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일본철학.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일본철학. Show all posts

2023/07/29

알라딘: 일본 철학사상 자료집 Japanese Philosophy A Sourcebook James W Weisig

알라딘: 일본 철학사상 자료집

일본 철학사상 자료집 
제임스 하이직 (지은이),김계자 (옮긴이)보고사2021-10-20


















크게보기

정가
80,000원
판매가
76,000원 (5%, 4,000원 할인)
마일리지
4,00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8월 1일 출고
(중구 서소문로 89-31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101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
무이자 할부
소득공제 3,420원






수량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
중고 등록알림 신청
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양장본
1062쪽

목차


  1. 서장
  2. 불교전통
  3. 선불교
  4. 정토불교
  5. 유교
  6. 신도
  7. 근대 강단철학
  8. 교토학파
  9. 20세기 철학
  10. 문화와 정체성
  11. 사무라이 정신
  12. 여성 철학자
  13. 미학
  14. 생명윤리



저자 및 역자소개
제임스 하이직 (James W. Heisig)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난잔대학 명예교수

최근작 : <일본 철학사상 자료집>

김계자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신대학교 대학혁신추진단 조교수.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일본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일본문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일 문학이 관련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인의 일본어문학이 형성된 전체상을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에 『근대 일본문단과 식민지 조선』(역락, 2015), 『일본대중문화의 이해』(공저, 역락, 2015), 「김석범 장편소설 1945년 여름」(보고사, 2017) 등이 있다.

최근작 : <일본의 근대, 근대의 일본>,<역사 속의 한류>,<지식의 쓸모를 찾아서> … 총 27종 (모두보기)

=======



See this image


Follow the AuthorsSee all

John C. Maraldo
Follow

James W. Heisig
Follow





Japanese Philosophy: A Sourcebook (Nanzan Library of Asian Religion and Culture, 5) Paperback – Illustrated, July 31, 2011
by John C. Maraldo (Editor), Thomas P. Kasulis (Editor), James W. Heisig (Editor)
4.7 4.7 out of 5 stars 53 ratings
4.4 on Goodreads
35 ratings
Part of: Nanzan Library of Asian Religion and Culture (6 book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25.00
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29.94
5 Used from $25.006 New from $45.99



















With Japanese Philosophy: A Sourcebook, readers of English can now access in a single volume the richness and diversity of Japanese philosophy as it has developed throughout history. Leading scholars in the field have translated selections from the writings of more than a hundred philosophical thinkers from all eras and schools of thought, many of them available in English for the first time.

The Sourcebook editors have set out to represent the entire Japanese philosophical tradition―not only the broad spectrum of academic philosophy dating from the introduction of Western philosophy in the latter part of the nineteenth century, but also the philosophical ideas of major Japanese traditions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Shinto.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each tradition is laid out in an extensive overview, and each selection is accompanied by a brief biographical sketch of its author and helpful information on placing the work in its proper context. The bulk of the supporting material, which comprises nearly a quarter of the volume, is given to original interpretive essays on topics not explicitly covered in other chapters: cultural identity, samurai thought, women philosophers, aesthetics, bioethics.

An introductory chapter provides a historical overview of Japanese philosophy and a discussion of the Japanese debate over defining the idea of philosophy, both of which help explain the rationale behind the design of the Sourcebook. An exhaustive glossary of technical terminology, a chronology of authors, and a thematic index are appended. Specialists will find information related to original sources and sinographs for Japanese names and terms in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and general index.

Handsomely presented and clearly organized for ease of use, Japanese Philosophy: A Sourcebook will be a cornerstone in Japanese studies for decades to come. It will be an essential reference for anyone interested in traditional or contemporary Japanese culture and the way it has shaped and been shaped by its great thinkers over the centuries.
Read less


Report incorrect product infor

Review
An outstanding sourcebook for all those interested in Japanese philosophy, as well as religious thought, social ideology, and artistic expressions stemming from the classical (Heian) and medieval ( Kamakura) through the early modern (Tokugawa) and modern (Meiji and post-Meiji) periods. . . . All readers of Japanese Philosophy will greatly benefit from and be gratified in finding authoritative versions of philosophical materials, offered in a creative, cross-thematic and historically based fashion. The reader may already be familiar with some of these resources, but may wish to reference or cite them anew, while other sections will provide original translations of philosophers with whom many readers may not yet be familiar or have not previously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upon in depth or view in historical perspective. The Thematic Index is one of the excellent tools that will enable the reader to navigate a path through over twelve hundred years of philosophical writing in Japan. ― Philosophy East & West

This massive tome will stand for the forseeable future as the gold standard for comprehensive treatment of all matters of Japanese philosophy. The three editors, all significant names within this small but growing subfield, have assembled an impressive group of established and up-and-coming scholars to translate and provide introductions to each entry, resulting in a readable sourcebook remarkable in both scope and acuity of analysis. . . . Essential. ― 
Choice

About the Author

James W. Heisig is a permanent research fellow at the Nanzan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in Nagoya, Japan.

Thomas P. Kasulis is University Distinguished Scholar and Professor Emeritus in Comparative Studies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where he has taught in the departments of comparative studies, philosophy, and East Asian studies.

John C. Maraldo is distinguished professor of philosophy emeritus at the University of North Florida.

Product details

  • Publisher ‏ : ‎ University of Hawaii Press; Illustrated edition (July 31, 2011)
  • Language ‏ : ‎ English
  • Paperback ‏ : ‎ 1376 pages

Customer Reviews:
4.7 4.7 out of 5 stars 53 rating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the United States


Maimai

5.0 out of 5 stars Grea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11, 2019
Verified Purchase
Came just in time for class. No damage at all. Thanks!🙏🏾



HelpfulReport

Michigan Rifleman

5.0 out of 5 stars Indispensibl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une 29, 2014
Verified Purchase
For anyone really wanting to read primary source material from Japanese philosophy, there is nothing better in the English language. Not a book for the timid or the dilatant. Well over 1000 pages of materials: a great wealth of reading.

5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S. B. London

5.0 out of 5 stars I sense therefore I am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19, 2017
Verified Purchase
Everything you want to know about Japanese philosophy but don't know how to ask.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me

4.0 out of 5 stars Great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February 8, 2013
Verified Purchase
Informative and well researched. This book was a required text for a class but it is one that I will keep.

4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Rosa Mercedes Montgomery

3.0 out of 5 stars The book was for a university cours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20, 2012
Verified Purchase
The problem I had with the book is that as soon as I open the book the binding of the book broke. It was very dissapointing that it was so poorly made.
I have no comments about the content.

7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ChaosAngel

5.0 out of 5 stars Perfect Book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December 15, 2013
Verified Purchase
Perfect book for the price and it helped me very, very much in class. Thank you very much for the sale

2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mazon Customer

4.0 out of 5 stars Great, but missing page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August 27, 2018

This is a wonderful trove of information. Honestly the only negative thing I have to say is that in my copy, during the section on the first major thinker, Kukai, roughly twelve pages or so are missing. It jumps from somewhere in the sixties to about page 80., right into Nichiren. Considering how important both these figures are, this shortage is quite unfortunate. I'm not sure if anyone else has experienced this, but I've read at least one other review where the customer had issues with the physical quality of the book. Still, for any student of Japanese history, thought, or culture this is simply indispensable.

3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Anton Sevilla

5.0 out of 5 stars A Great Reference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January 26, 2013

One of the difficulties that an English speaker might have in approaching Japanese philosophy is not really knowing where to start and who to work on. As one can see from the table of contents, Japanese philosophy is broad. There are communitarian thinkers like Watsuji Tetsuro, and there are individualist liberals like Fukuzawa Yukichi. There are the Zen Buddhist thinkers like Dogen and Shinran, and severe critics of Zen like Ichikawa Hakugen (who was in himself an incredible Zen man). There are both nationalists and people who got thrown in jail for their views against Japan. Oh and there are female thinkers too. So clearly, Japan outside travel guides is a complex place, difficult to reduce to stereotypes about nothingness, no-self, community, and nihonjinron (Japanese ethnocentrism).

But where does one start? Even if one can read Japanese, a non-native speaker would have a hard time just randomly going through dozens of thinkers trying to find who one finds really worth studying. And that is where I think this book is excellent. If you come across a name in a book or in a lecture, in minutes you can have a grasp of the basic approach of that person and his/her historical context. This book covers almost anyone of note in the history of thought. Spare half an hour and you can read a few selections from key works, translated in excellent and readable English. If you are convinced this person is worth reading, then you can head off to primary sources--likely in Japanese as many of the people taken up in the sourcebook have never been translated to English before.

The Japanese language is difficult, so is the philosophy, and put those two elements together and you have a very forbidding field in Japanese Philosophy. But it is the publication of books like these that make it possible both to research and to teach this subject in English.

21 people found this helpful


HelpfulReport

See more reviews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Translate all reviews to English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Great CompliationReviewed in Canada on March 18, 2017
Verified Purchase

This is a great anthology of Japanese Philosophy. There is a lot of information in this book and good for those who want an overview of Japanese Philosophy. I particularly liked that there wa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ers before showing their writings.

I bought this book hoping to gain information about Japanese Confucian scholars (and I did), but I was pleasantly surprised to learn about the Kyoto School.
Report

Jade
5.0 out of 5 stars Great introduction to Japan philosophyReviewed in Japan on May 11, 2020
Verified Purchase

This book is incredibly rich in entries and themes as well. It provides a key inside within Japan history and it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deas from ancient time to modern Japan. Many of the thinkers introduced in this book have never been translated in English either, so it is a great opportunity to discover a wide range of Japanese thinkers through the ages. Highly recommended.

2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侏儒
4.0 out of 5 stars いま日本哲学とはReviewed in Japan on February 27, 2013
Verified Purchase

 英語で出版された、殆ど唯一の包括的な日本哲学に関する参考書。戦後の日本は敗戦の影響もあってか(実際戦前の主な哲学教授は戦後公職追放されましたから)、「日本に哲学なし」を信望し、過去を殆ど顧みることなくフッサール、ハイデッガー、英米系分析哲学、古代ギリシャ哲学の研究に勤しんで来ました。それらの研究は確かに厳密なテキストの読解と意義ある翻訳書の多くを残してくれましたが、同時に「日本において哲学するとは」という視点を、我々に見失わせることになりました。実際好むと好まずと日本人に生まれ、日本語を使って哲学をしているからには、それらの影響を何も受けていないと考えるのは、それこそ哲学的ではありません(もっとも始めから西欧哲学の「普遍性」を信じ込むならこの限りではありませんが)。
 是非、編集者のHeisig氏が執筆しているイントロダクションをお読みください。実は、ハワイ―南山大学のラインを中心に、日本哲学は近年、密かに世界中の注目を集め始めています。過去に中国哲学やインド哲学の影響を受けながら、それを独自の形で消化してきた日本が、近代期に取り入れた西欧哲学とどう折り合いをつけるのか、西田幾多郎をはじめとした多くの哲学者が悩んできたこの問題を、もう一度日本人は考え直すときが来ているのかもしれません。

12 people found this helpful

==


















2023/05/24

The Oxford Handbook of JAPANESE PHILOSOPHY 




The Oxford Handbook of JAPANESE PHILOSOPHY 
Edited by BRET W. DAVIS, 
©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

Contents

PART I SHINTŌ AND THE SYNTHETIC NATURE OF JAPANESE PHILOSOPHICAL THOUGHT

1 Prince Shōtoku’s Constitution and the Synthetic Nature of Japanese Thought -- Thomas P. Kasulis
2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Shintō -- Iwasawa Tomoko
3 National Learning: Poetic Emotionalism and Nostalgic Nationalism Peter Flueckiger

PART II PHILOSOPHIES OF JAPANESE BUDDHISM

4 Saichō’s Tendai: In the Middle of Form and Emptiness -- Paul L. Swanson and Brook Ziporyn            
5 Kūkai’s Shingon: Embodiment of Emptiness -- John W. M. Krummel           
6 Philosophical Dimensions of Shinran’s Pure Land Buddhist Path Dennis Hirota
7 Modern Pure Land Thinkers: Kiyozawa Manshi and Soga Ryōjin Mark Unno 83
8 The Philosophy of Zen Master Dōgen: Egoless Perspectivism Bret W. Davis 201
9 Dōgen on the Language of Creative Textual Hermeneutics Steven Heine
10 Rinzai Zen Kōan Training: Philosophical Intersections -- Victor Sōgen Hori
11 Modern Zen Thinkers: D. T. Suzuki, Hisamatsu Shin’ichi, and Masao Abe
Mori Tetsurō (trans. Bret W. Davis), Minobe Hitoshi (trans. Bret W. Davis), and Steven Heine

PART III PHILOSOPHIES OF JAPANESE CONFUCIANISM AND BUSHIDŌ

12 Japanese Neo-C onfucian Philosophy -- John A. Tucker
13 Ancient Learning: The Japanese Revival of Classical Confucianism John A. Tucker
14 Bushidō and Philosophy: Parting the Clouds, Seeking the Way Chris Goto- Jones 215
---

PART IV MODERN JAPANESE PHILOSOPHIES

15 The Japanese Encounter with and Appropriation of Western Philosophy 333
John C. Maraldo


THE KYOTO SCHOOL

16 The Kyoto School: Transformations Over Three Generations 367 Ōhashi Ryōsuke and Akitomi Katsuya (trans. Bret W. Davis)
17 The Development of Nishida Kitarō’s Philosophy: Pure Experience,
Place, Action- Intuition 389Fujita Masakatsu (trans. Bret W. Davis)
18 Nishida Kitarō’s Philosophy: Self, World, and the Nothingness Underlying Distinctions 417John C. Maraldo
19 The Place of God in the Philosophy of Tanabe Hajime 431James W. Heisig
20 Miki Kiyoshi: Marxism, Humanism, and the Power of Imagination 447 Melissa Anne-M arie Curley
21 Nishitani Keiji: Practicing Philosophy as a Matter of Life and Death 465 Graham Parkes
22 Ueda Shizuteru: The Self That Is Not a Self in a Twofold World 485 Steffen Döll
26 Japanese Christian Philosophies, Terao Kazuyoshi
27 Yuasa Yasuo’s Philosophy of Self-C ultivation: A Theory of Embodiment, Shigenori Nagatomo 563 575

OTHER MODERN JAPANESE PHILOSOPHIES

23 Watsuji Tetsurō: The Mutuality of Climate and Culture and an Ethics of Betweenness -- Erin McCarthy
24 Kuki Shūzō: A Phenomenology of Fate and Chance and an Aesthetics of the Floating World -- Graham Mayeda
25 Comparative Philosophy in Japan: Nakamura Hajime and Izutsu Toshihiko - John W. M. Krummel
26 Japanese Christian Philosophies Terao Kazuyoshi
27 Yuasa Yasuo’s Philosophy of Self-C ultivation: A Theory of Embodiment - Shigenori Nagatomo 563 575
28 Postwar Japanese Political Philosophy: Marxism, Liberalism, and the Quest for Autonomy -- Rikki Kersten
29 Raichō: Zen and the Female Body i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Feminist Philosophy -- Michiko Yusa and Leah Kalmanson
30 Japanese Phenomenology -- Tani Tōru
31 The Komaba Quartet: A Landscape of Japanese Philosophy in the Thought -- Bret W. Davis 685

PART V PERVASIVE TOPICS IN JAPANESE PHILOSOPHICAL THOUGHT

32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Japanese Language 665 Rolf Elberfeld (trans. Bret W. Davis)
33 Natural Freedom: Human/N ature Nondualism in Zen and Japanese
34 Japanese Ethics Robert E. Carter
35 Japanese (and Ainu) Aesthetics and Philosophy of Art - Mara Miller and Yamasaki Kōji
36 The Controversial Cultural Identity of Japanese Philosophy Yoko Arisaka


Index

Philo Kalia - 현재 일본에 철학이 있는가? 일본현대철학이란 어떤 철학인가? 어제 대화모임에서 나온 질문이다.... | Facebook

Philo Kalia - 현재 일본에 철학이 있는가? 일본현대철학이란 어떤 철학인가? 어제 대화모임에서 나온 질문이다.... | Facebook

Philo Kalia
  · 
현재 일본에 철학이 있는가?
일본현대철학이란 어떤 철학인가?
어제 대화모임에서 나온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해 김태창 선생님은 교토 학파의 창시자인 기타로 니시다(Kitaro Nishita, 1870-1945)를 예로 들면서 그의 절대무의 철학, 場所의 철학을 언급하셨다. 

나는 감신 대학원 시절 변선환 선생님으로부터 귀가 따가울 정도로 교토 학파에 관하여 많은 말을 들었다. 그러나 이름만 들었지 그 철학의 내용에 대한 가르침은 없었다. 

선생님의 학위 논문 가운데 야기 세이이치의 장소적 그리스도론이 있어 읽은 적이 있지만 이해하기도 어려웠거니와 금새 잊었다. 
선생님은 기독교-불교와의 만남과 대화에서 붓다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 끝내 말씀을 아끼시고 그냥 신비한 세계가 있는 것처럼 말씀을 늘 흐렸다. 아직 어리다고 생각한 신학생들에게 파격적인 말씀으로 받을 충격을 염려하신 것 같다. 

그때나 지금이나 불교와 기독교의 만남이나 대화는 늘 기독교 측에서 심한 의심과 의혹의 눈으로 바라보다가 결국 이단 재판으로 귀결되기 일쑤이다. 기독교인들, 특히 목사인 사람들 불교 좀 공부하시라고, 성경을 읽고 신학을 공부하듯 정성스럽게 공부하시라고 권하고 싶다. 


그 후 이 책 <참 자아의 주님이신 붓다-그리스도>(Der Buddha-Christus als der Herr des wahren Selbst, 1982)를 알게 되었다. 저자인 프릿츠 부리는 바젤 대학 신학부 교수였는데 이 책에서 교토학파의 종교철학과 기독교를 다루었다. 그리스도가 그리스도인들에게 참자아의 주님이시라면 붓다는 불교인들에게 참자아의 주님이시라는 내용이다. 물론 주님은 상징어이다.

  • 프릿츠 부리는 교토 학파의 8명의 철학자를 논의하는데, 
  • 기타로 니시다를 일본의 위대한 철학자요 교토학파의 창시자로,
  • 하지메 타나베(Hajime Tanabe, 1885-1926)에게는 “참회의 철학과 죽음의 변증법”을, 
  •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다이제츠 타이타로 스주키(Daisetz Teitaro Suzuki, 1870-1966)는 “서양인들을 위한 선불교”로, 
  • 신-이치 히사마추(Shin-ichi Hisamatsu, 1889-1980)는 “무신론적 불교”라는 제목으로, 
  • 게이지 니시다니(Keiji Nishitani, 1900-1990)는 “禪의 종교철학”으로, 
  • 요시노리 타케우치(Yoshinori Takeuchi, 1913-2002)는 “불교적 실존주의”로, 
  • 시추테루 우에다(Shizuteru Ueda, 1926-2019)는 “자기상실적 자기의 삼위일체 속에서 대상적 실체 사유의 돌파”라는 제목으로, 마지막 
  • 마사오 아베(Masao Abe, 1915-2006)는 “선불교와 기독교”라는 제목으로 서술했다. 


나는 이 방대하고 어려운 책보다는 한스 발덴펠스(Hans Waldenfels)의 “절대무(Absolutes Nichts)”라는 책을 복사해서 두세 번 읽은 적이 있다. 
주로 게이지 니시타니의 “空의 철학”을 연구하여 제출한 학위논문이다. 

1989년 겨울 학위논문 완성을 앞두고 하이데거 생가는 꼭 방문해야겠다는 생각으로 하이데거의 고향 독일 남부 메스키르히를 찾아 생가와 바로 옆에 있는 교회를 보고 들길을 걷고 하이데거 아키브를 들어갔을 때 마침 거기에는 게이지 니시타니의 흉상이 있었다. 
둘 사이의 사상적 깊은 관계를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는 흉상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그 후 이 분야를 더 이상 공부하지 못했다. 


과정철학 사상이 더해져 하느님은 無이고 空이고....


김태창 선생님은 교토학파의 일본철학은 한국철학 수립을 위한 좋은 거울이 될 수 있다는 말씀을 하신다. 동의하고 싶은 말씀이다. 
선불교적 전통에서 서양철학을 연구하고 다시 서양철학을 선불교를 통해 해석하고, 선불교를 서양철학을 통해 해석하는 상호 교류, 만남, 논쟁, 대화 속에서 교토학파와 같은 일본철학이 형성됐으리라 생각한다. 
교토학파의 일본철학은 아베 마사오 이후 계승되고 있는가? 잘 모르겠다. 


5월 27일이 부처님 오신 날인데 기독교-불교, 불교-기독교의 만남이 한국 사상의 풍요로움을 위하여, 한국인의 정신 건강을 위해, 한국인의 영성 제고를 위해 여러 차원에서 일어났으면 좋겠다. 10명에서 100명이 되고, 1000명이 되고 10,000명이 되고 10만 명이 되고 100만 명, 1,000만 명이 되는 날이 올 것이다.
====
12 comments
이찬수
어제야말로 참석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해 아쉽고 죄송했습니다. 결혼33주년 1박2일 여행다녀오느라...^^
김태창 선생님께도 인사여쭙겠습니다
Reply14 h
Philo Kalia
이찬수 교수님 부재의 자리가 컸지만 33주년 결혼기념일을 축하합니다.
Reply7 h


오범석
멋진 박사님의 통찰과 고민, 그리고 신헉자로서의 기조가 좋습나다.
Reply14 h
Philo Kalia
오범석 공감의 마중글 감사드려요
Reply7 h


차건
학부 시절 스즈키 선사의 <선불교 입문>을 영어로 읽고 싸대기 한대 맞은 강렬한 느낌을 받았죠. 거기에 이렇게 적혀 있었죠. "당신은 왜 당신의 존재에 대해서 유감을 느끼는가?" 죄책감에 시달리는 기독교인으로서 제대로 각성하게 해준 한 마디였습니다. 그 뒤 스즈키의 물음을 복음적으로 대답할 수 없다면 나의 신앙은 끝나겠다고 생각했었죠.
Reply13 hEdited
Philo Kalia
건차 공감합니다. 스즈키의 <서양의 길과 동양의 길>, <선불교에 대한 강연> 등을 읽었던 강렬한 느낌이 생각납니다.
Reply7 h


박상진
목사들이 불교를 공부하라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일천하지만 불교를 공부할수록 그 깊이에 매료되어, 내가 믿는 하나님, 내가 알지 못했던 하나님을 더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
Reply13 h
Jongsoo Lim
연등은 곱고, 아롱진 얘기는 깊고 어려우니요. 연등 한 점 걸겠습니다. "깨닳음을 허하소서."
May be a doodle of lighting and text
Reply7 h
Philo Kalia
Jongsoo Lim 아롱지다는 말, 참 좋네요. 연등이 세상 곱게 만들어 인간들 아롱져 大通하길 바랍니다.
Reply7 h


변상규
페북에서
가장 좋은글 늘 감사합니다 심교수님
Reply5 h
Philo Kalia
변상규 변교수님, 안부인사 전합니다.
마중글에 감사합니다
Reply2 h


Japanese philosophy -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Japanese philosophy -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Japanese philosophy

By
Kasulis, Thomas P.


Article Summary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Japanese philosophy is how it has assimilated and adapted foreign philosophies to its native worldview. As an isolated island nation, Japan successfully resisted foreign invasion until 1945 and, although it borrowed ideas freely throughout its history, was able to do so without the imposition of a foreign military or colonial presence. Japanese philosophy thus bears the imprint of a variety of foreign traditions, but there is always a distinctively Japanese cultural cont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Japanese thou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both the influence of various foreign philosophies through Japanese history and the underlying or continuing cultural orientation that set the stage for which ideas would be assimilated and in what way.

The major philosophical traditions to influence Japan from abroad have been Confucianism, Buddhism, neo-Confucianism and Western philosophy. Daoism also had an impact, but more in the areas of alchemy, prognostication and folk medicine than in philosophy. Although these traditions often overlapped, each also had distinctive influences.

In its literary forms, Japanese philosophy began about fourteen centuries ago. Confucian thought entered Japan around the fifth century ad. Through the centuries the imprint of Confucianism has been most noticeable in the areas of social structure, government organization and ethics. Philosophically speaking, the social self in Japan has its roots mainly in Confucian ideals, blended since the sixteenth century with certain indigenous ideas of loyalty and honour developed within the Japanese samurai or warrior class.

The philosophical impact of Buddhism, introduced around the same time as Confucianism, has been primarily in three areas: psychology, metaphysics and aesthetics. With its emphasis on disciplined contemplation and introspective analysis, Buddhism has helped define the various Japanese senses of the inner, rather than social, self. In metaphysics, Buddhist esotericism has been most dominant; through esoteric Buddhist philosophy, the Japanese gave a rational structure to their indigenous beliefs that spirituality is immanent rather than transcendent, that mind and body (like humanity and nature) are continuous rather than separate, and that expressive power is shared by things as well as human thought or speech. This metaphysical principle of expression has combined with the introspective psychology and emphasis on discipline to form the foundation of the various aesthetic theories that have been so well developed in Japanese history.

Neo-Confucianism became most prominent in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Like classical Confucianism, it contributed much to the Japanese understanding of virtue and the nature of the social self. Unlike classical Confucianism in Japan, however, neo-Confucianism also had a metaphysical and epistemological influence. Its emphasis on investigating the principle or configuration of things stimulated the Japanese study of the natural world. This reinforced a tendency initiated with the very limited introduction of Western practical sciences and medicine in the sixteenth century.

Western philosophy, along with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had its major impact in Japan only since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forced Japanese philosophers to reconsider fundamental issues in epistemology, social philosophy and philosophical anthropology. As it has assimilated Asian traditions of thought in the past – absorbing, modifying and incorporating aspects into its culture – so Japan has been consciously assimilating Western thought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process continues today.

What in all this is distinctively Japanese? On the superficial level, it might seem that Japan has drawn eclectically from a variety of traditions without any inherent sense of intellectual direction. A more careful analysis, however, shows that Japanese thinkers have seldom adopted any foreign philosophy without simultaneously adapting it. For example, the Japanese philosophical tradition never fully accepted the emphasis on propriety or the mandate of heaven so characteristic of Chinese Confucianism. It rejected the Buddhist idea that impermanence is a reality to which one must be resigned, and instead made the appreciation of impermanence into an aesthetic. It criticized the neo-Confucian and Western philosophical tendencies toward rationalism and positivism, even while accepting many ideas from those traditions. In short, there has always been a complex selection process at work beneath the apparent absorption of foreign ideas.

Both historically and in the present, some Japanese philosophers and cultural critics have tried to identify this selection process with Shintō, but Shintō itself has also been profoundly shaped by foreign influences. The selection process has shaped Shintō as much as Shintō has shaped it. In any case, we can isolate a few axiological orientations that have seemed to persist or recur throughout the history of Japanese thought. First,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emphasize immanence over transcendence in defining spirituality. Second, contextual pragmatism has generally won out over attempts to establish universal principles that apply to all situations. Third, reason has often been combined with affect as the basis of knowledge or insight. Fourth, theory is seldom formulated in isolation from a praxis used to learn the theory. Fifth, although textual authority has often been important, it has not been as singular in its focus as in many other cultures. Thus, the Japanese have not typically identified a single text such as the Bible, the Analects, the Qur’an or the Bhagavad Gītā as foundational to their culture. Although there have been exceptions to these general orientations, they do nonetheless help define the broader cultural backdrop against which the drama of Japanese philosophy has been played out through history.

2023/05/20

** 김태창 [심광섭 예술신학 콜로키움]에서의 [대담] 202305

May be an image of 1 person and text that says "예숙목회연구원 Institute Artistic Ministry 예술목회연구원 주최 【제32회] 골로키움 "공공하는 미학을 함께 디자인 함" 2023년 5월 22일(ì›” 19.30~21.30 누구나 참여 환영 ZOOM(ID: 380-389-5679) 강사: 김태창 교수(충북대학교 명예교수) 경력 및 저서 <교토포럼에서 이루어진 공공철학 대화>, <중국에서 이루어진 공공철학 대화>, <일본에서 일본인들과 나눈 공공철학 대화>, <한국에서 한국인들과 나눈 공공철학 대화>, <일본에서 일본인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이야기> 지은이 김태창 박사 캐리커쳐(지선호작가) 1934년 일생 충복대학교 명예교수 공공철학자 노년청학자 생명개신미학자"

Philo Kalia - *초대합니다 이번 5월 22일 저녁 시간에 열릴 예술신학 콜로키움은 한중일 사상의 만남과... | Facebook

*초대합니다
이번 5월 22일 저녁 시간에 열릴 예술신학 콜로키움은 한중일 사상의 만남과 교류와 공공철학의 수립에 평생 헌신하신 김태창 교수님(충북대학교 명예교수)을 모시고 “공공하는 미학을 함께 디자인함” 이란 주제로 대담의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교수님은 '디자인한다'란 잠재하는 가능성을
  • 미의식으로 가시화하고 구체적인 미래의 도정을 함께 그려보는 일이며,
  • 머리로 인식함이 아니라 살과 뼈로 체득하고
  • 설득이 아닌 공감을 공유하는 쪽으로
  • 우리의 언어 행위가 바뀌기를 함께 수련하는 과정이 되었으면
  • 하는 바람을 말씀하셨습니다.
이에 대담과 대화를 위해 몇 가지 열쇠말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①문법치우(聞法値遇)
②일기일회(一期一会)
③학각신지(学覚信知)
④접화군생(接化群生)
⑤상학호성(相学互成)
⑥인화통합(仁和通合)
⑦민생개신미학(民生開新美学)
⑧활사개공미학(活私開公美学)

한중일의 사상적 교류에 평생 애써오신 교수님이 한중일이 함께 동시에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중요한 어휘는 한자로 표기하셨다는 말씀입니다.
우리의 대담(콜로키움)이 두뇌만의 인식이 아니라 살과 뼈로 체득하고, 설득이 아닌 공감을 공유하는 디자인이 되기를 바랍니다.




































=====
심광섭: 열쇄말의 설명으로부터 시작 부탁한다.
====
김태창:
---
①문법치우(聞法値遇)
  • 문법치우: 불법(佛法)을 직접 들을 기회를 얻음

②일기일회(一期一会)
  • 일생에  단 한번의 만남

③학각신지(学覚信知)
  • 学覚
  • 信と智。信仰心と知識。

④접화군생(接化群生)
최치원
  • 사람이 사람을 포함한 만물을 사랑의 감정으로 가까이 하여 이치(理致)로 변화시킨다는 뜻
  •  그래서 홍익인간이 되어 만백성이 무리 지어 잘 살도록 하는 것이 군생(群生)

⑤상학호성(相学互成)
  • 서로가 배우고 서로가 인격형성

⑥인화통합(仁和通合)
  • 仁 - 중국의 기본 가치
  • 和 - 일본의 가본 가치
  • 通 - 한국의 기본가치
  • 合 - 조화, 융화

⑦민생개신미학(民生開新美学)

workshop, 터, 실천
상대가 이야기하는 것에서 진리를 듣고, 울려서 통함
  • 한국을 사랑한 아라카와 타구미
  • 야나기 무네요시: 민중의 생활을 사랑 - 민예 예술 

비교 미학:
  • 중국 - 형태
  • 일본 - 자연
  • 한국 - 생명 

⑧활사개공미학(活私開公美学)
  • 사적인 이익을 잘 살리되 공동의 이익도 배려한다
  • 개인이 열리게 한다. 거기에 참다운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서로 만드는 것이다.
  • 이것을 한국철학적으로 말해보기 위해 중국일본과 비교한다.
  • 중국미학은 형태를 중요시여긴다. 일본미학은 자연미, 자연의 형태를 유지하는 쪽으로 가꾸어 나간다.
  • 한국철학에서는 <생명미>라는 것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생명>이 살아있는 쪽에서 미를 발견하고 감지하고 공감한다. 
  • 그런 것에 한국미가 있다는 것을 <야나기 무네요시>같은 일본 사람들이 보았다는 것이다. 
  • 말씀드리기 힘드는데, 한국의 미학자들은 서양미학, 중국미학을 이야기하지만 한국미에 대하여 잘 모른다. 오히려 한국미학을 비판한다. 한국의 어떤 미학자. <한국적> 미감각이 없는 미학자. 한국인인 이상 <한국미>를 알아야한다. 
---
생명개신미학
  • 저는 일본에서 일본과 중국과 함께 동아시아의 새로운 학문을 함께 열어가지는 취지로 공감을 하는 친구 (철우)들과 함께 문법향품의 취공을 함께 하는 쪽으로 ㅎㅁ께 공곡하는 일터라는 이름으로 일주일에 한번찍 게속하고 있다. 
  • 그리고 (대기업은 아니고) 중견 기업의 경영자들 몇명과 경영철학을 생명개신미학쪽으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공감하는 사람들과 한달에 한번씩 대화를 한다. 
  • 요는 진선미에서 진과 선이 있어도 미가 없으면 활력을 잃는다. 죽은 진, 죽은 선이 된다. 그래서 산 미, 산 선이 되기 위해 아름다움을 끌어드린다. 그동안 철학을 해온 사람들의 반성이다. 
  • 지금 세상에서는 진리를 가지고 싸운다. 어느 것이 더 진리냐하는 갈등이 있다. 진리의 모순이다. 도덕에서도 마찬가지로 갈등이다. 그런 갈등의 속에서도 어느 정도 공감대가 생기는 것은 아름다움에 대한 감정이 누구에게나 있기 때문이다. 
  • 심광섭 교수님이 신학중에서는 미학을 중요시하는 신학을 하시는 것을 알게되어 저도 그 노력을 보고 싶고 배우고 싶어서 이 모임에 참석을 하게 된 것이다. 
  • 일단은 이 정도로 제가 말씀드리고, 여러분들이 하실 말씀이 있으시면 제가 경청하겠습니다. (8:02)

===
심광섭 - 어떻게 김태창과의 이야기가 시작되었나
---
- 저는 Philocalia 라는 이름을 쓰는데, 김태창 선생님은 Erocalia라는 말을 쓰시드라고요.
philosophia보다 Erosophia라고 하면 어떨가라고 하시드라구요. 
선생님 이 이슈에 대하여 한 말씀 해주세요.
===
김태창
---
  • 나는 동아시아 문제를 생각하기 전에는 철저한서양철학의 신봉자였다. 
  • 대학에서 강의할 때도 우리가 얼마나서양을 빨리 딸아가는가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결정된다는 식으로 가르첬다. 희랍 철학을 공부했다. 그 가운데서도 플라톤을 좋아했다. 그 가운데서도 <심포지움>이라는 책을 여러번 읽었다. 
  •  그런데 거기서 배운 것이 <에로스>라는 것이 철학의 근본이라는 것이다. 
  • <에로스>라는 것이 뭐냐하면 아버지는 풍요이고, 어머니는 결핍인데, 그 사이에서 태어난 것이 <에로스>인데, 그것과 마찬가지로 상반되는 것들 사이에 있으면서 둘을 매개하고, 그것이 한 층 더 높아지게 하는 마음, 정열, 통환, 그런 것들을 함께헤서 <에로스.라고 하고, 인간이 철학을 하는 이유는 ,에로스.를 키우기 위해서 한다는 것이다.
  • 이런 말이 나와있고, 여러 사람들이 그렇게 해설한다. 
  • <Erotic Wisdom>이란 책이 있다. <에로스의 지혜>라는 말이 있다. 

  • 에로스가 철학이 본질이다, 라고 한다..12:31
  • 그래서 나는 필로소피아라고 하기보다 에로소피아라고 하면 좋지 않으냐? 라고 말 할 것을 생각하게 된 것이다. 
---
  • 20-30년 전 이야기인데, 중국북경대학에서 있었던 국제회의에서 어느 불란서 철학자가  동아시아에 - 사상연구는 있어도 철학은 없다. 왜냐하면 필로소피아라는 개념 자체를 이해하지 못한다, 라고 하더라. 
  • 그래서 내가 답을 했는데, 아니다. 동양에는 필로소피아와 같은 말을 없지만, 비슷한 것, 또 다른 것이 있다. 공자의 논어속에 <지학> 배움을 알고, 그리고 <호학> 배우기를 좋아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배움>을 사랑한다는 <애학>이라는 말이 있다. 
  • 나중에 양명학에 가서 양명학 좌파에 왕신계라는 사람이 <

    洛學

    낙학론>이라는 것에서 배움을 사랑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말하는 것이 있다. 
  • 서양에서는 지혜를 사랑하는 것이 있지만 동야에서는 지라는 것은 언제나 발전하는 것이다. 고정된 것이 없어서 항상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지보다 학을 중요하게 여긴다. 다시 말하자면 역학적이다. 그러니까 동양의 철학이 철학의 본래의 정신에 더 충실하다고 생각한다. 
  • 선생님 (불란서 철학자)께서 동아시아에는 필로소피아라는 것이 없다고 하신다면 저는 에로소피아라고 표현하고 싶다.
  • 불란서 철학자: 그렇게 말하면 이해가 되었다. 
  • 그래서 나는 에로소피아라는 말을 종종 쓰고 심광섭 목사님과 만났을 때 그 말을 쓰게 된 것이었다. philocalia라는 이름을 쓰신다고 하셔서 저는 erocalia라는 말을 하게 된 것이다. erocalia라는 말에는 아름다움을 단지 보는 것에서 <아름다움이 되는> 것으로 가는 것이니, 그 말이 동야에서는 더 맞다고 생각한다.
====
어느 노목사 (박병연) 의 질문: 
  • 어떤 사람은 수학을 아름답다고 한다. 어떤 사람은 추상화를 보고 아름답다고 한다. 
  • 저는 은토한 기독교 목사인데, 알아서 질문하는 것이 아니라 탐구하는 질문인데, 
  •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의 영광이 아름답다>고 말한다. 하나님이 영광이 너무 추상적이라면, 어떤 사람은 체험한다. 살아있다. 어린이의 미소가 아름다운 것 같다. 너도 살고 나도 살고, 하는 하나님의 나라에서의 아름다움을 우리가 모두 추구하여야 되는 것이 아닌가? 
  • 그런데 아직도 추상적이기 때문에 이 체험을 한 걸음 씩 따라가면서 느끼게 가이드 해주는 말을 들을 수 있기를 바란다. 
---
김태창 답:
  • gloria dei 하나님의 영광을 미화시켜서 그것을 아름답다고 하는 미학은 사실은 서양의 전통미학- 미인식이라고 생각한다. 21:21
  • 그런데 나는 <살아계신> 하나님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쪽이다. <영광스러운> 하나님보다 오히려 마구간에서 태어난 에수님이  아름다움, 
  • 지극히 높은 곳에서 지극히 낮은 곳까지 전부 통하는, 생명으로 살아계시는 하나님의 모습이 진선미 가운데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로 <미의 신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인터넷에서 미의 신학, 그런 책들을 구해 읽어보았는데 ...  [모두 내가 말하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다.]
그런데 <아름다운> 것이라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 <중국적>미는 ...
  • <일본에서는> 아름다움 utsukushii - 우츠루 (반영, 비추어지는) - 자연 그대로의 것이 반영되는 것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것이 어원적으로 있다. 
  • 그러면 <우리나라 말>에 <아름다움>이란 것이 뭔가 보자면,  
  • 한때는 <알다>는 것과 연결시켜서, <한국의 >는 지적인 요소가 강하다고 어떤 한국의 마학자가 말한다. 
  • 나는, 노,  한국어 에서의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일종의 달걀 -씨. 다시 말하자면 - 생명 - 생명력의 발휘가 제대로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고 나는 해석한다. 27:06
  • <최한기>적으로 말하자면 <기와 기가 통하는데서 나오는 아름다움>: 기통미
  • 아름다움 중에서 가장 <역동적인 아름다움>이다. 생명이라는 말보다 <기가 통한다>는데서 나타나는 인간의 <쾌감>, 좋은 감정, 느낌, 보람, 이런 것들을 통털어서 말하는 것이다.  
  • 최한기의 이 면을 더 공부하여 꺼내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우리가 한국사람이니까 한국 것을 공부하여 세계적으로 기여하는 방식이다. 그런 방향으로 철학도 미학도, 그리고 신학도 가게되면 어떨까? 하고 나는 생각한다.
  • 90이 다 되어서 다른 사람에게서 집념이 너무 강하다는 말도 듣는다. 서양철학에 심취햇던 사람이 나이가 75정도 되었을 때, 죽을 때 후회하지 않게, 이제부터라도 해야 되겠다고 생각하여,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다시 학문을 해야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 다행히 일본에 친구들이 많이 생겨서, 그 사람들이 일본과 중국과 한국이 함께하자고 하여, 서양의 키워드를 한자로 동양화하는 작업을 한다. 그런데 이 한자들은 절대로 중국적인 한자가 아니다. 한자로 쓰되 내용은 한국적인 것이다. 그래서 말을 바꾼다. 새 말을 마들어 쓰는데, 북경에서나 동경에서 이런 식으로 말을 만들어 써도 다 통한다. 

===
다음 질문
===
심중식 질문 1: 
  • <한국의 아름다움>이 뭘까,  선생님의 말씀을 들으며 생각해 보았다. 
  • 한국의 (건축물의 - 지아는?, 깨침이 세계를 알음이라고 하고,  알음을 표현할 때, 아름다움이 아닌가? 
  • ...
  • 어떤이는 걸래에서, 또는 칙간에서 아름다움을 찾는다고 하는데, 그런 앎에서 아름다움이 나오는 것이 아닌가. 
  • 또 하나의 질문은: 위의 인화통합(仁和通合) 이야기에서 한국은 <통>이라고 하셨는데, 일본에서는<화>라고 하는 것에 납득이 가지만, 중국에서 <인>을 중요시했다는 이야기는 맞지만,  왕양명의 <인>의 이야기가 있지만 중국사람들이 <인>을 인으로 표시할까, 조금 공감이 가지 않아서, 왜 <인>이라고 하셨는지 여쭈어 보고 싶습니다. 

  • ---
김태창 답: 
  • 일본 와카야마 대학에서 한중일 대학원생들 대상으로 하는 세미나 강의를 3년간 했는데, 학생들을 상대로 자기 나라의 <기본적 가치>에 대해 앙케트를 했다. 
  • 중국학생들은 한결같이 <인>이라고 한다. 그렇게 배웠다고 한다. 
  • 일본 학생들은 거의 다 <화>라고 한다. 
  • 그런데 한국학생들은 모른다고 한다. 나는 깜작 놀랬다. 일본에 유학하고 있는 인문계통의 대학원생들이, 가족이라는 답도 있고, 사랑이라는 답도 있고, 부부라는 답도 있었다. 그러나 한국적 가치를 모른다는 것에 나는 놀랬다. 
  • 나로서는 한국 철학을 공부해보고 하는 생각이 최한국의 <기통>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 <통>이라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다시 앙케트를 해서 물어보았더니 모두 <통>이라고 답했다. 생각해보니 그렇다는 것이었다. 
  • 그런데 중국의 <인>도 밤사돌(?)이라는 중국의 철학을 재점검한 학자는 <인>은 <통>이라고 <인통>이라는 말을 쓴다. 그러니까 <통>이 더 중요하다는 말을 중국 사람도 한다. 
  • 그리고 일본사람들도 <화>, <화>하지만, <화>라는 것이 <위>와<아래>가 통하는 데서 이루어진다는 <상통>에 있다. 
  •  일본 사상의 체계를 세운 <쇼토쿠 타이시>라는 사람이 만든 17조 헌법이라는 것이 있는데, <위>와 <아래>가 통하는데서 <화>가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러니 <통.이 중요한 것이라는 것을 인정한 샘이다 
  • 그러니 한중일의 가치의 다른 것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삼국이 통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알수 있지 않은가?
40:09 유영모의 아래아의 <알>에 대한 이야기 
  • <아래아>자가 지금은 빠저 있는데, 그자를 빼어 <우주론적>인 뜻이 빠저 버렸다. 
  • 누가 언제 그렇게 만들어 버렸는지 모르겠지만, 
  • 중국사상을 얼빠진 사람들 한글 천시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해보는데
  • 그런 것은 소용없고, <아래아>자를 복원시켜야 한다.  그러므로써 한글의 철학이 새워진다. 
  • 한국 아닌곳에 한글이 좋다는 사람들이 꽤있다. 북경대학에서 어느 학생들이 한글로 하는 설명이 더 좋다고 한다.
  • 유영모 선생의 가온찍기에 대한 우주론 적인 설명: 중국에서도, 일본에서도. 한자 이상의 효과<가온찍기>의 <새올림>
  •  44:30  그런 식으로 <한철학>을 잘 정리하면 <한글신학>도 가능하다. 
---
<얼> 이야기
  • <생명개시> (목숨이 열린다)라는 것도 우리 말로 목숨이라고 하지만, 얼숨도 있고, 마음숨도 있다. 
숨의 3단계 - 이것이 천지인의 조화 (한자식 설명), 
몸 -마음 -얼이 숨을 쉰다는 설명  
천지, 천인 감응 天人感應
..
..
..

[조금 생략]
---
<부활> 이야기 47:40

  • 도스토엡스키의 책 <부활>
  • - 부활이라는 말보다 <개시>라는 말로하면 어떻까?고 러시아어 전문가에게 물으니
  • 그럴 수도 있다. 더 잘 먹힐 수도 있다, 고 한다.
  • 죽었다가 다시 살아다는 것보다는
  • 죽어서 새로운 삶이 열리는 것. 이라는 해석
  • 창조라는 말도, 새로운 것을 연다.는 뜻으로 새롭게 해석
  • <<한>철학적 신학>의 가능성
  • <한사상>을 알아야한다. 
  • <아름다움>도<한사상>적인 아름다움을 찾아야한다. 
---
심중식 커멘트: 
....

52:15 유불선이 통합되어 새로운 <한>사상이 나오게 되기 가지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리까 생각하게 됩니다.

52:26 미국에는 미국자의 독특한 철학 프라그마티즘이란 것이 나왔고, 중국은 중국 나름으로 신유학이라는 중국철학이 자리잡은 것이 있고, 인도는 인도철학이 있고,영국은 영국철학이 있고, 독일은 독일 철학이 있고 한데, 그런데 일본은아직 일본철학이라는 것이 나오지 않고 있고, 한국은 역사적으로 조선으로 있다가 이제는 남북이 갈려있고, 한사상이 되려면, 우리 민족이 하나가 되어야 한사상이 되지, 갈라저 가지고 한사상이라고 할수가  없을 것 아니에요? 그런 의미에서 일본은 왜 이제까지 일본철학이라는 것을 내어놓을 수 없는가? 저는 그런 것을 좀 여쭈어보고 싶었습니다. 

====
심중식 질문 2: 일본은 왜 이제까지 일본철학이라는 것을 내어놓을 수 없었는가요?
----
김태창: 53:35 
  • 아니, 일본철학이 있어요. 우리나라에서 모를 뿐이지. 
  • 일본철학을 대외적으로 표시한 것은 <경도학파>라고 있고, 
  • 그중에서 가장대표적인 것이 <니시다 키타로>라는 사람이 있는데. 
  • 그 동안 일본사람들도 그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었다. 그리고 이차대전 이후로 공격을 받아 펴지 못하다가 경제성장이후에 서양 편향을 벋어나고  일본 나름으로 자각을 하게 되어 일본철학을 집대성하여 정리한 쟁쟁한 사람들로 이어진소위 <경도학파>라는 것이 있다. 
  • 중국철학과도 다르고, 유럽철학과도 다르다. 
  • 한국이 한국철학을 정리하기 위해서 가장 참고가 되는 것은 오히려 일본철학이라고 생각한다. 
  • 저도 서양철학도 공부했고, 중국철학도 공부했고 하지만, 역시 일본 사람들도 그것을 극복하고 일본철학을 정리하려고 하는 그러한 경험을 우리보다 앞서했기 때문에 일본의 경험을 참고하면 시간절약도된다.  
  • <이즈츠 도시히코>라는 사람이 있는데, 그는 언어의 천재여서 여러나라 말로 자기의 생각을 펴서 외국에서 간접적으로 일본철학을 서양에 알렸다. (?)
  • 그러나 일본에서 일본말로 일본 철학을 가다듬은 것은 역시 경도학파가 가장 주된 역할을 했다. 이즈츠라는 사람을 한때 쿄토대학으로 모신다는 이야기도 있었으나, 그렇게 지 않고, 그는 외국에서 활동을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밖으로 나가 한 사람과 일본 안에서 한 사람들이 서로 융합을 하여 일본철학을 세계화한다는 그런 움직임이 있다. 
-----------
  • 그러면 한국에서는 누구냐? 고 물으면 아직 뚜렸한 사람을 이야기 하기 힘든다는사람도 있지만, 저는 유영모 함석헌을 꼽습니다. 아직 그분들 그대로는 미흡한데가 있지만, 그러나 우리가 그걸 잘 다듬으면 한국철학의 출발점으로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그전에 최치원부터 쭉 이어지는 한국철학의 맥락이라는것이 있다. 최제우 최한기가 종통 유학과 동학을 읻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제우를 통해 동학이 형성되어 한국철학의 주맥을 형성했다는 해석도 있다. 
  • -----
  • 한국철학에는 기대를 했는데 솔직하게 말씀드리자면 
  • 최치원의 접화분생과 .....두가지가 있는데 상교포함쪽에 너무 .... 하다 보니
  • 포함주의는  중국    가  심하다. 
  • 포함주의: 중국학자들은 모든 것은  중국고전에 있다고 한다. 
  • 그렇개 생각하는 것은 당신들이고, 나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한다. 
  • 중국고전을 원불멸의 진리라고 받아드리는 것은 중국고전맹신이다.  
  • 중국고전맹신이 한국철학을 발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 중국고전을 떠날 필요가 있다. 한때 나는 반중국이라는 오해를 받은 적도 있다. 
  • 그러나 중국학자들도 그런 이야기 한다. 

한사상을 한자로 표현
한사상 영어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
심광섭 사회자로서의 질문: [시간이 없어서 이 부분 부터의 transcription은 다음에 보충] 
  • 한국서 미의 탐구가 힘들다. 
  • 질문 1: 공공미학이란?
  • 질문 2: 한국학문은 수입상과  고물상
---
힘이 되는 말씀을 부탁합니다 1:10
---
김태창:
  • 일본에서 공공철학으로 정착하는데 힘들었다. 
  • 가장 힘들었던 것이 일본이 근대화하는데 가장 공로가 많았던 것은 관료라는 생각.

  • 공공의 의미: public, 관이라는 생각이 흔하다. 
  • 일본근대화 + 관료라는 생각 - 일본에서도 지배적이다. 
  • 그런 것은 우리가 말하는 공공이 아니다. 우리가 말하는 공공은 사이에서 생각하는것이다. 새로운 차원을 연다. 

  • 한철학에서는 오구라 가 론어식xx에서 우주생명 - 개인생명 - 나의 이름을 대었다.

  • 공공철학은 public philosophy가 아니고, public common philosophy
  • 공공 =/= 공적 but commons
  • Imanishi Tobu 동경대학
===
마지막 질문: 1:31
---- 
손원영 질문: 일본철학이 뭔가에 대한 설명을 조금 더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우리가 보통 일본철학 또는 일본 종교라고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신도 사상이 떠 오른다. 그리고 한국의 샤마니즘과는 다른 형태의 애니미즘이 생각나는데, 일본철학이 무언가 설명을 조금더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1:32.
세진이 혼자서 답: 무의 철학
---
김태창의 답
--
  • 신도나 아니미즘은 종교를 말하는 것이고, 
  • 무의 철학이란 것이 깊었다.
  • 앞에말한 니시다 키타로와 경도학파의 철학이다. 
  • 절대무의 장소
  • 한국에서는 <없이게신> 하나님
  • 경도학파가 발전사
  • 존재-비존재가 아닌 존재는 양상
  • 함께 울림 - 통향이란 말을 만들었다.

일본에서는 서양철학을 먼저 공부했으나, 철학하는 사람들은 선불교와 선수행을 하는 사람들이었다. 일본철학을 만들기 위해 두가지가 다 공헌했다. 무에 대한 깊은 철학이 생겼다. 

일본의 무신론-무종교
무신론이라고 보는 것은 서양식이다. 특히 기독교적 시각.일본을 이해하려면 대화가 필요하다. 
불교 대 기독교의 론쟁이 아니라 대화가 필요하다. 거기서 용소슴치는 생명이 필요하다.
나는 기독교인이지만 다른 종교와 대화를 할 때는 나를 비워야한다. 공감 공진이 있어야한다.
케노시스 - 기독교의 정신 
====
심광섭: 박세진에게 -  마지막 커멘트 해달라
---
  • 한국에는 반일이 있으면서 일본에 대해 잘 모른다.
  • 김태창 선생님은 한국인을 향해 일본을 설명하는 책을 쓸 필요가 있다. 












2023/02/08

알라딘: [전자책] 동양철학 에세이 2 : 삶의 지혜에서 혁명의 철학으로

알라딘: [전자책] 동양철학 에세이 2 : 삶의 지혜에서 혁명의 철학으로


[eBook] 동양철학 에세이 2 : 삶의 지혜에서 혁명의 철학으로 - 삶의 지혜에서 혁명의 철학으로  동양철학 에세이 2
김교빈 (지은이),이부록 (그림)동녘2015-01-03





































전자책정가
9,800원
판매가
9,800원
쿠폰할인가
8,820원
10% 할인쿠폰 받기
마일리지
490원(5%) + 196원(멤버십 2%)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Sales Point : 117

8.0 100자평(3)리뷰(0)


[eBook] 동양철학 에세이 2 : 삶의 지혜에서 혁명의 철학으로
선택한 도서 총 1권 / 구매가 9,800원




동양철학 에세이 2 : 삶의 지혜에서 혁명의 철학으로
구매가 9,800원




동양철학 에세이
구매 (2021-06-11)



기본정보
파일 형식 : ePub(44.78 MB)
TTS 여부 : 지원

종이책 페이지수 : 336쪽

=====

책소개
동양철학 입문서의 고전으로 자리를 잡은 스테디셀러 <동양철학 에세이>의 두 번째 이야기다. 전편이 진시황이 통일을 이룰 때까지의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를 다루었다면, <동양철학 에세이> 2권은 한나라의 통일 이데올로기를 만든 동중서부터 현대 사회주의 중국을 건설한 모택동까지의 사상을 다룬다.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유/불/도의 사상이 삶의 지혜를 넘어서 세상을 움직이는 변혁의 철학으로 진화하는 흐름의 궤적을 살피고 있다는 점이다. 황종희와 담사동은 조금 생소하게 다가오고, 모택동(마오쩌둥)은 정치가로 유명하지 사상가, 혹은 철학자로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루소’라 불리는 황종희는 전제군주제의 폐단을 비판하고 주권은 민의에 있다고 주장한 17세기의 유학자다. 또한 황종희가 쓴 <명이대방록>은 루소의 <사회계약론>보다 100년 가까이 앞서 출간된 책으로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던 중국 근대 지식인들에게 훌륭한 교과서 역할을 했다. 담사동은 청조를 반대하고 비판하며 강유위(캉유웨이) 등과 함께 계획한 무술변법운동을 펼치다 처형된 혁명가다. 망명할 기회도 있었지만 변법을 위해 스스로 죽음을 택한 실천적 지식인이다.

모택동은 스스로를 ‘정치가’나 ‘사상가’가 아닌 ‘교육자’로 생각했을 정도로 젊은이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고 싶어 했다. 이 책에서는 모택동의 사상이 잘 드러나 있는 <모순론>과 <실천론>을 들여다본다.


목차


책머리에
동중서-유가 독존 이천 년을 열다
죽림칠현-세상을 등진 영원한 자유인들
혜능-깃발을 흔드는 것은 네 마음이다
북송오자-성리학을 일궈낸 북송의 철인들
주희-동아시아 중세 보편적 세계관의 창시자
왕수인-만물의 이치를 가슴에 품은 격정의 사상가
황종희-필부에게도 천하흥망의 책임 이 있다
담사동-변법을 위해 피를 뿌리는 사람이 되겠노라
모택동-중국의 영원한 붉은 별
더 읽으면 좋은 책



책속에서


P. 17~18 무제가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가를 높이고 다른 학문을 내쫓은 뒤부터 유가는 지배 세력의 지원 아래 정통 학문으로서의 권위를 얻었다. 특히 무제는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 같은 유가 경전마다 전문가를 뽑아서 박사(博士) 칭호를 주었다. ‘오경박사’라고 부르는 이 제도는 삼국시대 우리나라에도 들어왔고, 오늘날 박사라는 호칭도 여기에서 왔다. 박사는 학교를 만들고 학생들을 모아서 자신이 전문적으로 알고 있는 유가 경전을 가르칠 수 있었다. 더구나 한나라는 동중서의 건의에 따라 유학 사상을 익힌 사람을 추천받아 관리로 임명했다. 이로부터 이천 년을 이어져 내려오는 유학과 정치의 연결 고리가 완성되었다. 접기
P. 82~83 강의가 시작되어 좌중이 조용히 인종대사의 말씀을 귀 기울여 듣고 있었다. 그런데 마침 그 절 당간지주에 달린 깃발이 바람이 불자 펄럭이기 시작했다. 그 모습을 본 승려 한 명이 말했다. “바람이 불어서 깃발이 펄럭이네” 그러자 다른 승려가 그 말을 받아서 말했다. “아닐세. 바람이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저것은 깃발이 스스로 펄럭이는 것이라네” 두 사람은 서로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고 곁에서 듣던 다른 사람들이 가세하면서 ‘바람이 깃발을 흔드는 것이다’, ‘아니다 깃발 제 스스로 펄럭이는 것이다’를 두고 소란이 벌어졌다. 한참 동안 그 모습을 지켜보던 혜능이 답답하다는 듯이 앞으로 나섰다. “바람이 깃발을 흔드는 것도 아니고, 깃발 제 스스로 펄럭이는 것도 아니며, 오직 그대들의 마음이 깃발을 흔드는 것일세” 그 말을 들은 사람들이 모두 놀라 한순간 조용해졌다. 접기
P. 158 주희는 성리학의 집대성자이다. 하지만 그가 북송 성리학만 종합한 것은 아니었다. 성리학을 중심에 놓고 그 위에 한나라와 당나라의 경전 해석을 합침으로써 전체 내용을 풍부하게 했고, 여기에 노장사상과 불교의 논리를 들여와 유가사상의 논리 체계를 완성했으며, 문학과 사학 그리고 자연과학의 성과까지를 합쳐 들였다. 이렇듯 주희는 그 이전까지의 모든 학술과 사상을 자기 사상의 체계 속에서 집대성했다. 따라서 그는 중국 사상의 흐름에서 본다면 그 이전이 모두 그에게로 모이고 그 이후가 모두 그로부터 시작되는 핵심 고리다. 접기
P. 238~239 황종희가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명이대방록》의 집필을 시작한 것은 53세 때였고, 이듬해 완성하여 출판한다. 《명이대방록》은 명나라가 청나라에 무너지는 충격적인 사건을 겪으면서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꼼꼼히 따져보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사회를 세우려는 열망을 담은 책으로, 경세치용을 중시하는 명말 청초의 사상적 흐름을 잘 반영한다. 황종희는 명나라 멸망의 원인을 전제군주제의 폐해에서 찾았고, 그 대안으로 백성이 주인 되는 사회를 제시했다. 이 같은 근대적 의식 때문에 이 책은 건륭제 시절 금서가 되기도 했다.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김교빈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호서대학교 문화기획학과 교수.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이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장, 인문콘텐츠학회 회장. 저서에 『동양철학에세이 1, 2』(공저) 외 다수가 있으며 역서로 『몸으로 본 중국사상』(공역), 『중국고대의 논리』(공역), 『기』(공역) 등이 있다.


최근작 : <동양철학산책 (워크북 포함)>,<망각과 기억의 변증법>,<정신의 풍경에서 노닐다> … 총 35종 (모두보기)

이부록 (그림)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다. 인사미술공간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예술의 새로운 시작: 신호탄》(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부지, 2009), 《개성공단 사람들: 교토 익스페리먼트 2019》(교토아트센터, 2019)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기억의 반대편 세계에서: 워바타』(2012), 『세계 인권 선언』(2012) 등 책 작업에도 참여했다.

최근작 : <포스트 트라우마>,<생각하는 손>,<기억의 반대편 세계에서, 워바타 (R)> … 총 49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21년 만에 찾아온 ‘동양철학 에세이’, 그 두 번째 이야기
한나라 동중서부터 현대 중국 모택동까지,
넓은 사유와 실천의 바다를 향한 철학 항해!

이 책은 1993년 출간되어 20년 넘게 동양철학 입문서의 고전으로 자리를 잡은 스테디셀러 <동양철학 에세이>의 두 번째 이야기다. 전편이 진시황이 통일을 이룰 때까지의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를 다루었다면, <동양철학 에세이> 2권은 한나라의 통일 이데올로기를 만든 동중서부터 현대 사회주의 중국을 건설한 모택동까지의 사상을 다룬다.

“어떻게 살 것이며, 무엇을 할 것인가?” 이런 삶의 근본적인 물음에서 시작한 제자백가의 철학은 혼란한 시대,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관한 삶의 지혜를 주었다. 이 책은 이렇게 제자백가가 뿌려놓은 삶의 지혜로써의 철학이 유가 독존의 이천 년을 연 한나라의 동중서, 부패한 정치권력에는 등을 돌리고 죽림에 모여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낸 죽림칠현, 중국 땅에 선종의 꽃을 피운 당나라 때의 승려 혜능, 우주 만물의 이치를 밝히는 성리학을 일궈낸 북송 시대 유학자 다섯 명(북송오자), 동아시아 중세 보편적 세계관의 창시자 주희, 신유가철학인 양명학을 창시한 명나라의 왕수인, 청나라를 반대하며 수십 년 간 저항운동을 펼친 실천적 지식인 황종희, 청나라 말기 변법운동에 모든 것을 바친 담사동, 중국 공산주의 혁명가 모택동으로 이어지며 혁명의 철학으로 바뀌어 가는 큰 흐름을 오롯이 담고 있다.

유교 국교화의 장본인이 동중서라고? 혜능이 부처와 동급이라고?
주희가 공자, 맹자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고?
우리가 잘 몰랐던 동양철학의 숨은 이야기들

이 책은 동중서에서 시작한다. 동중서는 유가의 뿌리를 내린 큰 역할을 했음에도 언제 태어나고, 또 언제 죽었는지 분명하지 않을 정도로 삶에 대한 기록이 별로 없다. 더구나 공자, 맹자, 노자, 장자에 익숙한 우리들에게는 분명 낯선 이름이다. 저자는 제자백가 이후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인물들 중 첫 번째로 동중서를 든다. 생전에 높은 지위에 오르지도 못했고, 당시 유학자들의 열렬한 지지도 얻지 못한 동중서가 어째서 후대에는 유가 독존 이천 년을 연 장본인으로 평가받게 됐을까? 저자는 공자가 지은 <춘추>와 공양학을 연구한 동중서의 업적과 하늘과 사람을 하나로 본 천인상관론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그 비밀을 풀어나간다.

오늘날 ‘동양철학’이라고 하면 주로 ‘중국철학’을 의미한다. 힌두교와 불교를 탄생시킨 ‘인도철학’도 있지만, 이는 주로 종교철학으로 분류하고 한국철학과 일본철학도 있지만 주로 중국철학에서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혜능> 편에서 인도에서 중국 땅으로 건너온 불교철학도 함께 다룬다. 1조 달마대사부터 중국 땅에 선종의 꽃을 피운 6조 혜능의 이야기를 풍부한 예화를 통해 생생하게 들려준다. 혜능의 설법을 담은 <육조단경>은 부처님의 말씀이 아니면서도 후대에 ‘경’을 붙인 것에서 보듯 혜능의 파격적인 면모가 잘 드러나 있는 책이다. 왜 이 책이 부처님의 말씀과 같은지 혜능의 드라마틱한 삶을 통해 보여준다.

또한 북송오자의 사상을 합쳐 성리학을 완성함으로써 유학의 방향을 새롭게 바꾼 주희의 이야기도 펼쳐진다. 주희가 완성한 성리학은 다른 이름으로 ‘주자학’이라고 불린다. 주자란 주희의 성에다 공자, 맹자 같은 최고 존칭을 붙인 것이며, 주자학이란 주희의 사상 전체가 곧 하나의 학문 체계이자 학문의 대상이 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후대에 많은 지배층들이 그의 이론을 기득권 유지의 이데올로기로 활용했고, 주자학은 사회 발전을 가로막는 엄청난 질곡이 되기도 했던 어두운 면도 보여주고 있다.

삶의 지혜에서 혁명의 철학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살아 있는 동양철학
황종희, 담사동, 모택동까지 아우르는 동양철학 입문의 완성!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유/불/도의 사상이 삶의 지혜를 넘어서 세상을 움직이는 변혁의 철학으로 진화하는 흐름의 궤적을 살피고 있다는 점이다. 황종희와 담사동은 조금 생소하게 다가오고, 모택동(마오쩌둥)은 정치가로 유명하지 사상가, 혹은 철학자로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루소’라 불리는 황종희는 전제군주제의 폐단을 비판하고 주권은 민의에 있다고 주장한 17세기의 유학자다. 또한 황종희가 쓴 <명이대방록>은 루소의 <사회계약론>보다 100년 가까이 앞서 출간된 책으로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던 중국 근대 지식인들에게 훌륭한 교과서 역할을 했다. 담사동은 청조를 반대하고 비판하며 강유위(캉유웨이) 등과 함께 계획한 무술변법운동을 펼치다 처형된 혁명가다. 망명할 기회도 있었지만 변법을 위해 스스로 죽음을 택한 실천적 지식인이다. 모택동은 스스로를 ‘정치가’나 ‘사상가’가 아닌 ‘교육자’로 생각했을 정도로 젊은이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고 싶어 했다. 이 책에서는 모택동의 사상이 잘 드러나 있는 <모순론>과 <실천론>을 들여다본다.

저자는 동중서부터 시작한 철학 항해를 중국의 영원한 ‘붉은 별’ 모택동에서 마무리 짓는다. <동양철학 에세이> 1권에서 시작한 동양철학을 향한 여정이 현대 사회주의 중국을 만드는 데 큰 영향을 끼친 모택동에서 쉼표를 찍는 순간이다. 이지만 이 쉼표는 잠시뿐, 엄혹한 세월 속에서 꽃을 피운 동양철학의 발걸음은 한국과 일본 등으로 이어져 세상을 움직이는 철학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 책은 이렇게 제자백가에서 시작한 동양철학이 어떻게 사회를 변혁하는 혁명의 철학으로 이어져왔는지 잘 보여준다. 이제 우리는 이렇게 남겨진 위대한 사상가들의 이야기를 읽고 그 넓은 사유와 실천의 바다를 항해할 일만 남았다.
접기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
내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이 아직 없습니다.









한번도 접해보지 못한 비교적 최근 시대의 중국 철학인데 설명이 쉬워서 이해하기 편하네요^^
릴리냥이 2014-08-01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글쓴이가 한 명 빠진 탓인진 모르겠지만 공감을 유도하기보단 역사를 보여주려는 듯한 글이다.
preadse 2015-02-10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동양 철학에 대한 쉽고 체계적인 정리!
baet 2014-12-16 공감 (0)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0)
리뷰쓰기
공감순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