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06

S Kaza, 15 Buddhist Contributions to Climate Response

 15 Buddhist Contributions to Climate Response

LIKE MANY PEOPLE EVERYWHERE, BUDDHISTS ARE ASKING disturbing questions about climate change: Why aren't people more concerned? 'Why is climate denial so widespread? Why don't people care about the future? Well-known figures in the West such as Al Gore and Bill McKibben insist that we (and particularly those in the developed world) have a moral responsibility to mitigate climate Suffer¬ing and work toward a sustainable future. What role can Buddhists play in this effort? What role should Buddhists play? 'While it seems unlikely that Buddhist leaders will take up a major scientific or policy role, I be¬lieve Buddhist ethics and practice offer a helpful resource in addressing climate denial. Through the clear lens of the Dharma eye, we may see that climate denial represents a convenient environmental privilege for those in the developed world.

The physical predictions for climate change are well described and ac¬cepted by climate scientists around the world.' We know that the warm¬ing atmosphere has already accelerated melt rates of ice shelves in the Arctic, Antarctica, and Greenland. Glaciers in almost all mountain ranges of the world are retreating rapidly, and thawing permafrost threatens to release unprecedented amounts of methane that would further accelerate climate change. Climate models indicate that feedback from interlocking global systems will generate unexpected impacts and irreversible changes. Extreme weather events and climate-related disasters will become more common and generate widespread human suffering. All predictions point to many more rough years as atmospheric levels of carbon dioxide, meth¬ane, and nitrous oxide continue to rise. Very quickly we are speaking of not just, as we say in Buddhism, the suffering of 10,000 beings, but the suffering of ioo,000 tens of io,000 beings.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has clearly entered the domain of public discourse. Yet the scientific facts alone are not yet generating sufficient motivation for wide-scale global policy change. It has become increas¬ingly apparent that human behavior and attitudes, whether driven by greed, fear, or ignorance, are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planetary cli¬mate. In June 2013 I attended one of a series of conferences held at Garrison Institute in New York entitled "Climate, Mind and Behavior." This institute has taken up the mission of developing climate conversations among social scientists, particularly psychologists and sociologists. Be¬cause of the institute's spiritual orientation, they were also interested in Buddhist perspectives. Panel sessions raised questions such as: How will people manage the suffering generated by climate change? How can pro¬fessionals in psychology and social science help cities, regions, and states find approaches that work? How do we understand "mitigation," "adap¬tation," and "resilience" as psychological and social concepts? Academic scholarship has increased rapidly in this area, with research centers, curricula, and social psychological studies now finding critical mass.' Many studies raise the question: Why are people not paying attention to climate change? Why are they not galvanized into action?

In order to consider Buddhist tools for working with climate denial, let me review three common psychological explanations summarized by sociologist Kari Marie Norgaard.3 

The first is known as the information deficit model. In this model the assumption is that people do not know enough to take action. If they knew more, they would respond with ap¬propriate steps to reduce impacts. We assume that by providing people with all the facts about climate change, they will then be motivated to take action. However, this proves not to be true. It turns out that knowl¬edge in and of itself is not nearly so motivating as emotional engagement. Studies show that even well-informed people may be paralyzed by too much knowledge or a sense that one's personal actions will not really make a difference.4

The second explanation draws on what psychologists call cognitive dis¬sonance, that people are able to hold two completely conflicting ways of viewing things in their minds without this affecting their daily lives. For example, people observe and respond to short-term weather patterns and adapt to the current state: if it is a little hotter than usual, they wear lighter clothing or turn up the air-conditioning. People make simple be¬havioral adjustments all the time to manage their comfort levels, usually understood as mechanisms for personal self-care. Climate concerns are held in another part of the brain, the place of cognitive learning in the cerebral cortex. According to this model, people can know about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but still act in everyday life as if their actions had no relationship to climate change.

The third explanation focuses on emotional blocks limiting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re can be tremendous insecurity, fear, and anxiety tied up with climate change predictions. It is, by now, common to witness via the media, people under siege with the shock of massive flooding, or the despair from extreme drought. Such emotional states reverberate em¬pathically between viewers and those caught in the climate crosshairs. We sense, if even vaguely, that such a disaster could strike close to home and that we, too, might experience such difficult and unpleasant emotional states. Further, people in developed countries may feel a sense of help¬lessness and guilt about global inequalities, a fear of being seen as a bad and uncaring person. Such difficult emotions are not easy to manage; no one really likes to experience these feeling states, especially when they are associated with lack of personal control. For some, climate change may generate an even broader ontological insecurity, a sense of threat to the entire continuity of life, accompanied by a significant loss of meaning.'

SOCIAL CONSTRUCTION OF DENIAL

To further understand the mechanisms that support denial, I turn to Norgaard's in-depth study of climate perspectives in Norway. Her find¬ings indicate that climate attitudes are not only personally held but are culturally constructed through social norms and patterns. The work challenges the psychological explanations discussed earlier, which place the locus of denial entirely within the individual. Because her case focus is a developed country, it suggests there may be parallel norms operat¬ing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Australia.

As described by Norgaard, Norwegians are highly engaged in their local communities, politically active in local governance, socially active with neighbors and peers, and physically active in the outdoors. They could hardly be called apathetic. Norgaard observed several key factors that actively contributed to the social construction of denial. First, she noticed there were no appropriate social spaces for discussing climate change.' Political meetings focused on local concerns and governance questions, such as budget or policy issues. Climate change impacts were simply too far away for local governance agendas. Recreational settings also did not offer a place to discuss difficult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In these settings (the gym, the outdoors, the bar) people were supposed to recover from life's stresses and not talk about hard things. In educa¬tional settings, teachers expressed the need to stay optimistic for future generations, thus limiting discussion of climate impacts and uncertainty.

Norgaard also pointed to Norwegian emotional norms that tend to favor maintaining control, norms that are also prevalent in the United States. She found three typical emotion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First, it is common to take a "tough" attitude and not to show feelings of powerlessness and uncertainty. Second, it is important to "stay cool," to not be too serious about anything, but especially not something as mon¬umental as climate change. Third, it is important to "be smart." If you want to engage climate change, then you need to be informed and have good answers for the challenges that lie before us. All three conversa¬tional patterns favor maintaining a sense of personal control and avoiding a sense of loss of control from facing the realities of climate change. For mental health, it was important to focus only on what one person could do to be effective and keep a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Her conclusion was that denial is not an afterthought. It is a convenience, a construction, and perhaps even a privilege.'

The possibility that climate denial is a privilege raises moral and eth¬ical issues in the realm of environmental justice and equity. Human suf¬fering from climate change is far greater in the developing world than in the developed world. Shouldn't people with greater financial assets, education, and physical security be concerned for those who must face climate change with far fewer resources? Norgaard suggests that "people occupying privileged social positions encounter 'invisible paradoxes'—awkward, troubling moments they seek to avoid, pretend not to have experienced (often as a matter of social tact), and forget as quickly as possible once those moments have passed."' Such paradoxes are partic¬ularly acute in the arena of energy extraction and production. People in privileged socioeconomic classes have almost no contact with these oper¬ations and their destructive impacts on the environment. It is simpler to actively maintain a state of denial than to engage the moral complexities that arise in confronting climate change. This is both cognitive disso¬nance in action and socially constructed denial. We could call this an environmental privilege of the developed world.

BUDDHIST CONTRIBUTIONS TO CLIMATE DIALOGUE

I have been focusing on the role of denial in climate change because I believe this offers an avenue where religions can work with climate psy¬chology and social values. Before turning to Buddhism specifically, let me review five key capacities relevant to climate action and organized religion as identified by Gary Gardner.'

 First, religions can engage their members, and for some denominations, this is a very large number of people who may be influenced or educated by religious positions. 

Second, religions can draw on moral authority to address climate change. Such authority is held by religious leaders in all faiths, as well as by respected religious texts. 

Third, religions provide meaning by shaping worldviews. A religious message or set of values related to protecting the environment can provide a platform for discussing climate change. 

Fourth, religions can use their physical and financial resources strategically to encourage energy conservation, develop social resilience, and make morally respon¬sible investments. The cumulative effect of such choice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as evidenced by the contributions of Interfaith Power and Light and the Interfaith Center on Corporate Responsibility." Fifth, religious communities have tremendous potential for building social cap¬ital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Despite these advantageous capacities, religions may also present barriers to taking up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Religious leaders can be reluctant to discuss climate issues with their congregations, thus unintentionally colluding with a certain level of social denial acceptable to their congregations. Their religious message may require greater emphasis on personal salvation than on worldly goals. And in some cases, religious organizations can be aggressively obstructive in their actions to maintain climate denial. This is clear in the Six Americas study that iden¬tifies a link between evangelical beliefs and active dismissal of the realities of climate change.11

The 2013 issue of the Journal for the Study of Religion, Nature, and Cul¬ture provides an overview of some of the climate actions that have been taken by religious leaders and organizations. A number of denominations have issued climate position statements or developed initiatives such as the Green Sanctuary Program, adopted by many Protestant churches. 12 Many denominations include disaster-relief service as part of their social mission and are ready to contribute when climate crises hit. Religious coalitions such as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lliance of Religions and Con¬servation, and Interfaith Power and Light advocate for climate awareness and action at the global level, leveraging their denominational resources to support such initiatives. When the US president withdrew the United States from the Paris climate treaty in 2017, the Parliament of the World's Religions responded with a strong statement of condemnation, declaring it a moral failure of responsibility."

How active have Buddhist groups been in the climate conversation? John Stanley, David Loy, and Gyurme Dorje, editors of A Buddhist Re¬sponse to the Climate Emergency, were highly motivated to engage Tibetan teachers and leaders because the Tibetan plateau north of the Himalaya Mountain range is the birthplace of so many critically important river sys¬tems of Asia—the Ganges, Brahmaputra, Saiween, Yangtze, Mekong, and Irawaddy.14 They created a Buddhist Declaration on Climate Change that has been signed by sixty-five Buddhist leaders in thirteen countries, in¬cluding Gyalwang Karmapa XVII, Ven. Bhikkhu Bodhi, Joseph Goldstein, and Jan Chozen Bays.15 Buddhist temples have also initiated alternative energy projects in India, Japan, Canada, and Australia and participated in interfaith actions such as the Interreligious Dialogue on Climate Change, 2012.16 In 2015, activists with Buddhist Peace Fellowship marched in Rome as part of the One Earth, One Family interfaith demonstration for Pope Francis. Their banner read, "The whole Earth is my true body; I vow to work for climate justice."" Climate web resources for Buddhists have been developed at Ecobuddhism.org and OneEarthSangha.org as well as on Joanna Macy's website for the Work That Reconnects.

Certainly, many basic Buddhist teachings and practices could be en¬gaged in relationship to climate change. These would include the precepts or moral guidelines based on nonharming, as well as the central law of con¬ditioned interdependence and causation that reflects a systems or holistic, ecological woridview. Buddhist texts emphasize liberation from suffering through insight awareness based in meditation, and this practice could be applied to climate-related suffering. Perhaps most important may be the practices that strengthen intention and compassion on behalf of others. All of these are very rich offerings and can easily be applied to moral and eth¬ical dilemmas deriving from climate change impacts. Furthermore, they are accessible to non-Buddhists or those not affiliated with any religion as skillful means for addressing the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However,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Buddhist leaders and orga¬nizations have limited influence in the wider global context of climate change. Certainly they have limited influence on the biophysical world itself, where ice sheets are melting, storms are becoming more severe, and sea level is rising. Likewise, they have relatively limited influence on climate science or global policy regarding carbon emissions and the fossil fuel industry. For example, while individual Buddhists have partic¬ipated in actions protesting the Keystone XL and other pipelines, but few Buddhist environmental groups are addressing this issue as a top pri¬ority. Buddhists, in general, have fairly limited religious influence on the climate denial campaign or the industrial scope of big carbon polluters. Naming these limitations is important so as not to overstate the possibil¬ities at hand.

Having surveyed the territory, I find the greatest potential for a Bud¬dhist contribution to lie within the psychological, ethical, and social as¬pects of climate change. Through philosophical analysis and mindfulness practice, I believe the Buddhist teachings can make a significant offering that parallels Buddhist contributions to other environment and social jus¬tice issues.

I suggest three avenues for engaging Buddhist thinking in this challenging climate conversation: 

(i) exposing dualistic thinking, 

(2) de¬veloping a Buddhist climate ethic, and 

(3) building capacity for resilience.

Exposing Dualistic Thinking

Polarized views are one of the biggest impediments to progress with cli¬mate change. They generate tremendous suffering. Typically they are

expressed as humans versus nature, the economy versus the environment,-the developing world versus the developed world. Dualistic views tend to exaggerate differences rather than emphasizing commonalities. They reinforce oppositional positions, reducing creativity for shared solution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hese positions would be seen as reflecting false views or false understanding of the self. It is the inflated idea of the self as one's central identity that blocks collaboration. Climate deniers and climate believers both form identity groups around their views, often defining themselves in opposition to the other. Yet seen from an interde¬pendent lens, all parties live on the same planet within a single intercon¬nected climate system.

Denial functions very effectively to reinforce egocentric views and personal defenses. It is not uncommon for some people to defend their environmentally privileged positions in public-policy stances while blam¬ing climate deniers. It is also not uncommon for some people to blame environmentalists while refuting the factual data and implications of cli¬mate reality. The North Carolina state legislature, for example, passed a bill limiting how high the sea can rise on their coastline." The phrase "climate change" was so politically charged that it did not appear any¬where in the legal policy. As a result of such limiting views in either di¬rection, the scale of human and ecological suffering is minimized or dismissed.

Taking a sociological view, we can see that climate change perspec¬tives often reflect differences in status, gender, race, governance struc¬tures, geography, culture. We can look at who is espousing which views in ways that provide political leverage and perpetuate oppositional thinking. Much has been written by people of the global South who are experienc¬ing climate change more dramatically than people in the more well-off North.19 Regions and nation states with high levels of energy production show particularly great extremes that divide people into climate-derived socioeconomic classes. Climate privilege generates groups of haves and have-nots in relation to wealth and poverty, health and sickness, nutrition and starvation, security and violence. Poor countries such as Bangladesh and Tuvalu, for example, find themselves at the helpless end of the cli¬mate mitigation spectrum. I suggest that such widely accepted dualistic thinking plays a key role in maintaining global power relations and cli¬mate silence.

Practice and philosophical analysis are two arenas where Buddhists could provide some leadership on the issue of dualistic thinking as an ob¬stacle to effective climate action. The practice field would be represented by religious leaders in Buddhist practice centers and organizations. Dis¬cussing dualistic thinking would be a natural extension of dharma topics already typical at Buddhist centers. These include such things as under¬standing interdependence of self and other, the influence and manifes¬tations of ego and power, the challenge of refraining from polarizing views, and the core practice of self-reflection as part of action. This sort of teaching is cultural work, aimed at shifting the operational field from conflict to collaboration, from discord to respect.

In terms of philosophical analysis, individual writers and thinkers may be able to use Buddhist principles to promote climate policies that min¬imize polarized views. This might be seen as "small b" Buddhist work, serving the wider community. Drawing on a Buddhist approach, these thought leaders could facilitate dialogue through hearing all sides for their particular truths, based on direct experience with climate impacts. Buddhists or those using Buddhist ideas and practices may be in a good position to help create the conversation spaces flagged by Norgaard that are currently unavailable in normal social discourse. Such spaces might make it possible to see how climate change affects all parties. The em¬phasis would be on shared outcomes, thus reducing actions driven by self-interest. This is a natural reflection of Buddhist principles and fits well with green Buddhist practice efforts."

Developing a Buddhist Climate Ethic

Ethics, including religious ethics, offer fundamental guidelines for min¬imizing suffering through practicing restraint. A climate ethic would frame such guidelines in the context of minimizing suffering or impact to the global climate through individual and social practices. Like other ethics, the aim is social stability, allowing human society to flourish with¬out being continually under threat of harm.

A Buddhist climate ethic would be based in Buddhist ethical princi¬ples and a Buddhist 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y. Buddhist texts explain human behaviors in terms of desire: the grasping or craving after something and the development of ego-identification with the particular craving. Suffering is explained as the perpetual human tendency to be hooked by addictive needs and short-term gratification. The three most basic desires are: (i) greed, the desire for more of something, (2) aversion, the desire for less of something, and (3) delusion, the desire for illusory options or self-made fantasies. Ignorance of one's own desire patterns inevitably generates a state of suffering. Liberation from suffering comes from "seeing" the patterns with awareness insight.

With this basic Buddhist framework and some insight into the key role of denial, we can look at how the three aspects of desire might support climate change denial. Certainly greed for the never-ending mountain of consumer goods keeps people entertained and oblivious to climate change. The more energy, connectivity, and comfort people desire, the less likely they are to be interested in the sources upon which their life supports depend. Understanding desire and practicing restraint can help reduce climate impacts from overconsumption. Likewise, aversion to complex and socially challenging situations such as climate change can quickly shut down conversations. Aversion polarizes dialogue about en¬ergy and transportation choices while carbon levels continue to rise. Per¬haps delusion is the most prominent feature in climate denial; it is simply easier to pretend another better future will unfold, despite the observable facts, or to hope, on little evidence, that a technological fix will be found to save us from a climate-caused dystopia.

I propose that a Buddhist climate ethic support a broadly defined goal of well-being. Well-being is another phrase for contentment or satisfac¬tion, santutthi in Pali. In Buddhist teachings, contentment is explained as the absence of grasping, the absence of desire. The state of satisfaction is free of pulls toward or away from identity-enhancing objects or activ¬ities. Well-being can be defined at multiple levels in support of a climate ethic.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would mean good health, meaningful work, a sense of internal control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At the social level, this would mean a safe and stable civil society; with appropri¬ate governance and market structures to support community well-being under climate change. At the global level, this would mean the capac¬ity to engage in collaborative support for planetary well-being. Spiritual well-being would reflect right relationship with self and community as well as right relationship with the natural world. It would be marked by ethical clarity and intention to refrain from harming, as well as respect for non-Buddhist ethical paths.

I further propose that nonharming and compassion be the founda¬tional concepts in a Buddhist climate ethic (as in all Buddhist ethics). Nonharming aligns well with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n important policy principle that is well-established in Europe and inscribed in Euro¬pean Union law. This approach is supported by a deep and thoughtful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literature." In brief, this principle advises re¬straint where the degree of harm is unknown. Many drivers of climate change such as extreme energy extraction, carbon dioxide pollution, and overconsumption would be moderated by application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Efforts to mitigate climate change and develop adaptive measures would then be based on reducing harm wherever possible.

The practice of nonharming is guided by five primary Buddhist pre¬cepts for human action that help cultivate compassion, or caring for others' well-being as equal to and interdependent with one's own well¬being. These five are: (i) not harming life, (2) not taking what is not given, () not participating in abusive relations, (.) not speaking falsely, and () not using intoxicating substances or behaviors. Each of these could be developed in depth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Practicing these precept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would provide social support for choosing sustainable behaviors. The core questions become: What is our ethical obligation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Knowing how dependent human society is on climate stability, what then must we do? Buddhist ethics view the individual as an active agent in a vast web of relationships where every action generates effects. Based on this worldview, I would argue that attaining ecologic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under the challenges of rapid climate change requires ethical engagement. Individuals taking cli¬mate ethics seriously as an expression of nonharming and compassion could help lead actions toward ethically appropriat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policies. The practice of compassion also provides a platform for living with grief and other emotional states generated by what may be devastating and irretrievable losses.

Finally, I propose that a Buddhist climate ethic rest on the foundational law of karma, or cause and effect. To cultivate a long-term commitment to work ethically to mitigate climate impacts, this ethic could draw on the Buddhist sense of deep time. This is described in Buddhist texts in terms of multiple "kalpas," unfathomable stretches of time before (and after) humans on Earth. A karmic understanding of time derives naturally

from a Buddhist perspective. Most everyday activity tends to be viewed in the very short time frame of an individual human life, based on our general tendency toward self-referencing. A climate ethic could empha¬size the long eons of climate time, shifting perception to a more com¬plete or appropriate scale for human endeavor. This would help move the climate conversation away from denial and place it in more of an intergenerational, or even cosmic, perspective. Such a long view of time develops useful virtues for working with climate change, such as humil¬ity, patience, perspective, endurance, and equanimity. Each of these is described in Buddhist ethical teachings as mutually supportive in the development of an awakened person. Equanimity is one of the Four Immeasurables, a virtue boundless in its positive contribution to a stable society. Climate change impacts will not be eliminated overnight; it will take many people's efforts over many decades to accomplish planetary climate stability. A climate ethic based in the practices of nonharming, compassion, and a deep view of time is one that can serve for the long scope of this project.

Building Capacity for Resilience

A third arena for Buddhist action is building capacity for resilience. This very practical concept is part of current discussions related to climate impacts, following closely on two other dominant approaches. The first is mitigation, or efforts to dampen the inevitable impacts of sea level rise and storm flooding, often through mechanical means such as barriers, channels, dams. The second is adaptation to what has already changed, often in the form of preparedness actions. Building resilience is building the capacity to rebound psychologically, soci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from a climate impact. I believe Buddhist practice tools have a great deal to offer in this arena.

Mindfulness practice has become very popular in the West, with ac¬tive movements to bring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and other secular mindfulness techniques to schools, hospices, prisons, and business places.22 Through deliberate attention to body, breath, and mind, the mindfulness practitioner becomes more fully engaged in the present moment. This sort of grounded presence is what you would want for emergency workers if they are dealing with a climate crisis in your town. I would not be surprised to see mindfulness training developed for climate disaster emergency-response teams. Such training would help reduce anxiety, speculation, and projection about what is happening in a climate-related event and assist people in figuring out what is needed to return to normal social functioning. This is a very practical application of Buddhist skillful means. As Vietnamese Zen teacher Thich Nhat Hanh often says, "The most precious gift we can offer others is our presence.""

To build capacity for resilience, it is necessary to include—not sup¬press or resist—the troubling emotion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I am suggesting here that emotional self-knowledge builds capacity for helping others break through denial. Climate change social scientist Susanne Moser has been speaking to legislators and academics about using social-science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Buddhist practices as skillful means in climate work. In an article on leadership for climate change work, she writes about three key capacities.24 The first is being able to speak clearly and calmly about what is real. The second is being able to hold paradox—to feel what is in conflict and yet still be able to move forward. The third is being able to do grief work, accepting that climate change means people will be grieving the loss of the world as they know it. Good leaders need to be comfortable with their own grief work if they are to help others effectively.

Stability and calmness increase the capacity for building social resil¬ience in community. Buddhist virtue ethics clearly value equanimity and stability. The Dalai Lama models this beautifully through his steady pres¬ence in the midst of facing the devastating blows to his people and, society across the past fifty years. As he says, "Because we all share this planet Earth, we have to learn to live in harmony and peace with each other and with nature. This is not just a dream, but a necessity."" He models how to be with the suffering in the world and still take effective action. This will be critical as climate conditions deteriorate in the various ways that I have outlined—flooding, fires and heat, extreme weather conditions, loss of food crops. The Buddhist practice of equanimity means staying cen¬tered in the midst of changing climate conditions and being prepared for the impacts on social and economic support systems. Families, schools, and governance structures all will struggle to make ends meet and stay afloat during the unexpected and unimaginable.

The Buddhist concept of sangha may offer another model for build¬ing capacity for resilience. Along with Buddha and dharma, sangha is

said to be one of the three priceless treasures in Buddhism. Investing effort in building community strengthens the wider sangha of all beings. We might see it as an antidote to the social gaps identified by Norgaard that undermine climate response capacity. Sangha can be strengthened through supporting local ecological relationships, local governance struc¬tures, or neighborhood initiatives. It might mean coordinating disaster preparedness on a neighborhood block, taking steps to reduce consump¬tion, or cultivating friendships to build social resilience." Deepening awareness practice in a local experience of sangha can increase knowledge and attention to local seasons, weather, and a sense of living well in place. This is "small b" Buddhism in service to sustaining life, skillful means for climate change.

Thinking creatively to apply Buddhist teachings to climate change is a task of our times. Climate change cannot be ignored. It offers widespread opportunity to deepen personal practice and to apply powerful Buddhist teachings in a contemporary setting. In light of the stubborn persistence of climate change denial, I have suggested specific responses to climate change from a Buddhist religious, ethical, and spiritual perspective. These are not intended as finished prescriptions but as a starting point for what I hope will be much more dialogue and further engagement. I offer this as a call to others to join the conversation—with scientists, social scientists, environmentalists, people of faith, and especially with those who are suffering the devastating impacts of climate change. This is a sober charge that will require much imaginative thinking and strong spirit. Right here in the midst of this great challenge is the opportunity for great joy and intimacy in approaching this fragile but resilient life.


S Kaza, 13 Joanna Macy Fierce Heart-Mind Warrior

 13 Joanna Macy Fierce Heart-Mind Warrior

OF ALL THE MANY BUDDHIST MUDRAS OR TEACHING gestures, Joanna Macy cherishes two in particular as po¬tent forces for courage and resilience. In one, the right hand is raised at chest level, palm outward, while the left hand is down. This is the abhaya mudra, encouraging us to have no fear, to rest in the calm presence of the bodhisattva. The other is the bhumisparsha or "calling the Earth to witness" mudra. The Buddha used this powerful mudra, touching the Earth with his hand, when Mara challenged him on his last night under the tree of enlightenment. He would not be swept away by doubt; the Earth itself would support his enlightenment and teaching. For Macy, these two mudras lie at the heart of her life work facing the daunting challenges of our ailing planet.' Standing firm, having no fear, she in¬spires courage and spiritual strength. Sitting firm, touching the Earth, she radiates confidence and perseverance in this demanding work.

I first met Joanna Macy in my opening semester at Starr King School for the Ministry in 1988. Though I was a practicing Buddhist, the Uni¬tarian seminary, with its emphasis on social justice and engaged service, offered a welcoming home for faith-based activism. Macy was teaching a class entitled Systems Theory; I was intrigued. What did systems have to do with religion, or activism, for that matter? The course reader was a thick packet of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papers, an intellectual chal¬lenge for all of us.' Each week we would discuss the key concepts for the first half of class and then, after the break, we would take up the most inventive and surprisingly relevant learning exercises. As a longtime environmental educator, I had a number of teaching tricks up my own sleeve. But Macy's offerings were captivating, different from anything I had experienced before as either teacher or student. They ranged from complex roleplays to guided meditations, from paired exchanges to art and theater. Some clearly drew on familiar Buddhist principles such as the Four Brahmaviharas or limitless mind states; others revealed systems-theory principles in playful demonstrations.' Week after week, we got to be part of this marvelously creative teaching. I quickly be¬came a fan!

To my delight, Macy invited our class to visit her spacious family home with its large living room for communal gatherings. I was some¬what awed by her large scholarly library; her backroom office was thick with bookshelves—she had her own stacks! Macy's antinuclear activism from the Chernobyl and Three Mile Island years was now focused on the impacts of stored radioactive waste. I had grown up in Portland, Oregon, not far from the Hanford nuclear power plant, so I felt a personal connec¬tion to this horrific unsolved problem.

Macy had convened a study group to consider the idea of "nuclear guardianship," a vision that came to her at Greenham Common peace camp in the UK. "In my mind's eye, I saw surveillance communities forming at today's nuclear facilities," she wrote. "These Guardian Sites would be centers of pilgrimage and reflection, where the cemented cores and waste containments would be reliably monitored and repaired. 114 She imagined volunteers trained to "remember" the story of the radioactive remains as they protected them from terrorism and negligence, draw¬ing on the strength of the world's wisdom traditions. The study group reviewed technical reports, spoke to engineers, visited nuclear sites, and put together a traveling slide show on the Nuclear Guardianship Proj¬ect. When Macy offered a weekend retreat focused on this guardianship concept, I jumped at the chance to do deeper work with her. Through fo¬cused meditation and concentrated role play, we took positions as guards and visitors to a nuclear site far in the future. Drawing on all we knew and all we could imagine, we conjured the massive nuclear facility, the elab-orate radiation precautions, the arduous pilgrimage trail. I was stunned by Macy's ability to communicate her vision and guide the group to pro¬found experiences and insights.

Around this same fertile time, Macy traveled to Australia and met rainforest activist John Seed; together they developed another transformative teaching model—the Council of All Beings.5 Macy's inspiration came from the stories of young King Arthur in The Once and Future King by T. H. White, a book she often read with her children. In the passage where Arthur becomes a wild goose, she described how she felt "the huge sky was calling me, and so were my brothers and sisters as they honked in excitement all around me. . . . I loved the stretch of my neck in the sharp air, the power in my shoulders as they found their rhythm, and the wild, free song we sang together."' In the Council of All Beings, everyone listens quietly to be called by a being and to speak for the being at the council. For years Macy spoke as Wild Goose, filling the room with her wild cries of freedom. One evening, she led our class in a Council of All Beings, and I became Night Mouse, alert for signs of danger and adept at finding my way in the dark. To this day I have a special feeling for the cleverness and surefootedness of field mice, silent in their vigilance.

BRIDGING WORLDS

As I grew to know more of Macy's work, she asked if I would like to read her doctoral dissertation on causality in systems theory and Buddhist phi¬losophy. She had completed her degree in 1978 from Syracuse University and was polishing it up for formal publication.' The root of the work stemmed from an experience she had while meditating at a nun's train¬ing center in Dalhousie, India. A vision came to her of an arching stone bridge and she thought, "if only I could be part of that bridge between the thought-worlds of East and West, connecting the insights of the Buddha Dharma with the modern Western mind."' Once back in the US she took graduate classes at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and did prelimi¬nary research at the Library of Congress, where she exulted in the public reading room, "a luminous sanctuary of the collective mind, timelessly harboring all its thoughts."9

Macy's time at Syracuse was marked by three powerful nonacademic events. Before she had even started classes, her husband Fran had a serious heart attack. She was distraught and felt she should postpone her studies to take care of him. But Fran insisted she go on, that she needed to do this work, it was time. She knew she had to follow her vision. Two years later,

the nun from Dalhousie came for a visit, and Macy took formal vows of refuge with her. This serious step caused some unexpected upheaval as she struggled to integrate the new Buddhist commitment with her Chris¬tian upbringing. Soon after; His Holiness the Sixteenth Karmapa came to America, and Macy; who had met him eight years earlier, was received in his private quarters. She asked for his blessing on her studies and, to her surprise, he grasped her head in both hands and chanted vigorously over her precious mind. "It was like having my head in an electric socket." 10 She could hardly sleep for the next three weeks, with "each night a tor¬rent of revelation." That is when her entire thesis took shape.

For me, reading Macy's carefully composed thesis was equally head-spinning. I saw how thoroughly she critiqued the shortcomings of West-ern hierarchical thinking. I saw how methodically she constructed the building blocks of knower and known, body and mind, doer and deed, self and society. I saw how, for her, all of this implied moral concern and political engagement, a logical conclusion from close reading of Buddhist and systems-theory texts. To me, her thesis was elegant, comprehensive, a brilliant and original piece of scholarly work. Here in this thesis lay the complete intellectual and spiritual foundations for her despair and empowerment work and for the deep ecology work to come. As I turned page after page, I glimpsed the depth of her mind and its visionary and analytical clarity. It was wondrous to behold.

DEEP ECOLOGY WORK

Timing is everything, and I had the good fortune to be near at hand when Macy made the link between her systems work and the emerg¬ing philosophy of deep ecology. Promulgated by Norwegian philosopher Arne Naess and American sociologist Bill Devall, deep ecology offered a radical holis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ethics. Naess developed his ideas from profound experiences of self-realization based on a widening circle of identification with other beings. Macy could see that Naess's experience was parallel to the Buddhist spiritual shift from self-centered¬ness to relational interdependence. It was Macy who promoted the term "ecological self" and reinforced the call to action required by such broad identification. We began brainstorming together with Fran and a group of colleagues to envision a deep ecology training institute that could offer these principles to support activists in their work. Over the next two years, our "birthing committee" formed the Gateway Project, wrote grants, secured funding, hired staff, and developed faculty and curriculum for the first summer institute in 1993.

These were heady, creative times as we crafted this deep ecology ap¬proach to activist training. As far as we knew, no one else was doing any¬thing quite like this. In these early days, before the dominating presence of the internet and cell phones, people could still take two weeks to be together to network and learn. How radical! I was just beginning my academic teaching career in Vermont, but I lived for those summer re¬treats. Macy was experimenting with and upon us, trying out new forms, inventing new meditations, pushing us into challenging mental and emo¬tional spaces. We did walking meditation in the tall redwoods; we tested exercise prototypes on diversity awareness; we imagined journeying with our ancestors back in time. In one extended roleplay of a bioregional council meeting, I was charged with coaching the nonhuman represen¬tatives to the council—soil, water, air, fire. My "people" fully immersed themselves in their roles: water flowed freely in blue scarves, dirt held still and solid, fire leapt and sparked. Though they could not speak in words, they offered powerful responses to the humans' ideas, changing the discourse in the room. Later these enlivened beings found they were so moved by their experiences that it was hard to return to their limited human perspectives.

Every day Macy and her husband led us in the poignant elm dance, a Latvian song for the healing of the trees, offered with prayers for those who had suffered so much after Chernobyl. They shared the powerful story of traveling to Novozybkov, the town most drenched in radioactiv¬ity after the meltdown, where families were devastated by loss. After so many difficult words and feelings, the elm dance brought people together; strengthening their "cultural immune system." Macy promised them she would tell their story at the World Uranium Hearing and everywhere she led the dance, so they would not be alone in their suffering.11 In the second time through the dance, we call out the names of those in need of healing: treasured salmon, tall redwoods, eroded soil, flooded rivers. The dance "helps us remember why we're doing what we're doing," the Australian rainforest activists say.12 Body, mind, song, heart all expressing the interwoven world and our pain and love for it.

Out of this ferment of creativity at the deep ecology institutes came an expanded guidebook for facilitators, Coming Back to Life, coauthored by Molly Young Brown.13 In the foreword, Matthew Fox, author of Original Blessing, described Macy as a "midwife of grace. . . a rare voice in our time who is a prophet speaking out on behalf of those without a voice. . . . She passes on this prophetic voice to others, she draws it out, she coaxes us not to be afraid and not to be in denial." 14Author David Abram wrote in an endorsement for the book: "Joanna Macy is a woman of uncanny cour¬age and ferocious compassion—a bodhisattva ablaze! For twenty years she has been inviting individuals and groups to acknowledge and honor the shadowed darkness of this era, and to walk through the gates of grief into a new joy at their utter interdependence and solidarity with the rest of the earthly cosmos.""

This teacher's guide contains all the core principles of the work: the goals, the methods, the key concepts underlying the exercises—all that is necessary for effective facilitation of the work. Here were important sys¬tems phenomena such as feedback and positive disintegration—how old forms evolve to adapt, to changing conditions, important guidelines such as, "Do your own emotional work first," and important commitments to listen to the group, to respect the process. One could sense the cherished Buddhist mudras coming to life on the page: have no fear, let the Earth be your witness. All of this added up to a very different way of teaching  a practice based on learning as a group, building community,

and leading  trusting the expression of strong emotion, and believing in the power of guided reflections to bring forth penetrating insight.

FOUNDATIONS OF THE TEACHING

I am hardly alone in my respect for this powerful teaching. Macy has been a spiritual guide and activist mentor for hundreds, if not thousands, of dedicated practitioners around the world. Her content and style of teach¬ing have been replicated in classrooms, community centers, churches, and living rooms in an ever-expanding web of support. Leaders and facil¬itators have been trained personally by Macy in long retreats, and many trainers have gone on to share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with others in their local circles, faith communities, and activist groups. The guide¬books are clear: the work is to be given away; no one owns it. Macy has

consistently eschewed the role of head teacher or spiritual guru; she always felt the work was meant to travel and evolve. For me, this is one of her greatest teaching gifts—the willingness to offer up the work to so many others and to give them the confidence and skills to go forward in this mutually empowering way.

As a teacher myself, and one of those trained in this work, it has been my good fortune to observe and learn from such a gifted guide. I have spent my whole life contemplating and reflecting on what makes a good teacher. 1-have mentored undergraduates, graduate students, and junior faculty in the arts of teaching. I have taught in the field, in the classroom, and in rural retreat centers. I have taught large lecture classes and inti¬mate seminars and given countless guest lectures. I am keenly aware of the many factors that can make or break a good learning experience. To my mind, Macy's teaching is unparalleled in its creativity, commitment, and wide-reaching influence. What is it that makes her gifts as a teacher so effective?

In reviewing her memoir and other reflections, it is obvious that every¬thing begins with her deep concern for the health and stability of the planet. Her own personal depth of grief and need to care have ultimately led the way in her lifework. She has been willing to let her heart break open over and over again with the unmitigated suffering of the planet and its people and beings. This is strong motivation, but alone it would not be enough to sustain a sixty-year career of intensive teaching and travel. Somehow, in spite of overwhelming grief and despair, Macy con¬tinues to face right into the "poison fire" of nuclear waste, the challenge of climate change, the tragic loss of habitat and species, the unraveling of a safe world for beings of the future. What is it that sustains this pow¬erful teacher?

Behind this work I see three central foundations at the root of Macy's teaching. The first is her depth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systems theory and Buddhist philosophy, so fully developed in the academic thesis work. Her training in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and reli¬gious studies was rigorous and thorough, assuring her confidence that her study was well-founded and her insights defensible. Macy's particular postgraduate gift was to apply these systems principles and to see them at work in every possible circumstance. The analytical tools of systems thinking offer profound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work, and now, forty years after her thesis, systems theory is widely used in virtually all global biogeophysical modeling research. Macy engages these principles in all of her teaching, well-grounded in her academic study of formative systems thinkers such as Gregory Bateson and Ludwig von Bertalanffy. Her love of systems theory reflects her love of mind and its great capaci¬ties, and this joy informs her teaching at the core.

At one time, Macy assumed she would take up the academic life as a professor, teaching and writing about world religions in a university setting. That would have been the natural trajectory after completion of a PhD degree. But her life as a student of the Buddha Dharma was also developing alongside her academic life. For her, the dharma of emp¬tiness and the teachings of Indra's net and Vipassana analytics were as compelling as systems theory. This is the second foundation at the root of her teaching. She studied original Pali and Mahayana texts for her thesis and drew on these in her own meditation practice. Though she was ordained in a Tibetan Buddhist lineage and trained in Vipassana medita¬tion practice, it was the Perfection of Wisdom text, the Prajna Paramita emphasized in Zen, that most aligned with her systems understanding. And it was the grand openness in this wisdom text that allowed her to include her own Christian upbringing, as well as her understanding of other great religious traditions, in her emerging work. This com¬bination of intellectual and practice understanding would define Macy as a scholar-practitioner, a practice-informed intellectual leader among modern Buddhist thinkers. "Not that it's been easy," she wrote. "It's not easy to walk a path that hasn't been cleared for you ahead of time.""

These two foundations for Macy's approach as a teacher provide a level of depth and authority that most students never see. Complement¬ing these is a third foundation: a commitment to experiential knowing with a secure depth of trust in her own personal insights and revelations. Strong visions have guided her life toward graduate study, toward nuclear guardianship, toward deep ecology work. Her work has been shaped by a formidable sense of call and response, of listening to what is arising deep in the heart, with sharp clarity in the mind. For her, it is all one embodied experience of heart-mind-cosmos speaking. Macy has cultivated a life¬time of willingness to be open to what is calling to her, and she is able to invite others to trust such calls of the heart. These experiences reinforce a confidence in "emergence," a known property of systems indicating that more will emerge from what is at play, that paying attention to what is emerging is a way to be guided in doing this work. "So we wait; even in our work, we wait," she explains. "Only out of that open expec-tancy can images and visions arise that strike deep enough to summon faith in them."17

Drawing on these foundations—the systems work, the Buddha Dharma, and the power of experiential knowing—Macy and colleagues have fash¬ioned a significant suite of transformative learning exercises. Ritual, guided meditation, paired conversations, community consulting—the elements of this curriculum are packaged in skillful sequences designed to lead to breakthroughs. The guidebooks explain how to encourage max¬imum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how to be with difficult passages in group experience, how to signal process milestones, how to attend to what is arising in whatever unexpected form. As this work developed, Macy was haunted by the possibility that hope was irrelevant: "I had al¬ways assumed that a sanguine confidence in the future was as essential as oxygen. Without it, I had thought, one would collapse into apathy and nihilism."" Yet her own work in systems thinking and Buddhist practice gave her the unassailable answer: that possibilities are endless and con¬stantly emerging. There is no need to depend on hope; the whole uni¬verse is continually offering up new directions for the flow of life.

The culmination of these foundations in her teaching and the foun¬tain of collaborative creativity across Macy's lifetime has now taken the form of what she calls "the Work that Reconnects." She sees this as a regenerating spiral, "a source of strength and fresh insights. It reminds us that we are larger, stronger, deeper, and more creative than we have been brought up to believe." 19 The journey of empowerment travels through four movements: Coming from Gratitude, Honoring Our Pain for the World, Seeing with New Eyes, and Going Forth. Acknowledging grat¬itude grounds the work in appreciation for the wonder of being alive in the world, for loving what is important to us and feeling its true value. This naturally opens a floodgate of pain for the very fragility of all that we love. Through the skillful medicine of the work that reconnects, we perceive with new insight the wealth of resources available in the cosmic web of life, and this spurs us forward to be active agents in the web.

Much has been written about the despair and empowerment work, the deep ecology work, and the work that reconnects. Macy herself has left a treasure of commentary on her teaching methods and principles. In her own words: Even after all these years in doing the work, I am continually sur¬prised by the grandeur of the human heart. Ever again, walking into a room of people to share this work. . . I am awestruck to discover their caring for the world. . . . I am moved, ever again, by their read¬iness to face the bad news. . . . I am humbled by their grief and rage, and by the courage and creativity that is unleashed. The changes they go on to make in their lives, and the actions they go on to take in their communities, teach me. These changes are so real and bold, they challenge me to take seriously the very premises of the work itself.2°

It has been my great honor to know and work with Joanna Macy across the past thirty years and to be challenged to transmit this work to stu¬dents and colleagues. In my mind's eye, I see her in the open meadow at Shenoa Retreat Center, surrounded bytrees, a fierce bodhisattva warrior for the Earth. She stands firm, touching the Earth as witness, her open heart and shining mind fearless in this call to care for the Earth. For me and thousands of others, she is a beacon of courage and compassion in difficult times. Always I see her smiling face radiant with love


PART THREE Acting with Compassion


14 Forging the Spirit through Climate Change Practice


MASTER FA TSANG HAD BEEN SUMMONED BY THE -empress of China to explain the nature of reality. Though the empress had heard a number of lectures on Buddhist philosophy from the esteemed teacher, she had not yet reached true understanding. Sensing the need to point beyond the limiting nature of words, the master set up a display in one of the royal halls, placing mirrors on the ceiling, floor, and all four walls. In the center he arranged a small Buddha with a candle. When he brought the empress in to see the multiple reflected images, she attained instant enlightenment. Perceiving direct insight, she realized that the Buddha's energy/mind is infinite in its manifestations throughout space and time.

Indra's net, a similar teaching metaphor from the seventh century, also points to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 universe as core understanding. In the Hua Yen school of Chinese Buddhism, key texts emphasize that the mind of every being is identical with the mind of the Buddha, and that en-lightenment depends on this recognition. Spiritual practice is grounded in this insight as the source of all ethics and virtuous action. To picture the net, imagine an enormous web of linked lines stretching horizontally across the vast universe. Now add a second web of similar scope and shape stretching across space vertically. Holding this structure in your mind, add yet another web at each diagonal, observing the clarity and organiza¬tion of these multiple overlapping nodes. Indra's net consists of an infinite number of crisscrossing nets, with a jewel at every point of intersection.

'5'

Each jewel has an infinite number of facets that reflect every other jewel in the net. A truly wondrous conception!

In this metaphor, there is nothing outside the net and nothing that does not reverberate its presence throughout the net. The image com¬municates in a direct way the interdependent nature of reality, infinitely linked in relationship and infinitely co-creating every being. For modern environmentalists, this image fits well with an ecological woridview, con¬veying the scale of complexity we can barely perceive; The links can be seen as food webs, carbon pathways, parasitic cycles, soil building. The metaphor easily illustrates human impact: tarnish a jewel with soot or sludge and it shines much less brightly; break critical links through clear-cutting and ecological relations suffer. Likewise, we see that each of us is a jewel in the net capable of effective action.

Here I want to take a look at how to practice with this understanding in everyday life, how to see our actions as grounded in such a net of re¬lationship. But first, we need to see the shortcomings of the metaphor so we will not be limited in our true understanding. It does not, in fact, represent the constantly changing nature of reality; these crisscrossing lines and jewels are but a map or model of a single moment in time. To even get close to seeing what is going on, you would need to imagine all the webs in motion—shifting and blowing, jiggling and tearing, growing new threads and repairing broken links. The jewels, too, are changing constantly, expanding and shrinking, moving closer to and farther from other jewels, changing behavior by day and night. In other words, the whole universe is morphing, growing, moving, learning, adapting beyond any human comprehension. No single model can even come close to cap¬turing all that is happening.

Thus it would be impossible to offer a definitive approach to prac¬tice that would meet all circumstances. Instead let me explore two arenas as a sample introduction—the physical world of climate change and the emotions that arise in response—a rich practice field, indeed, and one in which we are inescapably involved and impacted, and most certainly way beyond our usual capacities.

Read almost any book on climate change and you are quickly im¬mersed in the dynamics of shifting temperatures, amplifying feedback loops, and potential tipping points. I found The Fate of Greenland by Philip Conkling et al. to be particularly informative, with Gary Comer's stunning aerial photos of ice phenomena and shifting shorelines. The Indra's net of climate change is composed of ice floes, jet streams, coal plants, traffic jams, and soil microbes. And of course, much much more. Climate scientists in many countries are working to put the puzzle pieces together that explain and predict the shifting nature of the global ocean/ atmosphere/soil system. Climate models take observed patterns and proj¬ect them into the future. But unexpected combinations of causes and con¬ditions keep adding complexity to the models and demanding a stance of humility.

What, then, does it mean to practice with Indra's net as we look at climate change? How can such practice help develop a perspective or approach that will develop our tru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universe? Certainly climate change encompasses most of the major systems drivers that are shaping the physical world today as well as its future. Practicing with climate change requires us to have expanded spatial and also tempo¬ral understandings of the dynamic processes at play. We must learn not only about the range of sites and shifting patterns taking place today, but also about the historic precedents and how they set certain global trends in motion. This is more than what most of our minds can handle! Human neural patterns are formed primarily in relation to immediate stimuli and needs in the family, home, and community—a much smaller scale than the immense globe. Learning about climate change processes literally stretches the mind to grander scales than our normal conditioning. The practice part of this learning is to stay the course as our small-scale minds take in the vast complexities and endless flux of climate change.

It is, as you may have already tasted yourself, both enlightening and sobering all at once. Climate studies reveal patterns, such as the oceanic conveyor belts, that cannot be seen by any one individual but are the sum of many data sets. Practicing with Indra's net requires an active imagi¬nation to grasp the full impact of such enormous currents of water on not only global weather but the distribution of marine species. For the climate novice, the patterns can be overwhelming in their implications and complexity. To stay with the practice, then, one focuses on the nature of the dynamics—how they are shaped by amplifying or dampening feed¬back, how patterns reach tipping points, how cycles interact over long and short periods of time. You become large and nothing all at once. In climate terms, a single human life is relatively insignificant, but this does, not mean you subtract yourself from the net. Instead you taste the vastness of mind, one might say, that stretches in all directions and across all eons of time. This standpoint provides quite a contrast to the usual short-term thinking that characterizes most of our politics, economics, and human relations.

Perhaps already you are feeling some of the emotions that swirl around climate change—fear, discouragement, helplessness, despair, frustration These are all part of the web, too, and therefore part of the practice field. The practice mind aims first to observe and be aware of what is happening, to stay alert in the present moment and engage what is at hand. To practice with the web of emotions is to observe dynamics, nuance, fiavor, the shape of what arises and what passes away. This may be one's own internal and person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or social patterns of emotional response. Often these are influenced by personal and shared history, beliefs and values, and long-standing emotional habits. To see clearly can be very challenging.

From quite an unexpected source, I came upon a set of Japanese terms related to emotional states, but described in terms of their contribution to art practice.' Emotional sensitivity is highly valued in Japanese arts for expressing the ineffable while also acknowledging the fragility of human experience. Feeling tone is seen as a reflection of the dynamic universe, the ever-changing Indra's net. Mono no aware points to the sense of poignancy from the fleeting and impermanent nature of the world and the tinge of sadness that comes with this recognition. Being with this feel¬ing stimulates an appreciation for things as they are right now, even as we know they will pass away. The acceleration of climate change can evoke this feeling on an almost daily basis as shorelines erode and sea levels rise. Taking this up as a practice opportunity, you engage the nature of imper¬manence, including your own fleeting existence.

Climate change raises issues of attachment: we yearn to decelerate the rates of change, to protect the vanishing species, to stop the escalating damage. The quality of fitryu, or "flowing wind," is a sense of energy moving through life that touches everything fully while clinging to noth¬ing. This supports appreciation for all we are part of, but also detachment. This is not about giving up to emotional defeat, but rather realizing that we too are transient. Embracing this means wasting less energy in re¬sistance and accepting how deeply aligned we are with the patterns of nature. We may even be able to attain a state of mui, deep calmness in harmony with nature, that allows us to "do nothing" until the time is right, a very Taoist approach to conserving personal energy.

Responses to climate change can tend to overemphasize the dark and sometimes destructive emotions of depression, anger, and grief. In Japanese arts practice such as the Way of Tea or flower arranging, the emotional tone leans more toward myo, the mysterious. By practicing alertness to the pace, the timing, the frame of mind for a given activity, the practitioner expresses the unique aspects of a single moment. Some of this is revealed in the actions of the practice, but much points to yugen, the cloudy and unfathomable state beyond words and intellectual activity. This quality may not seem at all related to climate change, but it can pro¬vide a deeper emotional perspective as an alternative to the passing states of anxiety and anger.

Working with Indra's net is a practice that develops character and builds capacity and resilience. Japanese teachers speak of seishin tanren, or "spirit forging." Practicing tea ceremony and practicing with climate change both purify and strengthen the spirit, through facing repeated challenges and committing to the discipline that is required. Just as forg¬ing a fine sword develops its strength and stability, so, too, does Indra's net practice build spiritual capacity to meet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yet to come. Rather than resisting the frustrations and setbacks of cli¬mate policy, one simply keeps going, leaning into the commitment of the practice. With this orientation, all elements of climate change are part of the practice field—damaging hurricanes, political trade-offs, denial cam¬paigns, climate refugees. You keep working with what is arising, both physically and emotionally.

The Japanese arts thus offer some helpful supports for practicing in the various Dos or Ways of art practice. It seems to me that they can be applied to a broader practice approach with Indra's net and are certainly worth exploring. Shoshin, or beginner's mind, is the ability to bring a fresh perspective to any situation, free of the clutter of opinions or history. You approach the situation at hand as if you are seeing it for the first time. To such a mind, in even the most entrenched circumstances, there are always untapped possibilities. Beginner's mind is sometimes called "don't-know mind." This helps us remember that we actually can't know all the factors at play and that the situation may shift in a way not yet apparent to us.

To sense even these small beginnings, we might develop kan, or intuitive perception, through strengthening our capacities for observation and our trust in direct experience.

The Japanese arts are passed down from one person to another across generations, depending very much on those who have mastered the dis-ciplines and techniques. In every tradition, the kobai (those of less expe-rience) are expected to learn from sempai (those of greater experience). You know where you stand on the scale of experience and there is always someone with more wisdom and skill to turn to for support. While cli¬mate change practice may not be organized that clearly, it can help to situate yourself in relation to others who have more skill in this practice terrain. We can ask those with more experience to be mentors for those of us with less. And no matter how little we think we know or have mas¬tered in this territory, we can always provide support to others with still less confidence.

In the contentious context of today's climate debates, it can be very helpful to take up the practice of reigi, or respect for self and other, espe¬cially in group settings. Sometimes this is narrowly interpreted to mean "bowing," but the more important focus is on one's attitude. Respecting one's self means not dividing the mind and body, thoughts and actions. If you are able to act with integrity from a place of alignment, it will reflect your own self-knowledge and discipline in the practice. Remembering that others, too, are jewels in Indra's net can help mitigate against disre¬spectful judgments and acting out.

None of this is easy. Practicing with Indra's net offers many opportun¬ities to develop mental, physical, emotional, and spiritual discipline. Tak¬ing up climate change work or any other difficult environmental or social justice work as a life project requires resilience and stability that can carry you through the failures and setbacks. Seeing the work as a practice can shift the frame to a longer view and provide guiding principles that deepen your capacities. The good news is that many people are very interested in this approach, and there are sempai out there leading the way. We have just this life, this moment to take up the practice. Ichi-go, Ichi-e--"one en¬counter, one meeting"—every moment offers a unique chance to be fully present. When we are aligned completely with that moment and all that is arising in Indra's net, our practice can be very effective indeed.


About — 炳翰

About — 炳翰

炳翰
Open Menu

slogan.png
About
20대는 사회과학도였다. 

서방을 선망했고, 새로운 이론의 습득에 골몰했다.

30대는 역사학자였다. 

동방을 천착하고, 오랜 문명의 유산을 되새겼다.

자연스레 동/서의 회통과 고/금의 융합을 골똘히 고민했다. 

그 소산으로 1000일 <유라시아 견문>을 마무리 짓고 40대를 맞이했다. 

 

개벽학자이자 지구학자이며 미래학자를 지향한다. 

개벽학은 동학 창도 이래, 이 땅의 자각적 사상을 현대적으로 계승하겠다는 뜻이다.

동녘의 오래된 유학과 서편의 새로운 서학이 합류한 문명의 융합을 거대한 뿌리로 삼는다.

그러함에도 한국학, 한 나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북구부터 남미까지, 인도양부터 시베리아까지,

지구적 규모로 정보를 수집하고,

지구적 단위로 미래를 사유하는 것이 습관이 되었다.

특히 인간이 창조한 인공의 세계,

인공지구와 인공생명과 인공지능의 도래를 주시한다. 

인간 이전의 자연적 진화는 물론이요,

인간 이후의 자율적 진화에,

인간만의 자각적 진화를 두루 아울러야,

지구의 진화에 일조할 수 있는 미래학자의 자격이 갖추어진다고 생각한다.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공진화,

하늘과 땅과 사람의 공진화, 

생물과 활물과 인간의 공진화,

생명과 기술과 의식의 공진화, 

만인과 만물과 만사의 공진화, 

개벽학과 지구학과 미래학의 공진화,  

 

이 모든 것을 아울러 깊은 미래(DEEP FUTURE)를 탐구하는 깊은 사람(Deep Self),

무궁아(無窮我)이고 싶다.

Subscribe Earth Letter
Sign up with your email address to receive news and updates.

Email Address
 SUBMIT
Lee Byeonghan

생태문명 2.0으로 가는 길 — 炳翰

생태문명 2.0으로 가는 길 — 炳翰
생태문명 2.0으로 가는 길
1. EARTH 4.0

 

 올해로 4년차를 맞이하는 한국생태문명회의에 참여하게 되어서 더없는 영광입니다. 공교롭게도 2020년 올해는 “지구의 날”(4.22) 50주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또 코로나 사태로 전 지구적인 생태적인 각성을 촉발한 원년으로 기억될 해이기도 합니다. 비대면 거리두기가 개인과 개인은 물론이요, 나라와 나라 사이에 전면적으로 시행되면서 각종 행사들이 온라인 컨퍼런스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구사의 새로운 단계로 진입해 있음을 실감나게 해주는 장면들입니다. 오프라인에서의 자연적 거리두기와 온라인에서의 인공적 거리 메우기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미생물, 바이러스의 경고로 각성한 전 세계의 지구인들이 디지털 연결망을 통하여 공동의 지혜를 모으고 공통의 미래를 탐구하고 있는 2020년의 풍경이 흥미롭습니다. 생태문명의 미래를 전망하는 오늘 회의 또한 그 전 지구적 파노라마의 하나일 것입니다. 

 저는 EARTH+라고 하는 NGO의 대표로 이 자리에 왔습니다. “지구의 날” 50주년을 기념하여 창립파티를 열려고 했으나, 코로나 사태로 말미암아 제대로 된 출발조차 여의치 않게 된 신생 단체입니다. EARTH+는 생명을 생각하는 생활을 생산하는 지구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실험실을 표방합니다. 민족과 국가보다는 지구와의 공속감을 제1의 정체성으로 삼는 “Earthship”을 배양하려고 합니다. 그러함에도 기왕의 생태운동과도 일선을 긋습니다. DIGITAL, DNA, DATA, 3D혁명이 촉발하고 있는 미래의 물결에도 적극 타고 오르려고 합니다. 비유하자면 21세기형 생태문명 2.0을 모색합니다. 

 저희는 현재의 지구가 과거의 지구와는 질적으로 달라졌다는 전환기적 감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류가 지구의 4번째 단계에 진입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EARTH 1.0은 빅뱅 이후 지구의 탄생까지를 말합니다. 그 우주의 물질적 진화의 끝에서 지구라는 행성에는 생명이라는 환상적 인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지구의 두 번째 단계 EARTH 2.0입니다. 다양한 생명체들이 폭발적으로 진화하여 수많은 식물과 동물과 미물이 지상과 천상과 해상에 번성하게 됩니다. 그 파란만장하면서도 찬란하기 그지없는 생명 진화의 대서사 속에서 불현듯 “생각하는 생명”도 탄생합니다. 호모 사피엔스, 인류의 등장입니다. 첫 번째 생각의 탄생이었다고 과장할 것은 없겠습니다. 그러나 생각의 수준이 질적으로 다른 차원으로 도약했음만은 분명한 사태라 하겠습니다. 이 놀라운 생물체는 이성을 활용하고 지성을 발휘하여 기어이 EARTH 1.0과 2.0, 그리고 EARTH 3.0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수립해 내었기 때문입니다. 우주와 지구와 생명에 대한 자의식, 자기인식을 갖추게 된 것입니다. 지구사의 일대 터닝포인트 였습니다.  

 그런데 더 놀라운 것은 이 인간들의 발명과 창조로 인공적인 사물들을 만들어내더니, 끝끝내는 인공적인 생각도 작동시키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지금도 지구 밖 우주에는 수많은 인공위성들이 지구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지구 안에서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킨 인터넷 시대를 지나, 5G와 6G를 통하여, 사람과 사물과 사건이 실시간으로 연결되는 근미래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이라 간주되었던 인지와 판단 등 생각의 힘을 사물들에게도 부여하고, 그 만물의 연결망을 통하여 인간지능과 인공지능이 합류하는 ‘생각하는 지구’를 만들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100년 전 사물에 동력을 부여하여 ‘자동의 시대’를 열었다면, 앞으로 100년은 사물에 지력을 장착하여 ‘자율의 시대’, ‘신 자연의 시대’를 개창하고 있는 것입니다. 새처럼 드론이 오고 가고, 바람처럼 차들이 왔다 가며, 나무처럼 집은 숨을 쉬고, 숲처럼 도시는 진화하게 됩니다.

 고로 당장 자동차부터가 더 이상 기계로만 그치지 않습니다.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고 행동하게 됩니다. 도로상태만이 아니라 기후상태까지 지상과 천상을 아울러 사유하게 됩니다. 자율차 뿐이겠습니까. 기차와 배, 비행기 등 모든 모빌리티 수단은 죄다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인간의 이성을 능가하는 역량을 발휘할 시기가 10년 안쪽으로 열립니다. 정착해서 살아가는 집은 ‘인공식물’이요, 이동할 때 활용하는 교통수단은 ‘인공동물’이 되어, 사람이 살아가는 시공간 전체가 인간과 실시간으로 전 지구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신세기와 신세계가 곧 열리게 되는 것입니다. 일순부터 일생까지 천지인은 숙명처럼 연결되고 결합하게 됩니다. 고로 이미 생명이 아닌 존재가 없다고 하겠습니다. 미물은 물론이요 철물과 폐물까지 알고리즘을 장착하여 나름의 ‘진화’를 수행하게 됩니다. 만인과 만물이 공진화하는 천지공사(天地公事)의 후천개벽이 리얼하게 펼쳐지는 것입니다.

 우주사의 거대한 티핑포인트, 137억 년 전 빅뱅에 빗대어 ‘딥 뱅’(Deep Bang)이라고 불러주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은 통합되고, 물질세계와 정신세계는 융합되면서, 인위와 무위의 경계는 흐릿해지고, 자연과 자유와 자동과 자각이 무한의 피드백을 거듭합니다. 즉 인간이 우주와 지구와 생명과 만물의 진화에 직접적으로 개입해 들어가는 ‘인공지구’(Artificial Earth)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 인류가 살아가는 생태계 또한 자연선택의 소산으로 빚어진 기왕의 지구환경에 인류의 의식적 선택으로 만들어낸 인공생태계가 합류하고 있다고 봄이 더 적절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미래의 생태문명 구상 또한 인공지구의 현실로부터 출발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감각을 벼리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생태문명”이라 함은 산업혁명의 대척점에 놓여 있었습니다. 산업문명과 생태문명을 물과 기름으로 나눈 것입니다. 최대한 기술을 배제하고 자연과 인간의 합일만을 높게 쳐왔습니다. 인간의 삶을 최대한 자연 쪽으로 밀착시키는 것이 유일한 대안처럼 강구해 왔습니다. 그간 한국생태문명회의 역시도 신학과 철학과 법학 등 인문학적 지향이 강조되는 반면으로 과학과 공학과 기술과는 어쩐지 멀찍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EARTH 3.0 이전으로 되돌아가는 복고적 담론과 회고적 실천만으로는 백척간두의 지구적 위기를 온전히 감당하기 힘들어 보입니다. 적어도 앞으로30년, 더 많은 사람들이 지구상에 태어날 것이고, 그 폭발하는 인구의 대다수가 도시에서 살게 될 것이라는 점이 대다수의 미래학자들이 동의하는 메가트렌드라고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미래형 생태문명 전략 또한 ‘오래된 미래’보다는 ‘깊은 미래’로의 대전환을 꾀하는 편이 실질적이라 하겠습니다. EARTH 4.0, "제4차 지구"라는 지구사적 단계를 직시하고,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불가피한 인류사적 물결과 합류해가는 미래형 생태문명을 상상하고 현실로 구현해가야 하는 것입니다. 즉 생산과 소비와 유통을 망라하여 살림살이의 전반을 관장하는 산업과 기술의 대전환이 필수적입니다. 관념적인 말과 글이나 관성적인 운동 방식으로 원론과 당위론을 설파하며 설득하고 설복시키기보다는, 생명의 본질인 창발성과 생동하는 활기를 십분 활용하여 창의적인 기술개발과 창조적인 산업생태계 조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입니다. EARTH+는 생명이라는 가치를 화두로 삼아, 새로운 생각과 새로운 생활과 새로운 생산이 만나고 모이고 섞이는 생생활활한 플랫폼이 되어보고 싶습니다. 

 

 2. 생태문명 2.0 

 

 이웃나라 중국에서 400조를 쏟아 부어 만들고자 하는 슝안(雄安)신구는 말 그대로 유기체처럼 “살아 숨쉬는” 지혜도시로 디자인했습니다. 당헌에 ‘생태문명건설’을 삽입한 세계 최대의 정치집단인 중국공산당이 무위자연에 인위자율을 결합하여 생태문명 2.0에 전력투구 하고 있는 것입니다. 뿐만이 아닙니다. 2018년에는 세계 자본가들의 아성이라고 할 수 있는 다보스포럼에서도 “생물학적 세기”(Biological Century)를 선포했습니다. 생태와 생명이 도처에서 모두의 화두가 되고 있는 것입니다. 중국공산당과 다보스포럼이 공히 미래형 생태문명을 탐색하는 판국에, 더 이상 산업문명 시대의 균열선, 자본가와 노동자, 진보와 보수, 좌파와 우파라는 등식은 통하지가 않습니다. 즉 산업화세대, 민주화세대, 밀레니얼 세대를 막론하여 전 세대가 협력해야 하고, 남녀노소, 진보/보수를 망라하여 전 세력이 협동해야 하며, 동양과 서양, 남반구와 북반구를 아울러 전 세계가 협업해야 합니다. 

 그래서 <전환을 위한 스타트업>이라는 독특한 섹션도 마련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생명을 생각하는 생활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생각과 새로운 생활만이 아니라 새로운 생산도 반드시 결합되어야 합니다. 기술과 금융과 경영 등 산업혁명의 첨단을 달렸던 영역이 생태문명의 가치 아래 융합되고 통합되어야 합니다. 회복과 치유라는 되돌림의 애씀만큼이나 창업과 창조라는 미래의 기획력이 투트랙이 되어 쌍순환을 이루어야 하겠습니다. 돈이 돌고 돌면서 생명의 기운을 북돋으면서도 그 종자돈이 더더욱 불어나서 더 큰 생명산업으로 재투입되는 선순환의 기술적 고리를 창안해야 하는 것입니다. 땅과 산과 강과 바다와 하늘을 되살리고, 동물과 식물과 미물이 공존하고 공생하는 지구 공동체의 회생이라는 ‘위대한 과업’을 온 마음과 온 몸을 다하여 수행하기 위해서라도, 인공적인 기술과 사물과도 공진화하는 생태운동의 업그레이드와 업데이트가 절실하다 하겠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 모신 세 분의 연사들은 생태문명을 지향하는 생명살림산업의 최전선에 계신 분들입니다. 지역의 주민자치와 에너지 대전환이라는 미래 가치를 금융 혁신과 결부시키기도 하고, 산업혁명의 부산물이라고도 할 수 있는 쓰레기 문제를 창의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기도 했으며, 버섯의 균사체라는 독특한 물질을 통하여 우리의 의식주를 전환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도 창안하고 있습니다. 이분들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실험에 주목해 주시고 성원해 주시고, 또 함께해 주신다면 한국의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에 더더욱 가속도가 붙을 것임을 확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년에도, 내후년에도 더 많은 스타트업과 더 다양한 생명살림기업들이 생태문명회의에 동참하여서 생태문명 2.0, 미래형 생태문명으로의 진화에 함께 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출처  |  한국생태문명프로젝트회의 '전환을 위한 스타트업' 섹션 기조발제문  |  20.11.17

“지하에서 천상으로” 루트에너지 윤태환 대표를 만나다 — 炳翰

“지하에서 천상으로” — 炳翰:

“지하에서 천상으로”
루트에너지 윤태환 대표를 만나다 

1. 태양의 후예

 
태양은 압도적이다. 태양에 견주면 지구는 티끌에 불과하다. 태양계의 전체 질량에서 99.86%를 태양이 차지한다. 근 100퍼센트에 가까운 것이다. 지구를 비롯한 여타 행성은 태양이 형성된 뒤 남겨진 찌꺼기를 뭉쳐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태양 안에는 지구만한 행성이 100만개나 들어갈 수 있다. 그래서 지구와 1억 5천만 km나 떨어져 있음에도 그 존재감이 또렷하다. 태양의 핵융합이 산출하는 빛과 열이 46억년 지구 진화사를 추동해왔던 에너지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수성은 너무 가까워 생명체가 타버린다. 토성은 너무 멀어 충분한 빛과 열이 가닿지 못한다. 오직 지구만이 생명이 번성하는 행성이 될 수 있었다. 지금도 변함없이 아낌없이 베풀어주고 있다. 태양 에너지가 지구까지 닿는 데는 불과 8분이 다. 단 15분간 내리쬐는 태양 에너지가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1년 동안 소비하는 에너지보다 더 많다. 매일 지구로 보내지는 태양 에너지와 같은 양의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대형 화력 발전소 1억 7300만 개가 필요하다. 

물이 생명의 발상지라면 식물과 동물의 진화를 가능하게 한 것은 빛과 열의 힘이다. 물불을 가리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생명의 탄생과 진화도 가능해진다. 태양열과 태양광은 대기에 의해 30%가 우주 공간으로 분산된다. 47%은 대기에 흡수되어 기상 현상에 영향을 준다. 22%는 물의 순환을 일으킨다. 태양이 우주날씨와 지구날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지표면에 닿는 나머지 1%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활동이 바로 광합성이다. 태양 에너지의 단 0.02%만 사용하는데도 식물은 지표면을 온통 녹색으로 뒤덮을 수 있을 만큼 번성하게 되었다. 잎과 줄기, 꽃과 씨, 뿌리 같은 정교한 기관 또한 태양 에너지를 최적화하여 활용하기 위한 진화의 소산이었다고 하겠다. 그 식물들에 축적된 에너지를 먹으면서 동물들도 번창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동식물을 먹으며 생활하고 생각하는 사람은 태양 에너지가 만물의 근원이라는 것도 헤아릴 수 있는 존재로까지 진화하였다.

그 중 조선이라는 나라를 일구며 살아갔던 일군의 사피엔스들은 이 태양과 지구와 만물 사이의 먹고 먹히는 되먹임(feed back) 관계를 ‘이천식천’(以天食天)이라고 표현했다. 그 최초의 발상이 솟아난 브레인 속의 스파크 또한 우주의 빅뱅과 무연할 수 없는 것이다. 태초에 태양이 있었다. 단군의 후손도 결국 그 근원에서는 모두 태양의 후예이다. 태양이 곧 태조이다. 

 
2. 불의 발견, 불의 발명 


지구는 불길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태양계의 행성들 중 가장 독특하다. 하늘 위의 번개나 땅 아래의 용암이 곧 불은 아니다. 불길을 만들어내는 연소는 매우 특수한 화학적 과정이다. 우주에는 연소될 수 있는 물질도 그리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불 또한 지극히 지구적인 현상이다. 광합성의 소산인 탓이다. 광합성을 통하여 풀과 나무 등 바이오매스를 많이 만들어두었고, 대기 중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게 된 것이다. 탄소와 수소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산소 원자와 결합하여 일어나는 화학 반응이 연소이고 불이다. 지구는 불이 붙거나 불길이 타오를 수 있는 매우 예외적인 행성이 된 것이다. 

 그 자연적 불길은 오래 경외와 숭배의 대상이었다. 다른 동물들은 그 뜨거운 기운을 피해 멀리 도망쳤을 것이다. 오로지 유인원만이 타닥타닥 타오르는 그 붉은 꽃을 유심히 관찰했던 것 같다. 어떻게 하면 불길이 타오르는지 골똘히 고심했던 것 같다. 그만큼 유용했기 때문이다. 모기를 비롯한 성가신 존재들을 쫓아낼 수 있었다. 위험한 야생동물로부터 보호받을 수도 있었다. 어느 날 부싯돌을 바위에 내려치자 불꽃이 일어났다. 나무 꼬챙이를 다른 나무토막 위에 올려놓고 빠르게 돌리자 서서히 열이 나더니 끝내는 빛도 났다. 인공적으로 불을 피우게 된 것이다. 불을 관리할 수 있는 최초의 생물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지구에서, 아니 최소한 태양계에서 불을 인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유일한 종이 탄생한 것이다. 유기물에 축적된 태양에너지를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간의 지배력은 폭발적으로 증폭되었다. 완력에서 앞서는 동물도 불로써 제압했을 뿐더러 잡아먹을 수도 있게 되었다. 동굴을 훤히 밝혀 주었고 밤새도록 따뜻하고 아늑한 공간을 제공해 주었다. 불을 손에 쥐는, 내 손 안에 작은 태양을 부여잡는 최초의 계몽(enlightment)과 함께 인간은 지혜로운 존재, 사피엔스가 되어갔다. 모든 제단에는 지금도 촛불을 켜두고 있다. 모든 중요한 행사에는 요즘도 성화를 밝히고 불꽃놀이를 한다. 

 불을 장악함으로써 인간이 얻은 가장 큰 혜택은 음식을 익혀 먹게 되었다는 점이다. 요리가 시작되었다. 요리는 철저하게 문화적인 것이며 인공적인 것이다. 자연계의 어떠한 생물도 불을 가하여 요리를 하지 못한다. 오로지 인간만이 행하는 진화사의 일대 혁명이다. 식물이든 동물이든 먹을거리를 높은 열로 처리하면 말 그대로 ‘단순해지면서’ 이빨이나 소화관이 더 쉽게 다룰 수 있게 된다. 즉 소화라는 필수 과정의 일부를 몸 밖에서 대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만큼 씹거나 소화시키는 기능을 덜 해도 되는 셈이다. 더 많은 영양소를 더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침팬지는 하루에 여섯 시간을 날것 그대로의 먹이를 씹으며 보낸다. 자연스레 인간의 몸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충분한 여가 시간으로 뇌를 더 유용하게 쓸 수 있게 되었다. 익혀먹기의 발명 이후로 인류의 뇌의 크기는 무려 세 배나 커지게 되었다.

 고로 사피엔스는 초식성도 육식성도 잡식성도 아닌 ‘요리성’ 동물이라 할 수도 있다. 손길의 불길이 이제 두뇌의 불길로 전이된 것이다. 구석기에서 신석기로의 이행과는 전혀 상이한 청동기 시대를 열어젖혔다. 불로써 구리와 주석을 합금하여 청동이라는 인공물질을 주조해내기 시작했다. 철기를 생산해내었고, 유리도 만들어내었다.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인류는 지구의 태양처럼 군림하게 되었다. 인간무리의 최고 지도자를 태양으로 묘사하거나 종교 지도자의 초상에는 후광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해가 지고 난 한밤중에도 사피엔스가 무리지어 살아가는 도시는 불야성(不夜城)으로 번쩍거리게 되었다. 태양계 어느 곳에서도 발견할 수 없는 인공적인 열과 인공적인 빛으로 가득 찬 지구 행성을 인류가 만들어낸 것이다. 진화의 끝자락에 등장한 한없이 미미했던 존재가 이제는 거대한 힘을 장착하여 지구의 미래를 주조하기 시작한 것이다. 피조물이기를 그치고 창작자이자 창조주가 되었다.        

          



3. 지하자원 


진화의 소산으로 문화가 탄생하였고, 그 문화적 진화가 거듭하여 또 다른 계몽(enlightment)을 촉발하였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불을 밝히는 근대를 열어젖혔다. 증기기관을 만들고 내연기관도 만들어내었다. 이 인공기구들로 말미암아 인간은 자신의 근육과 동물의 근력을 빌지 않고서라도 더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더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원료의 투입이었을 뿐이다. 지상의 자원으로만은 충분치가 못했다. 혹은 덜 효율적이었다. 땅 밑에도 자원이 있었다. 지하자원, 화석연료의 시대로 진입한 것이다. 석탄을 발굴하고 석유를 채굴하였다. 산업혁명이 시작되었다. 

산업혁명이 야기한 그 열기(와 광기) 또한 태양과 전혀 무연하지는 않았다. 아니 무수한 시간동안 지구에 쏟아졌던 태양 에너지가 농축되어 있었다. 생명은 까마득한 옛날부터 지구상에 존재해왔다. 년년세세, 수십억 세대에 걸쳐 태어나 살던 동식물이 죽으면서 사체를 남겼다. 이들 중 일부는 우연히 땅속에 묻혔고, 그 중 극히 일부가 일정한 조건 하에서 화석연료로 바뀐 것이다. 석탄은 키가 30미터나 되는 양치식물이 쓰러져 땅에 묻힌 채 수억 년이 지난 결과 생성된 것이다. 석유는 바다에 살던 작은 생명체인 식물성 플랑크톤이 죽어 침전된 뒤 지하 깊은 곳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높은 열과 압력에 의해 액체로 변한 것이다. 그 지하에서의 장구한 시간의 압축만큼이나 지상으로 다시 나오자 활활활 타오를 수 있었다.

20세기를 불태운 산업문명의 열과 빛은 공룡이 존재하기 훨씬 전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지질학적 축복에 근간했던 것이다. 지질학적 시간과 생물학적 시간이 인류의 20세기를 주조해 내었던 것이다. 유례없는 경제성장을 경험하게 되었고, 전례없는 도시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해가 진 뒤에도 커피하우스에 모여 먹고 마시고 담소하며 ‘공론장’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가로등과 전등 등 인공조명이 많아지면서 밤과 낮이라는 자연의 리듬을 버리고 각자 제 나름의 사이클대로 살아가기 시작했다. 디킨스부터 톨스토이까지 위대한 문학 작품이 한밤중에도 쓰여지게 되었다. 두툼한 세계문학전집이 만들어졌고, 독자들은 밤새 불을 밝히며 책을 읽게 되었다.  

 자동차는 지난 20세기를 규정하는 가장 영향력이 큰 발명품이었다. 농촌에서 도시로 대거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었으며, 기왕의 이동수단이었던 수만 마리의 말이 쏟아내는 대소변을 처리하지 않고도 대도시를 형성하며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세계 각국은 거대한 거미줄 같은 도로망으로 묶이기 시작했으며, 그 도로를 오고가는 자동차의 연료를 보급하기 위하여 남극 대륙을 제외한 세계 도처에서 석유를 캐고 해저유전 시추를 하게 되었다. 응당 지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격화되었으며 세계대전이라는 전대미문의 폭력도 경험하게 되었다. 급기야는 이례적인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도 초래하게 되었다. 문화적 진화가 자연적 진화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수많은 동식물이 6번째 대멸종 단계로 진입했으며, 인류의 존속 여부도 불투명하게 되었다. 인간의 생각과 생활과 생산이 생명 전체의 진화를 좌지우지하는 지구사의 새 단계, 인류세(anthropocene)가 열린 것이다.      




 4. 천상자원 


인류세는 충적세, 홀로세 등등 그 이전의 지질학적 시대와는 달리 단명하게 될지도 모른다. 22세기, 23세기 과연 인류가 지구에서 살아가고 있을지 장담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 절박함과 절실함으로 인류는 재차 빛을 발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이 온통 화두가 되고 있다. 살아남고자 전력으로 전속력으로 문명의 변화를, 의식의 진화를 꾀하고 있다. '잘 살아보세‘에서’ ‘잘 살려보세’로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다. 문명의 기초인 에너지의 생산과 유통과 소비에도 파격적인 실험과 획기적인 혁신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이미 전기자동차가 휘발유와 경유 자동차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탄소세라는 새로운 조세 정책을 입안하여 기업 활동의 대전환을 재촉하기 시작했다. 기후위기를 호소하며 학교에 가지 않는 북유럽의 10대 소녀가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으며, 정치인들과 언론인들, 지식인들은 온통 SDGs를 만트라처럼 읊어대기 시작했다. 그만큼이나 20세기 내내 중독되었던 석탄과 석유와 가스로부터의 해독 과정이 급속도로 진행될지도 모른다. 관건은 대안이다. 근원으로의 귀환(Back to the Basic),  지상자원과 지하자원 시대를 지나 다시금 만물의 에너지의 근원인 천상자원, 태양을 주목하고 있는 까닭이다. 

돌아보면 인류가 돌을 다 써버렸기에 석기시대가 종식된 것이 아니다. 더 나은 기술인 청동기가 등장하면서 석기를 몰아냈던 것이다. 바위는 여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다만 소용이 없어졌을 뿐이다. 마차의 시대가 끝난 것도 말이 사라져서가 아니었다. 상위 기술인 내연기관을 장착한 자동차가 등장하면서 기왕의 운송 산업을 무너뜨린 것이다. 말 역시도 여전히 없어지지 않았다. 관광용과 스포츠용으로 사용처가 달라졌을 뿐이다. 그렇다면 석탄과 석유 등 지하자원 시대 또한 고갈로 인해 종언을 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새로운 기술과 제품, 비즈니스 모델이 촉발하는 파괴적 혁신으로 기존의 에너지산업을 붕괴시킬 수 있는 것이다.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전기자동차와 자율주행 등과 융복합된다면 문명 대전환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도 있다. 

조짐은 이미 도처에서 여실하다. 유럽에서는 깨끗하고 분산된 에너지로의 전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딱 10년 전, 원자력발전의 위험성을 극적으로 보여준 3.11 후쿠시마 사태가 일어났다. 바로 그해에 유럽에서 건설된 발전소의 47%가 태양광이었으며, 21%가 풍력이었다. 신규로 건설된 발전 용량의 7할이 청정에너지였던 것이다. 

세계에서 태양광패널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국가였던 중국은 이제 태양광 제품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이기도 하다.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로 잠시 멈추었던 중국의 에너지 대전환은 조기에 팬데믹을 극복하면서 더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신설될 태양광 발전소가 지난 10년간 건설되었던 발전소를 능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기하급수적 속도로 재생에너지 산업을 전략적으로 키우고 있는 것이다. G2 간의 기술패권 경쟁은 태양광 부분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솔라시티(SolarCity), 선지비티(Sungevity), 선런(SunRun)과 같은 실리콘밸리 기업들도 캘리포니아 주와 미국 전역에 태양광발전 설비를 시공하고 있다.

전력 수요의 100%를 태양광으로 공급하는 나라도 이미 등장했다. 남태평양의 섬나라 토켈라우가 그 주인공이다. 세 개의 산호초로 이루어진 토켈라우에서는 야간에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배터리 은행을 만들었다. 100% 디젤 발전에서 100% 태양광발전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단 1년이었다. 

이처럼 현재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하자원에서 천상자원으로의 대전환을 선도한 나라로 북유럽의 덴마크를 꼽을 수 있다. 이미 반세기 전부터 신재생에너지의 대전환을 실험했다. 20세기 21세기를 먼저 살았다. 지금은 풍력발전으로 전력 수요의 100%를 감당할 수 있다고 한다. 조금 전에 내 뺨을 스쳤던 바로 그 시원한 바람이 방 안의 빛을 밝히고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열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바로 그 미래에너지 최선진국에서 유학하며 배우고 익힌 기술과 노하우를 한국의 에너지 대전환에 접목하는 비즈니스를 개척하고 있는 CEO가 루트에너지의 윤태환 대표이다. 오래 손꼽으며 기다려왔던 만남이었다. 사무실도 서울에서 가장 미래에 근접한 동네, 성수동의 헤이그라운드 5층에 자리했다. 이야기를 나눈 장소는 건물 맨 꼭대기, 투명한 유리창으로 사방이 활짝 트인 곳이었다. 포근한 봄 햇살을 맞으며 인터뷰를 시작할 수 있었다.  조근조근, 차분차분, 진지한 말투로 밝고 맑은 미래를, 산뜻하고 깨끗한 내일을 견인해주었다.  





에너지 민주주의 : 시민 참여형 임팩트 투자  


이병한 :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인 질문부터 드려볼까 합니다. 역시 이력 가운데 가장 돋보이는 지점이 덴마크 유학 같습니다. 언제부터 에너지 전환에 관심이 있으셨을까요? 원래 관심이 있어서 덴마크로 공부하러 가신 것인지, 혹은 다른 경로로 덴마크를 방문했다가 눈이 뜨여서 이 일을 시작하게 된 것인지, 그 출발이 궁금합니다. 


윤태환 : 실은 아주 어렸을 때부터 관심이 있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초등학교 6학년부터였어요. 과학자가 꿈이었거든요. 왜 6학년이면 초등학생이라기보다는 곧 진학하게 될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더 눈길이 가잖아요? 형과 누나들을 선망하면서 그들이 보는 책을 미리 따라 읽기도 했습니다. 대학 진학을 위한 고등학교 권장도서 목록에 있는 책들도 읽어보려는 욕심이 컸어요. 과학을 무척 좋아하는 초등학생이었던 셈이죠. 그 중에 한 권으로 <실험실 지구>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돌이켜보면 꽤나 어려운 책이었어요. 내용을 과연 얼마나 이해했을까 의문입니다. 그럼에도 펄펄 끓는 물속의 개구리에 대한 비유는 강렬한 충격을 주었습니다. 점점 온도가 올라가는데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다가 결국 죽어가는 과정을 지구온난화에 빗댄 것이죠. 어린 마음에 열흘 동안 잠을 잘 자지 못했습니다. 과학자가 되고 싶다는 막연한 동경에서 환경과학자가 되어야겠다는 구체적인 목표가 생긴 것이죠. 


이병한 : 그러면 대학에서도 환경 쪽을 전공하셨을까요?


윤태환 : 물리학과 수학을 전공했습니다. 자연과학의 가장 근간이 되는 학문을 제대로 배워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제 어머니가 수학 선생님이기도 하셨어요. 영향이 없지 않았습니다. 첫 직장이 “에코 프런티어”라고 하는 에너지 환경 컨설팅 회사였어요. 카이스트 대학원의 박사과정생들이 창업한 회사였죠. 제가 입사할 당시에는 70여명이었고요. 나중에는 120명까지 늘어납니다. 에코프런티어에서 3년 정도 일하면서 이 방면으로 일생을 투신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저는 컨설턴트 역할을 했는데, 아무래도 해외 사례들을 많이 참조하게 되거든요. 그 전에는 막연하게 에너지 환경 분야에서 독일이 가장 앞섰다고 알고 있었어요. 에너지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룬 나라라고 익히 듣고 있었죠. 그런데 여러 사례를 찾다보니 덴마크가 사회민주주의 국가로서 에너지 전환을 가장 먼저 시도한 나라라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덴마크가 취한 접근 방식을 10년 정도 터울을 두고 독일도 그 나름으로 차용해서 적용시켰던 것이죠. 아무래도 시장의 성숙도나 시민의 성숙도에서 덴마크가 좀 더 앞서있음을 배운 것입니다. 그때가 2008~2009년도 무렵이에요. 자문하던 기관에서 덴마크에서 500만 달러 정도 투자를 받았고, 그 과정에서 덴마크에 대해서 조금 더 깊이 연구하게 된 것이죠.  


이병한 : 그럼 대학원 시절부터 매우 오랫동안 창업을 준비해 오신 셈이네요. 


윤태환 : 직접 사업 할 생각은 못했던 것 같아요. 선생님이 되고 싶었습니다. 부모님 두 분 모두 선생님이셨고요. 집안에 사업가는 없었습니다. 가르치는 것에 관심이 많고, 또 잘 가르치는 편이었습니다. 어려운 개념을 쉽게 풀어내서 설명하는 일에 재미를 많이 느껴요. 덴마크에서 유학을 할 때도 창업을 해야겠다는 생각은 적었어요. 학업을 마치고 돌아오면 연구를 지속하거나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맡게 되지 않을까 했었죠. 


이병한 : 학자가 아니라 경영자가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있었을 것 같습니다. 취업이 아니라 창업을 하게 된 것인데요.  


윤태환 : 귀국부터 예정보다 일찍 했습니다. 학업을 다 마치지 않고 사업을 시작한 것이죠. 2012~2013년도 밀양 송전탑 사건이 있었잖아요? 어느 날 제가 속해 있던 덴마크 공대의 연구실로 연락이 왔어요. 제 연구실이 어떻게 하면 풍력 발전에서 생산한 전기를 가장 손실을 줄이면서 사용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는 곳이었거든요. 밀양 송전탑 같은 것을 굳이 짓지 않아도 되는 기술적인 대안이 있는지를 자문해 온 것이죠. 한국에서 첨예하게 갈등을 빚고 있는 사안을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를 깊이 고민하게 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자연스레 한국 상황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졌고요. 기존의 발전소가 워낙 중앙 집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송전망이 도처에 깔릴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병폐가 역력했습니다. 해결책은 태양광과 풍력 위주의 분산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었어요. 한국에서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고 그 일을 직접 감당해 보고 싶다는 마음이 솟아났습니다. 당시에 저는 결혼도 하지 않았고 부양할 가족도 없었어요. 이때가 아니면 창업을 하지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아무래도 결혼을 하면 모험을 하기가 쉽지 않잖아요? 한국에 일찍 돌아가서 창업을 하고 도전을 해보자는 결심을 굳혔습니다. 대학원 공부야 언제든지 다시 와서 할 수도 있으니까요. 부모님께도 딱 3년만 도전해 보겠다고 설득했습니다. 3년의 실험이 여의치 않으면 다시 덴마크로 돌아가서 박사 공부를 마치겠다고 약속드렸죠. 그런데 벌써 8년차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이병한 : 학업을 작파하고 창업해서 성공한 전설이 여럿 있죠. 빌 게이츠부터 일론 머스크까지. 여전히 미혼이시고요? (웃음)


윤태환 : 아니요. 그 사이 결혼도 하고, 아이도 생겼습니다. (웃음)

 

이병한 : 연구하고 교육하는 사람들의 기질과 시장의 최전선에서 사업하시는 분들 사이에는 간극이 참 크다고 느낍니다. 훌륭한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해도 그게 곧장 비즈니스의 성공을 담보해주는 것도 아닌 것 같고요. 양쪽을 두루 겸비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윤태환 : 부모님의 기질을 천성으로 물려받은 것 같아요. 아버지는 꼼꼼하고 치밀하셨고, 어머니는 외향적이고 사교적이셨습니다. 어머니랑 더 닮은 구석이 있어요.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지향이 강합니다. 교직과 사업이 아주 다르다고도 생각되지 않더라고요. 잘 가르치는 것과 잘 만들고 잘 파는 것이 비슷한 것도 같아요. 저는 여전히 미숙한 CEO이기는 하지만 제 성향과 잘 맞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직접 기업을 경영하면서 배우는 것이 정말 많아요. 한 인간으로서도 더욱 많이 성장하고 있다고 느낍니다. 대학에서 학자로만 있었다면 배울 수 없었던 세상의 여러 면들을 두루 경험하고, 해볼 수 없었을 일들을 직접 체험하게 된 것이죠. 물론 이렇게 힘들 줄 알았다면 창업하지 말고 공부나 계속할 걸 하는 생각도 종종 듭니다만...(웃음)  


이병한 : ‘이렇게까지 힘들 줄 몰랐다’의 그 힘듦이란 뭘까요?


윤태환 : 사업이 늘 예상대로, 계획한 대로 흘러가지가 않거든요. 도중에 정말로 많은 사고들이 일어납니다. 강물이 그렇잖아요. 겉보기에는 잔잔하게 흘러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물 속에서는 매우 치열하게 다양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죠. 사업을 하다보니 중간중간 정말로 많은 돌발 변수들이 생기고, 그 문제들을 해결하느라 정신이 없어요. 그래서 비즈니스는 일종의 종합예술 같은 느낌입니다. 모든 걸 다 고려해야 하고, 사소한 하나라도 놓치면 언제든지 공든 탑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도 있는 것이죠. 저만 잘한다고, 저희 직원들만 열심히 일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에요. 운도 따라주어야 하고요. 타이밍도 잘 맞아야 하지요. 무엇보다 좋은 사람들을 잘 만나야 합니다. 시운과 인연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절절하게 절감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조건들이 딱딱딱 들어맞아야 비로소 사업도 성공하는 것이죠.

 그런데 어제의 성공이 또 내일을 담보해주는 것도 아니잖아요? 매일매일 끊임없이 진화해야하고, 더더욱 앞장서서 앞서나가야 합니다. 그러다보니 잠자는 시간 외에는 늘 사업 생각을 합니다. 아니 잠잘 때조차 생각하는 것 같아요. 아기를 안고 있을 때에도 생각하죠. 이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내가 더 열심히 일해야 하는데, 뭘 더 잘할 수 있을까 항상 골똘히 골몰하게 됩니다. 이건 창업가의 숙명이 아닌가 싶어요. 


이병한 : 아기는 몇 살인가요?


윤태환 : 이제 8개월, 아들입니다. 


이병한 : 한참 꼬물꼬물 귀여울 때네요. 루트에너지의 비즈니스 모델을 보며 요즘 말로 ‘신박하다’고 느낀 것은 에너지 사업에 파이낸스와 로컬 커뮤니티를 잘 결합시켰다는 점 때문입니다. “에너지 x 로컬 x 파이낸스”의 조합이라는 아이디어는 어떻게 처음 나온 것일까 궁금합니다. 


윤태환 : 제 머리 속에서 독창적으로 나온 것은 전혀 아니고요. 덴마크와 독일에서는 이미 1970년대부터 시작된 것이에요. 특히 협동조합 형태로 많이 구성되었죠. ‘에너지 민주화’, ‘에너지 민주주의’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독일에서는 ‘에너지 주권’이라고 많이 말하고요. 그 나라들에서는 지역과 금융의 결합을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해요. 덴마크에 유학가고 싶었던 가장 큰 이유도 거기에 있었습니다. 공학적 지식을 얻는 것도 있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나라 사람들과 어울려보고 싶었습니다. 덴마크가 자랑하는 협동조합 활동을 직접 해보고 싶었던 것이죠. 에너지 민주화의 물결에 제 발을 담궈 보고 싶었습니다. 덴마크 시민들과 주민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그들의 생활과 문화를 배워보고 싶었던 열망이 매우 컸습니다.   

1970년대부터 거의 반세기를 경험하고 성장하면서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오늘날 독일은 거의 800만 주민이 재생에너지에 투자해서 이익을 얻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보면서 우리나라에도 시도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충분히 성공할 수도 있지 않을까 궁리하게 된 것이죠. 우리나라 사람들도 돈을 싫어하지는 않으니까요. 하지만 에너지를 잘 모르는 정보의 불균형 문제는 심각하죠. 에너지 문제를 돈과 연결시키면 한국에서의 반응이 덴마크나 독일보다 더 뜨거울 수 있다고 가설을 세운 것입니다. 여전히 검증하고 있는 단계이기는 해요. 지난 8년간 180개가 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느 정도 입증되고 있는 것 같기는 합니다. 


이병한 : 한국에서도 적용가능하다고 보시는 것이죠?  


윤태환 : 네. 신재생 에너지로의 전환과 금융과 지역주민의 결합이라는 비즈니스 모델이 성공할 수 있다고 결론이 나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반응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어요. 


이병한 : 덴마크의 오랜 사민주의 전통을 이야기하셨잖아요? 독일은 또 비례대표제로 운영되는 국가이죠. 비즈니스라고는 해도 아무래도 정치제도와 사회문화와 무연할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에너지 사업을 하시다보면 자연스레 공공적인 영역까지 관심이 미치지 않을까 짐작이 되는데요. 사업 그 이상의 어떤 액션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안해보셨을까요?

 

윤태환 : 일단 정치나 행정은 제 깜냥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영역이고요. 사회민주주의나 비례대표제 같은 문화와 제도의 영향이 분명히 컸다고는 생각합니다. 다만 저로서는 좌/우나 진보/보수에 상관없이 재생에너지 사업에 시민들이 동참했던 동기와 이유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 사업에 참여하는 주민들이 100만이 넘고 300만을 넘고 500만을 돌파하면서 정치가 바뀐 측면도 크거든요. 보수당이라고 하는 기민당조차도 에너지 전환에는 적극 참여할 수밖에 없는 동력을 민이 만들어낸 것이죠. 보수가 진보로, 우파가 좌파로 전향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지향적인 재생에너지 정책으로 가지 않고서는 표를 얻을 수 없고 집권을 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조성된 것이죠.   

저는 우리나라에서도 그런 형태의 영향력을 발휘하고 발산할 수 있는 미래의 씨앗을 심어보고 싶어요. 아직 루트에너지의 고객이 만 명이 안 됩니다. 현재 국내의 에너지협동조합에 가입한 분들을 모두 합해도 만 명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아요. 이 씨앗이 10만이 되고 100만  명이 되고, 300만이 되면... 그러면 우리나라에서도 좌/우와 보/혁에 상관없이 에너지 환경 분야만큼은 누구나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기가 오지 않을까 전망하는 것이죠. 양적 변화가 질적 변화를 가져온다고 하잖아요? 그 양-질 전환의 티핑포인트가 오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정치인들과 행정가들도 재생 에너지를 최우선으로 삼는 예측 가능한 정책을 설계할 수 있겠죠. 그래야 정권의 교체에 무관하게 정책의 지속성이 담보될 수 있고, 그래야 환경 비즈니스 또한 안정적이고 또 과감하게 도전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한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만들어내는 것이 루트에너지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저희들이 일하는 최고의 목적입니다.  


이병한 : 사명이 ‘루트에너지’(Root Energy)인 것은 풀뿌리가 주도하는, 민초가 선도하는 재생에너지로의 대전환이라는 비전도 담겨 있는 것이겠군요. 그러함에도 기후재앙은 이미 진행 중인 것 같고요. 인류에게 주어진 대전환의 시간이 넉넉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정부와 대기업의 이니셔티브 또한 간과할 수 없을 것 같은데,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정부가 설파하고 있는 그린뉴딜 정책도 있지 않습니까? 꼼꼼히 살펴보셨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실지요?  


윤태환 : 저야 당사자가 아니고 주변자라서요. 정책을 직접 결정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가 없으니, 결과만 지켜보는 입장이지요. 큰 방향성은 맞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비판이나 비평을 할 수 있을 만큼의 계획이 나온 게 없습니다. 세부적인 디테일은 거의 없어요. 거창한 선언만 있었지 아직 구체적인 계획안을 본 적이 없습니다. (웃음)


이병한 : 가장 신랄한 비판이네요. (웃음)   


윤태환 : 구상만 있을 뿐이라는 점은 정부나 여당도 다 인정하고 계세요. 저도 녹색성장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거든요.


이병한 : ‘녹색성장’이라 함은 이명박 정부 때 만들어진 기구인가요? 지금도 있는 것인지?


윤태환 : 네. 10년째 지속되고 있고요. 저는 3년차 활동하고 있습니다. 녹색성장위에서 활동을 해보아도 부족한 점이 태반이죠. 우리나라 정책은 여전히 경제성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니까요. 코로나 대응에서도 마찬가지고요. 민생 회복을 최우선시하면서 정책을 입안하다보니 탈탄소 정책은 우선순위가 한참 떨어집니다. 많이 안타까운 상황이죠. 그간의 경험을 미루어 보아도 정치인이나 행정가들에게 맡겨둘 수가 없다는 결론에 이릅니다. 설령 그러한 의지가 있고 역량을 갖추고 있는 분이라 해도 여럿 중의 일부에 그치는 것이거든요. 지난 10년이 그러했듯이 아마도 앞으로 10년도 정치가 바뀌어서 짠-하고 대전환을 선도하는 그림은 어렵다고 생각해요. 솔직히 말하자면 MB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현재 정부랑 똑같거든요. 변한 게 없어요. 앞으로 10년 정권은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에너지 정책에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래서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가 없을 테고요.  


이병한 : 말잔치만 무성하고 요란했던 것이군요. 


윤태환 : 결국 민간에서 저희들이 더 많이 더 깊이 더 넓게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치인이나 행정가가 아니라 근본적인 변화의 힘은 국민들로부터 주민들로부터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어떻게 2030년이 오기 전에 100만 명의 국민들이, 1000만 명의 주민들이 신재생 에너지 혹은 탄소중립 프로젝트에 직접 투자도 하고 금전적인 소득도 올릴 수 있을까를 궁리하는 이유입니다. 바로 여기에서부터 변화의 씨앗을 만들어가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 사업에 동참한 바로 그 분들에 의해서 올바른 투표가 이루어지고, 그들이 선택한 정치인과 행정가들이 올바른 정책을 추진하게 되고 말이죠. 그 분들도 그런 변화를 기다리고 계신 것 같아요. 앞장서서 변화를 선도하기는 요원해 보입니다.   


이병한 : 뼈아픈 지적이네요. 안타까운 이야기입니다. 


윤태환 : 어디까지나 제 경험에서 비롯한 주관적인 견해이니까요.


이병한 : 객관적인 팩트인 것 같습니다. 정부는 그렇다 치고요. ESG 등등 해서 기업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전환해 가려고 시도 중인 것 같은데, 이런 흐름은 어떻게 보실까요? 


윤태환 : ESG가 글로벌 트렌드이기는 하지만 세계적으로도 여전히 찬반이 여지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린 워싱(green washing)의 사례가 워낙 많아서요. 국내 ESG는 특히나 그린 워싱이 빈번하다고 생각합니다. 잠깐이기는 하지만 10여 년 전에 ESG를 평가하는 애널리스트로 일한 적이 있습니다.국제적인 기준의 인덱스를 활용해서 기업을 평가한 정보를 국민연금에 판매하는 일이었는데요. 그때나 지금이나 평가 기준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어요. 당시에도 평가 지표는 너무 포괄적이고 기업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너무 불완전해서, 과연 분석 정보가 차별성이 있을까 의문이 많았거든요.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가령 석유를 시추하는 회사인데 재생에너지에 조금 투자를 한다고 해서 ESG 기업으로 편입될 수는 없다고 보거든요. 그런데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는 긍정적인 평가 보고서를 올려요. 그래서 저는 ESG에 너무 맹목적으로 빠지면 안 되고, 그 추세와 지표 또한 제 3자의 견지에서 계속 비판적으로 지켜보고 견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궁극적으로 가야 할 방향이기는 하되, 녹색세탁 없이 제대로 가야 하는 것이죠. 


이병한 : 한국전력도 재생에너지 쪽으로 전환하겠다고 하죠?

 

윤태환 : 한전은 참 예민한 사안인데요. 재생에너지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으로서는 반대할 수밖에 없는 입장입니다. 정부에서는 재생에너지 영역을 대규모로 키우기 위해서 공기업이 앞장서야 한다는 명분이 있다고는 생각해요. 전 지구적인 기준에 보자면 하루 빨리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어야 하는 것인데요. 과연 어느 방식이 더 빠르면서도 더 많은 사회적 임팩트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인가가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공기업이 주도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일지, 아니면 민간에서 선도하여 시장을 확장시키고 일자리까지 창출하는 선순환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등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죠.   


이병한 : 한전 공대는 어떨까요? 에너지에 특화된 대학을 만들겠다는 것인데요. 


윤태환 : 저에게도 이미 강의 요청도 들어왔습니다. 우리나라에 아직 에너지 전문 대학원이 없기는 해요. 카이스트나 유니스트도 에너지 전문 인력을 양성하지는 않거든요. 그런 기관이 필요하다는 점은 예전부터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당장 저부터가 국내서는 마땅히 공부할 곳이 없었기에 덴마크까지 유학을 간 것이니까요. 에너지 분야를 연구하고 교육하는 기관을 만드는 것에는 찬성하는 편입니다. 미래를 생각한다면 괜찮을 뿐만 아니라 꼭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관건은 어떻게 만들 것이냐 하는 것이죠. 과연 공기업에서 세우는 건이 좋을까? 한전이 아니라 국가가 나서서 국립대학으로 만드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이 아닐까. 덴마크 공대는 학비가 전혀 안 들어요. 석박사 대학원 과정은 도리어 돈을 받으면서 배웁니다. 물론 그만큼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죠. 사견이지만 저는 한전 공대보다는 국립대학이 더 좋은 방안일 것 같습니다. 


이병한 : 기왕 민감한 사안을 여쭤본 김에 하나만 더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탈원전을 둘러싼 논란도 많잖아요. <인사이드 빌게이츠>라는 다큐나 그의 신간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을 보아도 원전을 폐기하기보다는 더욱더 진화시키는 쪽으로 접근을 하고 있는데요. 미래 에너지로서의 원자력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윤태환 : 저도 한참 빌 게이츠의 신간을 읽고 있는 중입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그 분 또한 태양광과 풍력을 근간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급진적으로 늘려야 한다는 것이 주된 논지라고 보고요. 그 외에 소형 원자로 기술도 앞으로 발전시켜야 할 분야로 꼽고는 계시죠. 저는 그 분의 관점에서는 충분히 그렇게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다만 저는 에너지에 보태어 금융까지 하는 사람의 견지에서 복합적으로 사안을 판단하게 되는데요. 온실가스 감축의 효과만 보자면 원전 또한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경제적 측면에서 리스크가 적지 않다고 생각해요. 과연 내 돈을 가지고 원자력에 투자할 수 있을까? 투자한 액수 이상의 이득을 회수할 수 있을 것인가를 궁리해 봅니다. 경제성에서 원전을 가동하는 운영비용이 매우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고가 나면 워낙 대형사고가 날 수 밖에 없는지라 보험 설계도 취약하고요. 이미 미국이나 프랑스의 원전 업체들이 적지 않게 파산하고 있어요. 투자자의 관점에서 원전은 리스크가 몹시 높은 상품인 것이죠. 아무리 한국의 원전 기술력이 뛰어나다고 해도 정부가 보증하지 않는 이상 펀드레이징이 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합니다. 


이병한 : 경제적 리스크는 그렇다 치고, 에너지 주권이랄까요. 에너지 민주주의 차원에서도 원전은 결국 중앙집중형 발전 방식을 벗어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윤태환 :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소형 원자로 기술이 이미 많이 진척되었고요. 분산 에너지로도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빌 게이츠도 이런 점을 주목하고 있죠. 빌딩 단위로도 소형 원전을 가동시킬 수 있으니까요. 다만 역시나 그 안전에 대한 보장을 누가 할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딜레마가 있습니다. 우리 건물에 경수로가 설치되어 있는데 만의 하나로 사고가 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재난을 대비한 보험 상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인가. 금융을 하는 입장에서는 보험이 되지 않으면 돈을 빌려주지 않을 것이거든요. 기술적으로야 원전을 작게 만들어서 분산 에너지로 쓸 수 있지만, 시장에서의 사업화 과정에서 어마어마한 보증보험을 만들지 않는 이상 상품이 보호되기 힘들다고 봐요. 2~30년 잘 쓰다가도 사고가 한 번만 터지면 그 건물 일대의 지역 전체가 초토화되는 것이니까요. 그 복구비용은 어떻게 할 것이며, 책임은 누가 얼마나 질 것이며, 간단치가 않다고 봅니다. 반면에 태양광이나 풍력은 태풍이 불어 사고가 나도 다 보험이 되거든요. 소형 원자로는 기술적인 차원이나 에너지 분산보다는 금융의 관점에서 회의적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병한 : 금융 공부는 또 언제 하신 걸까요?


윤태환 : 일하면서 했습니다. 창업을 준비하면서 금융 공부도 시작했고요. 저도 공대 출신이라 금융에는 문외한이었는데, 직접 회사를 경영하자니 모르면 안 되더라고요. 닥치니까 배운 거죠. 지금은 어떤 금융 회사를 만나도 다 협상이 가능한 정도의 실력을 키웠습니다. 새로운 금융상품을 만들어낼 수 있을 정도까지 역량이 올라온 것 같아요. 


이병한 : 사업을 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공부까지 병행하고 계신데, 사생활 없이 정말 모든 시간을 일에 쓰시겠구나 라고 짐작하게 됩니다. 지금 저희가 이야기 나누고 있는 이 공간은 회사인데요. 개인적인 공간은 어떠할까요? 평소에는 어떤 곳에서 어떻게 지내시는지 일상이 궁금합니다.  


윤태환 : 조그마한 아파트에 부인과 어린 아기와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제 방이 따로 있지도 않아요. 옷 방에 책상 달랑 하나 있는 게 제 방처럼 되었습니다. 거실에 TV를 없애고 서재로 바꾸려고 노력하는 중이에요. 와이프나 저나 워낙 책을 좋아하거든요. 지금은 육아가 가장 중요한 시기인지라, 집에서는 아이 보는데 시간을 가장 많이 쓰고 있죠. 퇴근하면 육아 출근을 하는 셈입니다. (웃음) 밥 먹이고 목욕 시키고 젖병 소독까지 끝나면 얼추 밤 12시? 그제야 잠을 잘 수 있습니다.  


이병한 : 가정적이시군요? (웃음)


윤태환 : 부인이 올 타임 육아를 하고 있어요. 양가가 도와줄 수 없는 형편이라서요. 제가 귀가해야 그나마 잠깐 쉴 수 있는 것이죠. 그렇게 8개월째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 전에는 책도 더 많이 읽고 여행도 가고 했는데 코로나 때문에 그 또한 여의치 않게 되었죠. 저희도 늦게 결혼을 하고 늦게 아이를 가져서 임신부터 출산까지 힘든 시간을 보냈어요. 조산의 위험도 없지 않았고요. 병원에 일찍 입원해서 고생을 했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는 아이와 부인에게 감사한 마음입니다. 갓난아기를 겨우 재우고 나면 잠깐 영화를 보거나 커피 타임 가지는 정도? 맥주 한 캔 하면서 담소를 나눕니다. 


이병한 : 집에 태양광을 설치해 두지는 않으셨고요?


윤태환 : 베란다도 없는 아파트에 살아서요. 대신에 단열을 제대로 해두었죠. 4중창 통유리로 에너지 관리비는 훨씬 적게 나옵니다. 태양광은 달지 못했지만, 태양광에 투자는 많이 해두었고요. (웃음)


이병한 : 제가 요즘 파타고니아 맥주를 즐겨 마시는데요. 친환경 비즈니스 하시는 분들이 가장 선망하는 기업 중의 하나가 파타고니아잖아요. 아까 인사드린 직원 한 분도 파타고니아 외투를 입고 계시기도 하던데요. 파타고니아와 협력하는 활동도 있으시죠?


윤태환 : 네. 한국에 파타고니아 매장이 마흔 개 정도 있습니다. 그 전국 전 매장의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시키려고 해요. 원래는 2025년까지가 목표였는데, 올해까지 그 프로젝트를 완성시키기로 앞당겼어요. 어떻게 전면적 혁신을 달성할 수 있을지 자문하고 협의하는 중입니다. 


이병한 : 덧붙여 자랑하고 싶거나 흥미로운 프로젝트를 소개해 주셔도 좋겠습니다. 


윤태환 : 저희 루트에너지의 미션이 재생에너지 전환을 10년 이상 앞당기는 것입니다. 탄소 중립을 10년 이상 앞당기는 것이죠. 


이병한 : 그럼 2040년이 목표인가요?


윤태환 : 가능하면 더 일찍 달성되면 좋겠습니다. 최소한 정부가 설정한 목표보다는 10년 이상 빠르게 진척시키고 싶어요. 크게 두 가지를 준비 중인데요. 첫째가 저희가 가덕산 풍력발전소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내었습니다. 강원도 태백에 43메가와트 풍력발전소를 설치하면서 태백시민들만 제한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내었죠. 덕분에 올해는 전국 몇몇 곳에서 주민들의 커뮤니티 펀딩으로 대규모 태양광과 풍력 발전소들을 짓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어요. 그런 프로젝트들이 잘 진행되어 가면서 규모가 더 큰 사업 또한 다섯 건 정도 담당하게 될 것 같습니다.   

 두 번째로는 그간의 저희 플랫폼에서는 재생에너지 사업, 태양광과 풍력 중심으로만 투자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있었는데요. 앞으로는 이것을 탄소중립 프로젝트 전체로 확대하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마이셀프로젝트에 대한 인터뷰도 하셨잖아요? 그런 대체육이라든가 대체가죽, 전기버스, 로컬 푸드 등등 그 모든 비즈니스가 다 온실가스와 관련된 것이니까요. 그런 사업들에게도 저희가 금융을 해주는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려고 합니다. 


이병한 : 임팩트 투자를 직접 하시겠다는 뜻인가요?


윤태환 : 임팩트 투자를 일반 국민들이 하실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다는 것이죠, 탄소 중립을 지향하는 임팩트 투자에만 특화시켜서 말이죠. 그쪽으로는 저희가 전문성이 있기 때문에 유망한 기업들과 의미있는 프로젝트를 발굴해서 금융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해 주고 싶어요. 특히 모든 국민들과 시민들과 주민들이 다함께 탄소중립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드리고 싶은 것이죠. 올해 꼭 해보고 싶은 일입니다.   


이병한 : 굉장히 신선한 아이디어 같습니다. 


윤태환 : 기후위기나 에너지, 환경 등등 거대한 이야기를 하면 정작 일반 시민들은 자신들의 일상에서 도대체 무엇을 할 수 있느냐 낙담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저희를 통해서, 루트에너지가 확보하고 있는 정보를 잘 활용해서 새로운 도전에 직접 나서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드리고 싶습니다. 올해는 재생에너지 전환을 넘어서 전방위적인 탄소중립으로까지 루트에너지의 미션이 확장되는 한 해가 될 것 같습니다. 뜻을 함께하는 우군들을 많이 모아야지요.   안타깝게도 온실가스를 줄이는 사업에 뛰어들었던 분들이 그사이 많이 줄었거든요. 


이병한 : 줄었다고요? 이제야말로 시작인 것 아닌가요?   


윤태환 : 저랑 비슷한 시기에 창업했다가 사업을 접은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시장이 대기업과 공기업 중심으로 많이 왜곡되어 있어요. 에너지 환경 쪽으로는 특히 더 그렇습니다.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밖에 없는 시장인데다가 정권에 따라서 방향이 많이 바뀌기 때문에 건강한 시장 생태계가 잘 만들어질 수 없는 구조입니다. 지난 정권에서는 원전을 중시하는가 했더니, 현재 정권에서는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갈팡질팡, 오락가락하는 것이죠. 다음 정권에서는 또 어떻게 바뀔지 확실치 않은 것이고요. 이처럼 예측 불가능성이 증폭되면 스타트업들은 살아남기 힘들어집니다. 자본으로 버텨낼 수 있는 대기업만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죠.    

한때는 태양광 업체가 2만개가 넘었어요. 2014년 전후로 싹 사라지고 3000여개만 남았고, 작년부터 또 그런 변화가 진행 중입니다. 현재 정부가 말하는 탄소 중립 정책 또한 아젠다만 있지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거든요. 국민들의 인식도 아직은 따라오지 못하고 있고요, 우리가 사업을 준비하는 동안 의식의 전환도 벌어지면 좋은데, 한참 후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요. 고객들의 선택은 늘 나중이더라고요. 그래서 어떻게 6개월, 1년이라도 앞당길 수 있을까 고민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유럽을 보면 폭스바겐 전기차와 기존의 가솔린 차 사이의 가격 차이가 꽤 많이 납니다. 여전히 전기차가 더 비싼 것이죠. 대신에 정부가 가솔린차에 세금을 엄청 매겨서 전기차 가격과 거의 비슷하게 만들었어요. 정부의 정책으로 자연스럽게 소비자의 선택을 전기차 구매로 유도하는 것이죠. 우리나라는 여전히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편이에요. 전기차에 비하면 디젤차가 월등히 싸기도 하고요. 탄소세나 기후환경세 등 조세 제도 개혁 등 게임의 룰을 바꾸어야 합니다. 여전히 우리나라에서는 시장의 규모와 성숙도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은 것이죠. 아이디어와 테크놀로지가 있다고 해도 시장에서 팔려면 비싸질 수밖에 없으니까요. 과연 소비자들이 그 제품을 구입해 줄 것인가. 쉽지 않아요. 아니 매우 힘든 형편입니다.


이병한 : 이런 쪽 스타트업들이 어렵다는 것은 한국적인 상황인가요? 아니면 글로벌한 상황일까요?


윤태환 : 한국적인 상황입니다. 비건 문화가 잘 형성되어 있고, 탄소 세금이 잘 정착되어 있는 독일이나 유럽은 지구와 생명을 살리는 스타트업들이 창업하면 훨씬 잘 될 수 있죠. 리사이클이나 업사이클 하는 의류 회사들도 유럽에서도 꽤나 잘 나가고 있어요. 


이병한 : 그래도 최근에 SNS 등을 보면 이런 방면으로 관심을 기울이는 젊은 세대들이 꽤 많아지고 있는 것 같던데요?


윤태환 : 네. 확실히 그런 것 같습니다. 10대와 20대가 의식 있는 가치소비활동을 더 많이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렇게 조금씩 변해가는 것이겠죠. 정부가 조금 더 강력한 시그널만 줄 수 있으면, 전 연령대가 그렇게 갈 수도 있지 않을까 싶어요. 탄소 배출이 적은 비건 상품이 더 저렴해져야 하고, 탄소 배출이 적은 자동차가 더 싸져야 하고, 탄소 배출을 줄인 옷과 신발이 더 잘 팔리게 유도해 주어야죠. 정책이 그렇게 설계되어야 소비자들의 인식과 선택도 바뀌게 되고, 그러면 그럴수록 친환경 비즈니스에 대한 임팩트 투자도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겠죠. 그런 선순환의 고리가, 산업 생태계가 조성되기길 바랍니다.  


이병한 : 태양광에 주력하고 계시잖아요? 최근에 일각에서는 인공태양을 주목합니다. 핵분열이 아니라 핵융합을 시켜서 미래에너지를 확보하자는 것인데요. 인공태양은 어떻게 전망하세요?


윤태환 : 핵물리학자들의 이상적인 기술인데요. 많이 실패하고 있습니다. 20년 전에도 20년 후에는 된다고 그랬거든요. 지금도 20년 후에는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지요. 저 또한 인공태양광이 달성된다면 정말 좋다고 생각하지만, 그 20년 동안에는 다른 대체재가 반드시 필요한 것 아니겠어요? 저는 태양광이나 풍력으로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에 미국의 텍사스에서 한파로 정전 사태가 일어났잖아요? 미국에서 가장 많은 정유업계가 있는 곳이 텍사스입니다. 석유화학 공장들부터 시추공장까지 엄청나게 많아요. 최근에는 셰일가스 기업까지 많이 생겼고요. 화석연료를 가장 많이 쓰는 텍사스가 한파 피해가 가장 컸던 것이죠. 

그런데 텍사스에 테슬라 공장도 있거든요? 테슬라 공장은 거의 피해를 보지 않았다고 합니다. ESS 배터리를 설비해 두었기 때문이죠. 즉 굳이 핵융합까지 가지 않더라도 태양광과 풍력에 수소와 배터리 기술만 더욱 고도화되면 에너지의 생산과 보급과 수급에는 큰 문제가 없지 않을까 생각해요. 인공태양 연구를 꾸준히 할 필요는 물론 있겠죠.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도 늘 최악과 차악을 준비해 두어야 하니까요. 하지만 저는 인공태양을 기다리고 있기보다는 하루 빨리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전력을 기울이는 편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라도 텍사스처럼 될 수 있다고 보아요. 한파부터 폭염까지 기후재난은 앞으로 수시로 찾아볼 것이니까요. 

 

이병한 : 일각에서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멀쩡한 산을 깍는다 등등, 환경을 더 파괴한다는 설도 없지 않습니다. 


윤태환 : 산에 나무를 심는 것보다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게 더 낫다고 말하는 강경한 재생에너지론자도 있기는 해요. 국가 간 전쟁보다 기후재앙이 더 큰 위기이기 때문에 서둘러 그렇게 가야 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저는 나무가 줄 수 있는 가치를 온실가스 감축 효과로만 따질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도 제가 남산 근처에 사는 이유가 산책을 어릴 때부터 좋아해서거든요. 자연에서 누리는 여가 활동의 가치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다행히 산에다가 태양광을 짓는 사업은 시행이 어렵도록 정책이 바뀌었습니다. 산을 깍아 지은 태양광 발전은 대부분 지난 정부에서 허가를 내준 것이에요.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구태여 멀쩡한 산을 깍아서 태양광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고 여깁니다. 공장의 옥상이나 건물의 지붕을 활용해도 좋고요. 간척지에도 쓰임이 다한 땅도 적지 않거든요. 수상 발전과 해상 발전의 여지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동해와 서해, 남해까지 3면이 바다이기에 충분히 가능성이 있어요. 산이 아니더라도 재생에너지 전환을 100% 달성하는데 하등의 문제가 없습니다. 전남 고흥이나 당진에도 염해 농지가 많아요. 염도가 높아서 더 이상 농사를 못 짓는 땅이 되고 만 것이죠. 거기에 태양광 발전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앞바다에서는 해상 풍력을 해볼 수 있고요. 해상 풍력은 아직 한국의 기술이 선진적이라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그러나 태양광은 충분히 해볼 만한 프로젝트가 되겠죠.  


이병한 : 시중에는 태양광 패널이 다 중국산이어서 중국에만 이로운 일라는 설도 있습니다.


윤태환 : 사실 중국산 패널이 성능도 좋고 가격은 더 싸요. 사업하는 입장에서는 중국제를 선호하는 것이 당연한 일입니다. 따지고 보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상품들 가운데서도 중국제가 엄청 많잖아요. 그 중국화 되어 있는 공산품 시장 가운데 태양광도 있는 것이지요. 유독 태양광만 꼬집어 국산 타령하면서 딴지를 거는 것은 다른 이유가 있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과연 국산품을 보호하면 만사형통일 것인가도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오히려 기술력을 더 떨어뜨릴 수도 있어요. 앞으로 태양광은 세계적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큰 시장인데요. 국내 업체들도 경쟁력을 확보해야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중국과 인도와 미국 등 가장 큰 시장에서도 기술경쟁력과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경합할 수 있으려면 보호가 능사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병한 : 태양광도 풍력도 결국 천상자원인데요. 하늘의 변화, 기후와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작년에는 장마가 석 달 가까이 지속되기도 했잖아요. 간헐성의 제약은 어떻게 극복할 수가 있을까요?


윤태환 : 재생에너지 발전의 유일한 흠이죠. 햇볕의 내리쬠과 바람의 불어옴과 멈춤은 사람의 힘으로는 도저히 어찌할 수 없으니까요. 지리적으로도 편차가 있어요. 극지방으로 갈수록 바람이 좋고요. 적도로 갈수록 태양광이 유리합니다. 그래서 기술적인 대안과 금융적인 대안을 함께 마련해야 합니다. 간헐성을 채울 수 있도록 리튬이온 같은 배터리 기술을 고도화시키고, 수소 저장 기술도 발전시켜야 하고요. 금융적으로는 보험 상품을 잘 설계해야 하겠죠. 그래도 작년의 긴 장마에도 불구하고 평균 이상의 발전은 했던 것으로 나와요. 역시 기술적 진화의 성취였습니다. 패널당, 단위 면적당 발전 효율이 그만큼 높아진 것이죠. 지난 2년 사이에 2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기술적 대안에 먼저 주력하고, 금융적 대안까지 보완이 된다면 간헐성 문제는 제법 해결이 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이병한 : 역시나 테크놀로지에 파이낸스까지 결합시켜서 대안을 궁리하시는군요. 8년간 사업을 해오시면서 체화된 접근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국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임팩트 투자 플랫폼은 꼭 만들어 주시면 좋겠어요. 저도 기꺼이 참여해 보고 싶습니다. 새로운 차원의 ‘동학개미운동’으로 업그레이드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긴 시간 긴한 말씀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윤태환 : ‘에너지 시민성’이라는 말을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습니다. 정부와 대자본이 주도하는 흐름에 수동적으로 따라가고 끌려갈 것인가. 아니면 내 돈을 내는 자발성과 직접성으로 시민이 주도하는 에너지 대전환을 견인해 낼 것인가. 그러기 위해서라도 좋은 정보를 계속 제공해야 하고, 좋은 교육 프로그램도 많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에요. 훌륭한 인재들이 많이 양성되어 생명산업으로 유입이 되고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결국은 나라와 세계 전체가 바뀌어 가는 것이죠. 저는 이미 강원도 태백의 사례를 통해서 주민의 자발적 참여가 얼마나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목도한 바 있습니다. 2040년, 2050년, 제 아들이 서른이 되고 마흔이 되었을 미래를 내다보면서 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긋하게 꾸준하게 지극한 정성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일구어내도록 최선을 다하려고 합니다. 후회가 없도록, 아낌없는, 남김 없는 삶을 살고 싶습니다. 저 또한 감사합니다.

  

윤태환 대표가 초등학생 때 읽었다는 <지구 실험실>을 찾아 읽었다. 지금은 절판되어 알라딘 중고책에서 구했다. 내가 좋아하던 사이언스북스의 <사이언스 마스터스> 시리즈의 열 번째 책이었다. 그 시리즈를 탐독하던 시절이 대학생 때이다. 초등학교 6학년에 읽었다고 하니, 역시나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남다른 모양이다. 시종 진지하고 신중하며 사려 깊었다.

오는 6월 21일이 ‘세계 로컬화의 날’(world localization day)이다. <오래된 미래>의 저자 헬레나 호지가 이끌고 있는 '로컬 퓨처스'(Local Futures)에서 정한 미래를 기념하는 날이다. 생명살림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춘천시가 올 가을 준비 중인 <생명:하다, 춘천써밋>을 소개할 수 있는 1시간을 할당받았다. 나는 그간 인터뷰해왔던 스타트업 CEO들도 소개하고 싶었다. ‘생각하다’, ‘생활하다’에 ‘생산하다’까지 결합되어야 생명하는 문명, 살리는 문명, 생명문명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강원도 태백에서 거둔 루트에너지의 성과를 전 세계의 로컬 운동가들에게 알리자고 했더니, 아직은 이르다며 손사래를 친다. 태양광 커뮤니티 펀딩에 투자한 태백 주민들의 만족도를 이제야 모니터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들이 얼마나 행복감이 높아졌는지 제대로 추적해야 한다는 것이다. 채 1만 명도 되지 않는 참여자 규모는 본인이 목표로 하고 있는 수십만, 수백만에 한참 모자라다고도 했다. 그 정도의 성취를 이룬 다음에야 당당하게 루트에너지를 세계를 향해 소개하고 싶다는 것이다. 춘천 행사의 총기획자로서 아쉬움이야 말할 바 없으나, 그의 이러한 태도에 더 큰 감동을 받았다. 울림이 있고 떨림이 있는 사람이다. 믿음직스러웠고 미래가 더욱 기대가 되었다. 당장 나부터 루트에너지의 앱을 다운로드했다. 밝은 미래를 청정한 미래를 접속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기도 하겠다. 

에너지 민주주의, 라는 말을 거듭 곱씹어본다. 에너지 시민성, 참여 에너지라는 표현도 흥미롭다. 기왕의 민주주의는 역시나 인간 중심, 사람과 조직이 쥐고 있는 권력과 권한을 민주화하는데만 골몰했던 것 같다. 권력(power)의 근간에 에너지(energy)가 있다. 에너지를 얻는 자, 권력을 손에 쥘 수 있었다. 그 에너지의 생산과 유통과 소비를 민주화시켜야 권력의 민주화도 내실을 다질 것이다. 20세기의 에너지 산업처럼 계층적이고 위계적이며 지휘 통제적인 세계도 없었다. 대형은행은 대형에너지 자산에 투자하고, 대형발전소는 개인과 가정, 기업에 에너지를 판매했다.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 흐르고, 현금은 반대 방향으로 흘렀다. 대형 에너지기업의 의사결정은 소수의 개인과 이사회에서 이루어졌으니 사용자와 사회는 배제되어왔던 것이다. 참여에너지란 에너지를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개인과 가정과 지역사회에 에너지의 발전과 송전과 저장과 관리와 거래에 참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루트에너지의 실험이 기대가 되는 것은 여기에 참여금융까지 접목시켰다는 점이다. 개인과 가정과 지역사회가 자신들이 사용할 에너지 자산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이다. 개인과 지역에 권능을 부여하는 것(empowerment)이다. 

지역 분권을 이야기한지 이미 오래되었다. 권력의 분산을 논의한지도 한참이다. 그럼에도 서울 중심, 수도권 중심, 대기업 중심의 사회체제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아니 집중도가 도리어 더 심화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그 모순의 근저에 만물과 만사를 움직이는 근원, 에너지 문제가 도사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윤태환 대표가 직접 정치를 언급한 적은 단 한마디도 없었으나 그가 하는 사업은 근본적으로 정치적이다. 혁신적인 에너지-파이낸스-로컬 비즈니스의 융복합으로 산업화세대와 민주화세대가 합작한 한국 근대화의 결실, 서울공화국의 적폐를 청산할 수 있을지 모른다. 인터뷰를 정리하던 와중에 새만금개발공사의 강팔문 사장을 뵈러 갈 일이 생겼다. 새만금 일대에도 루트에너지가 참여한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이 가동되고 있었다. 산부터 섬까지, 전국 방방곡곡에 루트에너지의 흔적을 발견할수록 한국의 민주주의는 뿌리로부터 달라질 법하다. 

지난 8년 잘 버티어내어 기본기를 탄탄히 다져두었으니, 앞으로 10년이 관건이 될 것이다. 십년이면 강산이 바뀌고, 강산(江山)이 바뀌는 십년이 삼세번, 한 세대가 이어지면 재조산하(再造山河), 새 나라를 이룰 수도 있다. 파괴적 혁신이 일어날 것 같다. 핸드폰이 유선전화 시장을 붕괴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 10년이었다. 스마트폰이 디지털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어버리는 데도 10여년이 소요되었을 뿐이다. 구리가 모자라서 유선전화 비즈니스가 종식된 것이 아니다. 핸드폰이 더 빠르고 더 깨끗한 서비스였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이 더 편리하고 매력적인 도구였기 때문이다. 누구나 콘텐츠를 생산하고 저장하고 전송하고 소비할 수 있는 권능을 부여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쥐고 있는 이용자에게 권력을 선사한 것이다. 기왕의 미디어산업과 통신산업을 ‘참여 소비자’들이 뒤흔들어 버린 것이다. 

그러나 기술 혁신만으로 기왕의 상품과 산업을 몰아내 시장을 붕괴시키는 것은 아니다. 기술 혁신 못지않게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도 수반이 되어야 한다. 공학에 경영학이 결부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으뜸은 역시 금융 혁신이다. 일백년 전의 사례를 복기해볼 필요가 있다. 1918년 미국에서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가정은 8% 남짓이었다. 상위 10%에 드는 사람들만 소유할 수 있는 고급의 사치재였던 것이다. 그러나 불과 10년 만에 80%의 집안이 자동차를 보유하게 된다. 자동차 기술이 혁신에 혁신을 거듭해서가 아니었다. 엔진이나 변속기를 새로 달았다고 자동차가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간 것이 아니다. 아주 작은 금융의 혁신으로부터 말미암았다. 할부금융이라는 당시로서는 전례가 없던 신상품을 개발해낸 것이다. 한 번에 제값을 지불하지 않고도 자동차를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낸 것이다. 그 10년간 자동차를 구매한 사람의 8할이 할부금융으로 구입한 것이다. 금융의 혁신이 자동차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을 견인했던 것이다. 태양광 기술도 나날이 진화하고 있다. 패널의 효율도는 날로 높아지고, 배터리의 저장 기술도 점점 고도화되어간다. 전기자동차와 자율차 역시도 앞으로 10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룰 것이다. 이 모든 생명산업 생태계가 공진화하여 그린-클린 에너지 비즈니스를 추동해갈 것이다. 다시금 화룡점정이 금융이 될지 모른다. 이 거대한 에너지 대전환의 물결에 개개인이 동참하고 기여하고 그 결실을 나누어가질 수 있는 참여금융의 혁신적 솔루션을 루트에너지가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년, 생명평화운동이라는 것이 있었다. 죽임의 문명을 살림의 문명으로 반전시키려는 깨어있는 사람들의 정성스러운 운동이었다. 그 생명평화운동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곳이 지리산의 실상사이다. 도법스님이 터하고 계신 곳이다. 스님을 뵈러, 또 생명평화운동의 차세대 3040 활동가들을 만나러 지리산으로 향했다. 테슬라를 몰고 가며 탄소 한 움큼 배출하지 않고 세 시간을 달렸다. 기왕의 생명평화운동에 가지는 터럭 하나의 아쉬움이 바로 이 지점이다. 새로운 생각이 있었다. 새로운 생활도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생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생각과 생활과 생산의 선순환으로 새로운 생명문명의 건설까지는 이루지 못한 것이다. 어디까지나 생명평화‘운동’에 그쳤다. 운동이 문명으로 나아가는 데, 대안이 대안으로 그치지 않고 주류로 진화하는 데 필히 기술과 경영과 금융이 접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고민과 고뇌가 켜켜이 쌓여 있었기에 2021년을 맞이하여 나부터 생명산업 스타트업의 CEO를 만나고 다니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나는 시장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것이라 믿는 순진한 시장 숭배자도 아니요, <포스트-피크>에서 설파하는 것처럼 시장 경쟁이 강요하는 기술혁신이 환경문제까지 완전히 해소해줄 것이라는 환상도 일절 품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시장의 혁신이 상당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무시하고 자본과 기업과 금융에 담을 쌓고 땅으로 돌아가는 것만이 능사라고 여기지도 않는다. 올해가 마침 <녹색평론> 창간 30주년인바, 녹색평론과 녹색대학과 녹색연합과 녹색당 등등 녹색진영에서 고수해 왔던 농본주의적 생각과 생활에 일대 파괴적 혁신이 필히 요청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인류사를 곰곰 되돌아보면 농업의 시작이야말로 가장 인위적이고 작위적인 자연에 대한 개입의 출발이었기 때문이다. 즉 농업은 태초부터 자연스럽지 않았다. 자연을 강조하며 기술과 산업과 공학을 배타하는 것은 매우 부자연스러운 일이다.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이제야 때가 오고 있는지도 모른다. 정부도 ‘그린 뉴딜’을 설파하고, 기업도 ESG로 전속력으로 달려가기 시작했다. 앞으로 10년, 이 거대한 물결에 적극적으로 타고 올라 그린 워싱(green washing)이 아니라 그린 웨이브(green wave)로 심화하고 확장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도맡아야 할 것이다. 이 세상이 흑 아니면 백으로 양단간에 나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모 아니면 도라는 태도 또한 무책임할 수가 있다. 생명평화운동가들과 생명산업 비즈니스맨들부터 눈빛을 나누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 대동소이, 구동존이의 태도를 견지하며 기왕의 좌/우, 노동/자본, 진보/보수, 농촌/도시라는 낡은 구도를 혁파하는 대통합과 대연합과 대연정을 솔선수범할 수 있으면 좋겠다. 

그런 점에서 나는 ‘지구 공학(geo-engineering)’조차도 마냥 삐딱하지만은 않다. 지구에 대한 인간의 개입의 끝판왕이 지구공학이라 할 것이다. 이미 대기 중의 탄소를 포집해 돌로 만들어 땅에 묻어버리는 기업도 생겨났다. 우주에 방어막을 설치해 지구에 내리쬐는 일사량을 줄이려는 스타트업도 등장했다. 이 모든 사업이 시행착오를 반복하다 죄다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될 지도 모른다. 이러한 인위적인 지구 관리는 결국 차선책에 그칠 뿐이라는 점 역시도 너무나도 잘 안다. 그러나 그 무모한 시도와 도전에 있었기에 인류가 진화하여 현재의 문명까지 이룩할 수 있었다는 사실 또한 외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무모한 도전, 무한도전에 나설 것이다. 그들을 향해 미리 녹색 근본주의의 견지에서 그것은 답이 아니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게 단정 짓는 사람이야말로 교만하고 오만한 것이며 인류의 진화에 훼방을 놓는 것일 수도 있다. 현재 등장하고 있는 수많은 기후-테크(climate-tech), 어스-테크(earth-tech) 가운데 그 어느 것도 금세기에 현실이 될 수 없다고 해도, 그 가능성과 기회를 탐구하고 실험하는 일만은 배척할 것이 아니라 쌍수를 들고 환영해야 할 일이다. 

<마이셀프로젝트>는 땅에서 피어나는 곰팡이, 균사체에서 지구의 미래를 구한다.  <마린 이노베이션>은 지구의 7할, 바다의 해조류에서 청정한 환경의 대안을 찾는다. <루트에너지>는 태양이 떠있고 바람이 불어오는 하늘로부터 지속가능한 인류의 내일을 열어가고자 한다. 하늘과 땅 사이에 우뚝 솟아난 것이 산이다. 한국은 국토의 7할이 산이라고 한다. 그 산에서 산삼을 키우는 여성 CEO가 있었다. 그런데 사람이 산삼을 재배하는 것이 아니었다. 로봇이 한다. 로봇공학과 임업의 창조적인 융복합, 심바이오틱(SYMBIOTIC)의 김보영 대표를 만나러 간다. 첩첩산중 강원도에 계셨다. 굽이굽이 원주와 평창을 차례로 찾았다. 

출처 | 프레시안

2021/04/05

알라딘: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알라딘: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 동학학술총서 403   
윤석산 (지은이)모시는사람들2004-10-20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정가
20,000원
양장본368쪽
!
목차
제1장 : 글을 열며
1. 수운 선생과 동학 창도 / 2. 조선조 후기 사회와 동학 창도
3. 동학 창도의 현대적 의의

제2장 : 출생과 성장
1. 수운 선생의 출생담 / 2. 성장 과정

제3장 : 구도·수행·득도
1. 주유팔로와 구도 / 2. 을묘천서의 종교적 의미
3. 종교 체험과 동학의 창도

제4장 : 포덕과 교단 조직
1. 수운 선생의 이적담 / 2. 신유 포덕과 의례의 확립
3. 남원 은적암 / 4. 접주제와 도통의 전수 / 5. 수운 선생의 저술 활동

제5장 : 용어를 통해 본 사상 및 교의
1. 동학과 유·불·선 / 2. 한울님/하.님·천주·상제 / 3. 지기 / 4. 동학
5. 시천주 / 6. 정성·공경·믿음 / 7. 수심정기 / 8. 무위이화 / 9. 불연기연
10. 보국안민 / 11. 동귀일체 / 12. 후천개벽

제6장 : 탄압과 순도
1. 탄압과 체포 / 2. 심문과 참형

제7장 : 글을 닫으며

부록 : 수운 최제우 선생 연보 / 수운 선생 관련 연구 문헌 목록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윤석산 (지은이) 

1947년 2월 21일 서울 출생,
경동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 동대학원에서 공부를 함(문학박사),
196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
197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
한양공업고등학교 및 중동중고등학교 국어교사 역임,
한양대학교 한국언어문학과 교수 역임,
천도교 서울교구장 역임,현재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천도교중앙총부 상주선도사 및 교서편찬위원장, 천도교연구소 소장.

시집 :『바다 속의 램프』, 『온달의 꿈』, 『처용의 노래』, 『용담 가는 길』, 『적』, 『견딤에 대하여』, 『밥 나이, 잠... 더보기
수상 : 2009년 편운문학상, 2001년 한국시문학상
최근작 : <햇살 기지개>,<절개지>,<어머니께서 담배를 태우게 된 연유> … 총 35종 (모두보기)
북플 bookple

구매자 (1)
전체 (1)
공감순 
     
수운의 일대기를 한 권에 잘 담아낸 책. 같은 출판사의 해월 최시형과 관련된 책과 같이 읽어보면 더욱 좋다.  구매
00700 2016-02-27 공감 (1) 댓글 (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구매자 (0)
전체 (1)
------------------
     
동학교조 수운최제우(미디어서평)

부산일보에 실린 서평인데요... 참 잘 쓴 것 같아서요...
------------------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오랫동안 동학 공부를 하고 있다는 시인 윤석산 한양대 교수가 최 제우의 삶과 가르침에 대해 쓴 것이다.
다소의 논문투가 느껴지지 만 최제우의 삶은 감동적이다.

'조실부모를 한 가정의 아픔,또는 적서의 차별에 의해 서자로서 겪게 되는 고뇌,이에서 나아가 화재 등으로 인한 가산의 피폐,이러한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좌절된 청운의 꿈'(115쪽)을 개인적으로 극복한 게 아니라 시대적 고뇌로 승화시켜 극복한 게 최제우라고 한다.

그러나 윤석산은 '동학은 19세기 봉건사회 해체기의 사상이나 종교가 아니라 이를 뛰어넘어 인류의 문명사에 획을 그은 중요하고 또 새로운 사건'으로 조명 하고 있다.

논점도 들어있다.

도올 김용옥은 '을묘천서'(최제우가 을묘년에 이인(異人)에게서 천서(天書)를 받았다는 것)를 '천주실의'라고 했지만('도올심득 동경대전 1') 윤석산은 '책을 받은 것이 아니라 신비체험,곧 종교체험을 상징한 것이다'라고 반박하고 있다.

여 하튼 최제우는 '우주와 내가 둘이 아니요,한울님과 내가 둘이 아 니요,만유와 내가 둘이 아니다'라는 가르침을 통해 '후천 무극의 바다'를 활짝 열어놓았다고 한다.

그 가르침은 수운의 화결시(和訣詩)에 나타난 대로 동의반복처럼 간단하다.

'푸른 나무의 푸름 을 흰 눈의 흰빛을 푸른 강의 푸름을!


최학림기자 theos@busanilbo.com

- 접기
sichunju 2004-11-29 공감(1)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