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초고로 읽는 대종경 –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초고로 읽는 대종경 –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초고로 읽는 대종경
2022-04-01
15:00
저서
126 views

[초고로 읽는 대종경]현산 고시용(원국) 교수

대종경 편찬과정과 초고 비교
소태산 대종사의 언행록인 『대종경』의 편집역사와 초고(草稿)의 기록을 살펴볼 수 있는 『초고로 읽는 대종경』이 출판됐다.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고원국 교무(교수)가 집필한 이 책은 『대종경』의 성립과 편수 과정, 수필 문헌 등을 살펴, 초고에 해당하는 『대종경 필사본』을 연구·분석했다. 지금의 대종경이 나오기까지 변천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책의 서두에는 이공전 선진이 교서 결집의 실무를 담당하게 된 내용이 소개됐다. 정산종사가 이공전에게 『대종경』 초안 목록 정리를 명하면서 『대종경』 편수위원회 발족까지 이뤄진 일화들도 밝혀져 있다. 또한 정화사 설립과 『대종경』 초안 작업, 재편수 과정 등의 세세한 역사를 고증했으며, 연표로 간략히 정리돼 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편집했다. 특히 『대종경 필사본』의 각 품과 각 장을 지금의 『대종경』 원문과 비교해 문체나 한자어 등의 변화된 내용을 세세히 살펴볼 수 있다. 각 품의 변천 과정에 대해서도 어느 부분이 분리 또는 통합되고 추가됐는지를 드러냈고, 등장하는 인물의 경우에도 실명 삭제 이유나 인물들의 상세한 활동 배경도 기록했다.

저자는 『대종경 필사본』이 사료로서의 높은 가치가 있음을 설명하며, “소태산 당시의 정기간행물(『월말통신』, 『월보』, 『회보』)에 수록된 법설과 소태산의 친견 제자들의 수필 문헌 등의 다양한 기록을 토대로 (가칭)『대종경』 증보(增補) 편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자는 원불교학 전공·연구자로서 원불교 교리성립사에 대해 천착해왔다. 「소태산의 봉래주석기에 대한 연구」, 「원불교 교리성립사 연구」 등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러한 연구 과정에 다양한 초기교서들과 관련 자료를 분석했다.

출처 : 원불교신문(http://www.wonnews.co.kr)
===
책 소개

대종경 필사본』은 소태산의 법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대종경』 결집과정에서 확인되는 저본들 중에서 정수라고 평가할 수 있다.
편차(編次)를 따라 각 장의 요지가 있어서 소태산 법설의 핵심내용을 알 수 있다.
『대종경 필사본』에는 새 시대의 새 종교로서 원불교를 개교한 당위성과 독창성, 주체성이 드러난다.
원불교 교리해석에 있어서 논쟁을 명쾌하게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내용이 있다.
『대종경 필사본』을 참고함으로써 『대종경』의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통합·분리되기 전 상황이나 법문의 연기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작가정보
저자(글) 고시용

인물정보
종교인
대표작으로 『마음과 행복』이/가 있다.

마음과 행복
마음과 행복
목차
Ⅰ. 서론

Ⅱ. 「대종경」의 성립과 저본
1. 대종경의 개요
2. 대종경 편수과정
3. 대종경의 저본과 수필문헌

Ⅲ. 대종경필사본 의 내용과 의의
1. 대종경 필사본 의 개요
2. 대종경 필사본 과 대종경 내용 대조
Ⅳ. 결론
접기
=====
발행(출시)일자 2022년 04월 28일
쪽수 580쪽
크기
178 * 248 * 34 mm / 1160 g

판형알림
총권수 1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