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 문명과 가치 총서 15
김석근,오문환,김용환,세키네 히데유키,정영훈,마쓰다 고이치로,스가와라 히카루,최문형,판카즈 모한 (지은이)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2017-04-20
442쪽
김석근,오문환,김용환,세키네 히데유키,정영훈,마쓰다 고이치로,스가와라 히카루,최문형,판카즈 모한 (지은이)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2017-04-20
442쪽
한반도 통합과 동북아 평화의 미래 - 독일 통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 여성의 미주지역 이주와 유학
동서 만남의 주어들
유럽 언론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고전으로 읽는 한국의 자연과 생명
책소개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 15권. 한국 고대사에서 공공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추구되었는지 살펴보고, 일본 고대사의 사례와 비교 분석한다.
건국신화에 보이는 홍익인간 이념을 비롯하여, 제천행사, 천신신앙의 문화 전통, 화백제 등 정책결정 제도의 운영에서 고대인의 공공성 모색을 읽어내고, 불교.유교와 같은 외래종교의 유입과 중국의 문물제도 수용을 통한 국가제도 정비의 역사를 공공성 확장의 과정으로 제시한다. 또한 통일신라에 이어 후삼국 분열, 고려의 재통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공공성이 구현되고 이완되는 추이의 반영으로 해석한다.
목차
* 총론
1부 비교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한국 고대사
• 비교공공성 연구의 관점과 과제
• 고대 한국의 정치와 문화 속에서의 공공성-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 고대사
• 고대 한국 정치사에서의 공공성-삼국 통일과 나말여초의 정치 변동에 대한 재조명
• 고대 한국에서의 민주적 전통과 그 정치적 함의-소통과 합의를 통한 공공성
• 고대 한국 윤리사상과 공공성
2부 고대 한국 정치와 문화 속의 공공성
• 홍익인간 사상과 공공성
• 건국신화에 나타난 공공성-주몽과 혁거세 신화를 중심으로
• 화랑도와 풍류도의 공공성
• 연맹국가의 수장에서 공공의 왕으로-신라시대 공공성과 유불 사상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 최남선의 ‘불함문화’적 공공성
• 한사상과 삼일철학의 상관 연동적 공공성
• 안재홍의 조선 정치철학과 공공성-비교공공성으로 본 안재홍의 조선 정치철학론
3부 일본 고대사와 공공성
• 일본 고대 사상 속의 공공성-‘공’과 ‘민’의 정의
• 고대 일본 천황제의 공공성
• 고대 왕권과 선명(宣命)-모토오리 노리나가의 분석을 단서로
• 고층론(古層論)의 재검토-고대 일본의 공공성 연구를 위한 단초로서
• 일본 고대사의 공공성에 관한 시론-비교공공성의 관점으로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김석근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정치사상연구실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 교수를 지냈다.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해왔으며, 아산서원 부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양철학사, 한국정치사상, 그리고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한국정치사상사』, 『한국문화대탐사』, 『선비정신과 한국사회』 외 다수가 있다. 아울러 『일본정치사상사연구』,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마루야마 마사오: 주체적 작위, 파시즘, 시민사회』 등 일본 사상사 관련 저작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해왔다. 접기
최근작 : <청춘을 위한 융합인문학>,<지구인문학의 시선>,<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 … 총 49종 (모두보기)
오문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치사상이 전공이며 북경대학교(北京大學校)에 연구학자로 다녀왔으며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에서 강의를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해월 최시형의 정치사상』, 『동학의 정치철학』 등이 있으며, [율곡의 군자관과 그 정치철학적 의미], [동학사상에서의 자율성과 공공성] 등의 논문이 있다.
최근작 :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인권의 정치사상>,<우리에게 귀신은 무엇인가?> … 총 15종 (모두보기)
김용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홉스 전공자’이자 ‘관용의 철학자’로 평가받는 김용환은 연세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웨일즈대학교(S.D.U.C.) 철학과에서 홉스의 정치사상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부터 2017년까지 한남대학교 철학과에서 근대철학, 사회철학 등을 강의했으며, 현재 종신 명예교수로 있다. 1993년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철학과 연구교수(Research Fellow)를 지냈으며, 서양근대철학회 회장, 한국사회윤리학회 회장, 한남대학교 부총장 등을 역임했다.
홉스 철학 이외에 수행한 주된 연구 주제는 ‘관용(toleration)’의 문제이며, 이와 관련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저서로 『홉스의 사회 정치철학』, 『관용과 열린 사회』, 『서양 근대철학』(공저), 『혐오를 넘어 관용으로』(공저) 등 다수가 있으며, 역서로는 D. D. 라파엘의 『정치철학의 문제들』, 존슨 백비의 『홉스의 「리바이어던」으로의 초대』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혐오를 넘어 관용으로>,<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관용과 다문화사회의 교육> … 총 24종 (모두보기)
세키네 히데유키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62년 11월 9일 출생
1988년 쓰쿠바대학[筑波大學] 인간학류[人間學類] 졸업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교육과 석사학위 취득
200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교육과 박사학위 취득
1995년 성심외국어전문대학 전임강사
1997년 동의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2006년 경원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부교수.교수
2020년 현 가천대학교 동양어문학과 교수
현 한국일본근대학회 회장
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부회장
저역서 <한국인과 일본인 에토스의 연원에 관한 연구>(2001,... 더보기
최근작 : <일본인의 형성과 한반도 도래인>,<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 총 4종 (모두보기)
정영훈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정치사·정치사상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최근작 : <임오교변>,<한민족공동체 연구>,<The Korean Diaspora : A Sourcebook> … 총 6종 (모두보기)
마쓰다 고이치로 (松田宏一郞)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일본 릿쿄대학 법학부 교수.
최근작 :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 총 4종 (모두보기)
스가와라 히카루 (菅原光)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일본 센슈대학 법학부 교수.
최근작 :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 총 3종 (모두보기)
최문형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다방면에 학문적 관심이 많은 동양철학 연구자이며 칼럼니스트이다. 식물생태적?사회생물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마음과 윤리를 들여다보고,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곱씹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세명대학교, 부천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자의누리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이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늦깎이 학생이기도 하다. <한국조경신문>에 칼럼 “최문형의 식물 노마드”, <KNOU위클리>에 기획 연재 “식물성의 사유로 읽어낸 역사 속의 여성”을 쓰고 있다. 최근 지은 책으로는 『식물처럼 ... 더보기
최근작 : <행복국가로 가는 길>,<식물에서 길을 찾다>,<겨레얼 살리기> … 총 15종 (모두보기)
판카즈 모한 (Pankaj Mohan)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동아시아학 전공, 前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국제학부 교수. 「서양 학계의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2011), 「2천 년을 잇는 진리의 보편성」(2011), 「6세기 신라에서의 왕권과 불교 간의 관계」(2004) 등의 논문이 있다.
최근작 :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문화 정체성과 종교>,<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Silla> … 총 3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한국 고대사에서 공공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추구되었는지 살펴보고, 일본 고대사의 사례와 비교 분석한다. 건국신화에 보이는 홍익인간 이념을 비롯하여, 제천행사, 천신신앙의 문화 전통, 화백제 등 정책결정 제도의 운영에서 고대인의 공공성 모색을 읽어내고, 불교·유교와 같은 외래종교의 유입과 중국의 문물제도 수용을 통한 국가제도 정비의 역사를 공공성 확장의 과정으로 제시한다. 또한 통일신라에 이어 후삼국 분열, 고려의 재통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공공성이 구현되고 이완되는 추이의 반영으로 해석한다.
이 책은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의 제15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