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22

일선님 '야마기시즘 실현지' 산안농장 방문 1991년

 나단청

친구요청 수락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정보가 페이스북에 별로 없어서..

자진 신고합니다.😊

저는 유상용씨와 동갑내기 이면서 산안농장에서 함께 살았습니다.

지금은 경상남도 진주에 살고 있고 지리산 고운동에서 이남곡 선생님과 인문 수업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제가 산안 농장 있을때 선생님 어머님께서 농장으로 7박8일 특별강습연찬회 오셨지요.

캐나다에서..

오래전 일이지만 열정이 대단하신 할머니로 기억 됩니다.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

You sent Yesterday at 11:09

아, 그러시군요. 반갑습니다.

---

11:57

You sent Today at 11:57

저의 어머니 일선님이 산안농장에 가신 것이 몇년도였던가요? 어머니 일기에서 한번 찾아보려고요. 그리고 그때의 어머니 기억에 대해 기억나시는 것을 조금 더 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도 어머니와 같이 살지 않아 잘 모르는 어머니의 생활입니다

---

15:02

나단청

단청 sent Today at 15:02

1991년경인것 같은데 정확하지가 않습니다.


"멀리 토론토에서 ?  를 찾아 여기까지 왔습니다"

라고 분명하게 말씀하셨는데

그게 '행복'  이었는지 '자유'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특별강습연찬회 감상문이 아직 남아있는지 유상용씨가 농장에 연락해본다고 합니다.

좋은 소식 있으면 좋겠습니다^^

----

You sent Today at 15:11

감사합니다

----


“바람, 물, 땅”의 생태여성적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 풍수우주론으로부터 생태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재해석한 삼위일체론

Korea Open Access Journals

“바람, 물, 땅”의 생태여성적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 풍수우주론으로부터 생태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재해석한 삼위일체론

신학사상

약어 : 신상

2017, no.179, pp.117 - 154

DOI : 10.35858/sinhak.2017..179.004

발행기관 : 신학사상연구소

연구분야 : 기독교신학

Copyright © 신학사상연구소

강현미1
1University of Exeter (UK)

Korea Citation Index
인용한 논문 수 : 2 서지 간략 보기

초록
본 논문은 현대 한국교회 저변에 만연한 성차별(sexism) 의식과 자연, 생태, 생명 인식의 결여로(eco-antipathy) 억압받는 여성과 자연의 해방을 도모하는 생태여성적(eco-feminist)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을 풍수우주론으로부터 제시한다. 한국 토착적 시각으로부터의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의 제시는 가부장적 남성중심주의와 인간중심적 기독교가 여성과 자연을 소외시키고 억압했다는 비판에 대한 새로운 신학적 해결책으로, 풍수우주론으로부터 은유의 상징 언어를 통해 생태여성신학(eco-feminism)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은 전통적 기독교 언어의 해석학적 신학의 범주를 넘어 한국의 토착적이며 생태여성신학의 시각에서 새로운 재해석을 통해 탈 가부장적 기독교 신학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은유”(metaphor)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해석학적 도구로 사용되며, 역(IChing)을 기반으로 한 풍수우주론의 음양론과 기론을 바탕으로 한국교회 여성들의 경험을 포함하는 생태 여성적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을 제시한다. 새롭게 제시되는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의 세 위격(hypostasis)은 풍수(風水)의 어원적 속성과 여성적 속성을 가진 은유, 즉 ‘풍(바람/기)’을 해방의 성령으로, ‘수(물)’를 구원의 그리스도로, ‘땅’을 창조주 어머니로 재해석 한다. 풍수우주론으로부터 재해석된 우주론적이며 포괄적인 생태여성적 삼위일체 하나님 모델은, 이원론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가부장적 기독교의 남성적 언어와 해석학의 범위를 넘어 패러다임의 전이를 통해 일원론적, 비위계적 사유로의 재해석으로 부터 억압받고 소외되어온 여성과 자연의 해방을 이루게 할 것이다.

키워드
풍수우주론, 생태여성 하나님 모델, 삼위일체, 은유, 해석학적 재구성

정경옥 - 나무위키 1903 감리교 목사 신학자

정경옥 - 나무위키
정경옥
최근 수정 시각: 2020-01-08 14:35:29


분류 감리회진도군 출신 인물1903년 출생1945년 사망
정경옥(鄭景玉, 1903. 5. 24~1945. 4. 1)[1] 은 감리교 목사이자, 신학자이다.

전남 진도군 진도면[2] 교동리 123번지에서 출생했다. 진도소학교를 거쳐 서울의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다니다가 3.1운동에 가담하여 퇴학당하고, 고향에 내려가 다시 독립운동을 하다 체포, 목포형무소에서 6개월간 복역하며 기독교에 심취하게 된다. 출옥 후 상경하여 서울YMCA 영어과를 수료한 후, 1923년 3월 일본으로 건너가 도시샤대학(同志士大学) 신학부에 입학하였다. 2학기 개강을 앞둔 그 해 9월에 발생한 관동대지진 사건으로 귀국하여 감리교 협성신학교에 편입하고 1927년 3월에 졸업하였다. 

1927년 9월 도미, 일리노이 주 에반스톤에 있는 개렛(Garrett)신학교에 입학하여 당시 미국 사상계를 휩쓸던 자유주의 신학자 롤(H.F. Roll)의 지도를 받아 조직신학을 공부하고 신학석사(B.D) 학위를 받았다. 1929년 9월 계속하여 같은 지역에 있는 노스웨스턴대학 대학원에 들어가 신비주의에 관한 연구로 1931년 5월 문학석사(M.A) 학위를 받았다. 그는 계속하여 박사 과정을 밟으려 했으나, 모교의 부름을 받고 1931년 귀국하여 협성신학교 조직신학 전임강사로 취임하였다. 그는 후배들을 가르치는 한편 작은 교회에서 목회하면서 3년 후 목사 안수를 받고 정교수가 되었으며, 1937년까지 협성신학교[3] 교수로 재직하면서 명강의로 학생들을 사로잡았다.[4]

그는 교수 취임 이후 강의에도 주력했거니와 집필에도 힘을 기울였다. 협성신학교 교지인 〈신학세계〉의 주간을 맡으면서 1932년에서 1936년에 걸친 5년간, 무려 60여 편의 신학논문을 발표했고 한 권의 저서(《기독교의 원리》, 1935)를 내놓았다. 이 외에도 YMCA에서 발간한 〈청년〉지, 류형기 박사가 주간으로 펴낸 〈신생〉지에 여러 논문과 일기, 수상, 설교 등을 발표했다. 

한편 열정적인 교수생활과 저술활동으로 인해 건강을 해치게 된 그는 1937년 3월부터 1939년 3월까지 2년간 고향인 진도로 내려가 요양을 하였다. 이 기간중 그는 예수의 생애를 그린 설교집 《그는 이렇게 살았다》(1938)와 조직신학 개론서인 《기독교신학개론》(1939)을 집필하였다. 

요양을 마친 후 1939년 모교에서 다시 교편을 잡았다가, 1941년 3월 만주로 건너가 사평가(四平街)신학교의 교장으로 일하던 중 또다시 건강이 악화되어 1년 만에 사임하고 고향으로 내려가 요양하게 되었다. 1942년 봄,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도발한 이후 한국인 친미파를 검거하는 과정에서 친미파로 지목되어 8개월간 재판도 받지 못한 채 진도경찰서에 구금되었다. 여기서 일제는 그에게 일본적 기독교의 논리적 구성을 강요하였고, 그들의 요청에 따라 논리와 문장이 유독 어려운 "일본적 기독교론"을 쓰게 된다(이 논문을 자세히 읽어보면 결국 일본적 기독교는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김천배, "고 정경옥 교수의 편모", 〈기독교사상〉, 1958. 5). 

이 공로로 풀려난 그는 1943년 2월부터 2년간 전남 광주교회에서 목회하면서, 특히 청년들을 가르치는 데 심혈을 기울였는데, 토"일요일을 제외한 매일 새벽 4시부터 6시까지 자기 방에서 10명 남짓한 남녀 청년들을 가르쳤다. 

그는 1945년 3월, 두 차례나 수술받은 복막염이 악화되어, "곧 날이 밝는다"는 마지막 말을 남긴 후 그 해 4월 1일, 불과 광복을 4개월여 앞두고 별세하였다. 그의 나이 42세, 암울한 시대에 태어나 그의 천재적 소질을 마음껏 발휘하지도 못하고 타계한 것이다. 

그는 스스로도 언명하였듯이 신학에 있어서 자유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의 주된 저서에서 즐겨 인용한 신학자들은 역시 슐라이어마허, 리츨, 바르트 등이다. 특히 "위기의 신학"(1932), "위기 신학 사상의 연구"(1936) 등에서 바르트를 본격적으로 소개했다. 그는 한편 성서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는데, 당시 고도로 발전되었던 역사적, 문학적 비판연구를 채택했다. M. 디벨리우스와 R. 불트만의 형식 비판연구를 본격적으로 한국에 소개한 이도 바로 정경옥이었다. 

그는 성서가 하나님의 책이라 했다. 여기에는 두 가지 뜻이 있는데, 하나는 성서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것이고 역사나 과학적 지식을 찾을 것이 아니라는 것이요, 또 하나는 하나님의 말씀은 성서 안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또한 성서가 인간의 책이요, 종교문학에 속하는 것이라 했다. 즉 한 민족과 개인이 하나님을 찾고 이에 복종하는 생활의 경험을 역사, 율법, 편지, 시가 등의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 성서이기에, 마땅히 문학적, 역사적 연구 등을 통해 그 진의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자유주의 신학이란 어떤 통일된 신학체계나 학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의 진리를 시대에 따라 항상 새롭게 형성해 가는 것이 개신교의 원리라고 보는 신학적 경향이다. 이런 점에서 정경옥은 전형적인 자유주의 신학자였다. 

또한 그의 신학적 공헌은 무엇보다도 한국 감리교회의 신학을 정립했다는 데에 있다. 《기독교의 원리》 서론의 요점만을 간추려 보면, 그는 먼저 조선 감리교회의 교리적 특질을 두 가지로 풀이하고 있다. "하나는 종교 경험을 강조하는 것이요, 또 하나는 선교의 정신을 고취하는 것이다. 전자를 경건주의라 한다면 후자는 복음주의다." 또한 "교리는 구원을 가리키는 손가락에 지나지 아니한다." 즉 감리교 교리적 선언은 우리가 믿는 바를 선언한 것이요, 결코 우리 교회원이 되고자 하는 사람에게 강요하는 교리적 경험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우리의 중요한 요구는 예수 그리스도에게 충성함과 그를 따르려는 결심뿐이다." 누구든지 경건한 삶을 영위하는 이상 "개인 신자의 충분한 신앙 자유를 옳게 인정한다." 

-저서:《기독교의 원리》, 감리교신학교, 1935;《그는 이렇게 살았다》, 평양애린원, 1938;《기독교신학개론》, 감리교신학교, 1939;《감리교교리》, 감리교총리원 교육국, 1939;《신비경험의 가치》, 삼각산기도원, 1939.

[1] 감리교회 역사 자료 검색 서비스
[2] 현 진도읍
[3] 현 감리교신학대학교이다. 협성대학교가 아니다!
[4] 그가 기독론을 강의할 때에 학생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랑을 깊이 깨닫고 눈물바다가 되었다고 한다.

[다문화시대 새로운 신학…이정용의 `주변성 신학`] - 매일경제

[다문화시대 새로운 신학…이정용의 `주변성 신학`] - 매일경제

[다문화시대 새로운 신학…이정용의 '주변성 신학']
입력 : 2014.12.03 06:00:32댓글 0
프린트카카오톡이메일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공유
신학자였던 고(故) 이정용(1935∼1996) 전 미국 드루대 교수는 스무 살 때 미국으로 건너가 신학을 공부했다.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미국 사회에서 주변인으로 살았던 그는 주변부 사람으로서의 경험을 통해 다른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신학의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마지널리티: 다문화 시대의 신학'(포이에마 펴냄)은 평생을 주변부 사람으로 살았던 저자가 백인 남성과 유럽 중심의 서구 신학이 아닌, 북미라는 다문화 사회에서 주변부 사람이라는 자신의 삶의 정황을 토대로 모색한 '주변성 신학'에 대한 이야기다.

저자는 주변성과 중심성의 개념을 연못의 물결로 설명한다.

연못의 중심에서 퍼져 나간 물결은 연못의 가장자리에 도달하면 다시 중심을 향해 되돌아가듯이 중심에서 나온 것은 무엇이든 가장자리 주변 때문에 결국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깨닫고 주변성의 관점에서 신학을 생각한다.

주변성은 신학에도 많은 함축성을 갖는다. 전통적으로 주변부 사람들은 학자나 교회 당국자라는 지배 집단 밖에 있었던 탓에 성서 해석이나 교회 전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주변성은 여러 차원을 아우르는 것이다. 아시아계-미국인이 아시아계와 미국인 어느 한 쪽에만 속해 있지 않으며 오히려 두 세계 모두에 걸쳐있는 것과 같은 성격이다. 이런 점에서 '다소 배타적이고 대립적으로 억압자와 피억압자를 선명하게 둘로 나누는 대부분의 해방신학적 접근 방식'과 주변성 신학은 다르다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저자의 관점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최고의 새로운 주변부 사람이다.

지배 집단인 바리새인과 서기관, 로마인들은 그를 거부했고 주변화된 사람들과 버림받은 사람, 세리, 이방인은 친구가 됐다. 미혼모의 아이로,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태어나 이집트로 피난을 갔다. 그를 따른 제자들 역시 주변부 사람들이었다는 점에서 예수-그리스도를 따르는 한 주변성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죽음은 생명에 대한 절대적인 부정이지만 부활은 반대로 생명에 대한 절대적인 긍정이라는 점에서 예수의 죽음과 부활도 주변성 신학에서 중심적인 사건이며 하나님의 동시적인 초월과 내재 역시 주변부적 사유방식에서 표현될 수 있다.



1995년 미국에서 'Marginality: The Key to Multicultural Theology'라는 제목으로 영문으로 출간됐던 책을 저자의 제자인 신재식 호남신학대 교수가 옮겼다.

신 교수는 '옮긴이의 글'을 통해 "최근 다문화가 화두가 되면서 한국 사회와 한국 그리스도교가 이제는 이러한 주제에 관심을 둘 때가 됐다고 본다"면서 "많이 늦었지만 어쩌면 다문화 사회와 한국 신학, 개혁을 요청받는 한국 교회 상황에서 보자면 시의적절한 때"라고 말했다.

Minjung theology - Wikipedia

Minjung theology - Wikipedia

Minjung theolog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Minjung theology
Hangul
민중신학
Hanja
民衆神學
Revised RomanizationMinjung Sinhak
McCune–ReischauerMinjung Sinhak
Literally "the people's theology"

Minjung theology (Korean민중신학RRMinjung Sinhak; lit. the people's theology) emerged in the 1970s from the experience of South Korean Christians in the struggle for social justice. It is a people's theology, and, according to its authors, "a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hermeneutics of the Gospel in terms of the Korean reality."[1] It is part of a wider Asian theological ferment, but it was not designed for export. It "is firmly rooted in a particular situation, and growing out of the struggles of Christians who embrace their own history as well as the universal message of the Bible."[2]

History[edit source]

Minjung theology first began in South Korea in the 1950s and 1960s after the Korean War,[3] and was preached in a minority of protestant churches.[4] The theology gained popularity in the 1970s during the dictatorship of Park Chung-hee and the Third Republic of Korea.[5] The two Protestant theologians considered to be the creators of minjung theology are Ahn Byung-mu and Suh Nam-dong, who were both Kijang pastors that joined the minjung movement after the death of Jeon Tae-il.[6] Jeon Tae-il was a factory worker and union organizer who had burned himself to death along with a copy of South Korea's labor laws in an act of political and religious protest.[7] In 1972, Ahn Byung-mu wrote his first article on minjung as a theological theme, which he called "Jesus and Minjung."[8] A Catholic writer and artist named Kim Chi-ha is credited with inspiring much of minjung thought with graphic depictions of the Korean Christ suffering alongside the minjung.[9] Ahn Byung-mu, Suh Nam-dong, Hyun Young-Hak, and Kim Yong-bock are considered first generation minjung theologians.[10]

As South Korea has grown to be more a prosperous nation, later generations of minjung theologians have needed to reevaluate who are the poor and oppressed minjung of Korea. As such, a number of minjung theologians such as Park Soon-kyung have focused on questions of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identifying the minjung as all those oppressed in both Koreas.[11] The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CPAJ) and Fr. Park Chang-Shin are associated with liberation theology in Korea.[3]

In the 1970s theologians began exploring the theme of minjung liberation and many were removed from their positions at universities and seminaries for coming to the defense of those who were oppressed and imprisoned by the Park Chung Hee regime and the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12] Minjung movements that ar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context include the T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April Revolution.[13]

Theology develops out of a human analysis of God's interactions with the world in a give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nd Christian theology has predominately been defined and expressed within a Western context. Minjung theology asserts that God speaks to al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including the conditions of Korea.[14] Proponents of Minjung theology believe that the context of Korea is similar in many ways to the stories found in the bible, and that God is demonstrably on the side of the poor and oppressed throughout the books of the Bible.[15] The word Minjung translates literally as "the mass of people," but a more comprehensive definition of the term is "those who are oppressed politically, exploited economically, alienated socially, and kept uneducated in cultural and intellectual matters." Another way of putting it is that the minjung are han-ridden people, which is a Korean word that roughly translates as resentment.[16] Minjung is contrasted by the paeksung who accept oppression and the word inmin meaning a national identity.[17] The Old Testament wa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in positions of power, but the stories are often about the liberation of the minjung. For instance, the Exodus, a story told from the perspective of Moses, is about the liberation of the Hebrew people from the oppressive rule of the Egyptian Pharaoh Rameses II.[18] The Exodus story has parallels to Korean history because Koreans have endured under brutal governments for most of its history.[19]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such as Horace Newton AllenHenry Appenzeller, and Horace Grant Underwood began their missions among the lower classes. For instance, in 1885 the protestant missions opened a school for girls, which was attended by minjung but were dismissed by the yang ban. These missionaries discovered that the Chinese language was being used by the upper-classes so the missionaries began using Hangul and translated the Bible into Hangul between 1887 and 1900.[20] In January of 1893, the Nevius Plan was adopted by protestant missions, which stated that:

1. It is better to aim at the conversion of the working classes than that of the higher classes.

2. The conversion of women and the training of Christian girls should be a special aim, since mothers exercise so important an influence over future generations.

3. The Word of God converts where humankind is without resources;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hat we make every effort to place a clear translation of the Bible before the people as soon as possible.

4. The mass of Koreans must be led to Christ by their own fellow country men; therefore we shall thoroughly train a few as evangelists rather than preach to a multitude ourselves.

— Cyris H. S. Moon and Mun Hŭi-sŏk, A Korean Minjung Theology: An Old Testament Perspective, Chapter 2, Page 11
Liberation of Korea

During the Tonghak rebellion, the minjung held the belief that "humanity is heaven" and that the lower classes were subjects of history rather than simply objects being acted upon. However, in the early 1900s protestant missionaries became disconnected from the minjung and after the Japan–Korea Treaty of 1905 protestant churches no longer focused on the political oppression of the minjung and were more concerned with the saving of souls. Once Korea was officially annexed to Japan in the Japan–Korea Treaty of 1910 Koreans were expected to recognize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nd the divinity or Arahitogami of the emperor. Korea under Japanese rule led to the persecution of Christians who began to interpret the bible within the context of their struggle for independence by turning to the Exodus story and would cumulate into the March 1st Movement. Twenty-two perc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 movement and much of the leadership consisted of Christians, but the movement was crushed by the Japanese military. Christian missionaries found it necessary to collaborate with Japanese authorities, and between 1920 and 1945 Korean churches became fundamentalist and focused on Western theology while also giving into Japanese demands to recognize the divinity of the emperor. At the end of World War II, in 1945, the Korean minjung achieved independence from Japan in much the same way that the Hebrew people liberated themselves from the Egyptians.[21]

Theology[edit source]

The word multitude is uniquely important within minjung theology. Minjung theology is a belief that is concerned with the experience of the lower classes or the multitude.[22] Ahn Byung Mu viewed Jesus as a collective event wherein Jesus comes as the Messiah for the poor and oppressed masses of people.[23] Minjung theology is a postcolonial theology. When the life of Jesus is interpreted within different Asian contexts he is often cast in a subversive light, defying both locally established and colonial powers. In Korea, Jesus took on the role of the suffering and impoverished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24] Minjung theology focuses on Jesus being the friend of the poor and his powerlessness during crucifixion leading up to his resurrection.[25] Minjung theology was inspired by the liberation theology being preached in Latin America.[26] Ahn Byung Mu is the biggest proponent of minjung theology.[27] Minjung theology was influenced by Shamanism and Messianism.[28] Minjung theology views the oppressed masses as subjects of change rather than objects of history.[7]

Criticism[edit source]

In his book Grassroots Asian TheologySimon Chan criticizes minjung theology for being an elitist interpretation of grassroots theology in South Korea that ignores the actual beliefs of the minjung.[29]

William Huang of Mercator Net has criticized believers in minjung theology for supporting restrictions on beef imports from America, encouraging peaceful dialogue with North Korea, and calling for the National Security Act to be repealed.[3]

Hyunsook Park of Christian Today has criticized believers in minjung theology for not taking a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eing more concerned with collective sin and structural violence than it is with individual sins, being more concerned with the material world rather than the eternal afterlife, for favoring the poor over other groups of people, and for being affirming of LGBT+ people.[30]

Kim Jin-young of Christian Today has criticized proponents of minjung theology for putting Kim Il-sung, liberation, and labor before God. He also compared minjung theology with Juche.[31]

Lee Youngjin of Christian Today has criticized minjung theology for putting people first rather than God.[32]

See also[edit source]

Notes[edit source]

  1. ^ Suh 1983, p. 17
  2. ^ Wickeri 1985, p. 461
  3. Jump up to:a b c Huang, William (2020-05-13). "Korean Christianity: Thriving in Megachurches, Deserted by Youth"MercatorNet. New Media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10-22. Retrieved 2021-03-22.
  4. ^ Hazzan, Dave (2016-04-07). "Christianity and Korea: How Did the Religion Become So Apparently Prevalent in South Korea?"The Diplomat. Diplomat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2-21. Retrieved 2021-03-22.
  5. ^ Wadhwa, Soni (2021-01-28). "Motherly figure, Hindu mystic or Jain pilgrim: Jesus has always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in Asia"Scroll.in. Scroll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1-28. Retrieved 2021-03-22.
  6. ^ Kim & Kim 2014: "Two Protestant theologians are regarded as the originators of minjung theology: Ahn Byung-mu and Suh Nam-dong both were Kijang pastors who were prompted to join the minjung movement by the death of Jeon Tae-il."
  7. Jump up to:a b O'dwyer, Shaun (2014-06-03). "The Tank Man's Defiance"The Japan Times. News2u Holding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8-13. Retrieved 2021-03-24.
  8. ^ Kim & Kim 2013: "According to his memory, it was in 1972 that he had written for the first time an article dealing with minjung as a theological theme called 'Jesus and Minjung.'"
  9. ^ Kim & Kim 2014: "The Catholic writer and artist Kim Chi-ha was the inspiration for much minjung thought ... His pictures, writings and plays vividly portray the Korean Christ who is brutally treated and suffers with the minjung"
  10. ^ Küster 2010, p. xi
  11. ^ Kim & Kim 2014: "In the late 1970s, as the activists for democracy came to se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as the chief hindrance to freedom in both South and North, they began to give serious consideration to reunification."
  12. ^ Moon & Mun 1985, p. ix, Introduction
  13. ^ Moon & Mun 1985, p. x, Introduction
  14. ^ Moon & Mun 1985, p. v, Preface
  15. ^ Moon & Mun 1985, p. vi, Preface
  16. ^ Moon & Mun 1985, p. 1, chpt. 1
  17. ^ Moon & Mun 1985, p. 2, chpt. 1
  18. ^ Moon & Mun 1985, p. 3, chpt. 2
  19. ^ Moon & Mun 1985, p. 7, chpt. 2
  20. ^ Moon & Mun 1985, pp. 10-11, chpt. 2
  21. ^ Moon & Mun 1985, pp. 12-17, chpt. 2
  22. ^ Wilcox, Susan (2013-11-06). "Authors' Theology Grounded in Class Struggle"National Catholic Reporter. The National Catholic Reporter Publishing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8-09. Retrieved 2021-03-22.
  23. ^ Sharma, Manik (2018-06-16). "How Asia Remade Jesus: A New Book Presents Intriguing Insights Into the Story of Global Christianity"FirstpostNetwork18 Group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1-10. Retrieved 2021-03-24.
  24. ^ Dabashi, Hamid (2020-01-06). "Decolonising Jesus Christ: The Figure of Jesus Christ Goes Way Beyond the Image of Him Which Hegemonic European Christianity Imposed on the World"Al Jazeera. Al Jazeera Media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2-26. Retrieved 2021-03-24.
  25. ^ Langan, Michael D. (2020-09-04). "Review: "Christianity, The First Three Thousand Years""NBC2 NewsWaterman Broadcasting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1-17. Retrieved 2021-03-22.
  26. ^ Cox, Harvey (2013-12-18). "Is Pope Francis the New Champion of Liberation Theology?"The Nation. The Nation Company. ISSN 0027-8378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2-14. Retrieved 2021-03-24.
  27. ^ Balakrishnan, Uday (2018-03-03). "Jesus in Asia review: A question of faith"The HinduThe Hindu GroupISSN 0971-751X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5-06. Retrieved 2021-03-24.
  28. ^ Namsa, Engelberto (2020-04-06). "Teologi Pembebasan Asia: Bertolak Dari Keresahan Masyarakat" [Asian Liberation Theology: Departing From Societal Unrest]. Jubi (in Indonesian). Indonesian Press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5-06. Retrieved 2021-03-24.
  29. ^ Chan 2014, p. 26
  30. ^ Hyunsook, Park (2020-08-24). "Bosusinhakgwa Haebang-Minjung Sinhak" 보수신학과 해방-민중 신학 [Conservative Theology and Liberation-Folk Theology]. Christian Daily (in Korean). German Repo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1-16. Retrieved 2021-03-24.
  31. ^ Jin-young, Kim (2018-12-08). "Nyuseuaenjoi Gwallyeon Danchedeul, 'Yesugyo'nya 'Suryeonggyo'nya" 뉴스앤조이 관련 단체들, '예수교'냐 '수령교'냐 [News & Joy Related Organizations, 'Jesus Church' or 'Recipient Church']. Christian Today (in Kore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1-22. Retrieved 2021-03-22.
  32. ^ Youngjin, Lee; Daewoong, Lee (2019-07-15). "Minjungsinhagi Jeonyeomdoeneun Gaeyo" 민중신학이 전염되는 개요 [Overview of the Contagion of Minjung Theology]. Christian Today (in Kore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0-27. Retrieved 2021-03-24.

References[edit source]

Further reading[edit source]

External links[edit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