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04

Jeong Yak-yong - Wikipedia

Jeong Yak-yong - Wikipedia

Jeong Yak-yong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eong Yak-yong
Korean name
Hangul
Hanja
Revised RomanizationJeong Yak-yong
McCune–ReischauerChŏng Yagyong
Art name
Hangul
Hanja
Revised RomanizationDasan
McCune–ReischauerTasan
Courtesy name
Hangul
Hanja
Revised RomanizationMiyong or Songbo
McCune–ReischauerMiyong or Songbo
Posthumous name
Hangul
Hanja
Revised RomanizationMundo
McCune–ReischauerMundo

Jeong Yak-yong (Korean정약용; also Chong Yagyong) was a Korean agronomist, philosopher, and poet. He is also known by his art name Dasan (다산lit. tea mountain). He was one of the greatest thinkers in the later Joseon period, wrote highly influential books about philosophy, science and theories of government, held significant administrative positions, and was noted as a poet. He was a close confidant of King Jeongjo and his philosophical position is often identified with the Silhak school, and his concerns are better seen as explorations of Neo-Confucian themes.

Jeong was born in Namyangju (then Gwangju), Gyeonggi Province, where he also died. He spent 18 years in exile in Gangjin CountySouth Jeolla Province, from 1801 until 1818, on account of his membership of the Southerners faction, and also because of his elder brother's Catholic faith. Korean Catholics sometimes claim that Jeong was baptized with the name John Baptist, but there is no documentary proof of this.

Jeong Yak-yong came from the Naju Jeong clan. At birth he was given the courtesy title (初字 choja) Gwinong (歸農), and later he was also known by the courtesy names Miyong (美鏞) and Songbu (頌甫)美庸); among his art names were Sa-am (俟菴), Tagong (籜翁), Taesu (苔叟), Jahadoin (紫霞道人), Cheolmasanin (鐵馬山人), Dasan (茶山), Yeoyudang (與猶堂, the name of his house).

Biography[edit]

Family history[edit]

Dasan's father was Jeong Jae-won (丁載遠, 1730–1792). His eldest brother Yak-hyeon (若鉉, 1751–1821) was the son of a first wife, while Jeong Yak-jong, Yak-jeon (若銓, 1758–1816), and Yak-yong were the sons of their father's second wife, Suk-in (淑人, 1730–1770) from the Haenam Yun family. There was one daughter from this second marriage. Four other daughters were later born of a third marriage.

Dasan's father's family traced their descent back to Jeong Ja-geup (丁子伋, 1423–1487) who in 1460 first took a government position under King Sejo. Eight further generations then followed his example. Jeong Si-yun (丁時潤, 1646–1713) and his second son Do-bok (道復, 1666–1720) were the last of the line, since the Southerners’ faction to which the family belonged lost power in 1694. Si-yun retired to a house in Mahyeon-ri to the east of Seoul (now known as Namyangju) in 1699, which was to be Dasan's birthplace. His eldest son, Do-tae (道泰) lived there and was Dasan's direct ancestor. The Southerners remained excluded from official positions until a brief period that bega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when Dasan's father was appointed magistrate of Jinju county, thanks to his strong links with the powerful Chae Je-gong, who rose until he was appointed third state councillor in 1788. In 1762, the execution of Crown Prince Sado by his father the king shocked Jeong Jae-won that he withdrew from official life and returned to his home in Mahyeon-ri. This explains the courtesy name Gwi’nong (‘back to farming’) his father gave Dasan, who was born in the same year. As a result, Dasan grew up receiving intense intellectual training from his now unoccupied father.[1]

The source of Dasan's intellectual interests can be traced to the influence of the great scholar Udam Jeong Si-han (愚潭 丁時翰, 1625–1707) of the same clan, who taught Jeong Si-yun briefly and was then the main teacher of Dasan's ancestor Jeong Do-tae as well as his brother Do-je (1675–1729).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hinkers in the next generation was the philosopher-scholar Seongho Yi Ik and he saw Udam as the authentic heir of Toegye Yi Hwang. Jeong Do-je transmitted the teachings of Udam to the next generations of the family and so they were passed to Dasan's father and Dasan himself.

Similarly, Dasan's mother was descended from the family of the famous Southerner scholar-poet Gosan Yun Seon-do (孤山 尹善道, 1587–1671). Yun's great-grandson Gongjae Yun Du-seo (恭齋 尹斗緖, 1668–1715), well known for his skills as a painter, was Dasan's maternal great-grandfather. He and his elder brother were close to Seongho Yi Ik and his brothers, and are credited with reviving the study of the Six Classics, as well as the thought of Toegye.[2]

Early life[edit]

By the age of 6, Dasan's father was impressed by his powers of observation. By the age of 9 he had composed a small collection of poems. In 1776, Dasan was married to Hong Hwabo of the Pungsan Hong clan, the daughter of a royal secretary; in that year he moved to Seoul, where his father received an appointment in the Board of Taxation after the accession of King Jeongjo. When he was 15, Dasan was introduced to the writings of Seongho Yi Ik by one of his descendants, Yi Ga-Hwan (李家煥, 1742–1801) and his brother-in-law Yi Seung-hun and he was deeply impressed, resolving to devote his life to similar studies. In 1783, Dasan passed the chinsagwa (literary licentiate examination), which allowed him to enter the Sungkyunkwan.

In 1784 the king was deeply impressed by the “objectivity” of Dasan's replies to a set of questions he had formulated. This was the start of an increasingl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Dasan. After the promotion of Chae Je-gong in 1788, Dasan took top place in the daegwa (higher civil service exam) in 1789 and was offered a position in the Office of Royal Decrees, together with 5 other members of the Southerner faction. This alarmed members of the opposing ‘Old Doctrine’ faction, who soon realized the extent to which the Southerners were being influenced, not only by the Practical Learning introduced to China from Europe, but by Roman Catholicism itself.

In 1784, Yi Byeok, a scholar who had participated in meetings to study books about the Western (European) Learning, starting in 1777, talked with Dasan about the new religion for the first time in 1784 and gave him a book about it. Whatever his own response may have been, and there is no proof that he ever received baptism, Dasan's immediate family was deeply involved in the origins of the Korean Catholic community. His older sister was married to Yi Seung-hun, the Korean who was first baptized as a Catholic in Beijing in 1784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arly years of the Church's growth. The oldest of Jeong Jae-won's sons, Yak-hyeon, was married to a sister of Yi Byeok. Another daughter, from a third marriage, later married Hwang Sa-yeong (1775–1801), author of the notorious Silk Letter. Dasan's older brother, Jeong Yak-jong (Augustinus) was the leader of the first Catholic community and one of the first victims of the purge launched against Southerners, but especially against Catholics, in 1801, after the sudden death of King Jeongjo.

In 1789, Yun Ji-chung, one of the first baptized and a cousin to Dasan on his mother's side, had gone to Beijing and received confirmation. Rome had forbidden Catholics to perform ancestral rituals and this was now being strictly applied by the Portuguese Franciscan bishop of Beijing Alexandre de Gouvea. When his mother died in 1791, Yun therefore refused to perform the usual Confucian ceremonies; this became public knowledge, he was accused of impiety and was executed. Some Koreans who had at first been sympathetic, horrified by the Church's rejection of hallowed traditions, turned away. Jeong Yak-yong may well have been among them.[3]

Royal Service[edit]

Dasan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civil engineering. In 1792, the king, impressed by a pontoon bridge he had designed, asked him to design and supervise the construction of the walls for the Hwaseong Fortress (modern Suwon), which surrounded the palace where the king would live when he visited the new tomb he had constructed for his father. Dasan produced radically new techniques and structures, drawing on European, Chinese and Japanese sources. In 1794, after several promotions, the king appointed him as secret envoy to Gyeongi province, investigating reports of corruption.

Dasan's most important task in 1795, the 6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Crown Prince Sado, was to help the King decide on a new honorary title for his father. This was a fraught enterprise, the Prince's supporters were members of what was called the Expediency subfaction while his main enemies were members of the Principle subfaction. The Southerners were strong supporters of the King's wish to honor Sado highly and the King was more than grateful. However, he then found it prudent to send Dasan away from court for a time, appointing him to be superintendent of the post station at Geumjeong, South Pyeongan province.

Here, he provided clear proof of his rejection of Catholicism by doing everything possible to persuade the Catholics working there to renounce their faith, and in particular to perform ancestral rites. Almost certainly, it was the Catholics’ rejection of Confucian ritual that had turned him against them. In 1796, he was brought back to Seoul and promoted but his many enemies continued to accuse him of supporting the pro-western Catholics and he preferred to take up a position as county magistrate at Goksan in Hwanghae province.

In 1799 he even withdrew to his family home but was summoned back to Seoul by the king in 1800.[4]

Exile[edit]

In the summer of 1800, King Jeongjo died suddenly. The new king, King Sunjo, was still only a child of 11 and power fell into the hands of the widow of King Yeongjo, often known as Queen Dowager Kim or Queen Jeongsun. Her family belonged to the factions opposed to the reformist, often Catholic, Namin group and she had been powerless during Jeongjo's reign. She launched an attack on the Catholics, who were denounced as traitors and enemies of the state. Jeong Yak-jong, the older brother of Jeong Yak-yong, was the head of the Catholic community, and was one of the first to be arrested and executed, together with Yi Seung-hun, in the spring of 1801. His eldest son, Jeong Cheol-sang, was executed a month later.

As Jeong Yak-jong's younger brother, Jeong Yak-yong was exiled for some months in Janggi fortress in what is now Pohang, having been found, after interrogation under torture, not to be a Catholic believer. However the Silk Letter Incident of 1801 ensured his further exile: Hwang Sa-yeong, married to one of Dasan's younger sisters, had written a letter to the bishop of Beijing, giving a detailed account of the persecutions, and asking him to bring pressure on the Korean authorities by asking for Western nations to send warships and troops to overthrow the Joseon government so that Korea would be subject to China,[5] where Catholicism was permitted. The carrier of this letter (written on a roll of silk wrapped round his body) was caught and its contents ensured the continuing persecution of Catholics.

The persecution intensified and if it had not been clear that Jeong Yak-yong and Jeong Yak-jeon were not Catholic believers, they would have been executed. Instead they were exiled together, parting ways at Naju, from where Jeong Yak-jeon journeyed on to the island of Heuksando, Yak-yong taking the road to Gangjin where he spent eighteen years in exile. His exile began in the last days of 1801, on the 23rd day of the eleventh lunar month, the 28th of December in the solar calendar. On that day, he arrived in Gangjin, South Jeolla Province. The newly arrived exile had little or no money and no friends, he found shelter in the back room of a poor, rundown tavern kept by a widow, outside the East Gate of the walled township of Gangjin, and there he lived until 1805. He called his room “Sauijae” (room of four obligations: clear thinking, serious appearance, quiet talking, sincere actions).

By 1805 Dowager Queen Kim had died and the young king had come of age and had put an end to the violence against Catholics. Three hundred had been killed and many of the rest were exiled or scattered, or had stopped practising. Jeong Yak-yong was free to move about the Gangjin area and in the spring of 1805 he walked up the hill as far as Baeknyeon-sa Temple, where he met the Venerable Hyejang, the newly arrived monk in charge of the temple, who was about ten years younger than himself. They talked and it seems that Hyejang only realized who his visitor was as he was leaving. That night he forced him to stay with him and asked to learn the I Ching from him. They quickly became close companions.

Later the same year, Hyejang enabled Dasan to move out of the tavern and for nearly a year he lived in Boeun Sanbang, a small hermitage at the nearby Goseong-sa temple, which was under Hyejang's control. Finally, in the spring of 1808 he was able to take up residence in a house belonging to a distant relative of his mother, on the slopes of a hill overlooking Gangjin and its bay. It was a simple house, with a thatched roof, but it was there that the exile spent the remaining ten years of his exile, until the autumn of 1818. This is the site now known as “Dasan Chodang.” The hill behind the house was known locally as Da-san (tea-mountain) and that became the name by which he is best known today, Dasan. Here he taught students who lodged in a building close to his, forming a close-knit community, and he wrote. In his study he accumulated a library of over a thousand books.[6]

During his exile he is said to have written 500 volumes. This needs qualifying, since one “work” might fill nearly 50 volumes of the standard size, but he certainly wrote a vast quantity, some 14,000 pages, mainly in order to set out clearly a fundamental reform program for governing the country correctly according to Confucian ideals. During the years of exile he concentrated first on the Book of Changes (Yi Ching), writing in 1805 the Chuyeoksajeon. A reflection on the Classic of Poetry followed in 1809. He wrote on politics, ethics, economy, natural sciences, medicine and music. After his return from exile, Dasan published his most important works: on jurisprudence Heumheumsinseo (1819); on linguistics Aeongakbi (1819); on diplomacy Sadekoryesanbo (1820); on the art of governing Mongminsimseo and on administration Gyeongsesiryeong (1822).

Dasan remained in exile in Gangjin until 1818, when he was allowed to return to his family home near Seoul. Attempts to bring him back into government service were blocked by factional politics. He used Yeoyudang as his final pen-name, it was the name of the family home where he lived quietly, near the Han River, until he died in 1836, on his sixtieth wedding anniversary. The main sources for his biography are the two versions of his own ‘epitaph,’ Jachan myojimyeong, and a chronological biography Saam seonsaeng yeonbo composed by his great-grandson Jeong Gyu-yeong using no longer extant records.[7]

Dasan and the 19th-century tea revival[edit]

Jeong Yak-yong had been living in Gangjin for several years when the Ven. Hyejang arrived from Daeheung-sa temple to take charge of Paengnyeon-sa. During those years, spent in a poor inn with very little money, Dasan's health had suffered from the low nutritional value of his food. He suffered from chronic digestive problems. Dasan and Hyejang first met on the 17th day of the 4th month, 1805, not long after Hyejang's arrival. Only a few days after, Dasan sent a poem to Hyejang requesting some tea leaves from the hill above the temple; it is dated in the 4th month of 1805, very soon after their meeting.[8]

This poem makes it clear that Dasan already knew the medicinal value of tea and implies that he knew how to prepare the leaves for drinking. It has often been claimed that Dasan learned about tea from Hyejang but this and a series of other poems exchanged between them suggests that in fact Hyejang and other monks in the region learned how to make a kind of caked tea from Dasan.

This would make him the main origin of the ensuing spread of interest in tea. In 1809, the Ven. Cho-ui from the same Daeheung-sa temple came to visit Dasan in Gangjin and spent a number of months studying with him there.[9] Again, it seems more than likely that Cho-ui first learned about tea from Dasan, and adopted his very specific, rather archaic way of preparing caked tea. After that, it was the Ven. Cho-ui who, during his visit to Seoul in 1830, shared his tea with a number of scholars. Among them, some poems were written and shared to celebrate the newly discovered drink, in particular the Preface and Poem of Southern Tea (南茶幷序) by Geumryeong Bak Yeong-bo.[10]

After this, Cho-ui became especially close to Chusa Kim Jeong-hui, who visited him several times bringing him gifts of tea during his exile in Jeju Island in the 1740s. A letter about Dasan's method of making caked tea has survived, dated 1830, that Dasan sent to Yi Si-heon 李時憲 (1803–1860), the youngest pupil taught by him during his 18 years of exile in Gangjin: “It is essential to steam the picked leaves three times and dry them three times, before grinding them very finely. Next that should be thoroughly mixed with water from a rocky spring and pounded like clay into a dense paste that is shaped into small cakes. Only then is it good to drink.”[11]

Thought[edit]

Jeong is well-known above all for his work in synthesizing the Neo-Confucian thought of the middle Joseon dynasty.[1] In the process, he wrote widely in various fields including law, political theory, and the Korean Confucian classics. He sought to return Korean Confucian scholarship to a direct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thought of Confucius. He called this return to the classics "Susa" learning (수사, 洙泗), a reference to the two rivers that flowed through Confucius' homeland.[2]

Jeong published a number of books over various areas, including his best-known Mokminsimseo (목민심서, 牧民心書, The Mind of Governing the People).[12] Although he was deeply concerned about the problem of poverty during that time, Jeong deeply pondered the issue of poverty and raised questions about the role of government officials. He believed that the government and bureaucrats could and should play a major role in solving the problem of poverty. Dasan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governor's administering the people with integrity and in a fair manner. According to him, the government was the ruling entity to render aid and favor to the people while the people were the subject of the government's sympathy and rule.[13]

In the service of this idea, Jeong criticized the philosophers of his time for engaging in both fruitless etymological scholarship and pursuing philosophical theory for their own sake.[3] He argued that scholarship should be re-focused on more important concerns such as music, ritual, and law. This was not only an intellectual but also a political assertion: he argued that the gwageo examinations by which people qualified for royal service should be reformed to focus on these concerns.[4]

Ye Philosophy[edit]

Ye philosophy takes up a large portion of the writings of Jeong Yak-yong. As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 original title of Gyeongse Yupyo (경세유표, 經世遺表, Design for Good Government), a flagship work of his which presents a blueprint of state management, was Bangnye Chobon (Draft for the Country's Rites), Jeong uses the concept of Ye extensively to represent what he aims to achieve with his thought. He focuses this concept on his notion of good government and later extended and branched into his works of classical studies and natural sciences.[14]

Theory of Sacrificial Rites[edit]

Dasan's theory of Korean-style sacrificial rites shows his socio-political concern seeking for the rule of virtue and righteous government. He intended to motivate people into making everyday practices of the human imperatives and to revitalize effectively the traditional society of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which had its basis upon Ye (禮, Confucian order). In Mokminsimseo, Dasan formulates the cognitive process of ritual practice focussing on sacrificial rites as follows.

1) The cognition of the ritual object raises the intentional movement of mind/heart toward the ritual object in the cognitive process.

2) The intentionality of mind and heart entails reverence and purification in the ritual process. Ritual practice is significant through sincerity (성, 誠) and seriousness (경, 敬).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Dasan's theory relates cognition with intentional piety in the cognitive process, and combines intentional piety and reverence/purification in ritual practice. Dasan intended to regulate the excessive ritual practices of the literati and restrict popular licentious cults (음사, 淫祀) in accordance with his cognitive formula. From his point of view, Confucianist's ritual conceptions were improper or impractical, and popular licentious cults were impious and overly enthusiastic.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He redefined Zhi Hsi's concept of seriousness as attentive concentration of convergent piety into the concept of prudential reverence as intentional pietism. Zhi Hsi's concept of seriousness contains apophatic mysticism like Zen Buddhist Quietism (정, 靜) by mediation, but Dasan's concept of reverence is inclined towards Cataphatic activism by contemplation.[15]

Land reform[edit]

Land reform was an important issue for the Silhak reformers, and Dasan elaborated upon Yu Hyŏngwŏn's land reform proposals. Rather than central state ownership, Dasan proposed a "village land system," in which the village would hold its land in common and farm the land as a whole, while the products of the land would be divided based on the amount of labor contributed.[16][17]

Views on Dasan[edit]

Professor Ogawa Haruhisa of Nishogakusha University in Tokyo is very impressed by Dasan:

“In addition to egalitarian ideas, Chông Yag-yong Dasan provided something precious that had been lost at that time. He has these elements that we must learn and revive in these modern times. He formed his philosophy despite his sufferings in exile. I think he will be of interest to contemporary scholars for a long time.”[citation needed]

Professor Peng Lin at Qinghua University, Beijing teaches the Chinese classics and has a special interest in Dasan's study of rituals. He published in the 1980s research papers on Dasan in the Sônggyun’gwa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Dasan devoted great efforts in studying rites, to understanding and bringing recognition to traditional culture. I believe that Dasan’s study of rites is highly unique. He studied all the three fields in the study of ritual and this was not common even among Chinese scholars. Many can achieve only partial understanding even after a lifetime study, but Dasan studied all the ritual fields and his research is truly astounding. He wanted to create an ideal society by starting with what already existed. This shows Dasan’s humanistic interest and that intrigues me.”[citation needed]

Professor Don Baker at the Asia Center of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is interested in Dasan for his role as an intellectual in a period of transition:

“I think that in the twenty-first century we still need to adopt Dasan’s spirit, what I call moral pragmatism. He was a very pragmatic man. He looked at problems and said ‘how can we solve them’. But also he always kept his moral values at the front. We often have in society a material progress for the sake of material progress. Dasan wanted a material progress but a progress that creates a more moral society, therefore I call it moral pragmatism and I think that we still need such spirit today."[citation needed]

There is in Korea a revival of Jeong Yak-yong's thought never seen before on that scale for any Korean philosopher. In the not distant past one could hear doubts about even the existence of a Korean philosophy.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Western philosophy has prevailed and philosophy departments in most Korean universities teach mainly European modern philosophy. Therefore, Dasan is of great importance as he was able to be enthusiastic for modern Western ideas but remained deeply committed to the depth of Confucianism. He was not defending a tradition for its own sake but wanted to keep the precious values of the early Chinese period because it was a foundation for man and society.

Family[edit]

  • Father: Jeong Jae-won (정재원, 丁載遠; 1730–1792)
    • Grandfather: Jeong Ji-hae (정지해, 丁志諧; 1712–1756)
    • Grandmother: Lady Hong of the Pungsan Hong clan (풍산 홍씨; 1712–1753) – daughter of Hong Hwa-bo (홍화보)
      • Uncle: Jeong Jae-woon (정재운, 丁載運); became the adopted son of his uncle, Jeong Ji-yeol (정지열, 丁志說).
      • Uncle: Jeong Jae-jin (정재진, 丁載進)
  • Mother:
    • Biological: Yun So-on, Lady Yun of the Haenam Yun clan (윤소온, 尹小溫, 해남 윤씨; 1728–1770); daughter of Yun Deok-ryeol (윤덕렬, 尹德烈).
      • Older brother: Jeong Yak-jeon (정약전, 丁若銓; 1758–1816)
        • Sister-in-law: Lady Pungsan of the Pungsan Kim clan (풍산 김씨); daughter of Kim Seo-gu (김서구, 金敍九)
          • Nephew: Jeong Hak-cho (정학초, 丁學樵; 1791–1807)
          • Nephew: Jeong Hak-mu (정학무, 丁學武)
            • Grandnephew: Jeong Dae-bin (정대빈, 丁大彬)
          • Nephew: Jeong Hak-seung (정학승, 丁學乘); became the adopted son of his uncle, Jeong Yak-hwang (정약황).
      • Older brother: Jeong Yak-jong (정약종, 丁若鍾; 1760–1801)
        • Sister-in-law: Lady Choi of the Gyeongju Choi clan (경주 최씨)
          • Niece: Lady Jeong (정씨)
            • Nephew-in-law: Bae Yun-mun (배윤문, 裵允文) of the Dalseong Bae clan.
        • Sister-in-law: Lady Yi of the Hansan Yi clan (한산 이씨); daughter of Yi Su-jeong (이수정, 李秀廷).
          • Nephew: Jeong Cheol-sang (정철상, 丁哲祥; d. 1801) – baptised name "Garollo" (가롤로).
        • Sister-in-law: Lady Yu So-sa (유소사, 柳召史; d. 1839) – baptised name "Cecillia" (체칠리아).
          • Nephew: Jeong Ha-sang (정하상, 丁夏祥; d. 1839) – baptised name "Paolo" (바오로).
          • Niece: Lady Jeong Jeong-hye (정정혜, 丁情惠; d. 1839) – baptised name "Elizabeth" (엘리샤벳).
      • Older sister: Lady Jeong (정씨)
        • Brother-in-law: Yi Seung-hun (이승훈, 李承薰) of the Pyeongchang Yi clan
      • Older sister: Lady Jeong (정씨)
        • Brother-in-law: Chae Hong-geun (채홍근, 蔡弘謹) of the Pyeonggang Chae clan
      • Older sister: Lady Jeong (부인 정씨)
        • Brother-in-law: Yi Jung-sik (이중식, 李重植) of the Yeonan Yi clan
    • Step: Lady Nam of the Uiryeong Nam clan (의령 남씨 ; 1729–1752); daughter of Nam Ha-deok (남하덕, 南夏德).
      • Older half-brother: Jeong Yak-hyeon (정약현, 丁若鉉; 1751–1821)
        • Sister-in-law: Lady Yi (이씨); older sister of Yi Byeok (이벽, 李檗).[18]
    • Step: Lady Kim (김씨; 1754–1813)[19]
      • Younger half-brother: Jeong Yak-hoing (정약횡, 丁若鐄; 1785–1829)
  • Wives and children:
    • Lady Hong of the Pungsan Hong clan (부인 풍산 홍씨; 1761–1839)[20]
      • Unnamed daughter (miscarriage in July 1781 after four days from her birth)
      • Son: Jeong Hak-yeon (정학연, 丁學淵; 1783–1859); childhood name was "Mu-jang" (무장, 武䍧) and "Mu-ah" (무아, 武兒)
        • Grandson: Jeong Dae-rim (정대림, 丁大林; 1807–1895)
        • Granddaughter: Lady Jeong (정씨); married Kim Hyeong-muk (김형묵, 金亨默) of the Cheongpung Kim clan.
      • Son: Jeong Hak-yu (정학유, 丁學游; 1786–1855); childhood name was "Mun-jang" (문장, 文䍧) and "Mun-ah" (문아, 文兒)
        • Daughter-in-law: Lady Sim of the Cheongsong Sim clan (청송 심씨); daughter of Sim Oh (심오, 沈澳) and great-granddaughter of Sim Gak (심각, 沈瑴)
          • Grandson: Jeong Dae-mu (정대무, 丁大懋; b. 1824); married Lady Sim of the Cheongsong Sim clan (청송 심씨), the daughter of Sim Dong-ryang (심동량, 沈東亮).
          • Grandson: Jeong Dae-beon (정대번, 丁大樊; b. 1833)
          • Grandson: Jeong Dae-cho (정대초, 丁大楚; 1835–1904)
          • Granddaughter: Lady Jeong (정씨); married Im Woo-sang (임우상, 任祐常) of the Pungcheon Im clan.
          • Ganddaughter: Lady Jeong (정씨); married Gang Eun-ju (강은주, 姜恩周) of the Haenam Gang clan.
      • Unnamed son: died young due to a Smallpox (1789–1791); childhood name was "Gu-jang" (구장, 懼䍧) and "Gu-ak" (구악, 懼岳)
      • Unnamed daughter: died young due to a Smallpox (1792–1794); childhood name was "Hyo-sun" (효순, 孝順) and "Ho-dong" (호동, 好童)
      • Daughter: Lady Jeong (정씨; b. 1793)
        • Son-in-law: Yun Chang-mo (윤창모, 尹昌模; 1795–1856); the son of Jeong Yak-yong's friend, Yun Seo-yu (윤서유, 尹書有); they married in 1812.
      • Unnamed son: died young due to a Smallpox (1796–1798); childhood name was "Sam-dong" (삼동, 三童)
      • Unnamed son: died young due to a Smallpox (1798–1798)
      • Unnamed son: died young due to a Smallpox (1799–1802); childhood name was "Nong-jang" (농장, 農䍧) and "Nong-ah" (농아, 農兒)
    • Concubine Nam Dang-ne (첩 남당네); was a concubine who lived in exile, she was presumed to be the author of the Chinese poem "Namdangsa" (남당사)
      • Daughter: Jeong Hong-im (홍임)

Further reading[edit]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Setton, Mark. Chong Yagyong. page 54
  2. ^ Setton, Mark. Chong Yagyong. page 55
  3. ^ Setton, Mark. Chong Yagyong. page 59
  4. ^ Setton, Mark. Chong Yagyong. page 62
  5. ^ Deberniere Torrey (2018). "Review of Catholics and Anti-Catholicism in Chosŏn Korea". Journal of Korean Religions9 (2): 173–177. ISSN 2167-2040JSTOR 26597918Wikidata Q120492054.
  6. ^ Setton, Mark. Chong Yagyong. page 63
  7. ^ Setton, Mark. Chong Yagyong. page 66
  8. ^ Jeong Min:Joseonui Chamunhwa p. 144
  9. ^ Jeong Min:Joseonui Chamunhwa p. 209
  10. ^ Jeong Min:Joseonui Chamunhwa p. 278
  11. ^ Brother Anthony etc:Korean Tea Classics page 9
  12. ^ Jeong, Yak-yong"목민심서(牧民心書) Mokminsimseo"encykorea.aks.ac.kr (in Korean). Retrieved 2023-07-08.
  13. ^ "CFE Viewpoint : We should complete what Dasan Yak-yong Jung left unfinishe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5. Retrieved 2010-12-17.
  14. ^ https://docs.google.com/viewer?a=v&q=cache:QBlEV3IADmcJ:www.ekoreajournal.net/upload/pdf/PDF4948+Jeong+Yakyong+idea&hl=en&gl=us&pid=bl&srcid=ADGEEShJFLe6lO7AHd3Kt6-jTjJ30D3F49-bS5op5VvY0DNk7A6_LfgGmdxjtAX25SJ-rchyxVNGnRvzSuqbrAAC5aR3FvDIgMxcYT1oW_FPXGiaXefGsUoyX7GJANwMzwtSMuE_Mkn4&sig=AHIEtbSOPybiHQgT7Pl-orGGvncRRQoQ-A Archived 2017-04-18 at the Wayback Machine[bare URL]
  15. ^ 박종천 (Jong Chun Park) (2006). "다산의 제사관 -『목민심서』 「예전」 "제사"조를 중심으로- (Tasan's theory of sacrificial rites -in the case of Mokminsimseo-)". 다산학9: 81–122. Abstract Archived 2011-07-24 at the Wayback MachineIntroduction Archived 2012-08-14 at the Wayback Machine
  16. ^ Kihl, Young Whan (2004). Transforming Korean Politics: Democracy, Reform, and Culture. Armonk, New York: M.E. Sharpe. p. 48ISBN 978-0-7656-1427-8.
  17. ^ Palais, James B. (1996). Confucian Statecraft and Korean Institutions: Yu Hyŏngwŏn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Seattle, Washingt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p. https://books.google.com/books?id=kwpSxkUYCSAC&pg=PA372 372–379. ISBN 978-0-295-97455-2.
  18. ^ They two had 3 sons and 6 daughters, their eldest daughter, Jeong Nan-ju (정난주, 丁蘭珠) married Hwang Sa-yeong (황사영, 黃嗣永) and had 1 son, Hwang Gyeong-han (황경한, 黃景漢).
  19. ^ After Jeong Yak-yong's biological mother, Lady Yun died, Lady Kim become Jeong and his brothers's adoptive mother.
  20. ^ They married on 10 April 1776 (22 February 1776 in Lunar calendar). They eventually had 6 sons and 3 daughters but 4 sons and 2 daughters died young (or prematurely) as most of those children died due to a Smallpox disease or from different circumstances.

Print[edit]

  • Lee, Ki-baek, tr. by E.W. Wager and E.J. Shultz (1984). A new history of Korea. Seoul: Ilchogak. ISBN 89-337-0204-0.
  • Setton, Mark (1997). Chong Yagyong: Korea's Challenge to Orthodox Neo-Confucianism.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7914-3173-8.
  • Ch'oe, Y., Lee, P.H., de Bary, T., Eds. (2000). Sources of Korean tradition, vol. II.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12031-1.
  • Korean National Commission, Eds. (2004). Korean philosophy: Its tradition and modern transformation. Seoul: Hollym. ISBN 1-56591-178-4.
  • Brother Anthony etc (2010). Korean Tea Classics. Seoul: Seoul Selection. ISBN 978-89-91913-66-0.
  • Jeong, Min (2011). (Korean)Saero sseuneun joseonui cha munhwa. Seoul: gimmyoung-sa. ISBN 978-89-349-5033-2.

Online[edit]

External links[edit]

===

정약용  丁若鏞,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약용
丁若鏞
다산 정약용 초상
다산 정약용 초상
신상 정보
출생일1762년
출생지조선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 마재
사망일1836년 (74세)
사망지조선 경기도 광주부 마재 사저
직업문관, 실학자, 저술가
본관나주
부모정재원(부)
해남 윤씨 부인 윤소온(모)
의령 남씨 부인(전모)
김씨 측실(서모)
형제자매첫째 형 정약현, 둘째 형 정약전, 셋째 형 정약종
배우자풍산 홍씨 부인
자녀슬하 6남 3녀
(그 중 아들 정학연, 아들 정학유)
친인척조부 정지해
숙부 정재운 · 정재진
사돈 심오
매부 이승훈
처남 이복형 이벽
외사촌 윤지충
손자 정대림 · 정대무 · 정유역
학문 활동
분야성리학, 실학

정약용(丁若鏞, 1762년 ~ 183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아명은 귀농(歸農), 는 미용(美庸), 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며, 시호는 문도(文度)이다.[1][2]

2012년, 다산 탄생 250주년을 맞아 '2012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로 선정되었다.[3]

초기생애

출생과 성장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 마재(마현(馬峴), 현재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94)에서 태어났다. 정약용이 태어난 두물머리는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지점이다.[4] 강원도 태백에서 발원한 남한강은 정선, 영월, 충주, 여주를 거쳐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합류한다. 현재는 생가터와 실학박물관등 정약용 유적지가 잘 조성되어있다.[5]

부친 정재원은 첫 부인 의령 남씨와 사이에 큰아들 약현을 낳았고, 둘째 부인인 고산 윤선도의 오대손녀인 윤소온(해남 윤씨, 조부 윤두서, 부친 윤덕렬)씨 사이에 약전, 약종, 약용 3형제와 딸 한 명을 낳았으며, 정약용은 4남 2녀 중 네번째 아들이었다.[6][4] 정약용이 태어난 해에는 영조의 노여움을 산 사도세자가 뒤주속에 갇혀 죽는 일이 벌어졌다.(5월) 부친 정재원은 벼슬을 내려놓고 낙향하였고 그해 6월에 태어난 정약용의 아호를 귀농(歸農)이라 지었다.[7] 벼슬을 탐하여 당쟁에 휘말리지 말고 농촌에 귀의하라는 의미를 담은 것이었다.

정약용의 선조들은 8대를 연이어 문과에 급제하여 모두 홍문록에 올랐는데[8] 고조부, 증조부, 조부의 3대에 이르러서는 벼슬에 오르지 못했다.[4] 아버지 정재원은 1762년 3월에 생원시에 합격한후에는 대과에 응시하지 않았다. 출세에는 큰 욕심이 없었기에 사돈인 채제공이 대과 응시를 여러차례 권유하였으나 마다하였다.[9] 뒤늦게 음관으로 벼슬길에 나간것은 생활고 때문이었으며[10] 호조좌랑, 울산부사, 진주목사(정3품)까지 지냈다.[11]

가문의 내력

본관은 압해(押海)였다. 지금은 전라남도 신안군에 속하는 섬이지만 조선시대에는 나주목에 속해있었기에 나주 정씨로도 불렸다.[12] 조상들은 고려 말에 황해도 배천에 살다가 조선이 개국하자 서울로 이주했다. 11대 조부 정자급(丁子伋)이 승문원 교리를 지낸이래 8대에 걸쳐 벼슬을 하였다.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정수강, 병조 판서를 지낸 정옥형,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 대사헌을 지낸 정윤복,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정호선, 홍문관 교리를 지낸 정언벽, 병조 참의를 지낸 정시윤이다.[13] 8대 조상이 연이어 모두 홍문관 명부에 이름을 올렸는데, 홍문관은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삼사(三司)로 불린 중요부서로 학문이 높은 학자관료만 들어갈 수 있었다.[12]

조선의 역대 문과 급제자들의 명부인 '국조문과방목'을 보면 홍문관에서 근무한 자들은 따로 표시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선시대 청요직(淸要職)의 상징으로서 정승·판서 등 고위 관리들은 거의 예외없이 이곳을 거쳐갔다.[14] 그래서 정약용은 평소 팔대옥당(八代玉堂)이라 하며 학문명가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했다.[12]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집권하여 남인이 몰락하자 5대조 정시윤은 당쟁을 피해 경기도 광주 마현(馬峴)으로 옮겨 살았다.[15] 고조부 정도태(丁道泰), 증조부 정항신(丁恒愼)은 벼슬을 하지 못했다.[13][16] 고조 정도태, 증조 정항신은 진사시에 입격했고, 조부 정지해(丁志諧)는 통덕랑에 오르기는 했다.

언문습득

정약용은 특별한 스승이 없이[17] 부친 정재원의 임지를 따라다니며 부친으로부터 학문을 배웠다. 형 정약전은 성호 이익의 학맥을 잇는 녹암 권철신으로부터 사사했으나 정약용은 부친의 가르침 이외에 독학하였다. 이가환, 이승훈과 교류하게 되면서 이익의 학문을 접했으나 유작을 통해서 사숙(私淑)했을 뿐이다.[18]

네살에 천자문을 배웠고[19] 일곱 살 때 '바다'라는 를 지은 것이 남아있다. 열 살 이전의 어린 시절에 지은 시를 모아 《삼미자집》(三眉子集)이라는 책을 냈는데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20] 삼미(三眉)라는 별명은 어릴 적에 걸렸던 천연두가 나으면서 생긴 흉터 때문에 눈썹이 세 개 생겼다는 뜻이다. 아홉살 때 어머니가 돌아가셔서 맏형수 경주 정씨와 계모 김씨의 사랑을 받으면서 자랐다. 열살때 경서와 사서를 모방해서 작문한 글이 자신의 키만큼 쌓였다고 한다.[20]

어릴 적에 천연두에 걸렸으나, 왕족 출신의 사가 명의였던 이헌길의 진료로 인하여 살았다. 정약용은 훗날 이헌길의 《마진기방》을 바탕으로 한층 발전된 홍역 치료서 《마과회통》을 집필하고, 이것은 현대 의학이 들어오기까지 수많은 조선의 생명을 구한다. 또한 정약용은 이헌길의 생애를 다룬 《몽수전》을 집필하기도 했다.

성호학파 입문

1776년 결혼하여 처가에 왕래하기 위해 서울을 자주 드나들면서 이때 성호 이익의 학문을 접할 수 있었다.[21] 같은 해 아버지가 다시 벼슬을 하여 호조 좌랑이 되었으므로 서울에 집을 세내어 살았다.[13] 1776년 4월 10일(음력 2월 22일)에 승지 혼문으로 명성이 높은 이가환과 매부 이승훈을 만났다. 이가환은 이승훈의 외삼촌이었으며, 성호 이익의 종손으로 당시 이익의 학풍을 계승하는 중심인물이었다. 이승훈도 이익의 학문을 계승한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영향을 받아 정약용도 그 이익의 유서를 공부하게 되었다.

이들에게서 이익의 학문을 접하면서 실학사상의 토대를 다졌다. 이익은 근기학파의 중심적 인물이었다. 정약용이 어린시절부터 근기학파의 개혁이론에 접했다고 하는 것은 청장년기에 그의 사상이 성숙되어 나가는 데 적지 않은 의미를 던져주는 사건이었다. 그리고 정약용 자신이 훗날 이 근기학파의 실학적 이론을 완성한 인물로 평가받게 된 단초가 바로 이 시기에 마련되고 있었다.[6]

1777년(15세) 화순 현감이 된 아버지를 따라가서 화순현 북쪽에 있는 동림사에 가서 형 정약전과 함께 서책 학습에 매진했다.[13] 1780년(18세) 아버지가 경상도 예천군수로 부임하자 예천에 가서 살았다.[22] 1782년, 서울에 집을 마련하여 정착 한 후 과거공부에 전념하였고 1783년에 세자 책봉 경축 증광시에 합격하고 회시로 생원이 되었다. 22세에는 진사가 되어 성균관에 들어갔는데, 매달 치르는 시험과 열흘마다 치르는 순시(旬試)에 매번 높은 성적으로 뽑혀서 책과 종이와 붓을 상으로 하사받으며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13]

관직생활

대과 급제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1789년(정조 13년), 27세 되던해에 대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규장각에서 정조의 총애를 받아 공부하면서 한강에 배와 뗏목을 잇대어 매고 그 위에 널빤지를 깔아 배다리를 만들기도 하였다. 1791년 신해박해 때 공서파의 모함으로 인해 서산 해미에 유배되었으나 11일 만에 풀려났다.[23][24] 이후 사간원과 홍문관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791년에는 수원 화성 설계에 참여하여 거중기를 활용하였다. 30세가 되던해인 1792년에는 아버지 정재원이 죽는다.

성균관

1794년에는 성균관에서 강의하게 되고, 음력 10월에 경기도 암행어사로서 연천, 삭녕 등을 순찰하였다. 1795년 을묘박해 사건이 벌어졌을 때 모함을 받아 그해 음력 7월에 금정찰방으로 좌천되었다.[23] 이어 병조참지좌부승곡산 부사 등을 지냈다. 1799년에 승정원 동부승지가 되었다.

곡산부사

곡산 부사로 부임하기 전에 이계심이라는 농업노동자의 조세저항 운동인 이계심의 난이 일어났다. 법학자 조국 서울대학교 교수에 따르면, 정약용은 민중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조항 10여 조를 가지고 직접 나아온 이계심을 처벌하지 않고 관리의 부패에 항의하는 자들에게는 천금을 주어야 한다고 말함으로써 그의 용기를 격려하였다.[25] 즉, 정약용은 민중들을 국가의 권위와 법으로 억누르는 게 아니라, 생존권을 요구하는 민중들의 항의를 귀담아듣는 애민 관리였다. 1799년에 형조참의가 되었는데 곧 탄핵을 받아 〈자명소(自明疏)〉를 올리고 사퇴하였다.

천주교와 인연

천주학 입문

1776년 이가환, 이승훈과의 만남으로 성호 이익의 학문에 연을 맺었다. 자연스럽게 남인 소장파 학인들과 교류하게 되면서 성호 이익 문하에서 학습하여 학문적 명성이 자자한 권철신과도 연을 맺게 된다. 또한 이들이 천주학과 서양학문을 많이 연구하는 터라 정약용도 자연스럽게 이를 접하게 되었다. 권철신이 주도하여 1777년과 1779년에 경기도 양주에 있는 주어사와 천진암을 오가며 여러날에 걸쳐 서학교리 강습회를 열었는데,[26] 정약용은 이벽, 정약전, 권일신, 이가환, 이기양, 이승훈 등과 함께 참여하기도 했다.[27] 이 시기에 학문적 호기심에 서양학문과 함께 천주학을 접했다. 1784년 4월에 큰 형수의 제사에 참여했다가 귀경하면서 큰형 정약현의 처남 이벽으로부터 천주교 교리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13] 천지창조의 기원, 영혼과 육신, 생사의 이치에 관한 이벽의 설명은 놀랍고도 오묘하여 즉시 매료되었다.[28] 이를 계기로 천주교에 대한 책을 여러권 탐독하며 심취했다. 그러나 그의 이런 천주교와의 인연은 곧 악연이 되어 훗날 많은 고초를 겪게 된다.[29]

명례방 사건

1784년, 이벽에게서 세례를 받은 후 천주교인이 되었다.[23] 북경에서 세례를 받은 후 귀국한 이승훈이 서울 명동에 있는 역관 김범우의 집에서 신앙모임인 '명례방공동체'를 운영하였는데[30] 정약용도 이 모임은 참여하였다. 그러던중 1785년 초에 포졸들에게 이 비밀모임이 발각되어 형조에 끌려가는 명례방 사건이 벌어진다.[31][32] 다행히 중인신분인 역관 김범우만 투옥되고 정약용을 비롯한 양반출신들은 모두 석방되었다. 그러나 김범우는 유배지에서 사망하였고 이벽은 그의 부친과 갈등끝에 식음전폐하다 죽었다. 이승훈은 가문의 압박속에 배교했으며 모임의 주축이었던 양반출신들이 모두 떠나자 '명례방공동체'는 와해되었다. 이때 정약용도 일시적이나마 배교했으나 훗날 천주교인들과 은밀하게 교제를 재개했다.

반회사건

1787년(정조 11) 10월경, 반촌에 있는 김석태(金錫泰)의 집에서 정약용은 이승훈, 강이원 등과 은밀히 천주교서적을 연구, 토론하였다.[23] 그러한 사실을 안 이기경(李基慶)이 천주교 배척론자인 홍낙안(洪樂安)에게 알리자, 척사유생들의 상소가 잇따랐다. 그로 인하여 당사자들에게 직접적인 처벌은 내려지지 않았으나, 천주학 도서의 도입과 유포가 문제되어 조정에서 그 폐해에 대해 논의가 있었다.[33] 이 당시 조선에는 한글로 번역된 천주교 서적이 목판으로 간행되어 저렴한 가격에 팔리고 있었는데, 충청도 지방의 산골마을에까지 천주교 서적이 보급되어 있었다.[33] 1788년에 8월에 이경명이 서학 엄벌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자 정조는 천주교를 사교(邪敎)로 규정하고 금령을 내렸다.[34][35] 아울러 전국에 천주교 관련 서학서적을 색출, 소각하는 조처가 내려졌다.[36] 반회사건이 발생한 직후 아버지 정재원은 자식들에게 천주학을 멀리하라고 명했다.[37] 정약용은 정약전과 함께 아버지 말씀을 따랐으나 정약종은 천주학을 내려 놓치못했다.

신해박해

1791년, 전라도 진산에 윤지충이 모친상을 천주교식으로 치른 후 제사를 폐함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주는 진산사건이 발생했다. 정약용의 집안도 큰 충격에 휩싸였다. 윤지충은 정약용의 외가쪽 친척이었기 때문이다.[37] 조상제사거부는 유학의 핵심인 '효'를 부정하는 일로써, 이는 곧 나라의 어버이 되는 왕에 대한 '충'을 부정하는 행위였다. 이는 유교이념으로 떠받쳐져 있는 조선의 지배체제 자체를 부정하고 도전하는 것이었다.[38] 윤지충과 그의 행위에 동조한 외사촌 권상연은 참수당했다.[39][40] 평택현감으로 있던 정약용의 매부 이승훈은 삭탈관직 당했다.[41]

그동안 정조는 천주교를 일시적인 종교 현상으로 이해하여 묵인하는 온건한 정책을 펼쳤었다.[42][43] 그러나 지난 1788년에 천주교를 사교로 규정했을 뿐만 아니라 이번에도 극형을 명한후 홍문관에 소장되어 있던 서양서적을 소각하여 불온한 서양사상의 전파를 차단하는 단호한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서인들은 윤지충이 남인이었던 관계로 이 사건을 정쟁화하며 사건을 증폭시켰으며 남인들 조차 공서파와 신서파로 분열하였다.

한편 천주교가 사악한 종교로 낙인이 찍힌 이 사건을 계기로 정약용은 천주교와 관계를 완전히 청산했다. 그러나 윤지충과 친척이었던 관계로 서인들로부터 공격을 받았다.[44] 집안내에서도 약간의 갈등이 발생했다. 둘째 형 정약전도 이번 사건 발생직후 배교를 했으나 셋째형 정약종은 반회사건과 신해박해로 전국이 소란스러웠는데도 불구하고 천주교에 대한 열정에는 변함이 없었다.[45] 정약종은 교리에 따라 제사참여를 거부하며 갈등하다가 처자식을 데리고 한강 건너 양근의 분원으로 이사를 가버렸다.[45]

을묘박해

1795년 6월, 포도청이 밀입국후 은밀히 활동하던 중국인 선교사 주문모를 체포하는데 실패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사건 관련자들이 체포되여 선교사의 도피처를 추궁받았으나 이들은 끝까지 함구하였고 모진 고문끝에 옥사하였다.[46][47][48] 조용히 지나가는듯하던 사건은 2개월 뒤에 대사헌 권유(權裕)가 세 사람이 일찍 죽는 바람에 선교사 주문모 체포의 기회를 놓쳤는데, 이는 포도대장의 경솔함과 사건의 진상을 덮으려한 의혹이 있어 보이니 치죄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리자 조정이 다시 시끄러워졌다.[49][50] 부사과 박장설이 이승훈·이가환·정약용이 주문모 도주사건에 연류되었다고 의혹을 제기하자 이들을 성토하는 상소가 연이어 올라왔다.

노론 벽파의 공세가 빗발치자 정조는 한발 물러서게 되었는데, 결국 1795년 7월 25일에 이승훈을 예산으로 유배 보내고, 이가환은 충주목사로, 정약용은 충청남도 홍주 금정찰방으로 좌천시켰다.[51][52] 당시 충청지역에 천주교의 교세가 크게 성장하고 있던터라 정조는 이 지역으로 이들을 보내어 교세 확산을 막음으로 천주교에 심취했었던 과오를 속죄하고[53] 지방좌천을 통해 노론 공격의 예봉도 차단하려 내린 초치였다. 정약용은 무려 7품계나 떨어지며 체면이 몹시 구겨졌다. 그러나 정약용이 금정에서 교세 저지를 위해 펼친 노력은 실효를 거두었고 충청지역 천주교계의 거물인 이존창을 체포하는 공도 세웠다.[54]

신유박해

정조의 급사

형조참의를 제수받아 재직하던 중에 대사간 신헌조가 형 정약전을 부당하게 탄핵하자 '자명소'를 올리고 1799년 7월 26일에 사직하였다.[55] 잠시 서울에 머물다가 1800년 초에 낙향하여 마재에서 지내던 중 6월 28일에 정조의 사망소식을 접하고 급하게 상경하였다. 국장을 치루는 동안에 독살설 등 많은 유언비어가 나돌며 어수선해지자 정약용은 처자를 마재으로 내려보내고 홀로 서울에 머물면서 정국을 살폈다.[56] 겨울에 주상의 졸곡(卒哭)[57]이 지나자 낙향하였고, 오직 초하루와 보름날 벼슬순서에 따라 차례로 열을 지어 곡하는 곡반(哭班)[58]에만 참석하였다.[59] 그 나머지 시간은 고향집에서 경전을 읽으며 지냈다.

숙청 작업

염려했던대로 어린 순조의 섭정을 맡은 정순왕후가 1801년 음력 1월 10일에 천주교 탄압령을 내리며 남인에 대한 숙청작업을 시작했다.[60][61] 오가작통법을 적용하고 역율로 다스리라는 엄명이 전국에 떨어졌다. 정순왕후는 과거에 사도세자 제거에 앞장섰던 전력이 있어[62][63] 정조의 즉위를 반대했었기에 정조가 즉위한후 집안은 몰락했고 오라비 김귀주가 귀양지에서 사망하며[64] 정조와는 원수지간이었다. 이런 정순왕후의 목표는 정조때 성장한 남인을 몰아내고 재기하지 못하도록 박멸하는 것이었다.[65] 선왕 정조는 노론 벽파를 견제하기 위해서 남인을 중용하였다.[66] 남인들이 서학에 관심을 두고 천주교에 가까운 자가 많았으니 좋은 명분이 되었다.

노론 벽파의 최우선 목표는 정조의 총애를 받던 이가환권철신, 정약용 3인의 제거에 있었다.[67] 이가환과 권철신은 남인을 이끌고 있었고 정약용은 남인을 이끌 차세대 젊은 주자였기 때문이다. 특히 이가환은 반드시 죽여야 했는데, 이는 이가환의 가문이 조상때부터 있었던 노론 벽파와의 악연 때문으로[68] 이가환은 노론벽파가 가장 기피하는 인물이었다.[69] 이가환은 1791년 진산사건 직후 배교하며 천주교 탄압에 앞장섰다는 사실을 노론 벽파도 알고 있었으나 이는 중요하지 않았다. 노론 벽파가 원했던 것은 이가환이 천주교를 버렸다는 증거가 아니라 그의 목숨이었다.[70] 이가환과 권철신은 모진 고문 끝에 옥사하였다.

구속과 석방

정약용은 가슴 졸이며 지내던중에 셋째형 정약종이 서적과 서찰등을 숨기려다 관아에 적발되어 모두 압수당했다는 소식을 1월 29일에 접하였다. 마음에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2월 8일에 전격적으로 체포되어 옥에 갇혔다. 국문장에서 단지 학문적 관심으로 천주교를 접했을뿐이었기에 이미 1791년 진산사건(신해박해)이후 천주교와 결별했다고 자신을 변호했다.[71][72][73] 그러나 그의 목숨을 노리는 노론 벽파 앞에서는 소용이 없었다. 2월 11일에 정약종이 체포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왔고 그밖에도 이승훈최창현 등 많은 이들이 투옥되었다.

정약용은 1791년 진산사건에 충격을 받고 천주교를 버렸다.[65] 1797년 천주교도로 오해 받자 《자명소》를 써서 반박했고 1799년에는 《책사방략》을 저술하여 배교를 분명히 한적이 있다.[74] 또한 '동부승지 사직상소'에서도 배교했음을 분명히 밝힌적이 있었다.[75][76] 이번 국문중에도 적극적으로 자신을 변론하며 천주교 지도자인 권철신, 황사영 등을 고발하였다.[77] 또한 천주교신도를 색출하려면, 믿음이 약한 노비나 학동을 신문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으나[77] 자신의 구명에 별반 도움이 되지 않자 체념하였다.

조선인 최초로 세례를 받은 후 천주교 선교활동을 주도했던 이승훈은 정약용의 매형이고[78] 천주교 교리 연구회장인 정약종은 셋째 형이며 지난번 진산사건(1791년)을 일으킨 윤지충은 외사촌 형이었기 때문에 정약용은 궁지에 몰려있었다.[79] 그러던중 잡혀온 여러 신자들의 국문이 거듭될수록 정약용의 배교가 명백한 사실임을 증명하는 증거들이 쏟아져 나왔다.[80] 분명한 물증들로 인해 정약용과 정약전은 구속된지 18일만에 유배로 감형된 후 석방되었다.

귀양살이

정약용은 18년간 경상도 장기전라도 강진 등지에서 유배생활을 했다. 유배 기간에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을 저술하였으며, 둘째 형 정약전도 물고기의 생태를 기록한《자산어보》라는 명저를 남겼다. 고난을 겪음으로써 학자로서의 지성이 자라는 새로운 경험을 한 것이다.

말년

1818년(순조 18) 음력 5월에 귀양이 풀려 승지(承旨)에 올랐으나 음력 8월 고향으로 돌아왔다. 혼인 60주년 회혼일 아침인 1836년 마현리 자택에서 별세하였다. 다산이 남긴 마지막 시는 〈회혼시〉였다. 정약용이 죽기 전 자녀들에게 신신당부로 이른 말은 "한양을 벗어나는 순간 기회는 사라지니 무슨 일이 있어도 한양에서 버텨라"는 것이었다.

추증

1910년(융희 4) 7월 18일에 정헌대부 규장각 제학으로 추증되고 시호 '문도(文度)'가 내려졌다.[81]


결혼

장인 홍화보

1776년 2월 22일에 무관 홍화보의 여식인 풍산 홍씨와 혼인하였다. 장인 홍화보는 몸이 마르고 키도 작은편이었으나[82] 용맹스러운 무신(武臣)으로 호탕한 성품에 병법에 밝았다고 한다.[83] 1771년에 황해도 장연부사로 있으면서 병영을 설치하여 청나라 해적선 퇴치에 공을 세운바 있다. 영조 51년(1775)에는 승지로 제수되었는데, 이는 무인이 승지가 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정조 4년(1780)에는 영남우도 병마절도사를 지낸바 있다.[83] 이런 장인의 영향을 받은 정약용은 〈아방비어고〉등 병서를 지을 수 있었다.[82]

자손들

정약용이 유배되었을 때에는 다시 과거시험을 보거나 관직에 진출할 수 없는 '폐족(廢族)'을 자처하였으나, 손자 시대에 이르러 직계 자손들이 과거에 급제하거나 관직에 나아가 폐족 신세를 면할 수 있었다. 진사에 합격하고 단양군수를 역임한 손자 정대림(丁大林), 참봉을 거처 삼척부사를 지낸 손자 정대무(丁大懋), 문과 과거에 급제하고 비서원승을 지낸 증손자 정문섭(丁文燮) 등이 대표적이다.

정약용의 사상

정약용의 철학사상

  • 당시 주자학을 절대시하여 이기설·예론 등의 논쟁에만 골몰하던 학계의 현실을 개탄하고 보다 참되고 가치있는 경세치용의 실학을 건설하기 위하여 한대 이후의 오도된 유학을 거부하고, 공자·맹자의 수사학(洙泗學)으로 돌아가 유학의 본질을 파헤쳐 후인에 의하여 왜곡되고, 날조된 이론을 바로 잡으려고 하였다.
  • 이이·유형원·이익의 경세학적 태도를 이어받아 새 시대의 새 학문으로 집대성하였고, 당시 중국에 유입되고 있던 서양의 종교·과학 등에 접촉하여 이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 새 학문의 목적을 고증·경세(經世)·목민(牧民) 등에 두고 공자로부터 재출발하여 전연 독자적인 체계를 수립하였다.
  • 천(天)을 유형천(有形天)과 주재천(主宰天)·역리천(易理天)으로 구분하고, 주재천에의 신앙을 강조하였다.
  • 천명을 정치적으로는 인심으로, 윤리적으로는 정명(正命)으로 보아 백성을 위한 군자의 사명을 강조하였다.
  • 주자의 천리설(天理說)과 이기설(理氣說)을 부정하고 천명이 도심(道心)에 있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 인성론(人性論)에 있어 인간의 본성은 기호(嗜好)라는 성기호설(性嗜好說)을 주장하고, 사람에게는 도의지성(道義之性)과 금수지성(禽獸之性)의 양성(兩性)이 있음을 밝혀 이들 양자간의 갈등을 인정하였다.
  • 인물성동이논변(人物性同異論辨)에 있어 한원진의 인물성이(人物性異)를 지지하면서도 기질(氣質)의 성(性)은 같되 본연의 성은 다르다는 새로운 입장을 취하고, 주자학의 기질지성청탁수박설(氣質之性淸濁粹駁設)을 부정하였다.
  • 주자의 이기론(理氣論)을 전면 거부하고, 공자·맹자의 양기설(養氣說)을 다시 주장하고 이를 목민(牧民)사상과 연결지었다.
  • 역리(易理)의 성립과정을 합리적·과학적으로 해명하여 음양(陰陽) 64괘(卦) 등을 미신적인 교리(敎理)로 보는 데 반대하였다.
  • 성인(聖人)을 신격화하는 데 반대하고, 인간은 누구나 성(誠)을 다하면 성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 공자의 충서(忠恕)·효제(孝悌) 이외에 자(慈)를 강조하여 윗사람의 아랫사람에 대한 의무·사명으로 하였다.
  • 성정중화론(性情中和論)에 근거하여 예악중화론(禮樂中和論)을 전개하고 원시 유교의 왕도(王道)사상을 강조하였다.

요컨대 정약용은 한나라 이후 유학의 병폐·타락을 성리(性理)·훈고(訓話)·문장(文章)·과거(科擧)·술수(術手) 등 다섯 가지로 지적하고, 공자에게로 돌아가 보다 합리적이고 건전하며 실제적인 신유학(新儒學)을 건설하여 조선 봉건사회의 모순을 극복하려고 한 주체적·혁명적 사상가였다고 할 수 있다.

사회주의 토지정책

정전제를 주장한 배경

1755년 사형당한 유수원이 <우서>에서 비판한 대로, 다산 당시 농토의 100%를 사대부가 독점하여 평민들은 모두 소작농이었다. 이 상태는 일제강점기까지 계속되었다. 1944년 일제의 통계는 전국 농토의 64%가 소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36%는 사대부가 머슴들을 부려 직접 경작한 것이다. 이는 조선 사대부 계층이 일제와 협력했다는 증거인데, 실제 역사학자 이덕일이 쓴 《우리역사 수수께끼》(김영사)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의 농촌의 실제 권력은 일제가 아닌 향촌사회의 양반사대부라고 보기도 한다. 다산의 <전론>에 따르면 당시 인구 800만 추정(백골포 징수로 사망신고를 해도 산 사람으로 처리하여 세금을 징수 하는 등으로 정확한 추정 불가) 농토가 800만결이었다. 일 가구당 1결이 되어야 굶어죽지 않는다. 다산의 추정에 따르면 사대부 1인이 평균 990명분의 농토를 차지하였고, 영남의 최씨와 호남의 왕씨는 3990명이 소유할 농토를 독점하고 있었다. 사대부는 소작인에게 세금까지 부담시켰다. 소작료는 평균 소출의 25%였으나 30%까지 올랐다. 당쟁과 홍경래의 난 등으로 당재에 패한 양반들과 난에 가담한 평민들이 노비계층으로 떨어져 헌종 때는 노비의 인구비중이 35%에 달했다. 이들은 일제 강점기에 노비제도가 없어져 노예의 신분에서는 벗어났지만, 양반사대부 계급인 지주들이 토지를 독점하여 소작인들을 착취하였으므로 빈곤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러한 갈등은 1923년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소작농민들이 지주 문 씨와 친일 지주들과 결탁한 일제에 저항하여 소작쟁의를 한 계급투쟁에서 잘 드러난다. 역사학연구소에서 펴낸 《교실밖의 국사여행》(사계절)에 따르면 당시 소작인들이 농사를 지어 수확하면, 80퍼센트를 소작료로 가져가는 착취를 했고, 이에 소작농민들이 소작쟁의를 하여 소작료를 낮춤으로써 처지를 바꾸는 중요한 일을 했다. 당시 지주와 결탁한 일제 경찰에서 농민들을 구속하여 목포 지방법원으로 송치하자, 농민들이 목포 지방법원 앞에서 노숙농성을 하였는데, 당시 동아일보에서는 "하늘을 이불삼아 싸운다."라고 보도했다. 이러한 계급갈등은 남북한에서 1946년(북한), 1948년(남한)에서 무상몰수-무상분배(북한), 유상몰수-유상분배(남한)방식으로 토지개혁을 함으로써 농민들에게 토지가 돌아감으로써 지주 계급이 소멸함으로써 해소되었다.

정전제의 내용

중농주의 실학자로서 토지의 무상 분배, 공동 노동-공동 분배를 함으로써 토지 불평등을 개선하고자 한 사회주의 토지 정책인 여전론과 정전론을 상상하며 조선 실학을 집대성하였다. 정전론은 토지를 우물 정(井)으로 나누면 모두 9구역의 땅이 나오는데, 이중 8구역은 8명의 농민들에게 나누어주어 농사를 짓도록 하고, 1구역은 공동 노동을 하여 국가공동체의 복리를 위한 비용인 세금을 내도록 하자는 것이다. 여전론은 여(이문 여,閭)를 농민들이 공동 노동, 공동 분배하는 사회주의 토지정책이다. 그렇지만 농민들이 공동으로 노동하고, 농업노동자가 일한 만큼 나눠주는 토지불평등 해소정책이니, 현재 북한과 같은 토지정책은 아니다. 정약용 선생이 자신의 사회주의 사상을 실천하기 위한 점진적인 방법이 1819년 정약용이 전라도 강진군에서 유배를 할 때에 상상한 정전론이다.[84]

청렴하고 평등한 경제

다산의 사상을 연구하는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에 의하면, 다산 선생은 평등하고 청렴한 경제(공렴,公廉)으로써 불평등하고 부패한 경제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산은 부자의 것을 덜어서 가난한 이들을 돌보는 손부익빈(損富益貧)으로써 소득불평등을 풀어가고자 했고, 사회경제적 약자들을 4대 궁인(홀아비, 과부, 고아, 독거노인), 노약자, 어린이, 초상을 당한 사람, 질병을 앓은 환우, 재난피해자 등으로 분류해 사회와 국가에서 애민(愛民)사상으로 이들을 배려함으로써 조선이 복지국가가 되기를 바랐다.[85]

과학기술

수원 화성 건축 당시 기중가설(起重架說)에 따른 활차녹로(滑車轆轤 : 도르래)를 만들고 그를 이용해 거중기를 고안하였다. 또한, 유교 경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당대 조선을 지배한 주자학적 세계관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시도하였다. 문집으로 여유당전서가 있다. 정조의 생모 혜경궁 홍씨정조의 다른 최측근인 홍국영과 친인척 관계이기도 하다.

평가

조선 근대 공학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또한, 정약용은 유형원·성호 이익을 통해서 내려온 실학사상을 한 몸으로 집대성했다. 한국 근세에서 남인학파의 정치적으로 비현실적인 태도에 비하여, 다산은 남인학파 중에서도 다분히 실제적인 경험을 지녔고, 강진 다산초당에서 귀양살이를 하며 자신의 학문·사상을 체계화해 정리한 것과 그 이전 중앙 관리로서의 경력, 지방행정의 경험, 연천(連川) 방면의 암행어사 행각, 청년 시절의 왕환(往還)과 부친의 임소(任所)에 수행한 견문 등은 그대로 생생한 교훈이며, 평생을 통하는 힘이었다.

이와 같은 그의 사상에 현실적인 인식과 자료로 제공되었다. 다른 실학자들처럼 성리학·천문·지리·역상(曆象)·산학(算學)·의복(醫卜)에 관련된 저서는 물론 《경세유표》와 《목민심서》, 《흠흠신서》 등은 모두 ‘다산학’의 귀결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경제·사상의 총괄 편으로 정박명절(精博明切)하며 탁견(卓見)이 아님이 없다.

이러한 사상이 급속도로 붕괴해 가던 조선사회에 적절히 적용되지는 못했지만, 다산이야말로 조선조 학계에 전개된 진보적인 신학풍을 한 몸으로 총괄·정리하여 집대성한 실학파의 대표인 것이다. 일찍이 위당 정인보는 "선생(茶山) 1인에 대한 요구는 곧 조선사의 연구요, 조선 근세사상의 연구요, 조선 심혼(心魂)의 명예(明銳) 내지 전조선 성쇠존망에 대한 연구" 라고까지 평하여 그의 학문·저술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정약용은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대부분을 한문으로 썼으며[86][87] 가족과 주고받은 편지도 한문을 사용했다. 국어교육학 박사인 김슬옹은 '우리문화신문'에 기고를 통해, 정약용이 철저히 한글을 외면했음을 지적하며, 사상의 위대함이 표현과 소통의 위대함으로 이어지지 못한 점을 아쉬워했다. 또한 정약용 역시 성리학과 실학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양반 사대부였음을 비판하였다.[88]

저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3대 저서

정약용은 한자가 생긴이래 가장 많은 책을 저술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89] 그가 저술한 500 여권의[90] 책중에 이른바 '1표 2서'라 불리는 목민심서흠흠신서경세유표는 정약용의 주요 저서로 꼽힌다.

  • 목민심서》 : 백성을 다스리는 지방 목민관(牧民官, 수령)의 치민(治民)에 관한 요령과 감계(鑑戒)가 될 만한 마음가짐과 태도 등을 저술한 책이다.
  • 흠흠신서》 : 곡산부사로 재직할 때 실제 수사했던 사건들을 바탕으로 서술한 판결과 형벌 및 치옥(治獄)에 대한 주의와 규범에 관한 책으로 사람의 생명에 관한 일을 가벼이 처리하지 않도록 유의할 점을 적었다.
  • 경세유표》 : 관제·군현제와 전제(田制)·부역·공시(貢市)·창저(倉儲)·군제·과거제·해세(海稅)·상세(商稅)·마정(馬政)·선법(船法) 등 국가 경영에 관한 일체의 제도 법규에 대하여 적절하고도 준칙(準則)이 될 만한 것을 논정(論定)한 책이다.

기타

  •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 : 정약용이 회갑을 맞던 해 자신이 직접 쓴 자신의 일대기이다.
  • 《맹자요의》
  • 《춘추고징》
  • 《상서고훈》
  • 《매씨서평》
  • 주역사전
  • 《역학서언》
  • 《대학공의》
  • 《대학강의》
  • 《중용자잠》
  • 《중용강의》
  • 《아언각비․이담속찬》
  • 《문헌비고간오》
  • 《소학주관》
  • 《소학기언》
  • 《심경밀험》
  • 상례사전
  • 《상례외편》
  • 《상의절요》
  • 《제례고정》
  • 《의례문답》
  • 《상례작의》
  • 《악서고존》
  • 《시경강의》
  •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 《대동수경》
  • 《풍수집의》
  • 마과회통
  • 《삼미자집(三眉子集)》: 정약용이 어릴 때 천연두를 앓았다가 나았는데, 그때 오른쪽 눈썹에 그 자국이 남아 눈썹이 셋으로 나뉘어 삼미(三眉)라 불렸다. 이 《삼미자집》은 정약용이 10세 이전에 지은 글을 모은 문집이다.
  • 아학편(兒學編)》

편지모음

다산 정약용 선생이 1801년부터 1818년까지 장기와 강진에서의 유배길에 올랐을 때에, 두 아들(학유,학연)에게 보낸 편지, 부인이 결혼할 때에 입은 치마에 써내려간 시(하피첩), 딸에게 보낸 시화집을 창비에서 출판했다.(《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박석무 편역/창비[91])

죽은 아들을 그리워한 글

다산 선생이 1801년 신유박해로 인해 전라남도 강진군으로 유배되었을 때에 아들인 농아가 어린 나이에 병으로 죽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펴낸 《글과 생각》교과서와 워크북에 실린 다산의 기록에 따르면, 다산은 부인 사이에서 아들과 딸을 두었는데, 성년까지 자라지 못하고 죽은 자녀들도 있었다. 이 책에 구전문학을 전공한 박종성 교수의 해설과 함께 죽은 아들을 그리워하는 글이 실려 있다. 농아는 홍역과 천연두로 죽었는데, 전라남도 강진군이 바다와 마주하는 지역이므로 아들에게 소라껍질을 보내어 소통을 하던 다산으로서는 아들의 임종을 지키지도 못하고 떠나보낸 일이 매우 마음아픈 일이었다. 아들의 죽음을 전해들은 그날은 공교롭게도 농아의 생일이었다.

그래서 아들의 묘지명을 농아 엄마에게 들은 이야기, 붕당정치를 벗어나 농사를 지으면서 소박하게 살라고 농아라고 이름을 지어준 이야기, 소라(객관적 상관물, 다산과 아드님의 소통을 뜻하는 상징물이다.)를 보낸 이야기(농아는 영리하게도 아빠가 소라껍질을 보낸 뜻을 알고 있어서 무척 반가워하고, 소라껍질이 오지 않으면 서운하게 여겼다고 한다.)를 써서 직접 지었으며, 아들 학유, 학연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전에 죽은 아들들은 임종이라도 지켰지만, 농아는 그렇지 못해 마음이 아프며, 엄마가 마음이 아프실 테니 돌볼 것을 부탁했다.

기타

세계기념인물(UNESCO)

정약용은 '2012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로 장자크 루소와 헤르만 헤세가 함께 선정됐다. 2012년이 다산 정약용 탄생 250주년되는 해를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유네스코는 2004년부터 유네스코가 추구하는 이념과 가치가 일치하는 역사적 사건과 인물, 명사의 기념일을 유네스코 연관 기념행사로 선정해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 2013년에는 동의보감 발간 400주년이 유네스코 기념의 해로, 2021년은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유네스코에서 '2021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로 선정한 바 있다.[3]

노론의 적개심

생전 500여권 이상의 저작들을 출간하였다. 저작들의 대부분은 유배생활 19년간 집필한 것이다.

20세기 초반까지도 노론계 인사들은 남인에 속하는 정약용에 대한 증오와 적개심을 유지했고 그를 혐오하였다. 한국에 서점의 개념이 도입된 1890년대 이후, 자유롭게 책을 사서 읽을 수 있었음에도 그의 저술들을 외면하였고, 윤치호는 노론계 인사들이 그의 책을 읽지도 사지도 않는다고 지적하였다.

어젯밤 추도식을 지낸 다산 정약용이야말로 이조가 배출한 아니 박해한 위대한 학자이다. ...(이하 중략)... 그는 16년 동안 유배 상활을 하면서 매우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 70여 권의 귀중한 원고를 남겼다.
그런데 요즘에도 노론계에 속하는 인사들은 그가 남인이었다는 이유만으로 그의 책을 읽지도, 사지도 않는다.

-윤치호일기, 1935년 7월 17일자[92]

홍국영과의 관계

정조의 생모 혜경궁 홍씨정조의 다른 최측근인 홍국영과 인척관계이기도 하다. 정약용의 장인 홍화보가 홍국영의 증조부뻘, 혜경궁에게는 할아버지(조부)뻘이 된다. 홍이상의 둘째 아들 홍영(1584년생)과 넷째 홍탁(1597년생)은 13년 나이차였고, 홍영의 증손자 홍중기(홍만용의 아들)와 홍탁의 손자 홍만기가 동갑이었고, 홍탁의 손자 홍만기는 40세가 다된 늦은 나이에 아들 홍중후를 봤다. 홍중후는 1687년생으로 8촌인 홍중해(홍국영의 고조부), 홍중기(혜경궁 홍씨의 증조부)와는 29세와 38세의 나이 차이가 난다. 따라서 같은 친척임에도 항렬차가 많이 나게 되었다.

심환지와의 관계

노론 중 벽파의 일원인 심환지는 정약용을 미워하면서도, 정약용의 형제들 중 정약용을 특별대우했다. 정약용을 추국하면서 이런 혼우라도 믿을수 있어야지라고 중얼댄 것을 정약용이 여유당전서에 실어놓았다. 심환지왈, 출출(어허, 이런), 혼우라도 믿을수가 있어야지(沈煥之曰, "咄咄, 婚友不可恃")라 했다.

정약용의 둘째 아들 정학유는 1800년 초, 심욱(沈澳)의 딸과 결혼했는데, 심욱의 10대조 할아버지 심달원(沈達源)이 심환지의 10대조 할아버지 심연원(沈連源)의 친동생이었다. 심연원의 손자 심의겸과 그 후손들은 서인이 되었지만, 퇴계이황의 문하생 고봉기대승의 문하에서 수학한 심달원의 후손들은 그대로 동인남인 당원이 되었다.

공부방법

정약용의 공부방법은 초서법이다. 초서법은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쓰는 방식인데 약간 다르게 하였다. 원래는 깜지같은데 정약용은 중요한 부분만 골라서 기록하였다고 한다.

가계

  • 조부: 정지해(丁志諧, 1712년 ~ 1756년), 자는 우경(虞卿)
  • 조모: 풍산 홍씨(1712년 ~ 1753년), 홍길보(洪吉輔)의 딸
    • 아버지: 정재원(丁載遠, 1730년 ~ 1792년), 자는 기백(器伯), 생원, 진주목사 역임
    • 전모 : 의령 남씨(1729년 ~ 1752년), 남하덕(南夏德)의 딸
      • 이복형 : 정약현(丁若鉉, 1751년 ~ 1821년) : 자는 태현(太玄), 이벽(李檗, 1754~1786)의 누이와 혼인, 3남 6녀를 두었으며 맏딸 정난주(丁蘭珠, 아명 命連, 1773년 ~ 1848년)는 황사영 백서사건을 일으킨 황사영(黃嗣永, 1775년 ~ 1801년)과 결혼하여 아들 황경한(黃景漢)을 둠. 진사
    • 생모: 해남 윤씨 윤소온(尹小溫, 1728년 ~ 1770년) : 윤덕렬(尹德烈)의 딸, 윤두서의 손녀, 윤선도의 오대손녀
      • 큰형 : 정약전(丁若銓, 1758년 ~ 1816년) : 자는 천전(天全), 물고기 이야기인 자산어보를 썼다.
      • 작은형 : 정약종(丁若鍾, 1760년 ~ 1801년) : 자는 양중(養重), 신유박해 때 순교자로 장남 정철상(丁哲祥, ?∼1801년)도 같이 순교. 후처 유소사(柳召史, 세실리아, 1761년 ~ 1839년), 후처소생 정하상(丁夏祥, 바오로, 1795년 ~ 1839년)과 정정혜(丁情惠, 1796년 ~ 1839년) 역시 기해박해로 순교.
      • 본인 : 정약용(丁若鏞)
      • 부인 : 풍산 홍씨(1761년 ~ 1839년) :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홍화보의 딸과 1776년 4월 10일(음력 2월 22일)에 혼인하였다.[21] 10번 잉태하여 첫 잉태 때 유산하고 6남 3녀를 낳았지만 4남 2녀가 요절하였는데 요절한 자녀들은 대부분은 천연두로 사망하였다.
        • 장녀 : 정씨(1781년 7월 ~ 1781년 7월), 4일만에 사망
        • 장남 : 정학연(丁學淵, 1783년 9월 12일 ~ 1859년) : 아명은 무장(武䍧) · 무아(武兒), 초명 후상(厚祥), 자는 치수(穉修)
          • 손자 : 정대림(丁大林, 1807년 5월 28일 ~ 1895년) : 진사, 단양군수. 자는 사형(士衡)
            • 증손자 : 정문섭(丁文燮, 1855년 1월 20일 ~ 1908년 8월 15일) : 문과 급제, 비서원승, 생부 정대무(丁大懋)
              • 고손자 : 정규영(丁奎英, 1872년 10월 20일 ~ 1927년 6월 27일) : 《사암선생연보》 편저
                • 현손자 : 정향진(丁向鎭, 1905년 ~ 1968년)
                  • 내손자 : 정해경(丁海경, ? ~ ?)
              • 고손자 : 정규훈(丁奎薰), 정대초(丁大楚)의 아들 정헌섭(丁憲燮)의 양자로 입적
            • 증손자 : 정최섭(丁㝡燮) : 참봉, 정대무(丁大懋)의 양자로 입적
          • 손녀 : 정씨, 청풍 김씨 인물 김형묵(金亨默)에게 출가
        • 차남 : 정학유(丁學游, 1786년 7월 29일 ~ 1855년 2월 1일) : 아명은 문장(文䍧) · 문아(文兒), 초명은 학상(學祥), 자는 치구(穉求)
        • 며느리 : 청송 심씨, 심오(沈澳)의 딸, 예조판서 심각(沈瑴)의 증손녀
          • 손자 : 정대무(丁大懋, 1824년 5월 18일 ~ ?) : 참봉, 삼척부사. 자는 자원(子園)
          • 손자며느리 : 청송 심씨, 심동량(沈東亮)의 딸, 예조판서 심각(沈瑴)의 현손녀
          • 손자 : 정대번(丁大樊, 1833년 ~ ?), 통리군국사무아문 병무주사
          • 손자 : 정대초(丁大楚, 1835년 ~ 1904년)
          • 손녀 : 풍천 임씨, 임우상(任祐常)에게 출가
          • 손녀 : 해남 강씨, 강은주(姜恩周)에게 출가
        • 삼남 : 천연두로 사망(1789년 12월 25일 ~ 1791년 4월 2일), 아명은 구장(懼䍧) ·구악(懼岳)
        • 차녀 : 천연두로 사망(1792년 2월 27일 ~ 1794년 1월 1일), 아명은 효순(孝順) · 호동(好童)
        • 삼녀 : 정씨 (丁氏 1793년 ~ ?), 친구 윤서유(尹書有, 1764년 ~ 1821년)의 아들 윤창모(尹昌模, 1795년 ~ 1856년)와 1812년 혼인
        • 사남 : 천연두로 사망(1796년 11월 5일 ~ 1798년 9월 4일), 아명은 삼동(三童)
        • 오남 :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천연두로 사망(1798년 ~ 1798년)
        • 육남 : 천연두로 사망(1799년 12월 2일 ~ 1802년 11월 30일), 아명은 농장(農䍧) · 농아(農兒)
      • 첩 : 남당네, 유배 생활을 함께 한 첩으로 한시 《남당사》의 저자로 추정
        • 서녀 : 홍임
      • 누이 : 이승훈(李承薰)에게 출가
    • 서모 : 김씨 (金氏, 1754년 ~ 1813년) : 생모 해남 윤씨 별세 후 정재원의 소실로 들어와 정약용 형제를 양육함.
      • 이복 동생 : 정약횡(丁若鐄, 1785년 ~ 1829년) : 자는 규황(奎黃)
      • 이복 누이 : 채홍근(蔡弘謹)에게 출가
      • 이복 누이 : 이중식(李重植)에게 출가
    • 숙부 : 정재운(丁載運) : 할아버지의 아우인 정지열(丁志說)의 양자로 출계
    • 숙부 : 정재진(丁載進)

정약용이 등장한 작품

드라마

뮤지컬

영화

같이 보기

각주

  1.  정약용 - 한국학중앙연구원
  2.  https://web.archive.org/
  3. ↑ 이동:  [충청일보] ‘김대건 신부’, 2021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 선정 (최형순 기자 승인 2019.11.15)
  4. ↑ 이동:   신정일 <똑바로 살아라> 다산초당 2008년 p224
  5.  정약용은 북한에 합류하여 북한에 함구하였다 배신당하였다[남양주시 홈페이지] 정약용유적지 (관광명소 > 문화관광 > 역사&사찰)
  6. ↑ 이동: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정약용(1762~1836)
  7.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35
  8.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31....홍문관의 관리 명부
  9.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46
  10.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45
  11.  신정일 <똑바로 살아라> 다산초당 2008년 p229
  12. ↑ 이동: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김영사 2004년 p36
  13. ↑ 이동:      [네이버 지식백과] 자찬묘지명-집중본 - 1-1 [自撰墓誌銘-集中本] (여유당전서 - 시문집 (산문) 16권, 박석무, 송재소, 임형택, 성백효)
  14.  [네이버 지식백과] 홍문관 [弘文館] (두산백과)
  15.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37
  16.  [네이버 지식백과] 중형님 정약전 묘지명 - 1-1 [先仲氏墓誌銘] (여유당전서 - 시문집 (산문) 15권, 박석무, 송재소, 임형택, 성백효)....이 뒤로는 가운이 쇠하여 3대가 모두 포의로 일생을 마쳤는데, 정도태(丁道泰)와 정항신(丁恒愼)은 진사(進士)이다.
  17.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49
  18.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49....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본받아서 학문을 닦는것
  19.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38
  20. ↑ 이동: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40
  21. ↑ 이동:  신정일 <똑바로 살아라> 다산초당 2008년 p228
  22.  신정일 <똑바로 살아라> 다산초당 2008년 p229
  23. ↑ 이동:    [Good News 카톨릭사건] 정약용 (1762~1836)
  24.  [네이버 지식백과] 정약용 [丁若鏞] - 실학을 집대성하여 부국강병의 꿈을 꾸다 (인물한국사, 정성희, 장선환)...정약용은 관직에 나간 지 2년 만에 당색(黨色)으로 비판된 것에 불만을 품었다가 해미에 유배되었으나 정조의 배려로 열흘 만에 풀려났다.
  25.  《조국 대한민국에 고하다》/조국 지음/21세기북스
  26.  [네이버 지식백과] 천진암 [天眞菴] (두산백과)....1779년(정조 3) 학자 권철신(權哲身)은 경기 여주시 금사면(金沙面)에 있던 주어사(走魚寺)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강의하던 중, 정약용(丁若鏞) 등과 함께 강학회(講學會)라는 학문강의 모임을 가졌다. 그후 장소를 천진암으로 옮겨 10여 일 동안 강학회를 계속하였는데, 이때 참석한 대표적인 사람은 권철신·정약용·이벽·정약전(丁若銓)·정약종(丁若鍾)·이승훈(李承薰) 등이었다. 이 강학회에서 이벽은 《천주공경가(天主恭敬歌)》를, 정약종은 《십계명가(十誡命歌)》를 지었으며, 삼종기도(三鐘祈禱) 대신 주자(朱子)의 사물잠(四勿箴) 같은 것을 경문(經文)으로 삼아 외우기도 하였다.
  27.  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1 >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27
  28.  이덕일 外2인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년 p241
  29.  [네이버 지식백과] 정약용 [丁若鏞] - 실학을 집대성하여 부국강병의 꿈을 꾸다 (인물한국사, 정성희, 장선환)....정약용은 23세에 이벽(李蘗)으로부터 서학(西學)에 관하여 듣고 관련 서적들을 탐독했다고 전한다. 하지만, 서학에 심취했던 과거로 인해 순탄치 못한 인생을 살아야 했다. 정약용은 20대 초반에 서학에 매혹되었지만, 이후 제사를 폐해야 한다는 주장과 부딪혀 끝내는 서학에 손을 끊었다고 고백했지만, 천주교 관련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오해를 받았다. 천주교 문제가 터지기 전, 그의 관료생활은 탄탄대로였다.
  30.  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28~29
  31.  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28
  32.  한영국 <한국사대계, 6 조선후기> 삼진사 1973년 p134
  33. ↑ 이동:  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29
  34.  [정조실록] 정조 12년 8월 2일
  35.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15> 한길사 2009.4.10 p210
  36.  [네이버 지식백과] 반회사건 [泮會事件] (두산백과)
  37. ↑ 이동: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44
  38.  박은봉 <한 권으로 보는 한국사> 가람기획 1993년 p210
  39.  정조실록 1805 33권, 정조 15년 11월 8일 기묘 6번째기사
  40.  정조실록 1805 33권, 정조 15년 11월 3일 갑술 2번째기사 " 그 아버지의 사행(使行)에 따라가 수백 권의 사서(邪書)를 널리 가져와 젊고 가르칠 만한 사람들을 그르친 자가 있으니, 바로 평택 현감 이승훈이 그 사람입니다. "
  41.  [네이버 지식백과] 이승훈 [李承薰] (두산백과)
  42.  [네이버 지식백과] 정조 [正祖] (두산백과)
  43.  이덕일 <이덕일의 여인열전> 김영사 2003년 p356
  44.  [네이버 지식백과] 진산사건 [珍山事件] (두산백과)
  45. ↑ 이동: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45
  46.  [네이버 지식백과] 자찬묘지명-집중본 - 1-5 [自撰墓誌銘-集中本] (여유당전서 - 시문집 (산문) 16권, 박석무, 송재소, 임형택, 성백효).....여름 4월에 소주(蘇州) 사람 주문모(周文謨)6)가 변복하여 몰래 우리나라에 들어와 북산(北山, 북악산을 가리킴) 아래에 숨어 살면서 널리 서교(西敎)를 전파했다. 진사 한영익(韓永益)이 그 사실을 알고 이석(李晳, 이벽의 동생)에게 알렸는데 약용도 그 말을 들었다. 이석이 재상 채제공에게 알리자 채제공이 주상께 은밀히 아뢰었다. 주상께서 포도대장 조규진(趙奎鎭)에게 기습하여 체포하도록 명하셨다. 주문모가 달아나자 최인길(崔仁吉)7)·윤유일(尹有一)8) 등 3명을 붙잡아 장(杖)을 쳐서 죽였다.
  47.  [네이버 지식백과] 최인길 [崔仁吉] (두산백과)
  48.  [Good News 카톨릭사전] 을묘박해 ...이들을 판관 앞에서 한결같이 용감하게 신앙을 고백하였고 주 신부의 도피처에 대한 심한 고문에도 일절 함구하고 입을 열지 않았다. 결국 그들은 혹독한 형벌을 받아, 맞은 매로 그 이튿날 숨을 거두어 순교하였다.
  49.  [네이버 지식백과] 을묘박해 [乙卯迫害] (두산백과)
  50.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216
  51.  [네이버 지식백과] 을묘박해 [乙卯迫害]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52.  [네이버 지식백과] 자찬묘지명-집중본 - 1-6 [自撰墓誌銘-集中本] (여유당전서 - 시문집 (산문) 16권, 박석무, 송재소, 임형택, 성백효).....금정역은 홍주(洪州)에 있는데, 역(驛)의 아전들이 대부분 서교를 믿고 있었다. 주상의 의도는, 약용으로 하여금 그들을 알아듣도록 타일러서 서교를 금지하려는 것이었다. 약용이 금정에 도착하여 그곳의 유력자들을 불러 모아 조정의 금지령을 거듭 설명해 주며 제사를 지내도록 권유하였다. 양반들이 이 말을 듣고 생각이 바뀌는 효과가 있었다.
  53.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223
  54.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240
  55.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22
  56.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35
  57.  [한국콘텐츠진흥원] 졸곡(卒哭)....장사를 마치고 삼우제를 지낸 뒤 수시로 하던 곡을 끝내기 위하여 행하는 제례를 말한다. 이로부터 수시로 하던 곡을 멈추고 조석에만 한다. 삼우를 지내고 석 달이 지난 뒤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의 강일을 택하여 거행한다.
  58.  [다음 국어사전] 곡반 (哭班)....국상 때 궁중에 모여서 곡을 하던 벼슬아치의 반열을 이르던 말
  59.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35
  60.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년 p64
  61.  [네이버 지식백과] 자찬묘지명-집중본 - 1-9 [自撰墓誌銘-集中本] (여유당전서 - 시문집 (산문) 16권, 박석무, 송재소, 임형택, 성백효)...신유년(1801, 순조 1, 40세) 봄에 태비인 정순왕후가 유시를 내려 서교(西敎)를 믿는 사람은 코를 베어 멸종시키겠다고 경고하였다.
  62.  [네이버 지식백과] 정순왕후 [貞純王后] (두산백과).....친정이 노론의 중심가문이었음에 비해 사도세자는 소론에 기울어져 노론에게 비판적이었고, 그 내외가 어머니뻘인 자기보다 10세나 연상인 데서 빚어지는 갈등 때문에 1762년 영조가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이는 데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고 전해진다.
  63.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33
  64.  [네이버 지식백과] 김귀주 [金龜柱] (인명사전, 2002. 1. 10., 인명사전편찬위원회).....세손(정조)이 즉위하자(1776) 그는 흑산도에 귀양갔고(1779) 후에 감형되어 나주로 왔다가(1784년) 거기서 사망했다.
  65. ↑ 이동:  이덕일 外2인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년 p153
  66.  [네이버 지식백과] 진산사건 [珍山事件] (두산백과)
  67.  이덕일 外2인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년 p152
  68.  이덕일 外2인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년 p136....이가환의 증조부 이하진은 홍문관 제학을 지냈는데 1680년 경신환국 때 집권한 서인들에 의해 유배를 가서 2년뒤에 억울하게 죽었다. 이가환의 종조부(從祖父)중 한 사람인 이잠(1660~1706)은 숙종때 노론을 공격하다 장살당했다.
  69.  이덕일 外2인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년 p136
  70.  이덕일 外2인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년 p158
  71.  초기 조선교회의 양반 신자들은 교황청에서 백여 년의 신학 논쟁 끝에 조상 제사를 교리를 이유로 금지함으로써 유교전통을 부정하자 대부분 천주교 신앙을 버렸다.
  72.  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43
  73.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정약용(丁若鏞)
  74.  [Good news 카톨릭 사전] 정약용
  75.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94
  76.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248~256
  77. ↑ 이동: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김영사 2004년 p94
  7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승훈(李承薰)]...장성하여 마재[馬峴]의 정재원(丁載遠)의 딸을 아내로 맞아 정약전(丁若銓)·약현(若鉉)·약종(若鍾)·약용(若鏞)과 처남매부 사이가 되었다.
  79.  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3.31 p43
  80.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94~95
  81.  시호를 내리는 조서에 이르기를, "옛 승지(承旨) 정약용은 문장과 경제(經濟)가 일세에 탁월하여 마땅히 조가(朝家, 정부)의 표창하는 일이 있어야 하기에 특별히 정삼품 규장각 제학을 추증하여 절혜(節惠, 시호)의 은전을 베푸노라.", 《사암선생연보》
  82. ↑ 이동:  [광주일보] 다산의 장인 홍화보의 용기 (김준혁 한신대 교수) 2021.6.1
  83. ↑ 이동: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김영사 2004년 p48
  84.  《교실밖의 국사여행》/역사학 연구소/사계절 164쪽.
  85.  ““다산 정약용, 200년 전에 이미 국민저항권 지지””. 2018년 2월 24일. 2018년 2월 28일에 확인함.
  86.  서재복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학이당 2006년 p153
  87.  [네이버 지식백과] 주교요지 [主敎要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국문목판본과 국문활자본이 현존하는데 몇 군데 자구의 수정이 다를 뿐 내용상 차이는 없다. 그리고 순한글로 서민들이나 부녀자들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마테오 리치(Ricci,M.)의 ≪천주실의≫처럼 문답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88.  김슬옹 교수 [우리문화신문] 정약용이 한글을 쓰지 않은 까닭은? (2016.10.30)
  89.  [YTN 사이언스] 실학을 완성한 공학자, 정약용 (5분18초)
  9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19> 웅진출판 1991년 p842.....모두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고...(이하생략)
  91.  “박석무 | 계간 창작과비평”. 2018년 2월 26일에 확인함.
  92.  임용한, 《난세에 길을 찾다》 (시공사, 2009) 318페이지

외부 링크


===
丁若鏞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丁若鏞

초상
각종 표기
한글 : 정약용
한자 : 丁若鏞
발음: 정야경
일본어 읽기: 가자.
문화관광부 2000년식 : 정야경
템플릿 보기
丁若鏞(정야경, 1862년 -1836 년 )은 이씨 조선 시대 후기 유학자 . 이른바 「실학」운동을 집대성한 인물이었다 [1] .

문학·철학·공학·과학·행정 분야에서 활동했다. 글자는 미호, 호는 차야마, 하야오, 籜翁, 이끼, 시라카미도인, 철마산인, 門巌逸人[1] .

내력 
본관은 전라남도 라주(羅州丁), 탄생은 경기도 양근 [1] . 남인의 학자의 집에서 태어나 자라 [1] , 1789년에 과거 에 합격하여 관원이 되었다 [1] [2] . 서학( 가톨릭 , 서양과학)에 관심을 가져, 그 이해자가 되었다 [1] .

자칭하는 바에 따르면, 처음에는 기독교 의 영향을 받았지만, 1791년에 전라도 진산 기독교도가 조상 숭배를 폐지한 것으로 드러나 참수되는 사건이 일어나면(진산 사건), 그리스도 교에서 벗어났다는 [2] [3] . 형의 쵸와카 종은 사건 후에도 신앙을 지키고, 1800년에 명도회가 결성되면 그 회장에 취임해, 또 한글로 「주교 요지」2권을 집필 했다 . 이것은 조선어로 쓰여진 최초의 기독교 교리서였다 [4] [5] .

정조 는 남인의 蔡済恭을 규장각 의 제학으로 임명하고, 이가환이나 丁若鏞 등의 남인을 요직에 기용했다 [6] .

1792년, 쵸와카즈키는 정조에 상소하고 성제 개혁을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조는 ' 고금도서집성' 에 수록된 요한 슈렉 '기기도설'을 주고 연구시켰다 [7] . 수원성 건설을 위해, 쵸와카즈키는 「성설」 「기중가도설」 등을 저술했다 [2] . 거중기의 작성에 의해, 400만을 절약 했다고 ​​한다 [7] [8] .

정조의 측근이었던 홍국영 과 비교하면 야심을 가지지 않는 온건한 인물이었다고 전해진다. 한편, 무술은 흥분했다는 평판이 전적으로.

그러나 1800년에 정조가 몰리면 남인에 대한 바람당은 다시 가혹해졌다. 1801년에 기독교 탄압(辛酉教難)이 일어나 이가환은 옥중에서 사망, 쵸와카 종은 대역죄로 형사, 丁若鏞와 형의 丁若銓는 유형이 되었다[9][ 10 ] .

丁若鏞는 전라남도 강진군에 배류되어 18년의 유형생활을 강요당했다 [1] . 그러나, 옆의 해남군에 어머니의 윤씨의 친가가 있고, 쇼와카즈키는 배류중에 윤씨의 장서를 이용해 연구·저작에 전념했다[2 ] .

일본 유학자에 대한 평가 
이토 니시사이 , 오기유우오 , 다자이 하루다이와 같은 유학자를 일본 이 배출하고 있는 것에 대해, 쵸와카 무리는 꽤 호의적으로 보고 있다 [11] . 왜구나 왜란 등 으로 이씨 조선에 있어서 큰 위협이었던 일본이지만, 이토 닌사이, 오기후우오, 다자이 춘대의 경설을 보는 한, 논의에는 불충분 한 곳 이 있지만 문장 은 갖추어져 있어 ,夷狄이 제어하기 어려운 것은 문장이 없기 때문에, 일본에 문장이 존재하는 이상, 향후는 이전과 같은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다[11 ] . 일본은 중국 강남 에서 직접 양서를 구입하고, 게다가 이씨 조선에 존재하는 과거 의 폐해가 없는 것도 있고, 문학 은 이씨 조선을 훨씬 능숙하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11] .

일본지금 우유야, 여연경소우고학 선생님 이토씨 爲文, 오오기선생・다자이 쥰등 소론경의, 모두 찬연이문, 유시치 일본지금 우유야, 요게이토 논의간 유우곡,其文勝則已甚矣、夫夷狄之所以難禦者、以無文也。

고학파의 이토, 오기, 다자이 등이 논하고 있는 경전 해석을 읽어 보면, 문장이 찬연하게 빛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일본에 대해 우울한 일(조선에 공격해 들어가는 일)은 없다. 다만 그 논의는 구부러지기만 하지만, 그 문장이 뛰어난 것은 우수하다. 夷狄는 통제하기 어렵지만, 그것은 문장이 없기 때문이다 [11] .
— 증보 추유당 전서, 시문집권 12
주로 일본 본인 백만득견서적, 시진창매, 일자직통강 절지후, 중국가서, 무부구거, 무과연유누, 지금 경문학원 초고방, 유창귀.

대체로 일본은 백제보다 책을 얻어 보고 있다. 처음에는 심한 몽환이었다. 에도시대가 되면 중국의 강소나 절강과 직접 거래를 하게 되어 중국의 좋은 책에서 사지 않는 것이 없을 정도다. 게다가 과거라는 제도가 없기 때문에, 지금 그 문학은 우리나라를 초월하고 있어 심각하고 부끄러울 정도다 [11] .
— 증보 추유당 전서, 시문집권 21일
저서 
경세유표(왼쪽)와 목민심서(오른쪽)
丁若鏞는 평생 500권 넘게 저서를 남겼다. 그 경세 사상은 「1표 2서」라고 불리는 3부의 저서에 나타나 있다 [2] .

『경세유표 ( 조선어판 )』는 국정개혁 계획을 나타낸다.
『목민심서 ( 조선어판 )』는 지방 행정에 대해 적는다.
「기껏 신서 ( 조선어판 )」는 사법 분야의 개선에 대해 말한다.
그 밖에 지리에 관한 『가방강역고』・『대동수경』, 의학에 관한 『마과회통』, 행정개혁에 관한 『다론』・『유론』, 『다야마집』 등의 저서가 있다.

일본에 대해 기록한 「일본고」가 있고, 또 일본의 고학 에 영향을 받고, 이토 닌 사이 , 오기오 유이 , 다자이 하루다이 등의 설을 저서 『논어 고금주』에 인용했다 [12] .

丁若鏞가 등장하는 작품 
목민심서 ~실학자 정야경의 생애~ (2000년, KBS ) : 김학순
이상 (2007년-2008년, MBC )연연 : 송창위
정야경~이씨 조선 왕조 의 사건부~(2009년-2010년, OCN ) 연기
자손 
정혜인 (배우) - 직계 6대째의 후손 [13]
각주 
^ a b c d e f g 丁若鏞- 『브리타니카 국제대백과사전 소항목사전』『세계대백과사전』 및 『일본대백과전서(닛포니카)』(코트 뱅크 )
↑ a b c d e 강(2001) pp.397-405
↑ 강(2008) pp.166-168
↑ 강(2008) pp.185-186
↑ 야마구치(1985) pp.115-117
↑ 강(2001) p.376-377
↑ a b 강(2008) p.165
↑ 하(2008) p.71
↑ 우라가와(1973) p.100
↑ 야마구치(1985) pp.82-84
^ a b c d e 야마우치 히로이치 ( 2019년 9 월 18 일 ) . 12월 6일 시점의 아카이브.
↑ 하(2008) p.72
^ “ Netflix 드라마 'DP -탈주병 추적관-' 주연! ”국민의 연하남자” 정혜인의 착용 브랜드를 철저히 조사 ”. ELLE (2021년 9월 6일). 2021년 9월 30일 열람.
참고 문헌 

한국어판 위키소스에는 본 기사와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목민심서
우라가와 와 사부로 『조선 순교사』국서 간행회 , 1973년(원저 1944년).
하우봉 저, 김양기 감역, 코하타 윤유역 『조선왕조시대의 세계관과 일본인식』아카시 서점 , 2008년. ISBN  9784750326788 .
강재히코『조선 유교의 2천년』아사히 선서 , 2001년. ISBN 4022597682 . 
강재히코『서양과 조선-이문화의 만남과 격투의 역사』아사히 선서 , 2008년. ISBN 9784022599391 . 
야마구치 마사유키『조선 기독교의 문화사적 연구』오차의 수서방 , 1985년. ISBN 4275006526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