanese word sabi (錆, lit. 'to rust'). Although the kanji characters for "rust" are not the same as sabi (寂) in wabi-sabi, the original spoken word (pre-kanji, yamato-kotoba) are believed to be one and the same.[11][12]
Wabi and sabi both suggest sentiments of desolation and solitude. In the Mahayana Buddhist view of the universe, these may be viewed as positive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liberation from a material world and transcendence to a simpler life. Mahayana philosophy itself, however, warns that genuine understanding cannot be achieved through words or language, so accepting wabi-sabi on nonverbal terms may be the most appropriate approach.
In one sense wabi-sabi is a training whereby the student of wabi-sabi learns to find the most basic, natural objects interesting, fascinating and beautiful. Fading autumn leaves would be an example. Wabi-sabi can change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world to the extent that a chip or crack in a vase makes it more interesting and gives the object greater meditative value. Similarly materials that age such as bare wood, paper and fabric become more interesting as they exhibit changes that can be observed over time.[13]
The wabi and sabi concepts are religious in origin, but actual usage of the words in Japanese is often quite casual because of the syncretic nature of Japanese belief.
In Japanese arts[edit]
Many forms of Japanese art have been influenced by Zen and Mahayana philosophy over the past thousand years, with the concepts of the acceptance and contemplation of imperfection, and constant flux and impermanence of all things being particularly important to Japanese arts and culture.
As a result, many of these artforms contain and exemplify the ideals of wabi-sabi, and several display the concept's aesthetical senses particularly well. Examples include:
- Honkyoku (the traditional shakuhachi (bamboo flute) music of wandering Zen monks)
- Ikebana (the art of flower arrangement)
- The cultivation of bonsai (miniature trees) – a typical bonsai design features wood with a rough texture, pieces of deadwood, and trees with hollow trunks, all intended to highlight the passage of time and nature. Bonsai are often displayed in the autumn or after they have shed leaves for the winter, in order to admire their bare branches.
- Traditional Japanese gardens, such as Zen gardens (tray gardens)
- Japanese poetry
- Japanese pottery, such as Hagi ware, Raku ware and kintsugi
- Tea ceremony, by means of an analogous study of action and environment.[10] Wabi-cha pursues this self-consciously[citation needed]
A contemporary Japanese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wabi-sabi can be found in the influential essay In Praise of Shadows by Jun'ichirō Tanizaki.
Western use[edit]
Wabi-sabi has been employed in the Western world in a variety of contexts, including in the arts, technology, media, and mental health, among others.
The arts[edit]
Many Western designers, writers, poets and artists have utilised wabi-sabi ideals within their work to varying degrees, with some considering the concept a key component of their art, and others using it only minimally.
Designer Leonard Koren (born 1948) published Wabi-Sabi for Artists, Designers, Poets & Philosophers (1994)[3] as an examination of wabi-sabi, contrasting it with Western ideals of beauty. According to Penelope Green, Koren's book subsequently "became a talking point for a wasteful culture intent on penitence and a touchstone for designers of all stripes."[14]
Wabi-sabi concepts historically had extreme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studio pottery; Bernard Leach (1887–1979) was deeply influenced by Japanese aesthetics and techniques, which is evident in his foundational book A Potter's Book.
The work of American artist John Connell (1940–2009) is also considered to be centered on the idea of wabi-sabi;[15] other artists who have employed the idea include former Stuckist artist and remodernist filmmaker Jesse Richards (born 1975), who employs it in nearly all of his work, along with the concept of mono no aware.
Some haiku in English also adopt the wabi-sabi aesthetic in written style, creating spare, minimalist poems that evoke loneliness and transience,[citation needed] such as Nick Virgilio's "autumn twilight:/ the wreath on the door/ lifts in the wind".[16]
Technology[edit]
During the 1990s, the concept was borrowed by computer software developers and employed in agile programming and wiki, used to describe acceptance of the ongoing imperfection of computer programming produced through these methods.[17]
Media[edit]
On 16 March 2009, Marcel Theroux presented "In Search of Wabi Sabi" on BBC Four, as part of the channel's Hidden Japan season of programming, travelling throughout Japan trying to understand the aesthetic tastes of its people. Theroux began by comically enacting a challenge from the book Living Wabi Sabi by Taro Gold, asking members of the public on a street in Tokyo to describe wabi-sabi – the results of which showed that, just as Gold predicted, "they will likely give you a polite shrug and explain that Wabi Sabi is simply unexplainable."[18]
Mental health[edit]
Wabi-sabi has been evoked in a mental health context as a helpful concept for reducing perfectionist thinking.[19]
See also[edit]
- Clinamen
- Higashiyama Bunka in the Muromachi period
- Iki (a Japanese aesthetic ideal)
- Mono no aware
- Shibui
- Teaism
- Wabi-cha
- Kintsugi (also known as kintsukuroi)
- Tao Te Ching
- I Ching
- Perfect is the enemy of good
References[edit]
- ^ 森神逍遥 『侘び然び幽玄のこころ』桜の花出版、2015年 Morigami Shouyo,"Wabi sabi yugen no kokoro : seiyo tetsugaku o koeru joi ishiki" (Japanese) ISBN 978-4-434-20142-4
- ^ "What Is Wabi-Sabi?". nobleharbor.com. Retrieved 2017-07-13.
- ^ ab c Koren, Leonard (1994). Wabi-Sabi for Artists, Designers, Poets and Philosophers. Stone Bridge Press. ISBN 1-880656-12-4.
- ^ DAVIES, TREVOR (2018). 1001 IDEAS THAT CHANGED THE WAY WE THINK. [Place of publication not identified]: CASSELL ILLUSTRATED. p. 293. ISBN 978-1-78840-088-6. OCLC 1032029879.
- ^ "Japanese Aesthetic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31 October 2022.
- ^ Daisetz Suzuki "Zen and Japanese Culture" Iwanami Shoten, 1940 ISBN 978-4004000204 The stillness of the tea ceremony is wider than silence. Synonymous with awabi. (136 pages)
- ^ Juniper, Andrew (2003). Wabi Sabi: The Japanese Art of Impermanence. Tuttle Publishing. ISBN 0-8048-3482-2.
- ^ Powell, Richard R. (2004). Wabi Sabi Simple. Adams Media. ISBN 1-59337-178-0.
- ^ Gold, Taro. (2004) Taro Gold's Living Wabi Sabi (Kansas City: Andrews McMeel Publishing, ISBN 0-7407-3960-3), pp. 20–21.
- ^ ab John, Joseph D. (2007). "Experience as Medium: John Dewey and a Traditional Japanese Aesthetic". The Journal of Speculative Philosophy. 21 (2): 83–90. doi:10.2307/25670649. ISSN 1527-9383. JSTOR 25670649.
- ^ 錆びをめぐる話題, 井上勝也, 裳華房, 1994
- ^ さびの文字 on the Kinugawa Chain Mfg. Co. Ltd website
- ^ Yury Lobo, In the Wake of Basho: Bestiary in the Rock Garden, Xlibris, 2017, 23*
- ^ Green, Penelope (22 September 2010). "An Idiosyncratic Designer, a Serene New Hom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12-09-25.
- ^ Hess Art Collection, Hatje Cantz, 2010
- ^ Cor van den Heuvel, editor. The Haiku Anthology. Fireside, 1986. ISBN 0-671-62837-2 p285
- ^ "Wabi Sabi". Retrieved 2006-11-19.
- ^ Gold, Taro. (2004) Taro Gold's Living Wabi Sabi (Kansas City: Andrews McMeel Publishing, ISBN 0-7407-3960-3), p. 6.
- ^ Mathews, John (February 23, 2016). "Wabi Sabi: The Simple Beauty of Serene Melancholy". Virginia Counseling. Retrieved July 7, 2022.
Bibliography[edit]
- Crowley, James; Crowley, Sandra; Putnam, Joseph (2001). Wabi Sabi Style. Utah: Gibbs Smith. ISBN 1-58685-753-3.
- Davies, Roger and Osamu Ikeno (Eds.) (2002). The Japanese Mind. Tuttle Publishing. pp. 223–231. ISBN 978-0-8048-3295-3.
- Koren, Leonard (2008). Wabi Sabi for Artists, Designers, Poets & Philosophers. California: Imperfect Publishing. ISBN 978-0-9814846-0-0.
- Suzuki, Daisetz T. (1959). "Chapter 2: General Remarks on Japanese Art Culture". Zen and Japanese Culture. New York: MJF Books. pp. 19–38. ISBN 1-56731-124-5.
- Tierney, Lennox (1999). Wabi Sabi. Utah: Gibbs Smith. ISBN 0-87905-849-8.
External links[edit]
와비·사비
와비 사비(일본어: わび・さび(侘・寂))란 일본의 문화적 전통 미의식,미적관념의 하나이다. 투박하고 조용한 상태를 가리킨다. 보통 묶어서 와비 사비로 표현하지만, 엄밀히는 별개의 개념들이며 서구의 미니멀 아트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와비[편집]
와비란 동사 와부(わぶ)의 명사형으로 자주 쓰이는 형용사 와비시이의 의미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훌륭한 상태에 대한 열등한 상태"를 뜻한다. 이 의미가 바뀌어 조잡한 모양, 또는 간소한 모양이라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극단적인 해석으로는 가난한 모양, 가난등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원래 의미는 그렇게 미의식과 연관짓기 힘들어 보이지만, 불교 선종의 영향등으로 적극적으로 평가되어 미의식의 하나로 정립되었다. 와비에 대한 기술은 만요슈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와비를 미의식이라는 개념으로 사용한 것은 에도 시대의 다도에 관한 책 남방록(《南方録》)에서 찾을 수 있고, 그 이전에는 소소우(麁相)라는 단어가 와비에 가깝지만, 다도의 대가인 센노 리큐등은 "소소우"를 싫어했기 때문에 양자는 반드시 동의어로 쓰인다고 말하기 어렵다. 거칠게, 비싸지 않지만 질이 높은 물건이나 사물을 나타내기도 한다.
와비는 다도에서 이론화되기 시작하는데, 와비차라는 말이 등장한 것도 에도 시대이다.
와비, 녹
와비·녹 (侘《び》・寂《び》 )은 신중하고, 질소인 것 속에, 깊이와 풍부함 등 「취」를 느끼는 마음, 일본 의 미의식 . 미학의 영역에서는, 협의에 사용되어 「미적 성격」을 규정하는 개념으로 보는 경우와, 광의에 사용되어 「이상 개념」이라고 보는 경우로 대별될 수도 있지만[1] , 일반 음성, 질소로 조용한 것을 기조로 한다 [2] . 본래는 와 (와비)와 녹 (녹)은 다른 의미이지만, 현대에서는 한마디로 말해지는 것이 많다 [3] . 차 의 탕의 외로는, 정적보다 넓고, 불전 에서는 , 죽음, 열반을 가리키고, 빈곤, 단순화, 고절에 가깝고, 녹은 와비와 동의어가 된다[4 ] . 사람의 세상의 어리석음, 무상인 것을 아름답다고 느끼는 미의식이며, 깨달음의 개념에 가까운, 일본 문화의 중심 사상이라고 말해지고 있다[5 ] .
侘[ 편집 ]
侘( 와비 ,侘びとも)란, 사전 의 정의에 의하면, 「빈곤・부족 속에 마음의 충만을 찾아내려고 하는 의식」[ 6] 을 말해, 동사 「와부」의 명사형 이다. 「와부」에는 「기락한다」 「폐를 끼친다」 「심심하게 생각한다」 「어쩔 수 없는 생활을 보낸다」 「한외를 즐긴다」 「곤란하고 탄원한다」 「아야마루」 「・・・시아구무」[ 7] 이라는 의미가 있다.
본래, 侘이란 굉장한 심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었지만, 중세에 가까워짐에 따라, 사려할 만한 불충분한 방식으로 아름다움이 발견되게 되어, 부족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새로운 미의식으로 변화해 갔다. 무로마치 시대 후기에는 차의 탕과 연결되어 거짓말의 이해는 급속히 발달해, 에도시대의 마츠오 바쇼가 거미의 아름다움을 철저히 했다[ 6 ] 라고 하는 것이 종래의 설이다. 그러나 역사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서민, 특히 백성의 미의식 속에서야말로 거짓말이 발견된다고 하는 설이 발표되고 있다[2 ] .
侘에 관한 기술은 옛날 ' 만엽집' 의 시대부터 있다고 한다. 『만엽집』에서는 연애의 와비함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와비·녹의 어원과 용례 ” 참조)
「나무」를 미의식을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명사형으로 사용하는 예는, 에도 시대 의 차서 「남방록」이 첫출이라고 한다. 예전에는 ' 조상 '( 소소 )이라는 표현이 미의식의 가까이에 가깝다 . 내면은 정중하게)」(『야마가미 무네지기』) [8] 라고 말했다. 무엇보다千利休(1522-1591) 등은 '면상'인 것을 싫어했다 [9] 에서 반드시 동의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 시대의 차의 탕에서는, 와비함이 단순히 거칠다고 할 뿐만 아니라, 미적으로 뛰어난 것에 주목하게 되어 갔다.
侘의 말은 먼저 '수비수기'라는 숙어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랑차인' 즉 '일물도 가지지 않는 자, 가슴의 각오 하나, 작분 하나, 손 모양 하나, 이 삼가조 정돈하는 사람'(『종지기』)[ 8 ] 가리키고 있었다. 「가난한 차인」이다. 소지는 '부러움 수다'를 평가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러운 차인 즉 가난한 차인이 차에 친한 경지를 평가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천종남 (1578-1658)의 무렵이 되면 사무라이의 한자로 무일물의 차인을 표현하게 되었고, 이윽고 차의 탕의 정신을 지지하는 지주로서 사무라이가 양성되어 갔던 것이다.
여기서 종지기의 ‘비비’에 대한 평가를 인용해 두자. “종이 바보 니 밀전‥, 코히타, 타케타, 사타, 바보 타, 토우케타, 꽃 야카니, 지식, 작자, 꽃차 니, 츠요쿠, 우주가조 노우치, 노우유키 타루 니오 능숙한 토, 단 '구 5가조 하악시업 초심토 어쩐지'라서 '타타'는 수많은 차탕의 키워드 중 하나에 지나지 않았고, 초보자가 지향해야 할 경지가 아니라 한번에 차를 배우고 처음으로 목표로 할 수 있는 경지로 여겨졌다. 이 시기, 사비는 차노유의 대명사로 아직 인지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와비차」의 창시자라고 불리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라타 쥬코 (1422-1502)는, 당시의 고가의 「당」을 존중하는 풍조에 대해, 보다 조잡한 흔한 도구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차의 탕 을 오히려 갔다. 주광은 정토종의 승려이며 임제종의 승일휴종순 ( 1394-1481) 아래에 참선하여 선의 사상을 접했다. 그리고 선과 마찬가지로 "차의 탕을 배우는 데 가장 나쁜 것은 참을성이 있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다" [ 10 ]「마음의 글」보다 담교사 2002)로서 선과 차의 일치를 설교했다. 이른바 다선 일당이다. 그 방향을 다케노 사오라 (1502-1555)나 센리 휴로 대표되는 사카이의 마을이 심화시킨 것이다. 그들이 거짓말에 대해 언급한 것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거짓말에 관해서는, 그들이 선호한 것으로부터 찾는 것 외에는 없다. 찻집은 점점 부러워하는 풍치를 강하게 하고, “바닥벽의 장부를 꺼내 흙벽으로 하고, 목격자를 대나무의 격자로 하고, 장자의 허리판도 제거하고, 바닥의 거리가 진정한 옻칠이었던 것을 나뭇결 의 보이는 정도의 얇은 색으로 칠하거나 전혀 옻칠을 칠하지 않고 시라키 그대로 했다.” [11 ] 공론사 2009) 장착이었던 벽은 민가를 모시고 흙벽', '남방록')이 되어 짚을 보였다. 다실의 넓이는 「4 다다미 반에서 3 다다미 반, 2 다다미 반에」[12 ] 했다. 사오구는 일상품인 비젠야키나 시가라키야키를 좋아해 일상잡기 안에 새로운 아름다움을 찾아 차의 탕에 넣으려고 했다. 이러한 태도는 나중에 야나기 무네요시 (1889-1961) 등에 의해 시작된 '민예'의 사상에도 일맥통하는 곳이 있다. [13] 한편, 리큐는 자연스럽고 낭비가 없는 낙차경을 새롭게 창출시켰다.
사무라이는 차의 탕에서 이론화되어 갔지만, '와비차'라는 말을 할 수 있는 것도 에도시대이다. 에도시대에는 많은 차서가 저술되었고, 그들에 의해 다도의 근본미의식으로서 侘가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타케노 사오리는 사무라이를 '솔직히 꼼꼼하게 굳건히 모르는 모습'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14] (쿠와타 다다미 『일본 다도사』 p.129-130 「사와하타 비비의 글」에서 가와라 서점, 1975년) 일시 천리휴의 비전서로 목격된 「남방록」에서는, 사유가 「청정 무구의 불세계」[11] (전출 『현대어역 남방록』 『멸후 니차노유의 장래』 p.650)로 나타날 때까지 된다. 「남방록」은 전편에서 「와비차의 마음」[11] (동서 「처음에」p.1)이 계속 이야기되고 있지만, 그 초에는, 「코자시키의 차의 탕은 우선 불교의 가르침으로 수행하고 깨달음을 일으키는 것이다.…이런 것은 모두 석가나 조사가 온 수행이며, 그 뒤를 우리가 배우는 것이다” [ 11 ] .15)와의 이휴의 말이 적힌다.
오카쿠라 각조 (텐심)(1863-1913)의 저서 『The Book of Tea(차의 책)』 중에서는 「다도의 근본은 '불완전한 것'을 존경하는 마음에 있다」[15]라고 적혀 있다 있습니다. 이 "imperfect(불완전한 것)"라는 표현이 뒤를 잘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영어로 쓰여진 이 책을 통해 백은 세계로 널리 퍼져 그 결과 일본을 대표하는 미의식으로 확립되어 갔다.
다이쇼·쇼와 시대에는 다도구가 미술 작품으로 평가되게 되었고, 이에 따라 侘라는 표현이 그 조형미를 나타내는 말로 보급되었다. 야나기 무네요시 (1889-1961)와 쿠마츠 신이치 (1889-1980) 등은 고려 찻잔 등의 아름다움을 칭찬할 때 侘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16]
외로움 [ 편집 ]
寂( 녹 , 쓸쓸함 , 연비도 )는, 「한외함 속에, 깊은 것이나 풍부한 것이 느껴지는 아름다움」[6]을 말해, 동사 「사부」의 명사형 이다 .
본래는 시간의 경과에 의해 열화된 모습을 의미하고 있다. 한자의 ' 쓸쓸함 '이 맞고, 돌아서 '쓸쓸하다'라는 듯 사람이 없어져 조용한 상태도 나타내게 되었다. 녹의 본래의 의미인 「내부적 본질」이 「외부로 퍼져 나온다」를 나타내기 위해서 「연」의 글자를 사용해야 한다고 하는 설도 있다[ 17 ] [ 2] . 물건의 본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에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음변해져(연)비가 된다 [18] . 이 금속의 표면에 나타난 「녹」에는, 한자의 「녹」이 맞춰져 있다. 영어로는 patina( 녹청 )의 아름다움이 비슷한 것으로 들 수 있으며, 녹청 등이 자아내는 분위기에 대해서도 patina로 표현된다.
「녹」이란, 늙고 시들어진 것과, 풍부하고 화려한 것이라고 하는, 상반하는 요소가 하나의 세계 속에서 서로 끌어당겨, 작용해 그 세계를 활성화한다. 그렇게 활성화되어 움직이지 않는 마음의 작용에서 생기는 이중구조체의 아름다움이 된다 [6] .
본래는 좋은 개념은 아니었지만, 외롭다는 의미에서의 외로움은 옛날 「만엽집」에도 노래되고 있다(「와비·녹의 어원과 용례」참조 ) . 외로운 적극적인 아름다움을 발견한 것은 헤이안 시대 후기의 가인 후지와라 토시나리 (신제이·토시나리 1114-1204)라고 일반적으로 말해진다. 노래의 우열을 겨루는 '가합(うたあわせ)'의 자리에서 노래의 모습을 '녹'이라고 파악하고 그것을 평가한 것이다. 노래되는 「녹슬기가 중요한 요소로,」 「그 외로움을 평가」[19] (『녹-순성보다 바쇼에의 전개』 p.34 복본 이치로 츠카부모서 57 1983) 했다.
슌나리의 자정가(사다이에·테이카 1162-1241)는 “바라보면 꽃도 단풍도 가리키지 를 노래했다. 여기에도 고요함과 외로움 속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노래는, 차의 탕의 다케노 사오구에 의해 사비차의 마음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11] (전출 『남방록』 「와비차의 마음」p.93).
겸호법사 (1283-1352경)가 썼다고 하는 '도연초'( 1330 ~1349경 성립)에는 '라(うすもの)는 상하(카미시모)는 얽혀, 나전(라덴)의 축(지쿠 )는 조개 떨어지고 뒤야말로 이미지케레」라고 하는 친구를 훌륭하다고 평가하고(제82단), 낡은 책자를 맛 깊다고 보는 기술이 있다. 또, 「꽃은 딱, 달 쿠마나키만 보는 것인가는」(제137단)로서, 봉오리의 꽃이나 흩어져 있는 꽃, 구름 사이의 달에도 아름다움이 발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아름다움을 제시하는 '도연초'도 '무상관으로 대상을 보고 있었다'고 한다. [19] (전출 『녹-순성에서 바쇼에의 전개』 p.57) 자란조, 익숙해져야 한다」(『도연초』 제18단)라고 말하고 있어, 선의 삶의 방법을 이상으로 하고 있는 것을 읽을 수 있다. 侘의 미의식과도 겹친다. 또, 겸호가 살았던 중세에는 「헤이케 이야기」나 「방장기」가 성립해, 무상관이 의식되고 있던 시대이기도 했다. 겸호는 「지금까지 없는 고도로 심원한 미적 태도를 표명했다」[20] (『사랑의 세계』 p.13 와타나베 세이이치론 창사 2001)라고 할 수 있다. 이 무렵에는 외로운 것 불완전한 것에 가치를 찾아내고, 낡은 모습에 아름다움을 찾아내는 의식이 명료하게 표현되고 있었던 것이 확인된다. 외로움은 무로마치 시대 에는 특히 배우장의 세계에서 중요시되게 되어, 노가쿠 등에도 도입되어 이론화 되어 간다. 외로움을 더욱 심화시켜 배우에게 노래한 것이 에도시대 전기인 마츠오 바쇼 (1644-1694)이다. 예술성이 높은 노래를 읊고 그 독자적인 정취는 쇼풍이라고 불렸다. 외로는 바쇼 이후의 하이쿠 에서는 중심적인 미의식이 되지만, 바쇼 본인이 외로에 대해 직접 말하거나 기록한 기록은 매우 적다고 한다. 바쇼는 “서행의 와카에 있어서, 종기의 연가에 있어서, 설배의 그림에 있어서, 리큐가 차에 있어서, 관관도하는 것은 하나(언제)가 된다”[ 21 ] .52 일본 고전 문학대계 46 이와나미 서점)이라고 말한다. 이 '관도하는 것'은 '풍아' [21] (동, p.52 주)이며, 풍아는 '광의에는 예술, 협의에는 배우諧' [21] (동, p.52 주) 을 바른다. 그리고 "풍아론에 뿌리를 두고 태어난 것" [22] ("바쇼 연구논고집성" 제1권 "녹·시루리·호소미" p.428 潁原退藏 クレス出版)의 하나로서 외로움이 있다. 그러나 녹슬기를 그대로 녹슬었다고 노래한 것만으로는 노래 평가는 낮다. 노래 속에 「녹슬음을 시전하는 것이었고, 감상하는 측에서 말하면, 서술된 경 속에 녹슬기를 읽는 것」 [ 19 ] ―』 p.87)이 필요하다. 이 본연의 방법이 노래의, 그림의, 차의 탕의, 아름다움을 높인다. 게다가 그것이 자연스럽게 있는 그대로 이루어지는 곳이 중요하다. 일부러도, 말도 안되는 연출은 오히려 제작물의 가짜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23] 그리고 항상 외로운 경지에 있을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여행이었다. 「녹과 외로움과의 관계 는, 여행을 통해서 혹은 초안을 통해,… 엄청난 긴밀하다. 」쿠사안에 살고, 또, 표박 여행 속에서 노래를 계속 읊었다. 이것은 "사람을 하여 외로움의 극에 서서 자기 내부에서의 외로움의 질의 전환을 다가오는 장소"이며, 거기서 "본래 부정되어야 할 녹슬기는 긍정해야 할 경지로서의 위치를 차지한다" [19] (전출 『녹 - 슌성에서 바쇼에의 전개-』 p.115)에 이르고, 배우 장의 「녹」이 된다. 바쇼에는 "이 길이나 가는 사람 없이 가을의 삶"이라는 노래가 있다. 최저년의 노래이다. '이 길'은 가을 생활에 걸어가는 사람도 없는 끔찍한 길이다. 일반적으로 이 어구는 바쇼가 걷는 배우의 길이 외로운 것을 노래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그러나 바쇼는 사관하고 입신 출세하려고 하거나 학문에 의해 스스로의 어리석음을 깨닫고자 하거나 [21] (전출 『笈の小文』 p.52), 불문에 들어가려고 하거나 [25] (『환주암기』) 했지만, 배우의 길을 택한 것이다. 이를 감안할 때 '이 길'은 배우의 길 이상일 것이다. 바쇼의 외로움의 정신성 깊이가 있습니다. 「이 길」은 「절대적인 존재로서의 길」[2] (『수비연비 유현의 마음』 p.198 森神逍遥 벚꽃의 출판)일 것이다. "외로운 자신의 모습을 초월한 절대적인 고요함이 거기를 지배하고 있다"(동)라는 근원적 사실의 표현이다. 여기에 외로움의 본질이 있고, 이것이 불교의 근본과 겹치는 것이다.
사비와 함께 리큐 이후의 다도의 진수로서 말해지는 외로움이지만, 의외로 리큐시대의 차의 문헌에는 보이지 않는다. 「비비」의 항에 든 야마가미 무네 지기의 거짓의 십가조에도 외로움은 보이지 않고, 동서의 다른 부분에도 「외로움」 「외로움」의 말은 나타나지 않는다. 아마도 에도시대 이후, 배우장이 활발해져 외로움의 개념이 퍼지는 것과 동시에, 사비와 연결되어 다도에서도 이용되게 된 것이다.
배우장에서의 외로움은 특히 낡은 것, 노인 등에 공통되는 특징이다. 테라다 토시히코 는 바쇼의 '녹슬 책갈피'를 '자아의 주관적인 감정의 움직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표면의 외각을 깰 그 안쪽에 존재하는 진정한 본체를 올바르게 인정할 때 당연히 인정된다. 해야 할 것의 본정의 상모를 가리킨다」[26] (「배우의 본질적 개론」 「테라다 토시히코 전집」 제12권 p.90 이와나미 서점 1997년)이라고 한다. 단순한 외롭거나 슬프지 않고, 「더 깊은 곳에 진입하고 있다」[26] (동)이다. 그리고 바쇼에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자연과 껴안고 자연에 몰입한 후에 다시 자연을 떠나 정관하고 인식할 만한 마음의 자유를 가지고 있었다" [26 ] ] (동 p.105)로부터라고 한다. 게다가 하이쿠라는 영역을 넘어, 혹은 현대인에 있어서는, 「지루할 곳을 모르는 욕망을 절제해 부족한 것을 아는 만큼 싸게 하는 것을 가르치는 자기 비판이 녹의 진수가 아닐까」[ 27 ] (「하이쿠의 정신」 동전집 동권 p.147)이라고도 한다. 이런 경지에 설 때 보이는, 낡은 것의 안쪽에서 번져 나오는 것 같은, 외장 등에 관계하지 않는 아름다움이 외로운 것이다. 예를 들면, 이끼가 자란 돌이 있다. 아무도 움직이지 않는 돌은 일본의 풍토 속에서는 표면에 이끼가 생겨 녹색이 된다. 일본인은 이것을 돌 내부에서 나오는 것에 비추었다.
또, 내부적 본질로부터 외부로 퍼져 나오는 「연비」에는, 에이징, 녹슬어 가는, 낡고 「 시부 미」가 나온 골동품의 의미가 있다[2 ] 마음」 p.173). 이렇게 낡은 모습에 아름다움을 찾는 태도이기 때문에 골동 취미 와 관련이 깊다. 예를 들어, 영국 등의 골동품(골동품)과는 다른 점도 있지만 공통되는 면도 있다고 할 수 있다. 외로움은 보다 자연 그 자체의 작용에 중점이 있는 한편, 서양의 골동에서는 역사면에 중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와비 녹은 일반적으로 차의 뜨거운 물이나 배우의 장면에서 논의된다. 리큐도 바쇼도 역사에 이름을 남긴다. 와비사비의 경지를 깊게 하기 위해, 차의 탕이라는 장소를 만들거나, 혹은 여행에 나간다. 거기서 사로움과 외로움을 사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러 골라내는 것도 없이 오랜 역사 속에서 부응 없이 넉넉한 사로움과 외로움 속에서 일상을 보내 온 것이 서민이었다. 외로움과 사로움에 잠겨 버리면 생활은 성립되지 않는다.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기의 내부에 있어서의 외로움의 질의 전환」(동출 『녹-순성보다 바쇼에의 전개―』 p.115)를 이루지 않을 리에는 없다. "부정되어야 할 녹슬기는 긍정해야 할 경지로서의 위치를 차지한다"(동 p.115)밖에 없는 것이다. 「포기와 받아들이는 의식」[2] (전출 『비비연비 유현의 마음』 p.51)의 의식 속에서 사는 것이라면, 울부짖음의 생 그 자체이다. 일상 생활 공간이다. 그러나 이 삶은 아직도 「미에게까지는 승화되지 않았다.」(동 p. 안에서 지금을 응시하고 허용하고 그 인생부터 그때를 사랑한다”(동 p.46) 일이 있어야 한다. 이때의 아름다움은 역사의 표무대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서민의 생활 속에 숨쉬고 왔다. 일본 고래의 신도의 생각, 할레와 케와의 전통적인 구별, 불교의 가르침 등과 함께 양성된 의식일 것이다. 와비 녹은이 현실의 삶을 영위하면서 "세속을 떠나"("일본 대백과" "와비") "장식과 밥을 버리고"("대사림" "와비"), 심지어 "모든 것을 부정하고 버리고 가까이에 '보이는 '인간의 본질'('일본대백과' '와비')에 직결된 미의식이다. 그러므로 부정하고 버리는 정도에 따라 각각에 얕은 차이가 있다고 해도, 「일본인의 일반적인 생활 감정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주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일본 대백과」「녹」) )이다.
역사에 남는 사로잡은 외로움뿐만 아니라 서민의 삶 속에서도 불쌍한 외로움이 발견됨으로써, 외로움은 일본의 미의식, 일본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와비 · 녹의 어원과 용례 [ 편집 ]
- 와비(동사「와비루(侘)의 연용형의 명사화)
- 만요집 4·644 “지금은 고는 화비(와비) 굳게 하는 마음(이키)의 뒤에 생각해 너를 용서할 생각이라면(기녀로)”
- 俳諧・시골의 구합〔1680〕二一番「佗に絶絶一路の散茶気味ふかし」
- 조루리曾我扇八景〔1711경〕문진해 「히노키 만들기도 눈치채기에, 와비의 가게의 물방울」
- 清瑠璃 신슈 카와나카지마 전투〔1721〕3 「와와비와 마음을 비비다」
- 咄本・醒睡笑〔1628〕8 「꽃만 기다리는 사람에게 산리의 눈 사이의 풀밭의 봄을 보면 야 토시히사는 와비의 본의로, 이노래의 노래를 항상 음조」
- 남방록〔17C후〕각서 「소이와비의 차의 탕, 대규모 초종의 원정, 2시에 지나치지 않아」
- 배우 諧·続の原[1688] "매화의 사과, 벚꽃의 흥도, 때때로 접해, 때때로 가끔, 구도 또 사람을 놀라게 한다"
- 카미이 각 겸 일기 - 텐쇼 2 년 [1574] 8 월 15 일 "카와 카미 우에노 모리덴 艺牟田 지두 미소 피성후"
- 쿠마츠 신이치 「와비노 다도」(쇼와 23년 강연필록) 이치소엔 등영사, 1987 「다사의 와미」 「특히 「와미」라고 하는 말을 사용한 것은, 다사에 있어서의 미술의 아름다움이, 그림이나 공예 그렇다고 하는 특수한 개별적 아름다움이 아니고, 위에서 언급했듯이, 많은 종류의 아름다움을 내면적, 통일적으로 합쳐서, 일대화미를 이루고 있는 것을 좋게 보여 하려고 하기 위해서 이다. "
- Wa · Biru [Saul · 사과] 와부 해설 · 용례 [자바 가미 이치] 문어
- 속일본기 -다카메 2년[771]2월 22일·선명 “말은 어쩔 수 없기 때문에 무스베도 아는 것에, 후회 히비히비(와비) 히비”
- 만엽집〔8C후〕4·750 “생각 끊어 일본비(와비)로 하는 것을 좀처럼 뭔가 괴롭게 꼼꼼히 곁들인 <대반 가지>”
- 고이마 와카집〔905~914〕하루카미・50「야마 타카미인도 스사메누사쿠라 꽃 싶은 와비소 아미는 야사무〈요미인 시레즈〉」
- 고이마 와카집〔905~914〕가명서「키노후하사카에 와서, 시간을 떠들썩하게, 세상에 와비」
- 고이마 와카집〔905~914〕아키카미・이치쿠쿠「가을의 밤은 츠유코 거기에 머무르기 때문에 까마귀마다 벌레가 쏟아지면 〈요미인하지 않고〉」
- 고사기[712]상 “그의 신의 嫡后(오호키사키) 스세리 히토미 매명, 심하게 질투(우하나리 네타미)를 위해(해) 타마히키.弖(와비테)<삼자는 소리를 이어요>”
- 蜻蛉日記〔974경〕하・아마노부 2년 「사랑스러운 비에 푹 빠져, 와비 사무라이」
- 겐지 이야기 [1001 ~ 14 무렵] 츠키기 "하나와 닮았지만, 사람도 듣지 않고"
- 가명초자·인세이야기〔1639~40경〕가미・26「씹어, 남자, 50여 되는 여자를, 돌보는 일과, 짖는 사람의 반환에」
- 와부·루 【侘】해설·용례〔자라 시모지〕「와비루(侘)」와 같다.
- 만엽집〔8C후〕15・3759「타치카헤리 울지만도 저것은 시끄럽고 무심한 와부레(와브레)라고 자는 밤에 많은 〈중신 택수〉
- 사부시 [사오시, 사토시](형식)
- 만요집 야치하치 하치 「말 하나도 뒤야말로 소식과 똑같이 사부 시계(서브시케)메야모 군좌(지금)하지 말고」
- 만요집 486 「산의 끝에 아군 사와키유쿠이지만 고는 사부시(사부시)ㄑ군에게 하지 않으면」
- 녹슬기·이 【외로·음】
- 우츠호 이야기 [970~999경] 루 상하 "돌아온 후, 집의 녹슬을 묶어, 때때로 붙이고 만들고 함께 급하게 하는 시를 쭉 급하게 한다"
- 겐지 이야기 [1001 ~ 14 무렵] 스마 "그런데 좁게 모아 히시마·차의, 어쩔 수 없이, 녹슬지 않고, 세상은 우울해지고 싶다고 생각한다"
- 겐지 이야기 [1001~14경] 와카나시타 「세상 녹슬지 않을 것 같아서 굉장히 급하게」
- 아와쿠니 분고 구 구라모토 이세 이야기 [10C 전] 58 「무구라 오히라 타루 야도의 녹슬림은, 오리노 오키노 스다루나리리」
- 야마가집〔12C후〕중 「운토리나 시고의 산로는 옆에 두고 소구(가구치)가 하라의 녹슬지 않는 걸까」
- 제방 중납언 이야기 [11C중~13C경] 정도 정도의 우상
- 신코이마 와카집 [1205]겨울·674 “후루스키에 가득한 연기가 끊어져 녹슬어도 가시호가마노우라 <구조 겸실>”
- 태평기 [14 C 후] 18 · 하루미야 환급 일 "츠타 (Yatsu)"는 현수 (걸려) 연못의 모습도 냉수 (사비시), 땀 (미기하)의 소나무의 폭풍도 추냉 (스사마지) (후키) 시호리테」
- 텐쇼 본절용집〔1590〕 「종 사모시 사미시」
- 인정 책·인정 廓의 鶯〔1830~44〕후・上 「에에 과감한 淋(サミ)한 근정」
- 귀향〔1948〕〈대불지로〉 재회 “여드름이 나타나면서 그림자에 이상하게 어색한 것이 있듯이 느꼈다” p.60 코단샤 1959
- 자유학교〔1950〕〈사자 후미로쿠〉 나쁜 날 “뒷맛은 오히려, 쓴, 외로운” p.118 치쿠마 문고 2016
- 우라-사·부 【심심】
- 만요집 미츠조 「사사나미의 나라츠미신의 우라사비(우라사비)라고 거칠어지는 도보라면 슬픔도」
- 만엽집 4214 「사랑(하) 시키요시
- 야마가집〔12C후〕중 1023 「미쿠마노의 바닷가 목면 오후루우라사비테이 사람 나미나미에 나이가 겹친다」
- 월청집〔1204경〕아래 「미야이세시토시모모모모노노우라사히테 신대 오보유루 소나무의 바람일까」
- 신속 고이마 와카집〔1439〕잡상·1718 「가을풍의 소나무 송어 소리도 우라사히테 신도 마음 야스미노에의 달」
- 우라사비-쿠라·스 【심혼생활】
- 만엽집 159 “저녁이 되면 아야에게 슬픔 새벽이면 뒷사비 만(우라 사비 생활)”
- 만엽집 210 “쓰야야 안에 낮에는 모우라 불락 만유(우라사비쿠라시)
해외에서의 "Wabi, Sabi and Shibui"의 평가 [ 편집 ]
해외에서도 “Wabi, Sabi and Shibui”는 일본의 미의식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영국인의 도예가이며, 자작나무 와 민예 운동 에도 관계가 있어, 일본 민예관 의 설립에 있어서, 야나기 무네요시 에 협력한 버나드 리치 는, 순수 예술로서의 도예 에 대해, 실용적인 날 용도기를 만드는 제작 스타일을 나타내고 있었다. 'The Unknown Craftsman: A Japanese Insight Into Beauty' 등을 사용해 일본의 “Wabi, Sabi and Shibui”의 개념을 영국에 소개하고[28] 전시회도 열리고 그 이론 을 해설 했다 . "Wabi, Sabi and Shibui"는 일본의 디자인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개념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29] .
각주 [ 편집 ]
- ^ 오니시 카츠 요 『미쓰카 시타마키 미적 범주론 11판』(히로몬도, 1981년 발행) p.422 ISBN 4-335-85002-6
- ^ a b c d e f g 모리가미 히로 하루카 '사비의 유령의 마음' 사쿠라의 꽃 출판, 2015년 ISBN
- ^ 스즈키 오오졸 "선과 일본 문화" 이와나미 서점, 1940년 ISBN 978-4004000204
- ^ 스즈키 오오졸 "선과 일본 문화"136페이지)
- ^ 요시무라 코지·야마다 아리코 “ 사랑·외로의 색채미와 그 배경-화의 전통적인 색채미의 특성을 요구해” “ 일본 색채 학회지” 41권 3호, 2017년 p.40-43, doi : 10.15048/jcsaj.41.3__40 , 일본색채학회
- ↑ a b c d 「일본 대백과 전서(닛포니카)」초학관
- ↑ 일본 국어 대사전 제2판 편집 위원회·쇼가쿠칸 국어 사전 편집부편 “일본 국어 대사전” 제2판, 쇼가쿠칸, 14권 15권, 2000년 12월 - 2002년 12월
- ↑ a b 편찬 대표자 천종실 “다도 고전 전집 제6권” “야마가미 무네지기” 담교사, 1977
- ^ 이구치 카이센 『리큐 백수』 p.33 「점 앞이야말로 옻차에 그렇다고 듣는 것을 조상으로 이끌어 사람은 아야마리」 담교사, 1973년 ISBN 978-4473000484
- ^ 쿠라자와 행양 '주광-다도 형성기의 정신' p.43 “마음의 글”에서 담교사, 2002년 ISBN
- ↑ a b c d e 구마쿠라 쿄오 『현대어 번역 남방록』 중앙공론사, 2009년 ISBN 978-4120040276
- ↑ 타케노 소노베 『리큐의 사 타케노 사오아카』 p.127 미야다이 출판사, 2010년 ISBN
- ^ 야나기 무네요시 「민예의 취지」 「야나기무네 에이 전집 저작편 제8권」 치쿠마 서방, 1980년 「그러므로 민예란, 생활에 충실한 건강한 공예품을 가리키는 것입니다.・・・그 아름다움은 용도에 대한 진심으로 솟아나가는 것입니다.”
- ^ 쿠와타 타다모토 『일본 다도사』p .
- ^ 오카쿠라 텐신 “차의 책 The Book of Tea” p.16 IBC 퍼블리싱, 2008년 ISBN 978-4896846850
- ^ 쿠마츠 신이치 “와비노 다도”(1987년 ISBN 978-4924520219 “…또 오늘 명기로서 남아 있는 조선의 찻잔 따위, 건너편에서는 아무것도 차에 사용한 것이 아니라, 단지 민간의 식기였던 것을 선택했다.그것이 대단한 명기가 되어 오늘까지 남아 있는 것.그런 것을 좋아하고, 선택해 얻은 그 정신이라고 하는 것 는 어쨌든 이 수수기의 정신이며, 수수기의 체계 속에 포괄한 것입니다.”
- ^ 고노 키오 『사비·와비·시루리 그 미학과 어원적 의의』 페리칸사, 1983년 ISBN 978-4831503183
- ^ 진사 오십팔 랜드 스케이프의 방법~토목가에의 제안~ JICE REPORT vol.24 2013.12
- ^ a b c d 복본 이치로 “사비 슌세이에서 바쇼에의 전개 ”
- ↑ 와타나베 세이이치 『사랑의 세계』 p.13 논창사, 2001년 ISBN 978-4846002985
- ^ a b c d 「바쇼 쇼문집」 「笈の小文」 p.52 일본 고전 문학대계 46 이와나미 서점, 1959년 ISBN 978-4000600460
- ↑ 潁原退藏『바쇼 연구논고집성』 제1 권
- ^ 후지무라 켄겐 ' 차화 지월집 2권' 이마이 시게자에몬, 1697 「아무리도 녹슬고 있는 호토이지만, 멀리의 야마데라로부터 인수를 걸어 온 것이겠지. 가 싶으면 도야에 가서, 마츠스기노를 이어 맞춘 것을 그대로 낚아야만 녹슬고 재미있어.」
- ^ 복본 이치로 “바쇼의 “녹”의 구조”p.49 塙選書77, 1973
- ^ 마츠오 바쇼 “환주암기” “어느 때는 사관 열심의 땅을 부러워, 한번은 불리(부리) 조실의 문에 들어간다고 해도”
- ↑ a b c 테라다 토모히코 「하쿠사의 본질적 개요」 「테라다 토시히코 전집」 제12권 이와나미 서점, 1997년 ISBN 4000920820
- ↑ 데라다 토시히코 “하이쿠의 정신” “테라다 토시히코 전집” 제12권 이와나미 서점, 1997년 ISBN 4000920820
- ↑ Bernard Leach (Adapter), Soetsu Yanagi (저자) (1972) The Unknown Craftsman- Korean Insight into Beauty. Kodansha International
- ↑ Boye Lafayette De Mente "Elements of Japanese design : key terms for understanding & using Japan's classic wabi-sabi-shibui concepts" Tuttle Pub 2006
참고 문헌 [ 편집 ]
- 「일본 대백과 전서 (닛포니카)」초학관
- 오니시 카츠레 「오오니시 카츠레 미학 컬렉션 Ⅰ 유겐 · 아하레 · 녹」 「Ⅱ풍 마사 론 - 녹의 연구」 p.225
- 모리가미 하루카 『사랑비연비 유현의 마음』 벚꽃의 출판, 2015년 ISBN 978-4434201424
- 스즈키 오오츠키 “선과 일본 문화” 이와나미 서점, 1940년 ISBN 978-4004000204
- 일본국어대사전 제2판 편집위원회·초학관 국어사전 편집부편 “ 일본국어대사전 ” 제2판, 쇼가쿠칸, 14권 15권, 2000년 12월 - 2002년 12월
- 편찬 대표자 치무네무로 「다도 고전 전집 제6권」 「야마가미 무네지기」담교사, 1977
- 이구치 해선 “리큐 백수” 담교사, 1973년 ISBN 978-4473000484
- 쿠라자와 행양 “주광-다도 형성기의 정신” 담교사, 2002년 ISBN 978-4473019042
- 구마쿠라 코오 『현대 어역 남방록』 「선반 일차실의 발달」 중앙 공론사, 2009년 ISBN 978-4120040276
- 타케노 소노부 「리큐의 사 타케노 사오구」미야오도 출판사, 2010년 ISBN 978-4863660571
- 야나기 무네요시 「민예의 취지」
- 쿠와타 다다시 부모 『일본 다도사』 『사와하타 비비의 문』 가와라 서점, 1975년 ISBN 978-4761100575
- 오카쿠라 텐신 “차 의 책 The Book of Tea” IBC 퍼블리싱, 2008년 ISBN 978-4896846850
- 쿠마츠 신이치 “와비노 다도”(1987년 ISBN 978-4924520219 )(쇼와 23년 강연 필록)
- 고노 키오 『사비・와비・시토리 그 미학과 어원적 의의』 페리칸사, 1983년 ISBN 978-4831503183
- 후부모토 이치로 『사비 슌 세이에서 바쇼에의 전개』
- 와타나베 세이이치 『사랑의 세계』론 창사, 2001년 ISBN 978-4846002985
- 『바쇼 문집』 「笈の小文」 일본 고전 문학대계 46 이와나미 서점, 1959년 ISBN 978-4000600460
- 潁原退藏 『 바쇼 연구 논고 집성 』 제 1 권 「녹 · 시리 · 호소미」크레스 출판, 1999 년 ISBN 4877330771
- 후지무라 켄겐 ' 다 이화 지월집 2권 ' 이마이 시게자에몬, 1697
- 복본 이치로 "바쇼의 "녹"의 구조"p.49 塙選書77, 1973
- 테라다 토모히코 '하쿠사의 본질적 개요' '데라다 토시히코 전집' 제12권 이와나미 서점, 1997년 ISBN 4000920820
- 테라다 토모히코 “하이쿠의 정신” “테라다 토시히코 전집” 제12권 이와나미 서점, 1997년 ISBN 400092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