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설교/강연 843개의 글글/설교/강연목록열기
글/설교/강연
[학술] 원불교사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성철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학술=원불교사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천도교 증산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성철(홍철) 교무(원광대 교학대ㆍ교수)
1, 서언
1860년 수운(최제우 1824-1864)이 동학을 창시한 이래 한국사회에서는 수많은 종교들이 창립도어 그 수가 한때는 500개를 넘었으며 현대도 300여 개의 대소 종교가 활동을 하고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수운의 천도교, 일부(김항 1826~1898)의 정양사상을, 증산(강일순 1871~1909)의 증산교, 홍엄(나철 1863~1916)의 대종교 그리고 소태산(박중빈 1891~1943)의 원불교사상 등은 그 기본교리와 사상 면에서 볼 때 어느 세계종교, 고등종교에 못지 않는 사상체계와 종교적 요건을 구비하고 있고, 또 종교로서의 사명과 역할을 다하고있다고 보여진다.
최근한국학연구의 「붐」을 타고 다양한 분야의 한국학이 연구되면서 이들 한국종교들에 대한 관심도 크게 고조되고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개별적 연구는 상당히 진전되고 있으면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상의 흐름, 특징, 사호에 대한 기여도, 상상적 위치, 이들이 안고있는 문제점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구체적인 연구는 활발하게 되고있지 않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원불교사상에 나타난 특성을 중심으로 다루면서, 그러나 원불교 사상의 특성이 여타의 다른 종교의 특성과 대체적으로 공통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한국 신 종교 중에서 대표적인 종교라 할 수 있는 천도교 증산교와의 비교대비 형식으로 본 논문을 집필했다.
2, 천도교 증산교 원불교의 기본사상
천도교 증산교 원불교의 기본사상을 요약해 보겠다. 천도교는 천주를 신앙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천이 바로 인이 라는 인내천 사상을 제시하고 지상천국실현을 목적하며, 보국안민 希德天下 廣濟蒼民의 삼대 원을 세우고 있다. 아울러 수심정기 성경신의 덕목을 수행함으로써 사인여천의 윤리와 道成德立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 증산교는 증산은 상제요 미륵불로 숭배하고 중산이 행한 천지공사의 정신을 실현, 지상선경 건설이 목표로 되어 있다. 원불교는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하고 사은 사요 삼학팔조를 실천하게 함으로서, 즉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해 광대 무량한 낙원을 건설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렇게 삼종교의기본사상을 요약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그 핵심이 되는 천도교의 천주와 지기, 증산교의천지공사, 원불교의 일원상과 은에 국한하여 약술하는 것으로 대신할까 한다.
①천도교의 중심사상 : 천도교사상의핵심은 천도이고 이 천도는 천주와 지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천주란 유일자존의 절대자리로서 무궁무한하며 우주를 총섭 조정하는 존재다. 만물은 천주 자체의 자율적 창조로 인하여 다양하게 나타난 존재라는 것이다. 그래서 사사천 물물천이 된다. 만물 중에서 특히 인간은 최후로 진화 발전된 존재로 천주의 품성을 전적으로 품수하여 현묘하게 탄생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내천이 된다. 인내천이기 때문에 侍天主 양천주 체천주가 강조된다.
지기는 천주와 표리적 관계를 이루며 수운이 득도한 사상의 일대골격중의 하나로 천주의 질적인 표현이다. 그러므로 천주는 우주 본체의 체용 양면의 표현이고 지기는 우주전체의 본질을 그 바탕의 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기는 결국 우주의 본질인 동시에 삼라만상 개체의 현상이다. 지기가 일종의 에너지로만 그치지 아니하고 신령적 존재로서 인간의 성원에 감응도 한다고 보는 점이 동학의 종교적 근거가 된다. 그러니까 지기는 물질과 영계의 경계선에 있는 어떤 존재다. 따라서 지기는 대우주 대 생명의 표현이요 모든 존재를 생성시키는 조화력 그 자체를 의미한다.
②증산교의 중심사상 : 증산사상은 천지공사에 집약된다. 중산은 1901년부터 9년 간 자칭 상제요 미륵불이라는 대 권능을 가지고 기행이적을 행하면서 從徒들을 가르쳤는데 이 9년 간을 증산교에서 증산이 천지공사를 했다고 한다.
천지공사는 크게 나누어 신정정리공사 세운 공사 교운 공사로 대분 된다. 신정정리공사란 寃恨에 찬 신명들을 해원시켜 신명 계를 통일했다는 공사이고, 세운 공사란 증산이 세상의 운도를 뜯어고쳐 선경이 건설되도록 만든 공사라 한다. 증산 사후 전개된 각종 세계적 사건들이 모두 증산의 세운 공사의 계획에 따르는 것이라고 증산교인들은 믿고있다. 교운 공사란 증산교 자체내의 분파 현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증산이 난법 후에 진법이 나오도록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요컨대 이 천지공사의 이념은 해원 상생 보은 조화로 집약된다.
③원불교의 기본사상 : 원불교사상의 핵심은 일원과 은으로 집약된다.
일원은 소태산이 각하 진리의 궁극자리로 이를 원불교에서는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고 있다. 일원은 만유의 본원자리로 모든 존재들의 존재 근거가 되며 만유가 귀일 되는 자리이다. 이 일원의 진리는 일면 공으로 표현되나 그 진공과 공적 속에서 영지의 광명이 발해 만상이 건설된다. 현상과 본체, 유와 무가 상즉되어 순환불궁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일원상 진리의 가장 큰 속성은 은이다. 은은 우주만유가 존재하는 존재근거이며 이 우주가 생생약동 유지 존속케 하는 기본적인 힘이다. 그래서 은은 원불교 신앙의 근원이요 윤리의 원천이 된다. 이 세상 자체를 은의 소산으로 보고 나의 존재를 은의 덩어리로 봄으로써 필연적으로 보은의 윤리를 도출해 내고 있다.
3, 천도교 증산교 원불교사상의 공통적 특성
삼종교에 나타난 공통적 특성은 후천개벽사상 종교회통사상 민족주체사상 인본위은상 사회개혁 사상으로 나누어 뵬 수 있다.
①추천개벽 사상 : 동양전래사상에서 선천이란 천지창조 이전을 의미하고 후천 이란 그 이후를 의미하는 말이었다. 그런데 이 개념을 근세 한국에서 창립된 종교지도자들이 그들이 살았던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을 선천 그 이후를 후천이라 보고, 선천의 특징은 불합리 불공평 어두움 가난함으로, 그리고 후천을 밝고 자유롭고 평등한 선경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성격 규정은 특히 수운 증산 소태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수운은 자기의 도가 후천 오만 년의 대운을 타고났다고 말하고 머지 않아 후천 선경이 이루어진다고 했으며, 의암은 이 같은 수운의 사상을 人개벽 物개벽으로 풀이하여 후천에는 인간과 사물이 다 함께 개명된다고 했다. 또 야전은 수운의 개벽사상을 정신개벽 민족개벽 사회개벽으로 설명함으로써 정신 민족사회가 다 함께 획기적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했다.
증산 역시 음양조화의 이 법에 다라 후천 선경이 이 땅에 건설되나 그는 상제의 권능을 가지고 천개조 지개조 인 개조를 단행함으로써 이 땅에 더 빨리 선경이 건설되도록 했다는 것이다.
소태산의 개벽사상 역시 수운 증산과 맥을 같이하고 있으나 주로 우리 인간의 정신개벽과 물질개벽의 균형적 발전에 의한 광대 무량한 낙원 건설을 강조한다.
②종교 회통사상 : 한국종교사를 거슬러 가보면 많은 사상가들이 타종교 사상과의 회통과 화합을 주장하고 잇다. 그러나 이 같은 원융회통 사상은 특히 근세에 창립된 한국 신 종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있다. 수운 증산 소태산이 다 같이 유 불 선 삼교의 회통과 서교, 심지어 민간신앙까지도 그 장점을 십분 활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수운은 주로 유교적 정신과 맥락에서 그의 사상을 피력하고 있으며, 증산사상은 선에 그 중심이 놓여져 있다고 보여진다. 이에 비해 소태산은 불법을 주체로 하고 모든 종교를 융섭 활용하는 통 종교적 입장에 서 있다.
③민족주체사상 : 수운증산 소태산이 다 같이 강한 민족주체의식을 바탕으로 하고있다. 수운 증산이 우리 민족의 주체의식을 드러내기 이해 강한 외세 배격 즉 斥洋斥倭를 부러지고 중국마저도 멀리 해야 된다는 주장을 하고있다. 이에 비해 소태산에게는 직접적인 외세 배척사상은 찾아 볼 수 있다. 그는 차원 높은 경지에서 외세를 포섭해야 된다는 입장을 취함으로서 보다 폭 넓은 종교적 포용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공통된 주장은 머지 않아 우리나라는 세계의 중심이 되며 이 땅으로부터 후천 선경이 건설된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견해는 바로 강한 민족주체의식의 발로에서 와진 것이라 보여진다.
④인본위사상 : 수운의 인내천이나 증산의 인권시대나 소태산의 인도정의 실현의 주장이 모두 인간 중심적 사상에 기반을 두고있다.
수운에 따르면 사람이 즉 한울이라 하여 인간의 지위를 한울님으로 받들어 올리고있다. 인간은 누구나 다 각자의 성 속에 한울님을 모시고 있고 이 한울님을 스스로 발견하고 깨치면 자신이 한울님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천도교의 인내천 사상은 무엇보다도 인간 중심적이다.
증산은 이제 돌아오는 세상은 神中心이 아니라 인간 중심적 세상이 된다고 가르쳤다.
그는 「천존과 지존보다 인존이 크니 이제는 인존 시대니라」「선천에는 모사는 재인 하고 성사는 재천이라 하였으나 이제는 모사는 재천하고 성사는 재인 이라」하여 인존 사상을 강조했다.
소태산 역시 인간이 인간으로서 걸어가야 할 인도상 요법을 중심으로 가르침으로서 인간본위를 강조했다. 인간이 은의 실현을 통해 본성을 회복하게되면 우주의 중심에 서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우주를 지배하고 조정하는 주재자가 된다.
⑤사회개벽사상 : 수운 증산 소태산이 공통적으로 주장한 것이 이 세상은 병들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수운과 증산은 괴질은 인간의 정신개조를 통해서 이 병을 치료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다 같이 병을 치료하고 잘못된 세상을 구원하기 위한 구체적 사회개혁운동을 전개했다. 그 방법상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나나 이 세상을 크게 변혁시켜 새 세상을 만들려는 목적은 동일했다고 보여진다.
4, 원불교 사상의 특성
1)기본 교리 상에 나타난 특성
①표어정신에 나타난 특성 : 원불교 표어는 원불교 사상의 특징을 단적으로 나타내주는 중요한 개념들이다. 원불교 표어는 개교표어인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를 비롯, 「처처불상 사사불공」「무시선 무처선」「동정일여 영육쌍전」「불법시 생활 생활시 불법」등이다. 여기에 나타난 사상은 여러 가지로 조명할 수 있겠으나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첫째 과학적 문명과 도학문명의 균형적 발전, 둘째 현실생활과 수도의 병행, 셋째 처처불신앙과 무시선으로 그 특징을 지적할 수 있다.
②신앙 상에 나타난 특성 : 원불교 신앙의 대상인 일원의 진리가 내포하고 있는 중요한 특징은 첫째 궁극적인 진리에 신앙의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이다. 많은 종교들의 신앙의 대상을 보면 지극히 지엽적이고 부분적인 요소들이 지적된다. 그러나 일원의 진리는 우주 만물과 인간의 궁극적 근원 처이고 모든 이치의 원리가 된다. 둘째 자타력병진 신앙의 강조다. 많은 종교들의 신앙대상이 지극히 자력신앙에 치우쳐 있거나 타력에 치우쳐 잇다. 그러나 원불교의 신앙 형태를 보면 자타력의 병진 신앙을 강조한다.
원불교 일원상 신앙 속에는 불교 특히 선종에서와 같이 인간의 본성 그 자체 속에 불성이 갊아 있다고 보고 이 불성을 각하면 그가 곧 부처라는 자력적 요소가 강조된다. 동시에 또 기독교에서 보는 신과 같은 절대 타력적 요소가 갊아 있다.
③수행 상에 나타난 특징 : 원불교 수행의 특징은 첫째 삼학병진의 원만 수행이다. 일원의 진리를 깨닫는 것은 견성이요, 일원의 체성을 지키는 것은 양성이요, 일원과 같이 원만한 수행을 하는 것은 솔성으로 이는 수양 연구 취사의 삼학이다. 소태산은이 삼학을 병진케 함으로 서 원만한 인격을 갖추도록 했다. 둘째 훈련을 통한 동정간 수행의 강조다. 삼학수행을 빈틈없는 훈련법에 다라 무시 무처에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과거 종교들의 수행법을 보면 때와 장소 상황에 따라 많은 구애를 받았으나 원불교의 수행 법은 이런 외적 조건에 구애받지 않도록 한 것이 그 특징이다.
2)천도교 증산교와의 비교 상에서 본 특성
위에서 천도교 증산교 원불교의 기본사상인 천도사상 대순사상(천지공사) 일원사상을 고찰 했으며, 공통적 특징으로 후천 개벽 사상 종교 회통사상 민족주체사상 인 본위 사상 사회개혁 사상 등을 고찰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이들 사상들이 원불교적 입장에서 보면 다른 두 종교와 상당한 차이점도 발견된다. 그러면 설명의 편의상 기본사상에 나타난 원불교적 특징과 공통점에 타나난 원불교적 특징으로 나누어 설명해 보겠다.
①기본사상에 나타난 원불교적 특성 : 천도교 증산교 원불교가 제시하는 기본사상을 철학적으로 접근시켜보면 다 같이 존재문제 생성문제 실천문제를 내포하고있다. 첫째 삼종교의 기본 개념인 천도교의 천주, 증산교의상제, 원불교의 일원이 모두 우주만유의 존재에 대한 총체적 표현이다.
천주 상제 일원의 궁극적 존재를 지칭하면서도 그 성격상에서 상당한 차이가 난다. 천주는 동양의 천관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다분히 철학적 인격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으면서도 인내천 사사천 물물천으로 해석하여 범재신적 성격을 지닌다 상제는 인격적 유일신으로 기독교의 신관과 흡사하다. 일원은 우주에 편만된 한 큰 원리로서 우주 만유의 존재 그 자체다. 마치 화엄의 법신불에 가깝다. 천도교의 천주가 철학적 인격적이면서 범재신적 성격이라면, 증산교의상제는 인격적 유일신이며, 원불교의 일원은 법신불이다.
둘째 삼종교의 사상에서 생성문제는 중요한 교리가 되고 있다. 수운에서 시천주가 존재철학이라면 최해월의 양천주는 생성철학의 과제로 전개할 수 있다. 그리고 천도교 교리에서 천주와 표리관계를 이루고있는 지기는 우주의 생성력이며 만물의 조화력으로 존재를 생성시키는 힘이다. 증산교에서 생성의 문제를 밝힌 개념은 보은상생이다. 이 개념은 만물이 상생상화하고 생생약동하며 변화하는 원리로 제시되고있다. 원불교에서 생성의 문제를 밝힌 개념은 은이다. 은이란 나와 우주 삼라만상이 불가분의 밀접한 고리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의 원리를 밝힌 개념으로 나와 만물, 만물과 만물이 상의 상자하는 원리며, 우주가 생성 발전하는 기본적 힘이다. 은은 나의 존재 근거일 뿐 아니라 우주만물이 생성 변화하는 무한동력이요 대 생명력인 것이다.
셋째 실천문제 역시 모든 종교와 마찬가지로 이 삼종 교에서도 기본 교리로 제시된다. 천도교의 실천덕목은 수심정기와 삼경으로 집약된다. 수심정기가 개인 실천덕목이라면 삼경은 대 사회 덕목이다. 수심정기란 마음을 지키고 기운을 바르게 한다는 뜻이며 삼경이란 교천교인 경물을 가리킨다. 증산교에서의 실천덕목은 해원상생과 신인협화이다. 해원 상생이야 말로완성도덕이라고 이정립은 말하고 있다. 또한 신과 인간의 협력관계가 보다 차원 높은 실천덕목이 됨을 증산교에서는 제시하고 있다.
원불교의 주요실천덕목은 보은 삼학 사요 그리고 표어로 나타난다. 원불교의 실천덕목이 천도교 증산교와 다른 점이 있다면 이런 덕목들을 동정 시공에 구애 없이 지속적 연속적의 계속하도록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 삼종교의 교리에 나타난 존재ㆍ생성ㆍ실천 문제를 언급했으나 일반철학에서도 존재문제와 생성문제를 따로 나누어 철학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방향은 바꿔지고 있고, 특히 원불교사상의 기본 맥락에서 볼 때 존재와 생성은 둘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나누어 본다는 것이 무리이나 설명의 편의상 구분해 보았다.
②공통점에 나타난 원불교적 특성 : 첫째 후천 개벽 사상에서 이 세상은 머지 않아 후천 개벽이 되고 선경이 돌아온다는 견해는 삼종교 사상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수운 증산이 운도론적인 입장에서 우주변화의 모습을 풀이하고 있고, 특히 증산은 자칭 상제의 권능으로 후천 선경이 빨리 이 세상에 돌아오도록 운도를 뜯어 고쳤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소태산의 후천 개벽 사상의 특징은 주로 인간의 정신개벽에 초점이 모여지고 있다.
둘째 종교회통 사상에서 삼종교가 다 같이 유 불 선 삼교는 물론 서교의 영향까지 받고 있다는 것을 고찰했다. 그러나 천도교는 유교 중심적으로 증산교는 선(도)중심적으로 원불교는 불법 중심적으로 그 사상이 기저에 흐르는 맥락을 보면 천도교와 증산교가 우리 고유사상의 기반 위에서 있는 것을 발견한다. 특히 증산교의 사상 속에는 선적인 것과 아울러 무적인 것이 강하게 들어있다. 그러나 원불교 사상 속에는 무적인 요소는 거의 배제되고있다.
셋째, 민족주체사상에서는 수은 증산 소태산이 다 같이 강한 민족주체의식을 강조하고있고, 장차 세계적 종주국으로 우리 한국이 등장되며 세계를 이끌어 가는 지도적 역할을 담당하게되리라는 것을 고찰했다. 수운과 증산이민족주체의식을 강조하기 위해 강한 척위 척양 사상을 갖고있었으며, 특히 조상숭배와 국조 단군에 대한 숭배까지 뒤에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원불교에서는 외세에 대한 직접적인 배척도 없고 국조 단군에 대한 신앙은 전혀 없다. 천도교와 증산교가 강한 민족종교의 성격을 지녔다면, 원불교는 분명 우리민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면서도 세계 성을 더 강조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일원주의나 삼동윤리 같은 사상이 그것이다.
넷째, 인 본위 사상이다. 천도교의 「사람이 곧 한울」이라는 인내천 사상이나, 증산교에서주장하는이제돌아오는세상은신중심이 아니라 인간중심이 되고 인간이 가장 존귀하게 되는 인권시대가 된다는 사상이나, 원불교의 인간 중심적 인도정의 실현의 강조 등이 모두 인 본위 사상이다. 특히 원불교에서 인간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우주에 아무리 무궁한 이치가 잇다해도 사람이 그 도를 보아다가 쓰지 아니하면 천지는 한 빈 껍질에 불과하기 때문에 사람이야말로 천지의 주인이요 만물의 영장이라 보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원불교에서 인간을 귀하게 생각하는 것은 인간으로서 인도정의의 떳떳한 길을 걸어갈 수 있는 주체적 행동 자로 인간을 파악하고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사회개혁사상에서도 천도교 증산교 원불교가 모두 강한 사회개혁 의지를 갖고 있으나 엄밀히 보면 상당한 차이가 잇다. 수운은 괴질설, 증산은 병겁설을 제시, 세상의 병폐를 상징적으로 가르침으로서 그 상징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후래인들이 교단을 그릇 이끌고 갈 문제점을 남겼다. 이에 비해 소태산은 세상의 병맥을 사실적으로 지적, 원망의 병 의뢰의 병 돈의 병 등 주로 마음 병을 「클로즈업」시켜 그 치료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했다. 인간의 마음개혁을 통한 사회 개혁을 강조한 것이다. 사회개혁 방법에서도 수운은 탄압으로 인한 지상포교, 증산은 무저항의 관망적 자세, 소태산은 정면대립이다. 충돌을 피한 조용한 혁명을 시도했다.
5, 결어
본 논문의 제목이 「원불교사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이기 때문에 원불교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드러냈어야 될 것이나 원불교와 창립배경을 비슷하게 갖고 있는 천도교 증산교에도 원불교에 있는 특성이 상당부분 그대로 포함되어 있어서 삼 종교를 비교 대비하는 형식으로 집필했다.
이들 종교들이 지니고 있는 기본사상인 천도교의 천도사상, 증산교의 대순사상, 원불교의 일원사상은 우주와 인생의 근본문제에 대한 규명임과 동시에, 고도의 형이상학적 철학이며 진리의 근원에 대한 상징적 표현들이다. 아울러 공통적으로 지적한 5가지 특징 역시 세계종교들이 지니는 사상적 특징 못지 않게 훌륭한 내용들이라고 생각된다.
끝으로 본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한국 신 종교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항목만 제시해 보고자 한다. ①교조의 근본정신을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 ②분파현상을 통합시키고 회통 윤리를 실현해야 한다. ③적극적인 사회참여와 민중화 운동이 요청된다. ④세계종교에로의 도약을 위한 노력이 요청된다. 1천매에 달하는 방대한 논문을 짧은 지면에 요약하다보니 비약이 심했던 것 같다.
1988.10.06~ 10.16 원불교신문
[출처] [학술] 원불교사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성철|작성자 성산
=====
사랑하며 용서하며

성산
새 시대의 종교
원불교 엿보기
프로필

이웃추가
카테고리
^


원불교(圓佛敎)소개


원불교란?

창시자(敎祖)

종법사(宗法師)

교화

교육

자선(복지)

원불교성지(聖地)

원불교교전(敎典)


[正典]기본교리

표어(標語)

교리도(敎理圖)

1.총서편(總序編)

개교의동기

교법의총설

2.교의편(敎義編)

일원상(一圓相)

사은(四恩)

사요(四要)

삼학(三學)

팔조(八條)

인생의요도,공부의요도

사대강령(四大綱領)

3.수행편(修行編)

일상수행의요법(要法)

훈련법(訓鍊法)

염불법(念佛法)

좌선법(坐禪法)

의두요목(疑頭要目)

일기법(日記法)

무시선법(無時禪法)

참회문(懺悔文)

심고(心告)와기도(祈禱)

불공(佛供)하는 법

계문(戒文)

솔설요론(率性要論)

최초법어(最初法語)

고락(苦樂)에대한법문

병든사회와그치료법

영육쌍전법(靈肉雙全法)

법위등급(法位等級)

[大宗經]대종사말씀

서품(序品)

교의품(敎義品)

수행품(修行品)

인도품(人道品)

인과품(因果品)

변의품(辯疑品)

성리품(性理品)

불지품(佛地品)

천도품(薦度品)

신성품(信誠品)

요훈품(要訓品)

실시품(實示品)

교단품(敎團品)

전망품(展望品)

부촉품(附囑品)

원로원대종경공부

원불교교서(敎書)

불조요경(佛祖要徑)

예전(禮典)

정산종사법어

대산종사법어

교사(敎史)

교헌(敎憲)

성가(聖歌)

대종경선외록

한울안한이치에

초기교서

원불교사람들

소태산9인제자

여성10대제자

창립1대제자들

창립2대(1회)제자들

다시읽는우리선진

교무님

교도님

글/설교/강연

영상

사진

원불교소식

省山房



사진

글


언론

역사

자료

글/뉴스

사진(寫眞)

인물

일반

스포츠

당구

영상(映像)

노래

당구

일반

그때그시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