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28

Introduction: Religious Buddhism and ‘Secular’ Buddhism - The Buddhist Diagnosis | Coursera

Introduction: Religious Buddhism and ‘Secular’ Buddhism - The Buddhist Diagnosis | Coursera

Hi. Welcome to my course on 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 I'm Robert Wright and I'm here at Princeton University where, for the past couple of years, I've been teaching the seminar that this course will be based on. Now, I've never taught an online course before, so I'm very excited about this. It's kind of an adventure for me. And I want to thank you all for choosing to be part of it. I want to spend the f, the first segment of this first lecture just giving you an overview of, of the main themes of the course and then I'm going to talk a little bit about myself and what got me interested in this. Now one question you could ask about a course called 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 is which Buddhism are we're talking about. After all, as with other religions, there are varieties of Buddhism. Just as there are different denominations of Christianity. There are different versions of Buddhism in Asia, and in addition to that, in, in recent decades, we've seen the emergence of something that some people are calling a Western Buddhism. In the United States, where I am, in Europe and so on. Consisting of people who weren't born Buddhist. But have chosen to adopt Buddhist practice. In particular, meditation practice. Now, one distinctive feature of this Western Buddhism is that these people don't pay a lot of attention to what some people would call the supernatural. Parts of Buddhism. So, for example, if you took some of these Western Buddhists and showed them this. They'd say, what is that? Well the answer is, it's a hungry ghost. And many Asian Buddhists believe that you might be reincarnated as a hungry ghost in a kind of hell, if things don't go well. Or, if things go better, you might wind up in a, in, in, in a heaven and spend years there before. Being reincarnated again. But this, this Western Buddhism doesn't really pay much attention to these kinds of ideas. And in that sense, the focus of this course will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Western Buddhism, because we won't be talking much about things like Buddhist deities or reincarnation. And the reason is simple. This course is about the scientific evaluation of Buddhist ideas. And reincarnation is just not an idea that's very susceptible to scientific evaluation. I don't know how you'd set up an experiment to kind of test the hypothesis of reincarnation. Now there are lots of ideas in, in Buddhism that are what you might call naturalistic. That is to say, they are susceptible to scientific evaluation. A lot of ideas about the human mind. So for example, Buddhism addresses questions like, why do people suffer? Why do we all feel anxiety? And sadness, and so on. Why do people behave unkindly sometimes? Does the human mind deceive people about the nature of reality? And can we change the way the mind works? In particular, through meditation? Now, I want to emphasize that this kind of naturalistic part of Buddhism is an authentic part of Buddhist heritage. It's found in the earliest writings. And it is common to Asian Buddhism and, and Western Buddhism. It's kind of a common denominator of Buddhisms. Now some people refer to this as a secular Buddhism, but that may be a little misleading. because, I think it's possible to have a wholly naturalistic world view that does address some of the questions that religions address and does do for people some of the things religion does for people. So for example, I think a naturalistic world view, including this naturalistic Buddhism, can in principle, give people a sense that their lives have meaning. Give them moral orientation. Give them consolation in times of sorrow. Give them equinimity as they encounter the turbulence of life. Now, whether that means that you could call this naturalistic version of Buddhism religious depends ultimately on how you are going to define religion. One of the, one of the broadest definitions I've seen comes from William James, the great American psychologist who said that the kind of animating essence of religion is the belief that there is an unseen order. And that our supreme good lies in harmoniously adjusting ourselves thereto. Now, Buddhism does in a sense, say that there is an unseen order that we should adjust ourselves to. Now it's not talking about a kind of cosmic plan. The unseen order that is referred to, is the truth about the way things work. The truth about the structure of reality, the truth about human beings, even the truth about yourself. According to Buddhism, these truths often go unseen because the human mind contains certain built-in. distortions, illusions. We don't see the word clearly. And Buddhism certainly does assert that our supreme good lies in harmoniously adjusting ourselves to this normally hidden truth. And in fact Buddhism lays a path for the harmonious adjustment. it, it, it, it lays out what it considers to be the truth about reality. It tells us what we need to do to bring our lives in line with that reality. and, the claim, the Buddhist claim is, that we can thereby relieve our suffering even end our suffering. And in the process, align ourselves with moral truth. At least that's the claim. That is the Buddhist claim. Is it true? Is the Buddhist diagnosis of the human predicament, why they're are suffering through? And the prescription for for, for the human predicament powerful and effective? Well that's largely what this course is about. And, I hope it's not too much of a plot spoiler to say that I do think that modern psychology is in some respects lending support to Buddhist ideas. For example, I think psychology does show us that the, certain deceptions, distortions, are built into the human mind, and actually that we do suffer as a result. And I think even some of the more radical sounding Buddhist doctrines are, are getting some support. For example Buddhism says that there is a sense in which the self, that is the thing that I think of as running the show, the thing inside me does not exist. In a sense. And I think psychology is also raising real questions about the actual nature. Of what we think of as the self. Now, when I talk about modern psychology, I definitely mean to include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at is the study of how the human mind was shaped by natural selection and I think there is evidence. That some of these delusions that the mind is subject to were actually built in by natural selection for reasons we'll come to. The mind is kind of programmed that way. But to say that something is natural, or was engineered by natural selection, isn't to say that it's not changeable. And in fact, part of the idea of Buddhism is to do what you might call kind of counter programming of, of the brain. In particular through such techniques as meditation. And kind of neutralize some of these tendencies that I would say were built into the brain By natural selection. And in fact one thing I like about Buddhism is the sheer audacity of it. You know, it's kind of like a rebellion against our creator. Natural selection it, it very much wants to, wants to run in opposition to some of the logic by which natural selection wired the brain. Now. Should emphasize that it's not a complete rebellion against natural selection. Buddhism does make use of some things natural selection engrained in us including, you know, love, compassion, rational thought, but still it's a pretty thorough going rebellion we're talking about. [COUGH] Now can the, can the rebellion be successful? I've already suggested that modern psychology lend support to, to some of the Buddhist diagnosis of the human predicament. But what about the prescription? Can the prescription laid out by Buddism end or greatly alleviate human suffering. By making us see the world more clearly? Well, we're going to be hearing from some people who say that it's worked for them. These are people I've talked to over the last few months. But I want to emphasize that I'm not just interested in the question of whether, whether meditation has made them happier, made them suffer less but whether it has done that. By helping them see the world more clearly. Whether dispelling these illusions that seem to be built into us is the key to happiness. Now in looking at this issue we will also be hearing from some prominent psychologists. That I've also been having conversations with other the last few months. And we'll be looking at various kinds of evidence. Brain scans, social psychology experiments. And we'll also be hearing a little bit from me about my experiences with meditation. I'm not a hardcore meditator, I don't meditate hours a day. But I do try to meditate everyday. and. Perhaps more important, I have done some of these one week silent meditation retreats, which are pretty, pretty intense. And involve a whole lot of meditation and not much else and they can have dramatic effects on your consciousness, and I think these have given me a glimpse of what some of these much more serious meditators. Experience and the conclusions they reach about how their mind is working. These retreats are really, probably the main thing that got me interested in this whole area, and, and, and they're the reason that I decided to research it and write about it and teach about it. At the same time, my interest also grows out of my. Previous work in a kind of natural way. About 20 years ago, I read a book called The Moral Animal, about evolutionary psychology when that term, evolutionary psychology, was just starting to circulate. And then I went to teach in a psychology department of Penn,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for a while. Meanwhile, I was getting more interested in religion. And I wrote a book called The Evolution of God about the emergence of the Abrahamic God. And in the last few chapters of that, I addressed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can be a religion that is viable in the modern world, whether you could have something you could call a religion that is fully compatible with modern science. And now I'm kind of returning to that question here and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to sharing what, my thinking with you and my findings with you. So now let's dive into the course and move on to the second segment of lecture one. [BLANK_AUDIO]

---

안녕하세요. 불교와 현대심리학 강의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저는 로버트 라이트이며 여기는 프린스턴 대학입니다 
지난 몇 년간 이 온라인 강의의 토대가 되는 세미나를 여기서 가르쳤습니다 
온라인 강의를 해본 적이 없어서 매우 흥분됩니다 저에겐 일종의 모험이죠
강의에 참여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우선 첫 강의로 이 강의에 대한 개요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강의의 주제에 대해 그리고 제가 어떻게 여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은 이런 질문을 할 수 있을 겁니다 불교와 현대심리학 강의라면 어떤 불교를 다루느냐고 말입니다 다른 종교처럼 불교도 다양한 분파가 있습니다 
기독교에 여러 종파가 있듯이요 동양의 불교에도 여러 분파가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서양 불교라고 하는 것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제가 있는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말입니다 그들은 불교인으로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불교 수행을 하기로 결심한 사람들입니다 특히 명상 수행입니다 서양 불교의 한 가지 특징이라면 이들은 불교의 초자연적인 부분에는 별로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 서양 불교인에게 이 그림을 보여주면 그들은 이게 뭐냐고 할 겁니다 이것은 아귀(餓鬼)라는 배고픈 귀신입니다 
동양의 많은 불교인들은 <br />일이 잘못되면 아귀로 환생한다고 믿습니다 
만약 일이 잘 되면 천당에 가서 오랜 시간 지낸 뒤에 또 다시 환생한다고 믿지요 그러나 서양 불교는 이런 것에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이런 차원에서 <br />본 강의의 초점은 서양불교에 <br />맞춰져 있습니다 우리는 불교의 신이나 윤회에 대해 <br />말하지 않을 겁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본 강의는 불교 사상에 대한 <br />과학적 평가입니다 윤회는 과학적 평가의 적절한 대상이 아닙니다 저는 윤회의 가설을 <br />증명하는 실험을 어떤 식으로 해야 하는지 <br />알지 못합니다 불교에는 자연적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상들이 매우 많습니다

 이런 사상들은 <br />과학적 평가의 대상으로 적절합니다 인간의 마음에 관한 생각들 말입니다 예를 들어 불교는 우리가 왜 고통을 겪는가 하는 문제를 다룹니다 우리 모두 불안과 슬픔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들 말입니다 왜 사람들은 때로 거칠게 행동하는가? 인간의 마음은 실재의 본성에 대해 <br />우리를 기만하는가? 그리고 우리는 마음의 작동방식을 <br />바꿀 수 있는가 특히, 명상이라는 방법을<br /> 통해서 말입니다 

저는 불교의 이런 자연적 측면이야말로 불교 유산에서 참된 부분임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초기불교 문헌에도 <br />그런 내용이 나옵니다 불교의 자연적 측면은 <br />동양불교와 서양불교에 공통됩니다 불교의 공통 분모라고 할까요 어떤 사람은 이것을 <br />세속 불교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이것은 약간의 <br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br />완전히 자연적인 세계관이라도 종교가 다루는 문제를<br /> 다룰 수 있고 종교가 사람들에게 해주는<br />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저는 <br />자연적 불교를 포함한 자연적 세계관이 원칙적으로는 사람들의 삶에 <br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봅니다 도덕적 지향점도 <br />제시할 수 있고요 슬픔의 시기에 <br />위안도 줄 수 있으며 삶의 폭풍과 만났을 때 <br />평정심을 제공할 수 있다고 봅니다 자연적 측면의 불교를 <br />종교로 볼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종교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br />따라 달라집니다 미국의 위대한 심리학자 <br />윌리엄 제임스에 따르면 종교에 대한 <br />가장 광범위한 정의는 이렇습니다 

종교의 살아 있는 본질은 눈에 보이지 않는 질서가 <br />존재한다는 믿음이다 그리고 우리의 최고선은 우리 자신을 <br />그 질서에 조화롭게 맞추는 것이다 불교는 어떤 의미에서 <br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질서가 존재하며 <br />우리를 거기에 맞추라고 말합니다 보이지 않는 질서란 <br />우주적 계획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질서란 <br />사물의 작동 방식에 관한 진실을 가리킵니다 

실재의 본성에 관한 진실이요 인간 존재에 관한 진실, <br />당신 자신에 관한 진실입니다 불교에 따르면 <br />이러한 진실들은 때로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br />왜냐하면 인간의 마음은 왜곡과 환영을 그 안에 <br />내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세계를 <br />명료하게 보지 못합니다 그리고 불교는 <br />

우리의 최고선은 우리 자신을 평소 숨겨져 있는 이 진실에 <br />조화롭게 맞추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불교는 실제로 <br />이 조화로운 적응을 위한 길을 펼쳐보입니다 불교는 실재의 진실을 펼쳐보이고 실재에 맞게 우리의 삶을 가져가려면 <br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말합니다 또 불교의 주장은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가 <br />고통을 덜거나 끝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 자신을 <br />도덕적 진실에도 맞춰가게 됩니다 적어도 불교가 주장하는 <br />한에서는 그렇습니다 

이것이 불교에서 주장하는 내용입니다 그것이 진실일까요? 인간이 처한 곤경에 대한 <br />불교의 진단이 즉 인간이 고통을 겪는 이유에 대한 <br />불교의 진단이 진실일까요? 그리고 인간의 곤경에 대한 <br />불교의 처방이 효과가 있을까요? 이것이 본 강의에서 <br />주로 다룰 내용입니다 

대단한 스포일러는 아닙니다만 저는 현대심리학이 <br />불교의 생각을 지지한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심리학은 특정한 기만, 왜곡이<br /> 인간의 마음에 본래부터 들어 있다고 봅니다<br />그래서 우리가 고통을 겪는다는 거죠 그리고 제가 보기에는 <br />불교의 보다 급진적인 교리들도 현대 심리학으로부터 <br />일정한 근거를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교에서는 <br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쇼를 주관하는 존재로서의 자아가 <br />내 안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요 저는 심리학이 <br />우리가 자아로 여기는 것의 실제적 본성에 대해 <br />진지한 질문을 제기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말하는 현대심리학에는 물론 진화심리학도 포함됩니다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이<br /> 자연선택에 의해 형성된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인간의 마음이 빠지기 쉬운 미망이<br /> 자연선택에 의해 우리 안에 심어졌다는 증거도 있습니다. <br />그 이유를 앞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마음은 그런 식으로 <br />프로그래밍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무언가가 자연스럽다는 것 즉 자연선택에 의해 우리 안에 심어졌다고 해서 <br />그것을 바꿀 수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실제로 불교의 목적은 뇌의 프로그래밍을 <br />반대로 돌리는 것입니다 특히 명상 등의 기법을 사용해서요 자연선택 때문에 우리 뇌에 심어진 성향을 중화시키는 것입니다 

제가 불교에서 마음에 드는 부분은<br /> 이런 대담성입니다 우리의 창조자인 자연선택에 대한 <br />일종의 반역이라는 점에서 말입니다 불교는 자연선택이 우리 뇌에 프로그래밍한 로직에 <br />거스르고자 합니다 자 그것은 자연선택에 대한 <br />커다란 반역입니다 불교는 자연선택이 우리 안에 심어놓은 것들을 이용합니다 즉, 사랑과 연민 <br />이성적 사고를 이용합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지금 <br />아주 철저한 반역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기침) 

이 반역이 성공할 수 있을까요? 저는 앞에서 현대 심리학이<br /> 인간의 곤경에 대한 불교의 진단에 일정한 근거를 제공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불교의 처방은 어떨까요? 불교가 제시하는 처방이 <br />인간의 고통을 끝내거나 크게 줄일 수 있을까요? 우리가 세계를 <br />더 명료하게 보게 해줄까요? 우리는 그렇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br />이야기를 들어볼 것입니다

 저는 지난 몇 개월 간 <br />그들과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게 또 있습니다 저는 명상이 우리를<br /> 더 행복하게 만들어주고 더 행복하게 만들고 고통을 덜어주는지에만<br /> 관심이 있지 않습니다 저는 명상이 우리가 세계를<br /> 더 명료하게 보게 하는지에도 관심이 있습니다 우리 안에 심어진 환영을<br /> 몰아내는 것이야말로 행복의 열쇠이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살펴봄에 있어 우리는 유명 심리학자들의 <br />말을 들어볼 것입니다 저는 지난 몇 달 동안 <br />그들과 대화를 나눴습니다 또 여러 증거도 살펴볼 것입니다 뇌 영상, 사회심리학 실험 등 또 저의 개인적인 명상 경험도 여러분과 나누려 합니다 

저는 골수 명상가는 아닙니다 <br />하루에 몇 시간씩 명상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매일 명상을 하려고 <br />노력은 합니다 그리고 저는 일주일 간의 침묵 명상 수련회를 <br />경험해 보았습니다 아주 빡센 수련회였습니다 

명상은 아주 많이 하고 <br />다른 자극은 거의 없습니다 명상 수련회는 당신의 의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저는 수련회를 통해 저보다 훨씬 <br />진지한 명상가들의 경험과 마음의 작동에 관한 그들의 생각을 <br />잠시 엿볼 수 있었습니다 

저는 명상 수련회를 통해 이 분야 관심을 <br />갖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불교와 명상을 <br />연구하겠다고 결심한 계기도 또 그에 관하여 글을 쓰고 가르치겠다고<br /> 결심한 계기도 그것입니다 

또 불교와 명상에 대한 저의 관심은 저의 이전 작업의 자연스런 결과이기도 합니다 20년 전 저는 <br /><도덕적 동물>이라는 책을 썼습니다 진화심리학에 관한 책입니다 진화심리학이라는 용어가 <br />처음 회자되던 때에 쓴 책입니다 

그다음 저는 펜실베이니아 대학 심리학부에서 한동안 가르쳤습니다 그 시기에 저는 종교에 관심이 커졌습니다 그래서 <신의 진화>라는 책을 썼습니다 아브라함 신의 출현에 관한 책이죠 그 책의 마지막 몇 챕터에서 나는 이런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br />즉 현대 세계에서 유효한 종교가 있느냐는 <br />문제 제기였습니다 

다시 말해 현대과학과 모순되지 않는 종교를 <br />우리가 가질 수 있느냐는 겁니다 여기서 저는 그 질문으로 <br />다시 돌아왔습니다 본 강의에서 저의 생각과 발견을 <br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이제 강의에 빠져봅시다<br /> 

1강 2부에서 뵙겠습니다 [무음]

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 | Robert Wright Visiting Lecturer

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 | Coursera

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
Enroll for Free  Starts Feb 28


About
Instructors
Syllabus
Reviews
Enrollment Options
FAQ


About this Course
175,726 recent views

The Dalai Lama has said that Buddhism and science are deeply compatible and has encouraged Western scholars to critically examine both the meditative practice and Buddhist ideas about the human mind. A number of scientists and philosophers have taken up this challenge. There have been brain scans of meditators and philosophical examinations of Buddhist doctrines. There have even been discussions of Darwin and the Buddha: Do early Buddhist descriptions of the mind, and of the human condition, make particular sense in light of evolutionary psychology?

This course will examine how Buddhism is faring under this scrutiny. Are neuroscientists starting to understand how meditation “works”? Would such an understanding validate meditation—or might physical explanations of meditation undermine the spiritual significance attributed to it? And how are some of the basic Buddhist claims about the human mind holding up? We’ll pay special attention to some highly counterintuitive doctrines: that the self doesn’t exist, and that much of perceived reality is in some sense illusory. Do these claims, radical as they sound, make a certain kind of sense in light of modern psychology? An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all this for how we should live our lives? Can meditation make us not just happier, but better people? All the features of this course are available for free. It does not offer a certificate upon completion.


SKILLS YOU WILL GAIN
PhilosophyPsychologyMindfulnessMeditation


Learner Career Outcomes

44%
started a new career after completing these courses

33%
got a tangible career benefit from this course

100% online
Start instantly and learn at your own schedule.

Flexible deadlines
Reset deadlines in accordance to your schedule.

Approx. 16 hours to complete

English
Subtitles: Arabic, French, Portuguese (European), Italian, Vietnamese, German, Russian, English, Spanish, Hungarian


Instructor
Instructor rating
4.8/5 (722 Ratings)


Robert WrightVisiting Lecturer
Religion Department and the Center for Human Values
516,935 Learners
1 Course


Offered by


Princeton Un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is a private research university located in Princeton, New Jersey, United States. It is one of the eight universities of the Ivy League, and one of the nine Colonial Colleges founded before the American Revolution.


People interested in this course also viewed





De-Mystifying Mindfulness
Universiteit Leiden
1 COURSE



Syllabus - What you will learn from this course
Content Rating98%(45,572 ratings)
WEEK1
2 hours to complete
The Buddhist Diagnosis


5 videos (Total 87 min), 5 readingsSEE LESS
5 videos
Introduction: Religious Buddhism and ‘Secular’ Buddhism11m
Feelings and Illusions12m
The First Two Noble Truths15m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First Two Noble Truths21m
Office Hours 126m
5 readings
The Basics10m
Course Overview10m
About the Instructor10m
Contact us10m
Resources for Week 110m
WEEK2
2 hours to complete
The Buddhist Prescription




5 videos (Total 84 min), 1 readingSEE LESS
5 videos
The Eightfold Path13m
Meditation15m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 Brain16m
Can Our Feelings Be Trusted?15m
Office Hours 222m
1 reading
Resources for Week 210m
WEEK3
3 hours to complete
Does Your Self Exist?




4 videos (Total 91 min), 2 readings, 1 quizSEE LESS
4 videos
The Buddha’s Discourse on the Not-Self16m
What Did The Buddha Mean?20m
Modern Psychology and the Self22m
Office Hours 330m
2 readings
Resources for Week 310m
Guidelines for Grading Assignments10m
WEEK4
2 hours to complete
A New Model of the Mind




4 videos (Total 94 min), 1 readingSEE LESS
4 videos
Delusions about Ourselves21m
What Mental Modules Aren’t8m
What Mental Modules Are30m
Office Hours 433m
1 reading
Resources for Week 410m
WEEK5
2 hours to complete
Mental Modules and Meditation




4 videos (Total 101 min), 1 readingSEE LESS
4 videos
Choosing ‘Selves’ Through Meditation18m
‘Self’ Control27m
The Experience of Not-self20m
Office Hours 534m
1 reading
Resources for Week 510m
WEEK6
5 hours to complete
What is Enlightenment?




8 videos (Total 254 min), 1 reading, 1 quizSEE LESS
8 videos
Not-Self as Interconnection23m
Essentialism and Emptiness28m
Buddhist and Darwinian Enlightenment31m
A Naturalistic Religion?14m
Office Hours 634m
Extra Office Hours 142m
Extra Office Hours 236m
Extra Office Hours 341m
1 reading
Resources for Week 610m
Show Less


Reviews
4.8
1755 reviews

5 stars

83.68%
4 stars

13.02%
3 stars

1.94%
2 stars

0.55%
1 star

0.78%

TOP REVIEWS FROM 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

by VCNov 15, 2015

I have been practicing meditation for two years already.In so far I have attended all Deepak Chopra meditation experiences which I found very helpful but not as helpful this course provided me so far.

by CVMar 2, 2016

Engaging content and excellent pace. While the level is introductory (I'd have liked a bit more depth), I would expect this from a lower-division/breadth course—and even more so from a MOOC like this.

by LWOct 25, 2020

I thought this was a great introduction to both modern Buddhist thought and evolutionary psychology. Professor Wright is an excellent lecturer, and his office hours are informative as well as amusing.

by RSep 29, 2020

This is a great effort which should be appreciated. Just because at a time like this, some are curious to know about the Buddhism, & with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which adds more value for this.View all reviews


Start Learning Today


Enroll for Free
Starts Feb 28
516,935 already enrolled




Frequently Asked Questions




When will I have access to the lectures and assignments?




Can I earn a certificate in this course?


More questions? Visit the Learner Help Center.


Coursera Footer

Coursera

About
What We Offer
Leadership
Careers
Catalog
Coursera Plus
Certificates
MasterTrack™ Certificates
Degrees
For Enterprise
For Government
For Campus
Coronavirus Response

Community

Learners
Partners
Developers
Beta Testers
Translators
Blog
Tech Blog
Teaching Center

More

Terms
Privacy
Help
Accessibility
Press
Contact
Articles
Directory
Affiliates

Mobile App

© 2021 Coursera Inc. All rights reserved.





알라딘: [전자책] 불교는 왜 진실인가 로버트 라이트 (Robert Wright) (지은이)

알라딘: [전자책] 불교는 왜 진실인가

불교는 왜 진실인가 - 진화심리학으로 보는 불교의 명상과 깨달음  epub 
로버트 라이트 (지은이),이재석,김철호 (옮긴이)마음친구2019-01-25 
원제 : Why Buddhism is True: The Science and Philosophy of Meditation and Enlightenment
-
종이책 페이지수 416쪽,

책소개

인간이 괴로움을 겪는 근본 원인이 세계를 있는 그대로 명료하게 보지 못하는 미망 때문임을 진화심리학의 렌즈로 살핀 뒤, 미망을 걷고 괴로움을 줄이는 실제적 처방으로 불교의 마음챙김 명상에 주목한다. 그밖에 공과 무아, 열반과 깨달음 등 불교의 주요 주장에 담긴 진리성을 형이상학과 도덕, 인간 행복의 차원에서 살핀다.

진화심리학에 관한 로버트 라이트의 기념비적 저작인 『도덕적 동물』(1994)에서 시작해 그 스스로 명상 수행을 실천하면서 세계의 명상가, 과학자와 교류해온 과학적.영적 여정의 정점에서 얻은 결과물이다. 
불교를 종교적 신앙이 아닌 심리학과 철학, 과학 등 합리적 탐구의 대상으로 접근하려는 이, 
명상이 어떻게 우리를 삶의 미망과 고통에서 구할 수 있는지, 
또 어떻게 우리를 조금 더 행복하고 조금 더 좋은 사람으로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한 이를 위한 책이다.


목차
일러두기
1장 ‘빨간 약’을 먹다
2장 명상의 역설
3장 느낌은 언제 환영인가
4장 극락감, 황홀경, 그리고 명상을 하는 더 중요한 이유들
5장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과연 진실인가

6장 나를 다스리는 주인은 어디에도 없다
7장 우리의 삶을 움직이는 정신 모듈
8장 생각은 어떻게 스스로 생각하는가
9장 ‘자기’ 통제에 관하여

10장 형상 없음과의 만남
11장 공이 가진 좋은 면
12장 ‘잡초’가 사라진 세상

13장 모든 것이 하나로 보이다
14장 간략히 살펴보는 열반
15장 깨달음은 정말 우리를 깨닫게 하는가
16장 명상과 눈에 보이지 않는 질서

[부록 A] 불교적 진실의 목록 
[부록 B] “붓다가 다윈을 만났을 때”

옮긴이의 말?

책에 사용한 용어에 관하여?
감사의 말?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
첫문장
인간이 처한 상황을 다소 과장하는 위험은 있지만 이런 이야기를 해보자.

P. 16 붓다의 가르침의 핵심은 결국엔 일시적일 수밖에 없는 감각 쾌락에 강하게 끌리는 인간 내면의 일반적 역동이다. 우리가 구하는 쾌락은 빠르게 사라지며 결국엔 더 큰 쾌락을 갈망하게 된다는 것이 붓다가 전하는 메시지다. 

P. 27 불교 명상은 그 바탕에 깔린 철학과 더불어, 인간이 처한 곤경을 놀랍도록 직접적이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다룬다. 불교는 문제를 명료하게 진단하고 그에 대한 처방을 내놓는다. 이 처방은 행복을 가져다줄 뿐 아니라 명료한 시야를 제공한다. 여기서 명료한 시야란 사물과 현상의 실제적 진실을 본다는 의미다. 아니면 적어도 사물과 현상에 관한 우리의 일상적 관점보다는 훨씬 ‘진실에 가깝게’ 본다는 의미다.  접기

P. 318 나만 특별하다고 여기는 자연선택의 첫 번째 가치에는 맞서 싸워야 하지만 생명의 소중함이라는 자연선택의 두 번째 가치는 존중해야 한다. 다행히도 이러한 태도에 딱 맞는 활동이 있으니 바로 마음챙김 명상이다. 게다가 마음챙김 명상은 덤으로 우리를 진실에 더 가까이 데려간다.

P. 366 과학이 인간이 처한 곤경의 근본 원인을 밝히기 2천 년도 더 전에 불교가 이를 파악했다는 사실은 불교가 오늘날에 지닌 적절성을 보여준다. 만약 붓다가 오늘날 살아 있었다면 인간이 어떻게 해서 미망과 그에 따르는 고통을 당하게 되었는지 설명해준 다윈에게 고마워했을 것이다. 그리고 다윈이 아직까지 살아 있었다면 (그리고 마음챙김 명상 운동에 동참했다면) 인간이 빠진 미망과 고통의 문제에 대처하는 법을 가르쳐준 붓다에게 감사했을 것이다.  접기

짝 구하기 모드에서 유동적으로 변하는 심리적 특징에는 시간 할인 외에도 또 있다. 그것은 사람들의 직업적 포부에 관한 것이다. 아마 당신은 직업적 포부가 매순간 급격히 바뀐다고는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물론 시간의 흐름과 함께 어느 정도 바뀔 수는 있겠지만). 그러나 이런 생각과 달리 사람들의 직업적 포부는 실제로 ‘매순간‘ 바뀐다고 한다. 어느 연구에서 심리학자들이 남성들에게 자신의 커리어 플랜에 관한 설문지를작성하도록 했다. 어떤 남성들은 여성들과 함께 있는 장소에서 작성하도록 했고, 어떤 남성들은 남성들만 있는 장소에서 작성하도록 했다. 그 결과, 여성들과 함께 설문지를 작성한 남성들은 남성들만 있는 장소에서 작성한 이들보다 부의 축적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는 성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직업적 포부와 짝 구하기 모드에 관한 연구: Roney 2003)  접기 - 로쟈

--
저자 및 역자소개

로버트 라이트 (Robert Wright) (지은이) 
-
프린스턴 대학에서 공공문제와 국제관계, 그리고 진화심리학의 전신인 사회생물학을 공부했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진화심리학, 역사, 종교, 전쟁, 기술 등의 주제로 대중과 소통하는 저널리스트의 경력을 쌓아왔다. 
<뉴요커> <애틀랜틱> <타임> <뉴리퍼블릭> 등 주요 잡지에 칼럼을 기고했으며 
<사이언스> 기자로 근무하며 쓴 과학, 기술, 철학에 대한 칼럼으로 ‘미국 잡지상’을 수상했다.

  1.  첫 번째 저서인 『세 과학자와 그들의 신』(1989)이 ‘전미 도서비평가 협회상’을 수상하며 주목받는 저술가로 부상했다. 
  2. 그의 두 번째 책 『도덕적 동물』(1994)은 12개 국어로 번역되면서 진화심리학을 대표하는 지식인으로 자리를 굳혔다. 
  3. 그 밖에 『넌제로』(2001) 『신의 진화』(2009) 등의 저서가 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 심리학부와 프린스턴 대학 종교학부에서 가르쳤으며 프린스턴 대학에서는 <불교와 현대 심리학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이라는 일련의 온라인 강의를 진행한 바 있다(코세라와 유튜브에서 시청 가능). 

또 정치, 세계문제, 철학, 과학 등의 주제를 다루는 비디오 블로그 <블로깅헤드Bloggingheads.tv>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뉴욕에 있는 유니언 신학대학의 과학 및 종교 객원교수이며 뉴저지 주 프린스턴에서 아내와 두 딸과 함께 살고 있다.
접기
최근작 : <불교는 왜 진실인가>,<신의 진화>,<넌제로> … 총 122종 (모두보기)
----
이재석 (옮긴이) 

서울대학교에서 러시아어를 전공하고 출판저작권 에이전시와 출판사에서 일했다. 위빠사나 명상을 통한 몸-마음 치유에 관심이 있으며 보리수선원, 서울불교대학원 심신치유학과에서 공부했다. 옮긴 책으로 『불교는 왜 진실인가』 『조셉 골드스타인의 통찰 명상』 등이 있다.

blog.naver.com/anljs
최근작 : … 총 46종 (모두보기)
---
김철호 (옮긴이) 

경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2009년 이후). 한국학중앙연구원(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성리학에서의 도덕추론(2000, 석사)과 선악론(2006, 박사)을 공부한 후, 전통도덕교육론의 구도, 주희의 자연관, 경(敬)의 도덕교육적 의미 등, 전통 사상을 현대도덕교육에 접목시키기 위한 공부를 이어갔다. 그러는 와중에 경을 일종의 명상(도덕적 명상)이라 생각하게 되면서 불교 명상과 현대의 마음챙김 명상에로 관심을 확대하게 되었다. 

지은 책으로는 <도덕교육의 체계적 이해>(공저)가 있고, 논문으로는 [마음챙김 명상의 도덕·인성교육적 의미와 적용 방안], [도덕적 명상으로서의 경(敬)]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도덕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도덕교육의 체계적 이해> … 총 6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고통 완화와 인간 깨달음을 향한 붓다와 다윈의 합작 프로젝트!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20개국 번역 출간!

“우리가 고통을 겪는 이유는 세계를 명료하게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불교의 핵심 주장은 간단하다. 우리가 고통을 겪는 (그리고 다른 존재에게 고통을 안기는) 이유는 세계를 명료하게 보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나 자신을 포함한) 세상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 것, 이것을 불교에서는 무지, 무명, 어리석음이라고 하며 저자는 이것을 미망이라고 부른다. 
이런 차원에서 불교 수행의 요체는 명상을 통해 미망을 걷고 세계를 명료하게 보는 것이다. 세계를 명료하게 볼 때 더 깊은 차원의 행복, 도덕적으로 의미 있는 행복이 가능하다는 것이 불교의 처방이다.

이 선구적인 책에서 로버트 라이트는 
  • 명상 수행이 내건 이와 같은 급진적 전망을 진지하게 받아들일 때 실제로 우리 삶이 크게 변화할 수 있음을 보인다. 
  • 명상을 통해 불안, 후회, 증오가 휘두르는 영향을 누그러뜨리고 세상의 아름다움을 알아보는 눈과 타인에 대한 공감력을 키울 수 있다고 말한다. 
  • 또 저자는 뇌과학과 심리학의 최신 이론에 인간 진화에 관한 통찰을 바탕으로 진실을 향한 길이 곧 인간의 행복을 향한 길과 다르지 않음을 보인다. 
  • 인간의 고통에 대한 불교의 진단과 처방은, 거기에 현대 과학이라는 빛을 비추었을 때 완전히 새로운 타당성을 획득한다.


진화심리학을 통해 본 인간 미망의 기원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이 왜 지금과 같은 마음을 갖게 되었는지를 생물 진화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학문이다. 
로버트 라이트는 『도덕적 동물』에서 진화심리학을 이렇게 설명한다.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뇌가 인간을 잘못 이끌고 심지어 노예 상태에 빠지도록 자연선택에 의해 만들어진 방식을 탐구한다.” 
여기서 ‘인간을 잘못 이끈다’는 말은 인간이 미망, 즉 불교에서 말하는 무명, 무지, 어리석음에 빠질 수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생명체가 환경에 적응하도록 해준 자연선택이 어떻게 해서 인간을 잘못 이끌어 미망에 빠지게 했다는 것일까?

그 답은 자연선택의 최종 목적생명 개체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전하는 것이라는 데 있다. 자연선택은 의식적인 설계가 아니라 맹목적인 과정으로 오랜 진화 과정에서 유전자 전파에 유리한 유전적 특징은 살아남은 반면 그렇지 않은 특징은 중도에 사라졌다. 
유전자 전파라는 시험대를 통과한 특징에는 인간의 신체적 특징뿐 아니라 정신적 특징도 있다. 여기서 정신적 특징이란 인간의 뇌에 깊이 새겨져 일상의 경험을 빚어내는 정신 구조와 알고리즘을 말한다. 

그렇다면 ‘어떤 종류의’ 지각과 생각과 느낌이 인간의 일상을 빚어내는가? 

  • 그것은 실재에 대한 정확한 그림을 제공하는 지각과 생각과 느낌이 아니다. 
  • 그것은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전하는 데 유리한 지각과 생각과 느낌이다. 
  • 그 결과 인간의 지각, 생각, 느낌이 실재에 관한 부정확한 그림을 그리는 일이 실제로 벌어졌다. 
  • 이렇게 인간의 뇌는 인간을 미망에 빠트리도록 ‘처음부터’ 만들어졌다.

인간이 미망에 빠진 기본 논리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렇다. 
우리는 우리 조상들이 자신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전하는 데 유리했던 행동을 하도록 처음부터 자연선택에 의해 설계되었다. 
  • 이런 행동에는 예컨대 먹기, 섹스, 사람들의 존경을 얻는 것, 경쟁 상대를 제압하는 것 등이 있었다. 
  • 유전자를 되도록 많이 퍼뜨리는 생명체를 설계하는 것이 자연선택의 목표라면 여기에는 최소한 세 가지 기본적인 설계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 첫째, 목적을 달성했을 때 쾌락을 느껴야 한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동물은 쾌락을 느끼는 행위를 더 열심히 하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 둘째, 쾌락이 영원히 지속되면 안 된다. 만약 쾌락이 일시적이지 않고 끝없이 지속된다면 다시는 그 행위를 하지 않을 것이다. 
  • 셋째, 쾌락이 곧 사라질 거라는 사실보다 목적 달성에 쾌락이 따른다는 사실을 더 크게 인식해야 한다. 

이 세 가지 설계 원칙을 합하면 붓다가 진단한 인간의 곤경에 대한 설명과 일치한다. 붓다는 말하기를 쾌락은 일시적이며 이런 사정 때문에 우리는 계속해서 불만족한 상태에 처하게 된다고 했다. 조금 가혹한 얘기처럼 들린다. 
그런데 자연선택의 임무는 유전자를 퍼뜨리는 기계를 설계하는 것뿐이다. 유전자를 퍼뜨리기 위해 어느 정도의 환영을 인간의 뇌에 프로그래밍 해야 한다면 인간은 환영을 가질 수밖에 없어 보인다.

진화심리학에서 마음챙김 명상으로

자연선택의 관점에서 보면 왜 인간에게 이런 환영이 심어졌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목적이 실제로 환영에서 벗어나는 것이라면 진화심리학이 던지는 빛은 제한적인 의미밖에 갖지 못한다. 
진화심리학을 통해 인간이 처한 상황에 대한 진실을 알게 된다 해도 그 자체로 우리의 삶이 더 행복해지는 건 아니다. 
어쩌면 진실을 알게 된 다음은 진실을 알기 전보다 나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이 쾌락의 쳇바퀴에 갇힌 존재라는 사실을 알게 된 데다 그 ‘덤으로’ 인간이 처한 부조리한 상황의 근거까지 알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쾌락의 쳇바퀴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없을까? 
진화심리학이 보인 진리를 무지와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데 사용할 수는 없을까? 
인간의 본성과 인간이 처한 조건에 관한 과학적 진실을, 인간이 빠져 있는 환영을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로 환영에서 벗어나는 데 사용할 수 없을까? 
저자는 불교와 불교 명상이 그 방법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로버트 라이트가 말하는 불교 명상은 마음챙김 명상이다. 
마음챙김(mindfulness)이란 지금-여기에서 일어나는 자기 내면과 외면의 현상을 주의를 기울여 ‘알아차리는’ 것이다. 평소 덧씌워져 있는 갖가지 정신적 혼미함을 걷어낸 채로 지금 일어나는 일을 분명하고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음챙김 명상은 호흡에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마음을 고요하게 안정시켜 지금 일어나는 일을 명료하고 차분하게, 덜 반응적인 방식으로 관찰한다. 
이때 ‘지금 일어나는 일’이란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일체의 현상을 가리킨다. 
통증 등 신체적 감각뿐 아니라 슬픔, 걱정, 짜증, 안도감, 기쁨 같은 느낌이 일어날 때 평소와 다른 관점에서 경험하고자 시도한다. 
좋은 느낌에 집착하지 않고, 나쁜 느낌으로부터 도망가지 않는다. 
있는 그대로 경험하면서 관찰한다. 
이런 변화된 관점은 느낌과의 관계에서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출발점이 된다. 그리고 이런 훈련을 충분히 하면 느낌의 노예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마음챙김 명상에서 깨달음으로

마음챙김 명상은 무엇보다 일종의 마음 훈련이다. 
  • 명상 방석에 앉아 자신의 느낌을 마음챙김으로(mindfully), 즉 깨어있는 마음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하면 실제 생활에서 느끼는 느낌도 더 잘 관찰할 수 있다. 
  • 이것은 우리의 삶을 잘못 인도하는 비생산적인 느낌에 덜 지배당한다는 의미다.
  • 마음챙김 명상이 가진 또 다른 장점은 주변의 아름다움에 더 잘 감응하게 된다는 점이다. 
  • 이 효과는 명상 수련회에서 특히 잘 나타나는데, 왜냐하면 명상 수련회에서는 현실 세상으로부터 일정 정도 단절되어 걱정과 기대, 후회가 많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 명상 수련회에서는 걱정, 기대, 후회 등의 원료를 집어넣지 않기 때문에 지금 현재 순간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경험 모드에 머물기가 더 수월하다. 
  • 일상의 감각에 깊이 몰입할 때 우리의 의식도 극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마음챙김 명상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사물과 현상의 본질에 대한 심오한 깨달음에 이르러 자유와 행복에 다가갈 수 있다. 
  • 다시 말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등 치료 목적으로 시작한 마음챙김 명상이 철학적이고 영적인 시도로 승화할 수 있다. 
  • 이것이 마음챙김 명상이 가진 세 번째 장점이다. 
  • 즉 마음챙김 명상은 우리가 빠져 있는 삶의 ‘매트릭스’라는 환영에서 벗어나 실재의 참된 본질을 꿰뚫어보게 한다. 
  • 불교 경전들은 우리가 꿰뚫어 보아야 하는 실재의 참된 본질을 존재의 세 가지 특상(特相), 즉 삼법인(三法印)으로 제시하고 있다. 
  •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가 그것이다. 
  • 그중에서도 특히 무아가 과연 삶의 실상에 부합하는 진실인지를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살필 수 있다.


무아는 진실인가 – ‘마음에 관한 모듈 모형’의 관점에서

불교의 주장 가운데 진화심리학에 의해 유력하게 뒷받침될 수 있는 것으로 무아(無我)가 있다. 불교의 무아 주장은 일반적으로 ‘나, 너, 우리’라고 할 때의 ‘나’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개념적으로 ‘나’로 알고 있는 것이 실은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이라는 오온(五蘊)의 조합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우리는 대개 의식하는 자아(conscious self)가 있어 그것이 나를 통제하고 다스린다고 생각한다. 또 나의 자아는 시간상으로 어느 정도 일정하게 지속된다고 여긴다. 
그러나 궁극적 실재(ultimate reality)의 차원에서 살피면 ‘나’라는 존재는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무엇이며, 시간의 흐름에서 고정적 실체를 갖지 않았다는 것이 불교의 주장이다.

의식하는 자아가 나를 다스리는 주인이 아니라면 우리의 행동은 어떤 식으로 결정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해 진화심리학에서 흔히 내놓는 답은 마음이 모듈(module)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마음에 관한 모듈 모형’(modular model of mind)이라고 하는데, 이 모형에서는 인간의 마음은 자신이 처한 특정 상황을 평가하고 판단해 그에 대처하는 수많은 특화된 모듈로 구성되어 있을 뿐, 본질이라고 할 만한 의식하는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우리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체는 의식하는 자아가 아니라, 많은 부분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모듈끼리의 상호작용이라는 것이다. 붓다가 무아 개념을 처음 제시하고 2천 년이 지난 지금, 과학이 과학자들을 무아 개념에 다가가도록 안내하고 있다.

불교와 현대 심리학은 우리의 삶을 다스리는 단 하나의 자아, 의식적인 주인은 없다는 데 생각이 일치한다. 매순간 번갈아가며 우리의 삶이라는 쇼를 연출하는—쇼의 통제권을 일시적으로 위임 받은—‘자아들’의 집합이 존재할 뿐이다. 그리고 이 자아들의 집합이 쇼를 연출하는 방법은 ‘느낌’을 통해서다. 그렇다면 쇼에 변화를 주는 한 가지 방법이 일상에서 느낌이 하는 일을 변화시키는 것이라는 점은 타당해 보인다. 그리고 일상의 삶에서 느낌이 하는 역할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마음챙김 명상보다 효과적인 것은 없다는 것이 로버트 라이트를 비롯한 많은 명상 수행자들의 공통된 증언이다.

진화심리학에서 불교에 이르는 과학적‧영적 여정

이 책은 진화심리학에 관한 로버트 라이트의 기념비적 저작인 『도덕적 동물』(1994)에서 시작해 그 스스로 명상 수행을 실천하며 세계의 명상가, 과학자와 교류해온 과학적‧영적 여정의 정점에서 얻은 결과물이다. 그의 글은 재미가 있을 뿐 아니라 적지 않은 깨달음을 선사한다. 라이트 특유의 위트와 명료함, 우아함까지 갖춘 이 책은 종교가 점점 의미가 없어지는 이 세속의 시대에 우리가 어떻게 영적인 삶을 꾸릴 수 있는지, 또 지금과 같은 기술 격변과 사회 분열의 시기에 우리가 어떻게 한 개인으로서, 그리고 인간이라는 종(種)으로서 우리 자신을 구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
마이리뷰
구매자 (0)
     
마음챙김에 현미경 비추기

우울증과 번아웃에 운동도 더이상 약발이 먹히지 않자 그 다음으로 고개를 돌리게 된 것이 마음챙김이었다. 여러권의 책에서 운동 다음으로 가장 많이 언급된 해결책이었기에, 지금은 덜할지라도 충분히 운동이 내게 유효했던 것이 사실이었던만큼 마음챙김의 미심쩍은 신비주의적 냄새에 대한 의심은 일단 접어두자는 생각이었다. 

결국에는 마음챙김의 배경인 불교의 무아 개념과 접하게 되면서, 생각보다 마음챙김이 내 삶의 더 많은 것에 연관되어 있다는 데까지 생각이 확장되고(정확히는 내가 원하는 마음챙김의 제대로 효과를 보려면 내가 가지고 있던 기존의 많은 생각이 바뀌어야함을 알게되고), 예상치 못하게 이 책을 읽기까지 이르렀다. 그리고 나는 나를 이 예상치 못한 독서여정으로 이끈 호기심에 감사하다. 산발적으로 보였던 내 관심사들이 사실은 한 방향을 향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 책은 볼록렌즈처럼 수렴해 보여준며 하나의 세계관으로 만들어준다. 이 책을 읽기 위해 이제까지 그 여러 책들을 읽었던가 싶을 정도로 읽는 동안 여러권의 책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가는 경험을 했다. 내가 기대하지 않았던 공백들을 메꿔주는 책이고, 이제까지 마음챙김에 대한 흐릿한 인식의 해상도를 맑고 뚜렷하게 높여주는 책이다. 자신에게 주의력결핍장애가 있다는 작가의 말이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이 책은 문제를 맹렬하게 쫓는 힘이 있다. 

저자의 날카로운 비판의식이 가장 빛났던 부분은 5장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과연 진실인가" 였다.  내가 마음챙김 책들을 읽으면서 무아의 개념에 대해 너무 문제의식 없이 순순히 안이하게 받아들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다른 대상의 무상성을 인식하는 의식 자체도 없을 수 있는지, 그 무상성을 판별하는 주체가 없을 수 있는지에 대해 주류불교의 주장을 그대로 따라가지 않고, 이제까지의 불교 전파 과정에서 덧붙여졌을 해석들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붓다 최초의 설법에 대한 해석에 집중하는 독립적 학자들의 주장을 둘러보게 해준다. 결국에는 무아라는 개념의 난해함에 크게 개의치 말고 초기부터 불교 전통의 일부라고 누구나 동의하는 자아개념만 자신에게 유용한만큼 받아들이라고 하지만 진지하게 무아의 개념을 염두에 두고 마음챙김을 받아들이려고 했다면 언젠가는 맞딱뜨려서 혼란이 생겼을 문제에 미리 선을 그어줘서 고마웠다.

그러나 붓다의 말과 의도에 관한 많은 의견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초기부터 불교 전통의 일부라고 누구나 동의하는 주제는 있다. 그 중 하나가 우리가 가진 자아 개념은 실제의 진실과 크게 동떨어져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대개 자아가 ‘통제‘와 ‘시간상 견고한 지속‘ 이라는 속성을 지녔다고 믿지만 면밀히 살피면 나라는 존재는 내 마음대로 통제할 수 없는 부분이 많으며 시간의 흐름에서 고정적 실체를 지니지 않은 유동적인 존재이다. - P102

이것이 내가 공의 교리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것은 실제로 불교 학자들이 널리 인정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여기서 공은 모든 사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존재한다고 여겼던 사물의 본질이 실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공을 지각한다는 것은 데이터의 중심에 있는 특정 대상에 관한 이론을 세워 그것을 ‘본질‘이라는 말로 요약하지 않고 날것의 감각 데이터만을 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 P201

레몬밤 2019-10-09 공감(3) 댓글(0)
---
마이페이퍼  불교는 왜 진실인가

불교와 뇌과학(뇌과학으로 보는 불교)을 다룬 책은 몇 권 되는데, 불교와 진화심리학을 주제로 책은 생각나지 않는다. 로버트 라이트의 <불교는 왜 진실인가>(마음친구)가 처음이지 않을까 싶다. ‘진화심리학으로 보는 불교의 명상과 깨달음‘이 부제.

익숙한 저자여서 놀랐는데 로버트 라이트는 <3인의 과학자와 그들의 신>(정신세계사)을 필두로 하여 진화심리학 소개서 <도덕적 동물>(사이언스북스)로 널리 이름을 알린 과학 저널리스트이다(이후에 <넌제로>와 <신의 진화>도 번역되었다). 

그가 불교에 관심을 갖고서 프린스턴대학에서 일반 대중을 상대로 ‘불교와 현대심리학‘을 강의했고 책은 그 결과물이다.

˝인간이 괴로움을 겪는 근본 원인이 세계를 있는 그대로 명료하게 보지 못하는 미망 때문임을 진화심리학의 렌즈로 살핀 뒤, 미망을 걷고 괴로움을 줄이는 실제적 처방으로 불교의 마음챙김 명상에 주목한다. 그밖에 공과 무아, 열반과 깨달음 등 불교의 주요 주장에 담긴 진리성을 형이상학과 도덕, 인간 행복의 차원에서 살핀다.˝

도올 선생의 불교 강의를 유튜브에서 보다가 불교 관련서도 몇 권 장바구니에 넣고 부모님 댁을 찾으며 이 책도 손에 들었다. 주말에는 책이사도 해야 하는데 책장을 비우기 전에 마음부터 비워야겠다...

- 접기
로쟈 2019-02-04 공감 (31) 댓글 (0)
----
직업적 포부와 짝 구하기 새창으로 보기
<불교는 왜 진실인가>에서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지만 진화심리학 연구 성과로 참고할 만하다. ‘직업적 포부와 짝 구하기 모드‘. 한데 결과는 예상을 벗어나지 않는군. 우리가 다 알고 있는 ‘진화적 무의식‘을 지식의 영역으로 끌어낸 정도라고 봐아겠다.
로쟈 2019-02-04 공감 (29) 댓글 (0)

알라딘: 신의 진화

알라딘: 신의 진화

신의 진화   
로버트 라이트 (지은이),허수진 (옮긴이)동녘사이언스2010-01-20원제 : The Evolution of God



신의 진화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10%, 2,500원 할인)
마일리지
1,2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무료 
Sales Point : 139 
 8.0 100자평(0)리뷰(1)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소득공제 1,020원 
품절 출판사/제작사 유통이 중단되어 구할 수 없습니다.
품절
보관함 +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4)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32,000원
중고모두보기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736쪽152*223mm (A5신)1030gISBN : 9788990247476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진화론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국내도서 > 추천도서 > 외부/전문기관 추천도서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 추천..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가 선..
국내도서 > 추천도서 > 외부/전문기관 추천도서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 추천..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가 선..
시리즈
이 책의 원서/번역서
전체선택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담기
 The Evolution of God (Hardcover) Hardcover
 The Evolution of God (Audio CD, CD) Audio CD, CD
[품절] The Evolution of God (Audio CD, Library)
더보기
이벤트

이 달의 적립금 혜택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사랑과 희생, 도덕적 관념 같은 인간 본성의 특징이 자연선택의 산물이라는 내용을 담은 책. 역사학, 인류학, 철학, 고고학, 진화생물학이라는 프리즘을 꺼내 들고 고대 바빌론 시대부터 9.11 이후까지 ‘신’의 기원과 발달과정을 추적하며 이 문제를 풀어 나간다. 또한, 우리가 인식하는 신의 진화와 종교의 성숙을 통해 현 상태를 진단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출발점을 제공한다.

종교는 기본적으로 선도, 악도 아니며 자연선택에 의해서 진화해 왔으며, 사람들이 신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에 따라 발전해 왔다고 설명한다. 결국 종교는 점점 더 많은 집단의 사람들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관용의 대상에 포함시켜 왔고, 그 대상의 범위를 오늘날까지 확대시켜 오고 있다고 말해준다. 또한, 종교가 편협함과 전쟁을 조장해 오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선을 향해 움직이고 있다고 알려준다.
목차
옮긴이의 글
들어가는 말

1부 신의 탄생과 성장
1장 최초의 신앙
2장 샤먼
3장 족장 사회의 종교
4장 고대국가의 신들

2부 아브라함 일신신앙의 출현
5장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 다신신앙
6장 다신신앙에서 일신 숭배로
7장 일신 숭배에서 일신신앙으로
8장 필론 이야기
9장 신의 알고리즘, 로고스

3부 기독교의 발명
10장 예수는 이렇게 말했다
11장 사랑의 사도
12장 적자생존의 기독교
13장 구세주가 된 예수

4부 이슬람의 승리
14장 꾸란
15장 메카
16장 메디나
17장 지하드
18장 무함마드

5부 글로벌 신이 될 것인가?
19장 도덕적 상상력
20장 우리는 특별한가

맺는 말 - 그런데 신이란?
부록 - 인간의 본성이 어떻게 종교를 탄생시켰는가?
번역에 관한 참고사항
감사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한영 인명대조표

접기
책속에서
P. 9 저자는 종교와 신의 기나긴 여정을 이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종교학, 진화심리학, 역사학, 고고학, 인류학, 철학을 넘나드는 방대한 지식을 동원해 원시시대의 수렵채집 사회에서부터 족장 사회, 고대국가,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종교와 신이 어떻게 발전해 왔고, 성숙해 왔는지를 한눈에 보여 준다. 이 어마어마한 정보를 한꺼번에 접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 책을 읽는 재미는 충분하다.
그러나 읽는 재미가 전부는 아니다. 저자는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에 대한 기존의 정설과 통념을 무너뜨린다. 그리고 그것을 날카로우면서도 차분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도발적이고 획기적인 논리는 당장 종교를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종교들이 더욱 성숙할 수 있고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과학과 종교가 양립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의 증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접기
P. 15 이제 정말 대답하기 어려운 문제가 남았다. 종교가 이 과업을 어떤 방법으로 감당할까? 종교는 어떤 식으로 과학에, 다른 종교에 적응할 것인가? 발전된 과학과 급속한 세계화의 시대에 적합한 종교는 어떤 모습일까? 어떤 목적을 가리키고 어떤 방향을 제시할 것인가? 진실로 종교라 불릴 자격이 있고, 이 혼란스러운 세계에서 사람들에게 지침과 위안을 주고, 나아가 세상을 덜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는 지적으로 정직한 세계관은 존재할까? 이에 대해 내가 분명한 답을 가지고 있노라고 큰소리칠 수는 없다. 그러나 신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 나가면서 자연스럽게 분명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접기
추천글
로버트 라이트는 놀라운 발견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한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진화에는 패턴이 있으며, 그들의 성서에는 ‘숨겨진 암호’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들 종교가 오늘날 어떻게 조화로운 방향으로 갈 수 있는지 종교의 기원과 발달과정을 살피며 그 길을 모색한다. 더 나아가 과학과 종교가 화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하며, 신에 대한 우리의 전통적 관념이 어떻게 잘못됐든 그 신들의 진화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신에 대한 관념과 신이 어디서 왔고, 신과 우리가 이제 어느 곳을 향해 움직일 것인가에 관한 독자들의 생각을 완전히 바꾸어 놓을 것이다.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인사회) 
사랑과 희생, 도덕적 관념 같은 인간 본성의 특징이 자연선택의 산물이라는 내용을 담은 책. 역사학, 인류학, 철학, 고고학, 진화생물학이라는 프리즘을 꺼내 들고 고대 바빌론 시대부터 9.11 이후까지 ‘신’의 기원과 발달과정을 추적하며 이 문제를 풀어 나간다. 또한, 우리가 인식하는 신의 진화와 종교의 성숙을 통해 현 상태를 진단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출발점을 제공한다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인사회)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중앙일보 
 - 중앙일보(조인스닷컴) 2010년 2월 6일자
조선일보 
 -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10년 2월 6일자 '북카페'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0년 2월 6일 지성 새책
저자 및 역자소개
로버트 라이트 (Robert Wright)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프린스턴 대학에서 공공문제와 국제관계, 그리고 진화심리학의 전신인 사회생물학을 공부했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진화심리학, 역사, 종교, 전쟁, 기술 등의 주제로 대중과 소통하는 저널리스트의 경력을 쌓아왔다. <뉴요커> <애틀랜틱> <타임> <뉴리퍼블릭> 등 주요 잡지에 칼럼을 기고했으며 <사이언스> 기자로 근무하며 쓴 과학, 기술, 철학에 대한 칼럼으로 ‘미국 잡지상’을 수상했다. 첫 번째 저서인 『세 과학자와 그들의 신』(1989)이 ‘전미 도서비평가 협회상’을 수상하며 주목받는 저술가로 부상했다. 그의 두 번째 책 『도덕적 동... 더보기
최근작 : <불교는 왜 진실인가>,<신의 진화>,<넌제로> … 총 122종 (모두보기)
허수진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을 졸업했다. 번역한 책으로는 <신의 진화>, <잡동사니로부터의 자유>, <속임수의 심리학>, <당신의 영혼을 깨우는 1분> 등이 있다.
최근작 : … 총 10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신도 인간처럼 진화해 왔다!”
<도덕적 동물>, <넌제로>의 과학저술가 로버트 라이트가 제안하는
종교와 과학, 문명과 문명, 종교와 종교 간의 전쟁을 끝낼 새로운 해법!

누구나 한 번쯤은 신이 존재할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을 것이다. 이런 문제를 깊이 고민하는 사람들은 조금 더 나아가 “왜 종교는 혼란의 시대,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지 못하고 서로 미워하고 전쟁을 벌이는가?”라는 의문도 가졌을 것이다. 사랑과 희생, 도덕적 관념 같은 인간 본성의 특징이 자연선택의 산물이라는 내용을 담은 <도덕적 동물>의 저자 로버트 라이트가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 나섰다. 라이트는 역사학, 인류학, 철학, 고고학, 진화생물학이라는 프리즘을 꺼내 들고 고대 바빌론 시대부터 9?11 이후까지 ‘신’의 기원과 발달과정을 추적하며 이 문제를 풀어 나간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종교를 비판하면서도 희망과 낙관적인 미래를 제시한다는 점이다. 글로벌 시대라고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문화의 충돌, 종교 간 대립, 민족 간 대립을 목격하고 있다. 라이트는 또 다른 차원의 대립인 과학과 종교의 충돌이 사라지고 서로 공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부각시켰다. 아울러 이 책은 우리가 인식하는 신의 진화와 종교의 성숙을 통해 현 상태를 진단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출발점을 제공할 것이다.

종교는 말살해야 할 정신의 바이러스일까? 과학은 정말로 종교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을까?
진화론의 후예 로버트 라이트, 과학과 종교가 벌이는 전쟁터에 뛰어들다!

극단적인 무신론을 둘러싼 종교와 과학 간의 대립이 심상치가 않다. <신은 위대하지 않다>를 쓴 미국의 대표적 진보 지식인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종교가 없어져야 세상이 좋아질 것”이라고 했고, <종교의 종말>의 저자 샘 해리스는 “종교와 과학은 충돌할 수밖에 없는 제로섬 게임일 수밖에 없다”라고 단언한다. 여기에 신경과학, 분자생물학, 동물행동학, 진화심리학과 같은 종교 비판의 무기가 더해지면 점입가경의 세계가 펼쳐지는데, 그 중심에는 <이기적 유전자>로 일약 스타덤에 오른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있다. 도킨스는 2006년에 출간한 <만들어진 신>을 통해 “신(God)은 망상일 뿐이며, 종교는 말살해야 할 정신의 바이러스”라는 주장을 펼쳐 종교계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도킨스의 철학적 대변자 역할을 자처하는 미국 터프츠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의 대니얼 데닛 역시 종교를 초자연적 현상이 아닌 자연 현상으로 해부한 <마법 깨뜨리기(Breaking the Spell)>(동녘사이언스 2010년 번역 출간 예정)를 출간해 종교인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

비교적 종교 간 갈등이 심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떨까. 2009년에 사단법인 한국창조과학회가 “진화론만 가르치는 교과서는 위헌”이라며 헌법소원을 낸다고 해서 진화론 대 창조론 논쟁이 불붙었고, 연이어 종교비판서가 여럿 출간되면서 독자들의 폭발적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은 국내에서 인문서로는 이례적으로 10만 부 이상 판매되는 기염을 토했고, 목사?종교학자?과학철학자가 종교 논쟁을 벌인 책 <종교전쟁>(2009)이 출간되면서 다시 한 번 과학 대 종교 논쟁에 불씨를 놓았다. 2007년에 한 기독교 교회에서 아프칸에 보낸 선교 봉사단이 탈레반에 의해 피랍되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한국 기독교에 대한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기도 했다. 이는 경직된 기독교가 미국을 잘못된 길로 끌고 간고 있다는 반성적 성찰에서 나온 미국의 무신론 열풍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종교와 종교, 문명과 문명, 종교와 과학의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 급진적 문화진화론자가 펼치는 새로운 종교.과학론
종교와 과학, 문명과 문명, 종교와 종교 간 화해와 통합의 길을 모색하다!

로버트 라이트는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인간의 감정과 도덕관의 변화를 살핀 <도덕적 동물>(1994년 국내에 번역 출간됨)을 출간하면서 단숨에 진화심리학을 대표하는 과학저술가로 부상한 저널리스트다. 이 책은 전 세계의 무신론 열풍의 흐름을 지휘하는 사령관 격인 사회생물학의 창시자 에드워드 윌슨, ‘이성과 과학을 위한 리처드 도킨스 재단’을 설립해 미국 전역을 돌며 무신론 캠페인에 앞장선 리처드 도킨스, 병으로 죽을 고비를 넘긴 후 내가 고마워해야 할 것은 “신(神)이 아닌 선(善)한 것(‘Thanks God’을 패러디한 ‘Thank Goodness’)”이라고 말했다는 인지과학의 대가 대니얼 데닛의 반(反)종교관에 대한 로버트 라이트의 입장 표명이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종교와 과학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도킨스의 무신론처럼 극단적인 주장을 펼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 책은 종교를 조심스럽게 비판하면서도 낙관적인 관점에서 종교의 미래를 논한다. 이 책의 핵심은 제목에서 보듯이 인간이 진화해 왔듯 신도 진화해 왔다는 것이다. 여기서 ‘신’은 하나님이나 알라, 예수 같은 특정한 신 자체를 지칭하는 개념은 아니라 인간 혹은 신자들이 인식하는 ‘신’을 의미한다. 그는 인간이 생물학적, 도덕적, 사회적으로 진화해 왔음을 인류학의 시선으로 들여다 본 전작 <넌제로Nonzero>에서처럼, 역사학?인류학의 프리즘으로, 그러한 신 혹은 종교가 수렵채집사회, 족장사회의 원시종교에서 고대국가의 다신신앙을 거쳐 어떻게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일신신앙으로 진화되어 왔는지를 면밀히 추적한다.
복수와 응징의 신에서 사랑과 관용의 신으로…… 신도 인간처럼 진화한다!
종교, 역사, 철학, 고고학, 인류학, 사회학을 종횡무진 넘나들며 엮어내는 방대한 지식의 연결고리

로버트 라이트가 종교를 보는 입장은 명확하다. 종교는 기본적으로 선도, 악도 아니며 자연선택에 의해서 진화해 왔으며, 사람들이 신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에 따라 발전해 왔다는 것이다. 다신신앙에서의 신은 보통 복수와 응징, 무섭고 편협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일신신앙으로 바뀌어가는 과정을 추적한 결과 그런 신이 점차 사랑, 관용, 이해의 신으로 성숙해 왔다는 점을 라이트는 발견한다. 종교전쟁, 성전, 종교박해 등으로 그러한 흐름이 중단되고 또, 역행하기도 했지만 결국 종교는 점점 더 많은 집단의 사람들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관용의 대상에 포함시켜 왔고, 그 대상의 범위를 오늘날까지 확대시켜 오고 있다고 말한다. 종교가 편협함과 전쟁을 조장해 오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선을 향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 라이트의 관점이다.

라이트는 종교가 이렇게 포용력을 넓힌 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이 바로 ‘도덕적 상상력’의 확장이라는 견해를 피력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도덕적 상상력’이란 타인의 입장에서 타인의 마음을 들여다보려는 노력을 의미하는데, 라이트는 이것을 게임이론으로 설명한다. 수렵채집사회에서 점점 규모가 크고 복잡한 사회로 발전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과 넌제로섬(non-zero sum) 게임을 벌인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타인의 이익이나 행동이 자신의 이익이나 행복과 정비례관계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타인과 타인의 종교에 관용적이고 포용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고 말한다. 수렵채집사회 이후로 인간은 그런 넌제로섬 상황에 많이 직면하게 되고, 인간은 그런 유연한 태도를 발휘해서 타인과의 넌제로섬 관계를 유지해 나간다. 통합된 제국의 다양한 종족의 국민을 다스리기 위해, 교역국가와의 관계를 매끄럽게 하기 위해, 때로는 바울처럼 전 세계에 기독교라는 종교를 전파하고 그 교단을 확장하기 위해서 종교는 관용과 사랑을 표방해 왔다는 것이다. 라이트는 종교의 교리나 성서의 해석이 시대와 상황에 맞게 달라진 것도 일종의 유연적인 태도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갖고 있는 성서의 이런 유연적 태도가 선을 향한 종교 진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했다는 것이다.


종교와 과학, 종교와 종교는 양쪽 모두가 도덕적 상상력을 발휘해야 하는 넌제로섬 게임이다!
점점 심각해지는 종교적 극단주의를 멈추고 조화로운 미래의 삶을 위한 우회적 경고

라이트는 종교가 선을 향해 움직여 오긴 했지만 갈 길이 더 남았다고 말한다. 도덕적 상상력을 계속해서 발휘하고 넌제로섬 관계를 인식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글로벌화가 계속되고 많은 사람들이 점점 더 가까워지면서 넌제로섬 영역은 더욱 확대될 것이며, 아브라함의 세 종교가 같은 배를 타고 있다는 운명의 넌제로섬 관계를 인식하고 이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다면 인류가 모두 물에 빠지는 비극을 면치 못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글로벌 시대라고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문화의 충돌, 종교 간 대립, 민족 간 대립을 목격하고 있다. 이 책은 우리가 인식하는 신의 진화와 종교의 성숙을 통해 현 상태를 진단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출발점을 제공할 것이다

더불어 저자는 도덕적 방향성, 인간이 인식하는 신의 일관성 있는 진화 자체가 신의 존재에 관한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열쇠가 될 수도 있다는 흥미로운 주장을 펼친다. 명확하게 신이라고 부를 수는 없지만, 종교가 이러한 일관된 도덕적 방향성을 지닌 채 발전해 왔다는 것 자체가 분명 어떤 보이지 않는 힘이나 우주 너머의 초월적 존재 또는 도덕적 진리 또는 신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그 무엇가가 존재한다는 증거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보이지 않은 힘을 종교 신자들처럼 신이라고 부르든 아니든 그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저자는 과학과 종교의 통합 또는 공존의 가능성도 제시한다. 이 책은 열렬한 종교 신자나 극단적 무신론자나 과학 맹신주의에 빠진 과학자들에겐 환영받지 못할 수 있지만, 이 세상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평범한 사람들(신자든 신자가 아니든)에게 넓은 안목으로 현실을 파악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예수는 사실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한 적이 없다?
무함마드는 한때 다신신앙에 눈을 돌렸던 정치적 실용주의자다?
사도바울이 기독교라는 프렌차이즈를 전 세계로 확대시킨 사업가였다?
책 읽는 흥미를 돋우는 기존의 통념을 뒤집는 날카로운 발상과 적절한 비유!

우리가 알고 있는 기존의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에 관한 통념을 무너뜨리는 몇 가지 주장도 눈여겨볼 만하다.

-모세가 중동지역에 일신신앙을 정착시켰다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사실 고대 이스라엘은 바빌론 유수기 이후 때까지 다신신앙국가였다.
-예수는 실제로 “네 원수를 사랑하라”라고 말하지 않았고, 선한 사마리아인을 극찬하지도 않았다. 이러한 잘못된 인용들은 십자가의 수난 이후 성서에 삽입됐다.
-무함마드는 호전적인 종교적 열성당원도 아니었고 인자한 영적 지도자도 아니었다. 그는 그의 공동체를 건립하기 위한 시도로 한때 다신신앙에 눈을 돌렸던 냉정한 정치적 실용주의자였다.

이 밖에도 사도 바울의 복음 활동을 비즈니스 모델과 연관시킨 부분도 흥미롭다. 사도 바울을 기독교라는 프랜차이즈를 전 세계로 확대하려는 CEO로 묘사한 부분, ‘무함마드가 기독교도였을까?’라는 물음을 던지는 부분도 흥미롭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1) 읽고 있어요 (1) 읽었어요 (4)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 10대 0.8%
2.5% 20대 1.7%
5.9% 30대 14.4%
5.1% 40대 39.0%
2.5% 50대 22.9%
0% 60대 5.1%
여성 남성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0)
전체 (0)
공감순 
등록된 100자평이 없습니다.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넌제로섬'이라는 개념에 바탕한 도덕적 진화론 새창으로 보기
저자는 종교의 기원부터 시작해서 일신교 신앙의 발전을 차근차근 따라간다. 종교의 발전은 인간의 도덕적 지경이 넓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부족 -> 국가 -> 인종을 넘어선 제국), 이러한 현상은 물질적 토대에 바탕해서 사회의 질서 유지를 위해 종교가 성공적으로 대응한 면모라고 설명한다. 현재의 일신교는 전지구적으로 하나의 사회가 되어버린 현실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지만(기독교와 이슬람의 갈등),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과거의 경우처럼 도덕의 지경을 전지구적으로 넓혀야 한다고 말한다. 사회, 문화적 진화론에 바탕한 시각이며, 인간의 도덕적 지경의 향상이란 반복된 패턴은 신(또는 신성)의 존재를 말해주는 것이 아니냐는 논지로까지 나아간다.

 

여러가지로 재미있는 책.

- 접기

알라딘: 넌제로

알라딘: 넌제로

넌제로 - 하나된 세계를 향한 인간 운명의 논리   
로버트 라이트 (지은이),임지원 (옮긴이)말글빛냄2009-12-02원제 : Nonzero



넌제로




































 미리보기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10%, 2,500원 할인)
마일리지
1,2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무료 
Sales Point : 231 
 10.0 100자평(0)리뷰(1)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소득공제 1,020원 
품절 출판사/제작사 유통이 중단되어 구할 수 없습니다.
품절
보관함 +
새상품 eBook 중고상품 (12)
판매알림 신청 출간알림 신청 10,000원
중고모두보기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양장본687쪽152*223mm (A5신)1237gISBN : 9788992114493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동서양 문화/역사기행
국내도서 > 추천도서 > 외부/전문기관 추천도서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 추천..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가 선..
시리즈
이 책의 원서/번역서
전체선택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담기
 Nonzero: The Logic of Human Destiny (Paperback) Paperback
이벤트

이 달의 적립금 혜택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전작 <도덕적 동물>로 찬사를 받은 저자가 넌제로섬 원리라는 렌즈를 통하여 역사를 들여다본다. 모든 역사와 현상은 한쪽이 이기면 한쪽은 지는 '제로섬'이 아닌, 모두가 이길 수 있는 '넌제로섬'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역사의 기본적인 방향을 이 '넌제로섬'으로 설명하며, 인류가 그 기본 방향 속에서는 더 도덕적인 존재가 되어간다고 말하는 책.

이는 문화의 진화에서나 생물의 진화에서나 적용될 수 있다. 저자는 한 무리의 유전자든 한 무리의 밈(문화 요소)이든, 일단 한 배에 타게 되면 생산적인 조화와 협동에 이바지하지 않을 경우 결국 소멸의 길을 걷게 된다고 말한다.

이 책은 이 '넌제로섬의 논리'로 인류의 문화적 진화 과정에서 봉건주의, 자본시장, 환경문제 등의 역사 진화와 인간 협동을 설명하고 있다. 주요 견해는 역사의 방향성이 결국 예정된 '하나된 세계'로 나아간다는 것이며, 그 실례로 UN, EU, IMF, WTO 등 초국가적 형태의 집단의 등장과 형성과정, 그 미래를 진단한다.
목차
서론 폭풍전야

Part ONE 인류의 역사

Chapter 01 문화 진화의 사다리
경향을 부정하는 경향 | 문화의 진화

Chapter 02 그 옛날 우리의 모습
최소 중의 최소 | 유전자의 뿌리 | 넌제로섬 원리의 문제 | 사회적 지위 | 자연의 비밀 계획

Chapter 03 5천 년 동안의 기술 진보
두 부류의 에스키모 | 북서해안의 인디언들 | 시장에 간 대인(大人, Big Man) | 자연의 변종? | 독특한 쿵족 | 진화의 거울

Chapter 04 보이지 않는 뇌
초과근무 | 수정된 ‘보이지 않는 손’ | 대륙의 분할

Chapter 05 전쟁, 무슨 쓸모가 있을까?
전우애 | 밀고 당기기 | 평화의 도모

Chapter 06 농업의 필연성
좋은 시절 | 평형 상태에 대한 신화 | 농부가 아내를 데려오고 | 여가 시간 | 투쟁, 투쟁, 투쟁……

Chapter 07 추장사회 시대
폴리네시아의 추장사회 | 추장을 위한 변명 | 밈meme에 대한 몇 가지 밈들 | 넌제로섬 원리 다시 승리하다 | 영혼의 구원자로서의 추장

Chapter 08 두 번째 정보 혁명
운명 예측 | 문자의 진화 | 문자와 신뢰 | 관료적 뇌 | 시체 더미 | 너의 넌제로섬은 나의 제로섬

Chapter 09 문명의 탄생
세 개의 시험접시 | 문명의 요람 | 또 다른 문명의 요람 | 아메리카 문명 | 역사에 대한 반론

Chapter 10 우리의 친구 미개인들
미개인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들 | 역사의 평결

Chapter 11 암흑기
밈을 주목하라 | 봉건제도에 나타난 프랙탈의 아름다움 | 세계는 백업 카피를 만들어 놓는다 | 에너지 혁명 | 세계를 안전하게 만든 자본주의 | 자유와 그 밖의 효율적인 기술들

Chapter 12 불가사의한 동양
열광적인 이슬람교도 | 중국의 자본주의 도구들 | 위대성의 가장자리 | 새롭고 향상된 미개인 | 한 발 물러선 중국 | 만남의 광장 | 선(禪, Zen)과 상업적 착취의 기술 | 이슬람의 선물

Chapter 13 현대사회
항의의 기술 | 귀족들의 득세 | 민족주의의 원동력 | 역설의 논리 | 인쇄와 다원주의 | 다원주의와 무임승차 | 중국과 역사의 법칙 | 산업혁명 | 하나의 세계?

Chapter 14 지금 우리 여기에
넌제로섬 원리의 성장 | 진보의 도래

Chapter 15 새로운 세계 질서
통일성의 논리 | 한 곳으로 끌어당기기 | 한 곳으로 밀어붙이기 | 부족주의 | 악(惡)한 부족주의가 선(善)을 낳다 | 운명의 확산

Chapter 16 자유도(自由度)
세포의 삶 | 낙관주의 | 뒤섞인 감정


Part TWO 생명의 역사

Chapter 17 우주적 배경
열역학 제2법칙의 정신 | 에너지와 문화 | 에너지와 정보 | 기적의 접착제

Chapter 18 생물학적 넌제로섬 원리의 출현
원시 수프 속의 연합 | 세포는 어떻게 복잡해졌을까? | 여럿으로 이루어진 하나 | 모두에게 내재된 점균세포적 속성

Chapter 19 생명,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되는대로 걷기 | 되는대로가 아닌 걷기 | 좋은 유전자에 나쁜 일이 일어날 때 | 왜 그렇게 오래 걸렸을까? | 체험을 통한 학습

Chapter 20 최후의 적응
에스컬레이터의 엔진 | 도구 사용 | 의사소통 | 사회적 사다리 올라가기 | 판다의 엄지 | 진화론적 서사시

Chapter 21 인류는 거대한 전지구적인 ‘뇌’
우리는 하나의 생물일까? | 거대한 전지구적 뇌가 의식을 가질 수 있을까? | 진화의 목적 | 자연선택이 낳은 자연선택

Chapter 22 신의 진화
의미의 원천 | 의미의 성장 | 선의 기원 | 선의 성장 | 선의 미래 | 신의 미래 | 오늘날의 설교 | 태초의 말씀

부록 1 _ 넌제로섬 원리에 대해서
부록 2 _ 사회적 복잡도란 무엇인가?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P. 32 역사가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과거의 문화 진화주의나 19세기 진보주의 역사관의 모든 교의와 신조를 지지한다는 뜻은 아니다. 이를테면 나는 모든 면에서 자유와 평등이 승리를 거둘 것이라고 기쁨에 찬 예측을 내놓을 수 없다. 실제로 나는 어떤 면에서는 역사가 인간의 자유를 향해 나간다고 보지만 또 다른 면에서 자유가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 출현하고 있는 사회 구조에는 멋지고 훌륭한 측면이 있는가하면 두려운 측면도 있다. 다행히 이러한 구조는 장기적으로는 대체로 거부할 수 없는 것이지만 세부적인 면까지 피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어쨌든 역사의 기본적 방향이 궁극적으로 우리를 더 자유롭게 할 것인지 오히려 더 구속할 것인지, 우리의 삶을 지금보다 나은 것으로 만들어줄지 지금보다 못한 것으로 만들어줄지에 대한 논의는 뒤로 미루고자 한다. 나는 어떤 면에서는 역사의 기본적인 방향이 인간을 도덕적으로 더 나은 존재로 만들어왔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세상사의 혼탁한 표면을 걷어내고 그 아래를 들여다보면 특정 세력의 번영과 몰락을 넘어서는, 역사의 무대에 거들먹거리며 등장했다 사라졌던 “위대한 인물”들의 일화를 뛰어넘는, 수만 년 전에 출발해 긴 역사를 관통해 오늘날에 이르는 화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시선을 들어 앞을 바라보면 그 화살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보게 될 것이다.
(1장 문화 진화의 사다리)  접기
P. 38~39 산토끼들을 잡기 위해서 쇼숀 인디언들이 사용한 도구는 한 가족이 다루기에는 너무 컸다. 그들은 토끼를 길이가 수십 미터에 이르는 그물로 몰아넣은 뒤에 몽둥이로 때려 죽였다. 이와 같이 토끼 사냥을 할 때에는 사회 조직에 대한 요건이 충족되었다. 평상시에는 독립적으로 살아가던 여남은 가족들이 잠시 동안 한데 모여서 ‘토끼 대장’의 지휘 하에 서로 협동한다. 쇼숀 인디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더 이상 축소할 수 없는 최소한”의 조직 형태로 살아가지만 갑자기 넌제로섬 원리가 출현하는 순간에는 잠재되어 있던 사회적 기술이 전면으로 나오고 사회의 복잡성이 증가하게 된다.
넌제로섬 이익을 거두어들이는 것이 사회의 복잡성을 높여준다고 말하는 것은 거의 중언부언이나 마찬가지이다. 넌제로섬 게임을 성공적으로 치르다 보면 대개 사회의 복잡성이 증가하게 된다. 게임 참가자들은 자신의 행동을 다른 이들과 조화롭게 맞추어나가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의 궤도대로 돌아가던 사람들이 한데 모여 하나의 태양계를 형성해서 더 큰 규모의 동조하는 전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 집단 안에서 노동의 분화가 일어나게 된다. 어떤 이는 그물을 만들고 또 어떤 이들은 그물을 치고 또 다른 이들은 토끼를 몰아대는 식으로 말이다. 조금 전까지 독립적인 채집인이었던 사람이 이제 통합된 토끼 사냥팀의 일원으로 변신한 것이다. 이 팀의 각 구성원들 간에는 분화가 이루어졌지만 한편으로 모두 일체가 되어 함께 움직인다. 복잡한 결합이 실현되었다.
(2장 그 옛날 우리의 모습)  접기
P. 89 인구 증가가 기술적·경제적·정치적 발전의 원동력이면서 동시에 그와 같은 발전이 인구 증가를 촉진한다. 이러한 공생적 성장에는 거역할 수 없는 문화적 복잡화의 힘이 놓여 있다. 인구 성장의 ‘부정적(문제점)’ 측면을 강조하든 ‘긍정적(기회)’ 측면을 강조하든 인구 성장과 문화 진화는 상호적 양의 되먹임 고리로 연결되어 있다. 인간이 많아지면 문화가 발전하고, 문화가 발전하면 인간이 많아지는 것이다. 인구 증가의 ‘부정적’ 측면(생존을 위협하는 환경의 압력)은 여기에서 중요한 부분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분명한 것은 그게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쌓여가는 물건 중 상당수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기술의 산물이 아니다. 심지어 지금으로부터 50,000년도 더 전인 중기 구석기 시대에도 사람들은 물감의 원료로 쓰인 황토나 황철광 결정 등에 흥미를 보였다. 그리고 중석기 시대에는 보석과 같은 ‘사치품’이 총생산품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4장 보이지 않는 뇌)  접기
P. 97~98 그러나 전쟁은 처음부터 끝까지 오직 제로섬 원리로 일관된 것은 아니다. 그 커다란 이유 중 하나는, 비록 전쟁이 두 집단 사이에 제로섬 동력을 끼워 넣는 것이 사실이지만 각 집단 안에서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것이다. 만일 도끼를 휘두르는 살기등등한 자들이 당신의 촌락을 둘러싸게 된다면 당신과 이웃 주민들의 관계는 즉각 넌제로섬 원리를 향해 선회하게 된다. 서로 힘을 합쳐 조화롭게 움직인다면 공격을 막아낼 수도 있겠지만 촌락 사람들이 사분오열된다면 촌락은 함락될 것이다.
도끼를 휘두르는 공격자들 사이에서도 이와 동일한 상호의존성이 존재하게 된다. 승리에 대한 최선의 희망은 역시 조화로운 협동에 놓여 있다. 따라서 당신이 어느 편에 속하든 간에 당신과 같은 촌락 사람들은 한 배를 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 촌락 사람들은 각자의 운명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는 셈이다. 얼마나 서로 운명을 공유하고 있느냐, 그것은 사실상 넌제로섬 원리를 나타내주는 간단하지만 훌륭한 지표이다. 전쟁은 각 집단 내부 사람들 사이의 운명의 공유 정도를 높임으로써 넌제로섬 원리를 빚어내고 그것은 문화의 진화를 더욱 심원하고 광대한 사회적 복잡성을 향해 나가도록 촉진한다.
(5장 전쟁, 무슨 쓸모가 있을까?)  접기
P. 130~131 이 모든 사실을 살펴볼 때 농업의 출현은 대대적인 혁명이라기보다는 점진적인 진화에 가깝게 느껴진다. 수렵·채집사회의 사람들은 식량의 획득을 증강하고 한정된 땅에서 더 많은 양의 식량을 얻기 위해 땀 흘려 노력해왔다. 자연의 ‘평형 상태’ 개념에 대해 의심을 표명한 최초의 인류학자인 마크 네이단 코헨의 말을 빌자면 농업은 “기존의 생계를 위한 생활양식 패턴과 아무런 개념적 단절을 보이지 않는다.”
농업은 궁극적으로는 사회의 구조를 뒤바꾼 혁명적인 기술로 판명되었다. 실제로 농업이 출현한 이후의 사회 변화 속도는 농업 이전 사회의 느린 변화에 비하여 너무나 획기적으로 빠른 것이었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는 ‘평형equilibrium’ 상태에 혼란이 일어났다고 말하는 것도 일리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혼란 상태가 가뭄이라든지 빙하의 감소와 같은 외부적이고 변덕스러운 힘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적 노력이나 인구 증가와 같은 내부적이고 내재되어 있는 힘에 의해 빚어진 것이라는 점이다.
(6장 농업의 필연성)  접기
더보기
추천글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놀랍고 경이로운 책’이라고 극찬했던『도덕적 동물』의 저자 로버트 라이트의 최고의 걸작! 로버트 라이트의 전작『도덕적 동물』은 진화심리학에 대한 재미있고 친절한 개요를 제공해주었다. 이책 『넌제로』에서 라이트는 그보다 훨씬 더 야심찬 시도를 보이고 있다. 그는 인류 문화의 진화가 생물학적 진화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궁극적으로 인류는 전 지구적 규모로 한층 더 높은 협력의 단계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진화론의 지평을 그 앞과 뒤로 확장했다. 또 라이트는 놀라울 만큼 설득력 있게 역사에서 방향성을 찾아냈다. 단지 지난 몇 천 년 동안의 역사가 아니라 거의 40억년에 이르는, 지구상에서 생명이시작된 순간부터의 역사에서 말이다. 라이트는 비범한 통찰이 넘치고 많은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책을 썼다. 역사에 방향성과 목적이 있다는 주장은 예전에도 떠올랐다가 수그러지곤 했다. 이제 라이트의 우아하고 정교한 통합에 의해 다시 한 번 그 개념이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역사, 신학, 경제학, 게임이론, 진화생물학의 눈부신 혼합체이다. - 포춘지 -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인사회)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조선일보 
 -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09년 11월 21일자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09년 11월 21일 교양 새책
저자 및 역자소개
로버트 라이트 (Robert Wright)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프린스턴 대학에서 공공문제와 국제관계, 그리고 진화심리학의 전신인 사회생물학을 공부했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진화심리학, 역사, 종교, 전쟁, 기술 등의 주제로 대중과 소통하는 저널리스트의 경력을 쌓아왔다. <뉴요커> <애틀랜틱> <타임> <뉴리퍼블릭> 등 주요 잡지에 칼럼을 기고했으며 <사이언스> 기자로 근무하며 쓴 과학, 기술, 철학에 대한 칼럼으로 ‘미국 잡지상’을 수상했다. 첫 번째 저서인 『세 과학자와 그들의 신』(1989)이 ‘전미 도서비평가 협회상’을 수상하며 주목받는 저술가로 부상했다. 그의 두 번째 책 『도덕적 동... 더보기
최근작 : <불교는 왜 진실인가>,<신의 진화>,<넌제로> … 총 122종 (모두보기)
임지원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서울대학교에서 식품영양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다.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인문·과학서를 옮겼다. 옮긴 책으로는 『공기』, 『에덴의 용』, 『진화란 무엇인가』, 『섹스의 진화』, 『스피노자의 뇌』, 『넌제로』, 『슬로우데스』, 『루시퍼 이펙트』, 『급진적 진화』, 『사랑의 발견』, 『세계를 바꾼 지도』, 『꿈』, 『육천 년 빵의 역사』(공역), 『교양으로 읽는 희토류 이야기』 등이 있다.
최근작 : … 총 44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은 전작 <도덕적 동물>로 찬사를 받은 로버트 라이트가 넌제로섬 원리라는 렌즈를 통하여 역사를 들여다보면서 역사에 방향성이 있다는 그의 주장을 설득력 있게 펼치고 있다. 그는 인류의 문화적 진화라는 독창적이고 광활한 여행지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기본적인 도구와 기술의 발달과 농업의 발견, 추장사회에서 국가에 이르기까지 확대되는 사회 집단, 역사에서 전쟁의 역할, 문자와 인쇄의 의의, 그리고 돈과 거래와 통신의 놀라운 위력 등을 마주하게 된다. 또 봉건주의, 자본시장, 환경문제, 초국가적 조직 등을 차례로 방문하게 되며 이러한 역사의 진화와 인간의 협동을 ‘넌제로섬의 논리’로 설명하고 있다. 역사의 방향성은 결국 예정되어 있는 ‘하나 된 세계’로 향해 나아갈 것으로 보았으며, 그 실례로 UN, EU, IMF, WTO 등 초국가적인 형태의 집단의 등장과 형성과정, 그 미래를 진단한다. 실제로 EU는 2009년 11월 19일 EU대통령과 외무장관을 선출할 예정이고 2009년 12월 1일 정식으로 리스본 조약이 발효된다.

생물의 역사와 인간의 역사는 점점 더 그 수가 늘어나고, 점점 더 커지고, 점점 더 정교해지는 넌제로섬 게임을 벌이고 있다. 넌제로섬 원리는 일종의 잠재력이다. 어떻게 게임을 하느냐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도 있고 전체적으로 손실을 볼 수도 있는 가능성이다. 넌제로섬 원리는 지구라는 행성에 사는 생명이 나아가는 기본적인 방향에 일종의 추진력을 제공한다. 이 원리는 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질 경우 생물의 진화가 고도로 지능이 발달한 생명체, 즉 기술과 문화의 다른 측면들을 생성해낼 수 있을 만큼 영리한 존재를 창조해낼 가능성이 높은지 설명해준다. 이 원리는 또한 생물학적 진화의 뒤를 이어 일어나는 기술, 좀 더 광범위한 의미에서 문화의 진화가 그 지능을 가진 종의 사회 구조를 더 풍부하게 하고 확장시켜 궁극적으로 행성 전체를 아우르는 사회 조직을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지 설명해준다. 저자는 세계화가 증기선이나 전신 장치가 발명된 시점보다도, 아니 심지어 우리가 문자나 바퀴를 발명한 시점보다 더 거슬러 올라가 생명의 탄생 순간부터 미리 운명으로 정해진 것이었으며, 그 이후 전 역사에 걸쳐서 넌제로섬 원리의 가차 없는 논리는 해가 갈수록 국가들 간의 관계가 점점 더 많은 넌제로섬을 만들어내는 오늘날과 같은 시대를 지향해왔다고 강조한다.

▣ 자연의 비밀 계획

18세기 칸트는 「세계주의적 목적을 가진 보편적인 역사학에 대한 관념Idea for a Universal History with a Cosmopolitan Purpose」이라는 에세이에서 이러한 주장을 펼쳐놓았다. 이 에세이는 인간의 역사가 ‘자연의 숨겨진 계획’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했다. 아마 역사가 전개됨에 따라서 우리는 “인류가 궁극적으로 자연에 의해 심어진 씨앗이 완전히 만개하고 이 지상에서의 인간의 운명이 완전하게 실현된 사태를 향해 나아갈 것”이라고 예언했다. 칸트가 상상한 완성된 인간의 운명은 국가들 간에 평화가 지속되고 일종의 세계 정부에 의해 그 평화가 유지되는 상황을 포함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는 수천 년 간의 반목과 ‘비사회적’(비사회적 사회성)다툼에 대한 궁극적인 보상인 셈이다.


▣ 논점

넌제로에서 논의 되는 중점은 날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세계 속에서 상호 협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자연 도태를 증명하는 것이다. 라이트는 자연 도태가 발생하는 것이 서로간의 의사소통이나, 상호협력의 정도 또는 신뢰의 정도가 증가하는 것과는 독립적이라고 쓰고 있다. 이 독립적인 특성은 지능을 말하는데, 인류의 지능은 유기체의 진화과정에서 얻은 최고의 정보들만을 가지고 정점을 향하여 앞으로 나아간다.

생물의 역사에서도 정보 처리과정을 통해 생물의 자연 도태가 왜 발생했는가에 대한 증거들이 나타난다. 공격하는 이에게 매서운 화학 물질을 뿌리는 능력을 가진 곤충인 폭격수 딱정벌레를 예를 들어보자. 이것은 다시 말해서, 이 스프레이 공격을 피하는 능력을 가진 약탈자만이 자연 도태에서 살아남았다는 것이다. 라이트가 말하고 있듯이, “복잡함은 복잡함을 만들어 낸다.” 이런 상황은 종종 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군비 경쟁’의 대재앙으로 묘사되곤 한다. 유기체들이 다른 종과의 경쟁을 통해 얻은 것을 쌓아간다는 것이다. 이렇게 증가하는 세계의 복잡함 때문에 지능은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되어있고 심지어 필연적이기까지 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류의 역사와 생물의 역사의 전체를 보았을 때, 라이트는 고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의 관점과 전형적으로 대립하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굴드는 그의 책에서“인간은 단지 제비뽑기의 행운으로 여기까지 왔다”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라이트는 진화라는 것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다섯 개의 손가락, 발가락처럼 필연적으로 창조된 것이 아니고, 도구를 개발하고 발달된 기술을 사용하는 고지능을 가지고 의사소통을 하는 유기체가 만들어낸 결과라는 것이다.

또 라이트는 인간의 역사와 생물의 진화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이야기를 이루는 것, 즉 단일성이라고 주장했다.
첫째, 두과정이 동일한 동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진화”는 단순히 문화적 변화에 대한 그럴듯한 메타포가 아니고, 몇몇 기본적인 수준에서 문화의 진화와 생물의 진화는 동일한 기작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문화의 진화와 생물의 진화는 동일한 연료를 이용하는데 이것은 제로섬의 힘과 넌제로섬의 힘 사이의 활기찬 상호작용이 이 두 종류의 진화에 스며들어 있기 때문이며 셋째, 두 과정은 평행을 이루고 있어서 같은 방향, 즉 장기적으로 넌제로섬 원리가 증대되고 그 결과로 복잡성의 정도가 더 깊고 넓어지는 방향으로 나아간다고 한다. 실제로 생물의 진화는 충분히 긴 시간이 주어지면 문화의 진화를 뒷받침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복잡하고 지적인 생물을 낳을 것이라고 보았고, 문화의 진화는 본질적으로 진화의 총괄적인 경향을 더 심원하고 더 광대한 복잡성을 향해 이끈다고 말한다.


▣ 인간 사회의 복잡함과 넌제로섬 해결

라이트는 인간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넌제로섬의 이익”을 수확할 가능성도 증가한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전자통신을 통한 의사소통은 세계적인 수준의 무역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생산할 수 없거나 자국에서 얻을 수 없는 것들을 무역이라는 것을 통해 다양한 사회 간에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괜찮은 방법’은 모두에게 이득을 주는 결과를 낳았다. 이와 유사하게, 세계 정부는 공통의 문제를 같이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외계인이 침략한다거나 북극의 빙하가 녹는다거나 하는 문제에서 세계는 그들의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사회를 하나로 묶어 방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세계를 하나의 유기체로 바라보는 관점은 가이아 이론과도 유사하다. 물론 사회가 결합해서 싸워야할 공공의 적은 항상 북극의 빙하는 아니다. 때로는 다른 인류일 수도 있다. 라이트는 이 문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다루었다. 국가 간의 전쟁이 종종 기술과 문화의 진화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2차 세계 대전은 맨해튼프로젝트 개발에 박차를 가했고, 넓게 보았을 때, 궁극적으로 혜택을 줄 수도 있을 원자 에너지를 개발하고, 그와 관련된 기술 개발에 이바지 했다. 더 나아가, 진보된 사회의 국가는 전쟁에서 더 승리할 확률이 많고, 국가 정부 시스템을 하나의 기술로써 전파 할 수도 있다고 역설한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마니아 읽고 싶어요 (5) 읽고 있어요 (1) 읽었어요 (7) 
이 책 어때요?
구매자
분포
0.5% 10대 0.5%
3.6% 20대 6.8%
6.2% 30대 14.6%
13.5% 40대 28.6%
5.2% 50대 18.2%
0.5% 60대 1.6%
여성 남성
100자평
    
 
등록
카테고리
스포일러 포함 글 작성 유의사항 
구매자 (0)
전체 (0)
공감순 
등록된 100자평이 없습니다.
마이리뷰
구매자 (1)
전체 (1)
리뷰쓰기
공감순 
     
밈의 진화로서의 역사 새창으로 보기 구매
이책의 주장은 ‘진화에는 방향이 있다’ 단 한줄로 정리할 수 잇다. 생물이든 사회이든 문화이든 진화는 모두 방향성이 있다는 말이다. 이게 무슨 말인가? 진화에 방향이 있다고 해서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많은 상관이 잇다.

원시, 야만, 미개. 흔히 쓰는 말이다. 그러나 그 말을 쓰면서도 그 의미 그대로를 말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옳바르지 못한 것이(politically incorrect) 되었다. “20세기 초에 이르러 어떤 사회는 높고 어떤 사회는 낮다고 서열을 매기는 것은 점점 불쾌하고 불미스럽게 여겨지게 되었다.” 서열을 매긴다는 것은 기준이 잇어야 가능하다. 그러나 그 기준이 옳은 것인가? “인간의 문화가 특정 방향을 향해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는 생각”이 옳을 수 있는가?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나오는 문화상대론의 입장이다.

문화상대론이 대세가 된 것은 19세기 유럽인들이 진화란 말을 오용해 자신들의 우월감을 정당화하고 자신들의 부당한 폭력을 정당화하는데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부당한 오용은 나치의 인종청소에서 절정에 이르렀다. 600만 유대인의 시체 앞에서 문화상대론은 정치적으로 올바른 것이 되었고 20세기 중반이 되면 문화의 진화라는 개념은 “거의 멸종 지경에 이른 생물의 신세가 되엇다.” 그러나 문화 또는 사회가 진화 또는 진보한다고 말하는 것이 학문적으로도 옳지 않은 것인가? 저자는 묻는다.

“마크 트웨인은 북미 서부에 살던 쇼숀 인디언을 가리켜 ‘지금 이 순간까지 내가 목격한 인종 가운데 가장 형편없는 인종’이라고 말햇다. 그들은 ‘촌락도 없고 엄밀한 의미에서 부족사회라고 할 만한 조직마저도 구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크 트웨인의 “형편없는 인종”이란 말은 정확한 말이엇다.

“미국 인디언 문화를 다룬 어떤 책은 쇼숀 인디언을 다룬 부분의 소제목을 ‘더 이상 축소할 수 없는 최소한의 사회’라 달았다. 쇼숀 인디언들에게 사회조직의 안정적인 최대 단위는 가족이었다. 그리고 가족의 남성 가장은 ‘유일한 정치 조직이며 사법체계 전체’였다. 쇼숀 인디언들은 가족 단위로 수개월씩 가방 하나 짊어지고 땅 파는 막대 하나 손에 들고 나무뿌리나 씨앗을 찾아 사막을 헤매고 다녓다.”

쇼숀 인디언과 우리 사회는 어떻게 다른가? 저자의 질문이다. 저자의 답은 이책의 제목에 나와있다. “역사가 진보함에 따라 인간은 점점 더 많은 사람들과 넌제로섬 게임을 하게 된다. 상호의존은 점점 확대되고 사회의 복잡성 역시 더 큰 폭으로 더 깊이 증대되어 간다.” 저자가 이책에서 하려는 말의 전부이다.

사회는 시간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방향으로 변하며 그 복잡성은 더 많은 사람과 협력(넌제로섬 게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회가 변하는 결과이다. 저자가 말하는 진화의 방향이란 복잡성의 증가를 의미한다. 역사를 볼 때 이는 법칙처럼 나타난다고 저자는 말한다. 복잡성의 증가가 법칙처럼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 인간의 유전자에 뿌리를 두고 잇다.

“자연선택은 ‘호혜적 이타주의’의 진화를 통해서 우리에게 다양한 종류의 충동을 심어놓았다. 관대함과 감사, 받은 만큼 돌려주려는 의무감, 보답하는 사람(친구)에 대한 신뢰와 공감. 그 충동은 언뜻 보기에는 무척이나 따뜻하고 감상적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사실상 상호이익을 도모하고려는 냉정하고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설계되엇다.” 따뜻한 충동의 이유는 차가운 이기심이기 때문이다. 주면 돌려받지 못한다면 즉 호혜적이지(또는 공정하지) 못하다면 따뜻함은 차가움으로 돌변한다.

“이러한 사실은 일부 도덕적 관점에서 볼 때 실망스러운 것일 수도 잇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복잡한 사회구조를 짖한다면 이러한 특질은 신이 내린 선물이 아닐 수 없다. 궁극적 보답에 대한 인간 본성의 레이저처럼 정확한 초점은 문화 진화의 원동력이다. 본능적으로 깨우쳐진 이기심은 현대사회의 씨앗이라 할 수 잇다. 현대 자본주의 경제와 수렵채집 경제 간의 차이는 게임에 참여하는 손의 수, 그리고 그 손들의 상호의존성의 복잡하게 얽혀진 정도에 있다.”

물론 인간은 협력만 하지 않는다. 협력자도 얼마든지 경쟁자로 돌변한다. 협력은 공동체를 만든다. 그러나 정치적 동물인 인간의 공동체에는 누구에게나 돌아갈 수 없는 희소한 자원이 있다. ‘사회적 지위’이다. 사회적 지위는 본질적으로 경쟁적이다. 그리고 그것을 얻는 방법 중 하나는 “여러 사람들에게 널리 채택되고 칭송받을 만한 무언가를 창조해내는 것이다.” 인간의 창조성은 넌제로섬 게임이 아닌 제로섬 게임에 뿌리를 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천재라 불리던 사람들이 가장 창조적이엇을 때가 언제인지 생각해보라. 모두 결혼적령기인 20대 내지는 30대였다. 예술적, 지적 창조성이 꽃피는 이유는 성적 매력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심리학자들은 말한다. 저자는 사회적 지위를 위한 경쟁 역시 마찬가지라 말한다.

모순적이다. “높은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을 벌이는 것은 제로섬 게임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위에 대한 경쟁에서 성공하는 방법 중 하나는 새로운 넌제로섬 게임을 창조하는 기술을 발명하는 것이다. 이는 문화의 진화, 사회의 복잡성 증가의 이면에 인간 본성의 역설이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넌제로섬 게임과 제로섬 게임을 모두 벌인다. 이 두 힘 사이의 긴장은 많은 고통의 원천이 되기도 했지만 궁극적으로 엄청난 창조력을 낳았다.”

저자는 이런 모순을 칸트의 말을 빌려 ‘비사회적 사회성(unsocial sociability)’라 말한다. “명예, 권력, 부에 대한 욕망은 인간으로 하여금 동료들 사이에서 지위를 추구하도록 몰아댄다. 그 동료들은 그에게 견딜 수 없는 존재이지만 또한 그들을 떠나는 것 역시 견딜 수 없는 일이다. 인간이러한 지위에 대한 추구를 통해서 미개 상태에서 문화에 이르는 첫걸음을 내딛으며 이는 인간의 사회적 가치에 내재되어 있다.” 칸트의 말이다.

“문화의 진화를 일으키는 추진력에는 바로 권력의 추구, 남들 앞에 뽑내고 으쓱대는 즐거움, 생존을 위한 핵심적인 도구에서부터 별로 쓸데없는 사치품에 이르기까지 물질적 대상에 대한 갈망 등도 포함된다.” 전통적 이론은 사회구조가 복잡해지는 방향으로 고도화된다는 것은 더 많은 사람과 협력이 가능해진다는 말이고 그러기 위해선 많은 사람이 모여도 될만큼 ‘잉여’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 그 잉여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1960년 인류학자인 로버트 카네이로는 아마존 정글에 사는 쿠이쿠루족에 대한 영향력 있는 논문을 발표햇다. 그들은 아마존 정글에 살면서 주식이자 타피오카 전분의 원료인 마니오크를 재배했다. 이들은 마음만 먹으면 생산량을 두배나 세배쯤 증가시킬 수잇었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대신 여가 시간을 선택햇다. 그들은 남아도는 시간을 대성당을 설계한다든지 그밖의 일반적으로 그들이 사는 사는 터를 개선하는데 쓰는 법이 거의 없엇다.”

잉여를 만들 수 잇는 환경이 주어진다해도 잉여를 만드는 것은 인간의 천성이 아니란 말이다. 그러면 잉여는 어디서 온것인가? 저자는 인구밀도라고 말한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려면 두가지 조건이 있어야 한다. 값싼 운송수단과 값싼 통신수단이다. 정보와 유통비용이 작을수록 보이지 않는 손은 매끄럽고 활발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비용이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넌제로섬 게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얻는 파이는 더 커진다. 또한 사람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더 많은 이익을 얻게 될수록 인구대비 교환망의 생산성은 더 높아진다. “ 비용을 낮추는 방법은 간단하다. “고객과 공급자를 모두 곁에 두도록 가깝게 밀집해” 사는 것이다. “천하태평하게 보였던 마니오크 재배자들에게 부족했던 것은 더 나은 삶을 향한 야심이 아니라 인구밀도엿을지도 모른다. 그 지역에 국한된 것과 다른 수공예품이나 자연자원을 지닌 사람들이 있었다면 마니오크 농부들은 그와 같은 물건과 바꾸기 위해 마니오크 생산량을 늘렸을 rrejt이. 나중에 유럽인들이 멋지고 신기한 물건들을 가지고 들어와 거래를 시도하자 그들의 마니오크 생산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햇다”

“인구규모가 더 크고 밀도가 더 높을수록 더욱 진보한 기술과 더욱 복잡한 사회구조를 갖게 되리라고 즉 인구규모 및 밀도와 기술 및 사회의 복잡성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숭 있다.” 전통적으로 가정했던 것처럼 잉여가 먼저 있고 그 잉여를 교환하는 시장이 있고 잉여가 부양하는 사회가 있게 된 것이 아니라 시장이 먼저 있고 사회가 먼저 있은 후 잉여가 만들어졋다는 말이다.

재미있는 것은 그 잉여를 사람들이 어떻게 거래했는가이다. 시장에서 거래된, 사람들이 원한 물건” 중 상당수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기술의 산물이 아니다. 심지어 5만년도 더 전인 중기 구석기 시대에도 사람들은 물감의 원료인 쓰인황토나 황철광 결정 등에 흥미를 보였다. 그리고 중석기 시대에는 보석과 같은 ‘사치품’ 총생산품의 상당 부분을 차지햇다. 이와 같은 지위 상징물을 얻는데 엄청난 노력이 투입되었다. 이러한 물건들은 수백 킬로미터의 거리를 넘어 거래되었다.” 시장이 만들어지고 복잡한 사회가 만들어지게 한 “원동력은 바로 지위 경쟁이 부추긴 인간의 허영심이엇다.”

생각을 자극하는 책이다. 저자는 역사는 협력과 (이기적인) 경쟁의 긴장이라 말한다. 역사는 단순한 수렵채집 사회에서 조직화된 마을로 그리고 국가와 초국적기업으로 사회의 복잡성을 높여왔다. 그것은 점점 더 큰 규모로 협력하는 방법을 찾아내고 더 복잡하고 수익성 잇는 넌제로섬 게임을 하는 방법을 찾아낸 결과라 저자는 말한다. 그러나 그 넌제로섬 게임은 제로섬 게임과의 긴장에서만 작동해왔다는 것이다.

자원은 한정되어 잇기에 경쟁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재미있는 것은 그 경쟁에서 이기려면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쟁을 위해 협력을 더 잘 할 수 있는 사회는 그렇지 못한 사회를 지배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 혁신을 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협력하게 만드는 경쟁이다.

그런 긴장은 집단 안에만 있는 것은 아니라 집단간에도 있다고 그리고 그 집단간 긴장은 집단내 긴장보다 더 강력한 진화의 원동력이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한 촌락의 남자들이 다른 촌락을 습격해 남자들을 죽이고 여자들을 납치한다면 대기는 온통 제로섬 원리로 가득하게 된다.” 그러나 전쟁이란 제로섬 게임은 넌제로섬 게임을 낳는다. “도끼를 휘두르는 살기등등한 자들이 당신의 촌락을 포위하면 당신과 이웃의 관계는 즉각 넌제로섬 원리를 향해 선회하게 된다. 전쟁은 각 집단 내부 사람들 사이의 운명의 공유 정도를 높임으로써 넌제로섬 원리를 빚어내고 그것은 문화의 진화를 더욱 심원하고 광대한 사회적 복잡성을 향해 나가도록 촉진한다.” 더나아가 전쟁이란 제로섬 게임은 집단의 경계를 넘어 넌제로섬 게임이 확장되도록 한다. “공격을 막아내거나 공격을 도모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다른 촌락과 동맹을 맺는 것이다. 그리고 일단 어느 한쪽에서 이러한 동맹을 맺게 되면 그 적 역시 동맹을 찾아나설 동기가 충분해진다. 이런 식으로 경쟁적으로 동맹의 수를 늘리다 보면 사회적 그물망이 밖으로 확산되면서 점점 더 많은 촌락들을 그 망안으로 엮어들이는 조직화의 ‘군비경쟁’이 벌어진다.”

전쟁은 집단의 합병과 더 큰 규모의 정치적 조직화의 방향을 설정했다고 저자는 말한다. “강렬하고 본질적으로 제로섬 게임인 전쟁이 넌제로섬 게임을 창조한 것이다.”

협력을 위해 집단을 만들지만 그 집단 안의 경쟁이 일어나고 그 경쟁은 협력을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그리고 집단간의 전쟁이란 경쟁은 집단간의 협력을 강화한다. “이러한 작용은 문화의 진화 사다리의 위쪽으로 점점 올라가게 된다. 사회조직의 균열(가족이나 촌락이나 추장사회나 국가들 사이의 마찰이 일어나는 제로섬 영역)은 점점 넌제로선 원리라는 시멘트로 채워진다. 제로섬 원리는 아래서부터 차오르는 시멘트에 의해 점점 더 조직화되어 사다리의 위쪽으로 물러난다. 그리고 낮은 수준에서는 여전히 역설적이게도 사회를 통합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 모든 것은 칸트가 강조한 ‘비사회적 사회성’으로 귀결된다. ‘사회성’의 영역(평화가 지배하는 지리적 범위)은 수렵채집사회 이후로 엄청나게 증가해왔다. 그리고 사람들은 그에 상응하는 엄청난 정도의 비사회성을 굴복시켜왔다. 그러나 이러한 비사회성의 굴복을 촉진한 것은 얄굿게도 대다수의 경우가 더 높은 수준의 비사회성에 의한 것이엇다. 이러한 문화진화의 동력을 다윈의 말로 하자면 ‘선택되는’ 것은 점점 확산되는 넌제로섬 원리이지만 그것을 선택하는 주체는 대개 전쟁의 제로섬 속성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결국 전쟁을 도모하는 것은 평화를 도모하는 일이다.”

농업 역시 저자는 그런 협력과 경쟁의 상호작용에서 태어났을 것이라 생각한다. 농업은 야생에서자란 것을 주어모으는 것보다 비용대비이익이 부족하다. 수렵채집으로 1주일 먹거리를 마련하는데는 몇시간의 노동으로 충분하다. 그러면 왜 농업이 태어난 것일까? 우선 사회적 지위 추구를 말할 수 잇다고 저자는 말한다. “원시농업사회에 진입한 수렵채집사회에서 경작된 야생 식물들은 대개 공동체 전체의 소유가 아니었다. 특정집안이나 한 가문이 그 식물들을 소유하고 있었고 거기서 얻어지는 산물을 이웃에게 나누어주었다.’ 당연히 그 집안 또는 가문의 지위는 높아진다. 오늘날에도 “교외 주택가나 작은 촌락에서 열성적으로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은 이웃들에게 신선한 토마토나 꽃을 나누어줌으로써 동네에서 신망을 얻게된다.” 그리고 재배한 작물은 ‘진귀한 구리 방패와 교환될 수도 있었다. 농사는 가족 수준의 집단에게 보상이 주어지는 사적 사업이다. 갓 결혼한 젊은 야노마모족 남성이 작품을 심기 위해 밭을 갈고 잇다면 그는 촌락 전체의 이익을 위해 땀을 흘리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일종의 무리라고 할 수 있는 식량을 둘러싸고 벌어진 군비경쟁이 농업 발달을 일궈낸 것이다.”

그리고 농업은 비유적으로 뿐 아니라 말 그대로 군비경쟁의 일부였다 “원시 시대의 전쟁에서 순수한 인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거의 없었다. 그런데 농업은 수렵채집보다 훨씬 큰 규모의 거주지를 지탱해줄 수 있었다. 두 촌락 사이에 전투가 벌어지는 상황을 상상해보자. 그렇다면 여러분은 농업이 거부할 수 없을만큼 유혹적인 삶의 방식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저자는 농업이란 “사회집단 안에서 지위를 놓고 벌어지는 투쟁, 사회집단 사이의 무력 투쟁, 빈곤에 대항한 투쟁” 이 세가지로 설명된다고 말한다.

농업은 잉여를 만들고 그 잉여는 추장이나 왕, 귀족과 같은 무임승차를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나 일부 좌파적 관점에서 말하듯 그런 무임승차가 무임승차만은 아니다. “추장사회의 착취적 측면만을 강조하는 학자들은 화폐가 없는 경제체제에서 사회가 돌아가도록 돌보는 다시 말해서 보이지 않는 손의 역할을 하는 데 따르는 추장들의 어려움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추장들의 자원 제한에 있어써 흔히 발견되는 전술은 ‘물에 대한 지배’를 ‘사람에 대한 지배’로 확장하는 것이라고 교과서는 말한다. 그러나 적어도 일부 경에 이 설명은 어딘가 문제가 있다. 댐을 건설하는 데 기여한 사람들에게 댐에 저장한 물을 댈 수잇는 땅을 나눠준 하와이 주창에 대해 뭐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일단 그는 댐이 만들어지도록 할 수 잇었다. 그 다음 그는 넌제로섬 이익을 얻는 길에 도사리는 장애물, 바로 무임승자자 문제를 뛰어넘을 수 잇었다.” 물론 추장이란 존재 자체가 “어느 정도 착취를 부추기는 것이 사실이지만 공공복지에 기여하는 것도 사실이다. 재부분시스템의 살아있는 문맥 안에서 볼 때 (거대한) 무덤 거석, 사원 등은 기능적 요소로 나타나며 농업 생산에 대한 의식의 상화에 따라 증가되는 수확에 비해 그 비용은 미미하다.” 추장사회에서 국가까지 이어진 정치시스템의 진화는 더 큰 규모의 협력이 진화해간 역사이다.

여기서 저자는 밈이란 개념을 도입한다. 인간 사회의 진화는 교역, 농업, 전쟁, 정치 등의 밈을 낳는 진화이며 밈을 통한 진화라는 것이다. 그러나 도킨스의 원래 주장과 달리 저자는 넌제로섬 게임이 만든 인간의 뇌보다 인간의 네트웤이 이루어 만드는 더 거대한 뇌(저자는 이것을 보이지 않는 뇌라 말한다), 즉 인간집단을 밈의 운반자로 본다.

“문화의 진화는 단순히 밈들이 이 사람의 머릿속에서 저 사람의 머릿속으로 폴짝폭짝 건너 뛰어다니는 것이 아니다. 많은 경우에 임들은 한 집단에서 다른 집단으로 건너 뛰어다닌다. 추장사회들은 서로 싸움을 벌인다. 그리고 그 싸움에서 승리를 거두는데 가장 도움이 도는 문화가 우세하게 마련이다. 그리하여 그들이 원래 가지고 있던 밈은 자연선택에 의해 성공자의 밈으로 교체된다. 이처럼 혹독한 문화적 선택의 시험을 통과하여 살아남고 그 결과 전체 사회의 모습을 형성하는데 기여해온 밈들이 많은 경우에 넌제로섬 사호작용을 촉진한다는 것이 바로 이책의 전제이다.” 그러므로 밈을 바이러스와 비교하는 것은 그리 생산적인 논의가 아니라 저자는 말한다. 나쁜 밈은 집단의 경쟁에 의해 도태되기 때문이다.

문자와 화폐는 그런 밈의 또 다른 예라 저자는 말한다. 문자와 화폐는 정보비용과 교통비용을 확기적으로 낮추어 보이지 않는 손을 더 활발하게 만들었다. 농업과 추장, 국가 등의 밈이 독자적으로 여기저기서 발명되었듯이 문자와 화폐 역시 독자적으로 여러 번 발명된 것을 저자는 진화의 방향성을 증명하는 좋은 예라 말한다.

문자는 정보비용을 낮추어 집단을 더 쉽게 단결하게 하고 비슷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을 더 쉽게 뭉치게 한다. 과거 귀족계급이 강력한 힘을 가졌던 것은 그들이 문자를 독점했고 그 문자를 통해 단결했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문자가 보편화되기 시작한 후 종교개혁이 일어나고 민주화가 일어난 것 역시 같은 논리의 힘이 작용한 것이라 저자는 말한다. 문자와 돈과 정보기술은 “사회 안의 권력을 재분배한다.”

돈이 왜 정보기술의 혁신인지 집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돈은 개인이 과거에 수행한 노동과 그 노동에 대해 사회가 평가하는 가치를 기록한다. 한편 우리가 돈을 쓸 때 그 행위는 일종의 신호가 된다. 당신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혹은 무엇을 원하는지를 확인해주고 비록 간접적이긴 하나 그 정보를 당신으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잇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전달한다. 역사적 관점에서 돈은 억압에 대한 해법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시장경제를 활성화함으로써 돈은 읽고 쓸 줄 아는 소수의 사람들에게 지배받는 중앙통제경제에 대한 대안을 제공해준 셈이다. 만일 어떤 경제적 정보기6nf을 당신에게 유리하게 하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당신 자신이 그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노예제도, 인간의 희생. 적당한 형태의 착취 등은 오랜 시간을 거쳐 차츰 사라져갔다. 오늘날 문명은 고대의 문명보다 더욱 ‘문명화’되었다. 그리고 그 주요원인은 돈과 문자가 오랜 시간 동안 진화되어온 방식과 그 둘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있다.”

밈의 진화에 비하면 어떤 국가, 제국, 문명이 흥하고 망하는 것은 이야기 거리가 아니라고 저자는 말한다. “케네스 클라크는 1969년 BBC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지침서 ‘문명’의 한 장에서 ‘구사일생’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이책의 전제는 서구 문명이 살아있는 것 자체가 행운이라는 것이다. 일부 사람들이 중세 초기를 일컬어 암흑기라고 한다. 최근에는 이는 계속해서 관심을 끌어온 주제이다. 토머스 카힐의 베스트셀러 ‘아일랜드인들이 어떻게 문명을 구했나’라는 책에서도 부각되엇다. 카힐은 아일랜드의 필사자들에게 특별한 상찬을 보냈다. 중세 초기는 그 당시로 돌아가보면 희미하고 어두컴컴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저자는 이런 질문은 쓸데없는 것이라 말한다. “설사 수도승들이 없었다하더라도 유럽은 결국 경제적 기술적 정치적으로 다시 도약했을 것이다. 중세 말기 서양문명이 다시 소생한 것이 거역할 수 없는 힘에 의힌 것임을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은 바로 ‘밈을 주목하라’이다. 문화는 이 사람에서 저 사람으로 이곳에서 저곳으로 펄쩍펄쩍뛰어다니며 지나간 자리에는 폐허를 남기지만 자기 자신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미개인이 로마를 휩쓸어비리기 훨씬 점부터 로마제국의 중심은 공식적으로 콘스탄티노플로 옮겨졋다. 그곳 비잔틴의 동로마제국에서는 고전문화의 상당부분이 그대로 보존되었다. 유럽의 암흑기가 다 지나갈 때까지.”

더군다나 “문화적 자산, 이 귀중한 밈의 축적물은 ‘고전적 유산’과 별 관계가 없다. 밈을 내포한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기술은 소포클레스의 작품들보다 훨씬 지속력이 강하다.(소포클레스의 희곡은 대부분 사라졋다.) 거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잇다. 문학은 물론 좋은 것이다. 그러나 식탁 위에 음식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은 더 좋은 일이다. 안티고네의 사본은 문맹수준을 넘어선 농부들 사이에서도 별 수요가 없었을 것이다. 반면 쇠 말발굽은 세계 공용의 언어인 유용성으로 이야기한다. 중요한 것은 어떤 아이디어가 더 유용할수록 널리 퍼져나가고 재탄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유용한 아이디어의 확산이 세계의 인구를 증가시키고 더 향상된 통신과 교통에 의해 지적 상승작용을 불러일으킴에 따라 이러한 가능성이 더 커지고 그 결과 마침내 확실성에 가깝게 된다. 사회는 점점 더 크고 조밀한 뇌를 닮아가고 이 뇌의 뉴런들은 점덤 늘어나는 혁신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산시켜 또 다른 새로운 혁신에 박차를 가한다.

이 거대한 뇌의 핵심 중 하나는 바로 다문화성이다. 어느 한 문화가 혼자 책임지고 밈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다. 650년 무렵 이탈리아나 프랑스를 관찰한 사람의 눈에 들어온 세상은 ‘전면적 시스템 장애’라 부를만한 상태였다. 마치 전 세계의 하드드라이브에 충돌이 일어난 것처럼 느껴졌을 것이다. 그러나 세계적 관점에서는 긴급 상황이 아니엇다. 세계는 백업 카피를 만들어두기 때문이다. 쓸모 잇는 밈은 스스로를 무더기로 복제해 국지적 충돌에 대비한다.

더 넓은 범위의 문화 진화 즉 사회적 복잡도와 넌제로섬 원리의 정도와 범위가 증대되는 것 역시 멈추기 어렵다. 이와 같은 사회의 진화가 의존하는 것은 문학이나 철학이나 예술의 특정 작품의 우연한 보존이 아니라 기술 진화라 볼 수 잇을 것이다. 전형적으로 서양적인 특징들 이를 테면 수세기에 걸친 농노제도의 뒤를 이어 활짝 핀 개인의 자유와 같은 것도 본질적으로 기술의 부산물이다.”
- 접기
Lulu 2011-08-21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TTB 리뷰
전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