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19

신령(神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령(神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령 (神靈)

민간신앙

여러 가지 신비로운 힘을 지닌 초인간적 · 초자연적 · 초합리적인 존재를 가리키는 무속
용어.

====
한국 민속신앙에서 쓰이고 있는 아주 특이한 용어로 천지신령이라는 말이 쓰이고 있고 산신령주12이라는 말이 쓰이고 있는가 하면 조상의 신령이라는 말도 쓰이고 있어, 그 사용범주도 한결같지는 않다.

천지신령이나 산신령이라는 용례에서는 자연 그 자체를 신격화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나 이 경우에도 천지 및 산이란 자연에 깃들어 있는 영혼에 대한 믿음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천지신령일 때는 천지의 지배자, 천지의 주인이라는 관념이 이야기될 수 있으나, 산신령일 때는 더러 노인으로 표상(상징)되는가 하면 호랑이로 표상(상징)되기도 하여 그 함축성이 다양해진다.

이와는 달리 조상의 신령이면 단적으로 신격화된 조상의 혼령주1이어서 개념을 정립하기가 한결 단순해진다. 이 경우, 신령이라는 관념 아래서 조상이 숭앙되는 것이어서 조상숭배의 기틀에 신령이란 관념이 깔려 있게 된다. 역대의 문헌과 민속현장에는 신령이라는 말 이외에도 영지(靈地)주2 · 영산(靈山)주3, 그리고 산천지령(山川之靈)이나 정령(精靈)주4 등의 말이 쓰이고 있다.
===

이들 용례에서 영은 단순히 영혼이란 뜻만을 함축하는 것은 아니고 초자연적인 것, 신비로운 것 등의 뜻을 아울러 함축하고 있다. 실제로 영험(靈驗)이나 영이(靈異)라는 말은 신비주의적 색채가 짙거니와 특히 영이란 말은 신이(神異)주6란 말과 맞바꿀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신령이란 말에도 영이 지닌 함축성이 포괄될 수 있다.

여러 구체적인 사례들을 종합하게 되면, 신령은 가장 단순하게는 신격화된 영혼, 혹은 신으로 숭상된 영혼이라고 정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신령에게는 두 가지가 있어서 하나는 사람의 영, 곧 인령이 신격화된 신령이고, 다른 하나는 신격화된 자연에 내재하는 것으로 믿어진 신령이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나 초자연적이고 초합리적인 존재로서 여러 가지 신비현상을 실현할 수 있는 힘을 지닌 것으로 믿고 있다. 또한, 원칙적으로 사람들 눈에 띄지 않는 존재이나, 때때로 사람 혹은 그 밖의 자연물의 모습을 띠고 나타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삼국유사』 권3의 미륵선화(彌勒仙花) 미시광(未尸郞) 진자사(眞慈師) 조항에는 “중이 가로되 ‘이곳 남쪽 이웃에 선산(仙山)이 있는데, 예로부터 어진 이들이 머물러 명감(冥感)주7하는 바가 많다. 어찌 그곳에 가 살지 않으랴.’ 하자 진자사가 이 말을 따라 산기슭에 이르니 산령(山靈)이 노인으로 변하여 나와 맞이하였다.”라는 기록이 보이며, 이것은 산령의 불가시성(不可視性)과 그 변신술에 대해 증언하고 있는 것이다. 신령은 육체나 물리적 형체와는 별도로 자유로움을 누리고 있으나, 그 자신의 뜻에 따라 형체를 지닐 수 있는 셈이다. 육체나 물리적 형체를 벗어나 있는 이상, 신령이 초시간적인 존재로 믿어짐은 당연한 것이다. 한국의 민속신앙은 곧 신령의 종교라 해도 좋을 만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종교를 그 믿음의 대상에다 중점을 두어 규정하는 한 상당한 설득력을 지닐 수 있다.

한국인이 믿었던 믿음의 대상은 단순히 신이라고 부르기보다는 신령이라고 부르는 것이 훨씬 민속신앙의 현실에 가까울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산신과 산령이 같은 대상을 두고 일컬어지고 있는 용례를 보더라도, 최소한 신이라는 관념과 영이라는 관념은 별개의 것이 아니고 합일될 수 있는 관념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인의 가장 대표적인 신비체험인 접신(接神)주8이 ‘신지핌’으로 일컬어지면서도 또한 ‘영실이’로도 일컬어지고 있는 데서도 영과 신이라는 두 관념의 합일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신지핌이 단적으로 영실이일 때 신은 곧 영인 것이다. 한국의 전통신앙은 곧 신령숭앙이라, 사람의 신령과 천지산천의 신령을 모시는 것이 이 땅의 전통신앙이었다.

이 점에서는 상고대의 삼국시대고려 · 조선시대나 다를 바 없었다. 조선조가 비록 유교이념을 내세우면서 유교적 체재로 국가 종교 내지 관료종교를 정비하였지만, 그 믿음의 대상은 의연히 사람의 신령과 천지산천의 신령이었던 것이다. 물론 종교를 믿음의 대상만으로 규정할 수는 없으므로 믿음의 대상만을 내세운 이 같은 보편성은 조건을 두어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사람이 신령으로서 숭앙된 가장 오래된 예는 김수로왕이 ‘대왕강령(大王降靈)’이라 일컬어진 데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듯이 고조선 및 삼국과 가락의 창건시조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사후에만 신령이었던 것이 아니라 생시에도 하늘에서 내린 신령으로서 숭앙된 것이다. 이럴 때 상고대의 왕들과 무속신앙의 신들과는 다 같이 사람들에게 내리는 영인 점에서 다를 바 없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김수로왕은 사후에도 영이주9를 나타내었으며, 이 같은 사례는 김유신(金庾信)의 사후에 관한 기록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김유신의 경우는 역사적 인물의 신령화라는 점에서 애초부터 신화적 인물의 신령화가 지적될 상고대의 왕들과는 구별해야 할 것이다. 무속신앙에서는 신령이 인간 일반에게로 확산된다.

조상령이 신령으로 섬겨지는 이외에 원사(怨死)주10한 사람의 영혼이 신령으로 섬겨진다. 이 경우는 원령 혹은 원신령(怨神靈)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한국의 무속신앙에서 이 원한의 신령들은 가장 주된 믿음의 대상이 된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무속신앙은 이른바 ‘검은 샤머니즘’의 범주에 묶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려 충렬왕 4년 사신(祠神)이 무당에 내려서 이르기를 ‘나를 봉하여 정녕공(定寧公)으로 삼으라.’고 하였다. 고려조의 뒤를 이어 본조(本朝)에서는 향과 축(祝)을 내려보내었다. 민간에서 이르기를 ‘신사(神祠)에 신령이 있으니 제사지내지 않으면 곧 재앙이 있다.’고들 한다.” 이것은 『여지승람』이 전라남도 나주의 금성산사를 대상으로 한 기록이다.

명백히 산신이 의인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신령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천지산천이 애니미즘(animism)주11적 신앙의 대상이 되면서 신격화된 영혼의 소유주로 믿어져 있었던 자취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금성산사의 보기는 모든 자연신앙에 고루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의 향토신앙』(장주근, 을유문화사, 1975)
『한국민속학개설』(박계홍, 형설출판사, 1983)

===
주석

주1
죽은 사람의 넋. 우리말샘
주2

신령스러운 땅. 우리말샘
주3

신령스러운 산. 우리말샘
주4

만물의 근원을 이룬다는 신령스러운 기운. 우리말샘
주5

새롭고도 이상함. 우리말샘
주6

신기하고 이상함 우리말샘

주7

그윽한 가운데 감응함더보기

====

🌟 신령 (神靈) 

명사  

1. 민속에서, 초자연적인 존재로 받드는 신.

1. GODDEITY: In folklore, a god that is revered as a supernatural being.

🗣️ 용례:
  • Google translate 신령의 기운.
    The energy of the divine spirit.
  • Google translate 신령의 힘.
    The power of the divine spirit.
  • Google translate 신령에게 기도하다.
    Pray to the divine spirit.
  • Google translate 신령에게 제물을 바치다.
    Sacrifice a sacrifice to the divine spirit.
  • Google translate 시대가 바뀌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신령을 믿는 사람들은 굿을 하거나 제물을 바치기도 한다.
    Times have changed, but people who still believe in the divine spirit perform exorcisms or offer sacrifices.
  • Google translate 결혼 후 십 년 만에 며느리가 임신하자, 노인은 신령께서 자신의 기도를 들어주었다고 생각했다.
    When his daughter-in-law became pregnant ten years after marriage, the old man thought that the divine spirit had listened to his prayer.
유의어 영(靈): 민속에서 초자연적인 존재로 받드는 모든 신., 죽은 사람의 몸에서 빠져나온 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