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공해.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공해. Show all posts

2022/07/10

입정 - Wikipedia

입정 - Wikipedia

입정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입정 (뉴조)은 진언종 에 전해지는 전설적 신앙.

원의는 단순히 ' 젠정 에 들어간다 '는 뜻이지만, 홍법대사 공해 가 영원한 명상에 들어가 있다는 신앙을 가리킨다.

공해의 입정 신앙 편집 ]

공해는 835년 (승화 2년)에 입정했지만, 생사의 경계를 넘어 미륵 보살 출세 때까지, 중생 구제 를 목적으로 영원한 명상에 들어가 현재도 고야산 오쿠노인 의 홍법대사 어묘로 입정 하고 있다고 믿어진다.

「생신공(쇼신구)」은 입정 후부터 현재까지 1200년간 계속되고 있는 의식의 하나로, 오쿠노인의 유나 (유나)라고 불리는 사무라이 스승이 하루 2회, 묘의 공해에 의복과 식사를 전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묘내의 모양은 유나 이외가 엿볼 수 없고, 유나를 맡은 자도 다 말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인에게는 불명한 채로 있다.

전진 제철 [ 주1]공해승도전』에 따르면 공해의 사인 은 병사 로 여겨진다. 속일본 후기』에 의하면, 시신 은 소바에 붙은 것 같다. 그러나 후대에는 입정했다고 하는 문헌이 나타난다. 현존하는 자료로 공해의 입정에 관한 초출의 것은, 입후 100년 이상을 거친 야스호 5년( 968년 )에 인해 가 저술한 「금강봉사 건립 수행 연기」로, 입정한 공해는 49일 지나도 용색에 변화가 없고 머리카락과 수염이 계속 성장하고 있었다고 한다.

지금 옛 이야기』에는 타카노야마가 도지와의 싸움으로 일시 황폐하고 있던 시기, 토지 장자 였던 관현 이 영묘를 열었다는 기술이 있다. 이에 따르면 영묘의 공해는 석실과 마코로 이중으로 지켜져 앉고 있었다고 한다. 관현은 일척 별로 뻗어 있던 공해의 윤발을 면도 옷과 수주 綻び를 깎아 정돈한 뒤 다시 봉인했다.

또, 입정한 후에 제국을 행각하고 있는 설도 있어, 그 증거로서, 매년 3월 21일에 고야산의 호우메인 이 실시하는 공해의 의상을 바꾸는 의식시, 의상에 흙이 붙어 있는 것이 들 수 있다 된다 [1] .

기타 "입정" 편집 ]

후세, 금식·살아가는 등 고행 끝에 절명하고 그대로 미이라 화하는, 이른바 ' 즉신불 '이 되는 행위도 공해의 입정신앙에 급속히 속에 '입정'이라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진언밀교의 교리에서 유래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신앙의 영역이며, 공해의 입정신앙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각주 편집 ]

주석 편집 ]

  1.  진제에 가탁하고 10세기경 쓰였다고 하는 것이 통설.

출처 편집 ]

  1.  『진언석석집』 제3

참고 자료 편집 ]

관련 항목 편집 ]

홍법대사·공해의 생애~지금도 일본인의 마음에 사는 가르침 - 가족장의 패미유

홍법대사·공해의 생애~지금도 일본인의 마음에 사는 가르침 - 가족장의 패미유

홍법대사·공해의 생애~지금도 일본인의 마음에 사는 가르침
2022년 5월 10일 갱신

홍법대사·공해의 생애~지금도 일본인의 마음에 사는 가르침


이 기사는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공해가 어떤 인물인지 알고 싶다.
공해는 진언종의 개조로 알려진 인물입니다. 홍법대사(고우다다시) 공해로 표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견당사로서 당(중국)에 건너, 밀교를 배우고 나서 귀국한 후, 일본에서 진언 밀교의 가르침을 설해, 개종한 것이 진언종입니다. 본 기사에서는 공해란 어떤 인물인지, 그 생애를 탄생부터 쫓아갑니다.


목차

  1.  진언종의 기반을 확립한 공해의 생애
  2.  공해의 가르침과 진언종의 경
  3.  공해와 모스미와의 관계
  4.  일본문화에 영향을 준 공해의 공적
  5.  공해와 관련된 명소
  6.  공해는 불교 이외에도 일본의 발전에 공헌한 인물


진언종의 기반을 확립한 공해의 생애
앉아 승려
세상에 침투하고 있는 “공해”라는 이름. 그러나 태어났을 때는 또 다른 이름이었습니다. 우선, 공해라고 불리게 되었던 인사를 그의 생애를 통해 밝힙니다.
가가와현에서 출생
774년 6월 15일, 공해는 사누키국(=현재의 가가와현)에서 3남으로서 탄생했습니다. 유명은 「마오(마오)」라고 하며, 어렸을 때부터 사토아키였습니다. 계무천황의 황자의 교육계를 맡은 백부, 아도대족(뒤의 오오오리)로부터 시나 한어, 유교를 배우고 있었다고 합니다. 15세가 되면 아도대족에게 초대되어 도시로 올라가 학문에 정진하는 길을 선택합니다.
대학중퇴와 '공해'의 탄생
18세가 된 공해는 대학에 입학합니다. 그러나, 거기는 관료 양성을 위한, 이른바 출세를 위한 공부로, 공해가 요구하고 있는 것과는 달랐습니다. 곤란한 사람을 돕고 싶다면, 불교의 가르침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공해는 대학을 중퇴하고 승려의 길로 나아가기로 결심합니다.
대학 중퇴 후의 공해는, 수행의 여행에 나옵니다. 나라현이나 도쿠시마현 등 시코쿠 각 현에서 연루를 거듭해, 20세에 스님이 되기 위한 수계를 해, 22세로 이름을 공해에 바꾼 것으로 알려집니다. 고치현의 무로토곶에는 그 이름의 유래라고 불리는 동굴 「미쿠로도」가 있습니다. 수행을 마친 대사가 이 동굴에서 나왔을 때 보이는 하늘과 바다에 마음을 찍어 「공해」라고 자칭했다고 합니다. 다만, 개명의 연령이나 유래는 제설이 있습니다.
송당사로 당나라로
수행을 계속하고 있던 공해는, 나라현에 있는 구메지에 납입되고 있던 밀교의 경전, 「대일경」과 만남. 밀교의 가르침은 경전을 읽은 것만으로는 모르겠다고 생각한 공해는 당(현의 중국)에 건너는 기회를 찾고 있었다.
그리고 31세(만연령 30세) 때 공해로 전기가 방문합니다. 견당사의 1명으로서 염원의 당나라에 건너게 된 것입니다. 804년 7월 6일, 나가사키현의 타우라를 출항해 당을 목표로 하는 선단의 배에는, 공해 외에 최청도 타고 있었습니다. 모스미는 나중에 일본에서 천대종 을 여는 인물입니다.
불과 반년 만에 밀교를 습득
수행중인 스님
당나라에 들어간 공해는 밀교의 이해에 필요한 산스크리트어(범어)도 배우면서 밀교의 공부에 격려합니다. 당나라에 들어 약 반년 후에는 당나라 국사로 진언밀교를 정식으로 계승한 스님인 에과(에카, 케이카)를 만나러 갔다고 합니다. 에과는 한눈에 공해를 인정하고 자신의 제자로 밀교의 모든 것을 전수. 이 안에는 만다라(만다라)의 비법 등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불과 반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공해는 스승인 혜과로부터 '진언밀교의 스승'으로 인정받은 것입니다.
진언 밀교를 유포
당나라로 건너간 약 2년 후, 806년에 공해는 일본에 귀국하고 있습니다. 귀국 후의 공해는, 다자이후에 있는 관세음사에 2년 정도 체재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809년에는 교토의 가오슝 산지(타카오산지)=현재의 신고지(곤고지)에 들어가, 다음 해의 810년에는 사가 천황의 책을 받아 진언밀교의 포교가 정식으로 허락되어 네. 덧붙여서, 개종의 타이밍은 806년과도 810년이라고도 합니다.
진언종의 탄생과 공해의 입정
816년, 공해는 고야산 ‘소모모토야마 금고봉사(곤고우부지)’를 수선의 도장으로 개창했습니다. 그 후, 823년에는 도지를 사가 천황에서 받고, 「교왕호국사(쿄오고쿠지)」라고 칭해 고야산과 늘어선 진언종의 기반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835년 공해는 자신의 사기를 깨닫고 제자들에게 유언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 3월 21일(음력), 62세에 입정(뉴조). 진언종에 있어서, 입정이란 단순한 죽음이 아니라, 공해가 영원히 깊은 선정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선정이란 마음이 정해진 상태에 있어 동요하지 않는 경지에 있는 것입니다.
공해의 입정 후 80년 이상이 경과한 921년에는 醍醐天皇로부터 생전의 공적에 대해 ‘홍법대사’의 시호를 받았습니다.

공해의 가르침과 진언종의 경
목어를 두드리는 스님
공해의 가르침은 진언종으로서 현대에 뿌리를 둔다. 이곳에서는 진언종의 본존과 가르치고, 경을 소개합니다.
공해가 전한 진언종의 가르침과 본존
공해가 열린 진언종에서는, 대일 여래(다이니치로 요라이)가 본존, 즉신성불(소쿠신조부츠)이 중요한 가르침입니다. 
즉신성불은 지금 이 세상에 몸이 있는 동안 부처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 때문에, 자신의 「신(身)=몸의 행동」, 「입(く)=말」, 의「(い)=마음」의 3개를 정돈해, 본래 가지고 있는 불심(부신)을 불러 일으킨다 「삼밀(산미츠)」의 수행을 합니다. 자신을 깊게 바라본 후 부처님과 같은 삶을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진언종의 경
홍법 대사·공해를 숭배할 때는, 호호호(호호고)를 주창할 수 있습니다. 고호호란, 진언종에서 가장 중요한 경의 하나. 구체적으로는 「미나미 무대사 유테루 금강(나무다이시 엔조 곤고우)」라고 소리로 합니다. 「미나미 무대사 편조금강」의 7문자로 「홍법대사 공해에 귀의한다」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류조 금강」은 공해의 관정명(칸조메이)이며, 다이니키 여래의 별명이기도 합니다.

진언종의 장례에 대해 해설. 참렬 때 알아야 할 매너란? - 가족장의 패미유【Coeurlien】
진언종의 장례에 대해 해설.  참렬 때 알아야 할 매너란?  - 가족장의 패미유【Coeurlien】

불교의 장례는 종파에 따라 내용이 달라 진언종에도 독자적인 흐름과 매너가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진언종의 장례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과 "참렬할 때의 매너"를 정리했습니다. 진언종의 장례에 대해 불안한 분은 꼭 참고하십시오.

공해와 모스미와의 관계
공해가 견당사로 건너온 당나라로, 가장 번성했던 불교의 유파 중 하나가 밀교입니다. 공해는 견당사로 건너온 당나라로 밀교를 완전히 습득했지만, 실은 밀교를 일본으로 가져온 것은 공해만이 아닙니다. 천대종의 개조로 알려진 모스미도 밀교를 비롯한 다양한 경전을 당에서 가져왔습니다.
진언종을 연 공해에 대해, 최스미는 호케 사상과 밀교를 바탕으로 천대종을 열었습니다. 함께 견당사로서 동시기에 당나라로 밀교를 배운 두 사람은 일본 불교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있습니다.
최스미는 천대종의 개조. ~그의 생애나 일본에 준 영향은~~ 가족장의 패미유
최스미는 천대종의 개조.  ~그의 생애나 일본에 준 영향은~~ 가족장의 패미유
모스미는 천대종의 개조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밀교와도 깊은 관계가 있는 모스미는 일본에서의 불교에 큰 영향을 준 인물이기도 합니다. 일본에서 가장 많이 집행되고 있는 불식 장례는 그의 영향을 적게 받고 있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최청의 생애나 밀교와 천대종과의 관계, 그가 지금의 일본에 준 영향을 전합니다.
일본문화에 영향을 준 공해의 공적
밖을 바라보는 스님
공해는 진언종의 포교뿐만 아니라 문화활동에 힘을 쏟고 있던 인물이기도 합니다. 이곳에서는 공해가 일본에서 남긴 큰 공적을 소개합니다.
만노이케의 제방을 만들었다
가가와현에 있는 만노이케(만노우이케)의 수축 공사에, 공해가 관련되어 있는 것을 아시겠습니까. 821년 사가 천황의 목숨을 받은 공해는 만노이케의 개수 공사에 종사하기로 했다. 수압에 대해 아치형을 그리는 제방은 공해가 제안한 것입니다. 약 1200년 전에 만들어진 제방은 현재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많은 저서와 글을 남겼다.
공해는 다채로운 문화활동에 정성을 내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비밀 만다라 십주심론(히미츠만다라쥬주신론)」이나 「비장 보석(히조우야야)」 등, 수많은 저서를 남기고 있습니다. 그 외, 「전예 만상명의(텐레이반쇼메이기)」라고 하는, 일본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자자서를 만들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또 「홍법필을 선택한다」라고 하는 속담에 나타내듯이, 국내 제일이라고도 불리는 책의 팔로, 일본의 삼필의 1명이기도 합니다.

일본 최초의 서민교육기관을 설립
828년, 공해는 교토에 「열예종 토지인(슈게이슈치인)」을 창설하고 있습니다. 綜芸種智院은 헤이안 초기 서민교육기로 일본 최초의 사립학교입니다. 당시의 대학이나 국립 대학에의 입학은, 엄격한 신분 제한이 있어, 일반 서민에게는 어려운 것이 있었습니다. 공해는 綜芸種智院을 설립하여 교육을 받을 기회가 누구나 평등해지는 것을 실현한 것입니다.
그러나 綜芸種智院은 공해 사후 후계자가 발견되지 않고 폐절. 현재 교토부 후시미구에 있는 사립종치원대학은 綜芸種智院의 전통을 계승하여 설립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공해와 관련된 명소
고야산 금강봉사의 참배길
공해는 일본 각지에서 수업을 쌓고 있었기 때문에, 공해에 관련된 명소는 풍부합니다. 이곳에서는 특히 인연이 깊은 명소를 2곳 소개합니다.
홍법대사 묘묘
현재도 육신을 이 세상에 머물러 깊은 선정중으로 여겨지는 공해. 선정을 행하고 있는 장소야말로, 고야산의 안쪽에 있는 「코우보다이시고비」입니다.
이곳에서는, 현재도 하루 ​​2회, 공해에 식사를 전하는 「생신공(쇼신구)」의 의식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공해는 현재도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구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어, 밤낮을 불문하고 항상 많은 참배자가 방문하고 있다고 합니다.
도지
교토역에서 보이는 오층탑으로 유명한 도지. 공해가 진언종을 확립시킨 도지는 일본 최초의 밀교 사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밀교를 전파하기 위해 건립된 강당 내에는, 밀교의 가르침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가쓰마 만다라」, 통칭 「입체 만다라」가 진좌하고 있습니다. 이 동상은 공해가 만든 것입니다. 실제로 보는 것으로, 공해의 살아있는 간증을 피부로 느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공해는 불교 이외에도 일본의 발전에 공헌한 인물
고양이와 스님
견당사로서 당에 건너, 가져온 밀교를 바탕으로 진언종을 연 공해. 불교의 발전에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교육기관을 설립하는 등, 모든 방면에서 일본의 발전에 공헌한 위대한 인물입니다. 공해 연고의 사원에서 숭배할 때 '미나미 무대사 편조 금강'이라고 주장해 보면 그 존재를 친밀하게 느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


가족의 유대, 사람과의 유대를 연결 | 가족 장례의 가족
가족의 유대, 사람과의 유대를 연결 | 가족 장례의 가족
가족장례의 장례식·장례식이라면 「1일 1조」의 가족장의 패미유. 전국 1,000개 이상의 상장에서 10만건 이상의 장례 실적. 장례식의 준비나 상담은 【통화료 무료】【24시간 365일】로 전문 스탭이 대응합니다. 【동증상장의 안심과 신뢰】가족장의 파미유는 동증상장의 희귀한 홀딩스의 그룹회사입니다(증권코드 7086).






이 기사를 읽은 분에게 추천 기사
"인도 전달"의 올바른 의미와 사용법.  종파에서 다른 인도의 편견을 해설
"인도 전달"의 올바른 의미와 사용법. 종파에서 다른 인도의 편견을 해설
인도를 전달
불교 · 절
2022년 6월 27일
계절을 느끼는 "꽃수 물".  추천 사찰과 집 준비도 소개
계절을 느끼는 "꽃수 물". 추천 사찰과 집 준비도 소개
불교 · 절
꽃 손 물
2022년 5월 23일
합장은 성불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는 작법.  유래나 올바른 매너란
합장은 성불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는 작법. 유래나 올바른 매너란
불교 · 절
참배 매너
2022년 3월 16일
「미나미 무아미타 불」은 감사를 주장하는 염불.  의미와 읽는 방법
「미나미 무아미타 불」은 감사를 주장하는 염불. 의미와 읽는 방법
불교 · 절
불교 잡학
2021년 9월 10일
승려는 주직이나 화상과 다르다?  부르는 방법의 정답과 스님이되는 법
승려는 주직이나 화상과 다르다? 부르는 방법의 정답과 스님이되는 법
불교 · 절
승려
2021년 5월 26일
근행은 수행?  마음에도 몸에도 좋은 것?  단어의 의미와 실천 방법
근행은 수행? 마음에도 몸에도 좋은 것? 단어의 의미와 실천 방법
불교 · 절
근행
2021년 3월 8일
이 기사의 키워드에서 다른 기사 찾기
불교 · 절
공해
인기 기사 랭킹(종합)
향전의 금액은 나이로 바뀐다!  연령과 고인과의 관계성에서 보는 시세
향전의 금액은 나이로 바뀐다! 연령과 고인과의 관계성에서 보는 시세
향기
시세
2020년 5월 29일
【꿈진단】죽은 사람이 꿈에 나오면?  그 의미를 설명
【꿈진단】죽은 사람이 꿈에 나오면? 그 의미를 설명
운세
2020년 1월 17일
통야에 지참하는 향전봉투의 쓰는 방법은?  「영령전」과「불처전」의 차이
통야에 지참하는 향전봉투의 쓰는 방법은? 「영령전」과「불처전」의 차이
참렬 매너
향기
2020년 3월 20일
딸꾹질을 멈추고 싶은 사람 필견!  즉효성이 있는 정지방법을 조사
딸꾹질을 멈추고 싶은 사람 필견! 즉효성이 있는 정지방법을 조사
딸꾹질
참석자용
2021년 2월 3일
49일 법요의 참렬 매너란?  향전의 시세와 복장을 소개
49일 법요의 참렬 매너란? 향전의 시세와 복장을 소개
49일
참렬 매너
2021년 1월 25일

추천 기사
「아버지가 준, 몇 통의 편지」유근씨【인터뷰 전편】~날마다 적화 제18회~
「아버지가 준, 몇 통의 편지」유근씨【인터뷰 전편】~날마다 적화 제18회~
매일 적화
친구 인터뷰
2021년 12월 17일
「급속한 부모님과 대왕생한 사랑 고양이」성우 TARAKO씨【인터뷰 전편】~날마다 적화 제17회~
「급속한 부모님과 대왕생한 사랑 고양이」성우 TARAKO씨【인터뷰 전편】~날마다 적화 제17회~
매일 적화
TARAKO 씨 인터뷰
2021년 11월 19일
「전지의 오빠로부터 닿은, 최초로 마지막 편지」작가 시모다 케이키씨【인터뷰 전편】~날마다 적화 제21회~
「전지의 오빠로부터 닿은, 최초로 마지막 편지」작가 시모다 케이키씨【인터뷰 전편】~날마다 적화 제21회~
매일 적화
시모다 케이키씨 인터뷰
2022년 3월 18일
「아버지의 죽음과, 나 속의 「죽고 싶은 씨」」탤런트·에세이스트 코지마 케이코씨【인터뷰 전편】~날마다 적화 제11회~
「아버지의 죽음과, 나 속의 「죽고 싶은 씨」」탤런트·에세이스트 코지마 케이코씨【인터뷰 전편】~날마다 적화 제11회~
매일 적화
코지마 케이코 씨 인터뷰
2021년 5월 21일
코지마 케이코씨×시무라 계세에씨에 의한 토크 이벤트 “날마다 적화~함께 살아가는~” 개최 리포트【전편】
코지마 케이코씨×시무라 계세에씨에 의한 토크 이벤트 “날마다 적화~함께 살아가는~” 개최 리포트【전편】
매일 적화
온라인 토크 이벤트
2022년 1월 10일


Coeurlien이란?
『Coeurlien(클리앙)』은 가족장의 개척자인 파미유가 전달하는 종활과 장례에 관한 정보 미디어입니다. 사이트명은, 프랑스어의 "coeur"(마음)과 "lien"(정)을 잇는 조어. 가족의 유대, 사람과의 유대의 "배턴"을 연결하는 계기가 되면 다행입니다.

2022/07/07

曼荼羅 - J Wikipedia 만다라

曼荼羅 - Wikipedia


만다라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曼荼羅(만다라, 범어 : मण्डल maṇḍala , 티베트어 : དཀྱིལ་འཁོར་ ( 킨코르, dkyil 'khor ))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 [1] . 밀교경전은 만다라를 설교하고, 그 사상을 만다라의 구조로 나타내고 [2] 그 종류는 수백에 이른다. 고대 인도 에 기원을 가지고 중앙아시아 , 일본 , 중국 , 한반도 , 동남아시아 국가 등에 전해졌다. 21세기에 이르더라도 밀교의 전통이 살아 전존하는 티베트 , 네팔 , 일본 ​​등에서는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다. 한자에 의한 표기의 바리에이션으로서 「만다라 」나 「 만다라」, 「 만다라 」등이 있지만, 일본의 중요문화재등의 지정 명칭은 「만다라」로 통일되어 있으며, 여기서도 「만다라」라고 표기한다.

일본에서는 밀교의 경전·의궤에 근거하지 않는 신불이 집회하는 그림이나 문자열에도 만다라의 호칭을 씌우는 파생적인 용법이 생겼다. 또 티베트에서는, 스미야마를 중심으로 하는 전세계를 십방삼세의 불상에게 바치는 공양 의 일종을 「만다라 공양」이라고 하고, 이 공양에 이용하는 금동제의 법구나 , 이 법구 를 대체하는 인계 반대로, 만다라의 호칭이 사용된다.

어원 편집 ]

'만다라'는 산스크리트어 ण्डल 의 소리를 한자로 표현한 것( 음역 )으로, 한자 자체에는 의미가 없다. 또한 मण्डल 에는 형용사로 '둥근'이라는 의미가 있으며, 원은 완전·원만 등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것이 어원이 된다. 중국에서는 원만구 다리라고도 하는 일이 있다.

인도 에서는 제신을 초대할 때 토단 위에 원형 또는 구형의 마방진 , 만다라를 색사로 그려 비술을 한다. 색 모래로 토단 위에 그리기 때문에 오래된 물건은 남아 있지 않지만, 티베트 불교 등에서는 지금도 수행 의 일환으로 의식, 제례를 할 때 그려진다.

종류(형태) 편집 ]

만다라는 형태,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있지만, 우선 이하의 2 형태로 대별된다.

  1. 밀교 경전에 근거하여 주존을 중심으로 여러 불상존의 집회(슈에)하는 누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 [1]
  2. 금동제의 법구 「공양 만다라」. 일본 밀교 및 네팔 밀교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티베트 밀교의 독자적인 법구.

1에 속하는 것은 재질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분류된다.

  • 종이와 비단, 사원 등의 벽면에 안료를 사용하여 그린 것 [3]
  • 모래 만다라 : 단을 만들고 그 단에 보석 등을 부수거나 채색 한 다양한 색채의 모래를 사용하여 그린 것 [4]
  • 입체 만다라 : 제존과 누각을 주물 이나 소상으로 조립하여 만다라의 형태로 배열한 것 [4] . 일본 밀교에서는 이 형태를 가마마 만다라 라고 한다. 교토· 도지 강당에 안치되는, 대일 여래를 중심으로 한 21마리의 군상은, 공해의 구상에 의한 것으로, 「후마마 만다라」의 일종으로 간주되고 있다. 「교마」란 산스크리트어로 「일, 작용」이라는 의미로, 티베트 불교에서는 교마 만다라 (가쓰마만다라)는, 일본 밀교에 있어서의 금강계 만다라 회의 공양회 에 상당하는 것에 대한 호칭으로서 사용된다 [5] .

또 주존과 현속들의 형태를 묘사하는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오만다라 - 경전의 주존을 비롯한 여러 불상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
  • 삼매야 만다라 (사마야만다라, 산마야-) - 여러 부처님의 모습을 직접 그리는 대신 각 존을 나타내는 상징물(심볼)로 나타낸 것. 여러 부처 대신 금강기 , 연화 , 검, 종 등의 기물이 그려져 있다. 이들의 기물을 「삼매야형」(사마야쿄)이라고 하며, 각존의 깨달음이나 일을 나타내는 심볼이다.
  • 법 만다라 - 부처님의 모습을 직접 그리는 대신에, 하나의 부처를 하나의 문자( 산스크리트 문자, 범자 또는 티벳 문자)로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 불을 나타내는 문자를 불교에서는 종자 (슈지, 혹은 「종자」라고도 한다)라고 하는 것으로부터, 「종자 만다라」라고도 말한다.

2의 「공양 만다라」는, 티베트 불교 및 불교화한 티베트의 고유 종교 본교 에 두고 「만다라 공양」시에 사용되는 법구로, 원형의 동분 1과 크고 작은 동륜 3, 「승 "하나"1로 구성되는 [6] [7] .

종류(용도) 편집 ]

종교적 실천( 관정 , 성취법 수습)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창작된 것
    (1) 모래 만다라 : → 전절을 ​​참조
    (2) 회화의 만다라 : → 전절을 ​​참조
  2. 선정 에 의해 생기게 된 것 : 성취법을 실천할 때 관상 에서 생긴 것. 누각과 그 곳에 포치된 본존·제존이라는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3. 신체 만다라 : 2 중 특히 행자 자신의 신체의 각 부위를 만다라의 제존 그 자체로 생기게 한 것

1은 관정 중에 사용됩니다. 2 및 3은 밀교행자가 성취법 각종을 실천할 때 관상 후에 발생한다. 만다라의 주존과 행자가 일체가 되는 행법의 무대가 된다.

입체 만다라는 초심 행자가 2를 생기 때 참고 자료가 되지만 관정 의식이나 성취법 실천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종류(내용) 편집 ]

인도 밀교의 역사는 5·6세기를 모아기로 하고, 13세기 초의 인도 불교 멸망까지의 약 800년간에 걸쳐, 또한 초기 밀교·중기 밀교·후기 밀교의 3기로 구분된다 [8] .
초기 밀교 : 밀교가 인도에 나타나고 나서 ' 대일경 ' , ' 금강정경 ' 등의 조직적인 밀교가 성립될 때까지의 시기.
중기 밀교 : 7 세기. 초기 밀교의 완성형으로서 『대일경』, 나중에 후기 밀교로 발전해 가는 『금강정경』 등이 등장하는 시기.
후기 밀교 : 8세 이후. 금강정경』계의 밀교가 발전해 나간다.

초기 밀교의 경전과 만다라 편집 ]

이 시기의 경전을 일본 밀교에서는 「잡밀 경전」, 티베트 밀교 에서는 「소작 탄트라」로 분류한다 [9] . 본존이 되는 존격이나 중심적 테마에 따라 문수·관음·금강수·부동· 타라 ·불정, 총·잡부 다라도 등으로 분류된다 [10] . 이러한 경전에 근거한 만다라에서는 일본에서도 친숙한 깊은 부처들이 정연하게 그려져 있다 [2] .

중기 밀교의 경전과 만다라 편집 ]

 이 시기의 경전을 일본 밀교에서는 「순밀 경전」, 티베트 밀교에서는 「행 탄트라」 및 「瑜伽タントラ」로 분류한다.

태장 만다라 를 설교하는 ' 대일경 '계의 밀교가 행탄트라 에 상당한다 [9] . 근본 탄트라 로 '대일경'이 자리매김되어 '금강수 관정 탄트라'와 '삼삼마야소엄 탄트라' 등이 포함된다 [11] . 티베트 불교의 태장 만다라가 '대일경'의 소설에 의해 충실히 그려져 있는 것에 대해 [12] , 일본 밀교에서는 독자적인 어레인지의 정도가 크다 [13] .

금강계 만다라 를 설교하는 ' 금강정경 ', ' 이취경 '계의 밀교가瑜伽タントラ에 상당한다 [9] . 금강정경 '은 18회 10만배라고 불리는 방대한 밀교경전의 총칭을 말하지만, 이 중 '초회(쇼에, 제일부)'만을 가리키는 용법도 있다 [14] . 28종의 만다라를 설명한다 [15] . 일본 밀교의 「 금강계 만다라」는, 「금강정경」의 「금강회품」의 만다라 6종, 「강삼세품」의 만다라 2종에, 「이취경」의 만다라를 덧붙여 「9회 (쿠에)」라고 한 것이다 [15] .

후기 밀교의 경전과 만다라 편집 ]

『금강정경』 이후에 성립한 후기 밀교 의 경전군 [9] 은 티베트 불교에서는 「무상瑜伽タントラ」 로서 최상위의 평가를 받고 있다 [9] 가 일본에는 일부를 제외하고 전래하지 않는다 [9] . 티베트에서는 이것을 '아버지 탄트라(방편 탄트라)'(부-), '어머니 탄트라(반약 탄트라)'(모-), '후지 탄트라(방편 탄후지 탄트라)'(후니-)로 분류한다 [16] . 일본 밀교에서는 태장·금강계의 양부를 불이로 하지만, 티베트에서는 무상 瑜伽에 아버지(방편)와 어머니(반젊, 지혜)를 세워, 이것을 후지로 한다 [17] .

아버지 탄트라 ( 방편 탄트라 )는 ' 비밀 집회 탄트라 '(구히야 사마자 탄트라)를 근본 탄트라로 하는 부류와 야만타카의 부류로 나뉜다 [17] . 아버지 탄트라를 대표하는 만다라에는 '비밀 집회'의 아각 금강 32존 만다라 , 야만타카류 가운데 바쥬라바이라바 13존 만다라 가 있다 [1] .

어머니 탄트라 ( 반청 탄트라 )는 헤바쥬라류, 던바라류, 벵척 아라리류, 서머요가류 등으로 분류된다 [17] . 만다라는 헤바쥬라 구존 만다라, 산바라 육십이 존 만다라 등이 유명하다 [1] .

후지탄트라 ( 방편반 와카후지탄트라 )에는 『문수사리진실명경』(몬쥬시리 신지츠미쿄)과 『시륜 탄트라』(카라차크라・탄트라)가 포함된다 [17] .

일본 밀교 독자적인 분류 편집 ]

일본에서는 근본이 되는 양계 만다라와 별존 만다라로 대별되고 있다.

  • 양계 만다라 - '양부 만다라'라고도 하며 '금강계 만다라' '대비태장 만다라'라는 두 종류의 만다라로 구성된다. 「금강계 만다라」는 「금강정경」, 「대비태장 만다라」는 「대일경 이라고 하는, 일본 밀교에서는 근본 경전으로서 취급되는 경전에 근거해 조형된 것으로, 2개의 만다라 모두 일본 밀교의 근본존인 대일여래 를 중심으로 많은 존상을 일정한 질서하에 배치하고 있다. 밀교의 세계관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덧붙여 자세한 것은 「 양계 만다라」의 항을 참조.
  • 별존 만다라 - 양계 만다라와 달리 대일여래 이외의 존상이 중심이 된 만다라로 국가진호, 질병평유 등 특정 목적을 위한 수법의 본존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수법의 목적은 통상, 증익(들쑥쑥), 숨결, 경애(경애, 교합), 조복의 4종으로 나눌 수 있다. 증익은 장수, 건강 등, 좋은 일이 계속되기를 기도하는 것, 숨결은 질병, 천재재해 등의 재앙을 제외하지 않고 기도하는 것, 경애는 부부 화합 등을 기도하는 것, 조복은 원적 격퇴 등을 기도한다 것이다. 불안 만다라, 한자 금륜 만다라, 존승 만다라, 호화 만다라, 보루각 만다라 , 인왕경 만다라 등이 있다.

티베트의 분류 편집 ]

티베트 밀교에서는 일본 밀교처럼 대일경의 태장 만다라와 금강정경의 금강계계의 각종 만다라가 돌출되어 중첩되는 일은 없다.

살마파 3파(사카 카규 겔크) 편집 ]

티베트 불교의 4대 종파 가운데 닌마파를 엿보는 3파( 사카 카규 겔크 = 살마파 ) 는 프톤 린 첸덥 의 소설에 따라 밀교의 경전(= 탄트라 )을 사분한다.

  1. 소작 탄트라
  2. 행 탄트라
  3. 瑜伽 탄트라
  4. 무상 瑜伽 탄트라

닌마파 편집 ]

닌마파에서는 외로움·기분 백존 만다라가 대표적이다 [1] . 외로운 42존과 분노 58존으로 이루어져, 양자로 한 쌍으로 여겨진다 [1] . 닌마파 에 특징적인 매장 경전 을 집성한 ' 매장 보전 (린첸 테르주)'에는 매장 경전으로 풀린 만다라 327점이 수록되어 있다 [1] .

밀교 만다라 이외의 신불의 집회 (슈에) 그림의 호칭 편집 ]

일본 에서는 다음과 같은 밀교의 경전・의궤에 근거한 만다라 이외의 신불이 집회하는 그림이나 문자열에도 만다라의 호칭을 씌워 사용하는 파생적인 용법이 있다 .

  • 정토 만다라 - 정토 (깨끗한 국토)는 각각의 부처가 살고있는 성역, 이상적인 국토로 미륵 불의 정토, 약사 여래 의 정토 등이 있지만 단순히 "정토" 그렇다면 아미타 여래의 서방 극락 정토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정토 만다라는 '관무량 수경' 등의 경전에 설하는 아미타 정토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런 작품을 중국에서는 ' 정토변상도 '라고 칭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만다라라고 칭하고 있다. 일본의 정토 만다라에는 도안, 내용 등에서 크게 나누어 지광 만다라 , 당마 만다라 , 청해 만다라 의 3종이 있으며, 이들을 정토 삼만다라 라고 칭하고 있다.
  • 서울 만다라 - 일본의 신도의 신들은 불교의 여러 부처가 "임시로 모습을 바꾸어 나타난 것"이라고 하는 사상을 본지 수상설 이라고 한다. 이 경우 하나님의 본체인 부처를 「본지불」이라고 하고, 본지불이 하나님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을 「수처신」이라고 한다. 특정 신사의 제신을 본지 부처 또는 서울신으로 만다라풍으로 표현한 것을 수상 만다라라고 한다. 여기에도 많은 종류가 있으며, 본지 불만을 표현한 것, 수상신만을 표현한 것, 양자가 모두 등장하는 것 등이 있다. 대표적인 것에는 구마노 만다라, 가스가 만다라, 히요시산왕 만다라 등이 있다. 각각 와카야마현의 구마노 미야마 , 나라의 가스가타이샤 , 히에이산의 진수인 히요시타이샤 의 제신을 나란히 그린 것이다.
  • 미야 만다라 - 본지 부처와 서울 신을 그리지 않고, 신사 경내의 풍경을 부감적으로 그린 ​​작품에도 「만다라」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이것은 신사의 경내를 성역, 정토로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밖에 불교계, 신도계를 불문하고 '만다라'로 불리는 회화 작품에는 많은 종류가 있다.
  • 호화 만다라 - 호화경의 세계를 그림 이나 범자 , 한자 등으로 표현한 것. 천대종 , 진언종 등에서 사용된다.
  • 오만다라 - 일련 의 발안한 것으로, 제목 주위에 한자와 범자로 석가 와 다보여래 등의 불 · 보살 , 불제자 , 중국 천대 종의 선사 현철, 인도·중국·일본의 신들 등의 명호를 배치 한 것. 또한 중앙의 제목에서 오랫동안 뻗은 선이 그려지는 특징에서 수 만다라라고도 불린다. 니치렌을 종조라고 부르는 여러 종파에서 본존 으로 사용된다.

티베트 에서는 '밀교의 경전·의궤에 근거한 만다라'가 아닌 불보살· 역대 논사 · 종조  집회 ( 슈 우에 ) 하는 충신 부처 로부터 근본 라마 ( རྩ་བའི་བླ་མ་ )에 이르는 사자 상승 의 계보를 도시한 것으로, 3세의 불상·수호신( 이담 )· 호법신 (추경 ) 등이 이것을 둘러싼다. 육가행법 의 4차에 따라 「성중의 세계의 관상」( ཚོགས་ཞིང་གསལ་བདབ་པ་� )에 두어 사용된다 [18] [19] .

만다라 공양의 법구로서의 「만다라」편집 ]

 티베트 불교에 있어서의 공양 의 일종에 「만다라 공양」이 있고, 이 공양에 사용되는 금동 제의 법구도 「만다라」라고 칭한다. 이 공양에서는 이 법구 「공양 만다라」(혹은 이를 대용하는 인계)를 이용하여 십방 삼세의 불상에게 바치는 제물로 한다.

 공양 만다라 는 구리의 봉과 몇 센티미터 폭의 직계가 다른 구리 링 3, 좌기의 구리 봉 위에 구리 링 3조를 사용하여 담을 수 있는 「보석」(또는 「세미」), 정상에 두는 「승리 '만화'로 구성되어 스미야마 를 중심으로 하는 전세계를 상징한다 [20] .

각주 편집 ]

  1. g 다나카 2012 , p. 185.
  2. ↑ b 다나카 2012 , p. 178.
  3. ↑ 다나카 2012 , p. 188-189.
  4. ↑ b 다나카 2012 , p. 188.
  5. ↑ 다나카 2012 , p. 189.
  6. ↑ 시타르 외 1995 , pp. 60-63.
  7. ↑ “ 본교 명상 가이드 - 작은 명상 교실 ”. 2019년 4월 8일 에 확인함. “ 만다라 공양대 - 작은 명상 교실 ”. 2019년 4월 8일에 확인함.
  8. ↑ 다나카 1987 , pp. 54-55.
  9. f 다나카 2012 , p. 100.
  10. ↑ 다나카 2012 , p. 102.
  11. ↑ 다나카 2012 , pp. 102–103.
  12. ↑ 다나카 2012 , pp. 178, 180. .
  13. ↑ 다나카 1987 , pp. 67–69, 152-162. .
  14. ↑ 다나카 1987 , p. 72.
  15. ↑ b 다나카 1987 , p. 93.
  16. ↑ 다나카 2012 , p. 100,103.
  17. ↑ d 다나카 2012 , pp. 100–101, 103.
  18. ↑ 다나카 2012 , pp. 202–203.
  19. ↑ 시타르 외 1995 , pp. 8–11, 53–57.
  20. ↑ 참고 사진 1 (문수사 이대승 불교회 「녹다라 사만다라 공」), 참고 사진 2 (카와첸 넷 숍 「동제 만다라 m 1」), 참고 사진 3 (달라이 라마 교황청 「인도 훈수르에서 비밀 집회의 관정 ')

참고 문헌 편집 ]

관련 항목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

===

曼荼羅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曼荼羅(マンダラ、梵語मण्डल maṇḍalaチベット語དཀྱིལ་འཁོར་(キンコル, dkyil 'khor))とは、密教の経典にもとづき、主尊を中心に諸仏諸尊の集会(しゅうえ)する楼閣を模式的に示した図像[1]。密教経典は曼荼羅を説き、その思想を曼荼羅の構造によって表し[2]、その種類は数百にのぼる。古代インドに起源をもち、中央アジア日本中国朝鮮半島東南アジア諸国などへ伝わった。21世紀に至っても、密教の伝統が生きて伝存するチベットネパール、日本などでは盛んに制作されている。漢字による表記のバリエーションとして「荼羅」や「曼羅」、「曼羅」等があるが、日本の重要文化財等の指定名称は「曼荼羅」に統一されており、ここでも「曼荼羅」と表記する。

日本では、密教の経典・儀軌に基づかない、神仏が集会(しゅうえ)する図像や文字列にも、曼荼羅の呼称を冠する派生的な用法が生じた。またチベットでは、須弥山を中心とする全世界を十方三世の諸仏に捧げる供養の一種を「曼荼羅供養」と称し、この供養に用いる金銅製の法具や、この法具を代替する印契に対しても、「曼荼羅」の呼称が使用されている。

語源[編集]

「曼荼羅」は、サンスクリット語 मण्डलの音を漢字で表したもの(音訳)で、漢字自体には意味はない。なお、मण्डल には形容詞で「丸い」という意味があり、円は完全・円満などの意味があることから、これが語源とされる。中国では円満具足とも言われる事がある。

インドでは諸神を招く時、土壇上に円形または方形の魔方陣、マンダラを色砂で描いて秘術を行う。色砂で土壇上に描くため、古い物は残っていないが、チベット仏教などでは今でも修行の一環として儀式、祭礼を行う時に描かれる。

種類(形態)[編集]

曼荼羅はその形態、用途などによってさまざまな分類があるが、まず以下の2形態に大別される。

  1. 密教経典に基づき、主尊を中心に諸仏諸尊の集会(しゅうえ)する楼閣を模式的に示したもの[1]
  2. 金銅製の法具「供養曼荼羅」。日本密教およびネパール密教では使用されない、チベット密教独自の法具。

1に属するものは、材質面からは、以下のような形態に分類される。

  • 紙や絹布、寺院などの壁面に顔料を用いて描いたもの[3]
  • 砂曼荼羅:壇を作り、その壇上に、宝石などを砕いたり、彩色した様々な色彩の砂を用いて描いたもの[4]
  • 立体曼荼羅:諸尊や楼閣を、鋳物や塑像で造立し、曼荼羅の形式に配列したもの[4]。日本密教では、この形態を 羯磨曼荼羅(かつままんだら)と称する。京都・東寺講堂に安置される、大日如来を中心としたの21体の群像は、空海の構想によるもので、「羯磨曼荼羅」の一種と見なされている。「羯磨」とはサンスクリット語で「働き、作用」という意味で、チベット仏教では羯磨曼荼羅(かつままんだら)は、日本密教における金剛界曼荼羅九会供養会に相当するものに対する呼称として使用される[5]

また、主尊と眷属たちの形態の描写方法からは、次のように区分される。

  • 大曼荼羅 - 経典の主尊をはじめとする諸仏の像を絵画として表現したもの。
  • 三昧耶曼荼羅(さまやまんだら、さんまや-) - 諸仏の姿を直接描く代わりに、各尊を表す象徴物(シンボル)で表したもの。諸仏の代わりに、金剛杵蓮華、剣、鈴などの器物が描かれている。これらの器物を「三昧耶形」(さまやぎょう)と言い、各尊の悟りや働きを示すシンボルである。
  • 法曼荼羅 - 諸仏の姿を直接描く代わりに、1つの仏を1つの文字(サンスクリット文字、梵字またはチベット文字)で象徴的に表したもの。仏を表す文字を仏教では種子(しゅじ、あるいは「種字」とも)と言うことから、「種子曼荼羅」とも言う。

2の「供養曼荼羅」は、チベット仏教および仏教化したチベットの固有宗教ボン教に置いて「曼荼羅供養」の際に用いられる法具で、円形の銅盆1と大小の銅輪3、「勝幡」1より構成される[6][7]

種類(用途)[編集]

宗教的実践(灌頂成就法の修習)からは、次のように分類される。

  1. 創作されたもの
    (1)砂曼荼羅:→前節を参照
    (2)絵画の曼荼羅:→前節を参照
  2. 禅定により生起されたもの:成就法を実践するに際して、観想のうえで生起したもの。楼閣と、その各所に布置された本尊・諸尊という形式をとる場合が多い。
  3. 身体曼荼羅:2のうち、とくに行者自身の身体の各部位を曼荼羅の諸尊そのものとして生起したもの

1は、灌頂の際に使用される。 2および3は、密教行者が成就法各種を実践する際に観想のうえで生起される。曼荼羅の主尊と行者が一体となる行法の舞台となる。

立体曼荼羅は、初心の行者が2を生起する際の参考資料にはなるが、灌頂の儀式や成就法の実践には使用されない。

種類(内容)[編集]

インド密教の歴史は、5・6世紀を萌芽期とし、13世紀初頭のインド仏教滅亡までの約800年間にわたり、さらに初期密教・中期密教・後期密教の3期に区分される[8]
初期密教:密教がインドに現れてから、『大日経』、『金剛頂経』などの、組織的な密教が成立するまでの時期。
中期密教:7世紀。初期密教の完成形として『大日経』、のちに後期密教に発展していく『金剛頂経』などが登場する時期。
後期密教:8世以降。『金剛頂経』系の密教が発展していく。

初期密教の経典と曼荼羅[編集]

この時期の経典を、日本密教では「雑密経典」、チベット密教では「所作タントラ」に分類する[9]。本尊となる尊格や中心的テーマにしたがって文殊・観音・金剛手・不動・ターラー・仏頂、総・雑部陀羅尼などに分類される[10]。これらの経典にもとづく曼荼羅では、日本でもなじみの深い仏たちが整然と描かれている[2]

中期密教の経典と曼荼羅[編集]

 この時期の経典を、日本密教では「純密経典」、チベット密教では「行タントラ」および「瑜伽タントラ」に分類する。

胎蔵曼荼羅を説く『大日経』系の密教が、行タントラに相当する[9]根本タントラとして『大日経』が位置付けられ、『金剛手灌頂タントラ』や『三三摩耶荘厳タントラ』などが含まれる[11]。チベット仏教の胎蔵曼荼羅が、『大日経』の所説により忠実に描かれているのに対し[12]、日本密教では、独自のアレンジの度合いが大きい[13]

金剛界曼荼羅を説く『金剛頂経』、『理趣経』系の密教が、瑜伽タントラに相当する[9]。『金剛頂経』は、十八会十万頌といわれる膨大な密教経典の総称をいうが、このうちの「初会(しょえ, 第一部)」のみを指す用法もある[14]。二十八種の曼荼羅を説く[15]。日本密教の「金剛界曼荼羅」は、『金剛頂経』の「金剛会品」の曼荼羅6種、「降三世品」の曼荼羅2種に、『理趣経』の曼荼羅を付け加えて「九会(くえ)」としたものである[15]

後期密教の経典と曼荼羅[編集]

『金剛頂経』以後に成立した後期密教の経典群[9]は、チベット仏教では「無上瑜伽タントラ」として最上位の評価を付されている[9]が、日本には一部を除き伝来していない[9]。チベットでは、さらにこれを「父タントラ(方便タントラ)」(ぶ- )、「母タントラ(般若タントラ)」(も- )、「不二タントラ(方便般若不二タントラ)」(ふに- )に分類する[16]。日本密教では胎蔵・金剛界の両部を不二とするが、チベットでは無上瑜伽に父(方便)と母(般若,智慧)をたて、これを不二とする[17]

父タントラ(方便タントラ)は、『秘密集会タントラ』(グヒヤサマージャ・タントラ)を根本タントラとする部類と、ヤマーンタカの部類に分けられる[17]。父タントラを代表する曼荼羅には、『秘密集会』の阿閦金剛三十二尊曼荼羅、ヤマーンタカ類のうち、ヴァジュラバイラヴァ十三尊曼荼羅がある[1]

母タントラ(般若タントラ)は、へーヴァジュラ類、ダンヴァラ類、デムチョク・アーラリ類、サマーヨーガ類などに分類される[17]。曼荼羅は、ヘーヴァジュラ九尊曼荼羅、サンヴァラ六十二尊曼荼羅などが名高い[1]

不二タントラ(方便般若不二タントラ)には、『文殊師利真実名経』(もんじゅしりしんじつみょうきょう)と『時輪タントラ』(カーラチャクラ・タントラ)が含まれる[17]

日本密教独自の分類[編集]

日本では、根本となる両界曼荼羅と、別尊曼荼羅とに大別されている。

  • 両界曼荼羅 - 「両部曼荼羅」とも言い、「金剛界曼荼羅」「大悲胎蔵曼荼羅」という2種類の曼荼羅から成る。「金剛界曼荼羅」は「金剛頂経」、「大悲胎蔵曼荼羅」は「大日経」という、日本密教では根本経典として扱われる経典に基づいて造形されたもので、2つの曼荼羅とも、日本密教の根本尊である大日如来を中心に、多くの尊像を一定の秩序のもとに配置している。密教の世界観を象徴的に表したものである。なお、詳細は「両界曼荼羅」の項を参照。
  • 別尊曼荼羅 - 両界曼荼羅とは異なり、大日如来以外の尊像が中心になった曼荼羅で、国家鎮護、病気平癒など、特定の目的のための修法の本尊として用いられるものである。修法の目的は通常、増益(ぞうやく)、息災、敬愛(けいあい、きょうあい)、調伏の4種に分けられる。増益は長寿、健康など、良いことが続くことを祈るもの、息災は、病気、天災などの災いを除きしずめるように祈るもの、敬愛は、夫婦和合などを祈るもの、調伏は怨敵撃退などを祈るものである。仏眼曼荼羅、一字金輪曼荼羅、尊勝曼荼羅、法華曼荼羅、宝楼閣曼荼羅、仁王経曼荼羅などがある。

チベットにおける分類[編集]

チベット密教では、日本密教のように、大日経の胎蔵曼荼羅と、金剛頂経の金剛界系の各種曼荼羅が、突出して重んじられるようなことはない。

サルマ派3派(サキャ・カギュ・ゲルク)[編集]

チベット仏教の4大宗派うち、ニンマ派をのぞく3派(サキャカギュゲルク=サルマ派)は、プトン・リンチェンドゥプの所説にもとづき、密教の経典(=タントラ)を四分する。

  1. 所作タントラ
  2. 行タントラ
  3. 瑜伽タントラ
  4. 無上瑜伽タントラ

ニンマ派[編集]

ニンマ派では、寂静・忿怒百尊曼荼羅が代表的である[1]。寂静42尊と忿怒58尊から成り、両者で一対とされる[1]。 ニンマ派に特徴的な埋蔵経典を集成した『埋蔵宝典(リンチェン・テルズー)』には、埋蔵経典に解かれた曼荼羅327点が収録されている[1]

密教曼荼羅以外の神仏の集会(しゅうえ)図の呼称[編集]

日本では、以下のような、密教の経典・儀軌に基づく曼荼羅以外の、神仏が集会(しゅうえ)する図像や文字列にも、曼荼羅の呼称を冠して使用する派生的な用法がある。

  • 浄土曼荼羅 - 浄土(清らかな国土)とは、それぞれの仏が住している聖域、理想的な国土のことで、弥勒仏の浄土、薬師如来の浄土などがあるが、単に「浄土」と言った場合は、阿弥陀如来の西方極楽浄土を指すことが多い。浄土曼荼羅とは、「観無量寿経」などの経典に説く阿弥陀浄土のイメージを具体的に表現したものである。この種の作品を中国では「浄土変相図」と称するのに対し、日本では曼荼羅と称している。日本の浄土曼荼羅には図柄、内容などから大きく分けて智光曼荼羅当麻曼荼羅清海曼荼羅の3種があり、これらを浄土三曼荼羅と称している。
  • 垂迹曼荼羅 - 日本の神道の神々は、仏教の諸仏が「仮に姿を変えて現れたもの」だとする思想を本地垂迹説という。この場合、神の本体である仏のことを「本地仏」と言い、本地仏が神の姿で現れたものを「垂迹神」と言う。特定の神社の祭神を本地仏または垂迹神として曼荼羅風に表現したものを垂迹曼荼羅と言う。これにも多くの種類があり、本地仏のみを表現したもの、垂迹神のみを表現したもの、両者がともに登場するものなどがある。代表的なものに熊野曼荼羅、春日曼荼羅、日吉山王曼荼羅などがある。それぞれ、和歌山県の熊野三山、奈良の春日大社、比叡山の鎮守の日吉大社の祭神を並べて描いたものである。
  • 宮曼荼羅 - 本地仏や垂迹神を描かず、神社境内の風景を俯瞰的に描いた作品にも「曼荼羅」と呼ばれているものがある。これは神社の境内を聖域、浄土として表したものと考えられる。この他、仏教系、神道系を問わず、「曼荼羅」と称される絵画作品には多くの種類がある。
  • 法華曼荼羅-法華経の世界を梵字漢字などで表したもの。天台宗真言宗などで用いられる。
  • 大曼荼羅日蓮の発案したもので、題目の周囲に漢字と梵字で釈迦多宝如来などの菩薩仏弟子中国天台宗の先師賢哲、インド・中国・日本の神々などの名号を配置したもの。また中央の題字から長く延びた線が引かれる特徴から髭曼荼羅とも呼ばれる。日蓮を宗祖と仰ぐ諸宗派で本尊として用いられる。

チベットでは、「密教の経典・儀軌に基づく曼荼羅」ではない仏菩薩・歴代の論師宗祖集会(しゅうえ)するツォクシン(ཚོགས་ཤིན། ཚོགས་ཞིང་།)というタイプの仏画がある。仏陀から根本ラマ(རྩ་བའི་བླ་མ་)に至る師資相承の系譜を図示したもので、三世の諸仏・守護神(イダム)・護法神(チューキョン)などがこれを囲繞する。六加行法の第4次第「聖衆の世界の観想」(ཚོགས་ཞིང་གསལ་བདབ་པ་�)に置いて使用される[18][19]

曼荼羅供養の法具としての「曼荼羅」[編集]

 チベット仏教における供養の一種に「曼荼羅供養」があり、この供養に用いられる金銅製の法具も「曼荼羅」と称する。  この供養では、この法具「供養曼荼羅」(もしくはこれを代用する印契)を用いて、十方三世の諸仏に捧げる供物とする。

 供養曼荼羅は、銅の盆と数センチ幅の直系の異なる銅輪3、左記の銅盆上に銅輪3組を用いて盛り付けるための「宝石」(または「洗米」)、頂上におく「勝利の幡」から構成され、須弥山を中心とする全世界を象徴する[20]

脚注[編集]

  1. a b c d e f g 田中 2012, p. 185.
  2. a b 田中 2012, p. 178.
  3. ^ 田中 2012, p. 188-189.
  4. a b 田中 2012, p. 188.
  5. ^ 田中 2012, p. 189.
  6. ^ シタルほか 1995, pp. 60–63.
  7. ^ ボン教の瞑想ガイド - ちいさな瞑想教室”. 2019年4月8日閲覧。マンダラ供養台 - ちいさな瞑想教室”. 2019年4月8日閲覧。
  8. ^ 田中 1987, pp. 54–55.
  9. a b c d e f 田中 2012, p. 100.
  10. ^ 田中 2012, p. 102.
  11. ^ 田中 2012, pp. 102–103.
  12. ^ 田中 2012, pp. 178, 180。.
  13. ^ 田中 1987, pp. 67–69, 152-162。.
  14. ^ 田中 1987, p. 72.
  15. a b 田中 1987, p. 93.
  16. ^ 田中 2012, p. 100,103.
  17. a b c d 田中 2012, pp. 100–101, 103.
  18. ^ 田中 2012, pp. 202–203.
  19. ^ シタルほか 1995, pp. 8–11, 53–57.
  20. ^ 参考写真1(文殊師利大乗仏教会「緑多羅四曼荼羅供」)、参考写真2(カワチェン ネットショップ「銅製マンダラ m 1」)、参考写真3(ダライ・ラマ法王庁「インド・フンスールで秘密集会の灌頂」)

参考文献[編集]

関連項目[編集]

外部リンク[編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