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Transpersonal.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Transpersonal. Show all posts

2021/11/27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1996) Ken Wilber Forward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EDITED BY

BRUCE W. SCOTTON, ALLAN B. CHINEN, AND JOHN R. BATTISTA

=====

CONTENTS

Contributors xi
Acknowledgments xv
Foreword by Ken Wilber xvii

PART I: INTRODUCTION
1. introduction and Definition of Transpersonal Psychiatry 3
Bruce W. Scotton

1. The Emergence of Transpersonal Psychiatry 9
Allan B. Chinen

FART 11: THEORY AND RESEARCH WESTERN PSYCHIATRY AND PSYCHOLOGY

1. William James and Transpersonal Psychiatry 21
Eugene Taylor

1. Freud's influence on Transpersonal Psychology 29
Mark Epstein

1. The Contribution of C. C. Jung to Transpersonal Psychiatry 39
Bruce W. Scotton

1. Abraham Maslow and Roberto Assagioli: Pioneer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52
John R. Battista

7. The Woridview of Ken Wilber 62

Roger Walsh and Frances Vaughan

S. The Consciousness Research of Stanislav Grof 75
Richard Yensen and Donna Dryer

9. Consciousness, Information Theory, and Transpersonal Psychiatry 85
John R. Battista

C ROSS-CULTURAL ROOTS

9. Shamanism and Healing 96
Roger Walsh

9. The Contribution of Hinduism and Yoga to
Transpersonal Psychiatry 104

Bruce W. Scotton and J. Fred Hiatt

9. The Contribution of Buddhism to Transpersonal Psychiatry 114
Bruce W. Scotton

9. Kabbalah and Transpersonal Psychiatry 123
Zalman M. Schachter-Shalomi

9. Transpersonal Psychology: Roots in Christian Mysticism 134
Dwight H. Judy

9. Native North American Healers 145
Donald F. Sandner

9. Aging and Adult Spiritual Development: A Transpersonal View of the Life Cycle Through Fairy Tales 155
Allan B. Chinen

RESEARCH ON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9. Meditation Research: The State of the Art 167
Roger Walsh

9. Psychedelics and Transpersonal Psychiatry 176
Gary Bravo and Charles Grob

9. Parapsychology and Transpersonal Psychology 186
Charles T. Tart

OTHER WESTERN ACADEMIC DISCIPLINES

20. Contemporary Physics and Transpersonal Psychiatry
John R. Battista

20. The Contribution of Anthropology to Transpersonal Psychiatry
Larry C. Peters

20. Western Analytical Philosophy and Transpersonal Epistemology
Allan B. (linen 195


PART III: CLINICAL PRACTICE DIAGNOSIS

20. Diagnosis: A Transpersonal Clinical Approach to Religious and Spiritual Problems
David Lukoff, Francis C. Lu, and Robert Turner 231

24. Offensive Spirituality and Spiritual Defenses 250
John R. Battista

25. The Phenomenology and Treatment of Kundalini 261
Bruce W. Scotton

TRANSPERSONAL PSYCHOTHERAPY

26. Transpersonal Psychotherapy With Psychotic Disorders and Spiritual Emergencies With Psychotic Features 271
David Lukoff

27. Transpersonal Techniques and Psychotherapy 282
Seymour Boorstein

28. Transpersonal Psychotherapy With Religious Persons 293
Dwight H. Judy

29. The Near-Death Experience as a Trans personal Crisis 302
Bruce Greyson

30. Treating Former Members of Cults 316
Arthur J. Deikman

PSYCHOPHARMACOLOGY

31. Psychopharmacology and Transpersonal Psychology
Bruce S. Victor

31. Psychedelic Psychotherapy
Gary Bravo and Charles Grob 327


SPECIAL TECHNIQUES

33. Clinical Aspects of Meditation 344
Sylvia Boorstein

34. Guided-Imagery Therapy 355
William W. Foote

35. Breathwork: Theory and Technique 366
Kathryn J. Lee and Patricia L. Speier

36. Past-Life Therapy 377
Ronald W. Jue

En-llc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37. Transpersonal Psychiatry in Psychiatry
Residency Training Programs 388
Francis C. Lu

38. Toward a Psychology of Human and Ecological Survival:
Psychological Approaches to Contemporary Global Threats 396
Roger Walsh

PART 1V: CONCLUSION

39) integration and Conclusion
Bruce W. Scotton, Allan B. Chinen, and John R. Battista

40. An Annotated Guide to the Transpersonal Literature
John R. Battista 409

=======================

FOREWORD

Ken Wilber


BIOLOGICAL AND MEDICAL scientists are in the midst of intensive 
work on the Human Genome Project, an endeavor to map all of the 
genes in the entire sequence of human DNA. This spectacular project promises to revolutionize our ideas of human growth, development, disease, and medical treatment, and its completion surely will mark one of the greatest advances in human knowledge.

Not as well known but arguably more important is what might be called the Human Consciousness Project, an endeavor well under way to map the entire spectrum of the various states of human consciousness (including realms of the human unconscious as 
well). This project, involving hundreds of researchers from around the world, involves a series of multidisciplinary, multicultural, multimodal approaches that together promise an exhaustive mapping of the entire range of consciousness, the entire sequence of the "genes" of awareness, as it were.

The various attempts amply represented in the following pages are rapidly converging on a "master template" of the stages, structures., and states of consciousness available to men and wome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a variety of multicultural approaches - 
from Zen Buddhism to Western psychoanalysis, Vedanta Hinduism to existential phenomenology, Tundra Shamanism to altered states—the approaches together constitute a master template, that is, a spectrum of consciousness, in which each culture fills some gaps left by others.

Although many of the specifics are still being intensively researched, the overall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this spectrum of consciousness is already so significant as to put it largely beyond serious dispute. The existence of these various structures and states of consciousness is based on careful experimentation and consensual validation; from such gatherings of consensual and documented data, firmly anchored in appropriate validity claims, 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is constructed. This spectrum appears 
to range from prepersonal to personal to transpersonal experiences, from instinctual to egoic to spiritual modes, from subconscious to self-conscious to superconscious structures, from prerational to rational to transrational states. And it is this all-inclusive 
spectrum of consciousness upon which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are primarily based.

The word transpersonal simply means "personal plus." That is, the transpersonal orientation explicitly and carefully includes all the facets of personal psychology and psychiatry, then adds those deeper or higher aspects of human experience that transcend the ordinary and the average experiences that are, in other words, "transpersonal" or "more than the personal," personal plus. Thus, in the attempt to more fully, accurately, and scientifically reflect the entire range of human experience,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take as their starting point the entire spectrum of consciousness.

In the following chapters you will see the most important approaches to this spectrum outlined. You will also see the diverse methodologies that have evolved to address (and assess) the different dimensions of this spectrum, including empiricism, phenomenology, representational models, hermeneutical interpretations, meditative states, and so on, yet all oriented toward careful verification and justification procedures. The transpersonal orientation in all cases is geared toward consensual evidence that can be confirmed

or rejected by a community of the adequate (the all-important fallibist criterion for genuine accumulation of knowledge).

You will see that this spectrum develops. Like all complex living systems, 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grows and evolves; it moves, in the most general sense, from subconscious to self‑conscious to superconscious modes, or prepersonal to personal to transpersonal capacities. And you will see some of the more important models that have been proposed to account for this extraordinary growth and development of human consciousness.

Precisely because 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develops, various "misdevelopments" can occur at any stage of the unfolding. As with any living entity, pathology can occur at any point in growth. Thus, 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is also a spectrum of different

types of possible pathologies: psychotic, borderline, neurotic, cognitive, existential, spiritual. And, as you will clearly see,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have developed a sophisticated battery of treatment modalities that address these different types of pathologies.

Because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are dedicated to a careful and rigorous investigation into the entire spectrum of consciousness, they naturally find themselves allied with other transpersonal approaches, ranging from transpersonal ecology to

transpersonal philosophy, transpersonal anthropology to transpersonal sociology. And the following pages reveal an impressive collection of essays touching on these various fields. The point, of course, is that if the entire spectrum of consciousness is accurately

acknowledged and taken into account, it will dramatically alter each and every discipline it touches. And this, indeed, is part of the extraordinary interest and excitement that the transpersonal orientation has generated in numerous disciplines.

The editors of this book—Bruce Scotton, Allan Chinen, and John Battista—have done a superb job in presenting a balanced, thoughtful, and inclusive cross-section of virtually every aspect of transpersonal studies, with appropriate emphasis, of course, on the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dimensions. It is a brilliant and pioneering effort that will no doubt become an indispensable standard in the field, for which the editors deserve the highest praise. It is such remarkable inclusiveness that especially announces the transpersonal orientation. If nothing human is alien to me, then neither should it be alien to our sciences of the mind, the soul, the psyche, the possible human. How could orthodox psychology ignore, dismiss, or pathologize the fu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How could positivistic science reduce it all to a pile of sensory matter?

Looking deeply into our world, into ourselves, into our brethren, is there really nothing more to be found than a bunch of material atoms hurling through the void? Is there not more in heaven and earth than is dreamt of in that philosophy? Are there not depths and heights that awe and inspire, that bring us to our knees, that stun us with the beauty of the sublime, the radiance of the real, the truth and goodness of a spiritual domain that outshines our loveless ways? Are these not part of the extraordinary spectrum of human possibilities?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are dedicated to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decidedly more than conventional approaches assume; that 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is vast indeed, that there is in fact a "personal plus." And, in addition to the undeniable importance of biological psychiatry and personal psychology, it is the nature of that plus, that depth, that height, that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are dedicated to exploring.

2021/11/20

스티브 테일러: 조화로움 - Back to Sanity 2012

알라딘: 조화로움

조화로움 - 불안과 충동을 다스리는 여덟 가지 방법   
스티브 테일러 (지은이),윤서인 (옮긴이)
불광출판사2013-07-19
원제 : Back to Sanity (2012년)

- 절판 확인일 : 2018-03-27

책소개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영성 전문가로 꼽히는 스티브 테일러는 우리가 느끼는 불안을 휴머니아(Humania)라는 증상으로 설명한다. 현대인이 불안과 권태, 불만에 빠져 ‘내게 무언가 문제가 있다’는 느낌을 안고 사는 이유도 바로 휴머니아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우리의 마음이 언제나 불안하고 부산스러운 상태에 놓인 것만은 아니다. 우리는 등산을 할 때나 좋아하는 음악을 들을 때, 수영이나 요가를 할 때, 시골길을 산책할 때 가끔 실체를 알 수 없는 어떤 경이로움을 느낀다. 마음속에 고요와 평화가 가득 차는 이 상태를 ‘존재의 조화로움’이라고 부른다.

<조화로움>은 우리가 고질적으로 안고 있는 불안과 충동이 어디에서 비롯하는지 또 이를 다스릴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가끔 잠깐씩 경험하는 조화로운 마음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도록 우리를 이끌어 준다.


목차
서문 외계인 인류학자가 우리를 관찰한다면

PART1. 인간의 불안과 충동
1. 우리는 왜 날마다 바쁠까
2. 한순간도 조용할 틈이 없는 마음
3. 정신을 빼앗고 현실을 가리는 것들
4. 지금 이 순간을 즐기지 못하는 사람들
5. 더 많이, 더 높게, 더 크게
6. ‘우리’와 다르면 틀렸다고 믿는다
7. 심리적 고통에 쉽게 무너지는 사람들
8. 불안과 충동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PART2. 조화로움과 온전한 정신
9. 우리는 가끔 조화로움을 경험한다
10. 마음 공간에 머물기: 치유의 1단계~ 4단계
11. 조화로운 마음 키우기: 치유의 5단계~ 8단계
12. 새로운 나, 새로운 세계

주석
참고문헌 및 자료
===

책속에서
P. 20 당신은 장시간 지하철을 타고 출근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다. 특별히 하는 일 없이 그저 창밖을 보며 시간을 보낸다면 당신은 즉시 불안을 느낀다. 온갖 것에 관해 걱정할지도 모른다. 지하철이 늦을지도 모른다든지, 오늘 있을 회의나 모임이 엉망으로 끝날 거라든지, 배우자와의 관계가 어긋나고 있다든지 하는 걱정에 휩싸인다. 그래서 당신의... 더보기
P. 40 우리는 불완전한 자신을 완성하기 위해 항상 뭔가를 원한다. 이런 외로움과 불완전감 때문에 우리는 이 세상이 내 집처럼 참으로 ‘편안하다’고 느끼지 못하고 다소 떠돌고 있는 느낌을 받는다. 줄곧 세계 곳곳을 돌아다녀서 더 이상은 어디에도 안주하지 못하는 떠돌이 같다.
…한순간도 조용할 틈이 없는 마음
P. 62 만족을 얻으려면 우리 자신이 아니라 상황을 바꾸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집을 다시 꾸미고 부엌을 뜯어고치고 카펫을 새로 사고 차를 바꾸고 헤어스타일과 옷을 바꾼다.
이런 것으로 잠깐 행복할 수는 있다. 하지만 불만은 그런 외적 변화에는 꿈쩍도 하지 않은 채 우리의 내부에 여전히 존재하며 곧바로 다시 떠오른다.
... 더보기
P. 77 아침에 샤워를 할 때 당신은 현재에 살 수 있다. 생각에 골몰하지 말고 지금 이 순간에 당신이 느끼는 감각에 주의를 기울여라. 피부에 닿으며 몸을 따라 흘러내리는 따뜻한 물을 느끼는 것이다. 음식을 먹을 때도 현재에 살 수 있다. 신문이나 잡지를 훑어보거나 옆 사람과
수다를 떠는 대신 음식의 냄새와 맛, 그것을 씹고 삼키는... 더보기
P. 123 원주민들은 자연을 존중한다. 자연이 살아 있음을 감지하고 자연과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연의 모든 것을 느낀다. 동물만이 아니라 식물과 바위, 지구 자체가 단순히 사물이 아니라 그들 자신과 똑같이 창조의 그물망을 이루는 생명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들은 동물과 식물과 지구와 ‘함께 느낀다.’ 따라... 더보기

====
저자 및 역자소개
스티브 테일러 (Steve Taylor) (지은이) 

영국의 리즈 베켓 대학교에서 부교수로 학생들에게 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어릴 때 ‘자연스러운’ 깨달음을 경험하고 방황한 끝에, 영적 수행의 길을 걸으면서 동시에 수행과 영성의 본질을 이성적·학문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병행해 왔다. 그의 연구는 《자아초월 심리학 저널(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인본주의 심리학 저널(The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을 포함한 여러 학술지에 실렸고, 《가디언》, BBC와 같은 유력 매체에 특별 보도되기도 했... 더보기
최근작 : <마음의 숲을 걷다>,<보통의 깨달음>,<조화로움> … 총 101종 (모두보기)

====
윤서인 (옮긴이) 

심리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같이 일하고 싶은 여자』, 『내가 나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지불된 어텐션』, 『가든 트래블』, 『공간의 위로』, 『삶에서 깨어나기』, 『분노를 다스리는 붓다의 가르침』, 『스톤밸런싱』 등이 있다.
최근작 : … 총 16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외계인 인류학자가 지구의 인간을 관찰한다면 이렇게 부를 것이다.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그리고 ‘현재에 살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라고

‘하루 빨리 쉬고 싶어’라고 주말을 손꼽아 기다리지만 막상 일요일 오전이 오면 무료함에 치를 떤다. 우리는 정류소에서 버스를 기다리거나, 주전자에 올린 물이 끓기를 기다리는 순간조차 지루해한다. 그래서 스마트폰이나 DVD, 만화책 같은 대상에 주의를 쏟으려는 충동을 자주 느낀다.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영성 전문가로 꼽히는 스티브 테일러는 우리가 느끼는 불안을 휴머니아(Humania)라는 증상으로 설명한다. 현대인이 불안과 권태, 불만에 빠져 ‘내게 무언가 문제가 있다’는 느낌을 안고 사는 이유도 바로 휴머니아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우리의 마음이 언제나 불안하고 부산스러운 상태에 놓인 것만은 아니다. 우리는 등산을 할 때나 좋아하는 음악을 들을 때, 수영이나 요가를 할 때, 시골길을 산책할 때 가끔 실체를 알 수 없는 어떤 경이로움을 느낀다. 마음속에 고요와 평화가 가득 차는 이 상태를 ‘존재의 조화로움’이라고 부른다.
『조화로움』은 우리가 고질적으로 안고 있는 불안과 충동이 어디에서 비롯하는지 또 이를 다스릴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가끔 잠깐씩 경험하는 조화로운 마음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도록 우리를 이끌어 준다.

우리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들

결코 모자람 없어 보이는 유명 팝 스타나 최상층 부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마약중독으로 죽는 일이 종종 있다. 비어 있는 스케줄과 오랜 대기 시간이 혼자 있는 그들을 우울과 권태에 빠뜨린다. 우리의 사정도 그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걸 두려워하고 불안해한다.
저자는 인간이 마냥 쉴 수 없고 끊임없이 뭔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일종의 정신 장애라고 말한다. 휴머니아는 이처럼 인간이 앓고 있는 장애를 의미한다. 가만히 있을 때 우리는 마음속에서 꾸물거리는 불안을 느끼지만 그것을 마주하고 싶어 하지는 않는다. 쉬지 않고 움직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개개인은 마치 드넓은 우주에 고립된 행성처럼 공허함을 느낀다. 그래서 우리는 마음속 구멍을 메우기 위해 계속 무엇인가를 추구하고 채우려고 한다. 더 넓은 집을, 더 큰 차를, 더 많은 월급을 원한다. 그러나 목표를 이뤄도 만족은 잠시뿐, 다시 불안해져 더 많이 성취하려는 욕망이 피어난다. 이것이 바로 휴머니아 증상이다.
휴머니아의 또 다른 증상은 끊임없는 생각의 흐름이다. 이 생각들은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마음 이곳저곳 휘젓고 다닌다. 잠을 청할 때 몇 시간 째 뒤척이며 낮에 있었던 사건이나 친구와 나눈 대화, 심지어 길에서 얼핏 들은 노래까지 수많은 생각이 우리를 현재에서 벗어나게 만든다. 어제 실수한 일을 후회하거나 주말에 있을 여행을 생각하며 공상에 빠지는 것도 우리가 현재에 살지 못한다는 증거이다.
이 휴머니아 때문에 우리는 끝없이 움직이고 생각에 휩쓸릴 뿐만 아니라 ‘내’가 아닌 다른 것들에 집중을 한다. 이따금 텔레비전만 서너 시간 보았을 뿐인데 진이 다 빠져버릴 만큼 휴머니아는 우리의 정신 에너지를 필요 이상으로 소모한다.

게으른 사람이 아니라 느긋한 사람

하지만 전통 생활 방식을 따르는 원주민이나 순수한 어린아이는 휴머니아 증상이 없는 것 같다. 황금에 눈이 멀어 자연을 파괴하는 원주민이나 당장 내일 있을 발표회 때문에 잠을 설치며 걱정하는 아이는 찾아보기 힘들다. 미국의 한 인류학자는 아마존 지역에 살고 있는 파다한 인디언들과 생활한 뒤 “그들은 우울증이나 만성피로, 극단적 불안 등 현대인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정신 질환의 증후를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호주나 폴리네시아의 원주민들은 특별히 하는 일 없이 조용히 있으면서도 불만이나 불만, 욕구를 전혀 느끼지 않는다.
원주민들이 휴머니아를 겪지 않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들에게는 우리와 다르게 불안에 쫓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지구, 자연, 동식물, 타인과 ‘나’를 따로 떼어 생각하지 않는다. 너와 나의 구분이 없으므로 당연히 소유나 재산에 대한 개념도 없다. 세상과 떨어진 ‘나’가 아니기 때문에 고립과 결핍을 느낄 필요가 없으며 그래서 그들에게서 휴머니아를 찾아보기란 힘들다.
꼭 원주민이 아니어도 휴머니아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하는 일이 없다고 지루해하거나 외로워하지 않는다. 텔레비전 시청보다는 독서를 선호하고 정원 가꾸기나 산책, 요리와 같이 차분한 활동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그들의 마음은 더없이 평화롭기 때문에 ‘내’가 아닌 다른 것에 에너지를 소비할 일이 없다. 하지만 휴머니아 상태에서 벗어나 비교적 느린 삶을 사는 게 어떤 특별한 능력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불안을 마음대로 잠재울 수 있는 능력

늘 같은 자리에 있던 나무가 어느 날 불현듯 더욱 생생한 녹색 잎으로 빛나는 때가 있다. 달리기를 할 때 오직 달리는 동작만 남고 모든 생각과 감정이 사라지는 순간이 있다. 그다지 기뻐할 일이 없는데도 기분이 좋은 날이 있다.
이런 경험은 아주 드물지만 누구나 한 번쯤은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이런 순간에 우리가 ‘존재의 조화로움’을 경험한다고 말한다. 조화로운 상태에서는 마음에 머물러 있어도 달아나려고 하거나 불편하지가 않다.
생각이 우리를 덮쳐 아예 다른 곳으로 데려가고 우리의 주의를 자꾸 빼앗는다 하더라도, 우리가 노력만 한다면 조화로움을 지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저자는 그 방법을 여덟 단계로 소개한다.

첫째, 내 마음을 들여다보는 연습을 한다.
둘째, 과거에 겪은 아픈 상처가 있다면 재체험을 통해 트라우마에 직접 부딪친다.
셋째, 생각과 감정에 집착하지 말고 생각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넷째, 부정적인 사고 대신 긍정적인 믿음을 갖는다.
다섯째, 봉사활동을 통해 공감 능력을 키우고 혼자라는 고립감에서 벗어난다.
여섯째, 우리 주변이 아닌 마음속 자아를 만나는 일에 노력을 기울인다.
일곱째, 규칙적으로 명상을 한다.
여덟째, 고요와 고독과 침묵의 시간을 즐기며 진정한 자아를 만나 본다.

이 가운데 특히 명상은 우리의 병든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다시 말해 휴머니아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실제로 명상을 지속적으로 한 사람은 긍정적인 감정과 관련된 뇌 영역의 움직임이 활발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래서 우리가 규칙적인 명상 습관을 잘 들이면 생각의 흐름에 방해받아 불안과 불만을 감지해도 예전과 다르게 마음이 크게 어수선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불안을 다스릴 수 없고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자연스러운 감정이라고 믿지만, 스스로 휴머니아를 치유할 수 있다. 생각에 휘둘려 정신적 에너지를 소모할 필요가 없으며 조화로운 상태에서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책에 소개된 방법을 통해서 지금보다 조금 덜 바쁘고, 덜 복잡하게 살아간다면 그리고 그렇게 살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한다면 우리 마음은 분명 평화로워질 것이다.
====
북플 bookple

평점분포    9.8
전체 (2)
공감순 
     
존재의 조화로움을 알게해주는 책, 덜 복잡하게 덜 바쁘게 사는 8단계의 지침이 있어서 휴머니아(불안, 두려움)을 치유할 수 있도록 안내되는 책. 
flower 2013-08-28 공감 (0) 댓글 (0)
---
     
부시시한 모습의 나를 비추는 거울같았던 글. 불쾌했지만 맞는말들이었다. 다소 무거운 성찰이지만 언젠가는 우리모두 알아야할 내용. 
다이브 2014-01-28 공감 (0) 댓글 (0)
=====
리뷰쓰기

우리는 일을 하면서 너무 힘이 들어 “하루 빨리 쉬고 싶어”라고 주말을 손꼽아 기다리지만, 막상 일요일 오전이 오면 특별히 할 일이 없어 빈둥거린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어색해 어쩔 줄을 모른다. 조금이라도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면 불안해하며 무엇이든 집중할 거리를 찾는다.

 

이번 휴가를 맞아 나는 <조화로움>이라는 책을 읽었다. 나는 새벽에 일어나 조용한 공원길을 산책 하는데 그럴 때는 가끔 실체를 알 수 없는 어떤 경이로움을 느끼게 된다. 마음속에 고요와 평화가 가득 차는 이런 상태를 ‘존재의 조화로움’이라고 부른다.

 

이 책은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영성 전문가로 꼽히는 저자 스티브 테일러가 우리가 고질적으로 안고 있는 불안과 충동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또 이것을 다스릴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저자는 우리가 느끼는 불안을 일종의 정신적 장애인 휴머니아라는 증상으로 설명한다. 누구나 그럴 수 있는 당연한 일이 아니라, 질병이라는 것이다. 현대인들이 불안과 권태, 불만에 빠져 자신에게 무언가 문제가 있다는 느낌을 안고 사는 이유도 바로 이 휴머니아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이 책에서는 ‘조화로움’을 지속적으로 경험할 여덟 단계를 소개한다. 첫째는 내 마음을 들여다보는 연습이고, 둘째는 과거에 겪은 아픈 상처가 있다면 재체험을 통해 트라우마에 직접 부딪치라는 것이고, 셋째는 생각과 감정에 집착하지 말고 생각을 줄이라는 것이고, 넷째는 부정적인 사고 대신 긍정적인 믿음을 갖이라는 것이고, 다섯째는 봉사활동을 통해 공감 능력을 키우고 혼자라는 고립감에서 벗어나라는 것이고, 여섯째는 주변이 아닌 마음속 자아를 만나는 일에 노력을 기울이라는 것이고, 일곱째는 규칙적으로 명상을 하라는 것이고, 여덟째는 고요와 고독과 침묵의 시간을 즐기며 진정한 자아를 만나 보라는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아마존 지역에 살고 있는 인디언들에게서는 우울증이나 만성피로, 극단적 불안 등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정신 질환 증후를 보이지 않는다고 말한다. 또한 호주나 폴리네시아의 원주민들이 하는 일 없이 조용히 있으면서도 불만이나 욕구를 느끼지 않는 것도 같다.

 

책이 지목한 원주민들이 휴머니아를 겪지 않는 이유는 ‘타인과 나’를 따로 떼어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지구, 자연, 동식물도 포함해 ‘너와 나의 구분’이 없으므로 당연히 소유나 재산에 대한 개념도 없고, 세상과 떨어진 ‘나’가 아니기 때문에 고립과 결핍을 느낄 필요가 없으므로 원주민에게서 휴머니아를 찾아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원주민들이 휴머니아를 겪지 않는다고 해서 그들이 우리보다 우월한 것은 아니다.

 

저자는 휴머니아를 치유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명상을 들고 있다. “사실 휴머니아 치유, 즉 심리적 부조화를 없애서 존재의 조화로움을 경험하게 해 주는 것이 명상의 궁극적 목표라고 말할 수 있다. 대체로 명상은 특정 대상에 주의를 모으는 것을 의미한다.”(p.186)고 했다.

 

이 책에 소개된 방법을 통해서 지금보다 조금 덜 바쁘고, 덜 복잡하게 살아간다면 그리고 그렇게 살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한다면 우리 마음은 평화로워질 수 있다. 이 책을 고질적인 불안과 충동에 시달리는 분들에게 읽기를 권한다.

- 접기
다윗 2013-08-26 공감(1) 댓글(0)
Thanks to
 =====
공감
     
조화로움 
불광출판사
스티브 테일러 지음
윤서인 옮김

 

마음이 심란하니 하는 일 모두가 다 짜증이나고 집중을 할수가 없습니다. 어디 좋은 방법이 없나 싶어서

책을 찾았지만 하려는 마음이 없으니 그냥 글만 읽고 있습니다. 몸보다 마음이 바쁜 나에게 이보다 좋은 책은 없다 싶어서 집어들었으나 진도가 쉽게 나가진 않습니다. 몸을 좀 혹사하면 편할까 싶지만 괜히 실수만 하여 피를 보고야 맙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연으로 나가봐라 그러면 편안해 질것이라고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인디언은 인간과 주위 환경사이에 조화로움을 추구하며 백인은 환경을 지배한다. 인디언에게 세상은 아름다움이지만 백인의 세상은 죄악과 추악함으로 가득하다른 말이 있다. 생각의 차이가 이렇게 큰 차이를 보인다. 나는 어느 쪽인가 생각해 본다.

문화적 차이이도 있겠지만 깊은 생각에 빠진 사람을 쓸데없는 것에 힘을 뺀다고 생각한다. 몸으로 움직이여 행동하라고 가만히 있는 것을 게으르다고 표현을 한다. 우울감이 찾아오며 삶의 의지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휴머니아 상태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통과 괴로움의 원인으로 평소에 우리의 마음이 부조화 상태에 있음을 의미하는것을 말한다. 불행히도 우리는 그 상태가 정상으로 생각한다.

불안과 충동을 다스리는 여덞가지 방법이나 있는데 나에게는 무엇이 맞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전에 전제 조건이 있다. 질환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자신의 증상을 추적하여 특정 원인을 찾을 수 있음을 인식하고 그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 휴머니아가 문제임을 인정하고 그 질환과 직면할 용기를 갖는 것이다. 스스로 문제점을 인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에 마음을 단단히 잡아야 할듯하다.

내안의 들여다보라는 것이 첫번째인데 내안을 어떻게 들여다보나 싶지만 어렵지 않다. 조화로움을 유도하는 스포츠(달리기,수영, 등반등), 시골길산책, 안기연주, 무용, 글쓰기, 그림그리기등 집중할수 활동이라면 좋다.

하지만 명상은 적절치 않다.

부정적인 생각벗어나기는 남편에게 권해 본적이 있다. 나보다 예민하고 나보다 부정적인 사람이다.콤플렉스, 징크스도 많다. 그러면 다른쪽으로 시선을 바꾸어 보라고 하지만 쉽게 되지는 않는듯하다. 인지적 습관은 뿌리가 깊어 소심함, 조바심, 불안, 불신등을 표출된다. 이런 특성을 무마하기 위해서 오만, 나르시시즘, 고압적인 성격이 나타난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물한잔을 보고도 '이것밖에 안 남았네'와 '이만큼이나 남았네' 하는 것만 생각해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인지치료라는 방법이 있으니 전문가와 함께 한다는 것을 잊지 않길 바란다.

무엇이든 시작이 어렵다. 야채를 썰었으면 간을 하고 볶던지 튀지던지 해야한다. 자기의 문제점을 찾아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의외로 세상은 우리에게 팔을 벌리고 있다는 점 잊지 말길 바란다.

람보팅이 2013-09-11 공감(1) 댓글(0)
===
     
조화로움

‘조화로움’ 이 얼마나 근사한 말인가. 조화롭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하는 내 모습이 안타까웠다. 과연 무엇이 문제인걸까 고민하던 차에 이 책을 만났다. 내가 조화롭게 살지 못하는 것은 ‘불안’ 때문이었다. 나는 늘 불안하다고 느끼면서도 구체적으로 무엇이 날 불안하게 만드는지 알지 못했다. 저자는 이렇게 불안을 느끼게 하는 이것을 태어날 때부터 내재되어 있는 광기라고 했다. 그리고 이것을 정신장애라고 표현하며 ‘인간의 광기’라는 의미에서 ‘휴머니아’라고 불렀다. 때론 ‘에고 광기’라고 칭하기도 했다. 휴머니아는 에고의 발달 이상과 오기능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다. 여기서 에고란 우리에게 개별적인 존재라는 느낌을 부여하는 ‘자아 체계’를 의미한다. 즉 휴머니아는 고통과 괴로움의 원인이고, 이로 인해 평소에 우리의 마음이 부조화 상태에 있는 것이다. 허나 불행하게도 우리는 그 상태가 정상이라고 믿으면서 그것이 존재하는 줄도 모르고 살고 있지만, 심리적 부조화는 우리에게 수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것은 우리가 항상 자신의 밖으로만 주의를 돌리고 삶을 끝없는 활동과 오락으로 채우게 강요한다. 또한 우리가 결코 만족하지 못하게 만들고, 인간관계에 불화도 일으킨다. 하지만 휴머니아는 뿌리가 깊지도 않고 영구적이지도 않다. 그래서 평소 심리적 부조화가 말끔히 사라져서 편안하고 행복하고 조화로운 느낌이 드는 순간을 누구나 정기적으로 경험한다. 이때 ‘존재의 조화로움’을 경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시골길을 산책하고 있을 때, 말없이 손작업을 하고 있을 때, 음악을 듣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명상이나 요가가 끝난 뒤에 그러하다. 이러한 조화로움과 온전한 정신은 우리 내부에 항상 존재하고 있지만, 문제는 마음의 표층에 자리한 부조화에 가로막혀서 그 밑으로 들어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쯤에서 이 책은 두 가지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휴머니아를 검토하고 그 특징과 원인을 알아보는 것, 둘째는 휴머니아 치유이다. 두 가지 목표 중 첫 번째 목표인 휴머니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나는 책을 읽다가 여러 번 멈추었고, 나를 돌아보며 생각하게 되었다. 내 안에 있는 휴머니아를 보게 되었기 때문이다. 도중에 책 읽기를 포기하고 싶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책을 끝까지 놓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 책의 둘째 목표, 휴머니아 치유를 위한 방법을 확인하고 싶어서였다. 휴머니아 치유를 위한 방법은 여덟 단계로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내가 이 글에서 언급하고 싶은 것은 여덟 단계 이전에 해야 할 두 가지 전제조건이다. 휴머니아 치유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어떤 장애나 질환이든 이 두 조건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첫 번째는 그 질환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신의 증상을 추적하여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휴머니아와 관련해서 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이 책을 통해서 휴머니아의 문제성을 깨달았기 때문에 나는 이 부분에 동의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전제 조건은 휴머니아가 문제임을 인정하고 그 질환과 직면할 용기를 갖는 것이다. 심각한 병에 걸렸을 때를 예로 들면 이해가 쉬울 거라 생각한다. 곤란한 현실을 단순히 외면하거나 심각하지 않다고 우기거나 때론 그것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않으려고 한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두려움을 이겨 내지 못하고 억압할 뿐이다. 나또한 그동안 휴머니아를 인정하기는 했지만, 막상 직면해 원인을 찾는 것은 꺼려왔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더 이상은 그것을 외면하거나 미루지 않겠노라 다짐하게 되었다. 책을 읽으며 의도하지 않았지만 자꾸만 나 자신을 바라보게 됐다. 물론 때때로 책 내용이 어렵다는 핑계를 대면서 책을 덮어버리기도 했고, 내 문제를 다시 외면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이 책을 끝까지 다 읽을 수 있었던 이유는 잠깐씩이지만 만나게 된 내 안의 조화로움 때문이었다. 그 느낌이 참으로 편안했기에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다. 앞으로 저자가 제시한 여덟 단계의 과정을 하나씩 따라해 볼 생각이다. 그러다보면 내가 원하는 진짜 내 모습으로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가지면서 말이다.

- 접기
열정종열 2013-10-09 공감(1) 댓글(0)
===
     
평화롭기를

"우리는 우리에게 속하지 않은 시간 속에서 방황한다"

파스칼의 말이다.

지난 일요일 누군가가 한 말로 모욕당했다며 되새김질하는 내가 여기 있다.

남편의 말과 행동이 나는 무시하는 것이라며 화내는 나도 있다

저자는 이것을  수다스런 생각에 빠진 인지부조화라고 이름 붙이고 그 상태에서 벗어나기를 제안한다.

 수다스런 생각에서 벗어나면 인지적 부조화가 사라진다고 한다.

마음의 표층은 수다스런 생각의 야단법석과 부정성으로 어수선하지만 그 밑에는 고요와 행복으로 충만한 드넓은 공간이 있음을 우리는 알아차린다. 마음의 표층은 거친 바다처럼 우리를 마구 뒤흔들어 우리는 방향감각을 잃고 불안해한다. 하지만 바다 밑으로 깊이 들어가자마자 한순간에 무한한 침묵과 고요로 충만한 넓을 공간이 나타난다. -191p
마음이 어지러운 날 그 마음이 좀 가라앉는다.
다시 어지러워 힘든 날이 온다 해도 가라앉힐 방법이 있다는 것은 힘이 되겠지

- 접기
찐빵 2013-12-11 공감(0) 댓글(0)
===
     
조화로움의 길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영성 전문가이자 심리학자인 저자 스티브 테일러는, 현대인이 불안과 권태, 불만에 빠져 ‘내게 무언가 문제가 있다’는 느낌을 안고 사는 이유가 바로 휴머니아 때문이라고 말한다. 휴머니아는 고통과 괴로움의 원인으로, 평소에 우리의 마음이 부조화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 심리적 부조화가 현대인으로 하여금 항상 자신의 밖으로만 주의를 돌리고, 삶을 끝없는 활동과 오락으로 채우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휴식한다는 명목으로 TV 리모컨을 계속 돌리면서 지금 마음에 와 닿은 내용이 없으면서도 TV를 꺼지 못하는 나 자신을 발견할 때가 많다. 알면서도 혼자 있는 시간을 없애기 위해 외부에 의존하려는 순간을 자주 경험한다. 코드 하나 빼내면 어둠 뿐인 기계를 들여다보면서 얼마나 아까운 시간을 허비하고 있는지 모른다. 인터넷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휴대폰이나 차가운 금속성에 중독된 현대인들의 공통된 불안 병을, 이 책의 저자가 독자들을 자각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현대인들에게 많은 공감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휴머니아’라는 말이 생소했지만 분명 내 안에도 휴머니아가 존재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존재의 조화로움’을 경험하기 위해, 저자가 제시하는 휴머니아를 치유하는 방법은 마음에 깊이 와 닿았다.

왜냐하면 많은 것을 누리고 사는 현대인들이 결코 행복하지만은 않은 이유가 활동에 치중되어 자신의 내면과 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내면과 직면했을 때의 두려움과 혼자 있을 줄을 몰라서 오락이나 마약 등에 중독되기도 한다는 여러 가지 예화를 읽으면서 공감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의 마음이 언제나 불안하고 부산스러운 상태에 놓인 것만은 아니다. 가끔 좋아하는 음악을 들을 때나 요즘처럼 아침 저녁으로 풀벌레소리에 귀를 기울일 때, 의식적으로 호흡에 집중하고 있을 때, 조금씩 편안해지고 어떤 경이로움을 느낀다. 마음속에 고요와 평화가 가득 차는 이 상태를 ‘존재의 조화로움’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 <조화로움>은 우리가 고질적으로 안고 있는 불안과 충동이 어디에서 비롯하는지 또 이를 다스릴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가끔 잠깐씩이나마 경험하는 조화로운 마음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고 우리를 이끌어 준다.

누구나 마음 속에 가지고 있는 휴머니아를 치유하면, 조화로운 마음 상태가 된다. 책에서 소개하는 여덟 가지 방법을 통해 우리는 마음을 치유함은 물론, 본인의 마음을 현재에 머물게 하며 온전한 정신을 유지하고 행복한 삶으로 이끌어준다.


<휴머니아를 치유하고 존재의 영원한 조화로움에 이르는 방법>

1. 내부로 주의 돌리기; 자신의 내면, 즉 마음공간에 편안하게 머물기

2. 트라우마 치유하기; 자신의 심리적 부조화와 직면하기 위해 트라우마 치유하기

3. 생각에서 물러나기; 생각의 탈동일시. 즉 생각의 흐름에 흽쓸리지 않고 관찰한다.

4. 부정적인 사고방식 바꾸기;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긍정적인 믿음으로 대체한다.

5. 봉사하기; 봉사를 성장 훈련으로 삼는 것이 중요. 봉사는 자신을 치유하는 길이다

6. 의식적으로 주의 기울이기; 일상에서 ‘의식적인 주의’, 즉 알아차림을 연습한다.

7. 규칙적으로 명상하기; 명상은 치유에 꼭 필요한 기법으로 하루 한 번 이상 20~30분씩.

8. 고요와 고독과 침묵의 시간 갖기; 활동적으로 살면서도 침묵과 고독의

        '은둔’을 즐기고, 느리고 단순하게 사는 것이 조화로움을 경험하는 길이다




- 접기
flower 2013-08-28 공감(0) 댓글(0)
Thanks to
 
====
Back to Sanity: Healing the Madness of Our Minds 
by Steve Taylor  (Author)  Format: Kindle Edition
4.3 out of 5 stars    72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4.09

Have you ever thought that there might be something wrong with human beings, even that we might be slightly insane?

Why is it that so many human beings are filled with a restless discontent, and an insatiable desire for material goods, status and power? Why is it that human history has been filled with endless conflict, oppression and inequality?

In this ground-breaking and inspiring book, Steve Taylor shows that we do suffer from a psychological disorder, which he refers to as humania, or ego-madness. This disorder is so close to us that we don't realize it's there, but it's the root cause of all our dysfunctional behaviour, both as individuals and as a species.

Back to Sanity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a, where it stems from and how it leads to the madness of materialism, status-seeking, warfare, inequality and other symptoms of our insanity. But equally importantly, Back to Sanity shows how we can heal this mental disorder and allow the fleeting moments of harmony that we all experience from time to time to become our permanent state of being.
=
297 pages
======
Review
'Steve Taylor's acute mind is imbued at all times with the higher faculty of spiritual awareness.'
Eckhart Tolle.


A book with a massive scope which opens our eyes to a new way of understanding the world, and is also a pleasure to read.
(Christopher Ryan, Author Of The New York Times Bestseller Sex at Dawn )


Insightful, confronting and liberating... I recommend Steve Taylor's brilliant new book to everyone. It is destined to be a modern classic.
(Robert Holden Phd, Author Of Shift Happens! )


Taylor is right: humans are mad as cheese. Back to Sanity shows us how to make a sandwich out of our madness and enjoy the meal.
(Oliver James, Author Of Affluenza And Contented Dementia )


'For page after page as I read this book, I kept saying inwardly to myself, "Yes... Yes!" over and over...'Back to Sanity' continues Steve Taylor's admirable series of books nudging us -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 towards wisdom and enlightenment. We should all hope that sales are massive, and that huge numbers of people take their contents to heart.' The Network Review
--This text refers to the paperback edition.
===

About the Author
Steve Taylor is a lecturer in psychology at Leeds Metropolitan University and the bestselling author of several books on spirituality and psychology, including The Fall, Waking from Sleep and Out of the Darkness. He lives in Manchester with his wife and three young children. --This text refers to the paperback edition.
===
Word Wise ‏ : ‎ Enabled
Print length ‏ : ‎ 297 pages===
Follow
Steve Taylor
Steve Taylor is the author of The Clear Light, Spiritual Science, The Leap, The Calm Center and several other books on psychology and spirituality. Eckhart Tolle has described his work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global shift in consciousness.' Steve is a senior lecturer in psychology at Leeds Beckett University in the UK. He is the chair of the Transpersonal Psychology Section of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For the past nine years, he has been included in Mind, Body, Spirit magazine's list of 'The 100 most spiritually influential living people.' For more information see www.stevenmtaylor.com
======
Customer reviews
4.3 out of 5 stars
===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Mrs. P. F. Osullivan
5.0 out of 5 stars a MUST buy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6 June 2015
Verified Purchase
Reading this book has allowed me to see so many things I needed to see, it has given me scope to think on things that allow me to stop the constant chatter of my mind, it is a book I have found hard to put down. I am an avid follower of Eckhart Tolle and in my opinion Steve Taylor come close second, I read his book The Fall 4 years ago.. or should I say I purchased his book and although I read it it never sunk in and the reason was I was not ready to receive the message, now I am and I have re ordered the Fall and also The waking from sleep book which again I had purchased previously but was not ready for the messages so wisely written in the books from Steve Taylor. I would recommend this book Back to Sanity to everyone as he shows how we became the society which does not seem to calm down and stop reacting and doing and how to find peace again . Cannot praise this book more.. buy it and see for yourself. Thank you Steve Taylor.
6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Gerald Moses R.
5.0 out of 5 stars Great.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8 March 2021
Verified Purchase
It's an interesting book to read.
One person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Josh H.
5.0 out of 5 stars my mental mind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4 May 2020
Verified Purchase
An insightful outlook on humanity, it was very helpful to improve my mental mind. Thanks Steve!
2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Kindle Customer
5.0 out of 5 stars Great book, worth reading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22 October 2021
Verified Purchase
great book, well written and interesting. recommended for those looking for a calming headspace in a tumultuous and stressful world
Report abuse
Bluebell
5.0 out of 5 stars Will be byeing more of his books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13 March 2019
Verified Purchase
Bloody amazing.
Love the way he explains it all.
3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abuse


2021/11/18

알라딘: 보통의 깨달음 스티브 테일러 The Leap: The Psychology of Spiritual Awakening

알라딘: 보통의 깨달음


보통의 깨달음   
스티브 테일러 (지은이),추미란 (옮긴이)판미동2020-11-18
원제 : The Leap: The Psychology of Spiritual Awakening (2017년)
==
508쪽
==
책소개

깨달음은 종교인이나 구도자에게만 일어나는 특별한 일일까? 깨달았다는 영적 지도자들은 왜 잘못된 행동을 저지르는 것일까? 생태·환경운동, 채식주의, 심플라이프 등 사회적 관심과 변화는 깨달음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깨달음이 보통 사람들에게도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라면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깨달음’을 종교와 수행의 관점이 아닌 보편적인 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해 보통 사람들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깨어남 현상의 실체를 밝히는 『보통의 깨달음』이 판미동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세계적인 영성가 에크하르트 톨레가 읽고 찬사를 보내며 자신의 이름을 내건 ‘에크하르트 톨레 에디션(Eckhart Tolle Edition)’으로 출간한 책이다.

저자 스티브 테일러는 영국 리즈 베켓 대학교의 심리학과 부교수이자 세계에서 가장 영향 있는 생존 영성가 100인 안에 꾸준히 선정되어 온(《MIND, BODY, SPIRIT》지 선정) 인물로, 그 자신도 영적 수행의 길을 걸어가는 동시에 영성의 본질을 이성적·학문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병행해 왔다. 오랜 연구와 취재의 결과물이 집약된 이 책에는 깨어남을 촉발하는 원인들 / 자연적 깨어남, 단계적 깨어남, 급작스러운 깨어남 등 깨어남의 여러 형태 / 깨어날 때 우리 존재나 정신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들 / 깨어난 사람의 세계관, 인간관계, 가치관, 삶의 목적 / 사기꾼 구루와 진짜 깨어난 사람의 차이점 등이 상세히 담겨 있다.
==
목차
『보통의 깨달음』을 독자들에게 소개하며 | 에크하르트 톨레 -6

들어가는 말 -14

1장 잠에 빠지다, 깨어나길 열망하다 -31
2장 다양한 문화에서 말하는 깨어남 -53
3장 자연적 깨어남, 깨어난 예술가 -83
4장 자연적 깨어남, 혼란과 통합의 과정 -113
5장 전통 안에서의 단계적 깨어남 -139
6장 전통 밖에서의 단계적 깨어남 -163
7장 급작스러운 깨어남, 혼란 끝의 변형 -191
8장 급작스러운 깨어남, 쿤달리니 각성 -229
9장 급작스러운 깨어남, 향정신성 약물이나 테크놀로지 -249
10장 깨어난 후 찾아오는 영적 위기 ?277
11장 폭풍 뒤에도 남아 있는 특성과 문제적 스승 -309
12장 깨어남의 의미: 새 세상, 새 자아 -325
13장 깨어남의 의미: 새 정신, 새 인생 -355
14장 자연적인 깨어남 상태에 있는 아이들 -389
15장 깨어남에 대한 신화들 -417
16장 집단 깨어남, 그 진화적 도약 -445

감사의 말 -478
부록 | 종교적/일반적 깨어남 특성 항목표 -479
주 -482
참고 문헌 -496
자료 -504

===
책속에서
첫문장
깨어남, 깨어나기 같은 용어를 쓸 때 어디로부터 깨어나는지를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P. 21 사실 이 책을 비롯한 내 연구들의 목적 중 하나가 깨어남 상태의 특성들을 명확히 규명해 가짜 깨달음과 진짜 깨달음을 구분하는 지표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영적 지도자들에 대한 규제가 없기 때문에, 자칭 구루라고 하는 자기 망상에 빠진 사람들이 나약한 신봉자들의 삶을 파괴하는 문제들이 심심찮게 일어난다. 깨어난다는 것이 실제로 어떤 의미인지 명확하게 알고 있다면, 그런 망상에 빠진 사람 혹은 사기꾼 지도자를 좀 더 쉽게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접기
P. 28~29 이 책의 주제인 ‘그 상태’를 설명하는 데 어떤 용어를 써야 할지 오랫동안 고민해 보았다. 처음에는 ‘깨달음(enlightenment)’이라는 말을 고려해 보았지만, 나는 이 말이 늘 조금 불편했다. 원래 불교 용어 보리(bodhi)에서 나온 말인데, 그 번역이 부정확하다는 게 그 한 이유다. 19세기 불교 경전 번역가들이 보리를 깨달음이라고 번역했다. 하지만 보리는 팔리어 동사 부드흐(budh)에서 나온 말로 사실은 ‘깨어난다(to awaken)’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보리를 직역하면 ‘깨어남(awakening)’에 더 가깝다. 게다가 사람들은 깨달음을 모든 문제와 잘못이 사라져 축복만 넘치는 편안한 상태로 보고, 따라서 완벽하게 긍정적인 용어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내가 인터뷰했던 사람들 대다수가 깨달음 후에도 이런저런 문제들을 겪었음을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은 듯하다.  접기
P. 281~282 깨어남은 기본적으로 ‘경험’하는 것인데, 그 상태의 개념적인 이해가 중요하다고 하면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르겠다. 어떤 의미에서 개념적인 이해가 깨어남에 장애가 되는 것도 사실이다. 개념이라는 것이 우리로 하여금 세상을 그 자체로 보지 못하게 하므로 결국 우리가 초월하려고 하는 게 아닌가? 흔히 지성, 관념, 믿음 같은 것들에 사로잡혀 있으면 안 된다고 하지 않는가?
사실이 그렇긴 하지만 깨어남에 대한 아주 기본에 해당하는 개념들은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지도는 길을 갈 때 방위를 찾고, 내가 어디 있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 지도는 순간의 세상을 경험하지 않고, 길 가는 내내 그것만 붙잡은 채 내가 어디를 지나왔고 어디로 가고 있나만 생각할 때 문제가 된다. 깨어난 사람이 자신이 지금 통과하고 있는(혹은 이미 통과한) 과정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거듭 의구심이 들 테고, 심지어 깨어남 상태를 억압하려 들지도 모른다.  접기
P. 323 다만 이 장에서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바로 깨어남이 상태가 아니라 과정이라는 것이다. 깨어남은 끝이 아니라 다른 여정의 시작이다. 깨어남은 길의 끝에 도달했다는 뜻이 아니라 다른 길로 옮겨 갔다는 뜻이다. 비유를 좀 더 확장하면 그 다른 길은 좀 더 높은 산길이다. 그 길에서는 더 넓은 전망을 볼 수 있고, 풍경이 더 아름답고 더 생생하다. 시공간이 더 넓어지고 여정이 더 고요해지면서 동시에 더 신난다. 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길은 길이라서 그곳에서도 움직임이 있고 변화가 있다. 진화의 가능성도 여전하고 (일부 구루들의 경우처럼) 퇴화의 가능성도 있다. 문제도 직면해야 한다.  접기
P. 346~347 에고는 자연과 분리되어 있는 대도시와도 같아서, 도시 밖의 자연과 그 빛을 감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깨어난 자아 체계는 대도시보다는 환경친화적인 작은 에코 타운 같아서, 섬세하고 자연을 침해하지 않으며 머릿속 수다가 만들어 내는 안개로부터 대체로 자유롭다 보니 자연과 그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우리 존재의 영적 에너지가 우리를 관통하며 자유롭게 흐른다. 우주에 편재하는 영적인 힘과 본질적으로 같은 바로 그 에너지 말이다.  접기
더보기
추천글
“삶은 우리에게 언제나 필요한 것만 준다. 그리고 지금은 이 책을 주고 있다. 삶이 우리에게 이 책을 안내자 삼고 친구 삼아 어려운 시대를 잘 살아 내라고 말하는 것 같다. 곳곳에 포진해 있는 통찰들, 스티브 테일러의 강점인 직설적이고 솔직하고 간명한 언어가 돋보이는 책이다.” - 에크하르트 톨레 (<NOW>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의 저자) 
“깨달음이라는 전통적 지혜와 현대의 과학적 연구가 아름답게 조우했다. 덕분에 영적 깨어남의 신비한 과정을 드디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피터 러셀 (물리학자, 저술가) 
“통찰력이 대단하고 영감으로 가득한 책이다. 전작들에서도 빛나던, 깨어남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 지식이 마침내 이 책으로 그 꽃을 피웠고, ‘인류가 곧 진화할 것이다.’라는 성명으로 그 정점을 찍었다. 깨어남에 대해 관심이 있거나 깨어남을 경험한 사람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그 흥미진진한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돋보이는 책이다. 사실 모두가 읽어야 할 훌륭한 책이다.” - 페니 사토리 
“『보통의 깨달음』에서 스티브 테일러는 영적 깨어남에 대한 급진적인 접근법을 선택했다. 이 책에 따르면 영적 깨어남은 생각보다 흔한 일이고, 종교적 전통들과 별도로 일어나며, 인간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책은 도발적인 성명으로 가득하다. 동의할 수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을 테지만, 이 책이 하는 말을 잊어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책으로 스티브 테일러는 다시 한번 뛰어난 영성서 작가이자 영적 지도자로 우뚝 섰다. 명쾌하기 그지없는 이 책이 많은 생각과 지혜를 끌어낼 것이다.” - 스탠리 크리프너 (세이브룩대학 심리학과 교수) 
“종교 안팎에서 깨어남을 낱낱이 그리고 아름답게 탈신화했다. 재밌게 읽을 수 있고 위험한 시대에 희망을 갖게 한다.” - 클라우디오 나란조 
“이제 깨달음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알아야 할 때가 왔다. 『보통의 깨달음』은 읽기 쉬운 책이며, 이미 한참 전에 나왔어야 하는 아주 중요한 책이다.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던 깨달음을 스티브 테일러가 사랑하고 걱정하는 마음으로 완벽하게 파헤쳤다.” - 로버트 K. C. 포먼 (전 뉴욕 시립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저자 및 역자소개
스티브 테일러 (Steve Taylor) (지은이) 

영국의 리즈 베켓 대학교에서 부교수로 학생들에게 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어릴 때 ‘자연스러운’ 깨달음을 경험하고 방황한 끝에, 영적 수행의 길을 걸으면서 동시에 수행과 영성의 본질을 이성적·학문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병행해 왔다. 그의 연구는 《자아초월 심리학 저널(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인본주의 심리학 저널(The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을 포함한 여러 학술지에 실렸고, 《가디언》, BBC와 같은 유력 매체에 특별 보도되기도 했다. 영성에 대한 통찰력과 인류를 대하는 따뜻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 있는 생존 영성가 100인 안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는 등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자아폭발』, 『조화로움』, 『제2의 시간』, 『잠에서 깨어나기』, 『고요한 중심(The Calm Center)』 등이 있으며, 전 세계 20여 개 언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그중에서도 이 책 『보통의 깨달음』은 세계적인 영성가 에크하르트 톨레가 삶을 깨우는 데 강력한 도움을 주는 책을 직접 선정하고 독자들에게 추천하는 ‘에크하르트 톨레 에디션’에 포함되어 있다. 접기
최근작 : <마음의 숲을 걷다>,<보통의 깨달음>,<조화로움> … 총 101종 (모두보기)
===
추미란 (옮긴이) 

동국대학교와 인도 델리 대학교에서 인도 역사와 철학을 공부했다. 현재 독일에 거주하며 독어, 영어 출판 전문 기획 및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자기계발, 철학, 역사, 명상, 종교, 뉴에이지, 뇌과학, 양자역학, 사진 분야에서 40권이 넘는 책을 번역했다.
옮긴 책으로는 『나의 반려동물도 나처럼 행복할까』, 『달라이 라마의 고양이』, 『두려움과의 대화』, 『원네스』, 『자각몽, 또 다른 현실의 문』, 『당신이 플라시보다』, 『나로 살아가는 기쁨』, 『어느 날 갑자기 무기력이 찾아왔다』, 『보통의 깨달음』 등이 있다.
긴 산책, 명상, 개와 고양이, 요리, 그림, 낯선 곳으로의 여행 등 깨달음을 주는 삶의 소소한 것들을 사랑하며 살고 있다. 접기
최근작 : … 총 60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영적 지도자
에크하르트 톨레가 직접 선택한 책

“삶은 우리에게 언제나 필요한 것만 준다.
그리고 지금은 이 책을 주고 있다.”

심리학자가 말하는 깨달음에 대한 모든 것

깨달음은 종교인이나 구도자에게만 일어나는 특별한 일일까? 깨달았다는 영적 지도자들은 왜 잘못된 행동을 저지르는 것일까? 생태·환경운동, 채식주의, 심플라이프 등 사회적 관심과 변화는 깨달음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깨달음이 보통 사람들에게도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라면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깨달음’을 종교와 수행의 관점이 아닌 보편적인 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해 보통 사람들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깨어남 현상의 실체를 밝히는 『보통의 깨달음』이 판미동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세계적인 영성가 에크하르트 톨레가 읽고 찬사를 보내며 자신의 이름을 내건 ‘에크하르트 톨레 에디션(Eckhart Tolle Edition)’으로 출간한 책이다. 저자 스티브 테일러는 영국 리즈 베켓 대학교의 심리학과 부교수이자 세계에서 가장 영향 있는 생존 영성가 100인 안에 꾸준히 선정되어 온(《MIND, BODY, SPIRIT》지 선정) 인물로, 그 자신도 영적 수행의 길을 걸어가는 동시에 영성의 본질을 이성적·학문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병행해 왔다. 오랜 연구와 취재의 결과물이 집약된 이 책에는 깨어남을 촉발하는 원인들 / 자연적 깨어남, 단계적 깨어남, 급작스러운 깨어남 등 깨어남의 여러 형태 / 깨어날 때 우리 존재나 정신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들 / 깨어난 사람의 세계관, 인간관계, 가치관, 삶의 목적 / 사기꾼 구루와 진짜 깨어난 사람의 차이점 등이 상세히 담겨 있다.

“깨달음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 자연적/단계적/급작스러운 깨어남에 대하여

많은 사람이 깨달음은 비범한 일이고 은둔자가 되어 홀로 수십 년을 수행해야 가능한 일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는 깨달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만나 본 후, 영적 지식이나 훈련 없이 다양한 직업을 갖고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에서도 깨달음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산후 우울증을 겪던 마리타는 남편의 분노가 폭발한 순간에 급작스러운 깨어남 현상을 경험했으며, 킴벌리도 모친 사망 후 급작스럽게 깨어났다. 서커스단에서 3년간 지극히 말을 돌보다가 깨달음을 얻은 러셀, 만성 피로 증후군으로 본의 아니게 금욕 생활을 하다가 단계적으로 깨어난 셰릴 등 수많은 사례가 이 책에 실려 있다.
주로 이들은 아무런 계기 없이 어려서부터 자연적 깨어남 상태에 있거나, 영적 수행과 유사한 일상의 활동을 통해서 단계적으로 깨어나기도 하고, 사별이나 암 진단 등의 충격적인 사건을 겪고 급작스럽게 깨어나기도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보통 사람들의 자연적/단계적/급작스러운 깨어남 현상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영적·종교적 전통 안에서 말하는 깨달음과 그 전통 밖에서 깨달음을 이루고 창조성을 발현했던 예술가들(월트 휘트먼, D. H. 로렌스 등), 깨어난 상태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어린아이의 마음 등을 비교 분석하며, 깨달음이 일어날 때 우리 안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세심하게 짚어 본다.

“깨달음이란 곧 ‘수면 상태로부터의 깨어남’이다”
- 깨어난 사람의 지각적/내면적/관념적/행동적 특징

이 책에서 저자는 ‘깨달음(enlightenment)’이라는 말이 그 의미가 부정확한데도 사람들은 완벽하게 긍정적인 의미로 보는 경향이 있다고 말하며, ‘깨어남(awakening)’이라는 용어를 쓰기를 제안한다. 저자에 따르면 초창기의 인류는 주변 세상과 그 신성함을 생생하게 경험했고, 자연 및 우주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약 6000년 전 인간의 에고가 점차 커져 개인적인 존재로서 자신을 경험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을 자연, 공동체, 심지어 제 몸으로부터 분리시켜 왔고, 이러한 분리감이 인류의 야만성, 억압, 갈등 등을 불러왔다. 에고에 에너지를 과도하게 집중하느라 주변 세상에 대한 지각 능력이 무뎌지고, 머릿속 수다가 곧 자신이라고 느끼며, 세상을 더 자기중심적으로 보고, 집단 정체성에 대한 갈망이 더 커지게 되었다. 이것이 저자가 이 책에서 말하는 수면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깨어나는 것이 바로 ‘깨달음’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수면 상태에서 깨어나게 되면 자아 체계의 에고를 보호하는 데 에너지를 덜 쓰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주변을 선명하게 지각하는 데 에너지를 더 쓰게 된다. 시간에 대한 관념도 달라져 과거에 붙잡혀 있거나 미래에 매달리기보다는 현재를 중요시한다. 공간에 편재하는 영적 에너지를 쉽게 알아차릴 수 있어 생명력의 조화를 감지하며, 모든 것들이 연결되어 있음을 지각하게 된다. ‘내면적’으로는 머릿속 수다가 줄어들어 마음이 고요해지고,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음을 자각하였기에 공감과 자비의 감정이 풍부해진다. 안녕, 행복, 평온의 느낌이 자연스럽게 뒤따라오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줄어든다. ‘관념(인식)적’인 면에서는 집단 소속감이 사라지는 대신 내적 확실성을 갖게 되고, 우주적인 관점에서 사고하여 윤리적 배타성이 사라진다. 감사하는 마음과 호기심도 커진다. 마지막으로 ‘행동적’인 면에서는 물질을 축적하려는 욕구가 세상에 공헌하려는 욕구로 바뀌어 이타성과 사회 참여도가 높아진다. 또 끊임없이 놀 거리를 찾기보다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무위 상태를 즐기게 된다. 더불어 자율적인 삶을 구축하고 더욱 단단하고 진실한 인간관계를 맺어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지각적/내면적/관념적/행동적 특징들은 뚜렷하게 구분이 되기보다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깨어남은 인류의 진화적 도약이다”
- 생태·환경 운동, 채식주의, 심플라이프

저자가 말하는 영적 깨달음이란 결국 비대해진 에고가 불러온 분리와 이원화의 문제점을 되돌리고, 조화와 연결에 대한 감지 능력을 되살리는 것이다. 그동안 인류가 계발해 왔던 기술적 진보, 세상에 대한 이성적인 이해 등의 장점들을 그대로 지닌 채, 초창기 인류가 가지고 있었던 연결감을 회복하여 ‘도약(leap)’하는 것이 인류 진화의 필연적인 과정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진화적 도약은 에고의 한계를 벗어나 자신의 몸을 더 깊이 지각하고 자연 및 다른 생명과 더 깊이 교감하는 오늘날의 생태·환경 운동, 채식주의, 물질적인 삶이 아닌 단순한 삶의 추구 등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깨어남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부족할 경우, 깨어난 사람이 스스로 억압하려 들거나 공동체에서 병자로 취급될 수 있다고 저자는 우려한다. 망상에 빠진 사이비 구루가 신봉자들을 착취하고 그 삶을 파괴하는 위험도 발생한다. 영성에 대한 통찰력과 인류를 대하는 따뜻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갖춘 이 책은 독자들이 깨달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스스로 의식을 확장하여 삶을 깨울 수 있도록 좌표를 제공할 것이다. 더불어, 깨어나는 과정에서 혼란을 겪고 있거나 어두운 격변의 시기를 겪은 후 깨어날 준비가 된 사람들에게 결정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 깨어남에 대한 잘못된 신화들

1. 깨어남은 예외적이고 비범한 상태다. → 보통 사람들에게도 흔하게 나타나는데, 당사들이 모르는 경우가 많다. 깨어남은 오히려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상태다.

2. 깨어난 사람은 일상에서 살아갈 수 없다. → 필요할 때면 일상의 구체적인 일들로 주의를 좁힐 수 있다. 깨어난 사람이 일상을 더 잘 살아갈 가능성이 더 크다.

3. 깨어나거나 아니거나 둘 중 하나지, 중간은 없다. → 더 잠들어 있거나 더 깨어 있는 상태가 있다. 그 강도에 따라 특징이 다양하다.

4. 깨어남은 자기계발의 정점이자 끝이다. → 깨어남은 다른 여정의 시작이다. 깨어난 사람도 계속 발전한다. 다른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5. 깨어난 사람은 모든 고통과 문제에서 벗어나 늘 평온하고 행복하다. → 상대적으로 평온하지만, 늘 행복이 넘치는 삶을 사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이제 막 급작스럽게 깨어난 사람의 삶은 절대 완벽하다고 할 수 없다.

6. 깨어난 사람은 절대 잘못 행동할 수 없다. → 비도덕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초기에는 깨어났지만, 자기도취와 권위주의에 빠져 신봉자들을 착취하는 구루들이 많다.

7. 깨어난 사람은 세속을 떠난다. 세상일에 관심을 두어 간섭하려 들지 않고 현실에 만족한다. → 깨어난 사람들은 타인의 고통을 줄여 주거나 발전을 독려하고 싶어 하고,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싶어 한다.

8. 깨어난 사람(혹은 신비주의자)들은 수동적·소극적이다. 종일 앉아서 명상하며 자신만의 행복한 상태에 빠져 산다. → 깨어난 사람은 에너지가 넘치고 활동적이다. 그 에너지는 예술적 창조성과 이타주의적인 활동으로 드러난다.

9. 깨어나면 세상이 환영이었음이 드러난다. → 세상이 환영이었음이 드러나는 게 아니라 우리가 봐 왔던 세상이 불완전하고 부분적인 진리만 보여 주었음을 깨닫게 된다. 깨어나면 세상은 더 실재하게 된다.

10. 깨어나면 자아가 사라진다. → 자아의 소멸이 아니라 자아의 확장이다. 자기중심적이고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세계적이고 보편적인 관점을 갖게 된다.

11. 깨어나는 것은 노력해서 될 일이 아니다. → 물론 에고에 의한 노력은 진정한 영적 발전을 부르기 어렵고 부작용만 낳을 가능성이 크다. 옛 자아 체계에서 새 자아 체계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들어가는 ‘단계적 깨어남’에서는 영적 수행이 필요하다. 접기
===
평점분포    9.6

공감순 
     
깨달음이란 무엇일까- ‘깨달음’이라는 행위에 진정으로 내마음이 요동친적이 있을까? 삶의 저력에서부터 오는 깨달음이 궁금했다. 삶의 공간에서 그리고 내가 가지고 있는 의식에 대해 점검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약 500페이지의 책에서 나는 깨달음을 알았다. 
민정 2020-11-29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이번에 읽게 된 책도 심리학에 관한책

지금 나에게 제일 흥미 있는 주제는 심리학

심리라는게 쉬운것 같으면서도 느끼는걸 말로 표현하는 능력은 또 다르고 학문으로 공부하자니 또 다른느낌이다 하지만 이 책은 개념설명 뿐만 아니라 그에맞는 적절한 예시도 함께라서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kalsk91 2020-12-06 공감 (0) 댓글 (0)
===
마이리뷰
     
[마이리뷰] 보통의 깨달음 새창으로 보기
📚THE LEAP 보통의 깨달음 #스티브테일러 #판미동

✍깨달음은 특별하다고 생각해서 그런지 지금껏 읽었던 명상관련책들은 지루하게 느껴졌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보통의깨달음 이라는 제목처럼 특별하지않아서 특별한것이였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리고 책 뒷표지의 문장에서 내가 항상 의문이었던 깨달음을 얻었다는 종교인들의 상식밖의 범죄적 행동을 어느정도는 알수 있을 거라는 망설임을 ‘THE LEAP‘ 도약이라는 원제가 사상 초유의 팬데믹 사태에 재난 상황에서 멈춰있던 나를 도약시키고 싶은 본능이 책을 펼치고 읽게하는 동기였다.

🏷21p
사실 이 책을 비롯한 내 연구들의 목적 중 하나가 깨어남 상태의 특성들을 명확히 규명해 가짜 깨달음과 진짜 깨달음을 구분하는 지표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영적 지도자들에 대한 규제가 없기 때문에, 자칭 구루라고 하는 자기 망상에 빠진 사람들이 나약한 신봉자들의 삶을 파괴하는 문제들이 심심찮게 일어난다. 깨어난다는 것이 실제로 어떤 의미인지 명확하게 알고 있다면, 그런 망상에 빠진 사람 혹은 사기꾼 지도자를 좀 더 쉽게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정성스러운 서문으로 저자의 소신을 엿볼수있다. 이 책을 모두 읽기 힘들다면 16페이지의 서문을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서문을 읽고나면 본문도 읽고 싶어지는 책이기는 하다^^;)

🏷92쪽
자연스럽게 깨어난 사람은 영적 지도자보다는 창조적인 예술가가 되기 쉽다. 영적 깨어남과 창조 활동, 특히 시와 그림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니까 깨어난 상태를 표현하는 데에는 시적 혹은 시각적 방식이 적합한 것이다.

✏많은 작가들과 화가들이 소개되는가운데 그림에 대한 구체적 예시가 문학작품보다 다소 아쉽게 느껴졌다.

<보통의 깨달음>을 읽다보면 📝필사하고 싶은 생각이 계속드는 책이다.
그리고 혹시 이 책을 만나신다면 속독아닌 정독을 권한다. 종교적인 것들은 잘몰라서 처음읽을때 잘안들어왔던것들이 다시 정독할때는 반갑게 읽히는 경우가 많았기에 읽는 참맛을 느끼기에는 두고두고 천천히 즐기면서 읽기를 권한다. 최근에 장기하님이 유퀴즈에 나오신걸보고 하루에 꾸준하게 몇장이던 읽다보니 다독을 하시게 된다는 것을 보고 나 또한 천천히 즐기면서 읽고 싶어졌다. 역시 좋은것은 천천히 오래오래 독서도 마찬가지다. 그래야 깨달음의 순간을 놓치지않고 발견할수 있지않을까하는 생각이든다.

#영성 #명상 #에크하르트톨레추천 #에크하르트톨레에디션 #깨달음 #깨어남 #심리학 #도서추천






- 접기
dadokdadok 2020-12-06 공감(10) 댓글(2)
Thanks to
 
공감
     
깨달음의 주체가 되는 법 새창으로 보기
보통의 깨달음
.
.
깨달음은 선택받은 이들의 선물일까. 나의 일상과 거리가 먼 단어처럼 느껴진다. 인식의 가장 강렬하고 확실한 형태로 짐작할 뿐, 내가 깨달음의 주체가 된다는 것은 결코 생각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책의 제목은 보통의 깨달음이다. 자신이 보통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면 이 책의 제목은 반신반의 속에서 기대에 대한 대답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
.
"깨달음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우리 주변에서 깨어나는 보통의 사람들, 그 마음속에는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
.
깨달음에 대한 저자의 탐색과 탐구는 놀랍다. 연구자로서의 철저함과 영성지도자로서의 직관이 이 책에 담겨있기 때문이다. 
.
.
이 책의 주제인 ‘그 상태’를 설명하는 데 어떤 용어를 써야 할지 오랫동안 고민해 보았다. 처음에는 ‘깨달음(enlightenment)’이라는 말을 고려해 보았지만, 나는 이 말이 늘 조금 불편했다. 원래 불교 용어 보리(bodhi)에서 나온 말인데, 그 번역이 부정확하다는 게 그 한 이유다. 19세기 불교 경전 번역가들이 보리를 깨달음이라고 번역했다. 하지만 보리는 팔리어 동사 부드흐(budh)에서 나온 말로 사실은 ‘깨어난다(to awaken)’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보리를 직역하면 ‘깨어남(awakening)’에 더 가깝다. ㅡ28쪽
.
.
깨달음에 대해서 생각하면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를 떠오르게 된다. 플라톤은 이데아를 설명하기 위해 동굴의 죄수들을 설정했다. 죄수는 이데아의 세계인 현상계를 확인하고, 그러니까 깨달음을 얻고 다시 동굴로 돌아와 각성하지 못한 동료들을 설득다. 그러나 그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죄수는 안타까워한다. 자신의 각성은 진리를 만났으나 타인의 무지로인해 인정되지 못하는 것이다.  죄수의 심정에만 집중하자면 그는 좌절할 것이며 고통을 느낄 것이다. 하지만 깨달음의 과정은 쉽게 찾아오는 것이 아니다. 진리를 향한 시련의 과정을 통해 인간은 성장하는 것이다.
.
.
그러한 이유로 내가 이 책에서 집중해서 읽은 부분은, 급작스러운 깨어남과 깨어남 뒤의 영적 위기이다. 삶의 절망 앞에서 의연한 태도를 보일 수 있는 힘은 깨달음 뒤의 혼란을 어떻게 수용하는지에 달렸다.
"공허함 안에 고요함이 있고 그 고요가 괜찮다고 말해주고 있음" -212쪽. 
연구자로서 풍부하게 수집된 사례중 가장 눈길을 사로 잡는 것은 그레이엄이었다. 그는 아픈 아내를 걱정하며 간호하는데 아들의 급작스러운 죽음에 아내 역시 큰 충격으로 그날 저녁 사망한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두사람을 잃었으며 자신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남편, 아버지의 자리가 사라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고요에서 평화를 만난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시련이라고 느끼는 것은 마치 파도가 친 뒤 적막한 바다처럼 깨달음의 과정에서 필연적인 것일까.  그 대답에 긍정한다면 깨달음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지금의 고통을 지탱하는 힘이 되는 것이다. 
.
.
이 책의 놀라운 지점은 깨달음에 대한 탐구가 보통이라는 차원에서 우리의 일상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어려운 시대에 암담한 상황이라면 지금의 형실인식은 반드시 우리에게 어떤 깨달음을 남기기 위한 시작일 것이다. 깨달음의 과정에서 섬세하게 마음을 연구하는 저자의 치열함이 이 책으로 전해지며 독자로서 앞으로의 시련마저도 긍정하게 한다. 
.
.
에크하르트 톨레의 추천은 그런 의미에서 귀담을만 하다. “삶은 우리에게 언제나 필요한 것만 준다. 그리고 지금은 이 책을 주고 있다. 삶이 우리에게 이 책을 안내자 삼고 친구 삼아 어려운 시대를 잘 살아 내라고 말하는 것 같다. 곳곳에 포진해 있는 통찰들, 스티브 테일러의 강점인 직설적이고 솔직하고 간명한 언어가 돋보이는 책이다.”
- 접기
헬레니즘 2020-11-30 공감(3) 댓글(0)
Thanks to
 
공감
     
보통의 깨달음 새창으로 보기
‘보통의 깨달음’ 저자 스티브 테일러는 생존 영성가 중에서 세계 100인에 든 인물이라고 한다. 외적인 행보보다 영적인 수행의 길을 걷는 점에 주목한다. 에크하르트 톨레의 에디션 중 한권이며, 서문에서 톨레의 목소리를 만날 수 있다. 신간을 자주 내지 않는 톨레가 선택한 책의 무게감이 크게 다가왔다. 저자의 사상이나 철학을 체득하거나, 종교적 덕망이나 사회적인 성취를 이룬 분들의 경험이나 말을 많이 받아들이면서 살아왔다. 성인전을 읽는 것을 좋아해서 위대한 삶을 이룬 성자들의 삶을 추앙하기도 하는 편이다. 나 자신이 삶의 모델을 찾아오던 방식에서 자신이 깨어남의 주체라는 것을 분명히 인지할 필요가 되었다.



‘보통의 깨달음’에서 저자는 깨달음이라는 말보다 깨어남이라는 말을 선호하는데, 이 책을 통해 나처럼 무엇으로부터 깨어난다는 말일까? 하는 의문과 영적전통으로 일컬어지는 종교나 구도자들이 추구하는 삶은 어떠해야하는지, 깨어난 사람에게서 드러나는 깊은 정신적 차원의 표징들, 그리고 깨어남의 단계와, 깨어날 때 일어나는 일들, 깨어난 사람의 세계관이나 인간관계, 가치관, 삶의 목적은 어떻게 실현되는지, 도가 불교 힌두교 유대교 기독교에서 깨어남을 보는 관점들, 또 거짓 구루를 알아볼 수 있는 안목을 넓히게 된다.




선사시대 사람들은 자연과의 일체감 속에서 살았지만, 수 천년 전에 조상들은 심리적으로 집단 전환을 경험한 후 수면상태에 있게 되었다. 수면은 영적으로 깊이 잠들어 있어 분리와 단절을 초래했고, 공동체성과 공감 능력의 약화로 이어졌다. 그래서 에고의 급격한 활동으로 개인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눈에 보이는 현상과 결과들로 최첨단의 물질문명을 이루어온 지금, 디지털이 주도하는 21세기 우리의 모습과 2020년의 한 해가 어떠했는지 돌아보게 된다.



지성 아래에는 잠들어 있는 수면 상태로 행복하지도 않고 기쁨도 없는 차가운 금속성의 인류가 되어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깨어남의 동행으로 삼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머릿속의 수다와 자신의 이미지에 몰입하는 정보를 쫓고, 자신이 만든 스토리나 관념에서 이제 벗어나야 한다고 절실하게 느낀다. 그러나 저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생의 대부분을 거의 수면상태로 살아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는 짧게도 섬광처럼 보통의 깨달음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체험하고 있다고 한다.



깨어나는 경험에는 각각의 강도가 있어서 저, 중, 고강도의 깨달음이 있는데, 낮은 깨어남은 나의 컴퓨터의 복구 솔루션처럼 원래의 자아로 빨리 돌아가지만, 영구적인 깨달음은 옛 자아구조가 사라져서 그 자리에 더 확장한 강력한 새 자아가 들어서서 근본적인 전환을 이룬다고 한다. 이것은 매우 심오하고 놀랍다. 모든 것에 연결되어 있고,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강렬한 알아차림과 자비의 인간이 된다. 내가 그토록 열망하며 바래왔던 이 놀라운 전환은 깊은 잠에서 깨어남이고 불완전함이나 단절이 없다. 종교도 아니고 종교 밖도 아니다. 가장 유심히 본 것은 오랜 수면에서 깨어난 인간의 마음은 공감과 자비심 그 자체이고 이타적인 삶을 살아간다. 현재를 중요시하고, 생명력의 조화를 감지하며, 모든 것들이 연결되어 있음을 지각하게 된다. 마음이 고요해지고, 삶의 평온과 행복이 자연스럽게 뒤따라온다.



‘저자가 말하는 영적 깨달음이란 에고가 불러온 분리와 이원화의 문제점을 되돌리고, 조화와 연결에 대한 감지 능력을 되살리는 것이다. 초기 인류가 가지고 있었던 연결감을 회복하여 ‘도약(leap)’하는 것이 인류 진화의 필연적인 과정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진화적 도약은 에고의 한계를 벗어나 자신의 몸을 더 깊이 지각하고 자연 및 다른 생명과 더 깊이 교감하는 오늘날의 생태·환경 운동, 채식주의, 물질적인 삶이 아닌 단순한 삶의 추구 등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인류의 의식은 바로 나 자신의 의식의 상승과 연관이 있어, 내면의 어둠이나 무지에서 벗어나 보다 자유로운 사람이 되고 싶어 이 책을 읽었다. 스스로 통찰력과 바른 지향을 가져서 내면의 지혜를 갖추는데 무척 필요한 책이고, ​삶의 준거가 되어준다. 2021년에는 잠깐이라는 틈새를 조금씩 넓혀가는 보통의 깨달음을 확장하면서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접기
flower 2020-12-26 공감(2) 댓글(0)
Thanks to
 
공감
     
보통의 깨달음 - 우리 의식의 성장에 관한 지침서 새창으로 보기
'깨닫는'것은 특별한 일일까요? 은둔자가 되어 명상과 수련을 해야 가능한 일일까요? 보통은 그렇게 생각하지만 스티브 테일러 저자는 드문 일이 아님을 밝히고 있습니다. 깨달음은 현자들만이 아니라 동서양 할 것 없이 평범해 보이는 사람들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임을 증명합니다.



깨달음의 본질을 이성적·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영국 심리학자 스티브 테일러의 <보통의 깨달음>. 이 책은 세계적인 영성가 에크하르트 톨레가 선정한 삶을 깨우는데 강력한 도움을 주는 책 '에크하르트 톨레 에디션'에 포함되기도 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보통의 깨달음>은 깨어남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그 의식적 전환을 직접 경험한 사람들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깨달음의 과정을 지나온 사람 혹은 위기, 상실, 정신적 격변의 시기를 거친 후 깨달을 준비가 된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제목처럼 그 어떤 종교적·영적 믿음도 갖고 있지 않던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보통의 직업을 가진, 수행이라곤 해 본 적도 없는 사람들 말이죠. 그래서 저자는 깨달음의 상태를 어떤 특정한 마음/정신 상태로만 바라보기 시작합니다. 굳이 영적·종교적 용어로 해석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문제는 영적·종교적 배경이 없는 사람에게 그런 일이 일어나 미리 준비된 해석의 틀이 없을 경우, 매우 혼란스러워한다는 점입니다. 누구는 깨닫고 누구는 깨닫지 못하고, 깨달은 사람의 심리는 정확히 어떻게 변하는지, 깨달은 사람의 세상은 보통 사람의 그것과 정말 다른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지 <보통의 깨달음>에서 그것을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깨달음'이라는 용어보다는 '깨어남'이 더 정확한 의미라고 짚어줍니다. 깨달음이라는 용어로 접할 때는 모든 문제와 잘못이 사라져 축복만 넘치는 편안한 상태로 너무나도 긍정적인 용어로 보는 경향이 크다고 말이죠.











<보통의 깨달음>의 깨달음은 '깨어나기(awakening)'를 의미합니다. 더 넓고 더 깊고 더 열린 알아차림을 암시하면서도 '깨달음'에 비하면 그 즉시 문제없는 상태를 뜻하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영적'이라는 말도 비범하고 비현실적인 용어여서 매우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깨어남'을 어렵게 생각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이 책은 일반적인 언어로 일반적인 알아차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신경 쓴 책입니다.



깨어난 상태의 특성들을 이해하게 되면, 일반적인 잠자는 상태와 어떻게 다른지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정신의 변화, 경험의 변화는 삶이 더 충만해지고, 더 많은 의미로 가득하고, 더 짜릿해집니다. 그리고 이런 내면의 전환은 삶의 대대적인 변화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뚜렷한 목적의식을 갖고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세상에 긍정적으로 공헌하고 싶어 하는 방향으로요.



전통적인 종교에서는 깨어남 상태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그 상태에 도달하는 데 어떤 방법들을 제시하는지 먼저 살펴봅니다. 명상 같은 수련법들이 여기에 등장합니다. 하지만 영적 전통들 밖에서 자연적, 단계적, 급작스럽게 깨어난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가 우리에겐 필요합니다. 단계적 깨어남을 경험한 사례에서는 독서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경우도 있습니다. 본의 아니게 외상 후 급작스러운 깨어남을 경험한 경우도 있습니다.



깨어남에 대한 신화들이 왜 틀렸는지, 우리 주변에서 깨어나는 보통의 사람들의 마음속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현대의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알려주는 책 <보통의 깨달음>. 깨어남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면 깨어남을 경험할 때 겪는 혼란들을 일부나마 없앨 수 있고, 깨어남이 우리 삶에 보다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좌표를 조절할 수 있을 겁니다.



무엇보다 인류의 진화적 도약을 위한 깨어남이 우리가 그토록 바라는 온전한 삶을 이야기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실감하게 하는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수면 상태와의 비교를 통해 깨어남의 의미를 쉽게 설명하는 책이어서 읽는 데 큰 어려움은 없는 책입니다.​




- 접기
인디캣 2020-12-31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깨달음은 주위에 있다. 새창으로 보기




우리는 깨달음에 대해 거부감이 있다. 뭔가 종교와 관련되어 있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그러나 깨달음은 일상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깨달음은 강도에 따라 선명한 지각에서부터 영적인 에너지를 인지하는 수준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상에서도 깨달음은 일어난다.

깨달음은 기존의 자아 체계를 부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자아를 확립시키는 과정이다.

시각의 변화~새로운 정체성의 확립까지 그 양상은 다양하다.



깨달음이 생기는 이유는 에고 때문이다.

자신이라는 에고는 통합적인 시선에서 자기중심적인 시선을 부른다.

청소년기에 들어 에고가 커지기 시작하면 우리의 관심과 에너지는 에고로 쏠린다.

그래서 어린 아이 때처럼 선명한 감각과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다.

에고에 많은 에너지가 쓰여서 지각과 인지, 인식에 쓸 에너지가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에고에게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명상이 기본이다. 

일상에서 깨달음은 단계적으로 또는 급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행동, 정화 또는 정제, 무욕, 봉사, 명상을 행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자신을 비난하거나 헐뜯지 않아야 하며: 윤리적 행동

머릿 속에서 들리는 부정적인 생각의 흐름을 잡을 줄 알아야 하며: 정화 또는 정제

물질적인 탐욕으로 부터 관심을 없애야 한다.:무욕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이입(봉사)를 행해야 하며 명상도 해야 좋다.

그러나 개인마다 깨달음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아야 한다.



깨달음을 얻으면 사람이 어떻게 변하는가?

감사함과 행복함이 증가하며, 걱정과 불안이 줄어든다.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을 느끼며 평온한 마음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깨달음을 얻었다고 무적인 것은 아니다.

깨달음은 새로운 자아 정체성의 확립이다. 기존의 자아 덤미가 남아있을 수 있다.

여전히 자신을 향한 비난과 헐뜯음이 존재하며 인생이 순탄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깨달았기에 기존 삶과 맞지 않아서 문제가 생긴다. 주위에 이해해줄 사람도 없다. 

깨달아서 좋은 점은 좀 더 통합적이고 생생한 지각을 느낄 수 있으며,

새로운 시각/정체정으로 살아서 문제를 더 잘 해결한다는 것이다.



깨달음은 생소하다. 종교에만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깨달음은 보통의 일상에서도 일어난다. 

우리는 많이 접하지 않았기에, 깨달은 상태인지도 몰라서 깨달음을 모를 뿐이다.

- 접기
서충칠 2020-12-06 공감(1) 댓글(0)
Thanks to
 
공감

2021/10/29

자아초월심리학 Transpersonal Psychology wikipedia

 자아초월심리학 Transpersonal Psychology

(from wikipedia | 역자 : 오세준)

자아초월 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은 현대 심리학의 틀을 가지고 인간의 영적 · 종교적 측면 을 통합시킨 심리학의 하위-분야 혹은 "학파"이다. 이를 "영적 심리학spiritual psychology”이라고 정의 할 수도 있다. 자아초월transpersonal은 "정체성 혹은 자기감이 인류, 생명, 심혼 혹은 우주 전체를 포괄 하는 개체적 혹은 개인적 수준 너머로 확장되는 경험"[1]으로 정의된다. 이는 또한 "인습적, 개인적 혹은 개 체적 수준을 넘어선 발달"로 정의되기도 한다.[2]

자아초월 심리학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영적 자기-발달self-development, 에고를 넘어선 자기, 절정 체험peak experiences, 체계적으로 유도된 트랜스systemic trance, 영적 위기, 영적 진화, 종교적 회심 religious conversion, 의식의 변성 상태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영적 수행, 기타 숭고 체험 혹 은 비일상적으로 확장된 생명 체험을 포함한다. 이 분야는 현대 심리학의 이론 안에서 영적 체험을 기술하 고 통합하며 이 같은 경험들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을 만드는 시도를 하고 있다. 자아초월 심리학은 인간 발달, 의식, 영성 연구와 관련 학계에 몇 가지 기여를 해왔다.[3][4] 자아초월 심리학은 또한 심리치료[5]와 정신의학[6][7]분야에도 기여하였다.

1. 정의

Lajoie과 Shapiro[8]는 1968년에서 1991년까지 학계의 문헌에서 나타난 자아초월 심리학의 정의 40 가지를 검토하였다. 그들은 이 정의들 속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다섯 가지 핵심 주제들을 발견하 였다 : 의식의 상태; 상위의 혹은 궁극적인 잠재력,; 에고 혹은 개인적 자기self 너머; 초월 transcendance; 영성the spiritual. 이 연구에 기초하여 그들은 자아초월 심리학에 대한 다음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 자아초월 심리학은 인류의 가장 높은 잠재력, 그리고 의식의 합일, 영적, 초월적 상태에 대한 인식, 이해, 그리고 깨달음과 관련되어 있다.

이전의 정의들을 검토하면서 Walsh와 Vaughan[1]은 자아초월 심리학은 자아초월적 경험과 그와 관 련된 현상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현상에는 자아초월적 경험 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발달과의 관련성 뿐만 아니라 자아초월적 경험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훈련과 수행 법들을 포함한다. 그들은 또한 자아초월 심리학의 여러 정의들이 내포한 가정 혹은 전제들이 이 분야를 전 체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못한 것 같다고 비판하였다(각주 a 참고)

Hartelius, Caplan과 Rardin[9]은 자아초월 심리학의 정의를 회고 분석retrospective analysis하였다. 그들은 이 분야를 정의하는 세 가지 주요 주제들을 발견하였다: 에고-너머의 심리학beyond-ego psychology , 통합적/전일적 심리학integrative/holistic psychology, 그리고 변용의 심리학psychology of transformation . 분석 결과 이 분야는 초기에는 의식의 변성 상태를 강조하였지만 이후 인간의 전일 성과 변용에 대한 보다 확장된 관점의 강조로 옮겨갔다. 이러한 발전은, 저자들에 따르면, 이 분야를 Ken Wilber와 포스트-오로빈도 이론가들의 통합적 접근법에 보다 근접시켰다.

카플란(2009: p.231)은 이 분야의 탄생기를 통해 관련 사항을 기술하고 정의를 시도하였다:

"비록 1969년 자아초월 심리학 저널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의 출판과 1971년 자아초월 심리학회the Association for Transpersonal Psychology 의 창립과 더불어 시작된 자아초월 심리학이 공식적인 학문 분야로선 상대적으로 생소하겠지만, 그것은 다양한 전통에서 기인한 고대의 비 전(秘傳) 지식에 의지하고 있다. 자아초월 심리학자들은 현대 서구의 심리학과 무시간의 지혜를 통합하고 영적 원리들을 과학적 근거를 갖춘 동시대의 언어로 번역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자아초월 심리학은 인 간의 심리영적 발달의 전체 스펙트럼을 다루고 있다- 우리의 가장 깊은 상처와 욕구부터 인간 존재의 실존 적 위기, 그리고 우리 의식의 가장 초월적인 역량에 이르기까지 말이다.[10]" 자아초월 심리학의 세계관의 핵심은 전일주의holism와 합일unity의 관점이다.[11]

2. 학문 분야의 발전상

기원

자아초월적 연구의 초석을 닦아 놓았다고 여겨지는 사상가들로는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 칼 융 Carl Jung , 로베르토 아싸지올리 Roberto Assagioli , 그리고 아브라함 매슬로우 Abraham Maslow 가 있다.[3][11][12][13][14] 또한 최근 쟝 피아제의 번역되지 않은 불어 연구서적들 중 일부의 자아초월적인 측면이 부각되면서 피아제의 자아초월적 경험과 이론적 관심이 그의 심리학 연구의 주요 동기였다는 주장이 나왔 다.[15] Vich의 문헌 리뷰에 따르면 "자아초월transpersonal"이란 용어는 윌리엄 제임스가 1905-6 년 하버드 대학에서 준비했던 강의 노트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때 당시의 의미는 제임스의 급진적 경 험주의 radical empiricism의 맥락 속에서 나온 것으로 오늘날과는 달랐으며, 거기에선 지각하는 주체와 지각되는 객체 사이에 접한 관련성이 존재하며, 모든 객체는 누군가에 의한 지각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 로 여겨졌다.[17] 한편 주석자들은 들[18] 은 사이키델릭psychedelic 운동과 종교의 심리학적 연구, 초심리학 parapsychology, 그리고 동양의 영적 체계와 수행에 대한 관심이 자아초월 심리학의 초기 분야를 형성하 는데 영향을 끼쳤다고 언급하였다. 자아초월 심리학의 수립에 또 하나의 중요한 인물은 바로 아브라함 매 슬로우Abraham Maslow 이다. 그는 수립 이전에 이미 인간의 절정 체험에 대한 연구를 출판하였다. 그 는 1967년 "인간 본성의 저 너머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라는 제목의 강의에서 심리학의 제 4세력, 이른바 초-인본주의transhumanistc 심리학의 운곽을 제시한 것으로 그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19] 1968년에 매슬로우는 자아초월 심리학을 심리학의 "제 4세력"이라고 선언한 이들 중 하나가 되었다.[20] 

그들은 자아초월 심리학을 나머지 심리학의 세 개의 세력과 구별하고자 하였다: 정신분석 psychoanalysis, 행동주의behaviorism 그리고 인본주의 심리학humanistic psychology. "자아초월"이 라는 용어의 초창기 사용은 스타니슬라브 그로프Stanislav Grof 와 앤소니 수티치Stanislav Grof 의 공 도 크다. 이 당시, 1967-68년도에, 매슬로우 또한 그로프, 그리고 수티치와 이 새로운 분야의 명칭과 지 향점에 대해 긴 한 대화를 나누었다.[16] 파워스Powers[21]에 따르면 "자아초월"이란 용어는 학계의 저널에 선 1970년 이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인본주의와 자아초월 심리학 둘 다 인간 잠재력 운동Human Potential Movement과 관련있다. 또 한 1960년대의 반-문화 운동으로부터 파생된 대안적 치료와 철학을 위한 캘리포니아의 에살렌Esalen 같

은 곳과도 연관되어 있다.[22][23][24][25][26]

형성기

1960년대 동안 "자아초월"은 인본주의 심리학 운동 내에서 점차 별도의 심리학 학파로 여겨지기 시작 했다.[20] 아브라함 매슬로우, 스타니슬라브 그로프, 앤쏘니 수티치는 1969년 이 분야에선 선도적인 학술 지인 자아초월 심리학 저널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의 최초 출간을 뒷받침한 발기인들이 다.[19][20] 그 다음 10여년 동안 자아초월 심리학의 기치 아해 주요 단체들이 만들어졌다. 자아초월 심리학 협회The Association for Transpersonal Psychology가1972년에 설립되었고,[22] 이어서 1975년, 학위 취득이 가능한 자아초월 심리학 기구the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현재, 캘리포니아에 위 치한 Sofia University)가 설립되었다.[22][27] 이 기구는 1970년대 자아초월심리학의 학문적 바람에 힘입

어 Robert Frager와 James Fadiman[27][28]이 만들었으며 심리학에 대한 자아초월적, 영적 접근을 포함시 켰다.[27] 곧 자아초월 심리학 프로그램을 갖춘 타 기관들이 뒤를 이었다. 여기에는 세이브룩 대학교

Saybrook Graduate School, the California Institute of Asian Studies(현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JFK University, Naropa 대학이 포함된다.[29] 

1970년대 이 분야는 Robert Frager, Alyce Elmer Green, Daniel Goleman, Stanley Krippner, 찰 스 타르트Charles Tart, 로저 월시Roger Walsh, John Welwood, 그리고 켄 윌버Ken Wilber같은 저자 들의 저술과 더불어 발전하였다.[30] 초창기 자아초월 분야의 중요 인물인 켄 윌버는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 수 많은 논문과 서적을 출간하였으며 이는 자아초월 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33] 그

가 쓴 자아초월 심리학 관련 서적으로는 의식의 스펙트럼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1977),[33][34] 아트만 프로젝트The Atman Project - 인간 발달에 대한 자아초월적 관점a transpersonal view of human development(1980)[33][35] 등이 있다. Paulson [33]에 따르면, 윌버는 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종합 하는 방식으로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의 지적 토대를 제공해주었다. 이 분야의 또 다른 중요한 공헌자는 융 학파의 심층 심리학의 통찰을 끌고 온 마이클 워시번Michael Washburn이다.[38] 그는 1980년대 말, 에고 와 역동적 기반The Ego and the Dynamic Ground (1988)이란 책에서 자신의 자아초월 이론을 제시하 였다. Smith에 따르면,[40] 윌버(1977)와 워시번Washburn(1988)은 자아초월적 발달에 대한 핵심적 안 내 이론을 제시하였다. 1980년대는 또한 스타니슬라프 그로프와 크리스티나 스로프(역주: 스타니슬라브 그로프의 부인)의 작업을 비롯하여 영적 출현spiritual emergence과 영적 응급상황 spiritual

emergencies이라는 개념으로 특징지워지기도 한다.[6][41][42]

이 시기에는 또한 조직적 수준에서의 발의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1980년대 초기 미국심리학회 32 번 분과(인본주의 심리학)에 속한 한 집단이 심리학회의 틀 내에서 별도로 자아초월 심리학 분과를 만들 자고 저징하였다. 이 청원은 1984년 미국심리학회 회의에 제츨되었지만 결국 거부당했다. 새로운 발의가 1985년에 이뤄졌지만, 이 또한 회의에서 과반수를 획득하는데 실패하였다. 1986년, 세번째이자 마지막 으로 제출되었지만 32번 분과 위원회에 의해 철회되었다.[9][22] 여기에 관심을 가졌던 집단은 이후 자아초월 심리학 관심 집단he Transpersonal Psychology Interest Group (TPIG)으로 변모하여 계속해서 32번 분과와의 협력 하에 자아초월적 이슈들을 활발히 다루고자 하였다.[22]

1990년대에는 분야에 새로운 통찰들을 던져주는 이들이 등장하였다. 여기에는 Brant

Cortright, Stuart Sovatsky, David Lukoff, Robert P. Turner 등이 포함되며 Francis Lu. Cortright[43]와

Sovatsky[44]는 특히 자아초월 심리치료 분야에 공헌하였다. 이 두 저자들은 모두 자신의 주 저작을 SUNY 시리즈의 일부로 출간하였으며(각주 b), 임상분야의 Lukoff, Turner, Lu는 미국 정신의학 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DSM-매뉴얼에 “심리종교적 혹은 심리영적 문제”라는 새로운 진단 범주를 포 함시켜야 한다는 제안을 뒷받침하였다. 이는 1993년 DSM-IV에 포함되었으며 이후 그 명칭을 종교적 혹 은 영적 문제로 변경하였다.[6][45] 켄 윌버가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의 영향력 있는 저술가이자 이론가로 간주 되었지만, 1990년대 동안 그의 자아초월심리학과의 결별은 더욱 분명해졌다. 그가 결별한 시점은 불분명 하지만[9] Freeman[31]은 윌버가 1990년대 중반 이후로 “자아초월적”이라는 명칭과 거리를 두고 “통합적 integral”이라는 표현을 선호하였다고 언급하였다. 1998년 그는 통합 기구Integral Institute(현재는 Integral Life로 변모)를 설립하였다.

1990년대는 자아초월 심리학회 회원들이 꾸준히 늘어난 시기이기도 하며, 90년대에 이미 약 3,000 명에 육박하였다.[20] 1996년, 영국 심리학 협회(미국의 APA에 해당)는 자아초월 심리학 분과를 설립하였 다. 이는 David Fontana, Ingrid Slack와 Martin Treacy에 의해 공동설립 되었으며, Fontana에 따르 면 “서구의 과학자 사회에서 이러한 종류로는 최초의 분과이다"[46][47] 90년대 후반부는 주석자들에 따르면 자아초월 심리학이 꾸준히[20], 그리고 급격히[3] 성장한 시기이다. 

최근의 발전상

2000년대 초반은 조르쥬 페레Jorge Ferrer의 수정revision 프로젝트가 두드러지며, 이는 이 분야의 중대한 공헌으로 여겨진다.[48] 이 분야에서 그의 핵심 저작은 자아초월 이론의 수정-인간 영성의 참여적 비 전Revisioning Transpersonal Theory - A Participatory Vision of Human Spirituality (2001)이며,

[49] 이는 자아초월과 인본주의 심리학에 관한 SUNY 시리즈의 일부로 출판되었다.

2012년 자아초월 심리학 기구the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는 명칭을 소피아 대학 Sofia University으로 변경하였음을 선언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학계의 새로운 학문적 지평이 열렸고, 학 위 프로그램이 더욱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50]

분파와 관련 분야들

자아초월 심리학에는 몇몇 학파 혹은 분파가 존재하며, 이는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에 영향을 끼쳐왔 다. 여기에는 칼 융의 분석심리학,[3][12][43] 로베르토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3][13] 그리고 아브라함 매슬로으의

인본주의 심리학[3][13]이 포함된다. 심리치료의 주요 자아초월적 모델로는, Cortright의 리뷰에 따르면[43] 켄 윌버, 칼 융, 마이클 워시번, 스타니슬라브 그로프, 그리고 하미드 알리Hameed Ali의 모델이 있다.

Dr. William J. Barry는 그의 박사 논문과 변용적 질 이론Transformational Quality (TQ) Theory의 개발을 통해 교육 분야에서 쓸 수 있는 타당한 행동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자아초월 심리학을 구축하였다.

[51] 비지니스와 경영 연구 분야에서의 응용 또한 발전하였다.자아초월 인류학, 자아초월 비지니스 연구 Other transpersonal 같은 기타 자아초월적 학문 분야 또한 자아초월 분야의 목록에 포함되었다.

Boucovolas[52]가 언급한 자아초월적 예술은 자아초월 심리학이 다른 자아초월적 연구 분야와 연결될 수 있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자아초월적 예술에 대한 글에서, Boucovolas는 Breccia와 1971년 국제 자아 초월 협회의 정의를 언급하면서, 자아초월적 예술이 어떻게 자아초월적 의식처럼 개인적 자기를 넘어선 중요한 주제들에 기초한 예술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는 지를 논하였다. 자아초월적 예술 비평은 창조성 creativity에 대한 신비주의적 접근과 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Boucovolas가 언급한 것처럼, 자아초월적 예술 비평은 기존의 관습적 예술 비평들이 예술의 이성적 차원을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영적 차원은 소흘 히 하였고, 예술 작품이 개인을 넘어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여겼다. 칼 융의 심리학 같은 경우나 음 악치료나 예술 치료 또한 이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Boucovolas은 Breccia (1971)를 자아초월적 예술의 초기 사례로 인용하면서 통합이론가 켄 윌버Ken Wilber가 최근 이 분야에 기여해왔다고 주장하였다. 보 다 최근인 2005년 자아초월심리학 저널 37호는 미디어를 주제로 한 특별판을 내놓았으며 이 분야와 관 련된 영화 비평글들을 실었다.

몇몇 학문 분야는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여기에는 임사체험 연구Neardeath studies, 초심리학Parapsychology 및 인본주의 심리학Humanistic psychology이 포함된다. 임 사체험 연구의 주요 발견들은 자아초월과 정신의학 교과서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와 자아초월 심리학 핸드북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53]에 잘 나타나 있다. 임사체험은 또한 다른 자아초월적, 영적 범주들과 연관되어 논의되고 있다.[6] 초심리학Parapsychology의 주요 발견들 또한 자아초월과 정신의학 교과서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와 자아초월 심리학 핸드북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53]에 잘 나타나 있다. 

한편 Donald Moss의 책에서 언급한 것처럼, 심리학에 대한 자아초월적 접근과 인본주의적 접근 사이 에는 강력한 연관성이 존재한다.[54][55] 비록 자아초월 심리학이 인본주의 심리학 내부[22] 에서 출발한 것 혹은 그로부터 발달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영성, 의식의 양태 처럼 자아초월 심리학의 관심사 대부분은 인본주 의 이론에서 논하는 관심 영역 너머에 있다.[18] 이 분야의 저자들에 따르면[18], 자아초월 심리학은 인본주의 심리학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진 않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보다 확장되고 영적인 관점을 옹호한다. 몇몇 논평가들은 자아초월 심리학과 때때로 자아초월 연구라고 불리는 보다 넓은 범주의 자아초월 이

론들 사이에는 차이점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20][56][57]Friedman[57]에 따르면 이 범주에는 과학의 틀 바깥 에 놓인 자아초월적 접근 몇 가지도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Ferrer [58]에 따르면,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 는 “자아초월적 연구라는 보다 큰 우산 안에 위치하고 있다" 

자아초월 심리학은 또한, 이따금이긴 하지만, 뉴에이지New Age 신념과 연관될 수 있다.[56][59][60] 하지 만 Sovatsky,[44] Rowan,[61] 같은 선도적인 작가들은 “뉴에이지”라고 불리는 철학과 담화의 본질을 비판하 였다. Rowan[61]은 심지어 “자아초월 심리학은 뉴에이지가 아니다”라고까지 언급하였다.[62] 자아초월 심리 학 분야를 리뷰하면서 Friedman[56]은 책임감있는 자아초월적 과학은 “뉴에이지”의 아이디어와 철학에 대 해 반드시 거리낌을 표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비록 일부는 자아초월 심리학과 종교 심리학 사이의 구별이 점점 희미해진다고 여기지만(예: 심리학과

영성에 대한 옥스포드 핸드북The Oxford Handbook of Psychology and Spirituality), 이 둘은 여전히 분명히 구분된다고 볼 수 있는 지점이 있다. 종교심리학의 초점 대부분은 자아초월 심리학 내에선 ‘초월적 transcendent’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을 이슈들에 맞춰져 있다. 따라서 두 분야는 분명 서로 다른 초점을

지니고 있다.[63]

3. 연구, 이론, 그리고 임상적 측면

연구 관심사와 방법론

자아초월적 관점은 여러 연구 관심사들에 뻗어 있다. 다음의 목록은 자아초월 정신의학과 심리학 교과 서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4]에서 차용한 것이다 : 도교Taoism, 힌두교 Hinduism, 요가Yoga, 불교Buddhism, 카발라Kabbalah, 기독교 신비주의Christian mysticism, 샤머니 즘Shamanism, 미국 원주민식 힐링같은 영적 전통들의 공헌부터 정신의학과 심리학에까지 이른다; 명상

Meditation 연구와 명상의 임상적 측면; 사이키델릭Psychedelics; 초심리학Parapsychology; 인류학 Anthropology; 종교적 영적 문제의 진단Diagnosis of Religious and Spiritual Problem; 공격적 영성 과 영적 방어Offensive Spirituality and Spiritual Defenses; Phenomenology and Treatment of 쿤달 리니Kundalini의 현상학과 다루기; 심리치료Psychotherapy; 임사체험Near-Death Experience; 종교적 컬트Religious Cults; 정신약리학Psychopharmacology; 유도된 심상Guided Imagery; 호흡작업 Breathwork; 전생치료Past life therapy; 생태학적 생존 Ecological survival 그리고 사회적 변화Social change; 노화와 성인의 영적 발달spiritual development. 

자아초월 심리학 연구는 양적, 질적 방법 모두에 기초하고 있다.[11] 하지만 Taylor 같은 몇몇 논평가들 은 자아초월 심리학의 주된 공헌이 주류 심리학의 양적 방법론에 대한 대안을 제공해온 것이라고 주장하 였다.[11] 비록 이 분야가 임상적 이슈에 대한 실증적 지식에는 별다른 공헌을 하지 못했지만,[18] 명상 연구

같은 분야에서는 중요한 양적 연구로 공헌하였다.[11]

인간 발달에 대한 이론

자아초월 이론에서의 중요한 경계선 중 하나는 인간 발달에 대한 위계적/홀라키적, 순차적sequential,

혹은 유사-단계 모델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는 켄 윌버Ken Wilber, 존 바티스타John Battista, 그리고 융학파의 관점과 관련된 저자들, 혹은 마이클 워시번Michael Washburn과 스타니슬라브 그로프 Stanislav Grof 처럼 퇴행의 원리를 포함한 모델을 주장한 이들이 포함되어 있다.

켄 윌버와 존 바티스타Ken Wilber and John Battista 켄 윌버의 자아초월 심리학은 종종 이 분야에서 유력한 이론적 작업틀로 언급된다.[3][9][18][31] 윌버는 흔히

선도적인 이론가[9]이자 자아초월 운동transpersonal movement[3]의 선구자로 간주된다. 하지만 그는 상

당기간 동안 자아초월이라는 명칭과 적극적으로 연관되지 않았다 .몇몇 논평가들은[9][31][64] 그가 통합적 Integral이라고 부르는 새로운 모델을 선호하면서 스스로 자아초월 분야와 거리를 두었다고 언급하였다. 하지만 그의 심리학적 모형은 여전히 자아초월 심리학의 수행과 발전[18]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자아초월 적 주제 역시 그의 저작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남아 있다. 인간 발달의 이해에 대한 그의 초기 공헌은 심리 학의 스펙트럼-모형이었으며,[3][18][38][65][66] 그의 첫 번째 저서 의식의 스펙트럼The spectrum of consciousness(1977)[34]과 아트만 프로젝트-인간 발달에 대한 자아초월적 관점The Atman Project - A transpersonal view of human development(1980)[35]에서 개술되었다. 이 책들은 대략적으로 동양과 서양을 통합한 것으로 묘사되곤 한다;[67] 힌두-불교 전통의 영적 철학과 서구 학계의 영적 심리학의 통합. 윌버의 의식의 스펙트럼은 세 가지 커다란 발달적 범주로 이루어져 있다: 전개인 혹은 전-에고의, 개인적 혹은 에고의, 그리고 자아초월적 혹은 초-에고의[3] 이 스펙트럼 이론의 보다 자세한 버전은 인간 발달에 대 한 아홉가지 서로 다른 수준들을 포함하고 있다. 수준 1-3은 전개인 수준이고, 수준 4-6은 개인적 수준,

수준 7-9는 초개인 수준이다.[68] 이후의 버전은 10번째 수준까지 포함하고 있다.[69][70] 자아초월적 단계 혹은

스펙트럼의 상위 수준은 영적 사건과 발달의 고향이다.[18][38] 윌버가 제시한 작업틀은 인간 발달이 이러한

의식의 단계들을 통과해 앞으로 나아가는 움직임임을 제안하고 있다.[66][68] 그의 모델은 심리학의 서로 다른

학파들이 스펙트럼의 서로 다른 수준과 연관되어 있으며,[65][67] 각각의 조직화 수준 혹은 자기-발달 수준은

해당 수준과 관련된 특정 병리에의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18][66][68] 각각의 수준은 또한 반 드시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발달적 구속 상태로 귀결되는 발달 과업들을 지니고 있다. [38] 윌버의 자아초월 심리학의 기본 신조는 “전/초 오류”라 불리는 개념이다. 즉, 전개인적 퇴행과 초개인적 진보의 혼동.[67] 이 분야의 저술가들에 따르면, 서구의 심리학 학파들은 자아초월적 수준들을 병리적인 것 으로 간주하고, 그것들을 스펙트럼의 낮은 수준에 속하는 퇴행적이고 병리적인 현상과 동일시하는 경향 이 있다. 전/초 오류는 이러한 두 범주 사이의 차별화의 결여를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윌버의 물질, 몸, 마음, 혼, 영[31]에 이르는, 혹은 전개인에서 개인, 초개인 [71][72]에 이르는 의식 혹은 실재 의 수준에 대한 이해는 종종 “존재의 대사슬 Great Chain of Being”로 지칭된다. 이 대단히 중요한 작업 틀은, 세계의 위대한 영적 전통들의 “영원의 철학”으로부터 채택된 것이며, 이후 윌버에 의해 “존재의 대 둥지”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여 받았다.[31] 이것은 단순한 선형적 위계질서가 아니라 일종의 겹진 위계질서, 혹은 홀라키[65][71]이다. 인간 발달, 그리고 진화는 이 홀라키를 따라 올라가는 것으로 간주된다.[65]

1990년대는 윌버에게 있어 통합적 사상의 세계로 나아가는 시기였다. 논평가들에 따르면 그는 1990 년대 중반부터 통합적integral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면서 자신의 작품을 자아초월적이라고 언급하기를 멈 추었다고 한다.[31] 문헌들은 이제 그가 자아초월 심리학에서 통합적 심리학으로 옮겨갔음을 확신하고 있 다.[9] Brys & Bokor에 따르면, 윌버는 1997년에서 2000년 사이에 그의 통합적 접근의 주요 저서들을 내 놓았다.[73] 통합적 이론은 의식의 사상한 모델과 발달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차원은 단계 혹은 수준의 순서에 따라 펼쳐진다고 언급된다. 사상한과 수준의 결합은 온-상한 all-quadrant, 온-수준all-level 접근 으로 귀결된다. 이 이론은 또한 다른 전체의 부분이면서 동시에 전체인 것을 가리키는 홀론과 홀론 속의 홀론이 존재하는 위계질서를 가리키는 홀라키라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74] 이러한 아이디어들 중 일부는

이미 1995년에 출간된 성, 성태, 영성에 나타나 있다.[69][74]

논평가들에 따르면,[75][76] 윌버의 통합 비전integral vision에서 영적 차원은 핵심에 위치하고 있다. 윌버가 제시한 모델과 비슷한 것이 바로 존 바티스타John Battista가 제시한 의식의 정보 이론이다. 바티스타는 자기-시스템,그리고 인간 심리의 발달이 성숙과 심리적 안정성의 강화, 그리고 자아초월적이고 영적인 범 주들을 향한 일련의 전환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모델은 의식과 정신병리의 수준 각각에 해당하는 일련의 발달 과업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수준들 및 전환과 관련된 치료적 개입에 대해

논하고 있다.[77]

마이클 워시번과 스타니슬라브 그로프

마이클 워시번은 정신분석, 대상-관계 이론, 그리고 융 학파의 심층 심리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인간

발달 모형을 제시하였다.[38][78][78] 자아초월 심리치료의 맥락에서, 워시번의 접근은 융의 분석 심리학의 개정 판으로 묘사되기도 한다.[5] 그의 세미나 수업의 결과물이기도 한 저서 에고와 역동적 기반: 발달의 자아초 월 적 이 론 T h e E g o a n d t h e D y n a m i c G r o u n d : A Tr a n s p e r s o n a l T h e o r y o f Development (1988/1995)[39]에서, 그는 발달의 “역동적-변증법적 모형”을 제시하였다.[79] 이 모형은 신

성한 세계에서의 체화된 영성Embodied spirituality in a sacred world (2003)[78][80] 같은 이후의 저서들 에서 갱신되었다. 워시번에 따르면, 자아초월적 발달은 나선형 경로의 원리를 따른다.[78] 그의 모형의 핵심은 역동적 기반 에 대한 이해이다; 역동적 기반은 깊은 심층의 무의식이며[78], 영적인 특질을 지니고 있고[81], 개인이 전개인 적 발달 수준일 때 접촉하고 있던 것이다.[78] 논평가들에 따르면, 워시번은 인간 발달의 세 단계에 대해 기 술하였다; 전-개인, 개인, 그리고 초개인,[78] 이는 또한 전-에고적, 에고적, 초-에고적으로 기술되기도 한다. [81] 전-단계(5세까지)에서, 아이는 역동적 기반과 통합되어 있다. 이후의 삶에서 이 접촉은 약화되며, 에고

가 역동적 기반으로부터 분리되는 새로운 발달단계가 뒤따른다.[78][81] 이것은 억압,[79][81]의 과정을 통해 일어

나며 성인기[78]와 정신적 에고mental ego(에고적 단계) [79][81]의 특징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후의 삶의 초-에고적 단계에서 역동적 기반과 재-통합될 가능성이 남아 있다.[78][79][81] 워시번에 따르면 이 자아초월적 발달에선 에고가 그 무의식적인 역동과 더불어 통합되기 위해선 역동적 기반을 향

한 일종의 유U-턴, 혹은 회귀가 필요하다.[38][78][79][82] 워시번의 모형의 이러한 측면은 논평가들 [82]에 의해 위로

나아가기 전에 뒤로 물러서기라고 묘사되었다. 초월[38], 그리고 온전히 체화된 삶[78]을 위한 길을 닦아주는 퇴행인 것이다. 자아초월적 발달에 대한 워시번의 접근은 종종 “초월을 위한 퇴행regression in the

service of transcendence”으로 요약된다.[38][78][79][81] 이는 Lev[79]에 따르면, “에고를 위한 퇴행”이란 말을 살 짝 바꾼 것이다. 워시번은 그가 나선형-역동적이라고 부른 자신의 관점과 그가 구조적-위계적이라고 부른 켄 윌버의 발

달 이론을 대비시켰다.[81][83] 워시번과 윌버의 관점상의 차이에 대해 몇몇 논평가들이 언급하였다.[78][81][82]

한편, 스타니슬라브 그로프는 세 가지 종류의 영토들로 구성된 의식의 지도를 가지고 작업하였다: 감 각적 장벽과 개인 무의식의 영역(정신분석이 묘사한), 주산기perinatal 혹은 탄생-관련된 영역(정신 psyche의 조직화 원리인), 그리고 초개인적 영역.[31][38]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첫 두 영역에 대한 적절한 관 여는 세 번째의 자아초월적 영역을 오르기 위한 계단 역할을 한다.[38] 그의 초기 치료와 연구는 리세르그산 다이에틸아마이드lysergic acid diethylamide(LSD), 실로시빈 psilocybin(역주: 멕시코산(産) 버섯에서 얻어지는 환각 유발 물질), 메스컬린mescaline(역주: 북미 남부 인디언들의 종교적 의식에서 섭취하는 선 인장 Hophophora williamsii에 들어 있는 마취성 알칼로이드 물질), dipropyl-tryptamine (DPT), methylene-dioxy-amphetamine (MDA) 같은 싸이키델릭 물질의 도움으로 수행되었다.[84][85] 이후, LSD

가 금지되자 그로프는 홀로트로픽 호흡작업[85][86] 같은 다른 치료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의 초기 발견들은[87] LSD 연구에서의 관찰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로프에 따르면 인간 무의식 의 각 단계에 상응하는 경험들에는 네 가지 주요 유형이 존재함이 밝혀졌다: (1) 추상적이고 미적인 체험;

(2) 정신역동적인 체험Psychodynamic experiences; (3) 주산기 체험Perinatal experiences; (4) 자아 초월적 체험Transpersonal experiences. 그로프는 이후의 책들에서도 이러한 발견들을 반복적으로 언급 하였다.[85] 지그문트 프로이드의 이론에 해당하는 정신역동적 수준은 생물학적 기억, 정서적 문제, 풀리지 않은 갈등과 공상의 영역이다. 주산기 수준은, 오토 랭크Otto Rank의 이론에 해당하며, 신체적 고통과 괴 로움, 죽음의 과정과 죽음, 생물학적 탄생, 노화, 질병과 노쇠의 영역이다. 자아초월적 수준은 칼 융의 이 론에 해당하며, 여러가지 영적, 초정상적, 그리고 초월적 경험의 영역이며, 여기에는 초능력 현상, 에고의 초월, 그리고 기타 확장된 의식 상태들이 포함된다. 정신역동적 수준과 주산기 수준에 구조를 부여하기 위 해, 그로프는 두 가지 통제 체계 혹은 조직화 원리를 도입하였다: 정신역동적 수준을 통제하는 시스템인

COEX체계(system of condensed experience; 반복에 의해 굳어진 응축된 경험체계), 그리고 출생단계 를 나타내며 주산기 수준을 관할하는 체계인 주산기 기본 매트릭스the Basic Perinatal Matrices(줄여서

BPM).[85][87]

그로프는 보다 큰 심리적 통합을 추구하기 위해 퇴행적 방식의 치료를 적용하였다(원래는 싸이키델릭 물질을 활용했지만, 이후에는 다른 방법을 활용하였다).이는 진정한 정신 건강을 낳는 구축과 탈구축 과 정의 모형의 직면으로 귀결되었다: 윌버가 전/초 오류로 본 것이 워시번과 그로프에겐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전-합리적 상태는 진실로 초개인적일 수 있으며, 그것들을 재-활성화하는 것은 온전한 정신을 되찾는 과정에서 필수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88]

Stuart Sovatsky

발달 개념은 Stuart Sovatsky의 영적 심리치료와 심리학에서도 부각되었다. 인간 발달에 대한 그의 이 해는, 주로 동양/서양의 심리학과 요가 전통과 해석에 영향을 깊이 받았으며 인간 존재를 요가 철학에서 묘사된 영적 에너지와 과정들 사이에 위치시켰다. Sovatsky에 따르면, 이것들은 성숙의 과정이며, 우리의 몸과 영혼에 영향을 끼친다.[44][89] Sovatsky는 인간 발달을 이끄는 힘으로서의 쿤달리니Kundalini 개념을 받아들였다. 그의 모형에 따르면, 여러가지 고급 요가 과정들은 “영혼이 깃든 몸의 성숙maturation of

the ensouled body”을 돕는 것으로 언급된다.[90]

조르주 페레의 자아초월 이론

조르주 페레Jorge Ferrer의 학문은 영적, 존재론적 차원에 보다 다원적이고 참여적인 관점을 도입하였 다. 그는 저서 자아초월 이론의 수정revision of transpersonal theory을 통해 자아초월 연구에서 지배적 이었던 세 가지 주요 전제, 혹은 해석을 위한 작업틀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여기에는 경험중심주의

Experientalism(개인의 내적 경험으로 이해되는 자아초월성)의 작업틀; 내면의 경험주의(경험주의 과학 의 기준에 따라 자아초월적 현상을 연구하는 것); 그리고 영원주의perennialism(자아초월 연구에서 영원

의 철학이 남긴 유산)가 포함된다.[24][31][49][64][91][92] 비록 자아초월적 현상의 초기 연구에서 이러한 참조틀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페레Ferrer는 이러한 가정들이 이 분야의 발전을 제한하고 문제를 불러일으켰다고

믿었다.[92]

이러한 주요 인식론적, 철학적 조류의 대안으로 페레는 자아초월적 질문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영적 통찰과 세계로 구성된 위대한 다양성 혹은 다원주의에 초점을 맞추었다. “영원의 철학”의 영향을 받은 자 아초월 모형과 대비하여, 그는 “역동적이고 결정되지 않은 영적 힘dynamic and indeterminate

spiritual power”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49][92] 이러한 구절과 더불어 그는 또한 “해방의 바다ocean of emancipation”라는 은유를 도입하였다. 페레에 따르면 “해방의 바다는 여러 바닷가를 지니고 있다”. 즉, 서로 다른 영적 바닷가에 도달함으로써 서로 다른 영적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49]

그가 가한 수정의 두 번째 측면은 바로 “참여적 전환the participatory turn”이며, 그는 자아초월적 현 상이 참여적이고 공동-창조적인 사건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는 이러한 사건들을 “개인이라는 축 뿐 만 아니라, 관계 속, 공동체 안, 어떤 집단적인 정체성 혹은 장소 속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자아초월적 존 재의 출현”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참여적 앎은 다차원적이며, 자아초월적 작업틀을 이해함으로써, 인간

존재(몸/가슴/영혼)의 모든 힘을 받아들이는 것이다.[49][64][83][91] Jaenke[92]에 따르면, 페레의 비전은 다원적이 고 다양한 영적 실재와 다양한 계시와 통찰을 낳는 영적 힘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서로 겹쳐 있거나, 심 지어 모순되기도 한다.

자아초월적 심리치료

월시Walsh와 본Vaughan의 접근은 초창기 자아초월 심리치료 분야에 공헌하였다. 그들은 자아초월 적 치료에 대해 개술하면서, 치료의 목표는 증상의 완화나 행동적 변화 같은 전통적인 결과물 뿐만 아니 라, 정신역동적 이슈를 넘어선 자아초월적 수준에서의 작업 둘다를 포함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카르마 요가와 의식의 변성상태 둘 다 자아초월적 치료 접근의 일부이다. 월시Walsh와 본Vaughan에 따르면, 카 르마 요가, 그리고 봉사라는 맥락은 이 과정을 촉진시키며 이로 인한 치료자의 심리적 성장은 내담자의

성장을 위한 지지적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93]

이 분야의 몇몇 저자들, 예를 들면, Stuart Sovatsky와 Brant Cortright는 서구의 심리치료와 영적 심 리학의 통합을 제시하고 있다. 서구 심리치료를 다시 다듬으면서, Sovatsky는 동양/서양의 심리학과 영성 의 관점에서 시간, 덧없음, 그리고 구원론을 다루었다. D. W. 위니콧 같은 후기-프로이드주의자들의 통 찰을 끌어당겼을 뿐 아니라, Sovatsky는 심리치료에 대한 그의 접근과 요가 철학의 영향을 받은 몸과 마

음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통합시켰다.[44][89]

한 편 Cortright는 자아초월 심리치료 분야와 심리치료에 대한 주요 자아초월적 모델들, 윌버, 융, 워 시번, 그로프, 알리Ali의 모델들 뿐 아니라 실존주의, 정신분석, 그리고 신체-주심 접근법을 검토하였다. 그는 또한 자아초월 심리치료 분야를 위한 통일된 이론적 틀작업을 제시하였으며 자아초월적 영역에서 인 간 의식의 차원이 핵심임을 발견하였다. 그는 또한 명상, 영적 응급상황, 그리고 의식의 변성상태와 관련

된 임상적 이슈들을 다루었다.[5][43] 논평가들에 따르면.[5] Cortright는 영적으로 진보하려면 심리학적 이슈 를 다루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자아초월 심리학의 전통적인 관점에도 도전하였다. 대신 그는 이러한 두 가 지 발달 라인이 서로 엉켜 있으며, 강조점이 바뀜에 따라 둘 중 하나가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고 주장하였 다.

현재의 정신분석 내에선, 임상적 관점으로 볼 때, 인간 경험의 초월적 차원을 상정하는 것은 치료에 대

한 비-환원적 접근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필요하다.[94]

임상 및 진단 이슈

자아초월 심리학은 또한 영적 위기spiritual crisis 주제에 임상적 주의를 기울였다.Note d 영적 위기와 관 련된 여러 심리적 어려움들은 일반적으로 주류 심리학에선 다뤄지지 않는다. 이에 해당하는 임상적 문제 들에는 신비 체험과 연관된 정신과적 합병증들이 있다; 임사체험near-death experience; 쿤달리니 각성

Kundalini awakening; 샤먼적 위기shamanic crisis (샤먼의 병shamanic illness이라고도 불림); 심령 적 열림psychic opening; 강렬한 명상체험intensive meditation; 영적 스승으로부터의 분리separation from a spiritual teacher; 의학적 혹은 치명적 질환; 중독.[6][7]

스타니슬라브 그로프와 크리스티나 그로프[41][95]는 한 개인의 삶 속에서의 영적 현상, 그리고 영적 과정 의 출현을 묘사하기 위해 "영적 출현spiritual emergence"과 "영적 응급상황spiritual emergency"이라 는 용어를 고안해냈다.Note e “영적 출현”이라는 용어는 심리적, 사회적, 그리고 직업적 기능에 거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영적 잠재력의 점진적인 펼쳐짐을 기술하고 있다.[6][7] 어떤 개인의 통제력을 넘어설 정도로 영적 현상의 출현이 강렬해진 경우, 그것은 “영적 응급상황”의 상태로 귀결될 수 있다. 영적 응급상황은 심

리적, 사회적, 그리고 직업적 기능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6][7][38][96] 위에서 언급된 심리적 어려움들

의 다수는, 자아초월 이론에 따르면, 영적 응급상황의 삽화들을 야기할 수 있다.[6]Note f

1990년대 초반에 자아초월심리학 분야와 관련된 일군의 심리학자와 정신의학자들은 종교적, 영적 문 제와 연관된 새로운 정신의학적 범주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이러한 문제들이 잘못 진단될 것을

우려하였다.[6][29][45][95] 방대한 문헌 연구에 기초하여, 이 집단은 미국 정신의학 학회의 종교와 정신의학 위원

회와 손을 잡고 “심리종교적 혹은 심리영적 문제Psychoreligious or Psychospiritual Problem” [6][45]라는 명칭의 새로운 진단 범주를 제안하였다. 이 제안은 1991년 DSM-IV의 위원회에게 제출되었고, 1993년

명칭을 “종교적 혹은 영적 문제 Religious or Spiritual Problem”로 바꾼 뒤 승인되었다.[6][97][98] 이것은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제 4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3][96][99] [100]Note g과 그 뒤에 나온 개정판, DSM-IV-TR[101][102]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제안을 한 저자들에 따르면, 이 새로운 범주는 “임상적 주의의 초점이 종교적 혹은 영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정신 장애로 귀인되지 않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그들의 관점에 따르면 영적 문제와 정

신증psychosis 같은 정신 장애를 구별하는 기준이 존재한다.[96][103] 이 주제는 또한 DSM-IV의 자료집

Sourcebook[98][104][105]에서도 다뤄지고 있다. 이 범주의 공동-저자인 Lukoff[95]와 Lu[102]에 따르면, 종교적 혹 은 영적 문제들은 정신장애로 분류되지 않는다. Foulks[101] 또한 이 새로운 진단명이 DSM-IV-TR에서 비질 환 범주nonillness category에 포함되었다고 언급하였다(임상적 주의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상황들).

DSM-체계에서 이 새로운 범주의 추가는 정신의학 언론[3][101][102][105][106]과 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97]에 의해서도 주목받았다. 몇몇 논평가들 또한 자신들의 관점을 제시했다. Chinen[20]은 이러한 포 함이 “자아초월적 이슈들에 대한 전문가들의 수용이 증가함”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언급하였고, Sovatsky[44]는 이것을 주류 임상 실천에서 영적 지향의 서사가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았다. Smart와 Smart[107]는 이러한 범주의 추가와 제 4판에서의 이와 유사한 개선을 두고 DSM 매뉴얼의 문화적 민감성 이 진보한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임사체험 연구Near-death studies 분야의 대표주자인 Greyson[108]은 종 교적 혹은 영적 문제 진단 범주가 “임사체험과 정신 장애에서 기인한 유사 경험들을 구별할 수 있게 허용 하였다”고 결론 지었다. 2000년도에 이루어진 연구에서 Milstein과 동료들은 그들의 발견이 이 새로운 DSM-IV 종교적 혹은 영적 문제 범주(V62.89)의 구성 타당도를 위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고 보고하

였다.[104]

논평가들에 따르면,[18] 자아초월 심리학은 초월적 심리 상태, 그리고 영성이 인간 기능에 부정적 영향과 긍정적 영향 둘 다를 끼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발달과 성장은 건강을-촉진하는 영성의 표현에 해당 하며, 건강과-타협하는 영성의 표현 또한 존재한다.

조직, 출판 및 장소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의 선도적인 기관은 자아초월심리학 협회Association for Transpersonal

Psychology이며, 이는 1972년에 설립되었다.[109] Alyce Green, James Fadiman, Frances Vaughan, Arthur Hastings, Daniel Goleman, Robert Frager, Ronald Jue, Jeanne Achterberg 그리고

Dwight Judy이 협회 회장직을 맡았었다.[110][111] 미국의 협회에 조응하여 유럽 자아초월 심리학 협회the

European Transpersonal Psychology Association (ETPA)가 훨씬 뒤에 설립되었다.[18]

이전에 자아초월 심리학 기구 the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였던 소피아 대학교Sofia University는 최초로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였다.[27][112][113] 소스에 따르면,[27] 소피아 대학은 사립이고, 무종파 이며, 학교 및 대학교 서부연합the Western Association of Schools and Colleges에 의해 공인되었 다.

분야의 선도적인 학술 출판물로는 자아초월심리학 저널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과 국제 자아초월 연구 저널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Studies이 있다. 이 보다 작은 규모의 출판물로는 자아초월 심리학 리뷰Transpersonal Psychology Review, 영국 심리학 협회British Psychological Society의 자아초월 심리학 저널 섹션이 있다. 1996년 베이직북스Basic

Books 출판사는 분야에 대한 철저한 훑어보기를 포함한 자아초월 정신의학과 심리학 교과서

the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를 출간하였다.[3][4] 1999년 그린우드 출판 사Greenwood Press는 “인본주의와 자아초월 심리학: 역사적 전기적 자료집 Humanistic and

transpersonal psychology: A historical and biographical sourcebook”[55][114][115]이라는 제목의 책을 출 간하였다. 이 책에는 인본주의와 자아초월 심리학의 핵심 인물들에 대한 전기적, 비판적 에세이가 실려 있 다.[54] 최근의 출판물로는, The Wiley Blackwell의 자아초월심리학 핸드북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이 있으며,[109][116] 이 책은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에 대한 가장 최신의 업데이트된 입문서이다.

비록 자아초월 심리학적 관점이 미국과 유럽에 걸쳐 이에 관심을 지닌 여러 집단들에게 퍼지긴 했지 만, 그 기원은 미국 캘리포니아였으며, 이 분야는 항상 미국 서부 해안가의 기관들과 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9] 자아초월 심리학 협회와 자아초월 심리학 기구 둘 다 캘리포니아주에서 만들어졌으며, 이 분야의 선도적인 이론가들 다수가 이 지역에서 나왔다.[9]

4. 수용과 비판

수용

자아초월 심리학의 수용은, 이를 둘러싼 문화 속에서, 인정과 회의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범위의 관점

과 견해를 반영하고 있다. 자아초월 심리학은 정신의학[3][54], 행동과학[55], 심리학[25][38][116][117][118], 사회 복지[40][68],

의식 연구[31][119][120], 종교 연구[14][32][64], 목회 심리학[72], 그리고 도서관학[122]을 포함한 여러 학문분야에서 수 많은 학술 논문과 책 리뷰글들의 주제였다. 몇몇 논평가들은 자아초월 심리학에 대한 자신의 관점과 자아초월

심리학이 학문적 지평에 기여한 바에 대해 표현하였다. 1980년대, 당대의 심리학을 대표하던 Hilgard[118] 는 자아초월 심리학을 인본주의 심리학 내의 보다 극단적인 추종자들을 끌어당기는 주변부의 움직임으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그는 그러한 움직임이, 비록 대다수의 심리학자들이 그러한 움직임에 참여하진 않았 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리학의 연구 주제들을 보다 풍성하게 하였을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Adams[32] 또한 자아초월 심리학의 주변부-지위를 관찰하면서, 켄 윌버의 작업이 이 분야에 상당 수준의 정통성을 부여했다고 언급하였다. 1990년대 사회복지학 이론을 대표하는 Cowley와 Derezotes[68]는 자 아초월 심리학을 원조 훈련에서의 영적 민감성의 개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목회 심리학을 대표하는 Bidwell[72]은 자아초월 심리학을 성직자들에 의해 거의 무시 당했던 분야를 발전시킨 것으로 보 았다. 그러면서 그는 자아초월 심리학이 못회 신학과 목회 상담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영성 지향 심리치료 분야의 저술가인 Elkins[123]는 자아초월 심리학이 인본주의 움직임에 뿌리를 내리고 자 랐지만 그러부터 벗어나 자신만의 이론과 관점을 세웠다고 여겼다. 인본주의 심리학 분야를 대표하는 Taylor[25]는 자아초월 심리학을 인본주의 심리학과의 관련성과 초월, 의식의 범주를 제외하곤 미국의 심리 학 학문과 역사적 관계가 거의 없는 가공의 대중-심리학으로 간주하였다. 미국 심리학의 역사가이자 자아 초월 심리학의 창시자들을 인터뷰한 Ruzek[124]은 이 분야가 보다 큰 분야인 미국 심리학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상황에 기여한 요인들로는 특히 영적, 철학적 발상에 대한 주류 심리학의 저항과 자아초월 심리학자들이 스스로를 보다 큰 맥락으로부터 고립시키려는 경향을 꼽을 수 있 다.

영성 지향 심리치료 분야에선 자아초월 심리학에 대한 약간의 인정이 있어왔다. 이 분야를 조사한 최 초의 책이 2005년 미국 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 의해 출간되었으며, 자아초월 적-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챕터를 포함시켰다.[125] 일반 임상 분야에서도 자아초월 심리학에 대한 어느 정 도의 인정이 있었다. The Menninger Clinic은 1992년 최초로 자아초월적 정신의학을 주제로 심포지엄 을 열었고, 1994년 미국 정신의학 협회는 자아초월 심리학과 정신의학과 관련된 임상가들로부터의 제안 이 있은 후 자신들의 공식적 매뉴얼(DSM-IV)에 새로운 진단 범주를 추가하였다.[20] 또한 자아초월 심리학 과 정신의학의 통찰들을 정신과 레지던트 수련 프로그램으로 채택하려는 몇 차례의 시도가 있어왔다. 예 를 들어, Grabovac와 Ganesan[126]은 캐나다 정신과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에 종교와 영성에 대한 강의 시리즈 제안서에서 영적 변용의 경험, 쿤달리니 관련 삽화, 그리고 영적 응급상황을 대상으로 한 자아초월 심리학 세션을 가질 것을 제안하였다. 2007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의 교 육자들은 정신과 레지던트들을 위한 새로운 학술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새크라멘토 지 역에서의 문화적으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여기에는 자아초월 정신의학의 통찰 뿐 아니라 종교와 영성의 훈련도 PGY-3 커리큘럼의 일부로 포함되었다.[127] 자아초월 심리학은 또한 강의실에도 들어갔다. 자아초월 심리학의 관점들은 대학교에서 널리 쓰이는

성격 이론 교과서 [128][129]에도 포함되었으며, 이를 통해 자아초월적 주제들이 주류 학문의 세팅에도 들어가 게 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인 Barbara Engler[128]는 다음과 같이 질문하였다. "심리학 연구에 영성이 적절 한 주제인가?”. 그녀는 자아초월 심리학의 역사에 대해 짧게 논하면서 미래의 가능성을 들여다 보았다.

Robert Frager와 James Fadiman[130]의 성격 이론 관련서도 강의 교재로 쓰였는데, 이 책에서 그들은 자 아초월 심리학을 형성하고 발전시킨 여러 주요 역사적 인물들의 공헌에 대해 설명하였다(게다가 그와 관 련된 주요 개념과 이론들에 대해서도 논하고 설명하였다). 이는 대학교에서도 이 분야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물론 주류 심리학부 대다수가 자아초월적 이슈와 수행들을 커리큘럼상의 훈련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거의 없긴 하지만, 몇몇 북미 대학에선 인본주의와 자아초월 심리학의 대

학원 과정이 허용되었다.[9][20][68][131]Note c Orinda의 John F. Kennedy University는 전일적 연구 프로그램[132]에 자아초월 심리학을 포함시켰으며, Vermont의 Burlington College도 마찬가지이다.[60] 2012년 콜럼비아 대학Columbia University은 소피아 대학교(캘리포니아)Sofia University (California)와 마찬가지로 임

상 심리학 프로그램에 영적 심리학을 통합시키기로 했음을 선언하였다[113]

비록 자아초월 심리학이 주변 문화로부터 인정을 받았지만,[20] 꽤나 많은 회의와 비판에 직면하기도 하 였다. 몇몇 논평가들은 자아초월 심리학의 논란거리들을 언급하였다. 1980년대의 중도적 비판을 대표하

는 Zdenek[37]은 이 분야가 처음부터 논란거리로 간주되었다고 언급하였다. riedman[56]과 Adams[32] 같은 논평가들 또한 이 분야의 논쟁적 지위에 대해 언급하였다. 1998년 샌프란치스코 크로니클San Francisco Chronicle은 자아초월 심리학 학부를 지닌 Orinda의 John F. Kennedy University에서 개설된 전일적 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보도를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당시엔 특별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한편에선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몇몇 논평가들은 이 프로그램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드러냈다.[132] 또 다른 논쟁적 측면은 싸이키델릭 물질 주제들과 관련이 있다.[133] 현대 문화에서의 싸이키델릭과 entheogen(역주: 깊은 영적 경험을 하게 하는 마약이나 물질) 물질에 대해 Elmer, MacDonald & Friedman[18]은 이 약물들이 자아초월 운동에선 치료적 효과를 위해 쓰였음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저자들은 이것이 현 시대의 자아초 월적 치료 개입의 가장 흔한 형태는 아님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Lukoff와 Lu[29]에 따르면, 미국 심리학 협회는 과거 자아초월 심리학을 인정해 달라는 청원을 받았던 당시 자아초월 심리학의 “비과학적” 성격에 대한 몇 가지 우려를 표하였다. Rowan[53]은 협회가 자아초월 심리학 분과를 여는 것에 대해 매우 망설였다고 언급하였다. 청원은 APA 위원회에서 과반수를 득표하는 데 실패하였고, 분과는 결국 설립되지 못했다.[22] 논평가들은 또한 자아초월 심리학과 종교적 개념의 연관 성이 1984년 청원이 있던 당시 APA의 독립 분과가 되지 못한 이유들 중 하나라고 언급하였다.[22]

이 분야의 1990년대 중반의 상태에 대해 논평하면서, Chinen[20]은 그 때까지는 전문 출판사들이 자아 초월적 주제를 다루는 논문들을 출판하길 주저했다고 언급하였다. Adams[64]는 이 분야가 인정을 받기 위 해 고군분투해왔다고 언급하였지만, Freeman[31]은 초창기 자아초월 심리학이 이미 자신이 과학 공동체에 의해 거부당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고 있었다고 말하였다 훈련된 내관introspection에 기초한 내면의 경 험주의inner empiricism는 이후 회의적인 외부자들의 타겟이 되곤 하였다.

비판과 회의주의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를 향한 비판과 회의는 자아초월 심리학에 속한 저자들 뿐 아니라 다른 심리학

혹은 철학 분야의 저자 등 다양한 부류의 논평가들에 의해 제시되었다.[20] 하지만 Chinen[20]은 자아초월 심 리학과 그 보다 더 큰 분야인 자아초월 이론을 구별한 사람이 거의 없다고 언급하였다. 이 두 범주 사이의 구별의 필요성은 다른 논평가들에 의해서도 언급되었다.[56] 이 분야 내부에서 나온 비판적 논평에는

Lukoff와 Lu의 관찰, 그리고 Wallach의 비판이 있다. 영성 지향 심리치료 분야에 공헌한 Lukoff와 Lu[29] 는 자아초월 심리치료와 자아초월 심리학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논하였다. 강점들 중에선 특히, 다른 문화 권과 원주민 치유자들과의 소통과 대화를 허용하는 이론적, 실천적 기초를 꼽을 수 있다. 약점들 중에선, 내부의 논쟁으로 귀결된 이론적 동의의 결여를 꼽았으며, 이는 자아초월적 접근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 한 비판자들의 주의를 끌었다. 이 분야와 접한 또 하나의 소스는 바로 The Wiley-Blackwell 자아초월 심리학 핸드북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이다. 이 책의 한 챕터에서[134], Walach는 이 분 야에서 해소되지 않은 문제들에 주의를 기울였다. 이 책의 편집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비판은 “책임있는 분야 내에서 꼭 필요한 일종의 자기-비판”을 나타내고 있다. 이 분야와 접한 여타의 인물들, 켄 윌버와 조르쥬 페레Jorge Ferrer로부터도 비판이 제기되었다. 자 아초월 심리학의 초기 인물인 윌버는 반복적으로 자아초월 심리학의 죽음을 선포하였다[135][136] 하지만 윌버 의 초기 자아차월 이론은 그 자체로 이미 1980년대에 주로 인본주의 심리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137] 비록 윌버가 통합 철학[9][31]을 선호하면서 스스로 자아초월 심리학과 거리를 두었으나, 그의 자아초월 모

델은 계속해서 인정[68][72]과 비판[32][72] 둘 다를 받아왔다. 윌버의 비평가들 중 하나로 Ferrer[31][64]를 꼽을 수 있다. 그는 2001년 자아초월 이론의 수정a revision of transpersonal theory을 주제로 한 책을 출간하였다. 이 책에서[49], 그는 자아초월 심리학이 지나치게 영원의 철학에 충실하면서, 미묘한 데카르트주의를 들여왔고, 지나치게 주체 내의 영적 상태들(내면의 경 험주의)에 몰두하였다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조류에 대한 대안으로 그는 다양한 종류의 영적 통찰, 영적 세계와 장소들을 존중하는 인간 영성의 참여적 비전을 제안하였다.

인본주의 심리학으로부터의 비판

이 분야에 대한 가장 초기의 비판들 중 하나는 인본주의 심리학자인 롤로 메이Rollo May로 부터 나왔 으며, 그는 자아초월 심리학의 개념적 토대에 이의를 제기하였다.[22] 논평가들에 따르면, 메이는 또한 이 분야가 초월의 추구[9]를 위에 놓음으로써 영혼의 개인적 차원을 무시하였으며,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 면”[29]을 무시했다고 비판하였다. 논평가들[9]은 메이가 표현한 이러한 우려들이 이후의 이론가들이 “영적 우회spiritual bypassing”라고 언급한 것을 반영한 것일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또 다른 논평가들[29]은 메 이가 오로지 “자아초월적 접근을 하는 뉴에이지 집단들”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은 인본주의 심리학Humanistic psychology 분야의 다른 인물들로부터도 나왔다. 유진 테일 러Eugene Taylor와 커크 슈나이더Kirk Schneider는 자아초월 심리학의 몇몇 측면들에 대한 이의를 제기

하였다.[20]

과학 및 과학적 기준과의 관계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는 개념적, 증거적, 그리고 과학적 엄격함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받아왔다. 이 분 야의 비판을 리뷰하면서, Cunningham은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철학자들은 자아초월심리학의 형이 상학이 순진하고 인식론은 미숙하다고 비판한다. 정의의 다양성과 개념의 조작화가 부족하다는 점은 자 아초월 심리학 그 자체의 본질에 대한 개념적 혼동을 불러 일으킨다(즉, 어떤 개념이 서로 다른 이론가들 에 의해 서로 다르게 쓰이며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닌다). 생물학자들은 자아초월 심 리학이 행동과 경험의 생물학적 기초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고 비판한다. 물리학자들은 자아초월 심리 학이 의식을 설명하는데 물리학 개념들을 부적절하게 갖다 쓴다고 비판한다."[138]

Friedman[56][57] 같은 경우, 이 분야가 과학 분야로서는 아직 미숙하고, 따라서 자아초월적 현상에 대한 훌륭한 과학적 이해를 낳고 있지 못하다고 주장하였다. 자아초월 심리학 분야 내에서 노력을 기울일 새로 운 분과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그는 비-과학적 접근까지 포함할 수 있는 넓은 범주인 자아초월 적 연구와 과학적 심리학의 원리와 보다 가깝게 일치하는 자아초월 심리학을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 다. 하지만 Ferrer [139]는 이 비판에 대해 Friedman의 제안이 자아초월 심리학을 영성의 영역에는 부적절 한 자연주의적 형이상학 세계관에 갖다 붙이는 셈이라며 반박하였다. 인지심리학자이자 인본주의자인 알버트 엘리스Albert Ellis는 자아초월 심리치료의 결과[140], 자아초월 심리학의 과학적 지위, 그리고 종교, 신비주의 그리고 권위주의적 신념체계와의 관계[141][142]에 의문을 제기 하였다. 이러한 비판은 Wilber[143]에 의해 다시 의문이 제기되었으며, 그는 조종교의 영역과 자아초월 심리 학에 대한 엘리스의 이해를 의문시했다. Walsh[144] 또한 비합리적-정서적 치료에 대한 엘리스의 비판에 의 문을 제기하였다. 한편, 논평가들[145]은 엘리스가 그의 나중의 저술에선 종교적/영적/자아초월적 경험에 대 한 중도적인 견해를 표했다고 언급하였다.

매튜스Matthews[5] 같은 논평가의 경우, 이 분야에 대해 보다 지지적이긴 하나, 자아초월 심리학과 자 아초월 심리치료이 연구 보다는 일화적 임상 경험에 의존한다며 그 약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반면

Adams[119]는 의식 연구의 관점에서, 자아초월 심리학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듯 보이는 내관적 introspective ‘데이터’의 개념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자아초월 심리학은 영적, 자아초월적 범주에 대한 우 리의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서의 양적 방법론의 가치를 평가절하한다고 언급된다. 논평가들에 따르면[18], 이것은 영적, 자아초월적 경험을 개념화와 수량화를 거부하는 범주로 간주하는 자아초월 분야 내부의 전반적인 방향성의 결과이며, 그로 인해 전통적인 과학적 탐구에는 잘 맞지 않는 것이다.

불교 개념의 활용

불교와 족첸Dzogchen(역주: 비이원적 가르침을 요체로 삼은 티벳의 불교수행법)의 관점에서, Elías Capriles[146] [147][148]는 자아초월 심리학이 본질적으로 해방적인 열반이라는 자차아초월적 상태와, 삼사라 samsara(역주: 윤회) 안에 있으며 그렇기에 새로운 형태의 구속인 자아초월적 사아태(예를 들면 불교의 무색계의 4선정 혹은 4개의 세계, 이 속에서 형상에 기초한 구분은 사라지지만 여전히 주체-객체의 이원 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족첸의 가르침이 kun gzhi라고 부르는, 그 속에선 주체-객체의 이원성도 없고 모 든 현상의 진실한 상태(법성dharmata, 진여, 실상이라고도 함)이며 열반도 삼사라도 아닌 중도적 상태를 분명하게 구별하는데 실패하였다고 언급하였다(여기에서의 중도적 상태는 멸제(滅諦·nirodha) 혹은 멈춤, 

멸제의 달성, 무상삼매, 그리고 파탄잘리의 요가 철학의 지고의 깨달음인 삼매 혹은 투리야turiya를 포함한다). 자 아초월 심리학-너머에 대해 설명하면서, Capriles는 윌버, 그로프, 워시번에 대해 성실히 논박하였다. 이 는 Macdonald와 Friedman[149]에 따르면 자아초월 심리학의 미래를 위해 중대한 반향을 일으킬 것이다. 

기타 비판

Gary T. Alexander는 자아초월 심리학과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의 사상 사이의 관계에 대해 비판하였다. 비록 제임스의 사상이 자아초월 분야의 핵심으로 간주되긴 하지만, Alexander[121]는 자아초 월 심리학이 제임스의 철학에서 표현된 의식의 부정적 차원(예를 들면 악evil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갖지 못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중대한 비판은 후대의 자아초월 이론에 의해 받아들여졌으며, 이후에는 인간 실존의 중요한 부정적 차원들도 기꺼이 반영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150]

Gray는 영적 응급상황이라는 개념과 정신의학의 자아초월적 차원에 대한 회의를 제기하였다.

[151] Cunningham에 따르면, 자아초월 심리학은 몇몇 기독교 저술가들에 의해 “조직화된 종교에 등을 돌린 취약한 젊은이들에게 대인적 믿음체계를 제공하는 뒤죽박죽 뉴에이지 사상(Adeney, 1988)[138]”에 불과하 다며 비판받았다. Davis[11]에 따르면 자아초월 심리학은 다양성을 대가로 하나임과 전일주의를 강조한다 며 비판받아왔다.

더 보기

자아초월Transpersonal 자아초월 인류학Transpersonal anthropology 인본주의 심리학Humanistic psychology 임사체험Near-death studies

자아초월 심리학 저널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각주

a.^ Walsh와 Vaughan (1993: 202)은 다른 정의들을 개선하려 노력하였으며, 그들의 견해에 따르면, 전제를 최소화하고, 이론으로 덜 치장했으며, 경험과 보다 접한 정의를 제안하였다.

b.^ 뉴욕주립대학교 출판부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Albany, NY)는 그들의 출판물들 을 범주, 혹은 시리즈로 나누고 있으며 각각은 서로 다른 학문 분야를 나타낸다. 그 중 자아초월과 인본주 의 심리학을 담은 것이 바로 이 the SUNY Series다. 심리 철학에 대한 the SUNY series 역시 자아초월 저술가들의 작품을 담고 있다.

c.^ 자아초월 이론을 자신들의 연구 혹은 커리큘럼으로 담은 종합대학 및 단과대학은 다음과 같다 : Sofia

University (California) (US),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US), Notre Dame de Namur University (US), Saybrook University (US), Liverpool John Moores University (UK), Naropa

University (US),John F. Kennedy University (California) (US), University of West Georgia (US), Atlantic University (US), Burlington College (US), the University of Northampton (UK), Leeds Metropolitan University (UK) and Pacifica Graduate Institute (US).

d.^ 자아초월 심리학은 종종 종교와 영성 개념을 구별한다.[1][6][68] 논평가들[18]은 자아초월 맥락에서의 종교 는 사회적 기관 및 교리에 대한 개인의 참여와 관련이 있고, 반면 영성은 초월적 차원의 개인적 경험과 관 계가 있다. DSM에 종교적, 영적 문제를 포함시킬 것을 주장한 제안자들[6][7] 또한 비슷한 구별을 하였다: 종 교적 문제는 교파 소속의 변화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새로운 종교로의 개종; 종교적 신념 혹은 수행의 강 화; 신앙의 상실 혹은 회의; 죄책감; 새로운 종교 운동 혹은 컬트에의 참여 혹은 이탈. 반면 영적 문제는 다 음에 언급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신비체험; 임사체험; 쿤달리니 각성; 샤먼적 위기; 심 령적 열림; 집중적 명상; 영적 스승과의 결별; 의학적 혹은 치명적 질환; 중독.

e.^ 이러한 관점에서 그로프보다 앞선 이들로는 융Jung, 페리Perry, Dabrowski, Bateson, Laing, Cooper 그리고 넓은 의미에서의 반-정신의학 진영이 있다.

f.^ 여기에 더해, Whitney(1998)는 또한 조증을 일종의 영적 응급상황의 한 형태로 이해하자는 주장을

하였다[152]

g.^ DSM-IV를 보라: "임상적 주의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조건들”, 종교적 혹은 영적 문제, 코드

V62.89 Other Conditions That May Be a Focus of Clinical Attention", Religious or Spiritual Problem, Code V62.89.[99]

참고문헌

^ Jump up to: a b c Walsh, R. & Vaughan, F. "On transpersonal definitions".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5 (2) 125-182, 1993

Jump up

^ Scotton, Bruce W. "Introduction and Definition of Transpersonal Psychiatry". In Scotton,

Bruce W., Chinen, Allan B. and Battista, John R., Eds. (1996)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Miller, John J. "Book review: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Psychiatric Services April 01, 1998 ^ Jump up to: a b c d e Scotton, Bruce W., Chinen, Allan B. and Battista, John R., Eds. (1996)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 Jump up to: a b c d e Matthews, Charles O. "Psychotherapy and Spirit (Book)". Counseling & Values. Oct99, Vol. 44 Issue 1, p75. 3p.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Turner, Robert P.; Lukoff, David; Barnhouse, Ruth Tiffany & Lu Francis G. "Religious or spiritual problem. A culturally sensitive diagnostic category in the DSMIV".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Jul;183(7):435-44, 1995 ^ Jump up to: a b c d e Lukoff, David, Lu, Francis G. & Turner, Robert P. Diagnosis. A clinical approach to religious and spiritual problems. In Scotton, Bruce W., Chinen, Allan B. and Battista, John R., Eds. (1996)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Jump up

^ Lajoie, D. H. & Shapiro, S. I. "Definition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first twenty-three years".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Vol. 24, 1992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Hartelius, Glenn; Caplan, Mariana; Rardin, Mary Anne. "Transpersonal Psychology: Defining the Past, Divining the Future". The Humanistic Psychologist, 35(2), 1­26,

2007

Jump up

^ Caplan, Mariana (2009). Eyes Wide Open: Cultivating Discernment on the Spiritual Path. Sounds True. p. 231.ISBN 978-1591797326. Retrieved 5 May 2010.

^ Jump up to: a b c d e f Davis, John. "An overview of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Humanistic Psychologist, 31:2-3, 6-21, 2003 ^ Jump up to: a b Scotton, Bruce W. "The Contribution of C.G Jung to Transpersonal Psychiatry". In Scotton, Bruce W., Chinen, Allan B. and Battista, John R., Eds. (1996)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 Jump up to:

a b c Battista, John. "Abraham Maslow and Roberto Assagioli: Pioneer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In Scotton, Bruce W., Chinen, Allan B. and Battista, John R., Eds. (1996)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 Jump up to:

a b Parsons, William B. Book Reviews: Revisioning Transpersonal Theory. A Participatory Vision of Human Spirituality (Book). Journal of Religion, 00224189, Oct. 2003, Vol.83, Issue 4.

Jump up

^ Dale, E. (2014) "Spiritual consciousness in the age of quantity: The strange case of Jean Piaget’s mysticism".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21 (5-6) 97-117 ^ Jump up to: a b Vich, M.A. (1988) "Some historical sources of the term "transpers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 (2) 107-110

Jump up

^ Taylor, E. (May 1996) [1996]. "William James and transpersonal psychiatry". In Scotton, B.W.; Chinen, A.B.; Battista, J.R.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1 ed.). New York: Basic Books. p. 26. ISBN 978-0465095308.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Elmer, Lori D. , MacDonald, Douglas A. & Friedman , Harris L. "Transpersonal psychology,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The Humanistic Psychologist, 31:2-3, 159-181, 2003 ^ Jump up to: a b Judy, Dwight. "Transpersonal psychology: Coming of age." ReVision. Winter 94, Vol. 16 Issue 3, p99. 2p.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Chinen, Allan B. The emergence of Transpersonal psychiatry. In Scotton, Bruce W., Chinen, Allan B. and Battista, John R., Eds. (1996)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Jump up

^ Powers, Robin. Counseling and Spirituality: A Historical Review. Counseling and Values, Apr 2005, Vol.49(3), pp.217-225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Aanstoos, C. Serlin, I., & Greening, T. (2000). History of Division 32 (Humanistic Psychology)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n D. Dewsbury (Ed.), "Unification through Division: Histories of the divisions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Jump up

^ Leonard, G. How to Have an Extraordinary Life. Psychology Today, May 01, 1992 (reviewed June 20, 2012) ^ Jump up to: a b Tarnas, Richard. A New Birth In Freedom. A Review of Jorge Ferrer's Revisioning Transpersonal Theory: A Participatory Vision of Human Spirituality.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01, Vol. 33, No. I ^ Jump up to:

a b c Taylor, Eugene. An Intellectual Renaissance of Humanistic Psychology.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Vol. 39, No. 2, Spring 1999 p.p 7-25

Jump up

^ Greyson, Bruce. (Book review) The Future of the Body: Explorations into the Further Evolution of Human Natur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ume 328:216, Number 3, 1993

^ Jump up to: a b c d e PRWeb (Press release). Founder Bob Frager Returns to Sofia University. San Francisco Chronicle, published online Tuesday, July 15, 2014.

Jump up

^ PRWEB Press release. Sofia University Announces Inauguration of First President, Neal King Ph.D. Palo Alto, CA (PRWEB) September 18, 2012 ^ Jump up to:

a b c d e f Lukoff, David; Lu, Francis. A transpersonal-integrative approach to spiritually oriented psychotherapy. In Sperry, Len (Ed); Shafranske, Edward P. (Ed), (2005). Spiritually oriented psychotherapy. , (pp. 177-205).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x,

368 pp.

Jump up

^ Braud, William & Anderson, Rosemarie (2011). Transforming Self and Others through Research.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Freeman, Anthony. A Daniel Come To Judgement? Dennett and the Revisioning of Transpersonal Theory.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13, No. 3, 2006, pp. 95­109 ^ Jump up to: a b c d e Adams, George (2002) A Theistic Perspective on Ken Wilber's Transpersonal Psychology, Journal of Contemporary Religion, 17:2, 165-179, DOI:10.1080/13537900220125163 ^ Jump up to:

a b c d Paulson, Daryl S. Ken Wilber: Thought as passion.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04; 36, 2 ^ Jump up to: a b Wilber, Ken. 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 Wheaton, Ill.: Theosophical Pub. House, c1977

^ Jump up to: a b Wilber, Ken. The atman project: a transpersonal view of human development. Wheaton, Ill.:

Theosophical Pub. House, c1980.

Jump up

^ Wilber, K., Engler, J., &Brown, D (1986). Transformations of consciousness. Boston: Shambhala. ^ Jump up to: a b Zdenek, Marilee. "Transformations of Consciousness" (Book review). L.A Times, September 14, 1986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Sharma, Pulkit; Charak, Ruby & Sharma, Vibha.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Indian Journal of Psychological Medicine. 2009 Jan-Jun; 31(1):

16­23.

^ Jump up to: a b Washburn, Michael (1988). The Ego and the Dynamic Ground. Alban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Jump up to: a b Smith, Elizabeth D. Addressing the Psychospiritual Distress of Death as Reality: A Transpersonal Approach. Social Work. May95, Vol. 40 Issue 3, p402-413.

^ Jump up to:

a b Grof, Stanislav & Grof, Christina (Eds.) (1989) Spiritual emergency: When personal transformation becomes a crisis. Los Angeles: Tarcher.

Jump up

^ Horrigan, Bonnie. David Lukoff,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6.6 (Nov 2000): 80-7.

^ Jump up to: a b c d Cortright, Brant. (1997) Psychotherapy and spirit: Theory and practice in transpersonal psychotherapy. Albany, NY, U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xii 257 pp. (SUNY series in the philosophy of psychology.) ^ Jump up to:

a b c d e Sovatsky, Stuart (1998) Words from the Soul : Time, East/West Spirituality, and Psychotherapeutic Narrativ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SUNY Series in Transpersonal and Humanistic Psychology) ^ Jump up to: a b c Lukoff D, Lu F, Turner R. Toward a more culturally sensitive DSM-IV. Psychoreligious and psychospiritual problems.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92;180(11):673­682.

Jump up

^ Fontana, David; Slack, Ingrid & Treacy, Martin, Eds. (2005) Transpersonal Psychology: Meaning and Developments.Transpersonal Psychology Review (Special Issue). Leicester: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Jump up

^ Daniels, Michael & McNutt, Brendan. "Questioning the Rol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Transpersonal Psychology Review, Vol. 1, No. 4, 4-9. (1997) [Preprint Version]

Jump up

^ Rowan, John. "The transpersonal in psychology,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book review). Therapy Today, June 2008, Vol. 19 Issue 5, p46-46. 3/5p. 1 ^ Jump up to: a b c d e f Ferrer, Jorge N. (2001) Revisioning Transpersonal Theory. A Participatory Vision of Human Spiritualit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SUNY Series in Transpersonal and Humanistic Psychology)

Jump up

^ Press release: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Becomes Sofia University. New Name Brings Broader Mission, Expanded Campus and New Programs". Palo Alto, CA (PRWEB), published online July 16, 2012

Jump up

^ Barry, W. J. (2012). Challenging the Status Quo Meaning of Educational Quality: Introducing

Transformational Quality (TQ) Theory©. Educational Journal of Living Theories. 5, 1-26

Jump up

^ Boucovolas, M. (1999). "Following the movement: from transpersonal psychology to a multidisciplinary transpersonal orientation".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31 (1) 27-39 ^ Jump up to:

a b c d Rowan, John.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 (Book Review). ACPNL Magazine, Issue 75 March 2014. The Association of Counsellors and Psychotherapists in North London ^ Jump up to: a b c Travis, Terry A. Book Forum: Humanistic and Transpersonal Psychology: A Historical and Biographical Sourcebook. Am J Psychiatry 2001;158:667-a-668.

^ Jump up to: a b c DeCarvalho, Roy J. "Book Reviews: Donald Moss (Ed.). Humanistic and Transpersonal Psychology: A Historical and Biographical Sourcebook". Journal of the History of the Behavioral Sciences, Vol. 39(1), 93­94 Winter 2003 ^ Jump up to: a b c d e f Friedman, Harris (2000) Toward Developing Transpersonal Psychology as a Scientific Field. Paper presented at Old Saybrook 2 conference, May 11­14, 2000, State University of West Georgia

^ Jump up to:

a b c Friedman, Harris. Transpersonal Psychology as a Scientific Field.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Studies, 2002, Vol. 21, 175-187.

Jump up

^ Caplan, Hartelius & Rardin. Contemporary viewpoints on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03, Vol. 35, No. 2.

Jump up

^ Sutcliffe, Steven (2003). Category Formation and the History of 'New Age'. Culture and Relig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4:1, 5-29 ^ Jump up to: a b Casey retiring from Burlington College. Vermont Business Magazine 29.14 (Dec 01, 2001): 27.

^ Jump up to:

a b Rowan, John (1993) The transpersonal: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London: Routledge (Second edition) Jump up

^ Evans, Joan. "The Transpersonal -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Book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therapy2.2 (Nov 1997): 237-240. Jump up

^ Miller, L. J., ed. (2012) [2012]. "Models of Spiritual Development". The Oxford Handbook of Psychology and Spirituality (1 ed.). Oxford University Press. p. 216. ISBN 978-0-19-972992-0.

^ Jump up to:

a b c d e f Adams, George. "Book Reviews: Revisioning Transpersonal Theory: A Participatory Vision of Human Spirituality."Journal of Contemporary Religion, Vol. 18, No. 3, 2003 pp. 403­435 ^ Jump up to: a b c d e Walsh, R. & Vaughan, F. The worldview of Ken Wilber. In Scotton, Bruce W., Chinen, Allan B. and Battista, John R., Eds. (1996)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 Jump up to:

a b c Paul A. Jerry. "Challenges in Transpersonal Diagnosis". 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03, Vol. 35, No. 1 ^ Jump up to:

a b c Walsh, Roger. "Developmental and evolutionary synthesis in the recent writings of Ken Wilber." Revision 18 (4): 7-1 8, 1996 ^ Jump up to: a b c d e f g h Cowley, Au-Deane S. & Derezotes, David.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Social Work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10437797, Winter, Vol. 30, Issue 1, 1994 ^ Jump up to:

a b Wilber, Ken (1995/2000). Sex, Ecology, Spirituality - The Spirit of Evolution. Boston,

Massachusetts: Shambhala Publications

Jump up

^ Wilber, Ken (1996). Brief History of Everything. Boston, Massachusetts & London:

Shambhala

^ Jump up to:

a b Kelly, Sean M. Revisioning the mandala of consciousness. ReVision, 02756935, Spring96, Vol. 18, Issue 4 ^ Jump up to: a b c d e Bidwell, Duane R. "Ken Wilber's Transpersonal Psychology: An Introduction and Preliminary Critique". Pastoral Psychology, November 1999, Volume 48, Issue 2, pp 81-90

Jump up

^ Brys, Zoltan & Bokor, Petra (2013) Evaluation of Ken Wilber's Integral Psychology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15:1, 19-33 ^ Jump up to:

a b Wilber, Ken. "An Integral Theory of Consciousness."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4 (1),

February 1997, pp. 71­92. Imprint Academic

Jump up

^ Publishers Weekly. "The Integral Vis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to the Revolutionary Integral Approach to Life, God, the Universe and Everything. Reviewed on: 05/28/2007

Jump up

^ Publishers Weekly. "Integral Psychology. Reviewed on: 05/15/2000

Jump up

^ Battista, John. A Transpersonal View of Human Development, Psychopathology and Psychotherapy. Journal of Transpersonal Research, 2011, Vol. 3 (2), 85­96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Anderson, Rosemarie. "Book Review: Washburn, Michael. (2003). Embodied spirituality in a sacred world." 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05, Vol. 37, No. 2 ^ Jump up to: a b c d e f g Lev, Shoshana (2005) "Regression in the Service of Transcendence: Reading Michael Washburn," Human Architecture: Journal of the Sociology of Self-Knowledge: Vol. 4: Iss. 1,

Article 23.

Jump up

^ Washburn, Michael (2003). Embodied spirituality in a sacred world. Albany,NY: SUNY Press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Harold Coward. The Ego and the Dynamic Ground by Michael Washburn (book review). Philosophy East and West, Vol. 39, No. 4 (Oct., 1989), pp. 505-507 ^ Jump up to:

a b c Walsh, R. and Vaughan F. The Worldview of Ken Wilber.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34(2):6-21, 1994

^ Jump up to: a b Washburn, Michael. Transpersonal Dialogue : A New Direction. 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03, Vol. 35, No. 1

Jump up

^ McConnell, James V. "Special Section: The Rediscovery of Human Nature". TIME magazine, Monday, Apr. 02, 1973 ^ Jump up to: a b c d Paulson, Daryl S. "Book Review: Grof, Stan. The cosmic game: Explorations of the frontiers of human consciousness". 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06, Vol. 38, No. 1 Jump up

^ Taylor, Eugene. "Desperately seeking spirituality". Psychology Today, Nov/Dec 94 (Document ID: 1413)

^ Jump up to:

a b Grof, Stanislav.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Observations from LSD research".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Vol. 5, 1973

Jump up

^ Rothberg, D. & Kelly, S. (Eds.) (1998) Ken Wilber in Dialogue. Wheaton, Illinois: Quest Books.

^ Jump up to: a b Gaur, Sunil D. Review of Words from the soul: Time, east/west spirituality, and psychotherapeutic narrative.Psychological Studies, Vol 50(1), Jan 2005, 101. Jump up

^ Sovatsky, Stuart. Kundalini and the complete maturation of the ensouled body.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Vol 41(1), 2009, 1-21.

^ Jump up to: a b Kripal, Jeffrey J. "In the Spirit of Hermes; Reflections on the Work of Jorge N. Ferrer; Revisioning Transpersonal Theory: A Participatory Vision of Human Spirituality." Tikkun, March

1, 2003

^ Jump up to:

a b c d Jaenke, Karen. The Participatory Turn. Review of Jorge N. Ferrer, Revisioning Transpersonal Theory: A Participatory Vision of Human Spirituality. ReVision, Vol. 26, No. 4, Spring 2004

Jump up

^ Keutzer, Carolin S. "Transpersonal Psychotherapy: Reflections on the Genre".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1984, Vol. 15, No. 6,868-883,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Jump up

^ Brown, R.S. (2014). An Opening: Trauma and Transcendence. Psychosis: Psychological, Social and Integrative Approaches, DOI:10.1080/17522439.2014.900105.

^ Jump up to: a b c Lukoff, David. "Visionary Spiritual Experiences". Southern Medical Journal, Volume 100, Number 6, June 2007 (Special Section: Spirituality/Medicine Interface Project) ^ Jump up to:

a b c Yang, C. Paul; Lukoff, David; Lu, Francis. "Working with Spiritual Issues". Psychiatric Annals,

36:3, March 2006 ^ Jump up to:

a b Steinfels, P. "Psychiatrists' Manual Shifts Stance On Religious and Spiritual Problems". New York Times, February 10, 1994.

^ Jump up to: a b Lu FG, Lukoff D, Turner R (1997) Religious or Spiritual Problems. In: DSM-IV Sourcebook,

Vol. 3. Widiger TA, Frances AJ, Pincus HA et al., ed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p1001­1016.

^ Jump up to:

a b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Jump up

^ Dein, S. Working with patients with religious beliefs.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2004) 10: 287-294.

^ Jump up to:

a b c Foulks, E.F. Cultural Variables in Psychiatry. Psychiatric Times, April 2004, Vol. XXI, 5 .

^ Jump up to: a b c Bender, E. Clinical & Research News: Psychiatrists Urge More Direct Focus On Patients' Spirituality. Psychiatric NewsJune 18, 2004, Volume 39 Number 12, p. 3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Jump up

^ Lukoff D, Lu FG, Turner R. Cultural considerations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religious and spiritual problems.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1995 Sep;18(3):467-85.

^ Jump up to: a b Milstein, G; Midlarsky, E; Link, B.G.; Raue, P.J. & Bruce, M. "Assessing Problems with Religious Content: A Comparison of Rabbis and Psychologists". Journal of Nervous & Mental Disease. 188(9):608-615, September, 2000 ^ Jump up to:

a b Milstein, G. "Clergy and Psychiatrists: Opportunities for Expert Dialogue". Psychiatric Times,

March 2003, Vol. XX, Issue 3, pp 36-39.

Jump up

^ Curlin et.al - Religion, Spirituality, and Medicine: Psychiatrists and Other Physicians Differing Observations, Interpretations, and Clinical Approache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ume 164 Issue 12, December, 2007, pp. 1825-1831

Jump up

^ Smart, D.W & Smart, J.F. DSM-IV and culturally sensitive diagnosis: Some observations for counselors. Th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May/06/1997, Vol. 75 No. 5; p. 392.

Jump up

^ Greyson, Bruce. The Near-Death Experience as a Focus of Clinical Attention.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ume 185(5) May 1997 pp 327-334.

^ Jump up to:

a b Friedman, Harris L. (Editor); Hartelius, Glenn (Editor) (2013)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 738 pages, Wiley-Blackwell

Jump up

^ Association for Transpersonal Psychology - Board of Directors/Past Presidents http:// www.atpweb.org

Jump up

^ Smith, Lynn. "Newport Beach Conference: Mystics, Scientists Will Gather to Promote Peace". L.A Times, September 05, 1989

Jump up

^ Life Science Weekly Staff (2008-01-29) Studies from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reveal new findings on life sciences (Sacred moments: implications on well-being and stress), Life Science Weekly, 4572, ISSN 1552-2474, Pubz ID: 000878904 ^ Jump up to: a b Otterman, Sharon. "Merging Spirituality and Clinical Psychology at Columbia". New York Times, published online August 9, 2012

Jump up

^ Moss, Donald, ed. Humanistic and transpersonal psychology: A historical and biographical sourcebook. Greenwood press, 1999. Jump up

^ Clay, Rebecca A. "A renaissance for humanistic psychology. The field explores new niches while building on its past". APA Monitor on Psychology, Volume 33, No. 8 September 2002.

^ Jump up to: a b Team JIAAP. Review of The Wiley Blackwell 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 Journal of the Indian Academy of Applied Psychology, Vol 40(1), Jan 2014, 160-162.

^ Jump up to:

a b Leitner, Larry M.; Guthrie, Leland.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big picture." (Book Review). PsycCRITIQUES, Vol 59(25), 201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Jump up to: a b Hilgard, Ernest R. Consciousness in Contemporary Psycholog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1980, 31:1-26 ^ Jump up to: a b Adams, William. Transpersonal Heterophenomenology?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Volume 13, Number 4, 2006, pp. 89-93(5) Jump up

^ Walach, Harald; Runehov, A.L.C. "The Epistemological Statu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The Data-Base Argument Revisited".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1 January 2010, vol. 17, no. 1-1, pp. 145-165(21) ^ Jump up to: a b Alexander, Gary T. (1980) "William James, the Sick Soul, and the Negative Dimensions of Consciousness: A Partial Critiqu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XLVIII(2):191-206

Jump up

^ Boone, Lucille M. "Humanistic and Transpersonal Psychology: A Historical and Biographical

Sourcebook". Library Journal; Dec 1998; 123, 20; pg. 136

Jump up

^ Elkins, David. "A Humanistic Approach to Spiritually oriented Psychotherapy", in Spiritually Oriented Psychotherapy, edited by L. Sperry and E. P. Shafranske, 2005,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Jump up

^ Ruzek, Nicole Amity. Transpersonal Psychology's Historical Relationship to Mainstream

American Psychology. Cited in Diss. Abstr. Int. B 65/04 (2004): 2081. UMI pub. no. 3129589.2 Jump up

^ Sperry, Len (Ed); Shafranske, Edward P. (Ed), (2005). Spiritually oriented psychotherapy.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x, 368 pp.

Jump up

^ Grabovac, Andrea; Ganesan, Soma. "Spirituality and Religion in Canadian Psychiatric

Residency Training".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Vol 48, No 3, April 2003

Jump up

^ Bender, Eve. "Cultural Diversity Curriculum Covers All Residency Years." Psychiatric News,

42(9), p. 7, 2007 ^ Jump up to: a b Engler, Barbara (2009) Personality Theories: An Introduction, 8th ed., Houghton Mifflin Harcourt. ISBN 0-547-14834-8| ISBN 978-0-547-14834-2

Jump up

^ Daily Record Staff. "Drew psych professor explores spirit, religion". The (Morristown) Daily Record, published online Dec. 12, 2008

Jump up

^ Frager, Robert, & Fadiman, James (2005) Personality and Personal Growth, 6th ed., Prentice Hall. ISBN 0-13-144451-4ISBN 978-0-13-144451-5

Jump up

^ Arons, M. (1996). Directory of graduate programs in humanistic and transpersonal

Psychology in North America. Catalogue sponsored by Division 32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ublished and distributed by the Psychology Department at State University of West Georgia.

^ Jump up to: a b McManis, Sam. University with a Vision. JFK's holistic studies program attracts devoted students - and strong critics.San Francisco Chronicle , Friday, October 9, 1998

Jump up

^ Bravo, Gary and Grob, Charles. Psychedelics and Transpersonal psychiatry. In Scotton, Bruce W., Chinen, Allan B. and Battista, John R., Eds. (1996)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Jump up

^ Walach, Harald. Criticism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Beyond — The Futur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 Science and Culture of Consciousness, in The Wiley-Blackwell

Handbook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13), 738 pages, Wiley-Blackwell

Jump up

^ "On Critics, Integral Institute, My Recent Writing, and Other Matters of Little Consequence: A Shambhala Interview with Ken Wilber". Part I: The Demis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Jump up

^ Wilber, Ken. A sociable God: toward a new understanding of religion. Shambala Publications. p. 51. ISBN 978-1590302248.

Jump up

^ Schroll, Mark A; Rowan, John; Robinson, Oliver. "Clearing up Rollo May’s view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acknowledging May as an early supporter of

ecopsych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Studies, 30(1), 2011, pp. 120-136 ^ Jump up to: a b Cunningham, Paul F. (2011). A Primer on Transpersonal Psychology. Nashua NH 03060-5086: Rivier College. p. 53.

Jump up

^ Ferrer, Jorge. Transpersonal psychology, science, and the supernatural. 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014, Vol.46, No.2

Jump up

^ Ellis, Albert; Yeager, Raymond J. (1989) Why some therapies don't work: The danger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mherst, NY, US: Prometheus Books.

Jump up

^ Ellis, Albert. "Fanaticism that may lead to a nuclear holocaust: The contributions of scientific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Nov 1986, Vol. 65, pp.

146-151

Jump up

^ Ellis, Albert. "Danger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A Reply To Ken Wilber".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Feb89, Vol. 67 Issue 6, p336, 2p;

Jump up

^ Wilber, Ken. Let's Nuke the Transpersonalists: A response to Albert Elli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Feb 1989, Vol. 67, p332-335

Jump up

^ Walsh, Roger. Psychological Chauvinism and Nuclear Holocaust: A response to Albert Ellis and Defense of Non-Rational Emotive Therapi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Feb

1989, Vol. 67, p338-340

Jump up

^ Johnson, Chad V., and Friedman, Harris L. "Enlightened or delusional? Differentiating religious, spiritual, and transpersonal experiences from psychopathology."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48.4 (2008): 505-527 Jump up

^ Capriles, E. (2000). Beyond Mind: Steps to a Metatranspersonal Psychology. Honolulu, HI: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Studies, 19:163-184.

Jump up

^ Capriles, E. (2006). Beyond Mind II: Further Steps to a Metatranspersonal Philosophy and Psychology. San Francisco, Californi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Studies[2], 24:5-44.

Jump up

^ Capriles, E. (in press). Beyond Mind III: Further Steps to a Metatranspersonal Philosophy and Psychology. Miami, Florida: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Studies, special issue following vol. 25.

Jump up

^ Friedman, Harris and MacDonald, Douglas A. "Editors’ Introduc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Studies, Volume 25, 2006, page ii

Jump up

^ Daniels, M. (2005). Shadow, Self, Spirit: Essays in Transpersonal Psychology. Exeter: Imprint Academic. ISBN 1-84540-022-4.

Jump up

^ Gray, Alison J. "Reviews: In Case of Spiritual Emergency: Moving Successfully Through Your

Awakening". Psychiatric Bulletin (2012) 36: 360

Jump up

^ Whitney, Edward (1998) "Personal Accounts : Mania as Spiritual Emergency". Psychiatric Services 49:1547-1548, Decembe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Further reading[edit]

Davis, John V. (2003). Transpersonal psychology in Taylor, B. and Kaplan, J., Eds.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Nature. Bristol, England: Thoemmes Continuum.

Rowan, John. (1993) The Transpersonal: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London: Routledge Schneider, Kirk (1987). "The Deified Self: A Centaur Response to Wilber and the Transpersonal

Movement".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7: 196­216.

External links[edit]

The Association for Transpersonal Psychology (ATP)

European Transpersonal Assoc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ersonal Studies Organ of the International Transpersonal

Association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 Transpersonal Psychology Section

Sofia University (formerly the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Journal of Transpersonal Research Organ of the European Transpersonal Association

Transpersonal Psychology: A bibliography The most complete bibliography regarding transpersonal psychology, compiled by Andre Lefebvre

International Journal for Transformativ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