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04

Dhat syndrome - Wikipedia

Dhat syndrome - Wikipedia

Dhat syndrom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Dhat syndrome
SpecialtyPsychiatry

Dhat syndrome (Sanskrit: धातु दोष, IAST: Dhātu doṣa) is a condition found in the cultures of South Asia (including Pakistan, India, Bangladesh, Nepal, and Sri Lanka) in which male patients report that they suffer from premature ejaculation or impotence, and believe that they are passing semen in their urine.[1] The condition has no known organic cause.[2]

In traditional Hindu spirituality, semen is described as a "vital fluid". The discharge of this "vital fluid", either through sex or masturbation, is associated with marked feelings of anxiety and dysphoria. Often the patient describes the loss of a whitish fluid while passing urine. At other times, marked feelings of guilt associated with what the patient assumes is "excessive" masturbation are noted.

Many doctors view dhat as a folk diagnostic term used in South Asia to refer to anxiety and hypochondriacal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discharge of semen, with discoloration of the urine, and feelings of weakness and exhaustion.

Dhat is thought to be a culture-bound syndrome similar to jiryan (South-East Asia), prameha (Sri Lanka), and shenkui (China).[3] Dhat syndrome might be related to other post-orgasmic diseases, such as post-coital tristesse (PCT), postorgasmic illness syndrome (POIS), and sexual headache.

Signs and symptoms[edit]

Young males are most often affected, though similar symptoms have been reported in females with excessive vaginal discharge or leucorrhea, which is also considered a "vital fluid". In addition, there are symptoms of fatigue and weakness.[4] Patients with Dhat condition most normally ascribe their semen misfortune (secretion of semen in urine) to reasons like inordinate masturbation, sensual dreams, and unreasonable sexual longing. Nocturnal emission and secretion of semen in urine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widely recognized symptoms of semen misfortune. Patients with Dhat condition frequently dread the result of semen misfortune and regularly have the conviction that it will lead to decrease in sexual performance. The most widely recognized side effects in patients with Dhat condition are shortcoming of the body, sluggishness, low energy, and low temperament.[5] Premature ejaculation and impotence are commonly seen. Other somatic symptoms like weakness, easy fatiguability, palpitations, insomnia, low mood, guilt and anxiety are often present. Males sometimes report a subjective feeling that their penises have shortened. These symptoms are usually associated with an anxious and dysphoric mood state.[6] Another sign of this syndrome is white discharge.[7] According to Ayurvedic, an Indian medical system, men who have experienced this have shown signs of anxiety issues.[8] This disease is a culture bound syndrome. Semen loss is generally viewed as taboo and harmful.[9] It is also associated with a lower socioeconomic class. Being able to produce semen is viewed as longevity of one's health and certain powers.[9] In Indian culture, it is important for a man to produce semen.

Treatment[edi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the mainstay of treatment. At other times counseling, anti-anxiety and antidepressant medications have been shown to be of use.[10] Doctors have found that antidepressant (PDE-5 inhibitors) medicines have shown positive results in controlling the Dhat syndrome's psychological causes."[11]

Epidemiology[edit]

Dhat syndrome has been reported throughout South Asia in several communities."[12]

History[edit]

The term Dhat gets its origin from the Sanskrit word Dhatu (धातु), which, according to the Sushruta Samhita, means "elixir that constitutes the body". Indian doctor Narendra Wig coined the term Dhat syndrome in 1960 and described it as being characterized by vague psychosomatic symptoms of fatigue, weakness, anxiety, loss of appetite, guilt, and sexual dysfunction, attributed by the patient to loss of semen in nocturnal emission, through urine or masturbation.[13] Literature describing semen as a vital constituent of the human body dates back to 1500 BC. The disorders of Dhatus have been elucidated in the Charaka Samhita, which describes a disorder called Shukrameha (शुक्रमेह) in which there is a passage of semen in the urine. In China, various names such as (Shen K'uei), Sri Lanka (Prameha) and other parts of South East Asia (Jiryan) symptoms and conditions are similar to dhatus.[2]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10 classifies Dhat syndrome as both a neurotic disorder (code F48.8) and a culture-specific disorder (Annexe 2) caused by "undue concern about the debilitating effects of the passage of semen".[14]

Society and culture[edit]

Some doctors believe Dhat syndrome to be either a culture-bound presentation of clinical depression, as a somatized set of symptoms, or a result of Western doctors' misinterpretation of patients' descriptions of their condition.[15][16]

Dhat syndrome is very common in Nepali culture as well. Most of them come with the complaints of "drops" and become extremely anxious about it and see it as loss of "male power". It is often related with obsessive ruminations and somatoform symptoms. Others[who?] see it as a distinct clinical entity which is less culture-bound than these critics assert, and describe it as one form of a syndrome of "semen-loss anxiety" which also occurs in other Eastern cultures as jiryan and shen-k'uei, as well as in Western cultures.

Chlamydia infection might also be related to it because of similar symptoms in case of infection of the urethra (urethritis), which is usually symptomatic, causing a white discharge from the penis with or without pain on urinating (dysuria).

See also[edit]

References[edit]

  1. ^ Ajit Avasthi, Om Prakash Jhirwal (2005). "The Concept and Epidemiology of Dhat Syndrome"Journal of Pakistan Psychiatry Society2 (1).
  2. Jump up to:a b Mehta, Vandana; De, Abhishek; Balachandran, C. (2009). "Dhat syndrome :A reappraisal"Indian Journal of Dermatology54 (1): 89–90. doi:10.4103/0019-5154.49002PMC 2800886PMID 20049284.
  3.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ages 897-903.
  4. ^ Mehta, Vandana; De, Abhishek; Balachandran, C (2009). "Dhat syndrome :A reappraisal"Indian Journal of Dermatology54 (1): 89–90. doi:10.4103/0019-5154.49002ISSN 0019-5154PMC 2800886PMID 20049284.
  5. ^ Prakash, Om; Kar, Sujita Kumar (July 2019). "Dhat Syndrome: A Review and Update"Journal of Psychosexual Health1 (3–4): 241–245. doi:10.1177/2631831819894769ISSN 2631-8318S2CID 209522985.
  6. ^ A., Avasthir., O. P., Jhirwai. (2005). "The concept and epidemiology of dhat syndrome".The Journal of Pakistan Psychiatric Society.2(6). [1]
  7. ^ Grover, Sandeep; Kate, Natasha; Avasthi, Ajit; Rajpal, Nikita; Umamaheswari, V. (2014). "Females too suffer from Dhat syndrome: A case series and revisit of the concept"Indian Journal of Psychiatry56 (4): 388–392. doi:10.4103/0019-5545.146537ISSN 0019-5545PMC 4279300PMID 25568483.
  8. ^ Grover, Sandeep; Avasthi, Ajit; Gupta, Sunil; Hazari, Nandita; Malhotra, Nidhi (2016). "Do female patients with nonpathological vaginal discharge need the same evaluation as for Dhat syndrome in males?"Indian Journal of Psychiatry58 (1): 61–69. doi:10.4103/0019-5545.174376ISSN 0019-5545PMC 4776585PMID 26985107.
  9. Jump up to:a b Malhotra, H. K.; Wig, N. N. (1975-09-01). "Dhat syndrome: A culture-bound sex neurosis of the orient"Archives of Sexual Behavior4 (5): 519–528. doi:10.1007/BF01542130ISSN 1573-2800PMID 1191004S2CID 31611632.
  10. ^ Ruterbusch, K. (2012, July 20) "Dhat Syndrome in the Indian Subcontinent", Retrieved March 29, 2013, from anthropology.msu.edu.[2]
  11. ^ Ohman, Dhat Syndrome Treatment
  12. ^ Khan, Nashi (2005). "Dhat syndrome in relation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Indian Journal of Psychiatry47 (1): 105–10. doi:10.4103/0019-5545.46077PMC 2918320.
  13. ^ Narendra Wig, "Problems of Mental Health in India", Journal of Clinical Social Psychiatry, 1960; 17: 48–53.
  14. ^ El Hamad, Issa; Scarcella, Carmelo; Pezzoli, Maria Chiara; Bergamaschi, Viviana; Castelli, Francesco (2009). "Forty Meals for a Drop of Blood …"Journal of Travel Medicine16 (1): 64–65. doi:10.1111/j.1708-8305.2008.00264.xPMID 19192133.
  15. ^ Sumathipala A, Siribaddana SH, Bhugra D (March 2004). "Culture-bound syndromes: the story of dhat syndrome"Br J Psychiatry184 (3): 200–9. doi:10.1192/bjp.184.3.200PMID 14990517.
  16. ^ Dhikav V, Aggarwal N, Gupta S, Jadhavi R, Singh K (2008). "Depression in Dhat syndrome". J Sex Med5 (4): 841–4. doi:10.1111/j.1743-6109.2007.00481.xPMID 17451483.

Mahmud ibn Ali al-Qashani - Wikipedia

Mahmud ibn Ali al-Qashani - Wikipedia

Mahmud ibn Ali al-Qashani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ahmud ibn Ali al-Qashani (Arabic: محمود بن على بن محمد القاشانى ) Sufi scholar and Islamic author from KashanPersia. He died in 735 H.E. / 1335 A.D.[1][unreliable source?]

Works[edit]

  • Lubab al-Qut Min Khaza'in al-Malakut, completed in 1320s.
  • Sharh Ta'iyah ibn al-Farid (The commentary on Ibn Farid's poem "Ta'iyah")
  • Sharh al-Khamariyah (The commentary on Ibn Farid's poem "al-Khamariyah")
  • Misbah al-Hidayah wa Miftah al-Kifayah

References[edit]

  1. ^ [1] (Arabic)

알라딘: 근대한국 개벽종교를 공공하다

알라딘: 근대한국 개벽종교를 공공하다


근대한국 개벽종교를 공공하
===
책소개
동학과 그 이후의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 등 근대한국 개벽종교가 한국사회의 대전환의 시대를 맞이하면서 사상, 종교, 정치사회, 문화, 교육의 전 부문에서 개벽운동을 추동해 간 역사적 과정을 ‘공공하다’라는 측면에서 재조명하기 위하여 공공성의 의미, 종교와 공공성의 관계, 그리고 한국 신종교-개벽종교의 공공성의 특징을 논구하는 책이다.


목차


제1부 한국 사회와 종교적 공공성

종교적 ‘공공성(公共性)’의 개념과 의미 / 염승준
한국적 공공성 탐구 / 야규 마코토
한국 사회 공공성의 붕괴와 종교적 공공성의 가능성 / 하승우
1920·1930년대 한국 ‘신종교’의 기본지형과 동향 및 특징 / 김민영
근대 한국 종교에서의 ‘민족’과 ‘민중’ / 김석근

제2부 한국 신종교의 공공성

동학이 그린 공공세계 / 조성환
증산사상과 공공성 / 허남진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 / 원영상
대종교의 종교성과 공공성 / 김봉곤
동학의 공공성 실천과 그 현대적 모색 / 박맹수



책속에서


P. 35서양의 종교가 전통적 이원론의 입장에서 신과 인간의 질적 차이를 강조하고 뒤늦게 17, 18세기 근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신과 인간의 직접적 관계를 자각하기 시작한 것과 달리, 동양의 종교는 그보다 훨씬 앞서 인간 마음 안에서 형이상학적인 초월성을 자각하였다. 신과 인간의 질적 차이를 강조해 온 서양 종교와 달리 신과 인간의 동일... 더보기
P. 55한국 신종교를 특징짓는 것은 후천개벽사상이다. 이것은 종말사상이나 서양 근대적 혁명사상과 달리 사회의 변혁·혁신과 개개인의 새로운 인간관의 각성·수행이 수반된다. 개벽사상의 논리는 각 종교마다 각양각색이지만 인간 존중 사상, 생태·환경 사상, 공동체론, 그리고 타종교에 대해 개방적이고 종교 간 대화·소통·상호 이해를 도모하는 사상은 현대사회에서 공공적 가치가 있다고 본다. 접기
P. 78특히 지금 시대의 문제는 각기 개별적인 존재로 분리되어 각자도생(各自圖生)하는 개체들을 주체로 묶을 방법이다. 즉 공(公)의 반대말이 사(私, private)라면, 공(共)의 반대말은 개(個, individual)이다. 그런 전환에서 종교의 역할이 있다. 인격적인 결합체인 공(共)과 비인격적 결합체인 공(公)의 장점을 잘 살릴 수 있도록 개인이 서로 연대하고 사유화된 것을 공유로 다시 점유하려는 노력이 중요하고 그런 노력의 결과가 구조를 바꿔야 한다. 종교는 그런 ‘묶음’의 역할을 맡을 수 있고, 근대 한국종교의 묶음은 ‘평등’과 ‘자치’라는 한국 사회 공공성에서 실종된 고리를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기
P. 104(조선 총독부의 요청에 따라 1930년대의 한국 신종교 현황을 조사한) 무라야마는 ‘유사종교’를 새로운 종교사상운동의 하나로 보았다. 즉 그는 한국 신종교의 ‘후천개벽사상, 지상천국사상, 기적과 구세주사상, 사회운동’이라는 측면과 함께 ‘동학운동(실제로는 동학당 표기), 일진회, 3.1독립운동(실제로는 3.1소요운동 표기), 성도(聖都)운동, 기타 혹세(惑世)운동’ 등과 연계시켜 파악하였다. 접기
P. 137~138[근대화 시기에 우리 민족의] ‘우리’ 인식과 독자적인 정치체제성은 강력한 서구 문명의 도래와 더불어 도전과 위험에 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서구)의 문명이 ‘표준’으로 여겨졌고, 식민지, 반식민지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그 같은 표준에 따라야 했기 때문이다. 근대 국민국가로 업그레이드해서 근대 국제 시스템 내에서 다른 국가들에 의해서, 특히 서구 국가들에 의해서 독자적인 행위자로 인정받는 것이야말로 비서구사회 내셔널리즘의 공통된 과제였다. 한국도 당연히 예외는 아니었으며, 어쩌면 그 같은 과정을 가장 혹독하게 겪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식민지가 되기는 했지만 밀려오는 서구 문명 앞에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했으며, 그런 시도는 특히 ‘종교’ 영역에서 다채롭게 그려졌다. 우리가 주목했던 종교들(동학, 증산교, 원불교, 대종교)이 그 대표적인 사례들이라 하겠다. 접기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원불교 사상을 바르고 넓고 깊게 연구함으로써 원불교와 인류 사회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74년 7월 4일 설립되었다. 또한 단순히 사상에 대한 연구보다 좀 더 심층적이며 구체적인 원불교학 수립과 사관 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작 : <근현대 한국종교의 생태공공성과 지구학적 해석>,<근대 한국종교, 세계와 만나다>,<근대한국 개벽운동을 다시읽다> … 총 1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근대한국 개벽종교, 서구에 대한 ‘대항’이나 ‘대안’ 아닌
서구의 근대를 안고, 치유하며 넘어서는, ‘근대 이후’이다

1. 대전환의 시대

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추진되는 상황을 두고, “세계가 성공하지 못했던 대전환의 길”이 전개되고 있으며, “우리가 성공해 낸다면 세계사적인 변화가 우리로부터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한반도의 비핵화를 넘어, 종전선언과 항구적인 평화체제의 구축은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역학구도, 그리고 미일중러로 대표되는 세계 모든 나라의 정치적 역학관계에도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동력이 될 것이다.
이것은 우리만의 역량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다. 미일중러 모두 자국 내의 정치상황과 국제적인 역학관계로 인하여 남북이 주도하며 전개되는 한반도 상황에 최소한 형식적으로라도 지지를 보낼 수밖에 없는 것도 중요한 변수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이 세계의 운명이 ‘대전환’을 시작하여, 새로운 문명의 단계로 진전해 나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것은 150여 년 전 창도(創道)된 동학과 그 이후의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 등 ‘한국근대 개벽종교’들이 그 효시라고 할 수 있다.

2. 대전환과 개벽운동

동학의 창시자 수운 최제우는 시천주(侍天主), 보국안민(輔國安民), 유무상자(有無相資) 등의 사상과 실천으로 대전환에 직면한 민중들을 각성시켰고, 동학농민혁명과 천도교에 의한 3.1운동 등을 통해 개벽세상에의 전망이 빛을 잃지 않도록 계승하여 왔다.
강증산의 증산교는 동학농민혁명을 겪으며 선천시대 내내 쌓이고 쌓인 원한을 풀어내지 않고는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전망 아래 ‘천지공사’를 통해, 그리고 민중을 옭아매는 기제로 작동하는 ‘시스템’과의 결별을 통해 민중 세상으로의 길을 열어나갔다.
대종교는 국권 상실로 절망에 처한 한반도의 민중들에게 우리 민족이 수천 년의 역사적 연원을 가진 천손민족(天孫民族)임을 주지시키는 한편 수전병행(修戰竝行)의 가르침으로서 희망의 끈을 잃지 않도록 하면서 민족독립운동의 핵심적인 사상과 동력을 제공하였다.
원불교는 이러한 모든 개벽적 전망을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표어로 귀납하여, 식민지로부터의 이탈은 물론 물질 중심 문명의 극한점에서 정신 중심 문명으로의 도약을 통한 참 문명 건설에 매진하는 개벽운동의 새 전범을 구축하였다.

3. 한국근대 개벽종교와 공공성 구축

세계사적인 지평에서 ‘근대화’라는 역사 발전 단계를 거치는 동안 전개된 한국근대 개벽종교들의 이러한 운동은 단지 ‘좁은 의미의 보국안민(輔國安民)’이 지향하는 바, 한국사회나 한(韓)민족만의 해방과 개벽을 지향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그 시기에 한민족의 종교적인 천재(天才), 사상적인 선구자들은 전 지구촌 차원으로 확장된 서구근대문명에 도사린 한계를 직관적으로 체득하고, 문명사적으로 도약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음을, 혹은 이미 시작되었음을 깨달았고, 이를 선포했다.
지난 150년 동안의 한국사회의 끊임없는 민족운동의 저변에는 바로 이러한 깨달음에서부터 비롯된, 포기하거나 절망할 수 없는 정의롭고 선한나라, 아름답고 행복한 나라로의 전진 과정이었다. 그리고 그 2017년 버전이 바로 ‘촛불혁명’이었다.
촛불혁명은 그 자체가 완성이나 종국이 아니라, 바로 그로부터 탄생된 문재인 정부를 매개로 하여, 바로 지금 우리가 눈앞에 보고 있는 바,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협정 그리고 전 세계적 차원의 신시대로의 도약으로 귀결되고 있다.

4. 지체된 근대/산업/민주/선진화와 대전환

한국사회의 최근 움직임들을 ‘대전환’이나 ‘개벽’이라는 패러다임(창)으로 진단하고 전망하는 것은 아전인수인가?
나아가 이것이 ‘교단종교’로서의 동학(천도교)이나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 차원의 공공하기의 결실이라고 말하는 것은 지나치게 ‘종교편향적’인가?
통일민족국가의 건설 내지 주변강대국으로부터 자주적인 민족국가의 건설운동 즉 한반도 운전자론이나, 최근의 ‘미투운동’이라는 사회적 인권의식의 ‘정상화’ 운동은 서구사회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달성한 기초적인 것을 추구하는 철지난 숙제하기에 불과한가?
한국/한반도 차원에서 지체(遲滯)된 근대/산업/민주/선진화를 달성하는 것이 한국/한반도 지평을 넘어 세계사적인 의의/성과로 확장/확산된다는 것은 근거가 있는 전망인가?
그리고 그것은 지금 여기에서 우리(한국인)에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근대한국의 개벽종교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어떻게 답할 수 있는가?
그 해답은 지금 여기를 넘어 ‘내일’ 그리고 ‘그곳(세계 각국 각 곳)’에서도 유효하고 유의미한 답이 될 수 있는가? [최근 일본의 아베 퇴진 시민운동의 일각에서 ‘촛불혁명’을 배우자는 담론이 일고 있는 것은 흥미로운 전망이다. 일찍이 한반도의 3.1운동은 중국의 5.4운동을 거쳐 인도의 독립운동에까지 그 영향을 끼친 바 있다.]

5. 촛불혁명 이후의 개벽운동 - 공공하기

2016-2017의 촛불혁명이 동학 이래의 개벽운동의 결실이라면, 촛불혁명 이후의 개벽운동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하는가? 이 책은 ‘공공하기’가 그 해답이라는 암시를 준다.
‘개벽종교’라는 집합명사 속에 담기는 종교들의 교리와 역사, 철학과 제도, 사상과 운동을 ‘공공하기’라는 패러다임으로 재조명하고, 우리나라는 물론 그리고 인류사회가 직면한 과제에 대한 해답을 그 속에서 찾아보려는 작업은 앞으로 6년 동안 “종교와 공공성 총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개될 것이다.


■ 저자 소개
염승준 / 원광대학교 조교수
야규 마코토(柳生 眞) / 원광대학교 연구교수
조성환 / 원광대학교 책임연구원
김석근 /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
김민영 / 군산대학교 교수
하승우 / 녹색당 공동정책위원장
박맹수 / 원광대학교 교수
원영상 / 원광대학교 연구교수
김봉곤 / 원광대학교 연구교수
허남진 / 원광대학교 연구교수
접기

地質学者が文化地質学的に考える 人間に必要な三つのつながり : 原田憲一: Japanese Books

Amazon.co.jp: 地質学者が文化地質学的に考える 人間に必要な三つのつながり : 原田憲一: Japanese Books




地質学者が文化地質学的に考える 人間に必要な三つのつながり Tankobon Hardcover – January 10, 2023
by 原田憲一 (著)
5.0 out of 5 stars 3 ratings
Kindle (Digital)
¥1,430
Points Earned: 14pt
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1,980
Points Earned: 20pt
4 Used from ¥1,7056 New from ¥1,9801 Collectible from ¥3,950

著者について
一九四六年、山梨県甲府市に生まれる。
一九七〇年に京都大学理学部地質学鉱物学教室を卒業し、米国ウッズホール海洋学研究所へ留学。
一九七七年、京都大学大学院博士課程修了(理学博士号取得)後、一九七八年にアレキサンダー・フォン・フンボルト財団奨学研究員としてキール大学へ赴任。一九七九年、米国ワシントン州立大学地質学研究室客員講師を経て、一九八〇年に山形大学理学部地球科学科助教授となる。
二〇〇二年、京都造形芸術大学(現京都芸術大学)を経て、二〇一五年至誠館大学学長に就任、二〇一八年に退任。
比較文明学会会長、他を歴任し、現在に至る。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ヴィッセン出版 (January 10, 2023)
Publication date ‏ : ‎ January 10, 2023
===
Taechang Kim

長い間いろんな場面で真摯丁寧な対話を交わしてきた日本人哲友の一人原田憲一至誠館大学前学長の最近著作. 読み終えて改めて思考発展のための良い刺激を受けた. 

表紙に書かれている人間に必要なつながりとは、
  • 地球とのつながり、
  • 生き物とのつながり、そして
  • 未来とのつながりである. 

そのつながりを断絶破壊したのが他ならぬ西洋科学技術文明の基本である
偏った自然観(機械論的-原子論的自然観)と
人間観(人間中心主義的人間観)である
という観点と立場を明確化している. 

著者は明言する.
"いわゆる科学的な説明は決して真理とはいえません
 科学的手法が適用できる現象に関する、
現時点ではもっとも合理的だと思われる解釈なのです. 
しかも、それは研究者が生まれ育ち、学び暮らしてきた文化と時代を反映していつのです." ( p. 25 )

Taechang Kim

特に、わたくし自身の個人的な関心を集中させたのは、<美の化石博物館>構想
の提案である. "人間とは何か" "人間はいかに生きたのか" をテーマにした芸術作品を世界各国から集めて深海底に沈め、一種の <美の化石>として地層に保存し、新知体に届けという計画である. いずれ人類が絶滅した後、何かのきっかけで <美の化石の 博物館>の扉を開いた新知体は瞬時に、これは人間からの贈り物だと理解し、人間は物欲に振り回されて絶滅の危機を迎えたが、芸術を通じて危機を克服し、高度な文明を何万年も維持したというメッセージを読み解き、人間の思いやりに感謝するとともに、その偉業を称えるはずではないか、と言うのである.


=====


スピリチュアリティと環境 講座スピリチュアル学 Kindle Edition
by 鎌田 東二 (著), 原田 憲一 (著), 田中 克 (著), & 6 more Format: Kindle Edition

私たちが住むそれぞれの地域の中で、風土と人間の関わりがどのように形作られ、思想が生み出されていったか、環境と人間の繋がりを日本列島、地球、そして宇宙へと眼差しを広げ、スピリチュアリティを軸に考察す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