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관념론.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관념론. Show all posts

2022/04/18

意識と本質―精神的東洋を索めて : 俊彦, 井筒 Toshihiko Izutsu

Amazon.co.jp: 意識と本質―精神的東洋を索めて (岩波文庫) : 俊彦, 井筒: Japanese Books



意識と本質―精神的東洋を索めて (岩波文庫) Paperback Bunko – August 8, 1991
by 井筒 俊彦 (著)
4.4 out of 5 stars 102 ratings

東洋哲学の諸伝統の分析から得た根元的思想パターンを己れの身にひきうけて主体化し,その基盤の上に新しい哲学を生み出さなければならない.本書はこうした問題意識を独自の「共時的構造化」の方法によって展開した壮大な哲学的営為であって,その出発点には自分の実存の「根」が東洋にあるという著者の痛切な自覚があった.
===
의식과 본질—정신적 동양을 가라앉히다 (이와나미 문고 )
by 이통 슌히코  (작가)
별 5개 중 4.4개    102 등급

동양 철학의 여러 전통의 분석에서 얻은 근원적 사상 패턴을 자신의 몸에 끌어들여 주체화하고, 그 기반 위에 새로운 철학을 만들어야 한다. 본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독자적인 「공시적 구조화」의 방법에 의해 전개한 장대한 철학적 영위이며, 그 출발점에는 자신의 실존의 「뿌리」가 동양에 있다고 하는 저자의 통절한 자각이 있었다.
===
일본의 최고 리뷰
-----
원더
별 5개 중 4.0개 초보자에게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2019년 7월 26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자계를 담아 단언합니다.
철학의 세계에 별로 익숙하지 않은 분은, 본서를 읽으면, 아마 좌절감을 맛볼 것입니다.

문체는 그다지 어렵지는 않지만, 고이마 동서의 철학, 종교, 문예 등을 포함해 종횡무진하게, 아니 “공시적”으로 이통 월드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하나가 너무 깊고 생반가에서는 읽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살틀의 「구토」체험이나, 혼이 선장이나 바쇼의 구 등, 단편적으로는 있습니다만, 감성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개소도 적지 않습니다.

이통 월드의 모습을 알고 싶다면, 우선, 와카마츠 에이스케의 「이통 슌히코 지모의 철학」(경응대학 출판회)에서는 있는 것이 좋을까 생각합니다.
「의식과 본질」에 대해서도 1장이 잡혀, 거기서 와카마츠씨는, 이통에 있어서의 「의식」이란, 자신의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탈자」)이며, 「밖」으로 「의식」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본질」이다. 탈자와 동시에 '신충'이 일어난다. 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관념론이 아니고, 이통의 개인적 체험에도 뿌리를 두고 있다든가.

「의식과 본질」은, 1회 읽었다(본다?)만으로는, 나와 같은 얕은 학생에게는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현재는, ★4개이지만, 몇 년 후에는, ★5개가 되어 있는 것을 기대하고 싶다.
덜 읽기
84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리뷰를 영어로 번역

===
hikaru
별점 5점 만점에 2.0점 신비주의는 종교에 있지 않고
2020년 1월 30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이통 슌히코를 종교나 철학의 연구자라고 하면 그 길의 전문가는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본서를 시작해 이통의 언설은 텍스트의 해설, 논고가 아니고, 고전적 텍스트를 말하는 형태로 이통 자신의 사상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의식과 본질'은 게이오 요시카쿠 대학 출판회의 전집 제6권에 소재되어 있다. 그 부록 월보로 미우라 마사시가 「이통은 독자를 선택한다」라고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종교가, 사상가, 학자와, 언급하는 사람명이 너무 광범위해, 관련이 지금 하나 잘 모르겠다. 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한다”고. 그리고 이통을 「문예 비평의 선달」이라고 말하고 있다. 과연 문예비평이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에서도 송대 유교, 중세 이슬람 철학, 불교, 현상학, 융 심리학, 끝은 카바라와 밀교 만다라가 인용되어 그의 사상 탈자 체험, 향상길과 향하도가 말해지고 있다. 그 사상 자체는 흥미롭지만, 이것을 종교나 철학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즉 종교가 종교인 고통의 구제나 철학에 필수적인 윤리적 시점이 마치 없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종교나 철학에 요구되어 온 실존적인 문제에 대한 응답이 아니라, 그들을 초월한 신비주의에 철저히 하고 있는 곳에 이통의 ​​진골정이 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교나 철학에 신비주의가 있다고 해도 역사적으로는 이단시되어 왔다. 그것이 왜일지도 생각할 필요가 있고, 신비주의를 뜻하는 종교, 예를 들면 중세 이슬람의 이스마일 암살단, 현대의 알카이다, IS, 앵무새 진리교 등이 과격하고 집요한 살인을 하는 사실도 직시하지 않으면 하지 않는다. 신비주의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그 의미로 본서를 읽을 때는 주의가 필요하고, 잘못해도 본서를 읽은 것만으로 여기에 인용되고 있는 고전 문헌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는 생각해서는 안 된다.
덜 읽기
2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YK
별 5개 만점에 5.0 어쨌든 깊은
2021년 12월 13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압도적인 지식, 경험, 통찰력을 구사해 동양 사상의 대초원을 종횡무진하게 달리는 이통 슌히코의 대표작. 스스로의 좁은 세계에만 머물지 않고, 보다 넓은 세계에 눈을 돌리는 것의 중요성이나 즐거움을 가르쳐 준다. 다른 사상의 비교나 과도한 일반화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스스로의 학문을 일반화하여 다른 영역에 적용하는 것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은 적지 않을 것이다. 본서를 읽고 지금까지는 생각한 적도 없었던 많은 점을 깨달은 생각이다.
3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도움이 되는
남용 신고
리뷰를 영어로 번역


마사히코-
별 5개 만점에 5.0 선의 입문서로도
2018년 6월 14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이슬람 철학 전반에 관한 기술은 본질을 간결하게 나타내며, 매우 공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선에 대한 표기가 많지만 여기도 매우 훌륭했습니다. 사르토르의 구토로부터, 선에 있어서의 사물의 본질을 연기해 가는 내용은 백미라고 할 수 있겠지요. 선의 입문서는 여러 가지 있습니다만, 공안등의 설명을 읽고 이해는 해도, 납득까지 이르지 않는 것이 많았습니다만, 선의 본질에 대해서, 저자의 설명을 읽고 처음으로 납득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 눈을 열어준 소중한 한 권입니다.
29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YK
별 5개 만점에 5.0 호기심
2020년 3월 9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어려운 책이었습니다. 그러나 지적인 자극이 아주 강하고, 충실한 독서가 되었다.
3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도이 마사타카
별 5개 중 4.0개 정신의 깊이
2020년 2월 17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언어적 아라야식의 본질을 접한 느낌
3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고양이
별 5개 만점에 5.0 정말 훌륭합니다.
2021년 11월 28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확실히 알기 쉽게, 의식과 본질이라는 장대한 테마의 진리에 육박하는 이 1권을, 모국어인 일본어로 읽어 정말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

국보인
별 5개 만점에 5.0 선의 입문서이기도 하다
2015년 3월 25일에 일본에서 작성됨
확인된 구매
책의 표제와 다르지 않는 동양 철학 사상 전반의 명백한 논술 내용. 일에 부립 문자라고 하는 선의 무심을 이렇게 알기 쉽게 언어로 분석 해설해 주는 책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26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폴리은
별 5개 만점에 5.0 졸론의 주제로 한 추억의 서
2008년 12월 9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확인된 구매
이 책을 만난 것은 지금부터 15년 정도 전이었습니다. 대학의 철학과에서 동양 철학을 공부했던 저는 지인의 소개로 이 책을 알았습니다.

동양 철학이라고 하면 훈기학이나 경학 같은, 강석이나 설교한 것을 상상하기 쉽기 때문에, 이 책을 읽었을 때의 충격은 대단했습니다. 당시 유행하고 있던, 심층 심리학 등에서 사용되는 무의식의 구조나, 언어의 발생원 같은 이야기가 나오고, 갑자기 동양 철학이 참신한 것으로 보여젔습니다. 미친 듯이 반복해서 읽은 것을 기억합니다.

(저자) 이즈쓰 씨에게는 조금 더 오래 살기를 원했습니다. 동양 철학의 공시적 구조화라는 것이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는지 그 윤곽만으로도 보고 싶었습니다. 본서에서는 단지 사와리라고 할까, 공시적 구조화 서론이라고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만, 서론조차 이 깊이를 가지는 사색에 경외의 염념을 금지할 수 없습니다. 일본인에게도, 훌륭한 철학자가 존재했다는 것을 알았던 것만으로도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63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고비라후
별 5개 만점에 5.0 엔도 슈작도 추천
2003년 6월 8일에 일본에서 검토됨
확인된 구매
꽤 전이 됩니다만 매일 신문의, 확실히 「나의 3권」이라고 하는 문고본 소개 코너에서 엔도 주작씨가 이 책을 거론하고 있었습니다. 게이오의 학생이었던 엔도 씨는 한번도 이통 선생님의 수업에 참석한 적이 없고, 나중에 제대로 수업에 나오면 좋았다고 후회한, 그런 이야기였던 것처럼 기억하고 있습니다 (엔도 씨는 이통 선생님과 대담도 하고 계셨다고 생각합니다). 덧붙여서 서평 속에서 엔도씨는 이 책을 「소설가를 뜻하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읽어 주었으면 하는 책」이라고 말하고 있었던 것처럼 생각합니다(기억 차이가 있으면 스미마센).
5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일본에서
수국
TOP 500 리뷰어
별 5개 중 4.0개 '태양을 예쁜 말' 독서 전에 꼭 손에 들고 싶었던 뛰어난 논고
2013년 11월 27일에 일본에서 작성됨
표제작 외, 「본질 직관」, 「선에 있어서의 언어적 의미의 문제」, 「대화와 비대화」의 전 4개의 논문을 담은 논문집. 하지만, 표제작이 전체의 3/4을 차지하고, 다른 것은 관련 논문이므로, 표제작에 짜서 말해도 좋을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본질」이란 것이, 「본질」인지 무「본질」인지를 고찰해, 선을 중심으로 한 동양적 철학의 무「본질」에 의의를 찾아낸다고 하는 논고. 특히 무'본질'에서 개별 사물이 현출되는 과정을 <분절> 이론의 입장에서 고찰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 논고는, 선이나 밀교를 포함한 불교는 물론, 서양 철학, 이슬람 철학, 고대 인도 종교, 공자의 <정명론>, 노장 사상, 샤머니즘 등의 폭넓게 그리고, 저자의 이 박한 지식이 십이 분에 발휘되고 있다. 
어떤 종류의 비교 철학론이라고 해도 좋다. 저자의 논고의 주요 구조 모델은 선과 이슬람 철학을 기반으로합니다. 30개 이상의 언어를 조종한다고 하는 저자답게 이슬람의 원전에 직접 맞는 모습도 잘 엿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공자와 노장의 비교가 재미있었고, 특히 노장사상이 현대에서 말하는 곳의 '카오스'라는 지적은 흥미로웠다. 또, 본서를 읽고 자연스럽게 생각해낸 것은 타카무라 카오루씨 「태양을 예쁜 말」이다. 「태양을 예언하는 말」은 읽는 사람을 압도하는 역작이지만, 그 난해함에 타지타지로 한 분도 많은 것은 아닐까. 이 책의 선론과 고대 인도 종교론을 먼저 읽고 있으면 '태양을 예리하는 말'의 이해도도 높아졌다고 강하게 느꼈다. 그런 지적 기반을 주는 뛰어난 계몽서라고 생각했다.
14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다카사키 등
별 5개 만점에 5.0 젊은 세대야말로 읽어야 할 책
2018년 4월 23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60대 후반이 되어, 손에 있어서 읽기 시작하면서 뒤집힐 것 같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알기 쉽게 존재론을 설명해주는 사람은 그 밖에 없습니다. 
적어도 10년 빨리 읽고 싶었다. 
철학이 왜 있는지, 예술이 왜 있는지, 종교의 대혼란, 선의 체험이나, 책 만으로는 매우 이해하기 힘든 것이 쾌도란마로 「분절」되고 있다. 
서양 이원론에 일본적 내셔널리즘, 역사를 어리석게 반복하는 일이 없도록 앞으로의 세상에 절대 필요한 책입니다. 읽지 않아도 좋으니까 어쨌든 1권 사 두자.

9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치에나시코
별 5개 중 4.0개 초월의 학자와 탁발한 편집자의 담로...
2012년 12월 4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이 책의 일을 생각하면, 호메이니 혁명 당시, 인문서원의 타니 세이지 씨나 이와나미 서점의 합정 히로시 씨등이 없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라고.

전혀 다른 타이틀의 책을 읽고 있었던 것일지도 모르고, 또 반대로 이통 선생님의 그 이후의 대부분의 책을 읽을 수 없게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그 가능성은 있었을 것). 전자의 경우라면, 단지 이 책을 포함해, 지금 손에 들어오는 타이틀의 책을 읽을 수 없게 되었다고 해서, 그것이 그대로 우리에게 있어서 훼손이 되었는가라고 말하면 그것은 모르는지도. 다른 타이틀로 획기적인 책이 상척되었을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되면 결국 플러스 마이너스 제로같은 일이 되어 가급적 되었다고 밖에 말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 책.

이 책 프로퍼에서 보면, 무서워 설계가 장대하고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이런 책은 원래 아무도 쓸 수 없는 성격의 책, 아니 써야 하는 책, 그 몹시 두꺼운 우이씨의 「불교 범론」조차도 불가피하게 불교만 그런데――이 책에서는, 중화의 달인, 프렌치의 달인, 화의 달인을 모두 이통 선생 혼자서 하고 있는 것 같은 것이 되는 거야. 인생 3회 없으면 장지리가 맞지 않을 것 (작은 견적). 게다가 "나는 중화도 프렌치도 일식도 모두 수행을 지극히 하고 있다"라고 대상단에 말하면 「정말로 괜찮아?!」라고 눈썹. 그것을 시키지 않는 것이 이통 선생님이 가지는 억지력일 것이며, 또 그것을 간과하고 마마토 이통 선생님을 맡기고 무대에서 힘을 쏟아, 이 책에 이르게 한 것이, 합정 히로시씨라는 연출가다 그래요.

금자탑적인 책은 슈퍼한 학자와 슈퍼한 편집자의 의식의 초점이 합치하고 처음으로 태어난다고 다시 깨달아주는 좋은 예일까.

리뷰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고 있지만, 그리워서 조금 써 보았습니다.
26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존치
별 5개 만점에 5.0 종교, 이데올로기, 사상, 예술, 정신병리의 기원으로서의 언어 아뢰야식
2005년 7월 4일에 일본에서 검토됨
이것에는 이마주가 일으키는 인간의 정신에 대해 말한 부분이 있지만 그 기반이 되는 것이 언어 아라야식이라는 해방계의 무의식이라고 한다. 
이것이 융이 말하는 셀프의 기반이 된다. 언어 아라야식에 들어가는 정보에 안정성이 있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그가 별저로 지적했듯이 현대는 리좀의 시대. 셀프의 기반이 되는 안정적 사회구조는 무너지고 자고만을 비대화시키지 않으면 사람은 살아갈 수 없게 되고 있다. 
이런 때 사람의 언어 아라야식에 들어가는 정보는 불안정해져 그것이 이마주 의식의 불안정성과 가변성을 낳을 때에는 아트에 때로는 이데올로기나 사상에는 때로는 정신병리에 때로는 신종교가 되어 셀프를 재구성해 언어아 의뢰식의 안정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그의 동양 철학적 기반의 상양은 다시 위험하지만 사회적 현상의 기반으로서 언어 아라야식이라는 무의식을 설정한 곳은 훌륭하다.
14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징터우 샨렌
별 5개 만점에 5.0 이즈쓰 도시히코의 철학 탐구
2010년 4월 8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이와나미 문고라고 말하는, 비교적 저렴한 문고에 수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이즈쓰 도시히코의 주저서의 하나일 것이다. 그것은 그의 주요 논문에 따르면 비교적 읽기 쉽고 일반 독자를 가정합니다. 이즈쓰의 라이프 워크인 주저로 보인 이슬람 신비주의, 유대교 신비주의 카바라론, 조하르 등은 초학자가 아무 무기도 갖지 않고 도전해도 아마 치아가 서지 않는것이 틀림없다. 그러므로, 이즈쓰의 이해를 넘어서는 지견에 도달하는 것은 곤란할 것이다. 

우리 일반인은 이런 신비철학과는 다른 차원의 생활자이며, 다소 적거나 극히 표층적인 차원에서의 생활자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가 좋아하는 인간은 이런 비일상적 차원의 철학을 읽으려고 할까? 거기에는 인간 존재의 진정한 세계상에 붙어, 심원한 지견을 들여다보고 싶다는 욕구로부터일 것이다. 

십수 개국어를 통달했다는 이즈쓰 도시히코의 경이적인 언어력과 독해력이 종횡무진으로 전개되고 있어 그 지식과 창견이 현대철학의 거장들의 성찰과 겹치는 부분을 찾아낸다는 것은 상쾌하다. 이 지구상의 언어는, 어떤 의미에서는 모두 로컬인 언어이며, 어느 단어가 가장 우수하다, 등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 모든 언어는 인간의 인식 정신의 발로이며, 그 근원적 힘에서 태어난 상황의 산물이다.

여기에는, 중관·유식의 철학으로부터 바가밧트·기타, 프로티노스의 네오플라토니즘의 논거, 플라톤 그리스 철학과 스콜라 사상, 이경에서 선 철학, 이슬람 사상, 유대 신비주의, 카바라와 조하르, 설 일체 유부 파에서 대승 기신론, 쿠사의 니콜라이에서 토마스 켐피스, 프란츠 브렌타노에서 에드문트 후사르, 사르틀, 멜로 폰티에서 스테판느 마랄메까지, 거의 쓸모 없는 정도의 존재론과 인식 탐구자들이 고찰 된다. 존재의 심원에 붙어,이즈쓰가 흥미를 가진 분야의, 많은 거장이 거론되고 있는 것이다. 

대승기신론의 '진여'가 후사르의 '에포케이', '현상학적 환원'의 개념과 비슷하다고 말하는 지적은 재미있다. 

투고자가 특히 주목한 것은, 이통의 사상의 핵심에 있는, 의식의 「심층과 표층」이라고 하는 개념이며, 인간의 내면에, 깊게 은닉된 구조 세계이다. 마음이나 의식의 「구조적 견해」, 마나식, 아뢰야식이라고 하는, 일상의식을 지지하는 근원적인 의식의 구조이다. 이 책에서도 전개하고 있는 융의 '원형' 개념은 선의 근본인 인도 요가 철학과의 유사성에도 관심이 있다.

이 책에서는 바쇼, 도모토, 선장 등도 그 사상을 분석한다. 이통의 전개하는 개념 중에서, 투고자는, 아직도, 이해할 수 없는 개념이 언어와 의식에 있어서, 「음운분절」・「의미분절」등의 본질과, 그 가능성이다. 이 책을 구입한 것은 30년 가까이 되는 옛날이지만, 이 저작의 이해에는, 광범위한 기초 지식을 전제로 하고, 또한, 그 깊은 창조적인 이해를 요청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는, 깊이 에 있는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점이 많다. 지식 미니멀로서, 왠지, 중앙공론사로부터 출판된, 「세계의 명저 81권」전책의 본질적 이해가 있다면 바람직하다. 

젊은 사람들이 이 철학서에 도전하고 단순한 일상의 차원에서만 살지 않고 생명 안에 숨겨진 깊은 실상을 깨닫고 거기에 도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 세계는, 눈앞에 퍼지는 것만은 아니고, 의식과 함께 말나식이 깨닫지 않는 무의식인 아뢰야식이라고 말하는, 자아를 넘은, 내면의 우주에도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생명은 무언가 신비한 인연이 주는 목숨이며, 언젠가는 그 주는 근원으로 돌아간다. 
존재의 실상은, 그 하나의 비밀은, 거기에 개시되는야 할 것이다. 
신비철학은, 그 차원의 사유이며, 본래, 의식의 사이클과는 평행하게 운영되는, 인간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의식하의 사이클을 찾는 시도이며, 선은 그 탐구이며, 또, 대승의 여래장은 분명히 그 탐구의 발전과 계보상에 있다.]
---
이즈쓰 가즈히코는 방대한 동양철학 구축의 저작계획의 단서로 급사한 취침 중인 뇌출혈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의 사의 속에 계획으로서 있던 '동양철학의 근간에 통저하는 여러 신비사상의 공시적 구조화'를 읽는 것은 영원히 할 수 없게 이루어졌다. 그것은 정말로 유감스럽지만, 이통 자신은, 큰 생명의 근원에, 돌아가는 일에 따랐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 세상은 깊고 책의 가치를 확신함과 동시에 이즈쓰 가즈히코 씨의 영의 명복을 기원하고 싶다.
56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어드바이터 표본
별 5개 중 4.0개 말 한계에 도전한 사람
2016년 1월 18일에 일본에서 작성됨
난해한 문장을 읽는 것은 고통에 가깝지만, 이것을 읽는 가치는 '무분절의 의식'이다.

완전히 조용한 무분절의 의식이 존재하는, 실재,
거기에, 종자, 마음, 무지, 등에 의해, 변동이 생기는, 이마주(심상),
그러나, 그 상태에서는 단순한 변동이라 불확정이다,
거기에 이름을 주는 것에 의해 대상의 본질을 확정하는
이름-형, 이 콤비네이션과 분절화에 의해 현상 세계의 창조가 의식 속에 일어난다.

그런 일이 쓰여 있다.
여기를 알면 신비주의의 모든 것을 아는 열쇠다.

선·자기 탐구·사유를 하는 사람이 무분절의 의식의 시점에 꼭 읽는 것이 추천.
너무 어려워서 별 4. 내세는 좀 더 쉽게 써주세요.
13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우라야마
별 5개 만점에 5.0 눈에서 비늘
2003년 3월 31일에 일본에서 검토됨
세상에는 여러가지 사상이 있어, 그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거나 단편적으로 알게 되는 것은 가능하다. 또, 표면적으로 은근하게 통과해 버리는 입문서도 있다. 그러나 각각의 독특한 말의 사용법이나 구성의 방법에 의해, 그들을 포괄적으로, 일관된 시점에 서서 깊이 고찰하는 것은 어렵다. 그것을 해 보여주는 것이 이 책이다. 저자는 동양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상의 각각의 「본질」의 포착 방법을, 저자 자신이 다시 정의한 일관된 표현을 사용해 설명해 보인다. 그것은 난해인 일이 많은 동양 철학을 명쾌하게 설명해 주는데, 각각의 이념적 관련이나 유사점을 밝힌다. 지금까지 몰라도, 곧 이해할 수 없었던 철학을 알 수도 있어, 바로 「눈으로부터 비늘」책이다.
4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아마조네스
별 5개 만점에 5.0 장대한 동양적 「지」의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 중후한 사색의 서
2009년 7월 11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서양의 대어로서 「동양」이 있다면, 거기에는 어떤 철학적, 사변적 공통성이 있는가. 명료한 형태로 존재할 수 없어도, 동양철학의 여러 전통의 축적 위에 새로운 철학을 만들어야 한다.

이런 장대한 문제 의식으로부터 저자는 방대한 지식을 구사해, 저자 독자적인 「공시적 구조화」의 방법에 의해 이슬람, 기시리아, 유교, 불교의 계보를 종횡으로 협상해 지의 체계화를 목표로 한다. 스콜라 철학, 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 융, 후사르의 현상학 등 서양 계보도 제대로 누르면서 설명은 명료하고 알기 쉽다.

거기서 흘러넘치는 수술어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알기 쉬운 설명은 과연 30개국어에 숙달한 어학의 광범위한 지식에 뒷받침되고 있다. 압권인 것은, 밀교(esoteric religion)에 관한 깊은 이해가, 본서 전체를 통저하고 있는 것이다. 범용한 학자는, 현·밀의 현을 극단적으로 중시하는 것은 있지만, 밀에 대한 견해가 너무도 표층적인 것이 남아 있다.

현·밀에 걸친 인식에 대한 명쾌한 틀 설정이 p214의 의식의 구조 모델로 나타났을 정도로, 동양 사상에 공시적으로 존재하는 철학은 바로 「밀」로 집약되어 ​​있는 것에 독자는 점차 알게 된다.
49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BMW
별 5개 만점에 5.0 「하느님이란 『우주의 존재』이다」
2008년 1월 31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이통씨는 「하느님이란 우주의 존재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몇 가지를 설명 할 수 있습니다.
1 하나님은 왜 전지전능인지
 '모든 것이 들어 있는 것'이야말로 우주의 별칭이다. 우주에 있는 모든 물건이나 코트의 존재의 '있음'을 하나님으로 한다면, 하나님은 다른 사람으로서 그 밖에 서는 것은 아니다. 시간의 지평을 넘어도 우주의 본연의 자세는 변화할 수 없기 때문에, 정의상, 신은 전지 전능일 밖에 있을 수 없다.
2 왜 하늘에 있는지
신앙자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거처는 '하늘' 이외에 없다. 하늘에는 별빛이 빛나고 있고, 거기에는 일정한 물리법칙이 분명히 느껴진다. 「법칙」의 지배야말로 하나님의 제일 능력이기 때문에, 그 몸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천계야말로 주처라고 생각하는 것은 자연이다.
작은 실수는 「법칙」을 셈만의 지배·피지배의 개념으로 생각한 것. 어떤 「아리카타」도 허용되는 우주내에 있어서, 법칙은 창조·창조되는 것이 아닐 것이다. 법칙은 세계의 분절의 방법으로 '있는' 것이다. 이론 물리학이 발견 가까이 하고 있는 우주 방정식조차 우주의 '있음'의 '모두'를 기술하는 것은 아니다. 절대 무분절자로서의 우주를 그리려는 우주 방정식은 표현으로서 분절적 기술 이외에 있을 수 없고, 일단 분석적으로 기술되면 그것은 분절을 반복할 뿐이며, 무분절 상태의 재현은 정의로서 불 가능하게 된다. 기술 자체가 영원히 끝나지 않는다는 불확정성 원리의 모순이 나타난다.
3 '우주의 존재'는 운명론이 아니다.
"우주의 존재"의 생각은 모든 것이 미리 절대자에 의해 코딩되는 것의 단순한 표현이라고 하는 포기로 가득한 운명론이 아니다. 모든 생명은 혼잡한 존재 연관의 실의 결절점으로서만 존재하지만, 결절점으로서의 생명은 우연히 밀도가 높아지는 아미노산 분자의 느슨한 「요도미」일 뿐이다. 게다가, 이들 아미노산은, 「확산」에 의한 내부의 엔트로피 증대를 회피하기 위해서, 일방향적인 시간축상에서 비가역적으로 교환되고 있기 때문에, 존재 연관의 망은 미리 직조될 수 없다.
22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Theo가 있는 곳
별 5개 만점에 5.0 흥미롭고 흥미로운 ...!
2016년 7월 17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잘도 이만큼의 내용을, 평이하지 않을 용어의 여러 가지를 늘려, 여기까지 명확하게 알기 쉽게 건 것이라고 놀라 버린다. 자신이 느끼고 있던 말과 인식의 어긋남과 같은 것의 기분 나쁨을, 철저히 설명해 주었다.
개인적으로 이런 체험이 있다.
아침, 직장에 가면, 전날의 밤 동료가 나에게 남긴 간단한 메모가 놓여 있다. 그러나 이 동료의 쓴 단지 몇 문자의 악필을 해독할 수 없다. 그날의 업무 내용에 관여하는 것과 필사적으로 메모와 망설임을 하는 것도 읽을 수 없다. 갑자기 현기증으로 메스꺼움에 빠진다.
혹은 어느 날 황혼에 바다에 가서 흐린 하늘과 바다의 경계를 판별할 수 없는 그분을 가만히 응시하고 있다. 그동안 바다를 보고 있다는 자의식이 사라지고, 랜덤한 심상이 잇달아 떠오른다. 그리고 조용히 무언가가 가득 찬 듯한 감각을 받고 푹 빠지도록 나에게 돌아간다. 거기서 바다를 보고 있었던 것을 깨닫는다.
이런 일상의 표층의 균열 같은 곳에서 다른 차원의 의식에 들어가는 것을 경험을 통해 자각했지만, 이 저작을 읽는 것으로 그것이 현상으로서 명확해지고, 또, 말로는 잡을 수 없는 역도, 자신에 대해 분명히 하고, 무엇이든 맑은 맑은 기분이 되었다. 너무 알기 쉽기 때문에, 읽고 모든 것을 파악한 마음이 들지만, 그것은 만심일 것이다. 언어학의 면에서도 소슈르등과 함께 읽어 두고 싶은 한권.
6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존치
별 5개 만점에 5.0 동양 사상은 이것 한 권으로 충분하다. 최고의 책.
2005년 5월 24일 일본에서 검토됨
그는 어느 의미, 키타이치와 늘어선 2대 일본 파시스트 사상가로 대아시아주의 연구의 제1인자 오카와 주명의 정통한 후계자라고도 할 수 있다. 만철 동아조사국 오카와주쿠의 강사이며, 그 문헌을 바탕으로 서양에서는 현대사상의 데리다, 소슈르, 심리학은 융, 종교인류학은 에리아드, 그리스 사상, 이란 왕립 아카데미에서 선불교도로 견성 체험을 얻으면서 이란의 이슬람교도에게 이슬람교를 가르친 세계적 이슬람학의 권위. 유대교, 힌두교, 불교, 유가, 도가에서 러시아, 프랑스, ​​독일 문학과 시, 일본, 중국의 고전 문학, 하이쿠, 와카, 일본 최대의 신도가로 여겨지는 혼이 선장의 국학까지 주요한 동양 사상 는 대체로는 말하고 있지만, 의식과 본질은 특히 동양 사상적 교양은 이것 한 권으로 충분하다는 저작이다
26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불량 학원 강사
별 5개 만점에 5.0 멋진 책
2013년 9월 12일에 일본에서 작성됨
저자에게 압도되는 책이라고 하는 것은 이런 것을 말하는군요. 바로 천재의 저작입니다. 이런 저작을 많이 읽으면 사물을 깊이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10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니니
별 5개 만점에 5.0 꽤 좋아
2017년 4월 3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이통 선생님의 저작 중에서 가장 좋아하네요. 둘째는 이슬람 사상사.
4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트릭 스타
별 5개 만점에 5.0 의식…
2004년 10월 23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의식」이나 「무의식」이라고 하는 개념은 더 이상 일상어가 되어 있어, 그렇다면 심리학자등에서도 이러한 개념을 간단하게 자명시해 버릴 정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는, 우선 의식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 명확한 규정이 주어져 있어 깊이 납득할 수 있습니다. 이슬람에 관심이 없어도 처음 10 페이지 정도라도 읽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박학만을 되돌릴 수 없는, 심플하고 침착했다. 압도적입니다.
6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비음악사랑
별 5개 만점에 5.0 이것이 형이상학의 책입니다.
2007년 1월 24일에 일본에서 검토함
저자의 에고가 되고 있는 철학서가 많은 가운데, 이 책은 「의식・본질」을 객관적이고 컴팩트한 구조적 사색으로 전개되고 있어 읽기 쉽고 설득력이 있습니다. 철학이나 종교에 흥미가 어느 정도의 분이라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 거기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방대하고 장대합니다.

또, 현대의 일본인에게 잊기 쉬운 「일본인의 본질」을 불러일으키는, 거절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일본적 관념론이라고도 생각됩니다. 철학적 또는 형이상학적인 사색(지금은 무엇? 라고 생각하는데 있어서 먼저 손에 잡는 책. 그래서 틀림없습니다.

꼭 읽어주세요.
6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비베카트렉
바인 보이스
별 5개 중 4.0개 시기 상조였으나 고의 모래의 누각
2013년 5월 31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본서의 개방 제일, <인간지성의 올바른 행사, 엄밀한 사고의 전개, 사물의 잘못 없는 인식을 위해서, 「정의」의 절대적 필요성을 소크라테스가 열정으로 강조한 이래, 사유 대상 혹은 인식 대상의 「본질」을 찾는 것이 서양 철학 전통의 주류의 일부가 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p.3)>라고 한다.

이통씨는, 아시아 문화권[그리스를 포함한 근동·중동·극동]의 철학적 사유[의식의 본질]을 “공시적 구조화”의 관점에서 부조로 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의”를 종횡 에 구사한다.

다만 유감스러운 것은, 이통씨가 생존한 1993년까지는, 부다 석존의 교법의 진의[범부가 성자가 되고, 성자가 석존과 동등한 붓다가 되는 것]은 해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석존 불교를 재흥한 용수의 승의 포기·세속 포기도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서에서 이통씨가 사용한 불교 용어의 「정의」는 전통불교의 애매한 해석인 채로 철학적 사유를 해명하는 「정의」로서는 불충분한 것이다.

그래서, 현시점에서 명확해진 석존의 교법의 진의에 근거해, 본서의 서두 부분에 있어서의 이통씨의 논리 사고를 검증해 보려고 한다.
【이통씨의 논리】
사르트르가<의식에는 내부되는 것은 없다. 의식은 자신 밖 이외의 아무것도 아니다. >(p.6)라고 단절한 것은, <말의 의미작용이란, 본래는 전혀 분절이 없는 「검은 색으로 희미한 나쁜 덩어리」일 밖에 없는 「존재」에 여러가지 부패를 붙여 사물 를 만들어 개별적으로 개별적으로 지시한다> (p.8)에서, 그것은 <언어에 의해 무분절의 "존재"가 분절되어 존재자의 세계가 경험적으로 성립한다. >(p.9) 때문이다.

【내 소감】
그러나 <언어에 의해 무분절의 '존재'가 분절된다(p.9)>라는 표현은 조금 이상하다. 예를 들어, 아기나 애완동물에서 기르는 개를 상정해 보자. 그들은 다양한 대상을 식별하고 긍정적 인 감정을 가지고 있지만 그 대상을 표현하는 단어는 없습니다. 아기는 "아-"라든지 "우-"라는 목소리를 내고, 개는 "원"이라고 짖거나 "우"라고 부르는 것으로, 대상물에의 지향의 의지를 표현한다. 즉, 언어가 분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가 없어도 분절은 일어난다고 생각해야 한다. 벌써 분절이 있기 때문에, <언어 이전부터 언어 이후로>나 <"무명"에서 "유명"으로>라는 전환이 일어나는 것이며, 그 분절이 "본질"이 되어 출현하는 것이다. 이통씨가, <X가 일정한 이름을 얻음으로써 일정한 것으로 고정되어 응고한다(p.10)>라고 할 때의 「X」야말로 분절인 것이다.
그리고 '본질'⊃ '분절' ⊃ '말'이라는 포함 관계가 성립될 것으로 보인다.

【이통씨의 논리】
이통씨는 <하지만 사르트르에 있어서는, 심층 의식의 차원에 몸을 두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절대 무분절의 '존재' 앞에 갑자기 서서 그는 늑대를 잡는다. >(p.11)이라 하고, <불교적 표현을 사용하여 말한다면 세속 포기적 의식의 일에 익숙해 세속 포기적 입장에 몸을 놓고 세속 포기적으로만 물건을 볼 수 없는 사람은 , 우연히 승의 포기적 사태에 접하는 것이 있어도, 거기에 단지 무언가 득체의 알 수 없는, 어지러운, 음란한 알몸의 덩어리 밖에 보지 않는 것이다. >라고 말한다.

【나의 소감】
그런데, 「분절」과 「무분절」의 정의는, 「세속 포기」와 「승의 포기」의 2 포기에 근거해 이해해야 하고, 그 2 포기는 석존의 교법의 진의 에 근거하지 않으면 명확하지 않을 것이다.
우선, 「세속 포기」란 삼계(욕계·색계·무색계)의 탐·주름·치매가 존재하는 세계의 법칙을 나타내, 거기에 따른 표면 의식·잠재 의식·심층 의식의 3개의 의식이 존재 한다. 세속 포기의 세계는 삼계의 탐·감·치질의 법칙에 의해 시간과 공간이 태어나 거기에 사는 것은 시공에 제한되는 것이다. 「존재」에 「세속 포기」라고 하는 시공의 필터를 걸면, 「분절」이 생기는 것이다.
다음에, 「카츠 요시하」란 삼계(욕계·색계·무색계)의 탐·주름·치매가 소멸한 세계의 법칙을 나타내, 표면 의식·잠재 의식·심층 의식이 통합된 하나의 의식 존재합니다. 카츠 요시의 세계에는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가 시공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무분절」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상으로 엿볼 수 있듯이, 이츠키 씨가 목표로 한 「공시적 구조화」를 「세속 포기」의 세계(우리 범부가 사는 세계)로 실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시공이 소멸한 「카츠요시 하스 '의 세계(아라한이 사는 세계)에서는 실현할 필요도 없는 당연한 사건이다.
1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버섯 도시
별점 5점 만점에 2.0점 인도 철학 (인도 불교 포함)과 그리스 철학에 대한 이해가 너무 오래되었습니다.
2014년 8월 21일에 일본에서 작성됨
이통씨의 철학은, 항상 옮겨가는 눈에 보이는 현상 세계와 그 안쪽에 있는 항상 변함없는 무언가(신/로고스/존재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라고 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혹은 그 사이에 「본질」이라고 부르는 것을 두고 있다(그 말의 정의는 항상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안쪽에 있는 무언가를 파악하려고 하는, 이슬람의 수피즘이나 대승 불교(특히 선이나 밀교)의 어프로치를 「동양적」이라고 부르고, 거기에 플라톤과의 공통성등도 찾아내려고 하고 있다 .

그러나, 「그 안에 있는 항상 변함없는 무언가」라고 하는 것이 정말로 존재하는지 어떤지는 논하지 않는다(판단 정지), 혹은 그러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매우 중요한 사상적인 흐름이라고 하는 것을 너무 무시된다. 인도의 초기 불교나 그리스 철학의 회의주의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철학이다.

인간은 약한 것으로, 눈앞의 것이 항상 옮겨져 무엇 하나 의지할 수 없는, 자신조차 늙고 항상 바뀌어 가는 상황에서, 의지할 수 있는 「무언가」를 아무래도 찾아 버린다.   

그러나, 그 무엇인가(신이든, 로고스이든, 절대 존재이든, 우파니샤드에서 말하는 브라프만(바지)이든 아트맨(我))을 찾아내는 여행에 나간다는 것은, 실은 큰 함정이기도 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 자신, 어쩌면 옮겨가는 물체의 모임이며, 그 능력은 매우 한정되어 있다. 어떤 일정한 인간만 특수한 능력이 있고, 혹은 무언가 특수한 방법이나 의식이 있어, 원숭이나 쥐와 달리, 인간만이, 그 절대 존재를 포착할 수 있다는 것은 이상하다, 혹은 시간의 낭비이다 하는 생각을 하는 것이 초기 불교나 그리스의 회의주의의 철학이다.

이통씨의 시대에는 나카무라 전 선생님이나 마에다 전학 선생님의 뛰어난 초기 불교 연구가 있었을 것이다. 그리스 철학도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뿐만 아니라 퓨론과 데모크리토스 연구도 있었을 것이다. 왜 그 연구를 전혀 무시되고 있는지, 그리고 초기 불교라는 매우 중요한 동양 철학의 하나의 생각을 무시하고 '동양'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의문을 느낀다.

또한 곳곳에 물질적 서양 VS 정신적 동양이라는 낡은 (내셔널리틱한) 사고방식을 벗어나지 않은 느낌도 아무래도 낡음을 느끼게 한다. 스즈키 오오조의 선의 연구와 같이, 서양에 콤플렉스를 느끼면서, 동양인의 일원으로서 동양의 굉장함을 열심히 선양되고 있는 것 같은,,

인도 철학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는 매우 의문 을 느끼는 한 권이었습니다.
51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다나카 유이치로/스나
명예의 전당탑 50 리뷰어
별 5개 만점에 5.0 넓게 부감하고 생각하고 싶은 분에게
2020년 1월 25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확인된 구매
"의식과 존재의 얽힘의 구조를 추구해 나가는 과정에서 사람은 아무래도 '본질'의 실재성의 문제에 어울리지 않을 수 없다. 그 실재성을 긍정하든 부정하든 1983년 발간 본서는 30개 이상의 언어를 유창하게 조종한 '어학의 천재'에 의한 인간의 【의식이 얼마나 본질을 포착하는가를 기준으로】 동양철학 전체를 분류하고 위치관계를 밝히려고 고찰한 명저. 

개인적으로는 서양과 일본의 철학을 비교하려고 고찰해 온 책은 몇 권인가 손에 들었습니다만, 이슬람에 대해서는 전혀 무지이기 때문에, 본서로부터 배우고 시야를 넓히려고 했습니다. 그런 본서는, 소크라테스 이래 서양 철학이 분리되어 왔다【본질을 논하는 인식론과 존재를 논하는 존재론을 확인해 축으로 하면서】거기에 불교나 이슬람 독자적인 사상을 섞어, 때로는 도형을, 또 익숙해 의 인물들을 예로 내면서 폭넓게 고찰하고 있는 것입니다만. 

솔직히 말해서, 이슬람 철학에는 전혀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동양 철학 전체를 부감하고 고찰한다】에는 당연히 말할 수 있고, 좋은 의미로 자신의 무학을 실감시켜 준 것이 좋았다. (공부하지 않으면!)

또 , 일본인에게는 말로서는 친숙한 불교나 선에 관해서도, 서양 철학은 물론 유대교, 그리스도 신비학의 영역까지 밟아 대비해, 설명을 더해 줘 있는 것도, 이쪽은 이쪽에서 불교나 선에 관한 이해가 대폭으로 스스미, 지적 호기심이 크게 채워졌습니다. 서양철학, 동양 철학을 부감하고 널리 고찰하고 싶은 누군가에게. 또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은 동양 사상 해설자로서의 저자에게 자극을 받고 싶은 젊은이에게도 추천.
7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카리타스77
TOP 500 리뷰어
별 5개 만점에 5.0 제3논문 「선에서의 언어적 의미의 문제」
2020년 12월 26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
p.360의 서술을 꺼냅니다.

“하이데거는 언어의 어원, 즉 역사적 근원적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거기에 노출된 형이상학적으로 근원적인 의미를 직관하려고 한다. 를 한정하고 한정태로 옮기려고 하는 결정적 순간에 성립하는 것이다. 싶은 무한정자 그 자체에 다가가려고 한다.」
「선은 언어에 대해 이런 태도는 취하지 않는다. 선자에게 있어서 개개의 단어의 어원 등 문제도 되지 않는다. 「언무전사」. 처음부터 언어 불신인 것이다. '

언무전사 어불투기 승언자 상 고구자미.

육조의 혜능 이후의 남송 선, 좀 더 대략 중국 선에서는, 「처음부터 언어 불신인 것이다.」라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그러나, 「불신」일까. 언어를 통상의 스타일로는 사용하지 않는, 그러므로, 따로 다루는 것에, 실용적으로 결정한 것입니다. 중국에 전해지고 나서 보다 실용적으로 되어, 게다가, 남송 선이 되고 나서는, 그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하이데거, 남송선의 방법끼리를 비교해 거기서 멈추면 좋을 텐데. 「처음부터 언어 불신인 것이다.」의 부언이 없으면, 정확한데. 이통씨의 논설에 있어서는, 거기에서 배우려고 읽는 사람에게 있어, 본근에만 침착하고 있지 않는, 장식적 감상, 장식적 부언이, 거기 여기서, 방해를 하는 것은? 머리의 좋은 사람이겠지요 네.

p.363에서 설명되는 선적 언어의 무의미성, 논술이 유효하기 때문에, 그 이전 단계에서의 분열은 대개,군요.
"선적 언어의 무의미성을 고찰하기 전에 먼저 주의해야 할 일이 있다. 그것은 중국의 송 시대 이후 역사적으로 형성된 선의 형태에 있어서 "다른 차원에서 의식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 한 선자가 발한 말이 공안으로서 다루어져 그 말의 무의미성이 방법론적으로 사용되는 차원.이 차원에 있어서는 선적 언어는 철저하게 무의미하고, 무의미하게 체재, 무의미 성에서 심화되어야 한다.”
“제2차원은 공안 이전의, 공안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원시적인 모습의 선적언표이며, 이 차원에서 언어는 일상적 자연적 이성에게는 전혀 무의미하면서도 선의 전 체험의 관점에서 보면 훌륭하게 의미를 이루는 것이다.  」재미있습니다.
===
Toshiino55
별 5개 만점에 5.0 공해의 입체 만다라와 같은 역사적인 새로운 사상 구축이라고 느껴진다
2019년 1월 5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동양철학의 전통을 현재의 시점에서 이론적 평면으로 옮겨, 공간적으로 재배치하고, 그들 모두를 구조적으로 감싸는 「공시적 구조화」라는 장대한 시도이다. 공해의 입체 만다라와 같은 역사적인 새로운 사상 구축이라고 느껴진다. 본질적 등이라는 것은 사실은 어디에도 실재하고 있지 않다. 그 없는 것이 말의 작용에 의해 마치 있는 것처럼 보이고 있다. 약 40년 전의 장대한 시도의 추가 심화는 앞으로 어떻게 진전될 것인가. 창간 당시, 쿠리모토 신이치로 씨, 나카자와 신이치 씨가 추천하는 한 권으로 다루고 있었던 것이 그리워 생각해진다.
2명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

별 5개 만점에 5.0 사상의 원류
2017년 12월 31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나는 이슬람 사상에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질 직관'에 대해 재미있게 느꼈다. 물론, 여러 번 반복 읽는 동안 유대 철학과 노장 사상, 선의 공안에도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한 사람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습니다.
===
안라쿠코
TOP 1000 리뷰어
별 5개 만점에 5.0 동양 철학(이슬람 철학, 선, 유교 등)이 당당한 모습을 나타내서 서양 철학과 대치한다
2022년 2월 20일에 일본에서 작성함

〇 우선 저자의 뜻의 높이에 맞는다. 서양 철학은 그리스 철학, 기독교, 근대 철학과 전체상이 분명하다. 이슬람, 인도, 중국, 일본과 지역도 언어도 시대도 흩어져 있다. 이들을 집어 모아 정리하고 재조립하고 서양 철학에 대응하는 형태로 동양 철학의 전체상을 그리자고 한다. 이것을 저자는 「공시적 구조화」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동양 철학은 오늘 살아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의미가 있습니다.

〇 그렇게 모습을 드러내는 동양철학이란, 또 무슨 의미 깊고, 서양철학에는 없는 것을 제공해주는 것일까. 대비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서양철학에 대해서도 언급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본서는 세계철학개론과 같은 정취를 나타낸다.

〇 문장의 알기 쉬움도 특필해야 한다. 하나 실수하면 난시한 설명에 종시하게 될 것 같은 내용을 어디까지나 명석하게 평이하고 화려하게 아름답게 설진한다. 읽고 재미 있습니다. 이것으로 얼마나 구원된 것일까.

0 무모한 시도라고는 알면서 수록 4논문의 요점을 이하에 기재한다. 참고로.

(제1논문 : 의식과 본질)
・대잡하게 말하면, 서양철학은 소크라테스 이래, 코토바를 정의한 다음에 논리적으로 찔러서 물건의 본질을 파악하려고 왔다(로고스 지향). 이에 대해 동양철학(특히 불교)에서는 코토바가 태어나기 이전의 심층의식에 주의를 기울여 현실세계를 허망으로 여겨 본질의 실재성을 부정하는 사고방식이 주류였다.

・물론 동양철학에도 본질의 실재성을 긍정하는 사상은 있다. 이슬람 철학은 추상적 실재에 관련된 보편적 본질과 개별 물건을 근거로 하는 개체적 본질과 구별한 뒤 양자를 실재한다고 생각한다. 물건의 아들을 강조하는 혼이 선장과 시를 통해 본정을 추구하는 바쇼는 개체적 본질에서 접근하여 보편을 직관하려고 하는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동양철학의 본질 긍정론에는 3개의 종류가 있다. 제1유형은, 「본질은 우리의 심층의식에 있어서 인식된다」라고 생각하는 입장(송의 이학 등). 이학에서는 “마음을 진정시켜 개별 사물의 본질을 극복하는 노력을 거듭해 가면 어느 때 갑자기 의식의 최심층이 보이고 만물의 본질의 자각에 도달한다”라고 말한다. 그 본질과는 절대적 없는 동시에 원시의 원천인 것 같다. 이 방법론은 불교와 비슷하지만 본질의 실재를 인정하지 않는 불교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덧붙여 본질의 인식에 대해 유의해야 할 것은, 코토바・사상의 문화적 차이에 기인하는 문제다. 예를 들어 송의 이학과 같이 “모든 물건에 고유의 성질이 있어 이 세상이 성립되어 있다”고 하는 생각은 “모든 것은 전능한 신의 인격신의 차배에 의해 생긴다”고 생각하는 일신교의 이슬람 문화에 있어서 는 받아들일 수 없다.

・선(원래 본질의 실재성을 부정하고 있지만)은 이 문화적 문제를 다음과 같이 극복한다. 선자는, 수행에 의해 깨달음에 이르면, 경험적 사물의 분절이 모두 떨어진 절대 무분절의 세계가 보인다. 그러나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또 분절의 세계로 돌아오지만, 돌아오면 깨닫기 전의 분절의 세계와는 달리, 문화에도 아무것도 잡히지 않고 자유자재로 분절하는 세계 하지만 진정한 모습으로 보이는 것 같다.

・본질 긍정론 제2유형은 표층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있는 언어 아라야식에서 생성하는 이마주를 사물의 보편적 본질인 「원형」이라고 파악하고, 그 실재를 믿는 입장(신비주의, 밀교 만다라 등). 이 원형이란, 절대 무분절자의 존재 에너지가 언어 아라야식을 통과할 때에 분절되어 생기는 것이다. 거기에서는, 몇개의 원형 이마쥬가 상호 관련해 질서였던 하나의 전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만다라!). 이들은 현실의 사물에서는 자유롭지만 문화적 제약에서는 자유롭지 않다.

・본질 긍정론 제3유형은 표층의식에서 개인을 인식한 후 그 안에 보편적 본질의 존재를 확인하려고 하는 입장(공자의 정명론, 고대 유학 등). 플라톤의 아이디어론과 같은 사고방식이지만, 공자는 본래 있어야 할 인간관계(부자, 주종관계 등) 등의 가치 있는 것에 대해 그 본질을 추구한 것이며, 플라톤처럼 책상의 본질 등은 말하지 않았다 . 공자의 정명론은 그 정책론과 불가분에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제2논문: 본질직관)

13세기 이후 현재까지 이슬람 철학에서는 '그 자체로서의 본질'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최초의 문제는 어떻게 그런 순수한 개념을 파악하는가에 있다. 그 파악에 있어서 의식이나 지성이 일하면 절대 순수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그것은 직접적으로 직관되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다음에, 우리의 일상 세계에서의 그 자체의 상태에 되돌아가, 그 후 협잡물을 없애면서 순수 개념에 가까워 가자는 지적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에, 이와 같이 해 제거한 협잡물과 순수 개념이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 구조를 분석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제3논문: 선에 있어서의 언어적 의미)

・선문답이나 공안을 보는 한, 선은 언어의 로고스를 부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언어는 물건을 정의하는 것으로 고정화하지만, 선은 자유 무옥의 경지를 요구하기 때문에 그러한 고정화를 싫어하는 것이다.
・선의 수행자는, 이성적 사유 능력의 궁극의 한계점에 이르기까지 의미를 계속 생각해 준다, 거기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가 절대 무의미한 세계에 도약했을 때, 갑자기 깨달음의 경지에 이른다 답답한. 마치 거기서 존재의 분절이 완전히 해소되는 것이다.
・그 경지란, 존재의 분절이 완전히 해소된 완전 무분절의 세계에서, 자신과 주위가 연속 일체가 되어 버리는 것 같다. 그런 경지에 도달한 후의 선자는 말을 발하지만, 그 말은 분절화된 일상 세계에서 나누어지는 말과는 다르다.

(제4논문: 대화와 비대화)

· 현대에는 말은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라는 소박한 신념이 있다. 그러나 이문화간의 완전한 커뮤니케이션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선자는, 수행을 통해 대화를 초탈해 인간언어가 그 작용성을 완전히 상실해, 언어가 전혀 작동하지 않게 되는 곳에 한번은 도달하지만, 확실히 말하는 것이 아니라, 무언어의 장소에서 말이 태어난다. 그 말에 의해, 깨달음에 도달한 사람끼리에서는, 충분히 커뮤니케이션이 성립한다. 그러나 그 대화는 평범한 사람으로부터 보면 이해할 수 없는 이차원의 대화, 저편의 세계의 대화이다.
한 사람이 이 정보가 도움이 되었습니다.
===

2022/03/25

アニミズム - Wikiwand

アニミズム - Wikiwand

アニミズム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この記事は検証可能な参考文献や出典が全く示されていないか、不十分です。出典を追加して記事の信頼性向上にご協力ください。出典検索?: "アニミズム" – ニュース · 書籍 · スカラー · CiNii · J-STAGE · NDL · dlib.jp · ジャパンサーチ · TWL(2013年6月)
19世紀のオジブワの5人の酋長。オジブワの宗教を人類学的に研究したことで「新しいアニミズム」が生まれた。
19世紀のオジブワの5人の酋長。オジブワの宗教を人類学的に研究したことで「新しいアニミズム」が生まれた。

アニミズム英語animism)とは、生物無機物を問わないすべてのものの中に霊魂、もしくはが宿っているという考え方。19世紀後半、イギリス人類学者エドワード・バーネット・タイラーが著書『原始文化』(1871年)の中で使用し定着させた。日本語では「汎霊説」、「精霊信仰」「地霊信仰」などと訳されている。この語はラテン語アニマ(anima)に由来し、「気息・霊魂・生命」といった意味である。

タイラーとマレットのそれぞれのアニミズム観

タイラーはアニミズムを「霊的存在への信仰」とし、宗教的なるものの最小限の定義とした。彼によれば諸民族の観念は人格を投影したものという(擬人化擬人観エウヘメリズム)。現在でもこの語は宗教学で触れる際など抜きにしては考えられない語であるが、一方タイラーのアニミズム観に対してはマレット (Robert Ranulph Marettが「未開」民族の間では人格性を欠いた力あるいは生命のような観念もあるとし、そのアニミズム以前の状態をプレアニミズム(pre-animism)と呼び、同様の概念はアニマティズム(animatism)、ヴァイタリズム(vitalism)、ダイナミズム(dynamism)などとも称された。また研究姿勢に対しては類推的であるとか、進化主義的であるなどの批判もされる。

原始宗教としてのアニミズム

原始・未開社会で行われる宗教の超自然観はアニミズム的であり、霊的存在に対して呪術的にかかわる。特定の開祖がなく、儀礼が公的に行われる。法・政治・経済・道徳・慣習などと密接にかかわり、祭政が一致し、祭と経済的活動が同一の場で行われ、タブー(禁忌)が法的または道徳的観念・行動と重なる。多くの民族宗教が類似する特徴を保持する[1][2]

宗教人類学

宗教人類学において、アニミズムとは多くの先住部族の信仰体系を表す言葉であり[3]、特に最近になって発展した組織宗教(キリスト教、ユダヤ教、イスラム教、バハーイー教、仏教、シク教等)との比較対照のために用いられてきた[4]。アニミズムは人類学者のエドワード・バーネット・タイラーが1871年に発表した著書『未開文化(英:Primitive Culture)』[5]の中で、「魂やその他の精神的な存在全般に関する一般的な教義」と定義された。

タイラーにとってアニミズムは最も初期の宗教の形態であり、段階的に発展してきた宗教の進化の枠組みの中に位置し、最終的には人類が科学的合理性を求めて宗教を完全に拒絶することになると考えた[6]。 このようにタイラーにとってアニミズムとは、すべての宗教が成長する元凶となった基礎的な誤りであった[6]

アニミズムの進化論的解釈は各方面で批判されており、今日では問題外と考えられている[7]

死霊崇拝としてのアニミズム

死者となった祖先の霊魂の存在を認めて、たたりを恐れ崇拝の対象とし、あるいは守護を願う死霊崇拝は未開宗教におけるアニミズムの一形態とされている[8]。死を霊魂の永久離脱として他界に赴くが、死霊や動物霊は定められたときにこの世を訪れ、人に憑いて健康を損なわせるとされる。狐憑き、ヤコツキ、オサキツキは動物霊憑依の例である[7]

日本神話では神代紀の天鈿女命、崇神紀の倭迹迹日百襲姫命、仲哀紀の神功皇后などが突然神がかり(憑依)して、狂躁乱舞するなどして祟りが表現されてきた[9]

未開社会ではシャーマンによる呪術が行われるが、日本では怨霊のたたりをしずめるために神社を建て、神として祀った[10]

新宗教の多くが不幸を「先祖たたり」などの因縁話として、先祖供養や呪詛霊の除霊、鎮魂をすすめている[11]。地鎮祭(鎮魂)の費用、先祖供養の祈祷料、玉串料などが慣習として神社に支払われることがある。

警視庁などでは「玄関に入ってすぐ悪霊がついているとわかった」「悪霊がついて次々に不幸なことがおこります。」「このつぼは悪霊を取り除く力があります。」等の霊感商法悪徳商法の一種として定義している[12]

宗教

様々な文化圏の人物が仲介者のよう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様子を描いた作品、文献上では「シャーマン」と呼ばれることが多い。
様々な文化圏の人物が仲介者のよう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様子を描いた作品、文献上では「シャーマン」と呼ばれることが多い。

アニミズムが単に単一の広範な宗教的信念であるのか[13]、あるいは世界中の様々な文化圏で見られる多くの多様な神話からなるそれ自体が一つの世界観であるのか[14] については、意見の相違が続いている(一般的なコンセンサスは得られていない)。 このことはまた、アニミズムが倫理的な主張をするのかしないのか、あるいはアニミズムが倫理の問題を完全に無視するのかという論争を引き起こしている[15]

汎神論との違い

アニミズムは汎神論とは異なるが、この2つは混同されることがある。主な違いの一つは、アニミズムは、すべてのものが精神的な性質(魂、霊等)を持つと信じるが、汎神論者のように、存在するすべてのものの精神的本質が統一されているとは考えていないことである(一元論)。アニミズムでは個々の魂の独自性を前提とするが、汎神論では、すべてのものは、それぞれの精神や魂を持つのではなく、同じ本質(英:essence、ラテン:essentia)を共有している[16][17]

汎心論との違い

アニミズムはすべてのものに魂があると主張し、物活論はすべてのものが生きていると主張する。[18]:149[19] こうした立場を汎心論と解釈することについては、現代の学術界では支持されていない[20]。現代の汎心論者は、この種の理論から距離を置こうとしており、経験の遍在性と心や認知の遍在性との間に区別をつけるように注意している[21][22]

トーテミズム

トーテミズムはアニミズムと深くかかわっているとされる[7]。多くのアニミズム的世界観では、人間は他の動物や植物、自然の力とほぼ同等の立場にあるとみなされることが多い[23]

呪物崇拝

呪物崇拝(フェティシズム)は未開社会、古代社会、未開宗教にみられる信仰で、呪物が人間に禍福をもたらすと信じて儀礼の対象とすることである[24][25]。人工物や簡単に加工した自然物に対する崇拝の総称とされており[26]、アニミズムとも深い関わりを持つ[7]

呪力崇拝

動植物やその他の事物に人格的な霊魂、霊神が宿るとするアニミズムは、非人格的な超常現象、超自然的な呪力を崇拝するマナイズム(呪力崇拝)とは区別される[27][28]

シャーマニズム

1922年、フィリピンのイトネグ族の女性シャーマンが、ピナリングと呼ばれる水に溶けた石に宿る村の守護アニト、アプデルに供え物をしている写真。[29]
1922年、フィリピンのイトネグ族の女性シャーマンが、ピナリングと呼ばれる水に溶けた石に宿る村の守護アニト、アプデルに供え物をしている写真。[29]

シャーマンとは、善霊や悪霊の世界にアクセスし、影響力を持つと考えられている人のことで、典型的には儀式の際にトランス状態に入り、占いやヒーリングを行う人のことである[30]

ミルチャ・エリアーデによれば、シャーマニズムは、シャーマンが人間界と霊界の間の仲介者またはメッセンジャーであるという前提を包含している。シャーマンは、魂を修復することで病気や疾患を治療すると言われている。魂や精神に影響を与えたトラウマを和らげることで、個人の肉体のバランスと完全性を取り戻す。シャーマンはまた、コミュニティを悩ませている問題の解決策を得るために、超自然的な領域や次元に入る。シャーマンは、迷える魂に導きを与えたり、異質な要素による人間の魂の病気を改善するために、他の世界や次元を訪れることもある。シャーマンは主に精神世界で活動し、それが人間世界に影響を与える。バランスを回復することで、病気が解消すると主張する[31]

エイブラムは、エリアーデが提唱したシャーマンの役割について超自然的ではなく、より生態学的な理解を明確にしている。インドネシアネパール、アメリカ大陸での自らのフィールド・リサーチに基づいて、エイブラムは、アニミズム文化において、シャーマンは主に、人間社会と、人間以上に活動的な機関である地域の動物、植物、地形(山、川、森、風、天候パターン、これらすべてには固有の感覚があると考えられている)との間の仲介者として機能することを示唆している。したがって、人間社会における個々の不調(バランスの崩れ)を癒すシャーマンの能力は、人間社会と、その社会が組み込まれている生物のより広い集合体との間の互恵関係のバランスをとるという、より継続的な実践の副産物だとする。

現存する文化における宗教

バングラディシュのディナジュプール地区のサンタル村にある聖地。
バングラディシュのディナジュプール地区のサンタル村にある聖地。
  • アニート(「祖先の霊」の意):ババイランと呼ばれる女性または女性化した男性シャーマンに率いられたフィリピンの様々な先住民族のシャーマニズム民俗宗教。物質世界とともに存在し、物質世界と相互作用する精神世界への信仰や、岩や木、動物や人間、自然現象に至るまで、すべてのものに精神があるという信仰を含む[32][33]
  • ドラヴィダの民俗宗教(原始シャイヴァ教/民俗シャイヴァ教):ドラヴィダ民族の伝統的なアニミズム、多神教、一部シャーマニズムの民俗宗教。
  • ヴェーダ教と非ヴェーダ系アニミズム:ジャイナ教や仏教が導入される以前のアーリア人やその他の北インド人の伝統的なアニミズム、多神教、一部シャーマニズムの民俗宗教。現在のヒンドゥー教は歴史的なヴェーダ教とは明らかに異なった別宗教ではあるが、ヒンドゥー教を形成した伝統の一つである[note 1]
  • パキスタン北部のカラシュ族は、古代のアニミズム宗教を信仰している[34]
  • 韓国シャーマニズム(MuまたはMuismとしても知られている)は多くのアニミズム的側面を持っている[35]
  • ムン(MunismまたはBongthingismとしても知られる):レプチャ族の伝統的な多神教、アニミズム、シャーマニズム、シンクレティックな宗教[36][37][38]
  • エコペイガンを含むいくつかのネオペイガンのグループは自分たちをアニミズムと表現しているが、これは人間が世界や宇宙を共有している多様な生物や精霊のコミュニティを尊重していることを意味している[39]
  • ニューエイジ運動は、自然の精霊の存在を主張するアニミズム的な特徴をよく示している[40]
  • 神道(琉球宗教を含む):日本の伝統的な民間宗教で、多くのアニミズム的な側面を持っている[41]梅原猛はタイラーの原始宗教の学説を認めて日本の神道や仏教が原始宗教であるアニミズムの原理に従っているとしたが、アニミズムを人類にとって必要な世界観と主張した[42]
  • アフリカの伝統的宗教:サハラ以南のアフリカのほとんどの宗教的伝統で、基本的に多神教的・シャーマニズム的要素や祖先崇拝を含むアニミズムの複雑な形態が保持されている[43]
  • 北アフリカの伝統的なベルベル人の宗教とイスラム教以前のアラブ人の宗教:ベルベル人とアラブ人の伝統的な多神教、アニミズム、まれにシャーマニズムの宗教。

アンダマン諸島の宗教

アンダマン諸島の人々の宗教は「アニミズム的一神教」とも言われ、宇宙を創造したパルガという唯一の神を第一に信じている[44]。パルガは自然現象を擬人化したものとして知られている[45]

アブラハムの宗教

旧約聖書知恵文学では神の遍在性(Omnipresence)(エレミヤ書23:24)(箴言15:3)(列王記8:27)が説かれているが、キリスト教神学者マーク・ワラスは動物、木、岩など、地球上のすべてのものに神が存在すると論じている[46]

関連書籍

  • Michaels, Axel (2004). Hinduism. Past and present.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Lonie, Alexander Charles Oughter (1878). "Animism" . In Baynes, T. S. (ed.). Encyclopædia Britannica (英語). 2 (9th ed.).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pp. 55–57.
  • Harvey, Graham (2005). Animism: Respecting the Living World. London: Hurst & Co. ISBN 978-0-231-13701-0
  • Nelson, John K. (1996). A Year in the Life of a Shinto Shrine. Seattle and Lond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ISBN 978-0-295-97500-9
  • Nelson, John K. (2000). Enduring Identities: The Guise of Shinto in Contemporary Japan.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2259-0
  • Picken, Stuart D. B. (1994). Essentials of Shinto: An Analytical Guide to Principal Teachings. Westport and London: Greenwood. ISBN 978-0-313-26431-3
  • Picken, Stuart D. B. (2011). Historical Dictionary of Shinto (second ed.). Lanham: Scarecrow Press. ISBN 978-0-8108-7172-4
  • 小学館「アニミズム」『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小学館、コトバンク、2021d。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アニミズム』 - コトバンク
  • 小学館「死霊崇拝」『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小学館、コトバンク、2021a。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死霊崇拝』 - コトバンク
  • 小学館「原始宗教」『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小学館、コトバンク、2021b。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原始宗教』 - コトバンク
  • 小学館「原始宗教」『デジタル大辞泉』小学館、コトバンク、2021c。 デジタル大辞泉『原始宗教』 - コトバンク
  • 平凡社「神がかり」『世界大百科事典 第2版』平凡社、コトバンク、2021b。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神がかり』 - コトバンク
  • ブリタニカ・ジャパン「自然崇拝」『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ブリタニカ・ジャパン、コトバンク、2021a。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自然崇拝』 - コトバンク
  • ブリタニカ・ジャパン「精霊崇拝」『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ブリタニカ・ジャパン、コトバンク、2021a。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精霊崇拝』 - コトバンク
  • ブリタニカ・ジャパン「怨霊」『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ブリタニカ・ジャパン、コトバンク、2021c。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怨霊』 - コトバンク
  • 平凡社「先祖供養」『世界大百科事典 第2版』平凡社、コトバンク、2021c。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先祖供養』 - コトバンク
  • 小学館「呪物崇拝」『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小学館、コトバンク、2021e。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呪物崇拝』 - コトバンク
  • 小学館「呪物崇拝」『デジタル大辞泉』小学館、コトバンク、2021f。 デジタル大辞泉『呪物崇拝』 - コトバンク
  • 小学館「フェティシズム」『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小学館、コトバンク、2021g。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フェティシズム』 - コトバンク

ノート

  1. ^ Michaels (2004, p. 38): "ヒンドゥー教におけるヴェーダ宗教の遺産は、一般的に過大評価されている。神話の影響は確かに大きいのだが、宗教用語は様変わりした。ヒンドゥー教の主要な用語はすべて、ヴェーダには存在しないか、まったく異なる意味を持つ。ヴェーダの宗教は、行為の報いを伴う倫理的な魂の移動(karma)、周期的な世界の破壊、一生の間の救済の考え(jivanmukti; moksa; nirvana)を持たない。世界を幻影とみなす考え(maya)は、古代インドの風潮に反しており、全能の創造神はリグ・ヴェーダの後期の賛美歌にのみ登場する。またヴェーダ宗教には、カースト制度、未亡人の火葬、再婚の禁止、神々の像や寺院、プージャ礼拝、ヨーガ、巡礼、菜食主義、牛の神聖さ、人生の段階の教義(asrama)などが知られておらず、あるいはそれらが始まったときにしか知られることは無かった。このように、ヴェーダ宗教とヒンドゥー宗教の間には転換点があると考えるのが妥当であろう。"
    Vedic Hinduism”. Harvard University. pp. 3 (1992年). 2021年6月29日閲覧。: "... これらをベーダ系ヒンドゥー教と呼ぶのは形容矛盾(撞着語法)といっても良い。なぜなら、ヴェーダ宗教は、一般にヒンドゥー教と呼ばれているものとは非常に異なっているからだ。少なくとも、古ヘブライ語の宗教が中世や現代のキリスト教の宗教とは異なるのと同様である。しかし、ヴェーダ宗教は、ヒンドゥー教の前身として扱うことができる。"
    See also Halbfass 1991, pp. 1–2

脚注

  1. ^ 小学館 2021b, p. 「原始宗教」.
  2. ^ 小学館 2021c, p. 「原始宗教」.
  3. ^ Hicks, David (2010). Ritual and Belief: Readings in the Anthropology of Religion (3 ed.). Rowman Altamira. p. 359. "Tylor's notion of animism—for him the first religion—included the assumption that early Homo sapiens had invested animals and plants with souls ..."
  4. ^ Animism”. ELMAR Project (University of Cumbria) (1998–1999). 3- June 2021閲覧。
  5. ^ EB (1878).
  6. a b Harvey 2005, p. 6.
  7. a b c d 小学館 2021d, p. 「アニミズム」.
  8. ^ 小学館 2021a, p. 「死霊崇拝」.
  9. ^ 平凡社 2021b, p. 「神がかり」.
  10. ^ ブリタニカ・ジャパン 2021c, p. 「怨霊」.
  11. ^ 平凡社 2021c, p. 「先祖供養」.
  12. ^ 悪質商法 警視庁
  13. ^ David A. Leeming; Kathryn Madden; Stanton Marlan (6 November 2009).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Religion. Springer. p. 42. ISBN 978-0-387-71801-9
  14. ^ Harvey (2006), p. 6.
  15. ^ Edward Burnett Tylor (1920).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language, art, and custom. J. Murray. p. 360
  16. ^ Harrison, Paul A. 2004. Elements of Pantheism. p. 11.
  17. ^ McColman, Carl. 2002. When Someone You Love Is Wiccan: A Guide to Witchcraft and Paganism for Concerned Friends, Nervous parents, and Curious Co-Workers. p. 97.
  18. ^ Skrbina, David. (2005). Panpsychism in the West. MIT Press. 0-262-19522-4
  19. ^ Carus, Paul. (1893). "Panpsychism and Panbiotism." The Monist. Vol. 3, No. 2. pp. 234–257. JSTOR 27897062
  20. ^ Panpsychism”.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2019年5月1日閲覧。
  21. ^ Goff, Philip; Seager, William; Allen-Hermanson, Sean (2017). "Panpsychism". In Zalta, Edward N. (ed.).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8年9月15日閲覧
  22. ^ Chalmers, David (2017). "The Combination Problem for Panpsychism" (PDF). In Brüntrup, Godehard; Jaskolla, Ludwig (eds.). Panpsychism: Contemporary Perspectiv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179–214. 2019年4月28日閲覧
  23. ^ Fernandez-Armesto, Felipe (2003). Ideas that Changed the World. Dorling Kindersley, p. 138.
  24. ^ 小学館 2021e, p. 「呪物崇拝」.
  25. ^ 小学館 2021f, p. 「呪物崇拝」.
  26. ^ 小学館 2021g, p. 「フェティシズム」.
  27. ^ ブリタニカ・ジャパン 2021a, p. 「自然崇拝」.
  28. ^ ブリタニカ・ジャパン 2021b, p. 「精霊崇拝」.
  29. ^ Fay-Cooper Cole; Albert Gale (1922). “The Tinguian; Social, Religious, and Economic life of a Philippine tribe”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Anthropological Series 14 (2): 235–493.
  30. ^ "Shaman." LexicoOxford University Press and Dictionary.com. Retrieved 25 July 2020.
  31. ^ Eliadem Mircea. 1972. Shamanism: Archaic Techniques of Ecstasy, Bollingen Series LXXVI.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3–7.
  32. ^ Scott, William Henry (1994). Barangay: Sixteenth century Philippine culture and society. Quezon Cit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ISBN 978-9715501354
  33. ^ Demetrio, Francisco R.; Cordero-Fernando, Gilda; Nakpil-Zialcita, Roberto B.; Feleo, Fernando (1991). The Soul Book: Introduction to Philippine pagan religion. Quezon City: GCF Books. ASIN B007FR4S8G
  34. ^ Zeb, Alam, et al. (2019). "Identifying local actors of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n the Kalasha valleys of Pakistan." Forest Policy and Economics 104: 56–64.
  35. ^ Lee, Peter H.; De Bary, Wm. Theodore (1996). Sources of Korean tradi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10566-5OCLC 34553561
  36. ^ Bareh, Hamlet, ed. (2001). "Sikkim"Encyclopaedia of North-East India7. Mittal Publications. pp. 284–86. ISBN 81-7099-787-9
  37. ^ Torri, Davide (2010). “10. In the Shadow of the Devil: Traditional patterns of Lepcha culture reinterpreted”. In Ferrari, Fabrizio. Health and Religious Rituals in South Asia. Taylor & Francis. pp. 149–156. ISBN 978-1-136-84629-8
  38. ^ West, Barbara A., ed (2009).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Facts on File Library of World History. Infobase Publishing. p. 462. ISBN 978-1-4381-1913-7
  39. ^ Pizza, Murphy, and James R. Lewis. 2008. Handbook of Contemporary Paganism. pp. 408–09.
  40. ^ Hanegraaff, Wouter J. 1998. New Age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p. 199.
  41. ^ Nelson 1996, p. 7; Picken 2011, p. 40.
  42. ^ 梅原 猛、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紀要巻1,1989-05-21, p.13-23
  43. ^ Vontress, Clemmont E. (2005). Integrating Traditional Healing Practices into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SAGE Publications, Inc.. pp. 124–137
  44. ^ Radcliffe-Brown, A. R. (14 November 2013). The Andaman Island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61. ISBN 978-1-107-62556-3.
  45. ^ https://www.webindia123.com/territories/andaman/people/intro.htm
  46. ^ Theologian Mark Wallace Explores Christian Animism in Recent Book” (英語). www.swarthmore.edu (2020年10月15日). 2020年12月8日閲覧。

関連項目

外部リンク

ウィキメディア・コモンズには、アニミズムに関連するカテゴリがあります。
===

범심론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네비게이션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범심론 (Hanshiron,Panpsychism )은 마음의 철학에서 마음과 마음과 같은 측면이 현실의 기본적이고 편재적인 특징이라는 견해이다 [1] . 「마음은, 우주 전체에 존재하는 세계의 기본적인 특징이다」라고 하는 이론이라고도 표현된다 [2] . 범심론은 가장 오래된 철학 이론 중 하나이며 탈레스, 플라톤, 스피노자, 라이프 니츠, 윌리엄 제임스 [3]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 헤드, 버틀랜드 러셀, 갈렌 스트로슨과 같은 철학자 제창하고 있다.

어원 편집 ]

범심론(panpsychism /panˈsʌɪkɪz(ə)m/,/pænˈsaɪ(ˌ)kɪz(ə)m/)이라는 말은 그리스어 pan(πᾶν: '모두, 전체')과 psyche(ψυχή: '혼, 마음")에서 유래 [4] :1 . '푸슈케이'는 그리스어 ψύχω(푸스코, '내가 부는')에서 유래하며 생명, 영혼, 마음, 정신, 마음, '생명의 숨결' 등의 의미가 있다. "psyche"의 사용에는 논의가 있다. 왜냐하면, 「psyche」는 「soul」과 동의이며, 통상은 초자연적인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현재 문헌에서 보이는 보다 일반적인 용어는 mind, mental properties, mental aspect, experience 등이다.

개념 편집 ]

범심론은 마음이나 마음과 유사한 측면이 현실의 기본적이고 편재적인 특징이라고 한다 [1] . 또, 「마음은 우주 전체에 존재하는 세계의 기본적인 특징이다」라고 하는 이론이라고도 표현된다 [2] . 범심론자는 우리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알고 있는 유형의 정신성이 다양한 자연체에 어떠한 형태로 존재한다고 한다 [4] . 이 사고 방식은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학술적 지지자는 감각과 주관적인 경험이 어디에나 있다고 하는 반면, 이러한 성질을 보다 복잡한 인간의 정신적 속성과 구별하고 있다 [5] . 따라서 물리학의 기본적인 수준의 존재에는 원시적인 형태의 정신성을 인정하지만, 바위나 건물 등 대부분의 집합적인 것에는 정신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1] [6] [7] .

다양한 범심론 편집 ]

범심론의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 다양한 사고방식. 그리고 그들과 관련된 다양한 입장.

애니미즘과 물활론 편집 ]

애니미즘 은 모든 것에 영혼이 있다고 주장하고, 물활론은 모든 것이 살아 있다고 주장한다. [8] : 149 [9] 이러한 입장을 범심론으로 해석하는 것에 대해서는, 현대의 학술계에서는 지지되어 있지 않다 [5] . 현대의 범심론자는 이런 이론으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하며, 경험의 편재성과 마음과 인지의 편재성 사이에 구별을 하도록 주의하고 있다 [1] [10 ] .

발달 심리학의 범심론 편집 ]

심리학 , 특히 발달 심리학 분야에서는 위와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의미로 애니미즘이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아이는 그 성장 단계의 어느 시기(대략 2세부터 7,8세 정도의 사이)에 있어서, 모든 대상을 마음을 가지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경향, 즉 의인화 해 파악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러한 경향을 심리학의 세계에서는 애니미즘이라고 부른다. 위의 타일러의 애니미즘을 따서 1968년 스위스의 심리학자 장 피아제 에 의해 명명되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봉제인형 이 기뻐하거나 통증이 있다고 소박하게 믿는 것은 이러한 애니미즘적 사고의 전형이다. 이 피아제의 애니메이션도 범심론적 세계관의 하나로 다루어질 수 있다.

실험 발달 심리학자는 피아제의 관점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연구를 실시했다. 1940년대에 알베르 미숀 은 화면에 비추어진 두 오브젝트가 인간이나 동물의 형태를 갖지 않아도(그것이 사각형이나 삼각의 기호이든, 도트라도), 하나가 이미 한편 뒤를 쫓기 위해 움직일 때는 '쫓아가고 있다'고 인식되는 것을 밝혔다. 1987년에는 앨런 레슬리 가 이 인식이 어린 아이라도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레슬리 등의 연구에 의하면 불과 생후반년의 유아에서도 두 개체가 단순히 움직이고 있을 뿐인지, '쫓는다'인지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 이는 사람에게는 태어나거나 발달의 매우 빠른 시기부터 움직이는 것에는 의도나 의식이 있다고 상정하는 능력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마음의 이론 또는 소박 심리학 이라고도 불린다.

관념론 또는 유심론 편집 ]

관념론 또는 유심론 은 의미에 상당히 폭이 넓은 기간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극단적인 형태를 취하는 경우, 예를 들면 18세기 전반의 아일랜드의 성직자 조지 버클리 에 의해 제창된 물질 부정론에서는, 이 세계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심적인 것뿐이며, 물질 적인 것은 거기에서 파생된 겉보기의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한다. 이 사고 방식을 따를 때, 당연히 모든 존재는 그 본질로서 심적이다. 그리고 심적이지 않은 존재 등 아무것도 있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관념론은 때때로 범심론의 하나로 언급된다. 대립하는 입장은 유물론 이다.

범 경험설 편집 ]

범 경험설이란, 현상적 의식 · 쿠오 리아 라고 하는 심적 경험이, 뇌나 신경 세포 라고 하는 거시적인 스케일로 처음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레벨에 있어서, 벌써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을 것이다, 라는 생각. 즉 쿼크 나 렙톤 과 같은 물리 현상의 기본 구성 요소 자체에 현상적 의식이나 쿠오리아의 근원이 되는 어떠한 성질( 원의식 )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설. 이런 범경험설은 1990년대경부터 집중적으로 논의되게 되었으며, 현재 마음의 철학 을 중심으로 그 세부사항이 논의되고 있다. 대표적인 논자로 데이비드 찰머스 , 갈렌 스트로슨 ( Gallen Strawson ) 등이 있다. 역사적으로는 이러한 사고방식(세계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로서 심적인 성질이 편하게 존재하고 있다는 사고방식)은 별로 아주 새로운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17세기 후반의 독일의 수학자 고트후리트·라이프니츠 에 의해 제창되었다 모나드로지 에서도 그러한 세계관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생각 일반적으로 대립하는 입장에 있는 것이 창발설이다. 창발설에서는 물질이 어느 거시적인 수준에서 특정 배치를 취했을 때 처음으로 현상적 의식이나 쿠오리아와 같은 심적 경험이창발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편집 ]

애니미즘

  • 이마무라 니시 편 「현대 사상을 읽는 사전」 코단샤 현대 신서 44-46페이지 1988년 ISBN 4-06-148921-6
  • 카가토리 히로토 · 스기모토 토시오 편 「심리학(제2판)」 도쿄대학 출판회 61,156페이지 2004년 ISBN

관념론

  • S. 프리스트 저 카와노 테츠야 [다른] 번역 '마음과 신체의 철학 '
  • 토미타 쿄히코 『관념론이란? 」 코단샤 현대 신서 2004년 ISBN 4-06-149758-8

일반 경험설

일반

노트 편집 ]

각주 편집 ]

  1. ↑ d Goff, Philip; Seager, William; Allen-Hermanson, Sean (2017). "Panpsychism" . In Zalta, Edward N. (ed.).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2018년 9월 15일에 확인 함 .
  2. b Bruntrup, Godehard; Jaskolla, Ludwig (2017). Panpsychism: Contemporary Perspectives .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pp. 365. ISBN 978-0-19-935994-3 
  3. ↑ Koch, Christof (1 January 2014). Is Consciousness Universal? . doi : 10.1038/scientificamericanmind0114-26 2018년 9월 13일에 확인함. .
  4. b Clarke, DS Panpsychism: Past and Recent Selected Readings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2004. p.1
  5. b “ Panpsychism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 2019년 5월 1일에 확인함.
  6. ↑ Chalmers, David (2015). “Panpsychism and Panprotopsychism” . In Alter, Torin; Nagasawa, Yugin. Consciousness in the Physical World: Perspectives on Russellian Monism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9-9 
  7. Clarke, David S. (2012) (영어). Panpsychism and the Religious Attitude .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 ISBN 978-0-7914-5685-9 
  8.  Skrbina, David. (2005). Panpsychism in the West . MIT Press. 0-262-19522-4
  9.  Carus, Paul. (1893). "Panpsychism and Panbiotism." The Monist . Vol. 3, No. 2. pp. 234–257. JSTOR  27897062
  10. ↑ Chalmers, David (2017). "The Combination Problem for Panpsychism" (PDF) . In Brüntrup, Godehard; Jaskolla, Ludwig (eds.). Panpsychism: Contemporary Perspectives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179–214 . 2019년 4월 28일에 확인함 .

관련 항목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

영어 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