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04

대학 가지 말고, 부자 되지 말라는 김인수 교장 : 종교 : 사회 : 뉴스 : 한겨레

대학 가지 말고, 부자 되지 말라는 김인수 교장 : 종교 : 사회 : 뉴스 : 한겨레

대학 가지 말고, 부자 되지 말라는 김인수 교장

등록 :2017-11-28 19:16수정 :2017-11-29 10:23

학생 43명,교사 7명 비인가 대안학교
‘사람다운 사람’ 만드는 교육자

농촌에 들어와 흙 속에 살고
대학에 목매거나 취직 당하지 말란다

그저 책상머리에 배우지 않는다
나흘 동안의 에너지자립 기간에는

전기와 가스, 수도도 끊고
원시적으로 불 피우고 전기 만든다

외부 먹거리 반입도 차단하고
물고지 잡아 국 끓이는 등 자체 해결

함께 농사짓고 닭·돼지·벌 키우고
제빵 양재 목공 건축 등 골라서 익혀





7.경남 산청 민들레공동체



민들레학교 설립자인 김인수 교장

경남 산청군 신안면 갈전리 산골에 ‘민들레공동체’가 있다. 비인가 대안학교인 민들레학교 중·고 과정생 43명과 교사 7명과 다섯 가정으로 이뤄진 곳이다.

27일부터 나흘간은 민들레공동체 에너지자립 기간이다. 이때는 전기와 가스, 수도도 끊고 외부에서 먹거리조차 스스로 차단한다. 산에서 땔감을 주워 와 흙스토브나 태양열 조리기로 밥을 하고 조리한다. 자전거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만드는 것쯤은 기본이다. 심지어 라이터나 성냥조차 쓰지 않아 돌을 비비거나 돋보기로 태양열을 가열시켜 불을 만들어낸다. 외부 부식도 반입이 중단되니, 밭에서 이미 눈·서리에 맞은 배추들을 솎아 오고, 계곡에서 물고기를 잡아 와서 국을 끓인다. 어떤 아이들은 산에서 뱀과 개구리를 잡아 와 먹기도 한다. 아이들은 이 과정에서 에너지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삶에서 활용되는지 화학·생물·과학의 원리를 탐구하며 과학집중학습을 한다.



이런 생존력이 하루아침에 길러지는 것은 아니다. 민들레학교 아이들은 오전 수업을 끝내면 오후엔 주로 ‘삶의 현장’에서 공부한다. 밭농사 3천평, 논농사 2천평에 농사를 짓고, 양계장, 양돈장, 양봉 50통 등을 직접 돌보는 일 모두 학생들이 교사들과 함께 해낸다. 공동체 내 ‘대안기술센터’엔 빵을 만드는 제빵실, 자기 옷 정도는 자기가 만들어서 입을 수 있는 양재실까지 있다. 아이들은 농사부, 양재부, 대안기술부, 건축부, 목공예부 등 중에서 선택해 좀더 심도 깊게 배운다. 지난 9월 인근 지역민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연 ‘장터’에 내놓은 옷이나 농산물도 다 아이들이 직접 만들거나 키운 것들이다.

휴대폰은 학교에 들어오면서 교무실에 맡겨두고, 강도 높은 노동을 해내는 이곳 아이들도 태생부터 남달랐던 것은 아니다. 아이들은 해마다 4월이면 10일간의 국토순례를 떠난다. 처음 참가할 때는 이 아이들도 게거품을 물기 십상이었다. 어떤 아이들은 “더는 못 가겠다”고 드러눕기도 하고, 교사와 자기 부모에게 악에 받쳐 막가파식 욕을 퍼붓기도 한다. 그러면 교사나 도우미들이 뒤처진 그를 곁에서 지켜준다. 그러나 배낭을 대신 들어주지도 포기하도록 내버려두지도 않는다. 그렇게 울면서 일행을 뒤따르던 아이는 3~4일이 지나 근력이 생겨나고, 골인 지점이 가까워질수록 조금씩 자신감을 갖는다. 이들이 행군을 마치고 학교에 돌아오면 대형 펼침막으로 환영하고 성대한 잔치를 벌이며 스스로 힘으로 해낸 성취를 적극 고무 찬양해준다. 그러면 처음 입이 댓자나 나와 있던 아이도 자신감으로 볼이 터질 듯해지며 함박웃음을 짓는다.

민들레학교 김인수(57) 교장은 학교에서도 강연에서도 늘 세가지를 강조한다. 첫째, 도시에 있지 말고 농촌에 와라. 흙 속에서 살아야 사람이 된다. 둘째, 자식 대학 보내려고 하지 마라. 대학 가봐야 별 볼일 없다. 셋째, 취직당하지 마라. 교육은 직업에 목매는 게 아니라 스스로 자립해서 직업을 만들어내는 사람을 키우는 것이다. 그는 자식 셋 중 첫째·셋째를 초등학교만 졸업시켰다.



김 교장 자신도 ‘가난’을 선택했다. 경남 진주 경상대 재학 시절 고신교단의 선교단체인 ‘에스에프시’에서 활동한 김 교장은 대학 졸업 뒤 10여년간 지리산 일대에 교회조차 없는 가난한 마을들만 찾아 살았다. 그는 오지 빈촌의 폐가를 구해 고쳐 살며 서울대 박사까지 받은 전공 실력을 살려 이웃들을 돕고 유기농법을 가르쳐주었다. 그는 부인 권근숙(56)씨를 비롯한 동역자들과 이렇게 살며 무려 20여곳에 교회를 세우는 전설을 만들어냈다.

김 교장 부부가 10년 전 민들레학교를 설립할 때 부인 원씨의 거창고 은사인 도재원 선생은 “사업해 돈 많이 벌고, 출세하고, 유명해졌다고 해도 ‘정의와 자유, 평등, 사랑’을 건설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는 삶을 살지 않았다면 결코 성공한 삶이 아니다”라고 했다. 김 교장 부부는 스승이 말한 ‘진짜 성공한 사람’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을 모토로 삼고 있다. 민들레학교 중2학년생들은 해마다 8~10월 3개월간 인도와 네팔, 캄보디아 등에서 해외이동학습을 한다. 민들레공동체원들이 10여년 전부터 파견돼 농촌 살리기에 나서고 있던 이 지역들은 하나같이 가난한 오지에 있다.

아이들은 장애인들에게 봉사도 하고, 가난한 친구의 집에서 홈스테이를 하면서 가난한 친구들을 사귀면서 ‘늘 불평불만을 하곤 했던 자신이 부끄러웠다’고 고백했다. 해외학습의 대미는 48시간의 기아체험이다. 그러고는 추첨에 의해 어떤 아이는 진수성찬을 받고 어떤 아이는 500리터 생수 하나로 하루를 더 버티며, 생생한 빈부 차이를 더 경험한다. 그 체험 후 여러 아이가 “굶주린 아이들과 내가 바꿔 태어나 빈부의 다른 삶을 살 수도 있었다”며 “그런 가난한 아이들을 도우면서 살아가고 싶은 꿈이 생겼다”고 말했다.



‘고2학년생’들은 미국으로 떠나 제3세계의 삶을 개선하는 적정기술과 창의력 캠프에 참석하고, 브루더호프나 아미시, 후터라이트 등의 공동체를 방문해 배운다.

이들이 고3이 되면 한우, 목조건축 등 자기만의 전문분야를 정해 대학졸업반 못지않은 논문을 써낸다.
고3 아이들은 3개월간 자기 분야의 회사로 ‘인턴십’을 가는데, 요즘 아이들답지 않게 부지런하고 인간관계도 원활한데다 무엇보다 문제해결 능력이 뛰어나 ‘대학 안 나와도 되니, 제발 우리 회사로 보내달라’는 청탁이 적지 않다.

김 교장은 개신교 중에서도 ‘골수 복음주의자’에 속하지만, 신앙의 잣대로 아이들을 옥죄는 것을 경계한다. 아이들이 욕구를 분출하기도 하면서, 그 본성을 스스로 다스리는 법을 터득하게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10미터씩 훨훨 날아다녀도 부족할 닭을 양계장의 비좁은 케이지에 가둬봐요. 닭은 화가 나서 독을 품고 병들게 마련이지요. 아이들도 마찬가지예요. 작은 울타리에 가두려 들지 말고 어지간하면 울타리를 크게 해줘야 해요. 그래야 어디서건 자랄 수 있는 ‘민들레’가 돼요.”

산청/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밀가루 반죽을 하고나서 설거지를 할 사람을 정하기 위해 가위바위보를 하는 아이들





아이들과 함께 한 김인수 교장(뒤 오른쪽)과 부인 권근숙 선생님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religious/821140.html#csidx47df637f25a75958a6bb48f603a7b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