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12

The Inner World of Trauma: Archetypal Defences of the Personal Spirit by Donald Kalsched | Goodreads

     

The Inner World of Trauma: Archetypal Defences of the Personal Spirit

 4.57  ·   Rating details ·  250 ratings  ·  17 reviews

-------

Donald Kalsched explores the interior world of dream and fantasy images encountered in therapy with people who have suffered unbearable life experiences. He shows how, in an ironical twist of psychical life, the very images which are generated to defend the self can become malevolent and destructive, resulting in further trauma for the person. Why and how this happens are the questions the book sets out to answer.
Drawing on detailed clinical material, the author gives special attention to the problems of addiction and psychosomatic disorder, as well as the broad topic of dissociation and its treatment. By focusing on the archaic and primitive defenses of the self he connects Jungian theory and practice with contemporary object relations theory and dissociation theory. At the same time, he shows how a Jungian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images of myth and folklore can illuminate treatment of the traumatised patient.
Trauma is about the rupture of those developmental transitions that make life worth living. Donald Kalsched sees this as a spiritual problem as well as a psychological one and in The Inner World of Trauma he provides a compelling insight into how an inner self-care system tries to save the personal spirit.
 (less)

Paperback240 pages
Published December 25th 1996 by Routledge 

Jan 01, 2009rated it it was amazing
Love it love it love it. The first two sections were more difficult for me to digest fully, but the use of fairy tales in the third section ties it all together beautifully...the clinical case studies and comparisons of psychological theories in the first two sections combined with the use of fairy tales in the third illustrate the author's premise that there is an archtypal "daimonic" spirit that protects the traumatized individual/ego from further harm.

A few months ago while reading this book I thought of a friend I had become somewhat distant from. I thought of how entrenched he was in his world of dark fantasy; Norse mythology, Dungeons and Dragons, and other themes of adventure, darkness, and struggle. He seemed to me to be so entrenched in that world of dark fantasy that he was not really able to be present in this world. The day after reading and thinking of him I went to work and learned that this friend had commited suicide. This book helped m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Bryan's taking refuge in his dark world of fantasy as a way of surviving. And yet the survival was only for a part of himself; not the whole. Kalsched describes the archetypal process that one must go through in order to become fully whole, and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human and the divine. And this process, as illustrated in the archetypal themes of all major religions, entails a journey filled with suffering. It saddens me that Bryan was not able to bridge this gap...the horrors of his childhood - and perhaps the archetypal daimon within him - caused him to take permanent refuge in his dark fantasy world...the cost of the friction between that world and reality was his own life.

Kalsched notes that there are "always" forces or entreaties from the "concrete" world that beckon one away from the world of fantasy, and that these are the opportunities we must take to go forward on the journey, and to leave behind the safety and comfort of the internal world we create for ourselves.

This book has helped me to understand and increase my level of empathy -for friends, myself, patients - for the resistance that is shown in the process of growth. Resistance in therapy and in relationships is extremely challenging, and often frustrating. This book offers a way to view this resistance as form of survival for the traumatized individual.

I highly, highly recommend it to anyone interested in how childhood trauma effects the psychological and spiritual dimensions of development...and how difficult it is for us to leave behind those magical worlds of fantasy that we create in order to survive.
 (less)


Nov 14, 2015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favorites
Increadible read on the mechanisms of dissociational protection of self from trauma.
What astounded me most:
- reference to an angel not allowing a child to come into a room where she would fin her father after his suicide,
- reference to a child who would reconstruct an escape world from bits from books and various literary worlds.
Overall illuminating read and a must re-read. Such a profound work cannot be intellectualised in one sitting.
Sarah
Aug 15, 2008rated it it was amazing
This book completely re-shaped my thinking around the way that that archtypal, or primitive, brain responds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auma. It takes a while to get through but it's worth it. If you're at all interested in this field, you MUST incorporate this book into your learning. However, I suggest you pick up your highlighter and post-its before reading; there are many brilliant insights and quotes you will want to mark!
Steve Ellerhoff
Aug 09, 2019rated it it was amazing
Donald Kalsched is an astonishing person. I first read his second book, Trauma and the Soul: A Psycho-Spiritual Approach to Human Development and Its Interruption, and found it profound in its presentation of what he calls the self-care system. This book preceded that one, coming out in 1996, and it is where he first put the self-care system out there for our consideration. So I read the books, published seventeen years apart, out of order. As ya do.

My own sense is that the second book is more robust, a stronger iteration of the self-care system — which Kalsched describes as a means by which the psyche intervenes to protect the soul of a young person experiencing early trauma. When no one is around to help a young one process trauma, this inner defense mechanism uses fantasy to protect the child from the full force of the trauma. Over time, however, if the trauma is never dealt with and integrated, that inner defense mechanism turns on the person and terrorizes them in any number of ways. The danger is that the person is not able to live life fully because the self-care system is re-traumatizing them in an ongoing, misaligned attempt to protect them. The only cure is a love relationship, one in which the person's trauma is legitimized by the other and worked through together. As a depth psychologist, Kalsched recommends that this play out with a psychotherapist but he acknowledges it can occur in other relationships with people who truly do care about us and who will not BS or coddle us.

I really wanted to read this since I'd loved the other book so much. My friend Karen had told me about it — she read this one first and is currently reading the second one — so we've had reverse reading experiences! I still prefer the second book slightly more on the basis that, when he wrote it, Kalsched had seventeen more years of experience treating people and helping them break out of the self-care system. His confidence shines more in that one. But here we have a truly astonishing work in its own right, one that deserves attention and thought and discussion. I just counted fourteen tabs I added to it while reading, so there is much I wish to return to later. His engagement with the literature in his field is strong, as are his case studies and readings of myths. His take on the fairy tale "Fitcher's Bird" is worth the price of admission alone — I say any fairy tale that begins with a cruel, murderous husband proclaiming to his wife that he's given her everything she could ever want ("I gave you _____. I gave you _____. I gave you _____.") should end with her and her sisters burning him and his terrible friends and family to ashes. The way Kalsched uses this story to illustrate the danger of the self-care system — and the hope of breaking free from it — is the work of a special kind of healer. We are so lucky to have these books he's written.
 (less)
Sandy
Oct 26, 2009rated it it was amazing
I’ve read this book 3 times: 2004, 2010 and today I just finished it for the third time. As I set it down, gratitude and calm arise.This is a profoundly intense and thorough study of trauma and it provides ways the therapist can guide her patient to healing. Kalsched is at times very dense, requiring multiple reads of the same page until it is clearly understood. The effort is well worth it! This book has helped me more than any other to understand the archetypal underpinnings of depression, melancholy and disassociation. Although the pages are tattered and many sentences highlighted, this book will be read by me yet again in a few years. Like Jung, Von Franz and Hollis, Kalsched invites us into a depth of awareness about life in all its beauty and suffering. (less)
Isaac
Nov 25, 2015rated it really liked it
Some of my favorite excerpts from The Inner World of Trauma – Archetypal Defenses of the Personal Spirit - by Donald Kalsched

The psyche’s natural anesthesia for the “cumulative trauma” in a childhood such as this renders most patients incapable of remembering specific traumatic events, much less experiencing them on an emotional level in analysis. Such was the case with Mrs. Y. We talked about the depravation in her early life, but we could not recover it experientially. Often, in my experience, it is not until some aspect of the early traumatic situation emerges in the transference that analyst and patient are given emotional access to the real problem… pg. 20
----------------------------------------------------------------------

If we understand “killing” in dreams, as an obliteration of awareness or profound dissociation, then we see that the psyche of the traumatized person cannot countenance re-exposure of the same vulnerable part-self representation as (apparently) occurred in the original traumatic situation. The original humiliating shame must be avoided at all costs. The price, however, is severance from the potentially “corrective” influence of reality. Here we have the psyche’s self-care system gone mad.

Like the immune system of the body, the self-care system carries out its functions by actively attacking what it takes to be “foreign” or “dangerous” elements. Vulnerable parts of the self’s experience in reality are seen as just such “dangerous” elements and are attacked accordingly. These attacks serve to undermine the hope in real object-relations and to drive the patient more deeply into fantasy. And just as the immune system can be tricked into attacking the very life it is trying to protect (auto-immune disease), so the self-care system can turn into a “self-destruct system” which turns the inner world into a nightmare of persecution and self-attack. Pg. 24
-----------------------------------------------------------------------

…She found great resistance in herself which she could not rationally explain but which, we were able to discover, represented her resistance to being re-exposed to the potentially annihilating shame originating in her “forgotten” childhood trauma. It was as though her psyche was “remembering” an unthinkable similar event from long ago.

The reader will note that these assumptions about the dangers inherent in hoping for new life or relationship seem to be the same assumptions by which the patient’s inner terminator operates. In other words, in killing off her own feeling of hope, the patient acts in “identification with the aggressor” in herself – as if she is “possessed” by him. In this way the persecutory, anxiety-ridden inner world of trauma is recapitulated in outer life and the trauma victim is “compelled to repeat” the self-defeating behavior.

Such is the devastating nature of the trauma cycle and the resistance it throws up to psychotherapy. As Mrs. Y. and I worked through the resolution of her “trauma-complex” we encountered again and again the cycle of hope, vulnerability, fear, shame, and self-attack that always led to the predictable repetition of depression. Every moment of intimacy or personal accomplishment was an occasion for her daimon to whisper that it would all be taken from her, or that she didn’t deserve it, or that she was an imposter and a fraud and would soon be humiliated. Fortunately, we were able to work on this cycle in the intimacy of the transference/counter-transference relationship and could thereby “catch” the daimon at his tricks in the moment-to-moment changes of feeling during the sessions.

…In Jung’s language, we might say that the original traumatic situation posed such danger to personality survival that it was not retained in memorable personal form but only in daimonic archetypal form. This is the collective or “magical” layer of the unconscious and cannot be assimilated by the ego until it has been “incarnated” in a human interaction. As archetypal dynamism it “exists” in a form that cannot be recovered by the ego except as an experience of re-traumatization. Or, to put it another way, the unconscious repetition of traumatization in the inner world which goes on incessantly must become a real traumatization with an object in the world if the inner system is to be “unlocked.”

This is why a careful monitoring of transference/counter-transference dynamics is so important in our work with severe trauma. The patient wishes to depend upon the analyst, to “let go” of the self-care system, and get well again, but the system itself is much more powerful than the ego – at least initially, and so the patient inadvertently resists the very surrender to the process that would restore a feeling of spontaneity and aliveness. To hold these patients responsible for this resistance is a terrible mistake, not just technically but structurally and psycho-dynamically as well. The patient is already feeling blamed for some nameless “badness” inside, so interpretations which emphasize the patient’s “acting out” or avoidance of responsibility merely drive home the conviction of failure. In many respects it is not “they,” the patients, who resist the process at an ego level. Rather, their psyches are battlegrounds on which the titanic forces of dissociation and integration are at war over the traumatized personal spirit. The patient must, of course, become more conscious and responsible for a relationship to his or her tyrannical defenses, but this consciousness must include the humble realization that archetypal defense are much more powerful than the ego.

The prominence of the archetypal defense system explains why the “negative therapeutic reaction” is such a prominent feature in our work with these patients. Unlike the usual analytic patient, we must remember that for the person carrying around a dissociated trauma experience, integration or “wholeness” is initially experienced as the worst thing imaginable. These patients do not experience an increase of power or enhanced functioning when the repressed affects or traumatogenic experience first emerges into consciousness. They go numb, or split, or act out, somatize, or abuse substances. Their very survival as cohesive “selves” has depended upon primitive dissociative operations which resist integration of the trauma and its associated affects – even to the point of dividing up the ego’s “selves” into part-personalities. Pages 25,26,27
-------------------------------------------------------------------------

Jung once said that “compulsion is the great mystery of human life” – an involuntary motive force in the psyche ranging all the way from mild interest to possession by a diabolical spirit. Pg. 28
------------------------------------------------------------------------

Archetypal defenses, then, allow for survival at the expense of individuation. They assure the survival of the person, but at the expense of personality development. Their “goal” as I have come to understand it, is to keep the personal spirit “safe” but disembodied, encapsulated, or otherwise driven out of the body/mind unity – foreclosed from entering time and space reality. Instead of slowly and painfully incarnating in a cohesive self, the volcanic opposing dynamisms of the inner world become organized around defensive purposes, constituting a “self-care system” for the individual. Instead of individuation and the integration of the mental life, the archaic defense engineer’s dis-incarnation (dis-embodiment) and dis-integration in order to help a weakened anxiety-ridden ego to survive, albeit as a partially “false” self. Pg. 38
(less)
Anonymous Writer
Jul 31, 2018rated it it was amazing

Eye-opening book about the way trauma is incorporated into the human soul through its mechanisms. The archetypal tapestry of the imaginary that opens up to several metaphorical meanings is representativ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way trauma brings about the unprecedented coping mechanisms.
The golden treasure of the book consists not only in deciphering metaphors and associating them with trauma, but in the ingenious way trauma can be understood through such picturesque archetypes, deepening the insight about such phenomena with various epiphanies about its genesis. Mixing the area of psychiatry with the one of the symbolical imaginary proves to be the imprint of the Jungian psychotherapy, which the author firmly adheres. The second aim of this work is to reveal the treatment to the ailment, with the use of therapeutic stories, a re-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that is linked to the traumatic episode, its consequences and its holistic integration into life.
If the mind hides its own unconscious, the world bears its own collective consciousness, as Jung strongly asserted in his works, building the foundation to his psychological school of thought. As dreams are spontaneous manifestations of the individual unconscious, that play a major role in bringing equilibrium to the mind, so fairy tales represent the hidden gem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hazardous creation of the collective that is like a mirror of the collective soul. We can conclude that the role of fairy tales is to being wisdom and insight into the life of humans, while holding the principle of healing; it is the numinous archetype that frees the trapped soul.
Two metaphors prevail in the book, being at the heart of its themes. The first one is the one of the tower, an important motif that appears in various fairy-tales. Being both a prison and a space for protection, the tower speaks the language of fear, the fear of ever discovering the world, and shrinking into a cage, the inner world of phantasm. Here, the fantastic world of the inner self is presented as a refuge, as a way of dealing with pain. Closely related to introversion, the personality of the afflicted person tends to be prone to the realm of fantasy, the imaginary, the symbolical that also wants to usurp the role of reality, as the main negative effect.
The second symbolism is related to the reversed image of the guardian angel, that is is the "daimon", the most relevant icon for it. Metaphor for the unhealthy coping mechanisms, addictions, escapism etc, the archetypal figure of the angelic-devilish protector gives escape from pain in exchange for various valuable things, while also changing the spirit into something that is able to survive. The two-faced archetype has its own ambivalence.
The realm of the imaginary, with its symbolism, comes at the aid of heal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erving as a parallel universe that mirrors reality. Pictures will always appeal to the subconscious mind, the book it is like a hypnotic trance from which the reader becomes more sharp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a healing balsam to his inner wounds. The subconscious and the conscious, the reality and fiction, the real and the symbolical, they both mold into each other, switching the order, the center to the meaning the reader is supposed to decipher by re-interpreting his experience.
(less)
Mike Kirakossian
Oct 29, 2014rated it really liked it
An inspiring approach to analytical psychology, sheds light on early trauma synthesizing the core of most dissociative and borderline disorders. Very much enjoyable where the author tackles the inner working of the self-care system in the human psyche and how it torments the inner world of a traumatized patient for the preservation of a vital part of the personality from total disintegration through clinical cases anchoring them to mythology.
Justinas
Sep 25, 2016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1) Knyga įtikinanti. Autorius pirmiausiai pristato savo požiūrį, pagrindžia jį pavyzdžiais, tada apžvelgia, ką apie tai yra sakę kiti tyrėjai. Paskutinėje dalyje interpretuoja pasakas.
2)Buvo sunkoka priprasti prie terminų gausos ir atsekti, kas ką reiškia. Kurie terminai reiškia tą patį dalyką, kurie skirtingą. Praverstų papildoma pagalbinė knygos dalis apie terminų reikšmes.
Diana
Sep 08, 2010rated it it was amazing
Excellent and insightful book on how victims of trauma end of becoming self-traumatizers. Jungian-based psychology, including some really interesting interpretations of a handful of fairy tales.
Daniel
Oct 31, 2018rated it it was amazing
I found this book in a local public library. I will definitely re-read it in several months and I might be coming back to it throughout my life.

The book describes how people who experienced very traumatic events become psychologically impaired by what is called "self-defense mechanisms of the psyche. Fhe mechanisms create many complex fenomena, causing a person not to be fully mature psychologically.

As I undergo my own psychotherapy, I notice a lot of what the author writes about in my healing process.

If you want to understand what happens in traumatized people, this is definitely worth reading!
 (less)
Sana
Jul 04, 2019rated it it was amazing
Oh my god, what an amazing book! I could relate to every sentence, and every single line in this book felt very deep and complex. I am still trying to digest and integrate it, so I will update my review again soon.
Louise Jones
May 25, 2016rated it liked it
Shelves: healthmind
i suffer from ptsd so found this book so fascinating as so many think u get trauma ptsd from being in a war i can honestly say the war is in my head and feel as abt to explode it was so interesting reading about how the psyche splits which i think has happened to me my mum often says should have a scan of head i am waiting for emdr treatment which somehow put s the head back together !!!!!!!!!!! I LOVED THE WAY STORIES WERE ADDED TO THIS BOOK BUT at times a difficult read because of circumstances and the way needed my concentrating head on (less)

알라딘: 2019 말씀, 그리고 하루 by 헤른후트 형제단 (엮은이) / 홍주민 / 오호영



알라딘: 2019 말씀, 그리고 하루 by 헤른후트 형제단 (엮은이) / 홍주민 / 오호영




2019 말씀, 그리고 하루 - 헤른후트 기도서 289판
헤른후트 형제단 (엮은이),홍주민,오호영 (옮긴이)한국디아코니아연구소2018-10-01원제 : Die Losungen der Herrnhuter Brudergemeine fur das Jahr 2017, 287. Ausgabe





8.0100자평(1)리뷰(0)
- 품절 확인일 : 2019-09-11

250쪽
120*170mm
175g
ISBN : 9791187633037

책소개
이 기도서는 1731년에 처음으로 책으로 출간되어 한번도 중단되지 않고 2019년 현재 289년 동안 발행되어 왔으며, 현재 61리스도인들에게 말씀개 언어로 번역되어 헤른후트공동체에 속해있는 약 110만 명뿐만 아니라, 수백만의 그과 함께하는 삶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

목차


편집자 서문
옮긴이 후기
일러두기
성경약어표
헤른후트 성경묵상집의 구성
헤른후트공동체와 ‘로중’
2019 연중 말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저자 및 역자소개
헤른후트 형제단 (엮은이)

최근작 : <2019 말씀, 그리고 하루>,<2018 말씀, 그리고 하루>,<2017 말씀, 그리고 하루> … 총 11종 (모두보기)

홍주민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충북대학교,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디아코니아학 디플롬 및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디아코니아 상임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디아코니아학 개론」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게르하르트 베어의 「사랑의 도전 : 요한 힌리히 비헤른과 내적선교」,
독일 개신교 연합(EKD)의 디아코니아 백서인 「디아코니아 신학과 실천」이 있다.
---------------------


최근작 : <다시, 민중신학이다>,<디아코니아학 개론> … 총 14종 (모두보기)

오호영 (옮긴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단국대학교 및 동 대학원, 한신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마인츠 대학교 외국어학당에서 수학했다.


최근작 : … 총 3종 (모두보기)
----------------

출판사 제공 책소개
헤른후트(Herrnhut), 우리말로 “주님 이 보호하시는 곳”이란 뜻이다. 헤른후트공동체운동은 지금으로부터 약 300 년 전, 독일의 북동부에 위치한 한 자그마한 마을에서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니콜라우스 루드비히 그라프 폰 친첸도르프 (1700.5.26-1760.5.9)에 의해 시작된 창조적 인 디아코니아 공동체운동이다. 신앙공 동체요, 생활공동체 그리고 경제공동체였던 원시그리스도교 공동체를 그대로 재현하고자 했던 친첸도르프는, 대학을 졸업하고 드레스덴에서 직장생활을 하던 중, 그의 일생을 변화시킨 모라비아 교도들을 만난다. 이들은 체코에서 종교개혁운동을 하다가 1415년에 화형당한 얀 후스 의 후예들이었다. 친첸도르프는 이들에게 자신의 사유지에 정착하도록 하여 그곳을 “주님이 보호하시는 곳”이란 의미로 “헤른후트”라 칭하고 공동체 생활을 시작한다.
1727년 7월, 이 공동체에 ‘소모임’(Band) 이 처음 조직되는데, 대략 2~3명으로 구성되고 일주일에 1-2회 저녁 모임을 가졌다. 이는 모라비안 전통을 쇄신한 것으로 5년 후, 이 공동체가 500여 명으로 늘어날 무렵 전체 속회의 수는 80여 개에 이르렀다. 1728년 5월 3일, 헤른후트 공동체에서 친첸도르프는 찬양모임에 나온 형제들에게 처음으로 다음 날을 위한 간단한 말씀을 건네주었다. 이때부터 저녁마다 간단한 성경구절과 찬송이 소개되었고, 다음 날 아침에 공동체원들에 의해 집집마다 전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오늘 날 개신교에서 가장 널리 확산된 헤른후트 매일묵상집인 『로중』(Die Losungen)이 탄생하게 되었다. 독일어로 로중(Losung)은 ‘암호’를 뜻하는데, “제비 뽑는다”는 의미의 동사 로젠(losen)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처음에 이 기도서의 구약성서 구절은 1,800개의 구절에서 매일 제비뽑기 식으로 헤른후트에서 선택되었다. 그 당시 제비뽑기에 의한 선택은 신비주의적 사고에서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런 다음에 신약성서의 말씀은 공동체원 들에 의해 구약성서의 말씀에 대응하는 말씀이 선택되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말씀에 대한 응답으로 찬송과 기도문이 공동체의 응답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헤른후트 공동체는 창조적 디아코니아를 지향하며 개인적, 경제적, 사회적, 종교적 차원에서의 디아코니아공동체를 이루어 왔다. 그러한 실천의 도상에서 이 짧은 말씀과 기도문은 “병사들이 싸움터에 나가면서 지니고 가는 중요한 암호”란 의미를 담고 있었다. 즉 하루의 삶에서 이 짧은 말씀은 하나의 강력한 영적 무기로서 커다란 힘을 지니게 되었다. 이 기도서는 1731년에 처음으로 책으로 출간되어 한번도 중단되지 않고 2019년 현재 289년 동안 발행되어 왔으며, 현재 61개 언어로 번역되어 헤른후트공동체에 속해있는 약 110만 명뿐만 아니라, 수백만의 그리스도인들에게 말씀과 함께하는 삶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서평

2019년 헤른후트 로중 번역을 마쳤다. 한국어로 열한 번째 로중번역이다. 번역자 이면서 이 로중에 큰 힘을 받았기에 어쩌면 내 자신의 영의 양식을 스스로 경작해온 것이라 생각도 든다. 보물을 발견한 이가 몰래 그 땅을 사서 기쁨을 감추지 못한 예수님의 비유, 하늘나라는 마치 그러한 것과 같다고 하였는데, 역자인 내게 로중은 그러하다. 독일 체류 동안 로중에 의지해 살아온 경험을 한국의 그리스도인들과 함께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이 감격이다. 그간 번역과정에서 여러 시행착오도 있었고 신체적 고통도 따랐다. 작은 책이지만 아주 세밀한 번역이 필요하기에 고어체 독일어를 번역하면서 고충도 많았다. 사전에도 없는 단어 때문에 고심도 했고 기도문이기에 따르는 번역의 난해함도 있었다. 번역과정에 눈가의 실핏줄이 터져 붉은 눈으로 얼마간 지내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난관에도 기쁨으로 감당할 수 있었던 것은 번역과정에서 “말씀하시는 말씀” 덕택이었다.
289년 전 친첸도르프가 이 로중운동을 시작한 가장 큰 이유는 600년 전 얀 후쓰의 후예인 신앙난민 보헤미아형제단과의 조우와 독일의 다른 지역에서 신앙의 자유를 찾아 이주한 이주민 공동체 안에서 하나의 영적인 슬로건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제비를 뽑는 것은 신비주의적인 요소도 있지만, 당시엔 이러한 전통이 보편적이었다. 특히 깊은 기도 후에 선택된 말씀은 직접적인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였다. 하나님은 우리 인간에게 어떻게 말씀하시는가? 친첸도르프는 하나님은 “말씀을 통해 말씀”하신다는 확신 아래 로중운동을 전개했다. 구약성서의 구절은 그런 과정을 거쳐 선택 되어진 것, ‘로중’이다. 이러한 로중을 풀 수 있는 열쇠는 신약성서 구절인 데, 이는 공동체원들이 오랜 시간동안 기도를 통해 채택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이 구약성서 한 절의 로중을 해석하면서 여러 주석서나 해석도구를 통해서가 아니라 신약성서 한 구절을 통해 묵상하면서 “말씀하시는 말씀”을 가슴에 담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성경묵상시간은 조용히, 하지만 아주 강력한 영성의 불길로 이끈다. 매일 로중을 묵상하며 말씀 나누기를 하고 기도문으로 기도시간을 갖고 찬송을 부르면 더 좋다. 친첸도르프에 의하면, 찬양은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응답이다.

다른 하나의 중요한 로중의 활용은 기도문 아래에 있는 두 개의 성서본문이다. 로중은 그 자체를 통해 성서의 깊은 강으로 이어지게 하는 관문이다. 기도문 아래 본문을 계속 읽어나간다면 구약성서는 4년에 한번, 신약성서는 8년에 한번 통독을 하게 된다. 로중으로 마음을 열고 기도문 아래에 제시된 성서본문을 통해 말씀의 깊은 강으로 들어가는 것도 귀중한 경험이 되리라.
마지막으로 주일날 설교 본문은 독일교회의 설교단에서 동시에 선택되는 말씀이 다. 주일에 주어지는 세 개의 본문말씀은 깊은 석의과정을 통해 선택되어진 것이다. 강단의 말씀은 사람이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내려 주시는 말씀을 대언하는 것이다. 주일 설교본문도 로중처럼 한 주간에 “말씀을 통하여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세 말씀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말씀 자체가 주는 본래의 힘을 경험할 수 있다. 설교는 “화해의 디아코니아”를 선포하는 “말씀하는 행동”이다.
한국어 로중을 열한 번째 출간하면서 간절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 처음에 로중을 한국어로 번역소개하면서 역자에게 바람 하나가 있었다. 이 로중을 통해 “행동하는 말씀”인 ‘디아코니아’가 전해지는 것이었다. 처음의 교회로 돌아가고 성서로 돌아가고자 한 헤른후트 형제단운동은 개신교 최고의 창조적 디아코니아 공동체의 산실이다. 말씀에 깊이 들어가 우리를 움직이시는 디아코노스 주님을 따라가자. 사랑의 행함은 신앙에 의해 자신을 유보하지 않고 진실함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은 어떻게 가능할까. 바로 ‘말씀 그리고 하루’를 살아가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 땅에 디아코니아가 조용히, 사랑하면서, 섬기면서 퍼져나 가길 기도드린다.

신앙난민 헤른후트 형제단을 견디게 했던 보물들 - 에큐메니안



신앙난민 헤른후트 형제단을 견디게 했던 보물들 - 에큐메니안



신앙난민 헤른후트 형제단을 견디게 했던 보물들
10월26일, 한국 디아코니아 출판기념회 열어
편집부 | 승인 2018.10.13 21:53
댓글0
icon트위터
icon페이스북


한국 디아코니아에서 독일 헤른후트 형제단에 출판하는 두 권의 책을 번역하고 출판기념회를 갖는다.

“2019 말씀 그리고 하루”(헤른후트 형제단 편, 홍주민 외 1인 역, Die Losungen der Herrnhuter Brüdergemeine für das Jahr 2019, 289 Ausgabe)와
“헤른후트의 보물: 신학교육매뉴얼”(헤른후트 형제단 편, 김상기 외 4인역, Our Moravian Treasures A Manual of Topics for Theological Education in the Unitas Fratrum)이다.

출판기념회는 10월26일(금) 오후 6시-8시,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211호실에서 열린다.

먼저 독일어 원전은 “헤른후트 로중”으로 알려진 “2019 말씀 그리고 하루”는 독일 개신교 헤른후트 형제단에서 289년 전부터 매년 출판하는 성경묵상집이다. 한국어로 번역한 지 11년이 되어 처음으로 출판기념식을 갖는 것이다. 이 묵상집은 전 세계 60여개국어로 번역되어 묵상되고 있는 개신교 영성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책은 세계 헤른후트 형제단 연합에서 지난 10년간 주의깊게 만든 “헤른후트 형제단 보물”이다. 이 책은 “헤른후트 형제단 신학교육 주제별 매뉴얼”이기도 하다. 한국에 헤른후트 형제단을 세우면서 세계 헤른후트 형제단과 연대하여 펴내는 이 책은 개신교 600년간의 영성이 집약된 책이라고 일컬어진다.

1415년 얀 후스의 순교 후, 그의 후예들이 신앙난민으로 300여년 배회하다가 1721년 헤른후트에 정착하면서 디아코니아 공동체의 원형으로 오늘까지 이르도록 이끈 신학적 지침서이다.

헤른후트 형제단들은 누구였는가

헤른후트(Herrnhut), 우리말로 “주님 이 보호하시는 곳”이란 뜻이다. 헤른후트공동체운동은 약 300년 전, 독일의 북동부에 위치한 한 자그마한 마을에서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니콜라우스 루드비히 그라프 폰 친첸도르프’(1700.5.26-1760.5.9)에 의해 시작된 디아코니아 공동체운동이다.

신앙공동체이자 생활공동체 그리고 경제공동체였던 원시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그대로 재현하고자 했던 친첸도르프는, 대학을 졸업하고 드레스덴에서 직장생활을 하던 중, 그의 일생을 변화시킨 모라비아 교도들을 만나게 된다. 이들은 체코에서 종교개혁운동을 하다가 1415년에 화형 당한 ‘얀 후스’의 후예들이었다. 친첸도르프는 이들에게 자신의 사유지에 정착하도록 하여 그곳을 “주님이 보호하시는 곳”이란 의미로 “헤른후트”라 칭하고 공동체 생활을 시작한다.

신앙난민들을 견디게 했던 힘

1727년 7월, 이 공동체에 ‘소모임’(Band)이 처음 조직되는데, 대략 2~3명으로 구성되고 일주일에 1-2회 저녁 모임을 가졌다. 이는 모라비안 전통을 쇄신한 것으로 5년 후, 이 공동체가 500여 명으로 늘어날 무렵 전체 속회의 수는 80여 개에 이르렀다. 1728년 5월 3일, 헤른후트 공동체에서 친첸도르프는 찬양모임에 나온 형제들에게 처음으로 다음 날을 위한 간단한 말씀을 건네주었다.

이때부터 저녁마다 간단한 성경구절과 찬송이 소개되었고, 다음 날 아침에 공동체원들에 의해 집집마다 전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오늘 날 개신교에서 가장 널리 확산된 헤른후트 매일묵상집인 『로중』(Die Losungen)이 탄생하게 되었다. 독일어로 로중(Losung)은 ‘암호’를 뜻하는데, “제비 뽑는다”는 의미의 동사 로젠(losen)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처음에 이 기도서의 구약성서 구절은 1,800개의 구절에서 매일 제비뽑기 식으로 헤른후트에서 선택되었다. 그 당시 제비뽑기에 의한 선택은 신비주의적 사고에서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런 다음에 신약성서의 말씀은 공동체원들에 의해 구약성서의 말씀에 대응하는 말씀이 선택되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말씀에 대한 응답으로 찬송과 기도문이 공동체의 응답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헤른후트 공동체는 창조적 디아코니아를 지향하며 개인적, 경제적, 사회적, 종교적 차원에서의 디아코니아공동체를 이루어 왔다. 그러한 실천의 도상에서 이 짧은 말씀과 기도문은 “병사들이 싸움터에 나가면서 지니고 가는 중요한 암호”란 의미를 담고 있었다.

▲ 한국 디아코니아에서 번역·출판하는 두 번째인 책인 “헤른후트의 보물: 신학교육매뉴얼” 원전 표지 ⓒ한국 디아코니아 제공


즉 하루의 삶에서 이 짧은 말씀은 하나의 강력한 영적 무기로서 커다란 힘을 지니게 되었다. 이 기도서는 1731년에 처음으로 책으로 출간되어 한번도 중단되지 않고 2019년 현재 289년 동안 발행되어 왔다. 현재 61개 언어로 번역되어 헤른후트 공동체에 속해 있는 약 110만 명 뿐만 아니라, 수백만의 그리스도인들에게 말씀과 함께하는 삶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또 다른 난민들을 위해 봉사할 것

특히 이 두 책을 번역 출판하면서 한국 디아코니아 홍주민 목사는 다음과 같이 출판기념회를 마련한 소회를 밝혔다.

“헤른후트 형제단의 신학적 기초를 이루었던 친첸도르프가 백인들의 폭력과 수탈로 처참한 상황에 놓인 서인도제도의 노예들에게 ‘빚진’ 마음으로 선교사들을 보냈던 것을 기억하며 그와 같은 마음으로 한국을 찾아온 난민들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홍 목사는 “한국에 난민으로 들어와 살고 있는 수많은 무국적자들이 있다.”며, 특히 얼마 전 “내전의 상처를 안고 제주에 밀려온 예멘인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정부와 교회는 이들에 대해 무관심과 혐오로 상처를 주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한국 디아코니아는 지난 석달간 긴급행동을 통해 자그마한 도움의 손길을 전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계속해서 홍 목사는 이제 “난민심사가 종료되어 대부분의 예멘 난민신청자들이 난민자격에서 박탈된 채로 제주를 떠나 육지로 온다.”며 “한국디아코니아는 작은 손길을 그들에게 함께 잡고 나가려 한다.”고 밝혔다. 출판된 헤른후트 매뉴얼이 난민후원기금으로 사용되어질 것을 알린 것이다.

이 두 책에 대한 출판기념회 홍주민 박사가 “헤른후트 로중”에 대해 소개를 하고, “헤른후트 매뉴얼”과 관련해서는 번역자인 김상기 박사가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디아코니안대학 학생들의 헤른후트 찬양이 이어진다. 출판기념회 행사 관련 자세한 문의는 안태훈(010-7617-7891) 간사에게 연락하면 된다.

편집부 webmaster@ecumenian.com

헤른후트와 본회퍼 그리고 나. 홍주민 / 한신대학교 외래교수



헤른후트와 본회퍼 그리고 나

홍주민 (juminhong@naver.com)홍주민 / 한신대학교 외래교수
승인 2010.12.18 22:06





헤른후트(Herrnhut), 우리말로 '주님이 보호하시는 곳'을 의미한다. 헤른후트 공동체 운동은 지금으로부터 약 300년 전, 독일의 북동부에 위치한 한 자그마한 마을에서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니콜라우스 루트비히 폰 친첸도르프(1700-1760)에 의해 시작된 창조적인 디아코니아 공동체 운동이다. 섬김 공동체였던 초대교회를 이루고자 했던 그는 대학을 졸업하고 드레스덴에서 직장 생활을 하던 중, 그의 일생을 변화시킨 모라비아 교도들을 만난다. 이들은 체코 프라하에서 종교개혁 운동을 하다가 1415년에 화형당한 얀 후스의 후예들이었다. 친첸도르프는 이들에게 자신의 사유지를 제공하여 정착하도록 하는데, 이들은 그곳을 '헤른후트'라 칭하고 1727년경 200여 명의 모라비아 이주자들과 함께 공동체 생활을 시작한다.







▲ 헤른후트 공동체



이들에게 아주 독특한 형식의 말씀 묵상집이 전해 내려오는데, 바로 헤른후트 기도서이다. 이 기도서는 'Die Losungen(로중)'이라고 하는데 그 의미는 군사적인 용어로 '암호'라고 한다. 군인이 싸우러 나갈 때 암호는 적군과 대치 상황에서 아주 생명과 같은 것이다. 만약에 암호를 잘못 외우거나 모르면 생명의 위협을 가져올 수 있다. 이 기도서의 첫 주창자인 친첸도르프는 헤른후트 공동체원들이 매일매일의 삶 속에서 짧은 말씀이지만 생명과도 같은 소중한 말씀으로 영적 투쟁에서 승리할 것을 바라면서 로중 운동을 시작하였다.

필자는 2007년과 2009년 여름, 헤른후트 공동체를 방문한 적이 있다. 첫 방문 때 우연히 이 로중을 만드는 이들을 만날 수 있었는데, 그들은 나에게 지난 300여 년 동안 매일을 위한 구약성서 구절을 제비뽑기하여 뽑아내는 제비 함을 보여 주었다. 그 안에는 1,800개의 번호가 적혀 있는 제비가 있었고 한쪽에는 번호와 성서 구절이 적혀 있는 문건이 있었다. 아주 인상적이었다. 300여 년 전부터 컴퓨터의 도움이 없이 이러한 작업이 진행되었다는 사실과 그 과정 속에서 성서 구절이 반복되지 않는다는 것은 아주 경이로움을 자아냈다. 그들은 말하기를, 1년을 위해 뽑힌 제비는 다음 3년 동안 옆으로 놓이고 이 기간에는 이미 뽑힌 구절은 제외된다고 한다. 그런데 그들은 이 뽑힌 말씀을 주님께서 주신 말씀으로 받아들인다.

필자가 헤른후트 기도서를 접한 것은 십여 년 전 독일에 공부하러 갔던 유학 초년기였다. 독일에서는 서점에 다른 큐티 자료는 별로 없지만 이 기도서는 어디서나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보편화되어 있다. 처음으로 필자가 이 로중을 접한 것은 독일어를 배우는 기간 중 독일 기독학생회에 참여하여 모임에 정기적으로 나가게 되면서였다. 매주 월요일 저녁 시간에 마인츠 구시가지에 있는 모임 장소에서 모였는데, 그 모임에 참여하는 이들은 독일 학생들도 있었지만 외국 학생들이 많았다. 전 세계에서 몰려온 친구들과 어울려 독일어로 인사를 나누고 교제하는 것은 이국땅에서의 외로움과 불안감을 떨치게 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런데 그 가운데 지금도 뚜렷하게 기억으로 남아 있는 것은 매번 모여서 말씀 묵상과 찬양을 하면서 접한 헤른후트 로중과의 만남이었다. 아주 짧은 말씀이지만 그 말씀을 읽고 돌아가면서 떠듬떠듬 자신의 가슴에 부딪힌 것을 독일어로 나누는 시간은 그 어떠한 설교보다도 더 강력한 메시지로 나를 휘감았다. 그때부터 가까이하게 된 로중은 이국땅에서 힘들었던 순간에 나를 무너지게 하는 힘들에 대항하는 '아주 작은 영적 무기'였다.








▲ 특히 행동하는 신학자로 20세기 후반에 개신교의 신학과 실천에 큰 영향을 끼친 디트리히 본회퍼는 헤른후트 기도서의 애독자였다.



이 로중은 슐라이에르마허, 본회퍼, 코트비츠, 비헤른 등 수많은 개신교인들에게 교단과 교파를 초월하여 지대한 영향을 끼쳐 왔다. 특히 행동하는 신학자로 20세기 후반에 개신교의 신학과 실천에 큰 영향을 끼친 디트리히 본회퍼는 헤른후트 기도서의 애독자였다. 본회퍼는 2차 세계대전 중 히틀러 암살 계획에 가담했다가 발각돼 2년 동안 감옥 생활을 하고 전쟁이 끝나기 직전 교수형에 숨진 인물이다. 그는 1933년 히틀러가 국가 사회주의를 주창하며 유대인 600만여 명을 학살하고 수천만 명의 희생자를 낸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전쟁광인 히틀러에게 항거한 것이다. 그는 히틀러를 '적그리스도'로 보고 이에 저항하는 '고백교회' 운동을 하면서 신앙을 지켜 나갔다.

1939년 7월 미국 유니언 신학교 초빙교수로 있던 본회퍼는 당시 그의 심경을 그의 책 '공동의 삶(Gemeinsames Leben)'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헤른후트 기도서는 단순한 성경 말씀 구절에 그치지 않는다. 매일 주어지는 말씀은 우리에게 앞으로 나갈 길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본회퍼는 1939년 여름, 미국에서 기록한 일기문에 아주 분명한 필치로 자신이 미국에 계속 머물 것인지 아니면 독일로 돌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로중 말씀을 읽으며 고민하는 흔적이 나온다. 그러한 고심을 하는 가운데 로중의 한 말씀이 그를 강타한다. "주님은 은을 정련하고 깨끗하게 하신다." 말라기서의 이 한 말씀을 읽고 덧붙여 옆에 기록한다. "나는 나를 더 이상 잘 알 수 없다. 하지만 주님은 나를 잘 알고 있다. 결국 모든 행동과 실천은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 말씀과의 부딪침 이후, 본회퍼는 지체하지 않고 독일로 돌아온다. 그리고 저항 운동에 가담한 본회퍼는 1943년 4월 5일 체포되고, 1944년 전쟁이 끝나기 바로 직전에 교수형으로 처형된다.

본회퍼에게 헤른후트 기도서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처럼 필자도 그동안 이 작은 기도서에 많은 빚을 지고 있다. 이 기도서의 매일의 말씀은 하루 동안 얼마 안 되는 말씀이지만 하루의 영의 양식으로 결코 부족하지 않다. 지난 300여 년 전부터 개신교 전통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이 기도서가 51개 국어로 번역되어 지구상의 많은 이들이 동일한 말씀으로 힘을 얻고 있다. 필자는 헤른후트 기도서 2009년도 판부터 <말씀 그리고 하루>(한국디아코니아연구소)라는 제목으로 번역해 한국에 소개하고 있다. 필자는 이 작은 묵상 집을 통해 한국의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좀 더 깊이 있는 말씀에 닻을 내리고 살아가기를 소망해 본다. 더 나아가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행동하는 말씀'인 디아코니아를 조용히, 섬기면서, 사랑하면서 실천해 나가기를 희망해 본다.

"주님은 올바른 길을 보여 주시고자 당신 앞에 계십니다.

주님은 악한 사람들의 흉계로부터 지켜 주시려고 당신 등 뒤에 계십니다.

주님은 아래로 추락할 때에 궁지에서 벗어나게 하시려고 당신 밑에서 잡아 주십니다.

주님은 축복해 주시기 위해 당신 위에 계십니다(초대교회의 축복문)."






▲ 헤른후트 기도서



이 기도문은 2010년 헤른후트 기도서에 나오는 초대교회의 축복문이다. 어느덧 한 해가 기울고 있다. 이 한 해도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의 기도문처럼 주님의 은총 가운데서 늘 강건한 삶을 살게 하신 주님께 감사드리며, 새로운 한 해에도 변함없는 주님의 은총이 늘 함께하기를 소망해 본다.

홍주민 / 한신대학교 외래교수

기공수련 팔단금을 동영상으로 함께 배워볼까요

기공수련 팔단금을 동영상으로 함께 배워볼까요

이길우 기자의 기찬몸 » 계단 바르게 오르기/안광욱 건강 걷기 2

이길우 기자의 기찬몸 » 계단 바르게 오르기/안광욱 건강 걷기 2



계단 바르게 오르기/안광욱 건강 걷기 2 안광욱의 건강 걷기

2017.02.08 14:00 이길우 Edit


안광욱 건강 걷기 2/계단오르기



아줌마 특유의 펑퍼짐한 체형을 지닌 사십 대 중반의 주부인 김씨가 찾아왔다. 그분은 몇 년 동안 허리와 무릎관절, 어깨의 만성 통증으로 시달려왔다. 밤마다 장딴지에 쥐가 나 자주 잠을 설쳤고, 전신 권태와 무력감으로 아무 의욕 없는 회색빛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했다. 그분은 같은 나이 또래 대부분의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오래 걷는 것을 싫어했고, 오르막길이나 계단은 더더욱 싫어해서 육교가 아주 가까이 있어도 일부러 멀리 있는 횡단보도까지 가서 길을 건너 다녔다. 그러니 평소에 등산 같은 건 엄두도 내지 못했다.
 
 그러나 계단을 제대로 오르는 법을 배워 익히고 나서, 반년쯤 지난 뒤부터는 본인이 사는 아파트 1층에서 24층까지 한 번도 쉬지 않고 단숨에 오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다시 얼마 후에는 한 번 오르는 것만으로는 운동이 덜 되는 것 같은 아쉬움이 있어 엘리베이터를 타고 1층까지 내려와 다시 한 번 더 오르곤 한다고 자랑을 했다. 중년의 나이인데다 과거 여러 부위의 만성 관절 통증으로 시달려왔던 분이 매일 한 번씩 48층을 오른다는 것은 실로 대단한 발전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그분은 일주일이 멀다 하고 등산까지 즐기게 되었다.
 
 그렇게 제대로 걷기를 하면서 지내다보니 밤마다 장딴지가 쑤시고 쥐가 나던 증상은 말끔히 사라지고 고질이던 허리와 어깨 통증도 거의 나타나지 않을 만큼 상태가 좋아졌다. 그리고 몸매가 전보다 더 날씬해지고 끝없이 지루하기만 했던 나날이 즐겁고 행복한 시간으로 바뀌면서 항상 의욕이 넘쳐났다. 계단을 오를 때마다 일어났던 무릎 통증도 역시 완전히 사라졌음은 물론이다. 6개월 전 그분이 처음으로 2층에 있는 연구소를 찾아왔을 때 계단 한 층을 걸어 올라오는 것도 힘들다고 했던 것을 생각하면 제대로 걷기 하나로 삶의 질이 엄청나게 높아진 셈이다.
 
 너무 흔해서 그래서 너무나 당연해 보이는 우리 주위의 계단들은 실제 자연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공구조물이다. 단층의 건물이 수직으로 올라가기 시작하고, 육교와 지하철 등이 건설되면서 필요에 의해 고안된 것이 계단이다. 역사로 보면 인류의 오랜 걷기역사 중 고작 100~200년이고, 현대화가 서양보다 늦은 우리나라는 그보다도 훨씬 짧은 50~60년 정도다. 자연에 없었던 구조물인데다 타 걷기지형에 비해 등장한 역사가 매우 짧은 만큼 계단이용이 세련되고 효율적이지 못한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사례에서도 언급했지만 계단 오르기의 가장 큰 문제는 무릎에 가해지는 엄청난 스트레스다. 자칫 잘못하면 계단걷기로 얻은 몇 가지 효과를 고질적인 무릎 관절통과 맞바꾸는 결과를 가져온다. 극심한 하지근육의 피로감과 근육통, 가슴이 터질 것 같은 숨참과 급격한 혈압상승 또한 계단이용과 계단운동을 주저하게 되는 요인이다. 계단 오르기는 중력을 거슬러 몸을 수직으로 들어 올려야 하고, 개인의 조건과 운동 수행 능력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계단의 높이와 보폭 조절이 불가하다는 점에서 다른 걷기지형에 비해 힘들고 불편하다.
 
 계단은 인간이 이제껏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지형이고 난해한 지형이기에 그에 따른 세심한 연구가 필요하다. 계단 오르기가 너무 힘들거나 계단을 오르다 부상을 입은 경험이 있다면 그것은 본인의 계단 오르기 자세가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아야한다. 계단 오르기는 중력의 무게와 자신의 체중을 이겨야 하므로 아무리 잘해도 평지만큼 쉽게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제대로 된 방법으로 계단을 올랐을 때에는 아무 생각 없이 계단을 오르는 자세와 비교하여 근육의 피로도가 약 2~3배 이상 적은 것이 임상적으로 확인되었다. 계단을 제대로 오르면 힘든 것을 충분히 보상하고도 남을 만큼 큰 효과가 있다. 잘못하면 독(毒), 잘하면 보약(補藥)이 계단 오르기다.
 
 1) 잘못된 계단 오르기 자세






 
  - 상체와 고개를 과도하게 앞으로 숙인다.
  - 계단을 오를 때마다 발소리가 아주 크게 난다.
  - 어깨가 앞으로 휘어지고 팔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 뒤꿈치를 지면에서 들어 체중을 위로 들어올린다.
  - 양발간격이 넓게 벌어지고 양발 끝이 팔자형태로 바깥쪽을 향한다.
  - 무릎관절을 곧게 신전시키는 단계가 없고 전 구간을 무릎이 굴곡 된 채로 계단을 오른다.
 
 ▲잘못된 계단 오르기 자세 동영상


 
 2) 잘못된 계단 오르기 시 발생하는 문제들
 
  - 평지에서는 괜찮은데 계단을 오를 때면 무릎, 고관절, 허리 등이 아프다.
  - 계단을 오르기 운동을 오래 할수록 어깨와 목근육의 긴장이 심해진다.
  - 잠깐만 계단을 올라도 장딴지 근육이 피로하고 근육통이 오래간다.
  - 계단을 조금만 올라가도 심하게 숨이 차고 혈압이 올라가고 현기증이 난다.
  - 계단운동을 오래 할수록 장딴지가 굵어지고 밤에 쥐가 잘난다.
  - 계단운동으로 근력은 향상된 것 같은데 오래해도 체형교정 효과가 전혀 없다.
 
  3) 안광욱걷기 계단 오르기의 실제






 
  (1) 앞꿈치로 계단을 딛는다.
  무릎관절의 충격을 발의 아치로 흡수한다: 아치를 강화하여 평발예방






 
 (2) 중심을 앞으로 기울인다.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추진력 발생






 
 (3) 엉덩이를 당기며 뒤 다리 무릎을 곧게 편다.
  무릎관절의 안정성 확보: 무릎 신전근과 굴곡근의 피로감소


 
 

(4) 뒤꿈치를 계단 밑으로 내린다.
  무릎관절의 충격의 감소:평소 굳고 짧아진 장딴지근육의 이완과 신장






 
 (5) 엉덩이를 앞으로 당겨 뒷다리와 상체를 일직선상에 정렬시킨다.
  애플 힙과 허리 S라인 형성
 
 

(6) 팔을 앞보다 뒤로 힘차게 흔든다.
  추진력발생, 가슴근육 탄력증강,어깨관절 견인 운동,상지 혈관 신축성 증진


 
 

(7)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요통예방: 앞발의 충격 감소


 
 

(8) 신속하게 또는 천천히 이동한다.
  발의 아치의 높낮이 정도, 근육과 관절의 상태, 운동 목적에 따라 속도조절
 
 
  4) 안광욱걷기 계단 오르기의 효과
 
  - 10층 이상 계단을 신속히 올라가도 하지의 피로감이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 10층 이상 계단을 신속히 올라가도 호흡이 급격히 가빠지지 않는다.
  - 평소 높거나 낮았던 발의 아치가 교정되어 정상적인 아치로 변화된다.
  - 장딴지 근육의 탄력이 증가하지만 뭉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기 좋게 가늘어진다.
  - 평소에 겪었던 비복근 경련(장딴지 쥐)이 없어진다.
  - 장딴지와 무릎 뒤쪽의 정맥류가 개선된다.
  - 하지 순환장애가 원인인 가슴 답답증과 머리가 무거운 증상들이 완화된다.
  - 골반이 교정되면서 처져있던 엉덩이가 애플 힙으로 변화된다.
  - 여성의 겨우 빈약하거나 처진 가슴이 탄력 있고 아름다워진다.
  - 희미하거나 없어졌던 허리 S라인이 점점 선명해진다.
  - 무릎관절이 튼튼해져 일상생활시 무릎통증이 서서히 없어진다.
  - 골반통과 요통이 점점 사라진다.
  - 무력감이 사라지고 매사에 의욕과 자신감이 생긴다.
 
 

  5) 안광욱걷기 계단 바르게 오르기 동영상







글 안광욱

사진 동영상 이길우 선임기자


 

큰절하기/육태안의 우리무예 2팔단금은 대중적인 기공/무팔단금 3

이길우 기자의 기찬몸 » 팔단금은 대중적인 기공/무팔단금 3

이길우 기자의 기찬몸 » 팔단금은 대중적인 기공/무팔단금 3



팔단금은 대중적인 기공/무팔단금 3 무팔단금

팔단금은 중국 3대 기공의 하나/무팔단금 3
 
팔단금은 옛 사람들이 창작한 의료, 보건 체조로 여덟 절의 각각 다른 동작들로 구성됐다.  ‘팔단(八段)’이란 바로 이 공법이 모두 여덟 부분으로 되어 있다는 뜻이고,  ‘금(錦)’이란 그 자세가 아름답고 부드러워 비단 같다는 뜻이다. 이 공법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던 도인술의 동공(動功)과 정공(靜功)을 결합한 전형으로, 고대 양생사와 도인 발전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팔단금은 남조 양나라(502~557) 시대에 생겨난 공법으로 역사가 길다. 양나라 시대에 도홍경이 쓴 <양성연명록>의 일부 동작은 팔단금의 일부 정형화된 동작들과 비슷하다.
 팔단금이 구체적으로 형성된 때는 송나라(960~1279) 시대이다. 팔단금이라는 이름은 최초로 북송의 홍매가 엮은 <이견지(夷堅志)>에 수록되었으나 팔단금의 구체적인 공법은 실려 있지 않다. 남송으로부터 두 가지 팔단금이 전해져 내려왔는데, 하나는 증조(도교학자)의 팔단금이고, 또 하나는 여덟신선의 한명으로 전해지는 종리의 팔단금이다. 초기의 팔단금에는 좌식과 단순 도인술이 있고, 육자기결합도인술(六字氣訣合導引術· 육자기결에 도인술을 결합한 것) 등 여러 가지 형식이 있다.
 
 팔단금은 명청 시기에 이르러 큰 발전을 가져왔고, 여러 가지 팔단금이 동시에 전해졌다. 명나라 태조 주원장의 열일곱 번째 아들인 주권(朱權)이 쓴  <활인심법(活人心法)> 상권 <도인법(導引法)에 유명한 ‘팔단금도인법(八段錦導引法)’이 수록되어 있다. 가결(歌訣)과 작은 글씨로 된 주석이 있고, 8폭의 좌공도가 그려져 있고, 그림마다 명칭이 있었다. 그 공법의 동작이 전면적이고 기억하기 쉽고, 실행이 쉬울 뿐만 아니라 노인들이 수련하기에 적합하여 광범위하게 전파되었고 영향범위가 컸다.
 
 근대에 가장 널리 전파된 팔단금 동작과 정형화된 팔단금 가결로는 청나라 광서16년(1890년)에 양세창(梁世昌)이라는 이름으로 출판한 <역근경도설(易筋經圖說)>에 무명으로 게재된 ‘팔단금’ 공법과 청나라 광서 24년(1898년)에 출판한 <팔단금도(段錦圖)>에 게재된 팔구칠언 가결이 초기 판본이다.

102.jpg

 
 그 칠언 가결의 원문은 “양수탁천리삼초(兩手托天理三焦), 좌우개궁사사조(左右開弓似射雕), 조리비위수단거(調理脾胃須單擧), 오로칠상왕후초(五勞七傷往後焦), 요두파비거심화(搖頭擺尾去心火), 배후칠전백병소(背後七顚百病消), 촬권노목증기력(촬拳怒目增氣力), 양수거족고신요(兩手攀足固腎腰)”이다.
 
 그 뜻은 ①두 손으로 하늘 받쳐 삼초 다스리기 ②좌우로 화살을 당기듯 하기 ③비장과 위를 다스리는 한 팔 들기 ④오로칠상 뒤돌아보기 ⑤머리 흔들며 엉덩이 벌려 심화 없애기 ⑥뒤로 일곱 번 떨어 백병 없애기 ⑦주먹 쥐고 눈 부릅떠서 기력 늘리기 ⑧두 손 발 잡아 허리힘 기르기이다.
 
 이 가결은 대중을 상대로 한 공법으로 초보자들도 배우기 쉬워, 근현대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도인 가결이 되었다. 나중에는 좌식, 입식팔단금을 각각 좌팔단(坐八段), 입팔단(立八段)으로 불렀으며, 입팔단은 또 문(文)과 무(武) 혹은 남과 북으로 구분되었다.

 100.jpg

 수련할 때 마보(馬步·권술의 기본 동작 중 한 종류로 오른발을 내딛고 허리를 낮춘 자세)를 적용하고 동작이 힘 있는 것을 무팔단(武八段) 또는 북파(北派)라고 하며, 수련할 때 좌식을 적용하고 동작이 부드러운 것을 문팔단(文八段) 또는 남파(南派)라고 한다.
 팔단금은 고대의 거병도인, 건신 도인 등 여러 동작들을 정선하고 정제하여 구성한 도인건신법이라고 할 수 있다. 팔단금은 송나라 시대에 세상에 나와 지금까지 800여 년을 내려오면서 형식과 내용에서 모두 비교적 큰 변화를 가져왔으나 지금도 여전히 대중들이 즐겨 단련하는 공법으로, 체질의 강화와 건강장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글 백오
동영상 이길우 선임기자 
TAG
 

Amazon.com: Resolving Conflict: A Practical Approach (9780195517538): Gregory Tillett, Brendan French: Books

Amazon.com: Resolving Conflict: A Practical Approach (9780195517538): Gregory Tillett, Brendan French: Books





January 17, 2002

Format: Paperback
Written by an Australian conflict resolution academic and practitioner, this is the best overall introductory text on conflict resolution of which I am aware. 

I used it as a student, and now I find it very useful as a teaching tool. It is easy to read and very comprehensive, covering interpersonal, neighbourhood, workplace and environmental conflicts. Its major weakness is a lack of coverage of international conflict resolution. 
The focus is on practical skills and processes, including conflict analysi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mediation, negotiation and arbitration. The underlying theory of conflict resolution is very clearly explained. It really is an excellent guide to everything you ever needed to know about conflict resolution, both for professionals and those with a more general interest in how to be more conflict resolving in their everyday lives.
It's a pity it is not more easily available in the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