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성령.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성령. Show all posts

2022/01/23

[깨어있음 - 지금 이 순간에 대한 탐구] 브라이언 피어스 We Walk the Path Together

<깨어있음 - 지금 이 순간에 대한 탐구> 
We Walk the Path Together
브라이언 피어스 (지은이),박문성 (옮긴이)
불광출판사2022-01-28 

전자책정가15,400원
종이책 페이지수 464쪽


책소개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영적인 생각과 지혜를 하나로 묶는 데 꾸준한 관심을 보여온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의 저서. 저자에게 영감을 준 두 명의 영성 대가는 14세기 독일의 영성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신부와 현대의 틱낫한 스님이다. 저자는 시대적으로 동떨어져 있는, 게다가 아주 다른 종교적 전통에 속해 있는 두 사람을 한 자리에 불러 대화를 시도한다. 그가 주목한 것은 불교의 마음챙김(mindfulness).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는 마음챙김 수행을 통해 저자는 하느님을 만나는 자리, 하느님 나라는 오직 지금뿐임을 깨닫기에 이른다.

종교간 대화를 통해 더 나은 그리스도인으로 성숙했다고 한 저자의 고백처럼, 그리스도인들은 이 책을 통해 그리스도교 전통에 잠들어 있던 보석 같은 가르침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또 불교도들은 마음챙김이라는 익숙한 수행이 불교에 국한되지 않는 보편타당성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마음챙김 수행이야말로 해탈로 가는 여정의 든든한 동반자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분명한 견해 차이에도 불구하고, 책 전반에 흐르는 두 종교의 조용하고 평온한 어울림은 자신과 다른 것에 마음을 여는 ‘관대함’ 덕분이다. 두 영성가의 지혜와 깨달음이 담긴 아름다운 언어들은 우리를 단순히 도량 넓은 인간이 아니라 균형 잡힌 인간으로 이끈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그리스도교와 불교도만이 아니라 분열과 다툼, 갈등으로 메말라가는 현대 사회를 구원해줄 깊은 물줄기가 되어 줄 것이다.

===


목차

추천사
한국어판 추천사
감사의 말

머리말

제1장. 관대함
1. 대화의 음악
2. 관대함의 실천
3. 대화의 위험

제2장. 마음챙김과 영원한 현재
1. 지금 이 순간
2. 귀향
3. 하느님은 우리와 함께 있다
4. 봄으로서의 깨어 있음

제3장. 성령의 숨결
1. 숨쉬기를 다시 배우기
2. 하느님 마음에서 흘러넘치는 생명수
3. 다양한 소리, 그러나 하나의 성령
4. 사랑의 마음

제4장. 물과 물결
1. 물에 흠뻑 젖은 근거
2. 바다의 물 한 방울
3. 세례와 살아 있는 물
4. 이름을 부름
5. 의지 또는 은총
6. 성사
7. 물 만지기, 하느님 만지기

제5장. 예수와 하느님
1. 사랑의 순례로서 삼위일체
2. 삼위일체와 상호의존적 존재
3. 위대한 숨

제6장. 그리스도
1. 은총
2. 하느님의 말씀
3. 붓다의 몸, 그리스도의 몸
4. 성체

제7장. 고통
1. 사성제(四聖諦)
2. 이욕(離欲)

제8장. 고통에서 오는 연민
1. 깊이 들여다보기
2. 연민, 위험을 무릅쓴 사랑
3. 사랑의 실천

제9장. 십자가라는 나무
1. 자유로 가는 길
2. 생명의 나무인 십자가
3. 십자가의 형상
4. 그는 고통을 피하지 않았다

제10장. 활짝 피어오른 사랑
1. 그리스도의 몸을 어루만지기
2. 비폭력적 사랑의 십자가
3. 무엇이든, 단지 있다
4. 평정심과 십자가
5. 옆으로 누워 있는 붓다

맺음말 : 여정과 발우

옮긴이의 말
미주
=====

책속에서

P. 89
그리스도인은 하느님의 현존 안에 사는 것, 하느님의 견고한 사랑에서 안식을 얻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마음이 참으로 갈구하는 바라고 믿는다. 그런 사랑을 느끼려면 깨어 있는 상태로 주의를 기울이면서 살아야 한다. 태이가 가르치는 마음챙김 수행이 바로 그것이다.

P. 101~102
“내일을 걱정하지 마라.” 이것은 지금 이 순간에 자유를 만끽하며 사는 것이다. 즉 지금 여기에서 눈을 부릅뜨고 하느님의 현존과 섭리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리고 마음을 다해 살아가는 것이다. 태이는 마음의 산란함과 태만이 마음챙김 수행을 방해하는 적이라고 규정한다. 에크하르트는 집착이 지금 여기에서 하느님을 기다리는 자유를 앗아간다고 경고한다. 지금 여기에 깨어 있으면서 눈을 부릅뜨고 사는 것이 영성적 자유의 문을 여는 열쇠다. 

P. 137
일상에서 사랑에 대한 가르침을 실천하려 할 때마다, 우리는 매번 장애물을 만난다. 또 그것을 넘어가지 못하고 혼란에 빠지곤 한다. 태이는 매일 마음챙김 수행을 하면 그것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마음챙김 수행은 가장 깊은 곳에 있는 것과 만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것을 통해 이웃이 지닌 마음과 만날 수 있다. 그것이 하느님을 만나는 것이다. 

P. 154
씨앗과 같은 우리는 ‘충만한 생명’을 주는 하느님의 존재 그 자체까지 완전히 성장한다. 물방울이나 물결이 “바다가 된다.”라는 에크하르트와 태이의 말이 진실이라면, 그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우리는 그저 소멸하는 것일까? 우리가 하느님에게 녹아들어 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이런 의문들에 대해, 에크하르트는 지혜를 지닌 스승의 재치와 유쾌함으로 답변한다. 물 한 방물은 바다에 떨어진 다음 “하느님을 찾는다. 자기 자신을 찾는 것과 하느님을 찾는 것은 실제로 하나의 행위이며 같은 행위다.” 

P. 214
그리스도인은 의문을 갖는다. 어떻게 하느님께 돌아간단 말인가? 그러면 태이는 간단하게 대답한다. “마음챙김 수행을 통해서 돌아갑니다.” 그리스도인도 이 가르침을 따를 수 있다. 마음을 다한 영성수련을 통해 삼위일체가 신학서적의 굴레에서 벗어나 일상 안에 실재할 수 있다.
======

저자 및 역자소개
브라이언 피어스 (Brian J. Pierce) (지은이) 

도미니코 수도회 신부.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제도의 도미니코 가족수도회의 성소 담당자, 도미니코 관상수녀회 총장의 지도신부였다. 이후 전임 순회 설교사로 돌아왔다. 가톨릭과 불교, 두 종교의 영적인 생각과 지혜를 하나로 묶는 데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2005년 출간한 이 책을 통해 종교간 대화가 서로의 목표와 영적 실천을 더 풍부히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저서로 『예수와 탕자 : 전적인 자비의 하느님(Jesus and the Prodigal Son: The God of Radical Mercy)』이 있다.
최근작 : <깨어있음> … 총 10종 (모두보기)
====

박문성 (옮긴이)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신부.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1995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한국인이 가진 종교적 심성의 뿌리를 이해하기 위해 1998년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인도철학과에 학부 편입, 2007년 논문 「『깨달음 달의 출현』의 해탈관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가톨릭대학교 동양철학 교수로 재직했다. 
2007년부터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교회일치와 종교간 대화위원회 위원으로서 종교간 대화에 참여해 왔으며, 2019년부터 동 위원회에서 총무를 맡고 있다. 

역서로 『산스크리트어 통사론』이 있다. 약 15년간 번역에 매달린 이 책은, 불교경전 연구에 필수인 산스크리트어 문법서로, 타 종교의 언어를 이해함으로써 서로의 진리를 평화롭게 나눌 수 있다는 평소의 신념이 담겨 있다.

최근작 : … 총 3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신은 누구인가? 신은 어디 있는가?
신은 어떻게 고통을 치유하는가?
그리고 구원은 무엇인가?

인류의 오래된 질문, ‘마음챙김’으로 답하다!

“모든 종교의 뿌리에는 하나의 수맥이 흐른다.” 종교간 대화를 통해 이웃 종교의 가르침에 진지하게 접근하면, 그 이웃 종교의 가르침을 통해 내 종교의 가르침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인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는 종교간 대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풍요로운 결실을 인상적으로 그려낸다.
저자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는 틱낫한 스님이 설명하는 마음챙김 수행에 주목하는 한편, 불교의 마음챙김 수행을 연상시키는 ‘깨어있음’이라는 신앙적 실천이 그리스도교의 가르침, 특히 중세 독일의 신비주의자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가르침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 책의 목표는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종교간 대화라는 관점에서 불교의 마음챙김과 그리스도교의 ‘깨어있음’을 비교하고 설명하는 데 머물지 않는다. 이 책은 그리스도교의 ‘깨어있음’이 갖는 중요성에 주목할 것과, ‘깨어있음’을 일상의 영성생활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할 것을 주문한다. 이 책은 그것이야말로 우리들 자신의 삶으로 예수를 부활시키는 길이고, 제도권 교회에 갇혀 있는 그리스도교 신앙에 참된 생명력을 불어넣는 길임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하느님이 누구이고 어떻게 이 현실에 역사하는지에 대한 답변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제시된다. 영원한 하느님은 오로지 지금 이 순간에만 현존한다. 우리는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실천함으로써 그러한 하느님과 만나게 된다. 그 만남을 통해 우리는 분열된 세계의 일치를 이루어 낼 수 있고, 서로의 경계를 초월한 참된 사랑을 할 수 있으며, 불가항력적인 고통 속에서도 평정을 누릴 수 있다. 우리의 삶을 구원하고 우리의 시대와 세계를 구원할 수 있는 길은 바로 이 지점에서 열리기 시작한다.

이 책은 그리스도인과 불교도 모두가 읽어야 할 책이다. 저자는 종교간 대화에 참여함으로써 더 나은 그리스도인으로 성숙했다고 고백한다. 저자가 그러했던 것처럼 그리스도인들 역시 이 책을 통해 그리스도교 전통에 잠들어 있던 보석 같은 가르침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발견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신앙인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불교도들은 이 책을 통해 마음챙김이라는 익숙한 수행이 불교에 국한되지 않는 보편타당성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마음챙김 수행이야말로 해탈로 가는 여정의 든든한 동반자가 될 수 있음을 새삼 깨닫게 될 것이다.

이웃 종교의 가르침을 통해
내 종교의 가르침을 더욱 깊이 이해하려는 대담한 여정

이 책의 저자인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Brian J. Pierce) 신부는 틱낫한 스님에 의해 널리 알려지게 된 불교 전통의 수행인 마음챙김(mindfulness)에 주목한다. 
마음챙김 수행에서 영감을 받은 저자는 그리스도교 전통의 여러 가르침, 특히 중세 독일의 신비주의자였던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신부의 가르침에 나타나는 <그리스도교적 “깨어있음”>을 재발견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영성생활의 길을 찾아 나선다.

예수는 악마에게 사로잡힌 딸을 치유해 줄 것을 청하는 이방인 여인과 대화를 나누었다. 종교와 전통이 다른 이방인과 대화하는 것은 당시의 문화적, 종교적 규범에 위배되는 것이었지만, 예수는 그러한 위험을 감수하고 그녀의 말을 경청했다. 저자는 마태오복음에 기록된 이 일화를 예수가 몸소 보여준 좋은 대화의 사례로 든다. 그리스도교 전통에 본래 있던 대화의 정신은 한때 희미해지기도 했으나 현대에 들어와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가톨릭교회가 선포한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 우리시대」에 보이는 이웃 종교에 대한 존중의 태도로 부활한다. 그리고 40년 후, 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종교간 대화는 사랑의 다른 표현이라고 강조하기에 이른다. 가톨릭 신부인 저자는 자신이 속한 전통 안에 숨 쉬고 있었던 이러한 대화의 정신을 인식한다. 그리고 그리스도교라는 범주를 넘어 불교의 가르침에 접근해 간다.


마음챙김으로 재발견하는 <그리스도교의 ‘깨어있음’>

틱낫한의 가르침을 통해 저자는 불교의 마음챙김(mindfulness) 수행을 발견한다. 마음챙김은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일상의 매 순간을 생기 넘치고 깊이 있게 사는 것이다. 마음챙김을 통해 삶을 성심성의껏 살아가면 참된 삶을 맛볼 수 있다. 이것이 삶에서 일어나는 참된 기적이다.

불교의 마음챙김 수행은 그리스도교 전통의 ‘깨어있음’이 갖는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을 돕는다. 그리스도교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깨어있음을 설명한다. 
  • 하느님의 아들인 예수가 구원사업을 완성하기 위해 인간의 본성을 취한 강생(降生)의 신비는 하느님의 말씀이 지금 이 순간 바로 이곳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을 알게 해 주는 것이 깨어있음이다. 
  • 마태오복음에 나오는 “그러니 너희도 준비하고 있어라, 너희가 생각하지도 않은 때에 사람의 아들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라는 구절, 
  • 그리고 신랑을 기다리며 깨어 있는 열명의 신부들의 이야기가 말하고자 하는 바 또한 이 깨어있음이다. 
  • 현대의 영성가인 토머스 머튼 또한 깨어 있으면서 주시하는 것이 영성생활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에크하르트는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민첩한 인식’이라고 부른다. 
에크하르트는 이것을 “모든 일에서 자기 자신과 자기 내적 존재에 대한 민첩한 인식”으로 설명한다. 
  • 그것은 눈을 크게 뜨고 정신을 집중하여 모든 것 안에서 하느님을 인지하는 것이고, 
  • 그럼으로써 지금 이 순간에 숨겨진 경이로움을 보는 것이다. 
  • 에크하르트는 “오늘을 무엇이라 말할까?”라고 자문하고 “영원”이라고 답한다. 
  • 지금 여기에 현존하는 하느님이 영원이다. 바로 이 순간이 영원한 현재다. 
  • 하느님을 만날 수 있는 유일한 시간과 공간은 오로지 지금 여기뿐이다. 
  • 우리는 지금 여기에서의 ‘민첩한 인식’을 통해 하느님을 만난다.

깨어있음, 하느님을 만나기 위해 필요한 것

잠든 사람은 하느님을 만날 수 없다. 
예수가 죽은 뒤 걱정과 슬픔에 사로잡혀 엠마오 마을로 가던 예수의 두 제자가 그들이 만난 나그네가 예수임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처럼, 삶의 온갖 걱정과 슬픔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우리들도 지금 이 순간에 대한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실천하지 못하고 살아간다. 

하지만 우리는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 있는 하느님을 만날 때 비로소 자유롭게 된다. 루카복음에 나오는 탕자가 집에 돌아왔을 때 아버지의 따뜻한 환대를 받게 되는 것처럼, 우리는 지금 이 순간을 성심성의껏 살아감으로써 참된 자기를 발견할 때 은총을 받게 된다. 

엠마오로 가는 길에서 부활한 그리스도를 만난 두 제자는 자문한다. “우리의 마음이 타오르지 않았던가?” 예수의 두 제자의 마음속에 타올랐던 불길, 즉 살아 있는 그리스도와의 신비적인 만남은 우리의 마음속에서도 항상 타올라야 한다. 

그때 하느님 나라는 먼 곳에, 혹은 먼 미래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 현존하면서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즉 “하느님 나라는 바로 지금이다.”

지금까지 그리스도교는 ‘이런 이런 것을 해서는 안 된다’라는 윤리적 계명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고, 그 결과 영성생활이 즐겁고 마음 벅찬 삶의 한 형태임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다. 하지만 그리스도교 전통의 깨어있음을 실천한다면, 즉 지금 이 순간에 현존하는 하느님을 항상 인식하며 살아간다면 활기찬 영성생활을 되살려낼 수 있다.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의 힘 1 : 분열된 세계가 일치에 이른다.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통해 우리는 우리 안에 머무는 하느님과의 합일을 경험하며, 이때 우리에게 성령이 강림한다. 성령은 모든 것을 완전히 살아 있게 하고, 완전히 실재하고 하고, 완전히 하나가 되게 하는 하느님의 힘이다. 성령은 분열된 세계를 하나로 일치시킨다. 성령이 이룩한 조화와 평화 속에서 우리를 서로 갈라놓는 경계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신자들의 공동체는 한마음 한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 소유하였다.”(사도행전 4장 32절) 그래서 에크하르트는 말한다. “하느님이 모든 것 안에 현존한다는 것을 아는 그 사람만이 평화를 안다.”

성령의 힘이 이루어 낸 일치 속에서 우리는 모든 곳에서 그리스도를 본다. 병에 걸린 채 길거리에 쓰러져 있는 사람의 몸이 그리스도의 몸이고, 고통받는 이의 비참한 모습이 그리스도의 모습이며, 나를 모욕하고 해치려는 이의 분노에 찬 얼굴이 그리스도의 얼굴임을 본다. 사도 바오로가 말한 것처럼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지체입니다.”(1코린토 12장 27절) 이러한 그리스도를 볼 수 있을 때 우리의 마음에는 사랑이 가득하게 된다. 성령의 힘에 의해 하느님과 모든 피조물은 사랑의 마음에서 하나가 된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사는 매 순간이 성령에게 개방된 순간이다.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이 곧 하느님이 일상에서 역사하는 모습이다. 그래서 에크하르트는 말한다.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면, 그 사랑은 성령이다.”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의 힘 2 : 고통을 무릅쓴 사랑을 감행한다.

틱낫한은 마음챙김의 한 형태인 ‘깊이 들여다보기’를 실천하라고 이야기한다. 그것은 관찰자와 대상 사이의 구분이 사라질 정도로 집중된 상태에서 사물 또는 사람을 들여다보는 것이며, 우리 자신의 정서적 색안경을 벗고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깊이 들여다보기’를 행할 때 우리의 눈은 기만과 이기주의와 죄로부터 치유된다. 그리고 비로소 하느님의 눈 부신 빛으로 이웃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눈으로 이웃의 고통을 들여다볼 때 우리의 마음속에서 연민이 싹튼다. 누군가에 대한 연민의 마음 갖고 산다는 것은 그 누군가에 대한 사랑이 고통을 수반할 가능성까지 받아들이는 것이다. 사랑에 따르는 고통이야말로 연민이 의미하는 모든 것이다.

예수의 삶은 고통을 무릅쓴 사랑이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 예수의 가르침과 활동은 소외되고 가난하며 사회에서 버림받은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이었다. 그는 나환자를 끌어안았고, 창녀와 간음한 사람을 용서했으며, 죄인 또는 세리와 함께 식사했다. 예수의 이러한 행동은 당시 율법에 어긋나는 것이었으며, 그 역시 이 점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는 마음속 깊은 곳에서 그렇게 행동해야만 한다고 확신했다. 하느님이 사랑하는 방식이 바로 그러한 것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종교적, 정치적 권력에 도취된 당시의 지배층은 예수의 행동이 그들의 기득권을 위협한다고 생각하였고, 결국 그들은 예수를 죽였다.
예수의 삶과 죽음은 하느님의 사랑이 고통을 무릅쓰는 것임을 증명한다. 하느님은 고통이 무엇인지 알고 있으며, 그들의 아픔을 모르는 척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느님은 고통받는 그들에게 다가온다. 이것은 우리가 살아가야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의 힘 3 : 고통 속에서도 평정을 누린다.

에크하르트는 하느님 안에 굳건히 뿌리내린 내린 삶, 즉 지금 이 순간에 살아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면 고통에 흔들리지 않는 평정심, 즉 ‘빈 마음’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는 ‘빈 마음’으로 살아갈 때 결과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기도와 일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다. 우리는 이를 통해 내면의 평온과 자유를 얻을 수 있으며, “단지 있는 것”일 뿐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다. 평정심은 고통을 낭만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한순간의 삶만을 받아들이는 것일 뿐이다. 에크하르트식으로 말하면 고통은 하느님 안에 있고, 고통이 하느님이다. 따라서 고통은 원수가 아니고, 억제해야 하는 것도 아니며 그저 우리의 일부일 뿐이다.
평정심 수행은 영성생활이란 고통 없는 삶이 아니라 고통 안에서 자유로운 삶을 말하는 것임을 우리에게 상기시켜 준다. 고통을 극복해야만 하느님과 함께할 수 있다는 이분법적 사고는 고통을 일으키는 원인일 뿐이다. 해방은 다른 곳이 아니라 고통 속에서 실현된다.


<마음챙김에서 찾는 참된 신앙 Q&A>

Q. 불교와 그리스도교 사이에는 공통의 영성적 기반이 있는가?”
A. 불교의 마음챙김(mindfulness)은 그리스도교의 ‘깨어있음’과 통한다.

Q. 하느님은 어디에 있는가?”
A. 하느님은 영원하지만 오직 지금 이 순간에만 현존한다.

Q. 하느님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A. 지금 이 순간에 대한 마음챙김 혹은 깨어있음을 실천할 때 하느님을 만날 수 있다.

Q. 우리가 하느님을 만나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A. 지금 이 순간에 현존하는 하느님과 일치를 이룰 때, 우리는 진정한 사랑을 실천할 수 있고 고통 안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Q. 구원은 언제 오는가?”
A. 구원은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하느님을 만나는 지금 이 순간의 일이다.

===
마이리뷰

깨어있음 [지금 이 순간에 대한 탐구] 

 저자 브라이언 피어스는 도미니코 수도회 신부이다.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제도의 도미니코 가족수도회의 성소 담당자를 역임했고, 전임 순회 설교사로 활동하고 있다. 가톨릭과 불교, 두 종교의 영적인 생각과 지혜를 하나로 묶는 데 관심을 가지고 『깨어있음』을 2005년 출간했다.

 도미니코회(Ordo Fratrum Praedicatorum) 「성 도미니코 데 구스만」이 프랑스 툴루즈에서 1216년에 교황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 수도회이다. 신앙의 진리를 만인에게 설교하여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도회이다. 가톨릭의 신부나 수녀는 많이들 보고 알고 있을 것이다. 가톨릭의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교황(Papa)를 중심으로 품계가 나누어져 있다. 주교품 >사제품 >부제품 순으로 품계가 나뉘고, 교황이나 추기경 대주교는 주교품이다. 주교, 신부, 부제는 부제품이다. 중간에 사제품이 위치하는데, 한국에서는 성당의 위상이 크지만, 유럽에서는 수도회의 위상이 큰 곳이 매우 많다. clero secular(재가 수도사, 교구 성직자)로 사람들 속에서 성직자의 역할을 하며, clero regular(청빈, 순종 및 순결의 세 명세를 지키는 수사, 수도회 성직자)로 불교의 절처럼, 수도회 안에서 평생 성직자로 살아간다.

아직 가톨릭에는 여성의 서품이 허용되지 않고 있어서, 교황, 추기경, 수도사제는 남성만이 받는다. 일부 사제 중에서 남녀의 차별을 개선하려고 노력하지만, 2000년 동안 남성 위주로 보수적으로 굳어진 가톨릭의 법을 개선하기는 역부족이다. 수도회는 ‘활동수도회’와 ‘봉쇄수도회’로 나뉜다. 평생 수도원 안에만 머무르며 기도와 노동을 하는 곳이 봉쇄수도회이며, 의료, 교육, 복지, 성당 등 세상 속에서 다양한 사도직 활동을 하는 곳이 활동수도회이다. 우리가 성당에서나 길에서 마주치는 수녀 대부분이 이런 활동수도회 소속이다. 여자들만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남성인 수사의 수가 극히 적은 것도 있고, 수도회 안에서 기도를 하는 수사들이 많아서 잘 보이지 않는 이유이다.

『깨어있음』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가장 전쟁을 많이 한 종교는 무엇일까? 

기독교이다. 그럼 반대로, 종교라는 이름으로 이교도 탄압, 종교재판, 종교전쟁을 일으키지 않은 유일한 종교로 불교가 있다. 작은 분쟁까지 완전무결하다 할 수 없지만, 기독교나 이슬람처럼 교리상의 이유 등으로 대규모 전쟁을 벌인 예는 없다. 그것은 불교의 근본적인 교리에 있는데, 살생을 금지하기 때문이다. 살생을 금한다는 것은 결국 대승적으로 다른 것들에 대한 존중이 밑바탕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브라이언 피어스 신부가 하느님께 돌아가는 방법을 틱낫한 스님에게서 찾은 이유일 것이다.

책은 신부의 평생에 걸친 영성의 결과물이며, 오랜 수행과 종교 간 대화를 통하여 더 나은 예수의 제자가 될 수 있었다고 이야기한다. 책의 가장 핵심주제이기도 한 「마음챙김」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마음챙김은 당신이 일상의 각 순간을 철저히 생기 넘치고 깊이 있게 사는 것이다. 마음챙김은 자가 양육과 치유를 위한 생명의 경의를 접하게 한다. 그것은 또한 당신이 고통을 끌어안고서 기쁨과 자유로 탈바꿈하도록 한다.” 「p.63] 마음챙김이란 우리 스스로가 고통을 기쁨과 자유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불행하다고 느끼는 것, 외롭다고 느끼는 것, 고통스럽다고 느끼는 것 등 모든 것이 환경에 의한 영향일 수 있으나, 최종적으로 그 감정을 수용하는 것은 나 자신이다.

400쪽에 넘친 방대한 이야기는 이런 마음챙김을 찾아가는 신부의 여정과 명상을 담고 있다. 넘어지면 엄마가 일으켜 줄 때까지 우는 아이가 있고, 넘어져도 크게 다친 게 아니면 ‘괜찮아’라며 훌훌 털고 일어나는 아이가 있다. 두 아이 모두 넘어진 외부적인 상황은 같지만, 그 상황을 대하고 받아들인 마음은 다른 것이다. 복잡한 언어들이 오가고, 수없이 많은 상황과 디지털 데이터 속에서 나의 마음은 어디로 향하고 있을까? 나는 늘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 있다. ‘행복은 나의 발등 앞에 있고, 나는 오늘을 가장 행복하게 산다.’라고 말이다. 책을 통하여 우리가 어떠한 마음으로 세상을 받아들이고 있는지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 접기
서평촌 2022-01-13 공감(2) 댓글(0)
====
화합이 주는 깨달음

이 책은 불광출판사에서 나온 브라이언 피어스 <깨어있음> 이라는 책이다. 부제는 지금 이 순간에 대한 탐구: "틱낫한과 에크하르트, 마음챙김으로 여는 일상의 구원" ->위대한 영성가 에크하르트 신부와 틱낫한 스님에게서 찾은 그리스도인과 불교도가 만나는 한 지점에 대하여, 브라이언 피어스는 도미니코 수도회 신부다. 가톨릭과 불교 두 종교의 영적인 생각과 지혜를 하나로 묶는 데 관심을 기울여 왔다고 전해진다. 그리스도교의 카톨릭 신부가 틱낫한과 에크하르트를 통해 '마음챙김'을 구성한다. 라고 했을 때 솔직히 신기했다. 사실 그리스도교를 그닥 좋아하지 않지만 과연 두 종교가 만나는 지점이 있을까 라는 호기심이 생겼고내 생각과는 다르게 분명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종교의 조화로운 관대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도입부에서도 관대함이 잘 묻어나고 있었는데 번역용어에 대한 부분을 보면 '이웃종교'라는 문장이 있다. '이웃 종교는 타종고 전통 혹은 타종고로 번역될 수 있지만 종교간 대화를 주제로 하는 본서의 취지에 따라 이웃 종교로 번역한다.' (P, 23)라는 입장을 밝힌다.

어쩌면 불가능을 가능하게 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한국 종교의 민낯을 보면 그렇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의 존재와 가치는 무한한 가능성이 아닐까. 모든 종교가 이런 마인드 라면 미워할 필요가 없을 텐데 그저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조금은 그래도 가톨릭에 대한 감정이 누그러지기도 했고, 마음챙김이라는 관점이 정말 다양하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 일전에 읽었던 불교적 마음챙김도 있었지만 (A) 이렇게 화합하는 관점도 있는 (B)라는 마음챙김이라는 하나의 범주를 여러 각도에 따라서 배우고 범위를 재확장 시키는 계기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나는 아직도 많이 부족한 사람임을..이 신부의 관점이 많은 성직자나 신도에게도 제공되면 얼마나 좋을까. 같은 가톨릭 성직자 이면서도 한국과는 정말 다른 것 같다는 느낌이 들긴한다. 요즘 정치 문제로 조계종에서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종교가 기독교인 어떤 정치 후보자의 망언 때문이다. 이 책을 꼭 읽어봤으면
====

알라딘: 살아 계신 붓다, 살아 계신 예수 틱낫한 (지은이),오강남 (옮긴이) 2013 Living Buddha, Living Christ (1995년)

알라딘: 살아 계신 붓다, 살아 계신 예수


살아 계신 붓다, 살아 계신 예수 
틱낫한 (지은이),오강남 (옮긴이)솔바람2013-04-30
원제 : Living Buddha, Living Christ (1995년)

- 품절 확인일 : 2020-01-21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3)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12,000원
303쪽

Living Buddha, Living Christ (Hardcover) Hardcover
Living Buddha, Living Christ (Paperback) Paperback


목차


서문
신령한 영의 목소리

소개의 말
체험을 통한 공감대의 발견

제1장 가만히 있어 내가 하느님 됨을 알지어다
제2장 '마음 다함' 그리고 성령
제3장 최초의 만찬
제4장 살아 계신 붓다, 살아 계신 예수
제5장 수련 공동체
제6장 평화스런 마음
제7장 미래가 가능하려면
제8장 귀의하다
제9장 피안
제10장 믿음과 실천


부록 | 논문
깨침과 메타노이아-불교와 그리스도교의 대화
더보기

2022/01/21

Pneuma Definition & Meaning - Merriam-Webster, Wikipedia

Pneuma Definition & Meaning - Merriam-Webster

pneuma

 noun
pneu·​ma | \ ˈnü-mə  ˈnyü- \
plural pneumas or pneumata\ ˈnü-​mə-​tə  ˈnyü-​ \

Definition of pneuma

1in theology SOULSPIRITspecifically HOLY SPIRITThe adherents of these movements believe that the pneuma—Holy Spirit—plays a central role in their lives and their communities — David Maxwell
2in classical medicine an invisible liquid or vapor held to travel throughout the body and to be necessary to and associated with lifePneuma, according to ancient Greeks and Romans, was a driving force in the body, necessary for maintaining bodily functions.— Judy Duchan
3in Stoicism a mixture of air and fire held to be the divine organizing principle of the universeOf the four elements, the Stoics identify two as active (fire and air) and two as passive (water and earth). The active elements, or at least the principles of hot and cold, combine to form breath or pneumaPneuma, in turn, is the 'sustaining cause' … of all existing bodies and guid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nimate bodies.— Dirk BaltzlyThe distinctive contribution of Stoicism, at any rate by the time of Chrysippus, was to extend the explanatory role of pneuma beyond individual animal life, and to make it the vital power of the world as a whole. … Pneuma is the vehicle of the divine 'reason' (logos) which pervades and governs the entire world …— David Sedley

---


pneuma

미국식[njú:mə]발음듣기영국식[njú:-]발음듣기

명사

정신, 영(靈); [P~] 성령(聖靈)(Holy Spirit)

---

지식백과

[그] 프네우마, 프노이마. 영(靈), 성령, 성신.

---

프뉴마pneuma, soul, spirit

---



Pneum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Pneuma (πνεῦμα) is an ancient Greek word for "breath", and in a religious context for "spirit" or "soul".[1][2] It has various technical meanings for medical writers and philosophers of classical antiquity, particularly in regard to physiology, and is also used in Greek translations of ruach רוח in the Hebrew Bible, and in the Greek New Testament.

In classical philosophy, it is distinguishable from psyche (ψυχή), which originally meant "breath of life", but is regularly translated as "spirit" or most often "soul".[3]

Classical antiquity[edit]

Presocratics[edit]

Pneuma, "air in motion, breath, wind", is equivalent in the material monism of Anaximenes to aer (ἀήρ, "air") as the element from which all else originated. This usage is the earliest extant occurrence of the term in philosophy.[4] A quotation from Anaximenes observes that "just as our soul (psyche), being air (aer), holds us together, so do breath (pneuma) and air (aer) encompass the whole world." In this early usage, aer and pneuma are synonymous.[5]

Ancient Greek medical theory[edit]

In ancient Greek medicinepneuma is the form of circulating air necessary for the systemic functioning of vital organs. It is the material that sustains consciousness in a body. According to Diocles and Praxagoras, the psychic pneuma mediates between the heart, regarded as the seat of Mind in some physiological theories of ancient medicine, and the brain.[6]

The disciples of Hippocrates explained the maintenance of vital heat to be the function of the breath within the organism. Around 300 BC, Praxagoras discover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rteries and the veins, although close studies of vascular anatomy had been ongoing since at least Diogenes of Apollonia. In the corpse arteries are empty; hence, in the light of these preconceptions they were declared to be vessels for conveying pneuma to the different parts of the body. A generation afterwards, Erasistratus made this the basis of a new theory of diseases and their treatment. The pneuma, inhaled from the outside air, rushes through the arteries till it reaches the various centres, especially the brain and the heart, and there causes thought and organic movement.[7]

Aristotle[edit]

The "connate pneuma" of Aristotle is the warm mobile "air" that in the sperm transmits the capacity for locomotion and certain sensations to the offspring. These movements derive from the soul of the parent and are embodied by the pneuma as a material substance in semen. Pneuma is necessary for life, and as in medical theory is involved with the "vital heat," but the Aristotelian pneuma is less precisely and thoroughly defined than that of the Stoics.[3]

Stoic pneuma[edit]

In Stoic philosophypneuma is the concept of the "breath of life," a mixture of the elements air (in motion) and fire (as warmth).[8] For the Stoics, pneuma is the active, generative principle that organizes both the individual and the cosmos.[9] In its highest form, pneuma constitutes the human soul (psychê), which is a fragment of the pneuma that is the soul of God (Zeus). As a force that structures matter, it exists even in inanimate objects.[10] In the foreword to his 1964 translation of Marcus Aurelius' Meditations, Maxwell Staniforth writes:

Cleanthes, wishing to give more explicit meaning to Zeno's 'creative fire', had been the first to hit upon the term pneuma, or 'spirit', to describe it. Like fire, this intelligent 'spirit' was imagined as a tenuous substance akin to a current of air or breath, but essentially possessing the quality of warmth; it was immanent in the universe as God, and in man as the soul and life-giving principle.[11]

Judaism and Christianity[edit]

In Judaic and Christian usage, pneuma is a common word for "spirit" in the Septuagint and the Greek New Testament. At John 3:5, for example, pneuma is the Greek word translated into English as "spirit": "Verily, verily, I say unto thee, Except a man be born of water and of the Spirit (pneuma), he cannot enter into the kingdom of God." In some translations such as the King James version, however, pneuma is then translated as "wind" in verse eight, followed by the rendering "Spirit": "The wind (pneuma) bloweth where it listeth, and thou hearest the sound thereof, but canst not tell whence it cometh, and whither it goeth: so is every one that is born of the Spirit (pneuma)."

Philo, a 1st-century Hellenistic Jewish philosopher, commented on the use of Πνοή, rather than πνευμα, in the Septuagint translation of Genesis 2:7. Philo explains that, in his view, pneuma is for the light breathing of human men while the stronger pnoē was used for the divine Spirit.[12]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Entry πνεῦμα, in Liddell-Scott-Jones, A Greek–English Lexicon, online version.
  2. ^ See pp.190, 195, 205 of François, Alexandre (2008), "Semantic maps and the typology of colexification: Intertwining polysemous networks across languages", in Vanhove, Martine (ed.), From Polysemy to Semantic change: Towards a Typology of Lexical Semantic Associations, Studies in Language Companion Series, 106, Amsterdam, New York: Benjamins, pp. 163–215.
  3. Jump up to:a b Furley, D.J. (1999). From Aristotle to Augustine. History of Philosophy. Routledge. p. 29. ISBN 978-0-415-06002-8LCCN 98008543.
  4. ^ Silvia Benso, "The Breathing of the Air: Presocratic Echoes in Levinas," in Levinas and the Ancient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8), p. 13.
  5. ^ Benso, "The Breathing of the Air," p. 14.
  6. ^ Philip J. van der Eijk, "The Heart, the Brain, the Blood and the pneumaHippocrates, Diocles and Aristotle on the Location of Cognitive Processes," in Medicine and Philosophy in Classical Antiquity: Doctors and Philosophers on Nature, Soul, Health and Dise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pp. 131–132 et passim. ISBN 0-521-81800-1
  7. ^  One or more of the preceding sentences incorporates text from a publication now in the public domainHicks, Robert Drew (1911). "Stoics". In Chisholm, Hugh (ed.). Encyclopædia Britannica25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942–951.
  8. ^ "Stoicism,"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Taylor & Francis, 1998), p. 145.
  9. ^ David Sedley, "Stoic Physics and Metaphysics," The Cambridge History of Hellenistic Philosophy, p. 388.
  10. ^ John Sellars, Stoic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pp. 98-104.
  11. ^ Marcus Aurelius (1964). Meditations. London: Penguin Books. p. 25. ISBN 0-14044140-9.
  12. ^ Bromiley, Geoffrey William; Kittel, Gerhard (1967).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Wm. B. Eerdmans Publishing. ISBN 978-0-8028-2247-5.

External links[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