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26

Aldous Huxley and Alternative Spirituality | Reading Religion

Aldous Huxley and Alternative Spirituality | Reading Religion

Aldous Huxley and Alternative Spirituality

Texts and Studies in Western Esotericism

Reddit icon
e-mail icon
Twitter icon
Facebook icon
Google icon
LinkedIn icon
Jake Poller
Aries, Vol. 27
  • Boston, MA: 
    Brill
    , August
     2019.
     366 pages.
     $203.00.
     E-Book.
    ISBN 
    9789004406902.
     For other formats: Link to Publisher's Website.

Review

Aldous Huxley is among the most important thinkers of the 20th century. He was a key figure among a network of intellectuals and writers interested in transcendence and transformation, and he enormously influenced the Human Potential Movement, the 1960s psychedelic counterculture, the New Age Movement, and deep ecology.

In Aldous Huxley and Alternative Spirituality, Jake Poller reviews Huxley’s investigations and experiments in sociology and mysticism in comparison to the differing perspectives on similar themes in his fiction, including Brave New World (Chatto & Windus, 1932) and Island (Chatto & Windus,1962). Poller skillfully shows the modern literary influence of H.G. Wells and D.H. Lawrence on Huxley’s early aesthetic and also defines a cultic milieu for the Perennial Philosophy, which is contrasted to historical antecedents and similar variations. The author draws heavily from the literary criticism of David Bradshaw and cites Wouter J. Hanegraaff and Jeffrey J. Kripal in positing a Western esoteric tradition. Finally, Poller situates Huxley in a sequence of mind-altering drug champions that include P.D. Ouspensky and Aliester Crowley as predecessors, scientific researchers Humphrey Osmond and Albert Hoffman, and popularizers such as Timothy Leary and Terence McKenna.

Huxley critiqued the aims of Gerald Heard’s Open Conspiracy Club, which envisioned a collective eschatology in Western psychology when an elite group of scientists and industrialists displace nationalist states with a rational, technocratic planetary government. During the first phase, the vague beginnings of organization sought to define the aims with proposals and propaganda, intimate contact with educational reformers, and actual development of the Earth’s resources in a global economy and world banking system. Huxley, who was a member of Heard’s Peace Pledge Union, worried about the dangers of machines intended to elevate humanity instead enslaving people, and he also wa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exploitation when humans are trained (and drugged) to be obedient workers and predictable consumers. Huxley believed that peace is not possible without a religious philosophy agreeable to all nations. He rejected behavioralism in favor of Immanuel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and proposed a Minimum Working Hypothesis and FourFundamental Tenets of the Perennial Philosophy, which is not universal (found in all religions at all times) but recurs in several traditions. Huxley was intrigued by examples of socially and spiritually mandated forms of sexual promiscuity, and his ideal politics would make the world safe for mystical experience.

Poller traces the varieties of perennialism starting with definitions: “spiritual” is neither secular nor is it institutional religion; “alternative” is not mainstream culture. Mysticism (as defined by William James and Rudolf Otto) is not esotericism (a Renaissance synthesis and polemic Other to Enlightenment discourse) which is not occultism (like Theosophy and the Hermetic Order of the Golden Dawn).

Moreover, Huxley’s Perennial Philosophy is historically distinct from both De Perennis Philosophia (the Vatican librarian’s response to Luther’s protest) and also Marsilia Ficino’s Prisca Theologia (a Platonic worldview derived from the wisdom mythologized in legends of Moses, Hermes Trismegistus, Zoroaster, Orpheus, etc). The late 19th-century and early 20th-century cultic milieu was strongly determined by three inspirations: The Secret Doctrine by Madame Helena P. Blavatsky (Theosophical Publishing Society, 1875), which proposed hidden masters attempting to reconcile all sects and nations under a common system of ethics (later interpretations by Annie Besant and Alice Bailey expanded this concept into administrative offices of a planetary government); Traditionalism (represented by Rene Guenon, Julius Evola, Ananda Coomaraswamy, and Frithjof Schuon) which claimed to transmit a superior but partially corrupted and incomplete ancient knowledge which is inaccessible except through initiation rites similar to the Sufis and Freemasons; and, Neo-Vedanta which emerged from the cross-pollination of Unitarian Christianity and American Transcendentalism and produced a “New Dispensation” that claimed right guidance and practice will enable correct perception of the truth which has been concealed or distorted.

Huxley drafted the prospectus for Heard’s Trabuco College of Prayer, an intentional community imitating the charity and compassion of religious orders. It was imagined as an undogmatic, nonhierarchical, nondenominational club for mystics and rest center for social workers. It was open to maladjusted youth seeking to regain control of themselves and return to an integrated life in the world. Heard was interested in the regeneration of the individual (168), but he also believed the only hope for our derelict civilization is in the emergence of Neo-Brahmins who have attained the next stage of evolution and assumed leadership of humanity (158). Heard practiced an idiosyncratic discipline seeking a telepathic connection to an impersonal psychic field which had no resemblance to Patanjali’s yoga or Swami Vivekananda’s program (151). Huxley visited six times, once with Jiddu Krishnamurti who was disturbed and declined to return. Heard judged his attempt to be a failure and donated the compound to Swami Prabhavananda. Huxley’s interest pivoted toward tantra, which Poller compares to descriptions by Heinrich Zimmer, John Woodroofe, and Hugh Urban.

Huxley believed human progress results not from an evolutionary leap or paranormal training, but through cultivating existing potential aided by pharmacology. Heard also promoted LSD as an educational tool to right-wing Libertarian groups and introduced the drug to the engineers at the Sequoia Seminars who were in pursuit of a man-machine symbiosis through computer-augmente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uxley regarded LSD as “moksha-medicine” (liberation) and the cure-all for modern problems. He took psilocybin at MIT with Leary, who dosed members of the Vedanta Center in Boston using Ganges water in a chalice. Huxley advised Leary to “turn on the elites” and advocated appropriate set-and-setting, but Allen Ginsburg persuaded Leary to reach out to the public instead. The movement that emerged was chaotic and dangerous. 

There was a time when perennialism flourished in the counterculture (through Alan Watts) and in the academy (through Mircea Eliade). However, this important branch of intellectual history and associated figures (including Carl J. Jung, Joseph Campbell, and Huston Smith as exemplars in their respective fields) was stigmatized and rejected in the postmodernist demolition project. Poller rescues Huxley from the disdain heaped on his “synthetic Yoga-Buddhic-Christian religion” and shows the connection between Huxley’s experiments in lived ideology as reflected in his creative literary achievements. Poller’s compelling book enhances appreciation and deepens respect for Huxley’s fiction and visionary mysticism.

About the Reviewer(s): 

Patrick Horn is a Public Scholar and the Membership Committee Chairman for the Religion Communicators Council Board of Governors.

Date of Review: 
July 30, 2020
About the Author(s)/Editor(s)/Translator(s): 

Jake Poller, Ph.D. (2010),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is the editor of Altered Consciousness in the Twentieth Century (Routledge, 2019). 


김경일 “사람이 왜 이 세상에 태어나는가?”- 1]성불, 2]창생을 구원

(20+) Facebook

本願에 대하여
언제부터인가 제 오랜 화두가운데 하나는 “사람이 왜 이 세상에 태어나는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사람은 왜 태어나나? 우리는 살면서 꼭 해야만 하는 어떤 일이 있다면 그게 도대체 무엇일까?”
만물이 다 존재 이유가 있듯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어떤 까닭이나 목적이 있을 것 같았습니다.
그러나 그게 확연하지 않았습니다. 늘 생각이 왔다 갔다 하면서 명료하지 않았습니다.
돈을 벌고 지식을 쌓고 명예를 얻고 배우자를 만나 가족을 이루는 등 이런 것 말고 더 근원적인 이유가 있지 않을까?
저는 그것이 本願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생각해보니 本來誓願이란 말의 줄임말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
본원 위키백과, 대승의 보살들은 자신의 오도(悟道)는 뒤로 돌리고 우선 남을 구제한다는 자미득도선도타(自未得度先度他)의 사상과 실천을 이상으로 하였고, 이러한 중생구제의 염원과 깨달음을 찾아 불도에 들어올(발심 · 發心) 때부터 그 맹세가 요구되었다.[1] 이러한 소원을 마음으로 맹세하는 것, 즉 서원을 일반적으로 본원(本願)이라고 하였다.[1] 예를 들어 아미타불의 사십팔원(四十八願)이나 약사불의 십이원(十二願) 등이 본원에 해당한다.[1] 그러나 정토교에서는, 아미타불이 법장보살이었을 때 중생제도를 기원하여 세운 사십팔원 중 특히 제18원을 본원 중의 본원으로 삼는다는 뜻으로 왕본원(王本願) 혹은 단순히 본원이라 하여 존중하였다.[1] 제18원이란 아미타불이 "생명을 받은 일체의 것이 지심(至心)으로 신락(信樂: 信心歡喜)하고 나의 정토에 태어나기를 원하면, 겨우 십성(十聲)의 염불만을 외었다 할지라도 이를 구제하지 못하면 부처가 될 수 없다"고 말한 서원(誓願)이다.[1] 이 서원은 아미타불 편에서 보면 염불하는 자를 구하기를 맹세한 것이고, 중생편에서 보면 염불을 하면 정토에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신앙이다.[1]
===

그런대 보통 우리는 서원이라고 하면 특별한 사람이 내는 특별한 소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제가 생각하는 본원은 사람이면 누구나 다 근본적으로 태생적으로 있을 것 같았습니다. 아니 사람만이 아니라 모든 유정물이 다 동일한 불성을 가졌다고 말하는 것처럼 모든 유정물은 본원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것이 뭘까?

어느날 대종경을 읽다가 대종사께서 이동진화 선진을 만나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 해야 할 가장 근원적이고 크고 중한일은 첫째가 스승을 만나 성불하는 일이고 두번째가 대도를 얻은 뒤에 창생을 구원하는 일"이라고 하신 말씀에서
" 아! 그렇구나! 이것이 우리의 본원이구나" 하는 감각이 들었습니다. 답은 가까이 있었습니다. 온 몸이 전율이 왔습니다. 큰 고비 하나를 넘은 듯 가슴이 시원하고 머리가 개운했습니다.

그러나 잠시 뒤 " 왜 그럼 본원을 아는 사람이 드물까?" 반문이 들었습니다.
그렇지만 그 의문은 오래 가지 않았습니다.
그래! 중생들은 이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 숙업에 가려 본원이 어두워질 뿐이지....본원은 영원불멸합니다.
세상에 나오는 순간 현상계의 오욕에 눈멀어 본원은 알지 못하고 재색명리를 구하는 것으로 소원성취를 삼고 살다가 또 세상을 마치고 다시 왔다가 다시 가고....윤회를 거듭하는구나.
----
우리는 본디 불성을 가진 존재입니다. 불성만 가진 존재가 아니라 성불제중의 본원을 가진 존재입니다.
성불제중은 특별한 사람만이 갖는 서원이 아닙니다. 너 나 할 것 없이 우리 모든 유정물은 다 이 본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다만 업력에 밀리고 무명에 가려 알지 못할 뿐입니다. 우리는 사실 성불제중의 서원을 내가 의지로 세우는 것이 아니라 이미 내게 완벽하게 갖추어진 서원을 본래 가지고 있으며 우리는 다만 이를 각성하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세상의 조건은 우리 본원을 수행하는데 어떤 조건도 방해가 되지 않습니다.
내가 지금 남자든 여자든, 나이가 많든 적든, 내가 농사를 짓든 교수를 하든, 내가 돈이 많든 적든, 내가 건강하든 건강하지 않든,...몸이 아프면 아픈 몸경계를 가지고 공부하면 됩니다.

지식이 많든 적든,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환경이나 조건이 좋든 나쁘든 성불하고 제중하는데 전혀 방해받지 않습니다. 아니 방해가 안 되는 정도가 아니라 지금 나에게 주어진 운명과 조건들은 내게 최적화된 나에게만 주어지는 유일한 비로자나 법신불, 진리부처님의 선물, 퍼펙트한 선물입니다.
내게 주어진 이 최고의 선물을 외면하고 따로 공부하기 좋은 조건이 다시없음을 빨리 알아차려야 합니다. 지금 이 자리에서 이 본원을 각성하는 순간 비로소 우리는 대도정법의 신앙과 수행의 여정에 오릅니다. 나는 불성의 존재일 뿐 아니라 본원을 갖춘 존재임을 받아들일 때 불보살과 함께 파수공행합니다.

이 길은 신앙과 수행이 완벽하게 갖추어진 공부길입니다. 온전하게 믿고 그대로 나아가면 됩니다. 이 공부가 일승의 법이며 최상승의 법입니다.
본원을 자각하고 받아들이면 문득 삶의 차원이 달라집니다. 새로운 세상이 열립니다. 개벽이 시작됩니다.

  • 내가 늘 원수라고만 여겼던 남편이 내 공부의 최고 자원이고 본원의 동업자이며
  • 늘 짐으로만 여겨졌던 자식들이 다 나를 성불의 길로 인도하는 천사들이고 보살들임을 알게 됩니다.
  • 피할 수만 있다면 피하고 싶었던 시집식구들이 내게 서원을 이루는 훌륭한 도우미라는 것을 비로소 알게 됩니다.

현상계의 내 삶을 우리가 다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우리는 이 진리와 법으로 본원을 향해서 공부해 갈 수는 있습니다.
지체하지 마십시오.
두려워 하지 마십시오.
  • 본원을 자각하는 순간 동서남북상하의 모든 부처님들이 나를 지켜 주시고 이끌어 주실 것입니다.
넘어져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냥 일어나서 가면 됩니다. 세상의 헛 것에 속지 말고 본원을 향해 나아가면 천지 만물 허공법계는 물론 미물 곤충까지라도 다 나를 지지하고 격려할 것입니다.
(1051010감각)

2022/02/25

박길수 천도교 수도공부모임 - 다섯 번째, 좌법(坐法)

Facebook: 박길수 tchtf4po2c5slcceldi5h1  · [개벽통문-245]

[개벽통문-245] 1. 2월 24일, 다섯 번째, 천도교수도공부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세번째(1.27)는 송주법(誦呪法),
네 번째(2.10)는 '호흡법(呼吸法)'을 중심으로 이야기한 데 이어,
오늘은 좌법(坐法)을 중심으로 이야기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천도교 수련의 좌법은 평좌장족법(平坐藏足法)으로 이야기되지만, 천도교 역사에서 보거나, 일부 수도원에서는 궤좌법(跪坐法)을 권장/고집/제시하기도 합니다. 또는 수도 단계(주문법)에 따라 궤좌와 평좌장족을 구분해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2. 범위를 넓혀 보면, 불교에서는 결가부좌나 반가부좌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좌법이 오랫동안 폭넓게 제시되어 왔고, 인도로 넘어가면(요즘은 세계적으로 보편화되었지만) 요가에서 비롯되는 여러가지 아사나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습니다. 아사나의 본뜻이 '좌법'이라는 의미라고 하는 것에서 미루어보면, 결국 수련(넓은 의미의)의 성패는 좌법에 의해 좌우된다고 해도 크게 틀린 말은 아니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3. 좌법은 세부적으로 손의 위치와 모양, 얼굴(턱)의 자세, 혀의 위치, 좌법에 따른 수련 전후의 몸가짐(+마음가짐-ex.몸풀기)의 사항으로 세분화되기도 하고, 수도인의 일상에서의 몸가짐, 계층-단계 그리고 상황에 따른 수련법의 차등화 가능성 or 필요성 여부, 수련 과정에서 나타는 다양한 반응의 양상과 대응법, 비일상적 상황과 부작용(?)에 대한 대처와 치유법 등으로 외부화하기도 합니다. 앞서 나온 송주나 호흡도 수련자세(좌법)과 떼려야 뗄 수 없이 연결되어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요.

4. 오늘 이야기도 기도식을 포함하여 2시간 30분동안 쉴틈없이 이어졌지만, 역시나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에..."를 기약하며 마무리되었습니다. 수도법의 통일성을 기하거나, 대중화, 공식화(체계화, 메뉴얼화) 가능성 or 필요성 등 되풀이되는 주제도 간간이 다루어졌습니다. 역시 모든 내용이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하나의 주제들에 필요한 이야기들을 2시간 30분에 모두 다루고, 매듭짓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주제 점검이랄까, 겨우 화제, 화두로 올려놓는 정도에 불과하지요. 어찌 이 일(수도, 공부)이 '끝'이나 '완결'이 있을 수 있는 일이겠습니까?

5. 좀 삭막한, 혹은 도식적인 비유일 수는 있겠지만, 먹고사니즘과 관련되는 문제영역은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났기에 의무적으로 정성을 기울여야야 하는 일이라면, 공부(이치+수행)는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난 덕분에 권리적으로 정성을 기울일 수 있는 일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영혼(?)은 시공을 초월한 세계(?)에서 존재하므로, 그러한 권리(?)를 누릴 수가 없습니다. 태어난 만큼, 맘껏 그 권리를 누릴 수 있기를/있도록 바라고 정성들여야겠습니다.
사진 설명이 없습니다.
You, 민속원 and 13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