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8

My View of the World - Erwin Schrodinger | | Amazon.com.au | Books

My View of the World - Erwin Schrodinger | 9780918024305 | Amazon.com.au | Books
https://archive.org/details/myviewofworld0000schr/page/n6/mode/1up

81 pages

128 pages








My View of the World Paperback – 1 June 1983
by Erwin Schrodinger (Author)
4.5 4.5 out of 5 stars 9 ratings

A Nobel prize winner, a great man and a great scientist, Erwin Sebrodinger has made his mark in physics, but his eye scans a far wider horizon: here are two stimulating and discursive essays which summarize his philosophical views on the nature of the world. Schrodinger's world view, derived from the Indian writings of the Vedanta, is that there is only a single consciousness of which we are all different aspects. He admits that this view is mystical and metaphysical and incapable of logical deduction. But he also insists that this is true of the belief in an external world capable of influencing the mind and of being influenced by it. Schrodinger's world view leads naturally to a philosophy of reverence for life.





About the Author
Also by Erwin Schrodinger, The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edited and with an introduction by Michel Bitbol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Ox Bow Pr; Reprint of the First English edition (1 June 1983)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118 pages






Top reviews

Top reviews from Australia

There are 0 reviews and 0 ratings from Australia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dpow
5.0 out of 5 stars This is an amazing book; beautiful and well written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2 July 2014
Verified Purchase

This is an amazing book; beautiful and well written. Schrodinger wrote these essays at a time when one could espouse a world-view other than strict reductionist materialism without being attacked by practitioners of the religion of "scientism".While he was himself a materialist, Schrodinger saw into areas of biology and genetics which opened new doors into the thinking of his day and which are still amazing scientist and laymen alike.

10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ilya
5.0 out of 5 stars A good book, non duality philosophy.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2 March 2016
Verified Purchase

The book is very interesting. In my understanding Schrodinger talks about ideas that are now called "non duality". The book does not read easily.

4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Amazon Customer
5.0 out of 5 stars Five Star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29 March 2017
Verified Purchase

One of the most enlightening books I have ever read.

2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David H. Eisenberg
2.0 out of 5 stars Bertrand Russell pointed out that we politely overlook the foolish statements of great philosophers.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 July 2019
Verified Purchase

The foolish statements of great scientists too. As someone who admires Schrodinger a great deal (his What is Life? is one of the great science books, in my view), enjoys reading philosophy a great deal, this book, like much philosophy and religion, is just nonsense. It's interesting, he's clear and often compelling. But, it's not particularly logical, despite the trappings of logic, and mostly, poppycock. The idea that there is one great mind or consciousness - whatever you want to call it - must be proved to have any credibility, b/c as he readily admits, it sure seems like we each have our own one. All he proves is that there are a lot of things that we don't know and that eventually, all science and reason must rely to some degree on metaphysics and the like. Well, that's not groundbreaking. Not that he pretended to have invented any philosophy. He was just explaining what others had said. Though it's called "his view," it's mostly based on Vedic philosophy and some more modern philosophers, like Schopenhauer and Kant.

As much fun as mysticism and this kind of metaphysical, speculative thinking is, they lead nowhere. Science, even if it is based on metaphysics too and faith in reason, at least gets you somewhere with it. And Schrodinger was exceptionally good at it. While imagination is part of science, left to itself, it's just entertainment. And that's all this is, speculative feeling, awe and wonder, and ultimately . . . blather.

Great mind, good writer. But, I'd skip this one.
Read less

3 people found this helpfulReport
==
Top reviews from other countries
J. Socrates
5.0 out of 5 stars Be with an interesting mind, thinking....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14 July 2024
Verified Purchase
If you want an easy bedtime story go elsewhwere, but if you get value listening to a great mind think deeply about things, and are open to ideas that aren't your own, Schrödinger is first rate
2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Daniel Davinci
5.0 out of 5 stars Thought Provoking
Reviewed in the United Kingdom on 26 March 2021
Verified Purchase
If you're interesting in theology and philosophy, then this author should be someone who you're familiar with. If not, it's time to discover him. Popularised in many people's mind by the Cat Theory, he proposes parallel universes and all possibilities existing simultaneously. This is just one theory and there's more theories within theories and plenty more. There's a certain seemingly pretentious style to his writing similar to Freud, but it's comprehensible enough. Recommended!
4 people found this helpful
Report
==

==

Sexy Manatee
35 reviews
4 followers

Follow
April 29, 2024
I'm honestly not sure what to think of this work. It was a great read, however, there was a lot of language I could not fully grasp. Despite my ignorance to much of what I'm sure was second nature knowledge to Shrodinger, it was a pleasure to get a glimpse of his view of the world. As the fish is the last to discover the water, this book seems an attempt to explain and get a handle on that which is essentially not meant to be fully grasped. Whether it is an attempt at grabbing a fist full of water or shaping a nice glass for which the reader to sip the shapeless contents, it is plain to see Shrodinger gave some thought to the nature of that which his science could not explain fully.

17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Plato.
Plato
17 reviews
3 followers

Follow
July 26, 2013
Coming from a man of science, this book(or rather two essays written 35 years apart) is fairly good at giving an insight into his view of the world. Schrödinger discusses metaphysics, reality, language and understanding with clarity.

I, as a student of science, was interested in what he would say of all the metaphysical and mystical tones about which his work must have compelled him to think.

Very nice.

He called himself unmusical. Your mind was awashed with the other kind of waves ES!
german
 
mmb-library
 
philosophy

13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Arno Mosikyan.
Arno Mosikyan
343 reviews
31 followers

Follow
January 2, 2019
CITATIONS

In all the world, there is no kind of framework within which we can find consciousness in the plural; this is simply something we construct because of the spatio-temporal plurality of individuals, but it is a false construction.

Briefly summarising, we can express the proposed law thus: consciousness is bound up with learning in organic substance; organic competence is unconscious. Still more briefly, and put in a form which is admittedly rather obscure and open to misunderstanding: Becoming is conscious, being unconscious.

In all ages and amongst all peoples self-conquest has formed the underlying basis of all virtue.
This appears at once in the fact that a moral teaching always appears arrayed as a demand, ‘Thou shalt’; and it must be so, because if we consider the practical behaviour which we value as morally elevated, positively significant, or wise, the behaviour which, for reasons very variously stated, we applaud, respect or admire, we find that such behaviour, however constituted in detail, always has one thing common to it: a certain opposition to primitive desire.
philosophy
 
physics

9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Mason Mathai.
Mason Mathai
43 reviews
1 follower

Follow
February 23, 2021
To me, it seems fortuitous that this book even exists. When I learned that one of the most brilliant scientists in the field of quantum mechanics wrote a book on mysticism, it seemed too good to be true. But perhaps not. Maybe it makes sense that the man who conceived the "Schrodinger's Cat" paradox, a mind-bending thought exercise used to accurately describe reality on the quantum level, isn't afraid of mystical speculation.

Other books written by spiritual thinkers start out with the presupposition that metaphysics is valuable and thus chart their argument from there. Schrodinger, on the other hand, has to defy all of his colleagues and admirers, for to them he is the paragon of logical deduction and scientific inquiry. He eloquently does this when he argues that metaphysics cannot compete with science, but science cannot exist without it; crafting an articulate warning against the materialism and ego-driven scientific objectivity of the twentieth century, calling for an embrace of the metaphysical as a valuable source of motivation and ethics that may undergird existence.

To some who have not read it, this book may be seen as a form of career suicide, as it violates the separation of science and spirituality. Once read; however, it is obvious that Schrodinger has no objective truths to apply to his investigation of spirituality, and is simply engaging in it because pondering our existence and thinking about god has been the quintessential human pastime for centuries, and this his conclus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Vedas are most remarkable when analyzed from his perspective not as a scientist, but as a human.
favorites

6 likes

Like

Comment

Rahul Banerjee
66 reviews
2 followers

Follow
November 18, 2021
Two interesting essays by the eminent physicist, touching on several topics such as Self, Consciousness, Reality, Language, Ethics etc. Schrödinger's philosophical beliefs appear to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e philosophy of Advaita Vedanta, a Monist school of thought.

Though the content itself is very interesting, the writing style is a bit dull at places and it takes quite an effort to avoid skimming through pages.

3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Nick Black.
Nick Black
Author 
2 books
838 followers

Follow
March 31, 2023
Amazon 2008-07-26. Sung to the tune of the Super Golden Crisp jingle: Can't get enough Erwin Schrödinger; he's got the wave that pays!

surprisingly strong given all the eastern jibberjabber. holy shit, people were broadly educated in the classics back then. lots to take away here. very dense.

3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Sanjarbek.
Sanjarbek
23 reviews

Follow
March 29, 2021
As the title states, the book ( rather two assays) is about the way the author saw the world.

I am inclined to say that I don’t agree with his views but I dare not touch the sun. The truth is I do not posses brainpower to digest it fully, hence the subjective absurdity for me.

What is pure bliss in reading the texts by these intellectual giants is observing with how much ease they can juggle and play with ideas ranging from Democritus to Carl Jung, and synthesize their own frameworks.

He would be rather disappointed today, I think, that we still haven’t figure out what is consciousness made of. Mind and matter are two different natural phenomena in XXI. We await another giant on the scale of Schrodinger to figure that out for us.

2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Jeff.
Jeff
7 reviews
3 followers

Follow
April 9, 2023
Its hard to understand why Shrodinger's work is important in this day and age, but none of our modern conveniences would be possible without advances by him and others such as Heisenberg. The IR-spectrum experiment, which was dependent on the Shrodinger equation, revolutionized chemistry and paved the way for modern science. Literally ALL modern conveniences come from these experiments in one way or another.

In his book, Shrodinger uses vivid imagery and anecdotes to put his own scientific work in the context of the daily lives that we care about. He also reminds us that no matter how sterile we try to make a science, it is always intertwined with our seemingly fickle human desires. The major point that he stressed in his book is about non-duality, painting the concept as a means-to-an-end for destroying a solipsistic, egocentric view of the world in place of a holistic framework, to view the world in a higher societal consciousness beyond our immediate perceptions.

I recommend this book to any other scientist.

2 likes

Like

Comment

Profile Image for Kamakana.
Kamakana
Author 
2 books
394 followers

Follow
February 3, 2019
260618: i liked it, thought his use of vedanta interesting, his references to russell, wittgenstein, hume, less engaging as it is not my usual sort of philosophy. interesting sources/parallels could be useful investigating, this is a good example, perceptive, it is not that philosophy is destined to become science, but that science is destined to become philosophy...

===
ERWIN
00

SCHRODINGER
 
MY VIEW OF THE WORLD

WCAMBRIDGE UNIVERSITY•p au

MY VIEW OF THE WORLD

By the same Author
  • WHAT IS LIFE?

  • SCIENCE AND HUMANISM

  • SPACE-TIME STRUCTURE

  • STATISTICAL THERMODYNAMICS

  • NATURE AND THE GREEKS

  • MIND AND MATTER

  • EXPANDING UNIVERSES

ERWIN SCHRÖDINGER

MY VIEW OF THE WORLD
Translated from the German by CECILY HAS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4

This digitally printed version 2008
==
CONTENTS

FOREWORD

SEEK FOR THE ROAD
I Metaphysics in general
II A cheerless balance-sheet
III Philosophical wonder
IV The problem
V The Vedantic vision
VI An exoteric introduction to scientific thought
VII More about non-plurality
VIII Consciousness, organic, inorganic, mneme
IX On becoming conscious
X The moral law

WHAT IS REAL?
I Reasons for abandoning the dualism of thought and existence, or mind and
matter
II Linguistic information and our common possession of the world
III The imperfection of understanding
IV The doctrine of identity: light and shadow
V Two grounds for astonishment: pseudo-ethics

돈이란 무엇인가 [윤평중의 지천하 11]

돈이란 무엇인가 [윤평중의 지천하 11]



돈이란 무엇인가 [윤평중의 지천하 11]

[아무튼, 주말]
윤평중·한신대 철학과 명예교수
입력 2024.09.07.



일러스트=유현호

1974년 철학과 신입생 면접 때였다. 백발 노교수께서 내게 어떤 철학책을 읽었는지 질문한 다음 ‘가정 형편은 어떤지’ 물었다. 당혹스러웠다. ‘인생 해답을 찾겠다고 철학과에 왔는데!’라는 치기 어린 실망감이 컸다.

나이를 먹어야 깨닫게 되는 삶의 진실이 있다. 대학원에 진학하자 노교수님 말씀이 갈수록 뼈아팠다. 철학 같은 기초 학문이나 순수 예술이 직업일 땐 교수·교사가 되는 것 말곤 생계가 막막한 게 동서고금 공통된 현실이다.

쇼펜하우어(1788~1860)는 거상(巨商)이던 부친의 재산을 상속받은 행운아였다. 일하지 않아도 유족한 학자로 살기에 충분했다. 선대의 막대한 재산이 낭비되지 않고 천재의 탄생에 기여한 드문 사례다.

운 좋게 취직해도 평생 학교와 연구실에 머문 학자는 세상 물정에 어두울 가능성이 높다. 순수 학문과 부(富)는 서로를 차갑게 외면한다. 소시민으로 살아가는 철학자들이 생생한 증거다. 주식 투자에 실패해 재산을 탕진한 고전 경제학자들 얘기도 전해진다. 학자가 이재에 밝은 경우는 매우 드물다.

쇼펜하우어는 전혀 달랐다. 주거래 은행에 보낸 편지에서 ‘철학자라고 다 바보는 아니다!’라며 사자후를 토한다. 자기 자산 3분의 1을 관리하던 은행이 지급 불능을 선언하자 강력히 항의한 것이다. 능란한 밀고 당기기로 결국 그는 다음 해 전액을 돌려받는다.

쇼펜하우어는 자산 관리에 정성을 쏟았고 ‘돈’의 중요성을 십분 강조했다. ‘인간의 숙명인 힘든 부역으로부터의 해방’인 ‘경제적 자유’를 선사하는 돈을 최대한 활용한다. 쇼펜하우어는 물려받은 돈을 기반 삼아 각고의 철학적 성취로 인류에게 채무를 갚았다는 자긍심이 컸다.

독립적 생계가 자유인의 근거라는 말은 진정 옳다. 학문과 예술을 하기 위해서도 일정한 수입이 필수다. 그러나 ‘철학으로 먹고살지 않고, 철학을 위해 살았다’고 자부한 쇼펜하우어가 ‘철학으로 밥벌이하는 철학 교수들’을 비난한 건 궤변에 불과하다. 교수도 강의 노동과 연구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철학자의 일과 근로자·자영업자가 하는 일은 본질적으론 다를 게 없다.


퇴계 이황(1501~1570)은 일세의 스승이 된 대학자다. 평생 겸손하고 청렴한 공경(恭敬)의 삶을 실천한 퇴계가 사실 대지주였고 이재에도 치밀한 선비였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퇴계가 고위 관직을 거듭 고사하고 고향으로 물러나 학문을 닦고 후학을 기를 수 있었던 데는 물적 토대가 큰 역할을 했다.

한국은 OECD 국가 중에서도 돈을 중시하는 배금주의 성향이 높다는 통계가 있다. ‘돈 놓고 돈 먹기’식 한국 자본주의의 천민성을 맹렬히 질타하면서도 돈을 갈망하는 자기 분열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적지 않다. 허구적 청빈(淸貧) 신화에 매몰된 지식인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청빈보다 훨씬 가치 있는 게 청부(淸富)다. 약육강식의 세계인 시장에선 역설적으로 신용과 정직, 창의성이 함께 자란다. 경제에 어두운 ‘바보’는 견실한 생활인일 수 없고 좋은 학자이기도 어렵다. 어릴 때부터 규모에 맞게 소비하고 저축하는 습관을 익혀야 한다. 경제는 곧 경세제민(經世濟民·세상을 다스리고 사람을 살림)이기 때문이다.

치기 어린 철학도 시절엔 삶의 진실을 미처 알지 못했다. 깨달음은 항상 뒤늦게 오지만 그나마 ‘시장의 철학’이란 졸저로 남았다. 돈은 몹시 더러우면서도 가장 깨끗한 재화다. 땀 흘려 번 돈으로 꾸려나가는 정직한 살림살이는 삶의 근본이다. 경제적 자립이야말로 진정한 독립인 것이다. 돈과 밥벌이의 지엄함을 감당해야 진짜 어른이다.

알라딘: 읽는다는 것, 강영안,[어떻게 성경을 읽을까?]

알라딘: 읽는다는 것




읽는다는 것 
독서법 전통을 통해서 본 성경 읽기와 묵상
강영안 (지은이) IVP 2020-05-20
정가
15,000원

전자책  9,000원 





9
100자평 17편
리뷰 5편
세일즈포인트 1,572
272쪽



책소개

레슬리 뉴비긴으로 시작하여 칸트와 플라톤, 아우구스티누스를 거쳐 가다머, 폴라니, 후설과 장자(莊子)까지 그야말로 동서고금을 종횡하며 문자와 읽기의 철학을 논하고, 중국 송나라 유학자 주희(朱熹)의 독서법과 서양 수도원 전통의 렉시오 디비나, 루터의 신학 공부 방법론을 통해 ‘사람을 온전히 빚어내는 읽기’의 방식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읽는다는 것이 무엇이며, 읽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제대로 읽으려면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면밀히 들여다본 이 책은 읽기의 현상학, 해석학, 윤리학뿐 아니라 실천적 관점에서 성경 읽기와 삶을 가까이 연결하기 위한 친절한 안내를 제공한다.



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는 말
1장 ‘읽는다는 것’에 대한 물음
2장 문자와 읽기에 대한 부정적 태도
3장 기독교 전통에서 문자와 성경
4장 읽기의 현상학과 해석학
5장 읽기의 윤리학: 주희의 독서법과 렉시오 디비나
6장 우리들교회의 성경 읽기와 묵상 방법
7장 성경을 어떤 책으로 읽어야 하는가

8장 객관적으로 읽어야 하는가, 주관적으로 읽어야 하는가
9장 성경 읽기와 삶의 거리를 어떻게 좁힐 수 있는가
10장 다시 하는 질문: 왜 읽어야 하는가
나가는 말
접기



박정미 - 과학적 물질주의도 하나의 형이상학이다 -올더스 헉슬리, <영원의 철학>에 대한 변명... | Facebook

박정미 - 과학적 물질주의도 하나의 형이상학이다 -올더스 헉슬리, <영원의 철학>에 대한 변명... | Facebook

박정미

  · 
과학적 물질주의도 하나의 형이상학이다
        -올더스 헉슬리, <영원의 철학>에 대한 변명

 

Religions for Peace Asia (ACRP) Executive Council Meeting Held in Sri Lanka – Religions for Peace Asia

Religions for Peace Asia (ACRP) Executive Council Meeting Held in Sri Lanka – Religions for Peace Asia



Religions for Peace Asia (ACRP) Executive Council Meeting Held in Sri Lanka
Posted on July 17, 2024

-Next ACRP Governance Assembly is to be held in Singapore-


Asian Conference of Religions for Peace (ACRP) holds their Executive Council meeting once a year. This year, they met from May 28 to 30 in Kalutara Province, Sri Lanka. Seventy-three participants from 18 countries attended, including online participants.

The agenda of the Executive Council meeting included a report on the activities and progress of the action plan, which was approved at the 9th Governance Assembly in 2021, including the “Flagship Projects (priority implementation projects)” being promoted by the ACRP, as well as discussions regarding the hosting of the next Governance Assembly.

As part of the discussion, RfP Singapore, RfP Pakistan, and RfP Japan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host the next 10th Governance Assembly.

After deliberations by the Executive Council members, it was decided to hold the next assembly in Singapore in 2026, which will mark 50 years since the first assembly was held in Singapore, with great anticipation of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of Singapore and the collaboration of interfaith networks.



In the individual chapter’s reports, representative of each chapter, Asia Pacific Women of Faith Network (APWoFN) and Asia and the Pacific Interfaith Youth Network (APIYN) reported on their efforts made in line with the ACRP’s action plan.

In addition, representatives from Bangladesh, India, Nepal, Pakistan, and some other chapters reported on the progress of the “Faith and Positive Change for Children, Families, Communities, and Initiatives (FPCC)” ongoing project, which was jointly established by UNICEF and WCRP/RfP. The FPCC project manager spoke of the outcomes of the project, noting that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COVID-19, the FPCC was able to develop initiatives related to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children and improvement of their health.

On May 30, participants traveled to Colombo City for a Public Peace Forum under the theme of “The Role of Religions in Achieving Peace through Economic Empowerment”. The foru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ligious communities being actively involved in political, welfare, and educational initiatives, in addition to economic perspectives, in order to build up a society of peace and harmony.

Moreover, an ACRP’s internal organization, the Asian Trustee hold its first board meeting to strengthen the ACRP’s financial base. Also, in between Executive Council meeting, the APWoFN and APIYN held meetings respectively to discuss future projects and management methods.

In these days when online meeting is becoming the mainstream, this Executive Council meeting was a significant opportunity for leaders of different religions to come together in person and share their views for the sake of peace.

Now that ACRP has begun a full-fledged review of its financial base, we look forward to a wider expansion of our activities in the future.

Lastly, we would like to express our deepest gratitude to the members of the Sri Lanka chapter, and many others for their supports in hosting the executive council meeting, and making this meeting a great success.



This entry was posted in REPORTS. Bookmark the permalink.
Post navigation
← “Welcoming the Other: Strengthening Advocacy and Action for Refugees and other Forcibly Displaced Communities” Event Report
2024 World Day against Trafficking in Persons →

인천가대 교수로 임용된 변진흥 교수

인천가대 교수로 임용된 변진흥 교수

인천가대 교수로 임용된 변진흥 교수
입력일 2010-06-28 발행일 1998-03-01 제 2091호 12면

교회내 북한문제 전문가 “북한 자료 총망라한 특수자료실ㆍ북방선교훈련원 설치, 중국ㆍ북한 선교사를 체계적으로 훈련시키는 종합적 대북선교센터 역할 전망”

『다시 신학교에 입학한 느낌입니다. 북한 및 북방선교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는 인천 가톨릭대학의 기대에 부응해 뭔가 보답할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그 동안 2010년 특별사목위원회 위원과 한국 가톨릭사회과학연구회 이사, 통일사목연구소 간사, 가톨릭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 범 종단 남북교류추진협의회 위원, 가톨릭대 강사 등으로 바쁘게 활동하며 교회내 북한문제 전문가로 널리 알려져 온 변진흥(야고보ㆍ48)씨.



지난 90년에 해직 돼 학교를 떠났던 그가 이점 3월 1일자로 인천 가톨릭대학교(총장=최기복 신부) 조교수로 다시 임명돼 8년 만에 다시 학교 품으로 돌아갔다.



『인천가대는 성직자 양성뿐만 아니라 평신도 지도자 양성. 대북선교를 비롯한 북방선교에 나설 선교사 양성 등에 특별한 사명을 가지고 있고 또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봅니다』



변진흥 교수는 이런 시대적 요청에 맞춰 남북관계가 진전되고 화해와 협력, 교류 협력시대 개막에 따른 준비와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센터의 역할이 인천가대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돕고 싶다고 강조했다.



특히 변교수는 앞으로 대학 내에 북한 관련 연구 자료를 총망라하는 특수 자료실과 북방선교훈련원과 같은 기능이 설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수 자료실을 통해 북한에서 발행하고 있는 잡지와 신문을 비롯 각종 자료들을 열람, 연구에 활용토록 하고 북방선교훈련원의 경우 중국과 북한 등을 상대로 선교에 나설 선교사들을 체계적으로 트레이닝 시키는 종합적 대북서교센터로 만든다는 것이 변교수의 생각.



가톨릭대학교 신학부와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학과를 졸업한 변진흥 교수는 북한연구소 위원, 서강대 서울대 아주대 강사를 거쳐 호남대학교 교수,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교환교수, 북한선교위원회 기획실장을 역임했다.

우재철 기자

[인터뷰] 변진흥 가톨릭교회가 바라본 한반도 정세 2018


[인터뷰] 변진흥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연구위원장 - 가톨릭교회가 바라본 한반도 정세

cpbc 뉴스
191 views  Dec 5, 2018
2018년 12월 5일(수) 오늘의 방송내용

[인터뷰 ②] 변진흥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연구위원장 
- 가톨릭교회가 바라본 한반도 정세 


===
Transcript


한반도 평화로 가는 길이 쉽지 않습니다
가톨릭 교회는 지금 한반도 정세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언제쯤 평양 장충 성당에서 대축일 미사를 봉헌할 수 있을까요
가톨릭 동북아 평화 연구소 연구위원 장이 신 견 지능 박사 연결합니다
박사님 안녕하세요
가톨릭 동북아 평화 연구소 가 문을 열었던 2015년 만해도 남북관계가
꼭 얼어붙어 있었잖아요
한반도 정세가 이렇게 달라질 거라고 그 때 혹시 예상 하셨습니까 알몸은
누구나 막 형제들의 사랑 못해요
이에 거의 수나 미션의 어떤 피거나 아니었습니까 쓰다 비스 준 어 그렇게
보시는 군요
4 한반도의 지금 평화의 바람이 계속 불고 있다고 하지만 북미 감 비핵화
협상이 아주 순탄하게 불리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 한반도 상황 어떻게 바라보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음 사실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줘
4 따로 떨어져 있다고 보여지지만
자동차의 가 앞뒤 가치가 연결되는 것 아세안 10 되어 있죠
예 근데 문제는 저희가 보통 자동차가 끼를 고마 앞바퀴 뒤바뀌어 다희가
같은데 크로스 근해 그런데 제 2
남부권 위약 공백 완전에 좀 아 북미 관계가 더 크고 방식인가요 아 남부
얘는 짧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게 제가 봤을땐 똑같아야 되는데
네 그런 점이 있고 중요한 것은 이제 뉴 브 브 그 이유나 외부에서는
정렬 그 바퀴 그 크기에 맞게끔 좀 남북관계를 천천히 의 움직여 다
이렇게 하지 않습니까
예 저는 이럴 때 우리가 지혜를 발휘를 해서 그래도 애가 천천히 가라
검천 처리하겠다
어 그러나 우리가 되돌아갈 수는 없다 아 이것이 이제 우리의 입상에 다는
것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봐요 왜냐하면 은에 남부권 예 발전 우리
남북 모두의 미래를 위한 것이죠
예 주위를 살핀 내사 안전 운행을 해야 되겠지만
비상 속도는 조절 하더라도 앞으로는 어떤 일이 있어도 우리는 다시
되돌아갈 수 없다
다시는 남부 의사로 상처를 주면서 살아가는 허다한 보습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
이렇게 하면서 외부에는 어떤 수레를 주고 2
이어 대구 셔 거르는 아역 에 대한 어떤
잉크 합의를 에 모아 나가야 되겠죠
4 지금 김정은 위원장 의 연내에 서울 방문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레걸 우리가 한 달도 안 남았는데 박사님은 방안 가능성 어떻게 전망
하세요
뭐 저도 어 이게 이루어져야 된다고 보지만 낙관 만 할 수 없다 옳게
생각합니다
예 한 것은 그러한 그 상황이 벌어질 수가 있는 거죠 그렇죠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 이제 우리 나름으로 는 여기에 대한 배를 좀 해야 될 거
같고
예 아 사실 여러 상황에서 좀 입자가 달리 하는 분들도 있어요
예 그렇지만 대다수의 국민들은 언젠가 자꾸 해야 할 일이었다 이렇게
생각하시지 않겠나 보구요
예 eb-2 쓰는 6위로 정상회담 때 의 지정 1위원장이 그때 소화를
왔었어 좋았겠지만
그때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역 그때 만약에 우리 사회가 오히려 잘 이걸
받아들일 수 있었으면
저는 성사될 수 있었을 거라고 생각을 해요 어 그렇게 쓴 남북관계 발전
이 돌이킬 수 없는 관계로 태백시 면 되었을텐데
예 년 후에도 이제 또 십 년 이십 년 되도 또 이렇게 걱정을 하는
거예요
아 그게 60 기회를 어쩌면 또 20 년 후에 이런 걱정 아파 게 되니까
이행자 끌 이라고 하면 제대로 여러 어 우리가 준비를 하자 일할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4 김정은 연장이 서울의 온다면 어쨌든 한반도 평화에 도움이 될거라고
보시는거 죠이 줘
뭐 예 방안이 성사된다면 어떤 의 재가동 이랬으면 하십니까
아 보는 모의 앱 보다는
문제된 부 때 대통령도 얘기하신 것처럼 딱 땅 그 자체에 의미가 있다
아 여기에 좀더 우리가 그 생각을 지키 할 필요가 있겠다 이런 생각이
들고요
예 우리가 처리 신자들의 입장에서 본다고 하면
급한 주소 교황님의 태양 방문 이지 않습니까
예 저희가 만약 이 관계 매핑 한강물을 환영을 한다면
김정은 위원장 에서 닭 빵도 환영을 해야 이 이도류 관절을 다 같이 이룰
수 있는 자격에 있겠죠 어 하하 그렇게 생각해요 왜냐하면 에 북한에서는
교황님의 방법의 사실 예절 적인 거죠
4 그러나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로 김정은 위원장이 아직은 이질적인 것으로
보이거든요
예 그 대학을 넘어야 우리가 참된 평화를 이룰 수 있는 힘을 갖춘
것이니까
전은영 우리 사회가 그런 차원에서 폭넓게 생각했으면 좋겠습니다
예 과거 전쟁 때 나도 전후 복구 상황 에서는 종교가 뭐 구호나 의료
교육 등에서 할 일도 많았고 실제로 기어도 많이 했습니다 그렇죠
지금 분간 75년 을 맞이하는 상황에서 가톨릭교회의 역할은 뭐라고 보세요
음모가 될 교회는 다른 모든 종교 말씀하지 만한 평화의 종교입니다 힌지
우리의 가드링 은색 그리스도의 평화
리 어스 가슴에 품고 살고 있죠
어 머 거리에서 저희가 평화를 위해 쓰는 것도 평화의 사도로서 예수님을
닮기 위한 것이고 우리 펼치고 교황님 만 보더라도 당신이 대파 짓고 라는
이름을 택한 일 없이 4
이때가 요구하는 평활 사도가 되시겠다 는 뜻의 거 든 요 이해하실
평화운동 은 우리 교회가 아무런 하는 것이지만 은 우리 교회 구성
no.1 드린 시 자들이 함께 하는 것이 없고요 주시고요
예 가정과 사회 학교와 직장에서 거기에 걸맞는 행동을 해야 되겠다
뭐 그래서 조금 전에도 말씀 있었지만 은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김정은
위원장이 소를 온다고 하면 그것도 탕 할 수 없게 우리가 받아 들일 수
있고 그 4화에 잘 쓸 가져오도록 기도하고
주위에 분들과 함께 이런 분위기를 만드는 거에요 또 저는 가장 방면 1
평화운동 일 것 같아요
예 지금 한반도 평화를 향해서 빠르게 진행이 되고 있는 만큼 가톨릭
동북아 평화 연구소도 할 일이 많으실 것 같아요
으 연구소에서는 어떤 연구 활동에 주력하고 겠습니까
저의 0 구조는 한반도 평화와 관련해서 가장 그 글에 여기에 연관이 있는
미국과 일본 아들이 교회와의 연대 활동에 많은 노력 어쭈 오르고 있어요
어 아 년 12 월에 도로 끝내 시 롤의 국제학술회의 를 했는데
예 미국과 일본식의 관계자들을 초청해 습니다 드시고 님들도 5 싶고 해서
밤 반도 평하는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지 않느냐
아 내가 미국교회 일본 주에 그 다음에 교황청 함께 우리의 보편 교회 가
공동으로 노력을 하자
예 1 그 노력을 해왔고 이러한 것이 사실 미국 그 주교 회의 가 미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에 대해 좀 더 적극적으로 임하도록 여러가지 그
백악관의 현재도 많았을 것 그게 예 그런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4 가톨릭교회 차원에서는 북항 교회를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그래서
북한 교회의 상황은 어떻게 파악하고 계세요
어 사실은 제 북한 얘는 나름대로 가들이 때 교회 카페가 있고 어 그게
인자 30 년 돼 있죠
주 직 있죠 그래서 저희는 뜨 북한 교회란 연구를 게을리 않고
있구요
매달 민족 화해 분과를 두고 있는 본당에 평화 4조 라는 그 자료를 회가
보고되고 있어요
예로써 긴 대북한 조회 4 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영어를 다 묶어서 대학교 구한 요구 그리고 항의도 교회의 전체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바라볼 수 있는 이하의 행사 작업도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네 아 연구소로 서석대 있는 그 의정부 교구 차원에서 주거로
사업을 하고 계신 거 군이 나갈 그렇구요
4 3주 후에 예수 성탄 대축일 입니다
언제쯤 평양 장 층 성당에서 대축일 미사를 드릴 수 있는 날이 오게
될까요 어떻게 전망 하십니까
어이 대축일 미사 는 의미 남북간에 합의가 됐습니다 우리 교회가 내내
지난 그 2015년 12월에 있죠
이땐 좀 인조 가죽의 특별위원회 주교 님들께서
어 직접 평양을 방문 하시지 않았습니까 예 그래서 사실 그동안 에게 멋
진짜 내가 짱이 하는 얘기도 많이 있었어요
4 했는데 이런 그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해서 전세 성난 신자들의 신앙
생활을 정상화해야 되겠다 하고 지표 님들이 생각하셔도 꼬
예 그래서 이제 그동안의 뭐 세례를 제대로 못 받은 분들은 이제 에
거기에 대한 조치를 하셨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그럼 대축일 미사 때마다 서울 두고 신부님들이 가셔 가지고 그
후속 조치를 하자
이지혜 덜한 이야기 때를 해서 탑의 를 해 주셨기 때문에 이제는 뭐
대치된 이사를
남북관계 만 뭐 원활하게 풀린다고 하면 언제든지 에
에그 신부님들이 가시고 대추 되니 사례
힘들이 가지 돌이 신자들도 따라갈 수 있지 않겠습니까
예 남북관계 어떻게 뭐 열차가 연 전력으로 며 노래도 열차를 타고 가서
해줘도 좋아요 에서 배출된 기사를 알 수 있겠죠 어그 런 상생을 정말
하게 됩니다 그래야 될 것 역시 아직은 조금 먼 미래 일인 것 같기도
합니다만 한반도 평화 통일이 이루어진다면 북한 교회의 사목 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업 간 교회는 이게 북한 사회주의 체제 안에 있는 교회 이 줘 네 우리
식대로 접근하면 안 되고
북한 사회의 존재 양조 우리가 바라보면서 그들과 함께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정말 버튼 교회에 형식대로 너희들은 고 부분은 잘
모르니까
약간씩은 원하면서 하자 않을 그런 식으로 해서 패스 b 란 내용들은 모두
심들의 가서 주교들이 가셔 가지고 얘기를 하시면서 충분해 서로 대화를
나누고 있거든요
예 아무 걱정 할 것들은 없는 것 같습니다
4 한반도에 진정한 평화를 위해서 가톨릭 신자들이 어떻게 동참할 수
있을까요 좀 당부의 말씀이 낮에 안 해주고 싶은 얘기가 있으실까요
어휴 피한 것은 민족의 화해와 일치 라고 하는 용어입니다 예 그래서 우리
한국 천주교의 는 북한 조 에 대해서 여러가지 부족한 점들이 있겠지만 더
서로간의 앞둔 상처도 있지만 민족의 화해와 1 차원에서 함께 노력을 해
나가자
예 그래서 이제 우리 신자들도 역시 마찬가지로 화해와 일치를 위한
우리만의 화이어 일치가 아니라 민족 사회 전체 화해와 일치 그 안에서
남북 교회의 정상적인 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그런 새로운 역사를
이제 만들어 나가야 되겟죠 네 알겠습니다 지금까지 카톨릭 동북아 연구소
평화 연구소 연구위원 장 편지는 박사와 얘기 나눠봤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아


===

워싱턴에서 만난 평화의 사도들 < 교회와 세상 < 기사본문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워싱턴에서 만난 평화의 사도들 < 교회와 세상 < 기사본문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워싱턴에서 만난 평화의 사도들
기자명 정현진 기자
입력 2022.10.13

가톨릭한반도평화포럼 참가자들의 이야기

10월 5-6일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반도 평화 관련 정치, 외교, 북한학 전문가들이 모이는 가톨릭한반도평화포럼이 있었습니다. 포럼에서 만난 참가자 5명의 평화 활동과 한반도 평화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현실과 이상 멀지만, 점진적으로 추구하다 보면 도달할 길”
데이비드 말로이 주교, 미국 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장


데이비드 말로이 주교는 국제정평위 정기 회의가 열린 중에 가톨릭한반도평화포럼에 적극 참여했다. 포럼 현장에서 만난 말로이 주교는 “미국과 한국은 오랜 파트너로 좋은 관계를 유지해 왔다. 한반도평화포럼에 참여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국제정평위원장으로서 가장 중요한 이슈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그는 “우선 교회 공동체의 일치와 다양한 국가 분쟁 해결에 관심이 있으며, 최근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면서, “한반도 평화 문제 역시 정평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국을 한번도 방문하지 못했지만 이번에 참여해서 공헌할 수 있게 돼 무척 기쁘고 흥미롭다”고 말했다.

한국 주교단의 미국 주교단 만남과 미 국무부 방문에도 동행한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에서 찾아온 주교들을 통해 미 국무부 관계자와 의회에 한반도 문제에 대한 정책적 조언을 할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구체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고 기대했다.

가톨릭교회는 평화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지만, 사실 북미 관계와 같은 현실 정치의 문제에는 상당한 괴리, 갈등이 장벽을 만들기도 한다. 말로이 주교는 이에 대해서, “모든 문제에서 이상과 현실의 차이는 있다. 하지만 그것을 (차이나 문제로 놔두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접근하면서 처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면서, “한반도 문제 역시 마찬가지다. 평화가 멀고 힘들어 보이지만, 꾸준히 점차 추구하다 보면 평화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비드 말로이 주교. ⓒ정현진 기자

“사마리아인이라 외면하지 않은 것처럼, 북한이라고 외면한다면 복음 외면하는 것”
변진흥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운영연구위원장

북한학을 공부하고 남북종교교류 협력 등의 활동을 해 온 변진흥 위원장은 1982년 한국 교회에 ‘북한선교위원회’가 만들어질 당시부터 교회 내 북한 관련 활동에 참여해 온 증인이기도 하다.

이번 포럼에 참석한 변 위원장은, 이번 포럼이 한반도 평화의 주요 행위자의 하나인 미국과 교회 차원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는 중요한 목표 의식으로 준비됐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는 2017년부터 매년 한반도 평화에 대한 포럼을 진행하면서 미국은 물론, 일본, 바티칸, 중국 관계자들을 초청하며 연계해 왔다. 그런 맥락에서 이번 미국행은 한 연구소만의 차원이 아니라 한국 교회 차원의 공식 창구, 활동 기반을 만들고 첫 번째로 미국 주교단과의 공고한 협력 체계를 만들기 위한 시도였다.

변 위원장은 안타깝게도 그동안 미국 교회에도 남북 관계, 북미 관계와 관련된 보수, 우익적 정보가 주로 전달됐고, 연구소는 이를 바로잡기 위해 대응해 왔다고 설명하면서, “그런 분위기들이 한반도 평화에 적극적인 국제정평위 관계자나 주교들에게 절박한 행동이 필요하다는 위기의식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한국 주교회의가 나선다면 가장 먼저 할 일은 미국 주교회의와 직접 연결하고 미국 주교들의 생각이 바뀌도록 제대로 정보를 주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한국 주교들이 어떤 협력 요청을 할지 생각을 공유하는 것이었다.

변 위원장은 이런 과제가 다행히도 잘 이뤄졌다면서, “한국 교회는 1982년 200주년 당시 교황 방한을 준비하면서 처음 북한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기 시작했고, 북한선교위원회를 만들었다. 이후 올해 40년 만에 하나의 성과를 이뤘다”고 평가했다.

1988년 북한선교위원회가 ‘통일사목연구소’로 바뀌면서 북한 선교라는 개념을 대체하기 위해 만든 것이 ‘민족의 화해와 일치’이고, 지금까지 한국 교회가 한반도 평화와 종전을 위해 지향해 온 가치다.

변진흥 위원장은 “그러나 민족의 화해와 일치라는 개념을 복음적인 차원으로만 생각하면 상대방인 북한은 동등한 주체가 아니라 수단이 되고, 시혜의 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 “민족화해의 주체는 남과 북이고, 지금까지 그런 개념이 약했기 때문에 신학적인 차원에서 남과 북을 같이 주체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 포럼을 통해 그간의 노력과 앞으로의 과제를 담아내는 그릇이 만들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변 위원장은 이제 착한 사마리아인의 시간이 되어야 한다면서, “북한을 제대로 알고, 동등한 주체, 이웃이 되기 위해서 우리는 사마리아인이 되어야 한다. 주교, 사제, 평신도, 신학자, 전문가들이 서로 뒷받침하고 각자의 그릇을 빚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사마리아 사람이기 때문에 배제하고 외면하는 것이 복음에 위배됐던 것처럼, 북한이기 때문에, 북한 사람이기 때문에 외면하고 배제한다면 우리는 그들의 이웃이 될 수 없다”면서, “우리 신자들 모두 이 일을 복음적으로 받아들이는 각성이 필요하고 그런 각성을 연대의 틀 안에서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기회가 명분이 돼서 실질적인 시대적 요청, 하느님의 과제로 받아들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맨 왼쪽) 포럼 참가자들과 토론하고 있는 변진흥 위원장. ⓒ정현진 기자

지금 한반도 평화는 한국, 일본, 북한, 중국.... 동북아 전체의 문제
이대훈 피스모모 평화교육연구소장

2019년 2월 27-28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는 북미정상회담이 열렸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사자로 나선 이 회담은 2018년 싱가포르 정상회담에 이어진 것으로 보다 진전된 합의를 기대했지만 28일 결렬됐다. 이후 지금까지 북미 간 어떤 만남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대훈 소장은 2019년 하노이 실패 이후로 상황은 근본적으로 바뀌었으며, 군사적 충돌, 위기 상승 국면에서 주요한 문제로 작용하는 것은 한미일 군사력의 대중국 대북한 대러시아 압박이라면서, 특히 중미 대립이 동북아를 무시무시한 위기로 몰고 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 소장은 한반도 평화 문제는 동북아 평화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 보면 남북 갈등을 넘어선 지역적 분쟁 위기가 급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동북아 전체에서 21세기 들어 가장 무거운 무력 대결 구도가 펼쳐진다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한국, 미국, 일본의 중국 압박과 관련해, 그는 “한미일 군비증강과 '을지프리덤실드'라는 한미연합훈련 재개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몇 배 더 상응하는 전쟁 연습이다. 이렇게 군사적으로 부강한 세 나라의 합동군사연습 상대는 북한만이 아니”라면서, “이런 사실을 한국과 일본만 경시하면서 북한의 위협만 말하는 것은 상당한 실수 또는 왜곡”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런 상황으로 볼 때, 남북과 북미 사이의 긴장만을 중심으로 평화나 위험 문제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미국, 일본이 중국과 러시아, 북한을 어떻게 상대하는지 거시적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대훈 소장은 “수사적으로 ‘한반도 평화’로 국한하면 국제적으로는 ‘도발자 북한’이라는 공식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윤석열 정부나 바이든 정부에서는 한미 군비증강 밖에는 답을 못 찾게 된다”면서, “하루바삐 한반도 평화 문제에서 동북아 전체의 군사적 갈등 예방, 동북아에서의 협력과 평화로 우리 평화 의제를 넓힐 필요가 있다. 문제는 북한이 아니”라고 말했다.

미국 유권자들의 한반도 평화 위한 행진
조현숙 위민 크로스 디엠지 조직위원, 코리아 피스나우 국제 코디네이터

이번 포럼에서는 “크로싱”(Crossings)이라는 다큐멘터리가 상영됐다. 영화는 국제 여성 평화운동가 그룹이 한반도를 분열시킨 70년 전쟁의 종식을 요구하며 비무장 지대를 가로지르는 여정을 담았다.

이 크로싱을 조직한 단체는 2014년 설립된 ‘위민 크로스 디엠지’로 이들은 2015년 남북을 가로지른 비무장지대를 평화적으로 행진한 바 있다. 이날 상영회에 참석한 조현숙 씨는 현재 미국에 사는 시민권자로 우먼 크로스 디엠지와 미국 전역의 풀뿌리 네트워크인 코리아 피스나우에서 활동하고 있다.

조현숙 씨는 우선 코리아 피스나우 활동에 대해서 현재 미국 전역 200여 명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반은 미국인이라고 소개하고, “미국 시민권자, 유권자로서 한반도 평화협정으로 전쟁을 끝내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미국 의회를 대상으로 한반도 문제에 대해 교육하고 그들이 움직이도록 유권자 로비를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씨는 한반도 정전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미국 시민들도 공감하면서 시작된 이 활동은 한반도 통일에 관심이 있어 활동하는 한국인들, 그리고 반핵과 반전 활동을 하던 미국인들이 결합돼 이뤄졌으며, 학생과 젊은이들이 많이 동참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9년부터 본격화된 이 활동의 가장 큰 성과는 미국 의회 최초로 한반도 평화와 종전을 위한 관련 법안 2건이 발의되고 이 법안을 지지하는 의원들이 1-2명에서 50여 명으로 늘어났다는 사실이다.

조현숙 씨는 “미국 의회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이 법안을 바탕으로 미국의 유권자와 의원들을 교육하고, 또 각 의원에게 연락하고 이들과 온라인-오프라인으로 만나 공동 지지를 설득하고 있다”면서, “이 모든 동력은 미국 내 한인 유권자들이다. 자신들의 지역 의원들을 움직여서 법안 발의와 공동지지를 이끌어냈는데, 그동안 정치 참여도가 낮았던 한인들이 정치 참여 면에서 성장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조 씨는, “여성, 종교의 힘이 상당히 크다. 가부장과 남성 권력 아래에서 벌어진 폭력과 전쟁을 여성들의 평화로 회복시키려는 노력, 그리고 평화를 가르치고 원수를 사랑하라고 가르치는 종교가 또한 많은 힘이 된다”면서, “한국 역시 아직 전시작전권이 없는 현실에서 주권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미국에서의 활동에 참여할 수 없지만, 함께 관심을 두고, 한국 사회 안에서 전쟁을 반대하고 평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함께 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영화 '크로싱' 상영이 끝난 뒤 참가자들과. 맨 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 보라색 옷을 입은 이가 전수미 변호사, 가운데 두건을 쓴 이가 조현숙 씨다. ⓒ정현진 기자

탈북 여성은 온몸으로 분단의 비극 드러내는 존재
전수미 변호사


지난 10년간 변호사로서 탈북민을 지원해 온 전수미 변호사는 이번 포럼에 북한 인권과 평화의 관련성 문제를 함께 이야기하기 위해 참석했다.

지난 2019년 탈북 여성에 대한 성폭력 사건을 피해 당사자가 직접 드러내면서, 전 변호사는 이들을 지원하고 있다.

전 변호사는 “분단의 가장 큰 피해자는 탈북 여성”이라면서, “북한 사회의 유교 문화, 탈북 과정에서 여성을 수단이나 착취 대상으로 대하는 현실, 남한 사회에서도 줄곧 잠재적 배신자나 이중간첩 취급을 당하면서 겪는 군, 검, 경, 국정원 조직으로부터의 정신적, 물리적 폭력이 오롯이 탈북 여성들에게 쏟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상당히 보수적인 성문화 영향을 받으면서 살아온 탈북 여성들은 탈북 과정과 남한 정착 과정에서 자신들에게 가해지는 폭력을 고발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에 갇혀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정착 실패와 생존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는 치유나 해결이 아니라 약점이 된다. 북한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은 약자인 탈북 여성들에게 그대로 전가되고, 그런 이들을 공격하는 것이 마치 북한을 공격한 것과 같이 인식된다. 또 같은 북한 사람에게도 이들은 온전한 여성으로 대우받지 못한다.

전수미 변호사는 2019년부터 시작된 탈북 여성에 대한 성범죄 사건은 아직 재판 중이며, 결과에 따라 더 많은 이가 용기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 “탈북 여성들이 자신의 피해 사실을 밝히기란 남한 여성의 약 1000배 정도의 용기가 더 필요하다. 자신들이 믿고 살아온 가치를 깨고 자기의 전부를 내놓아야 하는 일”이라면서, “우리는 늘 북한 인권이 중요하다고 말하지만, 이런 일들은 결국 우리가 말하는 북한 주민의 인권이 얼마나 정치적인 언어인지 보여 준다”고 말했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서로 다른 ‘종교’ 공존의 ‘평화’를 향하여|동아일보

서로 다른 ‘종교’ 공존의 ‘평화’를 향하여|동아일보


서로 다른 ‘종교’ 공존의 ‘평화’를 향하여
업데이트 2009-09-25 

월간 ‘종교와 평화’ 창간 1주년

《“과거의 관습과 사고의 전환이 없는 종교는 퇴보할 뿐입니다.”

“종교 스스로 물질만능주의의 때를 벗겨내야 합니다.”

“종교가 외면받는 까닭은 종교계가 현실 문제로부터 멀어졌기 때문입니다.”

개신교 불교 원불교 등 서로 다른 종교를 가진 젊은이 5명의 발언이 최근 종교 전문 월간지에 실렸다. 믿음이 서로 다른 이들이 국내 종교계의 실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이례적인 일이다.

이들의 발언을 기꺼이 받아들여 소개한 곳이 월간지 ‘종교와 평화’다. 국내 종교계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해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가 창간한 이 월간지가 최근 1주년을 맞았다.

‘종교와 평화’는 천주교 개신교 불교 원불교 유교 천도교 민족종교 등 7대 종단의 소식을 한데 모은 국내 유일의 월간지다.》

올해 22주년을 맞은 종교인평화회의는 ‘타 종교가 아닌 이웃 종교’라는 믿음으로 종교 간 대화 운동을 주도해온 연합체.

이 월간지는 종교계가 다른 종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말 속 이웃종교’ 시민 강좌를 연재했다. 이 시민 강좌에서는 
  • 기독교의 성령(聖靈), 
  • 유교에서 자연과 사회의 질서가 조화된 덕목으로 강조하는 성(誠),
  •  새로운 하늘과 땅이 열리는 경지를 이르는 천도교의 천개지벽(天開地闢)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했다.

지난해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태 때는 종교인평화회의와 한국이슬람교중앙회 등이 함께 조기 석방을 호소한 것을 보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개신교계와 불교계와 이슬람교를 전공한 학자의 심층 토론을 통해 한국 교회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상황을 해외 선교로 타개하려는 과정에서 무리한 선교가 이뤄졌다는 등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를 짚기도 했다.

지난해 8월 마련한 종교유적지대화 순례에는 여러 종단의 성직자와 신자 40여 명이 전남 해남군 대흥사, 전남 강진군 다산초당, 전북 익산시 원불교 중앙총부, 전북 전주시 진동성당 등 불교 유교 원불교 천주교 성지를 함께 찾았다.

‘이웃종교 맛보기’란 칼럼은 예컨대 일부 개신교계에서 우상숭배라는 지적을 받는 천주교의 성모 마리아가 자비로운 관세음보살처럼 아픈 마음을 달래 주는 약손 같은 존재라는 얘기를 담아 종교 간 상호 이해를 도모했다.

사설을 통해 사회에 전하는 종교계 전체의 메시지를 담아낸 것도 특징이다. 변진흥 종교인평화회의 사무총장은 “특정 교단 소속 필진이 아니라 종교학자 중심으로 구성된 종교인평화회의 산하 종교간대화위원회가 편집위원으로 참여해 균형 있는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러 종단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과정에서 견해차가 발생하기도 했다. 한국 종교계는 종단 간 서로 다른 목소리를 조율해 본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평화를 강조하는 종교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민족 화해와 협력을 강조하는 사설이 나간 뒤 
참혹한 북한 현실에 대한 고려는 왜 하지 않느냐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월간 ‘종교와 평화’는 
또 종교계 내부의 갈등을 조정하는 역할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종단 간 갈등, 종교인 과세 문제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변 사무총장은 “앞으로 이런 문제를 과감하고 성찰적인 시각으로 제기하면서 다양한 견해를 인정하는 진정한 종교 화합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종교와 평화' 창간 1주년기념전시회 <원불교신문

'종교와 평화' 창간 1주년기념전시회 < 이 한권의 책 < 뉴스 < 기사본문 - 원불교신문



'종교와 평화' 창간 1주년기념전시회
기자명 육관응기자
입력 2008.03.07


경산종법사 작품 등 44점 전시


7대 종단의 연대협력기구인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에서 발행하고 있는 월간지 ‘종교와 평화’가 창간 1주년을 맞아 기념 전시회를 열었다.

2월 27~4일 서울 인사동 경인 미술관 제 2 전시관에서 열린 이번 전시에는 기독교를 제외한 원불교, 불교, 가톨릭, 유교, 천도교, 민족종교협의회 종교 수장들의 작품 등 44점이 출품돼 그 의미를 새롭게 했다.

원불교는 경산종법사의 달마도, 이성택 교정원장의 도자기, 조대성 교무의 서예, 정병례 교도의 전각, 조수정 교도의 한지현대화, 노경주 교도의 서양화 등 5점이 전시 됐다.

전시와 관련, 최근덕 성균관장은 “돌맞이 잔치는 쉽지 않는 소중한 모임이다”며 “종교와 평화가 종교간 소식을 전하는 한편 앞길을 열어가는 길잡이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동환 천도교 교령은 “종교는 평화를 전제하므로 평화를 전제하지 않는 종교는 생명을 잃는다” 고 강조했다.

한양원 한국민족종교협의회장은 “종교와 평화는 각 종교계의 문화와 사상을 널리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1돌을 기해 전시회를 갖게 된 것은 예술이 있는 곳에 문화가 살고 문화가 있는 곳에 도덕이 활성화 된다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말했다.

백도웅 목사는 “한국 종교계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한다”며” 종교간 화합과 희망을 알려주는 소식지가 되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한편 2007년 3월 1일 창간된 ‘종교와 평화’는 한국 종교계의 입장과 담론을 담은 진정한 종교 언론지로 거듭나기 위해 제 12호부터 32면으로 증면했다.

제8차 ACRP 총회 25-29일까지 송도에서 열려 - 노컷뉴스

제8차 ACRP 총회 25-29일까지 송도에서 열려 - 노컷뉴스



제8차 ACRP 총회 25-29일까지 송도에서 열려
CBS노컷뉴스 고석표 기자 메일보내기
2014-08-21
 

아시아와 한반도 평화, 종교간의 화해, 전쟁중단 촉구 예정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대표회장 자승 총무원장)가 19일 기자회견을 열어 "25-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아시아종교인평화회의(ACRP) 제8차 총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아시아 종교인들의 우정과 화합의 대축제, 아시아종교인평화회의(ACRP= Asian Conference of Religions for Peace) 제8차 총회가 8월 25일부터 29일까지 4박 5일 동안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다.


아시아 종교간의 평화와 화합을 다지게 될 이번 ACRP 8차 총회는 '조화 속에 하나되는 아시아(Unity and Harmony in Asia)'를 주제로 열리며, 아시아 18개 나라 회원국을 포함해 10여개 업저버 국가와 단체에서 모두 500여명의 종교지도자들이 참여한다.

매 5년마다 개최되는 ACRP총회는 1986년 제3차 서울 총회 이후 만 28년 만에 국내에서 두번째로 열리게 됐다.

이번 총회 주최측인 7대 종단 협의체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Korea Conference of Religion and Peace, 대표회장 자승 조계종 총무원장)는 “이번 총회가 아시아 종교지도자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통해 아시아 평화환경을 다지고, 나아가 세계평화를 이루는 디딤돌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KCRP 대표회장 자승 총무원장은 19일 기자회견에서 "우리나라는 파키스탄과 이라크 등에서 평화교육센터 건립 등 각종 지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제 한국 종교계는 아시아에서 리더국가로서의 위치를 확고하게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면서 "아시아 최대 종교간 대화기구인 ACRP 총회를 유치하게 된 것도 바로 이런 배경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승 대표회장은 이어 "이번 8차 총회가 남북 종교인들의 염원을 담아 공동개최로 추진됐으나, 안타깝게도 한반도 정세로 인해 공동개최가 무산돼 아쉬움이 크다. 그러나 ACRP를 통한 남북종교 교류는 끊임없이 지속될 것이고 이를 통해 남북 화해의 물꼬를 트는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ACRP는 애초 한반도 평화와 남북화해를 위해 이번 제8차 총회를 조선종교인협회(KCR)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의 공동개최로 추진했으나 남북관계 경색으로 공동개최가 무산되고 KCRP 단독으로 열리게 됐으며, 북측은 최근 군사훈련기간이란 이유로 이번 대회 불참을 통보해 왔다.

이번 총회는 또 본 회의에 앞서 국내외 청년 80여명이 참가하는 ACRP 청년캠프가 23-25일까지 서울유스호스텔에서 열리며, 25일에는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ACRP 여성 사전대회가 열린다.

이번 총회 참석하는 아시아 종교 지도자들은 평화교육과 화해, 인권과 행복, 개발과 환경 등 3개 분과회의를 통해 종교간의 화합과 민족간의 평화를 위한 공동의 과제와 역할을 모색한다.


또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총회인만큼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라는 특별 워크숍도 열어 아시아와 세계 평화 구축을 위한 한반도 평화의 중요성을 조명할 예정이며, 아시아와 한반도 평화, 아시아 지역에서의 인권증진, 전쟁 중단 등을 위한 공동 협력을 다짐하는 선언문도 채택할 계획이다.

KCRP는 지난 1986년과 이번 2014년 두 번의 총회 개최를 계기로 서울평화교육센터를 구축해 한반도의 남북화해와 갈등치유에 앞장 서 나갈 계획이다. 서울평화교육센터 건립은 1986년 대회 때부터 추진해 왔으나 재정부족으로 상설공간을 마련하지 못했다.

KCRP는 이 센터를 통해 종교인, 특히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우리 사회의 각종 갈등과 남북간, 아시아 국가간의 갈등을 치유하는 각종 평화교육 프로그램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번 총회에서는 또 지난 12년 동안 ACRP 사무총장을 맡아왔던 김성곤 의원이 사무총장 임기를 마치고, 새로운 사무총장과 5명의 공동대표와 의장이 선임될 예정이다.

지난 1974년 제2차 세계종교인평화회의(WCRP, 벨기에)를 계기로 설립된 ACRP는 1976년 싱가폴에서 제1회 총회를 개최한 이후 매 5년마다 총회를 열어오면서 다양한 종교와 민족이 살고 있는 아시아의 종교 평화와 화합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宗教と食 / 南 直人【編】

宗教と食 / 南 直人【編】 - 紀伊國屋書店ウェブストア|オンライン書店|本、雑誌の通販、電子書籍ストア






食の文化フォーラム
宗教と食
南 直人【編】

음식 문화 포럼
종교와 음식
미나미 나오토【편】

내용 설명
21세기의 세계는 종교와 음식을 중심으로 전개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행위, 먹기와 기도와의 관계를 탐구한다. 「음식과 종교」를 묻는 첫 마음!

목차
제1부 식에 숨어 있는 신앙(제민족의 신앙과 식; 원주민족의 「세계지」와 식―북서 아마존의 경우)
제2부 서방 기원의 「삼종교」(유대교―신과의 계약; 그리스도 교-성체로서의 빵;
이슬람-꾸란과 하디스에서) 
제3부 인도에서 동쪽으로 친척, 먹는 것, 믿음하는 것—인간에 있어서의 근원적인 두 가지 행위)
종합 토론

저자 등 소개
미나미 나오토 [미나미 나오토]
1957 년생. 교토대학 문학부 졸업. 오사카 대학 대학원 문학 연구과 석사 과정 수료. 오사카 국제 대학 교수 등을 거쳐 교토 타치바나 대학 문학부 교수. 전문 분야는 서양 사학, 식문화 연구(본 데이터는 이 서적이 간행된 당시에 게재되고 있던 것입니다
) .
===
内容説明

21世紀の世界は宗教と食を中心に展開するのでは。人間の最も根源的な営み、食べることと祈ることとの関わりを探る。「食と宗教」を問う初のこころみ!

===
目次

第1部 食にひそむ信仰(諸民族の信仰と食;先住民族の「世界知」と食―北西アマゾンの場合)
第2部 西方起源の「三宗教」(ユダヤ教―神との契約;キリスト教―聖体としてのパン;イスラーム―コーランとハディーズから)
第3部 インドから東へ(インド―ヒンドゥー教とジャイナ教;「功徳」を食べる人びと―東南アジア仏教徒の宗教実践と食;日本―道元と親鸞;食すること、信仰すること―人間にとっての根源的な二つの営み)
総合討論
著者等紹介

南直人[ミナミナオト]
1957年生まれ。京都大学文学部卒業。大阪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修士課程修了。大阪国際大学教授などを経て、京都橘大学文学部教授。専門分野は西洋史学、食文化研究(本データはこの書籍が刊行された当時に掲載されていたものです)
※書籍に掲載されている著者及び編者、訳者、監修者、イラストレーターなどの紹介情報です。
=====


==
이었어.

종교와 음식이라는 장대한 주제에 대해 각 지역의 전문가가 기재하고 있지만, 분석을 위한 공통항이 모호하고, 식자에 의해 역점이 크게 다르게 느껴졌다. 원래 심포지엄의 내용이라는 것으로 부득이한 것이다. 일본에서의 길가와 친안의 대처에 관해, 친무늬가 육식을 할 수밖에 없는 하층계급의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한 이론으로서 이것을 허용한 것을 시작해 알았다.
나이스★1
코멘트( 0 )
2023/08/11
==
노코
종교에 의해 먹어서는 안되는 것이 있는 것은 왜일 것이다. 인도인에게 채식이 많은 이유라든가, 무슬림이 돼지를 먹지 않는 이유라든지 알고 싶었다. 이 책을 읽으면 조금 이해할 수 있을지도. 내용은 전문적이므로 종교의 예비 지식이 있으면 좋다. 특정한 것을 금기로 하는 것은 대종교에서 발달했지만 민간 신앙이기도 하며, 금기가 집단을 차별화하고, 금기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연대를 강화한다. 종교식 금기에는 익숙하지 않은 물건에 대한 생리적 거부감이 있었고, 이전부터 있던 금기가 종교와 연결되어 강화되었다. 유대의 계율이 엄격하다. 고기와 우유를 함께 할 수 없기 때문에 치즈 버거가 NG.
나이스★3
코멘트( 0 )
2019/11/23


삶을 긍정하는 허무주의 정수복 2016

삶을 긍정하는 허무주의 - 예스24


사이즈비교 공유하기


삶을 긍정하는 허무주의정수복 저 | 알마 | 2016년 

정가 15,800원
쪽수, 무게, 크기 348쪽

[eBook] 태백산 선지식의 영원한 행복 고우 (지은이),박희승 (정리) 2022

알라딘: [전자책] 태백산 선지식의 영원한 행복

[eBook] 태백산 선지식의 영원한 행복 
고우 (지은이),박희승 (정리)어의운하
2022-12-23 



종이책의
미리보기
입니다.

















 전자책 미리 읽기

전자책정가
9,800원
판매가
9,800원
쿠폰할인가
8,820원
10% 할인쿠폰 받기 
마일리지
49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Sales Point : 36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종이책
12,600원 (+700원) 



고우 스님이 책에서 수미일관하게 강조하는 것이 이 장면에 다 담겨 있다. 바로 나와 너, 빈부, 갑을, 노소, 남녀, 노사, 좌우, 남북, 여야 등 우리들이 일상에서 쉽게 빠지는 이분법의 함정, 극단의 치우침 등은 모두 양변이기에 이런 양변의 집착에서 벗어나야 개인이 행복하고 또 사회가 평화로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양변을 여읜 자리, 양변을 떠난 자리가 바로 중도이며, 이 중도의 길이 바로 부처님이 깨치고 걸었던 길임을 스님은 말씀한다. 그럼 어떻게 이 길, 중도의 길, 부처님의 길을 어떻게 걸어갈 것인가? 이 책은 바로 이 질문에 가장 강력하고 빠른 답으로, 화두 참선의 길을 제시한다.


목차


1. 영원한 행복을 찾아서
2. 부처는 누구인가?
3. 싯다르타의 고뇌와 출가
4. 싯다르타의 구도와 수행
5. 중도를 깨치고 영원한 행복을 발견하다
6. 중도란 무엇인가?
7. 중도가 연기다
8. 불교의 지혜들, 사성제·삼법인
9. 중도정견 세우기
10. 선과 교의 근본, 중도
11. 중도가 부처님
12. 중도와 화·용서·참회
13. 선禪이란 무엇인가?
14. 조사선이란 무엇인가?
15. 간화선이란 무엇인가?
16. 한국 근세 간화선풍의 중흥
17. 화두 참선의 시작
18. 선지식에 의지하여 공부하라
19. 화두 참선하는 법
20. 화두 삼요와 의정
21. 백척간두와 활구 참선
22. 동정일여와 오매일여
23. 오매일여를 지나야 깨달음이다
24. 혼침·도거·상기 대처법
25. 신비한 경계와 대처법
26. 고요함만 있는 적적은 외도
27. 일상생활에서 화두하는 법
28. 참선과 근기에 대하여
29. 자기가 본래부처이니 단박에 깨친다
30. 돈오점수와 생멸연기관에 대하여
31. 큰 도는 문이 없다
32. 깨달음에 대하여
33. 생활에서 화두 참선의 효능
34. 간화선과 위빠사나
35. 인류문명의 대안, 중도와 선
부록 ― 인터뷰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고우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김천 청암사 수도암으로 출가했다. 고봉, 관응, 혼해 대강백으로부터 경전을 배우고, 당대 선지식인 향곡 선사가 주석한 묘관음사에서 첫 안거 수행을 한 이래 평생 참선의 길을 걷고 있다. 법호는 은암隱庵이다.
1968년 무렵 도반들과 함께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이자 결사도량으로 유명한 문경 봉암사에 들어가 선원禪院을 재건하여 원융살림 전통을 세우고 조계종 종립선원의 기틀을 다졌다. 근대 선지식인 향곡, 성철, 서옹, 서암 선사에게 두루 참문하였다. 선풍 진작에 뜻을 두어 선납회(禪衲會, 지금의 전국선원수좌회)를 창립하고, 1988년에 해인사에서 선화자禪和子 법회를 주최하였다. 이후 전국선원수좌회 대표와 봉화 각화사 태백선원 선원장을 역임하였다.
2005년 전국 선원장들과 함께 조계종 수행지침서 ≪간화선看話禪≫을 편찬하였다. 2007년 조계종 원로의원에 추대되었고 2008년에는 대종사 법계를 품수했다.
지금은 봉화 문수산 금봉암에 주석하며 조계사 선림원 증명법사를 맡아 간화선의 생활화와 사회화에 주력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태백산 선지식의 영원한 행복>,<육조단경> … 총 4종 (모두보기)

박희승 (정리)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에서 20여 년간 종무원 생활을 하다가 고우 스님을 만나 성철 스님의 『백일법문』을 통독하고 불교의 핵심 중도를 이해하고 화두를 체험하니 마음이 편해졌다. 불교인재원에서 생활 선명상 입문 ‒심화 ‒전문 ‒지도자 과정을 운영하며, 유튜브 ‘생활 선명상’ 채널을 통해서 화두 선명상을 전하고 있다. (사)한국명상지도자협회 이사 겸 사무총장.
펴낸 책으로 『이제 승려의 입성을 허함이 어떨는지요』(들녘, 1999), 『선지식에게 길을 묻다』(은행나무, 2009), 『조계종의 산파, 지암 ... 더보기

최근작 : <부처님 가르침대로 살자>,<조계종의 산파, 지암 이종욱>,<선지식에게 길을 묻다> … 총 6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우리 시대 원로 선지식, 고우 스님이 처음 내놓는 참선 법문록
우리가 꼭 읽어야 할 화두 참선의 교과서


1. 식당을 운영하는 신도가 실천한 중도中道

절에 열심히 다니며 식당 하는 보살님(여성 신도)에게 고우 스님이 이렇게 말씀했다.
“손님을 돈으로 보지 말고 은인으로 보고 장사해보세요. 왜, 은인인가? 손님, 고객 덕분에 직원들 월급 주고, 가겟세 내고, 가족들 먹여 살리고, 아이들 교육시키고 문화생활하고 저축도 하니 손님이 은인입니다. 그러니 식당에 오는 손님을 은인으로 생각하고 하시고 장사해보세요.”
이 보살님이 한 달 후에 고우 스님을 밝은 얼굴로 찾아와서 이렇게 말한다.
“스님, 장사가 대박입니다.”
고우 스님은 이 에피소드를 소개하며 이렇게 말씀했다.
“주인과 손님의 양변에서 장사하는 것은 분별이나, 손님을 은인으로 부처님으로 생각하며 장사한다면 장사가 안될 리가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나와 네가 둘이 아니라는 중도를 바로 알아 일상생활에서 중도를 실천하면 대립과 갈등을 해소해 갈 뿐만 아니라, 모든 일을 원만하게 할 수 있습니다.”

고우 스님이 이 책에서 수미일관하게 강조하는 것이 이 장면에 다 담겨 있다. 바로 나와 너, 빈부, 갑을, 노소, 남녀, 노사, 좌우, 남북, 여야 등 우리들이 일상에서 쉽게 빠지는 이분법의 함정, 극단의 치우침 등은 모두 양변이기에 이런 양변兩邊의 집착에서 벗어나야 개인이 행복하고 또 사회가 평화로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양변을 여읜 자리, 양변을 떠난 자리가 바로 중도이며, 이 중도의 길이 바로 부처님이 깨치고 걸었던 길임을 스님은 말씀한다. 그럼 어떻게 이 길, 중도의 길, 부처님의 길을 어떻게 걸어갈 것인가? 이 책은 바로 이 질문에 가장 강력하고 빠른 답으로, 화두 참선의 길을 제시한다.

그렇다면 다시 질문이 이어질 수 있다. 화두 참선의 길을 어떻게 갈 것인가? 이 질문에 독자들은 대부분 참선하는 방법, 예컨대 다리를 어떻게 하고, 호흡을 어떻게 내쉬는가 등의 답을 기대할 것이다. 실제 참선을 알려주는 적지 않은 참선 책들이 이렇게 곧바로 참선 ‘방법’을 안내한다. 물론 이 책에서 고우 스님은 화두 참선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는가를 들려준다. 다만, 중요한 전제가 있다. 바로 정견이다. 존재에 대한 바른 인식. 중도연기. 이런 개념 이해를 아주 중요하게 말씀한다. 이런 바른 이해 없이 참선하면 도리어 아상我相만 키우는 꼴이 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고우 스님은 참선의 시작하는 사람들은 우선 ‘정견’을 세우라고 한다. 정견의 바른 이해를 통해 깨달음의 길로 가는 것을 제시한다. 왜 그런가? 부처님과 역대 조사의 삶이 그러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 책의 시작은 부처님의 삶과 정견을 이야기하는 데 적지 않은 지면을 할애한다.


2. 부처님의 깨달음은 중도연기

이 길을 위해 처음 고우 스님은 부처님의 삶을 살핀다. 싯다르타는 무엇을 고민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으며, 왜 출가했고, 무엇을 깨달았는지 꼼꼼하게 들여다본다. 바로 이 부분에서 고우 스님의 시각이 빛난다. 조계종단에 부처님의 생애가 교과로 채택된 때가 불과 10년 전인 것을 고려하면, 또 대승과 선에서 역사적 인간으로서 부처님을 이해하는 사례가 드물었던 것을 고려하면, 1961년 출가해 전통 선맥을 이어온 고우 스님의 안목에 새삼스럽게 놀랍다. 스님은 이렇게 말씀한다.

“싯다르타 왕자가 출가하여 중도를 깨달아 생로병사의 괴로움에서 해탈하여 영원한 행복의 길을 열어 보인 것이 바로 불교佛敎입니다. 불교는 내 밖의 절대자에게 구원을 의지하는 다른 종교와 달리 인간이 스스로 중도를 깨치면 생로병사의 괴로움에서 벗어나 영원한 행복을 누린다는 것입니다.”

고우 스님은 부처님의 깨달음이 곧 중도이며, 중도의 내용이 연기이며, 이 중도와 연기를 깨치면 영원한 행복이 길로 갈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스님은 책 곳곳에서 반복하며 중도가 무엇이고, 연기가 왜 불교의 세계관이며 존재 원리인지 설명한다. 개인과 사회의 모든 갈등의 핵심은 바로 이 중도와 연기를 모르기 때문이기에 중도연기를 이해하고 행하는 것이 불교의 가르침을 행하는 것이다. 이게 핵심이다. 이후 전개하는 스님의 모든 법문은 이를 증명하고, 이를 삶에서, 일상에서 실현하기 위한 가장 강력하고 빠른 길, 영원히 행복한 길, 화두 참선을 이야기한다.


3. 중도는 ‘나’라는 마음이 없는 것

고우 스님이 대중 법문에서 늘 강조하는 것이 바로 ‘중도’다. 고우 스님은 중도가 우주의 존재 원리이고 실상이라고 말씀한다. 모든 존재는 중도의 존재라는 것이다. 예컨대 ‘나’라는 존재도 중도로 존재한다는 뜻이다. 아마도 이런 설명에 독자들은 많이 낯설어 할 것이다. 내가 중도라고? 그렇다면 이런 인식은 어떤가? ‘나’는 연기의 존재다. 이 표현은 교리를 좀 아는 독자들은 들어봤을 것이다. 그런데 내가 중도다, 중도가 부처님이다, 이런 인식은 낯설다. 하지만 평생 화두 참선을 이어온 원로 납자가 이 말을 한다면 그 무게가 다를 수밖에 없다. 스님의 법문을 따라가면 중도는 연기고, 중도는 양변을 여읜 것이다. 그리고 나는 양변을 여윈 존재다. 나는 본래 그런 존재다. 왜 내가 중도의 존재이고 연기의 존재인지, 그리고 이를 깊이 이해하면 왜 일상의 다툼과 대립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스님의 설명을 따라가면 논리적으로 충분히 수긍할 수 있다. 스님의 말씀을 들어보자.

“나와 우주 만물은 모두 중도로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이 글을 읽고 있는 ‘나’라는 존재도 독립된 실체가 있다고 보면 착각입니다. 독립된 실체로서 ‘나’는 단 한 순간도 있을 수 없습니다. 지금 당장 내가 산소를 호흡하지 않으면 존재할 수가 없어요. 뿐만 아니라 음식과 물 없이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독립된 실체로서 ‘나’란 존재할 수 없기에 ‘내가 있다’고 보는 것은 착각입니다.”

이런 이해와 인식을 깊이 해본다. 또 일상에서 자주 떠올리고 연습하고 습관화하면 어떻게 될까? 다투는 마음, 갈등이 일어날 때 이 ‘아, 내가 또 나를 고집하는구나. 양변에 집착하는구나’ 하고, 내 마음이 중도로 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스님은 이렇게 이해한 만큼 생활에서 배어 나온다고 한다. ‘나’가 있다는 잘못된 습관이 개인의 삶에서 투영될 때 갈등이 일어나고 대립하는 모습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개인뿐 아니라 사회 등 인간의 모든 갈등의 근본 원인이 바로 이 ‘나’라는 독립된 존재가 ‘있다’는 착각에서 나타난다. 스님의 말씀을 들어본다.

“인간의 모든 갈등의 근본 원인은 ‘내가 있다’는 착각에서 나오는 집착 때문입니다. ‘나’는 독립된 실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데도 마치 실재하는 것으로 착각 하고 집착하기에 이기심이 나오는 것입니다. 내가 있고, 내가 살아야 하고, 내가 생각하는 것이 옳고, 너는 틀렸다, 이런 생각을 일으키니 서로서로 대립하고 갈 등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요? 바로 중도中道입니 다. 중도를 바로 알면,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반복하지만, 이 책을 관통하는 일관된 가르침 중 하나가 바로 중도다. 스님은 계속 강조한다. 이 대립과 갈등을 넘어서는 지혜, 중도를 체득하는 방법이 바로 화두 참선이며, 이를 생활 속에서 실천한 만큼 지헤가 싹트며, 삶이 여유로워지고, 자존감이 높아질 수 있다고 강조한다.


4. 중도를 체득하는 것이 화두 참선

그럼 이 화두 참선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고우 스님은 부처님과 역대 선사들의 깨달음의 체험을 낱낱이 검토하며, 그분들의 깨달음이 결국 중도연기임을 드러낸다. 이런 설명과 설득은 꼼꼼하고,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일상생활에서 매일 5분이라도 실천할 것을 말한다. 중도정견의 바른 지혜를 갖추었으면, 이제 이를 체득해야 한다. 고우 스님의 말씀을 직접 들어보자.

“이 화두 참선, 즉 간화선은 바로 중도를 화두로 체득하고 깨치는 것입니다. 간화선도 중도를 깨치는 것이지 다른 게 아닙니다. 그래서 화두 참선을 잘하려면 바로 불교의 근본인 중도에 대하여 바른 안목을 갖추는 정견正見을 세워야 합니다. … 중도정견이 서게 되면 부처님이 깨달은 중도 세계의 가치를 알게 되어 자기와 세상 만물을 보는 지혜가 나옵니다.”

이런 관점, 부처님과 역대 조사의 가르침을 중도연기로 회통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수미일관하게 이를 유지하는 것은 아마 성철 스님과 고우 스님이 유일하지 않을까. 고우 스님이 이 책 곳곳에 성철 스님의 흔적을 남긴 것도 우연이 아니다. 젊은 시절 돈오돈수와 돈오점수 논쟁으로 패기 있게 대들던 시절이 있었지만, 이후 성철 스님과 오매일여 등을 논하며 공부의 한 경지를 통과한다. 이 책에는 고우 스님 당신이 출가 이후 줄곧 매달렸던 깨달음의 열정, 갈망과 성취가 이 책 곳곳에 배어 있다. 때문에 이 책은 화두 참선의 건조한 기술을 넘어, 1961년 출가 이후 평생 화두 참선의 길을 걸었던 고우 스님의 수행 기록이기도 하다.


5. 일상에서 어떻게 화두 참구할 것인가?

이제 구체적으로 그렇다면 어떻게 화두 참구할 것인가, 이 질문에 다양한 사례와 당신의 경험을 들려준다. 아래는 고우 스님이 말씀하는 화두 참구하는 법의 일부다.

● ‘조주 무無’자 화두 참구하는 법

부처님은 일체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조주 스님은 ‘없다’고 합니다. 어째서 조주 스님은 무라 했을까요? 이것을 참구하는 것이 화두 공부하는 법입니다. 이 ‘무無’자 화두 공부하는 법은 “어째서 조주는 ‘무無’라 했을까?” 이 의문에 몰입해야 합니다 ‘유-무’ 양변의 분별심으로 답을 찾으려 하면 안 됩니다. 그냥 “어째서 ‘무無’라 했을까?” 이 말만 순수하게 참구해서 답을 찾아야 합니다. … 부처님 말씀에는 일체중생이 다 불성이 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조주 스님은 없다고 말했어요. 수행자 입장에서는 이 말이 이해가 되지 않지요? 그러니 “부처님께서는 일체중생이 불성이 있다고 했는데 어째서 조주 스님은 ‘무無’라고 했을까? 어째서 무라 했을까? 어째서?” 이렇게 강한 의문의 화두 한 언구를 지속시켜 나아가야 합니다. 즉, 화두를 의심하는 한 생각이 10초, 20초, 30초, 1분, 2분 이렇게 지속해야 양변의 분별심이 끊어져 화두 일념一念이 되어 삼매三昧로 들어가는 겁니다.

● ‘이뭐꼬?’ 화두 드는 법

‘이뭐꼬?’ 화두는 우리나라 불자들이 가장 많이 참 구하는 화두입니다. 참구법은 이렇습니다.
“마음도 아니요, 물건도 아니요, 부처도 아닌 이것이 무엇인고? 이뭐꼬?”
흔히 우리는 마음이 부처다, 부처를 한 물건이라 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마음도 아니요, 물건도 아니요, 부처도 아닌 이것이 무엇인가? 이뭐꼬?” 이렇게 참구해 가야 합니다. ‘이뭐꼬?’ 화두는 이것 말고도 “이 몸덩이 끌고 다니 는 이것이 무엇인가? 이뭐꼬?” 화두도 있고, “어떤 것 이 부모미생전 본래면목인가? 이뭐꼬?” 화두도 있습니다. 이것이 모두 ‘이뭐꼬?’ 화두라 하는데, ‘이뭐꼬?’ 앞에 무슨 의문을 제기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뭐꼬?’ 화두를 참구할 때는 반드시 앞의 전제를 처음 받은 그대로 하셔야 합니다. 가령, “이 몸덩어리 끌고 다니는…” 할 때도 그대로 해야 하고, “부모미생 전…” 할 때도 그대로 해야 합니다. 그러지 않고 그냥 ‘이뭐꼬?’ 만 하는 분이 더러 있는데 이것은 바른 공부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이뭐꼬?’만 할 경우 밥 먹을 때 ‘밥 먹는 이뭐꼬?’ 할 수도 있고, 길을 걷다가 ‘걸어가는 이뭐꼬?’ 하게 되면 매 경계마다 ‘이뭐꼬?’를 붙이게 되어 경계를 자꾸 따라가니 의식이 산만해지고 분산됩니다. 이것은 바른 공부가 아닙니다. 처음 받은 그대로 해야 합니다.

● 초심자들이 알아야 할 점

초심자들이 참선할 때 익숙한 것은 분별망상이죠. 우리는 늘 망상, 잡념 속에 살아갑니다. 분별망상은 익숙하나 화두는 설지요. 그래서 화두 공부하는 사람은 익숙한 망상은 설게 하고 화두는 익숙하게 해야 합니다. 이 공부 방향은 알겠는데 실제 실천이 쉽지 않지요. 중도정견도 모르고 분별망상에 휩싸인 사람은 그 망상이 실체가 없는 착각일 뿐이라는 것을 모르니까요. 그래서 망상에 갇혀 살아가면 자기 본성을 모르고 착각 속에 살다 갈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살아서는 공부가 성취되길 기약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중도를 공부해서 정견을 세우고 우리가 본래부처라는 것은 믿고 우리 마음이 본래 청정하며 지혜와 자비가 항시 빛나고 있을 뿐 분별망상은 착각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 운개일출雲開日出, 먹구름이 걷히면 해가 나옵니다. 이처럼 익숙했던 분별망상을 비우면 본래 갖춰진 청정한 지혜광명이 나오게 됩니다. 이것은 오직 체험해 봐야 압니다. 말과 문자로는 도저히 알 수 없는 경지이니 정견을 세우고 부지런히 화두를 챙겨나가야 합니다.

고우 스님은 이 책에서 화두 삼요와 의정을 이야기하며, 화두 참선자는 움직임이 일어날 때나 고요할 때나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 동정일여와 깨어 있을 때나 잠을 잘 때도 한결같이 되는 오매일여를 거쳐야 한다고 말씀한다. 그래야 깨달음의 길로 나아갈 수 있으며, 역대 조사의 말씀도 그러하다고 밝힌다. 이어 혼침, 도거, 상기 대처법과 신비한 경계가 나타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참선과 근기를 설명하며, 돈오점수와 생멸연기 등의 문제를 꼼꼼하게 비판한다.


6. 고우 스님이 밝힌 화두 참선의 효능
고우 스님은 대중 법문을 거절하지 않았다. 시간과 조건이 되면 대중과 만났다. 그래서일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거둔다. 전통 납자이지만 현대인들의 고민을 잘 알고 있다. 대중들이 화두 참선을 어려워한다는 것도 알고 있다. 특히 생계를 꾸려가며 치열하게 이해득실을 따지는 재가자들에게 ‘분별심을 일으키지 말라’는 말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스님은 화두 참선이 쉽지 않지만, 하루 5분이라도 꾸준히 해나가면 그만큼 번뇌가 줄고 마음이 밝아지며 편안해진다고 말씀한다.

“실제 조사스님들처럼 확철대오하지 못하더라도 화두 참선을 생활화하면 일상에서 지혜와 자비심이 나와 그만큼 행복합니다. 즉, 중도정견을 세우고 밖으로 부지런히 남을 도우며 안으로 부단히 화두를 챙겨나가는 화두 참선이 생활화되면 그만큼 일상이 지혜로워지고 밝아져서 참선하는 만큼 자기와 세상에 도움 이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견성 아니면 아무것도 아니다는 ‘모 아니면 도’식으로 참선을 해서는 안 됩니다. 이것도 양 극단적인 사고로 중도가 아니지요. 견성 성불을 목표로 참선해 나가되 견성은 못하더라도 정진해 나간 만큼 좋다, 이익이다는 생각으로 해야 합니다.“

스님은 화두 참선을 생활화하면 지혜와 자비심이 나와서 하는 일을 원만하게 풀어갈 수 있다고 말씀한다. 지혜와 자비를 갖추게 되면 나뿐만 아니라 남도 잘 이해하게 되어 소통과 공감 능력이 높아져 인간관계가 개선된다는 것이다. 왜냐면 내가 연기와 중도의 존재이니, 내가 잘되려면 남을 도와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건 선택이 아닌, 존재 원리가 그렇게 되어 있다는 것이 스님의 설명이다. 이런 인식이 개인을 넘어,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진다면 사회의 양극화와 대립과 갈등을 지혜롭게 풀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7. 인류 문명의 대안, 중도와 선
중도연기가 우주의 존재원리이니, 당연히 우리 사회와 문명의 문제가 나와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스님도 이를 이 책 곳곳에서 설명한다. 우리 사회의 갈등과 대립, 나아가 인간의 욕망과 지구촌의 불평등, 자연의 파괴와 재해의 빈발 등을 걱정한다. 중도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차별과 멸시, 심지어 살상이 만연하는 이 지구촌에 우주 만물이 하나이고 모두가 부처 아님이 없으니 절대 평등하며 고유의 가치를 지닌 고귀한 존재라는 가르침과 그것을 단박에 체험하고 실천하는 선은 매우 유용한 대안이자 무한한 지혜를 줍니다. 이제 우리는 내가 중생이고 어리석고 부족하다는 착각에서 깨어나 본래부처로 돌아가야 합니다. 괴로 움과 짜증, 화는 내가 중생이라는 분별망상에서 일어나는 것이니 단박에 깨어나 본래 자성을 회복하여 지혜와 평화를 누려야 합니다. 자기를 바로 보면 자기가 우주 만물과 하나임을 깨달아 절대적이고 무한한 지혜와 복덕이 본래 다 완성되어 있는 존재라는 것을 알아 생로병사의 괴로움을 떠나 영원한 대자유와 행복을 누릴 수 있습니다. 부디 영원한 행복과 대자유의 길에 용기를 내어 보십시오.”

스님은 붓다를 혁명가로 부른다. 인도의 공고했던 사성 계급제도를 부정하고 누구나 불성을 지닌 존재로 봤기 때문이다. 그 대안으로 평등한 승가공동체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 시대의 혁명은 무엇일까? 스님을 말씀처럼 지구촌의 불평등, 자연 파괴, 대립과 갈등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 바로 내가 옳다, 나와 너의 대립, 수많은 양변의 함정들, 이런 그릇된 가치관에서 올바른 가치관을 널리 퍼뜨리는 것, 그것이 아닐까. 스님의 당부를 들어보자.

“이제 우리는 내가 중생이고 어리석고 부족하다는 착각에서 깨어나 본래부처로 돌아가야 합니다. 괴로움과 짜증, 화는 내가 중생이라는 분별망상에서 일어나는 것이니 단박에 깨어나 본래 자성을 회복하여 지혜와 평화를 누려야 합니다. 자기를 바로 보면 자기가 우주 만물과 하나임을 깨달아 절대적이고 무한한 지혜와 복덕이 본래 다 완성되어 있는 존재라는 것을 알아 생로병사의 괴로움을 떠나 영원한 대자유와 행복을 누릴 수 있습니다. 부디 영원한 행복과 대자유의 길에 용기를 내어 보십시오.”


9. 책 머리에 - 태백산 선지식의 인연과 영원한 행복의 길

2002년 한일 월드컵 열기가 뜨거웠던 그해에 나는 간절한 마음으로 선지식을 찾아 나섰다. 몸담고 있던 교단이 세상의 행복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내분과 갈등 에 휩싸이니 더 이상 희망이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산중에 선지식을 찾아보고 답이 없으면 진로를 바꿀 생각이었다. 당시 믿던 스님께 선지식을 추천받으니, ‘태백산 각화사 선원장 고우 스님’이 첫손에 꼽혔다. 불원천리하고 찾아가니 환한 미소로 맞아주셨다. 첫 만남에서 6시간 동안 가슴에 담고 있던 의문을 폭포수처럼 쏟아 냈는데 스님은 속 시원한 답을 주셨다. ‘세상에 도인이 있다면 이런 분이겠구나!’ 하는 믿음이 생겼다. 그 후로도 노스님은 참으로 지혜의 법문을 주셨다. 특히 “성철 스님 『백일법문』을 부지런히 읽어 부처님의 깨달음, 중도연기를 이해해 보라”고 하신 지침을 행하니 그 어렵고 방대한 팔만대장경이 간명하게 중 도로 정리되고 마음도 편해졌다. 그래서 다시 찾아뵙고 물었다. “부처님의 깨달음, 중도는 이해했습니다. 이제 어떻게 할까요?”
“불교는 이해로 안 됩니다. 중도를 화두로 체험하고 생활에서 실천해야 해요. 적명 스님을 찾아가 보세요.” 또 다른 선지식 적명 스님을 뵙고 재가 생활인이 참 선을 잘할 방도를 일러 주십시오 하니, “하루 5분씩 규칙적으로 매일하라”고 하셨다. 그렇게 하루 5분씩 좌선하던 중 며칠 만에 마음이 환하게 밝아지고 더 편 해져 화두 공부에 자신감이 생겼다. 좌선 시간을 조금씩 늘려나가니 좋은 체험이 계속되었고, 한편으로는 신비한 경계가 나타나는 위기도 있었다. 그때 선지식의 지도는 결정적이었다. 그렇게 공부한 지 10년쯤 될 무렵 안국선원의 간화 선 집중수련에 참가하여 화두가 앉아 있을 때나 움직 일 때나 끊어지지 않는 동정일여動靜一如를 체험하니 공부에 의문이 사라졌다. 마음은 태풍이 지나간 하늘처럼 눈부시게 빛났다. 생사윤회를 벗어나는 영원한 행복을 알려주신 부처님과 역대 조사 선지식들의 고귀한 가르침에 무한한 감동이 일어나면서 이 길을 혼자만이 아니라 주변에 널리 전해야겠다는 원력도 생겨났다. 지금 세상은 물질적으로는 어느 때보다 풍족하나 정신적인 혼돈은 극심한 시대다. 빈부, 갑을, 좌우, 남 녀, 노소, 남북 등 양극단의 대립 갈등은 더 깊어가고 평안과 행복의 길은 요원해 보인다. 이 시대에 중도와 화두를 통해 영원한 행복을 알려주신 선지식의 역할이 지중한데 너무 연로하시고 병드시어 더 활동할 수 가 없다. 그래서 평소 하신 법문을 정리하여 세상 사람들에게 생로병사의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영원한 행복의 길을 전해드리고 싶었다. 그동안 빛나는 가르침에 혹 누가 될까 염려도 있지만, 그 업조차 감당하며 보은에 가늠한다.

2020년 5월에 중효 박희승


10. 법문하신 고우 스님과 정리한 박희승

이 책의 출간은 스님의 곁에서 오랫동안 가르침을 따랐던 불교인재원 박희승 교수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는 조계종단에서 일하면서 종단의 내분과 갈등을 지켜보며 희망을 찾기가 힘들어, 마지막으로 산중의 선지식을 찾아보고 답이 없으면 진로를 바꿀 생각이었다. 당시 믿었던 실상사 도법 스님께 고우 스님을 추천받아, 불원천리하고 찾아가 6시간 동안 대화한다. 이렇게 만난 고우 스님을 20년 가까이 스승으로 모신다. 이 책은 스승의 법문을 옆에서 꼼꼼하게 기록하고 정리한 그가 있었기에 출간할 수 있었다. 접기