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01

前田專學 - Wikipedia Sengaku Mayeda Indian and Buddhist Studies

前田專學 - Wikipedia


Sengaku Mayed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engaku Mayeda
BornApril 1, 1931
OccupationWriter
AwardsPadma Shri
Third Order of Merit with the Middle Cordon of the Rising Sun
Buddhagunupakan Kancanakiartigun – Highest Decoration of Excellence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Award
Academic Achievement Award
Japan Academy Award
Excellent Book Award

Sengaku Mayeda is a Japanese writer, philosopher and teacher, known for his writings on Indian philosophy and Adi Shankara. He was honoured by the Government of India, in 2014, by bestowing on him the Padma Shri, the fourth highest civilian award, for his services to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education.[1] He is the fourth Japanese to be honoured with Padma Shri, after Taro NakayamaShoji Shiba and Prof. Noboru Karashima.[2] He is also a recipient of the Third Order of Merit with the Middle Cordon of the Rising Sun of the Government of Japan, which he received in 2002.[2]

Biography[edit]

Sengaku Mayeda was born on 1 April 1931 at Nagoya, in the prefecture of Aichi, in Japan.[2] He did his pre graduate studies at the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in Tokyo and graduated with BA from the Department of Indian Philosophy and Buddhist Studies, Faculty of Letters, University of Tokyo, in 1955. He continued his post graduate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Tokyo and secured his MA from the Department of Indian Philosophy, Division of Humanities, in 1957.[3]

His doctoral research was at the same school at the University of Tokyo and obtained a doctorate degree in 1962. This was followed by a doctoral degree, Doctor of Philosophy, from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under Professor W. Norman Brown in Rigveda and Sanskrit,[2] in the same year and, later, Doctor of Literature from University of Tokyo in 1973.[2][3][4]

In 1961, Sengaku Mayeda got the Harrison Research Fellow from University of Pennsylvania. A year later, he got the Faculty Research Fellowship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Indian Studies of University of Madras where he had the opportunity to associate with the noted philosopher, T. M. P. Mahadevan.[2][5] The next year, he got the Alexander von Humboldt-Stiftung fellowship and worked along with Prof. Paul Hacker[2] at the University of Münster, West Germany.[3]

Mayeda started his teaching career in 1964, joining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s the Assistant Professor of Indian Philosophy. In 1968, he returned to Japan and to research as the Director of the Research Division of Suzuki Research Foundation in Tokyo where he worked till 1973. The next assignment was again at teaching, as the Assistant Professor of Indian Philosophy at University of Tokyo, and he retired as the Professor in 1991.[2][3]

After retirement from the Tokyo University, Mayeda was offered the post of the Professor of Indian Philosophy at Musashino Women's University. Three years later, he became the Vice President and worked there till 1998.[2] He continued as the Professor at the University till 2001 when he gave up on regular teaching.[3]

Sengaku Mayeda has held many important posts related to Philosophy and Indo Japanese relations. He has been a Director of the Indo-Japanese Association since 1983, a post he still holds. He was the President of the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for two terms, first from 1991 to 1995 and then from 1998 till 2002. He was the Chairman of the Graduate School of Human and Cultural Studies at the Musashino Women's University from 1999 to 2001.[3] He has also served as a member of the Steering Committee of Japan-India Friendship Year of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e also worked as a member of the Steering Committee of the Federation Internationale des Societies Philosophie during the period from 2003 to 2008.[2]

Sengaku Mayeda presently holds the posts of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Eastern Institute, founded by Hajime Nakamura,[2][4] the Chairman of Japan-India Academic Exchange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he President of the Ashikaga Gakko, Ashikaga.[3]

Publications[edit]

Sengaku Mayeda has written extensively about Adi Shakara and the Indian philosophies, by way of published books and articles. Among them, Thousand Teachings: The Upadesasahasri of Sankara, in two volumes, is counted as his masterpiece. The book is a critical study of 27 poetic and 11 prose manuscripts, translated into English by the author.[4]

Some of Mayeda's publications are:[2]

Book-author
Book-editor
  • Sengaku Mayeda, ed. (January 1, 2000). Way to Liberation: Indological Studies in Japan Vol.1. Manohar Publishers and Distributors. p. 289. ISBN 978-8173043741.
  • Y Matsunami, M Tokunaga, H Marui Edited By: Sengaku Mayeda (Author) (2001). Way to Liberation. Manohar Publishers (IND). ASIN B00CBVS9AE. {{cite book}}|author= has generic name (help)
Articles

He has also been a prolific writer of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many journals of international repute[3] and regularly gives lectures on the subject.[6][7]

Positions held[edit]

Mayeda is the Professor Emeritus, University of Tokyo and Musashino University.[2] He has held, during his career, various positions of importance.

  • President - Ashikaga Gakko, Ashikaga[2]
  • Director -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2]
  • Director - Association of Buddhist Thought[2]
  • Councilor - Japanese Association of Religious Studies[2]
  • Chairman - Editorial Committee of the English Tripitaka[2]
  • Chairman -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Buddhism[2][8]
  • President - Nakamura Hajime Eastern Institute, Tokyo[2]
  • Director - Nakamura Hajime Memorial Hall, Matsue, Shimane Prefecture[2]
  • Advisor - Indo-Japanese Association[2]
  • Director - Indo-Japanese Association[2]
  • Special Advisor of the Sanin-India Association and Buddhist Studies[2]

Awards and recognitions[edit]

He is a research fellow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Beijing, China and is a recipient of Doctorate of Literarture (Honoris Causa) from the Buddhasravaka Bhiksu University, Sri Lanka.[2]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Padma Awards Announced"Circular. Press Information Bureau, Government of India. January 25,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2, 2014. Retrieved August 23, 2014.
  2.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Embassy Bio" (PDF). Indian Embassy – Tokyo. January 27, 2014. Retrieved August 30, 2014.
  3. Jump up to:a b c d e f g h i j k l "FISP Profil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s Sociétés de Philosophi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Philosophical Societies). 2014. Retrieved August 31, 2014.
  4. Jump up to:a b c "Upadesasahasri of Sankara". Exotic India. 2014. Retrieved August 31, 2014.
  5. ^ "TMP Mahadevan". Shri Kanchi Kamakoti Peetham. 2014. Retrieved August 31, 2014.
  6. ^ "Lectures". Japan India Association. 2014. Retrieved August 31, 2014.
  7. ^ "Lecture 2". Bukkyo Dendo Kyokai. 2014. Retrieved August 31, 2014.
  8. ^ "Society for Promotion of Buddhism". Bukkyo Dendo Kyokai. 2013. Retrieved August 31, 2014.

External links[edit]

前田專學

出典: フリー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
まえだ せんがく
前田 專學
生誕1931年4月1日(92歳)
愛知県名古屋市
出身校東京大学文学部印度哲梵文学科卒
東京大学文学博士の学位授与大学)
職業東京大学名誉教授
中村元東方研究所理事長・東方学院
受賞日本印度学仏教学会賞(1972年)
東方学術賞(1981年)
日本学士院賞(1989年)
勲三等旭日中綬章(2002年)
パドマ・シュリー勲章(2014年)
仏教伝道文化賞(2020年)

前田 專學(まえだ せんがく、1931年4月1日 - )は、インド哲学者、仏教学者東京大学名誉教授。文学博士公益財団法人中村元東方研究所理事長・東方学院長。

来歴・人物[編集]

愛知県名古屋市に生まれる。実兄は原始仏教及び上座仏教研究者の前田惠學、祖母は日本画家前田錦楓

愛知県立瑞陵高等学校を経て、1955年東京大学文学部印度哲学梵文学科卒。同大学院人文科学研究科修士課程修了後、フルブライト奨学生として米国ペンシルベニア大学大学院東洋学専攻博士課程に留学。修了後、同大学助教授などを経て、1982年に東京大学文学部印度哲学科教授。1991年定年退官、名誉教授。武蔵野大学教授・副学長を歴任。1973年文学博士(東京大学)。

インド哲学仏教学・比較思想学・東洋思想学研究の第一人者だった中村元の直弟子で、後継者の一人。中村元の退官後に講座を継いだ。中村の没後に、インド学仏教学・比較思想および東洋思想の発展を目指し創設した「財団法人東方研究会東方学院」(現・公益財団法人中村元東方研究所)の理事長・学院長職を引き継いだ。

インド中国韓国アメリカヨーロッパなど世界の国々の学界に学際的研究成果を発表している。なお日本最古の学校である足利学校の庠主(しょうしゅ、学長)に就くなど、人文教育の顕彰も行っている。

学歴・職歴[編集]

名誉博士学位[編集]

  • 2003年12月 名誉博士(Mahamaopadhyaya, Sri Sri Sitaramdas Omkarnath Samskrita Siksha Samsad)
  • 2009年5月 名誉文学博士(Doctor of Literature Degree:Sri Lanka National University of Buddhasravaka Bhikshu, Anuradhapura-Sri Lanaka)

受賞・栄典[編集]

主な著書[編集]

電子出版
  • 『ブッダのおしえとインドの思想 前田專學講演録』響流書房、2017年

博士論文[編集]

  • 『Shankara's Upadeshasahasri, Critically ed. with Introduction and Indices(Hokuseido Press), A Thousand Teachings(University of Tokyo Press an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1973など。

主な編著[編集]

主な翻訳[編集]

  • ジャータカ全集(3) 第191話-第300話』 春秋社、1982年 ISBN 4393116232
  • シャンカラ 『ウパデーシャ・サーハスリー 真実の自己の探求』 岩波文庫、1988年 ISBN 4003326415
  • ハリ・プラサード・シャーストリー『こころに響く日本 1916~1918: あるヒンドゥー思想家の訪日印象記』響流書房、2019年(電子書籍)

脚注[編集]

  1. ^ 日印協会役員等一覧”. 公益財団法人日印協会. 2014年4月4日閲覧。
  2. ^ 学春の叙勲、褒章―私学人多数”. 全私学新聞 (2002年5月3日). 2023年5月23日閲覧。

参考資料[編集]

関連項目[編集]

外部リンク[編集]

이즈츠, 수피즘, Ch9 Ontological Mercy 존재론적 자애

퀘이커 공부회 Quaker Study Group in Korean (& English) |

崔明淑
이즈츠 수피즘 
Ch 9 Ontological Mercy 존재론적 자애

-지난 두 장에서는 신의 이름에 위계가 있다는 것.. 
낮은 차원의 신의 이름을 높은 차원이 신의 이름이 포함한다는 것이 명료해졌다. 
모든 것을 포괄하는 신의 "이름"은 이븐 알라니에 의하면 그런 이름이 반드시 있다.
 지고한 "이름" 그 이름이 가지는 "성질""하는 일"을 이번 장에서 검토하겠음
신의 자비

-이븐 아라비의 "자비(rahmah)"는 "배려, 관용, 연민, 자비"와는 다른 것.
-존재론적 사실이 "자비" 임

첫 번째 의미; 사물을 존재하게 하는 행위, 사물에 존재를 사물에 존재 부여를 하는 행위.
신은 본성상 관용, 자비가 넘쳐흘러 넘치는 것, 
이븐 아라비는 신의 분노도 인정하지만 자비는 본질적으로 절대자에게 귀속되지만 분노는 절대자의 본질에 포함되지 않다고 한다. 분노는 절대자의 여러 성질이 드러나기 전의 무언가 빠진 형태,, 자비가 분노 앞 있음.

-신의 자비가 존재론적으로 원하는 것에 퍼져 그 원함에게 존재를 부여한다. 그렇게 실현된 원함이 "준비"가 된다. 원형의 "준비"는 원형에게 행하여진 "신의 자비"의 결과이다. 신의 자비는 절대자의 자기 현현의 한 과정.

- 1단계;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이 존재하기 위한 "준비"를 부여하는 게 1단계,
어떤 것이 어떤 것이라고 인지되기 위해 보이는 일차적 존재 자비로부터 자비 그 자체를 생성.. 따라서 자비가 퍼지는 최초의 대상은 자비 그 자신. 2단계 자비의 대상은 이름의 그 자체성 3단계는 끝없이 생성되는 모든 존재자의 그 자체성-----존재 부여 신학적으로 말하면 "창조"
- 2단계; 자비가 나타나는 이 단계는 “이름 ”혹은 항상 항상 원형의 그 자체의 성질을 확립하는 단계로 자비가 그것들 이름에 존재를 부여한다. 이 단계도 아직 불가 시한 타자기. 1단계 자비와는 다름
- 3단계 자비는 신의 이름이 존재한 2단계와 달리 이름이 실현된 구체적 현실 개체의 자비.
즉, 신의 본질에서 최종적으로 현상된 모든 존재자들 전 세계를 뒤덮는다.
​----
-무상의 선물로 존재 부여를 하는 자비와 다른 인간 본성에 자리한 자비와 가까운 자비도 있다.
그것을 “의무의 자비”라고 하는데 존재론적으로 말하면 이 자비는 각 개체가 “준비”가 된 정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주어지는 “자비”. 
“무상의 자비”는 의무의 자비를 포괄한다. 각 개인이 어떤 좋은 행위를 하면 받을 가치가 있는 자비가 의무의 자비처럼 보이지만 이븐 알라비에 의하면 그 자체도 그 행위 자체는 인간이 아니라 신자신이다.

-무상의 선물로서의 자비는 존재자의 선악과 관계하지 않는다. 그러나 존재는 절대자가 가지는 근본적인 자비가 나타난 것이므로 본질적으로 선한 것이지 인간이 스스로 주관적 상대적 시점에서 말하는 선과 악은 이븐 아리비에게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다. 

(마늘냄새를 싫어하는 이유-모양을 싫어하는 것.. 무슨 농담?-천사가 인간의 방귀 냄새를 싫어하는 이유-인간의 구성요소 탓-말똥구리의 예-장미 냄새와 똥 냄새)

-상기의 의미에서 종교적 의미의 선악, 순종, 반역조차도 궁극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것이고 사물이 가지는 두가지 측면에 불과하다.(모세와 이집트 왕 앞에서 지팡이와 뱀) 문맥에 의해 선이 되기도 악이 되기도…
-자비의 두 가지 작용중 하나는 존재를 부여하는 자비와 각각의 사물에 절대자의 본질이 스스로의 가능성과 호응해 존재를 획득하는 자비. 자비의 움직임은 우선 자비 그 자신에게 나타나고 자기 자신의 존재론적 자비를 행사하고 자비는 각각 종교 속에서 창작된 절대자에 존재를 부여한다.

-이븐 아라비는 자비를 구하는 자를 두가지로 나눈다. 
베일에 싸여진 사람과 안 싸여진 사람. 
베일에 싸여진 사람은 스스로의 주에 이것울 달라 저것을 달라고 원한다. 이브아라비는 이것을 실상을 모르는 어리석은 행위. 
베일에 안 싸인 사람(깨달은 자)는 ”알라여 우리에 자비를 주세요 “ 
이말은 자비깊은 사람이 다른사람에게 자비를 보이는 형태의 자비가 아닌 , 
알라라는 이름이 내포한 보편적 자비를 스스로 주체적으로 의식할 수 있게 자비를 받는 수동적 상태를 초월해 자비를 주는 위치에 자기를 두는 것이 원하는 것이다.
신이 숨을 불어넣는 현상; 신의 원래 자기 안쪽에 있었던것을 있어라라는 말로 바깥으로 내보내안에 있던 신 자신이 밖으로 나가 존재 하게 된다. 
이븐 아라비아의 견해로는 자비의 숨결은 과거 어느 지점에서 한번만 일어나는것이 아니라 쌓여있던 숨이 바깥으로 나가려고 하는 스스로의 압력에 의해서 분출하는 과정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것이다. 
“자연”은 자비로운 자의 숨결. 최고의 형태에서 죄저의 형태까지 모두 숨결속에서 나타난다. (”신의 숨“은 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우리가 ”자연“이라고 부른 것, 4원소는 자연의 형태, )

-“사랑”은 “자비”와 같은 개념이지만 조금 다른 시각으로 보면 
“사랑”은 신학적으로 보면 신이 세상을 창조한 동기이며 
이븐 아라비의 존재론으로 보면 신이 자기를 드러내는 원동력이다.

“신은 숨겨진 보물, 나는 알려지는 것을 원한다, 
따라서 나는 피조물을 창조해 나 자신을 그것들에게 알리어 주었다. 
그러자 그것들은 실제로 나를 알았다”

-진리를 아는 자의 눈으로 보면 
존재하는 모든 차원에서 일어나는 운동현상이 사랑에 의해서 일어난다. 

사랑의 움직임이 없으면 모든 것은 정지상태, 즉 비 운동의 상태일 것이다. 
운동하지 않음은 “비존재”를 의미한다.

비 존재의 상태에서 존재의 상태로 운동해가는 운동은 사랑의 운동다. 
절대자가 스스로를 다로 나누어 나타나 생성되는 “있음”을 완전하게 이끈다. 
세계의 운동은 완전하게하는 “사랑”에서 태어났다고 이해해야 한다. 
이븐 아라비는 “사랑”이라는 개념과 “자비”의 숨결이라는 개념을 연결했다.


Taechang Kim - 円仏教的地球人文学の構築試案 이연주

Taechang Kim - 昨夜(2023.6.27.火曜日、19:00-21:45)... | Facebook

Taechang Kim
  · 
昨夜(2023.6.27.火曜日、19:00-21:45)
公共する美学を共にデザインするワークショップで

イヨンジュ(韓国円光大学円仏教研究院)研究員による恩恵哲学関連講演傾聴所感:

1、円仏教創始者小泰山の思想と教えに基づきながらも、
自分なりの思惟と経験による恩恵哲学は多様多数の円仏教論
地球環境論(主に欧米人によるもの)とは違う
円仏教的地球人文学の構築試案としての意義を評価したい.

2、アメリカイエール大学神学部のWillis Jenkins 教授のEcologies of Graceや
ハンガリー出身上智大学教授のP. ネメシエギ博士の神の恵みの神学、
そして仏教思想研究会編仏教思想4恩等々との関連究明を通じて
共感 共鳴の輪を広めたい.

3、次の段階として恩恵美学への発展開新を期待す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